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0년 12월 21일 월요일

현량관련내용_위키백과스크랩_direct-perception-cf





● 연구용 위키백과자료 스크랩 보관페이지 






https://ko.wikipedia.org/wiki/불교_용어_목록_(ㄹ)



량[■편집]

량(量, 산스크리트어: pramāṇa)의 한자어 그대로의 뜻은 '헤아리다' 또는 '추측하다'이다.[1] 




불교 용어로는 동사로 쓰일 때는 '헤아려 아는 것'을 뜻한다. 
명사로 쓰일 때는 인식방법 또는 지식의 근거를 뜻한다.[2][3][4]




예를 들어, 정량(正量) 또는 정량(定量)은 지식의 바른 근거를 뜻한다.[5] 
이러한 뜻은 일반 사전적인 뜻과는 다른데, 정량(定量)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일정하게 정하여진 분량' 또는 '양을 헤아려 정함'이다.[6]




후자의 경우, 
보통 현량(現量) · 비량(比量) · 비량(非量)의 3량(三量) 
또는 현량(現量) · 비량(比量) · 성교량(聖教量)의 3량(三量)을 든다.[7][8]



현량(現量, 산스크리트어: pratyakṣa-pramāṇa): 직접적 인식인 지각(知覺)을 뜻한다.
비량(比量, 산스크리트어: anumāna-pramāṇa): 간접적 인식인 추리(推理)를 뜻한다.
비량(非量, 산스크리트어: apramāṇa): 착오적인 현량(現量)과 비량(比量) 즉 착오적인 지각추리를 뜻한다.


성교량(聖教量, 산스크리트어: āgama-pramāṇa, āgama): 성인의 진술 특히 고타마 붓다의 진술이나 부처의 진술을 뜻한다.




----


위키백과 
각주[■편집]
 "",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1월 15일에 확인.
"量: 헤아릴 량(양)
1. 헤아리다 2. 추측하다(推測--: 미루어 생각하여 헤아리다) 3. 달다 4. 재다 5. 되다 6. 가득차다 7. 양 8. 분량(分量) 9. 용기 10. 용적 11. 기량(技倆ㆍ伎倆) 12. 성격 13. 재능(才能) 14. 되"
 곽철환 2003, "양(量)". 2013년 1월 15일에 확인
"산스크리트어 pramāṇa ① 헤아려 앎. ② 인식. 인식의 근원. 인식의 근거. 인식 수단. "
 권오민 1991, 9, 현량(現量)과 비량(比量)쪽
"불교에 있어 확실한 인식방법(量, pramāṇa)으로 논의되는 지각(現量, pratyakṣa-pramāṇa)과 추리(比量, anumāna-)의 문제는..."
 星雲, "". 2013년 1월 15일에 확인







● from 대만 불광대사전 
"量:  梵語 pramāna 之意譯。


【量】 p5293-上≫
梵語 pramāṇa 之意譯. 
有廣狹二義, 
狹義而言, 
指認識事物之標準․根據 ; 


廣義言之, 
則指認識作用之形式․過程․結果, 
及判斷知識眞僞之標準等. 
又印度自古以來, 
在認知範疇中, 
一般皆將量知對象加以認識論證, 
泛稱爲量. 
此量知之主體, 
稱爲能量, 
或量者(梵 pramātṛ;) 
; 被量知之事物, 
稱爲所量(梵 prameya) 
; 量知之結果, 
或了知其結果, 
稱爲量知(梵 pramiti)
或量果. 
以上三者稱爲三量. 


玆將三量各擧譬喩, 
竝將其與外道․小乘․大乘․唯識等相當之部分, 
列表如下 :  


依不同之方法去量知對象, 
卽産生種種不同之量果, 
大別之, 
有下列數種 : 


(一)現量(梵 pratyakṣa-pramāṇa), 
不含比知推度, 
僅以知覺進行認識作用, 
或依前五識, 
或依與前五識同時而起之意識, 
或依自證分․
定心等無分別心而來. 
例如眼識認識色境時, 
卽爲現量.




(二)比量(梵 anumāna-pramāṇa), 
係以旣知之事實爲基礎, 
比知未知之事實, 
乃經由推理而進行認識作用, 
不與前五識同時而起, 
係依散地之意識而來者. 
例如見煙則推知火之存在. 
比量又可分爲二種比量․三種比量․五種比量, 
卽 : 


(1)二種比量 : 


1.自比量(梵 svārtha-anumāna), 
又作
自比․爲自比量, 
卽爲自己而比量 ; 以智爲本質, 
此時未必需要表之於他人. 


2.他比量(梵 parārtha-anumāna), 
又作
他比․爲他比量, 
卽爲他人而比量 ; 經由自比量所認識之智, 
再語之他人時之比量. 




(2)三種比量 : 


1.自比量, 
爲自己所認可而不爲他人所認可作爲因(理由根據)之比量. 


2.他比量, 
爲他人所認可而不爲自己所認可作爲因之比量. 


3.共比量, 
又作
共比, 
爲自己與他人共同認可之比量. 


(3)五種比量 : 


1.相比量, 
例如見煙之相而推知火之存在 ; 卽爲有關事物外相之比量. 
2.體比量, 
例如見現在之體而推知過去․未來之體 ; 此乃有關事物自體之比量. 
3.業比量, 
例如見草木動搖, 
則知風之存在 ; 卽由事物之動作, 
而推知該作用之根據. 
4.法比量, 
例如由無常而推知苦之存在 ; 此因法與法之間具有相互依存之密切關係, 
故根據一事卽可推知他事. 
5.因果比量, 
由因推知果, 
或由果推知因.




(三)聖敎量(梵 āgama 或 śabda), 
又作
正敎量․至敎量․聲量․聖言量, 
卽篤信聖者之敎說眞實無誤, 
而依靠聖敎來量知種種意義.




(四)非量, 
又作
似量, 
卽似是而非之現量及比量, 
故又作
似現量․似比量. 
例如衣由色等四塵構成, 
本身竝無實體可言, 
然由於分別見解, 
遂認爲「衣乃實在者」, 
此卽似現量. 
又如遠見塵․霧等, 
卻錯以爲煙, 
竝據此錯覺而證明有火存在, 
此卽似比量. 
以上均爲似是而非之現量及比量. 
其中, 
現量․比量․非量, 
或現量․比量․聖敎量等, 
皆稱三量. 




此外, 
現量與比量對非量而言, 
稱爲眞現量․眞比量. 




於現․比․聖敎三量之外, 
若加上


譬喩量(梵 upamāna, 
例如由牛而推知有水牛․乳牛等 ; 此卽依據類似事物而推知相同之他物), 
則爲四量. 
若再加上義准量(梵 arthāpatti, 
又作
義準量, 
例如無常必定無我, 
今旣知諸法無我, 
依準其義, 
卽可了知無常之存在), 
則爲五量. 


若再加上


無體量(梵 abhāva, 
例如進入屋內, 
由於主人不在, 
則知主人必定前往他處), 
則爲六量. 




此外, 
另有


隨生量(梵 saṃbhava)․
想定量(梵 pratibhā)․
傳承量(梵 aitihya)․
身振量(梵 ceṣṭā)等. 






於古代印度各學派間, 
對各種量論之看法及側重之情形, 
大都隨其宗義而有所不同, 




例如順世外道僅承認現量, 
勝論學派承認現․比二量, 
耆那敎․數論學派․瑜伽派承認現․比․聖敎三量, 
正理學派承認現․比․聖敎․譬喩等四量, 
彌曼蹉學派之咕魯派(梵 Guru)則另又加上承認義準量, 
彌曼蹉學派之帕達派(梵 Bhāṭṭa)及吠檀多學派另又承認無體量, 
而共爲六量. 
在佛敎, 
則常用現量․比量․聖敎量․譬喩量. 
在因明方面, 
古因明師多採現․比․聖敎三量. 
至六世紀之大論師陳那時, 
則限定僅以現量․比量等二量用於因明論式. 
[解深密經卷五․大毘婆沙論卷七十一․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十六․因明入正理論․成唯識論卷二․因明入正理論疏卷上](參閱「三量」633․「量論」5295)








 권오민 1991, 218. 정량(正量)쪽
"經을 지식의 근거(正量)로 삼아 論을 正量으로 삼는 有部 아비달마의 法有論을 강력하게 비판하였던 적극적이고도 공격적인 후대 경량부(Sautrāntika)..."


 "정량", 《네이버 국어사전》. 2013년 1월 15일에 확인.


 星雲, "三量". 2013년 1월 15일에 확인
"三量: 
삼량
【三量】 p633-上≫


<一>量, 
卽尺度, 
標準之意, 
指知識之來源, 
認識形式, 
及判定知識眞僞之標準. 
印度自古各哲學宗派間卽盛行探討知識來源, 
形式, 
眞僞之學問, 
遂産生各種「量論」之說, 
其中最普遍者爲三量. 
然三量之內容與名稱 ; 各宗所說互異.




(一)就心, 
心所量知所緣對境而立之三種量. 
唯識宗於此, 
多所分別, 
並詳加闡論 ; 而於因明之中, 
亦爲重要之「自悟」方法. 
此三量卽 : 


(1)現量(梵 Pratyakṣa-pramāṇa), 
又稱眞現量. 
乃對境時無任何分別籌度之心, 
各各逼附自體, 
顯現分明, 
照了量知. 
亦卽由五官能力直接覺知外界之現象者 ; 此一覺知乃構成知識之最基礎來源. 
(2)比量(梵 anumāna-pramāṇa), 
乃由旣知之境比附量度, 
而能正確推知未現前及未知之境. 
(3)非量, 
卽似現量, 
似比量之總稱. 
乃非正確無訛之現, 
比量, 
或非可量知之量.




(二)瑜伽師地論卷十五與顯揚聖敎論卷十一所立之三量 : 


(1)現量(同上), 
(2)比量(同上), 
(3)聖敎量, 
又作至敎量, 
正敎量, 
爲一切智所說之言敎, 
或從其聞, 
或隨其法, 
其中又分 : 


1不違聖言, 
佛自說經敎, 
輾轉流布, 
不違正法, 
正義. 


2能治雜染, 
善修此法, 
能永調伏貪癡等煩惱. 


3不違法相, 
不於一切離言法中建立言說.




(三)數論外道所立之三量 : 


(1)證量, 
指從根塵所生之五知根, 
緣五塵所顯現之覺知作用. 
相當於上記之現量. 


(2)比量, 
分爲有前, 
有餘, 
平等三種 ; 「有前」乃推知未來之作用, 
「有餘」爲推知過去之作用, 
「平等」爲推知現在之作用. 


(3)聖言量, 
相當於上記之聖敎量, 
雖非由五官感知, 
亦非經推比而來, 
然以篤信聖者之故, 
亦得信知聖敎聖言. 
如北鬱單越之存在, 
旣非吾人所能感知, 
亦非推比可得, 
然以聖言之故, 
遂得信知其存在. 
[解深密經卷五, 
阿毘達磨雜集論卷十六, 
因明入正理門論, 
因明入正理論疏卷上本, 
因明論疏瑞源記卷一](參閱「比量」1481, 




「眞現量」4222, 
「量」5293)




<二>成唯識論卷二所立之三量. 
卽 : (一)所量, 
指被測度量知之對象. 
(二)能量, 
指能夠用以量知者. 
(三)量果, 
指所量知之結果. 
例如欲量知一織物, 
則織物爲所量, 
尺度爲能量, 
所量得之尺寸爲量果. 
成唯識論復基於此說, 
將心識之作用分爲四分, 
而以相分爲所量, 
見分爲能量, 
自證分爲量果. 
(參閱「四分」1663)
From 南山律學辭典
正論法毗尼白


子題:
三量、
現量、
比量、
正教量


羯磨疏‧集法緣成篇:
「正論法者, 
屏論已定, 
三量無疑。
欲靜後緣, 
必須對眾, 
先和表意也。



濟緣記釋云:
「三量:
一﹑現量, 
現理當也;二﹑比量, 
他事例也;三﹑正教量, 
聖言證也。
」(業疏記卷三‧一二‧八)


【《南山律學辭典》(0266c10~0266c19)】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edited
삼량


【三量】1․現量․比量․聖敎量. 
現量是在根境相對時, 
用不著意識思索就能夠直覺親證到的, 
如眼耳鼻舌身前五識去了別色聲香味觸五塵的時候是;比量是比度而知, 
如遠見煙就知道彼處有火, 
聽到隔壁有說話的聲音, 
就知道裡面有人是;聖敎量又名聖言量, 
是因爲有聖人的文敎才知道的意思. 
2․現量․比量․非量. 
現量和比量如前所說, 
非量謂心心所緣境時, 
判斷錯誤, 
如見繩以爲蛇, 
見月明以爲天亮等是. 
→699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三量




【名數】 一現量, 
二比量, 
三聖教量, 
又曰至教量聲量正教量。
尚有現量比量非量之三量。


【術語】 三量有二種:
一、
因明之三量:
即現, 
比, 
聖教, 
之三也。
詳見量條。
二、
就心心所量知所緣之境, 
而立三量之不同:
一、
現量, 
如鏡之對於物體。
能緣之心, 
不為些之分別計度, 
量知現在之境者。
如耳識之對於聲, 
眼識之向於色, 
是也。
二、
比量, 
於不現顯之境。
比知分別而量知者。
如見煙知有火。
凡因明依第六意識之比量智而成也。
三、
非量, 
於現在之境與非現在之境, 
以逆亂之心錯分別取不實之事者。
即以似現量似比量, 
而為非量也。
就八識所知而分之, 
則第八識與眼等之五識唯為現量, 
第七識唯為非量, 
第六識通於三量。
說見百法問答抄二。




【參見:
量】 
From 三藏法數
三量


﹝出宗鏡錄﹞ 
〔一、
現量〕, 
現即顯現, 
量即量度, 
是楷定之義也。
謂眼識乃至身識, 
對於顯現五塵之境, 
而能度量楷定法之自相, 
不錯謬故, 
是名現量。
(五塵者, 
色塵、
聲塵、
香塵、
味塵、
觸塵也。
) 
〔二、
比量〕, 
比即比類, 
謂以比類量度, 
而知有故。
如遠見煙, 
知彼有火, 
是名比量。
 
〔三、
聖教量〕, 
謂於聖人所說現量、
比量之言教, 
皆不相違, 
定可信受, 
是名聖教量。


(參閱「四分」1663)"




 운허, "三量(삼량)". 2013년 1월 15일에 확인
"三量(삼량):


법상종에서 심(心)ㆍ심소(心所)가 자기의 앞에 나타난 대상을 아는 모양을 셋으로 나눈 것. 


(1) 능량(能量). 
대상에 대하여 양지(量知)하는 마음이니, 
척도(尺度)와 같음. 


(2) 소량(所量). 
양지할 대상이니, 
포백(布帛)과 같음. 


(3) 양과(量果). 
그 결과를 아는 것이니, 
몇자 몇치와 같음.((운허_동국역경원사전))




삼량
삼량 三量
(1) 현량(現量). 
마음이 현재의 현상을 그대로 양지함이니, 
안식(眼識)이 색(色)에 대함과 같은 것. 
(2) 비량(比量). 
현재에 나타나지 않은 경계를 추측해 아는 것이니, 
연기를 보고 불이 있는 줄 아는 것과 같음. 
(3) 비량(非量). 
현전한 경계, 
또는 현전치 않은 경계를 잘못 인식하는 것이니, 
환화(幻華)를 보는 것과, 
안개를 연기로 잘못 보고 불이 있는 줄 아는 것과 같음.
((운허_동국역경원사전))




>>>














삼량
①-633■불광사전
hbfl--07_Sa_0725.TIF






● From yusig
三量


三量, 
是現量、
比量、
非量。
量是認識、
知識, 
也是測量的准繩。
如以斗量米, 
以尺量布, 
以至於以秤量物。
唯識學立有三量, 
是明心識所具的量度。
在我人的心識活動中, 
能認識的作用是識, 
所認識的對象是境, 
在此能認識與所認識之間, 
心識是能量, 
所認識之境是所量, 
此能量與所量之間, 
有識量的生起。
如販布者不用尺量, 
則不知布的長度, 
吾人心識認識外境, 
如果沒有心識的計慮量度, 
則不知此境是黑是白, 
是圓是方, 
可見識量在認識作用上的重要性。
以能量量所量, 
所得之果曰量果。
識之量度有三種, 
隨因的不同, 
其果亦有差別。
此三量為:
一、
現量:
現量是能緣之心, 
量所緣之境時, 
不起分別計度所穫之量果。
但現量之境, 
要具備三個條件, 
即一者是現在, 
以簡別於過去或未來。
二者心識認識的對象必鬚要顯現出來, 
亦即必鬚是現行位之法, 
在種子位不能成為現量。
三者現有, 
在能所位上, 
即能量之識與所量之境, 
都是明白現前, 
和合俱有。
二、
比量:
心識所量度的對象, 
沒有呈現在前, 
但可藉著知識經驗, 
推測比度而穫致量果。
如見山下有烟, 
推知該處有火;見牆外有雙角, 
推知牆外有牛。
三、
非量:
此是一種錯誤的認知, 
即是於所緣之境, 
以錯覺之心錯為分別所穫致之量果, 
如見繩以為是蛇, 
見騾誤認為馬, 
都屬於非量。
八識緣境, 
前五識量度之境, 
是根塵相對的而生識的直接感覺, 
此時無分別心, 
不雜名言, 
所以是現量。
例如眼識緣色, 
唯緣青黃赤白四實色, 
不緣長短方圓之假色、
及取舍伸屈之形色。
但當五俱意識生起, 
有了分別, 
就墮入比量或非量了。
第六識通於三量, 
在五俱意識初起剎那, 
也是現量, 
第二念就有了分別, 
即是比量或非量。
第七識唯緣第八識的見分執為自我, 
唯是非量。
第八識緣根身、
器界、
種子, 
唯是現量。


● From Hanja(Korean Hanzi) Dic
삼량


三量 三樑
From BUDDHDIC


三量
サンリョウ
(term) three ways of knowing
From Eng-Ch-Eng dic of Buddhist terms


三量
Three ways of knowing according to the early school of hetu-vidya^: (1) 現量 to see directly with one's own eyes (prayaks!a); (2) 比量 to know by inference (anuma^na); (3) 聖教量To know by the teachings of the sages.
From Korean Dic




삼량




참고 영문 위키 백과 스크랩 
=> 
https://buddhism007.tistory.com/17915#direct-perception-cf 
sfx--dict/현량_cf.txt ☞ 
sfd8--기타_2564_12.txt ☞◆direct-perception-cf
불기2564-12-2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12/direct-perception-cf.html#direct-perception-cf 
htmback--현량_cf_불기2564-12-21-tis.htm 



https://en.wikipedia.org/wiki/Pramana


번역 by 구글 번역 [ 번역불완전 오류는 원문을 검토 ]

프라 마나
무료 백과 사전, 위키피디아에서
Pramāṇa 에서 리디렉션  )




★★
-----











○ 2020_0606_172412_can_ct27


○ 2018_0418_123425_can_ct27


○ 2020_0606_193124_can_ct27


○ 2020_0606_193255_can_bw17


○ 2018_0419_130336_can_ct33


○ 2018_0419_135105_can_ct27


○ 2020_0525_165402_can_ct27


○ 2020_0606_185958_can_ct27


○ 2020_0525_172932_can_ct27


○ 2018_0419_140802_can_exc


○ 2020_0606_180538_can_ct27


○ 2020_0525_165452_nik_exc


○ 2018_0419_132128_nik_ar45


○ 2018_0419_132550_can_ar42


○ 2018_0419_135128_can_ct27


○ 2016_1008_131328_can_ct27


○ 2018_0419_113822_nik_ct27


○ 2018_0419_140703_can_ar45


○ 2018_0419_140810_can_ar45


○ 2020_0606_141959_can_ct22
























https://en.wikipedia.org/wiki/Pramana


번역 by 구글 번역 [ 번역불완전 오류는 원문을 검토 ]




프라 마나
무료 백과 사전, 위키피디아에서
( Pramāṇa 에서 리디렉션 )


탐색으로 이동검색으로 이동이 기사는 인도 철학의 증거와 인식론에 관한 것입니다. 
Journal of Physics에 대해서는 Pramana (journal)를 참조하십시오 .




Pramana ( Sanskrit : प्रमाण, Pramāṇa )는 문자 그대로 " 증거 "와 "지식의 수단"을 의미합니다. [1] [2] 


인도 철학에서 pramana는 지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수단이며 
인도 인식론 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그것은 고대부터 불교 , 힌두교 자이나교 의 핵심적이고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된 분야 중 하나였습니다. 


그것은 지식의 이론이며 인간이 정확하고 참된 지식을 얻는 하나 이상의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한 수단을 포함합니다. [2]




프라 마나의 초점은 올바른 지식을 습득 할 수있는 방법, 아는 방법, 모르는 방법, 누군가 또는 무언가에 대한 적절한 지식을 습득 할 수있는 정도입니다. [3] [4]




프라 마나의 수는 체계마다 크게 다르지만, 


많은 고대 및 중세 인도 문헌에서는 6 개의 프라 마나를 정확한 지식과 진리의 정확한 수단으로 식별합니다. 




거의 보편적으로 받아 들여지는 3 개의 프라 마나, 즉 
인식 (Sanskrit pratyakṣa) , 
추론 ( anumāna ) 및 
"단어", 과거 또는 현재 신뢰할 수있는 전문가 의 증언 ( Śabda )을 의미합니다 . 




비교와 비유 ( upamāna ), 
가정, 상황에서 파생 ( arthāpatti ),
비 인식, 부정적 /인지 적 증명 ( anupalabdhi ) 등 더 논쟁적인 것들 . [4] [5] [6] 
이들 각각은 조건부, 완전성, 확신 및 오류 가능성 측면에서 
각 인도 철학 학파별로 분류됩니다.


인도 철학의 다양한 학파는이 여섯 가지 중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인식 적으로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한 지식 수단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7] 

예를 들면, Carvaka의 힌두교 학파에만 온 (인식)은 지식의 안정적인 소스이라고 보유 [8] 
불교 두 (인지, 추론)있는 유효한 수단을 보유하고있다 [9] [10] 
자이나교 세 (지각 보유 추론과 간증), [10] 동안 
미 맘사 학파불 이론적 베단타 힌두교의 학교는 모두 여섯 유용 보유 및 지식 신뢰할 수있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11] 

인도 철학의 여러 학교는 프라 마나 의 여섯 가지 형태 중 하나가 다른 것, 
그리고 각각의 상대적인 고유성에서 파생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교는 ​​부처와 다른 "유효한 사람", "유효한 경전"및 "유효한 마음"을 논쟁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지만 
그러한 증언은 지각 및 추론 프라마나의 한 형태입니다 . [12]



pramanas 의 과학과 연구를 Nyaya 라고 합니다. [삼]
내용

1어원
2힌두교2.16 개의 프라 마나2.1.1Pratyakṣa
2.1.2Anumāna
2.1.3Upamāna
2.1.4Arthāpatti
2.1.5Anupalabdi
2.1.6Śabda

2.2학교 별 합격2.2.1Carvaka 학교
2.2.2Vaisheshika 학교
2.2.3Sankhya, Yoga, Vishishtadvaita Vedanta 및 Dvaita Vedanta 학교
2.2.4Nyaya 학교
2.2.5프라 바카라 미 맘사 학교
2.2.6Advaita Vedanta 및 Bhatta Mimamsa 학교


삼불교3.1Sautrantrika3.1.1아포 하

3.2Madhyamaka
3.3티베트에서

4또한보십시오
5메모
6참고 문헌
7출처
8서지
9외부 링크

어원 [ 편집 ]



Pramāṇa는 문자 그대로 "증거"를 의미하며 인도 철학의 개념이자 분야이기도합니다. 

이 개념은 산스크리트어 어근 인 pra (प्र), "outward"또는 "forth"를 의미하는 전치사, "measurement"를 의미하는 mā (मा)에서 파생됩니다. 

Pramā 는 "올바른 개념, 참 지식, 기초, 기초, 이해"를 의미하며 
pramāṇa는 단어의 추가 명목화입니다. [13] [14] 


따라서, 개념 Pramāṇa은 은 "습득 수단인 것을 의미 prama 또는 특정 정확한 진실 지식". [1]



Pramāṇa 는 지식을 얻는 방법에 대한 고대 인도의 견해를 설명하는 개념 트리오의 한 부분을 형성합니다. 

다른 두 개념은 알고 있고 알 수 있으며, 
각각 자신의 특성과 앎의 과정에 따라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해 논의됩니다. 

둘은 Pramātŗ (प्रमातृ, 주제, 아는 사람)와 Prameya (प्रमेय, 대상, 아는 사람) 라고 합니다. [15] [16]



프라마나라는 용어는 힌두교의 여러 학교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불교 문학에서 Pramana 는 Pramāṇavāda 로 불 립니다 . [17] 


Pramana 는 또한 인식론의 적극적인 적용을 의미 하는 인도 개념 인 Yukti (युक्ति) 또는 이미 알고있는 것, 혁신, 영리한 방법 또는 연결, 방법론 또는 추론 트릭, 결합, 인위적 적용, 수단, 방법과 관련이 있습니다. 


보다 효율적으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참신함 또는 장치. [18] [19] Yukti 와 Pramana 는 Yukti 와 함께 
일부 인도 텍스트에서 함께 논의됩니다.


관찰 / 지각을 통해 지식을 얻는 수동적 인 과정과 달리 
지식을 얻는 능동적 인 과정으로 설명됩니다. [20] [21] 


특히 힌두교의 Samkhya , Yoga , MimamsaAdvaita Vedanta 학교의 Pramana에 대한 텍스트는 
그 의미와 범위에 "오류 이론"을 포함합니다. 

이것이 바로 인간이 오류를 만들고 잘못된 지식에 도달하는 이유입니다. 
자신이 틀렸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렇다면 자신을 수정하고 올바른 지식에 도달하기 위해 
자신의 인식론적 방법에 결함이 있는지 
또는 자신의 결론 (진실)에 결함이 있는지 어떻게 발견 할 수 있습니까? [22] [23] [24]





힌두교 [ 편집 ]



여섯 pramanas [ 편집 ]



힌두교는 6 개의 프라 마나 를 정확한 지식과 진실에 대한 정확한 수단으로 식별합니다 : 


Pratyakṣa (지각), Anumāṇa (추론), Upamāṇa (비교 및 유추), Arthāpatti (가정, 상황에서 파생), Anupalabdhi (비 인식, 부정 /인지 적 증거) ) 및 Śabda (말, 과거 또는 현재 신뢰할 수있는 전문가의 증언). [4] [5] [11]




Taittirīya Āraṇyaka (기원전 9-6 세기 경) 1.2.1 절 에는 
"올바른 지식을 얻는 네 가지 방법"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smṛti ( "성경, 전통"), 
pratyakṣa ( "지각"),
 aitihya ( "전문가 ") 증언, 역사적 전통 ") 및 
anumāna ("추론 "). [25] [26]




Vedvyasa와 같은 일부 텍스트에서 10 개의 pramanas 가 논의되고 
Krtakoti는 지식을 수정하기 위해 인식 적으로 신뢰할 수있는 8 가지 방법을 논의합니다. [27] 가장 널리 논의되는 pramanas 는 다음과 같습니다. [11] [28] [29]






Pratyakṣa [ 편집 ]
Pratyakṣa (प्रत्यक्ष)는 지각을 의미합니다. 

힌두교 텍스트에는 외부와 내부의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외부 지각은 오감과 세속적 사물의 상호 작용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묘사되며,이 학교에서는 내적 지각을 내적 지각 인 마음의 것으로 묘사합니다. [8] [30] 

고대와 중세 인도 텍스트는 올바른 인식을위한 네 가지 요구 사항을 식별합니다. [31] 

Indriyarthasannikarsa (연구중인 대상에 대한 감각 기관의 직접적인 경험), 
Avyapadesya (비언어적, 올바른 고대 인도 학자에 따르면 지각은 소문을 통해서가 아니라 , 감각 기관이 다른 사람의 지각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데 의존합니다),
Avyabhicara (방황하지 않음, 올바른 지각은 변하지 않으며, 감각 기관이나 관찰 수단이 표류, 결함, 의심) 및 
Vyavasayatmaka (확실한, 올바른 지각은 의심의 판단을 배제합니다. 

모든 세부 사항을 관찰하지 못하거나 추론과 관찰을 혼합하고 관찰하고 싶은 것을 관찰하거나 관찰하고 싶지 않은 것을 관찰하지 않기 때문에). [31] 일부 고대 학자들은 "비정상적인 인식"을 프라마나 로 제안 했고 
이를 내부 인식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다른 인도 학자들이 반대하는 제안이었습니다. 


내부 인식 개념에는 pratibha (직관), samanyalaksanapratyaksa가 포함 되었습니다.

(지각 된 특성에서 보편적으로의 귀납 형태) 및 
jnanalaksanapratyaksa (현재 상태를 관찰하여 '연구 주제'의 이전 프로세스 및 이전 상태에 대한 인식의 한 형태). [32] 

또한 일부 힌두교 학파는 아나디아 바사야 (무한 판단) 와 니르나야 (확실한 판단, 결론) 를 대조하기 위해 
Pratyakṣa-pranama 로부터 불확실한 지식을 받아들이는 규칙을 고려하고 개선했습니다 . [33]





Anumāna [ 편집 ]
Anumāna (번역)는 추론을 의미합니다. 

이성을 적용하여 하나 이상의 관찰과 이전 진리에서 새로운 결론과 진실에 도달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34] 

연기를 관찰하고 불을 추론하는 단계의 일례이다 
Anumana . [8] 하나의 힌두 철학을 제외한 모든 철학에서 [35] 이것은 지식에 대한 유효하고 유용한 수단입니다. 

추론 방법은 pratijna (가설), hetu (이유) 및 drshtanta (예) 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인도 텍스트로 설명됩니다 . [36] 

가설은 두 부분으로 더 세분화되어야한다. 
고대 인도 학자들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 

sadhya(증명하거나 반증 할 필요가있는 아이디어)와 
paksha (사디야가 술어가 되는 대상 ). 

추론은 sapaksha (증거로서의 긍정적 인 예)가 존재하고 vipaksha (반 증거로서의 부정적인 예)가없는 경우 조건부로 참입니다. 

엄격함을 위해 인도 철학은 또한 더 많은 인식론 단계를 명시합니다. 
예를 들어, 그들은 Vyapti를 요구합니다. 
이는 hetu (이유)가 sapaksha 및 vipaksha 모두에서 "모든"경우의 추론을 필연적으로 개별적으로 설명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입니다 . [36] [37] 


조건부 가설 검증이 호출 nigamana(결론). [38]


Upamāna [ 편집 ]
Upamāna (उपमान)는 비교와 비유를 의미합니다. [4] [5] 

일부 힌두교 학교에서는이를 적절한 지식 수단으로 간주합니다. [39] Upamana , Lochtefeld는 [40] 

야생 동물이 서식하는 땅이나 섬을 한 번도 방문한 적이없는 여행자의 예를 들어 설명 할 수 있습니다. 
그 또는 그녀는 그곳에 있었던 누군가로부터 그 땅에서 소처럼 보이며 소처럼 풀을 뜯는 동물을 보았지만 
그런 식으로 소와는 다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이러한 유추와 비교의 사용은 
여행자가 나중에 새로운 동물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되므로 조건부 지식의 유효한 수단 인 인도 인식 론자들을 말합니다. [40] 

비교의 대상은 형식적 호출 upameyam에서 비교 대상은 upamanam 이고 속성은 samanya 로 식별됩니다 . [41] 

따라서 Monier Williams 는 소년이 "그녀의 얼굴은 매력에있는 달과 같다"고 말하면 
"그녀의 얼굴"은 upameyam 이고, 달은 upamanam 이고, 매력은 samanya라고 설명 합니다. 

10.28 절부터 10.63 절 까지의 7 세기 텍스트 Bhaṭṭikāvya 는 
이 인식론적 방법이 더 유용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기와 그렇지 않은 시기를 식별하는 많은 유형의 비교와 유추를 논의합니다. [41] 

힌두교 다양한 고 중세 문헌에서는, 32 개 종류 Upanama 
인식론에서의 그들의 가치는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Arthāpatti [ 편집 ]
Arthāpatti (अर्थापत्ति)는 가정, 상황에서 파생 된 것을 의미합니다. [4] [5] 

현대 논리에서이 pramana 는 상황적 함의와 유사합니다 . [42] 

사람이 이전에 강에서 보트에 남아, 시간이 도착 예상 시간이지나 지금의 경우 예를 들어, 다음 상황은 사람이 도착하는 진리 가정을 지원합니다. 

많은 인도 학자들은 보트가 지연되거나 우회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이 프라 마나를 유효하지 않거나 기껏해야 약한 것으로 간주했습니다 . 
[43] 


그러나, 이러한 미래 일출 또는 일몰 시간을 유도하는 등의 경우에,이 방법은 신뢰할 수 제안자가 단언 하였다. 에 대한 또 다른 일반적인 예고대 힌두교 문헌에서 arthapatti 는 만약 "Devadatta는 뚱뚱하다"와 "Devadatta는 낮에 먹지 않는다"라면, 
"Devadatta는 밤에 먹는다"는 사실이어야한다. 

이러한 형태의 가정과 상황에서 파생 된 것은 
발견, 적절한 통찰력 및 지식의 수단이라고 인도 학자들은 주장합니다. [44] 

이 방법은 원래의 소재지 또는 다른 소재지에있는 피사체와 객체에 대한 조건부 지식과 진리 유효한 수단이라고 기술 상태의 수용 수단 힌두교 학교. 이 방법을 받아들이지 않는 학교는 가정, 외삽 및 상황 적 함의가 다른 pramanas 에서 파생 되거나 
지식을 수정하기위한 결함이있는 수단 에서 파생 될 수 있으며 대신 직접적인 인식이나 적절한 추론에 의존해야한다고 말합니다 .



Anupalabdi [ 편집 ]
Anupalabdi (번역)는 비 지각, 부정적 /인지 적 증거를 의미합니다. [11] 

Anupalabdhi의 pramana은 예컨대 "이 방에는 용기가 없다"와 같은 음을 아는 것이 유효한 기술의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 

무언가가 존재하지 않거나 불가능한 것으로 관찰되거나 추론되거나 입증 될 수 있다면, 
그러한 수단없이 한 일보다 더 많이 알고있는 것입니다. [46] 

고려 힌두교 두 학교 Anupalabdhi을 epistemically 유용한 같은 유효한 결론 중 하나 인 sadrupa (양) 또는 asadrupa (음)의 관계 
- 정확하고 유용한 양쪽 모두. 다른 마찬가지로 pramana , 
인도 학자들은 세련된 Anupalabdi을4 가지 유형 : 
원인에 대한 비 인식, 효과에 대한 비 인식, 대상에 대한 비 인식, 모순에 대한 비 인식. 


힌두교의 두 학교 만이 "비 인식"이라는 개념을 프라마나 로 받아들이고 발전시켰다 . 
Anupalabdi 를 지지한 학교는 다른 다섯 명의 pramanas 가 지식과 진실을 추구하는 데 실패 했을 때 
그것이 유효하고 유용하다고 확인했습니다 . [9]



Abhava (अभाव)는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일부 학자들은 고려 Anupalabdi가 동일 할 Abhava , [4]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동안 Anupalabdi 및 Abhava 다른 등을. [10] [47] Abhava-pramana이 컨텍스트에서 
대 힌두교 문헌에서 논의 된 Padārtha (पदार्थ, 용어의 지시 대상). Padartha가 동시에 인 것과 정의 Astitva (존재) Jneyatva (알려질) 및 Abhidheyatva (nameable). [48] 의 구체적인 예 padartha는 , 바틀리의 상태가 포함dravya (물질), guna (품질), 카르마 (활동 / 운동), samanya / 자티 (범용 / 클래스 속성), samavaya (내재)와 vishesha (개성). Abhava은 다음 "과 대조적으로"부정적 표현 대상물 "로 설명 대상물 양성 발현" Padartha . [48] 결석은 또한 "존재하고, 알 수 있고, 이름을 붙일 수있는"것으로, 음수, 증언의 한 형태로서의 침묵, 아사 카르 야 바다 인과 이론, 적자를 실재하고 가치있는 것으로 분석 하는 예를 제공합니다 . Abhava더 인식론의 유용한 방법으로 그것을 받아 힌두교의 학교에서, 네 가지 유형에 세련된 : dhvamsa (존재했던 종료), atyanta-abhava (불가능, 절대 존재하지 않는, 모순), anyonya-abhava (상호 부정 , 상호 부재) 및 pragavasa (이전, 선행 비 존재). [48] [49]





Śabda [ 편집 ]



참조 : 힌두교의 Śāstra pramāṇam달마의 근원
Śabda (शब्द)는 단어, 과거 또는 현재 신뢰할 수있는 전문가의 증언, [4] [11] 특히 shruti , Vedas에 의존하는 것을 의미 합니다. [50] 

Hiriyanna 설명 Sabda-pramana를 신뢰성 전문 증거 수단 개념으로. 인식 론적으로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힌두교 학파는 
인간이 수많은 사실을 알아야하며, 제한된 시간과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사실과 진리의 일부만 직접 배울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51] 

그는 다른 사람, 그의 부모, 가족, 친구, 교사, 조상 및 사회의 친척들에게 의존하여 
지식을 빠르게 습득하고 공유하여 서로의 삶을 풍요롭게해야합니다. 

적절한 지식을 얻는이 방법은 말하거나 글로 쓰지만 Sabda (단어)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 [51] 

소스의 신뢰성이 중요하며, 합법적인 지식 만에서 올 수 Sabda 신뢰할 수있는 소스. [11] [51] 


힌두교 학교들 사이의 불일치는 신뢰성을 어떻게 확립 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었다. 

Carvaka 와 같은 일부 학교에서는 이것이 결코 가능하지 않으므로 Sabda 는 적절한 pramana 가 아닙니다. 
다른 학교 토론은 신뢰성을 확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52]



학교 별 합격 [ 편집 ]
힌두 철학 의 여러 학교는 이러한 pramanas 중 하나 이상 을 유효한 인식론으로 받아들 입니다. [5]



Carvaka 학교 [ 편집 ]
Carvaka 학교는 오직 하나의 유효한 지식 소스 인 인식만을 받아 들였습니다. [10] 
나머지 모든 메서드는 완전히 유효하지 않거나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유효하지 않습니다. [8] [53]


Vaisheshika 학교 [ 편집 ]
인식 론적으로 Vaiśeṣika 학교는 다음과 같은 유일한 지식 수단으로 간주했습니다. [10]
지각 ( Pratyakṣa )
추론 ( Anumāna )



Sankhya, Yoga, Vishishtadvaita Vedanta 및 Dvaita Vedanta 학교 [ 편집 ]
받는 따르면 Sankhya , 요가 및 베단타 두 서브 학교 기술의 적절한 수단이 세 pramanas에 의존한다 : [10] [54]
Pratyakṣa — 지각
Anumāna — 추론
Śabda — 신뢰할 수있는 전문가의 증언 / 말





Nyaya 학교 [ 편집 ]
니 야야 학파의 학교 네 받아 [10] (지식을 얻는 수단 pramāṇa ) 즉있다. 
지각, 추론 비교 낱말. [54]




Pratyakṣa 라고 불리는 지각 은 Nyaya 인식론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지각은 감각 객체 접촉에 의해 정의되며 오류가 없습니다. 
지각은 보통 또는 비범 한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평범한 ( Laukika 또는 Sādhārana ) 지각은 시각적으로 눈으로, 코로 후각으로, 귀로 청각으로, 피부로 촉각으로, 혀로 미각으로, 마음으로 마음으로 6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비범한 ( Alaukika 또는 Asādhārana ) 지각은 세 가지 유형, 즉 Sāmānyalakṣana (특정 대상에서 일반성을 인식), Jñānalakṣana(하나 개의 감각 기관이 그것을 인식 특성에 기인하지 수도 있습니다, 

고추를 볼 때와 같이 하나가 쓴 또는 핫될 것이라고 알고있다), 

그리고 Yogaja (특정 인간의 존재가,의 힘에서 요가 , 과거에 인식 할 수있는 그리고 미래와 완전하거나 일부의 초자연적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지각에는 두 가지 모드 또는 단계가 있습니다. 

즉, 대상의 특징을 알 수없는 상태로 물체를 인식하는 Nirvikalpa 와 
물체 를 명확하게 알 수있는 Savikalpa 입니다. 

모든 laukika와 alaukika pratyakshas는 savikalpa입니다. 
Pratyabhijñā 라는 또 다른 단계가 있는데 , 
기억을 바탕으로 무언가를 다시 인식 할 수 있습니다. [ 인용 필요]


Anumāna 라고하는 추론 은 Nyaya의 가장 중요한 공헌 중 하나입니다. 
자신에 대한 추론 ( Svārthānumāna , 공식적인 절차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최대 5 단계 중 마지막 3 개) 및 
다른 사람에 대한 추론 ( 5 단계의 체계적인 방법이 필요한 Parāthānumāna ) 의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추론은 또한 Pūrvavat (지각 된 원인에서 인식되지 않은 영향을 추론 ), 
Śeṣavat (인지 된 영향에서 인식되지 않은 원인을 추정) 및 Sāmānyatodṛṣṭa의 3 가지 유형으로 분류 될 수 있습니다.
(추론이 인과 관계가 아니라 공존의 균일성에 기반한 경우). 

오류에 대한 자세한 분석도 제공되어 언제 anumāna가 거짓 일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 [ 인용 필요 ]



Upamāna 라고하는 비교 . 새로운 대상에 대한 사전 설명이 주어지면 
유사성 또는 유사성에 대한 지식으로 생성됩니다. [ 인용 필요 ]


Word 또는 Śabda은 또한으로 허용됩니다 

pramāṇa . 그것은 두 가지 유형이 될 수 Vaidika ( 베다 네 개의 신성한 베다의 단어, 또는 더 넓게 권위로 인정 소스의 지식,로 해석 될 수있다), Laukika , 또는 신뢰할 수있는 인간 존재의 말과 글. [ 인용 필요 ]




Prabhakara Mimamsa 학교 [ 편집 ]
Prabhakara와 연결된 Mimamsa 힌두교 학교에서는 다음과 같은 pramanas를 적절한 것으로 간주했습니다. [10]
Pratyakṣa (지각)
Anumāṇa (추론)
Śabda (단어, 간증)
Upamāṇa (비교, 비유)
Arthapatti (가정, 추정)
Advaita Vedanta 및 Bhatta Mimamsa 학교 [ 편집 ]
불 이론적 베단타 와 연결된 미 맘사 학파 학교 쿠마 릴라 바타 , 다음 pramanas이 허용됩니다 [10] [55]


Pratyakṣa (지각)
Anumāṇa (추론)
Śabda (단어, 간증)
Upamāṇa (비교, 비유)
Arthāpatti (가정, 추정)
Anupalabdi, Abhava (비 인식, 존재하지 않음을 사용한인지 증명)







불교 [ 편집 ]
주요 기사 : 불교 논리



Padmākara Translation Group (2005 : p. 390)은 다음과 같이 주석을 달았습니다.



엄밀히 말해서 pramana ( tshad ma )는 "유효한인지"를 의미합니다. 

(불교) 관행에서 그것은 주로 Dignāga 및 Dharmakīrti와 관련된 논리 ( rtags rigs ) 및 인식론 ( blo rigs ) 의 전통을 나타냅니다 . [56]



불교는 지식에 대한 유효한 수단으로 프라 마나 ( tshad ma ) 만을 받아들입니다 : 

Pratyaksha ( mngon sum tshad ma , 지각) 및 Anumāṇa ( rjes dpag tshad ma , 추론). [12] Rinbochay는 불교는 또한 부처와 다른 "유효한 마음"과 "유효한 사람"에서와 같이 경전을 세 번째 유효한 프라마나로 간주한다고 덧붙였다. 

이 세 번째 타당한 지식의 원천은 불교 사상의 지각과 추론의 한 형태입니다. 

유효한 경전, 유효한 마음 및 유효한 사람은 
불교에서 Avisamvadin ( mi slu ba , 논란의 여지 없음, 논쟁의 여지 없음) 으로 간주됩니다 . [12] [57]

인식과 추론 이외의 인식과 지식의 수단은 불교에서 무효로 간주됩니다. [9] [10]



불교에서 pramāṇa의 가장 중요한 두 학자는 DignāgaDharmakīrti 입니다. [58]
Sautrantrika [ 편집 ]



디나가와 다르 마커 티는 보통의 보기 강론으로 분류되는 
경량부에 하나의 성경 (티베트어 다음은 경량 부 사이의 구별을 할 수 있지만, 

신조 : ལུང་ གི་ རྗེས་ འབྲང་ གི་ མདོ་ སྡེ་ པ 와일리 : 폐 병사 rjes ' brang gi mdo sde pa) 및 Sautrāntikas 다음 이유 후자. [59] 이 주제에 디나가 메인 텍스트가있다 Pramāṇa-samuccaya .




이 두 사람 은 Vaibhāṣika 에서 어떻게 복잡한 Abhidharma 기반 설명을 거부 했는지 학교와 소트란티카 성경을 따르는 접근 방식은 
외부 세계를 정신적 대상과 연결하고 
대신 정신 영역이 외부 세계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감각 기관과 감각 의식에 기반한 측면만 인식한다고 가정했습니다. 


더욱이 감각의식은 외부 대상의 양상 (산스크리트어 : Sākāravāda)의 형태를 취하고 
지각되는 것은 실제로 외부 대상의 형태를 취한 감각 의식입니다. 

측면에서 시작하여 힌두교 학교에서 논의한 외부 세계에 대한 논리적 논쟁이 가능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들의 견해가 너무 달라서 토론을 시작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런 다음 논리적 토론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59]



이 접근법은 물질 세계가 정신 세계와 연결되는 방식을 해결하려고 시도하지만 
완전히 설명하지는 않습니다. 


이 점을 강요했을 때, Dharmakīrti는 
Sautrāntrika 위치의 전제를 버리고 
외적 대상이 실제로 발생하지 않고 
마음의 습관적 경향에서 발생한다는 일종의 Yogācāra 위치로 이동합니다. 


그래서 그는 힌두교 학교들과 외부 대상을 배치하고 
나중에 그것이 논리적으로 유지 불가능한 방법으로 토론을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토론을 시작합니다. [59]


다른 번역과 해석으로 인해 나중에 티베트에서 Dharmakīrti의 접근 방식에 대해 두 가지 다른 해석이 있습니다. 

하나는 보편성의 일부 수용과 함께 온건한 현실주의에 기대어 있는 Gelug 학교에 의해 개최되고 
다른 하나는 Dharmakīrti가 명백히 반 현실 주의적이라고 주장하는 다른 학교가 개최합니다. [60]


Apoha [ 편집 ]


Dignāga의 논리의 핵심 특징은 그가 지식의 특정 대상에 대한 일반성을 다루는 방법에 있습니다. 

Nyāya Hindu 학교는 일반 원칙의 존재에 대해 주장했고, 반박하면서 
Dignāga는 일반성은 단순한 정신적 특징이며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를 위해 그는 Apoha 의 아이디어를 소개했습니다., 

마음이 인식하는 방식은 인식에서 알려진 대상을 비교하고 부정하는 것입니다. 그런 식으로, 일반적인 개념이나 사물의 범주는 보편적 인 진리와의 동일성이 아니라 알려진 사물과의 차이점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인식된 병거는 우주적인 형태의 병거와 일치하기 때문이 아니라 
병거가 아닌 것들과 다른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병거라는 것을 압니다. 
이 접근법은 불교 인식론의 필수적인 특징이되었습니다. [61]





Madhyamaka [ 편집 ]


Dignāga의 동시대이지만 
Dharmakīrti, Bhāvaviveka 이전의 Bhāvaviveka 는 
Nāgārjuna에 대해 논평 할 때 논리적 접근 방식을 통합했습니다 . 

그는 또한 외모가 나타나는 방식을 논의하고 
현실 주의자들과 토론 할 때 Sautrāntika 접근 방식으로 시작했지만, 
현상의 궁극적 인 본질에 대한 중간 방식의 관점 을 취했습니다 . 


그러나 그는 궁극적 인 본질에 대한 논리적 주장과 주장을 사용했습니다. [59]


그의 논리를 중도 체계에 통합시킨 것은 
나중에 Candrakīrti에 의해 비판을 받았는데
그는 그것이 생각과 개념을 넘어서는 것이기 때문에 
궁극적인 방식의 확립이 논리의 영역이 아니라고 느꼈습니다. 


그는 다른 신조 체계의 견해를 반박하기 위해 
단순한 논리적 결과 주장을 사용 했지만, 
일반적으로 중도를 설명 할 때 논리와 인식론을보다 발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 


자율적인 논리 인수 Bhāvaviveka의 사용은 나중에 설명했다 

Svātantrika의 접근 방식. [59]




티베트에서 [ 편집 ]
현대 불교 학교는 '세 구체'를 사용합니다 (산스크리트어 : 트리 마 탈라; 티베트어 : '코르 gsum) :
제목
개체 및
동작. [62]



Madhyamaka가 처음 티베트로 이주했을 때 
Śāntarakṣita 는 Bhāvaviveka와 더 일치하는 Madhyamaka에 대한 견해를 확립하면서 
궁극적인 진리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숙고하고 발전시키는 방법으로 논리적 주장을 더욱 발전 시켰습니다. [59]


14 세기에 Je Tsongkhapa 는 
Madhyamaka에 대한 새로운 논평과 접근 방식을 발표했으며, 
이는 티베트에서 규범 적 형식이되었습니다. 


이 변형에서 Candrakīrti의 Madhyamaka 접근 방식은 Bhāvaviveka 대신에 높아졌지만 
Tsongkhapa는 Candrakirti의 논리 경멸을 거부하고 대신 논리를 더 통합했습니다. [59]



티베트 불교 수행과 연구에서 논리의 정확한 역할은 여전히 ​​논쟁의 주제 일 수 있지만 [60] 
전통에서 확실히 확립되어 있습니다. 

Ju Mipham 은 Śāntarakṣita의 Madhyamakālaṅkāra 에 대한 19 세기 주석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부처님의 교리는 두 진리에 대한 해설 이후부터 사물의 존재 방식을있는 그대로 잘못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부처님의 추종자들은 추리를 사용하여 그에 따라 이것을 확립해야합니다. 

이것이 Śakyamuni의 잘못된 전통입니다. 
반면에, 일반적으로 분석적 조사와 프라 마나의 내적 과학, 특히 논리가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끔찍하고 사악한 주문이며, 
그 목적은 타당한 추론을 통해 완전한 동화를 방지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말씀 [63]
참조 [ 편집 ]
힌두 철학
힌두교의 Śāstra pramāṇam
Nyaya
불교 논리
인식론
형이상학




메모 [ 편집 ]
^ Vedvyasa와 같은 몇몇 인도 학자들은 10 개에 대해 논의하고 Krtakoti는 8 개에 대해 논의하지만 6 개가 가장 널리 받아 들여집니다. 일부 시스템은 3 개의 pramanas를 허용합니다. Andrew J. Nicholson (2013), Unifying Hinduism : Philosophy and Identity in Indian Intellectual History ,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149877 , 페이지 149-150; 이 주제에 대한 브리태니커 백과 사전 항목 도 참조하십시오.


참고 문헌 [ 편집 ]
^ 다음으로 이동 :a b pramANaSanskrit-English Dictionary, Koeln University, 독일
^ 다음으로 이동 :a b James Lochtefeld, "Pramana"in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2 : NZ, Rosen Publishing. ISBN0-8239-2287-1, 페이지 520-521
^ 다음으로 이동 :a b 칼 포터 (2002), 인도 철학 전제, Motilal Banarsidass,ISBN81-208-0779-0, 25-26 페이지
^ 다음으로 이동 :a b c d e f g DPS Bhawuk (2011), 영성과 인도 심리학 (편집자 : Anthony Marsella), Springer,ISBN978-1-4419-8109-7, 페이지 172
^ 다음으로 이동 :a b c d e Gavin Flood, 힌두교 소개, Cambridge University Press,ISBN978-0521438780, 225 페이지
^ "Pramana" . 브리태니커 백과 사전 . 2020 년 6 월 16 일에 확인 함 .
P Bilimoria (1993), Pramāṇa 인식론 : 아시아 철학에서 일부 최근 개발-Volume 7 (Editor : G Floistad), Springer, ISBN 978-94-010-5107-1 , 137-154 페이지
^ 다음으로 이동 :a b c d MM Kamal (1998), Carvaka 철학의 인식론, Journal of Indian and Buddha Studies, 46 (2) : 13-16
^ 다음으로 이동 :a b c d D Sharma (1966), 인도 논리의 인식 론적 부정 변증법 — Abhāva 대 Anupalabdhi, Indo-Iranian Journal, 9 (4) : 291-300
^ 다음으로 이동 :a b c d e f g h i John A. Grimes,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ISBN978-0791430675, 페이지 238
^ 다음으로 이동 :a b c d e fEliott Deutsche (2000), in Philosophy of Religion : Indian Philosophy Vol 4 (Editor : Roy Perrett), Routledge, ISBN 978-0815336112 , pages 245-248 ;
John A. Grimes,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30675 , 페이지 238

^ 다음으로 이동 :a b c Daniel Perdue, 티베트 불교 토론,ISBN978-0937938768, 페이지 19-20
^ प्रमा Monier-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Koeln University, 독일
John A. Grimes (1996),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30675 , 페이지 237-238
^ pramAtR Sanskrit-English Dictionary, Koeln University, 독일
^ prameya Sanskrit-English Dictionary, Koeln University, 독일
Tom JF Tillemans (2011), 불교 인식론 (pramāṇavāda), The Oxford Handbook of World Philosophy (편집자 : William Edelglass 및 Jay L. Garfield), doi : 10.1093 / oxfordhb / 9780195328998.003.0022
^ yukti Monier-Williams의 산스크리트어-영어 사전, 쾰른 디지털 산스크리트어 사전, 독일
R Narasimha (2012), 아시아, 유럽 및 현대 과학의 출현 : 지식 교차 경계, Palgrave Macmillan, ISBN 978-1137031723 , 페이지 95-97
R Narasimha (2012), 아시아, 유럽 및 현대 과학의 출현 : 지식 교차 경계, Palgrave Macmillan, ISBN 978-1137031723 , 페이지 95-105
CA Scherrer-Schaub (1981), Le term yukti : primiere etude , Etudes Asiatiques, 35 : 185-199
EI Warrier (2012), Advaita Vedānta (800에서 1200까지) (편집자 : Karl Potter),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30615 , 페이지 512-530, 684
Gerald Larson and Ram Bhattacharya,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Editor : Karl Potter), Volume 4, Princeton University Press,ISBN 978-0691073019 , pages 361-362
L Schmithausen (1965), Maṇḍana Miśra의 Vibhrama-viveka, Österreich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필 .- 히 스트. 클라세. Sitzungsberichte, Vol. 247; 영어 발췌 : Allen Thrasher (1993), The Advaita Vedānta of Brahma-siddhi, ISBN 978-8120809826 , pages 20-38
AB Keith (1925), The Religion and Philosophy of the Veda and Upanishads , Part II, p. 482
SC Vidyabhusana (1971 년). 인도 논리의 역사 : 고대, 중세, 현대 학교 , p.23
Andrew J. Nicholson (2013), 힌두교 통합 : 인도 지적 역사에있는 철학과 정체성 ,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149877 , 149-150 페이지
Karl Potter and Sibajiban Bhattacharya (1994), Epistemology, in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 6, Princeton University Press,ISBN 978-0691073842 , pages 53-68
Howard Coward et al, Epistemology, in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 5,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426-0 , pages 51-62
B Matilal (1992), Perception : An Essay in Indian Theories of Knowledg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239765
^ 다음으로 이동 :a b Karl Potter (1977), 의미와 진실, 인도 철학 백과 사전, 2 권,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년 Motilal Banarsidass가 재 인쇄,ISBN81-208-0309-4, 160-168 페이지
Karl Potter (1977), 의미와 진실, 인도 철학 백과 사전, 2 권,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년 Motilal Banarsidass가 재 인쇄, ISBN 81-208-0309-4 , 168-169 페이지
Karl Potter (1977), 의미와 진실, 인도 철학 백과 사전, 2 권,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년 Motilal Banarsidass에 의해 재 인쇄 됨, ISBN 81-208-0309-4 , 페이지 170-172
W Halbfass (1991), Tradition and Reflec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7914-0362-9 , 26-27 페이지
^ Carvaka 학교는 예외입니다
^ 다음으로 이동 :a b James Lochtefeld, "Anumana"in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1 : 오전, Rosen Publishing. ISBN0-8239-2287-1, 46-47 페이지
Karl Potter (2002), 인도 철학의 전제,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779-0
Monier Williams (1893), Indian Wisdom-Religious, Philosophical and Ethical Doctrines of the Hindus, Luzac & Co, London, 페이지 61
VN Jha (1986), "Purvamimamsa에있는 upamana-pramana", SILLE, 페이지 77-91
^ 다음으로 이동 :a b James Lochtefeld, "Upamana"in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2 : NZ, Rosen Publishing. ISBN0-8239-2287-1, 721 페이지
^ 다음으로 이동 :a b Monier Williams (1893), Indian Wisdom-Religious, Philosophical and Ethical Doctrines of the Hindus, Luzac & Co, London, pages 457-458
Arthapatt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2 년)
^ James Lochtefeld, "Arthapatti"in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1 : 오전, Rosen Publishing. ISBN 0-8239-2287-1 , 55 페이지
Stephen Phillips (1996), Classical Indian Metaphysics,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14899 , 41-63 페이지
DM Datta (1932), 아는 여섯 가지 방법 : Advaita 지식 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캘커타 대학, ISBN 978-8120835269 로 1992 년 재 인쇄 , 221-253 페이지
^ James Lochtefeld, "Abhava"in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1 : 오전, Rosen Publishing. ISBN 0-8239-2287-1 , 1 페이지
Karl Potter (1977), 의미와 진실, 인도 철학 백과 사전, 2 권,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년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309-4 , 페이지 155-174, 227-255
^ 다음으로 이동 :a b c Chris Bartley (2013),Padartha, Encyclopaedia of Asian Philosophy (편집자 : Oliver Leaman), Routledge,ISBN978-0415862530, 페이지 415-416
Mohan Lal (Editor), The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Vol. 5, Sahitya Akademy, ISBN 81-260-1221-8 , 페이지 3958
^ Anantanand Rambachan (), Accomplishing the Accomplished : The Vedas as a Source of Valid Knowledge in Sankara , University of Hawaii Press, p.29
^ 다음으로 이동 :a b c M. Hiriyanna (2000), The Essentials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ISBN978-8120813304, 43 페이지
P. Billimoria (1988), Śabdapramāṇa : Word and Knowledge, Studies of Classical India Volume 10, Springer, ISBN 978-94-010-7810-8 , 1-30 페이지
Ramkrishna Bhattacharya (2010), What the Cārvākas Originally Meant ?,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8 (6) : 529-542
^ 다음으로 이동 :a b Pramanaat Hindupedia, the Hindu Encyclopedia
Puligandla 1997 , p. 228.
^ Śāntarakṣita (저자); Mipham (해설자); Padmākara 번역 그룹 (번역가) (2005). 중도의 장식 : Jamgön Mipham의 해설이있는 Shantarakshita의 Madhyamakalankara.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 Shambhala Publications, Inc. ISBN 1-59030-241-9 (alk. paper) : p.390
Lati Rinbochay and Elizabeth Napper (1981), Mind in Tibetan Buddhism,ISBN 978-0937938027 , 페이지 115-119
Śāntarakṣita & Ju Mipham (2005) 1 쪽
^ 다음으로 이동 :a b c d e f g Śāntarakṣita & Ju Mipham (2005) pp. 32–39
^ 다음으로 이동 :a b Śāntarakṣita & Ju Mipham (2005) 37 쪽
Śāntarakṣita & Ju Mipham (2005) pp. 35–37
Thub-bstan-chos-kyi-grags-pa, Chokyi Dragpa, Heidi I. Koppl, Chokyi Nyima Rinpoche (2004). 지혜와 연민의 결합 : 보살의 37 가지 실천을 조명합니다 . 지혜 출판물. ISBN 0-86171-377-X . 출처 : [1] (접속 : 2009 년 2 월 4 일) p.202
Śāntarakṣita & Ju Mipham (2005) 38–39 쪽

출처 [ 편집 ]
Puligandla, Ramakrishna (1997), 인도 철학의 기초 , 뉴 델리 : DK Printworld (P) Ltd.

참고 문헌 [ 편집 ]
Śāntarakṣita (저자); Mipham (해설자); Padmākara 번역 그룹 (번역가) (2005). 중도의 장식 : Jamgön Mipham의 해설이있는 Shantarakshita의 Madhyamakalankara.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 Shambhala Publications, Inc. ISBN 1-59030-241-9 (alk. paper)
외부 링크 [ 편집 ]
Pramāṇamīmāṃsā : Devanagari , A SARIT Initiative, German Research Foundation
Pramāṇavārttika Pariśiṣṭa 1 : Devanagari , A SARIT Initiative, German Research Foundation
Pramāṇavārttika : Devanagari , SARIT 이니셔티브, 독일 연구 재단
Pramāṇavārttikasvavṛttiṭīkā : Devanagari , A SARIT Initiative, German Research Foundation
Pramāṇavārttikālaṅkāra : Devanagari , A SARIT Initiative, German Research Foundation
Pramāṇāntarbhāva : Devanagari , A SARIT Initiative, German Research Foundation
Vidhabhusana, Satis Chandra (1907). 인디언 로직 중세 학교의 역사. 캘커타 대학.


카테고리 :지식의 원천
인식론
힌두교 철학적 개념
불교 철학
논리의 역사
인식론 문학









=== 원문


Praman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directed from Pramāṇ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This article is about proof and epistemology in Indian philosophies. For the Journal of Physics, see Pramana (journal).
Pramana (Sanskrit: प्रमाण, Pramāṇa) literally means "proof" and "means of knowledge".[1][2] In Indian philosophies, pramana are the means which can lead to knowledge, and serve as one of the core concepts in Indian epistemology. It has been one of the key, much debated fields of study in Buddhism, Hinduism and Jainism since ancient times. It is a theory of knowledge, and encompasses one or more reliable and valid means by which human beings gain accurate, true knowledge.[2] The focus of pramana is how correct knowledge can be acquired, how one knows, how one doesn't, and to what extent knowledge pertinent about someone or something can be acquired.[3][4]
While the number of pramanas varies widely from system to system, many ancient and medieval Indian texts identify six[a] pramanas as correct means of accurate knowledge and to truths: Three central pramanas which are almost universally accepted, which are perception (Sanskrit pratyakṣa), inference (anumāna), and "word", meaning the testimony of past or present reliable experts (Śabda); and more contentious ones, which are comparison and analogy (upamāna), postulation, derivation from circumstances (arthāpatti), and non-perception, negative/cognitive proof (anupalabdhi).[4][5][6] Each of these are further categorized in terms of conditionality, completeness, confidence and possibility of error, by each school of Indian philosophies.
The various schools of Indian philosophies vary on how many of these six are epistemically reliable and valid means to knowledge.[7] For example, Carvaka school of Hinduism holds that only one (perception) is a reliable source of knowledge,[8] Buddhism holds two (perception, inference) are valid means,[9][10] Jainism holds three (perception, inference and testimony),[10] while Mimamsa and Advaita Vedanta schools of Hinduism hold all six are useful and can be reliable means to knowledge.[11] The various schools of Indian philosophy have debated whether one of the six forms of pramana can be derived from other, and the relative uniqueness of each. For example, Buddhism considers Buddha and other "valid persons", "valid scriptures" and "valid minds" as indisputable, but that such testimony is a form of perception and inference pramanas.[12]
The science and study of pramanas is called Nyaya.[3]
Contents

1Etymology
2Hinduism2.1Six pramanas2.1.1Pratyakṣa
2.1.2Anumāna
2.1.3Upamāna
2.1.4Arthāpatti
2.1.5Anupalabdi
2.1.6Śabda

2.2Acceptance per school2.2.1Carvaka school
2.2.2Vaisheshika school
2.2.3Sankhya, Yoga, Vishishtadvaita Vedanta, and Dvaita Vedanta schools
2.2.4Nyaya school
2.2.5Prabhakara Mimamsa school
2.2.6Advaita Vedanta and Bhatta Mimamsa schools


3Buddhism3.1Sautrantrika3.1.1Apoha

3.2Madhyamaka
3.3In Tibet

4See also
5Notes
6References
7Sources
8Bibliography
9External links

Etymology[■Edit]
Pramāṇa literally means "proof" and is also a concept and field of Indian philosophy. The concept is derived from the Sanskrit roots, pra (प्र), a preposition meaning "outward" or "forth", and mā (मा) which means "measurement". Pramā means "correct notion, true knowledge, basis, foundation, understand", with pramāṇa being a further nominalization of the word.[13][14] Thus, the concept Pramāṇa implies that which is a "means of acquiring prama or certain, correct, true knowledge".[1]
Pramāṇa forms one part of a trio of concepts, which describe the ancient Indian view on how knowledge is gained. The other two concepts are knower and knowable, each discussed in how they influence the knowledge, by their own characteristic and the process of knowing. The two are called Pramātŗ (प्रमातृ, the subject, the knower) and Prameya (प्रमेय, the object, the knowable).[15][16]
The term Pramana is commonly found in various schools of Hinduism. In Buddhist literature, Pramana is referred to as Pramāṇavāda.[17] Pramana is also related to the Indian concept of Yukti (युक्ति) which means active application of epistemology or what one already knows, innovation, clever expedients or connections, methodological or reasoning trick, joining together, application of contrivance, means, method, novelty or device to more efficiently achieve a purpose.[18][19] Yukti and Pramana are discussed together in some Indian texts, with Yukti described as active process of gaining knowledge in contrast to passive process of gaining knowledge through observation/perception.[20][21] The texts on Pramana, particularly by Samkhya, Yoga, Mimamsa and Advaita Vedanta schools of Hinduism, include in their meaning and scope "Theories of Errors", that is why human beings make error and reach incorrect knowledge, how can one know if one is wrong, and if so, how can one discover whether one's epistemic method was flawed, or one's conclusion (truth) was flawed, in order to revise oneself and reach correct knowledge.[22][23][24]




Hinduism[■Edit]
Six pramanas[■Edit]
Hinduism identifies six pramanas as correct means of accurate knowledge and to truths: 


Pratyakṣa (perception), Anumāṇa (inference), Upamāṇa (comparison and analogy), Arthāpatti (postulation, derivation from circumstances), Anupalabdhi (non-perception, negative/cognitive proof) and Śabda (word, testimony of past or present reliable experts).[4][5][11]
In verse 1.2.1 of the Taittirīya Āraṇyaka (c. 9th–6th centuries BCE), "four means of attaining correct knowledge" are listed: smṛti ("scripture, tradition"), pratyakṣa ("perception"), aitihya ("expert testimony, historical tradition"), and anumāna ("inference").[25][26]
In some texts such as by Vedvyasa, ten pramanas are discussed, Krtakoti discusses eight epistemically reliable means to correct knowledge.[27] The most widely discussed pramanas are:[11][28][29]




Pratyakṣa[■Edit]
Pratyakṣa (प्रत्यक्ष) means perception. It is of two types in Hindu texts: external and internal. External perception is described as that arising from the interaction of five senses and worldly objects, while internal perception is described by this school as that of inner sense, the mind.[8][30] The ancient and medieval Indian texts identify four requirements for correct perception:[31] Indriyarthasannikarsa (direct experience by one's sensory organ(s) with the object, whatever is being studied), Avyapadesya (non-verbal; correct perception is not through hearsay, according to ancient Indian scholars, where one's sensory organ relies on accepting or rejecting someone else's perception), Avyabhicara (does not wander; correct perception does not change, nor is it the result of deception because one's sensory organ or means of observation is drifting, defective, suspect) and Vyavasayatmaka (definite; correct perception excludes judgments of doubt, either because of one's failure to observe all the details, or because one is mixing inference with observation and observing what one wants to observe, or not observing what one does not want to observe).[31] Some ancient scholars proposed "unusual perception" as pramana and called it internal perception, a proposal contested by other Indian scholars. The internal perception concepts included pratibha (intuition), samanyalaksanapratyaksa (a form of induction from perceived specifics to a universal), and jnanalaksanapratyaksa (a form of perception of prior processes and previous states of a 'topic of study' by observing its current state).[32] Further, some schools of Hinduism considered and refined rules of accepting uncertain knowledge from Pratyakṣa-pranama, so as to contrast nirnaya (definite judgment, conclusion) from anadhyavasaya (indefinite judgment).[33]




Anumāna[■Edit]
Anumāna (अनुमान) means inference. It is described as reaching a new conclusion and truth from one or more observations and previous truths by applying reason.[34] Observing smoke and inferring fire is an example of Anumana.[8] In all except one Hindu philosophies,[35] this is a valid and useful means to knowledge. The method of inference is explained by Indian texts as consisting of three parts: pratijna (hypothesis), hetu (a reason), and drshtanta (examples).[36] The hypothesis must further be broken down into two parts, state the ancient Indian scholars: sadhya (that idea which needs to proven or disproven) and paksha (the object on which the sadhya is predicated). The inference is conditionally true if sapaksha (positive examples as evidence) are present, and if vipaksha (negative examples as counter-evidence) are absent. For rigor, the Indian philosophies also state further epistemic steps. For example, they demand Vyapti - the requirement that the hetu (reason) must necessarily and separately account for the inference in "all" cases, in both sapaksha and vipaksha.[36][37] A conditionally proven hypothesis is called a nigamana (conclusion).[38]




Upamāna[■Edit]
Upamāna (उपमान) means comparison and analogy.[4][5] Some Hindu schools consider it as a proper means of knowledge.[39] Upamana, states Lochtefeld,[40] may be explained with the example of a traveller who has never visited lands or islands with endemic population of wildlife. He or she is told, by someone who has been there, that in those lands you see an animal that sort of looks like a cow, grazes like cow but is different from a cow in such and such way. Such use of analogy and comparison is, state the Indian epistemologists, a valid means of conditional knowledge, as it helps the traveller identify the new animal later.[40] The subject of comparison is formally called upameyam, the object of comparison is called upamanam, while the attribute(s) are identified as samanya.[41] Thus, explains Monier Williams, if a boy says "her face is like the moon in charmingness", "her face" is upameyam, the moon is upamanam, and charmingness is samanya. The 7th century text Bhaṭṭikāvya in verses 10.28 through 10.63 discusses many types of comparisons and analogies, identifying when this epistemic method is more useful and reliable, and when it is not.[41] In various ancient and medieval texts of Hinduism, 32 types of Upanama and their value in epistemology are debated.




Arthāpatti[■Edit]
Arthāpatti (अर्थापत्ति) means postulation, derivation from circumstances.[4][5] In contemporary logic, this pramana is similar to circumstantial implication.[42] As example, if a person left in a boat on river earlier, and the time is now past the expected time of arrival, then the circumstances support the truth postulate that the person has arrived. Many Indian scholars considered this pramana as invalid or at best weak, because the boat may have gotten delayed or diverted.[43] However, in cases such as deriving the time of a future sunrise or sunset, this method was asserted by the proponents to be reliable. Another common example for arthapatti in ancient Hindu texts is, that if "Devadatta is fat" and "Devadatta does not eat in day", then the following must be true: "Devadatta eats in the night". This form of postulation and deriving from circumstances is, claim the Indian scholars, a means to discovery, proper insight and knowledge.[44] The Hindu schools that accept this means of knowledge state that this method is a valid means to conditional knowledge and truths about a subject and object in original premises or different premises. The schools that do not accept this method, state that postulation, extrapolation and circumstantial implication is either derivable from other pramanas or flawed means to correct knowledge, instead one must rely on direct perception or proper inference.[45]




Anupalabdi[■Edit]
Anupalabdi (अनुपलब्धि) means non-perception, negative/cognitive proof.[11] Anupalabdhi pramana suggests that knowing a negative, such as "there is no jug in this room" is a form of valid knowledge. If something can be observed or inferred or proven as non-existent or impossible, then one knows more than what one did without such means.[46] In the two schools of Hinduism that consider Anupalabdhi as epistemically valuable, a valid conclusion is either sadrupa (positive) or asadrupa (negative) relation - both correct and valuable. Like other pramana, Indian scholars refined Anupalabdi to four types: non-perception of the cause, non-perception of the effect, non-perception of object, and non-perception of contradiction. Only two schools of Hinduism accepted and developed the concept "non-perception" as a pramana. The schools that endorsed Anupalabdi affirmed that it as valid and useful when the other five pramanas fail in one's pursuit of knowledge and truth.[9]
Abhava (अभाव) means non-existence. Some scholars consider Anupalabdi to be same as Abhava,[4] while others consider Anupalabdi and Abhava as different.[9][47] Abhava-pramana has been discussed in ancient Hindu texts in the context of Padārtha (पदार्थ, referent of a term). A Padartha is defined as that which is simultaneously Astitva (existent), Jneyatva (knowable) and Abhidheyatva (nameable).[48] Specific examples of padartha, states Bartley, include dravya (substance), guna (quality), karma (activity/motion), samanya/jati (universal/class property), samavaya (inherence) and vishesha (individuality). Abhava is then explained as "referents of negative expression" in contrast to "referents of positive expression" in Padartha.[48] An absence, state the ancient scholars, is also "existent, knowable and nameable", giving the example of negative numbers, silence as a form of testimony, asatkaryavada theory of causation, and analysis of deficit as real and valuable. Abhava was further refined in four types, by the schools of Hinduism that accepted it as a useful method of epistemology: dhvamsa (termination of what existed), atyanta-abhava (impossibility, absolute non-existence, contradiction), anyonya-abhava (mutual negation, reciprocal absence) and pragavasa (prior, antecedent non-existence).[48][49]



Śabda[■Edit]
See also: Śāstra pramāṇam in Hinduism and Sources of dharma
Śabda (शब्द) means relying on word, testimony of past or present reliable experts,[4][11] specifically the shruti, Vedas.[50] Hiriyanna explains Sabda-pramana as a concept which means reliable expert testimony. The schools of Hinduism which consider it epistemically valid suggest that a human being needs to know numerous facts, and with the limited time and energy available, he can learn only a fraction of those facts and truths directly.[51] He must rely on others, his parent, family, friends, teachers, ancestors and kindred members of society to rapidly acquire and share knowledge and thereby enrich each other's lives. This means of gaining proper knowledge is either spoken or written, but through Sabda (words).[51] The reliability of the source is important, and legitimate knowledge can only come from the Sabda of reliable sources.[11][51]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schools of Hinduism has been on how to establish reliability. Some schools, such as Carvaka, state that this is never possible, and therefore Sabda is not a proper pramana. Other schools debate means to establish reliability.[52]




Acceptance per school[■Edit]
Different schools of Hindu philosophy accept one or more of these pramanas as valid epistemology.[5]



Carvaka school[■Edit]
Carvaka school accepted only one valid source of knowledge - perception.[10] It held all remaining methods as outright invalid or prone to error and therefore invalid.[8][53]



Vaisheshika school[■Edit]
Epistemologically, the Vaiśeṣika school considered the following as the only proper means of knowledge:[10]
Perception (Pratyakṣa)
Inference (Anumāna)



Sankhya, Yoga, Vishishtadvaita Vedanta, and Dvaita Vedanta schools[■Edit]
According to the Sankhya, Yoga, and two sub-schools of Vedanta, the proper means of knowledge must rely on these three pramanas:[10][54]
Pratyakṣa — perception
Anumāna — inference
Śabda — testimony/word of reliable experts



Nyaya school[■Edit]
The Nyāya school accepts four[10] means of obtaining knowledge (pramāṇa), viz., Perception, Inference, Comparison and Word.[54]
Perception, called Pratyakṣa, occupies the foremost position in the Nyaya epistemology. Perception is defined by sense-object contact and is unerring. Perception can be of two types - ordinary or extraordinary. Ordinary (Laukika or Sādhārana) perception is of six types, viz., visual-by eyes, olfactory-by nose, auditory-by ears, tactile-by skin, gustatory-by tongue and mental-by mind. Extraordinary (Alaukika or Asādhārana) perception is of three types, viz., Sāmānyalakṣana (perceiving generality from a particular object), Jñānalakṣana (when one sense organ can also perceive qualities not attributable to it, as when seeing a chilli, one knows that it would be bitter or hot), and Yogaja (when certain human beings, from the power of Yoga, can perceiv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have supernatural abilities, either complete or some). Also, there are two modes or steps in perception, viz., Nirvikalpa, when one just perceives an object without being able to know its features, and Savikalpa, when one is able to clearly know an object. All laukika and alaukika pratyakshas are savikalpa. There is yet another stage called Pratyabhijñā, when one is able to re-recognise something on the basis of memory.[citation needed]
Inference, called Anumān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s of Nyaya. It can be of two types – inference for oneself (Svārthānumāna, where one does not need any formal procedure, and at the most the last three of their 5 steps), and inference for others (Parāthānumāna, which requires a systematic methodology of 5 steps). Inference can also be classified into 3 types: Pūrvavat (inferring an unperceived effect from a perceived cause), Śeṣavat (inferring an unperceived cause from a perceived effect) and Sāmānyatodṛṣṭa (when inference is not based on causation but on uniformity of co-existence). A detailed analysis of error is also given, explaining when anumāna could be false.[citation needed]
Comparison, called Upamāna. It is produced by the knowledge of resemblance or similarity, given some pre-description of the new object beforehand.[citation needed]
Word, or Śabda are also accepted as a pramāṇa. It can be of two types, Vaidika (Vedic), which are the words of the four sacred Vedas, or can be more broadly interpreted as knowledge from sources acknowledged as authoritative, and Laukika, or words and writings of trustworthy human beings.[citation needed]



Prabhakara Mimamsa school[■Edit]
In Mimamsa school of Hinduism linked to Prabhakara considered the following pramanas as proper:[10]
Pratyakṣa (perception)
Anumāṇa (inference)
Śabda (word, testimony)
Upamāṇa (comparison, analogy)
Arthapatti (postulation, presumption)



Advaita Vedanta and Bhatta Mimamsa schools[■Edit]
In Advaita Vedānta, and Mimamsa school linked to Kumārila Bhaṭṭa, the following pramanas are accepted:[10][55]
Pratyakṣa (perception)
Anumāṇa (inference)
Śabda (word, testimony)
Upamāṇa (comparison, analogy)
Arthāpatti (postulation, presumption)
Anupalabdi, Abhava (non-perception, cognitive proof using non-existence)




Buddhism[■Edit]
Main article: Buddhist logic
Padmākara Translation Group (2005: p. 390) annotates that:
Strictly speaking, pramana (tshad ma) means "valid cognition." In (Buddhism) practice, it refers to the tradition, principally associated with Dignāga and Dharmakīrti, of logic (rtags rigs) and epistemology (blo rigs).[56]
Buddhism accepts only two pramana (tshad ma) as valid means to knowledge: Pratyaksha (mngon sum tshad ma, perception) and Anumāṇa (rjes dpag tshad ma, inference).[12] Rinbochay adds that Buddhism also considers scriptures as third valid pramana, such as from Buddha and other "valid minds" and "valid persons". This third source of valid knowledge is a form of perception and inference in Buddhist thought. Valid scriptures, valid minds and valid persons are considered in Buddhism as Avisamvadin (mi slu ba, incontrovertible, indisputable).[12][57] Means of cognition and knowledge, other than perception and inference, are considered invalid in Buddhism.[9][10]
In Buddhism, the two most important scholars of pramāṇa are Dignāga and Dharmakīrti.[58]



Sautrantrika[■Edit]
Dignāga and Dharmakīrti are usually categorized as expounding the view of the Sautrāntika tenets, though one can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Sautrāntikas Following Scripture (Tibetan: ལུང་གི་རྗེས་འབྲང་གི་མདོ་སྡེ་པ Wylie: lung gi rjes 'brang gi mdo sde pa) and the Sautrāntikas Following Reason (Tibetan: རིགས་པ་རྗེས་འབྲང་གི་མདོ་སྡེ་པ Wylie: rigs pa rjes 'brang gi mdo sde pa) and both these masters are described as establishing the latter.[59] Dignāga's main text on this topic is the Pramāṇa-samuccaya.
These two rejected the complex Abhidharma-based description of how in the Vaibhāṣika school and the Sautrāntika Following Scripture approach connected an external world with mental objects, and instead posited that the mental domain never connects directly with the external world but instead only perceives an aspect based upon the sense organs and the sense consciousnesses. Further, the sense consciousnesses assume the form of the aspect (Sanskrit: Sākāravāda) of the external object and what is perceived is actually the sense consciousness which has taken on the form of the external object. By starting with aspects, a logical argument about the external world as discussed by the Hindu schools was possible. Otherwise their views would be so different as to be impossible to begin a debate. Then a logical discussion could follow.[59]
This approach attempts to solve how the material world connects with the mental world, but not completely explaining it. When pushed on this point, Dharmakīrti then drops a presupposition of the Sautrāntrika position and shifts to a kind of Yogācāra position that extramental objects never really occur but arise from the habitual tendencies of mind. So he begins a debate with Hindu schools positing external objects then later to migrate the discussion to how that is logically untenable.[59]
Note there are two differing interpretations of Dharmakīrti's approach later in Tibet, due to differing translations and interpretations. One is held by the Gelug school leaning to a moderate realism with some accommodation of universals and the other held by the other schools who held that Dharmakīrti was distinctly antirealist.[60]



Apoha[■Edit]
A key feature of Dignāga's logic is in how he treats generalities versus specific objects of knowledge. The Nyāya Hindu school made assertions about the existence of general principles, and in refutation Dignāga asserted that generalities were mere mental features and not truly existent. To do this he introduced the idea of Apoha, that the way the mind recognizes is by comparing and negating known objects from the perception. In that way, the general idea or categories of objects has to do with differences from known objects, not from identification with universal truths. So one knows that a perceived chariot is a chariot not because it is in accord with a universal form of a chariot, but because it is perceived as different from things that are not chariots. This approach became an essential feature of Buddhist epistemology.[61]



Madhyamaka[■Edit]
The contemporary of Dignāga but before Dharmakīrti, Bhāvaviveka, incorporated a logical approach when commenting upon Nāgārjuna. He also started with a Sautrāntika approach when discussing the way appearances appear, to debate with realists, but then took a Middle Way view of the ultimate nature of phenomenon. But he used logical assertions and arguments about the nature of that ultimate nature.[59]
His incorporation of logic into the Middle Way system was later critiqued by Candrakīrti, who felt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ultimate way of abiding since it was beyond thought and concept was not the domain of logic. He used simple logical consequence arguments to refute the views of other tenet systems, but generally he thought a more developed use of logic and epistemology in describing the Middle Way was problematic. Bhāvaviveka's use of autonomous logical arguments was later described as the Svātantrika approach.[59]



In Tibet[■Edit]
Modern Buddhist schools employ the 'three spheres' (Sanskrit: trimaṇḍala; Tibetan: 'khor gsum):
subject
object, and
action.[62]
When Madhyamaka first migrated to Tibet, Śāntarakṣita established a view of Madhyamaka more consistent with Bhāvaviveka while further evolving logical assertions as a way of contemplating and developing one's viewpoint of the ultimate truth.[59]
In the 14th Century Je Tsongkhapa presented a new commentary and approach to Madhyamaka, which became the normative form in Tibet. In this variant, the Madhyamaka approach of Candrakīrti was elevated instead of Bhāvaviveka's yet Tsongkhapa rejected Candrakirti's disdain of logic and instead incorporated logic further.[59]
The exact role of logic in Tibetan Buddhist practice and study may still be a topic of debate,[60] but it is definitely established in the tradition. Ju Mipham remarked in his 19th century commentary on Śāntarakṣita's Madhyamakālaṅkāra:
The Buddha's doctrine, from the exposition of the two truths onward, unerroneously sets forth the mode of being of things as they are. And the followers of the Buddha must establish this accordingly, through the use of reasoning. Such is the unerring tradition of Śakyamuni. On the other hand, to claim that analytical investigation in general and the inner science of pramana, or logic, in particular are unnecessary is a terrible and evil spell, the aim of which is to prevent the perfect assimilation, through valid reasoning, of the Buddha's words[63]








See also[■Edit]
Hindu philosophy
Śāstra pramāṇam in Hinduism
Nyaya
Buddhist logic
Epistemology
Metaphysics





Notes[■Edit]
^ A few Indian scholars such as Vedvyasa discuss ten, Krtakoti discusses eight, but six is most widely accepted. Some systems admit as few as three pramanas. See Andrew J. Nicholson (2013), Unifying Hinduism: Philosophy and Identity in Indian Intellectual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149877, pages 149-150; see also the Encyclopedia Britannica entry on this topic.


References[■Edit]
^ Jump up to:a b pramANa Sanskrit-English Dictionary, Koeln University, Germany
^ Jump up to:a b James Lochtefeld, "Pramana" in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2: N-Z, Rosen Publishing. ISBN 0-8239-2287-1, pages 520-521
^ Jump up to:a b Karl Potter (2002), Presuppositions of India's Philosophies,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779-0, pages 25-26
^ Jump up to:a b c d e f g DPS Bhawuk (2011), Spirituality and Indian Psychology (Editor: Anthony Marsella), Springer, ISBN 978-1-4419-8109-7, page 172
^ Jump up to:a b c d e Gavin Flood,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38780, page 225
^ "Pramana".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16 June 2020.
^ P Bilimoria (1993), Pramāṇa epistemology: Some recent developments, in Asian philosophy - Volume 7 (Editor: G Floistad), Springer, ISBN 978-94-010-5107-1, pages 137-154
^ Jump up to:a b c d MM Kamal (1998), The Epistemology of the Carvaka Philosophy, 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46(2): 13-16
^ Jump up to:a b c d D Sharma (1966), Epistemological negative dialectics of Indian logic — Abhāva versus Anupalabdhi, Indo-Iranian Journal, 9(4): 291-300
^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ohn A. Grimes,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30675, page 238
^ Jump up to:a b c d e fEliott Deutsche (2000), in Philosophy of Religion : Indian Philosophy Vol 4 (Editor: Roy Perrett), Routledge, ISBN 978-0815336112, pages 245-248;
John A. Grimes,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30675, page 238

^ Jump up to:a b c Daniel Perdue, Debate in Tibetan Buddhism, ISBN 978-0937938768, pages 19-20
^ प्रमा Monier-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Koeln University, Germany
^ John A. Grimes (1996),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30675, page 237-238
^ pramAtR Sanskrit-English Dictionary, Koeln University, Germany
^ prameya Sanskrit-English Dictionary, Koeln University, Germany
^ Tom J. F. Tillemans (2011), Buddhist Epistemology (pramāṇavāda), The Oxford Handbook of World Philosophy (Editors: William Edelglass and Jay L. Garfield), doi:10.1093/oxfordhb/9780195328998.003.0022
^ yukti Monier-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Germany
^ R Narasimha (2012), Asia, Europe, and the Emergence of Modern Science: Knowledge Crossing Boundaries, Palgrave Macmillan, ISBN 978-1137031723, pages 95-97
^ R Narasimha (2012), Asia, Europe, and the Emergence of Modern Science: Knowledge Crossing Boundaries, Palgrave Macmillan, ISBN 978-1137031723, pages 95-105
^ CA Scherrer-Schaub (1981), Le term yukti: primiere etude, Etudes Asiatiques, 35: 185-199
^ EI Warrier (2012), Advaita Vedānta from 800 to 1200 (Editor: Karl Potter),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30615, pages 512-530, 684
^ Gerald Larson and Ram Bhattacharya,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Editor:Karl Potter), Volume 4,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73019, pages 361-362
^ L Schmithausen (1965), Maṇḍana Miśra's Vibhrama-viveka, Österreich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il.-hist. Klasse. Sitzungsberichte, Vol. 247; For excerpts in English: Allen Thrasher (1993), The Advaita Vedānta of Brahma-siddhi, ISBN 978-8120809826, pages 20-38
^ A. B. Keith (1925), The Religion and Philosophy of the Veda and Upanishads, Part II, p.482
^ S. C. Vidyabhusana (1971). A History of Indian Logic: Ancient, Mediaeval, and Modern Schools, p.23
^ Andrew J. Nicholson (2013), Unifying Hinduism: Philosophy and Identity in Indian Intellectual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149877, pages 149-150
^ Karl Potter and Sibajiban Bhattacharya (1994), Epistemology, in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 6,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73842, pages 53-68
^ Howard Coward et al, Epistemology, in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 5,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426-0, pages 51-62
^ B Matilal (1992), Perception: An Essay in Indian Theories of Knowledg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239765
^ Jump up to:a b Karl Potter (1977), Meaning and Truth, in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 2, Princeton University Press, Reprinted in 1995 by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309-4, pages 160-168
^ Karl Potter (1977), Meaning and Truth, in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 2, Princeton University Press, Reprinted in 1995 by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309-4, pages 168-169
^ Karl Potter (1977), Meaning and Truth, in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 2, Princeton University Press, Reprinted in 1995 by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309-4, pages 170-172
^ W Halbfass (1991), Tradition and Reflec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7914-0362-9, page 26-27
^ Carvaka school is the exception
^ Jump up to:a b James Lochtefeld, "Anumana" in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1: A-M, Rosen Publishing. ISBN 0-8239-2287-1, page 46-47
^ Karl Potter (2002), Presuppositions of India's Philosophies,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779-0
^ Monier Williams (1893), Indian Wisdom - Religious, Philosophical and Ethical Doctrines of the Hindus, Luzac & Co, London, page 61
^ VN Jha (1986), "The upamana-pramana in Purvamimamsa", SILLE, pages 77-91
^ Jump up to:a b James Lochtefeld, "Upamana" in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2: N-Z, Rosen Publishing. ISBN 0-8239-2287-1, page 721
^ Jump up to:a b Monier Williams (1893), Indian Wisdom - Religious, Philosophical and Ethical Doctrines of the Hindus, Luzac & Co, London, pages 457-458
^ Arthapatt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2)
^ James Lochtefeld, "Arthapatti" in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1: A-M, Rosen Publishing. ISBN 0-8239-2287-1, page 55
^ Stephen Phillips (1996), Classical Indian Metaphysics,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14899, pages 41-63
^ DM Datta (1932), The Six Ways of Knowing: A Critical study of the Advaita theory of knowledge, University of Calcutta, Reprinted in 1992 as ISBN 978-8120835269, pages 221-253
^ James Lochtefeld, "Abhava" in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1: A-M, Rosen Publishing. ISBN 0-8239-2287-1, page 1
^ Karl Potter (1977), Meaning and Truth, in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 2, Princeton University Press, Reprinted in 1995 by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309-4, pages 155-174, 227-255
^ Jump up to:a b c Chris Bartley (2013), Padartha, in Encyclopaedia of Asian Philosophy (Editor: Oliver Leaman), Routledge, ISBN 978-0415862530, pages 415-416
^ Mohan Lal (Editor), The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Vol. 5, Sahitya Akademy, ISBN 81-260-1221-8, page 3958
^ Anantanand Rambachan (), Accomplishing the Accomplished: The Vedas as a Source of Valid Knowledge in Sankara, University of Hawaii Press, p.29
^ Jump up to:a b c M. Hiriyanna (2000), The Essentials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13304, page 43
^ P. Billimoria (1988), Śabdapramāṇa: Word and Knowledge, Studies of Classical India Volume 10, Springer, ISBN 978-94-010-7810-8, pages 1-30
^ Ramkrishna Bhattacharya (2010), What the Cārvākas Originally Meant?,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8(6): 529-542
^ Jump up to:a b Pramana at Hindupedia, the Hindu Encyclopedia
^ Puligandla 1997, p. 228.
^ Śāntarakṣita (author); Mipham (commentator); Padmākara Translation Group (translators)(2005). The Adornment of the Middle Way: Shantarakshita's Madhyamakalankara with commentary by Jamgön Mipham. Boston, Massachusetts, USA: Shambhala Publications, Inc. ISBN 1-59030-241-9 (alk. paper): p.390
^ Lati Rinbochay and Elizabeth Napper (1981), Mind in Tibetan Buddhism, ISBN 978-0937938027, page 115-119
^ Śāntarakṣita & Ju Mipham (2005) p.1
^ Jump up to:a b c d e f g Śāntarakṣita & Ju Mipham (2005) pp. 32–39
^ Jump up to:a b Śāntarakṣita & Ju Mipham (2005) p.37
^ Śāntarakṣita & Ju Mipham (2005) pp. 35–37
^ Thub-bstan-chos-kyi-grags-pa, Chokyi Dragpa, Heidi I. Koppl, Chokyi Nyima Rinpoche (2004). Uniting Wisdom and Compassion: Illuminating the thirty-seven practices of a bodhisattva. Wisdom Publications. ISBN 0-86171-377-X. Source: [1] (accessed: February 4, 2009) p.202
^ Śāntarakṣita & Ju Mipham (2005) pp. 38–39

Sources[■Edit]
Puligandla, Ramakrishna (1997), Fundamentals of Indian Philosophy, New Delhi: D.K. Printworld (P) Ltd.

Bibliography[■Edit]
Śāntarakṣita (author); Mipham (commentator); Padmākara Translation Group (translators)(2005). The Adornment of the Middle Way: Shantarakshita's Madhyamakalankara with commentary by Jamgön Mipham. Boston, Massachusetts, USA: Shambhala Publications, Inc. ISBN 1-59030-241-9 (alk. paper)
External links[■Edit]
Pramāṇamīmāṃsā: Devanagari, A SARIT Initiative, German Research Foundation
Pramāṇavārttika Pariśiṣṭa 1: Devanagari, A SARIT Initiative, German Research Foundation
Pramāṇavārttika: Devanagari, A SARIT Initiative, German Research Foundation
Pramāṇavārttikasvavṛttiṭīkā: Devanagari, A SARIT Initiative, German Research Foundation
Pramāṇavārttikālaṅkāra: Devanagari, A SARIT Initiative, German Research Foundation
Pramāṇāntarbhāva: Devanagari, A SARIT Initiative, German Research Foundation
Vidhabhusana, Satis Chandra (1907). History of the Mediaeval School of Indian Logic. Calcutta University.


Categories: Sources of knowledge
Epistemology
Hindu philosophical concepts
Buddhist philosophy
History of logic
Epistemology literature



Languages
Español
Français
हिन्दी
日本語
Português
தமிழ்
中文
5 moreEdit links



This page was last edited on 16 June 2020, at 21:51 (UTC).







○ [pt op tr]

● 현량_cf [문서정보] 페이지 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

[##_1N|cfile10.uf@998112365FE04C58280FFB.jpg|width="820" height="621" filename="2018_0419_132128_nikon_ar45.jpg" filemime="image/jpeg"|_##]


[ 참조]
위키백과스크랩
출처


참조


한국위키 Eng위키 ■Eng위키백과 번역 참조
구글번역
다음카카오번역
파파고(네이버웨일번역)
기타사전사이트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현량_cf

https://buddhism007.tistory.com/17915#direct-perception-cf 
sfx--dict/현량_cf.txt ☞ 
sfd8--기타_2564_12.txt ☞◆direct-perception-cf
불기2564-12-2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12/direct-perception-cf.html#direct-perception-cf 
htmback--현량_cf_불기2564-12-21-tis.htm 
● [pt op tr] fr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