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0년 4월 27일 월요일

삼매_게송_수행페이지


[ 현재 살피고자 하는 게송과 삼매를 등록해 놓는 페이지임 ] - 매번 변경됨. 

등록시기 불기2564-03-16

국토중생급제불 $ 125▲


不可量不可量為 一 ● 不可量轉, ○□□□□,體,如,菩,壽


□□□□□□□, 體性差別不可說,
如是三世無有邊, 菩薩一切皆明見。」


□□□□□□□, 체성차별불가설,
여시삼세무유변, 보살일체개명견。」

국토와 중생들과 여러 부처님
성품과 차별함을 말할 수 없어
이렇게 삼세가 그지없거늘
보살은 온갖 것을 분명히 보네.







[관련 페이지]


● 화엄경_아승기품_게송_암기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02/k0080-t0279-045.html

sfxx--화엄경_아승기품_게송_암기.txt

sfd8--불교단상_2564_03.txt ☞◆vnxs1283

불기2564-03-15




● 십중금계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tistory.com/14824#1715 

sfx--dict/십중금계.txt

sfd8--불교용어dic_2564_03.txt ☞◆vpmn1715

불기2564-03-15


●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문서정보 ori http://buddhism007.tistory.com/13620#7109

sfed--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_K1122_T1054.txt ☞일백팔명

sfd8--불교경율논코너sp_2564_02.txt ☞◆vumk7109

불기2564-02-14

● 범어 실담글자와 의미

‡실담오십자문



다라니퀴즈 


삼매_게송퀴즈


법수_암기방안







■■■ 
● 신체 부위 암기방 
http://buddhism007.tistory.com/14777#010 
sfxx--법수암기방안.txt 
sfd8--불교단상_2564_03.txt ☞ ☞● 신체 부위 암기방 
----




 10 번 이상에 대한 신체 부위 배정 

[#M_※ |◀접기|

○ [pt op tr]


신체부위를 암기를 위한 방으로 사용할 때 
해당 부위의 구체적 명칭은 모른 가운데 막연히 방 위치만 파악해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해당 부위 명칭을 함께 사용하면 기억에 효과가 좋다. 


그런데 신체 부위 명칭 자체가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또 그 자체 명칭을 외우는 것이 힘들게 느껴질 수도 있다. 
또한 신체가 좌우 대칭이어서 신체부위 명에 차이가 없게 되기 쉽다. 

* 신체의 특성상 좌우 팔이나 손, 다리, 발 부위는 명칭이 같게 되기 쉽다. 
그런 가운데 50 개 이상의 방이 필요한 경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오른쪽은 겉부위 명칭 - 근육 - 내장기관 - 각 부위의 한글명 또는 【영어명】 

왼쪽은 뼈 명칭 - 또는 각 부위의 【한자어명】 이런식으로 정할 수도 있다. 



비록 좌우 명칭이 같아도 순서가 멀기에 혼동이 발생하지 않을 때는 큰 관계없다. 

그러나 처음부터 조금 달리 명칭을 배치해도 된다. 

이는 각 부위 명칭과 ~ 각 방안 내용이 결합될때 차별된 기억에 도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외어야 할 항목이 100 개 이상으로 증가될 때도 이런 방안으로 구별할 수도 있다. 

< 다만, 반드시 이런 형태로 나눠야 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편의상 암기방편으로 편한대로 정해 이용하면 된다.

따라서 아래는 자신의 상황에 맞춰 명칭을 선택할 때 하나의 샘플로 참고하면 된다. > 

참고 

[브리태니커 신체 부위명칭 ]


소화기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750&cid=49044&categoryId=49044&expCategoryId=49044

뼈 명칭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723&cid=49044&categoryId=49044

손가락명칭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772&cid=49045&categoryId=49045&expCategoryId=4904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81586&cid=40942&categoryId=32319




--


■ [0 번대 / 100번대 ] 

    ● 5

○6      ○1

○7      ○2

○8      ○3

○9      ○4

    ● 0


        ●  5 목  


             1 빗장뼈[=쇄골]  

             2 염통  【심장】

             3 밥통 【위】

             4 작은창자 【소장】


6 쇄골   【쇄골】

7 갈비 【협】

8 큰 창자,【대장】

9 맹장  【맹장】


      ● 0 배꼽 벨리버튼belly button,  네이블navel, 옴파로스Ompharos  臍 【배꼽 제】


------
100 

        ●  5 neck


             1 클래비클 Clavicle  鎖骨 【쇄골】

             2  heart  心臟 【심장】

             3 스토막 stomach  胃 【위】

             4  스몰 인테스틴 small intestine  小腸 【소장】


6 칼라본 the collarbone 【쇄골】

7 립스 ribs  䝱 갈비 【협】

8 라지 인테스틴 large intestine 【대장】

9 어펜딕스appendix         盲腸 【맹장】


      ● 0 옴파로스Ompharos  臍 【배꼽 제】 / 벨리버튼belly button,  네이블navel, 



---------------



■ [10 번대 / 60번대 ] 


             ● 15 어깨 (shoulder)
   11 위팔 upper arm               
   12 팔꿉 [elbow]   
   13 노뼈 [radius]

   14 맥박~점(맥박뛰는곳) pulse 


 16 겨드랑이 [암핏 armpit]
 17 알통     [바이셉쓰biceps ] 

 18 아래팔뚝 (forearm)   

 19 자뼈  (알너 - ULNA) 

            10  손목 WRIST


---------------------

     ● 65 견상(肩 =  
         61  액와(腋窩) ~ 겨드랑이 

         62  이두박근(二頭膊筋)  ~알통

         63  전박 (前膊) ~ 아래팔뚝 

         64  척골(尺骨)[자뼈] 

66 상완(上腕) 
67 주관절(肘關節) 팔꿈치 
68 요골  ~ 노뼈 
69 요골동맥-손-맥박(脈搏)재는곳 

       ●  60  완수[腕首] - 손목 


------------------------

* 신체부위 명칭


상완(上腕) .상박 (上膊) the upper arm, - 의학 어깨에서 팔꿈치까지의 부분. - 위팔

주관절(肘關節)  팔꿈치의 관절(關節)

전박(前膊), 전완(前腕) - 아래팔 
전박 (前膊)  아래팔 (팔꿈치부터 손목까지의 부분).

전박근 (前膊筋)  아래팔 근육(아래팔에 있는 근육).

전박골 (前膊骨)  아래팔뼈(위팔뼈와 손뼈 사이에 있는, 아래팔을 이루는 뼈).

전박 (前膊) a forearm

척골(尺骨)  【자뼈】 [ulna] :  아래팔의 안쪽에 있는 뼈

요골(橈骨) 【노뼈】 [radius] :   아래팔의 바깥쪽에 있는 뼈




■ [20 번대 70 번대 ]

* 손가락이 5 개라 나머지 5 개를 뼈 등에서 빌려오기로 한다. 

----------------------------

● 25 손바닥( 팜 palm) 

    21  큰 마름  [엄지쪽 큰마름(뼈) ~ 트러피지엄trapezium]

    22  엄지 첫마디 [ 썸 넉클 THUMB knuckle]

    23  엄지 (THUMB)

    24  집게(INDEX finger~검지 식지)



26  손금 the line of the palm

27 새끼마디 [little finger-넉클knuckle]

28  새끼 ( LITTELE finger)
29  약지 (RING finger ) 


 
 ●  20 가운데(손가락) (MIDDLE)




------[앞에선 이를 바라볼 때 왼쪽 편 - 손바닥] 70 번대 

         75 알머리뼈 
                  71  라선[腡선] = 손금선    /또는  갈고리뼈 (=헤이메이트 HAMATE~갈고리뼈]  

                  72   소지첫마디  =   손 허리뼈 / (=-매타카펄    metacarpal  ) 

                  73  소지   (~새끼)
                  74  무명지 (~약지 )

      
76 *무지 마름 
77 *무지 첫마디
78 *무지 (~ 엄지)
79  검지 식지 (~집게)
      
          70  장지  


손뼈명칭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725&cid=49044&categoryId=49044


*76-77 등은 옆 손의 부위와 단순히 구별해보기 위해 무지 또는 왕을 붙여 구별해볼 수 있다. 


[- 20 번대 70 번대 암기방 - 신체부위 배정을 위한 손가락 및 손뼈 명칭 ]

손가락 (Finger)手指 shǒu zhǐ 


엄지- 엄지 손가락(thumb)  대지(大指) 거지(巨指) 무지(拇指) 벽지(擘指) 大拇指 dà mǔ zhǐ 

검지- 집게 손가락 (Index Finger / forefinger )식지(食指) 인지(人指) 염지(鹽指) 두지(頭指) 食指 shí zhǐ 

중지-가운데 손가락 (Middle Finger) 장지(長指) 장지(將指) 中指 zhōng zhǐ 

약지-약 손가락 (Ring Finger / Third Finger 약지(藥指) 무명지(無名指) 无名指 wú míng zhǐ 

소지- 새끼 손가락 (소지)  (Little finger )계지(季指) 수소지(手小指) 小拇指  xiǎo mǔ zhǐ  또는 小指 xiǎo zhǐ 

------

손허리뼈 (metacarpus) 모두 5개로, 손바닥을 이루는 기다란 뼈. 손목뼈의 앞줄과 가까이 있는 손가락뼈들로 이어진다.

갈고리뼈 (hamate) 손목뼈의 앞줄에 있는 뼈. 특히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의 손허리뼈와 관절로 연결되어 있다.

알머리뼈 (capitate) 손목뼈의 앞줄에 있는 뼈. 특히 가운뎃손가락의 손허리뼈와 관절로 연결되어 있다.

큰마름뼈 (trapezium) 손목뼈의 앞줄에 있는 뼈. 특히 엄지손가락의 손허리뼈와 관절로 연결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인체 : 손뼈 [bones of hand]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 인간, 2012.)


------
腡 손금 【라】





■  [ 30 번대 및 80 번대 신체부위 배정 ]

      

● 35 허벅다리 upper thigh

               31 넓적다리 thigh                   

               32 무릎 knee

               33 종아리 [캪]calf

               34 복숭아뼈 [멀리 얼어스 malleolus]

36 가랑이 ( crotch / 사타구니, groin )

37 종지뼈  ( the kneecap,  / the patella무릎 종지뼈)  
38 정강이[Shin]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30  발목 [ankle]

                          


--------------------------

80번대 신체부위 배정 [ 30번대와 명칭만 별개로~~-, - 뒷면- 뼈 근육 등등 - 한문  / [살] 앞면-  한글-영어- 한문 등 ]


     ● 85 고관절(股關節) 각서(coxa 영어발음)= a hip joint 

                 81  서혜부( 사타구니~ thigh 넓적다리주변)                

                 82  오금

                 83  장딴지근 

                 84  가자미근

86 대퇴골 [ =넙다리뼈  ]
87 슬개골 [ =무릎 뼈)
88 하퇴(下腿)    
89 복사뼈         

             80 거골[=발목뼈중 가장 윗뼈]


            

------------

* 허벅다리 - 넓적다리의 위쪽 부분

  넓적다리 - 다리에서 무릎 관절 위의 부분.
  허벅지'  -  허벅다리 안쪽 살이 깊은 곳 

*오금 (hamstring)은 무릎이 구부러지는 다리의  오목한 안쪽 부분관절

거골[ 距骨 talus , ] 발목을 이루는 뼈 중 가장 위쪽에 있는 것.


퇴 【腿】 넓적다리 【퇴】

1. 넓적다리

大腿骨 【대퇴골】 넓적다리뼈

大腿部 【대퇴부】 다리에서, 무릎과 오금의 위쪽 부분(部分). 대퇴(大腿). 허벅다리. 넓적다리

內腿 【내퇴】 허벅지.

外腿 【외퇴】 허벅다리의 바깥 쪽.


슬개골 【膝蓋骨】 무릎 앞 한가운데에 있는 종지 모양(模樣)의 오목한 뼈. 종지뼈

슬골【膝骨 】 종지뼈. 
슬명 【膝皿】 종지뼈. 



■  [40 번대  및 90 번대 신체부위 배정 ]

* 발가락은 다른 이를 바라볼 때 엄지발가락이 모두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  45 발등 instep / top (side) of the foot 
                       
             41  발뒤꿈치 (발굽) the heel 

             42  발 옆면   foot side

             43  꼬마(새끼)발가락 the little toe
             44  네째발가락  the fourth toe

46  발 곡면 [신조어] 곡면( Arch) 

47  발 돌출부 [신조어] 엄지발가락 위 돌출부분 ( Ball )

48  왕(엄지)발가락  a big[great] toe
49  두째발가락  second toe


● 40 중앙 발가락 [신조어 ] center part (middle) toe  [~ X 가운데 발가락(손가락과 혼동방지)]



------[앞에선 이를 바라볼 때 왼쪽 - 발] 90번대 

        95 足背 【족배】 ~발등.

                       
               91  족- 호?  만? [ 신조어 ] -- 발바닥뒷쪽 곡면으로 들어간 부분 

               92  족- 갑, 곶?  [ 신조어 ] 전면?  - 발바닥 앞면부 튀어나온 부분  

               93  엄지(~)발가락 

               94  검지(~두째) 발가락 [ 신조어 ] 
                 
96 족근  足跟 ~ 발꿈치 【족근】 

97 족~비탈 ~측면  [ 신조어 ]
98 계지(季指) (막내 【계】~새끼) 발가락 [ 신조어 ] 
99 무명 (~네째) 발가락 [ 신조어 ] 
               ●    90 중-발가락 [ 신조어 ] 



* <발가락명칭은 암기방에서 명칭이 구분될 수 있도록 - 손가락과 조금 달리 표현해봄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726&cid=49044&categoryId=49044

발등 (Instep, Top of the foot), 

엄지발가락(Big toe), 
발톱(Toenail),

새끼발가락(Little toe)

- 발바닥(Sole), 

- 뒤꿈치(Heel), ,

발바닥 곡면(Arch)




--- * [ 다음은 어려운 표현 ]

季 = 막내 【계】

발등 dorsum pedis
46 발배 (뼈)  ~ navicular (네비큘러-발배)     

47 발바닥 (뼈) ~메터타루스 metatarsus 




[ 발-목말(뼈) 테일러스 talus ]

발쐐기 (뼈)  - cuneiform 큐니어폼 !발쐐기(뼈) 
발허리(뼈) - meta-tarsal 메타-타살 (뼈) 

목말뼈   (talus) 발목뼈에 있는 짧은 뼈.
발배뼈 (navicular) 발목뼈의 뒷줄에 있는 뼈
중족골 {발바닥뼈]   
발바닥뼈 (metatarsus) 모두 5개의 긴 뼈. 발의 밑바닥을 형성한다.
발쐐기뼈 (cuneiform) 발목뼈의 앞줄에 있는 뼈.
발허리뼈 (metatarsal) 발바닥뼈를 이루는 5개의 뼈들.




■ [50 번대 ]

      ●  55 이마 forehead,  額上 【액상】 이마의 위


        51 눈썹 아이부러워eyebrow  眉 【미】

         52 눈 eye  眼 【안】 

         53 (귀)코 nose  鼻 【비】

         54 입 mouth  口脣 【구순】

56 눈거풀 瞼 【검】  eye lid   

57 眼球 【안구】 동공 eye ball                     

58 (이)비   鼻孔 【비공】 콧구멍
59 순[입술] 치아[아] 설  口脣 【구순】 齒牙 【치아】


 ●  50 턱  chin, 【악골】顎 






★ 명칭이 어려우면 - 위치로만 연상 기억해도 된다. 
50 번대 이상은 사용할 경우가 그다지 많지는 않으므로 
주로 한자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100 번대 이상으로 나아갈 때는 다시 영어 등을 명칭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다만 개별적으로 상황에 맞춰 정한 다음 자신이 일정하게 사용하면 된다. 




● [pt op tr] fr

■end■





>>>



● 넌세스 게송 암기 퀴즈
다음으로 연상되는 게송을 적으시오.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한자 사전

답은 ● 화엄경_아승기품_게송 참조  http://buddhism007.tistory.com/14826

sfxx--화엄경_아승기품_게송_암기.txt



● 아승기 - 게송-[79검지 식지]  - => 논리적 scenario -> 검지 식지로 =>

[ 피제'신력'과 / 피제'방편'을 취득후 / '공적한 지혜'를 / '념념 상속'해간다  

아승기 - 게송-  -[79검지 식지] - 피제신력 - 피-입-념 무-,彼,入,念,無/ 무( 다음 이어질 게송첫부분) - [계로다]
아승기 - 숫자 - -[79검지 식지] - [계로다]

○ 아승기 79 ->          피제신력- 피  - (   ) -  념 - 무 


● 아승기 - 게송- 80 - [거골(발목한자어]
=> 논리적 scenario  => 무량행문 닦아 / 념념 항주해서 (늘 생각하고 머물러) /  제불찰해를 /  실능왕예할 수 있게 된다. 

아승기 - 게송 - 80 -[거골] - => 무량행문 - 念,諸,悉,諸 - 

아승기 - 숫자 - 80 -[거골] - [ 마도라 ] 摩覩羅 【마도라】=  摩 문지르다【마】+ 覩보다【도】+ 羅 비단【라】] = 7* ( 2 의 73 승 )



● 80 번대 구성= 80, 81, 82... 0 첫글자들 


=> 무(80)/제종료 /지변(85)/ 시일용 /청성/(90)/ 

=> 한글로 연상되는 시나리오 => 무제 (상태로제목없이)  종료(한  천재)지변- 시 일용(직)- 청(소를 ) 성(취하다). 


=>  無 諸種了/知  變/   示一勇/ 清 --成 (90)-- 

=> 한시감상 -=> ( 여러 종류를 없애고, 변화를 요지하고 그 후 하나의 용기를 보여  깨끗하게 성취하라. ) 



○ 아승기 - 게송-  [81 서혜부]- 논리적 시나리오: =>  제찰 차별(되어) ~> 종종청정 하고  ~> 차별장엄하고 ~> 무변색상이 펼쳐진다.  

아승기 - 게송-  [81 서혜부]-   제찰차별, 종차 무종 / 種,差,無,種 

아승기 - 게송-  [81 서혜부] --[사무라] * 娑母羅  【사모라】 = 娑 춤출 【사】  + 母 어머니 【모】  +  羅 비단 【라】



● 아승기 - 게송 - [83  장딴지근] => '료지중생' 하려면 / 지기 '종성'하고  / '지기업보'하고  / => '지기심행' 해야 한다. 

아승기 - 게송 - [83  장딴지근  ]- 료지중생 - 知,知,知 ( 종,업,심 ) + ,知  

아승기 - 게송 - [83  장딴지근  ]-[가마라 ] 迦麼羅 【가마라】 =  迦 부처 이름 【가】 + 麼 작을 【마】 +  羅  비단 【라】 


● 아승기 - 게송 - [84  가자미근 ] => '지기근성'하고 / '지기견욕'(견해와욕망)해서 , / '잡염청정'을 / 관찰해 조복한다. 

아승기 - 게송4 - [84  가자미근  ]- 지기근성 - 知,雜,觀,+變, 

아승기 - 게송4 - [84  가자미근  ]-[마가바] 摩伽婆 【마가바】 = 摩 문지르다【마】 + 伽 절 【가】 + 婆 할머니 【파】 



● 아승기 - 85 - [85  고관절 ] => '변화자재'하여  / '현종종신' 하고 , / '수행정진'하여 / '도탈중생'한다. 

아승기 - 게송 - [85  고관절  ]- 변화자재 - 現,修,度,+시

아승기 - 숫자 - [85  고관절  ] + [아달라]  阿怛羅 = 阿 언덕, 아부하다 【아】 + 怛 슬플 【달】 + 羅  비단 【라】

● 아승기 - 86 - [86  대퇴골 ] => '시현신변'하여 / '방대광명' 해서 , / '종종색상' 드러내 / '영 중생 (청)정'하게 한다. 

아승기 - 게송 - - [86  대퇴골 ]- 시현신변 - 放,種,令,+ 一   

아승기 - 숫자 - [86  대퇴골 ] +  [혜로야] 醯魯耶  = 醯 식혜 【혜】 + 魯 미련하다, 나라이름  【노】 + 耶 어조사 【야】 



●  아승기 - 90 - [90 중-발가락 [ 신조어 ] => 성취(한) 지(혜)보(배)로 / 심입'법계'(하고)/  보살총지 (지니고) / 선능수학한다. / 
아승기 - 90 - [90 중-발가락 [ 신조어 ] => 성취지보 -,深,菩,善,+ 智 

아승기 - 90 - [90 중-발가락 [ 신조어 ] =>  [비바라] 毘婆(上)羅 =  毘 돕다 【비】 +  婆 할머니 【파】 범어음역 【바】 + 羅 비단 【라】 


● 90 번대 구성 = 90, 91, 92... 100 첫글자들 

=> 성(90)/ 지구제 세피(95)/ 흔삼수제엄 (100)/ 

=> 한글로 연상되는 시나리오 => 성- 지구 (에서 만든) 제 세피(  )  흔(한) 삼수- 제엄(통제의 엄격함 ? )

=> 成  / 智具諸世彼 / 欣三殊諸嚴 / (100)-- 

=> 한시감상 -=> 모든 세상의 그들을 갖추는 지혜를 이루고 기뻐하면 3 개의 빼어난 것으로 모든 것의 엄숙해진다. 



● 아승기 - 94 - [94 검지-발가락 [ 신조어 ] => 세간도사가 / 연설찬탄한다. /  피제보살의  / 청정공덕을 / 

아승기 - 94 - [94 검지-발가락 [ 신조어 ] => 세간도사 - 演,彼,清_ 彼

아승기 - 94 - [94 검지-발가락 [ 신조어 ] => 미라보 迷攞普  = 迷 미혹할 【미】 + 攞 찢을 【라】  + 普 넓다, 두루 【보】



● 아승기 - 95 - [95 足背 【족배】 ~발등 => 피제변제[끝]에 / 능주기중 하고 /  주중지혜로 / 진제겁 (동안) 주(머무르게 됨)을 무능설이다. 

아승기 - 95 - [95 足背 【족배】 ~발등 => 피제변제 - 能,住,盡_欣

아승기 - 95 - [95 足背 【족배】 ~발등 ] => [자마라] 者麼羅 = 者 놈 【자】 +  麼 작을 【마】 + 羅 그물 【라】


● 아승기 - 96 - [96 족근  足跟 ~ 발꿈치 => 흔요제불[제불을 좋아함]로 / 지혜 평등해지고 / 선입제법[제법에 잘 들어감]해 / 어법무애[법에 장애가없음]상태가 된다. => 삼세가 여공하다. 
아승기 - 96 - [96 족근  足跟 ~ 발꿈치 => 흔요제불 - 智,善,於,- 三

아승기 - 96 - [96 족근  足跟 ~ 발꿈치 ] => [         ] 


● 아승기 - 97 - [97 족~비탈 ~측면  [ 신조어 ] => 삼세여공(을) / 삼세지혜(로) / 료달삼세(하고) / 주어지혜(한다). 

  아승기 - 97 - [97 족~비탈 ~측면  [ 신조어 ] => 삼세여공 - 三,了,住,- 殊

  아승기 - 97 - [97 족~비탈 ~측면  [ 신조어 ] => [발라마타] 鉢攞麼陀


● 아승기 - 98 - [98 계지(季指) (막내 【계】~새끼) 발가락 [ 신조어 ] => '수승묘행'을 닦아서 / '무량대원'인  / '청정대원'을 일으켜 / '성취보리' 한다. 

청정대원불가설, 성취보리

아승기 - 98 - [98 계지(季指) (막내 【계】~새끼) 발가락 [ 신조어 ]=> 수승묘행 -無,清,成,-諸
아승기 - 98 - [98 계지(季指) (막내 【계】~새끼) 발가락 [ 신조어 ]] =>  [비가마 毘伽摩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