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달마대비바사론』
K0952
T1545
제114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아비달마대비바사론』 ♣0952-114♧
제114권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阿毘達磨大毘婆沙論卷第一百一十四 退
K0952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114권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4. 업온(業蘊)
1) 악행납식 ③
【論】 세 가지 업[三業]이란 신업(身業)ㆍ어업(語業)ㆍ의업(意業)을 말하며,
네 가지 업[四業]이란
흑흑이숙업(黑黑異熟業)ㆍ
백백이숙업(白白異熟業)ㆍ
흑백흑백이숙업(黑白黑白異熟業)ㆍ비
흑비백무이숙업능진제업(非黑非白無異熟業能盡諸業)을 말한다.
세 가지가 네 가지를 포섭하는가,
네 가지가 세 가지를 포섭하는가?119)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 계경의 뜻을 분별하기 위해서이니,
예컨대 계경에서 “세 가지 업과 네 가지 업이 있다”라고 말씀하셨다.
계경에서는 비록 이렇게 말씀하셨다 하더라도
아직 자세하게 분별하지 않았으며,
또한 일찍이 “세 가지가 네 가지를 포섭하는가,
네 가지가 세 가지를 포섭하는가?”에 대해서도 말씀하시지 않으셨다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어떤 이는 “앞에서 비록 세 가지 업을 분별했다 하더라도
아직 네 가지 업은 분별하지 않았으므로
이제 분별하려고 이것을 논한다”라고 한다.
여기에서 어떤 것이 흑흑이숙업인가?
불선업(不善業)으로 험난한 악취(惡趣)의 이숙을 받게 하는 것이다.
【문】이숙은 흑(黑)이라고 하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품류족론(品類足論)』에서 “어떤 것이 흑법(黑法)인가?
불선의 법[不善法]과 유부무기의 법[有覆無記法]이다.
어떤 것이 백법(白法)인가?
선의 법[善法]과 무부무기의 법[無覆無記法]이다”라고 했기 때문이다.
모든 이숙과(異熟果)는 무부무기인데,
무엇 때문에 흑이라 하는가?
【답】 여기에서는 다만
“어떤 것이 흑업인가?
불선의 업이어서 험난한 악취를 받게 하는 것이다”라고만 해야 하고,
다시 “흑이숙(黑異熟)”이라는 말을 하지 않았어야 한다.
이렇게 말해야 하는데도 그렇게 하지 않은 것은,
어떤 뜻이 있어서이다.
이렇게 말하면
이미 흑(黑)은 원인[因]이요 결과[果]가 아니라는 것이 성립된다.
마치 도둑의 아들이라고 말한 것과 같아서
여기에서 하는 말은 아버지를 욕하면서도 아들은 욕하지 않은 것이니,
여기에서도 그러하다.
또 어떤 이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여기에서는 뜻에 맞지 않은[不可意] 흑에 의거한 까닭에
이렇게 말한다.
흑(黑)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염오(染汚)의 흑이요,
둘째는 뜻에 맞지 않은 흑이다.
여기에서의 업(業)은 두 가지 흑으로 말미암아 흑이라고 하면서
이숙은 다만 뜻에 맞지 않은 흑으로 말미암아서 역시 흑이라고 한다.”
【문】흑업(黑業)도 인간ㆍ천상 안의 이숙을 받는데,
무엇 때문에 다만 악취의 이숙만을 받는다고 하는가?
【답】 역시 말해야 하는데도 하지 않은 것은,
이 뜻에는 그 밖의 다른 뜻이 있는 줄 알아야 할 것이다.
또 어떤 이는 말한다.
“그것은 결정되지 않아서이다.
인간ㆍ천상 안에서는 만일 어떤 곳에 흑업의 이숙이 있으면
이곳에는 반드시 백업(白業)의 이숙이 있어서
오직 흑업의 이숙만이 있고 백업의 이숙이 없는 곳은 없지만,
모든 악취에는 만일 그곳에 백업의 이숙이 있으면
이곳에는 반드시 흑업의 이숙이 있고,
어떤 곳에는 흑업의 이숙만 있으면서 백업의 이숙은 없는 곳도 있어서이니,
악취에는 결정코 흑이숙의 처소가 있다.
이 때문에 치우치게 말한다.”
『집이문족론(集異門足論)』에서는 또 이렇게 말한다.
“어떤 것이 흑흑이숙업(黑黑異熟業)인가?
불선의 업으로 나락가(捺落迦)의 갈래[趣]를 받는 것이다.”
【문】모든 불선의 업은 방생(傍生)이나 아귀 갈래[鬼趣]의 이숙도 받게 되는데,
무엇 때문에 오직 나락가를 받는다고만 하면서
그 밖의 다른 것은 말하지 않는가?
【답】 말해야 하는데도 하지 않은 것은,
그 밖의 다른 뜻이 있는 줄 알아야 한다.
또 어떤 이는
“그것은 결정되지 않아서이다.
방생이나 아귀 갈래에서는
불선의 업의 이숙도 받고,
또한 선의 업의 이숙도 받지만,
나락가의 갈래에서는 결정코 오직 불선의 업의 이숙만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치우치게 말한다”고 한다.
또 어떤 이는
“세존께서 경에서 중(重)한 악업(惡業)으로써 모든 유정을 두렵게 하신 것은,
그 경에 따르기 위해서이다.
그러므로 다만 나락가를 받는 모든 불선의 업만을
흑흑이숙업이라고 말했을 뿐이다”라고 한다.
이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그 경을 인용하겠다.
“두 사람의 외도(外道)가 있었다.
한 사람은 포라나교치가(布剌拏憍雉迦)인데 소의 계[牛戒]120)를 받아 지녔고,
또 한 사람은 액제라서이가(額制羅栖爾迦)인데 개의 계[狗戒]121)를 받아 지녔다.
이 두 외도는 어느 때에 같이 모여 앉아서 이런 말을 했다.
‘세간에서 모든 행하기 어려운 금계(禁戒)를
우리들 두 사람은 닦고 배워서 이미 원만하게 되었으니,
그 누가 우리들이 받게 될 이숙(異熟)을 사실대로 기별(記別)할 수 있을까?
듣건대 석가 종족에서 한 분의 태자가 탄생했는데,
얼굴과 모습이 단정하게 생겼고,
32대장부상(大丈夫相)과 80수호(隨好)로써 그 몸을 장엄하였으므로
보는 이들이 만족할 줄을 모르며,
몸은 순금 빛이요,
상광(常光)은 한 길[一尋]이며,
음성은 맑고 밝고 화아하면서 뜻을 즐겁게 하는 것이 묘한 소리를 내는 갈라빈가(羯羅頻迦) 새보다 더 뛰어나며,
지견(智見)은 걸림이 없고 변재(辯才)는 막힘이 없는데,
가법(家法)은 싫어하여 버리고 집이 아닌 곳으로 나아가서 고행을 부지런히 닦다가
다시 도로 그만두고서 처중(處中)의 행122)을 닦아 무상정등보리(無上正等菩提)를 증득하여
일체지(一切智)를 갖추어서
모든 법의 성상(性相)을 사실대로 깨달아 보며[證見],
온갖 의심 그물[疑網]을 끊고,
온갖 결정(決定)을 베풀며,
온갖 문론(問論)의 근원까지 궁구하여 통달하였다 한다.
우리들 두 사람은 이제 가서 물어야 한다.
만일 우리들의 금계로 받게 될 기별을 얻는다면,
그에 의지하여 배울 것이니,
어찌 유쾌하지 않겠는가?’
이에 두 사람은 부처님께로 와서
갖가지 좋은 말로 위문을 하고 나서 물러나 한쪽에 앉았다.
포라나(布刺拏)는 먼저 다른 이를 위하여 물으면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이 서이가(栖爾迦)는 개의 계를 받아 지녀 닦고 배워서 이미 원만하게 되었습니다.
장차 어느 곳으로 나아가며,
장차 어디에 나게 되겠습니까?’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너 포라나야,
그만두어라.
물을 필요가 없다.
이 일로 인해서는 묻지 말 것이다.
너희들은 모두가 참지도 못하고 믿지도 않으면서
마음에 수치[恥]와 한(恨)을 품게 될 것이다.’
이렇게 세 번을 되풀이하였는데도
그는 오히려 은근히 청하고 물으면서 그치지 않았으므로
부처님께서는 사랑하고 가엾이 여기면서[慈愍] 말씀하셨다.
‘자세히 들어라.
나는 너를 위하여 사실대로 기별(記別)하리라.
개의 계를 받아 지니어 만일 결범(缺犯)이 없었으면
당연히 개[狗] 가운데에 나야 하고,
만일 결범이 있었으면 당연히 지옥에 떨어져야 한다.’
그때에 포라나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마음에 두려움을 품고서
슬피 울며 목이 메어 어쩔 줄을 몰랐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먼저 자주 너에게
≺그만두어라, 물을 필요가 없다.
이 일로 인해서는 묻지 말라.
너희들은 모두가 참지도 못하고 믿지도 않으면서
마음에 수치와 한을 품게 되리라≻고 어찌 말하지 않더냐?
이제 과연 그렇게 되었구나.’
포라나는 곧 스스로가 억제하면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께서 서이가에게
≺장차 개의 갈래[狗趣]에 날 것이다≻라고 기별하셨기 때문에
제가 슬피 우는 것은 아닙니다.
저는 오랜 세월 동안 소의 계[牛戒]를 받아 지니어 닦고 배워
이미 원만하게 되었으므로
역시 그렇게 될까 저어하여 그 때문에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대자(大慈)시여,
저를 위하여 소의 계를 받아 지닌 자는 장차 어디로 나아가며,
장차 어디에 날 것인가를 말씀하여 주소서.’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소의 계를 받아 지니어 만일 결범이 없었으면 당연히 소 가운데에 나야 하며,
만일 결범이 있었으면 당연히 지옥에 떨어질 것이니라.’”
이와 같은 일은 경에서 자세히 말씀하신 것과 같다.
【문】어떤 것을 개의 계와 소의 계를 받아 지니면서 결범(缺犯)이 없다고 하는 것인가?
【답】 만일 개의 계율을 지니면서 개의 법과 한결같이 하면 결범이 없다고 하며,
만일 소의 계율을 지니면서 소의 법과 한결같이 하면 결범이 없다고 하는 것이요,
만일 그렇지 못하면 결범이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세존께서는 중한 악업으로 모든 유정을 두렵게 하셨으며,
때문에 나락가 갈래를 받는 모든 불선의 업을 말씀하신 것이다.
그 경에 따르기 위하여 『집이문족론』에서는
“나락가를 받는 모든 불선의 업을 흑흑이숙업이라 한다”고 했다.
또 어떤 이는
“견도에서 끊을 바[見道所斷]의 모든 불선의 업을 흑흑이숙업이라 하는 것이니,
제 종류 중에는 백(白)이 섞이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다음과 같이 말하는 이도 있다.
“온갖 불선의 업은 모두 흑흑이숙업이라 한다.
욕계 중의 불선(不善)은 강하고 성함으로 말미암아 선(善)의 법이 끼어들지 못하지만,
불선의 법은 자기 지[自地]의 선을 능히 조복시키고 능히 끊기 때문에
선의 업은 미약하고 하열하면서 불선이 끼어들게 되는 것이니,
욕계의 선으로써는 불선을 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어떤 것이 백백이숙업(白白異熟業)인가?
색계계(色界繫)의 선업(善業)이다.
【문】무색계계(無色界繫)의 선업도 백(白)의 이숙을 받는데,
무엇 때문에 오직 색계계의 선업만을 말하면서 백백이숙업이라고 하고,
무색계계의 선업은 말하지 않는가?
【답】 말해야 하는데도 하지 않은 것은,
그 밖의 다른 뜻이 있는 줄 알아야 한다.
또 어떤 이는
“만일 색계계의 선업을 백백이숙업이라고 한다면
이미 무색계계의 선업도 그 업이라는 것을 말한 줄 알아야 할 것이니,
똑같이 정지(定地)요, 수지(修地)의 법이기 때문에 만일 이것을 말하면,
그것도 말한 것인 줄 알아야 한다”고 한다.
또 어떤 이는
“만일 모든 선업으로서 두 가지 이숙과,
즉 중유(中有)와 생유(生有)를 받는 것이면 이 선업을 백백이숙업이라고 하지만,
무색계의 업은 오직 생유만을 받으면서
중유는 받지 않기 때문에 말하지 않는다.
중유와 생유에서처럼
이와 같이 기수(起受)와 생수(生受),
기이숙(起異熟)과 생이숙(生異熟),
기과(起果)와 생과(生果),
세과(細果)와 추과(麤果)에 있어서도 그러한 줄 알아야 한다”라고 한다.
★%★
또 어떤 이는 “만일 업으로서 두 가지 이숙,
즉 색(色)과 색이 아닌 것123)을 받게 되면 이 모든 선업을 백백이숙업이라고 하지만,
무색계의 업은 오직 색이 아닌 것만을 받으면서 색의 것은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말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 어떤 이는 “만일 두 가지 업을 완전히 갖추어 색과 색이 아닌 이숙을 받는 것이면 이 가운데서의 선업을 백백이숙업이라 하지만,
무색계에는 오직 색이 아닌 업만이 있으면서 색이 있는 업은 없기 때문에 말하지 않는다.
색과 색이 아닌 것에서처럼 이와 같이 상응하는 것과 상응하지 않는 것,
소의가 있는 것[有所依]과 소의가 없는 것[無所依],
행상이 있는 것[有行相]과 행상이 없는 것[無行相],
소연이 있는 것[有所緣]과 소연이 없는 것[無所緣],
작의가 있는 것[有作意]과 작의가 없는 것[無作意]의 두 가지 업에 있어서도 그러하다”라고 한다.
또 어떤 이는 “만일 세 가지 업,
즉 신업ㆍ어업ㆍ의업을 갖추어서 이숙을 받는 것이면 이 청정한 선업을 백백이숙업이라고 하지만,
무색계에는 오직 의업만이 있으면서 이숙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말하지 않는다”라고 한다.
또 어떤 이는 “만일 더불어 5온(蘊)으로써 이숙을 받는 것이면 이 청정한 선업을 백백이숙업이라고 하지만,
무색계에는 오직 4온(蘊)만이 있으면서 이숙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말하지 않는다”라고 한다.
또 어떤 이는 “만일 열 가지 선업도[十善業道]를 두루 갖추고서 이숙을 받는 것이면 이 청정한 선업을 백백이숙업이라고 하지만,
무색계에서는 오직 세 가지 선업도만 있으면서 이숙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말하지 않는다”라고 한다.
또 어떤 이는 “만일 이 세계 안에서 첫째 원인[因]과 둘째 결과[果]의 이 두 가지의 깨끗함[鮮淨]이 있고,
이 두 가지의 명백함[明白]이 있는 것이면,
이 세계의 선업을 백백이숙업이라고 하지만,
무색계에는 원인인 이 한 가지의 깨끗함과 명백함만 있는 것이기 때문에 말하지 않는다”라고 한다.
이와 같은 등의 갖가지 인연으로 말미암아 오직 색계계의 선업만을 백백이숙업이라고 하고,
무색계계의 선업은 그렇게 말하지 않는다.
어떤 것이 흑백흑백이숙업(黑白黑白異熟業)인가?
욕계계의 선업(善業)으로 인간과 천상 갈래[人天趣]의 이숙을 받는 업이다.
【문】하나의 업이면서 흑(黑)이기기도 하고 백(白)이기기도 한 것은 없는데,
무엇 때문에 흑백흑백이숙업이라고 하는가?
【답】 하나의 의지(依止) 중의 하나의 상속(相續) 가운데서 두 가지 업으로 받는 이숙,
즉 첫째는 흑이요,
둘째는 백인 것을 받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니,
이 때문에 흑백흑백이숙업이라고 한다.
【문】모든 악취에서도 흑ㆍ백 두 가지 업의 이숙을 받게 되는데,
무엇 때문에 오직 인간ㆍ천상 갈래의 이숙을 받는 업만을 말하면서 흑백흑백이숙업이라고 하고,
악취의 이숙을 받는 업은 말하지 않는가?
【답】 말해야 하는데도 하지 않은 것은,
그 밖의 다른 뜻이 있는 줄 알아야 한다.
또 어떤 이는 “만일 인간ㆍ천상을 받는 선업을 말하면서 흑백흑백 이숙업이라 하면 이미 악취를 받는 선업도 그 업이라는 것을 말하는 것인 줄 알 것이니,
뒤섞인 모양에는 차별이 없기 때문에 만일 이것을 말하면 이미 그것도 말한 것인 줄 알아야 한다”라고 한다.
또 어떤 이는 “그것은 결정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말하지 않는다.
욕계의 인간ㆍ천상 갈래에 있어서는 어느 한 곳도 흑백업(黑白業)의 이숙을 뒤섞여 받지 않는 곳이 없지만,
모든 악취에서는 비록 흑백업의 숙을 뒤섞여 받는 곳이 있다 하더라도 다시 어떤 곳에서는 한결같이 순전한 흑업의 이숙만을 받는 것이니,
일부 방생(傍生)과 아귀[鬼]와 온갖 지옥이다.
이와 같이 악취에는 결정되지 않은 것이 있기 때문에 말하지 않는다”라고 한다.
또 어떤 이는 “욕계계의 수도에서 끊을 바[修所斷] 선(善)ㆍ불선(不善)의 업을 흑백흑백이숙업이라 하는 것이니,
하나의 종류 중에 두 가지의 업이 섞여 있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또 어떤 이는 “만일 선ㆍ불선의 업으로서 욕계의 인간ㆍ천상ㆍ방생ㆍ아귀 갈래의 이숙을 받는 것이면 흑백흑백이숙업이라고 하는 것이니,
한 갈래[一趣] 안에서 두 가지 업의 이숙을 섞여 받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다음과 같이 말하는 이도 있다.
“욕계의 온갖 선업을 흑백흑백이숙업이라 한다.
그 선업의 체(體)는 비록 백(白)이라 하더라도 불선의 흑(黑)이 끼어들게 되는데,
불선은 자기 지[自地]의 선을 끊기 때문이며,
불선은 그렇지가 못하여 자기 지의 선이 끼어들지 못하는데,
자기 지의 선은 자기 지의 불선을 끊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로 말미암아 욕계의 선업을 제3의 업(業)이라 한다.”
어떤 것을 비흑비백무이숙업능진제업(非黑非白無異熟業能盡諸業)이라 하는가?
모든 업을 영원히 끊는 학(學)의 사(思)이다.
【문】모든 무루의 업[無漏業]은 승의(勝義)의 백(白)인데,
무엇 때문에 이에 흑도 아니고[非黑] 백도 아니라[非白]고 하는가?
【답】 『집이문족론』과 『시설론』에서는 모두 이 업을 가리켜 “불선(不善)ㆍ염오(染汚)의 흑(黑)과 뜻에 맞지 않은[不可意] 이숙을 받는 흑과 같지 않기 때문에 흑이 아니다[非黑]라고 하며,
또 선(善)의 유루(有漏)의 백(白)과 뜻에 맞는[可意] 이숙을 받는 백과도 같지 않기 때문에 백이 아니다[非白]라고 한다”라고 한다.
또 어떤 이는 “이것은 결과의 백[果白]에 의거하기 때문에 백이 아니라고 한다.
백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원인의 백[因白]이요,
둘째는 결과의 백이다.
선의 유루의 업은 두 가지 백을 모두 갖추므로 백이라 하지만,
모든 무루의 업은 오직 원인의 백만이 있고,
결과의 백은 없기 때문에 백이라고 하지 않는다”라고 한다.
또 어떤 이는 “이숙의 백[異熟白]에 의거하기 때문에 백이 아니라고 한다.
백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자체의 백[自體白]이요,
둘째는 이숙의 백이다.
선의 유루의 업은 두 가지 백을 모두 갖추었으므로 백이라 하지만,
무루의 업은 오직 자체의 백만이 있고 이숙의 백이 없기 때문에 백이라고 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 어떤 이는 “이 무루의 업은 세간이 좋아하는 이숙을 끊을 수 있지만 세간이 좋아하는 바는 그렇지 못하여 백의 모양이 없는 것이기 때문에 백이라고 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이치 때문에 흑도 백도 아니라고 하고,
이 무루의 업은 앞의 세 가지와 같이 이숙업을 받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숙업이 없다[無異熟業]고 하며,
이 무루의 업은 앞의 세 가지 업으로 하여금 마침내 없어져 다하고[滅盡] 평등하게 다하고[等盡] 영원히 다하고[永盡] 영원히 해치고[永害],
버려 버리고[棄捨] 변해 토하고[變吐],
욕심을 여의고[雜欲] 고요히 사라지게 하는[寂滅] 것이기 때문에 모든 업을 다하게 된다[能盡諸業]고 한다.
이와 같다면 곧 열일곱 가지의 학의 사를 말하는 것이니,
견도(見道) 중의 네 가지 법지인[四法智忍]과 상응하는 학의 사와 욕계의 염(染)을 여읜 여덟 가지의 무간도[八無間道]와 상응하는 학의 사의 이 열두 가지의 사[十二思]는 흑흑이숙업을 다하고,
욕계의 염을 여읜 제9 무간도와 상응하는 학의 사는 흑흑이숙업과 흑백흑백이숙업을 다하며,
초정려(初靜慮)의 염을 여읜 제9 무간도와 상응하는 학의 사와 나아가 제4 정려의 염을 여읜 제9 무간도와 상응하는 학의 사는 백백이숙업을 다하는 것이니,
이와 같은 열일곱 가지 무루의 사를 모든 업을 능히 끊는 학의 사라고 한다.
또 어떤 이는 “온갖 무간도의 무루의 사(思)를 모두 업을 끊는 학의 사라고 하는 것이니 온갖 무간도는 모두 업을 끊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또 어떤 이는 “온갖 학의 사를 모두 업을 끊는 학의 사라고 하는 것이니,
모든 학의 사는 모두 유루의 업을 대치(對治)하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이와 같이 말하는 이는 처음의 설[初說]에서 오직 열일곱 가지 무루의 사(思)만을 말하니,
바로 앞의 세 가지의 업[三業]을 대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모든 무루의 혜(慧)와 상응하고 구유(俱有)하는 것은 모두 바로 앞의 세 가지 업을 끊을 수 있는데,
무엇 때문에 오직 무루의 학의 사만을 말하는가?
【답】 사(思)는 능히 발동(發動)하여 모두 법이 끊어지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치우치게 말한다.
또 어떤 이는 “모두가 비록 끊을 수 있다 하더라도 이 가운데서는 업을 분별하고 있기 때문에 오직 사만을 말한다”고 한다.
【문】만일 그렇다면 따라 구르는[隨轉] 신업과 어업도 말해야 하는데,
무엇 때문에 오직 사만을 말하는가?
【답】 이 학의 사는 무루의 혜와 상응하면서 구르되,
동일한 소연[同一所緣]과 동일한 행상(行相)과 동일한 소의(所依)로 서로 도와 세력이 있으면서 모든 업을 끊게 되지만,
신업과 어업에는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말하지 않는다.
이미 세 가지 업[三業]과 네 가지 업[四業]의 자성(自性)을 말했으므로 이제는 뒤섞인 모양[雜相]과 뒤섞임이 없는 모양[無雜相]을 나타내 보이겠다.124)
【論】 세 가지 업과 네 가지 업에서는 세 가지가 네 가지를 포섭하는가,
네 가지가 세 가지를 포섭하는가?
【답】 세 가지가 네 가지를 포섭하는 것이요,
네 가지가 세 가지를 포섭하는 것이 아니다.
포섭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모든 업을 능히 끊는 학(學)의 사(思)를 제외한 그 밖의 무루의 업과 무색계계의 선(善)의 업과 온갖 무기(無記)의 업이다.
여기에서 모든 업을 끊는 학의 사를 제외한 그 밖의 무루의 업이라 함은,
모든 열일곱 가지 무루의 사(思)를 말하여 제4의 업(業)으로 삼는 이면,
그는 열일곱 가지 사(思)를 제외한 그 밖의 무루의 가행도(加行道)ㆍ무간도(無間道)ㆍ해탈도(解脫道)ㆍ승진도(勝進道)와 상응하는 사(思)와 학(學)의 수전업(隨轉業)과 아울러 온갖 무학(無學)의 업을 그 밖의 무루의 업이라고 한다.
모든 온갖 무간도와 상응하는 학의 사(思)를 말하여 제4의 업으로 삼는 이면,
그는 온갖 무간도를 제외한 그 밖의 무루의 가행도ㆍ해탈도ㆍ승진도와 상응하는 학의 사와 학의 수전업과 아울러 온갖 무학의 업을 그 밖의 무루의 업이라고 한다.
모든 온갖 학의 사(思)를 말하여 제4의 업으로 삼는 이면,
그는 학의 수전업과 온갖 무학의 업을 그 밖의 무루의 업이라고 한다.
다음과 같이 말하는 이도 있다.
“처음에 무색계계의 선의 업을 제외한다는 것은 무색계계의 온갖 선(善)의 업을 말하며,
무기의 업을 제외한다는 것은 삼계계(三界繫)의 모든 무기(無記)의 업을 말한다.”
이런 도리로 말미암아 세 가지 업[三業]은 학(學)과 무학(無學)과 비학비무학(非學非無學)의 업을 빠짐없이 포섭하지만,
네 가지 업[四業]은 오직 학과 비학비무학의 업만을 포섭할 뿐이다.
세 가지 업은 욕계계와 색계계와 무색계계의 업을 빠짐없이 포섭하지만,
네 가지 업은 오직 욕계계와 색계계의 업만을 포섭할 뿐이다.
세 가지 업은 선과 불선과 무기의 업을 빠짐없이 포섭하지만,
네 가지 업은 오직 선과 불선의 업만을 포섭할 뿐이다.
세 가지 업은 견도에서 끊을 바[見所斷]와 수도에서 끊을 바[修所斷]와 끊을 것이 없는[無斷] 업을 빠짐없이 포섭하지만,
네 가지 업은 오직 세 가지의 일부만을 포섭할 뿐이다.
세 가지 업은 유루(有漏)ㆍ무루(無漏)의 업과 염오(染汚)ㆍ불염오(不染汚)의 업과 유이숙(有異熟)ㆍ무이숙(無異熟)의 업과 상응(相應)ㆍ불상응(不相應)의 업과 유수전(有隨轉)ㆍ무수전(無隨轉)의 업과 표(表)ㆍ무표(無表)의 업을 빠짐없이 포섭하지만,
네 가지 업은 오직 모든 두 가지씩의 업의 일부분만을 포섭할 뿐이니,
이와 같은 등의 문(門)은 모두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
이 때문에 “세 가지가 네 가지를 포섭하는 것이요,
네 가지가 세 가지를 포섭하는 것이 아니다.
포섭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모든 업을 능히 끊는 학의 사를 제외한 그 밖의 무루의 업과 무색계계의 선의 업과 온갖 무기의 업이다”라고 한다.
【論】 세 가지 업[三業]이라 함은,
신업(身業)과 어업(語業)과 의업(意業)이며,
또 세 가지 업이 있는데,
순현법수업(順現法受業)과 순차생수업(順次生受業)과 순후차수업(順後次受業)이다.125)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 계경의 뜻을 분별하기 위해서이니,
예컨대 계경에서 “순현법수업 등의 세 가지 업이 있다”라고 말씀하셨으나 자세히 분별하지 않으셨다.
자세한 설명은 앞에서와 같다.
또 어떤 이는 “앞에서 비록 신업 등의 세 가지 업을 분별했다 하더라도 아직 순현법수업 등의 세 가지 업은 분별하지 않았으므로 이제 분별하려고 이것을 논한다”라고 한다.
어떤 것이 순현법수업(順現法受業)인가?
만일 어떤 업을 이생[此生]에서 짓고 더욱 자라게 하여 곧 이생에서 이숙과(異熟果)를 받는 것이면,
이것을 순현법수업이라고 한다.
【문】어떤 업을 이때에 짓고 더욱 자라게 하여 곧 이때에 이숙과를 받는 것인가?
【답】 그렇지는 않다.
왜냐하면 모든 선업(善業)ㆍ악업(惡業)은 반드시 상속(相續)을 기다리거나 혹은 상속을 지나서야 비로소 이숙을 받는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이 업을 짓고 자라게 하여 곧 이 한 상속[一相續] 동안이나 혹은 곧 이 한 시분[一時分] 동안에,
혹은 곧 이 한 중동분[一衆同分] 동안에 이숙과를 받으면 이와 같은 것을 순현법수업이라고 한다.
반드시 어떤 업이 이 찰나 동안에 지어서 곧 이 찰나 동안이나 다음 찰나 동안에 성숙[熟]한다는 뜻은 없는 것이니,
다른 종류[異類]로 말미암아 친히 끌어 일으키기[引發] 때문이다.
여기에서 모든 세간에서 실제로 보게 되는 순현법수업에 대해 말해 보기로 하자.
“일찍이 들었다.
어떤 나무꾼이 산으로 들어갔다가 눈을 만나 길을 잃게 되었다.
그때 마침 해가 지고 눈은 깊이 쌓이고 하여 추위에 얼어서 마침내 죽을 지경이 되었다.
얼마쯤 앞으로 나아가다가 나무가 빽빽이 들어선 한 숲 속으로 들어가게 되었는데,
한 마리의 곰이 먼저 그 숲 속에 있는 것을 보았다.
몸은 청감색이었고,
눈은 두 개의 횃불과 같았다.
그 사람은 몹시 두려워 틀림없이 죽을 것만 같았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 보살이 곰의 몸으로 현신한 것이라 그가 근심하고 두려워하는 것을 보고 곧 위로하고 달래며 말했다.
‘당신은 이제 두려워하지 마시오.
부모가 자식에 대하여 행여 딴 마음이 있는 일이 있을지 몰라도 나는 이제 그대에게 끝내 나쁜 뜻이 없습니다.’
곧 앞으로 나아가 공손히 두 손으로 받들고 굴속으로 데리고 들어가 그의 몸을 따뜻하게 하여 소생시킨 뒤에 여러 뿌리와 열매들을 가져다 권하면서 먹게 하고는 차서 소화시키지 못할까 저어하여 껴안고 누웠다.
이렇게 은혜로이 봉양한 지 엿새를 지나고 이레째가 되어 날은 개어서 맑아졌고 길이 나타났으므로 그 사람이 돌아가고 싶어하자 곰이 이미 알아채고,
다시 단 과일을 가져다 배불리 먹이고는 그를 전송하였다.
숲 바깥까지 나와 은근히 작별하려 할 때에 그 사람은 무릎을 꿇고 감사해하며 말했다.
‘무엇으로써 이 은혜를 갚으오리까?’
곰이 말했다.
‘나는 이제 달리 보답하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다만 이 날에 내가 당신의 몸을 보호했던 것처럼 당신도 나의 목숨에 대하여 역시 그렇게 해주기를 원할 뿐입니다.’
그 사람은 공손히 허락한 뒤에 땔나무를 지고 산을 내려오다가 두 사람의 사냥꾼을 만났다.
그들이 물었다.
‘산중에서 어떤 짐승을 보았습니까?’
나무꾼이 대답했다.
‘나 또한 다른 짐승은 보지 못했고,
오직 한 마리의 곰을 보았을 뿐입니다.’
사냥꾼들은 청했다.
‘우리에게 가르쳐 주지 않겠습니까?’
나무꾼이 대답했다.
‘만일 나에게 3분의 2를 주겠다면 당신들에게 가르쳐 주겠소.’
사냥꾼들이 그렇게 주겠다고 허락했으므로 함께 데리고 가서 끝내 곰을 죽이고는 고기를 3등분으로 나누었다.
나무꾼이 양 손으로 곰의 고기를 가지려 하는데 악업(惡業)의 힘 때문에 두 팔이 한꺼번에 떨어지는 것이 마치 구슬에 꿴 끈이 끊어지듯 했고 마치 연뿌리가 끊어지듯 했다.
사냥꾼들은 당황하고 놀라면서 그 까닭을 물었으므로 나무꾼은 부끄러워하면서 자세히 그 사실을 말해 주었다.
이 두 사냥꾼들은 나무꾼을 책망하며 말했다.
‘남이 그렇게도 당신에게 큰 은혜를 베풀었는데,
당신은 이제 어찌 차마 이런 악역(惡逆)을 저질렀단 말이오?
괴이하구료.
당신의 몸이 어찌 문드러지지 않으리오?’
이리하여 사냥꾼들은 함께 그 고기를 가지고 가서 승가람(僧伽藍)에게 보시했다.
그때에 스님들의 상좌(上座) 중에 묘한 원지(願智)를 얻은 이가 있었다.
곧 정(定)에 들어서 ≺이것은 무슨 고기일까?≻라고 관하다가 곧 이것이 온갖 중생들을 위하여 이익과 안락을 지었던 큰 보살의 살임을 알고는 이윽고 정에서 나와 이 일을 대중에게 알렸다.
대중들은 모두가 놀라고 감탄하면서 함께 향나무를 가져다 그 고기를 화장한 뒤에 그 남은 뼈는 거두어서 솔도파(率堵波)를 일으켜 예배하고 공양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악업은 반드시 상속을 기다리거나 혹은 상속을 거쳐서야 비로소 그 과보를 받게 된다.
“또 옛날에 소를 잡아 파는 사람들이 있었다.
소를 몰고 길을 가다가 사람은 많은 데다 양식은 떨어져서 굶주림에 몹시 시달리게 되었다.
그러자 잠깐 쉬면서 의논했다.
‘이 소떼들은 끝내 우리의 물건은 아니니,
혀를 끊어 내어서 허기를 채웁시다.’
그리고는 곧 소금을 여러 소들의 입에 발라 두자 소들이 짠맛을 탐하여 혀를 내어서 핥았으므로 이내 날카로운 칼을 가지고 일시에 끊어 내어서 불에다 구워 다 같이 먹었다.
먹고 나서는 서로 함께 물 있는 데로 가서 양치질을 하고 다 같이 버드나무 가지로 이를 쑤셨는데,
가지가 쪼개지면서 혀를 긁어 비었다.
그 악업의 힘 때문에 모든 사람들의 혀가 마치 썩어 문들어진 과일과 같이 되면서 한꺼번에 모두 떨어져 버렸다.”
이와 같이 악업은 반드시 상속을 기다리거나 혹은 상속을 거쳐서야 비로소 그 과보를 받게 된다.
“또 듣건대 옛날에 포악한 자가 있었는데,
어머니로 하여금 그릇을 잡게 하고 자신은 우유를 짜다가 짠 것이 양이 넘치자 어머니는 그만 짜게 하면서 말했다.
‘남은 것은 두었다가 송아지에게 먹이도록 하자.’
그 사람은 그 말을 듣자마자 갑자기 성을 내면서 손으로 젖을 떠서 그의 어머니의 얼굴에다 뿌렸다.
어머니의 몸에 닿은 우유 방울은 모두가 그 악업의 힘 때문에 그 사람의 몸 위에 도로 가서 붙으면서 그만큼의 백라병(白癩病)으로 번져 버렸다.”
이와 같이 악업은 반드시 상속을 기다리거나 혹은 상속을 거쳐서야 비로소 그 과보를 받게 된다.
이것은 간략하게 순현법수(順現法受)의 세 가지 악업을 인용한 것이다.
“옛날 교살라국(憍薩羅國)에 승군(勝軍)이라는 왕이 있었다.
왕은 한 딸을 낳았는데,
열여덟 가지 추태(醜態)를 다 갖추었다.
가난하고 천한 자에게는 주지 않았고 부귀한 자는 구하지 않았는데,
마침 장자(長者)로서 재위(財位)를 상실한 이가 있었으므로 왕은 듣고 사람을 시켜서 불러와서 말했다.
‘나에게 딸이 있는데 용색(容色)이 조금 모자란다.
경(卿)이 만일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면 후히 값진 보물과 재산을 내리겠다.’
그 사람은 허락했으므로 왕은 듣고 기뻐하면서 많은 재보와 밭과 집과 하인 등을 하사하고 그가 하고 싶은 대로 해주고서 빈(嬪)으로 내려 예(禮)로써 대우하여 은밀히 저택으로 돌아가 살게 했다.
그 사람은 부끄러워서 외출할 때는 자물쇠를 채웠고,
친지들에게도 보여 주지 않았으므로 그 여러 친밀히 지낸 벗들은 책망하여 말했다.
‘무엇 때문에 우리들에게 아내를 보여 주지 않는가?’
장자의 아들은 말했다.
‘어째서 그리도 서두르는가?’
여러 사람들은 그가 계속 미루는 것을 괴히 여기면서 드디어 함께 약속을 했다.
‘이로부터 7일 후에 저마다 자기 부인을 데리고 아무 동산 숲에 모여서 재미있게 연회를 베풀기로 하자.
어기는 이는 벌금 5백 전을 물리기로 하자.’
이리하여 7일이 되자 모두 약속한 대로 하였으나 오직 장자의 아들만은 부인을 데리고 오지 않고 와서 스스로 재물의 부[財富]를 뽐내며 벌금을 물었다.
그의 부인은 혼자 집 안에 있으면서 스스로를 책망하며 원망했다.
‘나는 전생에 무슨 죄를 지었기에 이런 미운 몸을 받아서 여러 사람들은 모두가 즐기는데,
나 혼자만이 괴로워하고 있을까?
빨리 죽어 버리는 것이 낫겠다.’
일심으로 부처님을 염(念)하면서 곧 자살하려고 했다.
부처님은 때가 이르렀음을 아시고 곧 여기에서 없어져 그의 앞에 나타나셨다.
여인은 여래를 뵙자마자 희비(喜悲)가 몹시 엇갈리면서 은근하고 청정한 마음을 내어 부처님의 상호(相好)를 살펴보자 선업(善業)의 힘 때문에 잠깐 만에 몸이 변하여 천녀(天女)와 같이 되었다.
갑절 더 좋아서 뛰노는데,
부처님께서 그를 위하여 법을 말씀하시자 티끌을 멀리하고 때를 여의어 예류과(預流果)를 얻었다.
세존께서 돌아가시자 그 여인은 혼자 앉아 있었다.
단정하기 견줄 이 없었으므로 기분이 좋아서 조용하고 편안히 즐거워하고 있었다.
그의 친구들은 그 사람이 부인을 데려오지 않은 것을 보고 곧 취하도록 술을 먹여 놓고 그의 열쇠를 몰래 훔쳐서는 같이 그의 집으로 가서 멀리서 그의 아내를 보았다.
그러자 단정 엄숙하고 견줄 데 없는 것이 마치 제석천왕(帝釋天王)의 비(妃)와 같았으므로 이에 여러 사람들은 몹시 찬탄하고 우러르면서 서로 말하였다.
‘사람들에게 보이지 않았던 것이 진실로 이 때문이었구나.’
동산으로 달려가서 함께 그의 남편에게 사죄하고 아울러 그를 축하하며 찬양했다.
그 사람은 부끄러워 얼굴을 붉히면서 거짓으로 놀리는 것으로 알고 돌아와 아내를 보고서는 몹시 의아하고 괴이하게 여기면서 물었다.
‘성녀(聖女)는 요술쟁이이십니까,
도깨비입니까?
나의 아내는 어디에 있습니까?’
그의 아내는 위의 사실을 자세히 말해 주었다.
이에 그의 남편은 전에 없던 일을 얻고서 삼보(三寶)께 귀의했다.”
이와 같이 선업(善業)은 반드시 상속을 기다리거나 혹은 상속을 거쳐서야 비로소 그 과보를 받게 된다.
“옛날 건타라국(健馱羅國)의 가이색가왕(迦膩色迦王)에게 한 사람의 황문(黃門)이 항시 안의 일을 감독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잠시 성 밖을 나갔다가 소떼가 있는 것을 보았는데,
그 수는 5백 마리가 더 되었다.
성안으로 돌아오면서 소를 모는 이에게 물었다.
‘이것은 어떤 소들이오?’
그러자 대답했다.
‘이 소들은 장차 거세(去勢)할 것들입니다.’
이때에 황문은 곧 자기 자신을 생각하면서 ≺나는 전생의 악업으로 인하여 고자[不男]의 몸을 받고 있다.
이제 재물로써 이 소들의 재난을 구해 주리라≻고 하고,
마침내 그 값을 치르고 모두 벗어날 수 있게 해주었다.
이 선업의 힘 때문에 이 황문은 곧 남자의 몸으로 회복되었으므로 몹시 기뻐하면서 곧 성안으로 들어가 궁문(宮門)에 서 있으면서 심부름을 시켜 왕에게 아뢰었다.
‘청컨대 들어가 뵙고 싶습니다.’
왕이 불러들여 괴히 여기면서 그 까닭을 묻자,
이에 황문은 위의 일들을 자세히 아뢰었다.
왕은 그의 말을 듣고 놀라며 기뻐하면서 후히 값진 재보를 하사하고서는 높은 관직을 내려 바깥일을 맡게 했다.”
이와 같이 선업은 반드시 상속을 기다리거나 혹은 상속을 거쳐서야 비로소 그 과보를 받게 된다.
“옛날 달차시라국(怛叉尸羅國)에 한 여인이 있었다.
월광왕(月光王)이 천 개의 머리를 버린 곳으로 가서 무우왕(無憂王)이 일으킨 영묘(靈廟)에 예배를 하는데,
개똥이 부처님 자리 앞에 있는 것을 보고,
이내 ‘이곳은 청정한 곳인데 어떻게 개똥이 그 안을 더럽힌단 말인가?’라고 생각하고,
손으로 가져다 버리고는 향을 이겨다 발랐다.
이 선업의 힘 때문에 이 여인의 온몸에서 향내가 나는 것이 마치 전단나무와 같았으며,
입속에서는 언제나 푸른 연꽃향기가 났다.”
이와 같이 선업은 반드시 상속을 기다리거나 혹은 상속을 거쳐서야 비로소 그 과보를 받게 된다.
이것은 간략하게 순현법수의 세 가지 선업을 인용한 것이다.
어떤 것이 순차생수업(順次生受業)인가?
만일 업을 이생에서 짓고 더욱 자라게 하여 제2생(生)에서 이숙과를 받게 된다면,
이것을 순차생수업이라고 한다.
어떤 것이 순후차수업인가?
만일 업을 이생에서 짓고 더욱 자라게 하여 제3생에서나 혹은 제4생에서나 혹은 다시 이보다 더 지나가서 이숙과를 받게 된다면,
이것을 순후차수업이라고 한다.
【문】모든 순현법수업은 반드시 현법(現法)에서 받는가?
순생(順生)과 순후(順後)에 대한 질문에 있어서도 그렇다.
【답】 비유자(譬喩者)는 “이것은 결정되어 있지 않다.
온갖 업은 모두 바꿀 수 있기 때문이며,
나아가 무간업(無間業)도 바뀌게 될 수 있다”고 한다.
【문】만일 그렇다면 어떻게 순현법수업 등이라고 하는가?
【답】 그는 “모든 순현법수업은 현법 중에서 이숙과를 받는 것이 정해 있지 않다.
만일 받게 되면 현법에서 정해진 것이나 그 밖의 다른 것은 그렇지 못한 것이기 때문에 순현법수업이라고 한다.
순생과 순후에서 말한 바도 그러하다”라고 한다.
그는 “온갖 업은 모두 바꿀 수 있으며,
나아가 무간업도 바꿀 수 있다.
만일 무간업을 바꿀 수 없다면 제1유(有)를 초월할 수 없어야 한다.
그러나 제1유는 초월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무간업도 바꿀 수 있어야 한다”라고 한다.
아비달마(阿毘達磨)의 논사는 “모든 순현법수업은 결정코 현법 중에서 이숙과를 받는 것이기 때문에 순현법수업이라고 한다.
순생과 순후에서 말한 바도 그러하다”라고 한다.
이 때문에 만일 “무엇 때문에 순현법수업과 나아가 순후차수업이라 하는가?”라고 물으면,
이것으로써 대답해야 한다.
또 어느 다른 논사는 네 가지 업[四業]을 말하니,
순현법수업(順現法受業)ㆍ순차생수업(順次生受業)ㆍ순후차수업(順後次受業)ㆍ순부정수업(順不定受業)이다.
모든 순현법수업과 나아가 순후차수업의 이 업은 바꿀 수가 없지만,
모든 순부정수업의 이 업은 바꿀 수가 있다.
오직 이 네 번째 업만을 바꾸기 위하여 금계(禁戒)를 받아 지니고 범행(梵行)을 부지런히 닦으면서 그는 ‘저는 이로 말미암아서 장차 이 업이 바뀌어지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또 어느 다른 논사는 “다섯 가지 업[五業]을 말한다.
순현법수업과 순차생수업과 순후차수업의 각각 한 가지씩과 순부정수업 중에서 다시 두 가지가 있다.
그 첫째는 이숙이 결정된 업이요,
둘째는 이숙이 결정되지 않은 업이다.
모든 순현법수업과 순차생수업과 순후차수업과 순부정수업 중의 이숙이 결정된 업은 바꿀 수가 없지만,
순부정수업 중의 이숙이 결정되지 않은 업의 이 업은 바뀔 수가 있다.
오직 이 제5의 업만을 바꾸기 위하여 금계를 받아 지니고 범행을 부지런히 닦으면서 그는 ‘저는 이로 말미암아서 장차 이 업이 바뀌어지이다’라고 생각하게 된다.
또 어느 다른 논사는 여덟 가지 업[八業]을 말한다.
순현법수업에 두 가지가 있어니,
그 첫째는 이숙이 결정[異熟決定]된 업이요,
둘째는 이숙이 결정되지 않은[異熟不決定] 업이며,
순차생수업과 순후차수업과 순부정수업에 있어서도 각각 두 가지씩이 있어니,
첫째는 이숙이 결정된 업이요,
둘째는 이숙이 결정되지 않은 업이다.
이것이 여덟 가지의 업이다.
여기에서 모든 이숙이 정해진 업[異熟定業]은 모두가 바뀔 수 없지만,
이숙이 정해지지 않은 업[異熟不定業]은 모두 바뀔 수 있다.
이것을 바꾸게 하기 위하여 금계를 받아 지니고 범행을 부지런히 닦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4구(句)를 만들어야 한다.
혹 어떤 업은 시분(時分)은 결정되어 있으면서도 이숙(異熟)이 결정되지 않은 것이 있고,
혹 어떤 업은 이숙은 결정되어 있으면서도 시분이 결정되지 않은 것이 있으며,
혹 어떤 업은 시분도 결정되어 있으면서 이숙도 결정되어 있는 것이 있고,
혹 어떤 업은 시분도 결정되어 있지 않고 이숙도 결정되지 않은 것이 있다.
어떠한 업이 시분은 결정되어 있으면서도 이숙은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것인가?
순현법수업(順現法受業)ㆍ순차생수업(順次生受業)ㆍ순후차수업(順後次受業) 중에서 이숙이 결정되지 않은 업이다.
어떠한 업이 이숙은 결정되어 있으면서도 시분은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것인가?
순부정수업(順不定受業) 중에서 이숙이 정해진 업이다.
어떠한 업이 시분도 결정되어 있으면서 이숙도 결정되어 있는 것인가?
순현법수업과 순차생수업과 순후차수업 중에서 이숙이 정해진 업이다.
어떠한 업이 시분도 결정되지 않고 이숙도 결정되지 않은 것인가?
순부정수업 중에서 이숙이 정해지지 않은 업이다.
이와 같은 것을 여덟 가지 업의 4구라고 한다.
【문】혹시 한때의 한 찰나 동안에 순현법수업ㆍ순차생수업ㆍ순후차수업의 세 가지 업[三業]을 일으키는 것도 있는가?
【답】 있다.
먼저 두 사람을 시켜서 생명을 죽이는 것과 도둑질[不與取]하는 일을 하게 하고,
뒤에 자기 자신은 음욕의 삿된 행[欲邪行]을 행하는 것이니,
이것은 스스로 마칠 바의 일이요,
다른 이로 말미암아 마칠 바는 아니기 때문이다.
만일 이와 같은 종류의 법이 생기면 세 가지 업을 동시에 마칠 수 있게 된다.
이 중에서 처음의 업은 현법(現法)에서 이숙과(異熟果)를 받고,
둘째의 업은 간단없는 생[無間生]에서 이숙과를 받으며,
셋째의 업은 제3생(生) 이후의 모든 생에서 이숙과를 받는 것이다.
그 나머지 업도(業道)로서 자기 자신이 짓고 남을 시켜서 하는 것의 차별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문】이 순현법수업 등은 몇 가지가 중동분(衆同分)의 과보를 이끌 수 있고,
몇 가지가 중동분의 과보를 원만하게 하는가?
【답】 혹 어떤 이는 “두 가지는 중동분의 과보를 이끌 수도 있으면서 또한 중동분의 과보를 원만하게도 하는 것이니 순차생수업과 순후차수업이며,
두 가지는 중동분의 과보를 원만하게 하면서도 중동분의 과보를 이끌 수는 없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순부정수업이다”라고 한다.
또 어떤 이는 “세 가지는 중동분의 과보를 이끌 수 있으면서 또한 중동분의 과보를 원만하게도 하는 것이니 순현법수가 제외되며,
한 가지는 중동분의 과보를 원만하게 하면서도 중동분의 과보는 이끌 수 없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다”라고 한다.
또 순현법수업으로 하여금 또한 중동분의 과보를 이끌 수 있게 하려는 것도 있다.
만일 이렇게 말한다면 이 네 가지 업은 모든 것이 다 중동분의 과보도 이끌 수 있고 중동분의 과보도 원만하게 한다.
【문】이와 같은 모든 업은 어느 것이 가장 뛰어난가?
【답】 혹 어떤 이는 “순현법수업이 가장 뛰어나다.
왜냐하면 가까운 시일에 과보를 얻게 되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또 어떤 이는 “순후차수업이 가장 뛰어나다.
왜냐하면 온갖 보살의 업은 가장 뛰어난 것인데,
모두가 순후차수이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문】순현법수업은 가까운 시일에 과보를 얻게 되는 것이므로 모든 업 가운데서 뛰어나다고 할 수 있지만 순후차수업은 과보와는 떨어져 있는 것이 아주 먼데,
어떻게 가장 뛰어나다 하겠는가?
【답】 순현법수업은 비록 가까운 시일에 과보를 얻는다 해도 그 과보는 하열(下劣)하므로 가장 뛰어나다고 하지 않지만,
순후차수업은 비록 과보와는 떨어짐이 멀다 하더라도 그 과보는 뛰어나므로 다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가장 뛰어나다고 한다.
마치 바깥의 종자[種]와 같다.
어떤 것은 가까운 시일에 열매를 얻으면서도 열매가 하열한 것이 있기도 하고,
어떤 것은 열매를 맺는 시일이 멀면서도 열매가 가장 뛰어난 것이 있기도 하다.
어떤 가을에 수확하는 곡식의 모종 같은 것은,
세 번의 보름[三半月]을 지나서 곧 열매를 맺으면서도 이 열매는 가장 시일이 가까우면서 가장 하열한 것이 있고,
벼나 보리 등과 같은 것은 여섯 달 동안을 지내야 그 열매가 비로소 익는데 열매가 맺는 시일이 그 다음으로 오래 걸리면서도 그 다음으로 훌륭하며,
거리수(佉梨樹) 같은 것은 5,
6년 혹은 12년을 지나야 비로소 그 열매를 맺게 되는데,
이 열매는 그 다음으로 훌륭하고,
다라수(多羅樹) 같은 것은 백 년을 지나야 비로소 그 열매를 맺게 되는데,
이 열매는 가장 훌륭하다.
바깥의 종자는 열매가 맺는 시일이 가장 가까우면 그 열매는 가장 하열하고,
열매가 맺는 시일이 그 다음으로 멀면 그 열매는 그 다음으로 훌륭하며,
열매를 맺는 시일이 가장 멀면 그 열매는 가장 훌륭하다.
종류에 따라 그 열매의 훌륭함[勝]ㆍ열등함[劣]의 차별이 있듯이 안의 업[內業]도 그러하다.
순현법수업은 과보를 받는 것이 가장 가까우면서도 그 과보는 가장 하열하고,
순차생수업은 과보를 받는 것이 그 다음으로 멀면서 그 과보는 그 다음으로 훌륭하며,
순후차수업은 과보를 받는 것이 가장 멀면서 그 과보는 가장 훌륭하다.
업에 따라 그 과보의 훌륭함과 열등함의 차별이 있기 때문에 순후차수업이 가장 훌륭한 것이요,
그 밖의 다른 것은 그렇지 못하다.
【문】어느 세계 안에서 몇 가지의 업을 짓게 되는가?
【답】 어떤 이는 “욕계에서는 네 가지의 선(善)ㆍ불선(不善)의 업을 짓고,
색계ㆍ무색계에서는 세 가지의 선의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가 제외된다.
왜냐하면 욕계에서는 불ㆍ보살ㆍ성문ㆍ독각ㆍ부모ㆍ사장(師長) 등의 모든 덕이 있는 이들의 곁에서 더욱 으뜸가는 선업(善業)ㆍ악업(惡業)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 업은 빨리 이숙과를 받지만 색계ㆍ무색계에서는 이런 훌륭한 연(緣)이 없기 때문에 거기에서는 이 순현법수업을 일으키지 못하기 때문이다”고 한다.
【문】만일 그렇다면 『품류족론(品類足論)』의 말을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그 논(論)에서 “순현법수업과 순차생수업과 순후차수업은 온갖 수면(隨眠)이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하게 한다”라고 하였다.
【답】 그 논에서는 “순현법수업은 욕계의 온갖 수면이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하게 하고,
순차생수업과 순후차수업은 욕계의 온갖 수면과 색계ㆍ무색계의 변행수면(遍行隨眠)과 수도에서 끊을 바[修所斷]의 수면이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하게 한다”라고 해야 한다.
이렇게 말해야 하는데도 하지 않은 것은 어떤 뜻이 있어서이니,
그 글에서는 바로 통틀어 요약하여 설명한 것인 줄 알아야 한다.
【문】만일 그렇다면 『집이문족론』의 말을 다시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그 논에서 “순현법수업과 순차생수업과 순후차수업은 욕계의 온갖 수면과 색계ㆍ무색계의 변행수면과 수도에서 끊을 바의 수면이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하게 한다”라고 하였다.
【답】 그 글에서는 “순현법수업은 욕계의 온갖 수면이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하게 하고,
순차생수업과 순후차수업은 욕계의 온갖 수면과 색계ㆍ무색계의 변행수면과 수도에서 끊을 바의 수면이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하게 한다”라고 해야 한다.
이렇게 말해야 하는데도 하지 않은 것은 무슨 뜻이 있어서이니,
그 안에서는 언세(言勢)가 이끈 바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인 줄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이 말하는 이도 있다.
“색계와 무색계에도 순현법수업을 끌어 일으킬 수 있다.”
【문】앞에서 욕계에서는 불ㆍ보살 등의 훌륭한 연에 의하여 순현법수업을 일으킬 수 있어도 위의 두 세계에서는 이런 훌륭한 연이 없어서라고 말하였는데 어떻게 일으킬 수 있겠는가?
【답】 그곳에서는 다만 인의 힘[因力]만을 맡아 지님[任持]으로써 역시 순현법수업을 끌어 일으킬 수 있고,
욕계에서도 다만 인의 힘만으로 말미암아 이 업을 일으키는 것이 있다.
혹 어떤 사람은 문을 열어젖히고 크게 보시하여 성현께 공양을 하면서도 순현법수업을 이끌지 못한 이가 있고,
혹 어떤 사람은 한 움큼의 밥을 한 방생(傍生)에게 베풀면서도 순현법수업을 이끄는 이가 있다.
이와 같기 때문에 반드시 모두가 훌륭한 연에 의하여 이 업을 일으키지는 않는 줄 알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반드시 인의 힘을 맡아 지님으로 말미암아 비로소 끌어 일으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옛날 아비달마(阿毘達磨)의 가습미라(迦濕彌羅)의 모든 대논사(大論師)들은 모두 “만일 은근하고 청정한 마음이 있으면 한 줌의 풀을 가져다 다른 소에 베풀어 먹이게 되어도 순현법수업을 능히 이끌게 되는 줄 알아야 한다”고 한 것이다.
【문】어느 갈래[趣]에서 몇 가지의 업을 지을 수 있는가?
【답】 나락가(捺落迦)에서는 네 가지 불선(不善)의 업과 세 가지 선(善)의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가 제외되고,
방생(傍生)과 아귀(餓鬼)와 3주(洲)의 인간과 욕계의 천상에서는 네 가지 선과 불선의 업을 지으며,
북구로주(北拘盧洲)에서는 네 가지 선의 업과 세 가지 불선의 업을 짓는 것이니 순차생수가 제외되고,
색계ㆍ무색계의 천상에서는 짓는 것이 앞에서 이미 말한 것과 같다.
【문】어느 생(生)에서 몇 가지의 업을 지을 수 있는가?
【답】 4생(生)에서는 모두 네 가지 선ㆍ불선의 업을 짓게 된다.
【문】누가 어느 지(地)에서 몇 가지의 업을 지을 수 있는가?
【답】 만일 모든 이생(異生)으로서 욕계에 나 있으면서 아직 욕계의 염(染)을 여의지 못한 이면 욕계의 네 가지 선ㆍ불선의 업을 짓고,
만일 이미 욕계의 염은 여의었으면서도 아직 초정려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로서 만일 퇴법자(退法者)이면,
그는 욕계의 네 가지 업을 짓고 초정려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가 제외된다.
어떤 이는 “그는 초정려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후차수업과 부정수업(不定受業)이다”라고 한다.
만일 불퇴법자(不退法者)이면 그는 욕계의 세 가지 선의 업을 짓는 것이니 순차생수업이 제외되고,
초정려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 제외된다.
만일 이미 초정려의 염은 여의었으면서도 아직 제2 정려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로서 만일 퇴법자이면 그는 욕계의 네 가지 업을 짓고,
초정려와 제2 정려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 제외된다.
어떤 이는 “그는 제2 정려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후차수업과 부정수업이다”라고 한다.
만일 불퇴법자이면 그는 욕계의 세 가지 선의 업을 짓는 것이니 순차생수업이 제외되고,
초정려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후차수업과 부정수업이며,
제2 정려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 제외된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나아가 만일 이미 무소유처(無所有處)의 염(染)을 여읜 이로서 만일 퇴법자이면 그는 욕계의 네 가지 업을 짓고,
4정려(靜慮)와 4무색(無色)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 제외된다.
어떤 이는 “그는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후차수업과 부정수업이다”라고 한다.
만일 불퇴법자이면 그는 욕계의 세 가지 선의 업을 짓는 것이니 순차생수업이 제외되고,
4정려와 3무색에서의 두 가지의 업을 짓는 것이니 순후차수업과 부정수업이며,
비상비비상처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 제외된다.
이와 같이 이미 이생으로서 욕계에 나 있는 이의 것을 말했다.
만일 모든 이생으로서 초정려에 나서 아직 초정려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면 그는 초정려의 네 가지 업을 짓는다.
만일 이미 초정려의 염을 여의었으면서도 아직 제2 정려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면 그는 초정려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차생수가 제외되고,
제2 정려의 세 가지의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가 제외된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나아가 만일 무소유처의 염을 여읜 이면 그는 초정려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차생수업이 제외되고,
3정려와 3무색에서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후차수업과 부정수업이며,
비상비비상처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 제외된다.
초정려에 난 이의 것을 말한 것처럼 이와 같이 나아가 비상비비상처에 난 이의 것에서도 자세히 말해야 한다.
이와 같이 이미 모든 지(地)에서의 이생을 말했다.
만일 모든 성자(聖者)로서 욕계에 나 있으면서 아직 욕계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면,
그는 욕계의 네 가지 선과 불선의 업을 짓는다.
이미 욕계의 염은 여의었으면서도 아직 초정려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면,
그는 욕계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요,
초정려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 제외된다.
이미 초정려의 염은 여의었으면서도 아직 제2 정려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로서 만일 퇴법자(退法者)이면,
그는 욕계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요,
초정려와 제2 정려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 제외된다.
어떤 이는 “그는 제2 정려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후차수업과 부정수업이다”라고 한다.
만일 불퇴법자(不退法者)이면,
그는 욕계의 두 가지 선의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요,
초정려의 한 가지의 업을 짓는 것이니 부정수업이며,
제2 정려의 세 가지의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 제외된다.
나아가 만일 무소유처의 염을 여의었으면서도 아직 비상비비상처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로서 만일 퇴법자이면,
그는 욕계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요,
4정려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 제외되며,
4무색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 제외된다.
이것은 총괄적인 설명이요,
만일 개별적으로 설명하면,
4무색에서 만일 순차생수업을 지으면 순후차수업은 짓지 않으며,
만일 순후차수업을 지으면 순차생수업은 짓지 않는다.
어떤 이는 “그는 비상비비상처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후차수업과 부정수업이다”라고 한다.
만일 불퇴법자이면,
그는 욕계의 두 가지 선의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요,
4정려와 3무색에서의 한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부정수업이며,
비상비비상처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차생수업과 부정수업이다.
만일 이미 비상비비상처의 염을 여읜 이면,
그는 욕계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요,
4정려와 4무색에서의 한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부정수업이다.
이와 같이 이미 성자로서 욕계에 나 있는 이에 대하여 말했다.
만일 모든 성자로서 초정려에 나 있으면서 아직 초정려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면,
그는 초정려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후차수업이 제외된다.
만일 이미 초정려의 염은 여의었으면서도 아직 제2 정려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면,
그는 초정려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요,
제2 정려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 제외된다.
만일 제2 정려의 염을 여의었으면서도 아직 제3 정려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면,
그는 초정려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요,
제2 정려의 한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부정수업이며,
제3 정려의 세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이 제외된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나아가 만일 무소유처의 염을 여의었으면서도 아직 비상비비상처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면,
그는 초정려의 두 가지의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와 부정수업이요,
3정려와 3무색에서의 한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부정수업이며,
비상비비상처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차생수업과 부정수업이다.
만일 이미 비상비비상처의 염을 여읜 이면,
그는 초정려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요,
3정려와 4무색에서의 한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부정수업이다.
성자로서 초정려에 난 이에 대한 설명에서처럼,
이와 같이 제2ㆍ제3ㆍ제 4 정려에 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그러하다.
“아직 자기 지[自地]의 염을 여의지 못하면,
그는 자기 지의 네 가지 업을 짓는다”고 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앞과 구별된다.
만일 성자로서 공무변처(空無邊處)에 나서 아직 공무변처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면,
그는 공무변처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다.
만일 이미 공무변처의 염은 여의었으면서도 아직 식무변처(識無邊處)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면,
그는 공무변처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며,
식무변처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차생수업과 부정수업이다.
만일 이미 식무변처의 염은 여의었으면서도 아직 무소유처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면,
그는 공무변처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요,
식무변처의 한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부정수업이며,
무소유처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차생수업과 부정수업이다.
만일 이미 무소유처의 염을 여의었으면서도 아직 비상비비상처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면,
그는 공무변처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수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요,
식무변처와 무소유처의 한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부정수업이며,
비상비비상처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차생수업과 부정수업이다.
만일 이미 비상비비상처의 염을 여읜 이면,
그는 공무변처의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순현법수업과 부정수업이며,
3무색에서의 한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부정수업이다.
성자로서 공무변처에 난 이에 대한 설명처럼 이와 같이 나아가 비상비비상처에 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욕계의 중유(中有)의 자리에 머무른 이는 스물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중유의 자리의 이숙정업(異熟定業)과 부정업(不定業)과 같이 갈랄람(羯剌藍)ㆍ알부담(遏部曇)ㆍ폐시(閉尸)ㆍ건남(鍵南)ㆍ발라사거(鉢羅奢佉)ㆍ초생(初生)ㆍ영해(嬰孩)ㆍ동자(童子)ㆍ소장(少壯)ㆍ쇠로(衰老)의 위(位)에서의 각각 이숙의 정업과 부정업이 있는 것이다.
이것을 22업이라 한다.
갈랄람위(羯剌藍位)에 머무른 이는 스무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중유에서의 두 가지 업이 제외된다.
이와 같이 하면서 나아가 쇠로위(衰老位)에 머무르면 두 가지 업을 짓는 것이니,
곧 쇠로위에서의 정업과 부정업이다.
【문】만일 중유위에서 짓게 되는 모든 업이 본유위(本有位)에 이르러서 이숙과를 받는다 하면,
이 업은 순현법수업이라 해야 하는가,
순차생수업이라 해야 하는가?
【답】 이것은 순현법수업이요,
순차생수업이 아니다.
왜냐하면 중유와 본유는 온통 중동분(衆同分)에는 차별이 없기 때문이다.
이미 앞뒤의 세 가지 업의 자성(自性)을 말했으므로 이제는 뒤섞인 모양[雜相]과 뒤섞임이 없는 모양[無雜相]을 나타내 보이겠다.126)
【論】 앞의 것이 뒤의 것을 포섭하는가,
뒤의 것이 앞의 것을 포섭하는가?
【답】 앞의 것이 뒤의 것을 포섭하는 것이요,
뒤의 것이 앞의 것을 포섭하는 것이 아니다.
포섭하지 않은 것은 어떤 것인가?
부정업(不定業)과 무기업(無記業)과 무루업(無漏業)이다.
여기에서 앞의 세 가지는 공통으로 정업과 부정업을 포섭하지만,
뒤의 세 가지는 오직 정업만을 포섭한다.
앞의 세 가지는 공통하게 선(善)ㆍ불선(不善)ㆍ무기(無記)의 업을 포섭하지만,
뒤의 세 가지는 오직 선ㆍ불선의 업만을 포섭한다.
앞의 세 가지는 공통하게 유루ㆍ무루의 업을 포섭하지만,
뒤의 세 가지는 오직 유루의 업만을 포섭할 뿐이다.
이와 같이 자세히 설명하면 한량없는 문[無量門]이 있으면서 앞뒤로 차별된다.
지금은 간략하게 설명하기 때문에 “앞의 것이 뒤의 것을 포섭하는 것이요,
뒤의 것이 앞의 것을 포섭하는 것은 아니다.
포섭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부정업과 무기업과 무루업이다”라고 말한다.
----------------------
119)
본 절(節)은 신업ㆍ어업ㆍ의업의 세 가지 업과 흑흑(黑黑) 등의 네 가지 업의 잡(雜)ㆍ부잡론(不雜論)을 논술함에 앞서서 먼저 흑(黑) 등의 자성(自性)에 관한 해설을 시도한 문단이다.
120)
소의 계[牛戒]라 함은,
외도 가운데 소가 죽어서 천상에 나는 것을 보고,
소의 법[牛法]을 천상에 나는 원인으로 잘못 알고서 소가 하는 대로 머리를 숙이고 풀을 뜯어먹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한다.
121)
개의 계[狗戒]라 함은,
외도 가운데 개가 죽어서 천상에 나는 것을 보고,
개의 법[狗法]을 천상에 나는 원인으로 잘못 알고서 개가 하는 대로 문 밖에서 눕고 사람 똥을 먹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한다.
122)
처중(處中)의 행(行)이라 함은,
몹시 치우친 고행주의자가 닦는 고행도 아니고,
또 몹시 치우친 쾌락론자가 닦는 행도 아닌 이른바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중도(中道)의 수행이다.
123)
색업(色業)이란,
신업(身業)과 어업(語業)의 두 가지 업을 말하고,
비색업(非色業)이란 의업(意業)을 말한다.
124)
본 절은 『발지론』 송문(頌文) 중 ‘구문업상섭(九門業相攝)’의 하나에 해당한다.
신업ㆍ어업ㆍ의업의 세 가지 업[三業]과 흑흑이숙업(黑黑異熟業)ㆍ흑백흑백이숙업(黑白黑白異熟業)ㆍ비흑비백무이숙업능진제업(非黑非白無異熟業能盡諸業)의 네 가지 업[四業]과의 상섭(相攝) 관계를 밝히는 문단이다.
125)
본 절(節)에서는 다음의 절에서 세 가지 업[三業]과 3시업(時業)의 잡(雜)ㆍ부잡(不雜) 관계를 밝히기에 앞서 먼저 3시업의 자성(自性)과 성질 등을 논구한다.
126)
여기에서는 신업(身業)ㆍ어업(語業)ㆍ의업(意業)의 세 가지 업과 순현법수업(順現法受業)ㆍ순차생수업(順次生受業)ㆍ순후차수업(順後次受業)의 세 가지 업의 잡(雜)ㆍ부잡론(不雜論)을 서술한다.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pt op tr] fr
_M#]
○ IMG_6569_ar12.jpg
○ 2018_0722_131527_nik_ab21.jpg
○ 2020_0125_140544_can_ct18.jpg
○ 2020_0525_162802_nik_exc.jpg
○ 2020_0606_141650_can_ct17.jpg
■■2020-07-06-월 i:\blog-pic\$googleupload\2020_0704_06_집_컴수리\out
○ 2018_0722_151029_nik_ar23.jpg
○ 2020_0606_141547_can_ar35.jpg
○ 2018_0216_143923_nik_ab7.jpg
○ 2017_0128_140925_can_exc.jpg
○ 2020_0507_153658_can_ct28.jpg
○ 2018_0722_160756_can_ct18.jpg
○ 2018_0419_125633_can_ar45.jpg
○ 2020_0525_165439_can_exc.jpg
○ IMG_6620_exc.jpg
○ 2018_0722_123905_nik_BW17.jpg
○ 2020_0525_190141_can_ct27.jpg
○ 2018_0722_173108_nik_ab42.jpg
○ yoga-3385707_2_o_bw22.jpg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Ethienne Daho - Tombé Pour La Franc.lrc
◆vjgn7409
◈Lab value 불기2564/08/11 |
○ [pt op tr]Katsushika-Hokusai-carp-leaping-up-a-cascade.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Katsushika-Hokusai https://en.wikipedia.org/wiki/Hokusai Title : carp-leaping-up-a-cascade.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peter-schlemihl-s-remarkable-story [#M_▶더보기|◀접기| Artist: Ernst-Ludwig-Kirchner from https://en.wikipedia.org/wiki/Ernst_Ludwig_Kirchner Title : peter-schlemihl-s-remarkable-story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6_1008_150348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Comilla - Chittagong - - ,Bangladesh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tistory.com/11871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Daniel Balavoine - J'entends Cogner Ton Coeur.lrc Daniel Balavoine - J'entends Cogner Ton Coeur ♥단상♥있을 때 잘 하고 줄 때 받고 쓸 때 잘 쓰자. 뽑힌 대장경 권수를 보니 114 다. 그래서 최근 핸드폰 문제가 떠오른다. 잘 사용하지 않는 핸드폰이 연체대금이 발생했다. 연체통고가 오기까지는 핸드폰 요금이 할인이 되어 매달 5000 원인줄 알았다. 그런데 어제 확인해보니 최근 기간 동안 할인이 전혀 적용이 안 되었다. 그런데 0 원인 상품은 3 달에 최소한 몇분간 통화를 해야 한다는 조건이다. 그렇지 않으면 몇천원을 내야 한다. 그런데 공연히 전화 걸어서 몇분 이야기하는 것도 쉽지 않다. 그래도 조건을 따지다보니 처음부터 몇천원은 기본료로 지불하는 것이 나을 듯 해서 그곳으로 옮겼다. 그런데 참고로 본인 핸드폰은 비상용 핸드폰이다. 1 년에 몇번 정도 아주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한다. 현대 생활에서 핸드폰을 많이 사용할수록 생활이 활기차고 활동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연구하는 입장에서는 사정이 정반대다. 그래도 가끔 켜놓으면 보험 회사 등에서 연락이 온다. 그러면 평생 현금 소득이 마이너스임을 설명하게 된다.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8/2564-08-11-k0952-114.html#7409 sfed--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txt ☞제114권 sfd8--불교단상_2564_08.txt ☞◆vjgn7409 불기2564-08-11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남을 인도하여 불도에 들어가게 하는 스님이란 뜻. 어리석은 중생에게 바른 길을 가르쳐서 깨닫는 경지에 들어가게 하는 사람.
답 후보
● 도사(都師)
돈교(頓敎)
돈오(頓悟)
동별이교(同別二敎)
동안거(冬安居)
두타행(頭陀行)
등(燈)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Ethienne Daho - Tombé Pour La Franc
Marc Lavoine - Valérie Lemercier - La Grande Amour
Pierre Bachelet - La Chanson De Presley
French Anthology Transatlantic New-York - Paris - Sos Mesdemoiselles
Gilbert Becaud - Seul Sur Son Etoile
BILAL HASSANI - Roi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odhisattva vows
[san-chn] karmanaḥ karmaṇaḥ 二種業
[san-eng] rekhana $ 범어 etcing
[pali-chn] sīla-bbata-parāmāsa-diṭṭhi 戒禁取見
[pal-eng] uju.m $ 팔리어 adv.straightly.
[Eng-Ch-Eng] FOREMOST PARAMITA Foremost Paramita 第一波羅蜜 It refers to the perfect principle of Middle Way. It is neither birth nor death, without dwelling in Nirvana. It is the substance of everything beyond words and conceptual thinking.
[Muller-jpn-Eng] 法身大士 ホッシンダイシ bodhisattva who has attained the realization of dharmakāya
[Glossary_of_Buddhism-Eng] PARABLE: HUMAN CONDITION☞
[fra-eng] personnifiés $ 불어 personified
■ 다라니퀴즈
자비주 68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8 번째는?
68
만약 정성스럽게 마음을 쓰며
몸으로는 재계(齋戒)를 지녀
일체 중생을 위해서
전생부터 지금까지 지어온 업을
정성껏 참회하며
또한 자신이 무량겁이래 지은
악업과 무거운 죄를
참회하고
빨리빨리 이 다라니를 외우되
소리소리마다 끊어지지 아니하면
네 가지 성문과(聲聞果)를
이 생에서 곧 중득함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며,
그 중에
날카로운 근기와 지혜가 있어
방편(方便)을 관(觀)하는 자는
십지과위(十地果位)를
어렵지 않게 증득하거늘
하물며 세상의 조그마한 복이겠는가.
구하고 원하는 바에
얻지 못할 것이 없으리라.
이것은 다 이 관세음보살의 대비원력이
깊고 중한 까닭이며,
또 이 다라니의 위신력이 광대(廣大)한 까닭이니라.
● 파마갈실다야 波摩羯悉哆夜<六十八> pad ma ka s ta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8
소미모가다 바라 아나
蘇尾目訖哆<二合>鉢囉<二合>惹拏<八二合>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24일째]
피제변제불가설 $ 095▲迷攞普迷攞普為 一 ● 者麼羅, ○□□□□,能,住,盡,欣
□□□□□□□, 能住其中不可說,
住中智慧不可說, 盡諸劫住無能說,
□□□□□□□, 능주기중불가설,
주중지혜불가설, 진제겁주무능설,
저 여러 끝단 데를 말할 수 없고
그 가운데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머무르는 지혜들도 말할 수 없고
그지없이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225째]
흔요제불불가설 $ 096▲者麼羅者麼羅為 一 ● 馱麼羅, ○□□□□,智,善,於,三
□□□□□□□, 智慧平等不可說,
善入諸法不可說, 於法無礙不可說,
□□□□□□□, 지혜평등불가설,
선입제법불가설, 어법무애불가설,
부처님을 반기는 일 말할 수 없고
지혜가 평등함을 말할 수 없고
여러 법에 잘 들어감 말할 수 없고
여러 법에 걸림없음 말할 수 없고
●K0953_T1559.txt★ ∴≪A아비달마구사석론≫_≪K0953≫_≪T1559≫
●K0952_T1545.txt★ ∴≪A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
●K0944_T1544.txt★ ∴≪A아비달마발지론≫_≪K0944≫_≪T1544≫
법수_암기방안
95 足背 【족배】 ~발등.
96 족근 足跟 ~ 발꿈치 【족근】
68 요골 ~ 노뼈
8 큰 창자,【대장】
● [pt op tr] fr
_M#]
○ [pt op tr]
● 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아비달마대비바사론』 ♣0952-114♧
[관련키워드]
제114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4-08-11_아비달마대비바사론-K0952-114
https://buddhism007.tistory.com/17522
sfed--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txt ☞제114권
sfd8--불교단상_2564_08.txt ☞◆vjgn7409
불기2564-08-1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8/2564-08-11-k0952-114.html
htmback--불기2564-08-11_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