Translate

2020년 12월 19일 토요일

사선근_four-good-roots


사선근
[한문]四善根
[범어]kuśalamūla
[티벳]dge ba'i rtsa ba
[영어]four good roots



수행 계위 중 네 가지. 
난위(煖位), 
정위(頂位), 
인위(忍位), 
세제일법위(世第一法位) 등. 
무루지(無漏智)의 견도(見道)에 이르기 전의 수행 단계.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사선근
[한문]四善根 
사선근위(四善根位)라고도 함. 
사가행위와 같음.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 2018_1024_172952_nik_Ar28_s12 부여 고란사


○ 2018_1023_161425_nik_AR25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20_0907_135734_can_ab41 양산 통도사


○ 2019_1104_131657_can_bw0_s12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19_1106_130324_can_bw0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21536_nik_CT33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8_1024_141813_can_AB4_s12 공주 칠갑산 장곡사


○ 2020_0909_160120_nik_BW27 무주 백련사


○ 2019_1201_163524_nik_Ab31_s12 원주 구룡사


○ 2020_0905_171438_can_Ab31 오대산 적멸보궁


○ 2019_1105_160853_nik_ar18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0106_152517_nik_Ab15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 2019_1105_113543_nik_CT33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30933_nik_BW17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6_170539_can_ct32_s12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20_0908_163955_can_BW27 합천 해인사


○ 2020_0908_145649_nik_BW25 합천 해인사


○ 2020_0904_092946_nik_BW17 여주 신륵사


○ 2020_0908_145649_nik_ct18 합천 해인사


○ 2019_1104_102745_nik_ar47 구례 화엄사


○ 2020_0908_150059_nik_bw5 합천 해인사







■ 추가적 불교사전 상세 참조사항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난위

난위 ◀煖位▶4선근(善根)의 하나. 
(1) 소승에서는 내범(內凡)의 초위(初位). 외범(外凡)인 3현위(賢位)의 다음에 
바로 지혜를 증득하려고 준비하는 자리를 말함. 
난(煖)은 따뜻하다는 뜻으로, 불에 가까이하면 따뜻함을 느끼는 것과 같이, 
견도무주지화(見道無漏智火)의 전상(前相)으로 수승한 유루(有漏)의 4제관지(諦觀智)가 일어나는 자리. 


(2) 대승에서는 보살의 제10회향위(廻向位)의 만심(滿心)에서 4선근위(善根位)를 세운 것. 
선정에 의하여 맨 처음의 4심사관(尋伺觀)을 일으켜서 실재로 있다고 집착하는 경계를 없다고 관찰하는 자리.

 ⇒난법(爛法)

정위◀頂位▶ 【범】Mūrdhāna 정법(頂法)이라고도 한다. 

4선근(善根)의 하나. 
(1) 구사종에서는 4제를 관하는 데 있어 16행상(行相)을 닦는 것은 난위(煖位)와 같으면서도 
여기서 다시 1선근(善根)을 일으킨 위이니, 
나아가면 다음의 인위(忍位)에 들어가며, 
물러나면 난위에 떨어지는 자리이다. 

이와같이 나아가고 물러나는 중간에 있는 것이 
마치 산 정상[山頂]이 올라가고 내려가는 중간인 것과 같은 것에 비유하여 
이름한 것. 

이 정위에 들어가면 선근(善根)을 끊는 사람이 될 염려는 없음. 

(2) 유식종에서는 4선근의 체(體)가 되는 4정(定) 중의 명증정(明增定)에 의하여 
상품(上品)의 심사관(尋伺觀)을 일으키고, 
심사의 대상인 명(名)ㆍ의(義)ㆍ자성(自性)ㆍ차별(差別)은 모두 자기 마음이 변해 나타난 것이므로 
임시로 있는 것임을 미루어 생각하여 
완전히 이 명(名) 등의 넷을 없애는 것을 말한다. 
이것을 심사관의 궁극이라 함.((운허_동국역경원사전)) 정위



인위 ◀忍位▶
4선근(善根)의 하나. 
(1) 소승의 제3위. 번뇌 중의 지혜로 다시 나아가 4제(諦)의 도리를 분명하게 이해하고 아는 자리. 
이 자리에 상ㆍ중ㆍ하의 3품(品)이 있다. 

하품ㆍ중품은 정위(頂位)와 같이 4제의 도리를 구족하게 관하여 
욕계의 4제와 색계ㆍ무색계의 4제에 향하여 각각 16행상(行相)이 있다. 
곧 상ㆍ하 8제 32행상을 닦음. 
그러나 중품위(品位)에서는 점차로 그 행상을 감하여 상품위로 나아가는 것. 
그러나 상품은 세제일위에 인접하였으므로 욕계의 고제(苦諦)만을 관한다. 

(2) 대승에서는 제10회향의 만심(滿心)에서 4선근을 세우는데 
명득정(明得定)ㆍ명증정(明增定)ㆍ인순정(印順定)ㆍ무간정(無間定)의 4정(定) 가운데 
인순정에 의하여 4여실지관(如實智觀)을 일으키고, 
하인위(下忍位)에서는 소취(所取)의 경계가 공무(空無)한 것을 확실히 승인하고, 
중인위(中忍位)에서는 능취(能取)의 식(識)도 공무한 것으로 관하며, 
상인위에서는 중인위에서 관하던 능취의 식이 공무한 것을 확실히 승인하고서 
다음 단계인 무간정(無間定)에 들어 간다.
 ⇒인(忍)ㆍ인법(忍法)((운허_동국역경원사전))

忍位는 四諦의 이치를 명확히 알아서 여기에 이르면 善根이 확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不動善根) 位로서 
悪趣에 뗠어지는 法이 없다. 


● 5종불생 
4선근위(善根位) 가운데, 인위삼품(忍位三品) 중의 상인위(上忍位)에서 얻는 5종의 이익.
생불생(生不生)ㆍ처불생(處不生)ㆍ신불생(身不生)ㆍ유불생(有不生)ㆍ혹불생(或不生).


세제일법 ◀世第一法▶
【범】Laukikāgradharma 4선근(善根)의 하나. 
(1) 소승의 말. 세(世)는 세간, 곧 유루법을 말함. 이 지위에서 일어나는 선근은 
유루법 중에 가장 수승한 것이므로 이렇게 이름. 

이 지위에서는 일찰나심(一刹那心)으로써 욕계 고제(苦諦) 하(下)의 한 행상(行相)만을 관할 뿐으로 
바로 견도위(見道位)에 들어간다. 

(2) 대승의 말. 보살 수행의 계위(階位)인 52위(位) 중, 
10회향의 만심(滿心)에서 무간정(無間定)에 의하여 상품(上品)의 4여실지(如實智)를 내어, 
취착(取着)할 바 경계의 4법(法)은 오직 자심(自心)의 변현한 것으로서 
가유실무(假有實無)하다고 아는 동시에, 
취착하는 식상(識上)의 4법도 내식(內識)을 여의고는 실유한 것 아니라고 요지(了知)하는 지위. 
바로 10지(地)의 초지인 환희지에 나아가 견도(見道)에 들어감.((운허_동국역경원사전))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사선근
【四善根】1․指小乘之暖․頂․忍․世第一法.
聲聞乘行人修五停心觀及四念處觀之後,
接著須修四諦觀.
當無漏智火將生,
心中光明啓發之時,
名爲暖位;進而智慧增長,
達於頂點,
名爲頂位;再進而明四諦之理,
其心堅住,
決定不移,
名爲忍位;更進而到達有漏智的最終點,
在世間有情之中,
最爲殊勝,
名爲世第一法.
3․指大乘之暖․頂․忍․世第一法.
以佛覺爲己心,
如火欲燃,
名爲暖;以自心成佛,
如登高山,
身入虛空,
下有微礙,
名爲頂;印持無所取之境,
順忍所無取之心識,
名爲忍(暖位以佛覺爲己心,
頂位以自心爲佛境,
忍位則覺於中道);由此更進,
則迷覺兩忘,
中邊不立,
雖未至初地見道之出世間,
然已到世間的最後邊際,
縱屬有漏,
但在世間已是第一,
名世第一.
在此大乘暖․頂․忍․世第一四位之中,
前二位修四尋思觀,
觀所取空,
後二位修四如實智,
觀能所二取皆空.
→1685





>>>





hbfl--07_Sa_0668.TIF




● From naver-어학사전
■ '사선근'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사선근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사선근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사선근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사선근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사선근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사선근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kuśalamūla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사선근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사선근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사선근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Barbara - Tous Les Passants.lrc








◆vfnc6101


◈Lab value 불기2564/12/19/토/16:25

○ 2018_1022_141245_can_ar24.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portrait-of-paulus-verschuur-1643

[#M_▶더보기|◀접기|
Artist:
Frans Hals the Elder (1582 – 26 August 1666) 는
https://en.wikipedia.org/wiki/Frans_Hals
Title : portrait-of-paulus-verschuur-1643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9_113822_nik.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Kinnon_Wat_Phra_Kaew_02

[#M_▶더보기|◀접기|
Kinnorn, male counterpart of a Kinaree (Kinaree or Ginnaree) at Wat Phra Kaeo in Bangkok.
Author en:User:MichaelJanich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Yendegaia National Park ,Chile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tistory.com/5157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Serge Reggiani - Le Déserteur.lrc



Serge Reggiani - Le Déserteur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12/four-good-roots.html#6101
sfx--dict/사선근.txt
sfd8--불교용어dic_2564_12.txt ☞◆vfnc6101
불기2564-12-19
θ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0801_080905_can_AR25 울진 금강송 풍광


○ 2020_1125_134104_can_ct9_s12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치유센터_풍광


○ 2019_0113_133118_nik_CT28 예봉산_풍광


○ 2019_0113_123222_can_AB7_s12 예봉산_풍광


○ 2019_0801_080900_can_BW22 울진 금강송 풍광


○ 2020_1125_142156_nik_ori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치유센터_풍광


○ 2020_1125_150703_can_Ab31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치유센터_풍광


○ 2019_0801_080546_can_BW22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731_175636_can_CT33_s12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801_130457_nik_bw4_s12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113_130254_nik_ct8_s12 예봉산_풍광


○ 2019_0731_192133_can_CT27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801_123525_nik_Ab35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113_133921_can_bw4_s12 예봉산_풍광


○ KakaoTalk_20190731_201054202_07_bw0_s12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113_141711_nik_bw0_s12 예봉산_풍광


○ 2019_0801_080848_can_Ab31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113_111242_nik_ori 예봉산_풍광


○ 2019_0801_080923_can_Ar37_s12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731_171811_can_AB7_s12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731_175407_can_ct18_s12 울진 금강송 풍광




■ 음악
De Rien - Coute Que Coute
Barbara - Tous Les Passants
De Rien - Le Point Final
LES ENFOIRES - Libert;StreamUrl='&artist
Nicoletta - Il Est Mort Le Soleil
Edith Piaf - Le Ballet Des Coeurs Noel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C
[san-chn] īryavat 威儀具足
[san-eng] āpuryamāṇaṃ $ 범어 always being filled
[pali-chn] adhi‏ṭṭhāti 受持
[pal-eng] bujjhitu $ 팔리어 m.one who awakes or becomes enlightened.
[Eng-Ch-Eng] FOUR VIRTUES Four Virtues 四德 The four Nirvana virtues: (1) Eternity or permanence (2) Joy (3) Personality (4) Purity These four important virtues are affirmed by the sutra in the transcendental or nirvana-realm.
[Muller-jpn-Eng] 二十八祖 ニジュウハッソ twenty-eight patriarchs
[Glossary_of_Buddhism-Eng] AMITABHA BUDDHA☞
Syn: Amida; Amita; Amitayus.

[fra-eng] consigner $ 불어 deposit, lodge, record, register


■ 다라니퀴즈

자비주 42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30 번째는?




42
중생 세계가 탁하여
바른 법이 멸할 때에
음욕의 불은 치성하여
마음이 미혹되고 뒤바뀌어
본처를 버리고
바람피우며
탐욕에 물들고
밤낮 삿되게 생각하되
조금도 쉬지 않을 때
만약 능히 지성으로 대비주를 소리내 외우면
음욕의 불은 없어지고 삿된 마음은 사라지리라.
● 호로혜리 呼嚧醯唎<四十二> hu ru hu ru hri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30
소바라나 소가사마 사미
蘇嚩囉拏<二合>蘇訖叉摩<三合>蹉尾<三十>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54일째]
흔요제불불가설 $ 096▲者麼羅者麼羅為 一 ● 馱麼羅, ○□□□□,智,善,於,三

□□□□□□□, 智慧平等不可說,
善入諸法不可說, 於法無礙不可說,
□□□□□□□, 지혜평등불가설,
선입제법불가설, 어법무애불가설,

부처님을 반기는 일 말할 수 없고
지혜가 평등함을 말할 수 없고
여러 법에 잘 들어감 말할 수 없고
여러 법에 걸림없음 말할 수 없고



[355째]
삼세여공불가설 $ 097▲馱麼羅馱麼羅為 一 ● 鉢攞麼陀, ○□□□□,三,了,住,殊

□□□□□□□, 三世智慧不可說,
了達三世不可說, 住於智慧不可說,
□□□□□□□, 삼세지혜불가설,
료달삼세불가설, 주어지혜불가설,

삼세가 허공 같음 말할 수 없고
삼세의 지혜들을 말할 수 없고
삼세를 통달함을 말할 수 없고
지혜에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K0961_T1553.txt★ ∴≪A아비담감로미론≫_≪K0961≫_≪T1553≫
●K0951_T1546.txt★ ∴≪A아비담비바사론≫_≪K0951≫_≪T1546≫
●K0959_T1550.txt★ ∴≪A아비담심론≫_≪K0959≫_≪T1550≫

법수_암기방안


96 족근 足跟 ~ 발꿈치 【족근】
97 족~비탈 ~측면 [ 신조어 ]
42 발 옆면 foot side
30 발목 [ankle]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인명학(因明學)에서 3지(支) 작법(作法)중에, 유(喩)의 허물에 대하여, 동유(同喩)의 5와 이유(異喩)의 5. 능립불성(能立不成)ㆍ소립불성(所立不成)ㆍ구불성(俱不成)ㆍ무합(無合)ㆍ도합(倒合)ㆍ소립불견(所立不遣)ㆍ능립불견(能立不遣)ㆍ구불견(俱不遣)ㆍ불리(不離)ㆍ도리(倒離).

답 후보
● 사유십과(似喩十過)

사정취(邪定聚)
사종법신(四種法身)
사종실단(四種悉壇)
사중(四衆)
사행진여(邪行眞如)
사혹(思惑)

● [pt op tr] fr
_M#]









○ [pt op tr]
● 사선근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사선근,四善根,kuśalamūla,dgeba'irtsaba,four good roots,난위煖位,정위頂位,인위忍位,세제일법위世第一法位,무루지無漏智견도見道에이르기전,사선근위四善根位,사가행위,



[링크용타이틀]

[##_1N|cfile5.uf@99DB313B5FDDB10A2283BE.jpg|width="820" height="621" filename="2020_0904_092946_nikon_BW17.jpg" filemime="image/jpeg"|_##]

사선근,사선근위,사가행위,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사선근

https://buddhism007.tistory.com/17907
sfx--dict/사선근.txt
sfd8--불교용어dic_2564_12.txt ☞◆vfnc6101
불기2564-12-19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12/four-good-roots.html
htmback--사선근_불기2564-12-19-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