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4년 3월 18일 월요일

불기2568-03-18_불설사미증유법경-k0748-001


『불설사미증유법경』
K0748
T0136

불설사미증유법경 /전체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설사미증유법경』 ♣0748-001♧




불설사미증유법경 /전체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20004_nik_fix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13750_can_exc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20_0905_114221_can_ori_rs 오대산 월정사


○ 2020_0906_110639_nik_ori_rs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7_152356_can_ori_rs 양산 통도사


○ 2020_0908_152424_can_ori_rs 합천 해인사


○ 2020_0909_133707_can_ori_rs 무주 백련사


○ 2020_0909_143322_can_ori_rs 무주 백련사


○ 2020_0910_124228_nik_ori_rs 속리산 법주사


○ 2020_0911_112157_can_ori_rs 제천 의림지 대도사


○ 2020_1002_115334_nik_exc_s12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20_1017_172033_nik_exc 삼각산 화계사


○ 2018_1022_134117_can_ori 공주 계룡산 갑사


○ 2018_1022_134717_nik_exc 공주 계룡산 갑사


○ 2018_1024_143849_can_ori 공주 칠갑산 장곡사


○ 2018_1024_163730_can_ori 부여 고란사


○ 2018_1024_175301_can_ori 부여 고란사


○ 2019_0106_155126_nik_exc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 2020_1114_140200_can_exc 삼각산 도선사

● [pt op tr] fr
_M#]


_ori_rs
○ 2016_0505_115930_can 춘천 청평사



❋❋본문 ◎[개별논의]

★%★
『불설사미증유법경』 ♣0748-001♧






◎◎[개별논의] ❋본문









★1★





◆vzuk6947

◈Lab value 불기2568/03/18


○ 2020_0606_192940_can.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ustave-dore-don-quixote-79
[#M_▶더보기|◀접기|
Artist: gustave-dore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ustave_Doré
Title : don-quixote-79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606_193124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2017_LMU_1-4_rectlinear
[#M_▶더보기|◀접기|
Das LMU-Hauptgebäude im Jahr 2017
Author
Wikiolo
derivative work: Martin Kraft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Russia ,Saint Petersburg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buddhism007.tistory.com/5718

Pierre Bachelet - On Y Va Quand Mem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03/2568-03-18-k0748-001.html#6947
sfed--불설사미증유법경_K0748_T0136.txt ☞불설사미증유법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8_03.txt ☞◆vzuk6947
불기2568-03-18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제6의식(意識). 이 식은 대경(對境)에 향하여 여러 가지로 생각하고, 

식별(識別)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이렇게 이름.

답 후보
● 분별식(分別識)
불가설(不可說)
불공견삭관음(不共羂索觀音)
불공성취(不空成就)

불도(佛道)
불명(佛名)
불변수연(不變隨緣)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Jean-Louis Murat - Aimer
Alex Beaupain - I Want To Go Home
Edith Piaf - Des Histoires
Salvatore Adamo - Mauvaise Nuit A Demain !
Pierre Bachelet - Pleure Pas Boulou
Nicole Croisille - La Rockeuse De Diamants
Serge Reggiani - Les Carabinier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香 ■ ( 향기 향 )
078▲ 風虐香革頁 ■ 풍학향혁혈 78 ( 바람 풍 )( 모질 학 )( 향기 향 )(가죽 혁 / 중해질 극 )(머리 혈 / 책 면 엽 )
013▲ 彡上夕小尸 ■ 삼상석소시 13ㅡ 털 위의 세계에도 밤이 작게 있고 주검도 있다. ( 터럭 삼 / 성씨 섬 )( 윗 상 )( 저녁 석 / 사람 이름 역, 한 움큼 샤 )( 작을 소 )( 주검 시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Pava
[san-chn] saṃtāna-samudbhava 續生
[san-eng] bhaktyupahṛtaṃ $ 범어 offered in devotion
[pali-chn] nissaggiya 尼薩耆
[pal-eng] api nu $ 팔리어 ind.used in an interrogative sense.
[Eng-Ch-Eng] 內根 Internal realm; mental realm.
[Muller-jpn-Eng] 仙女 センニョ (term) female sage
[Glossary_of_Buddhism-Eng] KILLING☞
See also: Abortion; Bimbisara; Birth Control; Euthanasia; Food / Food
Rules; Immolation; Precepts; Simha; Suicide; Vegetarianism.
The first Buddhist precept, binding upon clergy and laity alike, is
not to kill – and this includes not to kill oneself:

“A monk who intentionally deprives a human being of his life, or provides the means for suicide, or praises death, or incites one to commit
suicide, saying, ‘Of what use to you is this evil, difficult life? Death is
better for you than life,’ thus having his mind set on the other’s death
and with the idea that he should die, praises death in various ways or
incites him to commit suicide, commits an offense entailing loss of
monkhood.” (Vinaya Pitaka, as quoted in World Scripture, p.343).

“Whereas the commandment ‘Thou shalt not kill’ is ordinarily interpreted to mean ‘Thou shalt not kill humans,’ the Buddhist perspective includes all forms of animal life as well. To refrain from killing
means to abstain from killing any sentient being, including even
cockroaches and ants. Each living creature is as attached to its life as
any other, as we can see when they scurry away. In institutions such
as the Society for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 and in sayings
such as ‘She’s so kind, she wouldn’t kill a fly,’ we see that the notion of
non-harm often extends to non-human life forms in Western culture,
too. Thus, Buddhism reaffirms some of our own cultural ideals.”

(I) Self-Defense
“Question: What if someone is trying to harm me physically or mentally, and in trying to prevent this I hurt him or her, do I violate the
first precept against killing?
Answer: You violate the precept. In kung fu, even though you may
have lethal power, if you are attacked, you run away. If you can’t run
away, you avoid. You do this dance so they can’t get you. If you can’t
avoid, you disarm; take the weapon away from them. If you can’t disarm, you maim, to slow them down.
The last resort is to kill, to use your power in a lethal way. If you do
that to protect yourself, you violate the precept, because it is a selfcentered action. If you do that to protect someone else, you uphold
the precept.”

(II) Abortion
“In a discussion of the first precept, the subject of abortion is bound
to arise. The issue of abortion, as you know, has long been the subject of bitter public debate. At one extreme are those who insist, ‘All
life is sacred, even a human embryo!’ These people rage against the
‘murderous mind’ of those who would deny ‘the right of life’ to the
unborn child, insisting that ‘since only God can give life, only He
can take it away.’ It may be asked: Are these same individuals just
as vociferous in demanding a decent life for those already born who
are undernourished and exploited? On the other side are those who
insist that a pregnant woman alone has the right to decide whether to
bear her fetus. To women who cry, ‘This is my body, I can do with it
as I please!’ I would ask, ‘How can you say it is your body when you
cannot control the circulation of your blood, of your heartbeat, your
thoughts, aging, or death? Clearly your body has its own law, which
it obeys independently of your wishes. True, in a limited sense it is
your body, for it is the outcome of your karma, of your volitional
thoughts and actions in this life and previous ones. But don’t forget
that your karma also includes your biological inheritance from your
parents. Moreover, it is not just by chance, as you may think, that the
particular fetus within you was conceived. In the profoundest sense,
its conception is the expression of the karmic affinity between you
and the fetus: your need to provide it with a body and its need to be
reborn through you.’ Make no mistake, abortion is a grave matter.
Even when the danger of the mother’s physical death is remote, as in
modern clinics, the spiritual dying that accompanies an abortion can
be real and painful. For a spiritually sensitive woman who realizes
she is the means through which a particular being can be reborn in
human form – that form which is so hard to obtain – to acquiesce
in the aborting of that incipient life can be a soul-scarring experience, just as bearing a wanted child in happy circumstances can be a

source of tremendous joy. Many women, and men too, have asked my
advice about abortion. I have seen and heard the delight of those who,
though having contemplated an abortion, decided to have the child,
and I have observed sorrow etched in the faces of many who did have
an abortion.”

(III) Suicide / Sacrifice
Killing sentient beings, including slaughtering animals for food, is
among the heaviest transgressions in Buddhism. This is not only
because such acts create untold suffering but also because they
cut short the lives of future Buddhas (as all sentient beings have
a common Buddha Nature). The injunction against all forms of
killing (including suicide), covering all sentient beings, is unique to
Buddhism. Jainism, for example, approves of the penance of death by
self-starvation (suicide), while Hindu ceremonies such as the Srauta
rites “center on offering into the altar fires oblations of milk, butter,
honey … domestic animals…” (sacrifice). K. Crim, Dictionary of
Religions, p.369 and 790, respectively.
Editor / Tam: 324
(IV) Animal Slaughter
“To intentionally deprive any living being, but especially a human
being, of life will produce painful karma. Slaughterers as well as hunters and fishermen – especially those motivated by sport alone – inevitably incur a heavy karma. Those who do experimental research on
animals, often depriving them of their lives, also risk painful karma.
The destruction of animals in such experimentation is justified on the
ground that it is the only way by which to gain information vital to
the health and welfare of human beings. Unfortunately, much animal
experimentation today is undertaken without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more humane methods. Such an unfeeling attitude may arise
from the belief that animals, being less developed than man, suffer
less. But who would deny that animals, too, suffer pain acutely and

try to avoid it as much as humans? And precisely because their minds
are less complex than man’s and they are more intuitive, animals are
more sensitive to impending violence and pain, which generates in
them fear that prolongs their suffering. Porphyry, a Greek philosopher
of the fourth century, wrote that anyone who had heard the scream of an
animal being slaughtered could never again eat animal flesh.”


[fra-eng] pébroc $ 불어 umbrella
[chn_eng_soothil] 對法 The corresponding law, the philosophy in the Buddha's teaching, the Abhidharma; comparison of cause and effect.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78일째]
피제법지불가설 $ 078▲娑攞荼娑攞荼為 一 ● 謎魯陀, ○□□□□,彼,彼,彼,彼

□□□□□□□, 彼淨法輪不可說,
彼大法雲不可說, 彼大法雨不可說,
□□□□□□□, 피정법륜불가설,
피대법운불가설, 피대법우불가설,

彼諸法智不可說,
저 여러 법의 지혜 말할 수 없고
깨끗한 법 바퀴도 말할 수 없고
저렇게 큰 법 구름을 말할 수 없고
저렇게 큰 법 비도 말할 수 없고



[79째]
피제신력불가설 $ 079▲謎魯陀謎魯陀為 一 ● 契魯陀, ○□□□□,彼,入,念,無

□□□□□□□, 彼諸方便不可說,
入空寂智不可說, 念念相續不可說,
□□□□□□□, 피제방편불가설,
입공적지불가설, 념념상속불가설,

彼諸神力不可說,
저 모든 신통의 힘 말할 수 없고
저 모든 방편들도 말할 수 없고
고요한 지혜에 듦 말할 수 없고
생각생각 계속함을 말할 수 없고




●K1126_T1473.txt★ ∴≪A불설사미십계의칙경≫_≪K1126≫_≪T1473≫
●K0748_T0136.txt★ ∴≪A불설사미증유법경≫_≪K0748≫_≪T0136≫
●K0516_T0769.txt★ ∴≪A불설사배경≫_≪K0516≫_≪T0769≫


■ 암산퀴즈


325* 357
200679 / 443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13 번째는?
자비주 78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78 번째는?




13 부처님의 설법을 많이 듣는 일을 증장시키며,
비바 로가스바참포, 毘婆<縛迦反>路迦插婆讖蒱<十三>
vyavaloka ksapa ksam bhu,
일일관찰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78
만약 이 다라니를 의심하여
믿지 않는 자는
마땅히 알아라.
이 사람은 영원토록
큰 이익을 잃어버리고,
백천만겁토록 윤회하되
항상 나쁜 곳에 태어나
벗어날 기약이 없으며
부처님도
항상 뵙지 못하고,
영원히 부처님 법(法)도
듣지 못하며
또한 보살이나
아라한이나
내지 스님도
보지 못하게 되리라."
이 큰 법회중에
보살마하살과 금강밀적(金剛密迹)과
범왕과 제석과 사천왕과
신선과 용과 귀신들이
부처님여래께서
이 다라니 찬탄함을 듣고,
다 크게 환희하며
가르침을 받들어
수행하였다.
● 사바하 娑婆訶<七十八> s vā hā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78
바리 뎨가라
必哩<二合>諦迦囉<七十八>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116025
453
법수_암기방안


79 검지 식지 (~집게)
13 노뼈 [radius]
78 *무지 (~ 엄지)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8_0318_235404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9) 비저라(毘低羅)가 먼저는 간탐을 부렸으나 부처님에게서 교화를 받고 도를 깨치다



수달(須達) 장자에게 비저라(毘低羅)라는 늙은 여종이 있었다.
집안 일에 근면하고 근신하므로 창고를 관장하게 하면서 모두를 그에게 맡기고 살았다.
수달 장자는 부처님과 스님들을 청하여 필요한 물건을 공급하고 비구를 간병하느라 구하고 찾는 물건이 많았다.
그러자 그 여종은 인색하게 욕심을 부리면서 부처님과 가르침과 스님들[佛法僧]께 화를 내면서 말하였다.
“우리 집 장자님은 어리석고 미혹하여서 사문의 술책에 놀아나는구나.
염치없이 만날 달라고만 하는데 그 사람들한테 무슨 도가 있겠느냐?”
이런 말을 한 뒤에 다시 나쁜 원을 세웠다.
“언제나 부처님이니 가르침이니 스님네니 하는 그 따위 이름을 듣지 않게 될까?”
말리(末利) 부인이 그 말을 듣고 말하였다.
“아름다운 연꽃처럼 좋은 사람인 수달이 어찌하여 네 마리 독사를 세웠을까?”
그리고 즉시 수달에게 명령하였다.
“당신의 부인을 불러오십시오.”
그의 부인이 도착하자 말하였다.
“당신 집 늙은 여종은 나쁜 말로 비방을 하는데,
어째서 내쫓지 않습니까?”
부인은 말하였다.
“부처님께서 나오셔서 이익되게 하는 무리가 많습니다.
하물며 늙은 여종이겠습니까?”
말리 부인은 듣자마자 마음으로 크게 기뻐하였다.
“내가 부처님을 청하고자 하니,
당신은 여종을 보내 주시오.”
다음 날 부처님께서 도착하셨다.
장자도 여종에게 병에 가득히 금과 좋은 마니주를 담아 가지고 보내며 가서 왕가를 돕고 뭇 스님들에게 공양하라고 권하였다.
그 때 부처님께서 문을 들어가시자 늙은 여종은 그 모습을 보고서 마음으로 언짢아하며 즉시 물러나 개구멍으로 빠져나가려 하였다.
그러나 개구멍과 사방의 작은 거리들이 일시에 막히고 바른 길만이 트여 있어서 여종은 급한 김에 얼굴을 부채로 가렸다.
부처님께서는 그 앞에 서서 부채를 마치 거울처럼 만들어 장애를 없게 하셨다.
여종이 머리를 돌려 사방 어디를 돌아보아도 모두 다 부처님이 보이는지라 머리를 숙이고 땅에 엎드리니 열 개의 손가락이 모두가 부처님으로 변화하였다.
늙은 여종은 부처님과 여러 깨우침을 보고 80만 겁(劫)을 물리쳐 없앴으며,
비록 믿음을 내지는 않았지만 오히려 생사의 죄를 물리칠 수 있었다.
부처님께서 몸의 신기함을 보이자 여종은 달려서 집으로 돌아가 나무 장롱 속으로 들어가 흰 털옷으로 머리를 싸고서 다시 부처님을 보게 될까 두려워하고 있었다.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이 여종은 죄가 중한지라 부처와는 인연이 없지만,
라후라(羅睺羅)가 그와는 큰 인연이 있으니 그를 교화하게 하리라.”
그래서 라후라는 부처님의 거룩한 신력을 이어받아 여의정(如意定)에 들어가 몸을 변화하여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되었다.
1,250명의 비구는 천 명의 아들로 변했으며,
아난은 전장신(典藏臣)이 되었고,
난타(難陀)는 주병신(主兵臣)이 되었으며,
7보(寶)와 4병(兵)이 모두 다 두루 갖추어졌다.
이 때 금륜보(金輪寶)가 공중에 떠 있으면서 연화대(蓮華臺)를 타고 지름길로 해서 수달 대장자의 집으로 갔다.
야차(夜叉)가 부르짖었다.
“성왕(聖王)이 세간에 나오셔서 나쁜 사람들을 내쫓고 착한 법을 펴 드날리십니다.”
여종은 듣자마자 마음으로 크게 기뻐하였다.
‘성왕이 나오셨다면 여의주(如意珠)가 있으므로 구하거나 찾아 달라고 하는 것이 없을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말할 수가 있으리라.’
그 때 성왕은 종을 치고 북을 울리면서 큰 보배 수레를 타고 수달의 집에 이르렀다.
여종은 성왕을 보자 아주 크게 기뻐하였다.
‘이제 성왕께서 세간에 나오셨으니 생활이 윤택하고 이익되는 일이 많겠구나.
그리고 선악을 분별하여 아시므로 사문에게 미혹되는 일은 절대 없으리라.’
이렇게 생각하며 나무로 만든 장롱으로부터 나와 성왕에게 공경히 예배하였다.
성왕은 이내 주보장신(主寶藏臣)을 시켜 여인에게로 가서 말하게 하였다.
“누이여,
당신은 전생에 복이 있어서 왕이 되실 몸이십니다.
성왕께서 지금 누이를 옥녀보(玉女寶)로 삼으시려 하십니다.”
여종이 아뢰었다.
“저의 몸은 비천하여 마치 쓰레기와 같습니다.
이렇게 성왕께서 찾아 주신 것만으로도 너무나 크고 기쁜 경사입니다.
제가 어찌 옥녀보까지 감당해 내겠습니까?
저를 정 생각해 주신다면 저의 주인에게 명하여 저를 놓아 노비 신분을 벗어나게 해 주신다면 너무나 고맙겠습니다.”
그러자 성왕은 수달에게 말하였다.
“그대 집에 있는 저 늙은 하인은 여러 가지 형상이 높고 뛰어나므로,
나는 이제 그를 옥녀보로 쓰려고 하오.”
수달은 아뢰었다.
“명을 따를 뿐이옵니다.
대왕에게 올리옵니다.”
늙은 여종은 자신을 놓아 준다는 말을 듣고 너무 기뻐서 정신을 잃을 정도였다.
성왕은 이내 여의주로써 여인의 얼굴을 비추면서 여인으로 하여금 스스로가 옥녀보처럼 보이게 하자,
갑절 더 크게 기뻐하면서 말하였다.
“모든 사문들은 고상한 말과 큰 소리로 스스로 도가 있다고 말하지만,
하나도 효험이 없었습니다.
성왕이 세상에 나오시니 이렇게 이익되는 것이 많습니다.
늙어서 이제 아무 쓸모도 없는 나를 옥녀보처럼 만드셨으니 말입니다.”
늙은 여종은 이 말을 하고 나서 온몸을 땅에 던지고 성왕에게 예배하였다.
이 때 전장신이 왕의 좋은 명령을 펴며 10선법(善法)을 열어 주었다.
여인은 열 가지 선행을 듣고 마음으로 크게 기뻐하면서 이내 말하였다.
“성왕께서 말씀하신 바 이치가 장하지 않음이 없으십니다.”
그리고 왕에게 예배하면서 과오를 뉘우치고 자책하였으니,
마음은 이미 조복되었다.
그제야 라후라는 본래의 몸으로 회복되었으니,
여종은 머리를 들어 1,250명의 비구를 보면서 말하였다.
“부처님 법이 청정하여 중생을 버리지 않으셨습니다.
저와 같은 못되고 나쁜 이조차도 오히려 제도를 하셨군요.”
이 말을 하고 나서 5계를 받기를 청하므로,
라후라는 그를 위하여 3귀 5계의 법[三歸五戒法]을 말하였다.
여종은 이 법을 듣고 아직 머리도 들기 전에 수다원(須陀洹)이 되었다.
그리고 라후라는 이 여종을 데리고 기타림(祇陀林)으로 나아갔다.
기타림에 닿자마자 여종은 부처님을 보고 기뻐하면서 합장하고 예배하고 참회하였다.
여종이 부처님께 출가를 청하자,
부처님께서는 라후라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이 여인을 데리고 교담미(僑曇彌)에게로 가라.”
아직 교담미의 처소에 도착하기 전 길 중간에서 라후라는 그를 위하여 괴로움[苦]ㆍ공(空)ㆍ무상(無常)ㆍ무아(無我) 등의 법을 해설하였다.
여종은 이 말을 들은 뒤에 머리카락이 저절로 떨어지며 비구니가 되면서 3명(明)5),
6통(通)이며 8해탈(解脫)을 완전히 갖추었다.
바사닉왕(波斯匿王)과 말리 부인은 마음으로 크게 기뻐하면서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이 여인 같은 이는 전생에 어떤 죄가 있었고,
또 어떠한 복과 경사로 아라한 도를 얻었습니까?”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대왕이여,
과거의 겁 때에 부처님 세존께서 계셨나니,
명호는 보개등왕불(寶蓋燈王佛)이셨느니라.
그 부처님께서 멸도하신 후 상법(像法)6) 동안에 잡보화광왕(雜寶花光王)이라는 왕이 있었느니라.
그 왕에게는 쾌견(快見)이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출가하려고 청하자 그 부왕은 이내 허락하였느니라.
이 때 총명하여 지혜가 많고 깊이 실상(實相)을 이해하는 비구가 있다가 그를 받아 제자로 삼았으며,
또 덕화광(德花光)이라는 비구가 법요(法要)를 잘 말하여 초학(初學)을 잘 이끌어 나갔느니라.
왕자 비구는 비록 출가는 하였으나 오히려 교만을 품고 있었다.
그래서 화상이 그를 위하여 매우 깊은 묘한 법인 반야바라밀(般若婆羅蜜)의 커다란 공(空)의 이치를 설명하였는데도 왕자는 듣고 나서 잘못 이해하고 그릇되게 말하였느니라.
그래서 비구가 죽은 뒤에 왕자 비구가 말하였다.
‘우리 대화상은 텅 비고 지혜가 없어서 다만 허무하고 공(空)한 일을 찬탄했을 뿐이다.
그러므로 나는 다음 생에는 그를 보지 않기를 원한다.
나의 아사리(阿闍梨)는 지혜가 있고 말재주도 있으므로 이 생에서 선지식(善知識)이 되기를 원한다.’
왕자 비구는 이 말을 한 뒤에 바른 법은 그릇된 법으로 말하면서 모두가 그릇된 소견을 짓게 하였다.
비록 계율을 잘 지켜서 위엄 있는 거동으로는 모자라지 않았지만,
법을 잘못 알았기 때문에 목숨을 마친 뒤에는 그대로 아비(阿鼻)지옥에 떨어졌다.
그리고 80억 겁 동안을 빈천한 사람이거나 귀머거리나 봉사로 태어났고,
남의 집 여종이 되곤 하였었다.
그 때의 화상은 바로 지금의 나의 몸이며,
그 때의 아사리는 바로 지금의 라후라이고,
왕자 비구는 바로 지금의 이 늙은 여종이니라.”
[『관불삼매경(觀佛三昧經)』 제6권에 나온다]
.



출전:
한글대장경 K1050_T2121
경율이상(經律異相) 양 보창등집
經律異相 【梁 寶唱等集】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복근 자세


○ 2019_0106_163746_nik_ab18


○ 2019_1106_112204_nik_ab41_s12


○ 2019_1105_153559_nik_bw24_s12


○ 2019_1106_171945_can_ct23


○ 2019_1105_130759_can_Ab27


○ 2019_1004_180810_nik_CT27


○ 2019_1004_174332_can_ar45


○ 2019_1004_144006_can_ct34


○ 2019_1201_155554_nik_ar38


○ 2020_0907_153228_can_ar45


○ 2020_0908_155529_can_Ab27


○ 2020_0909_163113_can_BW28


○ 2020_0908_173548_can_bw5


○ 2020_0930_135911_nik_AB21


○ 2020_1114_125456_nik_exc


○ 2019_0113_111223_nik_CT33_s12


○ 2019_1104_103428_nik_ar38


○ 2019_1104_112510_nik_fix


○ 2021_1112_145609_can_CT28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pt op tr] fr
_M#]



○ 2016_0412_160805_nik_exc_s12진안_마이산_탑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설사미증유법경_K0748_T013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불설사미증유법경』 ♣0748-001♧
[관련키워드]
불설사미증유법경 /전체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8-03-18_불설사미증유법경-K0748-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03/2568-03-18-k0748-001.html
sfed--불설사미증유법경_K0748_T0136.txt ☞불설사미증유법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8_03.txt ☞◆vzuk6947
불기2568-03-18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387710321
https://buddhism007.tistory.com/18540
htmback--불기2568-03-18_불설사미증유법경_K0748_T0136-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