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4년 11월 22일 금요일

불기2568-11-22_석화엄교분기원통초-k1510-009


『석화엄교분기원통초』
K1510
Txxxx

석화엄교분기원통초 제9권/전체1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석화엄교분기원통초』 ♣1510-009♧




석화엄교분기원통초 제9권/전체1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03017_nik_ct18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32422_nik_BW25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12826_can_ar38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54831_can_bw24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5_165930_can_ar27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201_160837_nik_CT38_s12 원주 구룡사


○ 2019_1201_162928_can_ct37_s12 원주 구룡사


○ 2020_0905_162951_can_CT27 오대산 적멸보궁


○ 2020_0907_152046_nik_ab41 양산 통도사


○ 2020_0908_171321_can_CT33 합천 해인사 백련암


○ 2020_1114_161630_can_ar24 삼각산 도선사


○ 2019_1104_172051_can_bw0_s12 구례 지리산 연곡사


○ 2019_1104_174655_can_AB7 구례 지리산 연곡사


○ 2020_0228_173103_can_BW17서울_북한산_화계사


○ 2021_1003_174845_can_ab41_s12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 2022_0131_163135_nik_ct3_s12논산_천호산_개태사


○ 2021_1007_101124_can_ar3_s12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 2021_1006_113140_nik_BW21_s12해남_봉화산_대흥사


○ 2021_1003_150112_nik_BW21_s12_pc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 [pt op tr] fr
_M#]



○ 2021_1005_154709_can_CT33_pc장흥_천관산_천관사



❋❋본문 ◎[개별논의]

★%★
『석화엄교분기원통초』 ♣1510-009♧






◎◎[개별논의] ❋본문









★1★





◆veui2591

◈Lab value 불기2568/11/22


○ 2020_0606_181443_can_ct27.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Jack-Bush-three-and-blue-loop-1971
[#M_▶더보기|◀접기|
Artist: Jack-Bush
from https://en.wikipedia.org/wiki/Jack_Bush
Title : three-and-blue-loop-1971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flower-27-1489896
[#M_▶더보기|◀접기|
Márcia Rodrigues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sangbongsa_11-05199
[#M_▶더보기|◀접기|
https://ko.wikipedia.org/wiki/파일:Ssangbongsa_11-05199.JPG
Ssangbongsa
저자 steve46814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大乗寺(だいじょうじ) (石川県金沢市)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大乗寺総門 撮影者-Yusuke.ogawa 大乗寺(だいじょうじ、大乘寺)[...이하 줄임...]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Jeanne Cherhal - Petite Soup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11/2568-11-22-k1510-009.html#2591
sfed--석화엄교분기원통초_K1510_Txxxx.txt ☞석화엄교분기원통초 제9권/전체10권
sfd8--불교단상_2568_11.txt ☞◆veui2591
불기2568-11-22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정(正)은 그릇되지 않고 올바름을 의미하고, 등(等)은 치우치지 않음을 의미하며, 각(覺)은 일체 제법을 깨달아 아는 지혜를 가리키므로 정등각은 바로 우주의 일체 만상을 두루 아는 지혜를 의미함. ⇒<유사어>아뇩다라삼먁삼보리<참조어>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답 후보
● 정등각(正等覺)
정어(正語)
정업(淨業)

정진(精進)
정토종(淨土宗)
제도(濟度)
제사정려(第四靜慮)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Leoparleur - Un Dernier Vers
Michel Pelay - Clara Veut La Lune
Alain Souchon - Lile Du Dedain
Edith Piaf - My Lost Melody (Je N'en Connais Pas La Fin)
Christophe - Un Tour D'harley Avec Lucy
Gilles Vigneault - La Manikoutai
French Anthology Naive Beauties - Ma Loulou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15▲ 乡于已弋廴 ■ 향우이익인 15 ( 시골 향 )( 어조사 우 / 어조사 어 )( 이미 이 )( 주살 익 )( 길게 걸을 인 )
002▲ 一丶凵犭冂 ■ 일주감견경 2 ( 하나 일 )( 점 주 )( 입 벌릴 감 )( 개사슴록변 견 / 개견( -犬) 부수( 部首)의 이체자( 異體字). )( 멀 경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Antaravasaka
[san-chn] bhadra-kalpika 賢劫
[san-eng] praviśanti $ 범어 enter
[pali-chn] saddhānusarin 信行者
[pal-eng] acchaadesi $ 팔리어 aor. of acchaadeticlothed; covered with.
[Eng-Ch-Eng] Collection of Leaves Gathered in Tempestuous Brooks 溪嵐拾葉集
[Muller-jpn-Eng] 五十二類 ゴジュウニルイ fifty-two kinds of beings
[Glossary_of_Buddhism-Eng] TEN EVIL DEEDS☞
Syn: Ten Evil Acts; Ten Sins.
See also: Ten Precepts.
l. Killing; 2. stealing; 3. sexual misconduct; 4. lying; 5. slander;
6. coarse language; 7. frivolous chatter; 8. covetousness; 9. angry
speech; 10. wrong views (q.v.).

[fra-eng] prépondérant $ 불어 outweighing, overbalancing
[chn_eng_soothil] 第二禪 The second dhyāna, a degree of contemplation where reasoning gives way to intuition. The second three rūpa heavens.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於其城中, 次第乞已, 還至本處, 飯食訖, 收衣鉢, 洗足已, 敷座而坐.
그 성 안에서 차례로 다 빌고는 계시던 곳으로 돌아와 진지를 잡수시고 나
서 가사와 바리때를 거두시고 발을 씻고는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
[玄奘] 時薄伽梵, 於其城中, 行乞食已, 出還本處. 飯食訖, 收衣缽, 洗足已,
於食後時, 敷如常座, 結跏趺坐, 端身正願, 住對面念.
[義淨] 次第乞已, 還至本處. 飯食訖, 收衣缽, 洗足已, 於先設座, 跏趺端坐,
正念而住.
01-04
अथ खलु भगवान् श्रावस्तीं महानगरीं पिण्डाय चरित्वा कृतभक्तकृत्यः पश्चाद्भक्तपिण्डपातप्रतिक्रान्तः पात्रचीवरं प्रतिशाम्य पादौ प्रक्षाल्य न्यषीदत्प्रज्ञप्त एवासने पर्यङ्कमाभुज्य ऋजुं कायं प्रणिधाय प्रतिमुखीं स्मृतिमुपस्थाप |
atha khalu bhagavān śrāvastīṁ mahānagarīṁ piṇdāya caritvā
kṛtabhaktakṛtyaḥ paścādbhaktapiṇḍapātapratikrāntaḥ pātracīvaraṁ
pratiśāmya pādau prakṣalya nyaṣīdatprajñapta evāsane paryaṅkamābhujya
ṛjum kāyaṁ praṇidhāya pratimukhīṁ smṛtimupasthāpya |
그 때 참으로 복덕갖춘분께서 큰 도시인 싀라와스띠로 탁발을 위해 다니시고, 밥 드시는
일을 마치셨다. 그 후 밥 비는 일로부터 돌아오셔서 바루와 가사를 되돌려놓으시고 두
발을 씻으시고, 마련된 바로 그 자리에 가부좌를 틀고 몸을 꼿꼿하게 곧추 세우시고
(+인식대상을) 對面하는 마음챙김으로 다가서서 앉으셨다.
▼▷[atha] ① atha(ƺ.) → [그 때]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bhagavān] ① bhagavān(ƾ.nom.) → [복덕갖춘분께서]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 * + ­vat(possessive
affix) < bhaga(ƾ. the sun; the moon; good fortune, luck, happy lot)
▼[śrāvastīṁ] ① śrāvastīṁ(Ʒ.acc.) → [싀라와스띠로]
② śrāvastī(Ʒ. N. of a city north of the Ganges)
▼[mahānagarīṁ] ① mahā+nagarīṁ(nj.→Ʒ.acc.) → [큰 도시인]
② mahat(nj. great, big, large; ample, copious; long, extended) > mahā([in comp.])
② nagara(ƿ. a town, city) > nagarī(Ʒ.)
▼[piṇdāya] ① piṇḍāya(ƾ.dat.) → [공양물을 위해] → 공양물을 빌기 위해 → 탁발을 위해
② piṇḍa(ƾƿ. a round mass, ball; a lump; a round lump of food; A ball or lump of rice
offered to the Manes at obsequial ceremonies or Srāddhas)
▼[caritvā] ① caritvā(ger.) → [다니고]
② car(1.ǁ. to walk, move, go about; to perform, do, act; to act, behave towards)
▼[kṛtabhaktakṛtyaḥ] ① kṛta+bhakta+kṛtyaḥ(njp.→ƾ.nom.) → [밥으로 할 일을 마쳤다. →
밥 드시는 일을 마쳤다.] ← 시행된 밥(←배분된 것)으로 응당 해야 할 일을 (+지녔다).
② kṛta(p.p. done, performed, made, effected, accomplished; wounded, hurt; acquired)
② bhakta(ƾ. a worshipper; devotee: ƿ. food or a meal; nj. loved, liked; worshipped) <
bhaj(1.dž. to share, distribute, divide; to obtain for oneself, share in; to accept, receive)
 bhaj(1.dž. 분배하다) > bhakta(nj. 분배된) > 분배된 몫 → 분배된 몫의 음식 →

② kṛtya(nj. what should or ought to be done, right, proper: ƿ. duty, function; work, deed)
▼[paścādbhaktapiṇḍapātapratikrāntaḥ] ① paścāt(ƺ.) +
bhakta+piṇḍapāta+pratikrāntaḥ(njp.→ƾ.nom.) → [그 후에、 밥 비는 일(←밥이
공양물로 떨어짐)에서 돌아왔다.] → 그 후에 밥 비는 일로부터 돌아와서 |or|
탁발로부터 돌아와서
② paścāt(ƺ. from behind, from the back; behind, backwards; after, then, afterwards)
② bhakta(ƾ. a worshipper; devotee: ƿ. food or a meal; nj. loved, liked; worshipped)
② piṇḍapāta(ƾ. giving alms) < piṇḍa(ƾ. a round lump of food) + pāta(ƾ. flying, flight;
descending, descent; falling down, downfall) < pat(1.ǁ. to fall, fall down, come down; to
fly, move through the air; to set, sink)
② prati(ƺ. back, in return, again; upon, down upon: likeness, resemblance) → towards
② krānta(p.p. gone, passed over, traversed: ƾ. a foot, step: ƿ. going, passing)
② pratikṛ(8.dž. to requite, pay back, repay, return; to remedy, cure; to give back, restore)
▼[pātracīvaraṁ] ① pātra+cīvaram(ƿ.acc.) → [바루와 가사를]
② pātra(ƿ. a drinking­vessel, cup, jar; a vessel or pot in general; recipient; a reservoir)
② cīvara(ƿ. a garment; the dress of any mendicant [of a Buddhist mendicant])
▼[pratiśāmya] ① pratiśāmya(ger.) → [되돌려놓고]
② pratiśam(4.ǁ. to reestablish, restore, put to rights) < prati(ƺ. back) + śam(4.ǁ. to be
calm, quiet or tranquil; to cease, stop, come to an end; to be quelled)
▼[pādau] ① pādau(ƾ.acc.du.) → [두 발을]
② pāda(ƾ. the foot; a quarter, fourth part) < pad(10.Ʋ. to go or move: 4.Ʋ. to go to)
▼[prakṣalya] ① prakṣalya(ger.) → [씻고]
② prakṣal(10.dž. to wash, purify; to wipe away; to expiate) < pra(ƺ. higher, forward) +
kṣal(10.dž. to wash, wash off; to wipe away)
▼[nyaṣīdatprajñapta] ① nyaṣīdat(impf.Ⅲ.sg.) + prajñapte(nj.→ƿ.loc.) → [앉았다、
마련된]
② niṣad(1.ǁ. to sit down, lie, recline; to sink down, fail; to dwell; to suffer pain)
 nyaṣīdat < ni+a(augment)+ṣīd(←ṣad)+a(vikaraṇa)+~t(affix)
② prajñapta(p.p. ordered, prescribed; arranged [as a seat]) < prajñā(9.dž. to know)
▼[evāsane] ① eva(ƺ.) + āsane(ƿ.loc.) → [바로、 (그) 자리에]
② eva(ƺ. indeed, truly, really; just so, exactly so truly)
② āsana(ƿ. sitting, sitting down; … ; halting, stopping, encamping; abiding, dwelling) <
ās(2.Ʋ. to sit, sit down, rest, lie; to be present, to exist; to sit quietly, abide, remain)
▼[paryaṅkamābhujya] ① paryaṅkam(ƾ.acc.) + ābhujya(ger.) → [가부좌를、
틀고(←안으로 굽히고)]
② paryaṅka(ƾ. a bed; a particular kind of posture practised by ascetics in meditation) <
pari(ƺ. about; towards) + aṅka(ƾ. the lap) < aṅk(1.Ʋ. to move in a curve)
② ābhuj(6.ǁ. to bend in, bend down) < bhuj(6.ǁ. to bend; to curve: 7.dž. to eat, devour)
 ā : with verbs of motion, taking, carrying &c. it shows the reverse of the
action; as gam(to go) → āgam(to come), dā(to give) → ādā(to take), nī(to
carry) → ānī(to bring).
▼[ṛjum] ① ṛjum([nj.→]ƿ.acc.→adv.) → [꼿꼿하게]
② ṛju(nj. straight; upright, honest; simple­minded, plain)
▼[kāyaṁ] ① kāyaṁ(ƾ.acc.) → [몸을]
② kāya(ƾƿ. the body; the trunk of a tree; the body of a lute; a multitude)
▼[praṇidhāya] ① praṇidhāya(ger.) → [곧추 세우고]
② praṇidhā(2.dž. to place, put down; to set, put in; to apply, fix upon; to stretch out)
▼[pratimukhīṁ] ① pratimukhīṁ(nj.→Ʒ.acc.) → [(+인식대상을) 對面하는]
 prati(對)+mukha(面) → 곧바로 마주하고 있는 → (+인식대상을) 對面하고 있는…
② pratimukhī(Ʒ.) < pratimukha(nj.È 전방에 있는, 반대의, 대립하는, 면전에 있는) <
prati(ƺ. back, in return, again; upon, down upon) + mukha(ƿ. the mouth, face; the fore
part, front)
▼[smṛtimupasthāpya] ① smṛtim(Ʒ.acc.) + upasthāpya(ger.) → [마음챙김으로、
다가서서.]
② smṛti(Ʒ. remembrance, recollection; thinking of, calling to mind; a code of laws)
② upasthā(1.dž. to stand near, fall to one's share; to come near, approach; go to or reach)

▼[羅什] (缺譯)
[玄奘] 時, 諸苾芻來詣佛所. 到已, 頂禮世尊雙足, 右遶三匝, 退坐一面.
[義淨] 時, 諸苾芻來詣佛所, 頂禮雙足, 右繞三匝, 退坐一面.
01-05 अथ खलु संबहुला भिक्षवो येन भगवांस्तेनोपसंक्रामन्।
उपसंक्रम्य भगवतः पादौ शिरोभिरभिवन्द्य भगवन्तं त्रिष्प्रदक्षिणीकृत्य एकान्ते न्यषीदन्॥१॥

atha khalu sambahulā bhikṣavo yena bhagavāṁstenopasamkraman |
upasamkramya bhagavataḥ pādau śirobhirabhivandya bhagavantaṁ
triṣpradakṣiṇīkṛtyaikānte nyaṣīdan ||1||
그 때 참으로 아주 많은 비구들이 복덕갖춘분이 (계신) 그곳으로 나아갔다. (비구들은)
나아가 복덕갖춘분의 두 발에 머리로 예를 올리고 복덕갖춘분을 세 번 오른쪽으로 돌고
한쪽 편으로 다가와 앉았다.
▼▷[atha] ① atha(ƺ.) → [그 때]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sambahulā] ① sambahulāḥ(nj.→ƾ.nom.pl.) → [아주 많은]
② sambahula(nj. very much or many; very numerous, plentiful, abundant) < sam(ƺ. with,
together with) + bahula(nj. thick, dense; broad, wide; abundant, copious, plentiful)
▼[bhikṣavo] ① bhikṣavo(ƾ.nom.pl.) → [비구들이]
② bhikṣu(ƾ. a beggar, mendicant in general; a religious mendicant; a Buddhist mendicant)
▼[yena] ① yena(ƺ.) → [(어떤) 곳으로]
② yena(ƺ. in which direction; in which manner; wherefore, in order that)
▼[bhagavāṁstenopasamkrāman] ① bhagavān(ƾ.nom.) +|s|+ tena(ƺ.) +
upasamkraman(impf.Ⅲ.pl.) → [복덕갖춘분이 (+계신)、 그 곳으로、 나아갔다.]
 upasaṅkrāmat(pres.p.) → upasaṅkrāman(ƾ.nom.sg.)
 Ⓟ❮대반열반경❯: [ehi tvaṁ, brāhmaṇa! yena bhagavā tenupasaṅkama]
ehi(imp.Ⅱ.sg.) tvaṁ(pn.Ⅱ.nom.) brāhmaṇa(ƾ.voc.) yena(ƺ.) bhagavā(ƾ.nom.)
tena(ƺ.) upasaṅkama(imp.Ⅱ.sg.) → [가시오! 그대가, 브라만이여! (어떤)
그곳으로、 세존께서 (계신)、 바로 그곳으로、 다가가시오!]
 yena A tena upasaṁ√kram : (어떤) 그곳으로、 A가 (있는)、 바로 그곳으로、
나아가다. → A에게 나아가다. ('A'는 주로 '世尊')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② tena(ƺ. in that direction, in that manner, thus)
② upasaṅkram(1.dž.4.ǁ. to step or go to the other side or other world) < upa(ƺ. toward)
+ sam(ƺ. with) + kram(1.dž.|4.ǁ. to walk, step; to go, approach; to pass or go over)
▼▷[upasamkramya] ① upasamkramya(ger.) → [나아가서]
▼[bhagavataḥ] ① bhagavataḥ(ƾ.gen.) → [복덕갖춘분의]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pādau] ① pādau(ƾ.acc.du.) → [두 발에]
② pāda(ƾ. the foot; a quarter, fourth part) < pad(10.Ʋ. to go or move: 4.Ʋ. to go to)
▼[śirobhirabhivandya] ① śirobhiḥ(ƿ.ins.pl.) + abhivandya(ger.) → [머리들로、 예배를
드리고]
② śiras(ƿ. the head; skull; a peak, summit, top)
② abhivad(1.dž. to speak to, address; tell, declare, mention; to name, call; to salute, greet)
< vad(1.dž. to speak, say, tell; to announce, communicate; to speak of, describe)
▼[bhagavantaṁ] ① bhagavantaṁ(ƾ.acc.) → [복덕갖춘분을]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triṣpradakṣiṇīkṛtyaikānte] ① triṣ+pradakṣiṇīkṛtya(ger.) + ekānte(ƺ.) → [세 번
오른쪽으로 돌고、 한쪽 편에(→한쪽 편으로)]
 '세 번 오른쪽으로 돌다' : 원래는 오른손에 무기가 없음을 보여주어 敵意가 없음을
나타내는 행위로서, 정벌의 의사가 없는 都城에 도착했을 때 그 주위를 오른쪽으로
세 차례 돎으로써 그러한 의사를 표시하는 등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고대
인도에서는 淨・不淨의 개념에 따라 淨에 해당하는 오른쪽을 내보이며 주위를 세
차례 돎으로써 귀한 사람에게 존경을 나타내는 행위로 승화하였다.
 '한쪽에 앉다' : '많은 무리의 비구'라 하였고 '한쪽'이라 하였으니, 많은 무리의 비구
대중이 모두 한쪽에 앉을 수는 없으므로 한쪽으로부터 차례대로 앉았다는 뜻일
것이다. 자리의 위계는 가운데나 편안한 자리가 상석이 아니라 타인을 위해
자연스런 배려가 우러나오는 형태에서 찾아지므로, 이것은 수행인의 전형적
모습으로서 한쪽으로부터 자리를 차지하고 세존의 법문을 기다리는 수행인의 전형적
모습으로 간주될 수 있다.
② tris(ƺ. thrice, three times)
② pradakṣiṇīkṛ(8.dž.) < * + ­|ī|+kṛ('cvi') < pradakṣiṇa(nj. being placed or standing on
the right, moving to the right; respectful, reverential; auspicious, of good omen)
 cvi verb : □+ī+bhū(to become □) → guṇa+ī+bhū > guṇībhū(to become a
guṇa) - cvi verb 형성 사용동사는 √kṛ, √bhū, √as 등의 세 가지가 있다.
② ekānta(ƾ. a lonely or retired place, solitude; exclusive aim or boundary)
② ekānte(ƺ. solely, exclusively; exceeding, quite; alone, apart, privately)
▼[nyaṣīdan] ① nyaṣīdan(impf.Ⅲ.pl.) → [다가와 앉았다.]
 upa(가까이)ni(다가와)√sad(앉다) →❮upaniṣad❯ : 제자가 배움을 위해 스승의
곁으로 가까이 다가와 앉다.
② niṣad(1.ǁ. to sit down, lie, recline; to sink down, fail; to dwell; to suffer pain) < ni(ƺ.
down, back, into, in) + sad(1.ǁ. to sit, settle; to sink down; to live, remain, reside,
dwell)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27일째]
수행어시불가설 $ 069▲薜羅薜羅為 一 ● 諦羅, ○□□□□,其,有,一,持

□□□□□□□, 其心過去不可說,
有求皆施不可說, 一切悉施不可說,
□□□□□□□, 기심과거불가설,
유구개시불가설, 일체실시불가설,

修行於施不可說,
보시를 행하는 일 말할 수 없고
그 마음 지나간 일 말할 수 없고
찾는 대로 보시함을 말할 수 없고
모든 것을 보시함도 말할 수 없고


[328째]
지계청정불가설 $ 070■ ■持 成起一智修 菩修彼彼無
070▲ 諦羅諦羅為 一 ● 偈羅, ○□□□□,心,讚,愛,成

□□□□□□□, 心意清淨不可說,
讚歎諸佛不可說, 愛樂正法不可說,
□□□□□□□, 심의청정불가설,
찬탄제불불가설, 애요정법불가설,

持戒清淨不可說,
계행이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마음이 깨끗함을 말할 수 없고
부처님 찬탄함을 말할 수 없고
바른 법 좋아함을 말할 수 없고





●K1397_T1668.txt★ ∴≪A석마하연론≫_≪K1397≫_≪T1668≫
●K1510_Txxxx.txt★ ∴≪A석화엄교분기원통초≫_≪K1510≫_≪Txxxx≫
●K1508_Txxxx.txt★ ∴≪A석화엄지귀장원통초≫_≪K1508≫_≪Txxxx≫


■ 암산퀴즈


901* 775
400314 / 411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8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3 번째는?




02 그들로 하여금 모두가 부처님에 대한 기억을 증장하게 하며,
참포, 讖蒱<二>
ksam bhu,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80 아가라마리 투바야 ◐阿迦囉沒㗚<利吉反>駐婆夜<掩死難百八十>◑akālaㆍmrityuㆍbhaya
181 아다라니보미검바 ◐阿陁囉尼部彌劍波<摠持地動百八十一>◑adhāranīㆍbhūmikaṃㆍbhaya
182 가바다바야 ◐伽波哆婆夜<險難百八十二>◑kāpātaㆍbhaya
183 오라라가바다바야 ◐烏囉囉迦波多婆夜<道路難百><八十三>◑ulkāㆍpātaㆍbhaya
184 라자단다바야 ◐囉闍彈茶婆夜<王刑罰難百八十四>◑rājaㆍdaṇḍaㆍbhaya
185 나 가바야 ◐那<上>伽婆夜<龍怖難百八十五>◑nāgaㆍbhaya
186 미디슈바야 ◐微地揄婆夜<閃電難百八十六>◑vidyudㆍbhaya
187 소바걸니바야 ◐蘇跋㗚尼婆夜<金翅鳥難百八十七>◑suparṇiㆍbhaya//
188 약사가라하 ◐藥叉揭囉訶<百八十八>◑yakshaㆍgrahā
189 라샤사가라하 ◐羅剎娑揭囉訶<百八十九>◑rākshaㆍgrahā

●만일 내가 열반한 뒤에 말세중생이 자신이 외우면서
남에게 외우게 한다면, 마땅히 알라.

이와 같이 외어서
지니는 중생은
불이 태울 수 없고
물이 빠트릴 수 없고
코고 작은 독이 해칠 수 없으며,
이와 같이 용과 하늘과 귀신과 정령의 토지 신[精祇]과
악마의 도깨비[魔魅]들이 가지고 있는 나쁜 주문까지도
다 범접할 수 없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03
모든 법(法)을 분명히 아는 지혜로우신 이[一切智]께 귀의합니다.
南無一切智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698275
974
법수_암기방안


70 장지
18 아래팔뚝 (forearm)
2 염통 【심장】

1 빗장뼈[=쇄골]
3 밥통 【위】
69 요골동맥-손-맥박(脈搏)재는곳
127 [little finger-넉클knuckle] 새끼마디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8_1122_012048 :

대장경 내 게송



모든 부처님께서는 밤에는 인간 세상에 들지 않으시고
공양할 때를 기다린 뒤에야 걸식을 다니셨으니
때 아닌 때에 다니는 자에게는 큰 우환이 있다.
그러므로 뭇 성인은 때를 잘 살핀다.


출전:
한글대장경 K0802_T0190
불본행집경(佛本行集經) 수 사나굴다역
佛本行集經 【隋 闍那崛多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발끝으로 서기 [Padangustasana]


○ 2019_1105_123850_nik_Ab27


○ 2019_1106_123823_can_ct26


○ 2019_1106_124131_can_ab30_s12


○ 2019_1106_130932_can_exc_s12


○ 2019_1106_171722_can_ct18


○ 2019_1004_165741_nik_Ar28


○ 2019_1004_171826_can_ar45


○ 2019_1004_180138_nik_AR35


○ 2019_1004_145454_can_ct16


○ 2019_1201_162913_can_Ab35


○ 2020_0910_113811_can_bw24


○ 2020_0930_143700_nik_ab39


○ 2020_1017_151836_can_ar3


○ 2020_1017_153525_can_CT28


○ 2020_1017_170336_can_Ab15_s12


○ 2018_1022_131934_nik_ar16


○ 2020_1114_132004_can_exc

● [pt op tr] fr
_M#]



○ 2020_1126_160430_nik_Ab35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석화엄교분기원통초_K1510_Txxxx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석화엄교분기원통초』 ♣1510-009♧
[관련키워드]
석화엄교분기원통초 제9권/전체1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8-11-22_석화엄교분기원통초-K1510-009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11/2568-11-22-k1510-009.html
sfed--석화엄교분기원통초_K1510_Txxxx.txt ☞석화엄교분기원통초 제9권/전체10권
sfd8--불교단상_2568_11.txt ☞◆veui2591
불기2568-11-22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669003323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184
htmback--불기2568-11-22_석화엄교분기원통초_K1510_Txxxx-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