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
K0080
T0279
제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대방광불화엄경』 ♣0080-001♧
●K0079_T0278.txt★ ∴≪A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
●K0080_T0279.txt★ ∴≪A대방광불화엄경≫_≪K0080≫_≪T0279≫
●K1262_T0293.txt★ ∴≪A대방광불화엄경≫_≪K1262≫_≪T0293≫
대방광불화엄경 80권본
Kor★n80_0_0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 ◎大方廣佛華嚴經
Vol.08, K.0080, 大周新譯大方廣佛華嚴經 ≪T10n0279≫
우전국삼장(于闐國三藏) 실차난타(實叉難陀) 한역
01 ●세주묘엄품 제일 지오 ◎世主妙嚴品 第一 之五
02 ●여래현상품 제이 ◎如來現相品 第二
03 ●보현삼매품 제삼 ◎普賢三昧品 第三
04 세계●성취품 제사 ◎世界成就品 第四
05 ●화장세계품 제오 지삼 ◎華藏世界品 第五 之三
06 ●비로자나품 제육 ◎毗盧遮那品 第六
07 ●여래명호품 제칠 ◎如來名號品 第七
08 ●사성제품 제팔 ◎四聖諦品 第八
09 ●광명각품 제구 ◎光明覺品 第九
10 ●보살문명품 제십 ◎菩薩問明品 第十
11 ●정행품 제십일 ◎淨行品 第十一
12 ●현수품 제십이 지이 ◎賢首品 第十二 之二
13 ●승수미산정품 제십삼 ◎昇須彌山頂品 第十三
14 ●수미정상게찬품 제십사 ◎須彌頂上偈讚品 第十四
15 ●십주품 제십오 ◎十住品 第十五
16 ●범행품 제십육 ◎梵行品 第十六
17 ●초발심공덕품 제십칠 ◎初發心功德品 第十七
18 ●명법품 제십팔 ◎明法品 第十八
19 ●승야마천궁품 제십구 ◎昇夜摩天宮品 第十九
20 ●야마궁중게찬품 제이십 ◎夜摩宮中偈讚品 第二十
21 십●행품 제이십일 지이 ◎十行品 第二十一 之二
22 십●무진장품 제이십이 ◎十無盡藏品 第二十二
23 ●승도솔천궁품 제이십삼 ◎昇兜率天宮品 第二十三
24 ●도솔궁중게찬품 제이십사 ◎兜率宮中偈讚品 第二十四
25 십●회향품 제이십오 지십일 ◎十廻向品 第二十五 之十一
26 십●지품 제이십육 지육 ◎十地品 第二十六 之六
27 십●정품 제이십칠 지사 ◎十定品 第二十七 之四
28 십●통품 제이십팔 ◎十通品 第二十八
29 십●인품 제이십구 ◎十忍品 第二十九
30 ●아승기품 제삼십 ◎阿僧祇品 第三十
31 ●수량품 제삼십일 ◎壽量品 第三十一
32 ●제보살주처품 제삼십이 ◎諸菩薩住處品 第三十二
33 ●불부사의법품 제삼십삼지이 ◎佛不思議法品 第三十三 之二
34 여래십신●상해품 제삼십사 ◎如來十身相海品 第三十四
35 여래●수호광명공덕품 제삼십오 ◎如來隨好光明功德品 第三十五
36 ●보현행품 제삼십육 ◎普賢行品 第三十六
37 여래●출현품 제삼십칠 지삼 ◎如來出現品 第三十七 之二
38 ●이세간품 제삼십팔 지칠 ◎離世間品 第三十八 之七
39 ●입법계품 제삼십구 지이십일 ◎入法界品 第三十九 之二十一
>>>
해제
출처 https://kabc.dongguk.edu/content/pop_heje?dataId=ABC_IT_K0080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1. 개요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중인도 마가다국의 보리수 아래서 정각(正覺)을 이루신 지 2ㆍ7일이 되던 때에,
그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으시고 등각(等覺) 보살들을 상수(上首)로 하여 구름처럼 모여 온 대중들을 위하여,
당신의 깨달으신 내용,
곧 자기 마음속에 나타난 경계[自內證]를 그대로 털어 놓으신 근본 경전이다.
그래서 이『화엄경』은 여느 경전이 교화를 받을 만한 대중[對告衆]을 위해서
그들에게 알맞은 법문을 말씀하신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교화를 받을 만한 중생에게 말한 경전을 근기를 따라서 말한 지말법륜(枝末法輪)이라고 한 데 대하여,
이『화엄경』은 법계(法界)의 성품과 어울리는 근본법륜(根本法輪)이라고 한다.
7처에서 9회(會)에 걸쳐 말씀한 것으로 모두 39품 80권으로 되어 있다.
2. 성립과 한역
당나라 중종 임금의 사성(嗣聖) 12년부터 16년까지(서기695년∼699년) 5년 동안에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것이니,
당(唐)나라 때 번역하였다고 해서 당본『화엄경』이라 하고,
80권으로 되었다고 해서 80『화엄』이라고도 한다.
또 동진(東晋) 시대 안제(安帝)의 의희(義熙) 14년부터
공제(恭帝)의 원희(元熙) 원년까지에 불타발타라(佛馱跋陀羅)가 번역한 경(7처 8회 34품,
36권)을 구역이라 함에 대하여 이 경을 신역『화엄경』이라 한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약칭(略稱)으로 『화엄경』이라 한다.
옛날부터 전하는 말에 따르면『화엄경』에 여러 가지 본(本)이 있다고 하였다.
현수대사(賢首大師)의『탐현기(探玄記)』에서는 여섯 가지를 말하였으니,
항본(恒本)ㆍ대본(大本)ㆍ상본(上本)ㆍ중본(中本)ㆍ하본(下本)ㆍ약본(略本) 등이다.
그 가운데 항본과 대본은 시방 법계에서 항상 말씀하는 것으로 그 수량도 엄청나게 많아서 붓으로는 도저히 기록할 수 없는 것이므로 부처님이나 등각 보살들만이 받아 지닐 수 있는 것이라 하고,
상본ㆍ중본은 인도의 용수보살이 용궁에서 한 번 본 것으로 상본은 열 삼천대천세계의 티끌만큼 많은 수효의 게송,
사천하의 티끌만큼 많은 수효의 품이며,
중본은 49만 8천8백 게송,
1천2백 품이라 하니,
염부제 사람으로는 읽을 수 없는 것이어서 용궁에 그냥 두었고,
하본은 10만 게송,
48품이므로,
그것을 가지고 와서 인도에 펼친 것이라 한다.
그러나 하본『화엄경』도 그 전부가 중국에 들어와서 번역된 것이 아니고,
그 중의 어느 부분만 전해 와서 번역되었으니,
이것을 ‘약본(略本)’이라고 한다.
동진(東晋)에서 번역한 60권 경은 3만 8천 게송,
34품이니 이것을 진본(晋本) 또는 60『화엄』이라 하고,
당나라 중종 때에 번역한 80권 경은 4만 5천 게송,
39품이니 이것을 ‘당본(唐本) 또는 60『화엄』이라 하며,
당나라 덕종 정원(貞元) 11년에 남인도 오다(烏茶)국의 사자왕이 친히 써서 보내 온 범본(梵本)을 그 이듬해부터
정원 14년까지에 반야삼장(般若三藏)이 장안의 숭복사에서 번역한 것이 40『화엄경』이다.
<개행>석가모니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뒤에 인도에서 소승불교가 성행하였으므로,
대승불교는 자취를 감추다시피 되어 오랫동안 세상에 알려지지 못하였던 것인데,
부처님 열반하신 지 5백 년쯤 지나서 대승불교의 사상이 머리를 들기 시작하다가 6백 년쯤에는 마명(馬鳴)보살이 나타나서 대승불교의 사상과 학설을 조리 있게 체계를 세웠고,
7백 년쯤에 용수(龍樹)보살이 나서 대승사상을 적극 선전하면서 대승경전을 활발히 연구하게 되었다.<개행>용수보살은 대승불교를 선양하다가 설산에서 어떤 늙은 비구의 인도로 용궁에 들어가서 많은 경전을 보게 되었는데,
그때에 용수는 한없이 많은『화엄경』의 범본(梵本) 가운데서 10만 게(偈) 48품의 하본(下本)『화엄경』을 가지고 와 연구하면서『대부사의론(大不思議論)』10만 게송을 지어 해석하였다고 전한다.
이것이 인도에서 화엄사상이 발달하게 된 시초다.
4. 구성과 내용
약칭(略稱)으로 『화엄경』이라 한다.
옛날부터 전하는 말에 따르면『화엄경』에 여러 가지 본(本)이 있다고 하였다.
현수대사(賢首大師)의『탐현기(探玄記)』에서는 여섯 가지를 말하였으니,
항본(恒本)ㆍ대본(大本)ㆍ상본(上本)ㆍ중본(中本)ㆍ하본(下本)ㆍ약본(略本) 등이다.
그 가운데 항본과 대본은 시방 법계에서 항상 말씀하는 것으로 그 수량도 엄청나게 많아서 붓으로는 도저히 기록할 수 없는 것이므로 부처님이나 등각 보살들만이 받아 지닐 수 있는 것이라 하고,
상본ㆍ중본은 인도의 용수보살이 용궁에서 한 번 본 것으로 상본은 열 삼천대천세계의 티끌만큼 많은 수효의 게송,
사천하의 티끌만큼 많은 수효의 품이며,
중본은 49만 8천8백 게송,
1천2백 품이라 하니,
염부제 사람으로는 읽을 수 없는 것이어서 용궁에 그냥 두었고,
하본은 10만 게송,
48품이므로,
그것을 가지고 와서 인도에 펼친 것이라 한다.
그러나 하본『화엄경』도 그 전부가 중국에 들어와서 번역된 것이 아니고,
그 중의 어느 부분만 전해 와서 번역되었으니,
이것을 ‘약본(略本)’이라고 한다.
동진(東晋)에서 번역한 60권 경은 3만 8천 게송,
34품이니 이것을 진본(晋本) 또는 60『화엄』이라 하고,
당나라 중종 때에 번역한 80권 경은 4만 5천 게송,
39품이니 이것을 ‘당본(唐本) 또는 60『화엄』이라 하며,
당나라 덕종 정원(貞元) 11년에 남인도 오다(烏茶)국의 사자왕이 친히 써서 보내 온 범본(梵本)을 그 이듬해부터 정원 14년까지에 반야삼장(般若三藏)이 장안의 숭복사에서 번역한 것이 40『화엄경』이다.<개행>석가모니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뒤에 인도에서 소승불교가 성행하였으므로,
대승불교는 자취를 감추다시피 되어 오랫동안 세상에 알려지지 못하였던 것인데,
부처님 열반하신 지 5백 년쯤 지나서 대승불교의 사상이 머리를 들기 시작하다가 6백 년쯤에는 마명(馬鳴)보살이 나타나서 대승불교의 사상과 학설을 조리 있게 체계를 세웠고,
7백 년쯤에 용수(龍樹)보살이 나서 대승사상을 적극 선전하면서 대승경전을 활발히 연구하게 되었다.<개행>용수보살은 대승불교를 선양하다가 설산에서 어떤 늙은 비구의 인도로 용궁에 들어가서 많은 경전을 보게 되었는데,
그때에 용수는 한없이 많은『화엄경』의 범본(梵本) 가운데서 10만 게(偈) 48품의 하본(下本)『화엄경』을 가지고 와 연구하면서『대부사의론(大不思議論)』10만 게송을 지어 해석하였다고 전한다.
이것이 인도에서 화엄사상이 발달하게 된 시초다.『화엄경』의 내용은 당나라의 현수(賢首) 대사부터 경의 대강령에 대하여,
글을 따라서는 네 가지로 나누고,
뜻을 따라서는 다섯 번의 원인과 결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 해석이다.<개행>1) 글을 따라서 나누는 네 가지<개행>① 과보를 말하여 신심을 내게 하는[擧果勸樂生信分] 것이니,
제1회에서 말씀한 여섯 품(제1권에서 11권까지)이 비로자나불의 원만한 과보를 말하여 중생으로 하여금 좋아하는 마음과 믿는 마음을 내게 하는 것이다.<개행>② 인행(因行)을 닦아서 과보를 얻음을 말하여 지혜를 내게 하는[修因契果生解分] 것이니,
제2회에서 말씀한 여래명호품으로부터 제7회에서 말씀한 여래출현품까지 31품(제12권에서 52권까지)은 10신과 10주와 10행과 1회향과 10지의 다섯 계단의 인행을 닦아서 부처의 과보를 이루는 일을 말하였는데,
원인과 결과가 서로 계속되며 차례차례 위의 계단으로 올라가는 것을 말한 것으로,
인을 닦아서 과보를 받는 이치에 의지하여 지혜를 내게 하는 것이다.<개행>③ 수행하는 법에 의탁하여 닦아 나아가면 인행을 성취하는[託法進修成行分] 것이니,
제8회에서 말씀한 이세간품(53권에서 59권까지)은 여러 계단의 수행하는 법에 의탁하여 2천 가지의 인행을 닦아서 성취하는 사실을 분명하게 한 것이다.<개행>④ 사람에 의하여 증득하면 과덕을 이룬다는[依人證入成德分] 것이니,
제9회의 입법계품(60권에서 80권까지)에서 선재동자(善財童子)가 53선지식의 가르침을 받으면서 52계단의 인행을 닦아서 법계를 증득하고 훌륭한 덕을 성취하는 것이다.<개행>2) 이 경 내용의 뜻을 따라 다섯 번의 원인과 결과[五周因果]로 나눔<개행>① 제1회의 처음에 말한 세주묘엄품은『화엄경』을 말하게 된 인연을 말한 서문이므로 그것은 제외하고,
제2 여래현상품에서 제5 화장세계품까지는 비로자나불의 과상(果上)의 덕을 말하였고,
제6 비로자나품에서는 옛적에 닦던 인행을 말하였으므로 이것을 믿을 인과[所信因果]라 하고,<개행>② 제2회의 여래명호품에서 제7회의 보살주처품까지 26품에서는 50위의 인행이 차별한 것을 말하였고,
다음의 불부사의법품과 여래십신상해품과 여래수호광명공덕품에서는 부처님 과상의 3덕이 차별한 모양을 말하였으므로 이것을 차별한 인과[差別因果]라 한다.<개행>③ 제7회의 보현행품에는 보현의 원만한 인행을 말하고,
여래출현품에서는 비로자나불의 원만한 과상을 말하였는데,
앞에 있는 차별한 인과의 모양을 융통하여,
인은 반드시 과를 포섭하고 과는 반드시 인을 포섭하는 것이어서 인과 과가 서로 융통하여 둘이 아닌 것을 보였으므로 평등한 인과[平等因果]라 한다.<개행>④ 제8회의 이세간품에는 처음에 2천의 수행하는 법을 말하여 인행을 밝히고,
다음에는 여덟 가지 모양으로 성불하는 큰 작용을 말하여 과위(果位)의 모양을 말하였으므로,
수행을 성취하는 인과[成行因果]라 한다.<개행>⑤ 제9회의 입법계품에는 처음 본회(本會)에서는 부처님의 자유자재한 작용을 말하여 증득하는 과상을 보였고,
다음에는 선재동자가 선지식들을 방문하면서 인행을 닦아서 법계의 법문에 들어가는 일을 말하였으므로 증득하는 인과[證入因果]라 한다.<개행>그러하여 이 경의 내용은 통틀어 다섯 번의 인과를 환히 보인 것이니,
이것을 앞에 말한 네 가지에 배대한다면,
네 가지는 신(信)과 해(解)와 행(行)과 증(證)의 4분인데,
믿을 인과는 신이요,
차별한 인과와 평등한 인과는 해요,
수행을 성취하는 인과는 행이요,
증득하는 인과는 증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글과 뜻이 이 네 가지에 일체하는 것이니『화엄경』의 강령은 신ㆍ해ㆍ행ㆍ증의 넷으로 통일되는 것이다.<개행>이『화엄경』의 7처 9회 39품과 설법한 이들과 다섯 번 인과와 네 가지 부분을 아래에 표시한다.<개행>3).
각 품의 내용<개행>① 세주묘엄품 : 이 품은 9회의 경문을 통한 서문이니,
처음에 부처님께서 보리수 아래서 바른 깨달음을 이루시고 비로자나인 법신으로서 미묘한 덕을 나타낸 것은 경의 근원을 보인 것이고,
다음에 불ㆍ보살들과 세계와 중생들의 광대하고도 그지없이 장엄한 것을 서술하는데,
열 세계의 티끌 수 같이 많은 보살과 몸 많은 신[身衆神]으로부터 대자재천왕에 이르기까지 39중이 구름처럼 모여와서,
걸림 없이 원만한 공덕으로『화엄경』법문을 들을 만한 자격을 갖추고 부처님의 덕을 제각기 찬탄하였으니,
이것으로써 대법을 연설할 도량과 법을 말씀할 교주와 법문을 들을 대중이 함께 원만하여서『화엄경』의 무량한 법문을 일으킬 준비가 온전히 갖추어진 것이다.<개행>② 여래현상품 : 이제 근본 법륜인 큰 법을 연설하기 위하여 모인 대중이 설법을 청하는 것을 말하고,
여래가 여기에 대답하기 위하여서 먼저 상서를 보이는데,
입으로 광명을 놓아서 그지없는 세계와 한량없는 불ㆍ보살을 나타내고,
양 미간의 광명으로는 설법할 법주(法主)를 비추고,
국토를 진동케 하여서 대중을 긴장하게 하고,
다시 부처님 앞에 연꽃이 나타나서 화엄의 정토를 보였으며,
백호(白毫)의 광명으로는 대교의 근본이 부처님으로부터 나오는 것임을 표시하였다.<개행>③ 보현삼매품 : 여래의 장자이며 이 경을 말씀하는 법주들을 대표하는 보현보살은 부처님의 광명을 비추어서 여러 보살의 마음을 짐작하고 부사의한 미묘 법문을 연설하려고,
비로자나여래장신삼매에 들어가서 안으로는 실제(實際)를 관찰하고 밖으로는 대중의 근기를 살펴보아서,
설법할 용의를 완전하게 갖추고,
삼매에서 일어나는 일을 서술하였다.
그러므로 제2품과 제3품은 법을 연설할 의식(儀式)을 밝힌 것이다.<개행>④ 세계성취품 : 여래의 둘레갚음[依報]을 말하여 모든 부처님의 근원이 됨을 밝혔으니,
보현보살이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모든 세계 바다ㆍ중생 바다 등 열 가지 바다를 관찰하고,
부처님의 부사의한 지혜를 찬탄하고,
세계가 생긴 인연과,
의지하여 머무는 형상 체성 등을 말하였다.<개행>⑤ 화장세계품 : 화장장엄세계해는 비로자나불이 과거에 인행을 닦을 적에 엄청난 큰 서원으로 청정하게 장엄한 것임을 말하였는데,
보현보살은 세계해가 생긴 모양을 말할 적에 맨 밑에는 수없는 바람둘레[風輪]가 있고,
세계해의 주위에는 큰 철위산이 있고,
그 안에 금강으로 된 땅이 있는데,
땅 위에는 수 없는 향수 바다가 있고,
그 사이에 향수 강이 흐르며,
그 수없는 향수 바다 가운데는 말할 수 없는 세계종이 있고,
한 세계종마다 말할 수 없는 세계가 있다고 말하였다.<개행>⑥ 비로자나품 : 위에서 말한 훌륭한 세계는 반드시 그러한 원인이 있다고 말하면서 “지나간 세상 말할 수 없이 오랜 겁 전에 승음(勝音)세계가 있었고,
그 세계에 일체공덕산수미승운부처님께서 계셨는데,
그 나라의 대위광(大威光) 태자가 그 부처님을 섬기면서,
모든 삼매와 다라니와 반야바라밀과 대자ㆍ대비ㆍ대희ㆍ대사ㆍ대원과 큰 변재를 얻었고,
그 부처님께서 열반하신 뒤에 다시 세 부처님을 섬기다가 목숨을 마치고,
다시 수미산에 태어나서 부처님의 법문을 듣고 삼매의 힘으로 실상 바다에 들어가서 이익을 얻었다”라는 일을 말하였으니,
그 대위광 태자가 곧 비로자나불의 전신이란 뜻이다.
이리하여 제1회의 6품은 모두 믿을 대상으로서의 부처님과 세계의 묘한 공덕과 훌륭한 인행을 보인 것이니,
이것이 곧 믿을 인과며,
과보를 말하여 신심을 내게 하는 ‘거과권락생신분(擧果勸樂生信分)’이다.<개행>⑦ 여래명호품 : 제1의 6품에는 믿을[所信] 대상으로 과위(果位)의 공덕을 보였으므로,
제2회의 6품에서는 믿는[能信] 행을 보였으니 곧 10신(信)이다.
이 품의 처음에는 제2회의 서론(序論)을 말하였고,
다음은 시방세계에 있는 부처님의 명호를 말하였으니,
부처님의 하시는 업은 모든 근기에 맞추어 가지가지 묘한 상호를 보이며 자유롭게 화현함을 나타낸 것이다.
명호는 덕을 표현하는 것이므로 명호로써 부처님의 몸으로 하시는 업을 보인 것이다.<개행>⑧ 사성제품 : 중생의 욕망이 각각 다르므로 부처님의 가르치는 방법도 같지 않음을 보이기 위하여,
시방 법계의 모든 세계에서 4성제를 일컫는 이름이 제각기 다른 것을 들어서 부처님의 입으로 하시는 업이 헤아릴 수 없음을 보였다.<개행>⑨ 광명각품 : 부처님은 발바닥으로 백억의 광명을 놓아서 삼천대천세계에 있는 가지가지 차별한 현상을 비추고,
문수보살은 지혜의 광명으로 평등한 이치를 비추매,
몸의 광명과 지혜의 광명이 합하여 하나가 되어 진리와 현상이 원융한 이치를 깨닫게 하였다.
대개 뜻으로 하는 업은 헤아릴 수 없이 자재한 것이므로 광명으로써 보인 것이다.
이상의 3품은 믿음의 의지가 될 과위의 덕을 밝혔고,
다음의 3품에서는 능히 믿는[能信]행을 보였는데,
믿는 데는 지해(知解)와 수행과 공덕이 있는 것이다.<개행>보살문명품 : 문수보살이 재수ㆍ보수 등 아홉 보살에게 차례차례 연기와 교화와 업과와 설법과 복밭과 바른 가르침과 바른 행과 도를 돕는 일과 한결같은 도의 아홉 가지 깊은 이치를 물었는데,
아홉 보살은 각각 게송으로 대답하였고,
아홉 보살의 물음에 대하여 문수보살도 게송으로 “여래의 깊은 경계는 허공과 같아서 일체 중생이 거기 들어가면서도 실제로는 들어가는 데가 없다”라고 대답하여 믿음의 근거가 되는 지해(知解)를 내게 하였다.<개행>정행품 : 바른 지해에 대한 바른 행을 보이기 위하여 일상생활의 기거동작과,
보고 듣는 대로 서원을 내어 행을 깨끗하게 하는 일을 밝혔는데,
그것을 141수의 게송으로 말하였다.<개행>현수품 : 행을 닦는 데는 반드시 덕이 나타나는 것이므로,
지해와 수행이 원만하여서 보현의 수승한 공덕을 밝힌 것이다.
문수보살의 요청으로 현수보살이 357수의 게송으로 믿는 공덕을 찬탄하고,
다시 한량없는 큰 작용을 들어 열 가지 삼매를 말하며 교묘한 비유로 깊은 뜻을 말하였고,
끝으로 법이 깊고 얕은 것과 믿고 이해하기에 어렵고 쉬운 것을 비교하여 실제로 증득함을 보여서 제2회의 설법을 마쳤다.<개행>승수미산정품 : 여기서부터는 제3회인데 참으로 보살이 수행하는 계단에 들어가는 것으로서 10주(住)의 법문을 말한 것이다.
이 품은 부처님께서 성도하신 보리수를 떠나지 않고 수미산 꼭대기 제석천궁에 올라가서 걸림없이 화신을 나타내는 일을 보이셨는데,
제석천왕이 게송으로 부처님을 찬탄하였다.<개행>수미정상게찬품 : 시방의 부처님 세계에서 법혜보살 등 열 보살이 티끌 수만큼 많은 보살들과 함께 와서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여 제3회의 서론이 되었다.<개행>십주품 : 본론으로서 십주품에서는 법혜보살이 부처님의 가피하심을 받들어 무량방편삼매(無量方便三昧)에 들었고,
부처님께서 여러 가지 지혜를 주심을 받고는 삼매에서 일어나서 10주의 법문을 말하였으니 이른바 초발심주(初發心住)ㆍ치지주(治地住)ㆍ수행주(修行住)ㆍ생귀주(生貴住)ㆍ구족방편주(具足方便住)ㆍ정심주(正心住)ㆍ불퇴주(不退住)ㆍ동진주(童眞住)ㆍ법왕자주(法王子住)ㆍ관정주(灌頂住)이다.<개행>범행품 : 앞에서는 10주의 지위를 위주하여 행을 말하였고,
여기서는 통틀어서 청정한 행을 말하고,
참된 지혜에 의지하여 여래의 열 가지 힘을 닦으므로,
관(觀)과 행(行)이 서로 어울리고 자비와 지혜가 원융하여 처음 발심하는 자리에서 곧 바른 깨달음을 이룬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개행>초발심공덕품 : 위에서 수행하는 지위를 갖추었으므로 훌륭한 공덕이 저절로 나타나는 것이니,
10주의 공덕은 한 계단보다 다음 한 계단이 더 훌륭함을 말하였다.
그 중에서 특별히 초발심주의 공덕을 찬탄하였는데,
처음 발심한 공덕은 광대하고 끝이 없어 보현보살의 모든 덕을 포섭하였으며,
인행과 과덕을 구족한 것으로 그 공덕이 법계와 동등하다고 말하였다.<개행>명법품 : 전품에서 초발심 공덕을 말한 데 대하여,
이 품에서는 정진혜보살의 물음을 받고 법혜보살이 방일하지 않는 열 가지 행법과 행법으로부터 이루는 열 가지 청정한 법을 말하였으니,
이것은 이 계단의 행을 원만하게 닦아서 다음 계단으로 나아가는 것을 밝힌 것으로서 제3회를 마친 것이다.<개행>승야마천궁품 : 여기서부터는 제4회의 설법으로 4품이 있으니 10행(行)의 법을 말한 것이다.
첫 품은 부처님께서 일체의 보리수 아래와 일체의 수미산 꼭대기를 떠나지 않고서,
야마천궁의 보장엄전(寶莊嚴殿)으로 향하시는데,
야마천왕은 궁전 안에 보련화장 사자좌를 변화로 만들어 놓고 게송을 말하여 부처님을 영접하였다.<개행>야마궁중게찬품 : 이 품에서 부처님의 신통력으로써 시방세계에서 공덕림보살과 혜림보살 등의 열 보살이 한량없는 보살들과 함께 모여 와서 게송으로 부처님을 찬탄하였다.<개행>십행품 : 이 품은 제4회의 본론으로서 보살의 열 가지 행을 말한 것이니,
공덕보살이 선사유(善思惟)삼매에 들어서 여러 부처님께서 가피하시는 지혜를 받들고,
삼매에서 일어나서 보살의 열 가지 행을 말하였다.<개행>㉠ 환희행은 모든 소유물을 보시하는데 아끼지도 않고 갚음을 바라지도 않고,
다만 일체 중생을 구호함으로써 그들을 환희케 함이다.<개행>㉡ 요익(饒益)행은 계행을 잘 지니면서 빛깔ㆍ소리ㆍ냄새ㆍ맛ㆍ닿음에 집착하지 않으며,
중생에게 이것을 말하여서 재물을 구하지도 말고 몸매를 구하지도 말고,
그리하여 마군의 장애를 받지도 않고 다른 이를 시끄럽게 하지도 않으며,
내지 중생으로 하여금 보리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개행>㉢ 무위역(無違逆)행은 항상 참고 공경하여 저와 남을 해롭게도 하지 않고,
저와 남을 집착하지도 않으며,
훼방하고 해롭게 함을 참고,
자기가 불법 가운데 있으면서 다른 이로 하여금 법을 얻게 함이다.<개행>㉣ 무굴요(無屈撓)행은 꾸준히 노력하여 모든 번뇌와 습기[習]를 없애고,
내지 이런 행으로 모든 중생을 남음이 없는 열반[無餘涅槃]에 이르게 함이다.<개행>㉤ 무치란(無癡亂)행은 바른 생각을 성취하여 마음이 산란치 않고 견고하여 동요하지 않으며,
청정하고 미혹하지 않아서,
내지 바른 법으로 중생을 교화하여 필경에 남음이 없는 열반을 얻게 하려고 염원하는 것이다.<개행>㉥ 선현(善現)행은 몸과 입과 뜻으로 짓는 업이 청정하여 얻는 바가 없는 데 머물며,
허망도 없고 속박도 없으며,
드러내어 보이는 것은 성품도 없고 의지도 없으며,
내지 진실한 법에 들어가고 출세간법에 들어가며,
끝끝내 중생들을 성취하고 조복하는 것이다.<개행>㉦ 무착(無着)행은 집착이 없는 마음으로 아승기 세계에 들어가서 부처님께 공양하고 지음이 없는 법을 끝까지 얻으려는 것이며,
보살의 수기를 얻고 중생의 자비와 선근을 증장케 하는 것이다.<개행>㉧ 난득(難得)행은 얻기 어렵고 굴복하기 어려운 선근을 성취하고 광대한 변재를 얻으며,
큰 서원이 쉬지 않고 중생을 교화하여 부처님의 도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개행>㉨ 선법(善法)행은 모든 천상 사람 인간 사람과 사문과 범천들을 위하여 서늘한 법의 못을 만들고 바른 법을 유지하여 부처님의 종자가 끊어지지 않게 하며,
모든 중생을 이익케 하면서도 벗어나는 중생을 보지 않으며,
또 열 가지 몸을 성취하여 여러 중생의 의지할 데가 되는 것이다.<개행>㉩ 진실행은 가장 진실한 말을 성취하고 말한 대로 행하며,
행하는 것 같이 말하여,
삼세 부처님들의 진실한 말을 배우고 선근이 동등하여 여래를 따라 배우고 지혜를 성취함이다.
이러할 적에 시방의 세계가 여섯 가지로 진동하고 무수한 보살들이 와서 공덕림보살을 찬탄하였으며,
공덕림보살은 게송으로 10행의 뜻을 말하였다.<개행>십무진장품 : 끝으로 이 품에서 공덕림보살이 이 계단에서 더 훌륭하게 나아가는 덕을 보이는데 열 가지 무진한 행상을 말하고 제4회의 법문을 마쳤다.<개행>승도솔천궁품 : 부처님께서 보리수 아래와 내지 야마천궁을 떠나지 않고 도솔타천으로 올라가셔서 보배로 장엄한 궁전으로 나아가시는데,
도솔타천왕은 궁전에 마니장 사자좌를 베풀고 세존을 영접하였다.<개행>도솔궁중게찬품 : 이 품에서는 시방에서 각각 큰 보살이 티끌 수 보살들과 함께 와서 부처님께 예배하고,
금강당을 우두머리로 하여 열 보살이 게송으로 부처님을 찬탄하여 제5회의 서론이 되었다.<개행>십회향품 : 금강당보살이 지광(智光)삼매에 들어서 부처님의 한량없는 지혜를 얻었고,
그 삼매에서 일어나 열 가지 회향을 말하였는데,
각각 세 곳으로 회향하였으니,
대비심을 중생에게 베풀어 교화하기 위하여서는 아래로 중생에게 회향하고,
위로 보리를 구하기 위하여서는 보리에 회향하고,
회향하는 사람이나 이치가 모두 고요함으로는 진여의 실제에 회향하여서 그지없는 수행의 바다로 보현 법계의 공덕을 성취하는 일을 말하였다.<개행>이 회에 더 훌륭하게 나아가는 행을 말하지 않은 것은,
이 회향은 앞에 말한 10주와 10행을 포함하여 위로 10지에 올라가는 방편이므로 10회향의 전체가 위로 나아가는 덕인 연고다.<개행>십지품 : 제5회의 설법을 마친 부처님은 타화자재(他化自在)천궁의 마니보장전에서 다른 세계에서 온 여러 보살들과 함께 계셨는데,
그 보살들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물러나지 않으며,
모든 보살의 지혜로 머물러 있는 경지에 머물렀으며 내지 모든 수행을 원만하게 이룬 이들이었다.
그 중의 금강장보살이 부처님의 신력을 받들어 대지혜광명삼매에 들어가서 시방의 부처님들로부터 일체 여래의 가장 미묘한 몸과 입과 뜻으로 구족한 장엄을 받고,
삼매에서 일어나 10지의 행상을 말하였으니,
곧 환희지(歡喜地)ㆍ이구지(離垢地)ㆍ발광지(發光地)ㆍ염혜지(焰慧地)ㆍ난승지(難勝地)ㆍ현전지(現前地)ㆍ원행지(遠行地)ㆍ부동지(不動地)ㆍ선혜지(善慧地)ㆍ법운지(法雲地)이다.
이 10지의 수행하는 법은 보살 수행의 중심이 되는 것이다.
앞에 말한 3회의 수행은 3현(賢)이라 하니 그 관하는 행이 비등한 관찰이거니와,
이 10지에 들어가면 비로소 친히 증득하여 과(果)를 이루는 것이며,
열 가지 바라밀에 배대하여 10지의 수행하는 모양을 밝혔다.
본래 한 지위가 모든 지위를 포함하였고 한 가지 행에 온갖 행이 갖추어진 보현의 원만융통한 수행이므로,
열 가지 바라밀의 차례에 배대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였지마는,
실제로는 지(地)마다 열 가지 바라밀행이 구족하여 있어 서로서로 원융한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개행>십정품 : 제7회의 처음 설법으로서,
이 회에서 말한 11품에 대한 서론과,
지혜의 근본인 열 가지 선정을 말한 것이다.<개행>부처님께서 마가다국의 아란야법보리도량에 있는 보광명전에서 찰나짬[刹那際]삼매에 들어 여래의 모습을 나타내고,
형상이 없는 데 머물렀다.<개행>그때 금강혜보살과 여러 보살들이 모여 왔는데,
보안보살이 보살들의 부사의하고 광대한 삼매를 부처님께 물었고,
부처님은 보현보살에게 설명하기를 청하고,
또 보살에게는 넓은 광명ㆍ묘한 광명 등의 열 가지 삼매가 있는데,
이 삼매를 닦아 이루면 여래가 된다고 하셨다.<개행>보현보살은 부처님의 명을 받아 열 가지 삼매를 말하였으니,
넓은 광명 삼매ㆍ묘한 광명 삼매ㆍ여러 부처님 국토에 차례로 가는 삼매ㆍ청정하고 깊은 마음의 행 삼매ㆍ과거에 장엄한 갈무리를 아는 삼매ㆍ지혜 광명의 갈무리 삼매ㆍ모든 세계 부처님의 장엄을 아는 삼매ㆍ일체 중생의 차별한 몸 삼매ㆍ법계에 자재한 삼매ㆍ걸림없는 바퀴 삼매들이다.<개행>십통품 : 선정을 의지하여 일어나는 보살의 신통을 말한 것이니,
다른 이의 마음을 아는 신통ㆍ걸림없는 하늘 눈 신통ㆍ전생 일을 아는 신통ㆍ내생 일을 아는 신통ㆍ걸림없이 청정한 하늘 귀 신통ㆍ성품도 없고 동작도 없이 모든 세계에 가는 신통ㆍ모든 말을 잘 분별하는 신통ㆍ수없이 형상 몸을 나누는 신통ㆍ모든 법을 아는 신통ㆍ모든 법이 다 없어지는 삼매에 들어가는 신통이다.<개행>십인품 : 열 가지 신통의 의지가 되는 지혜인 인(忍)을 말한 것이니,
음성인ㆍ순인ㆍ무생인ㆍ눈어리 같은 인ㆍ아지랑이 같은 인ㆍ꿈같은 인ㆍ메아리 같은 인ㆍ그림자 같은 인ㆍ변화와 같은 인ㆍ허공과 같은 인들이다.<개행>아승기품 : 심왕보살의 물음에 대하여 부처님께서 친히 말씀하신 것이니,
1백 낙차가 한 구지요,
구지씩 구지가 한 아유다요,
이렇게 하여서 105째가 한 아승기요,
124째가 한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음 곱이라고 말씀하셨다.<개행>여래수량품 : 모든 부처님 세계의 수명을 심왕보살이 말한 것이니,
이 사바세계인 석가모니부처님 세계의 한 겁은 극락세계 아미타불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이 되고,
극락세계의 한 겁은 가사당 세계 금강견부처님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이 되며,
이렇게 차례차례로 아승기 세계를 지나가서 마지막 세계의 한 겁은 승련화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이 되는데,
보현보살과 함께 수행하는 큰 보살들이 모두 그 가운데 가득하였다고 말하였다.<개행>보살주처품 : 보살들의 머무는 것은 끝닿은 데가 없다고 심왕보살이 말한 것이니,
동방의 선인산에는 옛적부터 여러 보살이 있었는데,
지금은 금강승보살이 있으면서 그 권속들에게 법을 말하며,
남방ㆍ서방ㆍ북방으로,
내지 건타라국에도 옛적부터 보살들이 있는 데라고 말하였다.<개행>불부사의품 : 닦아서 생기는 과덕의 부사의함을 말한 것이니,
그때 보살들 생각에 ‘부처님의 국토ㆍ서원ㆍ종성ㆍ부처님 몸ㆍ음성ㆍ지혜들에는 어떠한 부사의가 있는가’라고 함을 부처님께서 아시고,
청련화장보살에게 가지(加持)하여,
다함이 없는 지혜의 문을 알게 하고,
여러 보살에게 말하게 하였다.<개행>청련화장보살은 “세존은 한량없이 머무시는 곳이 있고,
또 그지없는 청정한 몸과 걸림이 없는 눈들의 열 가지 법이 있어 한량없고 그지없는 법계에 두루하였고,
또 열 가지 지혜ㆍ열 가지 때를 놓치지 않음ㆍ견줄 데 없는 부사의한 경계ㆍ끝까지 청정함ㆍ그지없는 지혜 바다ㆍ부사의한 부처님 삼매ㆍ걸림없는 해탈 등 32문이 있다”라고 말하였다.<개행>여래십신상해품 : 여래에게 있는 여러 가지 복덕의 모습을 말하였으니 “여래의 정수리에는 보배로 장엄한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모습이 있으며,
그 가운데서는 한량없는 광명 그물이 있어 여러 가지 광명을 놓고,
여래의 눈ㆍ코ㆍ혀ㆍ입ㆍ이ㆍ어깨ㆍ가슴ㆍ손ㆍ발ㆍ발가락에까지 아흔일곱의 거룩한 모습을 비롯하여,
세계의 티끌 수 거룩한 모습이 있다”라고 보현보살이 말하였다.<개행>여래수호광명공덕품 : 여래에게 갖추어져 있는 잘생긴 모습의 공덕을 말한 것이니,
세존께서 보수보살에게 말씀하시기를 “여래에게는 원만왕이라는 잘생긴 모습이 있고,
그 가운데 치성이라는 큰 광명이 있는데,
7백만 아승기 광명으로 권속을 삼았느니라.
내가 보살로 있을 적에 도솔천궁에서 큰 광명을 놓았으니 이름이 빛난 당기왕이며,
티끌 수 세계의 지옥 중생들이 고통이 쉬어져 환희하면서 목숨을 마치고는 도솔천에 났고,
그리고 여래의 발바닥에서 두루 비추는 왕이라는 광명을 놓으니,
아비지옥 중생들이 이 광명에 비치어서 천상에 났느니라.
그때 하늘 북에서 소리를 내어 이 천자들에게 미묘한 법을 말하니,
천자들이 그 법문을 듣고는 기뻐하면서 비로자나여래께 공양하였느니라”라고 하였다.<개행>이 경이 39품인데 거의가 보살이 말하였고,
부처님께서 친히 말씀하신 것은 아승기품과 이 수호광명공덕품뿐이다.<개행>보현행품 : 제2회의 여래명호품으로부터 앞의 여래수호광명공덕품까지는 차별한 인과를 말하였고,
이 품과 아래의 여래출현품은 평등한 인과를 말하였는데,
이 품은 보현보살의 평등한 인행을 말하였다.<개행>“여래는 교화를 받을 중생을 위하여 세상에 나시거니와,
만일 보살이 다른 보살에 대하여 성내는 마음을 일으키면,
보살을 보지 못하는 장난ㆍ바른 법을 듣지 못하는 장난ㆍ부정한 세계에 태어나는 장난ㆍ나쁜 길에 태어나는 장난 따위의 백만 장난을 이루게 되느니라.
그러므로 보살이 보살의 행을 빨리 만족하려면,
모든 중생을 버리지 않고,
여러 보살을 여래와 같이 생각하고,
부처님 법을 비방하지 말고,
보살의 행을 매우 좋아하는 열 가지 법을 닦아야 하고,
열 가지 청정함을 구족하고,
열 가지 광대한 법을 갖추고,
열 가지 두루 들어가는 데 들어가고,
열 가지씩 묘한 마음에 머물러서,
열 가지 부처님 법의 교묘한 지혜를 얻으면,
위가 없는 바른 깨달음을 얻어서 삼세 부처님들과 평등하게 된다”라고 보현보살이 말하였다.<개행>여래출현품 : 앞의 품이 평등한 인을 말한 데 대하여,
여기서는 평등한 과를 말하였다.<개행>보현보살은 묘덕보살 등에게 이렇게 말하였다.<개행>“여래는 한 가지 인연이나 한 가지 사실로써 나시는 것이 아니고,
열 가지의 한량없는 아승기 인연으로 나시나니,
모든 중생들을 구호할 수 있는 대자대비를 이루기 위하여,
서로 계속하는 행과 원을 이루기 위하여,
내지 법과 이치를 통달하기 위하는 등이니,
마치 삼천대천세계가 한량없는 인연과 한량없는 사실로써 이루어지는 것과 같으니라.”<개행>이세간품 : 제8회의 서론과 본론이니,
위의 여러 회에서 보살의 수행할 계단을 말한데 대하여,
여기서는 모든 지위를 포섭하여 실제로 수행함을 말하였다.
세존께서 마가다국의 고요한 법 보리도량에 있는 보광명전에 계셨는데,
보현보살이 불화장엄삼매에 들었다가 일어나니,
보혜보살이 물었다.<개행>“어떤 것이 보살의 의지며 기특한 생각이며 행이며 선지식이며 부지런한 정진이며 마음이 편안함을 얻음이며 중생을 성취함이며 계율이며 스스로 수기 받을 줄을 알음이며 보살에 들어감이며 여래에 들어감이며 중생의 마음에 들어감이며,
내지 여래의 반열반을 보이심이냐?”라고 2백 가지를 물었고,
보현보살은 한 가지 물음에 열 가지씩 대답하여 모두 2천 대답을 하였다.<개행>처음 2백 대답은 10신의 행을 말한 것이요,
둘째 2백 대답은 10주의 행을 말한 것이요,
셋째 3백 대답은 10행의 행을 말한 것이요,
넷째 290대답은 10회향의 행을 말한 것이요,
다섯째 5백 대답은 10지의 행을 말한 것이요,
여섯째 5백 열 대답은 인이 원만하고 과가 만족함을 말한 것이니,
곧 등각의 지위이다.<개행>입법계품 : 제9회의 서론과 본론이니,
위의 이세간품까지의 8회에서 말한 것을 선재동자라는 한 사람의 수행자가 실천하는 것을 말하였다.<개행>40 『화엄경』은 이 입법계품을 독립된 한 경으로 만든 것이다.<개행>세존께서 사위국에 있는 기수급고독 장자의 동산에서 보현ㆍ문수를 우두머리로 한 5백 보살과 5백 성문과 함께 계실 적에 사자의 기운 뻗는 삼매에 드셨다.
그때 시방에서 각각 티끌 수만큼 많은 보살들이 모여 와서 부처님을 찬탄하였고,
보현보살은 열 가지 법으로 사자의 기운 뻗는 삼매의 뜻을 말하였다.
세존은 모든 보살들을 이 삼매에 머물게 하기 위하여 미간의 흰 털로 큰 광명을 놓아 시방세계에 두루 비추니,
모든 보살은 온갖 세계의 장엄을 보고,
여래의 공덕 바다에 깊이 들어갔으니,
이것을 기타숲의 근본 법회라 한다.<개행>문수사리보살이 기타숲에서 떠나 사리불ㆍ목건련 등 여러 사람을 데리고 남쪽으로 가다가,
복성의 동쪽에 이르러 장엄한 당기의 사라숲 속에 있는 탑에 머무르니,
우바새ㆍ우바이ㆍ동자ㆍ동녀들이 무수히 모여 왔다.<개행>문수보살은 그 중에서 바른 법을 받아 지닐 만한 선재동자를 발견하고 “그대는 이미 보리심을 내었으니,
온갖 지혜를 성취하려거든 선지식을 찾아서 그들의 가르침을 순종해야 하느니라.
여기서부터 남방으로 가면서 여러 선지식을 방문하고 행을 닦으라”라고 하였다.<개행>선재동자는 문수보살이 가르친 대로 남방으로 110성을 지나가면서 53선지식을 찾아서 각각 묘한 법문을 얻었으니,
이것을 가지 법회라 한다.
처음 문수보살을 만난 것은 10신을 얻은 것이고,
남방으로 매우 즐거운 나라에서 덕운 비구를 찾아서는 모든 부처님의 경계를 생각하는 지혜의 광명으로 두루 보는 법문을 얻고,
덕운 비구의 지시로 해문국에 가서 해운 비구를 찾았다.
이렇게 선주 비구ㆍ미가 장자ㆍ해탈 장자ㆍ해당 비구ㆍ휴사 우바이ㆍ비목선인ㆍ승녈 바라문ㆍ자행 동녀를 찾아서,
각각 한 법문을 얻었으니,
이것은 10주의 법이라 한다.<개행>또 남으로 가면서 자재주 동자ㆍ구족 우바이ㆍ명지 거사ㆍ법보계 장자ㆍ보안 장자ㆍ싫은 줄 모르는 왕ㆍ부동 우바이ㆍ변행 외도에게서 얻은 것은 10행의 법이라 한다.<개행>또 향팔이 장자ㆍ바시라 뱃사공ㆍ무상승 장자ㆍ사자빈신 비구니ㆍ바수밀다 여인ㆍ비슬지라 거사ㆍ관자재보살ㆍ정취보살ㆍ대천신ㆍ잘 머무는 땅 맡은 신에게서 얻은 것은 10회향의 법이라 한다.<개행>바산바연지 밤 맡은 신ㆍ보덕정광신ㆍ기쁜 눈으로 중생 보는 신ㆍ중생을 널리 구호하는 신ㆍ고요한 음성 바다 신ㆍ모든 성 수호하는 신ㆍ나무 꽃 피우는 신ㆍ정진하는 행으로 중생을 구호하는 신ㆍ룸비니숲 신ㆍ석가녀 구피(求彼)에게서 얻은 것은 10지의 법이라 한다.<개행>마야부인ㆍ하늘님 광명 아씨ㆍ모든 이의 벗 꼬마 선생ㆍ모든 예술 잘 아는 동자ㆍ현승 우바이ㆍ견고한 해탈 장자ㆍ묘한 달 장자ㆍ이길 이 없는 군대 장자ㆍ고요한 바라문ㆍ덕 나는 동자ㆍ미륵보살을 찾고,
문수보살을 다시 만나서 각각 법문을 얻은 것은 등각의 행이라 한다.<개행>마지막으로 보현보살에게서 열 가지 깨뜨릴 수 없는 지혜 법문을 얻고,
보현보살의 털구멍에 들어가 수없는 세계를 지나가면서 모든 경계가 부처님과 평등하게 된 것은 묘각의 법이라 한다.<개행>그때 시방의 세계들이 여섯 가지로 진동하고,
부처님은 보현보살을 찬탄하고 보현보살은 게송을 말하여 화엄법회를 마쳤다.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pt op tr] fr
_M#]
1. 개요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중인도 마가다국의 보리수 아래서 정각(正覺)을 이루신 지 2ㆍ7일이 되던 때에,
그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으시고 등각(等覺) 보살들을 상수(上首)로 하여 구름처럼 모여 온 대중들을 위하여,
당신의 깨달으신 내용,
곧 자기 마음속에 나타난 경계[自內證]를 그대로 털어 놓으신 근본 경전이다.
그래서 이『화엄경』은 여느 경전이 교화를 받을 만한 대중[對告衆]을 위해서
그들에게 알맞은 법문을 말씀하신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교화를 받을 만한 중생에게 말한 경전을 근기를 따라서 말한 지말법륜(枝末法輪)이라고 한 데 대하여,
이『화엄경』은 법계(法界)의 성품과 어울리는 근본법륜(根本法輪)이라고 한다.
7처에서 9회(會)에 걸쳐 말씀한 것으로 모두 39품 80권으로 되어 있다.
2. 성립과 한역
당나라 중종 임금의 사성(嗣聖) 12년부터 16년까지(서기695년∼699년) 5년 동안에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것이니,
당(唐)나라 때 번역하였다고 해서 당본『화엄경』이라 하고,
80권으로 되었다고 해서 80『화엄』이라고도 한다.
또 동진(東晋) 시대 안제(安帝)의 의희(義熙) 14년부터
공제(恭帝)의 원희(元熙) 원년까지에 불타발타라(佛馱跋陀羅)가 번역한 경(7처 8회 34품,
36권)을 구역이라 함에 대하여 이 경을 신역『화엄경』이라 한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약칭(略稱)으로 『화엄경』이라 한다.
옛날부터 전하는 말에 따르면『화엄경』에 여러 가지 본(本)이 있다고 하였다.
현수대사(賢首大師)의『탐현기(探玄記)』에서는 여섯 가지를 말하였으니,
항본(恒本)ㆍ대본(大本)ㆍ상본(上本)ㆍ중본(中本)ㆍ하본(下本)ㆍ약본(略本) 등이다.
그 가운데 항본과 대본은 시방 법계에서 항상 말씀하는 것으로 그 수량도 엄청나게 많아서 붓으로는 도저히 기록할 수 없는 것이므로 부처님이나 등각 보살들만이 받아 지닐 수 있는 것이라 하고,
상본ㆍ중본은 인도의 용수보살이 용궁에서 한 번 본 것으로 상본은 열 삼천대천세계의 티끌만큼 많은 수효의 게송,
사천하의 티끌만큼 많은 수효의 품이며,
중본은 49만 8천8백 게송,
1천2백 품이라 하니,
염부제 사람으로는 읽을 수 없는 것이어서 용궁에 그냥 두었고,
하본은 10만 게송,
48품이므로,
그것을 가지고 와서 인도에 펼친 것이라 한다.
그러나 하본『화엄경』도 그 전부가 중국에 들어와서 번역된 것이 아니고,
그 중의 어느 부분만 전해 와서 번역되었으니,
이것을 ‘약본(略本)’이라고 한다.
동진(東晋)에서 번역한 60권 경은 3만 8천 게송,
34품이니 이것을 진본(晋本) 또는 60『화엄』이라 하고,
당나라 중종 때에 번역한 80권 경은 4만 5천 게송,
39품이니 이것을 ‘당본(唐本) 또는 60『화엄』이라 하며,
당나라 덕종 정원(貞元) 11년에 남인도 오다(烏茶)국의 사자왕이 친히 써서 보내 온 범본(梵本)을 그 이듬해부터
정원 14년까지에 반야삼장(般若三藏)이 장안의 숭복사에서 번역한 것이 40『화엄경』이다.
<개행>석가모니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뒤에 인도에서 소승불교가 성행하였으므로,
대승불교는 자취를 감추다시피 되어 오랫동안 세상에 알려지지 못하였던 것인데,
부처님 열반하신 지 5백 년쯤 지나서 대승불교의 사상이 머리를 들기 시작하다가 6백 년쯤에는 마명(馬鳴)보살이 나타나서 대승불교의 사상과 학설을 조리 있게 체계를 세웠고,
7백 년쯤에 용수(龍樹)보살이 나서 대승사상을 적극 선전하면서 대승경전을 활발히 연구하게 되었다.<개행>용수보살은 대승불교를 선양하다가 설산에서 어떤 늙은 비구의 인도로 용궁에 들어가서 많은 경전을 보게 되었는데,
그때에 용수는 한없이 많은『화엄경』의 범본(梵本) 가운데서 10만 게(偈) 48품의 하본(下本)『화엄경』을 가지고 와 연구하면서『대부사의론(大不思議論)』10만 게송을 지어 해석하였다고 전한다.
이것이 인도에서 화엄사상이 발달하게 된 시초다.
4. 구성과 내용
약칭(略稱)으로 『화엄경』이라 한다.
옛날부터 전하는 말에 따르면『화엄경』에 여러 가지 본(本)이 있다고 하였다.
현수대사(賢首大師)의『탐현기(探玄記)』에서는 여섯 가지를 말하였으니,
항본(恒本)ㆍ대본(大本)ㆍ상본(上本)ㆍ중본(中本)ㆍ하본(下本)ㆍ약본(略本) 등이다.
그 가운데 항본과 대본은 시방 법계에서 항상 말씀하는 것으로 그 수량도 엄청나게 많아서 붓으로는 도저히 기록할 수 없는 것이므로 부처님이나 등각 보살들만이 받아 지닐 수 있는 것이라 하고,
상본ㆍ중본은 인도의 용수보살이 용궁에서 한 번 본 것으로 상본은 열 삼천대천세계의 티끌만큼 많은 수효의 게송,
사천하의 티끌만큼 많은 수효의 품이며,
중본은 49만 8천8백 게송,
1천2백 품이라 하니,
염부제 사람으로는 읽을 수 없는 것이어서 용궁에 그냥 두었고,
하본은 10만 게송,
48품이므로,
그것을 가지고 와서 인도에 펼친 것이라 한다.
그러나 하본『화엄경』도 그 전부가 중국에 들어와서 번역된 것이 아니고,
그 중의 어느 부분만 전해 와서 번역되었으니,
이것을 ‘약본(略本)’이라고 한다.
동진(東晋)에서 번역한 60권 경은 3만 8천 게송,
34품이니 이것을 진본(晋本) 또는 60『화엄』이라 하고,
당나라 중종 때에 번역한 80권 경은 4만 5천 게송,
39품이니 이것을 ‘당본(唐本) 또는 60『화엄』이라 하며,
당나라 덕종 정원(貞元) 11년에 남인도 오다(烏茶)국의 사자왕이 친히 써서 보내 온 범본(梵本)을 그 이듬해부터 정원 14년까지에 반야삼장(般若三藏)이 장안의 숭복사에서 번역한 것이 40『화엄경』이다.<개행>석가모니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뒤에 인도에서 소승불교가 성행하였으므로,
대승불교는 자취를 감추다시피 되어 오랫동안 세상에 알려지지 못하였던 것인데,
부처님 열반하신 지 5백 년쯤 지나서 대승불교의 사상이 머리를 들기 시작하다가 6백 년쯤에는 마명(馬鳴)보살이 나타나서 대승불교의 사상과 학설을 조리 있게 체계를 세웠고,
7백 년쯤에 용수(龍樹)보살이 나서 대승사상을 적극 선전하면서 대승경전을 활발히 연구하게 되었다.<개행>용수보살은 대승불교를 선양하다가 설산에서 어떤 늙은 비구의 인도로 용궁에 들어가서 많은 경전을 보게 되었는데,
그때에 용수는 한없이 많은『화엄경』의 범본(梵本) 가운데서 10만 게(偈) 48품의 하본(下本)『화엄경』을 가지고 와 연구하면서『대부사의론(大不思議論)』10만 게송을 지어 해석하였다고 전한다.
이것이 인도에서 화엄사상이 발달하게 된 시초다.『화엄경』의 내용은 당나라의 현수(賢首) 대사부터 경의 대강령에 대하여,
글을 따라서는 네 가지로 나누고,
뜻을 따라서는 다섯 번의 원인과 결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 해석이다.<개행>1) 글을 따라서 나누는 네 가지<개행>① 과보를 말하여 신심을 내게 하는[擧果勸樂生信分] 것이니,
제1회에서 말씀한 여섯 품(제1권에서 11권까지)이 비로자나불의 원만한 과보를 말하여 중생으로 하여금 좋아하는 마음과 믿는 마음을 내게 하는 것이다.<개행>② 인행(因行)을 닦아서 과보를 얻음을 말하여 지혜를 내게 하는[修因契果生解分] 것이니,
제2회에서 말씀한 여래명호품으로부터 제7회에서 말씀한 여래출현품까지 31품(제12권에서 52권까지)은 10신과 10주와 10행과 1회향과 10지의 다섯 계단의 인행을 닦아서 부처의 과보를 이루는 일을 말하였는데,
원인과 결과가 서로 계속되며 차례차례 위의 계단으로 올라가는 것을 말한 것으로,
인을 닦아서 과보를 받는 이치에 의지하여 지혜를 내게 하는 것이다.<개행>③ 수행하는 법에 의탁하여 닦아 나아가면 인행을 성취하는[託法進修成行分] 것이니,
제8회에서 말씀한 이세간품(53권에서 59권까지)은 여러 계단의 수행하는 법에 의탁하여 2천 가지의 인행을 닦아서 성취하는 사실을 분명하게 한 것이다.<개행>④ 사람에 의하여 증득하면 과덕을 이룬다는[依人證入成德分] 것이니,
제9회의 입법계품(60권에서 80권까지)에서 선재동자(善財童子)가 53선지식의 가르침을 받으면서 52계단의 인행을 닦아서 법계를 증득하고 훌륭한 덕을 성취하는 것이다.<개행>2) 이 경 내용의 뜻을 따라 다섯 번의 원인과 결과[五周因果]로 나눔<개행>① 제1회의 처음에 말한 세주묘엄품은『화엄경』을 말하게 된 인연을 말한 서문이므로 그것은 제외하고,
제2 여래현상품에서 제5 화장세계품까지는 비로자나불의 과상(果上)의 덕을 말하였고,
제6 비로자나품에서는 옛적에 닦던 인행을 말하였으므로 이것을 믿을 인과[所信因果]라 하고,<개행>② 제2회의 여래명호품에서 제7회의 보살주처품까지 26품에서는 50위의 인행이 차별한 것을 말하였고,
다음의 불부사의법품과 여래십신상해품과 여래수호광명공덕품에서는 부처님 과상의 3덕이 차별한 모양을 말하였으므로 이것을 차별한 인과[差別因果]라 한다.<개행>③ 제7회의 보현행품에는 보현의 원만한 인행을 말하고,
여래출현품에서는 비로자나불의 원만한 과상을 말하였는데,
앞에 있는 차별한 인과의 모양을 융통하여,
인은 반드시 과를 포섭하고 과는 반드시 인을 포섭하는 것이어서 인과 과가 서로 융통하여 둘이 아닌 것을 보였으므로 평등한 인과[平等因果]라 한다.<개행>④ 제8회의 이세간품에는 처음에 2천의 수행하는 법을 말하여 인행을 밝히고,
다음에는 여덟 가지 모양으로 성불하는 큰 작용을 말하여 과위(果位)의 모양을 말하였으므로,
수행을 성취하는 인과[成行因果]라 한다.<개행>⑤ 제9회의 입법계품에는 처음 본회(本會)에서는 부처님의 자유자재한 작용을 말하여 증득하는 과상을 보였고,
다음에는 선재동자가 선지식들을 방문하면서 인행을 닦아서 법계의 법문에 들어가는 일을 말하였으므로 증득하는 인과[證入因果]라 한다.<개행>그러하여 이 경의 내용은 통틀어 다섯 번의 인과를 환히 보인 것이니,
이것을 앞에 말한 네 가지에 배대한다면,
네 가지는 신(信)과 해(解)와 행(行)과 증(證)의 4분인데,
믿을 인과는 신이요,
차별한 인과와 평등한 인과는 해요,
수행을 성취하는 인과는 행이요,
증득하는 인과는 증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글과 뜻이 이 네 가지에 일체하는 것이니『화엄경』의 강령은 신ㆍ해ㆍ행ㆍ증의 넷으로 통일되는 것이다.<개행>이『화엄경』의 7처 9회 39품과 설법한 이들과 다섯 번 인과와 네 가지 부분을 아래에 표시한다.<개행>3).
각 품의 내용<개행>① 세주묘엄품 : 이 품은 9회의 경문을 통한 서문이니,
처음에 부처님께서 보리수 아래서 바른 깨달음을 이루시고 비로자나인 법신으로서 미묘한 덕을 나타낸 것은 경의 근원을 보인 것이고,
다음에 불ㆍ보살들과 세계와 중생들의 광대하고도 그지없이 장엄한 것을 서술하는데,
열 세계의 티끌 수 같이 많은 보살과 몸 많은 신[身衆神]으로부터 대자재천왕에 이르기까지 39중이 구름처럼 모여와서,
걸림 없이 원만한 공덕으로『화엄경』법문을 들을 만한 자격을 갖추고 부처님의 덕을 제각기 찬탄하였으니,
이것으로써 대법을 연설할 도량과 법을 말씀할 교주와 법문을 들을 대중이 함께 원만하여서『화엄경』의 무량한 법문을 일으킬 준비가 온전히 갖추어진 것이다.<개행>② 여래현상품 : 이제 근본 법륜인 큰 법을 연설하기 위하여 모인 대중이 설법을 청하는 것을 말하고,
여래가 여기에 대답하기 위하여서 먼저 상서를 보이는데,
입으로 광명을 놓아서 그지없는 세계와 한량없는 불ㆍ보살을 나타내고,
양 미간의 광명으로는 설법할 법주(法主)를 비추고,
국토를 진동케 하여서 대중을 긴장하게 하고,
다시 부처님 앞에 연꽃이 나타나서 화엄의 정토를 보였으며,
백호(白毫)의 광명으로는 대교의 근본이 부처님으로부터 나오는 것임을 표시하였다.<개행>③ 보현삼매품 : 여래의 장자이며 이 경을 말씀하는 법주들을 대표하는 보현보살은 부처님의 광명을 비추어서 여러 보살의 마음을 짐작하고 부사의한 미묘 법문을 연설하려고,
비로자나여래장신삼매에 들어가서 안으로는 실제(實際)를 관찰하고 밖으로는 대중의 근기를 살펴보아서,
설법할 용의를 완전하게 갖추고,
삼매에서 일어나는 일을 서술하였다.
그러므로 제2품과 제3품은 법을 연설할 의식(儀式)을 밝힌 것이다.<개행>④ 세계성취품 : 여래의 둘레갚음[依報]을 말하여 모든 부처님의 근원이 됨을 밝혔으니,
보현보살이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모든 세계 바다ㆍ중생 바다 등 열 가지 바다를 관찰하고,
부처님의 부사의한 지혜를 찬탄하고,
세계가 생긴 인연과,
의지하여 머무는 형상 체성 등을 말하였다.<개행>⑤ 화장세계품 : 화장장엄세계해는 비로자나불이 과거에 인행을 닦을 적에 엄청난 큰 서원으로 청정하게 장엄한 것임을 말하였는데,
보현보살은 세계해가 생긴 모양을 말할 적에 맨 밑에는 수없는 바람둘레[風輪]가 있고,
세계해의 주위에는 큰 철위산이 있고,
그 안에 금강으로 된 땅이 있는데,
땅 위에는 수 없는 향수 바다가 있고,
그 사이에 향수 강이 흐르며,
그 수없는 향수 바다 가운데는 말할 수 없는 세계종이 있고,
한 세계종마다 말할 수 없는 세계가 있다고 말하였다.<개행>⑥ 비로자나품 : 위에서 말한 훌륭한 세계는 반드시 그러한 원인이 있다고 말하면서 “지나간 세상 말할 수 없이 오랜 겁 전에 승음(勝音)세계가 있었고,
그 세계에 일체공덕산수미승운부처님께서 계셨는데,
그 나라의 대위광(大威光) 태자가 그 부처님을 섬기면서,
모든 삼매와 다라니와 반야바라밀과 대자ㆍ대비ㆍ대희ㆍ대사ㆍ대원과 큰 변재를 얻었고,
그 부처님께서 열반하신 뒤에 다시 세 부처님을 섬기다가 목숨을 마치고,
다시 수미산에 태어나서 부처님의 법문을 듣고 삼매의 힘으로 실상 바다에 들어가서 이익을 얻었다”라는 일을 말하였으니,
그 대위광 태자가 곧 비로자나불의 전신이란 뜻이다.
이리하여 제1회의 6품은 모두 믿을 대상으로서의 부처님과 세계의 묘한 공덕과 훌륭한 인행을 보인 것이니,
이것이 곧 믿을 인과며,
과보를 말하여 신심을 내게 하는 ‘거과권락생신분(擧果勸樂生信分)’이다.<개행>⑦ 여래명호품 : 제1의 6품에는 믿을[所信] 대상으로 과위(果位)의 공덕을 보였으므로,
제2회의 6품에서는 믿는[能信] 행을 보였으니 곧 10신(信)이다.
이 품의 처음에는 제2회의 서론(序論)을 말하였고,
다음은 시방세계에 있는 부처님의 명호를 말하였으니,
부처님의 하시는 업은 모든 근기에 맞추어 가지가지 묘한 상호를 보이며 자유롭게 화현함을 나타낸 것이다.
명호는 덕을 표현하는 것이므로 명호로써 부처님의 몸으로 하시는 업을 보인 것이다.<개행>⑧ 사성제품 : 중생의 욕망이 각각 다르므로 부처님의 가르치는 방법도 같지 않음을 보이기 위하여,
시방 법계의 모든 세계에서 4성제를 일컫는 이름이 제각기 다른 것을 들어서 부처님의 입으로 하시는 업이 헤아릴 수 없음을 보였다.<개행>⑨ 광명각품 : 부처님은 발바닥으로 백억의 광명을 놓아서 삼천대천세계에 있는 가지가지 차별한 현상을 비추고,
문수보살은 지혜의 광명으로 평등한 이치를 비추매,
몸의 광명과 지혜의 광명이 합하여 하나가 되어 진리와 현상이 원융한 이치를 깨닫게 하였다.
대개 뜻으로 하는 업은 헤아릴 수 없이 자재한 것이므로 광명으로써 보인 것이다.
이상의 3품은 믿음의 의지가 될 과위의 덕을 밝혔고,
다음의 3품에서는 능히 믿는[能信]행을 보였는데,
믿는 데는 지해(知解)와 수행과 공덕이 있는 것이다.<개행>보살문명품 : 문수보살이 재수ㆍ보수 등 아홉 보살에게 차례차례 연기와 교화와 업과와 설법과 복밭과 바른 가르침과 바른 행과 도를 돕는 일과 한결같은 도의 아홉 가지 깊은 이치를 물었는데,
아홉 보살은 각각 게송으로 대답하였고,
아홉 보살의 물음에 대하여 문수보살도 게송으로 “여래의 깊은 경계는 허공과 같아서 일체 중생이 거기 들어가면서도 실제로는 들어가는 데가 없다”라고 대답하여 믿음의 근거가 되는 지해(知解)를 내게 하였다.<개행>정행품 : 바른 지해에 대한 바른 행을 보이기 위하여 일상생활의 기거동작과,
보고 듣는 대로 서원을 내어 행을 깨끗하게 하는 일을 밝혔는데,
그것을 141수의 게송으로 말하였다.<개행>현수품 : 행을 닦는 데는 반드시 덕이 나타나는 것이므로,
지해와 수행이 원만하여서 보현의 수승한 공덕을 밝힌 것이다.
문수보살의 요청으로 현수보살이 357수의 게송으로 믿는 공덕을 찬탄하고,
다시 한량없는 큰 작용을 들어 열 가지 삼매를 말하며 교묘한 비유로 깊은 뜻을 말하였고,
끝으로 법이 깊고 얕은 것과 믿고 이해하기에 어렵고 쉬운 것을 비교하여 실제로 증득함을 보여서 제2회의 설법을 마쳤다.<개행>승수미산정품 : 여기서부터는 제3회인데 참으로 보살이 수행하는 계단에 들어가는 것으로서 10주(住)의 법문을 말한 것이다.
이 품은 부처님께서 성도하신 보리수를 떠나지 않고 수미산 꼭대기 제석천궁에 올라가서 걸림없이 화신을 나타내는 일을 보이셨는데,
제석천왕이 게송으로 부처님을 찬탄하였다.<개행>수미정상게찬품 : 시방의 부처님 세계에서 법혜보살 등 열 보살이 티끌 수만큼 많은 보살들과 함께 와서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여 제3회의 서론이 되었다.<개행>십주품 : 본론으로서 십주품에서는 법혜보살이 부처님의 가피하심을 받들어 무량방편삼매(無量方便三昧)에 들었고,
부처님께서 여러 가지 지혜를 주심을 받고는 삼매에서 일어나서 10주의 법문을 말하였으니 이른바 초발심주(初發心住)ㆍ치지주(治地住)ㆍ수행주(修行住)ㆍ생귀주(生貴住)ㆍ구족방편주(具足方便住)ㆍ정심주(正心住)ㆍ불퇴주(不退住)ㆍ동진주(童眞住)ㆍ법왕자주(法王子住)ㆍ관정주(灌頂住)이다.<개행>범행품 : 앞에서는 10주의 지위를 위주하여 행을 말하였고,
여기서는 통틀어서 청정한 행을 말하고,
참된 지혜에 의지하여 여래의 열 가지 힘을 닦으므로,
관(觀)과 행(行)이 서로 어울리고 자비와 지혜가 원융하여 처음 발심하는 자리에서 곧 바른 깨달음을 이룬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개행>초발심공덕품 : 위에서 수행하는 지위를 갖추었으므로 훌륭한 공덕이 저절로 나타나는 것이니,
10주의 공덕은 한 계단보다 다음 한 계단이 더 훌륭함을 말하였다.
그 중에서 특별히 초발심주의 공덕을 찬탄하였는데,
처음 발심한 공덕은 광대하고 끝이 없어 보현보살의 모든 덕을 포섭하였으며,
인행과 과덕을 구족한 것으로 그 공덕이 법계와 동등하다고 말하였다.<개행>명법품 : 전품에서 초발심 공덕을 말한 데 대하여,
이 품에서는 정진혜보살의 물음을 받고 법혜보살이 방일하지 않는 열 가지 행법과 행법으로부터 이루는 열 가지 청정한 법을 말하였으니,
이것은 이 계단의 행을 원만하게 닦아서 다음 계단으로 나아가는 것을 밝힌 것으로서 제3회를 마친 것이다.<개행>승야마천궁품 : 여기서부터는 제4회의 설법으로 4품이 있으니 10행(行)의 법을 말한 것이다.
첫 품은 부처님께서 일체의 보리수 아래와 일체의 수미산 꼭대기를 떠나지 않고서,
야마천궁의 보장엄전(寶莊嚴殿)으로 향하시는데,
야마천왕은 궁전 안에 보련화장 사자좌를 변화로 만들어 놓고 게송을 말하여 부처님을 영접하였다.<개행>야마궁중게찬품 : 이 품에서 부처님의 신통력으로써 시방세계에서 공덕림보살과 혜림보살 등의 열 보살이 한량없는 보살들과 함께 모여 와서 게송으로 부처님을 찬탄하였다.<개행>십행품 : 이 품은 제4회의 본론으로서 보살의 열 가지 행을 말한 것이니,
공덕보살이 선사유(善思惟)삼매에 들어서 여러 부처님께서 가피하시는 지혜를 받들고,
삼매에서 일어나서 보살의 열 가지 행을 말하였다.<개행>㉠ 환희행은 모든 소유물을 보시하는데 아끼지도 않고 갚음을 바라지도 않고,
다만 일체 중생을 구호함으로써 그들을 환희케 함이다.<개행>㉡ 요익(饒益)행은 계행을 잘 지니면서 빛깔ㆍ소리ㆍ냄새ㆍ맛ㆍ닿음에 집착하지 않으며,
중생에게 이것을 말하여서 재물을 구하지도 말고 몸매를 구하지도 말고,
그리하여 마군의 장애를 받지도 않고 다른 이를 시끄럽게 하지도 않으며,
내지 중생으로 하여금 보리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개행>㉢ 무위역(無違逆)행은 항상 참고 공경하여 저와 남을 해롭게도 하지 않고,
저와 남을 집착하지도 않으며,
훼방하고 해롭게 함을 참고,
자기가 불법 가운데 있으면서 다른 이로 하여금 법을 얻게 함이다.<개행>㉣ 무굴요(無屈撓)행은 꾸준히 노력하여 모든 번뇌와 습기[習]를 없애고,
내지 이런 행으로 모든 중생을 남음이 없는 열반[無餘涅槃]에 이르게 함이다.<개행>㉤ 무치란(無癡亂)행은 바른 생각을 성취하여 마음이 산란치 않고 견고하여 동요하지 않으며,
청정하고 미혹하지 않아서,
내지 바른 법으로 중생을 교화하여 필경에 남음이 없는 열반을 얻게 하려고 염원하는 것이다.<개행>㉥ 선현(善現)행은 몸과 입과 뜻으로 짓는 업이 청정하여 얻는 바가 없는 데 머물며,
허망도 없고 속박도 없으며,
드러내어 보이는 것은 성품도 없고 의지도 없으며,
내지 진실한 법에 들어가고 출세간법에 들어가며,
끝끝내 중생들을 성취하고 조복하는 것이다.<개행>㉦ 무착(無着)행은 집착이 없는 마음으로 아승기 세계에 들어가서 부처님께 공양하고 지음이 없는 법을 끝까지 얻으려는 것이며,
보살의 수기를 얻고 중생의 자비와 선근을 증장케 하는 것이다.<개행>㉧ 난득(難得)행은 얻기 어렵고 굴복하기 어려운 선근을 성취하고 광대한 변재를 얻으며,
큰 서원이 쉬지 않고 중생을 교화하여 부처님의 도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개행>㉨ 선법(善法)행은 모든 천상 사람 인간 사람과 사문과 범천들을 위하여 서늘한 법의 못을 만들고 바른 법을 유지하여 부처님의 종자가 끊어지지 않게 하며,
모든 중생을 이익케 하면서도 벗어나는 중생을 보지 않으며,
또 열 가지 몸을 성취하여 여러 중생의 의지할 데가 되는 것이다.<개행>㉩ 진실행은 가장 진실한 말을 성취하고 말한 대로 행하며,
행하는 것 같이 말하여,
삼세 부처님들의 진실한 말을 배우고 선근이 동등하여 여래를 따라 배우고 지혜를 성취함이다.
이러할 적에 시방의 세계가 여섯 가지로 진동하고 무수한 보살들이 와서 공덕림보살을 찬탄하였으며,
공덕림보살은 게송으로 10행의 뜻을 말하였다.<개행>십무진장품 : 끝으로 이 품에서 공덕림보살이 이 계단에서 더 훌륭하게 나아가는 덕을 보이는데 열 가지 무진한 행상을 말하고 제4회의 법문을 마쳤다.<개행>승도솔천궁품 : 부처님께서 보리수 아래와 내지 야마천궁을 떠나지 않고 도솔타천으로 올라가셔서 보배로 장엄한 궁전으로 나아가시는데,
도솔타천왕은 궁전에 마니장 사자좌를 베풀고 세존을 영접하였다.<개행>도솔궁중게찬품 : 이 품에서는 시방에서 각각 큰 보살이 티끌 수 보살들과 함께 와서 부처님께 예배하고,
금강당을 우두머리로 하여 열 보살이 게송으로 부처님을 찬탄하여 제5회의 서론이 되었다.<개행>십회향품 : 금강당보살이 지광(智光)삼매에 들어서 부처님의 한량없는 지혜를 얻었고,
그 삼매에서 일어나 열 가지 회향을 말하였는데,
각각 세 곳으로 회향하였으니,
대비심을 중생에게 베풀어 교화하기 위하여서는 아래로 중생에게 회향하고,
위로 보리를 구하기 위하여서는 보리에 회향하고,
회향하는 사람이나 이치가 모두 고요함으로는 진여의 실제에 회향하여서 그지없는 수행의 바다로 보현 법계의 공덕을 성취하는 일을 말하였다.<개행>이 회에 더 훌륭하게 나아가는 행을 말하지 않은 것은,
이 회향은 앞에 말한 10주와 10행을 포함하여 위로 10지에 올라가는 방편이므로 10회향의 전체가 위로 나아가는 덕인 연고다.<개행>십지품 : 제5회의 설법을 마친 부처님은 타화자재(他化自在)천궁의 마니보장전에서 다른 세계에서 온 여러 보살들과 함께 계셨는데,
그 보살들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물러나지 않으며,
모든 보살의 지혜로 머물러 있는 경지에 머물렀으며 내지 모든 수행을 원만하게 이룬 이들이었다.
그 중의 금강장보살이 부처님의 신력을 받들어 대지혜광명삼매에 들어가서 시방의 부처님들로부터 일체 여래의 가장 미묘한 몸과 입과 뜻으로 구족한 장엄을 받고,
삼매에서 일어나 10지의 행상을 말하였으니,
곧 환희지(歡喜地)ㆍ이구지(離垢地)ㆍ발광지(發光地)ㆍ염혜지(焰慧地)ㆍ난승지(難勝地)ㆍ현전지(現前地)ㆍ원행지(遠行地)ㆍ부동지(不動地)ㆍ선혜지(善慧地)ㆍ법운지(法雲地)이다.
이 10지의 수행하는 법은 보살 수행의 중심이 되는 것이다.
앞에 말한 3회의 수행은 3현(賢)이라 하니 그 관하는 행이 비등한 관찰이거니와,
이 10지에 들어가면 비로소 친히 증득하여 과(果)를 이루는 것이며,
열 가지 바라밀에 배대하여 10지의 수행하는 모양을 밝혔다.
본래 한 지위가 모든 지위를 포함하였고 한 가지 행에 온갖 행이 갖추어진 보현의 원만융통한 수행이므로,
열 가지 바라밀의 차례에 배대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였지마는,
실제로는 지(地)마다 열 가지 바라밀행이 구족하여 있어 서로서로 원융한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개행>십정품 : 제7회의 처음 설법으로서,
이 회에서 말한 11품에 대한 서론과,
지혜의 근본인 열 가지 선정을 말한 것이다.<개행>부처님께서 마가다국의 아란야법보리도량에 있는 보광명전에서 찰나짬[刹那際]삼매에 들어 여래의 모습을 나타내고,
형상이 없는 데 머물렀다.<개행>그때 금강혜보살과 여러 보살들이 모여 왔는데,
보안보살이 보살들의 부사의하고 광대한 삼매를 부처님께 물었고,
부처님은 보현보살에게 설명하기를 청하고,
또 보살에게는 넓은 광명ㆍ묘한 광명 등의 열 가지 삼매가 있는데,
이 삼매를 닦아 이루면 여래가 된다고 하셨다.<개행>보현보살은 부처님의 명을 받아 열 가지 삼매를 말하였으니,
넓은 광명 삼매ㆍ묘한 광명 삼매ㆍ여러 부처님 국토에 차례로 가는 삼매ㆍ청정하고 깊은 마음의 행 삼매ㆍ과거에 장엄한 갈무리를 아는 삼매ㆍ지혜 광명의 갈무리 삼매ㆍ모든 세계 부처님의 장엄을 아는 삼매ㆍ일체 중생의 차별한 몸 삼매ㆍ법계에 자재한 삼매ㆍ걸림없는 바퀴 삼매들이다.<개행>십통품 : 선정을 의지하여 일어나는 보살의 신통을 말한 것이니,
다른 이의 마음을 아는 신통ㆍ걸림없는 하늘 눈 신통ㆍ전생 일을 아는 신통ㆍ내생 일을 아는 신통ㆍ걸림없이 청정한 하늘 귀 신통ㆍ성품도 없고 동작도 없이 모든 세계에 가는 신통ㆍ모든 말을 잘 분별하는 신통ㆍ수없이 형상 몸을 나누는 신통ㆍ모든 법을 아는 신통ㆍ모든 법이 다 없어지는 삼매에 들어가는 신통이다.<개행>십인품 : 열 가지 신통의 의지가 되는 지혜인 인(忍)을 말한 것이니,
음성인ㆍ순인ㆍ무생인ㆍ눈어리 같은 인ㆍ아지랑이 같은 인ㆍ꿈같은 인ㆍ메아리 같은 인ㆍ그림자 같은 인ㆍ변화와 같은 인ㆍ허공과 같은 인들이다.<개행>아승기품 : 심왕보살의 물음에 대하여 부처님께서 친히 말씀하신 것이니,
1백 낙차가 한 구지요,
구지씩 구지가 한 아유다요,
이렇게 하여서 105째가 한 아승기요,
124째가 한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음 곱이라고 말씀하셨다.<개행>여래수량품 : 모든 부처님 세계의 수명을 심왕보살이 말한 것이니,
이 사바세계인 석가모니부처님 세계의 한 겁은 극락세계 아미타불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이 되고,
극락세계의 한 겁은 가사당 세계 금강견부처님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이 되며,
이렇게 차례차례로 아승기 세계를 지나가서 마지막 세계의 한 겁은 승련화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이 되는데,
보현보살과 함께 수행하는 큰 보살들이 모두 그 가운데 가득하였다고 말하였다.<개행>보살주처품 : 보살들의 머무는 것은 끝닿은 데가 없다고 심왕보살이 말한 것이니,
동방의 선인산에는 옛적부터 여러 보살이 있었는데,
지금은 금강승보살이 있으면서 그 권속들에게 법을 말하며,
남방ㆍ서방ㆍ북방으로,
내지 건타라국에도 옛적부터 보살들이 있는 데라고 말하였다.<개행>불부사의품 : 닦아서 생기는 과덕의 부사의함을 말한 것이니,
그때 보살들 생각에 ‘부처님의 국토ㆍ서원ㆍ종성ㆍ부처님 몸ㆍ음성ㆍ지혜들에는 어떠한 부사의가 있는가’라고 함을 부처님께서 아시고,
청련화장보살에게 가지(加持)하여,
다함이 없는 지혜의 문을 알게 하고,
여러 보살에게 말하게 하였다.<개행>청련화장보살은 “세존은 한량없이 머무시는 곳이 있고,
또 그지없는 청정한 몸과 걸림이 없는 눈들의 열 가지 법이 있어 한량없고 그지없는 법계에 두루하였고,
또 열 가지 지혜ㆍ열 가지 때를 놓치지 않음ㆍ견줄 데 없는 부사의한 경계ㆍ끝까지 청정함ㆍ그지없는 지혜 바다ㆍ부사의한 부처님 삼매ㆍ걸림없는 해탈 등 32문이 있다”라고 말하였다.<개행>여래십신상해품 : 여래에게 있는 여러 가지 복덕의 모습을 말하였으니 “여래의 정수리에는 보배로 장엄한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모습이 있으며,
그 가운데서는 한량없는 광명 그물이 있어 여러 가지 광명을 놓고,
여래의 눈ㆍ코ㆍ혀ㆍ입ㆍ이ㆍ어깨ㆍ가슴ㆍ손ㆍ발ㆍ발가락에까지 아흔일곱의 거룩한 모습을 비롯하여,
세계의 티끌 수 거룩한 모습이 있다”라고 보현보살이 말하였다.<개행>여래수호광명공덕품 : 여래에게 갖추어져 있는 잘생긴 모습의 공덕을 말한 것이니,
세존께서 보수보살에게 말씀하시기를 “여래에게는 원만왕이라는 잘생긴 모습이 있고,
그 가운데 치성이라는 큰 광명이 있는데,
7백만 아승기 광명으로 권속을 삼았느니라.
내가 보살로 있을 적에 도솔천궁에서 큰 광명을 놓았으니 이름이 빛난 당기왕이며,
티끌 수 세계의 지옥 중생들이 고통이 쉬어져 환희하면서 목숨을 마치고는 도솔천에 났고,
그리고 여래의 발바닥에서 두루 비추는 왕이라는 광명을 놓으니,
아비지옥 중생들이 이 광명에 비치어서 천상에 났느니라.
그때 하늘 북에서 소리를 내어 이 천자들에게 미묘한 법을 말하니,
천자들이 그 법문을 듣고는 기뻐하면서 비로자나여래께 공양하였느니라”라고 하였다.<개행>이 경이 39품인데 거의가 보살이 말하였고,
부처님께서 친히 말씀하신 것은 아승기품과 이 수호광명공덕품뿐이다.<개행>보현행품 : 제2회의 여래명호품으로부터 앞의 여래수호광명공덕품까지는 차별한 인과를 말하였고,
이 품과 아래의 여래출현품은 평등한 인과를 말하였는데,
이 품은 보현보살의 평등한 인행을 말하였다.<개행>“여래는 교화를 받을 중생을 위하여 세상에 나시거니와,
만일 보살이 다른 보살에 대하여 성내는 마음을 일으키면,
보살을 보지 못하는 장난ㆍ바른 법을 듣지 못하는 장난ㆍ부정한 세계에 태어나는 장난ㆍ나쁜 길에 태어나는 장난 따위의 백만 장난을 이루게 되느니라.
그러므로 보살이 보살의 행을 빨리 만족하려면,
모든 중생을 버리지 않고,
여러 보살을 여래와 같이 생각하고,
부처님 법을 비방하지 말고,
보살의 행을 매우 좋아하는 열 가지 법을 닦아야 하고,
열 가지 청정함을 구족하고,
열 가지 광대한 법을 갖추고,
열 가지 두루 들어가는 데 들어가고,
열 가지씩 묘한 마음에 머물러서,
열 가지 부처님 법의 교묘한 지혜를 얻으면,
위가 없는 바른 깨달음을 얻어서 삼세 부처님들과 평등하게 된다”라고 보현보살이 말하였다.<개행>여래출현품 : 앞의 품이 평등한 인을 말한 데 대하여,
여기서는 평등한 과를 말하였다.<개행>보현보살은 묘덕보살 등에게 이렇게 말하였다.<개행>“여래는 한 가지 인연이나 한 가지 사실로써 나시는 것이 아니고,
열 가지의 한량없는 아승기 인연으로 나시나니,
모든 중생들을 구호할 수 있는 대자대비를 이루기 위하여,
서로 계속하는 행과 원을 이루기 위하여,
내지 법과 이치를 통달하기 위하는 등이니,
마치 삼천대천세계가 한량없는 인연과 한량없는 사실로써 이루어지는 것과 같으니라.”<개행>이세간품 : 제8회의 서론과 본론이니,
위의 여러 회에서 보살의 수행할 계단을 말한데 대하여,
여기서는 모든 지위를 포섭하여 실제로 수행함을 말하였다.
세존께서 마가다국의 고요한 법 보리도량에 있는 보광명전에 계셨는데,
보현보살이 불화장엄삼매에 들었다가 일어나니,
보혜보살이 물었다.<개행>“어떤 것이 보살의 의지며 기특한 생각이며 행이며 선지식이며 부지런한 정진이며 마음이 편안함을 얻음이며 중생을 성취함이며 계율이며 스스로 수기 받을 줄을 알음이며 보살에 들어감이며 여래에 들어감이며 중생의 마음에 들어감이며,
내지 여래의 반열반을 보이심이냐?”라고 2백 가지를 물었고,
보현보살은 한 가지 물음에 열 가지씩 대답하여 모두 2천 대답을 하였다.<개행>처음 2백 대답은 10신의 행을 말한 것이요,
둘째 2백 대답은 10주의 행을 말한 것이요,
셋째 3백 대답은 10행의 행을 말한 것이요,
넷째 290대답은 10회향의 행을 말한 것이요,
다섯째 5백 대답은 10지의 행을 말한 것이요,
여섯째 5백 열 대답은 인이 원만하고 과가 만족함을 말한 것이니,
곧 등각의 지위이다.<개행>입법계품 : 제9회의 서론과 본론이니,
위의 이세간품까지의 8회에서 말한 것을 선재동자라는 한 사람의 수행자가 실천하는 것을 말하였다.<개행>40 『화엄경』은 이 입법계품을 독립된 한 경으로 만든 것이다.<개행>세존께서 사위국에 있는 기수급고독 장자의 동산에서 보현ㆍ문수를 우두머리로 한 5백 보살과 5백 성문과 함께 계실 적에 사자의 기운 뻗는 삼매에 드셨다.
그때 시방에서 각각 티끌 수만큼 많은 보살들이 모여 와서 부처님을 찬탄하였고,
보현보살은 열 가지 법으로 사자의 기운 뻗는 삼매의 뜻을 말하였다.
세존은 모든 보살들을 이 삼매에 머물게 하기 위하여 미간의 흰 털로 큰 광명을 놓아 시방세계에 두루 비추니,
모든 보살은 온갖 세계의 장엄을 보고,
여래의 공덕 바다에 깊이 들어갔으니,
이것을 기타숲의 근본 법회라 한다.<개행>문수사리보살이 기타숲에서 떠나 사리불ㆍ목건련 등 여러 사람을 데리고 남쪽으로 가다가,
복성의 동쪽에 이르러 장엄한 당기의 사라숲 속에 있는 탑에 머무르니,
우바새ㆍ우바이ㆍ동자ㆍ동녀들이 무수히 모여 왔다.<개행>문수보살은 그 중에서 바른 법을 받아 지닐 만한 선재동자를 발견하고 “그대는 이미 보리심을 내었으니,
온갖 지혜를 성취하려거든 선지식을 찾아서 그들의 가르침을 순종해야 하느니라.
여기서부터 남방으로 가면서 여러 선지식을 방문하고 행을 닦으라”라고 하였다.<개행>선재동자는 문수보살이 가르친 대로 남방으로 110성을 지나가면서 53선지식을 찾아서 각각 묘한 법문을 얻었으니,
이것을 가지 법회라 한다.
처음 문수보살을 만난 것은 10신을 얻은 것이고,
남방으로 매우 즐거운 나라에서 덕운 비구를 찾아서는 모든 부처님의 경계를 생각하는 지혜의 광명으로 두루 보는 법문을 얻고,
덕운 비구의 지시로 해문국에 가서 해운 비구를 찾았다.
이렇게 선주 비구ㆍ미가 장자ㆍ해탈 장자ㆍ해당 비구ㆍ휴사 우바이ㆍ비목선인ㆍ승녈 바라문ㆍ자행 동녀를 찾아서,
각각 한 법문을 얻었으니,
이것은 10주의 법이라 한다.<개행>또 남으로 가면서 자재주 동자ㆍ구족 우바이ㆍ명지 거사ㆍ법보계 장자ㆍ보안 장자ㆍ싫은 줄 모르는 왕ㆍ부동 우바이ㆍ변행 외도에게서 얻은 것은 10행의 법이라 한다.<개행>또 향팔이 장자ㆍ바시라 뱃사공ㆍ무상승 장자ㆍ사자빈신 비구니ㆍ바수밀다 여인ㆍ비슬지라 거사ㆍ관자재보살ㆍ정취보살ㆍ대천신ㆍ잘 머무는 땅 맡은 신에게서 얻은 것은 10회향의 법이라 한다.<개행>바산바연지 밤 맡은 신ㆍ보덕정광신ㆍ기쁜 눈으로 중생 보는 신ㆍ중생을 널리 구호하는 신ㆍ고요한 음성 바다 신ㆍ모든 성 수호하는 신ㆍ나무 꽃 피우는 신ㆍ정진하는 행으로 중생을 구호하는 신ㆍ룸비니숲 신ㆍ석가녀 구피(求彼)에게서 얻은 것은 10지의 법이라 한다.<개행>마야부인ㆍ하늘님 광명 아씨ㆍ모든 이의 벗 꼬마 선생ㆍ모든 예술 잘 아는 동자ㆍ현승 우바이ㆍ견고한 해탈 장자ㆍ묘한 달 장자ㆍ이길 이 없는 군대 장자ㆍ고요한 바라문ㆍ덕 나는 동자ㆍ미륵보살을 찾고,
문수보살을 다시 만나서 각각 법문을 얻은 것은 등각의 행이라 한다.<개행>마지막으로 보현보살에게서 열 가지 깨뜨릴 수 없는 지혜 법문을 얻고,
보현보살의 털구멍에 들어가 수없는 세계를 지나가면서 모든 경계가 부처님과 평등하게 된 것은 묘각의 법이라 한다.<개행>그때 시방의 세계들이 여섯 가지로 진동하고,
부처님은 보현보살을 찬탄하고 보현보살은 게송을 말하여 화엄법회를 마쳤다.
○ [pt op tr]
[#M_▶더보기|◀접기|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기본(大乘基本)-보살도총설(菩薩道總說)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각론(大乘各論)-화엄(華嚴)
주제분류 수행(修行)-수행법(修行法)-보살수행(菩薩修行)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經-華嚴經
제목정보
대표서명 大方廣佛華嚴經(대방광불화엄경)
경명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80권
병음 DAFANGGUANGFOHUAYANJING
약경명 화엄경(華嚴經)
별명 당경화엄경(唐經華嚴經), 당본화엄경(唐本華嚴經), 신역화엄경(新譯華嚴經), 팔십화엄(八十華嚴)
저자정보
역자 실차난다(實叉難陀, Śikṣānanda)
형태정보
권사항 80
확장정보
고려_위치 08-0425
고려_주석 KBC와 通檢은 원목록에 누락된 번역시대를 唐(A.D.695-699)으로 표기.
신수_NR T.0279
신수_위치 10-0001
티벳_NAME [장] Saṅs rgyas phal po che shes bya ba śin tu rgyas pa chen poḥi mdo
티벳_북경_NR 0761
티벳_북경_위치 25-1, Yi1
티벳_DU_NR 0044
티벳_DU_위치 Ka1b1
티벳_DT_NR 0044
티벳_DT_위치 8-1, Ka2
산스_NAME [범] Avataṁsaka Sūtra
적사_VOL 08
적사_PAGE 001
중화_NR 0087
중화_VOL 012
중화_PAGE 0629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기본(大乘基本)-보살도총설(菩薩道總說)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각론(大乘各論)-화엄(華嚴)
주제분류 수행(修行)-수행법(修行法)-보살수행(菩薩修行)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經-華嚴經
제목정보
대표서명 大方廣佛華嚴經(대방광불화엄경)
경명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80권
병음 DAFANGGUANGFOHUAYANJING
약경명 화엄경(華嚴經)
별명 당경화엄경(唐經華嚴經), 당본화엄경(唐本華嚴經), 신역화엄경(新譯華嚴經), 팔십화엄(八十華嚴)
저자정보
역자 실차난다(實叉難陀, Śikṣānanda)
형태정보
권사항 80
확장정보
고려_위치 08-0425
고려_주석 KBC와 通檢은 원목록에 누락된 번역시대를 唐(A.D.695-699)으로 표기.
신수_NR T.0279
신수_위치 10-0001
티벳_NAME [장] Saṅs rgyas phal po che shes bya ba śin tu rgyas pa chen poḥi mdo
티벳_북경_NR 0761
티벳_북경_위치 25-1, Yi1
티벳_DU_NR 0044
티벳_DU_위치 Ka1b1
티벳_DT_NR 0044
티벳_DT_위치 8-1, Ka2
산스_NAME [범] Avataṁsaka Sūtra
적사_VOL 08
적사_PAGE 001
중화_NR 0087
중화_VOL 012
중화_PAGE 0629
● [pt op tr] fr
_M#]
>>>
≪K0079≫ [v08-p0001] ≪T0278≫ {v09-p0395}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K0080≫ [v08-p0425] ≪T0279≫ {v10-p0001}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K0082≫ [v08-p0993] ≪T0303≫ {v10-p0917} ∴불화엄입여래덕지불사의경계경(佛華嚴入如來德智不思議境界經)
≪K0084≫ [v08-p1015] ≪T0306≫ {v10-p0959} ∴대방광불화엄경수자분(大方廣佛花嚴經修慈分)
≪K0088≫ [v08-p1041] ≪T0300≫ {v10-p0905} ∴대방광불화엄경불사의불경계분(大方廣佛華嚴經不思議佛境界分)
≪K0104≫ [v08-p1337] ≪T0295≫ {v10-p0876} ∴대방광불화엄경입법계품(大方廣佛華嚴經入法界品)
≪K1064≫ [v32-p0340] Txxxx {vxx -nxxxx} ∴신역대방광불화엄경음의(新譯大方廣佛華嚴經音義)
≪K1262≫ [v36-p0001] ≪T0293≫ {v10-p0661}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K1263≫ [v36-p0230] ≪T1739≫ {v36-p0721} ∴신화엄경론(新華嚴經論)
≪K1329≫ [v36-p1077] ≪T1019≫ {v19-p0707} ∴대방광불화엄경입법계품사십이자관문(大方廣佛華嚴經入法界品四十二字觀門)
≪K1382≫ [v37-p0403] ≪T0547≫ {v14-p0853} ∴대화엄장자문불나라연력경(大花嚴長者問佛那羅延力經)
≪K1506≫ [v47-p0041] ≪T1732≫ {v36-p0013} ∴대방광불화엄경수현분제통지방궤(大方廣佛華嚴經搜玄分齊通智方軌)
≪K1507≫ [v47-p0084] Txxxx {vxx -nxxxx} ∴십구장원통기(十句章圓通記)
≪K1508≫ [v47-p0104] Txxxx {vxx -nxxxx} ∴석화엄지귀장원통초(釋華嚴旨歸章圓通鈔)
≪K1509≫ [v47-p0135] Txxxx {vxx -nxxxx} ∴화엄경삼보장원통기(華嚴經三寶章圓通記)
≪K1510≫ [v47-p0161] Txxxx {vxx -nxxxx} ∴석화엄교분기원통초(釋華嚴敎分記圓通鈔)
≪K1513≫ [v47-p0458] ≪T1733≫ {v35-p0107}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
≪T09n0278≫ p0395 60 ∴대방광불화엄경 [동진 불타발타라역] 大方廣佛華嚴經 【東晋 佛馱跋陀羅譯】
≪T10n0279≫ p0001 80 ∴대방광불화엄경 [당 실차난타역] 大方廣佛華嚴經 【唐 實叉難陀譯】
≪T10n0293≫ p0661 40 ∴대방광불화엄경 [당 반야역] 大方廣佛華嚴經 【唐 般若譯】
≪T10n0295≫ p0876 1 ∴대방광불화엄경입법계품 [당 지파가라역] 大方廣佛華嚴經入法界品 【唐 地婆訶羅譯】
≪T10n0300≫ p0905 1 ∴대방광불화엄경불사의불경계분 [당 제운반야역] 大方廣佛華嚴經不思議佛境界分 【唐 提雲般若譯】
≪T10n0301≫ p0909 1 ∴대방광여래불사의경계경 [당 실차난타역] 大方廣如來不思議境界經 【唐 實叉難陀譯】
≪T10n0303≫ p0917 2 ∴불화엄입여래덕지불사의경계경 [수 도나굴다역] 佛華嚴入如來德智不思議境界經 【隋 闍那崛多譯】
≪T10n0306≫ p0959 1 ∴대방광불화엄경수자분 [당 제운반야등역] 大方廣佛花嚴經修慈分 【唐 提雲般若等譯】
≪T14n0547≫ p0853 1 ∴대화엄장자문불나라연력경 [당 반야공리언역] 大花嚴長者問佛那羅延力經 【唐 般若共利言譯】
≪T19n1019≫ p0707 1 ∴대방광불화엄경입법계품사십이자관문 [당 불공역] 大方廣佛華嚴經入法界品四十二字觀門 【唐 不空譯】
≪T19n1020≫ p0709 1 ∴대방광불화엄경입법계품돈증비로자나법신자륜유가의궤 大方廣佛花嚴經入法界品頓證毘盧遮那法身字輪瑜伽儀軌
≪T19n1021≫ p0709 1 ∴화엄경심다라니 華嚴經心陀羅尼
≪T35n1731≫ p0001 1 ∴화엄유의 [수 길장찬] 華嚴遊意 【隋 吉藏撰】
≪T35n1732≫ p0013 5 ∴대방광불화엄경수현분제통지방궤 [당 지엄술] 大方廣佛華嚴經搜玄分齊通智方軌 【唐 智儼述】
≪T35n1733≫ p0107 20 ∴화엄경탐현기 [당 법장술] 華嚴經探玄記 【唐 法藏述】
≪T35n1734≫ p0492 1 ∴화엄경문의강목 [당 법장찬] 花嚴經文義綱目 【唐 法藏撰】
≪T35n1735≫ p0503 60 ∴대방광불화엄경소 [당 징관찬] 大方廣佛華嚴經疏 【唐 澄觀撰】
≪T36n1736≫ p0001 90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 [당 징관술]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唐 澄觀述】
≪T36n1737≫ p0701 1 ∴대화엄경략책 [당 징관술] 大華嚴經略策 【唐 澄觀述】
≪T36n1738≫ p0709 1 ∴신역화엄경칠처구회송석장 [당 징관술] 新譯華嚴經七處九會頌釋章 【唐 澄觀述】
≪T36n1739≫ p0721 40 ∴신화엄경론 [당 리통현찬] 新華嚴經論 【唐 李通玄撰】
≪T36n1740≫ p1008 1 ∴대방광불화엄경중권권대의략서 [당 리통현조] 大方廣佛華嚴經中卷卷大意略敘 【唐 李通玄造】
≪T36n1741≫ p1011 4 ∴약석신화엄경수행차제결의론 [당 리통현찬] 略釋新華嚴經修行次第決疑論 【唐 李通玄撰】
≪T36n1742≫ p1049 2 ∴대방광불화엄경원행관문골목 [당 담연찬] 大方廣佛華嚴經願行觀門骨目 【唐 湛然撰】
≪T36n1743≫ p1064 1 ∴황제강탄일어린덕전강대방광불화엄경현의일부 [당 정거찬] 皇帝降誕日於麟德殿講大方廣佛華嚴經玄義一部 【唐 靜居撰】
≪T45n1866≫ p0477 4 ∴화엄일승교의분제장 [당 법장술] 華嚴一乘教義分齊章 【唐 法藏述】
≪T45n1867≫ p0509 1 ∴화엄오교지관 [수 두순설] 華嚴五教止觀 【隋 杜順說】
≪T45n1868≫ p0514 1 ∴화엄일승십현문 [수 두순설. 당 지엄찬] 華嚴一乘十玄門 【隋 杜順說. 唐 智儼撰】
≪T45n1869≫ p0519 2 ∴화엄오십요문답 [당 지엄집] 華嚴五十要問答 【唐 智儼集】
≪T45n1870≫ p0536 4 ∴화엄경내장문등잡공목장 [당 지엄집] 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章 【唐 智儼集】
≪T45n1871≫ p0589 1 ∴화엄경지귀 [당 법장술] 華嚴經旨歸 【唐 法藏述】
≪T45n1872≫ p0597 1 ∴화엄책림 [당 법장술] 華嚴策林 【唐 法藏述】
≪T45n1873≫ p0598 2 ∴화엄경문답 [당 법장찬] 華嚴經問答 【唐 法藏撰】
≪T45n1874≫ p0613 2 ∴화엄경명법품내립삼보장 [당 법장술] 華嚴經明法品內立三寶章 【唐 法藏述】
≪T45n1875≫ p0627 1 ∴화엄경의해백문 [당 법장술] 華嚴經義海百門 【唐 法藏述】
≪T45n1876≫ p0637 1 ∴수화엄오지망진환원관 [당 법장술] 修華嚴奧旨妄盡還源觀 【唐 法藏述】
≪T45n1877≫ p0641 1 ∴화엄유심법계기 [당 법장찬] 華嚴遊心法界記 【唐 法藏撰】
≪T45n1878≫ p0650 1 ∴화엄발보리심장 [당 법장술] 華嚴發菩提心章 【唐 法藏述】
≪T45n1879a≫ p0656 1 ∴화엄경관맥의기 [당 법장찬] 華嚴經關脈義記 【唐 法藏撰】
≪T45n1879b≫ p0659 1 ∴화엄관맥의기 華嚴關脈義記
≪T45n1880≫ p0663 1 ∴금사자장운간류해 [당 법장찬. 송 정원술] 金師子章雲間類解 【唐 法藏撰. 宋 淨源述】
≪T45n1881≫ p0667 1 ∴화엄경금사자장주 [당 법장찬. 송 승천주] 華嚴經金師子章註 【唐 法藏撰. 宋 承遷註】
≪T45n1882≫ p0671 1 ∴삼성원융관문 [당 징관술] 三聖圓融觀門 【唐 澄觀述】
≪T45n1883≫ p0672 2 ∴화엄법계현경 [당 징관술] 華嚴法界玄鏡 【唐 澄觀述】
≪T45n1884≫ p0683 1 ∴주화엄법계관문 [당 종밀주] 註華嚴法界觀門 【唐 宗密註】
≪T45n1885≫ p0692 2 ∴주화엄경제법계관문송 [송 본숭술. 종담주] 註華嚴經題法界觀門頌 【宋 本嵩述. 琮湛註】
≪T45n1886≫ p0707 1 ∴원인론 [당 종밀술] 原人論 【唐 宗密述】
≪T45n1887A≫ p0711 1 ∴화엄일승법계도 [신라 의상찬] 華嚴一乘法界圖 【新羅 義湘撰】
≪T45n1887B≫ p0716 2 ∴법계도기총수록 法界圖記叢髓錄
≪T45n1888≫ p0767 1 ∴해미현지성비십명론 [당 리통현찬] 解迷顯智成悲十明論 【唐 李通玄撰】
≪T45n1889≫ p0773 1 ∴해인삼매론 [신라 명효술] 海印三昧論 【新羅 明皛述】
≪T45n1890≫ p0775 1 ∴화엄일승성불묘의 [신라 견등지집] 華嚴一乘成佛妙義 【新羅 見登之集】
≪T51n2073≫ p0153 5 ∴화엄경전기 [당 법장집] 華嚴經傳記 【唐 法藏集】
≪T51n2074≫ p0173 1 ∴대방광불화엄경감응전 [당 혜영찬,호유정찬] 大方廣佛華嚴經感應傳 【唐 惠英撰,胡幽貞纂】
≪T55n2177≫ p1132 1 ∴화엄종장소병인명록 [일본 원초록] 華嚴宗章疏并因明錄 【日本 圓超錄】
≪T57n2205≫ p0049 38 ∴화엄연의초찬석 [일본 담예찬] 華嚴演義鈔纂釋 【日本 湛叡撰】
≪T57n2206A≫ p0367 1 ∴신역화엄경음의 [일본 희해찬] 新譯華嚴經音義 【日本 喜海撰】
≪T57n2206B≫ p0377 1 ∴정원화엄경음의 [일본 희해찬] 貞元華嚴經音義 【日本 喜海撰】
≪T72n2326≫ p0001 6 ∴화엄종일승개심론 [일본 보기찬] 華嚴宗一乘開心論 【日本 普機撰】
≪T72n2327≫ p0014 1 ∴화엄일승의사기 [일본 증춘찬] 華嚴一乘義私記 【日本 增春撰】
≪T72n2328≫ p0046 1 ∴화엄종종성의초 [일본 친원찬] 華嚴宗種性義抄 【日本 親圓撰】
≪T72n2329≫ p0062 1 ∴화엄론초 [일본 경아찬] 華嚴論草 【日本 景雅撰】
≪T72n2330≫ p0069 1 ∴화엄신종의 [일본 고변기] 華嚴信種義 【日本 高辨記】
≪T72n2331≫ p0074 2 ∴화엄수선관조입해탈문의 [일본 고변술] 華嚴修禪觀照入解脫門義 【日本 高辨述】
≪T72n2332≫ p0087 2 ∴화엄불광삼매관비보장 [일본 고변집] 華嚴佛光三昧觀祕寶藏 【日本 高辨集】
≪T72n2333≫ p0100 7 ∴화엄종향훈초 [일본 종성찬] 華嚴宗香薰抄 【日本 宗性撰】
≪T72n2334≫ p0189 1 ∴화엄종대요초 [일본 실홍찬] 華嚴宗大要抄 【日本 實弘撰】
≪T72n2335≫ p0190 1 ∴화엄종요의 [일본 응연술] 華嚴宗要義 【日本 凝然述】
≪T72n2336≫ p0197 1 ∴화엄종소립오교십종대의략초 華嚴宗所立五敎十宗大意略抄
≪T72n2337≫ p0201 6 ∴화엄오교장지사 [일본 수령술] 華嚴五敎章指事 【日本 壽靈述】
≪T72n2338≫ p0280 3 ∴화엄오교장명목 華嚴五敎章名目
≪T72n2339≫ p0295 52 ∴오교장통노기 [일본 응연술] 五敎章通路記 【日本 凝然述】
≪T72n2340≫ p0617 15 ∴화엄오교장문답초 [일본 심승찬] 華嚴五敎章問答抄 【日本 審乘撰】
≪T73n2341≫ p0001 10 ∴화엄오교장심의초 [일본 성전찬] 華嚴五敎章深意鈔 【日本 聖詮撰】
≪T73n2342≫ p0075 8 ∴화엄오교장견문초 [일본 령파기] 華嚴五敎章見聞鈔 【日本 靈波記】
≪T73n2343≫ p0177 20 ∴화엄오교장부심 [일본 실영찬] 華嚴五敎章不審 【日本 實英撰】
≪T73n2344≫ p0301 10 ∴화엄오교장광진초 [일본 봉담찬] 華嚴五敎章匡眞鈔 【日本 鳳潭撰】
≪T73n2345≫ p0623 5 ∴화엄오교장연비초 [일본 보적찬] 華嚴五敎章衍祕鈔 【日本 普寂撰】
≪T73n2346≫ p0715 1 ∴금사자장감문 [일본 경아찬] 金師子章勘文 【日本 景雅撰】
≪T85n2753≫ p0205 1 ∴화엄경장 華嚴經章
≪T85n2754≫ p0207 1 ∴화엄략소권제삼 華嚴略疏卷第三
≪T85n2755≫ p0217 1 ∴화엄경소 華嚴經疏
≪T85n2756≫ p0234 1 ∴화엄경의기권제일 [후위 혜광찬] 華嚴經義記卷第一 【後魏 慧光撰】
≪T85n2757≫ p0234 1 ∴화엄경소권제삼 [신라 원효찬] 華嚴經疏卷第三 【新羅 元曉撰】
≪T85n2875≫ p1359 1 ∴대방광화엄십악품경 大方廣華嚴十惡品經
≪T85n2908≫ p1454 1 ∴대방광불화엄경보현보살행원왕품 大方廣佛華嚴經普賢菩薩行願王品
≪X02n0071≫ ∴華嚴經心陀羅尼 ≪T19n1021≫ 1 【唐 實叉難陀譯】 密敎部類 密經儀軌部
≪X03n0208≫ ∴화엄경론〔권십〕 1 【후위 령변조】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08≫ ∴華嚴經論〔卷十〕 1 【後魏 靈辨造】 華嚴部類 華嚴部疏
≪X03n0209≫ ∴화엄유의 ≪T35n1731≫ 1 【수 길장찬】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09≫ ∴華嚴遊意 ≪T35n1731≫ 1 【隋 吉藏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3n0210≫ ∴대주경현의 ≪T36n1743≫ 1 【당 정거칙찬】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10≫ ∴大周經玄義 ≪T36n1743≫ 1 【唐 靜居敕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3n0211≫ ∴화엄경문의기〔권육〕 1 【당 령유집기】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11≫ ∴華嚴經文義記〔卷六〕 1 【唐 靈裕集記】 華嚴部類 華嚴部疏
≪X03n0212≫ ∴화엄경수현기(화엄경략소) ≪T35n1732≫ 5 【당 지엄기】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12≫ ∴華嚴經搜玄記(華嚴經略疏) ≪T35n1732≫ 5 【唐 智儼記】 華嚴部類 華嚴部疏
≪X03n0213≫ ∴화엄경탐현기 ≪T35n1733≫ 20 【당 법장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13≫ ∴華嚴經探玄記 ≪T35n1733≫ 20 【唐 法藏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3n0214≫ ∴화엄경문의강목 ≪T35n1734≫ 1 【당 법장찬】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14≫ ∴華嚴經文義綱目 ≪T35n1734≫ 1 【唐 法藏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3n0215≫ ∴화엄경책림 ≪T45n1872≫ 1 【당 법장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15≫ ∴華嚴經策林 ≪T45n1872≫ 1 【唐 法藏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3n0216≫ ∴화엄경골목 ≪T36n1742≫ 2 【당 담연찬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16≫ ∴華嚴經骨目 ≪T36n1742≫ 2 【唐 湛然撰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3n0217≫ ∴화엄경략책 ≪T36n1737≫ 1 【당 징관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17≫ ∴華嚴經略策 ≪T36n1737≫ 1 【唐 澄觀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3n0218≫ ∴화엄경입법계품십팔문답 1 【당 징관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18≫ ∴華嚴經入法界品十八問答 1 【唐 澄觀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3n0219≫ ∴화엄경칠처구회송석장 ≪T36n1738≫ 1 【당 징관찬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19≫ ∴華嚴經七處九會頌釋章 ≪T36n1738≫ 1 【唐 澄觀撰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3n0220≫ ∴華嚴經綸貫 1 【宋 復菴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3n0220≫ ∴화엄경륜관 1 【송 부암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21≫ ∴속화엄경략소간정기 13 【당 혜원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3n0221≫ ∴續華嚴經略疏刊定記 13 【唐 慧苑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4n0222≫ ∴화엄경대의 ≪T36n1740≫ 1 【당 리통현조】 화엄부류 화엄부소
≪X04n0222≫ ∴華嚴經大意 ≪T36n1740≫ 1 【唐 李通玄造】 華嚴部類 華嚴部疏
≪X04n0223≫ ∴화엄경합론 120 【당 리통현조론 지녕리경합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4n0223≫ ∴華嚴經合論 120 【唐 李通玄造論 志寧釐經合論】 華嚴部類 華嚴部疏
≪X04n0224≫ ∴화엄경결의론 ≪T36n1741≫ 4 【당 리통현찬】 화엄부류 화엄부소
≪X04n0224≫ ∴華嚴經決疑論 ≪T36n1741≫ 4 【唐 李通玄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4n0225≫ ∴화엄경합론간요 4 【명 리지간요】 화엄부류 화엄부소
≪X04n0225≫ ∴華嚴經合論簡要 4 【明 李贄簡要】 華嚴部類 華嚴部疏
≪X05n0226≫ ∴화엄경합론찬요 3 【명 방택찬】 화엄부류 화엄부소
≪X05n0226≫ ∴華嚴經合論纂要 3 【明 方澤纂】 華嚴部類 華嚴部疏
≪X05n0227≫ ∴화엄경행원품소 10 【당 징관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5n0227≫ ∴華嚴經行願品疏 10 【唐 澄觀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5n0228≫ ∴화엄경행원품소과 1 【당 종밀찬집】 화엄부류 화엄부소
≪X05n0228≫ ∴華嚴經行願品疏科 1 【唐 宗密撰集】 華嚴部類 華嚴部疏
≪X05n0229≫ ∴화엄경행원품소초 6 【당 징관별행소 종밀수소초】 화엄부류 화엄부소
≪X05n0229≫ ∴華嚴經行願品疏鈔 6 【唐 澄觀別行疏 宗密隨疏鈔】 華嚴部類 華嚴部疏
≪X05n0230≫ ∴화엄경보현행원품소과 1 【송 준식치정】 화엄부류 화엄부소
≪X05n0230≫ ∴華嚴經普賢行願品疏科 1 【宋 遵式治定】 華嚴部類 華嚴部疏
≪X05n0231≫ ∴화엄경소과문 10 【당 징관배정】 화엄부류 화엄부소
≪X05n0231≫ ∴華嚴經疏科文 10 【唐 澄觀排定】 華嚴部類 華嚴部疏
≪X05n0232≫ ∴화엄경소초현담 9 【당 징관찬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5n0232≫ ∴華嚴經疏鈔玄談 9 【唐 澄觀撰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7n0233≫ ∴화엄경소연의초 ≪T36n1736≫ 80 【당 징관찬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7n0233≫ ∴華嚴經疏演義鈔 ≪T36n1736≫ 80 【唐 澄觀撰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7n0234≫ ∴화엄경소주 58 【당 징관술 송 정원록소주경】 화엄부류 화엄부소
≪X07n0234≫ ∴華嚴經疏注 58 【唐 澄觀述 宋 淨源錄疏注經】 華嚴部類 華嚴部疏
≪X08n0235≫ ∴화엄경담현결택 5 【료 선연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8n0235≫ ∴華嚴經談玄抉擇 5 【遼 鮮演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8n0236≫ ∴화엄현담회현기 40 【원 보서집】 화엄부류 화엄부소
≪X08n0236≫ ∴華嚴懸談會玄記 40 【元 普瑞集】 華嚴部類 華嚴部疏
≪X08n0237≫ ∴화엄경문의요결문답 4 【신라 표원집】 화엄부류 화엄부소
≪X08n0237≫ ∴華嚴經文義要決問答 4 【新羅 表員集】 華嚴部類 華嚴部疏
≪X08n0238≫ ∴화엄경요해 1 【송 계환집】 화엄부류 화엄부소
≪X08n0238≫ ∴華嚴經要解 1 【宋 戒環集】 華嚴部類 華嚴部疏
≪X08n0239≫ ∴화엄경탄해집 3 【송 도통술】 화엄부류 화엄부소
≪X08n0239≫ ∴華嚴經呑海集 3 【宋 道通述】 華嚴部類 華嚴部疏
≪X08n0240≫ ∴화엄강요 44 【당 징관소의 명 덕청제설】 화엄부류 화엄부소
≪X08n0240≫ ∴華嚴綱要 44 【唐 澄觀疏義 明 德淸提挈】 華嚴部類 華嚴部疏
≪X09n0240≫ ∴화엄강요 36 【당 징관소의 명 덕청제설】 화엄부류 화엄부소
≪X09n0240≫ ∴華嚴綱要 36 【唐 澄觀疏義 明 德淸提挈】 華嚴部類 華嚴部疏
≪X09n0241≫ ∴화엄경강목관섭 1 【청 영광록집】 화엄부류 화엄부소
≪X09n0241≫ ∴華嚴經綱目貫攝 1 【淸 永光錄集】 華嚴部類 華嚴部疏
≪X09n0242≫ ∴화엄경삼십구품대의 1 【청 영광경록】 화엄부류 화엄부소
≪X09n0242≫ ∴華嚴經三十九品大意 1 【淸 永光敬錄】 華嚴部類 華嚴部疏
≪X58n0981≫ ∴화엄오교지관 ≪T45n1867≫ 1 【수 두순설】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81≫ ∴華嚴五敎止觀 ≪T45n1867≫ 1 【隋 杜順說】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82≫ ∴화엄일승십현문 ≪T45n1868≫ 1 【수 두순설 당 지엄찬】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82≫ ∴華嚴一乘十玄門 ≪T45n1868≫ 1 【隋 杜順說 唐 智儼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83≫ ∴화엄오십요문답 ≪T45n1869≫ 2 【당 지엄찬】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83≫ ∴華嚴五十要問答 ≪T45n1869≫ 2 【唐 智儼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84≫ ∴화엄경내장문등잡공목장 ≪T45n1870≫ 4 【당 지엄찬】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84≫ ∴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章 ≪T45n1870≫ 4 【唐 智儼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85≫ ∴화엄융회일승의장명종기 1 【송 사회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85≫ ∴華嚴融會一乘義章明宗記 1 【宋 師會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86≫ ∴화엄경문답 ≪T45n1873≫ 2 【당 법장찬】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86≫ ∴華嚴經問答 ≪T45n1873≫ 2 【唐 法藏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87≫ ∴화엄경의해백문 ≪T45n1875≫ 1 【당 법장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87≫ ∴華嚴經義海百門 ≪T45n1875≫ 1 【唐 法藏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88≫ ∴화엄관맥의기 ≪T45n1879b≫ 1 【당 법장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88≫ ∴華嚴關脈義記 ≪T45n1879b≫ 1 【唐 法藏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89≫ ∴화엄유심법계기 ≪T45n1877≫ 1 【당 법장찬】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89≫ ∴華嚴遊心法界記 ≪T45n1877≫ 1 【唐 法藏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90≫ ∴화엄발보리심장 ≪T45n1878≫ 1 【당 법장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90≫ ∴華嚴發菩提心章 ≪T45n1878≫ 1 【唐 法藏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91≫ ∴화엄경보현관행법문 1 【당 법장찬】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91≫ ∴華嚴經普賢觀行法門 1 【唐 法藏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92≫ ∴주화엄금사자장 ≪T45n1881≫ 1 【송 승천주】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92≫ ∴註華嚴金師子章 ≪T45n1881≫ 1 【宋 承遷註】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93≫ ∴화엄환원관과 1 【송 정원간정】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93≫ ∴華嚴還源觀科 1 【宋 淨源刊正】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94≫ ∴화엄망진환원관소초보해 1 【송 정원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94≫ ∴華嚴妄盡還源觀疏鈔補解 1 【宋 淨源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95≫ ∴화엄일승교의분제장의원소 10 【송 도정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95≫ ∴華嚴一乘敎義分齊章義苑疏 10 【宋 道亭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96≫ ∴화엄일승교의분제장분신 2 【송 사회록】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96≫ ∴華嚴一乘敎義分齊章焚薪 2 【宋 師會錄】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97≫ ∴화엄일승교의분제장과 1 【송 사회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97≫ ∴華嚴一乘敎義分齊章科 1 【宋 師會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98≫ ∴華嚴一乘敎義分齊章復古記 3 【宋 師會,善熹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0998≫ ∴화엄일승교의분제장부고기 3 【송 사회,선희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99≫ ∴오교장집성기 1 【송 희적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0999≫ ∴五敎章集成記 1 【宋 希迪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00≫ ∴評復古記 1 【宋 希迪錄】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00≫ ∴평부고기 1 【송 희적록】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01≫ ∴화엄일승법계도 ≪T45n1887A≫ 1 【신라 의상찬】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01≫ ∴華嚴一乘法界圖 ≪T45n1887A≫ 1 【新羅 義湘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02≫ ∴화엄해인삼매론 ≪T45n1889≫ 1 【신라 명정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02≫ ∴華嚴海印三昧論 ≪T45n1889≫ 1 【新羅 明晶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03≫ ∴삼성원융관문 ≪T45n1882≫ 1 【당 징관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03≫ ∴三聖圓融觀門 ≪T45n1882≫ 1 【唐 澄觀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04≫ ∴오온관 1 【당 징관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04≫ ∴五蘊觀 1 【唐 澄觀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05≫ ∴화엄심요법문주 1 【당 종밀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05≫ ∴華嚴心要法門註 1 【唐 宗密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06≫ ∴선원제전집도서 ≪T48n2015≫ 4 【당 종밀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06≫ ∴禪源諸詮集都序 ≪T48n2015≫ 4 【唐 宗密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07≫ ∴주화엄법계관과문 1 【당 종밀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07≫ ∴註華嚴法界觀科文 1 【唐 宗密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08≫ ∴주화엄법계관과문 1 【당 종예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08≫ ∴註華嚴法界觀科文 1 【唐 宗豫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09≫ ∴주화엄법계관문송 ≪T45n1885≫ 2 【송 본숭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09≫ ∴註華嚴法界觀門頌 ≪T45n1885≫ 2 【宋 本嵩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10≫ ∴권발보리심문 1 【당 배휴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10≫ ∴勸發菩提心文 1 【唐 裴休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11≫ ∴석화엄십명론 ≪T45n1888≫ 1 【당 리통현찬】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11≫ ∴釋華嚴十明論 ≪T45n1888≫ 1 【唐 李通玄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12≫ ∴화엄일승성불묘의 ≪T45n1890≫ 1 【당 견등집】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12≫ ∴華嚴一乘成佛妙義 ≪T45n1890≫ 1 【唐 見登集】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13≫ ∴화엄법상반절 1 【송 도통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13≫ ∴華嚴法相槃節 1 【宋 道通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14≫ ∴법계관피운집 1 【송 도통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14≫ ∴法界觀披雲集 1 【宋 道通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15≫ ∴원종문류 2 【고려 의천집】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15≫ ∴圓宗文類 2 【高麗 義天集】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16≫ ∴주화엄동교일승책 1 【송 사회술 희적주】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16≫ ∴註華嚴同敎一乘策 1 【宋 師會述 希迪註】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17≫ ∴주동교문답 1 【송 사회술 선희주】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17≫ ∴註同敎問答 1 【宋 師會述 善熹註】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18≫ ∴평금강비 1 【송 선희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18≫ ∴評金剛錍 1 【宋 善熹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19≫ ∴변비집 1 【송 선희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19≫ ∴辨非集 1 【宋 善熹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20≫ ∴척류 1 【송 선희서】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20≫ ∴斥謬 1 【宋 善熹書】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21≫ ∴문수지남도찬 ≪T45n1891≫ 1 【송 유백찬】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21≫ ∴文殊指南圖讚 ≪T45n1891≫ 1 【宋 惟白讚】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22≫ ∴오상지식송 1 【송 일명찬】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22≫ ∴五相智識頌 1 【宋 佚名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23≫ ∴화엄대의 1 【명 선견찬】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23≫ ∴華嚴大意 1 【明 善堅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24≫ ∴현수오교의 6 【청 속법집록】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24≫ ∴賢首五敎儀 6 【淸 續法集錄】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25≫ ∴현수오교의개몽 1 【청 속법집】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25≫ ∴賢首五敎儀開蒙 1 【淸 續法集】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26≫ ∴현수오교단증삼각간람도 1 【청 속법집】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26≫ ∴賢首五敎斷證三覺揀濫圖 1 【淸 續法集】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27≫ ∴법계종연화장 1 【청 속법집】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27≫ ∴法界宗蓮花章 1 【淸 續法集】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28≫ ∴화엄경등장 1 【청 속법집】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28≫ ∴華嚴鏡燈章 1 【淸 續法集】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29≫ ∴일승결의론 1 【청 팽제청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29≫ ∴一乘決疑論 1 【淸 彭際淸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30≫ ∴화엄염불삼매론 1 【청 팽제청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30≫ ∴華嚴念佛三昧論 1 【淸 彭際淸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31≫ ∴화엄원인론발미록 3 【송 정원술】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31≫ ∴華嚴原人論發微錄 3 【宋 淨源述】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32≫ ∴화엄원인론해 3 【원 원각해】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32≫ ∴華嚴原人論解 3 【元 圓覺解】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58n1033≫ ∴화엄원인론합해 2 【원 원각해 명 양가조산합】 화엄부류 제종저술부
≪X58n1033≫ ∴華嚴原人論合解 2 【元 圓覺解 明 楊嘉祚刪合】 華嚴部類 諸宗著述部
≪X74n1469≫ ∴화엄경해인도장구회청불의 1 【】 예참부류 예참부
≪X74n1469≫ ∴華嚴經海印道場九會請佛儀 1 【】 禮懺部類 禮懺部
≪X74n1470≫ ∴화엄경해인도장참의 42 【당 일행혜각의경록 송 보서보주 명 독철참열 명 목증정정 명 정지치정】 예참부류 예참부
≪X74n1470≫ ∴華嚴經海印道場懺儀 42 【唐 一行慧覺依經錄 宋 普瑞補註 明 讀徹參閱 明 木增訂正 明 正止治定】 禮懺部類 禮懺部
≪X74n1471≫ ∴화엄청량국사예찬문 1 【송 지굉술】 예참부류 예참부
≪X74n1471≫ ∴華嚴淸涼國師禮讚文 1 【宋 智肱述】 禮懺部類 禮懺部
≪X74n1472≫ ∴화엄보현행원수증의 1 【송 정원집】 예참부류 예참부
≪X74n1472≫ ∴華嚴普賢行願修證儀 1 【宋 淨源集】 禮懺部類 禮懺部
≪X74n1473≫ ∴화엄보현행원수증의 1 【송 정원집】 예참부류 예참부
≪X74n1473≫ ∴華嚴普賢行願修證儀 1 【宋 淨源集】 禮懺部類 禮懺部
≪X74n1474≫ ∴화엄도장기지대략 1 【명】 예참부류 예참부
≪X74n1474≫ ∴華嚴道場起止大略 1 【明】 禮懺部類 禮懺部
≪X77n1528≫ ∴화엄경전기 ≪T51n2073≫ 5 【당 법장집술】 사전부류 사전부
≪X77n1528≫ ∴華嚴經傳記 ≪T51n2073≫ 5 【唐 法藏集述】 史傳部類 史傳部
≪X77n1529≫ ∴법장화상전 ≪T50n2054≫ 1 【신라 최치원결】 사전부류 사전부
≪X77n1529≫ ∴法藏和尙傳 ≪T50n2054≫ 1 【新羅 崔致遠結】 史傳部類 史傳部
≪X77n1530≫ ∴법계종오조략기 1 【청 속법집】 사전부류 사전부
≪X77n1530≫ ∴法界宗五祖略記 1 【淸 續法輯】 史傳部類 史傳部
≪X77n1531≫ ∴화엄경감응전 ≪T51n2074≫ 1 【호 유정간찬】 사전부류 사전부
≪X77n1531≫ ∴華嚴經感應傳 ≪T51n2074≫ 1 【胡 幽貞刊纂】 史傳部類 史傳部
≪X77n1532≫ ∴화엄경감응략기 1 【명 주굉집록】 사전부류 사전부
≪X77n1532≫ ∴華嚴經感應略記 1 【明 袾宏輯錄】 史傳部類 史傳部
≪X77n1533≫ ∴화엄감응연기전 1 【청 홍벽집】 사전부류 사전부
≪X77n1533≫ ∴華嚴感應緣起傳 1 【淸 弘璧輯】 史傳部類 史傳部
≪X77n1534≫ ∴華嚴經持驗記 1 【淸 周克復纂】 史傳部類 史傳部
≪X77n1534≫ ∴화엄경지험기 1 【청 주극부찬】 사전부류 사전부
Kor★n79_0_0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 ◎大方廣佛華嚴經 ▶V.08_0001_1⇔V.08_0425_1
Kor★n79_0_1_0_0_0_0 ●세간정안품제일지일 ◎世間淨眼品第一之一 ▶V.08_0001_1⇔V.08_0008_1
Kor★n79_0_2_0_0_0_0 ●세간정안품제일지이 ◎世間淨眼品第一之二 ▶V.08_0008_1⇔V.08_0012_3
Kor★n79_0_3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노사나불품제이지일 ◎大方廣佛華嚴經盧舍那佛品第二之一 ▶V.08_0012_3⇔V.08_0015_2
Kor★n79_0_4_0_0_0_0 ●노사나불품제이지이 ◎盧舍那佛品第二之二 ▶V.08_0015_2⇔V.08_0023_2
Kor★n79_0_5_0_0_0_0 ●노사나불품제이지삼 ◎盧舍那佛品第二之三 ▶V.08_0023_2⇔V.08_0026_3
Kor★n79_0_6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여래명호품제삼 ◎大方廣佛華嚴經如來名號品第三 ▶V.08_0026_3⇔V.08_0029_1
Kor★n79_0_7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사제품제사지일 ◎大方廣佛華嚴經四諦品第四之一 ▶V.08_0029_1⇔V.08_0031_1
Kor★n79_0_8_0_0_0_0 ●사제품제사지이 ◎四諦品第四之二 ▶V.08_0031_1⇔V.08_0031_3
Kor★n79_0_9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여래광명각품제오 ◎大方廣佛華嚴經如來光明覺品第五 ▶V.08_0031_3⇔V.08_0035_3
Kor★n79_0_10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보살명난품제육 ◎大方廣佛華嚴經菩薩明難品第六 ▶V.08_0035_3⇔V.08_0038_2
Kor★n79_0_11_0_0_0_0 ●정행품제칠 ◎淨行品第七 ▶V.08_0038_2⇔V.08_0040_3
Kor★n79_0_12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현수보살품제팔지일 ◎大方廣佛華嚴經賢首菩薩品第八之一 ▶V.08_0040_3⇔V.08_0045_3
Kor★n79_0_13_0_0_0_0 ●현수보살품제팔지이 ◎賢首菩薩品第八之二 ▶V.08_0045_3⇔V.08_0051_2
Kor★n79_0_14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불승수미정품제구 ◎大方廣佛華嚴經佛昇須彌頂品第九 ▶V.08_0051_2⇔V.08_0052_1
Kor★n79_0_15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보살운집묘승전상설게품제십 ◎大方廣佛華嚴經菩薩雲集妙勝殿上說偈品第十 ▶V.08_0052_1⇔V.08_0053_2
Kor★n79_0_16_0_0_0_0 ●보살운집묘승전상설게품제십지이 ◎菩薩雲集妙勝殿上說偈品第十之二 ▶V.08_0053_2⇔V.08_0054_1
Kor★n79_0_17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보살십주품제십일 ◎大方廣佛華嚴經菩薩十住品第十一 ▶V.08_0054_1⇔V.08_0059_2
Kor★n79_0_18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범행품제십이 ◎大方廣佛華嚴經梵行品第十二 ▶V.08_0059_2⇔V.08_0060_2
Kor★n79_0_19_0_0_0_0 ●초발심보살공덕품제십삼 ◎初發心菩薩功德品第十三 ▶V.08_0060_2⇔V.08_0067_3
Kor★n79_0_20_0_0_0_0 ●명법품제십사 ◎明法品第十四 ▶V.08_0067_3⇔V.08_0072_1
Kor★n79_0_21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불승야마천궁자재품제십오 ◎大方廣佛華嚴經佛昇夜摩天宮自在品第十五 ▶V.08_0072_1⇔V.08_0072_3
Kor★n79_0_22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야마천궁보살설게품제십육 ◎大方廣佛華嚴經夜摩天宮菩薩說偈品第十六 ▶V.08_0072_3⇔V.08_0075_1
Kor★n79_0_23_0_0_0_0 ●공덕화취보살십행품제십칠지일 ◎功德華聚菩薩行品第十七之一 ▶V.08_0075_1⇔V.08_0082_1
Kor★n79_0_24_0_0_0_0 ●공덕화취보살십행품제십칠지이 ◎功德華聚菩薩十行品第十七之二 ▶V.08_0082_1⇔V.08_0083_3
Kor★n79_0_25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보살십무진장품제십팔 ◎大方廣佛華嚴經菩薩十無盡藏品第十八 ▶V.08_0083_3⇔V.08_0088_3
Kor★n79_0_26_0_0_0_0 ●여래승도솔천궁일체보전품제십구 ◎如來昇兜率天宮一切寶殿品第十九 ▶V.08_0088_3⇔V.08_0096_1
Kor★n79_0_27_0_0_0_0 ●도솔천궁보살운집찬불품제이십 ◎兜率天宮菩薩雲集讚佛品第二十 ▶V.08_0096_1⇔V.08_0098_2
Kor★n79_0_28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금강당보살십회향품제이십일지일 ◎大方廣佛華嚴經金剛幢菩薩十廻向品第二十一之一 ▶V.08_0098_2⇔V.08_0104_3
Kor★n79_0_29_0_0_0_0 ●금강당보살십회향품제이십일지이 ◎金剛幢菩薩十廻向品第二十一之二 ▶V.08_0104_3⇔V.08_0112_2
Kor★n79_0_30_0_0_0_0 ●금강당보살십회향품제이십일지삼 ◎金剛幢菩薩十廻向品第二十一之三 ▶V.08_0112_2⇔V.08_0119_3
Kor★n79_0_31_0_0_0_0 ●금강당보살십회향품제이십일지사 ◎金剛幢菩薩十廻向品第二十一之四 ▶V.08_0119_3⇔V.08_0127_1
Kor★n79_0_32_0_0_0_0 ●금강당보살십회향품제이십일지오 ◎金剛幢菩薩十廻向品第二十一之五 ▶V.08_0127_1⇔V.08_0134_2
Kor★n79_0_33_0_0_0_0 ●금강당보살십회향품제이십일지육 ◎金剛幢菩薩十廻向品第二十一之六 ▶V.08_0134_2⇔V.08_0142_1
Kor★n79_0_34_0_0_0_0 ●금강당보살십회향품제이십일지칠 ◎金剛幢菩薩十廻向品第二十一之七 ▶V.08_0142_1⇔V.08_0148_3
Kor★n79_0_35_0_0_0_0 ●금강당보살십회향품제이십일지팔 ◎金剛幢菩薩十廻向品第二十一之八 ▶V.08_0148_3⇔V.08_0155_2
Kor★n79_0_36_0_0_0_0 ●금강당보살십회향품제이십일지구 ◎金剛幢菩薩十廻向品第二十一之九 ▶V.08_0155_2⇔V.08_0162_2
Kor★n79_0_37_0_0_0_0 ●십지품제이십이지일 ◎十地品第二十二之一 ▶V.08_0162_2⇔V.08_0169_2
Kor★n79_0_38_0_0_0_0 ●십지품제이십이지이 ◎十地品第二十二之二 ▶V.08_0169_2⇔V.08_0176_1
Kor★n79_0_39_0_0_0_0 ●십지품제이십이지삼 ◎十地品第二十二之三 ▶V.08_0176_1⇔V.08_0184_1
Kor★n79_0_40_0_0_0_0 ●십지품제이십이지사 ◎十地品第二十二之四 ▶V.08_0184_1⇔V.08_0190_3
Kor★n79_0_41_0_0_0_0 ●십지품제이십이지오 ◎十地品第二十二之五 ▶V.08_0190_3⇔V.08_0197_2
Kor★n79_0_42_0_0_0_0 ●십명품제이십삼 ◎十明品第二十三 ▶V.08_0197_2⇔V.08_0200_2
Kor★n79_0_43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십인품제이십사 ◎大方廣佛華嚴經十忍品第二十四 ▶V.08_0200_2⇔V.08_0205_2
Kor★n79_0_44_0_0_0_0 ●심왕보살문아승기품제이십오 ◎心王菩薩問阿僧祇品第二十五 ▶V.08_0205_2⇔V.08_0209_3
Kor★n79_0_45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수명품제이십육 ◎大方廣佛華嚴經壽命品第二十六 ▶V.08_0209_3⇔V.08_0209_3
Kor★n79_0_46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보살주처품제이십칠 ◎大方廣佛華嚴經菩薩住處品第二十七 ▶V.08_0209_3⇔V.08_0210_3
Kor★n79_0_47_0_0_0_0 ●불부사의법품제이십팔지일 ◎佛不思議法品第二十八之一 ▶V.08_0210_3⇔V.08_0216_2
Kor★n79_0_48_0_0_0_0 ●불부사의법품제이십팔지이 ◎佛不思議法品第二十八之二 ▶V.08_0216_2⇔V.08_0223_2
Kor★n79_0_49_0_0_0_0 ●여래상해품제이십구 ◎如來相海品第二十九 ▶V.08_0223_2⇔V.08_0227_3
Kor★n79_0_50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불소상광명공덕품제삼십 ◎大方廣佛華嚴經佛小相光明功德品第三十 ▶V.08_0227_3⇔V.08_0230_2
Kor★n79_0_51_0_0_0_0 ●보현보살행품제삼십일 ◎普賢菩薩行品第三十一 ▶V.08_0230_2⇔V.08_0233_3
Kor★n79_0_52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보왕여래성기품제삼십이지일 ◎大方廣佛華嚴經寶王如來性起品第三十二之一 ▶V.08_0233_3⇔V.08_0237_2
Kor★n79_0_53_0_0_0_0 ●보왕여래성기품제삼십이지이 ◎寶王如來性起品第三十二之二 ▶V.08_0237_2⇔V.08_0244_1
Kor★n79_0_54_0_0_0_0 ●보왕여래성기품제삼십이지삼 ◎寶王如來性起品第三十二之三 ▶V.08_0244_1⇔V.08_0250_3
Kor★n79_0_55_0_0_0_0 ●보왕여래성기품제삼십이지사 ◎寶王如來性起品第三十二之四 ▶V.08_0250_3⇔V.08_0253_3
Kor★n79_0_56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이세간품제삼십삼지일 ◎大方廣佛華嚴經離世間品第三十三之一 ▶V.08_0253_3⇔V.08_0256_3
Kor★n79_0_57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삼지이 ◎離世間品第三十二之二 ▶V.08_0256_3⇔V.08_0263_1
Kor★n79_0_58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삼지삼 ◎離世間品第三十三之三 ▶V.08_0263_1⇔V.08_0269_3
Kor★n79_0_59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삼지사 ◎離世間品第三十三之四 ▶V.08_0269_3⇔V.08_0277_1
Kor★n79_0_60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삼지오 ◎離世間品第三十三之五 ▶V.08_0277_1⇔V.08_0284_1
Kor★n79_0_61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삼지육 ◎離世間品無三十三之六 ▶V.08_0284_1⇔V.08_0289_3
Kor★n79_0_62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삼지칠 ◎離世間品第三十三之七 ▶V.08_0289_3⇔V.08_0296_3
Kor★n79_0_63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삼지팔 ◎離世間品第三十三之八 ▶V.08_0296_3⇔V.08_0303_2
Kor★n79_0_64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일 ◎入法界品第三十四之一 ▶V.08_0303_2⇔V.08_0310_2
Kor★n79_0_65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이 ◎入法界品第三十四之二 ▶V.08_0310_2⇔V.08_0317_2
Kor★n79_0_66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삼 ◎入法界品第三十四之三 ▶V.08_0317_2⇔V.08_0324_2
Kor★n79_0_67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사 ◎入法界品第三十四之四 ▶V.08_0324_2⇔V.08_0332_3
Kor★n79_0_68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오 ◎入法界品第三十四之五 ▶V.08_0332_3⇔V.08_0339_1
Kor★n79_0_69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육 ◎入法界品第三十四之六 ▶V.08_0339_1⇔V.08_0346_1
Kor★n79_0_70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칠 ◎人法界品第三十四之七 ▶V.08_0346_1⇔V.08_0351_3
Kor★n79_0_71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팔 ◎人法界品第三十四之八 ▶V.08_0351_3⇔V.08_0358_2
Kor★n79_0_72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구 ◎人法界品第三十四之九 ▶V.08_0358_2⇔V.08_0365_3
Kor★n79_0_73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십 ◎入法界品第三十四之十 ▶V.08_0365_3⇔V.08_0373_1
Kor★n79_0_74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십일 ◎入法界品第三十四之十一 ▶V.08_0373_1⇔V.08_0380_2
Kor★n79_0_75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십이 ◎入法界品第三十四之十二 ▶V.08_0380_2⇔V.08_0388_3
Kor★n79_0_76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십삼 ◎入法界品第三十四之十二 ▶V.08_0388_3⇔V.08_0396_2
Kor★n79_0_77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십사 ◎入法界品第三十四之十四 ▶V.08_0396_2⇔V.08_0403_2
Kor★n79_0_78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십오 ◎入法界品第三十四之十五 ▶V.08_0403_2⇔V.08_0411_1
Kor★n79_0_79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십육 ◎入法界品第三十四之十六 ▶V.08_0411_1⇔V.08_0418_1
Kor★n79_0_80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사지십칠 ◎入法界品第二十四之十七 ▶V.08_0418_1⇔V.08_0425_1
Kor★n80_0_0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 ◎大方廣佛華嚴經 ▶V.08_0425_1⇔V.08_0945_1
Kor★n80_0_1_0_0_0_0 ●대주신역대방광불화엄경서 ◎大周新譯大方廣佛華嚴經序 ▶V.08_0425_1⇔V.08_0425_2
Kor★n80_0_2_0_0_0_0 ●세주묘엄품제일지일 ◎世主妙嚴品第一之一 ▶V.08_0425_2⇔V.08_0430_3
Kor★n80_0_3_0_0_0_0 ●세주묘엄품제일지이 ◎世主妙嚴品第一之二 ▶V.08_0430_3⇔V.08_0437_1
Kor★n80_0_4_0_0_0_0 ●세주묘엄품제일지삼 ◎世主妙嚴品第一之三 ▶V.08_0437_1⇔V.08_0443_3
Kor★n80_0_5_0_0_0_0 ●세주묘엄품제일지사 ◎世主妙嚴品第一之四 ▶V.08_0443_3⇔V.08_0450_3
Kor★n80_0_6_0_0_0_0 ●세주묘엄품제일지오 ◎世主妙嚴品第一之五 ▶V.08_0450_3⇔V.08_0456_2
Kor★n80_0_7_0_0_0_0 ●여래현상품제이 ◎如來現相品第二 ▶V.08_0456_2⇔V.08_0463_2
Kor★n80_0_8_0_0_0_0 ●보현삼매품제삼 ◎普賢三昧品第三 ▶V.08_0463_2⇔V.08_0465_1
Kor★n80_0_9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세계성취품제사 ◎大方廣佛華嚴經世界成就品第四 ▶V.08_0465_1⇔V.08_0470_3
Kor★n80_0_10_0_0_0_0 ●화장세계품제오지일 ◎華藏世界品第五之一 ▶V.08_0470_3⇔V.08_0477_1
Kor★n80_0_11_0_0_0_0 ●화장세계품제오지이 ◎華藏世界品第五之二 ▶V.08_0477_1⇔V.08_0483_1
Kor★n80_0_12_0_0_0_0 ●화장세계품제오지삼 ◎華藏世界品第五之三 ▶V.08_0483_1⇔V.08_0487_3
Kor★n80_0_13_0_0_0_0 ●비로자나품제육 ◎毗盧遮那品第六 ▶V.08_0487_3⇔V.08_0492_1
Kor★n80_0_14_0_0_0_0 ●여래명호품제칠 ◎如來名號品第七 ▶V.08_0492_1⇔V.08_0494_3
Kor★n80_0_15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사성제품제팔 ◎大方廣佛華嚴經四聖諦品第八 ▶V.08_0494_3⇔V.08_0497_3
Kor★n80_0_16_0_0_0_0 ●광명각품제구 ◎光明覺品第九 ▶V.08_0497_3⇔V.08_0501_2
Kor★n80_0_17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보살문명품제십 ◎大方廣佛華嚴經菩薩問明品第十 ▶V.08_0501_2⇔V.08_0504_1
Kor★n80_0_18_0_0_0_0 ●정행품제십일 ◎淨行品第十一 ▶V.08_0504_1⇔V.08_0506_2
Kor★n80_0_19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현수품제십이지일 ◎大方廣佛華嚴經賢首品第十二之一 ▶V.08_0506_2⇔V.08_0511_1
Kor★n80_0_20_0_0_0_0 ●현수품제십이지이 ◎賢首品第十二之二 ▶V.08_0511_1⇔V.08_0517_2
Kor★n80_0_21_0_0_0_0 ●승수미산정품제십삼 ◎昇須彌山頂品第十三 ▶V.08_0517_2⇔V.08_0517_3
Kor★n80_0_22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수미정상게찬품제십사 ◎大方廣佛華嚴經須彌頂上偈讚品第十四 ▶V.08_0517_3⇔V.08_0519_3
Kor★n80_0_23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십주품제십오 ◎大方廣佛華嚴經十住品第十五 ▶V.08_0519_3⇔V.08_0525_2
Kor★n80_0_24_0_0_0_0 ●범행품제십육 ◎梵行品第十六 ▶V.08_0525_2⇔V.08_0526_1
Kor★n80_0_25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초발심공덕품제십칠 ◎大方廣佛華嚴經初發心功德品第十七 ▶V.08_0526_1⇔V.08_0533_3
Kor★n80_0_26_0_0_0_0 ●명법품제십팔 ◎明法品第十八 ▶V.08_0533_3⇔V.08_0538_3
Kor★n80_0_27_0_0_0_0 ●승야마천궁품제십구 ◎昇夜摩天宮品第十九 ▶V.08_0538_3⇔V.08_0539_2
Kor★n80_0_28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야마궁중게찬품제이십 ◎大方廣佛華嚴經夜摩宮中偈讚品第二十 ▶V.08_0539_2⇔V.08_0541_2
Kor★n80_0_29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십행품제이십일지일 ◎大方廣佛華嚴經十行品第二十一之一 ▶V.08_0541_2⇔V.08_0545_2
Kor★n80_0_30_0_0_0_0 ●십행품제이십일지이 ◎十行品第二十一之二 ▶V.08_0545_2⇔V.08_0552_1
Kor★n80_0_31_0_0_0_0 ●십무진장품제이십이 ◎十無盡藏品第二十二 ▶V.08_0552_1⇔V.08_0556_3
Kor★n80_0_32_0_0_0_0 ●승도솔천궁품제이십삼 ◎昇兜率天宮品第二十三 ▶V.08_0556_3⇔V.08_0564_1
Kor★n80_0_33_0_0_0_0 ●도솔궁중게찬품제이십사 ◎兜率宮中偈讚品第二十四 ▶V.08_0564_1⇔V.08_0566_2
Kor★n80_0_34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십회향품제이십오지일 ◎大方廣佛華嚴經十廻向品第二十五之一 ▶V.08_0566_2⇔V.08_0570_2
Kor★n80_0_35_0_0_0_0 ●십회향품제이십오지이 ◎十廻向品第二十五之二 ▶V.08_0570_2⇔V.08_0577_1
Kor★n80_0_36_0_0_0_0 ●십회향품제이십오지삼 ◎十廻向品第二十五之三 ▶V.08_0577_1⇔V.08_0583_3
Kor★n80_0_37_0_0_0_0 ●십회향품제이십오지사 ◎十廻向品第二十五之四 ▶V.08_0583_3⇔V.08_0590_2
Kor★n80_0_38_0_0_0_0 ●십회향품제이십오지오 ◎十廻向品第二十五之五 ▶V.08_0590_2⇔V.08_0597_3
Kor★n80_0_39_0_0_0_0 ●십회향품제이십오지육 ◎十廻向品第二十五之六 ▶V.08_0597_3⇔V.08_0606_1
Kor★n80_0_40_0_0_0_0 ●십회향품제이십오지칠 ◎十廻向品第二十五之七 ▶V.08_0606_1⇔V.08_0611_1
Kor★n80_0_41_0_0_0_0 ●십회향품제이십오지팔 ◎十廻向品第二十五之八 ▶V.08_0611_1⇔V.08_0616_3
Kor★n80_0_42_0_0_0_0 ●십회향품제이십오지구 ◎十廻向品第二十五之九 ▶V.08_0616_3⇔V.08_0623_3
Kor★n80_0_43_0_0_0_0 ●십회향품제이십오지십 ◎十廻向品第二十五之十 ▶V.08_0623_3⇔V.08_0628_2
Kor★n80_0_44_0_0_0_0 ●십회향품제이십오지십일 ◎十廻向品第二十五之十一 ▶V.08_0628_2⇔V.08_0633_2
Kor★n80_0_45_0_0_0_0 ●십지품제이십육지일 ◎十地品第二十六之一 ▶V.08_0633_2⇔V.08_0640_2
Kor★n80_0_46_0_0_0_0 ●십지품제이십육지이 ◎十地品第二十六之二 ▶V.08_0640_2⇔V.08_0646_1
Kor★n80_0_47_0_0_0_0 ●십지품제이십육지삼 ◎十地品第二十六之三 ▶V.08_0646_1⇔V.08_0651_1
Kor★n80_0_48_0_0_0_0 ●십지품제이십육지사 ◎十地品第二十六之四 ▶V.08_0651_1⇔V.08_0657_2
Kor★n80_0_49_0_0_0_0 ●십지품제이십육지오 ◎十地品第二十六之五 ▶V.08_0657_2⇔V.08_0664_3
Kor★n80_0_50_0_0_0_0 ●십지품제이십육지육 ◎十地品第二十六之六 ▶V.08_0664_3⇔V.08_0672_2
Kor★n80_0_51_0_0_0_0 ●십정품제이십칠지일 ◎十定品第二十七之一 ▶V.08_0672_2⇔V.08_0677_2
Kor★n80_0_52_0_0_0_0 ●십정품제이십칠지이 ◎十定品第二十七之二 ▶V.08_0677_2⇔V.08_0682_2
Kor★n80_0_53_0_0_0_0 ●십정품제이십칠지삼 ◎十定品第二十七之三 ▶V.08_0682_2⇔V.08_0688_2
Kor★n80_0_54_0_0_0_0 ●십정품제이십칠지사 ◎十定品第二十七之四 ▶V.08_0688_2⇔V.08_0696_1
Kor★n80_0_55_0_0_0_0 ●십통품제이십팔 ◎十通品第二十八 ▶V.08_0696_1⇔V.08_0699_1
Kor★n80_0_56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십인품제이십구 ◎大方廣佛華嚴經十忍品第二十九 ▶V.08_0699_1⇔V.08_0703_3
Kor★n80_0_57_0_0_0_0 ●아승기품제삼십 ◎阿僧祇品第三十 ▶V.08_0703_3⇔V.08_0708_1
Kor★n80_0_58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수량품제삼십일 ◎大方廣佛華嚴經壽量品第三十一 ▶V.08_0708_1⇔V.08_0708_2
Kor★n80_0_59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제보살주처품제삼십이 ◎大方廣佛華嚴經諸菩薩住處品第三十二 ▶V.08_0708_2⇔V.08_0709_3
Kor★n80_0_60_0_0_0_0 ●불부사의법품제삼십삼지일 ◎佛不思議法品第三十三之一 ▶V.08_0709_3⇔V.08_0715_2
Kor★n80_0_61_0_0_0_0 ●불부사의법품제삼십삼지이 ◎佛不思議法品第三十三之二 ▶V.08_0715_2⇔V.08_0721_3
Kor★n80_0_62_0_0_0_0 ●여래십신상해품제삼십사 ◎如來十身相海品第三十四 ▶V.08_0721_3⇔V.08_0726_3
Kor★n80_0_63_0_0_0_0 ●대방광불화엄경여래수호광명공덕품제삼십오 ◎大方廣佛華嚴經如來隨好光明功德品第三十五 ▶V.08_0726_3⇔V.08_0729_2
Kor★n80_0_64_0_0_0_0 ●보현행품제삼십육 ◎普賢行品第三十六 ▶V.08_0729_2⇔V.08_0733_1
Kor★n80_0_65_0_0_0_0 ●여래출현품제삼십칠지일 ◎如來出現品第三十七之一 ▶V.08_0733_1⇔V.08_0740_3
Kor★n80_0_66_0_0_0_0 ●여래출현품제삼십칠지이 ◎如來出現品第三十七之二 ▶V.08_0740_3⇔V.08_0747_1
Kor★n80_0_67_0_0_0_0 ●여래출현품제삼십칠지삼 ◎如來出現品第三十七之二 ▶V.08_0747_1⇔V.08_0753_3
Kor★n80_0_68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팔지일 ◎離世間品第三十八之一 ▶V.08_0753_3⇔V.08_0759_3
Kor★n80_0_69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팔지이 ◎離世間品第三十八之二 ▶V.08_0759_3⇔V.08_0765_3
Kor★n80_0_70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팔지삼 ◎離世間品第三十八之三 ▶V.08_0765_3⇔V.08_0771_3
Kor★n80_0_71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팔지사 ◎離世間品第三十八之四 ▶V.08_0771_3⇔V.08_0778_3
Kor★n80_0_72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팔지오 ◎離世間品第三十八之五 ▶V.08_0778_3⇔V.08_0785_2
Kor★n80_0_73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팔지육 ◎離世間品第三十八之六 ▶V.08_0785_2⇔V.08_0792_3
Kor★n80_0_74_0_0_0_0 ●이세간품제삼십팔지칠 ◎離世間品第三十八之七 ▶V.08_0792_3⇔V.08_0799_3
Kor★n80_0_75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일 ◎入法界品第三十九之一 ▶V.08_0799_3⇔V.08_0808_1
Kor★n80_0_76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이 ◎入法界品第三十九之二 ▶V.08_0808_1⇔V.08_0814_1
Kor★n80_0_77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삼 ◎入法界品第三十九之三 ▶V.08_0814_1⇔V.08_0820_2
Kor★n80_0_78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사 ◎入法界品第三十九之四 ▶V.08_0820_2⇔V.08_0827_1
Kor★n80_0_79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오 ◎入法界品第三十九之五 ▶V.08_0827_1⇔V.08_0833_2
Kor★n80_0_80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육 ◎入法界品第三十九之六 ▶V.08_0833_2⇔V.08_0840_1
Kor★n80_0_81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칠 ◎入法界品第三十九之七 ▶V.08_0840_1⇔V.08_0848_1
Kor★n80_0_82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팔 ◎入法界品第三十九之八 ▶V.08_0848_1⇔V.08_0854_2
Kor★n80_0_83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구 ◎入法界品第三十九之九 ▶V.08_0854_2⇔V.08_0862_2
Kor★n80_0_84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십 ◎入法界品第三十九之十 ▶V.08_0862_2⇔V.08_0868_2
Kor★n80_0_85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십일 ◎入法界品第三十九之十一 ▶V.08_0868_2⇔V.08_0874_3
Kor★n80_0_86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십이 ◎入法界品第三十九之十二 ▶V.08_0874_3⇔V.08_0882_3
Kor★n80_0_87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십삼 ◎入法界品第三十九之十三 ▶V.08_0882_3⇔V.08_0888_2
Kor★n80_0_88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십사 ◎入法界品第三十九之十四 ▶V.08_0888_2⇔V.08_0895_1
Kor★n80_0_89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십오 ◎入法界品第三十九之十五 ▶V.08_0895_1⇔V.08_0899_2
Kor★n80_0_90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십육 ◎入法界品第三十九之十六 ▶V.08_0899_2⇔V.08_0907_2
Kor★n80_0_91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십칠 ◎入法界品第三十九之十七 ▶V.08_0907_2⇔V.08_0914_3
Kor★n80_0_92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십팔 ◎入法界品第三十九之十八 ▶V.08_0914_3⇔V.08_0923_2
Kor★n80_0_93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십구 ◎入法界品第三十九之十九 ▶V.08_0923_2⇔V.08_0931_3
Kor★n80_0_94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이십 ◎入法界品第三十九之二十 ▶V.08_0931_3⇔V.08_0937_1
Kor★n80_0_95_0_0_0_0 ●입법계품제삼십구지이십일 ◎入法界品第三十九之二十一 ▶V.08_0937_1⇔V.08_0945_1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tistory.com/5857
○ [pt op tr]
● 대방광불화엄경_K0080_T0279 [문서정보]- 경전논의 키워드
[#M_▶더보기|◀접기|
○ 2018_1022_170842_can_exc
○ 2019_1201_155348_nik_exc_s12
○ 2020_0930_140947_can_ori_rs
○ 2020_1002_124335_can_exc_s12
○ 2018_1024_163837_nik_ori
○ 2018_1024_145128_nik_ori
○ 2019_1106_130716_can_exc_s12
○ 2019_1106_152329_can_exc_s12
○ 2018_1022_174411_nik_exc
○ 2020_0905_140705_can_ori_rs
○ 2020_1017_160306_can_exc
○ 2020_1114_161522_can_exc
○ 2018_1023_165103_nik_ori
○ 2020_1114_132720_nik_ori
○ 2020_0906_105612_nik_ori_rs
○ 2020_1002_121628_nik_exc_s12
○ 2020_1017_165752_can_ori_rs
○ 2020_0904_133825_nik_ori_rs
○ 2020_0910_112856_can_ori_rs
○ 2020_1114_131930_can_ori
[##_1N|cfile29.uf@99DEB1495FF34F0901090C.jpg|width="820" height="555" filename="2020_1017_165752_canon_ori_rs.jpg" filemime="image/jpeg"|_##]
『대방광불화엄경』 ♣0080-001♧
[관련키워드]
제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대방광불화엄경_K0080-T0279-000
https://buddhism007.tistory.com/625
sfed--대방광불화엄경_K0080_T0279.txt ☞제1권
sfd8--불교단상_2565_01.txt ☞◆vqtg8966
불기2565-01-0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1/k0080-t0279-000.html
htmback--대방광불화엄경_K0080_T0279_불기2565-01-05-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