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1년 8월 12일 목요일

불기2565-08-13_아비담비바사론-k0951-003


『아비담비바사론』
K0951
T1546

제3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아비담비바사론』 ♣0951-003♧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4_111949_nik_fix 구례화엄사 구층암


○ 2019_1104_161656_can_fix 구례 쌍계부근


○ 2020_1114_142819_can_ori 삼각산 도선사


○ 2019_0106_163323_nik_ori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 2018_1023_160201_nik_ori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2_134357_nik_ori 공주 계룡산 갑사


○ 2020_1017_173840_can_exc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55143_nik_ori_rs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50543_can_ori_rs 삼각산 화계사


○ 2020_0910_121527_nik_ori_rs 속리산 법주사


○ 2020_0909_171711_can_ori_rs 무주 백련사


○ 2020_0905_164149_can_ori_rs 오대산 적멸보궁


○ 2020_0211_122358_nik_exc 불암산 천보사


○ 2019_1105_125511_can_exc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04751_can_exc_s12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6_120144_can_bw12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04715_can_exc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20326_nik_fix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6_112845_nik_fix 화순 영구산 운주사

● [pt op tr] fr
_M#]



○ 2020_1017_153300_can_exc 삼각산 화계사



❋❋본문 ◎[개별논의]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백용성대종사총서


阿毘曇毘婆沙論卷第三

K0951


○ [pt op tr]

[#M_▶더보기|◀접기|


아비담비바사론 제3권



가전연자 지음

오백나한 풀이

부타발마ㆍ도태 등 한역

박진효 번역



4) 세제일법품 ③




어떤 것이 정법(頂法)인가? 

어떤 것이 정법이 퇴전하는 것인가? 

어떤 것이 난법(煖法)1)인가?……(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문】 여기에서는 범부가 얻는 법을 차례를 거슬러 설명하고 있는데, 

세제일법을 설하고 나서 무엇 때문에 다음으로 인법[忍]을 설하지 않는가?

【답】 혹 어떤 사람은 “저 경 지은 사람의 뜻[意欲]일 뿐이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어떤 것이 인법인가, 

무엇 때문에 인(忍)이라고 하는가, 

어떤 것이 얽매임[繫]인가? 

등등을 설해야 한다”라고 하였다.

【문】 그런데 설하지 않은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답】 이것은 남은 설명이 있는 것이니 간략하게 설하는 의미이다. 

어떤 사람은 “앞에서 이미 인을 설하였는데 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앞에서 ‘만약 나중에 일어난 심ㆍ심수법이 뛰어나면 앞에 일어난 것은 세제일법이 아니다’라고 한 것과 같다. 

이것은 무엇인가? 

증상인(增上忍)이다. 

이를 이름하여 인법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가령 불경(佛經)에서 설하면 여기에서도 설하고, 

불경에서 설하지 않으면 여기에서도 설하지 않는다. 

불경에서 인법을 설한 곳이 없기 때문에 설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가령 『증일아함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한다.

“만약 6법(法)을 성취하지 않으면 먼지와 때[塵垢]를 멀리 떠나 법안(法眼)의 청정을 얻을 수 없다.

어떤 것이 여섯 가지인가? 

곧 첫째는 법문 듣기를 즐기지 않는 것이고, 

둘째는 비록 법문을 들어도 귀로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고, 

셋째는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고, 

넷째는 아직 얻지 못한 법을 방편으로 부지런히 구하지 않는 것이고, 

다섯째는 얻은 법을 잘 수호하지 않는 것이고, 

여섯째는 순인(順忍)을 성취하지 않는 것이다.


만약 6법을 성취하면 먼지와 때를 멀리 떠나 법안의 청정을 얻을 수 있다. 

어떤 것을 여섯 가지라고 하는가? 

곧 법문을 즐겨 듣는 것 내지는 순인을 성취하는 것이다.”



【문】 저 경에서 비록 순인이라고 말하였지만 순제인(順諦忍)이라고는 말하지 않았다.

【답】 순인이 순제인이다. 

무슨 차별이 있겠는가? 

그대의 말은 논(論)을 의지해 의론을 일으키는 것이다.



【문】 무엇 때문에 인은 순제인이라 하면서 난ㆍ정은 그렇지 않는가?

【답】 어떤 사람은 “가령 인을 순제인이라고 하면 난ㆍ정도 또한 그렇게 말해야 한다. 

그런데 설하지 않은 것은 모두 남은 설명이 있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순(順)은 잘 따른다[隨順]는 말인데 저 인을 잘 수순하지만 난ㆍ정은 그렇지 않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난법은 연제(緣諦)의 증상우(增上愚)를 중지시키고, 

정은 중우(中愚)를 중지시키고, 

인은 하우(下愚)를 중지시킨다. 

몸 가운데 있는 우(愚)를 중지시키기 때문에 세제일법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난법은 연제의 하명(下明)을 일으키고, 

정은 중명(中明)을 일으키고, 

인은 상명(上明)을 일으킨다. 

몸 가운데 있는 연제의 명을 일으키기 때문에 세제일법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난법은 음(陰)을 알맞게 여겨서 기뻐하고, 

정은 보배[寶]를 알맞게 여겨서 기뻐하고, 

인은 진리[諦]를 알맞게 여겨서 기뻐한다. 

성제신(聖諦身) 가운데 있는 기쁨을 관하기 때문에 세제일법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인(忍)은 일체시(一切時)에 견도와 서로 흡사하다. 

가령 견도는 일체시에 법념처(法念處)만을 눈앞에 나타내는데 저 인도 또한 그러하다. 

난ㆍ정은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먼저 법념처를 닦고 나중에 3념처(念處)를 증장시켜서 전전하여 눈앞에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서로 흡사하지 않다. 

인은 법념처를 수습하고 오직 법념처만 증장시켜 견도와 비슷하기 때문에 순제인(順諦忍)이라 하고, 

난ㆍ정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순제라고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인법(忍法)은 견도의 측근인데 난ㆍ정은 그와 같지 않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인법은 여러 찰나에 상속하면서도 또한 한 찰나에 눈앞에 나타나는데 정ㆍ난은 오직 여러 찰나에만 상속하면서 눈앞에 나타난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인법은 일정(一定)의 의미만 있는데 난ㆍ정은 그렇지 않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인법의 정관(正觀)은 잡되지 않은데[不雜] 난ㆍ정은 잡됨이 있거나 때로는 욕계의 선근을 일으킨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인법의 정관은 여러 가지도 아니고 광대하지도 않은데 수순해서 열반으로 취향할 수 있고, 

난ㆍ정의 정관은 여러 가지이고 광대하며 또한 수순해서 열반으로 취향할 수 있다”고 하였다. 

여기서는 마니보(摩尼寶)를 전매(轉買)하는 비유를 설해야 한다.

이와 같은 등등의 여러 가지 인연이 있기 때문에 인(忍)은 순제(順諦)라 하고 난ㆍ정은 순제라고 할 수 없다.

이 난ㆍ정과 하중인(下中忍)은 16행(行)을 행하고 4진제(眞諦)를 반연한다. 

증상인(增上忍)은 4행(行)을 행하고 고제(苦諦)를 반연한다. 

어떤 사람은 “증상인은 도제(道諦)를 반연한다”고 하였다.

【문】 인은 어떤 법을 반연하여 정결정을 얻는가?

【답】 어떤 사람은 “도제를 반연한다”고 하였다.

【문】 만약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연(緣)과 행(行)2)이 뒤바뀌지 않는가? 

만약 연과 행이 뒤바뀐다면 무엇 때문에 정결정을 얻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가?

【답】 가령 연과 행이 뒤바뀐다 해도 정결정을 얻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선근(善根)은 연ㆍ행을 수습하여 지름길[俓路]이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성도에 들어갈 때 이 연ㆍ행을 자재하게 쓸 수 있다.

마치 견도에서 먼저 욕계의 인지도(忍智道)를 일으키고 다음에 유정(有頂)의 인지도를 일으키며, 

저 유정의 인지도가 후에 다시 욕계의 인지도를 일으키며, 

관고행(觀苦行)이 후에 다시 관습행(觀習行)을 일으키는 등, 

이와 같은 것을 모두 연ㆍ행이 뒤바뀌었다고 하지만 연ㆍ행이 뒤바뀌었다 하더라도 견도에 방해가 되지 않는 것과 같다.

왜냐하면 견도에서 연ㆍ행을 수습하여 지름길이 있기 때문이다. 

인도 또한 이와 같아서 정결정을 얻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

증상인이 도제를 반연하여 후에 정결정을 얻는다고 말한다면 세 가지 마음이 함께 하나를 반연하고 하나를 행해야 할 것이니, 

세제일법과 고법인(苦法忍)과 고법지(苦法智)이다. 

두 가지 마음은 함께 하나를 행하고 함께 하나를 반연하지 않아야 할 것이니, 

고비인(苦比忍)과 고비지(苦比智)를 말한다. 

두 가지 마음은 함께 하나를 반연하고 하나를 행하지 않는 것이니, 

습법인(習法忍)과 습법지(習法智)를 말한다.

【評】증상인이 고제를 반연하여 후에 정결정을 얻는다고 말해야 한다. 

저 견도는 맹렬하고 강한 선근이어서 연ㆍ행이 뒤바뀌어도 정결정을 얻는데 방해가 되지 않지만, 

저 인(忍)은 세속의 유루선근(有漏善根)이므로 그 성(性)이 나약하고 하열하여 연ㆍ행이 뒤바뀌면 도를 보는데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실제의 의미를 말한다면, 

‘고(苦)를 관하여 증상인이 후에 정결정을 얻는 것이고, 

먼저 도(道)를 관하고 증상인이 후에 정결정을 얻는 것이 아니다’라고 해야 한다.


증상인은 고행(苦行)을 행하고 고(苦)를 반연하는데 인방편도(忍方便道)는 광대하게 16행(行)을 행하고 4진제(眞諦)를 반연한다.

수행자는 욕계의 고를 정관하고 색계와 무색계의 고를 정관하며, 

욕계행의 집(集)을 정관하고 색계ㆍ무색계행의 집을 정관하며, 

욕계행의 멸(滅)을 정관하고 색계ㆍ무색계행의 멸을 정관하며, 

욕계행의 도(道) 끊음을 정관하고 색계ㆍ무색계행의 도 끊음을 정관하여 이와 같이 32심(心)을 정관한다. 

이것을 하인(下忍)이라고 한다.

수행자가 후에 점점 행과 연을 감소시켜서 다시 욕계의 고와 색계ㆍ무색계의 고를 관하며, 

나아가 욕계행의 도 끊음을 관하고 색계ㆍ무색계행의 도 끊음을 관하는 것, 

이것을 중인(中忍)이라고 한다.

다시 욕계의 고를 바르게 관하고 색계ㆍ무색계의 고를 관하며 나아가 색계ㆍ무색계의 행의 멸함을 관하지만 모든 도(道)는 제외된다. 

다시 욕계의 고와 색계ㆍ무색계의 고를 관하며 나아가 욕계행의 멸함을 관하지만 색계ㆍ무색계 행의 멸함은 제외된다.

다시 욕계의 고를 바르게 관하며 나아가 색계ㆍ무색계행의 집(集)을 관하지만 일체멸(一切滅)은 제외된다. 

다시 욕계의 고를 바르게 관하며 나아가 욕계행의 집을 관하지만 색계ㆍ무색계행의 집은 제외된다.

다시 욕계의 고를 바르게 관하고 색계ㆍ무색계의 고를 관하지만 일체집(一切集)은 제외된다. 

다시 욕계의 고를 바르게 관하지만 색계ㆍ무색계의 고는 제외된다. 

다시 욕계의 고를 바르게 관하여 항상 상속하고 단절시키지 않으며 멀리 떠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관할 때에 깊이 염환(厭患)을 일으켜 다시 감소시켜서 단지 2심을 일으키고 1행을 관하여 흡사 고법인(苦法忍)과 고법지(苦法智)와 같게 한다. 

이와 같이 바르게 관하는 것을 중인(中忍)이라 한다.

그는 다시 일심(一心)으로 욕계의 고를 관하는데 이것을 상인(上忍)이라고 한다. 

후에 차례로 세제일법을 일으키고 세제일법은 차례로 고법인을 일으킨다.

이를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자기 나라에서 다른 나라로 가고자 할 때 많은 재보와 모든 생업 도구를 갖추고 있어도 모두 가져갈 수 없으므로 이 재물을 돈으로 바꾸고, 

그것도 너무 많아 꺼려지고 가져갈 수 없음을 꺼리어 돈을 금으로 바꾸고, 

그것도 많아서 가져갈 수 없음을 꺼리어 금을 다시 값이 많이 나가는 보주(寶珠)로 바꾸어, 

이 보주를 지니고 그에 따라 편안하게 여기고 다른 나라로 가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수행자도 연ㆍ행을 점점 버려서 상속하여 떠나지 않게 하여 상인(上忍)을 일으키고, 

인이 후에 세제일법을 일으키고, 

세제일법이 후에 고법인을 일으키는 것이다.

만약 고(苦)를 반연하고 인(忍)이 후에 정결정을 얻는다고 한다면, 

4심의 연ㆍ행이 동일해야 하는데 증상인과 세제일법과 고법인과 고법지이다.

행(行)은 동일하고 연(緣)이 동일하지 않은 2심은 고비인과 고비지이다. 

연은 동일하고 행은 동일하지 않은 2심은 집법인(集法忍)과 집법지(集法智)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말하는 것이 옳다.




【문】 세제일법에 상ㆍ중ㆍ하가 있는가?

【답】 없다. 

한 사람의 심 중에는 없고 여러 사람의 심 중이라야 있다.

가령 예를 들면 사리불 존자는 상(上)이고 목련은 중(中)이고 그 나머지 성문(聲聞)은 하(下)이다. 

성분(性分)에도 역시 상ㆍ중ㆍ하가 있는데 부처님은 상이고 연각은 중이고 성문은 하이다.


어떤 것이 정(頂)이고 무엇 때문에 정이라 하는가?

구사(瞿沙) 존자는 설하기를 “두 가지 달분선근(達分善根)이 있는데, 

첫째는 욕계이니 난(煖)과 정(頂)이고, 

둘째는 색계이니 인(忍)과 세제일법(世第一法)이다. 

욕계 중에서는 하(下)를 난이라 하고 상(上)을 정이라 하며, 

색계 중에서는 하를 인이라 하고 상을 세제일법이라 한다”고 하였다.

【評】그와 같이 말하면 안 된다. 

이것은 모두 색계의 법이고 닦는 법[修法]이고 정지(定地)에 머무는 법이어서 성법(聖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옳다.

【문】 무엇 때문에 정법(頂法)이라 하는가?

【답】 색계의 선근에는 동(動)ㆍ부동(不動)과 유주(有住)ㆍ부주(不住)와 유난(有難)ㆍ무난(無難)과 유단(有斷)ㆍ부단(不斷)과 유퇴(有退)ㆍ불퇴(不退)가 있다.

저 모든 동ㆍ부주ㆍ유난ㆍ유단ㆍ유퇴에 둘이 있으니 하(下)는 난법이고 상(上)은 정법이다. 

저 모든 부동ㆍ주ㆍ무난ㆍ부단ㆍ불퇴에 둘이 있으니 하는 인법이고 상은 세제일법이다.

어떤 사람은 “하를 정법이라고 해야 한다. 

왜냐하면 인법의 아래에 정이 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산의 정상과 같기 때문에 정(頂)이라고 한다. 

비유하면 산정(山頂)에 있는 길은 사람이 오래 머물지 못하지만 만약 모든 난관[難]이 없으면 반드시 이 산을 지나서 저 산에 도달하고, 

만약 모든 난관을 만나면 바로 물러나서 다시 돌아오는 것과 같다.

이와 같아서 수행자도 정법에 오래 머물지 못하는 자가 만약 모든 난관이 없으면 반드시 인에 도달하고, 

만약 모든 난관이 있으면 다시 난법으로 물러난다. 

그러므로 산정과 같기 때문에 정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또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난법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정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어떤 것이 정(頂)인가? 

곧 불ㆍ법ㆍ승에 환희심을 내어 소소한 믿음[信]을 일으키는 것이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문】 무엇 때문에 이 믿음을 작다고 하는가?

【답】 구사 존자는 설하기를 “난ㆍ정 두 가지의 달분선근은 욕계의 법이기 때문에 하열하고 소소하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믿음은 오랫동안 머무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하열하고 소소하다고 한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이 믿음은 다른 믿음[異信]이라고 해야 한다. 

왜냐하면 색계의 정지(定地)와 수지(修地)에서 성법을 행하는 난법과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다른 믿음[異信]이라고 한다. 

불ㆍ승에 대해서 하열하고 소소한 믿음을 일으키는 것은 도제를 반연하는 믿음이며, 

법에 대해 하열하고 소소한 믿음을 일으키는 것은 멸제를 반연하는 믿음이다”라고 하였다.

【문】 정법은 4제(諦)를 반연하는데 여기에서는 무엇 때문에 2제(諦)를 반연하는 믿음만 말하고 고제와 집제를 반연하는 믿음은 말하지 않는가?

【답】 어떤 사람은 “여기에서는 최승법의 의미를 설하기 때문이다. 

이 사제 중에서 어떤 것이 최승인가? 

곧 소위 멸제와 도제이다. 

왜냐하면 이 두 가지 제(諦)는 청정하여 허물이 없기 때문이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이 두 가지 제는 묘하고 허물을 떠나 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이 두 가지의 제는 믿음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이 두 가지의 제에 두 가지 의미가 있으니, 

첫째는 믿을 수 있다는 의미이고 둘째는 구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교화를 받는 사람이 믿고 즐거워하는 마음을 일으키게 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세존께서 고제와 집제를 믿고 공경할 수 있는 것이라고 설하면 교화를 받을 사람이 없다. 

왜냐하면 저 교화를 받는 사람이 ‘이것은 번뇌이고 악행(惡行)이며 전도된 사견(邪見)인데 어떻게 믿고 공경할 수 있겠는가. 

또 우리는 항상 고의 핍박을 받고 있다’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만약 세존께서 멸제와 도제를 믿고 공경할 만한 것이라고 설하시면 저 교화를 받는 사람이 흔쾌하고 즐거운 마음을 낸다. 

이 때문에 멸ㆍ도가 최승이어서 믿을 수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이 멸ㆍ도에는 믿고 공경할 만한 것이 있으니, 

첫째는 관하는 즐거움이 목전에 있는 것이고, 

둘째는 마음을 떠나지 않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부처님과 승가를 믿는 것은 도제를 반연하는 믿음[信]이고, 

법을 믿는 것은 세 가지의 제를 반연하는 믿음이다. 

만약 이와 같다면 사제를 모두 반연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되는데, 

세존께서 바라연마납바(波羅延摩納婆) 등에게 ‘불ㆍ법ㆍ승에 대해서 하열하고 소소한 믿음을 일으키는 것을 정법(頂法)이라 한다’고 설하신 것과 같다. 

저 경을 지은 이가 경문을 인용하여 증명하였다”라고 하였다.

【문】 가령 정법에 머물 때는 음(陰)도 믿고 3보(寶)도 믿고 진리[諦]도 믿는다. 

무엇 때문에 세존께서는 마납바 등에게 3보를 믿는 것만 설하고 음과 진리를 믿는 것은 설하지 않으셨는가?

【답】 어떤 사람은 “저 마납바 등은 고제와 집제는 믿는데 다만 삼보를 믿지 않는다. 

불신하기 때문에 부처님께서 설하신 것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저 마납바 등이 고(苦)에 곤액을 당하면서 고를 벗어나고자 하여 부처님이 계신 곳을 찾아뵙고 게송으로 말하였다.

고(苦)에 핍박 받는 모든 중생들이

고를 떠나는 법 알지 못해 찾아왔으니

마치 더울 때 시원한 연못에 들듯이

법요(法要)를 내보여 온갖 근심 제거하소서.


그런데 여실하게 고를 떠나는 것은 오직 별제와 도제뿐이다. 

여기에 믿을 만한 두 가지 의미가 있으니, 

첫째는 항상 관하기를 즐거워하는 것[常樂觀]이고, 

둘째는 항상 기쁘게 구하는 것[常喜求]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부처님에 대한 믿음은 2제를 반연하는 믿음이라 하고, 

승가에 대한 믿음은 도제를 반연하는 믿음이라 하고, 

법에 대한 믿음은 멸제를 반연하는 믿음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부처님에 대한 믿음은 4제를 반연하는 믿음이라 하고, 

승가에 대한 믿음은 도제를 반연하는 믿음이라 하고, 

법에 대한 믿음은 3제를 반연하는 믿음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3보가 믿음과 공경을 일으키기 때문에 설한 것이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수행자가 기뻐하는 뜻에 따르기 때문에 설하였다. 

음(陰)에 기쁜 뜻을 일으키면 난이라 하고, 

삼보에 기쁜 뜻을 일으키면 정이라 하고, 

진리[諦]에 기쁜 뜻을 일으키면 인이라 한다”고 하였다.

【문】 만약 정법(頂法)의 체성(體性)이 5음(陰)이라면, 

무엇 때문에 세존께서는 바라연 등에게는 믿음이라 하고, 

새로 배우는 비구들에게는 지혜라고 하였는가?

【답】 어떤 사람은 “오직 불ㆍ세존만이 법상(法相)을 결정적으로 밝게 아신다. 

또 응해서 해야 할 일과 그 나머지 미칠 바가 아닌 것을 알아서 중생을 위해서 설해야 할 것은 곧바로 설하신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바라연 등이 아직 소작지(所作地)에 머물지 못하고, 

아직 불법 중에 들어가지 못했다. 

아직 사마타(舍摩他, 

śamatha)를 얻지 못하고, 

아직 점차로 다른 천인의 말을 듣고 믿음을 일으키지 못한 채 부처님이 계신 곳에 찾아왔다. 

이때 세존께서 이에 그들의 선근을 증장시켜 주기 위해서 믿음을 설하셨으나, 

신학비구는 앞의 바라연 등과 서로 위배되기 때문에 지혜를 설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그들에게 결핍되어 모자라는 것에 따라서 요익케 하기 위해서이다. 

가령 바라연 등은 믿음이 모자라고 결핍되어 있고, 

석씨 종족[釋種]의 비구는 지혜가 모자라고 결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바라연 등에게는 믿음을 설하여 요익케 하고, 

석씨 종족의 비구에게는 지혜를 설하여 요익케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아첨하고 왜곡하는 어리석은 생각을 중지시켜 주기 위해서이다. 

바라연 등은 비록 총명하지만 믿음이 결핍되어, 

믿음이 없는 지혜는 아첨과 왜곡을 증장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바라연 등을 위해서 믿음을 설하여 아첨과 왜곡함을 중지시킨 것이다.

석씨 종족인 신학비구는 출가하여 비록 소소한 믿음은 있지만 지혜가 결핍되어 있어서, 

지혜가 없는 믿음은 어리석은 마음을 증장시킨다. 

이 때문에 신학비구를 위해서 지혜를 설하여 어리석은 마음을 중지시킨 것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세존의 설법에 교화를 받는 중생에 두 종류가 있으니, 

날카로운 근기[利根]와 둔한 근기[鈍根]인데, 

날카로운 근기를 위해서는 믿음을 설하고 둔한 근기를 위해서는 지혜를 설한다. 

바라연 등은 날카로운 근기이기 때문에 믿음을 설하고 신학비구 등은 둔한 근기이기 때문에 지혜를 설하였다.

날카로운 근기와 둔한 근기의 경우처럼, 

내인력(內因力)과 외연력(外緣力)ㆍ내분력(內分力)과 위분력(外分力)도 그와 같고, 

안으로 정관사유(正觀思惟)하여 외부를 증익시키는 경우와 다른 사람으로부터 법문을 들어 내부를 증익시키는 경우도 그와 같으며, 

무우(無愚)와 무탐(無貪)ㆍ수(修)와 불수(不修)의 경우도 그러하며, 

신견취처(身見聚處)에 손해를 주고 손해를 주지 않는 경우도 이와 같음을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

어떤 것이 정법(頂法)이 퇴실하는 것인가?……(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문】 무엇 때문에 정법에 퇴실함이 있음을 설하고 난법의 퇴실은 설하지 않는가?

【답】 어떤 사람은 “정법의 퇴실을 설하면 난법의 퇴실도 설해야 하는데 설하지 않은 것은 모두 남은 설명이 있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수행자가 정법에 머물러 있을 때 장애가 되는 것이 많다. 

삼시(三時)에 모든 번뇌업(煩惱業)이 큰 장애가 된다. 

가령 정법에서 인법에 이를 이때 악도의 모든 번뇌업이 큰 장애가 된다. 

왜냐하면 저 모든 번뇌들이 ‘만약 저 수행자가 인법의 지위에 도달하면 내가 다시 누구의 몸 가운데서 과보를 일으키겠는가’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욕계의 욕(欲)을 떠나려고 할 때는 욕계의 모든 번뇌업이 큰 장애가 된다. 

왜냐하면 모든 번뇌업이 ‘만약 저 수행자가 욕계에서 벗어나면 내가 다시 누구의 몸 가운데서 과보를 일으키겠는가’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비상비비상처에서 떠나려고 할 때에는 미래에 받는 모든 번뇌업이 큰 장애가 된다. 

왜냐하면 모든 번뇌업이 ‘만약 저 수행자가 이미 욕을 떠나서 다시는 몸을 받지 않으면 내가 다시 누구의 몸 가운데서 과보를 일으키겠는가’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삼시에 수행자에게 장애가 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정법에 퇴실함이 있음을 설하고 난법의 퇴실은 설하지 않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수행자가 이때 큰 근심과 번뇌를 일으킨다.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진귀한 보배 창고를 보고 나서는 기뻐하면서 ‘나는 이제 빈궁의 근본을 영원히 끊었다’라고 생각하다가 후에 취하려 할 때 홀연히 다시 사라지면 그 사람이 이때 이 보배창고에 대해서 큰 근심과 번뇌를 일으키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수행자도 정법에 머물 때에 스스로 ‘오래지 않아 인법을 얻어 악도를 영원히 끊으리라’라고 생각하여 기쁨이 일어나다가 후에 다시 퇴실하면 큰 근심과 번뇌를 일으킨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정법에 퇴실함이 있음을 설하면 난법에도 퇴실이 있다고 설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정법에는 오래 머물지 못하기 때문에 퇴실함이 있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인법을 얻고자 할 때에 크고 중대한 이익을 얻는 것은 비유하면 성인 악도에 떨어지지 않는 것과 같다. 

인법을 얻었을 때도 이와 같다. 

사문 이십억(二十億, 

Koṭīviṁśa)이 91겁 동안 악도에 떨어지지 않은 경우와 같다. 

앞의 것과 서로 위배되는 것을 중대한 이익을 잃은 것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문】 어떤 것이 정(頂)에서 물러남인가?

【답】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선지식을 친근히 하여 그로부터 법문을 듣고는……(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문】 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 앞에서 비록 정법의 체상(體相)은 설하였지만, 

어떻게 정법을 믿고 어떤 것이 정법의 퇴실인지는 아직 설하지 않았다. 

지금 그것을 설하고자 하여 이 논을 지은 것이다.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선지식을 친근히 한다’고 설한 것은 선우(善友)를 가까이 사귄다는 것을 말하고 ‘그 선우로부터 법문을 듣는다’는 것은 방편에 수순하는 법을 듣는 것이다. 

안으로 정관사유한다는 것은 스스로 자신이 정행(正行)을 수행함이고 불보리(佛菩提)를 믿고 선설법(善說法)을 믿으며 승가의 청정한 공덕을 믿는다’는 것은 신보(信寶)라고 한다. 

‘색(色)의 무상(無常)함 내지는 식의 무상을 설하는 법문을 듣고 이를 믿는다’는 것은 신음(信陰)이라 하고 ‘고ㆍ집ㆍ멸ㆍ도가 있음을 안다’는 것은 신제(信諦)라고 한다.

‘그가 여타의 시간에 선지식을 친근히 하지 않는다’는 것은 악우(惡友)를 가까이 함이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법문을 듣지 않는다’는 것은 방편을 수순하는 법을 듣지 않음이다. 

‘정관사유하지 않는다’는 것은 자신이 스스로 사행(邪行)을 행함이고 이 신법(信法)을 잃어버림을 정법의 퇴실이라 한다.




【문】 정법에서 퇴실함[頂退]의 체상은 어떤 것인가?

【답】 불성취(不成就)3)가 체성[性]이다. 

불은몰무기(不隱沒無記)이고,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이며, 

행음에 포섭된다.

어떤 사람은 “불신(不信)이 체성이다. 

왜냐하면 믿음이 있으면 정법을 얻고 믿음이 없으면 잃어버리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어떤 사(使)와 전(纏) 때문에 정법이 퇴실하는가? 

곧 바로 저 부리고 얽매는 성품[使纏性] 때문이다. 

이와 같다면 정퇴(頂退)의 체상은 염오성(染汚性)이다”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만약 법이 퇴법을 따르면 이것이 바로 그 체성이다. 

만약 그렇다면 일체제법이 모두 퇴실의 성품[退性]이다. 

왜냐하면 일체 온갖 법이 모두 위세연(威勢緣)이 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불타제바 존자는 설하기를 “체성이 없는 것이 퇴실의 성품이다. 

억지로 분별을 일으켜 상대적으로 ‘있다ㆍ없다’ 한 것이니, 

저 선근이 화합하여 모인 것을 정(頂)이라 하고, 

선근이 분리되서 흩어지는 것을 퇴(退)라 하는 것인데 다시 무슨 체성이 있겠는가.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많은 재물을 가지고 있다가 다른 사람이 빼앗아 가면 후에 바로 빈궁해진다. 

어떤 사람이 ‘그대가 지금 빈궁한데 무엇이 그 성품인가?’ 하고 물으면, 

그 사람이 대답하기를 ‘나에게는 본래 재물이 있었는데 다른 사람이 빼앗아 가서 지금 빈궁해졌을 뿐이다. 

무슨 성품이 있겠는가’라고 하는 것과 같다.

또 어떤 사람의 옷이 찢어졌는데 다른 사람이 ‘지금 그대의 옷이 찢어져 있는데 어떤 것이 그 성품인가’라고 물으면, 

그 사람이 대답하기를 ‘옷이 본래는 완전하고 견고했었는데 지금 찢어졌다. 

무슨 성품이 있겠는가?’라고 하는 것과 같다.

또 어떤 사람이 몸에 옷을 입고 있다가 어떤 사람이 옷을 빼앗아 갔는데, 

다른 사람이 묻기를 ‘그대가 지금 나형(裸形)으로 있어서 옷이 없는데 어떤 것이 성품인가?’ 하면, 

그 사람이 대답하기를 ‘나는 본래 옷을 입고 있었는데 다른 사람이 빼앗아 가서 지금 벌거벗게 되어 옷이 없는 것인데 무슨 성품이 있겠는가’라고 하는 것과 같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행자도 선근이 조화롭게 모였을 때를 정(頂)이라 하고, 

후에 분리되어 흩어지는 것을 퇴(退)라 한다. 

무슨 성품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체성이 없는 것을 퇴실의 성품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評】이렇게 말하면 안 된다. 

앞에서처럼 ‘정법의 퇴실은 불성취성(不成就性)이다. 

불은몰무기이고 심불상응행이어서 행음(行陰)에 포섭된다’라고 말하는 것이 옳다.



【문】 ‘불보리(佛菩提)를 믿는 것은 신불(信佛)이라 하고……(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이라고 설한 것처럼 무엇 때문에 세존께서 어떤 때는 신보(信寶)를 설하고, 

어떤 때는 신음(信陰)을 설하고 어떤 때는 신제(信諦)를 설하였는가?

【답】 혹 어떤 사람은 “부처님께서는 법을 밝게 깨달으셨기 때문이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이라 하였고, 

어떤 사람은 “중생의 어리석음에 따라서 부처님께서 그 어리석음을 풀어 주려고 설하신 것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부처님의 교화를 받는 사람에게는 세 가지 허물이 있는데, 

첫째는 의심이 많은 것[多疑心]이고, 

둘째는 나[我]를 염착하며, 

셋째는 견해에 의해 본성이 가리워지는 것이다. 

의심이 많은 사람을 위해서는 신보(信寶)를 설하였고, 

안에 염착하는 자를 위해서는 신음(信陰)을 설하였고, 

견해 때문에 본성이 가리워진 사람을 위해서는 신제(信諦)를 설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것이 난법(煖法)인가?……(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문】 무엇 때문에 난법이라고 하는가?

【답】 어떤 사람은 “지(智)가 경계를 연하여 난법을 일으켜서 번뇌의 장작을 태울 수 있다. 

비유하면 나무의 위 아래가 서로 의지해서 비비면 불이 일어나 장작을 태우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지(智)는 난지(煖智)를 일으켜서 번뇌를 시들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유하면 여름에 꽃을 모아서 꽃을 무더기로 쌓아두면 따뜻한 기운이 생겨 저절로 시드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지(智)는 음(陰)에 의해 생기는데 음에 있는 지혜의 불이 도리어 음을 태운다. 

비유하면 대나무 둘을 서로 비비면 불이 일어나서 다시 대나무 숲을 태우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구사 존자는 설하기를 “해탈을 구하는 지화(智火)는 최초에 있는데 이 불로 최초에 있는 상(相)을 태우는 것과 같다. 

무루지의 불도 난법을 최초의 상(相)으로 삼는데, 

해의 명상(明相)이 최초에 있는 것을 상으로 삼는 것처럼 무루지의 해[日]도 난법을 최초에 있는 상(相)으로 삼는다. 

이 때문에 난이라 한다”고 하였다.



【문】 무엇이 난법인가?

【답】 정법(正法)과 비니(毘尼) 중에서 신(信)ㆍ애(愛)ㆍ경(敬)을 일으킨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문】 만약 그렇다면 정법과 비니 가운데서 신ㆍ애ㆍ경을 일으키는 것은 모두 난법이라고 할 수 있는가?

【답】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난법은 색계의 수지(修地)와 정지(定地)의 성행(聖行)에 속하는 것을 행하여 정법과 비니 중에서 신ㆍ애ㆍ경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저 정법은 도제를 연하는 믿음[信]이고 비니는 멸제를 연하는 믿음이다.

【문】 난법은 4제를 연할 수 있는데 무엇 때문에 멸제와 도제를 연하는 믿음만 설하는가?

【답】 어떤 사람은 “멸제의 도제가 4제 중에서 가장 뛰어나기 때문이다. 

앞의 정법에서 자세하게 답한 것과 같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멸제와 도제는 귀의처가 될 만하기 때문에 설하였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정법은 3제를 연하는 믿음이고, 

비니는 멸제를 연하는 믿음이라고 한다. 

이와 같으면 난법이 4제를 반연한다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저 작경자(作經者)가 경을 인용하여 증명하였는데, 

가령 “부처님께서 마사(馬師)와 만숙(滿宿)비구4)에게 말씀하시기를 ‘나에게 4구법(句法)이 있으니 그대들을 위해 설해주겠다. 

알고자 한다면 그대들의 생각대로 방자하게 헤아려서는 안 된다’라고 하시니 저 두 사람이 말하기를, 

‘지금 저희들이 근기가 못되는데 어떻게 해야 알겠습니까?’……(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라고 설한 것과 같다.

【문】 부처님께서는 저들이 법을 감당할 수 없음을 깊이 아시는데 무엇 때문에 ‘너희들의 생각대로 방자하게 헤아리면 안 된다’고 하셨는가?

【답】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저 사람은 교화를 받지 않은 사람이기 때문에 온갖 악행을 일으켜 자신을 해치고 무너뜨렸다. 

이 때문에 여래께서 손을 들어 말씀하시기를 ‘내가 해야 할 일을 지금 했다. 

그리고 그대가 스스로 삿된 행을 하고 스스로 해치고 무너뜨린 것은 내가 교화하지 않은 허물은 아니다’라고 하셨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외도의 비방을 중지시키기 위해서이다. 

그 때문에 ‘너의 생각대로 방자하게 헤아려서는 안 된다’고 하신 것이다. 

만약 여래께서 그들에게 말씀해 주시지 않으면 모든 외도 등이 ‘무엇 때문에 대비한 여래가 따르는 제자들에게는 설법해서 교화하고 따르지 않는 사람에게는 교화하여 설법하지 않는가?’라고 비방하지만, 

여래께서 그들에게 설해 주면 모든 외도 등이 비방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모든 석가족의 믿지 않는 마음을 중지시키기 위해서이다. 

만약 여래께서 석가족에게 말씀하시지 않으면, 

이때 모든 석가족이 믿지 않는 마음을 일으켜서 ‘무엇 때문에 실달(悉達)께서 친족을 위해서 설하지 않으시는가?’라는 생각을 하고, 

질투심을 품고는 ‘석가족 사람들이 모두 부처님과 비슷하게 될까봐 염려하신 것인가’라는 의심을 한다. 

그런데 만약 여래께서 그들에게 말씀해 주시면, 

이때 모든 석가족이 다시는 믿지 않는 마음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저 사람들이 스스로 삿된 행을 하였다. 

이 때문에 여래께서 사람들에게 그들의 허물임을 증명해 주시려고 ‘너희들은 본래 재가에 있었는데 지금 출가하여 스스로 삿된 행을 하였으니 나의 허물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이때 여래께서는 부드러운 말로 면전에서 책망했는데 그 때문에 ‘너희들 생각대로 방자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하신 것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저 사람들이 장래에 선근을 일으키게 하기 위해서이다. 

부처님께서는 저 사람들이 지금은 비록 교화를 받지 못하지만 장래에는 반드시 후회하고 선근을 일으킬 것을 아셨다. 

왜냐하면 그 사람들이 ‘대비하신 부처님께서 방자하지 말라고 하신 뜻을 우리가 받지 않았으니 여래의 허물이 아니다’라고 생각하고, 

이와 같이 후회하고 선근을 일으켜서 그 인연 때문에 반드시 악도를 벗어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부처님께서는 그들이 목숨을 마치면 반드시 용(龍)의 무리 가운데 태어나서 큰 고통을 받으면서 ‘나는 본래 어디로부터 여기에 태어났는가’라고 생각하다가, 

자신이 본래 불법에 출가했었음을 스스로 알고는 ‘나를 교화해 주지 않았으니 내가 지금 가서 불탑(佛塔)과 정사(精舍)를 파괴하고 모든 비구들을 살해하여 불이익을 일으켜야겠다’고 생각하리라는 것을 아셨다. 

이때 부처님께선 불신력(佛神力)으로 여래상(如來像)을 나타내어 그 앞에 서서 ‘마사ㆍ만숙이여, 

나에게 네 구(句)의 법이 있으니, 

그대들은 알고 싶으냐? 

지금 그대들이 고통을 받는 것은 너희들의 허물이지 나의 잘못이 아니다. 

내가 해야 할 일은 모두 했다. 

지금 그대들이 고통을 받는 것은 스스로 삿된 행을 했기 때문이니라’라고 말씀해 주어 저 용들이 성난 마음에 얽매인 것을 중지시켜 불법을 수호하도록 하기 위해서, 

‘너희들 뜻대로 방자하게 해서는 안 된다’라고 하신 것이다”라고 하였다.





【문】 어떤 것이 네 구의 법인가?

【답】 어떤 사람은 “4제법이다. 

왜냐하면 저 두 사람이 진리[諦]를 보지 못하여 이러한 악행을 저지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4념처(念處)이다. 

왜냐하면 저 두 사람이 마음이 전도되어 악행을 지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4정근(正勤)이다. 

왜냐하면 저 두 사람이 게을러서 악행을 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4여의족(如意足)이다. 

왜냐하면 저 두 사람이 모든 선근을 적집할 수 없어서 악행을 지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4성종(聖種)이다. 

왜냐하면 저 두 사람이 이익에 탐착하여 악행을 지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4사문과(沙門果)이다. 

왜냐하면 저 두 사람이 실제로는 사문과를 얻지 못했으면서 ‘나는 사문과를 얻었다’고 하여 악행을 지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네 가지 선(善)이다첫째는 계(界)를 아는 선이요, 

둘째는 인(人)을 아는 선이요, 

셋째는 연기(緣起)을 아는 선이요, 

넷째는 처비처(處非處)를 아는 선이다. 

왜냐하면 저 두 사람이 인과에 어리석어서 악행을 지었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잡아함경(雜阿含經)』 가운데서 게송으로 설하기를,


성현법 가운데서는 선(善)이 최고요

둘째는 항상 사랑함[愛]이니 불애(不愛)를 멀리 떠났고

셋째는 항상 진실함[實]이니 허망을 여의었고

넷째는 항상 법다움[法]이니 비법(非法)을 떠나 있네.


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4구의 법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에서 설한 것과 같이 무탐(無貪)ㆍ무에(無礙)ㆍ정념(正念)ㆍ정정(正定)을 네 구의 법이다”라고 하였다.

저 두 비구가 ‘저희들이 지금 어떻게 이 법을 알겠습니까’라고 말하자,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너희 우매하고 어리석은 사람들은 나의 법을 멀리 떠났고……(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난법(煖法)을 조금도 알지 못한다’라고 하였다.

【문】 저 두 사람은 무엇 때문에 ‘저희들이 지금 어떻게 알겠습니까?’라고 하였는가?

【답】 어떤 사람은 “저 사람들은 자신들이 선도(善道)로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법기(法器)가 아님을 스스로 알았기 때문이다. 

법기가 아니면 선도에도 오히려 나아가지 못하는데 하물며 열반이겠는가. 

법기라야 한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그들 몸 가운데서 삿된 행과 악행을 자주자주 범하여 스스로 ‘이 몸은 법기가 아니다. 

기와나 돌에서 싹이 나게 할 수는 있어도 내가 지금 이 몸으로는 끝내 해탈법분(解脫法分)을 일으킬 수 없다’라고 알았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저 사람들은 이미 결정업을 지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그들은 이미 과보법(果報法)을 가까이 하여 그들이 악도에서 받는 과보의 모습이 눈앞에 나타났고, 

나아가 열 손가락에서 물이 흘러나왔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부처님께서 저 사람들이 ‘장차 벽지불의 보리를 이루리라’라고 수기를 주셨는데, 

그들이 ‘무엇 때문에 여래께서는 번거롭게 우리를 위해서 설하시는가? 

우리는 현세에 이와 같은 악행 등의 여러 가지 인연 때문에 끝내 정결정에 들어갈 수 없다’고 생각하고 ‘저희들이 지금 무엇 때문에 이 법을 알아야 합니까’라고 말하자, 

세존께서 ‘나의 법을 멀리 떠나서 우매하고 어리석은 사람은 나의 정법의 비니 가운데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난법을 조금도 알지 못한다’고 말씀하신 것이다”라고 하였다.

【문】 여러 가지 비니(毘尼)가 있다. 

시비니(時毘尼)ㆍ방비니(方毘尼)ㆍ종성비니(種性毘尼)ㆍ가법비니(家法毘尼)ㆍ벌죄비니(罰罪毘尼)ㆍ범비니(犯毘尼)ㆍ명비니(明毘尼)ㆍ성비니(聖毘尼)ㆍ욕진치비니(欲瞋癡毘尼)가 있는데, 

이 중에서 어떤 비니를 설하셨는가?

【답】 어떤 사람은 “여기에서 설하신 것은 성(聖)비니이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여기에서 설하신 것은 욕진치(欲瞋癡)비니이다”라고 하였다.

【문】 모든 난법을 얻지 못하면 모두가 마사와 만숙과 같게 되는가?

【답】 모두가 그렇지는 않다. 

중생에게는 대개 세 가지 부류가 있다. 

첫째는 유기심(有期心)이고, 

둘째는 제기심(除期心)이고, 

셋째는 단기심(斷期心)이다.

유기심은 청정하게 계를 지니는 사람이고, 

제기심은 해야 할 일을 이미 다한 아라한이고, 

단기심은 계를 범한 사람이다. 

저 사람들은 유기심과 제기심은 없고 단기심만 있었기 때문에 세존께서 꾸짖으신 것이다. 

나머지 단기심인 중생들도 저들과 같다. 

‘나아가 난법은 조금도 알지 못한다’라고 설하신 것과 같다.



【문】 이 난법의 선근은 가장 뛰어나고 미묘하여 적정지(寂靜地)에 머무는 것인데 지금 무엇 때문에 미세하고 적다고 하는가?

【답】 달분선근(達分善根) 가운데서 가장 미세하고 적기 때문에 소소하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이것은 견취선근(見聚善根)의 후변에 일어나기 때문에 적다[少許]’고 하였다견취선근이란 안반(安般)ㆍ부정(不淨)ㆍ4념처를 말한다”라고 하였다.

난법(煖法)ㆍ정법(頂法)ㆍ인법(忍法)ㆍ세제일법(世第一法)의 이 네 가지 선근을 달분(達分)이라고도 하고, 

관제(觀諦)라고도 하고, 

수치(修治)라고도 하고, 

선근(善根)이라고도 한다.

달분은 무루성도(無漏聖道)를 말하는데, 

이 선근에 다다르고 저 법을 수순하고 저 법을 도와서[羽翼] 저 법의 성분(性分)이기 때문에 ‘달분’이라고 한 것이다.

관제(觀諦)는 무상 등의 행으로 진리[諦]를 관찰하기 때문에 ‘관제’라고 한 것이다.

수치(修治)는 성도와 과를 구하고자 하여 닦고 다스려서 이 몸에 있는 더러움[穢惡]을 제거하여 법기(法器)가 되고자 하니, 

비유하면, 

농부가 열매를 얻기 위해서 밭을 잘 가꾸어서[修治] 악초를 제거하는 것과 같이, 

이것도 이와 같기 때문에 ‘수치’라고 한 것이다.

선근(善根)은 성도를 선(善)이라 하고 열반을 과(果)라고 하는데, 

이 네 가지 법이 저 성도와 열반의 기초이고 처음 수립하는 근본이기 때문에 ‘선근’이라고 한 것이다.

【문】 이 난법 등의 선근에는 어떤 차별이 있는가?

【답】 난법은 4제를 연하여 어리석음이 증상되는 것을 중지시킬 수 있고, 

나아가 몸 가운데 있는 우(愚)를 중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제일법을 일으킨다.

어떤 사람은 “난법은 4제를 연하여 하명(下明)을 일으킬 수 있고, 

나아가 몸 가운데 4제를 연하여 명(明)이 있기 때문에 세제일법을 일으킨다. 

또 난법은 사제를 연하여 하신(下信)을 일으킬 수 있고, 

정법은 중신(中信)을 일으키고, 

인법은 상신(上信)을 일으킨다. 

몸 가운데 이 신이 있기 때문에 세제일법을 일으킬 수 있다. 

또 난법은 5음을 기뻐하고, 

나아가 몸 가운데 기뻐함이 있기 때문에 세제일법을 일으킨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난법은 4념처가 들어가는 곳이고, 

정법은 난법이 들어가는 곳이고, 

인법은 정법이 들어가는 곳이고, 

세제일법은 인법이 들어가는 곳이다. 

이와 같이 차제무간(次第無間)도 마찬가지이다”라고 하였다.

구사 존자는 “이 선근 중에서 두 가지는 욕계의 선근이니, 

난법과 정법이고, 

두 가지는 색계의 선근이니 인법과 세제일법이다”라고 하였다.

【評】그처럼 말해서는 안 된다. 

이것은 색계의 선근이기 때문이다. 

‘성행(聖行)을 행할 수 있는 정지(定地)와 수지(修地)에 포섭된다’라고 말하는 것이 옳다.




【문】 난법에 몇 가지가 있고, 

나아가 세제일법에 몇 가지가 있는가?



【답】 어떤 사람은 “난법에 세 가지가 있으니, 

하하(下下)ㆍ하중(下中)ㆍ하상(下上)이고, 

정법에 세 가지가 있으니 중하(中下)ㆍ중중(中中)ㆍ중상(中上)이고, 

인법에 두 가지가 있으니 상하(上下)ㆍ상중(上中)이다. 

세제일법에 한 가지가 있으니 상상(上上)이다. 

이 4선근(善根)을 세 가지로 말하면, 

난법은 하이고 정법은 중이고 인법과 세제일법은 상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난법에 두 가지가 있으니 하하(下下)ㆍ하중(下中)이고, 

정법에 세 가지가 있으니 하상(下上)ㆍ중하(中下)ㆍ중중(中中)이고, 

인법에 세 가지가 있으니 중상(中上)ㆍ상하(上下)ㆍ상중(上中)이고, 

세제일법에 한 가지가 있으니 상상(上上)이다. 

이 선근을 세 가지로 말하면 난법은 하이고 정법은 하중(下中)이고 인법은 중상(中上)이고, 

세제일법은 상(上)이다”라고 하였다.

구사 존자는 “난법에 세 가지가 있으니 하하(下下)ㆍ하중(下中)ㆍ하상(下上)이고, 

정법에 여섯 가지가 있으니 하하(下下)와 내지 중상(中上)이고, 

인법에 여덟 가지가 있으니 하하(下下)와 내지 상중(上中)이고, 

세제일법에 한 가지가 있으니 상상(上上)이다. 

만약 세 가지로 말하면, 

난법은 한 가지이니 하이고, 

정법은 두 가지이니 하와 중이고, 

인법은 세 가지이니 하와 중과 상이고, 

세제일법은 한 가지이니 상이다”라고 하였다.

난법을 얻기도 하고 버리기도 한다. 

버림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계지(界地)를 떠났을 때와 물러날 때 버리는 것이다. 

물러날 때 버리면 무간업을 짓고 선근을 끊고 악도에 떨어지기도 한다. 

또 무슨 선리(善利)가 있는가? 

열반을 위한 결정인(決定因)을 일으킨다. 

그것은 마치 낚시 갈고리를 삼키는 법과 같다.

정법은 얻기도 하고 버리기도 한다. 

버림에 두 가지가 있는데 계지(界地)를 떠났을 때와 퇴실할 때 버리는 것이다. 

퇴실할 때 버리면 무간업을 짓고 악도에 떨어지기도 한다. 

또 무슨 선리(善利)가 있는가? 

선근은 끊지 않는다.




【문】 만약 그렇다면, 

게송에서


공덕이 없으면서 공양 받는 것을

범부ㆍ소인이라 하며

선법을 모두 잃어버리는 것을

정법에서 퇴실한다 하네.


라고 설한 것처럼 제바달다는 정법(頂法)을 얻지 못한 것인가?

이 게송은 마땅히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답】 이 게송은 얻음에서 물러남[得退]을 설한 것이다.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저 사람은 부처님께 악심을 품었기 때문에 악도에 떨어진 것이다. 

그런데, 

세존께서는 꼭대기[頂]와 같으시니, 

그 때문에 ‘정에서 떨어진다’고 말씀하셨다”라고 하였다.

인법을 얻기도 하고 버리기도 한다. 

버림에 한 가지가 있는데 계지(界地)를 떠날 때이다. 

저 선근을 버리면 퇴실함이 없고 무간업을 짓지 않고 선근을 끊지 않는다. 

또 어떤 선리(善利)가 있는가? 

악도에 떨어지지 않는다.

세제일법을 얻기도 하고 버리기도 한다. 

버림에 한 가지가 있으니 계지(界地)를 떠날 때이다. 

이 선근은 버려도 퇴실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선근의 성품이 퇴실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선근은 무간업을 짓지 않고, 

선근을 끊지 않고, 

악도에 떨어지지 않는다. 

또 어떤 선리(善利)가 있는가? 

저 선근은 차제로 정결정을 얻는다.

어떤 사람은 “난법을 얻기도 하고 버리기도 한다. 

버림에 두 가지가 있는데 계지를 떠날 때와 퇴실할 때이다. 

퇴실할 때 버리면 무간업을 짓고 악도에 떨어지기도 한다. 

또 어떤 선리가 있겠는가? 

선근을 끊지 않을 뿐이다. 

만약 그렇다면 제바달다는 난법을 얻을 수 없으니, 

왜냐하면 그는 선근을 끊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법을 얻기도 하고 버리기도 한다. 

버림에 두 가지가 있는데 계지를 떠날 때와 퇴실할 때이다. 

퇴실할 때 버리면 악도에 떨어진다. 

또 무슨 선리가 있는가? 

무간업을 짓지 않고 선근을 끊지 않는다.

인법을 얻기도 하고 버리기도 한다. 

버림에 한 가지가 있으니 계지를 떠날 때이다. 

저 선근은 퇴실하지 않고, 

무간업을 짓지 않고, 

선근을 끊지 않고, 

악도에 떨어지지 않는다. 

또 무슨 선리가 있는가? 

아(我)를 염착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문】 만약 그렇다면 시리굴다(尸利掘多, Śrigupta)와 안구리마라(安仇利摩羅, 

Aṅguli-māla)와 살차니건자(薩遮尼揵子, Satyaka Nirgranthīputra)는 인법을 얻지 못했는데, 

그것은 아를 염착했기 때문인가?



【답】 그들은 아를 염착하지는 않았지만 아(我)가 있다고 논의했기 때문이다.

【문】 그들은 여래와 아(我)에 대해서 다투고 논쟁했는데 무엇 때문에 아를 염착하지 않았다고 하는가?

【답】 그들은 아견(我見)이 끊어지지 않고 잠시 눈앞에 나타난다고 했기 때문에 아를 염착한 것은 아니다.

세제일법을 얻기도 하고 버리기도 하는데 계지(界地)를 떠날 때 버리며, 

나머지는 앞에서 설한 것과 같다.

서방인(西方人)이 이 논을 지으면서 난선근(煖善根)에 대해서 말하였는데, 

무엇이 그 의취(意趣)이고 무엇이 소의(所依)이며, 

어떤 것이 인(因)이고 어떤 법을 연하며, 

어떤 과(果)와 의(依)가 있으며, 

어떤 보(報)와 선리(善利)가 있으며, 

몇 가지 행(行)을 행하는가? 

명(名)을 연해서 일어나는가? 

의미[義]를 연해서 일어나는가? 

이것은 문혜(聞慧)인가? 

사혜(思慧)인가? 

수혜(修慧)인가? 

욕계의 계(繫)인가? 

색계ㆍ무색계의 계(繫)인가? 

유각유관(有覺有觀)인가? 

무각유관(無覺有觀)인가? 

무각무관(無覺無觀)인가? 

낙근(樂根)과 상응하는가? 

희(喜)ㆍ사(捨)근과 상응하는가? 

일심(一心)인가? 

다심(多心)인가? 

퇴실하는가? 

퇴실하지 않는가? 

나아가 세제일법도 이와 같은가?




【문】 난은 어떠한 의취가 있는가?

【답】 보시와 지계와 내지 상인선근(上忍善根)이 있어서 모두 해탈로 회향시키는데 이것이 그 의취이다. 

색계정(色界定)에 의지해서 일어나는데 이것이 그 소의이다. 

어떤 인이 있느냐 하면 자지(自地)에서 먼저 생한 선근이 상사인(相似因)이다. 

어떤 법을 연하느냐 하면 4제를 연한다. 

어떤 과가 있느냐 하면, 

정법이 난법과 가까운데 이것은 공용과(功用果)이기 때문이다. 

어떤 의(依)가 있느냐 하면, 

자지(自地)와 비슷하게 후에 생한 선법이 의과(依果)이다. 

어떤 보가 있느냐 하면, 

색계의 오음이다. 

어떤 선리(善利)가 있느냐 하면, 

어떤 사람은 “열반의 결정인이 있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선근을 끊지 않는다”고 하였다. 

몇 가지 행(行)을 행하는가 하면, 

16행(行)을 행한다. 

명을 연해서 일어나는가 혹은 의미를 연해서 일어나는가 하면. 

의미를 연해서 일어난다고 말해야 한다. 

이는 문혜인가? 

혹은 사혜인가? 

혹은 수혜인가?라고 하면, 

이것은 수혜라고 말해야 한다. 

욕계의 계인가? 

혹은 색계의 계인가? 

혹은 무색계의 계인가?라고 하면. 

이는 색계의 계이다. 

유각유관인가? 

혹은 무각유관인가? 

혹은 무각무관인가?라고 하면, 

이는 3행 모두이다. 

어떤 근과 상응하는가?라고 하면, 

세 근과 상응하니, 

상응하는 것에 따라서 말해야 한다. 

일심인가? 

혹은 다심인가?라고 하면, 

이는 다심(多心)이다. 

퇴실하는가? 

혹은 퇴실하지 않는가?라고 하면, 

이는 퇴실한다고 말해야 한다.

인(忍)은 정(頂)에 가까운 것이니, 

공용과이다. 

정법에는 어떤 선리(善利)가 있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선근을 끊지 않는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무간업을 짓지 않는다”고 하였다. 

나머지는 난법에서 설한 것과 같다.

세제일법이 인법에 가까우니, 

공용과가 된다. 

인법에는 어떤 선리가 있는가 하면, 

악도에 떨어지지 않는 이러한 선리가 있다. 

어떤 사람은 “아에 염착하지 않고 퇴실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 나머지는 정법과 같다.

세제일법은 고를 반연하는 고법인이 공용과이다. 

세제일법은 어떤 선리(善利)가 있는가 하면, 

차제연이 되어 정결정을 얻는다. 

4행을 행하고, 

일심이며 퇴실하지 않는다고 말해야 한다. 

그 나머지는 인법과 같다.

난법을 일으킬 때에 고ㆍ집ㆍ도제를 반연하는 경우에는 현재에서 하나의 법념처를 닦고 미래에는 4념처를 닦으며 현재에 1행을 행하고 미래에 4행을 닦는데 동성(同性)을 취하고 부동성(不同性)을 취하지 않는다. 

멸제를 연하는 경우에는 현재에 1법념처를 닦고 미래에 1법념처를 닦고, 

현재에 1행을 행하고 미래에 4행을 행한다.

난법을 증장시킴에 있어 하로 중을 증장시키고 중으로 상을 증장시킬 때, 

고ㆍ집ㆍ도제를 반연하는 경우에는 현재에 4념처를 닦아서 전전하여 눈앞에 나타나고 미래에도 4념처를 닦으며, 

현재에 1행을 행하고 미래에 16행을 행한다. 

멸제를 반연하는 경우에는 현재에 법념처를 닦고 미래에 4념처를 닦으며, 

현재에 1행을 행하고 미래에 16행을 행한다.

【문】 무엇 때문에 처음 난법을 일으킬 때는 미래의 동성은 닦고 부동성은 닦지 않는데, 

난법을 증장할 때는 미래의 동성과 부동성을 함께 닦는가?

【답】 처음 일으킬 때는 관제(觀諦)를 행하여 아직 저 종성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고, 

증장할 때는 관제를 행하여 이미 저 종성을 얻었기 때문에 함께 닦는다.

처음 정법을 일으킬 때에, 

고ㆍ집ㆍ멸ㆍ도를 반연하는 경우에는 현재에 1법념처를 닦고 미래에 4념처를 닦고, 

현재에 1행을 행하고 미래에 16행을 행하며, 

증장시킴에 있어 하가 중을 증장하고 중이 상을 증장시킬 때에, 

고ㆍ집ㆍ도제를 반연하는 경우에는 4념처를 닦아서 전전하여 눈앞에 나타나고 미래에 4념처를 닦으며, 

현재에 일행을 행하고 미래에 16행을 행한다. 

멸제를 반연하는 경우에는 현재에 1법념처를 닦고 미래에 4념처를 닦으며, 

현재에 1행을 행하고 미래에 16행을 행한다.

처음 인법을 일으킬 때와 증장시킬 때는 현재에 1법념처를 닦고 미래에 4념처를 닦으며, 

현재에 1행을 행하고 미래에 16행을 행한다.

구사 존자는 설하기를 “처음 인법(忍法)을 일으킬 때, 

고ㆍ집ㆍ도제를 반연하는 경우에는 현재에 1법념처를 닦고 미래에 4념처를 닦으며, 

현재에 1행을 행하고 미래에 4행을 행하며, 

동성(同性)을 닦고 이성(異性)을 닦지 않는다. 

멸제를 반연하는 경우에는 현재에 1법념처를 닦고 미래에도 1법념처를 닦으며, 

현재에 1행을 행하고 미래에 4행을 행하며, 

동성을 닦고 이성을 닦지 않는다.

증장(增長)할 때에, 

고ㆍ집ㆍ도제를 반연하는 경우에는 4념처를 닦아서 전전하여 눈앞에 나타나고 미래에 4념처를 닦으며, 

현재에 1행을 행하고 미래에 4행을 행한다. 

멸제를 연하는 경우에는 현재에 1법념처를 닦고 미래에 4념처를 닦으며, 

현재에 1행을 행하고 미래에 16행을 행한다”고 하였다.


【評】그것은 그처럼 말해서는 안 된다. 

앞에서처럼 말하는 것이 옳다.

【문】 무엇 때문에 인법은 일체시(一切時)에 법념처가 눈앞에 나타나는가?

【답】 견제도(見諦道)에서 일체시에 법념처가 눈앞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현전하는 인법도 또한 그와 서로 비슷한다.

【문】 가령 예를 들어 인법이 증장할 때에는 모두 16행을 닦는가?

【답】 그렇지 않다. 

소연행(所緣行)을 점차 줄이는 것처럼 또한 이와 같다. 

4제를 반연하면 16행이 있고, 

3제를 반연하면 12행이 있고, 

2제를 반연하면 8행이 있고, 

1제를 반연하면 4행을 행한다. 

통틀어서 하나의 인법이 일으키는 세력에서 말한다면 16행을 행한다.

【문】 무엇 때문에 인법을 증장할 때에, 

어떤 경우에는 16행을 행하고, 

어떤 경우에는 12행을 행하고, 

어떤 경우에는 8행을 행하며, 

어떤 경우에는 4행을 행하는가?

【답】 점차로 소연(所緣)을 줄이고 소행(所行)을 줄여서 점점 정결정을 얻음에 접근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어떤 때는 16행을 닦고, 

나아가 4행을 닦는다.

세제일법을 일으킬 때는 현재에 1법념처를 닦고 미래에 4념처를 닦으며, 

현재에 1행을 닦고 미래에 4행을 닦는다.

【문】 세제일법이 일찍이 저 종성을 얻고 관제(觀諦)를 행하는데, 

무엇 때문에 동성(同性)을 닦고 이성(異性)은 닦지 않는가?

【답】 저 얻은 것에 따라서 이 법을 닦기 때문이다. 

가령 예를 들면 사람이 나형(裸形)으로 있으면 옷을 빼앗을 수가 없는 것과 같은데, 

이것 역시 마찬가지이다.

어떤 사람은 “세제일법이 견도(見道)에 가장 가까운데, 

견도 중에서 나머지 행은 닦지 않고 동성(同性)만 닦는 것처럼 세제일법도 마찬가지이다”고 하였다.

【문】 난법 내지는 인법을 일으킬 때 항상 상속하는가, 

상속하지 않는가?

【답】 어떤 사람은 “항상 상속하여 4제를 반연한다. 

견도 중에서 15심(心)이 항상 상속하여 눈앞에 나타나는 것과 같다. 

난법이 일어날 때는 항상 상속하여 4진제(眞諦)를 반연한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이 의미는 일정하지 않아서 어떤 경우에는 상속하고 어떤 경우에는 상속하지 않으며, 

어떤 때는 난법이 고제를 반연하여 중지되고, 

어떤 때는 집ㆍ멸ㆍ도제를 반연하여 중지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였다.

【문】 어떤 법이 정관사유(正觀思惟)하여 차례로 난법을 일으키는가?

【답】 색계(色界)의 수지(修地)와 정지심(定地心)이 염리하고, 

악하고 천한 것으로 여기고, 

갈망하고 번뇌를 따르지 않고 세력을 즐기지 않는 마음을 일으킨다. 

이와 같이 정사유 다음에 난법을 일으키고, 

난법 다음에 정법을 일으키고, 

정법 다음에 인법을 일으키고, 

인법 다음에 세제일법을 일으키고, 

세제일법 다음에 정결정을 얻는다.

【문】 욕계(欲界)를 떠난 사람의 경우는 그렇게 할 수 있지만, 

욕계를 떠나지 못한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답】 욕계를 떠나지 않은 사람도 또한 그렇게 할 수 있다. 

욕계의 사혜(思慧)로 정관사유하여 고제를 반연하여 행하면, 

고행(苦行)이 차제연이 되어 난법을 일으킨다. 

나머지는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문】 전생(前生)의 몸에서 난법을 일으켰는데 아직 정법을 일으키지 않고 목숨을 마친 사람이 이 생[此生]에서 정법을 일으키고자 하면 곧 정법을 일으키는가, 

다시 난법을 일으키는가?

【답】 어떤 사람은 “만약 스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법(頂法)을 들으면 바로 스승을 따라 정법을 일으킨다. 

스승이 설해 주지 않으면 다시 근본으로부터 일으킨다”고 하였다.

【문】 만약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난법 다음에 정법을 일으키고, 

정법 다음에 인법을 일으키고, 

인법 다음에 세제일법을 일으킨다’고 말했는가?

【답】 이와 같이 말한 것은 한 몸 가운데서 차례로 일어나는 것을 말한 것이다. 

전생의 몸[前身]에 일찍이 난법을 얻은 것은 근본으로부터 일으킨 것이다.

【문】 전생의 몸에서 일찍이 난법을 얻고 이 생에서 정법을 일으키고자 하면 어떻게 정관사유해야 하는가?

【답】 난법을 일으킬 때 정관사유한 것처럼 정법을 일으키려 해도 그렇게 해야 한다. 

정법을 일으키는 것처럼 인법을 일으키는 것도 또한 그러하다.

【문】 난법을 일으키면 욕(欲)을 떠나는가?

【답】 어떤 사람은 “욕을 떠나지 않는다. 

저 수행자가 편안함을 애착하고 즐겨서 정법을 일으키고 정법 가운데서 인법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저 수행자가 스스로 정법을 일으킬 수 있는 힘이 있음을 알면 바로 정법을 일으키고, 

힘이 없어서 정법을 일으킬 수 없음을 알면 욕(欲)을 떠나고자 한다. 

왜냐하면 욕을 떠나면 태어나는 곳이 더욱 뛰어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문】 근본지(根本地)를 의지하여 달분선근(達分善根)을 일으키면 퇴실함이 있는가?

【답】 어떤 사람은 “난ㆍ정법에는 퇴실함이 있고 인법에는 없다. 

왜냐하면 이 선근은 불퇴법(不退法)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評】그것은 그처럼 말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근본지에 의지해서 달분선근을 일으키면 현신(現身)에서 정결정을 얻기 때문이고, 

이 선근은 모두 성도(聖道)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미지선(未至禪)을 의지하면 일정하지 않다.

【문】 미지선을 의지해서 난법을 일으키면, 

또한 정ㆍ인ㆍ세제일법을 일으키고 정결정을 얻는가?

【답】 어떤 사람은 “만약 미지선에 의지해서 난법을 일으키면, 

나아가 세제일법을 일으키고 정결정을 얻는다. 

초선 내지 4선도 또한 이와 같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만약 미지선에 의지해서 난법을 일으키면, 

다음에 초선을 일으켜서 난ㆍ정ㆍ인ㆍ세제일법을 일으키고 정결정을 얻는다. 

선중간ㆍ2선ㆍ3선ㆍ4선도 또한 이와 같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만약 미지선에 의지해서 난ㆍ정법을 일으키면, 

다음에 초선을 일으켜서 정ㆍ인ㆍ세제일법을 일으키고 정결정을 얻는다. 

선중간ㆍ2선ㆍ3선ㆍ4선도 또한 이와 같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만약 미지선에 의지해서 난ㆍ정ㆍ인법을 일으키면, 

다음에 초선을 일으켜서 정ㆍ인ㆍ세제일법을 일으키고 정결정을 얻는다. 

4선까지도 또한 이와 같다. 

이것은 성문에게 설해 준 차제법(次第法)이다”라고 하였다.

【문】 보살은 어떠했는가?

【답】 보살은 제4선을 의지해서 난법 내지는 세제일법을 일으키고 정결정을 얻었다.

어떤 사람은 “보살은 초선을 의지해서 난ㆍ정ㆍ인법을 일으켰으며, 

2선ㆍ3선도 이와 같다. 

제4선 중에서 난ㆍ정ㆍ인ㆍ세제일법을 일으키고 정결정을 얻었다”고 하였다.

【문】 달분선근 가운데서는 다음에 하상(下上)을 일으킬 수도 없고, 

중하(中下)를 일으킬 수도 없다. 

그런데 보살은 어떻게 일으킬 수 있었는가?

【답】 자지(自地)에서는 일으킬 수 없어도 타지(他地)에서는 일으킬 수 있다.

어떤 사람은 “이와 같은 허물을 떠나려면 ‘만약 초선에 의지해서 난법을 일으키면 2선ㆍ3선 내지 4선도 마찬가지이고, 

만약 초선에 의지해서 정법을 일으키면 2선ㆍ3선 내지 4선도 마찬가지이고, 

만약 초선에 의지해서 인법을 일으키면 2선ㆍ3선 내지 4선도 마찬가지이고, 

다음에 세제일법을 일으키고 정결정을 얻는다’라고 말해야 한다”고 하였다.

【評】그처럼 말해서는 안 된다. 

앞에서와 같이 말하는 것이 옳다. 

왜냐하면 일체의 보살은 제4선에 의지해서 난법 내지 세제일법을 일으키고 정결정을 얻기 때문이다.

【문】 벽지불(辟支佛)은 어떠한가?

【답】 벽지불 중 홀로 세간을 벗어난 자는 부처님과 같음을 알아야 하고 여럿이서 세간을 벗어난 자는 일정하지 않아서 성문과 같다. 

무소[渴伽狩]가 오직 하나의 뿔을 가진 것처럼 그도 또한 그러하니 홀로 세간을 벗어난 자는 부처님과 같음을 알아야 한다.

【문】 보살은 전생의 몸[前身] 가운데서 일찍이 달분선근을 일으켰는가?

【답】 어떤 사람은 “일찍이 일으켰다. 

악도에 떨어짐을 막기 위해서이다. 

보살이 91겁 동안 악도에 떨어지지 않은 것은 달분선근의 힘이다. 

이것은 타성(他性)의 달분선근이고 자기 성품[己性]의 달분선근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評】그처럼 말해서는 안 된다. 

“보살이 일찍이 달분선근을 일으킨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모든 보살이 소유하고 있는 선근은 보리수 아래에서 세월이 지나면서 얻은 것이 아니고 한 번 결가부좌하여 부정관(不淨觀) 내지는 진지(盡智)를 일으킨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해야 한다.

【문】 보살이 91겁 동안 악도에 떨어지지 않은 것이 어찌 인법의 힘이 아니겠는가?

【답】 반드시 달분선근으로 악도에 떨어지는 것을 막는 것은 아니고, 

어떤 경우에는 보시의 힘으로, 

어떤 경우에는 계의 힘[戒力]으로, 

어떤 경우에는 부정관(不淨觀)으로, 

어떤 때는 안반(安般)으로, 

어떤 때는 문혜(聞慧)로, 

어떤 때는 사혜(思慧)로, 

어떤 때는 난ㆍ정법으로 막고 후에는 인법으로 악도에 떨어짐을 막는다.

불타제바 존자는 “악도에 떨어짐을 막는 것은 연기법에 대한 지각(知覺)을 말미암지 않는 것이 없다. 

그 뜻은 곧 ‘연기법을 깨달아 아는 것은 무루도(無漏道)이니 무루도가 아니면 악도에 떨어짐을 막을 수 없다’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評】그처럼 말해서는 안 된다. 

앞에서와 같이 말하는 것이 옳다. 

왜냐하면 보살이 만약 보시를 행하면 지계도 행하고 지혜도 행하는 것이고, 

계를 행할 때 보시도 행하고 지혜도 행하는 것이며, 

지혜를 행할 때 보시도 행하고 지계도 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연이 있기 때문에 나유타의 악도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니, 

하물며 10처(處)의 악도임에랴.

성문ㆍ벽지불이 소유하고 있는 난ㆍ정법을 보살은 모두 일으켜서 악도에 떨어짐을 막을 수 있는데 인법만 일으키지 않는다. 

왜냐하면 인법과 악도는 서로 방해하기 때문이다.

보살은 3아승지겁 동안 생사 가운데 있으면서 원력에 의해 악도 가운데 태어난다. 

여기에서는 고기[魚]에 대한 인연의 비유를 설해야 한다.

어떤 사람은 “성문ㆍ벽지불의 인법을 일으켜 악도를 장애하면 보살의 인법을 일으키지 않는다. 

왜냐하면 성문의 몸에서 보살의 도를 얻는 것은 너무 현묘(玄妙)하고 멀기 때문이다. 

벽지불을 구하는 사람은 벽지불의 인법을 일으키기 때문에 불종인(佛種忍)을 일으킬 수 없다. 

벽지불도에 가깝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벽지불을 구하는 사람도 불종인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였다.

【評】그처럼 말해서는 안 된다. 

“벽지불을 구하는 사람은 불종인을 일으킬 수 없다”고 말해야 한다.

【문】 인법을 얻은 범부가 목숨을 마칠 때 인법을 버리는가? 

만약 버린다면 무엇 때문에 악도에 태어나지 않는가? 

만약 버린다면 무엇 때문에 범부는 버리는데 성인은 버리지 않는가?

만약 버리지 않는다면 행건도(行犍度)와 사대건도(四大犍度)에서는 무엇 때문에 설하지 않았는가? 

가령 예를 들면, 

“만약 신(身)을 성취하면 신업(身業)을 성취한 것이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라고 하였다.

【답】 어떤 사람은 ‘버린다’고 하였다.

【문】 만약 버린다면 무엇 때문에 악도에 태어나지 않는가?

【답】 어떤 사람은 “저 선근의 세력 때문에 그러할 수 있는 것이니, 

비록 버린다 해도 악도에 떨어지지 않는다. 

어떤 선근은 성취해도 악도를 막지 못한다. 

하물며 성취하지 못한 경우임에랴. 

이것은 생처(生處)에서 얻는 선근을 말한다. 

어떤 선근은 성취하지 않아도 악도를 막을 수 있다. 

하물며 성취한 경우이겠는가. 

이것은 인법(忍法)을 말한다. 

이 때문에 저 선근의 세력이 악도에 떨어짐을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저 선근의 세력은 몸 가운데서 악도에 떨어지게 하는 번뇌업을 이 몸에서 멀리 떠나게 하여 다시는 진행하지 못하게 한다. 

만약 번뇌가 작용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악도에 떨어질 수 있겠는가.

가령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가을에 설사약을 복용하면, 

약은 그 사람의 몸속에 머물지 않아서 어떤 경우는 병과 함께 빠져나가고, 

어떤 때는 몸속에 녹아서 그 병환을 제거하여 영원히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과 같다. 

이와 같아서 저 선근의 세력도 악도에 떨어지게 하는 모든 번뇌업을 영원히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이 선근이 몸속에 있으면 사자가 자기 처소에 머무는 것과 같다. 

비록 몸 가운데 성취하지 않았다 해도 훈습해서 붙어 있는 세력으로 악도의 모든 번뇌업을 다시는 진행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하물며 악도에 떨어지겠는가.

이것을 비유하면 만약 사자가 처소에서 밖으로 다니면서 처소에 있지 않더라도 그 나머지 작은 짐승들은 그 처소에 들어갈 수 없는 것과 같다. 

하물며 사자가 있는 경우이랴”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이 선근은 몸에서 옛날부터 머물러 있는 주인과 같고, 

악도의 모든 번뇌업은 몸속에 머무는 나그네와 같다. 

옛날부터 머문 주인은 힘이 세고 나그네는 그렇지 못하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수행자에게 두 가지 하고자 하는 마음[期心]이 있다. 

첫째는 모든 악을 멀리 떠나고자 하는 마음이고, 

둘째는 선법을 깊이 애착하는 마음이다. 

이 두 가지 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기 때문에 악도에 떨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 때문에 구사 존자는 “저 수행자에게는 이와 같은 기심(期心)ㆍ욕(欲)ㆍ인(忍)ㆍ가(可)ㆍ의(意)ㆍ경(敬)ㆍ애(愛)ㆍ낙(樂)이 있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악도에서 비수연멸(非數緣滅)5)을 얻고 제법(諸法)에서 비수연멸을 얻었으니, 

끝내 현전(現前)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 수행자는 법우(法雨)가 세차게 흐르는 강물에 빠지면 그 나머지 악도의 업을 지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악도에 떨어지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성도(聖道)에 의지하기 때문이다. 

저 수행자는 성도에 의지하여 몸속에서 악도의 번뇌업이 눈앞에 나타나지 않게 한다. 

하물며 악도에 떨어지겠는가.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원수를 두려워하여 왕(王)을 의지하면, 

저 원수가 도리어 정면으로 쳐다볼 수도 없는 것과 같다. 

하물며 해를 끼치겠는가”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저 수행자가 이 선근으로 자신의 몸 가운데서 성도(聖道)가 머무는 곳을 수호하기 때문이다. 

비유하면 왕이 먼저 왕이 머무는 곳을 지키면 모든 사람들이 감히 머물지 못하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저 선근이 결정적으로 인천(人天)에 태어나는 업을 짓기 때문이다. 

결정적으로 태어나는 업을 지으면 반드시 그곳에 태어난다. 

비유하면 귀하고 뛰어난 자리가 처소로 정해지면 다시는 다른 나머지 자리에 앉지 않는 것과 같다. 

이와 같아서 저 선근의 머무는 곳이 정해지는 것도 또한 마찬가지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저 수행자가 바른 방편으로 저 악도의 모든 번뇌업을 다시 진행하지 못하게 한다. 

하물며 악도에 떨어지겠는가”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저 수행자가 악행의 과환과 선행의 이익을 보았다. 

이 때문에 악도 중에 떨어지는 악행을 짓지 않는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선법을 좋아하는 기심(期心)이 이 몸에 있기 때문에 악도에 떨어지는 악행을 일으키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마음이 유연하고, 

수순해서 열반으로 취향하고, 

신근(信根)이 깊고 견고하기 때문에 악도에 떨어지는 악행을 짓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문】 만약 버린다면 무엇 때문에 범부는 버리는데 성인은 버리지 않는가?

【답】 범부는 자신을 지키고 제어할 성도의 대치력이 없다. 

비록 대치도가 있어서 자신을 지키고 제어한다 해도 이 도가 나약하고 하열해서 견고하게 오래 머물지 못한다. 

이 때문에 목숨을 마칠 때에 버린다.

성인의 몸에는 무루의 대치도가 있어서 이것으로 자신을 지키고 제어한다. 

성인은 무루의 정력(定力)이 견고하고 오래 머물기 때문에 목숨을 마칠 때에 버리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여러 가지 색채를 합하는 비유를 설해야 한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버리지 않는다”고 하였다.

【문】 만약 버리지 않는다면 업건도(業犍度)와 사대건도(四大犍度)에서는 무엇 때문에 설하지 않는가?

【답】 어떤 사람은 “그 가운데서 반드시 설해야 하는데 설하지 않은 것은, 

여기에 남은 설명이 있다는 의미로 알아야 한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저 업건도 가운데서도 제3구에서 설하였다. 

‘성인은 탯속에 있다’고 설한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성인은 두 가지가 있으니, 

명수성인(名數聖人)과 실의성인(實義聖人)이다. 

달분선근을 얻은 사람을 명수성인이라 하고 정결정을 얻은 사람을 실의성인이라 한다. 

이 때문에 저 곳에서 또한 설한 것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한 번 출가하고자 하는 마음만 있어도 성제자(聖弟子)라는 이름을 얻는다. 

하물며 달분선근을 얻은 사람의 경우에랴”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어떤 경우에는 버리고 어떤 경우에는 버리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문】 누가 버리지 않는가?

【답】 이 선근에 항상 방편을 훈습하여 일체시(一切時)에 방편을 일으켜 잘 수지(受持)하고 수습하는 사람은 버리지 않는다. 

앞의 경우와 서로 위배되는 사람은 버린다.

내가 들은 바로는, 

이 선근에 항상 부지런히 방편을 닦고, 

나아가 잘 수습하는 사람은 생사를 겪는다 해도 항상 버리지 않는다. 

가령 미다라달자(彌多羅達子)가 “처음 태어날 때 결(結)에는 두 가지가 있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라고 설한 것과 같다. 

또한 내가 먼저 들은 바로는, 

만약 선근에 부지런히 방편을 닦지 않고, 

나아가 잘 수습하지 않는 사람은 몸 가운데 비록 얻어도 빨리 버린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버리는 경우도 있고 버리지 않는 경우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評】실의(實義)의 경우에 범부가 저 지(地)를 의지해서 달분선근을 일으켜도 오히려 버리는데 하물며 타지(他地)에 의지해서 일으키는 경우이겠는가.

【문】 달분선근이 얻는 과보를 색계 5음이라고 한다. 

저 색계 5음을 받은 몸은 초업(初業)을 짓는가?

【답】 어떤 사람은 “초업을 짓지 않는다. 

왜냐하면 무루도(無漏道)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다른 업은 증오에 의해 수생(受生)하기 때문에 초업을 짓는데 저 달분선근은 오직 만업(滿業)만 짓고 그런 연후에 과보를 받는다”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역시 초업을 짓지만 몸에 얻은 과보가 묘하고 좋은 것이기 때문에 수순하여 도를 행한다”고 하였다.

이 난(煖) 등의 선근에 일흔 세 가지가 있다. 

말하자면, 

욕계에 열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구박범부(具縛凡夫)6)이고, 

둘째는 제일결품(除一結品) 내지 9품진(品盡)이다. 

초선에 아홉 가지가 있는데, 

어떤 경우 제일결품에서 구품진까지는 있지만 구박범부는 없다. 

욕계에서 설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무소유처에 이르기까지 아홉 가지가 있다.

정ㆍ인ㆍ세제일법도 또한 이와 같다.

【문】 난법에서 얻는 구박범부와 제일결품과 구품도 한 가지 종류인가?

【답】 그렇지 않다. 

난법에서 얻는 구박범부는 다르고, 

제일결품도 다르고, 

나아가 9품(品)까지도 다르다.

【문】 만약 난법에서 퇴실하였다가 다시 난법을 일으키면 본래 얻었던 것을 얻는 것인가?

【답】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그것은 자주자주 공력을 사용해서 얻은 것이 아니어서 전과 후가 서로 같지 않기 때문이다. 

바라제목차계(波羅提木叉戒)7)를 버렸다가 나중에 다시 받는 것과 같아서 본래 얻었던 것을 얻는 것이 아니다. 

이것도 그와 같다. 

난ㆍ정법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문】 난법을 증장할 때에 난법을 증장하면 다시 처음의 난법을 일으키는가?

【답】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승진선근(勝進善根)을 얻었기 때문에 앞에서 얻은 것을 기뻐하거나 숭상하지 않기 때문이니, 

정ㆍ인법도 이와 같다.

【문】 어디에서 이 선근이 일어나는가?

【답】 욕계의 인간(人間) 가운데 3천하(天下)이고 울단월8)은 아니다.

【문】 욕계 6천에서는 일으킬 수 없는가?

【답】 처음에는 일으킬 수 없다. 

일찍이 일으킨 자에게는 눈앞에 드러날 수 있다. 

왜냐하면 만약 호신(好身)이 있고 염환(厭患)을 수순하여 올바르게 그곳을 관(觀)하면 난법을 일으킬 수 있다. 

이 3천하는 이 두 가지를 모두 갖추고 있다.

【문】 만약 호신(好身)이 있다는 측면에서라면 모든 천(天)이 인(人)보다 뛰어나고, 

염환을 수순하여 정관한다는 측면에서라면 악도가 뛰어난 것이 아닌가?

【답】 앞에서 함께 갖춘다면 일으킬 수 있다고 말한 바와 같이 천(天)과 악도(惡道)는 함께 갖추지 않았기 때문에 일으킬 수 없다.

【문】 남자 몸에 의지해서 난법을 얻기도 하고, 

여자 몸에 의지해서 난법을 얻기도 한다. 

만약 여자 몸에 의지해서 난법을 얻으면, 

다시 자신의 몸 가운데서 남자 몸을 의지하여 난법을 얻을 수 있는가?

【답】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정ㆍ인법도 또한 그러함을 알아야 한다.

【문】 만약 남자 몸을 의지해서 난법을 얻으면 다시 자신의 몸 가운데서 여자 몸을 의지하여 난법을 얻을 수 있는가?

【답】 얻을 수 없다. 

정ㆍ인법도 이와 같다. 

황문9)ㆍ반탁(般吒, 

paṇḍaka)남자의 형태는 있지만 남자의 능력은 없고, 

여자의 형태는 있지만 여자의 능력은 없는 것을 말한다과 무형(無形)10)ㆍ이형(二形)11)은 난법 등 4선근의 방편법을 일으킬 수 없다.

혜(慧)에 세 가지가 있으니, 

문혜(聞慧)ㆍ사혜(思慧)ㆍ수혜(修慧)이다.

【문】 어떻게 닦는가?

【답】 어떤 스승이 18계(界)와 12입(入)과 5음(陰)을 간략하게 설해 주거나, 

또 수다라(修多羅)와 비니(毘尼)와 아비담(阿毘曇)을 잘 독송하면, 

수행자는 번뇌를 싫어하는 마음[厭惱心]을 일으켜서 바로 ‘3장에서 설한 요체는 18계ㆍ12입ㆍ5음일 뿐이다’라고 말한다.

그는 바로 18계를 관찰하고, 

18계를 관찰하고 나서 다시 세 가지를 관찰하는데 명(名)과 체성(體性)과 총상(總相)이다. 

명은 안계(眼界) 내지 법계(法界)를 말하고, 

체성은 별상(別相)을 말하고, 

총상은 무상(無常)ㆍ고(苦)ㆍ공(空)ㆍ무아(無我)를 말한다.

이와 같이 관찰할 때 이 지(智)를 수습해서 전환시켜 정의(定義)를 얻고 이 18계 가운데서 염뇌상(厭惱想)을 일으킨다.

다시 안계(眼界)가 바로 안입(眼入)이고, 

나아가 촉계(觸界)가 바로 촉입(觸入)이며, 

7식계(識界)가 바로 의입(意入)이고, 

법계가 바로 법입(法入)이라고 12입을 간략하게 관찰한다.

다시 입(入)에서 음(陰)을 관찰하는데, 

그는 10색입(色入)과 법입(法入) 중의 조색(造色)이 바로 색음(色陰)이고, 

의입(意入)이 바로 식음(識陰)이고, 

법입(法入)이 바로 3음이라고 관찰한다.

또 음이 바로 4념처임을 관찰하는데, 

색음이 바로 신념처(身念處)이고, 

수음(受陰)이 바로 수념처(受念處)이고, 

식음(識陰)이 바로 심념처(心念處)이고, 

상음(想陰)ㆍ행음(行陰)이 바로 법념처(法念處)임을 관찰한다.

또 음에서 제(諦)를 관찰하는데, 

모든 5음의 과(果)가 바로 고제(苦諦)이고, 

5음의 인(因)이 바로 집제(集諦)이고, 

5음의 멸이 바로 멸제(滅諦)이고, 

학(學)ㆍ무학법(無學法)이 바로 도제(道諦)임을 관찰한다.

그 제에서 다시 세 가지를 관찰하는데, 

명ㆍ체성ㆍ총상이다. 

명은 고와 내지 도를 말하고, 

체성은 별상을 말한다. 

별상은 핍박의 행의(行義)가 고의(苦義)이고, 

나아가 출요(出要)의 행의가 도의(道義)임을 관하는 것을 말한다.

총상은 고에 4행이 있으니 무상ㆍ고ㆍ공ㆍ무아이고, 

집에 4행이 있으니 인(因)ㆍ집(集)ㆍ유(有)ㆍ연(緣)이고, 

멸에 4행이 있으니 멸(滅)ㆍ지(止)ㆍ묘(妙)ㆍ리(離)이며, 

도에 4행이 있으니 도(道)ㆍ여(如)ㆍ적(迹)ㆍ승(乘)이다.

이 지혜를 수습해서 정의를 얻을 때 저 제(諦)를 관찰할 때와 같이, 

그는 차례로 욕계(欲界) 고(苦)의 체성[別]을 관찰하여 이상(異相)임을 알고 색계ㆍ무색계의 고의 체성을 관찰하고, 

나아가 욕계행도(欲界行道)의 체성을 관찰하여 끊고, 

나아가 색계ㆍ무색계 행도(行道)의 체성을 관찰하여 끊는다. 

이것을 끊을 때를 비유하면 첩첩이 쌓아놓은 외물(外物)을 보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관찰할 때 문혜(聞慧)를 만족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점점 수습하여 차례로 사혜(思慧)를 일으키고, 

더욱 나아가서 수습하여 다음에 수혜(修慧)를 일으켜 성행(聖行)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찰할 때 이것을 난법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점점 증장시켜서 다음에 정법을 일으키고, 

다음에 정법은 인법을 일으키고, 

다음에 인법은 세제일법을 일으키고, 

다음에 고법인(苦法忍)을 일으켜 견고소단(見苦所斷)의 10사(使)를 끊는다. 

다음에 고법지(苦法智)를 일으킨다.

이와 같이 차례로 도비지(道比智)를 일으켜 수다원과(須陀洹果)를 얻고, 

차례로 진지(盡智)까지 일으킨다. 

이것을 모든 선근이 차례로 일으키고 일어나는 법이라고 한다.

선근에 세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복분선근(福分善根)이고, 

둘째는 해탈분선근(解脫分善根)12)이고, 

셋째는 달분선근(達分善根)이다.

복분선근은 천인이 되는 종자를 일으킬 수 있고, 

사람 가운데 있으면 호귀(豪貴)한 가문에 태어나 큰 위세와 매우 넉넉한 재물과 권속을 성취하고 얼굴과 용모가 단엄하며, 

전륜성왕과 제석ㆍ마왕ㆍ범천의 종자를 낼 수 있다.

해탈분선근은 해탈종자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을 말하며 결정코 퇴전하지 않는 인(因)이므로 반드시 열반에 도달한다. 

달분선근은 난법 내지는 세제일법을 말한다.

【문】 해탈분선근은 어디에 심는가?

【답】 욕계에 심고 색계에 심지 않으며, 

욕계 중에서도 인도(人道)에 심고 다른 도에는 심지 않는다. 

인도 중에서도 3천하에 심고 울단월에 심지 않는다. 

부처님이 출세(出世)할 때 심고 출세하지 않을 때는 심지 않는다.

어떤 사람은 “부처님이 없을 때도 벽지불을 만나면 해탈분선근을 심는다”고 하였다.

【문】 그 체성은 무엇인가?

【답】 신업(身業)인 경우와 구업(口業)인 경우와 의업(意業)인 경우가 있는데, 

의업인 경우가 많다.

【문】 이것은 5식신(識身)인가? 

의지(意地)인가?

【답】 의지이고 5식신이 아니다.

【문】 이는 방편선(方便善)인가, 

생득선(生得善)인가?

【답】 방편선이기도 하고 생득선이기도 하다.

【문】 문혜인가, 

사혜인가, 

수혜인가?

【답】 문혜ㆍ사혜이고 수혜는 아니다.

【문】 어떤 일을 해서 이 선근을 심는가?






【답】 어떤 경우는 보시를 하여 심고, 

어떤 경우는 지계를 하여 심고, 

어떤 경우는 다문(多聞)하여 심는데 반드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어떤 사람은 한 의 밥[揣食]을 보시하여 해탈분선근을 심을 수 있는데 어떤 사람은 오랫동안 대중공양을 하고 반차우슬(般遮于瑟:5년마다 베푸는 大會)을 베풀어도 해탈분선근을 심지 못하며, 

어떤 사람은 일일제(一日)를 지켜서 해탈분선근을 심을 수 있으나 스스로 종신토록 계를 지켜도 해탈분선근을 심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어떤 사람은 하나의 게송을 지송하여 해탈분선근을 심을 수 있는데 어떤 사람은 3장의 문의(文義)를 훌륭하게 통달해도 해탈분선근을 심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일정하지 않다. 

왜냐하면 종자가 되는 경우도 있고 종자가 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러한 일[보시와 지계 등을 가리킴]을 해탈ㆍ열반에 회향하고 생사를 영원히 떠나고자 하여, 

이와 같은 용맹한 마음으로 수행하는 사람은 종자를 심을 수 있지만, 

만약 해탈ㆍ열반에 회향하지 않고 생사를 영원히 떠나려 하지 않는다면 비록 많이 보시하고 종신토록 계를 지키고 널리 배워서 다문(多聞)해도 해탈분선근을 심을 수 없다.

근(近)과 원(遠)이 있는데, 

근(近)은 전신(前身)에 종자를 심어 이 몸[此身]에서 성숙하고 다음 몸[來身]에 해탈하는 것이며, 

원(遠)은 일찍이 해탈분선근을 심었으나, 

나유타겁을 지나서 몸을 받아도 해탈분선근을 일으키지 못하는 것이다.

성문이 얻은 해탈분선근은 벽지불에게 회향할 수 있고, 

벽지불이 얻은 해탈분선근은 또 부처님께 회향할 수 있는데, 

부처님이 심은 해탈분선근은 회전(廻轉)하지 못한다.



【문】 생멸관(生滅觀)이 있는데 그는 어떻게 방편을 행하는가?

【답】 저 수행자가 봄에 감빛을 띤 유리[紺琉璃]와 같은 초목의 푸른색을 보고, 

강물이 세차게 흘러서 떠다니는 물거품이 언덕에 닿는 것을 보면 

‘이것은 모두 외법(外法)인데 지금 다시 살아났구나’라고 생각하고, 

성읍에 있는 마을에 들어가서 모든 남녀가 춤추며 웃는 것을 보고 ‘왜 그러느냐’고 물었는데, 

이 마을에 남자아이와 여자아이가 태어났다는 대답을 들으면 

‘이것은 모두 내법(內法)인데 지금 다시 태어났구나’라고 생각한다.



그 후 가을에 초목이 가을날의 뜨거운 햇볕을 받고 찬 바람을 맞고 

서리와 이슬을 맞아서 가지에서 잎이 모두 떨어진 것을 보면, 

그는 다시 ‘이것은 모두 외법인데 지금 다시 소멸되었구나’라고 생각하고, 

성읍에 있는 마을에 들어가 모든 남녀가 머리를 풀고 손을 들고 슬피 울면서 곡하는 것을 보고 ‘왜 그러느냐’고 물었는데, 

이 마을에 있는 남녀가 죽어서 초상이 났다는 말을 들으면 

‘이것은 내법인데 지금 다시 죽었구나’라고 생각한다.


저 수행자가 이와 같은 모습을 깊이 관찰하고 머무는 곳으로 돌아와서 

자기 자신에게 어린 시절ㆍ젊은 시절ㆍ늙은 시절이 있으니 그 무상한 모습을 관찰하고, 

차례로 세(歲)ㆍ월(月)ㆍ일(日)ㆍ주(晝)ㆍ야(夜)를 계속해서 관찰하는 것을 방편이라고 한다.


이렇게 관찰하면서 모든 시간을 점점 줄여서 

5음과 2찰나(刹那)ㆍ1생(生)ㆍ1멸(滅)까지 관찰하는 것은 생멸관을 만족한 것이라고 한다.





【문】 이 생멸관을 허상관(虛想觀)인가, 

실관(實觀)인가? 

만약 허상관이라면 게송에서,


지견이 있으면 번뇌를 멸진시키지만

지견이 없으면 어떻게 멸진할 수 있으리오.

5음의 생멸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번뇌에서 해탈한 마음이네.


라고 설한 것과 어떻게 의미가 통할 수 있는가? 


허상관으로 번뇌를 끊을 수 없다. 

실관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 경우에는 제행의 거래상(去來相)을 볼 수 없어야 하는데 

제행은 실제로 거래가 없다.




【답】 어떤 작론자(作論者)는 이것을 “허상관이다”라고 하였다.

【문】 만약 그렇다면 이 게송과 어떻게 의미가 통하는가?

【답】 전전하여 인(因)이 되기 때문에 그것을 전전하여 서로 일으킨다고 말한다. 

비유하면 대를 잇는 법[子孫法]과 같다. 


그렇다면 그 양태는 어떠한가? 

허상관이 실상관을 일으키고, 

실상관은 번뇌를 끊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전하여 인이 된다고 말한다. 


비유하면 자손법과 같다.

어떤 사람은 이것을 “실상관이다”라고 하였다.



【문】 만약 그렇다면, 

제행에는 거래(去來)가 없는데 저 수행자가 거래를 보는 것인가?




【답】 생멸관이 아직 만족하지 않았을 때는 

제행에 거래가 있는 모습을 보지만, 

생멸관이 만족하면 제행에 거래가 없는 모습을 본다.


비유하면, 

어린 아이가 구슬을 가지고 혼자 즐기면서 

구슬이 빨리 돌아가면 멈춘 것처럼 보고, 

돌아가는 것이 더디면 거래를 보는 것과 같다. 

물레[陶家輪]의 비유도 이와 같다.



【문】 일심(一心)으로 생멸을 보는 것인가, 

이심(二心)으로 하나는 생을 보고 하나는 멸을 보는 것인가?

만약 일심으로 생멸을 본다면 일심에 어떻게 두 가지 생각이 있는가? 

만약 두 가지 생각이 있다면 일심이라는 의미가 부정된다.

또 어떻게 보는가? 

생함을 볼 때 또한 멸을 보는 것인가, 

멸함을 볼 때 또한 생을 보는 것인가? 

만약 생함을 볼 때 오직 생을 본다면 이것은 옳다. 

만약 생함을 볼 때 또한 멸을 본다면 이것은 옳지 않다. 

만약 멸함을 볼 때 오직 멸을 본다면 이것은 옳다. 

만약 멸함을 볼 때 생을 본다면 이것은 옳지 않다.

만약 일심으로 생을 보고 일심으로 멸을 본다면 생멸관이 아니다.



【답】 일심으로 생을 보고 일심으로 멸을 본다고 말해야 한다.

【문】 만약 그렇다면 생멸관은 없지 않는가?

【답】 이것은 일생(一生) 중에서 상속하는 생멸을 통틀어서 말한 것일 뿐이고, 

한 찰나를 말한 것이 아니다.



-------------


1)

처음 무루(無漏)의 혜(慧)가 생겨서 4제(諦)의 이치를 명확하게 보는 자리를 견도(見道)라고 하는데, 

그 견도에 들어가기 위한 준비로서의 견도 직전의 지위가 바로 4선근위(善根位)이다. 

4선근위는 난법(煖法)ㆍ정법(頂法)ㆍ인법(忍法)ㆍ세제일법(世第一法)으로 나뉜다.

2)

연(緣)은 소연(所緣)을 말하고, 

행(行)은 행상(行相)을 말한다.

3)

심불상응행법의 하나인 비득(非得)에는 불획(不獲)과 불성취(不成就)가 있다.

4)

마사(馬師)와 만숙(滿宿)은 육군비구(六群比丘) 중의 두 사람이다.

5)

범어로는 apratisaṁkhyā-nirodha. 

‘지혜로써 간택하는 힘에 의하지 않고 얻어진 멸’이란 뜻으로, 

비택멸(非擇滅)이라도 한다.

6)

구박(具縛, 

sakala-bandhana)이란 ‘온통(sakala) 번뇌에 얽어매인 것(bandhana)’을 가리킨다.

7)

범어로는 Pratimokṣa-śila. 

바라제목차계(波羅提木叉)란 ‘몸과 입으로 범한 허물을 하나하나 따로 해탈하게 한다’는 뜻에서 처처해탈(處處解脫)ㆍ별해탈(別解脫)이라고도 한다.

8)

범어 Uttara-kuru. 

수미 4주(洲)의 하나로 수미산의 북쪽에 있다. 

보통으로 북구로주(北俱盧洲)라 한다.

9)

근이 제거된 남자 혹은 완전한 근을 갖추지 못한 자를 말한다.

10)

남ㆍ녀 어느 쪽의 근도 지니지 못한 것을 말한다.

11)

남ㆍ녀의 근을 동시에 지닌 것을 말한다.

12)

범어로는 nirvāṇa-bhāgiya. 

해탈에 수순하는 선근(善根)을 말한다. 

순해탈분(順解脫分)이라고도 한다.


● [pt op tr] fr

_M#]



『아비담비바사론』 ♣0951-003♧






◎◎[개별논의] ❋본문









★1★





◆vipl1495

◈Lab value 불기2565/08/13


○ 2020_0907_130705_nik_ab41.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the-roman-antiquities-t-1-plate-ii-map-of-ancient-rome-and-forma-urbis-1756
[#M_▶더보기|◀접기|
Artist: Giovanni-Battista-Piranesi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Title : the-roman-antiquities-t-1-plate-ii-map-of-ancient-rome-and-forma-urbis-1756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606_174652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he-burning-of-the-houses-of-parliament-1
[#M_▶더보기|◀접기|
The Burning of the Houses of Parliament
J.M.W. Turner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Asia United Theological University – Seoul and Yangpyeong County
[장소정보2]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Naver 지도

Julien Clerc - Quand Je Jou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8/2565-08-13-k0951-003.html#1495
sfed--아비담비바사론_K0951_T1546.txt ☞제3권
sfd8--불교단상_2565_08.txt ☞◆vipl1495
불기2565-08-13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전륜왕이 출현할 때 세상에 나타나는 7보. 금륜보(金輪寶)ㆍ백상보(白象寶)ㆍ감마보(紺馬寶)ㆍ신주보(神珠寶)ㆍ옥녀보(玉女寶)ㆍ거사보(居士寶)ㆍ주병보(主兵寶).

답 후보
● 전륜왕칠보(轉輪王七寶)
전오식(前五識)
점교(漸敎)
점차지관(漸次止觀)
정려(淨侶)

정사(正士)
정업(定業)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Jane Birkin - La Reine Sans Royaume
Michel Sardou - Generique Putain De Temps
Adamo - Elle
Charles Aznavour - You
Edith Piaf - Le Kiosque Journaux
Jacques Dutronc - Opium (Avec Bambou)
Lucienne Delyle - Danser Dans Vos Bra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Vajrayana
[san-chn] prabhāvatā 出生
[san-eng] bahukṛtaveṣaḥ $ 범어 various make-ups/roles
[pali-chn] mahā-bhikkhu 大比丘
[pal-eng] saddhaaluu $ 팔리어 adj.much devoted.
[Eng-Ch-Eng] conceit 慢
[Muller-jpn-Eng] 聖者 ショウジャ (term) sage
[Glossary_of_Buddhism-Eng] WUTAI SHAN☞
See: Wu-t’ai (Mount).

[fra-eng] recelant $ 불어 receiving


■ 암산퀴즈


497* 62
380438 / 853


■ 다라니퀴즈

자비주 69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9 번째는?




69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시되,
"만약 국토에
재난이 일어날 때
이 국토의 왕이
능히 정법(正法)으로 국가를 다스리되
너그럽게 속박된 사람을 놓아주고
중샐들을 어지럽히지 않고
중생들의 허물을 용서하며
칠일칠야(七日七夜)동안 몸과 마음을 정진하여
이를 외우고 지니면,
대비심다라니신주(大悲心陁羅尼神呪)의 위신력으로
국토에 일체 재난이 모두 없어지며
여러가지 곡식은 풍성하며
모든 백성은 안락하리라.
만약 다른 나라의 원수나
적이 자주 침입하여
백성은 불안하고
대신(大臣)은 모반하며
전염병의 기운이 돌아다니고,
물은 가물며
해와 달은 정도를 잃고
폭우와 우박이 내려서
오곡을 손상시키고
맹수가 떼를 지어
다니며 백성을 해롭게 하는 등
이와 같은 가지가지 상서롭지 못한 일들이 속출할 때에
마땅히 천안대비심상(千眼大悲心像)을 조성하여
그 방향으로 면을 향하게 하고
[주]------
* 참고로 신수대장경에는 面向其方을 面向西方으로 하여
그 면을 서방으로 향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주끝]------
가지가지 향과 꽃과 보배,
깃발[幢幡]과 덮개[盖]와
여러가지 좋은 음식과
마음마음으로 소중히 여기며
지극한 정성으로 공양 올리며
그 국왕은
또 칠일칠야 동안 몸과 마음을 정진하여
이 다라니 신묘장구(神妙章句)를 외우고 지니면
외국의 원적(怨敵)이 자연히 항복하고
제각기 나라를 다스려
내나라 남의 나라간에
원수가 없어지며
국토가 하나로 통하여 합쳐지며
자심(慈心)으로 서로 향하게 되며
왕자(王子)와 백관(百官)이 다 충성을 하고
후비(后妃)와 궁녀(宮女)는
효순하고
공경히 왕에게 향할 것이며
모든 천룡(天龍)과 신(神)이
그 나라를 옹호해서
바람과 비는 순조롭게 내려지며
과실은 풍성하고
모든 사람들은 기쁘고 즐거우리라.
● 사바하 娑婆訶<六十九> s vā hā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9
아아니 유마하 나 아
阿惹你<引>喩摩賀<引>曩<引>誐<九>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25일째]
흔요제불불가설 $ 096▲者麼羅者麼羅為 一 ● 馱麼羅, ○□□□□,智,善,於,三

□□□□□□□, 智慧平等不可說,
善入諸法不可說, 於法無礙不可說,
□□□□□□□, 지혜평등불가설,
선입제법불가설, 어법무애불가설,

부처님을 반기는 일 말할 수 없고
지혜가 평등함을 말할 수 없고
여러 법에 잘 들어감 말할 수 없고
여러 법에 걸림없음 말할 수 없고



[224째]
피제변제불가설 $ 095▲迷攞普迷攞普為 一 ● 者麼羅, ○□□□□,能,住,盡,欣

□□□□□□□, 能住其中不可說,
住中智慧不可說, 盡諸劫住無能說,
□□□□□□□, 능주기중불가설,
주중지혜불가설, 진제겁주무능설,

저 여러 끝단 데를 말할 수 없고
그 가운데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머무르는 지혜들도 말할 수 없고
그지없이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K0961_T1553.txt★ ∴≪A아비담감로미론≫_≪K0961≫_≪T1553≫
●K0951_T1546.txt★ ∴≪A아비담비바사론≫_≪K0951≫_≪T1546≫
●K0959_T1550.txt★ ∴≪A아비담심론≫_≪K0959≫_≪T1550≫

법수_암기방안


96 족근 足跟 ~ 발꿈치 【족근】
95 足背 【족배】 ~발등.
69 요골동맥-손-맥박(脈搏)재는곳
9 맹장 【맹장】

30814
446

○ 2020_1126_160818_nik_Ab31


○ 2020_1126_160527_nik_Ar28_s12


○ 2020_1126_153853_can_ct8_s12


○ 2020_0224_115213_nik_AB7_s12


○ 2020_0224_113000_nik_ar24


○ 2020_0224_112840_nik_Ar37_s12


○ 2020_0224_110047_nik_AB7_s12


○ 2018_1025_162257_nik_ar11


○ 2018_1025_162015_nik_ct9_s12


○ 2018_1025_160006_can_CT33_s12


○ 2019_1004_165953_can_ct19


○ 2019_1004_145311_nik_ct19


○ 2019_1004_171115_can_AR35


○ 2019_1004_145314_can_ar47


○ 2019_1004_152607_nik_CT27


○ 2019_1004_152327_can_Ab35


○ 2019_1004_160019_nik_Ar26


○ 2019_1004_174702_nik_Ar26


○ 2019_1004_143057_can_Ar26


○ 2019_1004_141509_nik_ar26_1


○ 2019_1105_160045_can_Ar26_s12


○ 2019_1106_160010_can_ct36

● [pt op tr] fr
_M#]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아비담비바사론_K0951_T154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아비담비바사론』 ♣0951-003♧
[관련키워드]
제3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5-08-13_아비담비바사론-K0951-003
https://blog.daum.net/thebest007/773
sfed--아비담비바사론_K0951_T1546.txt ☞제3권
sfd8--불교단상_2565_08.txt ☞◆vipl1495
불기2565-08-13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466759976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8/2565-08-13-k0951-003.html
htmback--불기2565-08-13_아비담비바사론_K0951_T1546-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