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7월 31일 목요일

경율이상-k1050-045


『경율이상』


K1050
T2121

경율이상 제45권/전체5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7-31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050_T2121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경율이상』 ♣1050-045♧




경율이상 제45권/전체5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54152_canon_ar21_s12▾화순 계당산 쌍봉사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73627_canon_BW21_s12▾화순 계당산 쌍봉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63858_nikon_Ab35▾원주 구룡사

여주 봉미산 신륵사
○2020_0904_091512_nikon_ct9▾여주 봉미산 신륵사

원주 구룡사
○2020_0904_125755_nikon_ar47▾원주 구룡사

원주 구룡사
○2020_0904_130300_nikon_CT28▾원주 구룡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32234_canon_ori_rs▾양산 통도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41047_canon_ar1▾양산 통도사

무주 백련사
○2020_0909_154852_canon_ct9▾무주 백련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14559_canon_ar45▾속리산 법주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31511_canon_ct9▾속리산 법주사

제천 의림지 대도사
○2020_0911_112254_nikon_bw5▾제천 의림지 대도사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50756_canon_Ar12▾예산 덕숭산 수덕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31603_canon_Ab15▾삼각산 도선사

영광_모악산_불갑사
○2021_1006_173658_nikon_ct19_s12_pc▾영광_모악산_불갑사

의령_봉황산_일붕사
○2021_1004_093041_canon_ar17_s12▾의령_봉황산_일붕사

서울_동국대_정각원
○2014_1118_163446_canon_Ar26_s12▾서울_동국대_정각원

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2022_0827_142045_nikon_ct19_s12▾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2021_1003_143559_nikon_Ab35_pc▾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 [pt op tr] fr
_M#]


무주 백련사
○2020_0909_122559_canon_BW25▾무주 백련사



❋❋본문 ◎[개별논의]

★%★

『경율이상』 ♣1050-045♧
경율이상 해제 (있는 경우)

경율이상 045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kcq1264
◈Lab value 202110031435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091937_canon_bw0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wikiart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ruins-of-an-ancient-tomb-placed-before-other-ruins-of-an-aqueduct.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Giovanni-Battista-Piranesi
Giovanni Battista (also Giambattista) Piranesi ( 4 October 1720 – 9 November 1778)
이탈리아 예술가로 피라네시 (Piranesi)는 베니스 공화국의 일부인 트레비조 (Treviso ) 근처의
모글리아노 베네토 (Mogliano Veneto )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형제 Andrea는 그를 라틴어 와 고대 문명에 소개했으며
나중에 삼촌 마테오 루체시 (Matteo Lucchesi)의 견습생이 되어,
역사적인 건축물을 설계하고 복원하는 Magistrato delle Acque 의 수석 건축가였습니다 .[...이하 줄임...]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Title : ruins-of-an-ancient-tomb-placed-before-other-ruins-of-an-aqueduct.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9_131559_nik.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Abraham_Avinu_Synagogue,_Hebron
[#M_▶더보기|◀접기|
Abraham Avinu Synagogue, Hebron 1925.
Source The First Photographs of The Holy Land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Château de Lastours ,France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Mireille Mathieu - Ciao, Bambino, Sorry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8/k1050-045.html#1264
sfed--경율이상_K1050_T2121.txt ☞경율이상 제45권/전체50권
sfd8--불교단상_2569_07.txt ☞◆vkcq1264
불기2569-07-31
θθ





■ 퀴즈

중생들의 근기에 따라 여러 가지로 말씀한 교설(교설).

답 후보
● 수기설(隨機說)
수륙재(水陸齋)
수면(隨眠)
수범수제(隨犯隨制)

수수(授手)
수연(水煙)
수월관음(水月觀音)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Indochine - La promesse
Stéphan Eicher - 1000 Vies
Luis Mariano - Johnny Guitare
Tino Rossi - Arrivederchi Roma
KENT - J'Aime Un Pays
Gilles Vigneault - Mon Pays
Michel Sardou - J'y Croi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56▲ 色西覀舌成 ■ 색서아설성 56 ( 빛 색 )( 서녘 서 )( 덮을 아 )(혀 설 )(이룰 성 )
017▲ 川巛千寸夂 ■ 천천천촌치 17 ( 내 천 )( 내 천 )(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마디 촌 )( 뒤쳐져 올 치 / 마칠 종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Angulimala
[san-chn] citta-vara 大心
[san-eng] stuvaṁti $ 범어 praise, flatter
[pali-chn] parinibbāti 入滅
[pal-eng] naagabala $ 팔리어 adj.having the strength of an elephant.naagabalaa (f.), a kind of creeping plant.
[Eng-Ch-Eng] 偏袒右肩 To bare the right shoulder and turn it toward (the Buddha). An Indian ritual for showing respect to a sagely teacher. CP
[Muller-jpn-Eng] 不修外道 フシュゲドウ non-Buddhists who eschew cultivation
[Glossary_of_Buddhism-Eng] BUDDHA JAYANTI☞
See: Jayanti Celebrations.

[fra-eng] engagées $ 불어 engaged
[chn_eng_soothil] 唵 oṃ; auṃ; 'a word of solemn affirmation and respectful assent (sometimes translated by yes, verily, so be it, and in this sense compared with Amen). 'M. W. It is 'the mystic name for the Hindu triad', and has other significations. It was adopted by Buddhists, especially by the Tantric school, as a mystic spell, and as an object of meditation. It forms the first syllable of certain mystical combinations, e. g. 唵?呢叭 061971 吽 oṃ maṇi padme huṃ, which is a formula of the Lamaistic branch, said to be a prayer to Padmapani; each of the six syllables having its own mystic power of salvation from the lower paths of transmigration, etc.; the formula is used in sorcery, auguries, etc.; other forms of it are 唵?呢鉢頭迷吽; 唵麽抳鉢訥銘吽.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言: 「如我解佛所說義, 無有定法名阿耨多羅三藐三菩提,
亦無有定法如來可說.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제가 부처님이 말씀하신 뜻을 알기로는 아뇩다라삼
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라고 이름 할 만한 일정한 법이 없으며, 여래
께서 말씀하셨다고 할 만한 일정한 법도 없습니다.
[玄奘] 善現答言: 世尊, 如我解佛所說義者, 無有少法,
如來、應、正等覺證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亦無有少法,
是如來應正等覺所說.
[義淨] 妙生言: 如我解佛所說義, 如來於無上菩提實無所證, 亦無所說.
07-03 एवमुक्ते आयुष्मान् सुभूतिर्भगवन्तमेतदवोचत्-यथाहं भगवन् भगवतो भाषितस्यार्थमाजानामि, नास्ति स कश्चिद्धर्मो यस्तथागतेन अनुत्तरा सम्यक्संबोधिरित्यभिसंबुद्धः, नास्ति धर्मो यस्तथागतेन देशितः।
evamukte āyuṣmān subhūtirbhagavantametadavocat | yathāham bhagavan
bhagavato bhāṣitasyārthamājānāmi | nāsti sa kaściddharmo yastathāgatena
anuttarā samyaksaṁbodhirityabhisambuddhaḥ | nāsti dharmo yastathāgatena
deśitaḥ |
그렇게 말해졌을 때 장로인 수보리는 복덕갖춘분에게 이렇게 말씀드렸다.
“복덕갖춘분이시여! 복덕갖춘분께서 말씀하실 때 목적하신 것을 알아차린 바에 따르면,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위없는 바르고동등한깨달음이다’라고 철저히 깨달아진 어떤 법도
없으며, (혹은)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지도된 어떤 법도 없습니다.
▼▷[evamukte] ① evam(ƺ.) + ukte(njp.→ƿ.abso.loc.) → [그렇게、 말해졌을 때]
② evam(ƺ. thus, so, in this manner or way)
② ukta(nj. uttered, said: ƿ. a speech, words) < vac(2.ǁ. to say, speak)
▼[āyuṣmān] ① āyuṣmān(nj.→ƾ.nom.) → [장로인]
② āyuṣmat(nj. alive, living; long­lived; lasting)
▼[subhūtirbhagavantametadavocat] ① subhūtiḥ(ƾ.nom.) + bhagavantam(ƾ.acc.) +
etad(ƺ.) + avocat(a­aor.Ⅲ.sg.) → [수보리는、 복덕갖춘분에게、 이렇게、 말씀드렸다.]
② etad(ƺ. in this manner, thus, so, here, at this time)
② vac(2.ǁ. to speak, say, tell)
▼▷[yathāham] ① yathā(ƺ.) + aham(pn.Ⅰ.nom.) → [(~함에 따라)、 제가]
② yathā(ƺ. in which manner or way, according as, as it is or was; as, as like)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bhagavato] ① bhagavataḥ(ƾ.abso.gen.) → [복덕갖춘분께서]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bhāṣitasyārthamājānāmi] ① bhāṣitasya(njp.→ƾ.abso.gen.) + artham(ƾ.acc.) +
ājānāmi(pres.Ⅰ.sg.) → [말씀하실 때、 목적을、 압니다.(→아는 바에 따르면,)]
② bhāṣita(p.p. spoken, said, uttered)
② artha(ƾ. aim, purpose; cause, motive; matter, work; property, money)
② ājñā(9.ǁ. to know, understand, learn, obtain information, ascertain, notice)
▼▷[nāsti] ① nāsti(ƺ.) → [없습니다]
② nāsti(ƺ. 'it is not', non­existence)
▼[sa] ① saḥ(ƾ.nom.) → [그]
▼[kaściddharmo] ① kaścit(pn.ƾ.nom.) + dharmaḥ(ƾ.nom.) → [어떤、 법이.]
▼[yastathāgatena] ① yaḥ(pn.ƾ.nom.) + tathāgatena(ƾ.ins.) → [(어떠한) 그것은、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anuttarā] ① anuttarā(nj.→Ʒ.nom.) → [위없는]
▼[samyaksaṁbodhirityabhisambuddhaḥ] ① samyaksambodhiḥ(Ʒ.nom.) + iti(ƺ.) +
abhisambuddhaḥ(njp.→ƾ.nom.) → [바르고동등한깨달음이다、 라고、 철저히
깨달아졌습니다.] → ~라고 철저히 깨달아진 어떤 법은 없습니다.
▼▷[nāsti] ① nāsti(ƺ.) → [없습니다]
▼[dharmo] ① dharmaḥ(ƾ.nom.) → [법이]
▼[yastathāgatena] ① yaḥ(pn.ƾ.nom.) + tathāgatena(ƾ.ins.) → [(그러한) 그것은、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deśitaḥ] ① deśitaḥ(nj.→ƾ.nom.) → [지도되어진.]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12일째]
료지중생불가설 $ 083▲阿野娑阿野娑為 一 ● 迦麼羅, ○□□□□,知,知,知,知

□□□□□□□, 知其種性不可說,
知其業報不可說, 知其心行不可說,
□□□□□□□, 지기종성불가설,
지기업보불가설, 지기심행불가설,

了知眾生不可說,
중생을 잘 알음도 말할 수 없고
그 종성을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그 업보(業報)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마음과 행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213째]
지기근성불가설 $ 084▲迦麼羅迦麼羅為 一 ● 摩伽婆, ○□□□□,知,雜,觀,變

□□□□□□□, 知其解欲不可說,
雜染清淨不可說, 觀察調伏不可說,
□□□□□□□, 지기해욕불가설,
잡염청정불가설, 관찰조복불가설,

知其根性不可說,
근성을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지해 욕망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더럽고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관찰하고 조복함을 말할 수 없고

085□



●K0598_T1584.txt★ ∴≪A결정장론≫_≪K0598≫_≪T1584≫
●K1050_T2121.txt★ ∴≪A경율이상≫_≪K1050≫_≪T2121≫
●K1059_T2151.txt★ ∴≪A고금역경도기≫_≪K1059≫_≪T2151≫


■ 암산퀴즈


616* 975
204370 / 535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17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5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104 번째는?




17 방편을 증장시키며,
차나참포, 剎拏讖蒱<十七>
ksana ksam bhu,
찰나(刹那)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50 사다하라 ◐社多訶囉<三百五十>◑jat'āhāra
351 시미다하라 ◐視微多訶囉<食壽命鬼三百五十一>◑jivit'āhāra
352 바략야하라 ◐皤略耶訶囉<食祭鬼三><百五十二>◑balyㆍāhāra
353 건타하라 ◐健陁訶囉<食香鬼三百五十三>◑gandh'āhāra
354 보스바하라 ◐布瑟波訶囉<食花鬼三百五十四>◑pushp'āhāra
355 바라하라 ◐破囉訶囉<食五果子鬼三百五十五>◑phal'āhāra
356 사사하라 ◐薩寫訶囉<食五穀種子鬼三百五十六>◑sasy'āhāra//
357 바바짇다도스타 짇다 ◐波波質多突瑟咤<知諫反>質多<惡心鬼三百五十七>◑pāpaㆍcitaḥㆍdushṭaㆍcittaḥ
358 로타라짇다 ◐嘮陁羅質多<嗔心鬼三百五十八>◑raudraㆍcittaḥ
359 다라짇다약샤가라하 ◐陁囉質多藥叉揭囉訶<三百五十><九>◑(rau)draㆍcittaḥ yakshaㆍgrahā

●몸[신身]과 생명[命]의 건강[색色]과 힘[力]을 원하는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104
모든 결박(結縛)을 끊으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能斷諸結縛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600600
382
법수_암기방안


35 허벅다리 upper thigh
83 장딴지근
84 가자미근
17 알통 [바이셉쓰biceps ]


104 스몰 인테스틴 small intestine 小腸 【소장】
12 팔꿉 [elbow]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801_004418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세우(世友) 존자는 “세 가지의 인연을 말미암아 기억을 잊어버린다.
첫째는 앞의 모양을 잘 취하지 않았기 때문이요,
둘째는 이분(異分)이 상속하면서 현행하기 때문이며,
셋째는 기억을 상실하기 때문이다”라고 말씀하셨다.


다시 그는 “여덟 가지 인연을 말미암아 기억을 잊어버린다.
첫째는 태어나는 때에 나는 고통으로 핍박 받기 때문에 기억을 잊어버린다.
둘째는 죽을 때에 죽음의 고통에 핍박 받기 때문이요,
셋째는 그 밖의 다른 말이 많이 현행하기 때문이며,
넷째는 근기가 무디어서 그 밖의 다른 지혜에 의지하기 때문이요,
다섯째는 좋아하지 않는 세계[非愛趣]에 태어나서 괴로운 느낌에 핍박 받기 때문이며,
여섯째는 다섯 가지 감관[五根]이 경계에 내달으며 쉬지 않고 방일(放逸)함이 많기 때문이요,
일곱째는 중한 번뇌의 장애가 자주자주 현행하기 때문이며,
여덟째는 자주자주 선정을 닦지 않아 마음이 산란하기 때문에 기억을 잊어버린다”라고 말씀하셨다.



출전:
한글대장경 K0952_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毗達磨大毘婆沙論) 오백대아라한등조.
당 현장역
阿毘達磨大毘婆沙論 【五百大阿羅漢等造.
唐 玄奘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한쪽 다리 틀어 비틀기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9-06-03-화
♡대원사,경남 양산시 하북면 진목로 46
[사진]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maps.app.goo.gl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kko.kakao.com
https://kko.kakao.com
[설명 1]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존 제임스 오듀본 1 / 플레이트 151 칠면조 독수리 / 스타일: 자연주의 시리즈: 1827-1838년 미국 조류 장르: 삽화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011 나모사먁바라 디반나 남 ◐娜牟三藐鉢囉<二合>底半那<去>喃<十一>◑Namaḥ samyakpratipannāsāṃ//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22727_nikon_ct31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24530_canon_Ab35▾화순 영구산 운주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3026_canon_ab41_s12▾순천 조계산 송광사

여주 봉미산 신륵사
○2020_0904_093441_nikon_ar45▾여주 봉미산 신륵사

오대산 월정사
○2020_0905_123308_canon_ct9▾오대산 월정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64655_nikon_BW17▾양산 통도사

화성 용주사
○2020_0930_134642_canon_BW3▾화성 용주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5227_canon_ar43_s12▾삼각산 화계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71328_canon_Ar28▾삼각산 화계사

공주 계룡면사무소 영규대사비
○2018_1022_125513_nikon_Ar28_s12▾공주 계룡면사무소 영규대사비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72253_nikon_Ab31▾예산 덕숭산 수덕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32544_nikon_AR25▾삼각산 도선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41852_canon_AB7_s12▾삼각산 도선사

구례 화엄사
○2019_1104_104752_nikon_ab41_s12▾구례 화엄사

지리산 피아골
○2019_1104_175237_nikon_Ar26_s12▾지리산 피아골

밀양_재악산_표충사
○2021_1003_105710_nikon_ar44_%23072▾밀양_재악산_표충사

양양_오봉산_낙산사
○2021_0929_104544_canon_BW21_s12_pc▾양양_오봉산_낙산사

용인_문수산_법륜사
○2021_0215_125602_canon_BW25▾용인_문수산_법륜사

● [pt op tr] fr
_M#]


합천 해인사 백련암
○2020_0908_171711_canon_Ab31▾합천 해인사 백련암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경율이상_K1050_T2121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경율이상』 ♣1050-045♧
[관련키워드]
경율이상 제45권/전체5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경율이상-K1050-04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8/k1050-045.html
sfed--경율이상_K1050_T2121.txt ☞경율이상 제45권/전체50권
sfd8--불교단상_2569_07.txt ☞◆vkcq1264
불기2569-07-31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954434323
https://buddhism007.tistory.com
https://religion007.tistory.com/315
htmback--불기2569-07-31_경율이상_K1050_T2121-tis.htm
● [pt op tr] fr
_M#]



2025년 7월 30일 수요일

대반야바라밀다경-k0001-152


『대반야바라밀다경』


K0001
T0220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52권/전체60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7-30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001_T0220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대반야바라밀다경』 ♣0001-152♧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52권/전체60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04715_canon_ar45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71722_canon_ct8▾화순 계당산 쌍봉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1145_canon_ct18▾순천 조계산 송광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1206_canon_AR35_s12▾순천 조계산 송광사

천축산 불영사
○2020_0906_111302_canon_ar44▾천축산 불영사

천축산 불영사
○2020_0906_112509_nikon_Ab27▾천축산 불영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55032_nikon_ar26▾양산 통도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32148_canon_BW17▾속리산 법주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52030_canon_ar47▾속리산 법주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3449_canon_exc_s12▾삼각산 화계사

공주 태화산 마곡사
○2018_1022_171112_canon_BW25_s12▾공주 태화산 마곡사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30524_canon_CT28▾예산 덕숭산 수덕사

구례 화엄사 구층암
○2019_1104_114231_canon_CT38_s12▾구례 화엄사 구층암

구례 쌍계부근
○2019_1104_161707_canon_Ar26_s12▾구례 쌍계부근

구례 화엄사
○2019_1104_120850_nikon_ar38▾구례 화엄사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45644_nikon_ar45▾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봉화_청량산_청량사
○2021_1001_180003_canon_Ab35▾봉화_청량산_청량사

서울_동국대불교학술원
○2014_1118_191409_canon_ar1_s12▾서울_동국대불교학술원

해남_달마산_미황사
○2021_1006_144859_nikon_ar18_pc▾해남_달마산_미황사

● [pt op tr] fr
_M#]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11004_canon_ar45_s12▾순천 조계산 선암사


❋❋본문 ◎[개별논의]

★%★

『대반야바라밀다경』 ♣0001-152♧
대반야바라밀다경 해제 (있는 경우)

대반야바라밀다경 152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slu1420
◈Lab value 202110061448


○ 2020_0905_171438_can_CT28.jpg



wikiart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ustave-dore-st-paulrescuedfromthemultitude
[#M_▶더보기|◀접기|
Artist: gustave-dore

폴 귀스타브 루이 크리스토프 DORE ( [ɡys.tav dɔ.ʁe] ; 1832 1월 6일 - 23. 1,883 월) 프랑스 작가, 판화 , 일러스트 레이터 , 만화가 , 풍자 만화가
도레는 결코 결혼하지 않았고, 1849 년에 아버지가 사망 한 후, 그는 짧은 병으로 파리에서 죽을 때까지
책을 보여주는 어머니와 함께 살기를 계속했다. 프랑스의 정부는 1861 년에 그에게 Chevalier de la Legion d' honneur 를 수여했다. [...이하 줄임...]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ustave_Doré
Title : st-paulrescuedfromthemultitude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9_134743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ustave-dore-st-paulrescuedfromthemultitude



♥Villagarcía de la Torre ,Spain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Fran7oise Hardy - Nous Etions Amies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8/k0001-152.html#1420
sfed--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txt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52권/전체600권
sfd8--불교단상_2569_07.txt ☞◆vslu1420
불기2569-07-30
θθ





■ 퀴즈


5군비구(群比丘)라고도 함. 석존이 출가하던 때 부왕의 명으로 태자를 모시고 함께 고행하던 이를 부처님이 성도하신 후 녹야원에서 처음 교화하여 비구가 된 다섯 사람. 

아야교진여ㆍ아습비ㆍ마하마남ㆍ바제ㆍ바부. 

혹은 아야교진여ㆍ알비ㆍ마하남ㆍ발제ㆍ바파. 

또는 교진여ㆍ아사바사ㆍ마하나마ㆍ발제리가ㆍ바사파. 

또는 요본제(了本際)ㆍ정원(正願)ㆍ대호(大號)ㆍ인현(仁賢)ㆍ정어(正語). 

혹은 구린ㆍ알폐ㆍ마남구리ㆍ발제ㆍ십력가섭.

답 후보
● 오비구(五比丘)
오십팔계(五十八戒)
오연(五緣)
오위(五位)

오자진언(五字眞言)
오조(五祖)
오지(五智)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Benjamin Biolay - Rendez-Vous Qui Sait
Charles Aznavour - Je Voudrais
Yves Montand - A Paris
Guy Marchand - Destinee
Brigitte Bardot & Serge Gainsbourg - Bonnie And Clyde
Edith Piaf - C'est Toi
Salvatore Adamo - Crier Ton Nom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55▲ 卍米百缶糸 ■ 만미백부사 55 ( 만자 만 )( 쌀 미 )(일백 백/ 힘쓸 맥 )(장군 부 / 두레박 관 )CF 장군( =배가 불룩하고 목 좁은 아가리가 있는 질그릇)(실 사 / 가는 실 멱, )
016▲ 子丈才叉彳 ■ 자장재차척 16 ( 아들 자 )( 어른 장 )( 재주 재 )( 갈래 차 / 작살 차, 비녀 채 )( 조금 걸을 척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Gandharan Buddhist texts
[san-chn] dhāryate 生育
[san-eng] dhvanivardhakam.h $ 범어 (n) amplifier, loud-speaker
[pali-chn] citta-dhamma 心法
[pal-eng] naagabala $ 팔리어 adj.having the strength of an elephant.naagabalaa (f.), a kind of creeping plant.
[Eng-Ch-Eng] 吉藏 Jizang (549-623) A Sanlun master, whose parents came from Parthia. He became a novice under Daolang 道朗 at the age of seven, and as he grew up, he became renowned for his extensive learning, especially concerning the Ma^dhyamika 中觀派 school. He lectured on Ma^dhyamika scriptures and wrote commentaries on them, thus consolidating the foundations of the Sanlun sect 三論宗. As he lived for some time at Jiaxiang Temple 嘉祥寺, he was popularly called the 'Great Master Jiaxiang.' His Sanlun xuanyi 三論玄義 ('Essentials of the Three Treatises'), one fascicle, is a useful compendium of the Sanlun doctrine. He also wrote three commentaries on the Lotus Sutra.
[Muller-jpn-Eng] 不壞 フエ (term) indestructible
[Glossary_of_Buddhism-Eng] HORIZONTAL ESCAPE☞
Syn: Horizontal Transcendence.
See also: Special Teaching; Universal Method; Vows / Rebirth in Pure
Land.
“Horizontal” and “vertical” are figures of speech, which can
readily be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 Suppose we
have a worm, born inside a stalk of a bamboo. To escape, it can take
the hard way and crawl “vertically” all the way to the top of the
stalk. Alternatively, it can poke a hole near its current location and
escape “horizontally” into the big, wide world. The horizontal escape,
for sentient beings, is to seek rebirth in the Pure Land of Amitabha
Buddha.
“These days many people like to talk about studying enlightenment
and finally transcend birth and death. They do not realize that in
this world complete enlightenment is extremely difficult. They think
of it as direct, sudden, ‘vertical’ transcendence of the Triple World
of Desire, Form, and Formless states. But even someone who has
overcome desire and reached the stage of a ‘once-returner’ still has
to go to his death and come back once more through rebirth: how
much the more so for an ordinary person! Most of the sentient beings
in this world will have to be reborn in the Pure Land first before they
can be completely enlightened. The Pure Land gate to the West is called
‘horizontal’ transcendence: not one in ten thousand misses it.” (Master
Chu Hung in Pure Land Pure Mind)

[fra-eng] archipel $ 불어 archipelago
[chn_eng_soothil] 巖谷 Cliffs and gullies.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耶? 如來有所說法耶?」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여
기느냐? 여래가 설법한 것이 있다고 여기느냐?”
[玄奘] 善現, 於汝意云何, 頗有少法, 如來、應、正等覺證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耶,
頗有少法, 如來、應、正等覺是所說耶?
[義淨] 妙生, 於汝意云何, 如來於無上菩提有所證不, 復有少法是所說不?
07-02 तत्किं मन्यसे सुभूते, अस्ति स कश्चिद्धर्मो यस्तथागतेनानुत्तरा सम्यक्संबोधिरित्यभिसंबुद्धः, कश्चिद्वा धर्मस्तथागतेन देशितः ?
tatkiṁ manyase subhūte | asti sa kaściddharmo yastathāgatenānuttarā
samyaksambodhirityabhisambuddhaḥ | kaścidvā dharmastathāgatena deśitaḥ
|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는냐? 수보리여!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철저히 깨달아진 ‘위없는
바르고동등한깨달음이다’라고 할 만한 어떤 법이 있다고 생각하느냐? 혹은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어떤 법이 지도되어졌다고 생각하느냐?”
▼▷[tatkiṁ] ① tat(pn.ƿ.acc.) + kiṁ(ƺ.) → [그것을、 어떻게]
② tat(pn.ƿ.nom.acc.sg.) < tad(pn. that, he, it, she)
② kiṁ(ƺ. a particle meaning 'why' 'wherefore')
▼[manyase] ① manyase(pres.Ⅱ.sg.) → [(그대는) 생각하는가?]
② man(4.8.Ʋ. to think, believe; to consider, regard, look upon)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asti] ① asti(pres.Ⅲ.sg.) → [있다 → 있다고 생각하는냐?]
② as(2.ǁ. to be, live, exist; to belong to)
▼[sa] ① saḥ(ƾ.nom.) → [그]
▼[kaściddharmo] ① kaścit(pn.ƾ.nom.) + dharmaḥ(ƾ.nom.) → [어떤、 법이]
② kim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yastathāgatenānuttarā] ① yaḥ(pn.ƾ.nom.) + tathāgatena(ƾ.ins.) +
anuttarā(nj.→Ʒ.nom.) → [(어떠한) 그、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위없는]
② yaḥ(pn.ƾ.nom.sg.) < yad(pn. who, which)
② anuttṝ(nj.) < an(not) + uttṝ(1.ǁ. to pass out of [water], disembark, come out of; to
cross, pass or get over; to vanquish, overcome, get out of; to raise, strengthen)
② anuttara(nj. principal, chief; best, excellent; unable to answer) < an(not) + uttara(nj.
upper: ƾ. future time: Ʒ. north: ƿ. an answer, reply; defence, a rejoinder) < uttṝ(1.ǁ.
to pass out of [water], disembark, come out of; to cross, pass or get over; strengthen)
▼[samyaksambodhirityabhisambuddhaḥ] ① samyaksambodhiḥ(Ʒ.nom.) + iti(ƺ.) +
abhisambuddhaḥ(nj.→ƾ.nom.) → [바르고동등한깨달음이다、 라는、 철저히 깨달아진.]
② samyaksambodhi(Ʒ.È 正覺, 正等正覺)
② samyak(ƺ. with, together with; well, properly, rightly; completely, thoroughly) <
samyañc(nj. going with, accompanying; right, proper; correct, true; pleasant, agreeable)
= samyac(nj.) < sam(ƺ.) +|i|+ añc(1.dž. to bend, incline, curl, curve; to go, move,
tend towards; to worship, honour, reverence; to request, ask or call for, desire)
② sam(ƺ. with, together with)
② bodhi(ƾ. perfect wisdom or enlightenment)
② abhisambuddha(p.p.) < abhi(ƺ. towards, into, over, upon) + sambuddha(p.p.
well­understood; very wise or prudent; wide awake)
▼▷[kaścidvā] ① kaścit(pn.ƾ.nom.) + vā(ƺ.) → [혹은、 어떤]
▼[dharmastathāgatena] ① dharmaḥ(ƾ.nom.) + tathāgatena(ƾ.ins.) → [법이、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deśitaḥ] ① deśitaḥ(njp.→ƾ.nom.) → [지도되어졌다.] → 혹은 ‘여래에 의해 어떤 법이
지도되어졌다.’라고 생각하는가?
② deśita(nj. told, directed, ordered; advised, instructed; pointed out, shown, indicated) < *
+ ­ita(past.pass.p.) < diś(6.dž. to point out, show, exhibit; to assign, allot; to give,
grant, bestow upon)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11일째]
종종간착불가설 $ 082▲娑母羅娑母羅為 一 ● 阿野娑, ○□□□□,種,清,雜,了

□□□□□□□, 種種妙好不可說,
清淨佛土不可說, 雜染世界不可說,
□□□□□□□, 종종묘호불가설,
청정불토불가설, 잡염세계불가설,

種種間錯不可說,
가지가지 섞인 것도 말할 수 없고
가지가지 기묘함도 말할 수 없고
청정한 부처 세계 말할 수 없고
물들은 세계들도 말할 수 없고



[213째]
지기근성불가설 $ 084▲迦麼羅迦麼羅為 一 ● 摩伽婆, ○□□□□,知,雜,觀,變

□□□□□□□, 知其解欲不可說,
雜染清淨不可說, 觀察調伏不可說,
□□□□□□□, 지기해욕불가설,
잡염청정불가설, 관찰조복불가설,

知其根性不可說,
근성을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지해 욕망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더럽고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관찰하고 조복함을 말할 수 없고

085□



●K0009_T0225.txt★ ∴≪A대명도경≫_≪K0009≫_≪T0225≫
●K0001_T0220.txt★ ∴≪A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
●K0105_T0374.txt★ ∴≪A대반열반경≫_≪K0105≫_≪T0374≫


■ 암산퀴즈


226* 601
479216 / 982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16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4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103 번째는?




16 인욕을 증장시키며,
바라나삼모디 라나참포, 鉢剌惹三牟底<都異反>剌拏讖蒱<十六>
prajna sambhuti rana ksam bhu,
지혜 근원의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40 가바려예바 ◐迦波嚟曳泮<三百四十>◑kāpāliye phaṭ
341 아디모기다가시마사나바싣니예바 ◐阿地目抧多迦尸麽舍那皤悉你曳泮<三百四十一>◑adhimuktageㆍśmaśānaㆍvāsiniye phaṭ
342 예기자나사다사다바 ◐曳髻者那薩怛薩怛皤<若有衆生三百四十二>◑iye kācit sattvas (mama ittāṃ mamāsya)//
343 도스타짇다 ◐突瑟咤質多<惡心鬼三百四十三>◑Dushṭaㆍcittaḥ
344 노특라짇다 344) ◐344k澇持囉質多<三百四十四>◑raudraㆍcittaḥ
345 오자하라 ◐烏闍訶囉<食精氣鬼三百四十五>◑oj'āhāra
346 가바하라 ◐揭婆訶囉<食胎藏鬼三百四十六>◑garbh'āhāra
347 노디라하라 ◐嘮地囉訶囉<食血鬼三百四十七>◑rudhir'āhāra
348 망사하라 ◐芒娑訶囉<食肉鬼三百四十八>◑māms'āhāra
349 마사하라 ◐摩社訶囉<食產><鬼三百四十九>◑majj'āhāra

●과보(果報)를 구하여
빨리 원만하게 이뤄지기를 바라는 사람은
빠르게 원만함을 얻는다.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103
비할 수 없는 삼유(三有)의 스숭께 귀의합니다.
南無無等三有師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35826
488
법수_암기방안


34 복숭아뼈 [멀리 얼어스 malleolus]
82 오금
84 가자미근
16 겨드랑이 [암핏 armpit]


103 스토막 stomach 胃 【위】
11 위팔 upper arm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801_002837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양무릎 굽혀 허리 비틀기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9-05-11-일
♡대원사,강원 춘천시 옛경춘로 264-12
[사진]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naver.me
https://maps.app.goo.gl
[세계내-위치] https://kko.kakao.com
https://kko.kakao.com
[설명 1]
https://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
[설명 2] https://m.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시골길(브레부) - 스테판 루키안
011 나모사먁바라 디반나 남 ◐娜牟三藐鉢囉<二合>底半那<去>喃<十一>◑Namaḥ samyakpratipannāsāṃ//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52506_canon_ar37_s12▾화순 계당산 쌍봉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3026_canon_AB7▾순천 조계산 송광사

천축산 불영사
○2020_0906_105948_nikon_CT28▾천축산 불영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30839_nikon_CT28▾양산 통도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43105_canon_AB7▾양산 통도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53130_canon_ar47▾양산 통도사

무주 백련사
○2020_0909_150003_nikon_BW27▾무주 백련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14155_canon_ct22▾속리산 법주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1954_canon_bw0_s12▾삼각산 화계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5339_nikon_ori_rs▾삼각산 화계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72033_nikon_Ab15_s12▾삼각산 화계사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30203_canon_ar43▾예산 덕숭산 수덕사

구례 화엄사
○2019_1104_115806_canon_exc_s12▾구례 화엄사

지리산 피아골
○2019_1104_174848_nikon_bw0_s12▾지리산 피아골

영월_사자산_법흥사
○2021_0930_174223_nikon_CT27▾영월_사자산_법흥사

하동_고성산_약천사
○2021_1004_163747_nikon_Ar28▾하동_고성산_약천사

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1_1003_172432_nikon_Ar26_s12▾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진안_마이산_탑사
○2016_0412_155159_canon_ar38▾진안_마이산_탑사

밀양_재악산_표충사
○2021_1002_221322_canon_ar45_s12▾밀양_재악산_표충사

● [pt op tr] fr
_M#]


합천 해인사
○2020_0908_164227_canon_ct9▾합천 해인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대반야바라밀다경』 ♣0001-152♧
[관련키워드]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52권/전체60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대반야바라밀다경-K0001-152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8/k0001-152.html
sfed--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txt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52권/전체600권
sfd8--불교단상_2569_07.txt ☞◆vslu1420
불기2569-07-30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954421448
https://buddhism007.tistory.com
htmback--불기2569-07-30_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