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수현분제통지방궤』
K1506
T1732
제3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대방광불화엄경수현분제통지방궤』
♣1506-003♧
제3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4_112211_can_fix
○ 2019_1104_105326_can_exc
○ 2018_1023_165911_nik_ori
○ 2018_1023_132225_nik_ori
○ 2018_1023_140930_can_ori
○ 2018_1022_174134_nik_exc
○ 2020_1017_165451_nik_exc
○ 2020_0909_160454_can_ori_rs
○ 2020_0908_162345_nik_ori_rs
○ 2020_0908_160704_can_ori_rs
○ 2020_0905_120019_nik_ori_rs
○ 2020_0904_091603_can_ori_rs
○ 2020_0904_083921_nik_ori_rs
○ 2019_1106_152837_can_exc_s12
○ 2019_1106_110835_can_exc
○ 2019_1105_161145_nik_exc
○ 2019_1106_153725_nik_fix
○ 2019_1106_152351_nik_fix
○ 2019_1106_112404_nik_exc
○ 2019_1106_084405_nik_exc
● [pt op tr] fr
_M#]
★2★
❋❋본문 ♥ ◎[개별논의]
★%★
『대방광불화엄경수현분제통지방궤』
♣1506-003♧
◎◎[개별논의] ♥ ❋본문
★1★
◆vkvu1980
◈Lab value 불기2565/10/11 |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Charles Trenet - Vous Qui Passez Sans Me Voir
♥단상♥ 764100 장의 사찰사진 처리문제 올해 촬영한 사찰 사진을 어떻게 하는가 고민 중이다. 현재 올려지는 사진도 양이 많다. 그런데 올려진 사찰만 반복되어 랜덤으로 올려진다. 그래서 조금 단조로운 면도 있다. 물론 원본 사진을 처리하기에 양이 부풀려진 점도 있다. 그러나 여하튼 처리한 사진도 별도의 사진으로 취급해야 한다. 매 페이지에 대강 30 ~ 40 장 정도 사진을 랜덤으로 뽑아 올리게 된다. 그런데 사찰사진만 올리면 너무 단조롭다. 일반 풍경사진도 올리기도 한다. 그런데 또 인물이 들어간 사진을 올리기 힘들다. 초상권문제가 있다. 그래서 초상권 문제에 좀 자유로운 모델사진을 올리기도 한다. 그런데 경전 연구용 페이지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지금까지는 일단 웹사이트에 올려 놓은 후 랜덤추출했다. 이 경우 당장 페이지에 올리지 않는 사진파일까지 일단 웹에 올려 놓게 된다. 그 다음 랜덤추출해서 각 페이지에 올리는 방식이다. 그런데 양이 많기에 부담이 된다. 또 다른 방식도 생각할 수 있다. 일단 디스크에 보관해둔다. 그 다음 페이지를 작성시 랜덤추출된 파일만 그 때 그 때 올리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한번에 올리지 않아서 부담은 적다. 그러나 이는 개별 페이지 작성시 시간이 조금 많이 걸리게 된다. 한편, 개별 사진 밑에 각 사진별 정보를 붙이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게 된다. 여하튼 조금 더 방안을 생각해보아야 한다. ○ 가리키는 것과 일으키는 것 사이의 혼동 문제 이전 페이지에서 가리키는 것과 일으키는 것 사이의 혼동 문제를 살폈다. 이 문제로 인해 있다 없다 이다 아니다 같다 다르다 좋다 나쁘다 깨끗하다 더럽다 등에 걸쳐 전반적으로 망상분별을 일으키게 됨을 간단히 제시했다. 그러나 그 자세한 내용은 생략했었다. 이 문제를 조금 더 자세하게 살피면 다음과 같다. 지금 안경이 없어서 찾는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찾고자 하는 안경에 대한 생각은 자신의 마음안에 있다. 그런 가운데 안경을 찾는다. 그러다가 안경을 찾았다고 하자. 그렇게 찾은 안경을 이제 손으로 가리킨다고 하자. 찾았던 안경이 저기에 있다. 이렇게 말하면서 안경을 가리킬 수 있다. 이 때 어떤 혼동을 자신이 행하는가를 스스로 잘 관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생사현실에서 기본적으로 일으키는 망상분별과 바로 관련된다. 그리고 이 망상분별을 제거하는 수행이 곧 무상삼매해탈 수행이기도 하다. 금강경에서 상을 취하지 말라고 하는 내용도 이 부분과 바로 관련된다. 그리고 이 부분이 곧 생사현실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제거해야 할 망상분별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그런데 또 한편 욕계의 생활은 거의 대부분 이와 같은 망상분별에 바탕해서 행하게 된다. 그래서 이 부분에서 두가지를 잘 이해해야 한다. 우선 자신이 손으로 가리킨 부분은 자신이 이해하는 내용과 다르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자신이 손으로 가리킨 부분의 본 정체를 올바로 확인해야 한다. 그 부분은 자신이 이해하는 내용과는 다르다. 그렇다면 그 부분의 본 정체는 무엇인가. 이 내용을 스스로 잘 확인해야 한다. 또 한편, 이와 관련해 다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자신이 손으로 가리킨 부분의 본 정체는 자신이 이해한 내용과는 다르다. 이 부분이 이해가 안 될 수 있다. 그래도 일단 그렇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후 다음 의문을 해결해야 한다. 만일 앞 내용이 잘못이라면, 자신이 가리켜야 할 부분은 과연 어떤 부분인가. 이것을 다시 이해해야 한다. 이런 상태에서 다시 다음을 이해해야 한다. 사정이 그렇다고 하자. 그런데 왜 욕계 현실에서는 그런 잘못된 망상분별을 그처럼 일으키게 되는가. 즉 그런 망상분별을 일으키게 되는 사정은 무엇인가. 또 그것이 잘못된 망상분별인데도 그에 바탕해 생활하면 욕계 현실에서 당장은 별 지장이 없게 되는 것은 사정은 또 무엇인가. 그렇지만, 그런 망상분별을 갖고 생활하면 곤란하다고 하는 사정은 또 무엇인가. 즉 그런 엉터리 분별을 행해도 욕계현실에서 당장 불편이 없다. 오히려 욕계 현실에서 생활하는데는 그런 망상분별이 오히려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망상분별을 행하지 않는다고 하자. 그러면 당장 식사도 하기 힘들다. 또 거리를 걷기도 힘들다. 차를 운전해서 거리를 오가고 목표지점에 도달하기도 곤란하다. 그런데 왜 이런 판단을 망상분별이라고 하는가. 그리고 또 수행을 통해 이런 망상분별을 제거하라고 하는가. 만일 그렇게 한다고 하자. 그러면 앞에 적은대로 당장 식사도 하기 힘들다. 거리를 걸어가는 것도 힘들 것이다. 심지어 수행을 위해 경전을 읽거나 기타 활동을 하는 것도 힘들게 될 것이다. 그런데 왜 그런 분별을 제거하는 수행을 행하라고 하는가. 또 그렇다면 이후에는 욕계에서 어떻게 생활하고 수행하라는 것인가. 이런 의문도 함께 해결해야 한다. 우선 앞 부분을 언어표현으로 살펴보자. 안경을 찾는 상황을 놓고 생각해보자. 안경을 찾다가 안경을 찾았다. 이 때 다음처럼 생각하게 된다. 찾았던 안경이 저기에 있다. 그리고 이렇게 말하면서 그 부분을 안경이라고 여기며 손으로 가리킬 수 있다. 이 때 그렇게 손으로 가리킨 부분을 마음으로 잘 오려서 확보해보려고 하자. 이제 이 부분을 언어로서 표시해 각기 가리켜 표현해보자. 언어표현에서는 주어와 서술어 부분의 관계를 먼저 잘 이해해야 한다. 이를 간단히 다음처럼 표현할 수 있다. S는 P다. 이 경우 위 말이 맞다고 하자. 그렇다고 해도 다음 명제가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다. P는 S다. 예를 들어 다음을 생각해보자. 경찰관은 사람이다 이 말은 맞을 수 있다. 그렇다고 사람은 경찰관이다-라고 표현하면 적절하지 않다. 그래서 언어표현에서는 주어에 어떤 내용을 놓는가부터 주의해야 한다. 그래서 앞과 같이 일정 부분을 안경으로 여기면서 손으로 가리킬 때 어떤 언어표현이 적절한가부터 잘 생각해보아야 한다. 이 경우 '가리키는 것'과 '일으키는 것'의 관계를 먼저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손으로 가리킨 부분'은 거꾸로 자신에게 일정한 생각을 일으킬 수도 있다. 자신이 일정부분을 안경으로 여겨 가리켰다고 하자. 이제 그 부분을 다시 살펴보자. 그러면 그 부분은 다시 여러 생각을 일으킬 수도 있다. 안경을 찾았다. 그런데 안경알이 깨져 있거나 더럽혀져 있다고 하자. 그러면 그에 관련된 생각을 다시 일으킬 수 있다. 즉 손으로 가리킨 그 부분이 그런 생각들을 다시 일으키는 것이다. 이 경우는 처음 자신이 안경을 찾아 손으로 가리킨 경우와는 다르다. 두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경우를 놓고 각 경우마다의 언어표현을 다시 생각해보면 된다. ㄸ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0/2565-10-11-k1506-003.html#1980 sfed--대방광불화엄경수현분제통지방궤_K1506_T1732.txt ☞제3권 sfd8--불교단상_2565_10.txt ☞◆vkvu1980 불기2565-10-11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범】Bodhi 도(道)ㆍ지(智)ㆍ각(覺)이라 번역. 2종이 있다. (1) 불교 최고의 이상(理想)인 불타 정각의 지혜. 곧 불과(佛果). (2) 불타 정각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道). 곧 불과에 이르는 길을 말함. ⇒<유사어>도<참조어>도(道)
답 후보
● 보리(菩提)
보살승(菩薩乘)
보시섭(報施攝)
보타락(補陀落)
보현삼매(普賢三昧)
복덕자량(福德資糧)
본각(本覺)
명(名)은 한 부처님의 별명, 석가ㆍ약사ㆍ아촉ㆍ아미타와 같은 것. 호(號)는 모든 부처님의 통칭, 여래ㆍ응공ㆍ등정각ㆍ명행족 등 10호를 말한다.
답 후보
● 명호(名號)
묘길상(妙吉祥)
무간업(無間業)
무구식(無垢識)
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
무루지(無漏智)
무명주지(無明住地)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Francois Feldman - Le Mal De Toi
Indochine_Tomboy 1
Indochine - Traffic Girl-v
Marie Laforet - Perche Due Non Fa Tre (Le Lit De Lola)
Renan Luce - Reponse A Tout
Pierre Vassiliu - Qui C'est Celui-La
Claude Dubois - Pense A La Musiqu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ardo
[san-chn] mātrā-bhojin 於食知足
[san-eng] jananaṃ $ 범어 birth
[pali-chn] upapajja-vedanīya-kamma 順次生受業
[pal-eng] pa.tivibhatta $ 팔리어 pp. of pa.tivibhajatidivided; defined.
[Eng-Ch-Eng] 四無所畏(佛四無所畏,菩薩四無所畏) Four Fearlessness 四無所畏(佛四無所畏,菩薩四無所畏) There are four kinds of fearlessness, of which there are two groups: A.Buddha's fearlessness arises from(佛四無所畏) 1. his omniscience正等覺無所畏 2. perfection of character漏永盡無所畏 3. overcoming opposition說障法無所畏 4.ending of suffering說出道無所畏 B.Bodhisattva's fearlessness arises from(菩薩四無所畏) 1. powers of memory能持無所畏 2. power of moral diagnosis and application of the remedy知根無所畏 3. power of ratiocination決疑無所畏 4.power of solving doubts答報無所畏
[Muller-jpn-Eng] 早課 ソウカ morning devotions
[Glossary_of_Buddhism-Eng] GANDHARA AFGHANISTAN ☞
Syn: Ghandhara.
“Region in the far northwest of India (now southern Afghanistan)
notable in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doctrines of Buddhist Mahayana and Buddhist art. Famous for its
style of sculpture, which was a blend of ancient Indian modified
by Graeco-Roman styles of Asia Minor. Its period was 100-300
A.D. Ancient Indian Buddhist art did not depict the figure of the
Buddha but symbolized his presence. Gandhara art depicts the
Buddha’s figure, the whole life history of the Buddha being given.
Under Kusana kings (Kaniska) i.e., during approximately the first
three centuries A.D., this area was one of a flourishing and vigorous
Buddhist culture with many monastic centres of learning. During
the 2nd century A.D. and after, Gandhara was an area which nourished Buddhist missionary expansion northwards and eastwards into
【book-page-298 299】
China. The multi-storied pagoda which Emperor Kaniska built at
Peshawar (Pakistan), was regarded as one of the wonders of the world
at the time.”
Thai: 497-498 #1635
[fra-eng] restreins $ 불어 restrict
■ 암산퀴즈
667* 343
236958 / 541
■ 다라니퀴즈
자비주 50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68 번째는?
50
또 이 사람이 길을 갈 적에
큰 바람이 불어와
이 사람의 몸이나 터럭이나 옷에 스친 바람이
모든 종류의 중생들을 스쳐 지나가는 경우
이 사람을 스치고 지나간 바람을
몸에 쏘인 이는
일체 무거운 죄와 나쁜 업이
아울러 소멸하며
다시는 삼악도의 과보를 받지 않고
항상 부처님 곁에
태어나게 되니라.
● 타리슬니나 他唎瑟尼那<五十> dha r ṣi ṇi n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68
가만나로먀- 아라 하사다
迦曼拏路尾野<二合>誐囉<二合>賀娑哆<六十八二合>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84일째]
일일광중소현보 $ 026▲毘薩羅毘薩羅為 一 ● 毘贍婆, ○□□□□,不,彼,現,盡
□□□□□□□, 不可言說不可說,
彼如須彌一妙寶, 現眾剎土不可說。
□□□□□□□, 불가언설불가설,
피여수미일묘보, 현중찰토불가설。
하나하나 광명 속에 나투는 보배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고
수미산 크기 같은 한 보배에서
여러 세계 나타냄도 말할 수 없네.
[285째]
진수미보무유여 $ 027▲毘贍婆毘贍婆為 一 ● 毘盛(上)伽, ○□□□□,示,以,一,眾
□□□□□□□, 示現剎土皆如是,
以一剎土末為塵, 一塵色相不可說。
□□□□□□□, 시현찰토개여시,
이일찰토말위진, 일진색상불가설。
수미산이 끝나도록 그 많은 보배
나타내는 세계들로 그와 같거든
한 세계를 부수어 만든 티끌들
한 티끌의 모양을 말할 수 없고
●K0084_T0306.txt★ ∴≪A대방광불화엄경수자분≫_≪K0084≫_≪T0306≫
●K1506_T1732.txt★ ∴≪A대방광불화엄경수현분제통지방궤≫_≪K1506≫_≪T1732≫
●K0104_T0295.txt★ ∴≪A대방광불화엄경입법계품≫_≪K0104≫_≪T0295≫
법수_암기방안
26 손금 the line of the palm
27 새끼마디 [little finger-넉클knuckle]
50 턱 chin, 【악골】顎
68 요골 ~ 노뼈
228781
438
○ 2019_1104_121433_can_exc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15215_can_exc_s12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12725_can_fix 구례 화엄사 구층암
○ 2019_1104_105332_can_exc_s12 구례 화엄사
○ 2020_1017_171831_nik_exc 삼각산 화계사
○ 2016_0505_124920_nik 춘천 청평사
○ 2020_1002_123556_nik_exc_s12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20_0930_141201_nik_ori_rs 화성 용주사
○ 2020_0908_151307_nik_ori_rs 합천 해인사
○ 2020_0907_141123_can_ori_rs 양산 통도사
○ 2020_0906_120637_nik_ori_rs 천축산 불영사
○ 2020_0211_125044_nik_exc 불암산 천보사
○ 2019_1201_154454_nik_fix 원주 구룡사
○ 2019_1105_161254_can_exc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5_155240_can_fix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6_113750_can_exc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091235_can_exc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63747_nik_exc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5_160754_nik_exc 순천 조계산 송광사
● [pt op tr] fr
_M#]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방광불화엄경수현분제통지방궤_K1506_T1732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제3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5-10-11_대방광불화엄경수현분제통지방궤-K1506-003
https://blog.daum.net/thebest007/820
sfed--대방광불화엄경수현분제통지방궤_K1506_T1732.txt ☞제3권
sfd8--불교단상_2565_10.txt ☞◆vkvu1980
불기2565-10-1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0/2565-10-11-k1506-003.html
htmback--불기2565-10-11_대방광불화엄경수현분제통지방궤_K1506_T1732-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