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1년 11월 15일 월요일

견혹_darsana-maarga-prahaatavyaanusaya-cf


견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견혹(見惑)은 견도소단혹(見道所斷惑, 산스크리트어: darśana-mārga-prahātavyānuśaya)의 줄임말로, 문자 그대로는, 견도(見道)에서 끊어지는 번뇌를 뜻한다. 



의미상으로는, 진리4성제에 대해 미혹하게 하는 번뇌로, 이지(理智)적인 번뇌를 말한다. 



한편, 견혹과 대비하여, 수도(修道)에서 끊어지는 번뇌수혹(修惑)이라 하는데, 수혹은 삼라만상의 사물의 진실한 모습에 대해 미혹하게 하는 번뇌로, 정의(情意)적인 번뇌를 말한다. 


견혹은 견번뇌(見煩惱) · 견장(見障) 혹은 견일처주지(見一處住地)라고도 한다.[1][2][3][4]


견혹을 다른 말로는 견소단(見所斷) · 견도소단(見道所斷) 또는 견단(見斷)이라고 하는데, 
4성제이치[理]를 바르게 알지 못하는 번뇌로서 견도계위에서 끊어지는 번뇌를 뜻한다. 



이에 대해 수혹수소단(修所斷) · 수도소단(修道所斷) 또는 수단(修斷)이라고 하며, 현상의 사물[事]에 미혹한 번뇌로 수도계위에서 끊어지는 번뇌를 뜻한다.[5]


또한 견혹을 다른 말로는 미리혹(迷理惑)이라고 하는데, 이것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이치[理]에 미혹한 번뇌'로, 이지적인 번뇌, 즉, 이성견해에 관련된 번뇌를 가리킨다. 

이에 대해 수혹을 다른 말로는 미사혹(迷事惑)이라 하며, 이것은 문자 그대로의 뜻은 '사물[事]에 미혹한 번뇌'로, 현상의 사물참된 모습[實相]을 알지 못하는 알지 못하는 번뇌를 뜻하는데, 정의적인 번뇌, 즉, 마음에 관련된 번뇌 또는 감정의지에 관련된 번뇌를 가리킨다.[6][7][8]



부파불교와 대승불교 등 불교 일반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불교의 수행 계위로, 견도 · 수도 · 무학도(無學道)의 3도(三道)가 있다. 


이 가르침에 따르면, 수행자는 이지적인 번뇌 즉 견소단을 극복하는 견도의 단계를 먼저 거쳐 견해가 바르게 선 후, 계속하여 노력하여 정의적인 번뇌 즉 수소단을 극복하는 수도의 단계를 거쳐 사물의 실상에 대해 바르게 알게 되고,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완전한 깨달음의 상태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견소단 · 수소단, 즉, 견혹 · 수혹의 번뇌 분류는 
불교의 수행계위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실천적인 분류로, 
견혹과 수혹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가지는 것은 견도의 단계를 통과하는데 도움이 된다.





같이 보기[■편집]
3도: 견도 · 수도 · 무학도견도: 16심 · 고법지인
무학도: 34심
성문 수행계위: 4향4과 - 10결(= 5하분결 + 5상분결)
보살 수행계위: 52위

현관: 4제현관 · 6현관
유루무루
번뇌의 해석
번뇌의 다른 이름 · · · · 구애 · · · · · · 상해 · · 소유 · 소해 · 수면 · 수번뇌 · 악행 · · · 유쟁 · · · · 조림 · 주올 · · 치연 · 폭류 ·

번뇌의 작용
번뇌의 분류3루
4액
4취
4폭류
5부: 견고소단 · 견집소단 · 견멸소단 · 견도소단 · 수도소단 = 견소단 + 수소단
5주지번뇌
견혹 + 수혹 = 견소단 + 수소단 = 미리혹 + 미사혹 = 분별기 + 구생기
근본번뇌 + 수번뇌
번뇌장 + 소지장

번뇌 = 근본번뇌 + 수번뇌근본번뇌 = 수면3근본번뇌: · ·
6수면: · · · 무명 · ·
7수면: 욕탐 · · 유탐 · · 무명 · ·
10수면: · ·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12수면: 욕탐 · · 색탐 · 무색탐 ·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98근본번뇌(설일체유부)견혹 = 견소단 = 미리혹 = 분별기: 설일체유부88근본번뇌
수혹 = 수소단 = 미사혹 = 구생기: 설일체유부10근본번뇌

128근본번뇌(유식유가행파)견혹 = 견소단 = 미리혹 = 분별기: 유식유가행파112근본번뇌
수혹 = 수소단 = 미사혹 = 구생기: 유식유가행파16근본번뇌


수번뇌 = 8전 · 10전 · 6번뇌구
19수번뇌(설일체유부)소번뇌지법의 10가지 모두: · · · · · · · · ·
대불선지법의 2가지 모두: 무참 · 무괴
대번뇌지법의 6가지 가운데 5가지: 방일 · 해태 · 불신 · 혼침 · 도거
부정지법의 8가지 가운데 2가지: 수면 · 악작

20수번뇌(유식유가행파)소수번뇌심소의 10가지 모두: · · · · · · · · ·
중수번뇌심소의 2가지 모두: 무참 · 무괴
대수번뇌심소의 8가지 모두: 도거 · 혼침 · 불신 · 해태 · 방일 · 실념 · 산란 · 부정지



번뇌 = 잡염 = 유부무기 + 불선유부무기욕계의 번뇌의 일부 · 색계의 번뇌 · 무색계의 번뇌
4근본번뇌(말나식4번뇌: 아치 · 아견 · 아만 · 아애)

불선 · 욕계의 번뇌의 대다수
불선근
5악 · 10악


번뇌 = 108번뇌 = 98수면 + 10전
번뇌 = : 5개
번뇌 = : 2결 · 3결 · 4결 · 5결 · 9결 · 10결(= 5하분결 + 5상분결) · 98결 · 108결
번뇌 = 구애: 3구애 · 5구애
번뇌 = : 3뇌
번뇌 = : 3루
번뇌 = : 3박 · 4박
번뇌 = : 7사 · 10사 · 98사 · 128사
번뇌 = 악행: 3악행
번뇌 = : 2취 · 4취
참고 문헌[■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편집]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見惑". 2016년 2월 5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불교 사전》, "見惑(견혹)". 2016년 2월 5일에 확인.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15권. p. T29n1558_p0099b05 - T29n1558_p0099b25. 98수면.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15권. pp. 861-862 / 1397. 98수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見所斷". 2016년 2월 6일에 확인.
운허, "迷理惑(미리혹)". 2013년 2월 7일에 확인.
운허, "迷事惑(미사혹)". 2013년 2월 7일에 확인.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三斷". 2016년 2월 6일에 확인.
곽철환 2003, "삼도(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운허, "三道(삼도)".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星雲,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DDB,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고려대장경연구소,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미륵보살의 성. 미륵보살을 말함.

답 후보
● 자씨(慈氏)
자재왕(自在王)

자행화타(自行化他)
장(障)
장자궁자유(長者窮子喩)
적광(寂光)
적문십묘(迹門十妙)

■ 음악
El Pequeno tim- mammy blue
Patachou - Saint-Lazare
VITAA - Ca Va Ca Vient (feat. Slimane)
French Anthology Salvatore Adamo - Tender Love Gardener - Viens, Ma Brune
Claude Dubois - Laisse Le Vent S'en Aller
Mathieu Mireille - Un Dernier Mott D'amour
Thomas Fersen - Germain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haisajyaguru
[san-chn] rūpi-sattva 有色有情
[san-eng] utplavate $ 범어 to jump
[pali-chn] vikkhittakasaññā 棄擲想
[pal-eng] nadiimukha $ 팔리어 nt.mouth of a river.
[Eng-Ch-Eng] four postures 四威儀
[Muller-jpn-Eng] 瓦 カワラ tile
[Glossary_of_Buddhism-Eng] CHIKO☞
See also: Pure Land Mandalas; Raigo; Taima Mandala.
“Name of an eighth-century Japanese monk from Gango-ji
(temple). The word is also applied to one of the three Japanese Pure
Land mandalas (stylized paintings), which this monk traditionally
envisioned.”

[fra-eng] dédiant $ 불어 dedicating


■ 암산퀴즈


645* 57
827388 / 846


■ 다라니퀴즈

자비주 7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103 번째는?




7
일체 깨끗한 법[백법白法]과 모든 공덕을 기르기 위함이며,
● 옴 唵<七> oṃ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103
로 가남 샤사다 라
路<引>迦喃<引>設娑哆<二合引>囉<一百三>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19일째]
지기수신불가설 $ 061▲勃麼怛羅勃麼怛羅為 一 ● 伽麼怛羅, ○□□□□,知,知,知,知

□□□□□□□, 知其生處不可說,
知其正生不可說, 知其生已不可說,
□□□□□□□, 지기생처불가설,
지기정생불가설, 지기생이불가설,

받는 몸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태어나는 처소도 말할 수 없고
바로 남을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난 뒤를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320째]
지기해료불가설 $ 062▲伽麼怛羅伽麼怛羅為 一 ● 那麼怛羅, ○□□□□,知,知,知,菩

□□□□□□□, 知其趣向不可說,
知其言語不可說, 知其作業不可說。
□□□□□□□, 지기취향불가설,
지기언어불가설, 지기작업불가설。

이해함을 아는 일 말할 수 없고
나아갈 데 아는 일 말할 수 없고
그 말을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짓는 업 아는 일도 말할 수 없어

63 , 혜마달라 보이보입 , 유로퓸 63 Eu 란타넘족



●K0954_T1560.txt★ ∴≪A아비달마구사론본송≫_≪K0954≫_≪T1560≫
●K0953_T1559.txt★ ∴≪A아비달마구사석론≫_≪K0953≫_≪T1559≫
●K0952_T1545.txt★ ∴≪A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

법수_암기방안


61 액와(腋窩) ~ 겨드랑이
62 이두박근(二頭膊筋) ~알통
7 갈비 【협】
103 스토막 stomach 胃 【위】

36765
978

○ 2019_1104_103439_nik_BW25


○ 2019_1104_161534_can_ct20_s12


○ 2018_1022_145445_nik_ct19


○ 2020_1017_160729_can_BW17


○ 2020_1017_152929_can_ct9_s12


○ 2020_0930_134935_nik_AB2


○ 2020_0908_164125_can_BW17


○ 2020_0905_135254_can_ct9


○ 2019_1004_164312_can_ct18


○ 2019_1004_160644_can_ar47


○ 2019_1004_153948_can_ar47


○ 2019_1004_145924_can_ab7_1


○ 2019_1004_140817_can_Ar28


○ 2019_1004_151703_can_Ar26


○ 2019_1105_131242_can_bw24


○ 2019_1106_155544_can_Ab31_s12


○ 2019_1106_103900_can_ar45_s12


○ 2019_1105_165326_nik_BW21_s12


○ 2017_0215_223446_nik_ct32

● [pt op tr] fr
_M#]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견혹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링크용타이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견혹

https://blog.daum.net/thebest007/865
sfx--dict/견혹.txt
sfd8--불교용어dic_2565_11.txt ☞◆vitc2651
불기2565-11-1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1/darsana-maarga-prahaatavyaanusaya.html
htmback--견혹_불기2565-11-15-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