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반경본유금무게론』
K0566
T1528
열반경본유금무게론 /전체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5-11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566_T1528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열반경본유금무게론』
♣0566-001♧
열반경본유금무게론 /전체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19_1106_152229_nikon_ar38▾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5_170025_nikon_fix▾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70151_nikon_Ab35▾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6_155716_canon_ct14_s12▾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5_140214_canon_CT38_s12▾순천 조계산 선암사
○2020_0430_141814_canon_ar14▾종로구 창의문로 성불사
○2020_0906_111657_canon_ar47▾천축산 불영사
○2020_0907_154323_nikon_ab41▾양산 통도사
○2020_0910_131615_canon_bw5▾속리산 법주사
○2020_1017_151049_nikon_Ar28▾삼각산 화계사
○2018_1022_125530_nikon_AR25▾공주 계룡면사무소 영규대사비
○2018_1022_135225_nikon_ab41_s12▾공주 계룡산 갑사
○2018_1024_175215_nikon_exc▾부여 고란사
○2020_1114_141810_canon_ar24▾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42115_canon_bw4_s12▾삼각산 도선사
○2019_1104_170528_canon_exc_s12▾구례 지리산 연곡사
○2019_1104_131615_nikon_ab41_s12▾구례 화엄사 연기암
○2021_1005_120338_nikon_bw24_s12_pc▾여수_금오산_향일암
○2021_1003_150415_nikon_ct18_pc▾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 [pt op tr] fr
_M#]
○2019_1105_164844_nikon_AB7▾순천 조계산 송광사
❋❋본문 ♥
◎[개별논의]
★%★
『열반경본유금무게론』
♣0566-001♧
열반경본유금무게론 해제 (있는 경우)
열반경본유금무게론 001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fdt7817
◈Lab value 202110031504 |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566-001.html#7817 sfed--열반경본유금무게론_K0566_T1528.txt ☞열반경본유금무게론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fdt7817 불기2569-05-11 θθ |
■ 퀴즈
자세하게는 천태법화종.
천태 지자가 『법화경』을 근본 성전으로 삼고, 성립한 종지(宗旨)이므로 법화종이라 함.
답 후보
● 법화종(法華宗)
변역(變易)
변정천(遍淨天)
변행혹(遍行惑)
별상(別相)
별해탈계(別解脫戒)
보리달마(菩提達磨)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Pat Benestra Orchestra - Le Plus Joli Reve
Dalida - C'est Irreparable
Serge Reggiani - Tes Gestes
Mireille Mathieu - C'est Dommage
Images - Les Demons De Minuit
Mireille Mathieu - La Vielle Baroque
Serge Reggiani - Prelude Dormeur Du Val;le Deserteur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53▲ 曲共光交臼 ■ 곡공광교구 53 ( 굽을 곡/ 잠박 곡, 누룩 국 )( 한가지 공 )( 빛 광 )( 사귈 교 )( 절구 구 )
001▲ 丨亅丿乙乚 ■ 곤궐별을을 1 [ 자유롭게 시로 감상한 내용~~~] ( 뚫을 곤 )( 갈고리 궐 )( 삐침 별 )( 새 을/ 둘째 천간( 天干) 을 ) ( 숨을 을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Udumbara (Buddhism)
[san-chn] saṃbhava-lakṣaṇa 生相
[san-eng] śāṁtiḥ $ 범어 peace
[pali-chn] sabbaññu 一切智者
[pal-eng] parikilami $ 팔리어 aor. of parikilamatigot tired out; was exhausted or fatigued.
[Eng-Ch-Eng] 北山錄 Beishan lu; 10 fasc., by Shen-ching 神清; T 2113.52.573a-636c.
[Muller-jpn-Eng] 不行而行 フギョウニギョウ doing without doing
[Glossary_of_Buddhism-Eng] NOBIRTH☞
See: Non-Birth.
[fra-eng] écrivîmes $ 불어 wrote
[chn_eng_soothil] 淸涼寺 A monastery at Wu-tai shan.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若復有人, 於後末世, 能受持讀誦此經,
어떤 사람이 이 다음 말법(末法) 세상에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워
서…
[玄奘] 若諸有情後時、後分、後五百歲, 正法將滅時分轉時,
於此經典受持、讀誦、究竟通利、及廣為他宣說開示、如理作意.
[義淨] 若復有人於後五百歲, 正法滅時, 能於此經受持、讀誦、解其義趣、廣為他說,
16-04 यच्च पश्चिमे काले पश्चिमे समये पश्चिमायां पञ्चशत्यां सद्धर्मविप्रलोपकाले वर्तमाने इमानेवंरूपान् सूत्रान्तानुद्ग्रहीष्यन्ति धारयिष्यन्ति वाचयिष्यन्ति पर्यवाप्स्यन्ति, परेभ्यश्च विस्तरेण संप्रकाशयिष्यन्ति,
yacca paścime kāle paścime samaye paścimāyāṁ pañcaśatyāṁ
saddharmavipralopakāle vartamāne imānevaṁrūpān sūtrāntānudgrahīṣyanti
dhārayiṣyanti vācayiṣyanti paryavāpsyanti parebhyaśca vistareṇa
samprakāśayiṣyanti |
그리고 다음번 때의 다음번 시기의 다음번 오백년에 바른 법이 파괴된 때가 있을 때
이런 모습의 경전들을 배우고 외우고 독송하고 깊이 이해하여 남들을 위해 상세하게
설명해주고자 한다면,
▼▷[yacca] ① yat(pn.ƿ.nom.) + ca(ƺ.) → [그리고、 (어떠한) 그것은]
▼[paścime] ① paścime(nj.→ƾ.loc.) → [다음번]
▼[kāle] ① kāle(ƾ.loc.) → [때에]
▼[paścime] ① paścime(nj.→ƾ.loc.) → [다음번]
▼[samaye] ① samaye(ƾ.loc.) → [시기에]
▼[paścimāyāṁ] ① paścimāyāṁ(nj.→Ʒ.loc.) → [다음번]
▼[pañcaśatyāṁ] ① pañca+śatyāṁ(Ʒ.loc.) → [오백년에]
▼[saddharmavipralopakāle] ① sat+dharma+vipralopa+kāle(ƾ.abso.loc.) → [바른 법이
파괴된 때가]
▼[vartamāne] ① vartamāne(njp.→ƾ.abso.loc.) → [있을 때]
▼[imānevaṁrūpān] ① imān(pn.ƾ.acc.pl.) + evaṁ(ƺ.) + rūpān(nj.→ƾ.acc.pl.) → [이、
그런、 형색인]
② rūpa(ƿ. any outward appearance or phenomenon or colour; form, shape, figure)
② evam(ƺ. thus, so, in this manner or way)
▼[sūtrāntānudgrahīṣyanti] ① sūtrāntān(ƾ.acc.pl.) + udgrahīṣyanti(fut.Ⅲ.pl.) →
▼[경전들을、 받아들이고(→배우고)]
② sūtrānta(ƾ.È 敎, 經) < sūtra(ƿ. a thread, string; a short or concise technical sentence
used as a memorial rule; a rule, canon) + anta(ƾ. end; limit, boundary)
② udgrah(9.ǁ. to take up, lift up; to take or draw out; to deposit; to preserve)
▼[dhārayiṣyanti] ① dhārayiṣyanti(caus.fut.Ⅲ.pl.) → [간직하고(→외우고)]
▼[vācayiṣyanti] ① vācayiṣyanti(caus.fut.Ⅲ.pl.) → [이야기하고(→ 독송하고)]
▼[paryavāpsyanti] ① paryavāpsyanti(fut.Ⅲ.pl.) → [깊이 취하고(→깊이 이해하고),]
▼[parebhyaśca] ① parebhyaḥ(ƾ.dat.pl.) + ca(ƺ.) → [그리고、 남들을 위해]
▼[vistareṇa] ① vistareṇa(ƾ.ins.→adv.) → [상세함으로 → 상세하게]
▼[samprakāśayiṣyanti] ① samprakāśayiṣyanti(caus.fut.Ⅲ.pl.) → [보여주고자 한다. →
설명해주고자 한다면,]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31일째]
세존 $ 002▲● 백 ○□□,云,何,阿,佛
□□, !
云何 阿僧祇 乃至 不可說不可說耶?」
□□,!
운하,아승기 내지 불가설불가설야?」
世尊!
세존이시여,
어떤 것을 아승기라 하오며,
내지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다 하시나이까?”
[132째]
불고심왕보살언 $ 003▲● 천 욕령제세간입 불소지수량지의 ○□□□□,善,汝,佛,善
□□□□□□□,:「善哉善哉!善男子!
汝今 為 欲令 諸世間 入 佛所知數量之義,而問 如來、應、正等覺。
□□□□□□□,:「선재선재!선남자!
여금 위 욕령 제세간 입 불소지수량지의,이문 여래、응、정등각。
佛告心王菩薩言
부처님께서 심왕보살에게 말씀하시었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선남자여,
그대가 지금 여러 세간 사람들로 하여금
부처님이 아는 수량의 뜻을 알게 하기 위하여 여래·응공·정변지에게 묻는구나.
●K0420_T0386.txt★ ∴≪A연화면경≫_≪K0420≫_≪T0386≫
●K0566_T1528.txt★ ∴≪A열반경본유금무게론≫_≪K0566≫_≪T1528≫
●K0567_T1527.txt★ ∴≪A열반론≫_≪K0567≫_≪T1527≫
■ 암산퀴즈
552* 377
176656 / 244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1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42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23 번째는?
01 그 때 지장보살마하살은 곧 자리에 일어나 부처님께 아뢰었다.
“ 대덕(大德) 세존이시여,
저는 마땅히 이 4주(洲) [주-62] 의 모든 세존의 제자인
필추(苾蒭)․필추니(苾蒭尼)․오파색가(鄔波索迦:남자신도)․오파사가(鄔波斯迦:여자신도)를 제도하여
참포, 讖蒱<一>
Ksam bhu,
지장(地藏)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420 마하바저로 ◐摩訶跋折嚕<大金剛藏四百二十>◑mahāㆍvajra
421 스니삼마하바라등기람 ◐瑟尼衫摩訶鉢囉登祁藍<四百二十一>◑ushnishāṃㆍmahāㆍpratyaṅgirāṃ//
422 야바수타사수사나 ◐夜婆埵陁舍喩社那<乃至十二由旬成界><地四百二十二>◑Yāvadㆍdvādaśaㆍyojana
423 편다려나비 디야반타가로미 ◐便怛囇拏毘<入聲>地夜畔馱迦嚧彌<云我大明呪十二由旬結界禁縛莫入四百二十三>◑abhyantarenaㆍvidyāㆍbandhaṃㆍkaromi//
424 뎨수반타가 로미 ◐帝殊畔陁迦<居那反>嚧彌<佛頂光聚縛結不得入界四百二十四>◑Tejoㆍbandhaṃㆍkaromi
425 바라미댜 반타가로미 ◐波囉微地也<途迦反>畔陁迦嚧彌<能縛一切惡神鬼四百二十五>◑paraㆍvidyāㆍbandhaṃㆍkaromi//
426 다디타 ◐怛地他<卽說呪曰四百二十六>◑Tadyathā//
427 옴 ◐唵<四百二十七>◑Oṃ
428 아나례비사뎨 ◐阿那㘑毘舍提<四百二十八>◑analeㆍviśada
429 비라 ◐鞞囉<四百><二十九>◑vira
●너와 대중 가운데
유학(有學)들과 미래 세상의 모든 수행자들이
내가 설한 도량설치 법[壇場]에 의지하여,
법대로 계를 지니고
청정한 전계사(傳戒師)를 만나서
이 주문의 비밀심인(祕密心印)을 지닌다면,
의심하고 후회하는 일이 생기지 않으리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23
허물을 여의시고 삼독심(三毒心)을 제거하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離過除毒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208104
724
법수_암기방안
42 발 옆면 foot side
2 염통 【심장】
3 밥통 【위】
1 빗장뼈[=쇄골]
23 엄지 (THUMB)
131 thigh 넓적다리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511_235944 :
대장경 내 게송
어리석은 사람은 저 살기 위하여
제왕의 신하라 자칭하며
남 몰래 다른 곳에 나아가서
거짓 왕의 제령(制令)을 펴나니.
저곳에서 비밀의 말을 전하되
‘왕의 명령이니 거슬리면 안 된다’고 한다.
어리석은 사람이 이곳에서
저 살기 위하여 이런 짓 하도다.
거룩한 부처는
저 수없이 많은 겁(劫) 속에
목숨과 몸을 버리고
허다한 어려운 일 다 겪었나니.
이것은 법왕가(法王家)의 하인에게
꾸지람이나 벌을 받아서가 아니며
또는 이것은 하고 이것은 하지 말라고
문책하는 자가 있어서도 아니니라.
비구에게 도 닦을 장소며
아름다운 진수성찬이며
또는 가장 묘한 의복
이런 것 모두 다 바치었노라.
부지런히 재물을 구하여
계 지니는 이에게 베풀어주고
제 몸에 이바지하거나
또한 처자를 위함이 아니었네.
법대로 머물지 않는 사람은
공양만 받아먹고 달아날 뿐
다음날 서로 만날 적에는
‘내가 그때에 잘 먹었다’고 한다.
어디나 한데 모이는 곳에서
왕의 정사가 어떠니,
도둑의 일 어떠니
국경을 지키는 일이 어떠니
갖가지의 음식 요리가 어떠니
일식․월식에 대한 일이며
왕의 사신으로 가고 오는 일이며
혹은 ‘마땅히 이기리라’
혹은 ‘장차 망하리라’고 한다.
이것이 말할 바 아니언만
그들은 항상 이야기하면서
화려한 침상에 누워서
밤낮으로 즐겨 잠만 자나니.
낮으론 신도 집에 나가고
부자 많은 곳을 찾아서
‘이 보시가 적은 것은 아니지만
최상의 보시는 될 수 없다’고 말한다.
이런 일로 찾아가고는
자리에 앉아 부질없는 이야기로
어리석고 게을러 닦지는 않나니
마치 노새가 무거운 짐 지듯이
잠자다 꿈꾸는 가운데
이런 것 저런 것 본 것을
깨어서 남에게 말하며
서로 향하여 이야기하나니.
‘걱정 말고 웃지도 말라.
네가 장차 좋은 일 있으면
이 일이 빨리 이룩되리니
다시는 근심 걱정 말라’고 한다.
자주 촌․읍에 쏘다니며
동작이 볼 모양 없이
마치 방정맞은 원숭이가
얼굴과 눈을 희번덕거리듯
어느 부락에 들어가
여인을 위하여 설법하면서
부처님이 말씀하신 경전과
별해탈계법을 내버리나니
시주의 집을 나와서는
물건의 다소를 따지면서
적으면 준 사람 나무라기
그 집안 권속도 훼방하나니.
그 다음 서로 만날 적에
서로 물어 말하기를
‘무슨 물건,
무슨 음식을 얻었는가.
나는 무엇을 얻고 무엇을 먹었다’고 한다.
대강 말하나니 이러한 일로
백 년 동안 지나리로다.
이렇게 익히어 생각하면서
스스로 그 목숨 살려 가지고
맛있는 포도 술이며
향과 꽃을 서로 다투며
‘그 몸을 치료하기 위하여
이것을 구하여 병뇌(病惱)를 적게 한다’고 한다.
가령 100불이 출현한들
저 사람을 어찌할 수 없나니
닦을 바 행을 버리니
속인과 다를 것이 없도다.
그 몸을 사랑하고 보호하여
나[我]․인상(人相)을 여의지 못하나니
그가 이러한 행을 짓고는
반드시 악취에 떨어지리니.
만일 바른 법을 비방하면
무거운 괴로움에 불타게 되나니
깨침의 슬기 없는 범부여,
속인과 다를 것이 무엇이리.
만일 모든 석사자(釋師子)로서
실행(實行)을 닦는 성문이라면
목숨을 살리는 인연으로써
적은 계라도 헐지 않으리.
슬기로운 이는 밥을 탐내지 않고
항상 무거운 짐이라 생각하여
몸은 부정한 것이라는 관법[不淨觀]을 닦아
시주의 빚을 돌려 갚나니.
욕심의 번뇌를 여의므로
온갖 법을 깨달아 아나니
나는 이런 것을 듣고
이 가르침 가운데 출가하였네.
슬기로운 이는 법을 비방하지 않고
저 말한 바 공한 이치[空性]에
쉼 없이 부지런히 구하여
세상 것이 모두 다 진실치 않은 줄을 안다.
용맹스럽고 슬기로운 이는
공한 이치를 깨달아 알아서
능히 마군을 겁나게 하나니
그는 넉넉히 공양을 감당할 만하리.
만일 탐착심을 여의어
공한 성품 훼손하지 않으면
불자로 매우 씩씩한 사람이라
인간․천상의 공양을 받으리.
바른 법이 장차 멸하려 할 제
세상 사람들 어리석기만 하고
부드럽고 선량한 비구로서
부지런한 자 구하기도 드무니
슬기로운 자 마땅히 걱정하라.
오래지 않아 자멸될 것을
그 뒤에 낮이고 밤이고
나[我]가 있다고 이야기할 뿐.
세간을 구호할 이 그 누구이리.
오직 사람 중 높은 이가 있을 뿐
배울 것을 닦아 행하는 이도
모두 세상을 떠난 뒤에는.
저들은 이러한 밀의언(密意言)을
스스로 깨달아 알지 못하고
부처와 위없는 바른 법을
공경할 줄을 알지 못하나니.
바른 법이 없어지려 할 제
부지런히 정진할지니
잠깐 사이라도 법을 들어라.
오래지 않아서 못 들을 것을.
출전:
한글대장경 K0022_T0310
대보적경(大寶積經) 당 보리유지역병합
大寶積經 【唐 菩提流志譯并合】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서서 무릎에 머리 대기 [Dandayamana Janushirasan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9-03-15-토
정향암(대명사),전북 남원시 주천면 상주길 41-12,,(O63)632-4494,,,,,,,,,태고종
[사진]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주천면 주천리 689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map.naver.com
[설명 1] https://jikimi.cha.go.kr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06 사시라 바 가싱가남 ◐薩失囉<引>皤<去>迦僧伽喃<敬禮辟支><佛及四果人六>◑sa-śrāvaka-saṃghanāṃ//

○2019_1106_112312_canon_CT27▾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5_131045_canon_CT27▾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55240_canon_ab41_s12▾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5608_canon_Ab31_s12▾순천 조계산 송광사

○2020_0905_120403_canon_bw24▾오대산 월정사

○2020_1002_121739_nikon_CT28▾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17_160323_canon_BW25▾삼각산 화계사

○2018_1023_130708_canon_Ab31▾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9_0106_153354_canon_BW22▾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2020_1114_132535_nikon_bw0_s12▾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41826_canon_AB7_s12▾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51812_canon_ct19▾삼각산 도선사

○2019_1104_131022_canon_BW25▾구례 화엄사 연기암

○2021_0215_104752_canon_Ab27▾용인_연화산_와우정사

○2010_0124_125304_Ar26_s12▾남천사

○2021_0929_100913_canon_BW3_s12▾양양_오봉산_낙산사

○2021_0930_174124_nikon_bw0_s12_pc▾영월_사자산_법흥사

○2021_0215_131308_nikon_ab41_s12▾용인_문수산_법륜사
● [pt op tr] fr
_M#]

○2020_0910_182651_canon_CT27▾제천 월악산 신륵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열반경본유금무게론_K0566_T1528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열반경본유금무게론 /전체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열반경본유금무게론-K0566-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566-001.html
sfed--열반경본유금무게론_K0566_T1528.txt ☞열반경본유금무게론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fdt7817
불기2569-05-11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62412470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53
htmback--불기2569-05-11_열반경본유금무게론_K0566_T1528-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