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견혹(見惑)은 견도소단혹(見道所斷惑, 산스크리트어: darśana-mārga-prahātavyānuśaya)의 줄임말로, 문자 그대로는, 견도(見道)에서 끊어지는 번뇌를 뜻한다.
한편, 견혹과 대비하여, 수도(修道)에서 끊어지는 번뇌를 수혹(修惑)이라 하는데, 수혹은 삼라만상의 사물의 진실한 모습에 대해 미혹하게 하는 번뇌로, 정의(情意)적인 번뇌를 말한다.
견혹을 다른 말로는 견소단(見所斷) · 견도소단(見道所斷) 또는 견단(見斷)이라고 하는데,
이에 대해 수혹을 다른 말로는 미사혹(迷事惑)이라 하며, 이것은 문자 그대로의 뜻은 '사물[事]에 미혹한 번뇌'로, 현상의 사물의 참된 모습[實相]을 알지 못하는 알지 못하는 번뇌를 뜻하는데, 정의적인 번뇌, 즉, 마음에 관련된 번뇌 또는 감정과 의지에 관련된 번뇌를 가리킨다.[6][7][8]
이 가르침에 따르면, 수행자는 이지적인 번뇌 즉 견소단을 극복하는 견도의 단계를 먼저 거쳐 견해가 바르게 선 후, 계속하여 노력하여 정의적인 번뇌 즉 수소단을 극복하는 수도의 단계를 거쳐 사물의 실상에 대해 바르게 알게 되고,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완전한 깨달음의 상태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견소단 · 수소단, 즉, 견혹 · 수혹의 번뇌 분류는
불교의 수행계위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실천적인 분류로,
견혹과 수혹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가지는 것은 견도의 단계를 통과하는데 도움이 된다.
같이 보기[■편집]
3도: 견도 · 수도 · 무학도견도: 16심 · 고법지인
무학도: 34심
성문 수행계위: 4향4과 - 10결(= 5하분결 + 5상분결)
보살 수행계위: 52위
현관: 4제현관 · 6현관
유루와 무루
번뇌의 해석
번뇌의 다른 이름개 · 결 · 계 · 구 · 구애 · 궤 · 근 · 뇌 · 누 · 박 · 상해 · 소 · 소유 · 소해 · 수면 · 수번뇌 · 악행 · 액 · 열 · 유쟁 · 쟁 · 전 · 전 · 조림 · 주올 · 취 · 치연 · 폭류 · 화
번뇌의 작용
번뇌의 분류3루
4액
4취
4폭류
5부: 견고소단 · 견집소단 · 견멸소단 · 견도소단 · 수도소단 = 견소단 + 수소단
5주지번뇌
견혹 + 수혹 = 견소단 + 수소단 = 미리혹 + 미사혹 = 분별기 + 구생기
근본번뇌 + 수번뇌
번뇌장 + 소지장
번뇌 = 근본번뇌 + 수번뇌근본번뇌 = 수면3근본번뇌: 탐 · 진 · 치
6수면: 탐 · 진 · 만 · 무명 · 견 · 의
7수면: 욕탐 · 진 · 유탐 · 만 · 무명 · 견 · 의
10수면: 탐 · 진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12수면: 욕탐 · 진 · 색탐 · 무색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8근본번뇌(설일체유부)견혹 = 견소단 = 미리혹 = 분별기: 설일체유부의 88근본번뇌
수혹 = 수소단 = 미사혹 = 구생기: 설일체유부의 10근본번뇌
128근본번뇌(유식유가행파)견혹 = 견소단 = 미리혹 = 분별기: 유식유가행파의 112근본번뇌
수혹 = 수소단 = 미사혹 = 구생기: 유식유가행파의 16근본번뇌
수번뇌 = 전8전 · 10전 · 6번뇌구
19수번뇌(설일체유부)소번뇌지법의 10가지 모두: 분 · 부 · 간 · 질 · 뇌 · 해 · 한 · 첨 · 광 · 교
대불선지법의 2가지 모두: 무참 · 무괴
대번뇌지법의 6가지 가운데 5가지: 방일 · 해태 · 불신 · 혼침 · 도거
부정지법의 8가지 가운데 2가지: 수면 · 악작
20수번뇌(유식유가행파)소수번뇌심소의 10가지 모두: 분 · 한 · 부 · 뇌 · 질 · 간 · 광 · 첨 · 해 · 교
중수번뇌심소의 2가지 모두: 무참 · 무괴
대수번뇌심소의 8가지 모두: 도거 · 혼침 · 불신 · 해태 · 방일 · 실념 · 산란 · 부정지
번뇌 = 잡염 = 유부무기 + 불선유부무기욕계의 번뇌의 일부 · 색계의 번뇌 · 무색계의 번뇌
4근본번뇌(말나식의 4번뇌: 아치 · 아견 · 아만 · 아애)
불선 · 악욕계의 번뇌의 대다수
불선근
5악 · 10악
번뇌 = 108번뇌 = 98수면 + 10전
번뇌 = 개: 5개
번뇌 = 결: 2결 · 3결 · 4결 · 5결 · 9결 · 10결(= 5하분결 + 5상분결) · 98결 · 108결
번뇌 = 구애: 3구애 · 5구애
번뇌 = 뇌: 3뇌
번뇌 = 누: 3루
번뇌 = 박: 3박 · 4박
번뇌 = 사: 7사 · 10사 · 98사 · 128사
번뇌 = 악행: 3악행
번뇌 = 취: 2취 · 4취
참고 문헌[■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편집]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見惑". 2016년 2월 5일에 확인.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불교 사전》, "見惑(견혹)". 2016년 2월 5일에 확인.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15권. p. T29n1558_p0099b05 - T29n1558_p0099b25. 98수면.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15권. pp. 861-862 / 1397. 98수면.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見所斷". 2016년 2월 6일에 확인.
↑ 운허, "迷理惑(미리혹)". 2013년 2월 7일에 확인.
↑ 운허, "迷事惑(미사혹)". 2013년 2월 7일에 확인.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三斷". 2016년 2월 6일에 확인.
↑ 곽철환 2003, "삼도(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 운허, "三道(삼도)".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 星雲,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 DDB,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 고려대장경연구소,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답 후보
● 자씨(慈氏)
자재왕(自在王)
자행화타(自行化他)
장(障)
장자궁자유(長者窮子喩)
적광(寂光)
적문십묘(迹門十妙)
■ 음악
El Pequeno tim- mammy blue
Patachou - Saint-Lazare
VITAA - Ca Va Ca Vient (feat. Slimane)
French Anthology Salvatore Adamo - Tender Love Gardener - Viens, Ma Brune
Claude Dubois - Laisse Le Vent S'en Aller
Mathieu Mireille - Un Dernier Mott D'amour
Thomas Fersen - Germain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haisajyaguru
[san-chn] rūpi-sattva 有色有情
[san-eng] utplavate $ 범어 to jump
[pali-chn] vikkhittakasaññā 棄擲想
[pal-eng] nadiimukha $ 팔리어 nt.mouth of a river.
[Eng-Ch-Eng] four postures 四威儀
[Muller-jpn-Eng] 瓦 カワラ tile
[Glossary_of_Buddhism-Eng] CHIKO☞
See also: Pure Land Mandalas; Raigo; Taima Mandala.
“Name of an eighth-century Japanese monk from Gango-ji
(temple). The word is also applied to one of the three Japanese Pure
Land mandalas (stylized paintings), which this monk traditionally
envisioned.”
[fra-eng] dédiant $ 불어 dedicating
■ 암산퀴즈
645* 57
827388 / 846
■ 다라니퀴즈
자비주 7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103 번째는?
7
일체 깨끗한 법[백법白法]과 모든 공덕을 기르기 위함이며,
● 옴 唵<七> oṃ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103
로 가남 샤사다 라
路<引>迦喃<引>設娑哆<二合引>囉<一百三>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19일째]
지기수신불가설 $ 061▲勃麼怛羅勃麼怛羅為 一 ● 伽麼怛羅, ○□□□□,知,知,知,知
□□□□□□□, 知其生處不可說,
知其正生不可說, 知其生已不可說,
□□□□□□□, 지기생처불가설,
지기정생불가설, 지기생이불가설,
받는 몸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태어나는 처소도 말할 수 없고
바로 남을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난 뒤를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320째]
지기해료불가설 $ 062▲伽麼怛羅伽麼怛羅為 一 ● 那麼怛羅, ○□□□□,知,知,知,菩
□□□□□□□, 知其趣向不可說,
知其言語不可說, 知其作業不可說。
□□□□□□□, 지기취향불가설,
지기언어불가설, 지기작업불가설。
이해함을 아는 일 말할 수 없고
나아갈 데 아는 일 말할 수 없고
그 말을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짓는 업 아는 일도 말할 수 없어
63 , 혜마달라 보이보입 , 유로퓸 63 Eu 란타넘족
●K0954_T1560.txt★ ∴≪A아비달마구사론본송≫_≪K0954≫_≪T1560≫
●K0953_T1559.txt★ ∴≪A아비달마구사석론≫_≪K0953≫_≪T1559≫
●K0952_T1545.txt★ ∴≪A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
법수_암기방안
61 액와(腋窩) ~ 겨드랑이
62 이두박근(二頭膊筋) ~알통
7 갈비 【협】
103 스토막 stomach 胃 【위】
36765
978
○ 2019_1104_103439_nik_BW25
○ 2019_1104_161534_can_ct20_s12
○ 2018_1022_145445_nik_ct19
○ 2020_1017_160729_can_BW17
○ 2020_1017_152929_can_ct9_s12
○ 2020_0930_134935_nik_AB2
○ 2020_0908_164125_can_BW17
○ 2020_0905_135254_can_ct9
○ 2019_1004_164312_can_ct18
○ 2019_1004_160644_can_ar47
○ 2019_1004_153948_can_ar47
○ 2019_1004_145924_can_ab7_1
○ 2019_1004_140817_can_Ar28
○ 2019_1004_151703_can_Ar26
○ 2019_1105_131242_can_bw24
○ 2019_1106_155544_can_Ab31_s12
○ 2019_1106_103900_can_ar45_s12
○ 2019_1105_165326_nik_BW21_s12
○ 2017_0215_223446_nik_ct32
● [pt op tr] fr
_M#]
[링크용타이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견혹
https://blog.daum.net/thebest007/865
sfx--dict/견혹.txt
sfd8--불교용어dic_2565_11.txt ☞◆vitc2651
불기2565-11-1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1/darsana-maarga-prahaatavyaanusaya.html
htmback--견혹_불기2565-11-15-Tis.htm
● [pt op tr] fr
_M#]
3도: 견도 · 수도 · 무학도견도: 16심 · 고법지인
무학도: 34심
성문 수행계위: 4향4과 - 10결(= 5하분결 + 5상분결)
보살 수행계위: 52위
현관: 4제현관 · 6현관
유루와 무루
번뇌의 해석
번뇌의 다른 이름개 · 결 · 계 · 구 · 구애 · 궤 · 근 · 뇌 · 누 · 박 · 상해 · 소 · 소유 · 소해 · 수면 · 수번뇌 · 악행 · 액 · 열 · 유쟁 · 쟁 · 전 · 전 · 조림 · 주올 · 취 · 치연 · 폭류 · 화
번뇌의 작용
번뇌의 분류3루
4액
4취
4폭류
5부: 견고소단 · 견집소단 · 견멸소단 · 견도소단 · 수도소단 = 견소단 + 수소단
5주지번뇌
견혹 + 수혹 = 견소단 + 수소단 = 미리혹 + 미사혹 = 분별기 + 구생기
근본번뇌 + 수번뇌
번뇌장 + 소지장
번뇌 = 근본번뇌 + 수번뇌근본번뇌 = 수면3근본번뇌: 탐 · 진 · 치
6수면: 탐 · 진 · 만 · 무명 · 견 · 의
7수면: 욕탐 · 진 · 유탐 · 만 · 무명 · 견 · 의
10수면: 탐 · 진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12수면: 욕탐 · 진 · 색탐 · 무색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8근본번뇌(설일체유부)견혹 = 견소단 = 미리혹 = 분별기: 설일체유부의 88근본번뇌
수혹 = 수소단 = 미사혹 = 구생기: 설일체유부의 10근본번뇌
128근본번뇌(유식유가행파)견혹 = 견소단 = 미리혹 = 분별기: 유식유가행파의 112근본번뇌
수혹 = 수소단 = 미사혹 = 구생기: 유식유가행파의 16근본번뇌
수번뇌 = 전8전 · 10전 · 6번뇌구
19수번뇌(설일체유부)소번뇌지법의 10가지 모두: 분 · 부 · 간 · 질 · 뇌 · 해 · 한 · 첨 · 광 · 교
대불선지법의 2가지 모두: 무참 · 무괴
대번뇌지법의 6가지 가운데 5가지: 방일 · 해태 · 불신 · 혼침 · 도거
부정지법의 8가지 가운데 2가지: 수면 · 악작
20수번뇌(유식유가행파)소수번뇌심소의 10가지 모두: 분 · 한 · 부 · 뇌 · 질 · 간 · 광 · 첨 · 해 · 교
중수번뇌심소의 2가지 모두: 무참 · 무괴
대수번뇌심소의 8가지 모두: 도거 · 혼침 · 불신 · 해태 · 방일 · 실념 · 산란 · 부정지
번뇌 = 잡염 = 유부무기 + 불선유부무기욕계의 번뇌의 일부 · 색계의 번뇌 · 무색계의 번뇌
4근본번뇌(말나식의 4번뇌: 아치 · 아견 · 아만 · 아애)
불선 · 악욕계의 번뇌의 대다수
불선근
5악 · 10악
번뇌 = 108번뇌 = 98수면 + 10전
번뇌 = 개: 5개
번뇌 = 결: 2결 · 3결 · 4결 · 5결 · 9결 · 10결(= 5하분결 + 5상분결) · 98결 · 108결
번뇌 = 구애: 3구애 · 5구애
번뇌 = 뇌: 3뇌
번뇌 = 누: 3루
번뇌 = 박: 3박 · 4박
번뇌 = 사: 7사 · 10사 · 98사 · 128사
번뇌 = 악행: 3악행
번뇌 = 취: 2취 · 4취
참고 문헌[■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편집]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見惑". 2016년 2월 5일에 확인.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불교 사전》, "見惑(견혹)". 2016년 2월 5일에 확인.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15권. p. T29n1558_p0099b05 - T29n1558_p0099b25. 98수면.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15권. pp. 861-862 / 1397. 98수면.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見所斷". 2016년 2월 6일에 확인.
↑ 운허, "迷理惑(미리혹)". 2013년 2월 7일에 확인.
↑ 운허, "迷事惑(미사혹)". 2013년 2월 7일에 확인.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三斷". 2016년 2월 6일에 확인.
↑ 곽철환 2003, "삼도(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 운허, "三道(삼도)".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 星雲,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 DDB,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 고려대장경연구소,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답 후보
● 자씨(慈氏)
자재왕(自在王)
자행화타(自行化他)
장(障)
장자궁자유(長者窮子喩)
적광(寂光)
적문십묘(迹門十妙)
■ 음악
El Pequeno tim- mammy blue
Patachou - Saint-Lazare
VITAA - Ca Va Ca Vient (feat. Slimane)
French Anthology Salvatore Adamo - Tender Love Gardener - Viens, Ma Brune
Claude Dubois - Laisse Le Vent S'en Aller
Mathieu Mireille - Un Dernier Mott D'amour
Thomas Fersen - Germain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haisajyaguru
[san-chn] rūpi-sattva 有色有情
[san-eng] utplavate $ 범어 to jump
[pali-chn] vikkhittakasaññā 棄擲想
[pal-eng] nadiimukha $ 팔리어 nt.mouth of a river.
[Eng-Ch-Eng] four postures 四威儀
[Muller-jpn-Eng] 瓦 カワラ tile
[Glossary_of_Buddhism-Eng] CHIKO☞
See also: Pure Land Mandalas; Raigo; Taima Mandala.
“Name of an eighth-century Japanese monk from Gango-ji
(temple). The word is also applied to one of the three Japanese Pure
Land mandalas (stylized paintings), which this monk traditionally
envisioned.”
[fra-eng] dédiant $ 불어 dedicating
■ 암산퀴즈
645* 57
827388 / 846
■ 다라니퀴즈
자비주 7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103 번째는?
7
일체 깨끗한 법[백법白法]과 모든 공덕을 기르기 위함이며,
● 옴 唵<七> oṃ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103
로 가남 샤사다 라
路<引>迦喃<引>設娑哆<二合引>囉<一百三>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19일째]
지기수신불가설 $ 061▲勃麼怛羅勃麼怛羅為 一 ● 伽麼怛羅, ○□□□□,知,知,知,知
□□□□□□□, 知其生處不可說,
知其正生不可說, 知其生已不可說,
□□□□□□□, 지기생처불가설,
지기정생불가설, 지기생이불가설,
받는 몸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태어나는 처소도 말할 수 없고
바로 남을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난 뒤를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320째]
지기해료불가설 $ 062▲伽麼怛羅伽麼怛羅為 一 ● 那麼怛羅, ○□□□□,知,知,知,菩
□□□□□□□, 知其趣向不可說,
知其言語不可說, 知其作業不可說。
□□□□□□□, 지기취향불가설,
지기언어불가설, 지기작업불가설。
이해함을 아는 일 말할 수 없고
나아갈 데 아는 일 말할 수 없고
그 말을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짓는 업 아는 일도 말할 수 없어
63 , 혜마달라 보이보입 , 유로퓸 63 Eu 란타넘족
●K0954_T1560.txt★ ∴≪A아비달마구사론본송≫_≪K0954≫_≪T1560≫
●K0953_T1559.txt★ ∴≪A아비달마구사석론≫_≪K0953≫_≪T1559≫
●K0952_T1545.txt★ ∴≪A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
법수_암기방안
61 액와(腋窩) ~ 겨드랑이
62 이두박근(二頭膊筋) ~알통
7 갈비 【협】
103 스토막 stomach 胃 【위】
36765
978
○ 2019_1104_103439_nik_BW25
○ 2019_1104_161534_can_ct20_s12
○ 2018_1022_145445_nik_ct19
○ 2020_1017_160729_can_BW17
○ 2020_1017_152929_can_ct9_s12
○ 2020_0930_134935_nik_AB2
○ 2020_0908_164125_can_BW17
○ 2020_0905_135254_can_ct9
○ 2019_1004_164312_can_ct18
○ 2019_1004_160644_can_ar47
○ 2019_1004_153948_can_ar47
○ 2019_1004_145924_can_ab7_1
○ 2019_1004_140817_can_Ar28
○ 2019_1004_151703_can_Ar26
○ 2019_1105_131242_can_bw24
○ 2019_1106_155544_can_Ab31_s12
○ 2019_1106_103900_can_ar45_s12
○ 2019_1105_165326_nik_BW21_s12
○ 2017_0215_223446_nik_ct32
● [pt op tr] fr
_M#]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견혹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링크용타이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견혹
https://blog.daum.net/thebest007/865
sfx--dict/견혹.txt
sfd8--불교용어dic_2565_11.txt ☞◆vitc2651
불기2565-11-1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1/darsana-maarga-prahaatavyaanusaya.html
htmback--견혹_불기2565-11-15-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