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1년 1월 5일 화요일

대보적경_mahaa-ratnakuuta-suutra




대보적경
[한문]大寶積經



❋본문
◎[개별논의]



당 나라 때 보리류지(菩提流志)가 번역. 
총 120권으로 이루어져 있음.[alias]대보적경.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 2018_1025_162628_can_ar24


○ 2018_1025_164833_nik_bw0_s12


○ 2020_0224_111922_nik_ar14


○ 2020_0224_115517_nik_AB4_s12


○ 2020_1126_161059_nik_BW17


○ 2020_1126_160652_nik_BW17


○ 2020_1126_153218_nik_ar24


○ 2020_0224_115213_nik_ct6


○ 2018_1025_160908_can_Ab35


○ 2020_1126_155811_nik_AB7_s12


○ 2018_1025_170835_can_BW17


○ 2020_1126_153544_can_Ab35


○ 2018_1025_161913_can_ct8_s12


○ 2020_1126_155605_nik_AB7_s12


○ 2020_0224_110416_nik_bw4_s12


○ 2018_1025_180610_nik_AB4_s12


○ 2020_1126_155742_nik_ab41_s12


○ 2020_0224_110340_nik_ar24


○ 2020_0224_110945_nik_CT28


○ 2020_0224_114350_nik_ct8_s12


○ 2018_1025_172438_can_AB7_s12




★2★



❋❋본문    ◎[개별논의]

★%★
■ 추가적 불교사전 상세 참조사항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대보적경

[한문]大寶積經
【범】(Mahā)ratnakūṭa.
120권.
K-22,
T-310.
당나라 때에 서역에서 초청되어 온 보리유지(菩提流支, Bodhiruci)가 
황제의 명을 받들어 706년에서 713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보리유지 번역으로 되어 있으나,

보리유지가 『대보적경』을 편찬할 때에
일부는 구역(舊譯)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일부는 개역(改譯)하였으며
일부는 그 자신이 새로 번역하였는데,
이미 축법호(竺法護) 등이 번역해 놓은 23종(種)의 경전을 그대로 포함시키는 한편,
다시 번역한 경이 15종이고,
처음으로 번역한 것이 11종이었다고 한다.


독립된 여러 경들을 모아 놓은 이 경전은
일종의 혼합경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범어 ratnakūṭa의 번역어인 ‘보적’(寶積)은
보배를 쌓는다는 의미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법보를 쌓는다는 의미와도 통한다.


대승불교의 법보(法寶)를 담고 있는 여러 경들을 한데 모아 놓은 것으로,
각 회마다 독립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은 인도에서 만들어진 형식과 체계가 아닌 한역장경의 산물이다.
오늘날 티벳대장경에도 이 경전이 들어 있는데,

그 체계나 내용이 한역과 완전히 일치하는 점으로 보아
많은 학자들은 이 티벳어 번역은
한역으로부터의 중역(重譯)이라고 보고 있다.


전체는 49회 77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제2 무변장엄회를 비롯한 8개 회를 제외하고
나머지 회의 경에서는 품의 구별이 없다.

각각의 회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삼율의회(三律儀會; 제1권~제3권)는 범어로 Trisaṃvaranirdeśa(sūtra)이며,
당나라 때 보리유지(菩提流支)가 서숭복사(西崇福寺)에서 706년에 번역을 시작하여 713년에 끝마쳤다.
비구와 보살들은 신(身)ㆍ구(口)ㆍ의(意) 세 가지에 따른 계율을 지킴으로써 위없는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역본으로는 북량(北涼) 때 담무참(曇無讖)이 번역한 『대방광삼매경(大方廣三昧經)』이 있다.

제2 무변장엄회(無邊莊嚴會; 제4권~제7권)는
범어로 Anantamukhapariśodhananirdeśaparivarta(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갖가지 다라니와 부처님의 명호를 외는 공덕에 대해 설한다.


제3 밀적금강역사회(密迹金剛力士會; 제8권~제14권)는
범어로 Tathāgataguhyasūtra이며,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 Dharmarakṣa)가 280년에 번역하였다.
밀적금강역사가 불보살의 수승함을 설한다.
이역본으로 북송(北宋) 때에 법호(法護)가 번역한 『여래부사의비밀대승경(如來不思議秘密大乘經)』이 있다.


제4회 정거천자회(淨居天子會; 제15권~제16권)는 범어로 Svapnanirdeśasūtra이며,
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가 266년313년에 번역하였다.
정거천의 천신이 부처님께 보살의 수행단계를 묻고
그에 대해 부처님께서 설법하시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제5회 무량수여래회(無量壽如來會; 제17권~제18권)는
범어로 Sukhāvatīvyūha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일명 아미타불이라 불리는 무량수여래의 성불 인연과
무량수여래가 계시는 세계를 상세히 설명하고,
무량수여래의 명호를 외면 서방 극락세계에 태어난다고 설한다.

이역본으로 『불설무량청정평등각경(佛說無量淸淨平等覺經)』ㆍ『불설무량수경(佛說無量壽經)』ㆍ
『불설아미타삼야삼불살루불단과도인도경(佛說阿彌陀三耶三佛薩樓佛檀過度人道經)』ㆍ
『불설대승무량수장엄경(佛說大乘無量壽莊嚴經)』ㆍ『불설대아미타경(佛說大阿彌陀經)』 등이 있다.


제6회 부동여래회(不動如來會; 제19권~20권)는 범어로 Akṣobhyatathāgatasyavyūha(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동쪽에 있는 극락세계인 묘희세계의 부동여래께서
오랜 수행 끝에 부처님이 되신 인연을 설한다.
이역본으로 후한(後漢)시대에 지루가참(支婁迦懺)이 번역한 『아촉불국경(阿閦佛國經)』이 있다.


제7 피갑장엄회(被甲莊嚴會; 제21권~제25권)는 범어로 Varmavyūhanirdeśa(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고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굳건한 마음에 대해 설한다.


제8 법계체성무분별회〈경〉(法界體性無分別會〈經〉; 제26권~제27권)는
범어로 Dharmadhātuprakṛtiasambhedanirdeśa(sūtra)이며,
양(梁)나라 때 만다라선(曼陀羅仙,
Mandrasena)이 양도(楊都)에서 503년에 번역하였다.


제9 대승십법회〈경〉(大乘十法會〈經〉; 제28권)는
범어로 Daśadharmaka(ka)(sūtra)이며,
동위(東魏)시대에 불타선다(佛陀扇多, Buddhaśānta)가 업도(鄴都)에서 539년에 번역하였다.

대승보살이 닦아야 할 열 가지 법에 대해 설한다.
이역본으로 양(梁)나라 때 승가바라(僧伽婆羅)가 번역한 『대승십법경(大乘十法經)』이 있다.


제10 문수사리보문회(文殊師利普門會; 제29권)는
범어로 Samantamukhaparivarta(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문수사리보살이 부처님께 깨달음에 대해서 묻자,
부처님께서는 선정 삼매를 통해 공(空)의 이치를 터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설하신다.
이역본으로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한 『보문품경(普門品經)』이 있다.


제11 출현광명회(出現光明會; 제30권~제34권)는
범어로 Raśmisamantamuktanirdeśa(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제12 보살장회(菩薩藏會; 제35권~제54권) 또는 『대보살장경(大菩薩藏經)』은
범어로는 Bodhisattvapiṭaka(sūtra)이다.
당나라 때 현장(玄奘)이 서경(西京)의 홍복사(弘福寺)에서 645년에 번역하였다.
6바라밀을 중심으로 하여 대승보살이 수행해야 할 불도(佛道)에 대해 설한다.


제13 불위아난설처태회(佛爲阿難說處胎會; 제55권)는
범어로 Garbhāvakrāntinirdeśa(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수태 과정에서부터 태아의 성장,
출생 등에 대해 설하신다.
이역본으로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한 『불설포태경(佛說胞胎經)』이 있다.


제14 불설입태장회(佛說入胎藏會; 제56~제57권)
또는 『불위난타설출가입태경(佛爲難陀說出家入胎經)』은 범어로는 Anandagarbhāvakrāntinirdeśa(sūtra)이다.
당나라 때 의정(義淨)이 대천복사(大薦福寺)에서 710년에 번역하였다.


제15 문수사리수기회〈경〉(文殊師利授記會〈經〉; 제58권~제60권)는 범어로 Mañjuśrībuddhakṣetraguṇavyūha(sūtra)이며,
당나라 때 실차난다(實叉難陀, Śikṣānanda)가 청선사(淸禪寺)에서 700년에 번역하였다.
문수사리가 부처님으로부터 수기를 받게 된 인연 이야기가 실려 있다.

이역본으로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한
『문수사리불토엄정경』과 당나라 때 불공(不空)이 번역한 『대성문수사리보살불찰공덕장엄경』이 있다.


제16 보살견실회〈경〉(菩薩見實會〈經〉; 제61권~제76권)는 범어로 Pitāputrasamāgamana(sūtra)이며,
북제(北齊) 때 나련제야사(那連提耶舍,
Narendrayaśas)가 천평사(天平寺)에서 568년에 번역하였다.
대승보살이 불법(佛法)의 참된 이치를 깨닫고 마침내 성불하게 되는 수기를 받는 것에 대해 설한다.
이역본으로 북량(北涼) 때 일칭(日稱) 등이 번역한 『부자합집경(父子合集經)』 등이 있다.


제17 부루나회(富樓那會; 제77권~제79권) 또는 『부루나문경(富樓那問經)』ㆍ『보살장경(菩薩藏經)』은
범어로는 Pūrṇaparipṛcchā(sūtra)이다.
후진(後秦)시대에 구마라집(鳩摩羅什)이 405년에 번역하였다.
부처님의 제자 가운데 설법 제일로 불리는 부루나의 인연 이야기를 중심으로 보살의 수행지침에 대해 설한다.


제18 호국보살회〈경〉(護國菩薩會〈經〉; 제80권~제81권)는
범어로 Rāṣṭrapālaparipṛcchā(sūtra)이며,
사나굴다(闍那崛多, jñānagupta)가 수나라 때인 585년에서 604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호국보살을 주인공으로 하여 불법(佛法)을 깨닫고 수행에 힘써 불도를 완성해야 한다는 것을 설한다.
이역본으로 북송(北宋) 때 시호(施護)가 번역한 『불설호국장자소문대승경』이 있다.


제19 욱가장자회(郁伽長者會; 제82권) 또는 『욱가라월문보살경(郁伽羅越問菩薩經)』은
범어로 Ugra(datta)paripṛcchā(sūtra)이다.
전위(前魏)시대에 강승개(康僧鎧 또는 僧伽跋摩, Saṅghavarman)가 백마사(白馬寺)에서 252년에 번역하였다.
재가보살과 출가수행자들이 지켜야 할 계율과 행법(行法)을 설하고 있다.
이역본으로 후한(後漢)시대에 안현(安玄)이 번역한 『법경경(法鏡經)』과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한 『욱가라월문보살행경』이 있다.


제20 무진복장회(無盡伏藏會; 제83권~제84권)는 범어로 Vidyutprāpta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제21 수환사발타라기회(授幻師跋陀羅記會; 제85권)는 범어로 Bhadramāyākāra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발타라라는 환술사가 부처님의 교화를 통해 마침내 수기를 받게 되는 인연이야기이다.
이역본으로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한 『불설환사인현경』이 있다.


제22 대신변회(大神變會; 제86권~제87권)는 범어로 Mahāprātihāryanirdeśa(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제23 마하가섭회(摩訶迦葉會; 제88권~제89권) 또는 『대가섭경(大迦葉經)』은
범어로는 Maitreyamahāsiṁhanāda(sūtra)이다.
동위(東魏)시대에 월바수나(月婆首那, Upaśūnya)가 541년에 번역하였다.
부처님께서 입멸하신 뒤에 보살이 어떻게 불도를 닦아야 하는지를 설한다.


제24 우바리회(優波離會; 제90권)는 범어로 Upāli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대승계율에 대해 설해져 있으며,
이역본으로 동진시대에 번역된 『불설결정비니경』과 당나라 때 불공(不空)이 번역한 『불설삼십오불명예참문』이 있다.

제25 발승지락회(發勝志樂會; 제91권~제92권)는 범어로 Adhyāśayasañcodana(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깨달음을 이루고자 하는 바른 뜻을 세우고 불도를 닦는 보살은 마침내 극락세계에 태어날 수 있다고 설한다.
이역본으로 수나라 때 사나굴다(闍那崛多)가 번역한 『발각정심경』이 있다.

제26 선비보살회(善臂菩薩會; 제93권~94권)는 범어로 Subāhuparipṛcchā(sūtra)이며,
후진(後秦)시대에 구마라집(鳩摩羅什)이 402년에서 412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보살의 6바라밀 수행에 대해 설한다.

제27 선순보살회(善順菩薩會; 제95권)는 범어로 Surata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선순보살의 설법을 듣고 바사닉왕(波斯匿王)이 불법(佛法)에 귀의하게 되는 인연을 설한다.
이역본으로 위(魏)나라 때 백연(白延)이 번역한 『불설수뢰경(佛說須賴經)』과 전량(前涼)시대에 지시륜(支施崙)이 번역한 『불설수뢰경』이 있다.

제28 권수장자회(勸授長者會; 제96권)는 범어로 Vīradatta(gṛhapati)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이역본으로 서진(西晋)시대에 백법조(白法祖)가 번역한 『불설보살수행경』과 북송(北宋) 때 시호(施護) 등이 번역한 『불설무외수소문대승경(佛說無畏授所問大乘經)』이 있다.

제29 우타연왕회(優陀延王會; 제97권)는 범어로 Udayanavatsarāja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이역본으로 서진시대에 법거(法炬)가 번역한 『불설우전왕경(佛說優塡王經)』과 북송 때 법천(法天)이 번역한 『불설대승일자왕소문경(佛說大乘日子王所問經)』이 있다.

제30 묘혜동녀회〈경〉(妙慧童女會〈經〉; 제98a권)는 범어로 Sumatidārikā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묘혜동녀를 주인공으로 하여 불도를 수행하는 데는 남녀노소의 차별이 없음을 강조한다.
이역본으로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한 『불설수마제보살경』,
후진(後秦)시대에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 『불설수마제보살경』,
당나라 때 보리유지가 번역한 『수마제경』 등이 있다.

제31 항하상우바이회(恒河上優婆夷會; 제98b권)는 범어로 Gaṅgottara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제32 무외덕보살회(無畏德菩薩會; 제99권) 또는 『무외덕녀경(無畏德女經)』은 범어로는 Aśokadattavyākaraṇa(sūtra)이다.
동위(東魏)시대에 불타선다(佛陀扇多,
Buddhaśānta)가 업도(鄴都)에서 539년에 번역하였다.
이역본으로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한 『불설아사세왕녀아술달보살경』이 있다.


제33 무구시보살응변회(無垢施菩薩應辯會; 제100권) 또는 『무구시보살분별응변경(無垢施菩薩分別應辯經)』은 범어로는 Vimaladattāparipṛcchā(sūtra)이다.
서진(西晋)시대에 섭도진(聶道眞)이 280년에서 313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이역본으로 서진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한 『불설이구시녀경』과 동위(東魏)시대에 반야유지가 번역한 『득무구녀경』이 있다.


제34 공덕보화부보살회(功德寶花敷菩薩會; 제101a권)는 범어로 Guṇaratnasaṅkusumita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공덕보화부보살과 부처님 사이의 문답을 통해 부처님의 명호를 외우고 지니는 공덕이 매우 수승함을 설한다.
이역본으로 보리유지가 번역한 『문수사리소설부사의불경계경』이 있다.


제35 선덕천자회(善德天子會; 제101b권)는 범어로 Acintyabuddhaviṣayānirdeśa(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부처님께서 깨달음의 경지는 일체 차별이 없음과 깨달음을 성취한 불보살의 능력을 설하신다.


제36 〈대방등〉선주의천자회〈소문경〉(〈大方等〉善住意天子會〈所問經〉; 제102권~제105권)는 범어로 Suṣṭhitamati(devaputra)paripṛcchā(sūtra)이며,
수(隋)나라의 Dharmagupta가 605년에서 617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이역본으로 서진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한 『불설여환삼매경』과 북위(北魏)시대에 비목지선(批目智仙) 등이 번역한 『성선주의천자소문경(聖善住意天子所問經)』이 있다.


제37 아사세왕자회(阿闍世王子會; 제106a권)는 범어로 Siṁha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부처님께서 아사세왕의 왕자에게 불도를 닦으면 현세와 내세에 좋은 과보를 받게 된다는 것을 요지로 하여 보살 수행에 대해 설하신다.
이역본으로 서진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한 『불설태자쇄호경』과 서진시대에 번역된 『불설태자화휴경』이 있다.


제38 대승방편회〈경〉(大乘方便會〈經〉; 제106 b권~제108권)는 범어로 (Upāyakauśalya)jñānottarabodhisattvaparipṛcchā(sūtra)이며,
동진(東晋)시대에 축난제(竺難提, Nandi)가 420년에 번역하였다.
대승보살이 갖가지 방편으로 중생들을 불법(佛法)으로 이끄는 것에 대해 설한다.
이역본으로 서진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한 『혜상보살문대선권경』과 북송 때 시호가 번역한 『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이 있다.
제39 현호장자회(賢護長者會; 제109~제110권) 또는 『이식경(移識經)』은 범어로는 Bhadrapālaśreṣṭhiparipṛcchā(sūtra)이다.
수(隋)나라의 사나굴다(闍那崛多, jñānagupta)가 591년에 번역하였다.
현호장자와 부처님 사이의 문답을 통해 중생의 식(識)에 대해 설한다.
이것은 원래 사나굴다가 번역한 『이식경』을 현호장자회로서 『대보적경』에 넣은 것이다.
이역본으로 당나라 때 지바가라(地婆訶羅)가 번역한 『대승현식경』이 있다.


제40 정신동녀회(淨信童女會; 제111 a권)는 범어로 Dārikāvimalaśraddhā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여자의 몸으로 닦아야 할 불도에 대해 설한다.
제41 미륵보살문팔법회(彌勒菩薩問八法會; 제111 b권)는 범어로 Maitreyaparipṛcchā dharmāṣṭa(ka)(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부처님께서 보살이 닦아야 할 8가지 법과 그 공덕에 대해 설하신다.
이역본으로 후한시대에 안세고(安世高)가 번역한 『불설대승방등요혜경』이 있다.

제42 미륵보살소문회〈경〉(彌勒菩薩所問會〈經〉; 제111 c권)는 범어로 Maitreya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보살이 닦아야 할 10가지 불도를 설한다.
이역본으로 후한시대에 안세고가 번역한 『불설대승방등요혜경』이 있다.
제43 보명보살회(普明菩薩會; 제112권) 또는 『고대보적경(古大寶積經)』은 범어로는 Kāśyapaparivarta(sūtra)이다.
부처님께서 가섭과 보명보살에게 보살이 닦아야 할 행법에 대해 설하신다.
이역본으로 진(晋)나라 때 번역된 『불설마하연보엄경』이 있다.
제44 보량취회(寶梁聚會; 제113권~제114권) 또는 『보량경(寶梁經)』은 범어로 Ratnarāśi(sūtra)이며,
북량(北凉)시대에 tao kung이 장액(張掖)에서 401년에서 412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비구가 지켜야 할 계율 등에 대해 설해져 있다.


제45 무진혜보살회(無盡慧菩薩會; 제115a권)는 범어로 Akṣayamati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부처님과 무진혜보살 사이의 문답을 통해 깨달음을 이루는 마음과 그 마음을 지니기 위해 닦아야 할 불도에 대해 설한다.
이역본으로 북송시대에 시호가 번역한 『대가섭문대보적정법경(大迦葉問大寶積正法經)』이 있다.
제46 문수사리설반야회〈경〉(문수사리설반야회〈경〉; 제115b권~제116권)는 범어로 Saptaśatikaprajñāpāramitā(sūtra)이며,
만다라선(曼陀羅仙, Mandrasena)이 양도(楊都)에서 503년에 번역하였다.
보살이 닦아야 할 반야바라밀에 대해 설한다.
이역본으로 양(梁)나라 때 만다라선(曼陀羅仙)이 번역한 『문수사리소설마하반야바라밀경』,
같은 시대의 승가바라(僧伽婆羅)가 번역한 『문수사리소설반야바라밀경』,
당나라 때 현장이 번역한 『대반야경』 제7 만수실리분이 있다.


제47 보계보살회(寶髻菩薩會; 제117권~제118권)는 범어로 Ratnacūḍa(paripṛcchā)(sūtra)이며,
서진시대에 축법호(竺法護,
Dharmarakṣa)가 290년에 번역하였다.
부처님께서 보계보살(寶髻菩薩)의 요청으로 보살이 닦아야 할 4가지 수행법과 37도품 등에 대해 설하신다.
이역본으로 북량(北涼)시대에 담무참(曇無讖)이 번역한 『대방등대집경』 「보계보살품」이 있다.


제48 승만부인회(勝鬘夫人會; 제119권)는 범어로 Śrīmālā(devī)siṃhanāda(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승만부인이 오직 일승의 대승법만이 참된 깨달음을 이룰 수 있다고 설한다.
이역본으로 유송(劉宋)시대에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가 번역한 『승만사자후일승대방편방광경』이 있다.

제49 광박선인회(廣搏仙人會; 제120권)는 범어로 Vyāsaparipṛcchā(sūtra)이며,
보리유지가 번역하였다.
브라만교를 따르던 광박선인을 비롯한 여러 브라만들이 부처님 법에 귀의하게 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역본으로 북위시대에 반야유지가 번역한 『비야사문경』이 있다.
이처럼 매회는 별개의 경들로 이루어져 있고 또 여러 경들을 한데 모아 편찬하였기 때문에 각각에 담긴 사상적 배경도 다양하다.
예를 들면 제5회는 정토사상을 설하는 무량수경에 해당하고,

제46회는 반야사상을 드러내는 7백송반야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47회는 대집부의 『보계경(寶髻經)』과 동본이고,
제48회는 『승만경(勝鬘經)』과 같으며,
제2회,
제3회,
제7회,
제11회,
제24회는 밀교사상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제12, 제13, 제23은 소승계의 경전이며,
특히 제12는 현장이 번역한 『대보살장경』 12품이 그대로 들어있다.
이 경은 매회마다 독립된 경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별도의 이역본들이 다양하게 성립되어 있으며,
경의 요지는 대승보살이 닦아야 할 여러 가지 구체적인 실천,
즉 수행법을 통해 결국에는 부처가 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대방광삼계경『대방광삼계경(大方廣三戒經)』ㆍ 『(불설)대승십법경(大乘十法經)』ㆍ문수사리불토엄정경『문수사리불토엄정경(文殊師利佛土嚴淨經)』ㆍ발각정심경『발각정심경(發覺淨心經)』ㆍ 『(불설)보문품경(普門品經)』ㆍ수마제경『수마제경(須摩提經)』ㆍ 『(불설)포태경(胞胎經)』ㆍ 『(불설)환사인현경(幻士仁賢經)』




●해제 출처 https://kabc.dongguk.edu/content/pop_heje?dataId=ABC_IT_K0022

대보적경(大寶積經)
   
             
1. 개요
     
이 경은 보리유지(菩提流支, Bodhiruci)가 많은 개별 경들을 집성한 것으로 일종의 혼합경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범어 ratnakuta의 번역어인 ‘보적(寶積)’은 보배를 쌓는다는 의미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법보를 쌓는다는 의미와도 통한다.<개행>오늘날 티벳대장경에도 이 경전이 들어 있는데, 그 체계나 내용이 한역과 완전히 일치하는 점으로 보아 많은 학자들은 이 티벳어 번역은 한역으로부터의 중역(重譯)이라고 보고 있다.
     
2. 성립과 한역
     
이 경은 당나라 때에 서역에서 초청되어 온 보리유지(菩提流支)가 황제의 명을 받들어 706년에서 713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역본으로는 북량(北涼) 때 담무참(曇無讖)이 번역한 『대방광삼매경(大方廣三昧經)』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이역본으로는 북량(北涼) 때 담무참(曇無讖)이 번역한 『대방광삼매경(大方廣三昧經)』이 있다.이 경은 전체 49회 77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회 마다 독립된 경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별도의 이역본들이 다양하게 성립되어 있다. 보리유지는 『대보적경』을 편찬할 때에 일부는 구역(舊譯)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일부는 개역(改譯)하였으며 일부는 그 자신이 새로 번역하였다. 축법호(竺法護) 등이 이미 번역해 놓은 23종(種)의 경전을 그대로 포함시키는 한편, 다시 번역한 경이 15종이고 처음으로 번역한 것이 11종이었다고 한다. 독립된 여러 경들을 모아 놓은 이 경전은 대승보살이 닦아야 할 여러 가지 구체적인 실천, 즉 수행법을 통해 결국에는 부처가 될 것을 강조하고 있다.
       


● 서지  https://kabc.dongguk.edu/content/pop_seoji?dataId=ABC_IT_K0022
대보적경(大寶積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기본(大乘基本)-대승종합(大乘綜合)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經-寶積經
제목정보
대표서명 大寶積經(대보적경)
경명 대보적경(大寶積經) 120권
병음 DABAOJIJING
약경명 보적경(寶積經)
저자정보
역자 보리류지(菩提流志, Bodhiruci)
형태정보
권사항 120
확장정보
고려_위치 06-0001
고려_주석 通檢에 의하면 이 경은 보리류지가 자신이 직접 번역한 26경과 다른 역자의 23경을 모아 총49품으로 편찬한 것임, 기타 역자는 Dharmarakṣa, Mandra(sena), Buddhaśānta, 玄奘, 義淨, Śikṣānandra, Narendrayaśas, Kumārajīva, Jñānagupta, Saṁghavarma, Upaśūnya, 聶道眞, Dharmagupta, Nandi 등임.
신수_NR T.0310
신수_위치 11-0001
산스_NAME [범] Mahāratnakūṭa Sūtra
산스_NOTE (1)Trisaṁvaranirdeśa (2)Anantamukhapariśodhananirdeśaparivarta (3)Tathāgataguhya Sūtra (4)Svapnanirdeśa Sūtra (5)Sukhāvatīvyūha Sūtra (6)Akṣobhyatathāgatasyavyūha (7)Varmavyūhanirdeśa (8)Dharmadhātuprakṛtyasambhedanirdeśa (9)Daśadharmaka (10)Samantamukhaparivarta Sūtra (11) Raśmisamantamuktanirdeśa (12)Bodhisattvapiṭaka (13)Garbhāvakrāntinirdeśa (14)Anandagarbhāvakrā ntinirdeśa (15)Mañjuśrībuddhakṣetraguṇavyūha (16)Pitāputrasamāgamana (17)Pūrṇaparipṛcchā (18)Rā ṣṭrapālaparipṛcchā (19)Ugradattaparipṛcchā (20)Vidyutprāptaparipṛcchā (21)Bhadramāyākāraparipṛcchā (22)Mahāprātihāryanirdeśa (23)Maitreyamahāsiṁhanāda (24)Upāliparipṛcchā (25)Adhyāśayasañcodana (26)Subāhuparipṛcchā (27)Surataparipṛcchā (28)Vīradattagṛhapatiparipṛcchā (29)Udayanavatsarājapari pṛcchā (30)Sumatidārikāparipṛcchā (31)Gaṅgottaraparipṛcchā (32)Aśokadattavyākaraņa  (33)Vimalada ttāparipṛcchā (34)Guṇaratnadarisaṅkusumitaparipṛcchā  (35)Acintyabuddhaviṣayānirdeśa (36)Suṣṭhita matiparipṛcchā (37)Siṁhaparipṛcchā  (38)Jñānottarabodhisattvaparipṛcchā  (39)Bhadrapālaśreṣṭiparipṛ cchā (40)Dārikāvimalaśraddhāparipṛcchā (41)Maitreyaparipṛcchādharmāṣṭa (42)Maitreyaparipṛcchā (43)Kāśyapaparivarta (44)Ratnarāśi (45)Akṣayamatiparipṛcchā (46)Saptaśatikaprajñāpāramitā Sūtra (47)Ratnacūḍaparipṛcchā (48)Śrīmālādevīsiṁhanāda (49)Vyāsaparipṛcchā
적사_VOL 05
적사_PAGE 411
중화_NR 0024
중화_VOL 008
중화_PAGE 0387



● From 대만불광사전
대보적경
【大寶積經】 p908-上≫
梵名 Mahā-ratnakūta-sūtra.
凡一二○卷.
又作
寶積經.
唐代菩提流志等譯.
收於大正藏第十一冊.
係纂輯有關菩薩修行法及授記成佛等之諸經而成.
寶積,
卽「積集法寶」之意.
因其爲大乘深妙之法,
故謂之「寶」;聚集無量之法門,
故謂之「積」.
全經計收四十九會(部),
其中,
魏晉南北朝隋唐之諸譯經家用不同經名陸續譯出二十三會八十卷餘,
稱爲「舊譯」,
菩提流志新譯出二十六會三十九卷半,
稱爲「新譯」,
本經卽爲新舊譯之合編本.
全經內容泛論大乘佛敎之各種主要法門,
大寶積經異譯對照表 會 數名 稱卷 數譯 者 一三律儀會卷1-3新 譯 二無邊莊嚴會卷4-7新 譯 三密迹金剛力士會卷8-14西晉 竺法護 四淨居天會卷15-16西晉 竺法護 五 無量壽如來會卷17-18新 譯 六不動如來會卷19-20新 譯 七被甲莊嚴會卷21-25新 譯 八法界體性無分別會卷26-27梁 曼陀羅仙 九大乘十法會卷28北魏佛陀扇多 十文殊師利普門會卷29新 譯十 一出現光明會卷30-34新 譯十 二 菩薩藏會卷35-54唐 玄奘十 三佛爲阿難說處胎會卷55新 譯十 四佛說入胎藏會卷56-57唐 義淨十 五文殊師利授記會卷58-60唐 實叉難陀十 六菩薩見實會卷61-76北齊那連耶舍十 七富樓那會卷77-79北秦鳩摩羅什十 八護國菩薩會卷80-81隋闍那屈多十 九都伽長者會卷82魏 康僧鎧二 十無盡伏藏會卷83-84新 譯二十一授幻師跋楕羅記會卷85新 譯二十二大神變會卷86-87新 譯二十三摩訶迦葉會卷88-89東魏月婆首那二十四優波離會卷90新 譯二十五發勝志樂會卷91-92新 譯二十六善見菩薩會卷93-94後秦鳩摩羅什二十七善順菩薩會卷95新 譯二十八勤授長者會卷96新 譯二十九優陀延王會卷97新 譯三 十妙慧童女會卷98新 譯三十一恒河上優婆夷會卷98新 譯三十二無畏德菩薩會卷99北魏佛陀扇多三十三無垢施菩薩應辯會卷100西秦 聶道眞三十四功德寶華敷菩薩會卷101新 譯三十五先德天子會卷101新 譯三十六善住意天子會卷102-105隋 達摩笈多三十七阿闍世王子會卷106新 譯三十八大乘方便會卷106-108東晋 竺難提三十九賢護長者會卷109-110隋 闍那屈多四 十淨信童女會卷111新 譯四十一彌勒菩薩問八法會卷111北魏菩提流志四十二彌勒菩薩所問會卷111新 譯四十三普明菩薩會卷112秦 失譯四十四寶粱聚會卷113-114北涼 道龔四十五無盡慧菩薩會卷115新 譯四十六文殊說般若會卷115-116梁 曼陀羅仙四十七寶髻菩薩會卷117-118西晉 竺法護四十八勝鬘夫人會卷119新 譯四十九廣博仙人會卷120新 譯 涉及範圍甚廣,
每一會相當一部經,
亦各有其獨立之主題,
例如四十六會「文殊說般若會」主要論述「般若性空」之思想;第五會「無量壽如來會」宣說彌陀淨土之信仰;另;如第二․第三․第七․第十一․第二十四會等則闡揚密敎之各種重要敎義.
此外,
本經各會所屬部類亦極紛雜,
如第十四會「佛說入胎藏會」屬於小乘部,
第一「三律儀會」․第二十三「摩訶迦葉會」屬於律部,
第四十六會「文殊說般若會」屬於般若部,
第四十七會「寶髻菩薩會」屬於大集部.
故可說全經每一會雖然各有特色,
然若就整體而言,
則缺乏一貫之系統.
又於菩提流志所譯二十六會中,
有十一會二十二卷爲初次翻譯者,
其餘十五會則屬重譯部分.
本經之異譯本極多,
茲爲便於比較,
特將四十九會名稱․卷數․譯者(新譯卽指菩提流志)列表如次:
 除上擧四十九會外,
另有下列之異譯本.
又下表會數欄內之數字,
乃相當於大寶積經內容之會數.
 本經之梵本,
今僅存部分斷簡殘片.
據大慈恩寺三藏法師傳卷十等載,
玄奘自印度歸返時,
曾帶回本經之梵本,
玄奘譯完大般若經六百卷後,
諸方名德又敦請玄奘再譯本經,
然其時玄奘已精力殆盡而預知寂期不遠,
遂捨卻所請.
而玄奘所帶回之梵本,
今已不存.
另據多羅那他之印度佛敎史第十三章․第二十章等所載,
本經之梵文原本,
與華嚴․大集․般若等經相同,
均有十萬頌之多,
後因輾轉傳譯而僅餘今之四十九會一二○卷.
本經另有西藏譯本,
題爲「大寶積法門十萬章」(藏 Dkon-mchog brtsegs-pa chen-poḥi chos-kyi-rnam-graṅs leḥu stoṅ-phrag-brgya-pa),
亦有四十九會,
然西藏譯本原爲各會單獨傳譯,
且缺少其中若干會,
後乃自漢譯本補充數會,
竝仿其四十九會之制而集成者.
本經各會之注疏極多,
北魏菩提留支所譯之大寶積經論四卷(安慧著)爲第四十三會之釋論,
同爲菩提留支所譯之大寶積經釋爲第四十一會之注釋,
潛眞之大寶積經疏三卷爲第十五會(不空譯本)之注釋,
康僧會之大寶積經子註爲第十九會(安玄譯本)之注釋,
此外,
第五會․第四十八會之注疏甚多.
[開元釋敎錄卷九․至元法寶勘同總錄卷一․閱藏知津卷二․卷三․西藏譯大寶積經の硏究(櫻部文鏡,
大寶積經內容對照表 會數 經 名卷 數譯 者 一 大方廣三戒經 三卷北涼 曇無讖 三 如來不可思議秘密大乘經二十卷北宋 法號 五無量淸淨覺經 四卷後漢支婁迦讖 同無量壽經 二卷魏 康僧鎧 同阿彌陀三耶三佛薩樓佛檀過度人道經 二卷吳 支謙 同大乘無量壽莊嚴經 三卷北宋 法賢 六阿閦佛經 二卷後漢支婁迦讖 九大乘十法經 一卷梁僧伽婆羅 十普門品經 一卷西晉竺法護十二大乘菩薩藏正法經四十卷北宋 法護十三胞胎經 一卷西晉竺法護十五文殊師利佛土嚴淨經 二卷西晉竺法護 同大聖文殊師利菩薩佛刹功德莊嚴經 二卷唐 佛空一六父子合集經二十卷北宋 日稱一八護國長者所問大乘經 四卷北宋 施護一九法鏡經 一卷後漢 安玄 同 都羅迦月問菩薩行經 一卷西晉 竺法護二一幻師仁賢經 一卷西晉 竺法護二四決定毘尼經 一卷東晋 失譯 同三十五佛名禮懺文 一卷唐 不空二五發覺淨心經 二卷隋 闍那屈多二七須賴經 一卷魏 日延 同須賴經 一卷前涼 支施崙二八菩薩修行經 一卷西晉 白法祖 同無畏授所問大乘經 三卷北宋 施護二九優塡王經 一卷西晉 法炬 同大乘日子王所問經 一卷北宋 法天三十須摩提經 一卷西晉 竺法護 同須摩提菩薩經 一卷後秦鳩摩羅什三二阿闍貰王女阿術達菩薩經 一卷西晉 竺法護三三無垢施女經 一卷西晉 竺法護 同得無垢女經 一卷東魏般若流支三五文殊師利所說不思議佛境界經 一卷唐菩提流志三六如幻三昧經 二卷西晉 竺法護 同聖善住意天子所問經 三卷北魏毘目智仙三七太子刷護經 一卷西晉 竺法護 同太子和休經 一卷西晉 失譯三八慧上菩薩問大善權經 二卷西晉 竺法護 同 大方廣善巧方便經 四卷北宋 施護三九大乘顯示經 二卷唐 目照四二大乘方等要慧經 一卷後漢 安世高 同彌勒菩薩所問本願經 一卷西晉 竺法護四三佛遺日摩尼寶經 一卷 後漢支婁迦讖 同摩訶衍寶嚴經 一卷晉 失譯四五大迦葉問大寶積正法經 五卷北宋 施護四六文殊師利所說摩訶般若波羅密經 二卷梁 曼陀羅仙 同文殊師利所說般若波羅蜜經 一卷梁 僧伽婆羅 同大般若經第七分 二卷唐 玄奘四七大方等大集經寶髻菩薩品 二卷北涼 曇無讖四八勝鬘獅子吼一乘大方便方廣經 一卷宋求那跋陀羅四九毘耶娑問經 二卷北魏般若流支 大谷學報第十一之三)]
대보적경
①-908■불광사전
hbfl--03_Da_0267.TIF



● From Hanja(Korean Hanzi) Dic
대보적경
大寶積經
■ '대보적경'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대보적경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대보적경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대보적경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대보적경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대보적경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대보적경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대보적경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대보적경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대보적경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대보적경』
K0022
T0310

제89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대보적경』 ♣0022-089♧






◎◎[개별논의]    ❋본문









★1★







◆vypn7346


◈Lab value 불기2565/01/05/화/22:33

○ 2020_0211_141902_can_CT38_s12.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Albert-Bloch-harlequinade-1911
[#M_▶더보기|◀접기|
Albert-Bloch
https://en.wikipedia.org/wiki/Albert_Bloch
Title : harlequinade-1911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525_173411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eiming_lake_peking_university
[#M_▶더보기|◀접기|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Kolochau 독일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Patricia Kaas - Quand Jimmy Dit.lrc


Patricia Kaas - Quand Jimmy Dit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1/mahaa-ratnakuuta-suutra.html#7346
sfx--dict/대보적경.txt
sfd8--불교용어dic_2565_01.txt ☞◆vypn7346
불기2565-01-05
θ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Charles Aznavour - Que J'aime J'aime a
Daniel Balavoine - Me Laisse Pas M'en Aller
Jacques Dutronc - Comment Elles Dorment
DESIRLESS - Voyage Voyage
MYLENE FARMER - Je t'aime mancolie
Daniel Darc - Sur La Route
Pascal Parisot - Je T'aim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uddhism and psychology
[san-chn] saṃghârāma 僧坊, 僧院, 衆園, 衆寮
[san-eng] sarvaharaḥ $ 범어 all-devouring
[pali-chn] vavattheti 令起
[pal-eng] jinaputta $ 팔리어 m.a disciple of the Buddha.
[Eng-Ch-Eng] 四無量 Four Immeasurable Minds 四無量 【參照: Four Unlimited Minds】
[Muller-jpn-Eng] 于遁 ウトン Khotan
[Glossary_of_Buddhism-Eng] SUBHUTI☞
See also: Emptiness.
“One of the ten great disciples of the Buddha. Of this group, he
is thought to have been first in his understanding of sunyata (ku). It
is also reported that he was preeminent in compassion, and that he
never quarreled with anyone. He is said to have been a son of Sumana,
the younger brother of Anathapindika (Sudata), who donated the
【book-page-714 715】
Jetavana Monastery to the Sangha. In the Prajna-paramita literature,
which considers the truth of sunyata, he appears as the person engaged
in a dialogue with the Buddha.”
Dait: 333 #0133

[fra-eng] désintégrer $ 불어 desintegrate


■ 암산퀴즈


859* 636
11480 / 40


■ 다라니퀴즈

자비주 5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5 번째는?




5
일체 나쁜 업과 큰 죄를 멸해주기 위함이며,
● 마하사다바야 摩訶薩跢婆耶<五> ma hā sa t vā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5
바리가사 나바바삼유아나
波哩訖叉<二合>拏婆嚩三喩惹曩<五>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5일째]
차우 $ 005▲● 락차=(십만) 세존 설송 ○□□,不,爾,心,不

□□, 不可說不可說 為 一 不可說不可說轉。」
爾時,世尊 為 心王菩薩 而 說頌 曰:
□□, 불가설불가설 위 일 불가설불가설전。」......(수단위 나열 끝 + 게송시작부분 )
이시,세존 위 심왕보살 이설송 왈:

(수의 단위 끝부분 +게송시작부분)....이것을 또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는 것'이
한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는 제곱'이니라.”
이 때 세존께서 심왕보살에게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6째]
불가언설불가설 $ 006▲● 도락차=(백만) 불충불설 ○□□□□,充,不,說,不

□□□□□□□, 充滿一切不可說,
不可言說諸劫中, 說不可說不可盡。
□□□□□□□, 충만일체불가설,
불가언설제겁중, 설불가설불가진。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는 것이
말로 할 수 없는 온갖 곳에 가득 찼으니
말할 수 없는 온갖 겁 가운데서
말할 수 없이 말해 다할 수 없고





●K1298_T1005.txt★ ∴≪A대보광박누각선주비밀다라니경≫_≪K1298≫_≪T1005≫
●K0022_T0310.txt★ ∴≪A대보적경≫_≪K0022≫_≪T0310≫
●K0552_T1523.txt★ ∴≪A대보적경론≫_≪K0552≫_≪T1523≫

법수_암기방안


5 목 ●
6 쇄골 【쇄골】
5 목 ●
5 목 ●

546324
287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10종의 하나. 만법은 현재에만 존재하고, 과거와 미래에는 공무(空無)하다고 하는 법무거래종(法無去來宗)에서 한 걸음 나아가, 현재에도 실유(實有)와 가유(假有)의 2종이 있다고 말하는 종파. 소승설가부(小乘說假部) 등.

답 후보
● 현통가실종(現通假實宗)
혜근(慧根)
호마(護摩)

홍련지옥(紅蓮地獄)
화두(話頭)
화수길(和修吉)
화엄시(華嚴時)

● [pt op tr] fr
_M#]




,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tistory.com/5857
○ [pt op tr]
● 대보적경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 2019_1004_171301_nik_ct16


○ 2019_1004_143232_nik_ct19


○ 2018_1025_164820_nik_ab41_s12


○ 2020_1126_160244_nik_ct18_s12


○ 2020_1126_153527_can_ori


○ 2020_1126_155057_nik_BW17


○ 2020_1126_153202_nik_CT28


○ 2020_1126_160414_nik_Ab35


○ 2020_1126_155241_nik_Ar28_s12


○ 2020_0224_111329_nik_ct9_s12


○ 2020_0224_104925_nik_ct19


○ 2020_1126_155326_nik_Ab35


○ 2018_1025_174141_can_ct8_s12


○ 2020_1126_160538_nik_ct9_s12


○ 2020_0224_111329_nik_AB4_s12


○ 2020_1126_160627_nik_ab41_s12


○ 2020_1126_153440_nik_ct18_s12


○ 2020_1126_161138_nik_Ar12


○ 2020_0224_114350_nik_BW25_s12


○ 2020_1126_160524_nik_AB4_s12


○ 2020_1126_160619_nik_ct19


○ 2018_1025_174702_can_Ar37_s12


○ 2020_0224_105243_nik_ct29


○ 2019_1004_165610_can_Ar28


○ 2019_1004_143327_can_ab8


○ 2019_1004_175544_nik_ar47


○ 2019_1004_141212_can_BW25


○ 2019_1004_151150_can_ct24


○ 2019_1004_160719_can_AB7


○ 2019_1004_163007_can_ct11


○ 2019_1004_150723_can_bw25_1


○ 2019_1004_165214_can_AB7


○ 2019_1004_180327_nik_Ab35


○ 2019_1004_160250_can_ar19


○ 2019_1004_175521_nik_ct17


○ 2019_1004_145542_can_Ar28


○ 2019_1004_155211_can_bw12


○ 2019_1004_160700_can_Ar28


○ 2019_1004_150859_nik_BW25


○ 2019_1004_140638_nik_Ar26


○ 2019_1004_142342_can_ct18


○ 2019_1004_181028_nik_exc

[##_1N|cfile6.uf@99711D355FF46F6A181860.jpg|width="820" height="614" filename="2019_1004_143232_nikon_ct19.jpg" filemime="image/jpeg" style=""""|_##]



[관련키워드]대보적경大寶積經,보리류지(菩提流志)

[링크용타이틀]대보적경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대보적경

https://buddhism007.tistory.com/17974
sfx--dict/대보적경.txt
sfd8--불교용어dic_2565_01.txt ☞◆vypn7346
불기2565-01-0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1/mahaa-ratnakuuta-suutra.html
htmback--대보적경_불기2565-01-05-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