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참조
◎[개별논의]
도선
[한문]道宣
[영어]tao-hsuan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도선 1
도선[한문]道宣[영어]tao-hsuan
사람 이름.
596~667년 생존.
중국 남산 율종(律宗)의 종조(宗祖)로서 오흥(吳興) 출신.
17세 때 삭발 출가한 이래로 지수(智首) 율사에게 비구계를 받고 율전(律典)을 배웠다.
624년에 종남산 방장곡(倣掌谷)에 들어가 백천사(白泉寺)를 짓고 계율을 엄하게 지키며
선을 닦았으며,
남산 율사라고 불렸다.
645년 정관 19년에 현장(玄奘) 스님이 귀국하여 홍복사에서 역경 사업을 진행할 때,
감문가(勘文家)로서 수백 권의 율부와 전기를 저술했다.
사분율산번보궐행사초(四分律刪繁補闕行事鈔) 3권,
사분율십비니의초(四分律拾毘尼義鈔) 3권 등을 찬술했으며,
사분율산보수기갈마(四分律刪補隨機羯磨) 11권 등을 저술했고,
속고승전(續高僧傳),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
광홍명집(廣弘明集) 등 총 35부 188권을 편찬했다.
[편찬]
담무덕부사분율산보수기갈마(曇無德部四分律刪補隨機羯磨),
도선율사감통록(道宣律師感通錄),
석가방지(釋迦方志),
석가씨보(釋迦氏譜),
속대당내전록(續大唐內典錄),
집고금불도론형(集古今佛道論衡),
집신주삼보감통록(集神州三寶感通錄).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도선 1
[한문]道宣
(596~667) 중국 남산율종(南山律宗)의 시조.
단도(丹徒) 혹은 장성(長城) 사람.
성은 전(錢).
16세에 출가.
지수율사(智首律師)에게 비구계를 받고,
율전(律典)을 배웠다.
624년(무덕 7) 종남산(終南山) 방장곡(倣掌谷)에 들어가 백천사(白泉寺)를 짓고
계율을 엄하게 지키며 선(禪)을 닦았으므로,
세상에서 남산율사(南山律師)라 불렀다.
645년(정관 19) 현장(玄奘)이 귀국하여 홍복사(弘福寺)에서 역경 사업을 진행할 때에,
그 감문가(勘文家)가 되어 수백 권의 율부와 전기를 썼다.
특히 사분율종(四分律宗)을 이루어 이른바 남산 율종을 세웠다.
건봉(乾封) 2년 10월에 나이 72세로 입적함.
저서는 『속고승전(續高僧傳)』ㆍ『광홍명집(廣弘明集)』ㆍ『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ㆍ『사분율행사초(四分律行事鈔)』 등 20여 부가 있다.
⇒남산(南山)
도선 2
[한문]道璿
(702~760) 계율종 스님.
당나라 허주(許州) 사람.
속성은 위(衛).
출가하여 대복선사(大福先寺)의 정빈(正賓)에게 계율을,
숭산(崇山)의 보적(普寂)에게 선(禪)을 배우고,
천태ㆍ화엄의 학에도 정통하였다.
736년 일본에 가서 계율종을 일으켰다.
59세에 입적함.
저서는 『범망경소(梵網經疏)』.
도선 3
[한문]道詵
(827~898) 신라 말기 스님.
호는 옥룡자(玉龍子).
속성은 김.
영암 사람.
15세에 출가.
월유산 화엄사에서 대경(大經)을 읽었다.
20세 때 생각하기를
“장부가 마땅히 세법을 떠나 스스로 안정할 것이어늘,
어찌 문자만을 붙들고 있으랴” 하고,
동리산(桐裏山) 혜철(惠徹)에게 배우기를 청하여 무법(無法)의 법을 전해 받았다.
23세에 비구계를 받았다.
운봉산 아래 혹은 태백암(太白巖) 앞에서 안거하다가
나중에 희양현 백계산 옥룡사에 있었다.
이보다 전에 지리산 구령에 암자를 짓고 있을 적에 어떤 사람이 와서
“내게 조그마한 술법이 있는데,
스님께 받들려 하니
다음날 남해(南海)가에서 드리겠노라” 하였다.
그 뒤에 약속한 장소에 갔더니,
그 사람이 모래를 모아서 산과 강이 순하고 거슬리는 지세를 가리켜 주었다.
그 곳은 구례군 화엄사 밑에 있는 사도촌이다.
그후부터 지리와 음양학(陰陽學)에 조예가 깊어
고려 태조의 출현을 예언하였다.
우리나라 풍수지리설의 시조로 고려 때 『도선비기(道詵秘記)』가 유행하였다.
72세에 입적함.
효공왕이 요공선사(了空禪師)라 시호하고,
탑호를 증성혜등이라 함.
고려의 현종은 대선사를,
숙종은 왕사를,
인종은 선각국사(先覺國師)를 추증하였다.
★2★
○ 2019_1104_161548_nik_exc_s12 구례 쌍계사부근
○ 2019_1104_110830_can_Ar26_s12 구례 화엄사
○ 2019_1104_091817_can_bw24_s12 구례 화엄사
○ 2020_1114_134159_nik_ori 삼각산 도선사
○ 2020_1114_122342_can_BW22 삼각산 도선사
○ 2019_0106_151127_can_ab41_s12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 2018_1023_154100_nik_bw4_s12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3_141648_can_ar26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2_170746_can_Ar37_s12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20_1017_160049_nik_AR35_s12 삼각산 화계사
○ 2020_1002_122034_can_ct9_s12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20_0930_143512_nik_CT34 화성 용주사
○ 2020_0910_180410_can_ar7 월악산 신륵사
○ 2020_0909_160711_can_AB7 무주 백련사
○ 2020_0909_154410_can_ar45 무주 백련사
○ 2020_0907_141153_can_ab49 양산 통도사
○ 2020_0904_092932_nik_ct25 여주 신륵사
○ 2019_1201_161810_nik_ar47 원주 구룡사
○ 2019_1106_155027_can_Ab35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13104_nik_ct19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추가참조 ♥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속성(俗姓)은 김(金)씨이다.[1]
통일 신라 시대 김천 지역의 청암사를 창건한 승려로 도선국사(道詵國師)로 널리 알려져 있다.
도선의 사후
신라 효공왕(孝恭王, 재위 897년 ~ 912년)은 요공선사(了空禪師)라는 시호를 내렸고,
제자들이 스승을 도선_위키백과스크랩
https://buddhism007.tistory.com/18001#tao-hsuan-cf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1/tao-hsuan-cf.html#tao-hsuan-cf
>>>
https://ko.wikipedia.org/wiki/도선
도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선 | |
---|---|
순천 선암사 선각국사 도선 진영 | |
법명 | 도선(道詵) |
출생 | 827년 신라 무진주 영암군 |
입적 | 898년 신라 무진주 희양현 옥룡사 |
종파 | 선종 |
출가 | 842년 화엄사 |
저작 | 《도선비기》, 《도선답산가》, 《삼각산명당기》, 《송악명당기》, 《옥룡기》 |
스승 | 혜철 |
제자 | 경보 |
다른 뜻에 대해서는 도선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한국의 불교 |
---|
역사[보이기] |
사상[보이기] |
인물[보이기] |
종파 · 목록[보이기] |
대장경 · 소의경전[보이기] |
논서 · 주석서[보이기] |
사찰[보이기] |
v t e |
도선(道詵, 827년 ~ 898년)은 신라 말기의 승려이며 풍수설의 대가이다.
기념하여 옥룡사(玉龍寺)에 세운 탑은 증성혜등(證聖慧燈)이라 명명(命名)되었다.
고려 숙종(肅宗, 재위: 1095년 ~ 1105년)은 도선을 대선사(大禪寺)로 추증하고 왕사(王師)의 호를 추가하였다.
고려 인종(仁宗, 재위: 1122년 ~ 1146년)은 도선을 선각국사(先覺國師)로 추봉(追封)하였으며
고려 의종(毅宗, 재위: 1146년 ~ 1170년)은 비를 세웠다.
목차
1생애
2사상
3도선이 등장한 작품
4저서
5같이 보기
6각주
7참고 문헌
생애[■편집]
15세에 승려가 되어 월유산(月遊山) 화엄사(華嚴寺)에서
《대경》(大經)을 공부하여 깨달음을 얻었다.
그 후 수도행각(修道行脚)에 나서서
동리산(棟裏山)의 혜철(惠撤) 대사를 찾아
소위 무설설(無說說) · 무법법(無法法)을 배워 크게 깨닫고,
23세에 천도사(穿道寺)에서 구계(具戒: 불교 의식)를 받았다.
도선은 운봉산에다 굴을 파고 불도를 닦고,
태백산 앞에 움막을 치고 여름을 보내면서 수도생활을 하였다.
마침내 희양현(曦陽縣) 백계산(白鷄山)의 옥룡사(玉龍寺)에 자리 잡고
그곳에서 생을 마칠 목적으로 수양하였다.
신라 헌강왕(憲康王: 재위 875~886)이 그의 명성을 듣고
사람을 보내어 궁중으로 모셔가니
도선은 왕에게 여러 가지 정신적 영향을 주었으나
얼마 후 다시 산으로 돌아왔다.
죽을 때 제자들에게
"인연으로 와서 인연이 다하여 떠나는 것이니 슬퍼하지 말라"라는 말을 남겼다 한다.
효공왕은 요공선사(了空禪師)라는 시호를 내렸고,
제자들이 옥룡사에 징성혜등탑(澄聖慧燈塔)을
세웠다.
고려의 숙종은 대선사(大禪師)를 추증하고 왕사(王師)를 추가하였으며,
인종은 선각국사(先覺國師)로 추봉(追封)하였다. 의종은 비를 세웠다.
사상[■편집]
도선의 음양지리설(陰陽地理說)과 풍수상지법(風水相地法)은
고려 · 조선을 통하여 크게 영향을 준 학설이다.
도선의 사상은 일찍이 고려 태조 왕건(재위: 918년 ~ 943년)의 탄생과 고려의 건설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실제 왕건의 아버지에게 집터를 정해주었다고 전해진다.
도선은 대개 중국에서 기원하여 발달한 참위설을 골자로
지리소왕설 · 산천순역설 및 비보설(裨補說)을 주창하였다.[2]
곧 지리(地理)는 곳에 따라 쇠왕이 있고 순역이 있으므로,
왕처(旺處) · 순처(順處)를 택하여 거주할 것과,
쇠처(衰處) · 역처(逆處)를 인위적으로 비보(裨補: 도와서 더하는 것)할 것을 말하여,
일종의 비기도참서(秘記圖讖書)를 남겼다.[2]
뒷날 고려시대에 성행한 《도선비기》(道詵秘記) 등은
내용 전체가 도선의 문자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으나,
그의 사상에 연원(淵源)을 받은 것임은 틀림없을 것이다.[2]
하여튼 그의 비기라고 칭하는 예언서가
그의 사후로부터 세상에 유전(流轉)되어 인심을 현혹시킨 일이 많았다.[2]
고려 태조와 같은 이도 도선의 설(說)을 고려하여
자손을 경계하는 훈요십조(訓要十條) 중에서 절을 세우는 데 산수의 순역을 점쳐서
지덕(地德)을 손박(損薄)하지 말 것을 유훈(遺訓)하였다.[2]
도선이 등장한 작품[■편집]
《태조 왕건, KBS, 2000년 ~ 2002년, 배우 : 이대로》
저서[■편집]
풍수지리설과 음양도참설을 기초로 하여 쓰여져 있는 《도선비기》는
고려의 정치 사회면에 큰 영향을 가져왔으며,
민간에 전해지는 저서로는 《도선답산가》(道詵踏山歌),
《삼각산명당기》(三角山明堂記) 등이 있고
그밖에 《송악명당기》(松岳明堂記)·《옥룡기》(玉龍記) 등이 전해지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풍수
성불사
도선답산가
각주[■편집]
↑ 도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동:가 나 다 라 마 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고려의 성립 > 호족의 문화 > 풍수지리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고려의 성립 > 호족의 문화 > 도선"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접기v t e 1996년 선정 이 달의 문화 인물 | |
---|---|
분류: 신라의 승려
827년 태어남
898년 죽음
풍수
>>>
>>>
https://en.wikipedia.org/wiki/Doseon
[영문위키 번역 with 웨일파파고
( 오류부분은 원문 참조 => 도선_위키백과스크랩 )
https://buddhism007.tistory.com/18001#tao-hsuan-cf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1/tao-hsuan-cf.html#tao-hsuan-cf
도선
무료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에서
도선 | |
선암사 도선국사 초상화 | |
한국이름 | |
---|---|
한글 | 도선 국사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도선국사 |
매쿠네-라이샤워 | 토선국사 |
도선국사는 신라시대의 가장 유명하고 많이 인용된 인물 중 하나로, 한국 역사의 나머지 부분부터 현재까지 매우 영향력 있는 인물로 남아 있다.[1]
내용물
1유아
2초창기 성인 생활2.1여행한다
3만년의 성인 생활3.1풍수설립
3.2점쟁이 설치
4영향
5기말년
6Accolades
7참조
유아[■편집]
도선국사는 월출산 서쪽 경사면에 있는 전라남도 영암군 군섬연지구 구림마을에서 왔다.[2] 도선의 성이 김씨라는 기록은 도선이 신라 태종 무열(664-681)의 차남 후예라는 소문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선의 어머니는 아름다운 진주(순수한 지혜의 상징)를 삼킨 착상몽을 꾸몄고,
임신 첫 달 동안 불경을 외치며 고기,
양파, 마늘을 항상 기권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어릴 때부터 도선은 말을 할 수 있게 된 지 얼마 되지 않아
기본적인 수트라의 구호를 배우며 불교의 신동으로 여겨졌다.
도선은 835년 경에 문수암에서 유년기의 일부를 보냈다.
841년 도선은 15세에 영암을 떠나 승려가 되었고,
구례군 화엄사에 유학하였다.
도선은 한 달 만에 '화엄경경의 큰 뜻을 꿰뚫어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신비의 문'을 이루었다.
도선은 544년 화엄사를 창건한 명수의 이름인 연이(永i)[1]를 받아 큰 영예를 안았다
.
초창기 성인 생활[■편집]
846년 20세의 나이로 도선은 매우 존경받는 도교 사부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는 혜철 저인선사(惠철을 세운 목사) 밑에서
선(善)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동리산 태안사 수도원.[1]여행한다[■편집]
850년까지 도선은 천도사에서 구족계 자격증을 받고 운봉산 동굴에서 금욕을 실천하고 때로는 태백산 굴에서 여름을 보냈다.
그는 난해한 도이스트와 불교 천문, 점성술, 수학, 지질학(명수), 우주론, 아이칭(주역경) 가르침에 초점을 맞추어
당나라로 가서 더욱 연구하였다.
한국에 돌아오자마자 도선은 한반도 전역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지리를 주목하고,
그 독특한 에너지의 근원을 찾았다.
도선은 여행을 마치고 지리산 서쪽에 있는 '볼 언덕'에 산신이 나타나 '풍수지리의 가장 깊은 비밀'을 인류에게 구원을 베푸는 방법'으로 제공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한국의 풍수 체계/위성은 전적으로 중국 풍수지리학의 연구로부터 온 것이 아니라
한국의 신성한/고전적인 토착민 출신이다.[1]
만년의 성인 생활[■편집]
도선은 광양시 옥룡면지구 옥룡사에서 35년간 교편을 잡고 건립, 정착했다.
헌강왕은 지혜와 통찰력으로 유명한 도선 신라의 승려를 천거했다.[1]
풍수설립[■편집]
도선은 '명수'의 다양한 중국 도이스트 학파를 연구하여 이러한 사상과 원리를 한국의 풍경과 문화 환경에 응용하였다.
그가 설립한 비보풍수지리 제도는 개인의 운명과 인테리어 가구 배치보다는
산과 그 범위, 그리고 지역 사회와 국가 전체에 미치는 정신적 물질적 에너지와
그에 따른 영향에 중점을 둔 '자연과의 조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3]
도선은 중국의 풍수지리설을
한국의 땅과 기후조건에 적응시키면서
보다 큰 가치를 중시하여 한국 고유의 독특한 형태인 '풍수지리설'[1]을 만들어 낸 천재성 때문에
이러한 영예를 안고 기억되고 있다.
점쟁이 설치[■편집]
도선도 개인과 왕국을 위한 행사의 진로에 대한
앞으로의 변화를 여러 차례 정확하게 예측함으로써
한반도의 지구 에너지 '스핀'인 '백두대간'의 개념을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도선은 결과적으로 현대 한국 점쟁이들의 창업자-애국 정신의 한 종류로 여겨진다.[1]
영향[■편집]
도선은 고려 태조가 되는 왕건의 가장 영향력 있는 조언자라는 명성의 많은 부분을 얻는다.
875년 송악산에 건설 중인 귀족 저택을 지날 때
도선은 그 터의 웅대한 길흉을 알아보고
2년 안에 아내가 위인으로 성장할 아들을 낳아
한국을 새로운 시대로 이끌 것이라고 젊은 주인에게 말한다.
도선은 밀봉된 봉투에 그 남자에게 서류(도선비기로 추정되는)를 주고,
어린 주인은 그것을 안전하게 지키라는 것과 비밀로 하라고 말하고,
그 서류는 소년이 자랄 때만 주라는 것이다.
젊은 주인은 순종했고, 그곳에서 예언자로 태어난 소년은 그 문서 속의 충고를 따랐고,
새로운 고려 왕조의 건국 왕이 되었다.
도선은 특히 도선비구에 수도를 비롯한 전국의 중요한 도시와 성곽의 위치를 정하고,
지석상서로운 곳에 많은 웅장한 절을 건립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조언과 개념을 남겼다.[1]
기말년[■편집]
기록에 따르면 도선은 898년 백운산 옥룡사에서
많은 제자들 앞에서 연꽃 자리에 앉아 있다가 죽었다고 한다.
효공왕은 도선의 사후 요공선사(본질적 공허 명상사)의 호칭을 그에게 내렸다.
그의 제자들이 옥룡사에 그를 기리기 위해 '징성혜등탑'이라는 탑을 세웠으나,
그 탑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Accolades[■편집]
고려 숙종은 사후에 도선을 왕사(왕사/왕실 스승)에 추증했다.
또한 인종은 도선을 가장 높은 계급인 국사(국사)로 승격시켜 성악국사라는 이름/제목이 있고,
통용되는 명칭인 도선국사(도선국사)가 있다.
기록에 따르면 의종은 고려의 수도 개성에 도선(道善)[1]에 비석을 세웠다.
참조[■편집]
^ 위로 이동:"san-shin.net". Retrieved 2012-06-16.
^ "visitkorea.or.kr". Retrieved 2012-06-16.
^ "knps.or.k". Retrieved 2012-06-16.
● From 대만불광사전
도선 4
【逃禪】 p4335-上≫
謂學佛.
西廂記中崔鶯鶯夜聽琴雜劇云 : 「我經文也不會談,
逃禪也懶去參.」杜甫飮中八仙歌詩云 : 「蘇晉長齋繡佛前,
醉中往往愛逃禪.」或謂逃禪一詞猶如逃墨․逃楊,
係逃而出,
非逃而入,
然一般多以逃禪爲學佛之意.
도선 1
【道宣】 p5636-下≫
(596~667)唐代律僧.
又稱南山律師,
南山大師.
爲南山律宗之祖.
浙江吳興人,
一說江蘇潤州丹徒人,
俗姓錢.
字法遍.
十六歲出家,
先後隨日嚴寺慧君貝,
大禪定寺智首學律.
後住於終南山倣掌谷(長安之南),
營建白泉寺,
硏究弘宣四分律,
其宗派稱南山律宗.
曾至各地講說律學,
亦參與玄奘之譯場.
嚴守戒品,
深好禪那.
歷住崇義寺,
豐德寺,
淨業寺.
顯慶三年(658),
奉敕任長安西明寺上座.
未久,
撰釋門章服儀,
釋門歸敬儀等.
龍朔二年(662),
高宗敕令僧尼須禮拜君親,
師與玄奘等上書力爭,
此事乃止.
乾封二年二月,
於淨業寺創立戒壇,
諸方前來求戒者二十餘人,
爲後世建築戒壇之法式.
於是年十月入寂,
世壽七十二,
法臘五十二.
諡號「澄照」.
生平獎掖後進,
不遺餘力,
德行淳厚,
緇素共仰.
所著之四分律刪繁補闕行事鈔十二卷,
羯磨疏三卷,
戒本疏六卷,
拾毘尼義鈔六卷,
比丘尼義鈔六卷,
稱爲律學五大部.
其中行事鈔爲硏究四分律所不可或缺之書.
另撰有大唐內典錄十卷,
係一部整理經典之目錄書.
又針對道敎之說,
編集古今佛道論衡四卷,
廣弘明集三十卷等,
以宣揚佛敎.
此外尙著有續高僧傳十卷,
釋氏略譜,
釋迦方志,
三寶感通錄等諸書,
皆爲後世治學者之指南.
[宋高僧傳卷十四,
佛祖歷代通載卷十五,
大唐內典錄卷五]
도선 2
【道璿】 p5663-上≫
(702~760)唐代僧.
係將禪,
律,
華嚴傳至日本之第一人.
亦爲日本禪宗第二祖,
華嚴宗初祖.
河南許州人,
俗姓衛.
幼年出家,
後入洛陽大福先寺,
從定賓受具足戒,
硏學律藏.
又師事華嚴寺之普寂,
兼習禪學,
華嚴.
於日本天平八年(736)被迎請至日本.
十五年日僧最澄正式受戒,
入其門下.
常至各地講說戒律,
曾任東大寺大佛開眼法要之重要職務,
對於初期奈良佛敎之貢獻至鉅.
於上元元年入寂,
世壽五十九.
[八宗綱要卷下,
日本佛敎史講話,
扶桑略記拔萃]
도선 3
【道詵】 p5654-上≫
(827~898)新羅(朝鮮)禪僧.
靈巖(朝鮮全羅南道)人,
俗姓金.
十五歲出家,
二十三歲受具足戒.
後周遊諸方,
適至全羅南道玉龍寺,
愛其幽勝,
乃止住之,
坐禪忘言三十五年,
世稱玉龍子.
修持陰陽五行之術,
能占屋宅之方位與墳墓之位置,
另又弘揚風水圖讖之說,
此類修法至後世仍流行於朝鮮.
師所提倡者頗受當時王室貴族之信受,
乃大力護持其敎法,
於全國各地廣建禪院.
太祖,
顯宗,
肅宗,
仁宗,
毅宗等歷代帝王竝先後封之以「大禪師」,
「王師」,
「先覺國師」等號.
[高麗史卷二,
東國通鑑卷十三]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도선
【道宣】唐朝人,
俗姓錢,
因久居終南山以盛宏律宗,
故律宗又名南山律宗.
→816
도선
⑤-4335■불광사전
⑥-5636■불광사전
⑥-5663■불광사전
⑥-5654■불광사전
hbfl--03_Da_0307.TIF
[동음이의어들]
● From Hanja(Korean Hanzi) Dic
도선
導線 導船 徒跣 徒善 渡船 導善
● From Korean Dic
도선(徒善)[명사][하다형 형용사]한갓 착하기만 하고 주변성이 없음.
도ː선(導船)[명사][하다형 타동사]연해의 구역을 통과하는 선박에 안내자가 승선하여 뱃길을 인도하는 일.
도선(渡船)[명사]나룻배.
도ː선(導線)[명사]전류를 통하게 하는 철사.
● From Kor-Eng Dictionary
도선
도선 [渡船]
a ferry(boat); [건네주기]
ferrying.▷ 도선료 [-料]
ferriage; a ferry charge.▷ 도선업 ferriage.▷ 도선장 a ferry.도선 [導船]
pilotage; piloting; (배) a pilot boat.ㆍ ~하다 pilot ᗉa boat>.▷ 도선료 pilotage.▷ 도선사 [-師]
a pilot.도선 [導線]
a conductor; a conducting wire.
● From naver-어학사전
■ '도선'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도선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도선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도선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도선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도선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도선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도선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도선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도선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
◎◎[개별논의] ♥ ❋추가참조
한국에서 유명한 도선스님과 중국 남산 율종의 종조인 도선 스님이 다 유명하다.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Thibaut Derien - Peintre En Sentiments.lrc
★1★
◈Lab value 불기2565/01/13/수/16:02 |
○ [pt op tr]louis-comfort-tiffany-vase-1900-3 [#M_▶더보기|◀접기| Artist: louis-comfort-tiffany https://en.wikipedia.org/wiki/Louis_Comfort_Tiffany Title : vase-1900-3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fireplace-with-garland-frieze-applicant-and-cameos [#M_▶더보기|◀접기| Artist: Giovanni-Battista-Piranesi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Title : fireplace-with-garland-frieze-applicant-and-cameos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6_1008_130238_nik.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Abacus_Backpackers_Mbabane_Swaziland [#M_▶더보기|◀접기| View of Mbabane, Swaziland Author Jacques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Mwanza, Tanzania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tistory.com/4614 Anne Clark - Angela ♥단상♥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1/tao-hsuan.html#1255 sfx--dict/도선.txt sfd8--불교용어dic_2565_01.txt ☞◆vpsu1255 불기2565-01-13 θθ |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Les Charlots - Je Suis Trop Beau
Piaf Edith - Y Avait Du Soleil
Les Cowboys Fringants - Repentigny By The Sea
La Fouine - J'avais pas les mots
Claude Dubois - Hibou
Rejane - Vancouver
Thibaut Derien - Peintre En Sentiment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Arhat
[san-chn] lohita-muktikā 赤珠
[san-eng] matkuṇaḥ $ 범어 (m) bedbug, khatamal
[pali-chn] pīta 三十八行處
[pal-eng] sampupphita $ 팔리어 pp.in full bloom.
[Eng-Ch-Eng] eight phrases 八句義
[Muller-jpn-Eng] 大慧 ダイエ great wisdom
[Glossary_of_Buddhism-Eng] FORGIVENESS☞
See also: Sin.
“Sin is, first of all, an inheritance: ‘The sins of the fathers shall be
visited upon the children unto the third and fourth generation,’ says
the commandment. And that’s optimistic. The chain of blindness, of
compulsion, continues a lot longer than that, is handed down endlessly, l’dor vador,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e inherit our sins,
pass them on to our children, and they to theirs; and all of this we do
in the most profound ignorance. Our childhoods are contaminated
as were those of our parents, and their parents before them, back and
back and back. We are involved and participate in this ignorant sin,
and the world around us, with its wars, addiction, pollution, exploitation, testifies to this truth. But it is not our intention, there are
no personal villains; but all are victims, receivers and dispensers of the
inheritance, unless, at some point, the chain is broken.
Forgiveness is the weapon that permits us to open our eyes and see
through our veil of protective lies. Your sins are forgotten… Take up
your pallet, and walk.”
Bruder: 225-226
[fra-eng] abominai $ 불어 detested
■ 암산퀴즈
786* 638
552772 / 739
■ 다라니퀴즈
자비주 13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13 번째는?
13
제가 그때 처음에는
초지(初地: 보살 수행단계의 십지 중 첫 단계)에 머물러 있다가
한 번 이 주문을 듣고는 제 8 지(八地)에 뛰어 올랐습니다.
● 혜리마발다사미 醯唎摩皤哆沙咩<十三 >he ri ma va dha ṣa me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13
바라혜다야다나
波囉呬哆野怛曩<十三二合>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3일째]
피모단처제국토 $ 013▲阿伽羅阿伽羅為 一 ● 最勝, ○□□□□,無,有,有,不
□□□□□□□, 無量種類差別住,
有不可說異類剎, 有不可說同類剎。
□□□□□□□, 무량종류차별주,
유불가설이류찰, 유불가설동류찰。
저 터럭 끝에 있는 모든 세계들
한량없는 종류가 각각 다르니
말할 수 없이 많은 다른 종류와
말할 수 없이 많은 같은 종류며
[14째]
불가언설모단처 $ 014▲最勝最勝為 一 ● 摩婆(上聲呼)羅, ○□□□□,皆,種,種,於
□□□□□□□, 皆有淨剎不可說,
種種莊嚴不可說, 種種奇妙不可說。
□□□□□□□, 개유정찰불가설,
종종장엄불가설, 종종기묘불가설。
말할 수 없이 많은 터럭 끝마다
깨끗한 세계들을 말할 수 없고
가지가지 장엄도 말할 수 없고
가지가지 기묘함도 말할 수 없어
015□
○ 2020_1126_160627_nik_ar24
○ 2020_1126_160524_nik_ct19
○ 2020_1126_160401_nik_Ar12
○ 2020_1126_155822_can_Ab35
○ 2020_1126_153318_nik_bw4_s12
○ 2020_0224_115109_nik_ct8_s12
○ 2020_0224_114750_nik_CT27
○ 2020_0224_110945_nik_CT27
○ 2020_0224_110619_nik_ab41_s12
○ 2020_0224_105341_nik_ct9_s12
○ 2018_1025_180610_nik_ar19
○ 2018_1025_162257_nik_ab41_s12
○ 2019_1004_132755_nik_ct11
○ 2019_1004_142127_can_ar12
○ 2019_1004_174348_can_ar45
○ 2019_1004_142716_nik_CT38
○ 2019_1004_180133_nik_ab41
○ 2019_1004_174223_can_BW21
○ 2019_1004_145311_nik_Ab27
○ 2019_1004_144611_can_BW17
●K1336_T0903.txt★ ∴≪A도부다라니목≫_≪K1336≫_≪T0903≫
●K1070_T2107.txt★ ∴≪A도선율사감통록≫_≪K1070≫_≪T2107≫
●K0103_T0292.txt★ ∴≪A도세품경≫_≪K0103≫_≪T0292≫
법수_암기방안
13 노뼈 [radius]
14 맥박~점(맥박뛰는곳) pulse
13 노뼈 [radius]
13 노뼈 [radius]
501468
748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5종 비량(比量)의 하나. 물건이 동작하는 것을 보고 무엇이라고 비량 추측하는 것. 행동에 의하여 사람의 지혜롭고 어리석음을 판단하고, 초목의 흔들림을 보고 바람이 있는 줄로 아는 것과 같은 따위.
답 후보
● 업비량(業比量)
여래법장(如來法藏)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
여시(如是)
여여(如如)
역무소외(力無所畏)
연각(緣覺)
● [pt op tr] fr
_M#]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tistory.com/5857
○ [pt op tr]
● 도선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_1N|cfile30.uf@99F9BE3F5FFE9F2011CDD7.jpg|width="820" height="1230" filename="2020_1114_122342_canon_BW22.jpg" filemime="image/jpeg"|_##]
[링크용타이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도선
https://buddhism007.tistory.com/18000
sfx--dict/도선.txt
sfd8--불교용어dic_2565_01.txt ☞◆vpsu1255
불기2565-01-13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1/tao-hsuan.html
htmback--도선_불기2565-01-13-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