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4년 11월 20일 수요일

불기2568-11-20_잡아함경-k0650-050


『잡아함경』
K0650
T0099

잡아함경 제50권/전체5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잡아함경』 ♣0650-050♧




잡아함경 제50권/전체5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20_1017_154712_can_exc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62824_can_ori_rs 삼각산 화계사


○ 2020_1114_132642_nik_exc 삼각산 도선사


○ 2019_1104_133621_nik_exc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21_1006_145126_nik_exc_s12해남_달마산_미황사


○ 2021_0217_134026_nik_exc서산_상왕산_개심사


○ 2014_1129_122006_can_exc_s12서울_북악산_성불사


○ 2021_1003_153249_nik_exc_s12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 2021_0926_172940_can_exc_s12서울_삼각산_도선사


○ 2021_1005_163159_can_exc장흥_천관산_천관사


○ 2021_0215_174330_nik_exc_s12안성_서운산_석남사


○ 2021_0211_161706_can_exc서울_북한산_진관사


○ 2021_1003_145704_nik_exc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 2021_1001_154033_nik_exc_s12봉화_청량산_청량사


○ 2016_0412_194331_nik_exc진안_마이산_탑사


○ 2021_0216_143052_can_exc강화도_전등사


○ 2012_0522_144628_exc_s12남양주_운길산_수종사


○ 2023_0222_184516_nik_exc_s12양평_용문산_용문사


○ 2021_1003_144403_can_exc_s12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 [pt op tr] fr
_M#]



○ 2021_0929_162723_nik_exc_s12강릉_괘방산_등명낙가사



❋❋본문 ◎[개별논의]

★%★
『잡아함경』 ♣0650-050♧






◎◎[개별논의] ❋본문









★1★





◆vifw7015

◈Lab value 불기2568/11/20


○ 2020_0904_131754_can_Ab27.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Claude-Monet-the-tuileries-study
[#M_▶더보기|◀접기|
Artist: Claude-Monet
from https://en.wikipedia.org/wiki/Claude_Monet
Title : the-tuileries-study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Rose_Orange
[#M_▶더보기|◀접기|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Rose_Orange.jpg
Orange Rose
Author Phixweb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waziland_-_Portable_market_hut_in_Mbabane
[#M_▶더보기|◀접기|
Portable market hut, Mbabane, Swaziland. Photo taken in the winter of 1979
Author John Atherton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세인트헬레나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buddhism007.tistory.com/4379

Georges Brassens - Les Passantes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11/2568-11-20-k0650-050.html#7015
sfed--잡아함경_K0650_T0099.txt ☞잡아함경 제50권/전체50권
sfd8--불교단상_2568_11.txt ☞◆vifw7015
불기2568-11-20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현상 그대로의 모양. 으레 그렇다(法爾如然)는 것을 말하는 경우.

답 후보
● 여(如)
여시(如是)
여실불공(如實不空)

여의통(如意通)
연(緣)
연기(緣起)
연생(緣生)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Serge Reggiani - Je Voudrais Pas Crever
Keren Ann - Seventeen
Tino Rossi - Mediterranee
Indochine - Play boy
Serge Reggiani - Vingt Ans
Antoine Henaut - Inevitable
Serge Gainsbourg - Negusa Nagast Feat. D. Thunder In One Thousand Drums Or Mor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13▲ 彡上夕小尸 ■ 삼상석소시 13ㅡ 털 위의 세계에도 밤이 작게 있고 주검도 있다. ( 터럭 삼 / 성씨 섬 )( 윗 상 )( 저녁 석 / 사람 이름 역, 한 움큼 샤 )( 작을 소 )( 주검 시 )
065▲ 釆夆束豕辛 ■ 변봉속시신 65 ( 분별할 변 )( 끌 봉 / 두터울 방) (묶을 속/ 약속할 속 )( 돼지 시 )( 매울 신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Paracanonical texts (Theravada Buddhism)
[san-chn] idam evaṃ-bhāgīyam 如是等類
[san-eng] niveśaya $ 범어 apply
[pali-chn] uṇhīsa-sīso 肉髻相
[pal-eng] va.n.neti $ 팔리어 va.n.n + edescribes; explains; comments on; praises; extols.
[Eng-Ch-Eng] 二行 (1) The 見行 and the 愛行. (2) The two manifestations of the hindrance of defilement 煩惱障 and the hindrance of what is known 所知障. (3) The 正行 and the 雜行. (4) The 我行 and the 我所業. 〔二障義、 HPC 1.790b〕
[Muller-jpn-Eng] 說四衆名德犯過戒 セツシシュミョウトクボンカカイ precept forbidding speaking of the faults of the four groups of renunciant practitioners
[Glossary_of_Buddhism-Eng] TAOISM☞
“Chinese religion founded by Lao Tzu and based on the Tao or
‘Way’ of nature.”

Taoist practitioners traditionally strive for immortality, which, in
Buddhism, is a classic example of deluded attachment to the body.


[fra-eng] bergère $ 불어 shepherdess
[chn_eng_soothil] 己心法門 己心中所行法門 The method of the self-realization of truth, the intuitive method of meditation, 止觀 1.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一時, 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千二百五十人俱.
한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서 큰 비구(比丘)들 1250 사람과
함께 계셨다.
[玄奘] 一時, 薄伽梵在室羅筏, 住誓多林給孤獨園, 與大苾芻眾千二百五十人俱.
[義淨] 一時, 薄伽梵在名稱大城戰勝林施孤獨園, 與大苾芻眾千二百五十人俱,
及大菩薩眾.

01-02
एकस्मिन् समये भगवान् श्रावस्त्यां विहरति स्म जेतवनेऽनाथपिण्डदस्यारामे महता भिक्षुसंघेन सार्थं त्रयोदशभिर्भिक्षुशतैः संबहुलैश्च बोधिसत्त्वैर्महासत |

ekasmin samaye bhagavān śrāvastyāṁ viharati sma
jetavane'nāthapiṇḍadasyārāme mahatābhikṣusaṁghena sārddham
ardhatrayodaśabhirbhikṣuśataiḥ saṁbahulaiśca bodhisattvairmahāsattvaiḥ |
한 때 복덕갖춘분께서 싀라와스띠에 계실 때, 무의탁자들에게 음식을 주는 이의 동산인
제따숲에서 (하나의) 절반이 부족한 13의 곱절인 100인의 비구들로 이루어진 커다란
비구승가와 더불어, 그리고 위대한 존재로서 깨달음갖춘이들과 더불어 머무셨다.
▼▷[ekasmin] ① ekasmin(pn.nj.→ƾ.loc.) → [한]
② eka(pn.nj. one, single, alone, only)
▼[samaye] ① samaye(ƾ.loc.) → [때에]
② samaya(ƾ. time in general; occasion, opportunity; fit time, right moment; an agreement)
▼[bhagavān] ① bhagavān(ƾ.nom.) → [복덕갖춘분께서]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 * + ­vat(possessive
affix) < bhaga(ƾ. the sun; the moon; good fortune, luck, happy lot) < bhaj(1.dž. to
share, distribute, divide; to obtain for oneself, share in; to accept, receive)
▼[śrāvastyāṁ] ① śrāvastyāṁ(Ʒ.loc.) → [싀라와스띠에서] → 싀라와스띠에 계실 때
 한 때 90만 가구가 살았다고 전해지는 '싀라와스띠'의 이름은 성인
싸왓타(Sāvattha)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하며, 혹은 당시 무역중개의
거점으로서 무슨 물건이든지 모두 있다는 의미의 'sarvam[모든 것이]
asti[있습니다]'란 말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② śrāvastī(Ʒ. N. of a city north of the Ganges)
▼[viharati] ① viharati(pres.Ⅲ.sg.) → [머무신다] -|+sma|→ 머무셨다
② vihṛ(1.ǁ. to take away, seize away; to remove, destroy; to let fall, shed) < vi(ƺ.
separation, disjunction) + hṛ(1.dž. to take, carry, convey, lead; to carry off or away)
② vihāra(ƾ. removing, taking away; roaming or walking for pleasure; sport, play)
▼[sma] ① sma(ƺ.) → [(과거형성)]
② sma(ƺ. joined with a pres. tense or pres. participle to give them a past sense)
▼[jetavane'nāthapiṇḍadasyārāme] ① jeta+vane(ƿ.loc.) +
anātha+piṇḍa+dasya([nj.→]ƾ.gen.) + ārāme(nj.→ƾ.loc.) → [제따숲에、
무의탁자들에게 음식을 주는 이의、 동산인(←즐거움을 주는 곳인)]
② jeta([in comp.]) < jrtṛ(nj. victorious, triumphant; surpassing: ƾ. a conqueror, voctor)
② vana(ƿ. a forest, wood; residence, house)
② anātha(nj. helpless, poor, forlorn, parentless, orphan, widowed; without a protector) <
nātha(ƾ. a lord, master, leader; a husband; a protector)
② piṇḍa(ƾƿ. a round mass, ball; a lump; a round lump of food; A ball or lump of rice
offered to the Manes at obsequial ceremonies or Srāddhas)
② da(nj. giving, granting; destroying, removing) < dā(1.ǁ. to give, bestow, grant)
② ārāma(nj. pleasing, delightful: ƾ. delight, pleasure; a garden) < āram(1.ǁ. to delight in;
to cease, stop [to speak]; to rest, take rest) < ā(ƺ.) + ram(1.Ʋ. to be pleased or
delighted, rejoice, be gratified; to rejoice at)
▼[mahatābhikṣusaṁghena] ① mahatā(nj.→ƾ.ins.) + bhikṣu+saṁghena(ƾ.ins.) →
▼[커다란、 비구승가로] → 비구승가와 더불어
② mahat(nj. great, strong, powerful; ample, abundant; long, extended)
② bhikṣu(ƾ. a beggar, mendicant in general; a religious mendicant; a Buddhist mendicant)
< bhikṣ(1.Ʋ. to ask, beg or ask for; to beg; to ask without obtaining) < bhaj(1.dž. to
share, distribute, divide; to obtain for oneself, share in; to accept, receive)
② saṁgha(ƾ. coming together, joining; meeting, union; touch, contact)
▼[sārddham] ① sārddham(ƺ.) → [(더불어)]
 dehalidīpanyāya(통로에 밝힌 등불) : 한 가지 항목이 의미상 양쪽에 영향을 미치는
것 : 비구승가와 더불어(sārddham), 그리고 깨달음갖춘이들과 더불어(sārddham)…
② sārddham(ƺ. together with, with, in company with [w/ins.])
▼[ardhatrayodaśabhirbhikṣuśataiḥ] ① ardha+trayodaśabhiḥ(nj.→ƿ.ins.pl.) +
bhikṣu+śataiḥ(ƿnp.ins.pl.) → [(하나의) 절반이 부족한 13의 곱절인、 비구 100인들로
이루어진] → (하나의) 절반이 부족한 13의 곱절인 100인의 비구들로 이루어진
 (-0.5+13) x 100 = 1,250
 1의 절반이 부족한 13인(nj.) 비구 100인들 → ~13곱인 비구 100인들 : 숫자가
숫자를 형용해줄 때는 '형용'이 곧 '곱절'을 의미한다.
 artha가 숫자 앞에 놓이면 뒤 숫자의 절반을
나타내거나(śatam[100]→arthaśatam[50]), 또는 뒤 숫자에서 0.5가 모자람을
가리킨다(tṛtīyam[ƿ. the 3rd]→arthatṛtīyam[ƿ. two and a half]).
 1250명의 비구는 <過去現在因果經>에 의하면, 녹야원에서 첫 설법을 전해 제도한
다섯 비구, 야사(Yasa)와 그의 친구 50인, 가섭 3형제와 그 제자들 1천명, 사리불과
목련존자 및 그 제자 200인으로서 도합 1255인을 가리킨다.
② ardha(nj. half, forming a half: ƾ. a place, region: ƾƿ. a half, half portion)
② trayodaśa(num.nj.pl. thirteenth) < trayas(num.nj.pl. three) + daśan(num.nj.pl. ten)
② bhikṣu(ƾ. a beggar, mendicant in general; a religious mendicant; a Buddhist mendicant)
② śata(ƿ. a hundred)
▼[saṁbahulaiśca] ① saṁbahulaiḥ(nj.→ƾ.ins.pl.) + ca(ƺ.) → [그리고、 많은]
② saṁbahula(nj. very much or many, very numerous, plentiful, abundant)
② ca(ƺ. and, both, also, moreover)
▼[bodhisattvairmahāsattvaiḥ] ① bodhisattvaiḥ(ƾ.ins.pl.) + mahāsattvaiḥ(nj.→ƾ.ins.pl.)
→ [깨달음갖춘이들과 더불어、 위대함갖춘상태인.]

② bodhisattva(ƾ. a Buddhist saint) < bodhi(ƾ. perfect wisdom or enlightenment) +
sattva(ƿ.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nature character) < sat(nj. being, existing,
existent; real, essential, true; good, virtuous; venerable, respectable) + ­tva('state of')
② mahāsattva(nj. noble; very strong or powerful: ƾ. a large animal) < mahat(nj. great)
è 내 몫을 공양 받을 만한 자격을 갖춘 이가 갖추어야 할 6가지 덕목
□ '자격을 갖춘 이(bhaga)'가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여섯 가지를 들고 있으며, 그렇게 여섯 가
지의 덕목이 갖추어진 위대한 이를 '바가완(bhagavan)'이라 일컫는다.
○ samagrasya aiśvaryasya dharmasya yaśasaḥ śriyaḥ jñānavairāgyayoḥ caiva ṣaṇṇām bhaga
itīraṇā | → [절대적 귄위 및 무집착 등의 여섯 가지를 갖춘 이의 경우 '위대한 이'라는 이름을
가진다.]
 아이싀와르야 ・ aiśvarya(ƿ. supremacy, sovereignty; power; dominion) - 絶對的權能
 다르마 ・ dharma(ƾ. law; usage, practice, duty; justice; virtue, morality, religion) - 法
 야샤스 ・ yaśas(nj. lovely, worthy; honoured: ƿ. fame, reputation, glory; favour) - 名譽
 싀리 ・ śrī(Ʒ. wealth, prosperity; royalty, majesty; the goddess of wealth) - 富貴
 즈냐나 ・ jñāna(ƿ. cognizance, knowing; knowledge, learning; consciousness) - 智識
 와이라갸 ・ vairāgya(ƿ. absence of worldly desires or passions) - 無執着(내려놓음)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25일째]
청정중보불가설 $ 067▲尸婆麼怛羅尸婆麼怛羅為 一 ● 翳羅, ○□□□□,上,最,供,清

□□□□□□□, 上妙蓮華不可說,
最勝香鬘不可說, 供養如來不可說,
□□□□□□□, 상묘련화불가설,
최승향만불가설, 공양여래불가설,

清淨眾寶不可說,
깨끗한 여러 보배 말할 수 없고
가장 묘한 연꽃도 말할 수 없고
가장 좋은 향과 화만 말할 수 없고
여래께 공양함을 말할 수 없어



[326째]
청정신심불가설 $ 068▲翳羅翳羅為 一 ● 薜羅, ○□□□□,最,增,恭,修

□□□□□□□, 最勝悟解不可說,
增上志樂不可說, 恭敬諸佛不可說,
□□□□□□□, 최승오해불가설,
증상지락불가설, 공경제불불가설,

清淨信心不可說,
청정한 믿는 마음 말할 수 없고
가장 나은 깨달음도 말할 수 없고
늘어가는 즐거운 뜻 말할 수 없고
부처님께 공경함을 말할 수 없네.





●K0960_T1552.txt★ ∴≪A잡아비담심론≫_≪K0960≫_≪T1552≫
●K0650_T0099.txt★ ∴≪A잡아함경≫_≪K0650≫_≪T0099≫
●K0745_T0101.txt★ ∴≪A잡아함경≫_≪K0745≫_≪T0101≫


■ 암산퀴즈


876* 174
163968 / 854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65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6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1 번째는?




65 (끝+개별자신서원)
호로로 滸魯盧<六十五>
huru ru.
(~!~) 속히 속히 성취게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60 바라등의리 ◐鉢囉登擬哩<百六十>◑pratyaṅgira//
161 마하사하사라보아 ◐摩訶薩訶薩囉部兒<千臂大神百六><十一>◑Mahāㆍsāhasraㆍbhuja
162 사하사라시리 ◐娑訶薩囉室曬<千頭神百六十二>◑sahasraㆍśirshe
163 구디사다사하사라녜다례 ◐俱胝舍多娑訶薩囉寧怛㘑<百千眼神百六十三>◑koṭiㆍśataㆍsāhasraㆍnetre
164 아볘댜 ­ 지바리다나타가 ◐阿弊地也什嚩哩多那咤迦<百六十四>◑Abhedyajvalitaㆍnaṭakā
165 마하바저로타 라 ◐摩訶跋折嚕陁<引>囉<大輪金剛百六十五>◑mahāㆍvajrodara
166 뎨리보바나 ◐帝哩菩嚩那<三世百六十六>◑triㆍbhuvana
167 만다라 ◐曼茶囉<檀場百六十七>◑maṇḍalā//
168 오훔사싣뎨 ◐嗚吽莎悉底<百六><十八>◑Oṃ svastir.
169 바바도 ◐薄婆都<與我平等百六十九>◑bhavatu//

●아난아,
만일 모든 세계의 여러 국토에 있는 중생들이
그 나라에서 나는 자작나무 껍질[樺皮]이나
패엽(貝葉)이나 종이나 흰 천[白疊]에 이 주문을 쓰고 베껴서
향주머니에 넣어 두거나,
이 사람의 마음이 어두워서 외울 수 없을 경우,
몸에 지니고 다니거나
집안에 써둔다면,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의 일생 동안에는
온갖 독이 해칠 수 없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01
모든 뜻을 성취하신 이께 귀의[南無]합니다.
南無一切義成就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52424
192
법수_암기방안


68 요골 ~ 노뼈
16 겨드랑이 [암핏 armpit]
65 견상(肩 =


1 빗장뼈[=쇄골]
67 주관절(肘關節) 팔꿈치
125 ( 팜 palm) 손바닥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8_1121_113149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사리불아,
이 유월세계로부터 동쪽으로 2천 1억 불찰을 지나면 성왕(星王)이란 세계가 있다.**


그 나라의 부처님의 명호는 수왕(樹王) 여래ㆍ지진ㆍ등정각ㆍ명행성위ㆍ선서ㆍ세간해ㆍ무상사ㆍ도법어ㆍ천인사이며 호는 중우이니,
셀 수 없이 많은 사람을 제도하신다.
누구든 수왕여래의 명호를 듣고서 기쁜 마음으로 믿고 즐거워하며 받들어 외운다면,
그들은 마땅히 모든 법락(法樂)을 얻을 것이며,
모든 마병(魔兵)들을 쳐부수고 그들의 그물을 찢어 버릴 것이다.
그러나 만약 이 경을 업신여기고 비방하고 서로 조롱하면 6만 년 동안 승가(僧迦)지옥에서 그 죗값을 받을 것이다.또 ‘나는 이 경을 믿지 않는다’고 말하면 7만 년 동안 항상 아귀(餓鬼)로 지내면서 음식과 물과 곡식의 이름조차 듣지 못할 것이다.



출전:
한글대장경 K0371_T0434
불설칭양제불공덕경(佛說稱揚諸佛功德經) 원위 길가야역
佛說稱揚諸佛功德經 【元魏 吉迦夜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완전한 메뚜기 자세 [Poorna Salabhasana]


○ 2018_1025_163537_can_ct8_s12


○ 2018_1025_163643_can_Ab31


○ 2018_1025_163749_nik_BW22


○ 2018_1025_174917_can_BW17


○ 2020_0224_101407_nik_ct8_s12


○ 2020_0224_110400_nik_ab41_s12


○ 2020_0224_115213_nik_Ar12


○ 2020_1126_155347_nik_Ab31


○ 2020_1126_155734_nik_ct18_s12


○ 2020_1126_160343_nik_Ar37_s12


○ 2020_1126_161146_nik_ar35


○ 2021_0717_185204_can_ct17_s12_서울 동대문디자인센터


○ 2021_0717_171635_can_ct9_s12서울 동대문디자인센터


○ 2021_0717_171845_can_Ab27서울 동대문디자인센터


○ 2021_0717_173431_nik_ar46_s12서울 동대문디자인센터


○ 2021_0717_173550_can_BW3_s12서울 동대문디자인센터


○ 2023_0325_135229_nik_bw19_s12KIMES_생명_신체_기술_깨달음


○ 2023_0325_115941_nik_ar48KIMES_생명_신체_기술_깨달음

● [pt op tr] fr
_M#]



○ 2021_0717_172114_can_ar31_s12서울 동대문디자인센터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잡아함경_K0650_T0099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잡아함경』 ♣0650-050♧
[관련키워드]
잡아함경 제50권/전체5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8-11-20_잡아함경-K0650-050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11/2568-11-20-k0650-050.html
sfed--잡아함경_K0650_T0099.txt ☞잡아함경 제50권/전체50권
sfd8--불교단상_2568_11.txt ☞◆vifw7015
불기2568-11-20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668200501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182
htmback--불기2568-11-20_잡아함경_K0650_T0099-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