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경』
K0736
T0124
연기경 /전체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연기경』
♣0736-001♧
연기경 /전체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53743_nik_fix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5_154717_nik_exc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6_103508_can_exc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54837_can_fix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201_152217_can_exc 원주 구룡사
○ 2019_1201_152345_nik_exc_s12 원주 구룡사
○ 2020_0430_123139_can_exc 종로구 창의문로 성불사
○ 2020_0905_164915_can_ori_rs 오대산 적멸보궁
○ 2020_0907_160246_can_ori_rs 양산 통도사
○ 2020_0909_162254_can_ori_rs 무주 백련사
○ 2020_0910_152530_can_ori_rs 속리산 법주사
○ 2020_0930_134737_can_ori_rs 화성 용주사
○ 2020_0930_135958_nik_ori_rs 화성 용주사
○ 2020_1017_161444_nik_exc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64844_can_exc 삼각산 화계사
○ 2019_1104_161634_can_exc 구례 쌍계부근
○ 2019_1104_170743_can_exc 구례 지리산 연곡사
○ 2019_1104_171630_nik_exc 구례 연곡사
○ 2019_1104_175519_nik_exc 지리산 피아골
● [pt op tr] fr
_M#]
○ 2018_1023_161425_nik_ori 예산 덕숭산 수덕사
❋❋본문 ♥ ◎[개별논의]
★%★
『연기경』
♣0736-001♧
◎◎[개별논의] ♥ ❋본문
가【伽】
인도의 범어 글자[梵字] gha घ를 한자로 음역해 표기한 것이다.
이 범어글자는 한자로 恒(긍 /항)ㆍ[口*恒](긍)ㆍ鍵(건)ㆍ搋(체) 이라고도 표기한다.
실담글자 형태는 ખ 형태다.
○ a>
○ K1370-T2
☞ 가伽와 수행
범어 글자는 원칙적으로 단순한 말소리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하나의 소리를 사용해 단어를 만들어 나타낼 수 있는 수많은 의미가 있다.
그러나 수행자는 하나의 글자로 나타낼 수 있는 수많은 단어 가운데 수행에 의미가 깊은 단어를 떠올린다.
그리고 이런 의미로서 그 소리나 단어를 대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수행에 있어 수행목표나 수행의 방향성을 자각한다.
그래서 수행에 도움을 받는 효용을 갖는다.
경(經)에서는 이 글자를 조밀(稠密)이라고 해석한다.
이는 범어로 가나(伽那 ghana)다.
이는 최조밀무명암명성(摧稠密無明闇冥聲)을 나타낸다.**
여기서 摧는 꺽을 최, 稠密은 빽빽함, 闇은 어두울 암, 冥은 어두울 명이다.
즉, 이는 빽빽하고 은밀한 무명 어리석음의 어둠을 꺾는 소리로 해석한다.
{ K1309V36P0978b05L; 『문수문경자모품제십사』(文殊問經字母品第十四) 1권 }
또는 제멸일체무명흑암후중예막성(除滅一切無明黑暗厚重瞖膜聲)을 나타낸다.
여기서 瞖는 흐릴 예 , 膜은 꺼풀 막을 뜻한다.
이는 범어로는 ghaṇa-paṭa-vidyā-moha-andhakāra-vidhāmana 이다.
즉, ‘온갖 무명(無明) 어리석음의 어둡고 두텁고 중하게 가린 꺼풀을 없애라’라는 의미의 소리로 해석한다.
{ K0111V09P0563b21L; 除滅一切無明黑暗厚重瞖膜聲 『방광대장엄경』(方廣大莊嚴經) 제4권 10. 시서품(示書品) }
한편, 이 글자가 나타내는 뜻(字義자의)를 합(合)이라고도 해석한다.
합(合)은 범어로 ghaṭana다.
그리고 이는 일체법일합불가득(一切法一合不可得)을 나타낸다. **
이는 모든 법의 일합(一合:하나로 합함)은 얻을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일체법일합불가득(一切法一合不可得)]
{ K0287V11P0747c05L; 『불공견삭신변진언경』(不空羂索神變眞言經) 제14권 다라니진언변해탈품(陁羅尼眞言辯解脫品) 제23 }
{ K1370V37P0287a01L; 『유가금강정경석자모품』(瑜伽金剛頂經釋字母品)}
이를 대일경에서는 '제법일합상불가득'(諸法一合相不可得)이라고 표현한다.
즉 모든 법의 일합상(一合相:하나로 합해진 모습)은 얻을 수 없음을 나타낸다.
{ K0427V13P0911b22L; 諸法一合相不可得故現伽字形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 권6(卷六) 백자성취지송품(百字成就持誦品) 제22, 선무외. 일행역(唐 善無畏. 一行譯), T0848 }
여기서 일합(一合)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의 다음 구절과 관련된다.
“수보리야, 한 덩어리란 것은 곧 말할 수 없는 것이거늘 다만 범부들이 그것을 탐내고 집착하느니라.”
{ K0013V05P0984a10L; “須菩提!一合相者,則是不可說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
예를 들어 세상을 대할 때 나눠서 대하면 티끌로 나누어 대한다.
그러나 합쳐서 대하면 우주로 대하게 된다.
이 때 우주라고 여기고 대하는 상을 일합상(一合相)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렇게 여기고 가리키는 부분은 감각현실이다.
그래서 그러한 관념은 그런 부분에서는 얻을 수 없다.
또한 그런 내용은 본 바탕 실상에서 얻을 수 없다.
한편, 여기서 일합(一合)의 뜻을 밀합(密合)으로 새기기도 한다.
그래서 예전부터 이를 일합(一合)의 가(伽)자라 한다.**
한편, 가(伽)는 이 두 내용을 합해 밀합(密合)이란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한편, 이 글자가 나타내는 작음(作音)이라고 해석한다.
이는 범어(梵語) ghoṣa 이다.
그리고 이는 여래상음(如來常音)을 나타낸다.
즉, 여래의 항상한 음을 나타낸다.
북본(北本)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권8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가([口*恒] gha:무거운 음의 가)는 여래의 항상한 음이다. 무엇을 여래의 항상한 음이라 하는가? 여래는 항상 머물고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라고 한다
{ K0105V09P0071c23L; ...[口*恒]者如來常音何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북량 담무참역(北涼 曇無讖譯), 卷第八 여래성품(如來性品) 제4 第四之五, T0374 }
{ K1403V38P0796a16L; 重音伽者如來常音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卷第八 문자품(文字品) 제13 송 혜엄등의니원경가지(宋 慧嚴等依泥洹經加之), T0375 }
기타 참고
『수호국계주다라니경』(守護國界主陀羅尼經) 卷三․
『대방광불화엄경』 入法界品 四十二字觀門․
『대일경소』(大日經疏) 卷七․ 悉曇字記]
이는 실담체문(悉曇體文) 42자(字), 50자문(字門)의 하나다.
☞ 실담(悉曇)
여기서 실담(悉曇)은 인도의 문자인 범어(산스크리트어)을 뜻한다.
넓은 뜻으로는 체문(體文)과 마다(摩多)를 총칭한다.
체문은 자음[父音부음]을 뜻한다.
☞ 참조 구홍법원사전 hbfl--1818_Sanskrit.TIF
이는 소리를 낼 때 발성기관에서 장애를 받으며 내는 소리다. 한글에서 'ㄱ', 'ㄴ' 등과 같다.
마다(摩多)는 모음(母音)을 뜻한다. 점획(點劃)이라 번역한다.
이는 소리를 낼 때 발성기관에서 장애를 받지 않고 내는 소리다. 한글에서 ‘ㅏ’, ‘ㅑ’ 등과 같다.
실담(悉曇)은 좁은 뜻으로는 마다(摩多)의 12운(韻)만 말하기도 한다.
이 마다(摩多) 12운은 모두 완전한 제소리가 있다.
또 점획으로서 체문에 붙여, 여러 가지 소리를 구성한다.
☞ 참조 구홍법원사전 hbfl--1820_Sanskrit.TIF
그래서 이를 성취의 뜻을 가진 실담이란 명칭으로 부른다. {운허사전}
범어로는 siddhaṃ이라고 한다. 이를 성취(成就)ㆍ길상(吉祥)이라 번역한다.
☞ 참조 구홍법원사전 hbfl--01_Ga_0001.TIF
★1★
◆vvly3905
◈Lab value 불기2567/10/16 |
English: The Daughters of Edward Darley Boit
♥단상♥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10/2567-10-16-k0736-001.html#3905 sfed--연기경_K0736_T0124.txt ☞연기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7_10.txt ☞◆vvly3905 불기2567-10-16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천태종 10승(乘) 관법의 제3. 교안지관(巧安止觀)이라고도 함. 진정하게 보리심을 낸데서 진증(眞證)을 얻을 수 없는 이는, 다시 고요하고 분명한 지관(止觀)의 행을 닦아 공교하게 법성(法性)의 이치에 마음을 두게 하는 관법.
답 후보
● 선교안심지관(善巧安心止觀)
선요(禪要)
설법(說法)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섭중생계(攝衆生戒)
성관음(聖觀音)
성문사과(聲聞四果)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Serge Gainsbourg - Dub Charlotte
Mireille Mathieu - Don't Rain On My Parade
Mathieu Boogaerts - Un Peu Trop Pres D'la Lune
Pierre Perret - Tonton Cristobal
Leoparleur - Juste Ton Sourire
Natasha St-Pier - Tant Que J'existerai
Mireille Mathieu - Keiner War Vor Dir Wie Du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百 ■ (일백 백/ 힘쓸 맥 )
055▲ 卍米百缶糸 ■ 만미백부사 55 ( 만자 만 )( 쌀 미 )(일백 백/ 힘쓸 맥 )(장군 부 / 두레박 관 )CF 장군( =배가 불룩하고 목 좁은 아가리가 있는 질그릇)(실 사 / 가는 실 멱, )
029▲ 牛牜尤友云 ■ 우우우우운 29 ( 소 우 ) ( 소우 우) ( 더욱 우 )( 벗 우 )( 이를 운/ 구름 운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Nipponzan-Myōhōji
[san-chn] ut-√kṣip 按, 擧, 擧取, 漉
[san-eng] māsa $ 범어 month
[pali-chn] vīthi-sampaṭipādana 次第法
[pal-eng] asanthava $ 팔리어 adj.without a companion.
[Eng-Ch-Eng] Extensive Record of the Chan Master Mazu Daoyi 馬祖道一禪師廣錄
[Muller-jpn-Eng] 法華玄義 ホッケゲンギ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utra
[Glossary_of_Buddhism-Eng] EMEI SHAN☞
See: E-Mei Mountain.
[fra-eng] ragout $ 불어 stew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89일째]
일일불법불가설 $ 031▲毘薄底毘薄底為 一 ● 毘佉擔, ○□□□□,種,出,轉,於
□□□□□□□, 種種清淨不可說,
出妙音聲不可說, 轉正法輪不可說。
□□□□□□□, 종종청정불가설,
출묘음성불가설, 전정법륜불가설。
一一佛法不可說,
하나하나 부처님 법 말할 수 없고
가지가지 청정함도 말할 수 없고
미묘하게 내는 음성 말할 수 없고
법 바퀴 굴리는 것 말할 수 없어
[290째]
어피일일법륜중 $ 032▲毘佉擔毘佉擔為 一 ● 稱量, ○□□□□,演,於,分,於
□□□□□□□, 演修多羅不可說;
於彼一一修多羅, 分別法門不可說;
□□□□□□□, 연수다라불가설;
어피일일수다라, 분별법문불가설;
於彼一一法輪中,
저러한 하나하나 법 바퀴마다
수다라 연설함도 말할 수 없고
저러한 하나하나 수다라에
분별하는 법문도 말할 수 없고
●K0399_T0647.txt★ ∴≪A역장엄삼매경≫_≪K0399≫_≪T0647≫
●K0736_T0124.txt★ ∴≪A연기경≫_≪K0736≫_≪T0124≫
●K0259_T0714.txt★ ∴≪A연기성도경≫_≪K0259≫_≪T0714≫
■ 암산퀴즈
537* 497
555646 / 994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9 번째는?
자비주 55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73 번째는?
29 지혜의 광명을 증장시키며,
히 례, 㕧<上聲醯以反>㘑<二十九>
shiri
(이하~) 성스러운 찬란한 빛을 펼치시고,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55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곧 자비를 지닌 곳간이니,
항상 이 다라니로
일체 중생을 구제하고 보호하는 까닭이니라.
● 마하싯다야사바하 摩訶悉陁夜娑婆訶<五十五> ma hā sid dhā ya s vā hā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73
보리바 비바 시
布哩嚩<二合>鼻婆<引>史<七十三>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266889
559
법수_암기방안
32 무릎 knee
29 약지 (RING finger )
55 이마 forehead, 額上 【액상】 이마의 위
73 소지 (~새끼)
31 넓적다리 thigh
89 복사뼈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01808&cid=50763&categoryId=50784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다리 들어올리기
○ 2016_1008_131641_nik
○ 2016_1008_133901_can
○ 2018_0419_135106_can
○ 2018_0419_140326_can
○ 2020_0525_163850_nik
○ 2020_0525_165308_nik
○ 2020_0525_174841_can
○ 2020_0525_174932_can
○ 2020_0525_183428_nik
○ 2020_0525_190401_nik
○ 2020_0525_190643_can
○ 2020_0606_124238_can
○ 2020_0606_134440_can
○ 2020_0606_181225_can
○ 2020_0606_190916_can
○ 2020_0606_192308_can
● [pt op tr] fr
_M#]
○ 2020_0606_193109_can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연기경_K0736_T0124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연기경 /전체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7-10-16_연기경-K0736-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10/2567-10-16-k0736-001.html
sfed--연기경_K0736_T0124.txt ☞연기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7_10.txt ☞◆vvly3905
불기2567-10-16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238566811
https://buddhism007.tistory.com/18381
htmback--불기2567-10-16_연기경_K0736_T0124-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