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사진론』
K0629
T1619
무상사진론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무상사진론』
♣0629-001♧
무상사진론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4_133605_nik_ab1_s12
○ 2019_1104_102700_can_ct3_s12
○ 2018_1023_165801_nik_ct23
○ 2018_1024_140005_can_ct36
○ 2018_1022_174122_nik_Ab31
○ 2018_1022_172748_nik_ct19
○ 2020_1017_153934_can_bw0_s12
○ 2020_0930_150500_nik_ab35
○ 2020_0930_143700_nik_BW27
○ 2020_0909_154953_can_ori_rs
○ 2020_0908_154617_can_ab41
○ 2020_0907_153043_can_Ab31
○ 2020_0907_140738_can_ct16
○ 2020_0907_152018_nik_ar39
○ 2020_0907_123911_nik_bw5
○ 2020_0904_132934_can_ori_rs
○ 2020_0211_134459_can_ct33_s12
○ 2019_1201_162919_can_ct19_s12
○ 2019_1105_104949_can_exc
○ 2019_1106_102342_can_BW21_s12
● [pt op tr] fr
_M#]
★2★
❋❋본문 ♥ ◎[개별논의]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無相思塵論
K0629
○ [pt op tr]
[#M_▶더보기|◀접기|
무상사진론(無相思塵論)
진나(陳那) 지음
진제(眞諦) 한역
김철수 번역
만약 인허(隣虛)1)에 관해 말하기를
이는 ‘모든 것’[모든 인식]의 근본 원인[根本因]이라고 한다면
[이것은] ‘닮은꼴’[似]의 상(相)을 일으킬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은] ‘인식의 주체[根]’가 될 수 없듯이
‘인식의 대상[境]’이 아니라고 해야 하네.
식(識)은 ‘닮은꼴’[似]의 상(相)을 취합하여 일어나는 것인데
그[인허]로부터는 [닮은꼴의 상이] 생하는 것이 아니네.
‘취합된 것’[닮은꼴의 상]에는 본체가 없으니
비유하자면 ‘제2의 달’[第二月]과 같네.
이 두 가지 뜻으로 말미암아
외부에 존재하는 사물은
‘식(識)의 대상[塵]’2)이 아니라고 해야 하네.
어떤 이들은 말하기를,
“인허가 취합되어 만물을 이루고
식은 그것[만물]과 ‘비슷한 것’[닮은꼴의 상]을 일으키므로
[인허가] ‘식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라고 말하네.
인허의 본체(體)와 모습(相)이
만약에 ‘실유(實有)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식은 [그것과] 비슷하지 않기 때문에
[그것은] ‘식의 대상’이 아니며
[마찬가지로] ‘근(根)의 대상[境]’도 아니네.
인허가 만약에 ‘식의 대상’이라면
[모든] 식에는 차별이 없을 것이네.
만약에 ‘만물의 형상[相]’에 차별이 있어서
식에도 차별이 있다고 말한다면
[차별되는] ‘다양한 형상’들은
‘식별된 관념[假名]’으로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체(體)는 진실한 것이 아니라고 해야 하네.
인허의 본체[體]를 인식[量]하려 하지만
어떠한 곳에서도 식별할 수 없다네.
만약에 인허를 식별할 수 없다면
온갖 식(識)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된다네.
그러므로 ‘만물의 모습’(相)은
모두가 ‘식별된 관념[假名]’일 뿐이네.
‘내부에(관념으로)존재하는 사물의(닮은꼴의)모습[內塵相]’이
마치 외재하는 것처럼 나타나서
‘식의 대상[識塵]’이 되는 것이라네.
식이 그것과 ‘비슷한 것(닮은꼴의 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것[內塵相]을] ‘식의 소연이 되는 연[所緣緣]’3)이라고 한다네.
[본체가] 생함과 동시에 모습[相]이 결정되며
동시에 ‘공능[用]’을 성취한다네.
[체와 상과 용을]차례대로 일어나게 하여
‘둘(식과 대상)’과 근(根)이 함께 생하네.
수승한 공능이 ‘식의 주체[根]’가 되기도 하고
수승한 공능이 ‘식의 대상[塵]’이 되기도 하여
식에 대하여 무애(無碍)하니
무시이래로 서로 인(因)이 되고 서로 생하여 준다네.
무위(無爲)의 인(因)이 된다네.
만약 어떤 사람이 “안(眼) 등의 6식(識)은 외경(外境)을 반연하여 일어난다”라고 집착한다 하자.
이 경우에 이 사람은 인허를 분별하여 ‘식의 대상’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이것이 인식의 원인[因]이기 때문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인허가 취합된 것’을 ‘식의 대상’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비슷한 것’[닮은꼴의 상(相)]을 취합하여 식이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말할 것이다.
‘식의 대상’(塵)이란 어떠한 모습[相]인가?
만약에 식이 그것(塵)의 본체(體)와 모습(相)을 분별하여 알 수 있다면 그것의 본체의 모습과 똑같이 식을 일으킬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것을 ‘식의 대상’[塵]이라고 하는 것이다.[그런데] 인허에는 이러한 일이 없다.
만약에 인허가 실재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식의 원인’[因]이 될 것이다.
비유하자면 5근과 같다.
그렇기 때문에 인허는 ‘식의 대상’[塵]이 아니다.
만약에 이 인허가 ‘취합되는 것’이라면 응당 이것은 ‘근의 대상’[境]이 될 것이다.
취합된 모습과 같이 식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록 이와 같이 그 모습과 같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식은 그것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인허가 취합된 것’ 역시 ‘식의 대상’(塵)이 아니다.
왜냐하면 만약에 ‘식의 대상’[塵]이 식을 생한다면 그것의 본체의 모습[相]과 ‘유사한 것’[닮은꼴]이어야만 ‘식의 대상’[塵]이라고 믿을 수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래야만 이 ‘식의 대상’[塵]이 식을 생하게 하는 연(緣)이 된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취합된 것’이라면 이와 같지 않다.
그 본체가 실유하지 않기 때문이다.
비유하자면 두 개의 달이 보이는 것과 같다.
안근(眼根)이 식을 어지럽히기 때문에 두 개의 달이 있는 것처럼 식이 일어나는 것이다.
두번째의 달은 식의 경계가 아니다.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취합된 것 역시 이와 마찬가지이다.
인허를 떠나서는 실체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허가 취합된 것 역시 식의 경계가 아니다.
그러므로 ‘바깥에 있는 대상(外塵)’은 이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식의 경계가 아니다.
그것들은 [식의 소연이 될] 부분들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학자들은 말한다.
“이러한 인허가 취합되어 모이면 만물을 이룬다.
이것은 다양한 종류의 모습[相]을 갖추고 있어서,
이것들이 식의 경계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차별되는 모습’[相]들이 있다면,
인허뿐만 아니라 인허가 ‘취합된 것’들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허와 인허가 ‘취합된 것’ 중에서
‘모습[相]이 있는 것’을 6식이 그 경계로 삼는다”라고 말한다.
[그런데] ‘인허의 모습[相]’이란 것은 ‘식의 대상’[塵]이 아니다.
인허 중에는 견고함[堅]ㆍ습함[濕]ㆍ열기[暖]ㆍ움직임[動]ㆍ촉감[觸] 등이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것들이 실유(實有)한다 하더라도 안식(眼識)의 경계는 아니다.
안식은 그와 같은 식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인허 중의 만물 또한 이와 마찬가지이다.
인허라는 것이 만물 중에서 만약에 식을 생하면 이 식은 차별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만물 중에 있는 인허는 차별이 없기 때문이다.
만약에 그대가 말하기를,
“모습[相]의 차별이 있기 때문에 식에 차별이 생긴다.
항아리 등의 모든 사물의 모양은 같지 않다.
이런 차별되는 모습을 반연하기 때문에 식에도 차별을 일으킨다”라고 말한다면 이 뜻은 옳지 않다.
왜냐하면 이와 같이 항아리 등의 항아리 등의 가명의 물건 속에 모습의 차별이 있으면,
인허에도 [이러한 모습의 차별이] 없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허의 본체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차별이 없는 줄 알 수 있기 때문에,
실재의 사물 중에는 [인허가] 없는 것이 된다.
만물 가운데 있는 인허의 본체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이른바 둥글다거나 미세하다거나 하는 등의 차별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만물의 모습[相]은 실유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분별된 관념’(假名)으로만 존재하는 것이다.
이 ‘분별된 관념의 모습’[假名相]이란 항아리 따위의 모든 사물을 일컫는다.
만약에 인허가 없다면 항아리 등에 대한 식은 생기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에 모든 상(相)들이 ‘실재하는 것’[實物]이라고 한다면 상응하는 대상이 깨지더라도 그 ‘실재하는 것’에 유사한 식은 멸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깨지지 않았을 때에 항아리 등에 대하여 일으킨 ‘다섯 대상’[五塵]에 대한 식의 모습[相]이 그대로 유지되어서,
[항아리가] 깨어진 후에도 ‘다섯 대상’[五塵]에 대한 식이 멸하지 않기 때문에 다섯 가지 ‘식의 대상’[塵 ]은 실유하는 것이라고 말해야 한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인허나 ‘인허의 취합’인 만물이 식을 생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바깥의 사물’(外塵)은 식의 경계가 아닌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어떤 것을 ‘식의 대상’(塵)이라고 말하는가?
내부에 있는 대상의 모습(內塵相)이 외부에 있는 것처럼 나타나는데 이것을 ‘식의 대상’[識塵]이라 한다.
‘바깥에 있는 대상의 모습’[外塵]은 실유가 아니다.
‘내부의 식’(內識)에 있는 중생의 산란된 마음이 분별하기 때문에 ‘여섯 대상’[六塵]의 분별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 분별은 마치 바깥에 있는 것처럼 나타난다.
이것을 ‘네 가지의 연’[四緣]4) 중에서 ‘식의 소연(所緣)이 되는 연’[緣緣]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식의 ‘본체(體)의 모습(相)’이기 때문이며 이로부터 식이 생하기 때문이다.
무슨 까닭인가?
이 식이 ‘내부의 대상’[內塵]의 모습[相]을 짓고 ‘내부의 대상’[內塵]으로부터 식이 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내부의 대상’을 [식의]경계라고 말한다.
【문】‘바깥의 대상’[外塵]이 식(識)을 일으킨다고 하는 것과 같이,
이것[내부의 대상이 식을 일으킨다고 하는 것]도 옳을 수 있다.
[그런데] 내진은 식의 한 부분이어서,
식과 동시에 일어나게 되는데 어떻게 ‘소연의 연’[緣緣]이 될 수 있는가?
【답】‘소연의 연’이 된다는 것은 이것을 반연하여 식이 생한다는 것이지,
둘이 따로 있다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연이란 것은 일시에 함께 일어나더라도 ‘다른 법’[餘法]을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다른 것’의 생(生)과 불생(不生)에 따라서 [동시에 일어나는 것의] 생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문】만약에 차례대로 생한다면 소연(所緣)5)5)능연과 대칭되는 개념으로 인식의 대상을 지칭한다.
범어로는 pratyaya 또는 alambana 라고 한다.
pratyaya 식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의미하며,
alambana 는 소연인 pratyaya 가 능연인 식의 내부에 영상적 이미지로 존재하는 상태를 지칭할 때 쓰는 말이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pratyaya 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라고 보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과 능연(能緣)6)의 모습은 어떠한가?
【답】만약에 인(因)이 앞에 있다면 과(果)는 뒤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과는 인을 따르나 인은 과를 따르지 않는다.
만약에 인이 있으면 과도 반드시 있고,
만약에 인이 없으면 과도 반드시 없다.
[그러나] 과는 인을 따라서 혹은 있기도 하고 혹은 없기도 한다.
이러한 것을 ‘인과의 모습[因果相]’이라 한다.
그래서 [일어나는]공능을 차례대로 설명하기 위해서 ‘소연’과 ‘능연’이라는 개념을 세우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닮은꼴[似]’의 진(塵)과 식(識)이 차례로 일어나서 ‘닮은꼴’의 과(果)를 생하고 [또 다른]공능을 일으켜서 ‘식(識)의 상속(相續)’을 생하는 것이다.
【문】만약에 ‘내부의 대상’이 ‘식(識)의 소연(所緣)의 연(緣)’이고 이것은 ‘연(緣)에 의하여 생한 것’(緣生)이라면,
경전에서는 무엇 때문에 경의 내용을 풀이하면서 “근(根)에 의지하고 색(色)에 연하여 안식(眼識)이 생한다”라고 이와 같이 여러 경전에서 널리 설하고 있는 것인가?
【답】공능의 본체의 모습[相]이 능히 함께 과(果)를 지을 수 있는 것을 근(根)이라고 말한다.
【문】근(根)은 그 체(體)와 용(用)이 어떠한가?
【답】‘수승한 공능’[勝能]이 이 근의 체이다.
【문】이 체(体)는 어떠한 것에 비량(比量)하여 알 수 있는가?
【답】자신의 과(果)를 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수승한 공능’은 능히 구별하여 알 수는 있으나 4대색(大色)7)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이 공능은 식 가운데서 장애됨이 없다.
이 공능은 식 가운데서 식과 구별되지만,
그 체를 드러내 보일 수는 없다.
【문】만일 내가 주장하는 근(根)과 당신이 주장하는 근(根)이 동일한 공능을 체로 하고 있다면,
이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답】이와 같이 ‘[근(根)의]공능’과 ‘닮은꼴의 대상의 모습[似塵相]’은 서로 인(因)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근의]공능’과 ‘닮은꼴의 대상의 모습[似塵相]’은 무시이래로 생겨난 것이다.
이 모두를 공능에 의지하여 말할 때에는 근(根)이라 하고,
‘내부에 있는 대상의 모습[內塵相]’을 의지해서 말할 때에는 경(境)이라 한다.
이와 같이 산란한 식(識)은 그 모습[相]을 말할 수 없다.
이와 같은 현상[法]들을 일으키며 다시 서로 인(因)이 된다.
그렇지만 그 시초가 따로 없다.
왜냐하면 ‘[근의]공능’이 익어져서 ‘대상의 모습’을 일으키기도 하고,
‘대상의 모습’이 익어져서 ‘[근의] 공능’을 일으키기기도 하기 때문이다.
식(識)이라고 하는 것은 이 ‘둘[근과 경]’과 다르기도 하고,
이 ‘둘[근과 경]’과 다르지 않기도 하다.
그래서 언설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내부의 대상[內塵]’은 두 가지 법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식의 경계가 된다고 할 수 있다.
1)
범어로는 paramanu이며,
극미(極微)ㆍ극미진(極微塵)ㆍ극세진(極細塵)이라고도 한다.
물질[色法]의 최소 단위이다.
2)
범어에서 구분하는 용례를 그대로 따른다면 근(根)의 대상은 경(境,
visaya)이라 하고,
식(識)의 대상은 진(塵,
artha)이라고 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visaya와 artha를 구분 없이 동의어로서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불교에서는 양자를 구분하지 않거나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래서 artha와 visaya에 대하여,
“진제(眞諦) 등의 구역가(舊譯家)는 진(塵)이라고 번역하고,
신역(新譯)에서는 경(境) 또는 경계(境界)로 번역한다”라는 사전적인 해설이 있으나 이는 엄밀한 구분이 아니다.
안ㆍ이ㆍ비ㆍ설ㆍ신ㆍ의 등의 6근(根)의 작용 대상인 색ㆍ성ㆍ향ㆍ미ㆍ촉ㆍ법 등을 6경(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6근과 6경의 만남에 의해서 6식이 발생하면 6식의 대상이 되고 있는 내재화된 6경의 모습을 6진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3)
범어로는 pratyaya 또는 alambana 라고 한다.
소연연(所緣緣)이라고도 한다.
말 그대로 ‘소연(所緣)이 되는 연’이다.
4연 가운데 하나이다.
소연이란 심(心)과 심작용[心所]의 대상 즉,
인식작용의 대상을 말한다.
이러한 의미에서는 alambana라고 말한다.
그런데 만약 심과 심작용의 대상이 오히려 원인이 되어 심과 심작용으로 하여금 결과를 낳게 할 때 이러한 ‘심과 심작용의 대상’을 ‘소연연’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pratyaya 라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4)
4연이란 인연(因緣)ㆍ등무간연(等無間緣)ㆍ소연연(所緣緣)ㆍ증상연(增上緣)을 말한다.
6)
인식작용의 주체를 의미한다.
즉,
근(根,
indriya)을 말한다.
그런데 근(根)에서 일어나는 심식(心識)의 활동은 독자적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반연대상,
즉 소연이 있어야 한다.
유식학파에서는 근과 식의 소연이 식 내부에 있다는 학설을 주장하는데 『무상사진론』은 이 학설을 증명하고자 하는 논리를 펴고 있다.
7)
지ㆍ수ㆍ화ㆍ풍 4대(大)가 쌓여 모이면 물질[色]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를 사대소조색(四大所造色)이라 한다.
오근(五根)의 수승한 공능이란 감각기관에서 식이 발생하는 작용을 말한다.
이때 식을 발생시킨 오근의 공능은 감각작용만이 아니라 인식작용을 포함하는 것이어서 식과 서로 연이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근을 흔히 감관기관이라고 말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오근의 공능’이란 감각기관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기관에서 일어나는 감각기능과 인식기능을 총괄적으로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물질 형태로 구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 [pt op tr] fr
_M#]
★%★
『무상사진론』
♣0629-001♧
◎◎[개별논의] ♥ ❋본문
● 무엇때문에 사물을 보게 되는가. 본 내용은 옳은 내용인가의 문제
현실에서 누구나 눈을 뜨면 일정한 세상 모습을 보게 된다.
그것은 별 차이가 없다.
그런데 그렇게 보게 된 내용의 정체가 무언가에 대해 각 입장이 다르다.
그리고 그렇게 얻게 된 내용이 과연 옳은 내용인가에 대해서도 또 입장이 다르다.
이와 관련해 수많은 혼동을 일으킨다.
대부분의 망집은 또 여기에 바탕한다.
『무상사진론』에서도 그에 관해 내용을 제시한다.
이에 관해서는 정리할 내용이 너무 많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이 내용을 너무 많이 반복했다.
그래서 이제는 이 논의는 그만 두어야 할 것 같다.
다만 기존 내용을 조금 잘 정리할 필요를 느낀다.
관소연연론 부분에서 이와 관련된 내용을 모아 정리하는 중이다.
★★★
불기2562-05-07_관소연연론-K0628-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2562-05-07-k0628-001.html
★1★
◆vybl1894
◈Lab value 불기2565/11/11 |
Jacques Brel - La Chanson Des Vieux Amants
♥단상♥왜 하필 이렇게 보이는가. 요즘 눈 상태가 안 좋다. 나이가 들어 노안이 와서 이전에도 눈 상태가 안 좋았다. 그런데 지금은 단순한 노안 문제가 아닌 듯 하다. 그간 병원에 가봐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너무 바빠서 차일피일 미루다가 오늘에 이르렀다. 병원에 가려면 왠지 걱정이 앞선다.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1/2565-11-11-k0629-001.html#1894 sfed--무상사진론_K0629_T1619.txt ☞무상사진론 sfd8--불교단상_2565_11.txt ☞◆vybl1894 불기2565-11-11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 퀴즈
5안(眼)의 하나. 모든 법의 진성을 비쳐보는 부처님의 눈.
답 후보
● 불안(佛眼)
불퇴아라한(不退阿羅漢)
비구계(比丘戒)
비량(非量)
비목차(毘目叉)
비바시(毘婆尸)
비생비멸(非生非滅)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Francis Cabrel - Le Pas Des Ballerines
Alain Bashung - Le Tango Funebre
Jean-Louis Murat - Le Troupeau
Elli Medeiros - Toi Mon Toit
Felix Leclerc - Un Soir De Fevrier
Les Ogres De Barback - Condkoi
Jacques Higelin - L'accordeon Desaccord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thaviravada
[san-chn] okasta 過
[san-eng] yaṣṭavyaṃ $ 범어 must be performed
[pali-chn] kāmarāga 十不淨想
[pal-eng] luukha $ 팔리어 adj.rough; coarse; miserable.
[Eng-Ch-Eng] 四分羯磨 An alternative title to the Four Part Vinaya 四分律. Wonhyo wrote a non-extant commentary to this work, entitled Sapun kalma so 四分羯磨疏.
[Muller-jpn-Eng] 父 チチ father
[Glossary_of_Buddhism-Eng] MERIT TRANSFERENCE☞
See: Dedication of Merit.
[fra-eng] ballai $ 불어 dangled
■ 암산퀴즈
954* 592
83062 / 119
■ 다라니퀴즈
자비주 3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99 번째는?
3
수명을 얻게 하기 위함이며,
● 바로기제새바라야 婆盧羯帝爍鉢囉耶<三> va lo ki te ś va rā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99
아리타 만다
阿哩他<二合>滿哆<九十九>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15일째]
묘지청정불가설 $ 057▲離憍慢離憍慢為 一 ● 不動, ○□□□□,妙,了,斷,出
□□□□□□□, 妙慧清淨不可說,
了諸實相不可說, 斷諸疑惑不可說,
□□□□□□□, 묘혜청정불가설,
료제실상불가설, 단제의혹불가설,
묘한 슬기 청정함도 말할 수 없고
묘한 지혜 청정함도 말할 수 없고
실상을 이해함도 말할 수 없고
의혹을 끊는 일도 말할 수 없고
[316째]
출리생사불가설 $ 058▲不動不動為 一 ● 極量, ○□□□□,超,甚,了,一
□□□□□□□, 超昇正位不可說,
甚深三昧不可說, 了達一切不可說,
□□□□□□□, 초승정위불가설,
심심삼매불가설, 료달일체불가설,
죽살이 뛰어남도 말할 수 없고
정위(正位)에 올라감도 말할 수 없고
매우 깊은 삼매도 말할 수 없고
온갖 것 통달함도 말할 수 없고
●K1033_T0720.txt★ ∴≪A무명나찰집≫_≪K1033≫_≪T0720≫
●K0629_T1619.txt★ ∴≪A무상사진론≫_≪K0629≫_≪T1619≫
●K0409_T0485.txt★ ∴≪A무소유보살경≫_≪K0409≫_≪T0485≫
법수_암기방안
57 眼球 【안구】 동공 eye ball
58 (이)비 鼻孔 【비공】 콧구멍
3 밥통 【위】
99 무명 (~네째) 발가락 [ 신조어 ]
564768
698
○ 2020_1125_155337_can_CT28
○ 2020_1125_152207_can_Ar37_s12
○ 2020_1125_152132_can_bw0_s12
○ KakaoTalk_20190731_201054202_02_ct9
○ 2019_0801_080923_can_CT33_s12
○ 2019_0731_192503_can_BW22
○ 2019_0113_123222_can_CT33_s12
○ 2019_0113_110441_can_AB4_s12
○ 2019_1104_175348_nik_ar45_s12
○ 2019_1104_161756_can_ct19_s12
○ 2020_1114_143333_can_CT27
○ 2020_1114_133636_can_bw4_s12
○ 2018_1022_175405_can_Ab15
○ 2018_1022_172926_can_Ar12
○ 2020_0910_180435_can_CT33
○ 2020_0910_150234_nik_ab12
○ 2020_0910_112204_can_BW25
○ 2020_0904_135827_nik_BW28
○ 2020_0211_134524_can_ct4
○ 2019_1201_154346_can_CT33
● [pt op tr] fr
_M#]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무상사진론_K0629_T1619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무상사진론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5-11-11_무상사진론-K0629-001
https://blog.daum.net/thebest007/859
sfed--무상사진론_K0629_T1619.txt ☞무상사진론
sfd8--불교단상_2565_11.txt ☞◆vybl1894
불기2565-11-1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1/2565-11-11-k0629-001.html
htmback--불기2565-11-11_무상사진론_K0629_T1619-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