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3년 9월 10일 일요일

삼매_perfect-absorption



【삼매
[한문]三昧
[팔리]samādhi
[범어]samādhi
[티벳]ting nge 'dzin
[영어]perfect absorption】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5_122112_can_Ab35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25511_can_CT33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32624_can_BW21_s12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20_0211_134450_can_ar47 불암산 천보사


○ 2020_0905_143158_can_BW27 오대산 상원사


○ 2020_0905_144837_can_bw5 오대산 적멸보궁


○ 2020_0906_110728_nik_Ab27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7_112827_nik_ct9 양산 보광사


○ 2020_0908_145559_can_ct18 합천 해인사


○ 2020_0910_133726_nik_bw5 속리산 법주사


○ 2020_1017_152045_can_bw22_s12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73254_nik_Ab35 삼각산 화계사


○ 2018_1023_155702_nik_Ab15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3_171355_nik_AB4_s12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20_1114_140336_nik_Ab31 삼각산 도선사


○ 2020_1114_141213_can_BW17 삼각산 도선사


○ 2019_1104_105303_can_CT27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10830_can_ct3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01254_nik_ar47 구례 화엄사


● [pt op tr] fr
_M#]




○ 2019_1106_112401_can_ct33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2★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삼매

삼매[한문]三昧[팔리]samādhi[범어]samādhi티벳]ting nge 'dzin[영어]perfect absorption
사마디의 음역.
 
들뜨거나 가라앉은 마음을 모두 떠나 평온한 마음을 견지하는 것.
산란됨이 없이 집중된 마음의 상태를 뜻함.
불교에서 수행을 통해 얻고자 하는 지혜는 흩어짐이 없이 편안하고 고요한 마음의 상태에서 비롯되므로, 
삼매의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선원(禪院)에서 스님들이 좌선(坐禪)하거나 선정(禪定) 수행을 닦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삼매를 통해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것이다.
[동]삼마지(三摩地) , 삼마제(三摩提) , 등지(等持) , 정(定) , 정수(正受) , 정심행처(正心行處).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삼매

[한문]三昧
【범】samādhi 삼마제(三摩提ㆍ三摩帝)ㆍ삼마지(三摩地)라 음력.
정(定)ㆍ등지(等持)ㆍ정수(正受)ㆍ조직정(調直定)ㆍ정심행처(正心行處)라 번역.
산란한 마음을 한 곳에 모아 움직이지 않게 하며,
마음을 바르게 하여 망념에서 벗어나는 것.


● From (구) 홍법원사전 

삼매【三昧】
① 범어 samādhi 의 음역. 
삼마지(三摩地)・삼마제(三摩提). 삼마제(三摩帝)라고도 음역한다. 
그리고 등지(等持)ㆍ정(定)ㆍ정정(正定)ㆍ정의(定意)ㆍ조직정(調直定)ㆍ정심행처(正心行處)라 번역한다. 
마음을 한 곳에 둔다는 뜻이다.  

등지(等持)라는 역어(譯語)에서 등(等)은 도거(掉擧-들뜸)와 혼침(惛沈-가라앉음)을 여의어 평등(平等)하고 편안한 상태를 나타낸다. 
지(持)는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머무르게 한다는 뜻이다. 
곧 마음이 하나의 대상에 집중해서 산란하지 않은 상태를 가리킨다. 
이를 심일경성(心一境性)이라 한다.

구사종(俱舍宗)에서는 십대지법(十大地法)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유식종(唯識宗)에서는 오별경(五別境)의 하나로 분류한다. 
그리고 심소(心所- 마음의 작용)의 하나로 삼는다. 
경부(經部)나 성실종(成實宗)에서는 심소(心所)라 하여 따로 체(體)가 있다고는 하지 않는다. 

수행에 의해, 마음이 흩어지고 어지러운 것을 멈추게 하므로 편안하고 고요한 상태로 된다. 
일반적으로 이런 상태를 삼매(三昧)라고 한다. 
마음이 이 상태에 이르면 바른 지혜가 생기므로 진리를 깨닫는다고 한다. 

이 삼매(三昧)를 수행으로 얻어, 불타(佛陀) 등의 성경(聖境)을 눈앞에 감견(感見)한다. 
그리고 이를 삼매발득(三昧發得)이라고 한다. 또는 발정(發定)이라고도 한다. 

② 구역(舊譯)에서는 가끔 다음 용어를 서로 혼동한다. 
삼마지(三摩地) : 범어 samādhi 삼매(三昧), 등지(等持)
삼마발저(三摩鉢底) : 범어 samāpatti 등지(等至)ㆍ정수(正受)ㆍ정정(正定)ㆍ현전(現前)
삼마희다(三摩呬多) :범어 samāhita 등인(等引)ㆍ승정(勝定)

그리고 이들 어느 것이나 삼매(三昧)라 번역하는 수가 있다. 
그런데 삼매(三昧)는 삼마지(三摩地)에 배대(配對)하여야 한다. 

유부(有部)의 설(說)에는, 모든 심(心)과 더불어 움직이는 정신작용을 대지법(大地法))이라고 한다. 
그래서 삼매는 대지법에 속한다. 
그리고 정(定)ㆍ산(散) 및 선(善)ㆍ악(惡)ㆍ무기(無記) 의 삼성(三性)에 통한다. 
다만 일체의 유심위(有心位)에 통한다. 
따라서 무심정(無心定)에는 통하지 않는다. 
그래서 마음을 어지럽히지 않고 하나의 대상에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는 것을 삼마지(三摩地)라고 한다. 

이에 대헤서 삼마발저(三摩鉢底)나 삼마희다(三摩呬多)는 유심무심(有心無心)에 통한다. 
다만 정(定)에만 한한다
이 경우 유심정(有心定)ㆍ무심정(無心定)을 포함한다. 
따라서 산(散)에는 통하지 않는다고 한다

☞ 정(定)


③ 구사론(俱舍論) 권 28(卷二十八)에는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우선, 정(定)을 4정려(四靜慮)와 4무색정(四無色定), 8등지(八等至), 3등지(三等持)로 나누어 설(說)한다. 
곧 사정려(四靜慮) 및 사무색정(四無色定)은 선(善)의 등지(等持)를 그 체로 한다. 
여기서 등지(等至)는 정(定), 삼마지(三摩地), 삼매(三昧)와 같은 말이다. 
4정려는 사선(四禪)이라고도 한다. 

4정려(四靜慮) 및 4무색정(四無色定)의 근본등지(根本等至)에 8종이 있다. 그러므로 8등지(八等至)라고 한다. 
여기서 근본등지(根本等至)는 삼마발저(三摩鉢底)를 가리킨다. 

한편 3등지(三等持)는 3삼매(三三昧))라고도 한다. 
이는 유심유사(有尋有伺)ㆍ무심유사(無尋唯伺)ㆍ무심무사(無尋無伺)의 3을 가리킨다. 
혹은 공(空)・무상(無相)ㆍ무원(無願)의 3 을 가리킨다. 
또는 공공(空空)ㆍ무상무상(無相無相)ㆍ무원무원(無願無願)을 3중등지(三重等持)라고 한다. 
그리고 3중등지(三重等持)를 3중삼매(三重三昧)라고도 한다. 


2 종의 3삼매(三三昧)중, 
제1은 심(尋)과 사(伺)의 유무(有無)에 의해서 3 을 나눈 것이다. 
여기서 심(尋)은 심구추탁(尋求推度)하는 조잡(粗雜)한 정신작용을 가리킨다. 
사(伺)는 사찰사유(伺察思惟)하는 심세(深細)한 정신작용을 가리킨다. 

초정려(初靜慮) 및  미지정(未至定)은 유심유사삼마지(有尋有伺三摩地)에 속한다. 
유심유사삼마지(有尋有伺三摩地)는 유각유관삼매(有覺有觀三昧)라고도 한다. 

중간정려(中間靜慮)는 무심유사삼마지(無尋唯伺三摩地)에 속한다. 
이는 무각유관삼매(無覺有觀三昧)라고도 한다. 
중간정려는 중간정(中間定)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제2정려(靜慮)의 근분(近分)이상은 무심무사삼마지(無尋無伺三摩地)라고 한다. 
이는 무각무관삼매(無覺無觀三昧)라고도 한다. 

여기서 초정려(初靜慮) 제2정려(靜慮)는 각기 초선(初禪) 제2선(禪)이라고도 한다. 


제2는 공삼매(空三昧) 무상삼매(無相三昧) 무원삼매(無願三昧)이다. 
사람과 법(法)의 공(空)인 것을 관(觀)하는 삼매(三昧)가 공삼매(空三昧)이다. 
차별(差別)의 상(相)을 여읜 삼매(三昧)가 무상삼매(無相三昧)이다. 
원(願)구(求)의 생각을 버린 삼매(三昧)가 무원삼매(無願三昧)이다. 
이는 무작삼매(無作三昧)라고도 한다.

다음에 3중삼매(三重三昧)는 공공(空空)ㆍ무상무상(無相無相)ㆍ무원무원(無願無願) 삼매(三昧)를 가리킨다. 

아라한(阿羅漢)의 무루(無漏)의 공삼매(空三昧)를 공(空)이라고 관(觀)한다. 
그래서 무루(無漏)의 성도(聖道)를 싫어하여 버리는 바의 유루정(有漏定)을 공공삼매(空空三昧)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무상삼매(無相三昧)의 비택멸(非擇滅)을 고요하다고 관(觀)하는 유루정(有漏定)이 무상무상삼매(無相無相三昧)이다. 
한편 이와 같이 무원삼매(無願三昧)를 비상(非常)이라고 관(觀)하는 유루정(有漏定)이 무원무원삼매(無願無願三昧)다. 

④ 또, 『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 권11(卷十一)에는 다음 주장들을 제시한다. 
우선 삼매(三昧)라 함은 사선(四禪)ㆍ팔해탈(八解脫) 이외의 모든 정(定)을 가리킨다고 한다. 
한편, 삼해탈문(三解脫門)과 유심유사(有尋有伺) 등의 3삼매(三三昧)만이 삼매(三昧)라고 하는 이설(異說)도 있다. 
여기서 삼해탈문은 무루(無漏)의 공(空)ㆍ무상(無相)・무원삼매(無願三昧)를 가리킨다. 

한편, 정(定)은 범위(範圍)가 좁으나 삼매(三昧)는 범위가 넓다고 제시하는 이설(異說)도 제시한다. 
즉 삼매는 제불(諸佛)ㆍ보살(菩薩)이 얻는 모든 정(定)을 삼매(三昧)라 한다는 이설(異說)을 든다. 

또 『대승의장』(大乘義章) 권(卷) 13(十三)에서는, 『잡아비담심론』(雜阿毘曇心論) 권6(卷六), 『성실론』(成實論) 권12(卷十二),
『십지경론』(十地經論) 권5(卷五) 등의 설(說)을 들어 설명한다. 

즉, 선(禪)과 정(定)과 삼매(三昧)와 정수(正受)와 삼마제(三摩提 = 등지等至) 三摩[足*伐])와 해탈(解脫)과 사마타(奢摩他=지止)와
의 차이를 말하고 있다. 

거기에 의하면, 삼매(三昧)는 협의(狹義)로는 공(空)등의 삼삼매(三三昧)만을 가리킨다. 
그리고 광의(廣義)에서는 4무량심(四無量心) ㆍ(오신통(五神通) 및 그 밖의 모든 정(定)까지도 의미하는 것 같다. 

⑤ 아함(阿含)에서는 4선(四禪) 8정(八定) 밖에는 공(空) 무상(無相) 무원(無願) 등의 3삼매(三三昧)와 유심유사(有尋有伺)의 3삼매(三三昧)를 설(說)할 뿐이다. 
여기서 공(空) 무상(無相) 무원(無願) 등의 3삼매는 삼해탈문(三解脫門)이라고도 한다. 

한편 대승(大乘)에서는 수백천(數百千)에 이르는 가지가지의 삼매(三昧)를 설(說)한다. 

대승(大乘)경전의 명칭에 삼매(三昧)의 이름을 붙인 것으로는 
『반주삼매경』(般舟三昧經)이나 수능엄삼매경(首楞嚴三昧經), 기타 다수가 있다. 
그리고 제명(題名)에 보이는 삼매(三昧)에 대해서 자세히 설하고 있다.
그 가운데에서 반주삼매(般舟三昧)는 제불현전삼매(諸佛現前三昧) 또는 불립삼매(佛立三昧)라고도 한다. 
이는 현재 눈앞에 제불(諸佛)을 보는 삼매(三昧)라고 한다. 

또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1(卷一)에는 무량의처삼매(無童義處三昧)의 이름을 든다. 
구역(舊譯)의 『화엄경』(華嚴經) 권6(卷六)이나 권40(卷四十) 권에는 
화엄삼매(華嚴三昧), 해인삼매(海印三昧), 사자분신삼매(師子奮迅三昧) 등을 설(說)하고 있다. 
그리고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 권3(卷三)이나 권5(卷五)에는 
수능엄(首楞嚴)ㆍ건행(健行))ㆍ 보인(寶印)・사자유희(師子遊戲)등의 108삼매(百八三昧)를 설하고 있다. 

또 천태종(天台宗)에서는 『마하지관』(摩訶止觀) 권2상(卷二上)에 , 
상좌(常坐)ㆍ상행(常行)ㆍ반행반좌(半行半坐)ㆍ비행비좌(非行非坐)의 4종삼매(三昧)를 설한다. 
그리고 이것을 닦는 도량을 4삼매원(四三昧院)이라 한다.

또 『성실론』(成實論) 권12(卷十二)에는, 일분수삼매(一分修三昧)ㆍ 
공분수삼매(共分修三昧)ㆍ성정삼매(聖正三昧)의 3삼매(三三昧)를 설한다. 

일분수삼매(一分修三昧)는 정(定) 또는 혜(慧)의 어느 것이나 하나만을 닦는 경우다. 
공분수삼매(共分修三昧)는 정(定)ㆍ혜(慧) 를 겸하여 닦는 유루정(有漏定)이다. 
성정삼매(聖正三昧)는 정(定)ㆍ혜(慧) 를 겸하여 닦는 무루정(無漏定)이다. 


『열반경』(涅槃經) 권13(卷十三)에는, 보살이 25 유(有)를 파괴하는 25 삼매(三昧)를 나열해 이름붙인다.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7(卷七)에 나와 있는 16 삼매(三昧)는 법화삼매(法華三昧)의 이명(異名)이라고 한다. 

몸에서 화염(火焰)을 내는 삼매(三昧)를 화계삼매(火界三昧)ㆍ화정(火定), 화광삼매(火光三昧)라 한다. 
또 사해(死骸-시체)를 화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최승(最勝)한 삼매(三昧)를 왕삼매(王三昧) ㆍ또는 삼매왕삼매(三昧王三昧)라고도 한다. 
『선택집』(選擇集)에서는, 념불(念佛)을 왕삼매(王三昧)라 한다. 
그리고 『좌선용심기』(坐禪用心記)에서는 좌선(坐禪)을 왕삼매(王三昧)라고 한다. 

⑥ 삼매(三昧)를 닦기 위한 당(堂)을 삼매당(三昧堂)이라 한다. 
그리고 닦는 삼매(三昧)의 종류에 따라서 법화삼매당(法華三昧堂)ㆍ상행삼매당(常行三昧堂)ㆍ이취삼매당(理趣三昧堂) 등이 있다.
⑦ 삼마야(三摩耶)를 삼매(三昧)라고 하는 수가 있다.



삼매당【三昧堂】
법화삼매당(法華三昧堂)ㆍ법화당(法華堂)이라고도 한다. 
4 종삼매(三昧) 중  반행반좌삼매(半行半座三昧) 가운데 법화삼매(法華三昧)를 수행하는 당(堂).
☞ 법화삼매당(法華三昧堂), ☞ 삼매(三昧)⑥ 


삼매력【三昧力】
삼매의 힘

삼매마【三昧魔】
10종의 번뇌를 마군에 비유한 십마(十魔)의 하나.

삼매문【三昧門】
가지 가지 삼매의 차별이 되기 때문에 문(門)이라 한다. 
보살이 증득한 삼매는 부처님이 갖춘 무량삼매의 문호(門戶)에 들기 때문에 문(門)이라 한다.
참조: 『지도론』(智度論) 28(二十八)


Samadhi 영어단어사전참조


Samadhi 관련단어 사전참조


● from 영어 위키 백과https://en.wikipedia.org/wiki/Samadhi
영어 위키 백과 사전참조 [불기 2567-09-10일자 내용 보관 편집 정리]

translated by 구글번역 https://translate.google.com/


사이트 방문 일자 불기2567_0910_0117
>>>

사마디



무료 백과 사전, 위키피디아에서

Samādhi Buddha , 아누라다푸라 , 스리랑카


Samādhi ( Pali  Sanskrit : धи )는 힌두교 , 불교 , 자이나교 , 시크교  요가 학교에서 명상 의식 의 상태입니다 . 
불교에서는 팔정도 의 여덟 가지 요소 중 마지막 요소입니다 . [web 1] 
아쉬탕가 요가
 전통 에서는 파탄잘리의 요가  에서 확인된 여덟 번째이자 마지막 사지입니다 . [1] [2]

몇몇 현대 서양의 테라와 다(Theravada) 스승들이 의존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불교 경전 에서는 
평정 하고 마음챙김이 있는 탐구적이고 빛나는 마음 의 발달을 언급합니다 . 
버마의 위빠사나 운동  태국 숲의 전통이 의존하는 요가 전통과 불교 논평 전통에서
이는 선정 
(dhyāna) 수행을 통해 달성되는 명상적 흡수 또는 최면으로 해석됩니다 . [삼]


정의 [ ■편집 ]

삼매(Samadhi)는 광범위한 상태를 가리킬 수 있습니다. [4] [5] [6] 
일반적인 이해는 
삼매를 명상적 몰입으로 간주합니다. [4]

  • Sarbacker: 삼매(samādhi) 는 명상적인 흡수 또는 묵상 입니다 . [삼]
  • Diener, Erhard & Fischer-Schreiber: 삼매는 경험하는 주체의 의식이 관찰하는 대상과 하나가 되는 비이원적 의식 상태입니다 . [7]

불교의 맥락에서 좀 더 미묘한 이해는 삼매를 신체적, 정신적 대상이나 경험에 대한 강화된 인식과 조사의 상태로 봅니다.

  • 도겐 : "부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너희 비구들이 마음을 통일하면 마음은 삼매에 들어간다. 
    마음이 삼매에 있으므로 세상의 여러 현상의 생성과 소멸의 특징을 알느니라....]
    삼매를 얻으면 마음이 흐트러지지 아니하니,
    마치 홍수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자가 제방을 지키는 것과 같으니라. ."" 
    [8]
  • Richard Shankman: "
    삼매라는
     용어는 기본적으로 "분심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9] 
    이는 "단일 대상에 대한 독점적인 초점"으로 볼 수도 있지만 
    [10] 
    "마음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더 넓은 인식 상태"로도 볼 수 있습니다. 
    움직이지 않지만 명상 대상 주변의 광범위한 현상을 인식합니다." 
    [10] 

    Shankman에 따르면 관련 용어인 
    cittas ' ekaggata는 하나의 대상에 집착하는 "일점성"으로 번역될 수도 있지만,
    마음이 매우 고요해지지만 대상과 합쳐지지 않는 "마음의 통일"로도 번역될 수 있습니다.
    관심의 대상이 되며, 경험의 변화하는 흐름을 관찰하고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10]
  • Dan Lusthaus : " Samadhi는 경험을 검토하는 방법론과 맥락을 제공합니다. [...] 
    Samadhi는 훈련, 집중/수집, 정화 및 마음의 진정을 통해 [...]
    사물이 최종적으로 알려지는 것을 촉진하고( 
    janatti ) 보이는( passati )그대로( tathata ). [11]
  • Keren Arbel: "삼매 (Samadhi) 는 [불교 경전에서]
    인식의 넓은 분야,
    알지만 추론하지 않는 [...]
    안정적이고 분별력 있고 집중된 마음으로 묘사됩니다." 
    [4]
  • Tilmann Vetter:
    불교의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선정인 
    삼마 삼매 ( samma-samadhi) ,
    즉 "올바른 삼매"는 네 번째 
    선정 에서 완성되는
    "자발적인 인식"(sati)과 평정심을 기반으로 한다고 주장합니다 
    . 
    [12]

힌두교에서 삼매는 절대자와 동일시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어원 [ ■편집 ]

산스크리트어 [ ■편집 ]

이 용어의 어원 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합니다.

어근 
sam ("함께 모으다")
또는 
sama ("동일하고 동등하며 서로 다른 두 사물의 수렴")를 사용하여 가능합니다

. 
Dan Lusthaus 에 따르면 , 
삼매는 삼스카라 ("매장된 잠복기")를 의식하게 하거나 명상 대상에 대한 명상적 집중을 의미합니다 . [14]

  •  , "함께 모으다"; 
    adhi , "입히다, 두다, 함침시키다, 주다, 받다": 인지 조건을 하나로 모으는 것,
    "숨겨진 잠복기나 
    삼스카라를 완전히 볼 수 있게 가져오는 것",
    그래서 "모호하고 숨겨진 것이 인지의 명확한 대상이 됩니다" ,"
    "통찰력이 탄생하는 자궁." 
    [14]
  • 사마(sama) ,
    "같은 것, 균등한 것, 어떤 공통성에 기초한 두 가지 별개의 것의 수렴";
     
    adhi , "더 높고, 더 좋고, 가장 능숙하게 달성된": "마음과 대상의 능숙한 통합",
    "대상에 완벽하게 집중된 주의에 도움이 되고 그로부터 파생되는 정신적 평정".
     
    "때때로 
    ekacitta , '하나의 집중된 마음'과 동의어로 취급됩니다.
    즉, 마음( 
    citta )은 대상과 하나( eka ) 에 완전히 집중합니다 ." [14]

sam - ā - dhā 의 어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sam-ā-dhā ': "'수집하다' 또는 '모으다',
    따라서 마음의 집중이나 통일을 암시합니다."; 
    일반적으로 [불교에서는] "집중"으로 번역됩니다. 
    [15]
  • sam - ā - dhā : "함께 붙잡다, 집중하다." [16]
  •  , "완전히"; ā , "주제를 향한 복귀"; dha , "함께 유지하다: "완전히 조립하다";
    "존재의 두 극(대상과 생각)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이 0으로 감소됩니다." 
    [17]
  •  , "함께" 또는 "통합된"; ā , "쪽으로"; dhā , "얻다, 붙잡다": 통합이나 전체성, 진리를 얻다( samāpatti );
  •  , "함께"; ā , "쪽으로"; 다다 티 어간 , "넣다, 장소": 퍼팅 또는 결합;

특정 힌두교/요가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 sam , "완벽하다" 또는 "완전하다"; 
    dhi , "의식": "주관적 명상자인 사람, 명상 행위 및 명상 대상 사이의 모든 구별이 하나됨으로 합쳐집니다"(Stephen Sturgess); [18]
  •  , "함께"; ādhi ,
    "주": 주님과의 연합(스티븐 스터게스); 
    [16]
  •  , " 평온한 ";
     
    dhi , " buddhi 또는 지성": 평온한 지성, 무차별 지성( Sadhguru ); [19]
  •  , "균형"; ādi , "원래":
    "원래 상태와 동일한 상태,
    즉 우리가 존재하기 전에 널리 퍼져 있던 상태"; 
    "원래 균형"( 
    Kamlesh D. Patel . [20]

중국어 [ ■편집 ]

samādhi 에 대한 일반적인 중국어 용어 에는
음역 
sanmei (3昧) 및 sanmodi (3摩地 또는 3摩提)가 포함되며,
이 용어를 문자 그대로 
ding (정 "고정") 으로 번역합니다 . 

Kumarajiva 의 번역은
일반적으로 
sanmei (三昧)를 사용하는 반면 
Xuanzang 의 번역은 ding (정 "고정")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중국 불교 경전에는 이 용어의 다른 번역 및 음역뿐만 아니라
이러한 내용도 포함됩니다.




불교 
[ ■편집 ]


samadhi 의 번역
영어 집중; 명상의식; '함께 모이는 것'
산스크리트 삼마디
( IAST : samādhi )
팔리 어 삼매
버마 사람 သမာဓိ
( MLCTS : 사마르디 )
중국인 三昧 또는 三摩地 또는 定
( 병음 : sānmèi 또는 sānmóde 또는 dìng )
일본어 三昧
( Rōmaji : 산마이 )
크메르어 សមាធិ
( UNGEGN : sâméathĭ )
한국인 삼매
( RR : 삼매 )
티베트어 ཏིང་ངེ་འཛིན་
( Wylie : ting nge 'dzin )
태국어 صاธ้
( RTGS : 사마티 )
베트남어 định
( Chữ Nôm :  )
불교 용어집

Samma-samādhi  dhyāna [ ■편집 ]

삼매디 (Samādhi) 의 사용 ( AN IV.41 기반 )
집중의 대상 개발
 가지 선정 금생( diţţhadhamma ) 에서의 즐거운 거주( sukha -vihārāya )
빛( āloka )에 대한 지각( sañña ) 아는 것( ñāṇa )과 보는 것( dassana )
느낌( vedanā ), 인식( saññā ) 및 생각( vitakkā ) 의 일어나고 사라지고 사라지는 것 마음챙김 ( sati )과 명확한 이해( sampajaññā )
다섯 가지 집착의 더미( pañc' upādāna - khandha ) 가 일어나고 사라집니다. 번뇌( āsava ) [아라한과] 의 소멸( khaya )


삼마삼매(Samma-samadhi)
 ,
즉 "올바른 
삼매 "는 
팔정도 의 여덟 가지 요소 중 마지막입니다 . [웹 1] 
삼매가
 개발 되면 사물은 있는 그대로 이해됩니다. [21]

삼마삼매(Samma-samadhi) 는 
디야나(dhyana) 로 설명되는데 ,
이는 전통적으로 한곳에 집중된 집중으로 해석됩니다. 

그러나 dhyāna samādhi 의 기본 공식에서는 
두 번째 
dhyana 에서만 언급되어 평정  마음 챙김 의 상태에 양보합니다 .
이 상태에서는 감각 인상에 대한 일차적인 반응을 피하고
마음챙김 방식으로 감각에 계속 접근합니다. 
[22] [23]

dhyāna 수행의 기원은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24] [25] 
크랭글(Crangle)에 따르면,
고대 인도에서 명상 수행의 발전은 베다 전통과 비베다 전통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이었습니다. 
[26]

 브롱크호르스트(Bronkhorst)에 따르면,
네 가지 
루파 선정은 부처님이 인도의 종교적 풍경에 원래 기여한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자이나교의 고통스러운 금욕 수행에 대한 대안을 형성한 반면,
아루파 선정은 비 
불교 금욕주의자로부터 통합되었습니다.


전통. 
Alexander Wynne은 dhyāna가 Alara Kalama와 Uddaka Ramaputta에 귀속되는 Nikayas의 Brahmanical 관행에서 통합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관행은 다음과 결합되었습니다.

마음 챙김  통찰력 , 그리고 새로운 해석이 주어졌습니다. 

Kalupahana 
또한 부처님이 Alara Kalama와 Uddaka Ramaputta로부터 배운 "명상 수행으로 되돌아갔다"고 주장합니다. 
[27]

루빠 선정( rupa jhanas) [ ■편집 ]

표:
루빠 선정 
(Rūpa jhāna)

경전에서는 '가상다리를 하고 앉아 마음챙김을 확립'할 때 선정 에 들어갑니다. 

불교 전통에 따르면,
이는 
거의 모든 불교 종파에서 볼 수 있는 핵심 명상 수련인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인
아나빠나사티( 
ānāpānasati) 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습니다. 


Suttapiṭaka 
 Agama 는 rūpa jhāna 의 네 단계를 설명 
합니다 . 

Rūpa는 kāma 영역(욕망, 욕망) 및 arūpa 영역(비물질 영역) 과 다른 중립적 입장에서 물질 영역을 말합니다 . [31] 

테라와다(Theravada) 전통에서는 심화되는 집중과 집중을 묘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지만,
원래는
jhānas는 몸과 마음을 조사 하고 불건전한 상태를 버리는 것에서
완전한 평정과 조심성으로 
의 발전을 설명하는 것 같습니다 . 
[32] 

Zen과 Dzogchen에 유지되는 이해입니다. 
[33] [32] 

전통적 해석과 대안적 해석을 포함한 jhānas
 의 기본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32] [주 1]

  1. 첫 번째 선정 :
    감각적 쾌락에 대한 욕망을 분리하고 ( vivicca ),
    [다른] 
    불선한 상태 ( akusalehi dhammehi , 불선한  [34] ) 로부터 분리하여( 
    vivicca ), 
    비구 는 [정신적] 비띠( pīti)  첫 번째 선정 에 들어가 머뭅니다 .

    환희," "기쁨") 및 [신체] 
    sukha ("즐거움") " viveka 에서
    탄생 "(전통적으로 "고립";
    대안으로 "차별"(담마의) 
    [35] [주 2] ), vitarka 가 동반됨 -
    비카라
    (전통적으로 명상 대상에 대한 초기 및 지속적인 주의; 대안으로 법 에 대한 초기 탐구 및 
    후속 조사 [38] [39] [40]
     
    ( 
    번뇌 [41] 및 건전한 생각 [42] [주 3] ); 또한: " 담론적 사고" [주 4] ).

  2. 두 번째 선정 :
    다시, 비타르까 -비카라(vitarka-vicara) 를 고요 하게 함으로써
    비구는 두 번째 
    선정 , 즉 [정신적] 피티 와 [신체] 수카 " 삼매 에서 태어난 "( samadhi-ji ; 전통적으로 "집중"에서 태어난) 두 번째 선정에 들어가 머뭅니다.
    대체. "알고 있지만 비 추론적인 [...] 인식", 
    "숨겨진 잠복기 또는 삼스카라를 
    전체 보기로 가져오기" [50] [주 5] ), 
    삼파사다나 ("고요함," [51] "내면의 평온" [48] [주 6] ) 및 에카가타 (마음의 통일, [51]
    인식) vitarka-vicara 없이 ;

  3. 세 번째 선정 :
    비구 가 사라지면서 
    비구는 우 페카( 
    평정 ," "정서적 초연" [48] [주 7] ), 사토 (생각 챙김) , 삼파자냐 ("완전히 아는 것," [52] "분별력 있는 알아차림"에 머뭅니다. " [53] ).
    [여전히] 
    몸으로 
    수카(sukha)를 경험하면서,
    그는 제3 
     에 들어가 머무르고, 이로 인해 고귀한 자들은 "[신체의] 즐거움에 머무르면 평정하고 마음챙김이 된다"고 선언합니다.

  4. 넷째  :
    sukha ("즐거움") 에 대한 욕망 과 dukkha ("고통" [54] [53] )을 버리고
    [그 사이의 내적 움직임]
     
    somanassa ("즐거움") 가 이전에 사라졌습니다. [55] )
     
    도마나사 ("불만" [55] ),
    비구는 네 번째 
    선정  아두캄 아수캄 ("괴로움도 즐겁지도 않음", [54] "쾌락과 고통으로부터의 자유"에 들어가 머뭅니다. " [56] )
    그리고 
    upekkhāsatipārisuddhi ( 평정 과 마음챙김의 완전한 순수성)를 가지고 있습니다.[참고 8]

아루 파스 [ ■편집 ]

jhana 계획 에는 초기 문헌에서 arupas 또는 āyatana 로 언급된 네 가지 명상 상태가 추가됩니다 . 
그것은 때때로 처음 네 가지 
선정 이후에 순서대로 언급되기 때문에
후대 주석가들은 선정으로 취급하게 되었습니다. 


무형적인 것은 요가 명상과 관련되거나 파생되며 집중을 보다 구체적으로 목표로 삼는 반면,
고유한 
선정은 마음의 수양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덟 번째 선정을 초월 하면 완전한 공(廣)에 머무는 상태에 도달합니다 . 네 가지 아루 빠는 다음 과 같습니다:

  • 다섯 번째 선정: 무한한 공간(Pali ākāsānañcāyatana , Skt. ākāśānantyāyatana ),
  • 여섯 번째 선정: 무한한 의식(Pali viññāṇañcāyatana , Skt. vijñānānantyāyatana ),
  • 일곱 번째 선정: 무한한 무(Pali ākiñcaññāyatana , Skt. ākiṃcanyāyatana ),
  • 여덟 번째 선정: 지각도 없고 지각도 없음(Pali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 , Skt. naivasaṃjñānāsaṃjñāyatana ).

'무의 차원'과 '비상, 무상의 차원'은 붓다의 9선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만
팔정도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여덟 번째 고귀한 길은 "삼마 사마디(Samma Samadhi)"(올바른 집중)이며
처음 네 가지 Jhanas만이 "바른 집중"으로 간주됩니다. 
모든 선정을 언급할 때 강조점은 "비상도 비상각의 차원"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감정과 인식의 소멸"입니다.





상좌부 
[ ■편집 ]

집중으로서의 삼매 [ ■편집 ]

Gunaratana에 따르면 ' samādhi '라는 용어 는 '수집하다' 또는 '모으다'를 의미하는 ' sam-ā-dhā ' 라는 어근에서 유래하므로
일반적으로 '집중'으로 번역됩니다. 


초기 불교 경전에서 
삼매(samādhi) 는 사마타 (고요히 머무르는 것) 라는 용어와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 
주석서 전통에서 삼매( 
samādhi)는 에까 가타(ekaggata) , 즉 한곳에 집중된 마음( Cittass'ekaggatā ) 으로 정의됩니다 . [15]

Buddhagosa는 삼매를 "단일 대상에 균일하고 올바르게 수반되는 의식과 의식의 중심화"로 정의합니다. [...]

의식과 그에 수반되는 내용이 산만하지 않고 흩어지지 않고 단일 대상에 균등하고 올바르게 유지되는 상태입니다 
. 


Buddhaghosa 에 따르면 Theravada Pali 경전에서는 삼매 (samādhi) 의 네 가지 성취를 언급합니다 .

  1. 순간 집중( khanikasamādhi ): 사마타 명상 중에 발생하는 정신적 안정입니다 .
  2. 예비 집중( parikammasamādhi ): 명상 대상에 초점을 맞추려는 명상가의 초기 시도에서 발생합니다.
  3. 근접집중( upacārasamādhi ): 다섯 가지 장애가 제거되고 선정 이 있을 때, 그리고 '대응상'( patibhaganimitta ) 이 나타날 때 일어납니다 .
  4. 흡수 집중( appanasamādhi ): 대상에 대한 명상과 모든 사선정 의 안정화에 마음을 완전히 몰입시키는 것입니다 .

Buddhaghosa에 따르면, 그의 영향력 있는 표준 저서인 Visuddhimagga 에서 삼매는 지혜를 얻는 "가까운 원인"입니다 . [59]


 청정도론 (Visuddhimagga)은 팔리어 경전 전반에 걸쳐 언급되어 있지만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 
ānāpānasati )과 자애( mettā ) 와 같은 
명상의 대상을 40가지로 설명 하고 있습니다 . [60]




비판 
[ ■편집 ]

상좌부 전통에서는 선정을 일점 집중으로 해석하는데,
이 해석은 논쟁거리가 되었습니다. 

리차드 곰브리치(Richard Gombrich)에 따르면,
네 가지 
루빠-선의 순서는 두 가지 다른 인지 상태를 설명합니다.
"나는 이것이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따라서 세 번째와 네 번째 선정은 두 번째 선정과 상당히 다른 것 같습니다." 
[23] [참고 9]

Alexander Wynne은 dhyana 계획이 제대로 이해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 [61] 


Wynne에 따르면,
sati
 , sampajāno , upekkhā 와 같은 인식의 주입을 표현하는 단어는 
명상 상태의 특정 요소로 잘못 번역되거나 이해되지만 
[61] 
감각 대상을 인식하는 특정 방식을 나타냅니다. 
[61] [주 10] [주 11]

몇몇 서양 스승들(Thanissaro Bhikkhu, Leigh Brazington, Richard Shankman)은
' 경경
 지향' 선정 과 ' 청정도 지향' 선정 을 구별합니다 . [63]

 
[ 
전체 인용 필요 ]
 


Thanissaro Bhikkhu는 Pali Canon과 
Visuddhimagga가 선정에 대해 서로 다른 설명을 제공하며 
Visuddhimagga 설명이 부정확하다고 반복해서 주장했습니다. [63] [ 인용 필요 ]


Keren Arbel은 
jhānas 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그리고 주석 해석에 대한 현대적 비판. 이 연구와 수석 명상 교사로서의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녀는 디야나의 원래 의미에 대해 재구성된 설명을 제공 합니다 . 

그녀는 사선이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경험의 본질에 대한 통찰을 발전시킨 결과이며,
경전에서 두 가지 별개의 분리된 명상 기법으로 볼 수 없고,
깨달음으로 이끄는 단일 과정의 통합적 차원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 

그녀는 "제4선은 마음의 불건전한 경향을 완전히 조건화하고 깊은 인식론적 구조를 변형시키는 최적의 경험적 사건입니다.
이는 경험에 대한 깨어 있는 자각을 구현하고 실현하기 때문입니다."라고 결론지었습니다. 
[64]

대승 [ ■편집 ]

앉아 명상 을 하고 있는 보살 . 아프가니스탄 , 서기 2세기

인도 대승 [ ■편집 ]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인도 대승 문헌은 금욕적인 수행, 숲에 거주하는 것,
명상적인 하나됨의 상태, 즉 
삼매(samādhi)를 강조합니다 . 


이러한 관행은 "새로운 계시와 영감에 대한 접근을 제공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초기 대승의 중심 위치를 차지한 것으로 보입니다. 
[65]

인도의 대승 전통은 다양한 형태의 삼매를 언급합니다 .

예를 들어 
Mahavyutpatti 의 섹션 21 에는 118개의 서로 다른 형태의 삼매가 기록되어 있으며 [66]

 Samadhiraja Sutra는 ' 일의 동일성으로 나타나는 삼매 '라는 삼매를 주요 주제로 삼고 있습니다.
모든 
 의 본질적인 성격 ( sarva-dharma-svabhavā-samatā-vipañcita-samādhi ). [67] [참고 12]




비목샤무카 [ ■편집 ]

불교 팔리어 문헌은 주석 전통에서
' 
해방 의 문 '( vimokṣamukha ) 으로 식별하는 세 가지 종류의 
삼매를 설명합니다. [주 13]

  1. 무상삼매( Sa : ānimitta -samādhi )( Pi : animittosamādhi ) 또는 무표정삼매( Sa : alakṣaṇa-samādhi )
  2. 무목적삼매( Sa : apraṇihita-samādhi ) ( Pi : appaṇihito samādhi )
  3. 공허삼매( Sa : śūnyatā -samādhi ) ( Pi : suññato samādhi )

Polak에 따르면, 이는 신체적인 측면 대신 인지적인 측면을 설명하는 네 가지 선정에 대한 대안적인 설명입니다. 

폴락 에 따르면, 선정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경험에 대한 관념이 일어나지 않으며 
어떤 표징도 파악되지 않습니다( 
animitta samādhi ).
여섯 가지 감각에 대한 인식은 "자아"( 
sunñata samādhi ) 라는 개념 없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 [68]

중국 불교 전통에서는 이를 '해방의 세 문'( sān jiětuō mén , 3解脫문 ) 이라고 부릅니다 . [69] 


이 세 문은 항상 같은 순서로 인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Madhyamaka 불교 학자 인 
Nagarjuna는 
그의 
Maha-prajnaparamita-sastra 에서 이 "세 가지 삼매 " 에 대한 첫 번째 설명에서 apraṇihita를 animitta 앞에 나열했지만 
나중에 같은 작업의 목록과 설명에서는 더 일반적인 순서로 되돌아갔습니다. 


티엔 불교 스승인 Thích Nhất Hạnh 과 같은 다른 사람들은 apraṇihita를 śūnyatā 다음으로 세 번째로 나열합니다 .


그리고 아니미따(ānimitta) . [69] [70] 나가르주나는 진정으로 깨달은 자( 보살 ) 의 특성 중 이 세 가지 종류의 삼매를 나열합니다 . [69]



무명삼매 
[ ■편집 ]

나가르주나(Nagarjuna)에 따르면, 무상삼매는 모든 법에 표시가 없음을 인식하는 삼매 ( ānimitta )입니다. [69] 

Thích Nhất Hạnh에 따르면
"기호"는 외모나 형태를 의미하며,
무상삼매를 존재와 비존재의 이분법과 같은 외모에 속지 않는 것에 비유합니다. 
[71]




무목적삼매 
[ ■편집 ]

'무목적'은 '무념' 또는 '희망 없음'( 중국어 wúyuàn 無願, lit. 'non-wishing' 또는 wúzuò 無事, lit. 'non-arising')으로도 번역되며
문자 그대로 '앞에 아무것도 놓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


 
Dan Lusthaus에 따르면, 목적 없음-삼매는 미래에 대한 목적이나 계획이 부족하고 인식 대상에 대한 욕구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 14]


 나가르주나(Nagarjuna)에 따르면
무목적삼매는 어떤 종류의 존재( 
bhāva ) 도 구하지 않는 
삼매 입니다.미래에 그들을 향한 세 가지 독 (즉, 열정, 공격성, 무지). [69]

공삼매 [ ■편집 ]

나가르주나(Nagarjuna)에 따르면, 공삼매는 모든  의 참된 성품이 절대적으로 공( atyantaśūnya )이고, 
다섯 가지 더미가 자아( anatman )가 아니며
자아( 
anātmya ) 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는 
삼매 입니다. , 그리고 자성이 없이 공( śūnya ) 이다 . [69]

 [ ■편집 ]




명상에 앉아 있는 대만 의 중국 전통 불교 스승

인도의 dhyāna는 중국어로 chán 으로 , 일본어로 zen 으로 번역되었습니다 . 

사상적으로 
선(禪) 전통은 반야  돌번 통찰을 강조 하지만,
실제 수행에서는 반야와 삼매, 즉 돌발 통찰과 점진적 수행이 서로 짝을 이룹니다. 
[72] [73] 

특히 
린자이(Rinzai) 선종 의 일부 계통은 갑작스러운 통찰력을 강조하는 반면,
소토( 
Sōtō) 선종은 시칸타자( shikantaza)를 더 강조합니다.,

생각의 흐름에 대한 자각을 훈련하여 생각이 간섭 없이 일어나고 사라지도록 허용합니다. 


역사적으로 삼매디( samādhi)를 달성하기 위해 
향 감상 (향도, kodõ ), 꽃꽂이 (화도, 카도 ), 다도 (다도, 사도 ), 서예 (서도, 쇼도 ), 무술 등 많은 전통 예술  개발되거나 개선되었습니다. 

궁도 (弓道, kyūdō ) 와 같은 . 일본어 문자 道는  또는 경로를 의미하며

예술 분야의 규율 있는 실천이 
삼매 에 이르는 길임을 나타냅니다.
. [ 인용 필요 ]




힌두교 
[ ■편집 ]

파탄잘리(Patanjali)의 요가 수트라(Yoga Sūtras) [ ■편집 ]

삼매(Samādhi) 는 요가경의 여덟 번째 사지이며,
각각 
다라 나와 디야 나의 여섯 번째 사지와 일곱 번째 사지입니다 .

삼야마 [ ■편집 ]

Taimni에 따르면 dhāraṇā , dhyāna  samādhi는 
등급별 시리즈를 형성합니다. 
[74]

  1. 다라나  
    다라나 에서 마음은 하나의 생각 대상에 집중하는 법을 배웁니다. 
    초점을 맞추는 대상을 
    프라티야(pratyaya) 라고 합니다 . 
    다라나 에서 수행자는 의식을 프라먀야 (pratyaya) 에 집중하면서
    다른 생각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법을 배웁니다 .

  2. 선정(Dhyāna) — 시간이 지나면서 수행을 통해 수행자는 프라 
    티야(pratyaya) 에 대한 인식을 유지하는 법을 배우게 되며 ,
    이를 통해 
    다라나는 선정( dhyāna) 으로 변합니다 . 
    선정 에서 요가행자는 지각자(요긴), 지각( 프라트야야 ), 지각 행위의 삼중성을 깨닫게 됩니다 . 
    dhyāna 수행에 추가되어 다라나와 구별되는 새로운 요소는 수행자가 이 삼중성의 지각 요소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배운다는 것입니다 . 
    이런 방식으로 dhyāna는 지각하는 사람의 점진적인 최소화, 즉 관찰자와 관찰 대상( pratyaya ) 의 융합입니다 .
  3. 삼매(Samādhi) 
    요긴이 (1) 장기간 동안 
    프라트야야 에 집중하고 (2) 수련하는 동안 자의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때 , 선정은 삼매로 전환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요긴은 프라티야와 융합 
    됩니다 . 
    Patanjali는 이것을 유색 표면에 투명한 보석을 놓는 것에 비유합니다.
    보석은 표면의 색상을 취합니다. 
    마찬가지로 
    삼매 에서는 요긴의 의식이 생각의 대상인 프라먀야( pratyaya) 와 융합됩니다 .
     
    프라 
    먀야는 색깔 있는 표면과 같고, 수행자의 의식은 투명한 보석과 같습니다.

요가경(Yoga Sūtras)의 삼매(Samādhi) [ ■편집 ]

Samādhi는 명상의 대상과 하나됨입니다. 
명상 행위와 명상의 대상 사이에는 구별이 없습니다. 
Samādhi는 명상의 대상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의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75] [웹 2] [웹 3]

  • Samprajñata samādhi ( savikalpa samādhi  sabija samādhi 라고도 함 , [web 4] [note 15] )는
    명상 대상을 지원하는 
    samādhi를 의미합니다 . [web 2] [참고 16]

     Sutra 1:17에서 Patanjali는 samprajnata samādhi가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
    "완전한 고의식(samprajnata samādhi)은 
    vitarka (숙고), vicara (반영), ānanda (황홀경) 이 동반되는 것입니다. )
     
    asmitā ('나'라는 느낌)"입니다. [79] [80] [주 17]
처음 두 가지인 숙고와 성찰은 다양한 유형의 사마빠띠(samāpatti) 의 기초를 형성합니다 . [79] [80]
마지막 두 가지 연합인 사 난다 삼매(sānanda samādhi) 와 사스미타( sāsmitā )는 각각 명상 상태이자 
사비차라 삼매(savicharra samādhi) 의 대상입니다 .

  • Ānanda
     , "행복과 함께": "최고의 행복" 또는 "황홀경과 함께"라고도 알려진 이 상태는
    명상에서 더욱 미묘한 행복 상태를 강조합니다. 
    아난다 는 비타르카(vitarka)와 비카라(vicara)로부터 자유롭습니다. [웹 2]
  • Āsmitā , "자아성을 가지고": 마음은 "나이다"라는 감각이나 느낌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웹 2]

Samprajñata samādhi [ ■편집 ]

파라마한사 요가난다(Paramahansa Yogananda) 에 따르면 , 이 상태에서 사람은 자아를 버리고 창조 너머의 정신을 깨닫게 됩니다. 
그러면 영혼은 육체에 묶인 성향의 씨앗을 "태우거나" 파괴하는 영-지혜의 불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명상자로서의 영혼, 명상의 상태, 명상의 대상인 영이 모두 하나가 됩니다. 
영의 바다에서 명상하는 영혼의 분리된 물결은 영과 합쳐집니다. 
영혼은 그 정체성을 잃지 않고 오직 영으로 확장될 뿐입니다. 
사비칼빠 삼매(savikalpa samādhi)에서 마음은 내면의 영만을 의식합니다. 그것은 외부 세계를 의식하지 않습니다. 
몸은 황홀경 상태에 있지만 의식은 몸 안에서의 행복한 경험을 완전히 인식합니다. 
[85]

아폴로 14호 우주 비행사 에드가 미첼( Institute of Noetic Sciences) 창립자는 
개요 효과 라고도 알려진 우주에서 지구를 보는 경험을 
사비칼파 삼매(savikalpa samādhi) 에 비유했습니다 . [86]


아난다  아미타 [ ■편집 ]

Ian Whater에 따르면 Patanjali 체계에서 ānanda  āsmitā 의 지위는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Maehle 에 따르면 처음 두 구성 요소인 숙고와 성찰이 다양한 유형의 사마파티 의 기초를 형성합니다 . [79]

 포이어슈타인(Feuerstein)에 따르면:

"기쁨"과 "나는 존재함" [...]은 모든 인지적 [황홀경]에 수반되는 현상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이 점에 대한 고전 주석가들의 설명은 파탄잘리의 [황홀경] 상태 위계와는 다른 것으로 보이며, 아
난다
  아스미타가 독립적인 삼매 수준을 구성해야 할 것 같지 않습니다 . [87]

Ian Whater는 Feuerstein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으며 ānanda  asmitā를 nirvicara-samāpatti 의 후기 단계로 봅니다 . [87]

 whicher는 8가지 유형의 사마파티를 제안한 Bhāmatī Advaita Vedanta 의 창시자인 Vācaspati Miśra (900-980 CE) 를 가리킵니다 . [88]

  • Savitarka-samāpatti  nirvitarka-samāpatti는 둘 다 지원 대상으로 총체를 사용합니다.
  • Savicāra-samāpatti  nirvicāra-samāpatti , 둘 다 미묘한 대상을 지원 대상으로 사용합니다.
  • Sānanda-samāpatti  nirānanda-samāpatti , 둘 다 감각 기관을 지원 대상으로 사용
  • Sāsmitā-samāpatti  nirasmitā-samāpatti는 둘 다 "나이다"라는 의미를 뒷받침합니다.

Vijnana Bikshu (ca. 1550–1600)는 Vacaspati Misra의 모델을 명시적으로 거부하는 6단계 모델을 제안합니다. 
Vijnana Bikshu는 기쁨( 
ānanda )을 마음이 비카라 단계 를 넘어설 때 발생하는 상태로 간주합니다 .

 
Whater 는 ānanda가 samādhi 의 별도 단계가 아니라는 점에 동의합니다 . 
Whater 에 따르면 Patanjali 자신의 견해는 nirvicara-samādhi가 인지 적 황홀경의 가장 높은 형태라는 것 같습니다 . [80]

Sarasvati Buhrman에 따르면, " Babaji는 사람들이 사다나 동안 행복한 감각을 느낄 때 총체적인 수준에서는 양쪽 콧구멍의 호흡이 동일하고
미묘한 수준에서는 
이다  핑갈라 나디 의 
프라나 흐름이 균형을 이룬다고 설명했습니다.
이것을 
수슘 나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수슈마의 잔여 프라나인 
쿤달리니가 수슘나 나디로 흘러 사트 바 구나가 지배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평화로운 느낌을 만들어냅니다. 
그 평화는 아난다입니다."
 
난다 삼매(sānanda samādhi) 에서 그 아난다, 즉 사트빅 흐름의 경험은
다른 어떤 
vrittis 에 의해 오염되지 않습니다.
 ,
또는 생각은 그 행복을 받는 기쁨에 대한 인식을 저장합니다." 
[89]


Asamprajñata samādhi [ ■편집 ]

Maehle에 따르면, asamprajñata samādhi ( nirvikalpa samādhi  nirbija samādhi 라고도 함 ) [웹 3] 
가장 미묘한 요소 인 
푸루샤 또는 의식 에 대한 지식으로 이어집니다 .

 
Heinrich Zimmer는 
다음 과 같이 nirvikalpa samādhi를 다른 상태와 구별합니다 .

반면에, 자의식 없는 삼매인 니르비칼파 삼매( Nirvikalpa samādhi) 는 참나의 정신 활동( cittavṛtti )이 아는 사람의 구별(vikalpa), 행위의 구별( vikalpa ) 이 되는 정도 또는 방식으로
파도가 물 속에서 사라지듯이,
거품이 바다 속으로 사라지듯이,
아는 것과 알려진 대상은 용해됩니다. 
[90]

Swami Sivananda는 nirbija samādhi (씨앗이 없는 문자 그대로 "samādhi")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씨앗이나 Samskaras가 없으면 [...] 모든 씨앗이나 인상은 지식의 불에 의해 태워집니다. [...]
재생을 가져오는 모든 Samskaras와 Vasanas는 완전히 해방됩니다.
모든 Vrittis 또는 정신적 변형은 마음 호수가 억제되어 다섯 가지 번뇌,
즉 Avidya(무지), Asmita(이기주의), Raga-dvesha(사랑과 증오) 및 Abhinivesha(생명에 대한 집착)가 파괴되고
카르마의 결속이 소멸됩니다. ..]
목샤(생사의 수레바퀴로부터의 해탈)를 주십니다. 진아에 대한 지식이 출현하면 무지가 사라지고, 근본 원인,
즉 무지, 이기심 등도 사라지게 됩니다.
사라지다". 
[웹 3]



사하자 삼매 [ ■편집 ]

Ramana Maharshi는 kevala nirvikalpa samadhi  sahaja nirvikalpa samādhi를 구별했습니다 . [91] [웹 5] [웹 6]

사 하자삼매(Sahaja samadhi)는 인간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동시에) 주체 내부의 침묵 수준이 유지되는 상태입니다. [91]

Kevala nirvikalpa samādhi  일시적인 반면, sahaja nirvikalpa samādhi 는 일상 활동 전반  걸쳐 지속적인 상태입니다. [91] 
이 상태는 삶의 여러 측면, 즉 외부 활동, 내부 고요함 및 이들 사이의 관계를 포함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삼매
 보다 더 복잡해 보입니다 . [91] 
그것은 또한 삼매(samādhi)
 를 터득한 이후에 오기 때문에 더욱 발전된 상태인 것 같습니다 . [91] [주 23] [주 24]

Sahaja는 Svecchachara , Sama  Samarasa 와 함께 Nath sampradaya 의 네 가지 키워드 중 하나입니다 . 
사하자(Sahaja) 명상과 예배는 이미 8~9세기 벵골의
 
힌두교  불교 에 공통된 탄트라 전통에서 널리 퍼져 있었습니다 .

니르비칼파카 요가 [ ■편집 ]

니르비칼파카 요가(Nirvikalpaka yoga) 는 샤이비즘( Shaivism) 철학 체계의 용어로 , 
삼매(samādhi) 를 통해 "나"와 시바 (Shiva) 가 완전히 동일시되며 이름과 형태의 개념 자체가 사라지고
시바만이 
진정한 자아 로 경험됩니다. .
 
그 체계에서 이 경험은 모든 생각 구조가 완전히 중단될 때 발생합니다. 
[92]

불교의 영향 [ ■편집 ]

Patanjali의 samādhi 설명은 불교 jhānas 와 유사합니다 . [93] [주 25] 
Jianxin Li에 따르면 삼프라 
즈냐타 삼매(samprajñata samādhi)는 불교의 루파 선정(rūpa jhāna) 과 비교될 수 ​​있습니다 . [94] 이 해석은 첫 번째 및 두 번째 선정이 집중을 나타내는 반면, 세 번째 및 네 번째 선정은 집중과 마음챙김을 결합한다는 Gombrich 및 Wynne과 충돌할 수 있습니다 . [77] Eddie Crangle에 따르면 첫 번째 jhāna는 Patanjali의 samprajñata samādhi와 유사하며 둘 다 vitarka 의 적용을 공유 하고비카라 . [78]

데이비드 고든 화이트(David Gordon White) 에 따르면 요가경의 언어는 종종 "다른 힌두 경전의 고전 산스크리트어보다
초기 대승 불교 경전의 산스크리트어인 불교 하이브리드 산스크리트어"에 더 가깝습니다. 
[95] 


Karel Werner에 따르면:

파탄잘리의 체계는 불교 없이는 생각할 수 없습니다. 용어에 관한 한 요가경에는
 
Pāli Canon 의 불교 공식을 상기시키고 Sarvastivada Abhidharma  Sautrāntika 의 불교 공식을 상기시키는 내용이 많이 있습니다 .

Robert Thurman은 Patañjali가 불교 수도원 시스템 의 성공에 영향을 받아 그가 정통이라고 생각하는 사상 버전에 대한 자신의 매트릭스를 공식화했다고 썼습니다. 
그러나 요가 수트라 , 특히 Kaivalya Pada의 네 번째 부분에는 불교,
특히 Vasubandhu의 Vijñānavāda 학교를 비판하는 여러 논쟁적인 구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8]

Patañjali는 불교의 영향을 받아 불교 사상과 용어를 통합했지만 [99] [100] [101] " nirvikalpa samādhi " 라는 용어는 불교 맥락에서 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부 저자는 nirvikalpa samādhi를 무형 의 선정 및/또는 동일시했습니다. nirodha samāpatti . [102] [103] [104] [94]

유사한 용어인 nirvikalpa-jñāna 는 불교 Yogacara 전통에서 발견되며 Edward Conze 는 "미분화된 인지" 로 번역했습니다 . 
Conze 는 Yogacara에서 nirvikalpa-jñāna 의 실제 경험만이 경전에서 그에 대한 보고를 증명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그는 요가카라 맥락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무분별한 인식"은 먼저 모든 대상의 비현실성을 알고, 그런 다음 그것들 없이도 지식 자체가 땅에 떨어지고 마침내 최고의 현실을 직접 직관한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이 영지 의 역설적 성격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졌습니다 . 
비록 개념도 없고 판단도 없고 분별력도 없지만 단순한 무분별함은 아닙니다. 
그것은 인식도 아니고 비인지도 아닙니다. 
그 기초는 생각도 아니고 생각도 아닌데... 여기에는 주체와 객체의 이중성이 없습니다. 
인식은 인식되는 것과 다르지 않지만 완전히 동일합니다. 
[106] [참고 26]

불교 용법의 다른 의미는 산스크리트어 표현인 nirvikalpayati ( Pali : nibbikappa )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불확실성(또는 잘못된 차별)에서 벗어나다",
즉 "구별하다, 신중하게 고려하다"를 의미합니다. 
[107]

바바 삼매(Bhāva samādhi) [ ■편집 ]

바바 삼매(Bhāva samādhi) 는 때로 겉으로는 자발적인 경험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오랜 기간의 헌신적인 수행의 정점으로
인식되는 황홀한 의식 상태입니다. 

일부 그룹에서는 "고등 존재"의 존재를 통해 발생한다고 믿습니다. 

Bhāva samādhi는 Sri Ramakrishna Paramahamsa 와 그의 제자들 중 일부인 Chaitanya Mahaprabhu 와 그의 수석 제자 Nityananda, Mirabai 및 
박티 전통 의 수많은 성인을포함하여
인도 영적 역사의 주목할만한 인물들이 경험했습니다
. 
[110]



마하사마디 [ ■편집 ]

힌두교 또는 요가 전통에서, "위대한" 최종 삼매인 마하사마디( mahāsamādhi )는 죽음의 순간에 의식적으로 그리고 의도적으로 몸을 떠나는 행위입니다.
 
이 신념에 따르면, 니르비칼파 삼매( nirvikalpa samādhi ) 상태에 도달  깨달음 과 해방( Jivanmukta ) 요기 또는 요기니는 
깊은 의식 명상 상태에 있는 동안 죽음의 순간에 
의식적으로 몸에서 빠져나와 깨달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112]

추종자들에 따르면 일부 개인은 마하사마디 의 날짜와 시간을 미리 선언했습니다. 
파라마한사 요가난다(Paramahansa Yogananda) 에 따르면,
여기에는 1895년 9월 26일에 사망한 
라히리 마하사야(Lahiri Mahasaya) 가 포함됩니다 . [112] [113] 

1952년 3월 7일 파라마한사 요가난다(Paramahansa Yogananda) 자신의 죽음은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 마하사마디(mahāsamādhi)
 에 들어간 것으로 묘사되었습니다 . [114] 

요가난다의 직속 제자 중 한 명인 다야 마타(Daya Mata)는 전날 저녁 요가난다가 그녀에게
"몇 시간만 지나면 내가 이 땅에서 사라질 것이라는 것을 아시나요?"라고 물었다고 말했습니다. 
[115]

시크교 [ ■편집 ]




Ranjit Singh의 Samadhi는 파키스탄 라호르  상징적  Badshahi Masjid 옆에 위치해 있습니다 .

시크교 에서 이 단어는 자신의 마음과 영혼을 와헤구루( Waheguru) 에 기억하고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행동을 가리키는 데 사용됩니다 . [ 인용 필요 ] 

Sri 
Guru Granth Sahib은 다음과 같이 알려줍니다.

  • "명상하면서 매 순간, 매 순간 전능하신 주님을 기억하고, 삼마디(Samādhi)의 천상의 평화 속에서 하느님을 묵상하십시오." (p.508)
  • "나는 천상의 삼마디(Samādhi) 속에서 하느님께 애착을 갖고 있습니다." (p.865)
  • "가장 가치 있는 삼매는 의식을 안정되게 유지하고 그분께 집중하는 것입니다." (p.932)

삼매(Samadhi) 라는 용어는 신체의 물리적 위치보다는 마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 "나는 천상의 삼매에 빠져 영원히 주님께 사랑으로 붙어 있습니다. 나는 주의 영광스러운 찬미를 노래하며 삽니다"(p. 1232)
  • "밤낮으로 그들은 마음속으로 주님을 황홀하게 여기고 즐거워하며 직관적으로 삼매에 빠져 있습니다. ||2||" (p.1259)

시크교 구루(Sikh Gurus)는 추종자 들에게 다음과 같이 알립니다.

수피즘 [ ■편집 ]

수피 이슬람  파나(Fanaa) 개념은 사마디(Samadhi)와 비교되었습니다. [117]

또한 보십시오 [ ■편집 ]

메모 [ ■편집 ]

  1.  Keren Arbel은 Majjhima Nikaya 26, Ariyapariyesana Sutta, The Noble Search를
    참조합니다:
    * Majjhima Nikaya 111, Anuppada Sutta
    * AN 05.028, Samadhanga Sutta: The Factors of Concentration . 단어별 번역은
    Johansson(1981), 초보자에게 설명된 Pali 불교 텍스트를 참조하세요.

  2. ^ Arbel은 "viveka"가 일반적으로 "분리", "분리" 또는 "격리"로 번역되지만 기본 의미는 "차별"이라고 설명합니다. Arbel에 따르면, 첫 번째 dhyana 에 대한 설명에서 vivicca/vivicceva  viveka 의 사용은"동사의 두 가지 의미, 즉 분별력과 그에 따른 '고립' 및 놓아주기라는 의미를 모두 갖고 있습니다." 경험의 본질에 대한 식별력'은 네 가지 염원 에 의해 발전되었습니다 . [35] 도겐(Dogen)과 비교하라: "모든 소란을 피하고 조용한 곳에 혼자 사는 것을 "평온함과 평온함을 누리는 것"이라고 합니다.
    dhyanas 에 대한 대체 설명인 bojjhanga 에 언급된 dhamma vicaya 는 dhyana 설명 에 언급되지 않은 유일한 bojjhanga 용어입니다 . [37] Sutta Nipatha 5.14 Udayamāṇavapucchā (Udaya의 질문) 비교: "원리에 대한 탐구가 선행되는 순수한 평정과 마음챙김, 이것이 깨달음에 의한 해탈이고, 무지를 깨뜨리는 것이라고 나는 선언합니다." (번역: 수자토)

  3. ^ Stata Nipatha 5:13 Udaya의 질문 (Thanissaro 번역): "기쁨으로 세상은 속박되었습니다. 지시된 생각으로 조사됩니다."
    Chen 2017 : "총괄적 고찰과 구체적인 심층 조사를 통한 삼매 란 탐욕과 증오와 같은 불선한 법을 제거하고, 일어남으로 인한 기쁨과 즐거움에 머물며, 첫 번째 선정에 들어가 완전히 머무는 것을그것." 아벨 2016 , p. 73초선에 있는 위탁 카와  까라 의 존재를 해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건전한 생각의 이전 발전의 건전한 '잔재물'입니다. 이는 경험된 것에 대한 건전한 태도로 초선에 들어간 사람에게 반향되는 이러한 선한 생각의 '메아리'를 나타냅니다 ."

  4. ^ 팔리어 경전 에서 Vitakka-vicāra는 하나의 표현을 형성하는데 ,이는 사람의 생각이나 주의를 대상( vitarka )에 집중하고 그것을 조사( vicāra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40] [43] [44] [45] [46] Dan Lusthaus 따르면 vitarka-vicāra 는 분석적 조사, 반야 의 한 형태입니다. 그것은 "[무언가]에 초점을 맞춘 다음 그것을 기능적 구성 요소로 분해하여" "경이로운 사건에 연루된 수많은 조건화 요소를 구별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47] 테라와다(Theravada) 주석 전통은 다음과 같이 대표됩니다.Buddhaghosa  Visuddhimagga 는 비타르카와  카라를 명상 대상에 대한 최초의 지속적인 주의 적용으로 해석하며 , 이는 두 번째 선정으로 넘어갈 때 마음이 고요해지는 데서 정점에 이릅니다. [48] ​​[49] Fox와 Bucknell에 따르면 이는 제2  에 흡수되어 조용해지는 "일반적인 담론적 사고 과정"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 [49] [48]
  5. ^ 삼매 의 표준 번역은"집중"입니다. 그러나 이 번역/해석은 다수의 동시대 작가들이 설명하는 주석적 해석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32] Tilmann Vetter는 삼매 에는 광범위한 의미가 있으며 "집중"은 그 중 하나일 뿐이라고 지적합니다. Vetter는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선정이 삼마 삼매(samma-samadhi ), 즉 '올바른 삼매'이며, 네 번째 선정 에서 완성되는 "자발적인 인식"(sati)과 평정심을 바탕으로 한다고 주장합니다 . [12]
  6.  dhyana 를 확장된 흡수 상태로해석하는 일반적인 번역에서는 삼파사다나를 "내적 확신"으로 번역합니다. 그러나 Bucknell이 설명했듯이 이는 "안정화"를 의미하기도 하며 이러한 맥락에서 더 적절합니다. [48] ​​Passaddhi 도 참조하세요.
  7. ^ Upekkhā 는 Brahmaviharas 중 하나입니다.
  8.  네 번째 선정 에서는 더 높은 지식( abhijñā ) 을 얻습니다. 즉, 모든 정신적 취하게 하는 물질( āsava )뿐만 아니라 심령력도 소멸됩니다. [57] 예를 들어 AN 5.28에서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Thanissaro, 1997.).
    "승려가 이런 방식으로 다섯 가지 고귀한 올바른 집중을 계발하고 추구했다면, 그는 여섯 가지 더 높은 지식 중 어느 것에 마음을 돌립니다. 알고 깨달으면 그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것을 직접 목격할 수 있습니다...."
    "그가 원한다면 그는 다양한 초자연적 힘을 휘두른다. 하나였다가 여럿이 되고, 여럿이 되어서 하나가 된다. 그는 나타난다. 그는 사라진다. 그는 마치 우주를 통과하는 것처럼 벽, 성벽, 산을 방해 없이 통과한다. 그는 뛰어들어 땅에서 물처럼 나오시며 물 위를 걸으시고 물 위를 걸으시고 물 위를 육지 같게 하시며 책상다리로 앉으시고 날개 달린 새 같이 공중으로 날아가시며 그 손으로 해와 달을 만지시며 어루만지시니 그 위력이 크도다 그는 강력하다. 그는 심지어 범천계까지 그의 몸으로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는 틈이 있을 때마다 이것을 스스로 목격할 수 있다..."

  9. ^ 원출판: Gombrich, Richard (2007), 초기 불교의 종교적 경험 , OCHS 도서관
  10. ^ Wynne: "따라서 세 번째 선정 의 sato sampajāno라는 표현은 두 번째 선정 ( cetaso ekodibhāva ) 의 명상적 흡수와는 다른 인식 상태를 나타내야 합니다. 이는 대상이 명상 상태에 머무르는 것과는 다른 뭔가를 하고 있음을 암시합니다. 그는 자신의 몰입에서 벗어나 이제 다시 대상을 인식하게 됩니다. upek(k)hā 라는 단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는 추상적인 '평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나] 무엇인가를 인식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그것에 무관심합니다. [...]제가 보기에 세 번째와 네 번째 선정은 명상적 흡수 상태를 대상에 대한 마음챙김 인식으로 향하게 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62]
  11. ^ theravadin.wordpress.com: "그러므로 이 순서에서 우리가 위빠사나로 이해해야 하는 것은 전혀 사티의 동의어가 아니라 오히려 이 모든 요소, 특히 물론 마지막 두 요소인 삼마 사티의 조합에서 자라나는 것입니다. 그리고 삼마 삼매(samma samādhi)는 존재하는 것에 대한 무자비한 관찰(야타부타)에 적용됩니다. 위빠사나는 육행을 향한 무상/고/무아(즉 지혜 생성)에 적용되는 사띠+삼매 수행의 이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모든 정신 활동을 포함한 감각 과정." 곰브리치(Gombrich)에 따르면, "후기 전통은 선정을 집중적이고 차분한 종류의 명상의 정수로 분류하고 다른 요소, 실제로는 더 높은 요소를 무시함으로써 선정을 위조했습니다. [23 ]
  12. ^ Gomez & Silk: "이 삼매는 동시에 공허함에 대한 인지적 경험, 부처님의 속성 달성, 보살의 발치에서의 봉사와 숭배를 포함하여 보살의 다양한 수행이나 일상 활동의 수행입니다. 삼매(samādhi)라는 단어는 경(sūtra) 자체를 의미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본문의 기초가 되는 수트라 = 삼매(samādhi) = śūnyatā라는 방정식을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삼마디라자( Samādhiraja )라는 제목은 경의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합니다. [67]
  13. ^ Thich Nhat Hanh, Sherab Chodzin Kohn, Melvin McLeod (2012), 현재 위치: 현재 순간의 마법 발견 , p.104: "무목적은 부처님이 권장하는 깊이 보기의 세 가지 수행법 중 하나인 집중의 한 형태입니다. . 나머지 두 가지는 구별되는 표시가 없는 것에 대한 집중( alakshana )과 공허함에 대한 집중( sunyata )입니다."</ref>
  14. ^ 러스트하우스 2014년 , p. 266: "Sangharakshita는 apraṇihita를 '목적 없음'으로 번역하는 반면 Conze는 'Wishless'를 사용하여 인도 불교 사상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1967) p. 67에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a-pra-ni라는 단어는 히타 문자 그대로 '앞에 아무것도 두지 않는다'는 뜻이며, 미래에 대한 계획도 없고, 미래에 대한 희망도 없고, 목적도 없고, 아무 것도 굽히지 않고, 집중에 의해 거부된 지각 대상에 대한 선호나 욕망이 없는 사람을 가리킨다. Signless [ animitta ]에서."
  15. ^ 씨앗이나 삼스카라는 파괴되지 않습니다. [웹 4]
  16.  Jianxin Li Samprajnata Samadhi 에 따르면불교의 루파 선정(rupa jhānas) 과 비교될 수 ​​있습니다[76] 이 해석은 첫 번째 및 두 번째 선정이 집중을 나타내는 반면, 세 번째 및 네 번째 선정은 집중과 마음챙김을 결합한다는Gombrich 및 Wynne과 충돌할 수 있습니다Eddie Crangle에 따르면 첫 번째 jhāna는 Patnajali의 samprajñata samādhi와 유사하며 둘 다 vitarka  vicara 의 적용을 공유합니다. [78]
  17.  요가경 1.17: "객관적 삼매 (samprajnata)는 숙고, 성찰, 행복, 나임(asmita ) 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 [81]
  18. ^ 요가경 1.42: "심의( savitarka ) 사마파티 는 단어, 사물, 지식이 개념화를 통해 혼합되는 삼매 입니다[79]
  19. ^ 요가경 1.43: "기억이 정화되면 마음은 그 자체의 본성이 비워지고 대상만이 빛을 발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것이 초고의적( nirvitarka ) 사마빠띠 입니다 ." [83]
  20.  요가경 1.17에 따르면, "나이다"라는 의미에 대한 명상은 다른 설명에서 "sāsmitā samāpatti"로 분류됩니다.
  21.  요가경 1.44: "이런 식으로미묘한 대상을 기반으로 하는 반사( savichara ) 및 초반사( nirvichara ) samāpatti 도 설명됩니다." [82]
  22.  Jianxin Li에 따르면 Asamprajnata Samādhi는 불교의 arupa jhānas 및 Nirodha-samāpatti 와 비교될 수 ​​있습니다. [76] Crangle은 또한 sabija-asamprajnata samādhi가 네 가지 형태 없는 jhānas 와 유사하다고 지적합니다 . Crangle 에 따르면 네 번째 arupa jhāna는 Patanjali의 "씨앗 없는 의식"으로의 전환 단계입니다. [84]
  23. ^ Zen  Ten Bulls 비교
  24.  또한 Mouni Sadhu (2005), 명상: 실제 연구를 위한 개요 , p.92-93
  25.  Eddie Crangle(1984), 삼매 달성을 위한 힌두교 및 불교 기술 참조
  26.  Routledge 2013년 판: 참고 854

참고문헌 [ ■편집 ]

  1. ^ "팔다리, 요가의 핵심" . 정신의 표현 .
  2. ^ "요가의 8가지 사마디" . 가족 .
  3. ^다음으로 이동:a b Sarbacker 2012, p. 13.
  4. ^다음으로 이동:a b c d Arbel 2016, p. 94.
  5. ^ 베터 1998년 , p. XXV-XXVI, 각주 9.
  6. ^ 태임리 1961 , p. "42. Savitarka Samadhi는 지식이 있는 것입니다."
  7. ^ Diener, Erhard & Fischer-Schreiber 1991년 .
  8. ^ Maezumi & Cook (2007) , p. 43.
  9. ^ Shankman 2008년 , p. 삼.
  10. ^다음으로 이동:a b c Shankman 2008, p. 4.
  11. ^ Lusthaus 2002년 , p. 114.
  12. ^다음으로 이동:a b Vetter 1988, p. XXVI, 각주 9.
  13.  요가난다, 파라마한사 (2014). 요기의 자서전 (13판). 자아실현 펠로우십. 피. 123. ISBN 978-0-87612-079-8.
  14. ^다음으로 이동:a b c Lusthaus 2014, p. 113.
  15. ^다음으로 이동:a b 헤네폴라 구나라타나(Henepola Gunaratana),테라바다(Theravada) 불교 명상의 Jhanas
  16. ^다음으로 이동:a b 스터지스 2014a.
  17. ^ Siddheswarananda 1998년 , p. 144.
  18.  스터게스, 스티븐 (2014). 요가 명상 . 영국 옥스퍼드: Watkins Publishing Limited. 피. 27. ISBN 978-1-78028-644-0.
  19. ^ Sadhguru (2012), Of Mystics & Mistakes , Jaico 출판사
  20.  파텔, Kamlesh D. (2018). 마음챙김 방식: 영적 변화를 위한 마음 기반 명상 . 첸나이. 피. 33. ISBN 978-9386850560.
  21. ^ Shankman 2008년 , p. 14, 15.
  22. ^ Bronkhorst 1993년 , p. 63.
  23. ^다음으로 이동:abc Wynne 2007 , p . 140, 각주 58.
  24. ^다음으로 이동:a b 브롱크호스트 1993.
  25. ^다음으로 이동:a b 윈 2007.
  26. ^ 크랭글 1994년 , p. 267-274.
  27. ^ 칼루파하나 1994년 , p. 24.
  28.  보디, 비구 (2005). 부처님의 말씀에서 . Somerville: 지혜 간행물. 296~8면( SN 28:1-9). ISBN 978-0-86171-491-9.
  29. ^ "Suttantapiñake Aïguttaranikàyo § 5.1.3.8" . MettaNet-Lanka (팔리어). 2007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2007년 6월 6일 에 확인함 .
  30.  비쿠, 타니사로 (1997). "삼매경(Samadhanga Sutta): 집중의 요소(AN 5.28)" . 통찰력에 대한 액세스 . 2007년 6월 6일 에 확인함 .
  31. ^ 풀러-사사키 (2008) .
  32. ^다음으로 이동:a b c d 아르벨 2016.
  33. ^ 폴락 2011 .
  34. ^ 요한슨 1981년 , p. 83.
  35. ^다음으로 이동:a b Arbel 2016, p. 50-51.
  36. ^ Maezumi & Cook (2007) , p. 63.
  37. ^ Arbel 2016년 , p. 106.
  38. ^ Wayman 1997년 , p. 48.
  39. ^ 상포 & 담마조티 2012 , p. 2413.
  40. ^다음으로 이동:a b Lusthaus 2002, p. 89.
  41. ^ 첸 2017년 , p. "삼매(samadhi): 조용하고 안정적이며 집중적인 마음 상태".
  42. ^ Arbel 2016년 , p. 73.
  43. ^ Rhys-Davids & Stede 1921-25 .
  44. ^ Guenther & Kawamura 1975년 , p. Kindle 위치 1030-1033.
  45. ^ 군상 2004 , p. 30.
  46. ^ 버진 2006년 .
  47. ^ Lusthaus 2002년 , p. 116.
  48. ^다음으로 이동:a b c d e Bucknell 1993, p. 375-376.
  49. ^다음으로 이동:a b 스튜어트-폭스(Stuart-Fox) 1989, p. 82.
  50. ^ Lusthaus 2002년 , p. 113.
  51. ^다음으로 이동:a b Arbel 2016, p. 86.
  52. ^ Arbel 2016년 , p. 115.
  53. ^다음으로 이동:a b Lusthaus 2002, p. 90.
  54. ^다음으로 이동:a b Arbel 2016, p. 124.
  55. ^다음으로 이동:a b Arbel 2016, p. 125.
  56. ^ 요한슨 1981년 , p. 98.
  57. ^ Sarbacker 2021 , p. 항목: "abhijñā".
  58. ^ Vism.84–85; PP.85
  59. ^ Buddhaghosa & Nanamoli 1999년 , p. 437.
  60.  Buddhaghosa & Nanamoli (1999), pp. 90–91 (II, 27–28, "간단한 개발"), 110ff. (III, 104, "열거"로 시작). 또한 p.에서와 같이 이 텍스트의 앞부분에 뿌려져 있는 것을 볼 수도 있습니다. 18 (I, 39, v. 2) 및 p. 39(Ⅰ, 107).
  61. ^다음으로 이동:abc Wynne 2007 , p . 106.
  62. ^ 윈 2007년 , p. 106-107.
  63. ^다음으로 이동:a b Quli 2008.
  64. ^ 아벨 2017 .
  65. ^ 윌리엄스 2009년 , p. 30.
  66. ^ Skilton 2002년 , p. 56.
  67. ^다음으로 이동:a b 고메즈 & 실크 1989, p. 15-16.
  68. ^다음으로 이동:a b 폴락 2011, p. 201.
  69. ^다음으로 이동:a b c d e f 나가르주나(2001).
  70. ^ Nhat Hanh, Thich; 노이만, 레이첼 (2008). 부처님 마음, 부처님 몸 . HowYouWant.com을 읽어보세요. 피. 140. ISBN 978-1427092922. 목적 없음 세 번째 집중은 목적 없음, apraṇihita입니다. 걱정 없이, 불안 없이 우리는 삶의 매 순간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습니다. 노력하지 않고, 큰 노력을 하지 않고, 그냥 존재하는 것입니다. 정말 기쁘네요! 이것은 우리의 평소와 모순되는 것 같습니다 ...
  71.  낫한, 틱. "법담: 네 번째 마음챙김의 확립과 해탈의 세 문" . 마음챙김의 종 . 2021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2021년 7월 3일 에 확인함 .
  72. ^ 맥레이 2003년 .
  73. ^ Hui-Neng & Cleary 1998년 .
  74. ^ 타임리 1961 .
  75. ^ 존스 & 라이언 2006년 , p. 377.
  76. ^다음으로 이동:a b Jianxin Li nd.
  77. ^다음으로 이동:a b Wynne 2007, p. 106; 140, 각주 58.
  78. ^다음으로 이동:a b c Crangle 1984, p. 191.
  79. ^다음으로 이동:a b c d e f Maehle 2007, p. 177.
  80. ^다음으로 이동:a b c d e 어느 1998년, p. 254.
  81. ^ Maehle 2007년 , p. 156.
  82. ^다음으로 이동:a b c d e f g h Maehle 2007, p. 179.
  83. ^다음으로 이동:a b Maehle 2007, p. 178.
  84. ^ 크랭글 1984년 , p. 194.
  85. ^ Yogananda, Paramahansa: God Talks with Arjuna, The Bhagavad Gita , 새로운 번역 및 해설, Self-Realization Fellowship 2001, ISBN 0-87612-031-1 (문고본) ISBN 0-87612-030-3 (하드커버), I ,10.  
  86. ^ 개요 . 행성 집단, Vimeo.
  87. ^다음으로 이동:a b c 어느 1998년, p. 253.
  88. ^ 어느 쪽 1998년 , p. 253-254.
  89.  Sarasvati Buhrman, Ph.D. (2000년 1월). 명상의 경험 II . ISBN 1-57951-038-8. {{cite book}}: |work=무시됨( 도움말 )
  90. ^ 짐머 1951년 , 436~437페이지.
  91. ^다음으로 이동:a b c d e Forman 1999, p. 6.
  92. ^ 싱 1979년 , p. xxxiii.
  93. ^ Pradhan 2015년 , p. 151-152.
  94. ^다음으로 이동:a b 리젠신 2018.
  95. ^ 화이트 2014 , p. 10.
  96. ^ 베르너 1994년 , p. 27.
  97. ^ Thurman 1984년 , p. 34.
  98. ^ Farquhar 1920년 , p. 132.
  99. ^ 베르너 1994년 , p. 26.
  100. ^ 화이트 2014 , p. 10, 19.
  101.  로버트 서먼(Robert Thurman), 티베트의 중심 철학.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1984년, 34페이지.
  102.  2001년 10월 20일 애리조나 주 피닉스에서 John Myrdhin Reynolds가 발표한 "불교 명상을 통한 자기 발견" 워크숍의 일부 사본, http://www.vajranatha.com/articles/what-is-meditation . html?showall=1
  103.  Donald Jay Rothberg, Sean M. Kelly (1998), Ken Wilber의 대화: 주요 자아초월 사상가와의 대화
  104.  Candradhara Śarmā(1996), 인도 철학의 Advaita 전통: 불교의 Advaita 연구, Vedānta 및 Kāshmīra Shaivism, Motilal Banarsidass, p.139: "불교 작품에서 창백한 말과 산스크리트어로 사용된 단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nirvikalpa-samadhi는 samnja-vedayita-nirodha와 nirodha-samāpatti입니다.
  105. ^ 콘즈 1962년 , p. 253.
  106. ^ 콘즈 1962년 , p. 253, 각주 ‡.
  107. ^ Edgerton 1953년 , p. 304, 2권.
  108. ^ Swami Sivananda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 Hanut Singh 중장, Shri Shri Shri Shivabalayogi Maharaj: 삶과 영적 사역, 109 페이지 Shri Shiva Rudra Balayogi "The Path Supreme" 2010 페이지 160 및 여기에서 Shri Shiva Rudra Balayogi의 가르침 보기 2010년 보관됨 -03-29 웨이백 머신 .
  109.  Thomas L. Palotas, "신성한 놀이, Shivabalayogi의 조용한 가르침", pp 87–9,
  110. ^ Hanut Singh 중장, Shri Shri Shri Shivabalayogi Maharaj: 삶과 영적 사역, 110쪽. 그리고 Jestice, Phyllis G, 세계의 거룩한 사람들: 다문화 백과사전. ABC-CLIO. (2004) ISBN 978-1-57607-355-1 pp 723. 
  111. ^ "싯다 요가 용어집" . Siddhayoga.org. 2010-07-25 . 2020년 11월 22일 에 확인함 .
  112. ^다음으로 이동:a b 블랙맨, Sushila(1997). 우아한 출구: 위대한 존재는 어떻게 죽는가: 티베트인, 힌두교, 선 스승의 죽음 이야기. 뉴욕: 웨더힐. ISBN 0-8348-0391-7.
  113.  요가난다, 파라마한사(1997). 요기의 자서전 – 36장 . 로스앤젤레스: 자아실현 펠로우십. ISBN 0-87612-086-9.
  114. ^ "마하사마디 —" . 인도 요고다 사트상가 협회 . 2020년 2월 11일 에 확인함 .
  115.  골드버그, 필립 (2018). 요가난다의 삶 . 캘리포니아: Hay House, Inc. p. 277. ISBN 978-1-4019-5218-1.
  116.  싱 칼사, 산트 (2015). Siri Guru Granth Sahib Ji . 에스파뇰라: SikhNet.
  117.  클린턴 베넷, 찰스 M. 램지 남아시아 수피: 헌신, 일탈, 그리고 운명 A&C 블랙 ISBN 978-1-441-15127-8 페이지 23 


출처 [ ■편집 ]

인쇄된 소스
  • 나가르주나(2001). "제10장 - 보살의 자질"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 Migme, Ani가 번역했습니다.
  • Arbel, Keren (2017), 초기 불교 명상: 통찰의 실현으로서의 사선 , Taylor 및 Francis, doi : 10.4324/9781315676043 , ISBN 9781317383994
  • Arya, Usharbudh (1986), Patañjali의 Yoga-Sūtras (1권 ed.), Honesdale, Pennsylvania: The Himalayan International Institute, ISBN 0-89389-092-8
  • Berzin, Alexander (2006), 일차 정신과 51가지 정신 요소
  • Bronkhorst, Johannes (1993), 고대 인도 명상의 두 가지 전통 , Motilal Banarsidass Publ.
  • Bucknell, Rod (1984), "해방에 대한 불교도: 단계 목록 분석" , 국제불교학회지 , 7 (2)
  • Bucknell, Robert S. (1993), "Jhanas의 재해석" , 국제불교학회지 , 16 (2): 375–409
  • Chapple, Christopher (1984), "간결한 요가 바시스타(The Concise Yoga Vasistha)" 소개 , 뉴욕 주립대학교
  • Crangle, Eddie (1984), "Samādhi 달성을 위한 힌두교와 불교 기술의 비교" (PDF) , Hutch, RA; Fenner, PG (eds.), Under The Shade of the Coolibah Tree: Australian Studies in Consciousness ,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21-09-01에 원본 (PDF) 에서 보관됨 , 2014-11-27 에 검색됨
  • Crangle, Edward Fitzpatrick (1994), 초기 인도 명상 수련의 기원과 발전 , Harrassowitz Verlag
  • Cousins, LS(1996), "통찰 명상의 기원" (PDF) , Skorupski, T.(ed.), The Buddha Forum IV, 세미나 논문 1994–1996(pp. 35–58) , 영국 런던: 동양 및 아프리카 연구 대학
  • Fuller-Sasaki, Ruth (2008), The Record of Lin-Ji , University of Hawaii Press
  • Gombrich, Richard F. (1997), 불교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 Munshiram Manoharlal
  • 고메즈, 루이스 O.; 실크, 조나단 A. (1989). 대승에 관한 문헌 연구: 세 개의 대승 불교 문헌 . 앤아버: 미시간 대학교 불교문학 연구 대학 연구소 및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연구 센터. ISBN 0891480544.
  • 겐터, 허버트 V.; Kawamura, Leslie S. (1975), 불교 심리학의 마음: Ye-shes rgyal-mtshan의 "명확한 이해의 목걸이" 번역 (Kindle ed.), Dharma Publishing
  • 희능; 클리어리, 토마스 (1998). 선(禪)대사 혜능경 : 혜능의 금강경 해설과 함께 . 보스턴. ISBN 9781570623486.
  • Jianxin Li (nd), 요가와 인도 불교의 비교 연구 , asianscholarship.org, 2016년 3월 4일 원본 에서 보관됨
  • 요한슨, 룬 에드빈 앤더스(1981), 팔리어 불교 문헌: 초보자에게 설명 , 심리학 출판사
  • Kalupahana, David J. (1994), 불교 철학의 역사 , Delhi: Motilal BanarsidassPublishers Private Limited
  • 군상, 에릭 페마(2004), 지식으로의 관문, Vol. 1 , 북대서양 도서
  • Lusthaus, Dan (2014), 불교 현상학: 요가카라 불교와 성위사륜에 대한 철학적 조사 , Routledge
  • 마에즈미, 타이잔; Cook, Francis Dojun(2007), "깨달은 사람의 여덟 가지 인식": Dogen Zenji의 Hachidainingaku", in Maezumi, Taizan; Glassman, Bernie(eds.), The Hazy Moon of Enlightenment, Wisdom Publications
  • 맥레이, 존 R. (2003). 선을 통해 보기: 중국 선불교의 만남, 변형 및 계보 (1판). 캘리포니아 대학 출판부. ISBN 978-0-520-23797-1. JSTOR  10.1525/j.ctt1pnz84 .
  • Polak, Grzegorz (2011), Jhana 재검토: 초기 불교 구원론의 비판적 재구성을 향하여 , UMCS
  • 리스-데이비드, TW; Stede, 윌리엄, 에디션. (1921-25), 팔리어 문자 협회의 팔리어-영어 사전 , 팔리어 문자 협회)
  • 상포, 겔롱 로드로; 담마조티, 비구 KL(2012), 모틸랄 바나시다스 {{citation}}: 누락되었거나 비어 있습니다 |title=( 도움말 )
  • Sarbacker, Stuart Ray (2012), Samadhi: 인도-티베트 요가의 Numinous 및 Cessative , SUNY Press, ISBN 9780791482810
  • Schmithausen, Lambert (1981), 초기 불교의 '해방적인 통찰력'과 '계몽'에 대한 설명 또는 이론의 일부 측면에 대하여" In: Studien zum Jainismus und Buddhaus (Gedenkschrift für Ludwig Alsdorf), hrsg. von Klaus Bruhn und Albrecht Wezler , 비스바덴 1981, 199-250
  • Shankman, Richard (2008), Samadhi의 경험 , Shambhala 출판물
  • Siddheswarananda, Swami (1998), 힌두교 사상과 카르멜 신비주의 , Motilal Banarsidass Publ.
  • 스킬턴, 앤드류 (2002). "상태 또는 진술?: 일부 초기 대승경의 "Samādhi"" . 동양불교 . 34 (2): 51–93. ISSN  0012-8708 . JSTOR  44362317 .
  • 스튜어트-폭스, 마틴(1989), "선과 불교 스콜라주의", 국제불교학회지 , 12 (2)
  • 스터게스, 스티븐 (2014). 요가 명상 . 영국 옥스퍼드: Watkins Publishing Limited. ISBN 978-1-78028-644-0.
  • Sturgess, Stephen (2014a), 차크라와 미묘한 신체의 책: 최고의 의식으로 가는 관문 , Watkins Media Limited
  • IK 태임니 (1961), The Science of Yoga , Quest Books
  • Vetter, Tilmann (1988), 초기 불교의 사상과 명상적 실천 , BRILL
  • Wayman, Alex (1997), "소개", 마음을 진정시키고 현실을 분별함: 불교 명상과 중간 관점, Lam Rim Chen Mo Tson-kha-pa , Motilal Banarsidass 출판사
  • 윌리엄스, 폴(2000), 불교사상. 인도 전통의 완전한 소개 , 루트리지(Routledge)
  • 윌리엄스, 폴 (2009). 대승불교: 교리적 기초 (제2판). 런던: 루트리지. ISBN 9780415356534.
  • Wynne, Alexander (2007), 불교 명상의 기원 , Routledge

웹 소스

외부 링크 [ ■편집 ]

소승불교
티베트 불교
힌두교

>>>


삼매 네이버백과 사전참조


● from 한국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삼매
한국 위키백과 사전참조 [불기 2567-09-10일자 내용 보관 편집 정리]


삼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매(三昧)는 산스크리트어 사마디(산스크리트어: Samādhi) 또는 삼마디 한역어로,
인도의 요가(yoga), 불교 등에서 말하는 고요함 · 적멸(寂滅) · 적정(寂靜)의 명상 상태 또는 정신집중 상태를 말한다.

보통 독서삼매에 빠졌다고 할 때, 고도의 정신집중으로 매우 고요한 상태에 빠졌다는 의미이다.
깨어있는 상태로 고요한 것이지, 졸면서 고요한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지눌 정혜쌍수를 주장했는데, 이 삼매 · 고요함이고,  관조 · 위파사나 · 관법을 말한다.

투리야[■편집]

투리야 유상삼매, 일시적 무상삼매, 완전한 무상삼매에서 나타난다.

인간인 욕계(欲界), 천사인 색계(色界), 신인 무색계(無色界), 깨달은자는 투리야(Turiya)의 세계에 태어난다고 한다.
힌두교의 유상삼매(有想三昧), 일시성 무상삼매(無想三昧), 완전한 무상삼매(無想三昧)에서 경험하는데
유상삼매에서는 매우 노력해야 잠깐, 무상삼매는 매우 노력하지 않아도 얼마간[一時] 드는 경지이고,
완벽한 무상삼매에서는 깨나 어디에서나 투리야 상태가 지속된다.

같이 보기[■편집]



>>>


영어단어사전참조

관련단어 사전참조



● from 영어 위키 백과https://en.wikipedia.org/wiki/

영어 위키 백과 사전참조 [불기 2567-09-10일자 내용 보관 편집 정리]


Samadhi

Article
Talk
Read
Edit
View history

Tool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his article is about meditation.
For other uses,
see Samādhi (disambiguation).

The Samādhi Buddha,
Anuradhapura,
Sri Lanka
Samādhi (Pali and Sanskrit: समाधि),
in Hinduism,
Buddhism,
Jainism,
Sikhism and yogic schools,
is a state of meditative consciousness.
In Buddhism,
it is the last of the eight elements of the Noble Eightfold Path.[web 1] In the Ashtanga Yoga tradition,
it is the eighth and final limb identified in the Yoga Sutras of Patanjali.[1][2]

In the oldest Buddhist sutras,
on which several contemporary western Theravada teachers rely,
it refers to the development of an investigative and luminous mind which is equanimous and mindful.
In the yogic traditions,
and the Buddhist commentarial tradition on which the Burmese Vipassana movement and the Thai Forest tradition rely,
it is interpreted as a meditative absorption or trance,
attained by the practice of dhyāna.[3]

Definitions
Samadhi may refer to a broad range of states.[4][5][6] A common understanding regards samadhi as meditative absorption:[4]

Sarbacker: samādhi is meditative absorption or contemplation.[3]
Diener,
Erhard & Fischer-Schreiber: samādhi is a non-dualistic state of consciousness in which the consciousness of the experiencing subject becomes one with the observing object.[7]
In a Buddhist context,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sees samadhi as a state of intensified awareness and investigation of bodily and mental objects or experiences:

Dogen: "The Buddha says: "When you monks unify your minds,
the mind is in samadhi.
Since the mind is in samadhi,
you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on and destruction of the various phenomena in the world [...] When you gain samadhi,
the mind is not scattered,
just as those who protect themselves from floods guard the levee."
"[8]
Richard Shankman: "The term samadhi basically means "undistractedness."
"[9] It may be viewed as "an exclusive focus on a single object,"[10] but also as "a broader state of awareness in which the mind remains steady and unmoving,
yet aware of a wide range of phenomena around the meditation object."
[10] According to Shankman,
the related term cittas'ekaggata may be rendered as "one-pointedness," fixated on a single object,
but also as "unification of mind," in which mind becomes very still but does not merge with the object of attention,
and is thus able to observe and gain insight into the changing flow of experience.[10]
Dan Lusthaus: "Samadhi provides the methodology and context within which experience is to be examined [...] Samadhi,
by training,
focusing/collecting,
cleansing and calming the mind [...] facilitates things being finally known (janatti) and seen (passati) just as they are (tathata).[11]
Keren Arbel: "Samadhi is depicted [in the Buddhist sutras] as a broad field of awareness,
knowing but non-discursive [...] a stable,
discerning and focused mind."
[4]
Tilmann Vetter: argues that the second,
third and fourth dhyana in Buddhism,
samma-samadhi,
"right samadhi," build on a "spontaneous awareness" (sati) and equanimity which is perfected in the fourth dhyana.[12]
In Hinduism,
samadhi is also interpreted as the identification with the Absolute:

Paramahansa Yogananda: A soundless state of breathlessness.
A blissful super consciousness state in which a yogi perceives the identity of the individualized Soul and Cosmic Spirit.[13]
Etymology
Sanskrit
Various interpretations for the term's etymology are possible,
either with the root sam ("to bring together") or sama ("the same,
equalized,
the convergence of two distinct things").
According to Dan Lusthaus,
samadhi refers to either bringing to consciousness the samskaras ("buried latencies"),
or meditative concentration on a meditation object:[14]

sam,
"to bring together"; adhi,
"to place on,
put,
to impregnate,
to give,
to receive": the bringing together of cognitive conditions," "bringing the buried latencies or samskaras into full view," so "the obscure and hidden become clear objects of cognition," "the womb through which insight is born."
[14]
sama,
"the same,
equalized,
the convergence of two distinct things based on some commonality"; adhi,
"higher,
better,
most skilfully achieved": "the skillful unification of mind and object," "the mental equanimity conducive to and derived from attention perfectly focused on its object."
"[S]ometimes treated as synonymous with ekacitta,
'one-focused mind,' i.e.
mind (citta) completely focused on and at one (eka) with its object."
[14]
Etymologies for sam-ā-dhā include:

sam-ā-dhā’: "'to collect' or 'to bring together',
thus suggesting the concentration or unification of the mind"; generally translated [in Buddhism] as "concentration."
[15]
sam-ā-dhā: "to hold together,
to concentrate upon."
[16]
sam,
"completely"; ā,
"the return towards the subject"; dha,
"maintaining together: "to assemble completely"; "the tension borne between two poles of existence (object and thought) is reduced to zero."
[17]
sam,
"together" or "integrated"; ā,
"towards"; dhā,
"to get,
to hold": to acquire integration or wholeness,
or truth (samāpatti);
sam,
"together"; ā,
"toward"; stem of dadhati,
"puts,
places": a putting or joining;
Particular Hindu/yoga interpretations include:

sam,
"perfect" or "complete"; dhi,
"consciousness": "all distinctions between the person who is the subjective meditator,
the act of meditation and the object of meditation merge into oneness" (Stephen Sturgess);[18]
sam,
"with"; ādhi,
"Lord": Union with the Lord (Stephen Sturgess);[16]
sama,
"equanimous"; dhi,
"buddhi or the intellect": equanimous intellect,
non-discriminating intellect (Sadhguru);[19]
sama,
"balance"; ādi,
"original": " a state that is equal to the original state,
which is the state that prevailed before we came into existence"; "original balance" (Kamlesh D.
Patel.[20]
Chinese
Common Chinese terms for samādhi include the transliterations sanmei (三昧) and sanmodi (三摩地 or 三摩提),
as well as the translation of the term literally as ding (定 "fixity").
Kumarajiva's translations typically use sanmei (三昧),
while the translations of Xuanzang tend to use ding (定 "fixity").
The Chinese Buddhist canon includes these,
as well as other translations and transliterations of the term.

Buddhism
Translations of
samādhi
English concentration; meditative consciousness; 'bringing together'
Sanskrit समाधी
(IAST: samādhi)
Pali samādhi
Burmese သမာဓိ
(MLCTS: samardhi)
Chinese 三昧 or 三摩地 or 定
(Pinyin: sānmèi or sānmóde or dìng)
Japanese 三昧
(Rōmaji: sanmai)
Khmer សមាធិ
(UNGEGN: sâméathĭ)
Korean 삼매
(RR: sammae)
Tibetan ཏིང་ངེ་འཛིན་
(Wylie: ting nge 'dzin)
Thai สมาธิ
(RTGS: samathi)
Vietnamese định
(Chữ Nôm: 定)
Glossary of Buddhism
Part of a series on
Buddhism

GlossaryIndexOutline
History
DharmaConcepts
Buddhist texts
Practices
Nirvāṇa
Traditions
Buddhism by country
icon Religion portal
vte
Samma-samādhi and dhyāna
Uses of samādhi (based on AN IV.41)
object of concentration development
four jhānas pleasant abiding (sukha-vihārāya) in this life (diţţhadhamma)
perception (sañña) of light (āloka) knowing (ñāṇa) and seeing (dassana)
arising,
passing,
fading of feelings (vedanā),
perceptions (saññā) and thoughts (vitakkā) mindfulness (sati) and clear comprehension (sampajaññā)
arising and fading of the five aggregates of clinging (pañc'upādāna-khandha) extinction (khaya) of the taints (āsava) [Arahantship]
This box: viewtalkedit
Main article: Dhyāna in Buddhism
Samma-samadhi,
"right samadhi," is the last of the eight elements of the Noble Eightfold Path.[web 1] When samadhi is developed,
things are understood as they really are.[21]

Samma-samadhi is explicated as dhyana,
which is traditionally interpreted as one-pointed concentration.
Yet,
in the stock formula of dhyāna samādhi is only mentioned in the second dhyana,
to give way to a state of equanimity and mindfulness,
in which one keeps access to the senses in a mindful way,
avoiding primary responses to the sense-impressions.[22][23]

The origins of the practice of dhyāna are a matter of dispute.[24][25] According to Crangle,
the development of meditative practices in ancient India was a complex interplay between Vedic and non-Vedic traditions.[26] According to Bronkhorst,
the four rūpa jhāna may be an original contribution of the Buddha to the religious landscape of India,
which formed an alternative to the painful ascetic practices of the Jains,
while the arūpa jhāna were incorporated from non-Buddhist ascetic traditions.[24] Alexander Wynne argues that dhyāna was incorporated from Brahmanical practices,
in the Nikayas ascribed to Alara Kalama and Uddaka Ramaputta.
These practices were paired to mindfulness and insight,
and given a new interpretation.[25] Kalupahana also argues that the Buddha "reverted to the meditational practices" he had learned from Alara Kalama and Uddaka Ramaputta.[27]

The rupa jhānas
Table: Rūpa jhāna
In the sutras,
jhāna is entered when one 'sits down cross-legged and establishes mindfulness'.
According to Buddhist tradition,
it may be supported by ānāpānasati,
mindfulness of breathing,
a core meditative practice which can be found in almost all schools of Buddhism.
The Suttapiṭaka and the Agamas describe four stages of rūpa jhāna.
Rūpa refers to the material realm,
in a neutral stance,
as different from the kāma-realm (lust,
desire) and the arūpa-realm (non-material realm).[31] While interpreted in the Theravada-tradition as describing a deepening concentration and one-pointedness,
originally the jhānas seem to describe a development from investigating body and mind and abandoning unwholesome states,
to perfected equanimity and watchfulness,[32] an understanding which is retained in Zen and Dzogchen.[33][32] The stock description of the jhānas,
with traditional and alternative interpretations,
is as follows:[32][note 1]

First jhāna:
Separated (vivicceva) from desire for sensual pleasures,
separated (vivicca) from [other] unwholesome states (akusalehi dhammehi,
unwholesome dhammas[34]),
a bhikkhu enters upon and abides in the first jhana,
which is [mental] pīti ("rapture," "joy") and [bodily] sukha ("pleasure") "born of viveka" (traditionally,
"seclusion"; alternatively,
"discrimination" (of dhamma's)[35][note 2]),
accompanied by vitarka-vicara (traditionallly,
initial and sustained attention to a meditative object; alternatively,
initial inquiry and subsequent investigation[38][39][40] of dhammas (defilements[41] and wholesome thoughts[42][note 3]); also: "discursive thought"[note 4]).
Second jhāna:
Again,
with the stilling of vitarka-vicara,
a bhikkhu enters upon and abides in the second jhana,
which is [mental] pīti and [bodily] sukha "born of samadhi" (samadhi-ji; trad.
born of "concentration"; altern.
"knowing but non-discursive [...] awareness,"[4] "bringing the buried latencies or samskaras into full view"[50][note 5]),
and has sampasadana ("stillness,"[51] "inner tranquility"[48][note 6]) and ekaggata (unification of mind,[51] awareness) without vitarka-vicara;
Third jhāna:
With the fading away of pīti,
a bhikkhu abides in upekkhā (equanimity," "affective detachment"[48][note 7]),
sato (mindful) and [with] sampajañña ("fully knowing,"[52] "discerning awareness"[53]).
[Still] experiencing sukha with the body,
he enters upon and abides in the third jhana,
on account of which the noble ones announce,
"abiding in [bodily] pleasure,
one is equanimous and mindful".
Fourth jhāna:
With the abandoning of [the desire for] sukha ("pleasure") and [aversion to] dukkha ("pain"[54][53]) and with the previous disappearance of [the inner movement between] somanassa ("gladness,"[55]) and domanassa ("discontent"[55]),
a bhikkhu enters upon and abides in the fourth jhana,
which is adukkham asukham ("neither-painful-nor-pleasurable,"[54] "freedom from pleasure and pain"[56]) and has upekkhāsatipārisuddhi (complete purity of equanimity and mindfulness).[note 8]
The arupas
See also: Formless Realm
Appended to the jhana-scheme are four meditative states,
referred to in the early texts as arupas or as āyatana.
They are sometimes mentioned in sequence after the first four jhānas and thus came to be treated by later exegetes as jhānas.
The immaterial are related to,
or derived from,
yogic meditation,
and aim more specific at concentration,
while the jhanas proper are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the mind.
The state of complete dwelling in emptiness is reached when the eighth jhāna is transcended.
The four arupas are:

fifth jhāna: infinite space (Pali ākāsānañcāyatana,
Skt.
ākāśānantyāyatana),
sixth jhāna: infinite consciousness (Pali viññāṇañcāyatana,
Skt.
vijñānānantyāyatana),
seventh jhāna: infinite nothingness (Pali ākiñcaññāyatana,
Skt.
ākiṃcanyāyatana),
eighth jhāna: neither perception nor non-perception (Pali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
Skt.
naivasaṃjñānāsaṃjñāyatana).
Although the "Dimension of Nothingness" and the "Dimension of Neither Perception nor Non-Perception" are included in the list of nine jhanas attributed to the Buddha,
they are not included in the Noble Eightfold Path.
Noble Path number eight is "Samma Samadhi" (Right Concentration),
and only the first four Jhanas are considered "Right Concentration".
When all the jhanas are mentioned,
the emphasis is on the "Cessation of Feelings and Perceptions" rather than stopping short at the "Dimension of Neither Perception nor Non-Perception".

Theravāda
Samadhi as concentration
According to Gunaratana,
the term ‘samādhi’ derives from the roots ‘sam-ā-dhā’,
which means 'to collect' or 'bring together',
and thus it is generally translated as "concentration."
In the early Buddhist texts,
samādhi is also associated with the term samatha (calm abiding).
In the commentarial tradition,
samādhi is defined as ekaggata,
one-pointedness of mind (Cittass'ekaggatā).[15]

Buddhagosa defines samādhi as "the centering of 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concomitants evenly and rightly on a single object [...] the state in virtue of which consciousness and its concomitants remain evenly and rightly on a single object,
undistracted and unscattered".[58] According to Buddhaghosa,
the Theravada Pali texts mention four attainments of samādhi:

Momentary concentration (khanikasamādhi): a mental stabilization which arises during samatha meditation.
Preliminary concentration (parikammasamādhi): arises out of the meditator's initial attempts to focus on a meditation object.
Access concentration (upacārasamādhi): arises when the five hindrances are dispelled,
when jhāna is present,
and with the appearance the 'counterpart sign' (patibhaganimitta).
Absorption concentration (appanasamādhi): the total immersion of the mind on its meditation of object and stabilization of all four jhānas.
According to Buddhaghosa,
in his influential standard-work Visuddhimagga,
samādhi is the "proximate cause" to the obtainment of wisdom.[59] The Visuddhimagga describes 40 different objects for meditation,
which are mentioned throughout the Pali canon,
but explicitly enumerated in the Visuddhimagga,
such as mindfulness of breathing (ānāpānasati) and loving kindness (mettā).[60]

Criticism
While the Theravada-tradition interprets dhyana as one-pointed concentration,
this interpretation has become a matter of debate.
According to Richard Gombrich,
the sequence of the four rupa-jhanas describes two different cognitive states: "I know this is controversial,
but it seems to me that the third and fourth jhanas are thus quite unlike the second."
[23][note 9]

Alexander Wynne states that the dhyana-scheme is poorly understood.[61] According to Wynne,
words expressing the inculcation of awareness,
such as sati,
sampajāno,
and upekkhā,
are mistranslated or understood as particular factors of meditative states,[61] whereas they refer to a particular way of perceiving the sense objects.[61][note 10][note 11]

Several western teachers (Thanissaro Bhikkhu,
Leigh Brazington,
Richard Shankman) make a distinction between 'sutta-oriented' jhana and 'Visuddhimagga-oriented' jhāna.[63][full citation needed] Thanissaro Bhikkhu has repeatedly argued that the Pali Canon and the Visuddhimagga give different descriptions of the jhanas,
regarding the Visuddhimagga-description to be incorrect.[63][citation needed] Keren Arbel has conducted extensive research on the jhānas and the contemporary criticisms of the commentarial interpretation.
Based on this research,
and her own experience as a senior meditation-teacher,
she gives a reconstructed account of the original meaning of the dhyanas.
She argues that the four jhānas are the outcome of both calming the mind and developing insight into the nature of experience and cannot not be seen in the suttas as two distinct and separated meditation techniques,
but as integral dimensions of a single process that leads to awakening.
She concludes that "the fourth jhāna is the optimal experiential event for the utter de-conditioning of unwholesome tendencies of mind and for the transformation of deep epistemological structures.
This is because one embodies and actualizes an awakened awareness of experience."
[64]

Mahāyāna

Bodhisattva seated in meditation.
Afghanistan,
2nd century CE
Indian Mahāyāna
The earliest extant Indian Mahāyāna texts emphasize ascetic practices,
forest-dwelling,
and states of meditative oneness,
i.e.
samādhi.
These practices seem to have occupied a central place in early Mahāyāna,
also because they "may have given access to fresh revelations and inspiration".[65]

Indian Mahāyāna traditions refer to numerous forms of samādhi,
for example,
Section 21 of the Mahavyutpatti records 118 distinct forms of samādhi[66] and the Samadhiraja Sutra has as its main theme a samādhi called 'the samādhi that is manifested as the sameness of the essential nature of all dharmas' (sarva-dharma-svabhavā-samatā-vipañcita-samādhi).[67][note 12]

Vimokṣamukha
Further information: Sunyata as meditative state
Buddhist Pali texts describe three kinds of samādhi which the commentarial tradition identify as the ‘gates of liberation’ (vimokṣamukha):[note 13]

Signlessness-samadhi (Sa: ānimitta-samādhi) (Pi: animitto samādhi) or marklessness-concentration (Sa: alakṣaṇa-samādhi)
Aimlessness-samadhi (Sa: apraṇihita-samādhi) (Pi: appaṇihito samādhi)
Emptiness-samadhi (Sa: śūnyatā-samādhi) (Pi: suññato samādhi)
According to Polak,
these are alternative descriptions of the four dhyanas,
describing the cognitive aspects instead of the bodily aspects.[68] According to Polak,
in the final stages of dhyana no ideation of experience takes place,
and no signs are grasped (animitta samādhi),
which means that the concentrated attention cannot be directed (appaṇihita samādhi) towards those signs,
and only the perception of the six senses remains,
without a notion of "self" (suññata samādhi).[68]

In the Chinese Buddhist tradition these are called the ‘three doors of liberation’ (sān jiětuō mén,
三解脫門):[69] These three are not always cited in the same order.
Nagarjuna,
a Madhyamaka Buddhist scholar,
in his Maha-prajnaparamita-sastra,
listed apraṇihita before ānimitta in his first explanation on these "three samādhi",
but in later listings and explanations in the same work reverted to the more common order.
Others,
such as Thích Nhất Hạnh,
a Thien Buddhist teacher,
list apraṇihita as the third after śūnyatā and ānimitta.[69][70] Nagarjuna lists these three kinds of samādhi among the qualities of the truly enlightened (bodhisattva).[69]

Signlessness samadhi
According to Nagarjuna,
signlessness-samadhi is the samādhi in which one recognises all dharmas are free of signs (ānimitta).[69] According to Thích Nhất Hạnh,
"signs" refer to appearances or form,
likening signlessness samadhi to not being fooled by appearances,
such as the dichotomy of being and non-being.[71]

Aimlessness-samadhi
'Aimlessness',
also translated as 'uncommittedness' or 'wishlessness' (Chinese wúyuàn 無願,
lit. 'non-wishing',
or wúzuò 無作,
lit. 'non-arising'),
literally means 'placing nothing in front'.
According to Dan Lusthaus,
aimlessness-samadhi is characterised by a lack of aims or plans for the future and no desire for the objects of perception.[note 14] According to Nagarjuna,
aimlessness-samadhi is the samādhi in which one does not search for any kind of existence (bhāva),
letting go of aims or wishes (praṇidhāna) regarding conditioned phenomena and not producing the three poisons (namely,
passion,
aggression,
and ignorance) towards them in the future.[69]

Emptiness-samadhi
According to Nagarjuna,
emptiness-samadhi is the samādhi in which one recognises that the true natures of all dharmas are absolutely empty (atyantaśūnya),
and that the five aggregates are not the self (anātman),
do not belong to the self (anātmya),
and are empty (śūnya) without self-nature.[69]

Zen

A traditional Chinese Chán Buddhist master in Taiwan,
sitting in meditation
Main articles: Zen Buddhism and Chán Buddhism
Indian dhyāna was translated as chán in Chinese,
and zen in Japanese.
Ideologically the Zen-tradition emphasizes prajñā and sudden insight,
but in the actual practice prajñā and samādhi,
or sudden insight and gradual cultivation,
are paired to each other.[72][73] Especially some lineages in the Rinzai school of Zen stress sudden insight,
while the Sōtō school of Zen lays more emphasis on shikantaza,
training awareness of the stream of thoughts,
allowing them to arise and pass away without interference.
Historically,
many traditional Japanese arts were developed or refined to attain samādhi,
including incense appreciation (香道,
kodõ),
flower arranging (華道,
kadō),
the tea ceremony (茶道,
sadō),
calligraphy (書道,
shodō),
and martial arts such as archery (弓道,
kyūdō).
The Japanese character 道 means the way or the path and indicates that disciplined practice in the art is a path to samādhi.[citation needed]

Hinduism
See also: Samādhāna
Part of a series on
Hinduism

HindusHistoryTimeline
Origins
Traditions
Deities
Concepts
Practices
Philosophical schools
Gurus,
sants,
philosophers
Texts
Society
Other topics
GlossaryOutline
Hinduism portal
vte
Patanjali's Yoga Sūtras
Main article: Yoga Sutras of Patanjali
Samādhi is the eighth limb of the Yoga Sūtras,
following the sixth and seventh limbs of dhāraṇā and dhyāna respectively.

Samyama
Main article: Samyama
According to Taimni,
dhāraṇā,
dhyāna,
and samādhi form a graded series:[74]

Dhāraṇā ― In dhāraṇā,
the mind learns to focus on a single object of thought.
The object of focus is called a pratyaya.
In dhāraṇā,
the yogi learns to prevent other thoughts from intruding on focusing awareness on the pratyaya.
Dhyāna ― Over time and with practice,
the yogin learns to sustain awareness of only the pratyaya,
thereby dhāraṇā transforms into dhyāna.
In dhyāna,
the yogin comes to realize the triplicity of perceiver (the yogin),
perceived (the pratyaya) and the act of perceiving.
The new element added to the practice of dhyāna,
that distinguish it from dhāraṇā is the yogi learns to minimize the perceiver element of this triplicity.
In this fashion,
dhyāna is the gradual minimization of the perceiver,
or the fusion of the observer with the observed (the pratyaya).
Samādhi ― When the yogin can: (1) sustain focus on the pratyaya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and (2) minimize their self-consciousness during the practice,
then dhyāna transforms into samādhi.
In this fashion,
then,
the yogin becomes fused with the pratyaya.
Patanjali compares this to placing a transparent jewel on a coloured surface: the jewel takes on the colour of the surface.
Similarly,
in samādhi,
the consciousness of the yogin fuses with the object of thought,
the pratyaya.
The pratyaya is like the coloured surface,
and the yogin's consciousness is like the transparent jewel.
Samādhi in the Yoga Sūtras
Samādhi is oneness with the object of meditation.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act of meditation and the object of meditation.
Samādhi is of two kinds,
with and without support of an object of meditation:[75][web 2][web 3]

Samprajñata samādhi (also called savikalpa samādhi and sabija samādhi,[web 4][note 15]) refers to samādhi with the support of an object of meditation.[web 2][note 16] In Sutra 1:17 Patanjali tells us that samprajnata samādhi comprises four stages: "complete high consciousness (samprajnata samādhi) is that which is accompanied by vitarka (deliberation),
vicara (reflection),
ānanda (ecstasy),
and asmitā (a sense of 'I'-ness)".[79][80][note 17]
The first two,
deliberation and reflection,
form the basis of the various types of samāpatti:[79][80]
Savitarka,
"deliberative":[79][note 18] The mind,
citta,
is concentrated upon a gross object of meditation,
an object with a manifest appearance that is perceptible to our senses,
such as a flame of a lamp,
the tip of the nose,
or the image of a deity.[web 2][82] Conceptualization (vikalpa) still takes place,
in the form of perception,
the word and the knowledge of the object of meditation.[79] When the deliberation is ended this is called nirvitarka samāpatti.[83][note 19]
Savichara,
"reflective":[82] the mind,
citta,
is concentrated upon a subtle object of meditation,
which is not perceptible to the senses,
but arrived at through inference,[web 2][82] such as the senses,
the process of cognition,
the mind,
the I-am-ness,[note 20] the chakras,
the inner-breath (prana),
the nadis,
the intellect (buddhi).[82] The stilling of reflection is called nirvichara samāpatti.[82][note 21]
The last two associations,
sānanda samādhi and sāsmitā,
are respectively a state of meditation,
and an object of savichara samādhi:
Ānanda,
"with bliss": also known as "supreme bliss",
or "with ecstasy",
this state emphasizes the still subtler state of bliss in meditation; ānanda is free from vitarka and vicara.
[web 2]
Āsmitā,
"with egoity": the citta is concentrated upon the sense or feeling of "I-am-ness".[web 2]
Asamprajñata samādhi (also called nirvikalpa samādhi and nirbija samādhi)[web 3] refers to samādhi without the support of an object of meditation,[web 2] which leads to knowledge of purusha or consciousness,
the subtlest element.[82][note 22]
Samprajñata samādhi
According to Paramahansa Yogananda,
in this state one lets go of the ego and becomes aware of Spirit beyond creation.
The soul is then able to absorb the fire of Spirit-Wisdom that "roasts" or destroys the seeds of body-bound inclinations.
The soul as the meditator,
its state of meditation,
and the Spirit as the object of meditation all become one.
The separate wave of the soul meditating in the ocean of Spirit becomes merged with the Spirit.
The soul does not lose its identity,
but only expands into Spirit.
In savikalpa samādhi the mind is conscious only of the Spirit within; it is not conscious of the exterior world.
The body is in a trancelike state,
but the consciousness is fully perceptive of its blissful experience within.[85]

Apollo 14 astronaut Edgar Mitchell,
founder of the Institute of Noetic Sciences,
has compared the experience of seeing the earth from space,
also known as the overview effect,
to savikalpa samādhi.[86]


Ānanda and asmitā
According to Ian Whicher,
the status of ānanda and āsmitā in Patanjali's system is a matter of dispute.[87] According to Maehle,
the first two constituents,
deliberation and reflection,
form the basis of the various types of samāpatti.[79] According to Feuerstein:

"Joy" and "I-am-ness" [...] must be regarded as accompanying phenomena of every cognitive [ecstasy].
The explanations of the classical commentators on this point appear to be foreign to Patanjali's hierarchy of [ecstatic] states,
and it seems unlikely that ānanda and asmita should constitute independent levels of samādhi.[87]

Ian Whicher disagrees with Feuerstein,
seeing ānanda and asmitā as later stages of nirvicara-samāpatti.[87] Whicher refers to Vācaspati Miśra (900–980 CE),
the founder of the Bhāmatī Advaita Vedanta who proposes eight types of samāpatti:[88]

Savitarka-samāpatti and nirvitarka-samāpatti,
both with gross objects as objects of support;
Savicāra-samāpatti and nirvicāra-samāpatti,
both with subtle objects as objects of support;
Sānanda-samāpatti and nirānanda-samāpatti,
both with the sense organs as objects of support
Sāsmitā-samāpatti and nirasmitā-samāpatti,
both with the sense of "I-am-ness" as support.
Vijnana Bikshu (ca.
1550–1600) proposes a six-stage model,
explicitly rejecting Vacaspati Misra's model.
Vijnana Bikshu regards joy (ānanda) as a state that arises when the mind passes beyond the vicara stage.[80] Whicher agrees that ānanda is not a separate stage of samādhi.[80] According to Whicher,
Patanjali's own view seems to be that nirvicara-samādhi is the highest form of cognitive ecstasy.[80]

According to Sarasvati Buhrman,
"Babaji once explained that when people feel blissful sensations during sādhanā,
on a gross level the breath is equal in both nostrils,
and on the subtle level pranic flow in ida and pingala nadis is balanced.
This is called the sushumna breath because the residual prana of the sushuma,
the kundalini,
flows in sushumna nadi,
causing sattva guna to dominate.
"It creates a feeling of peace.
That peace is ānanda".
In sānanda samādhi the experience of that ānanda,
that sattvic flow,
is untainted by any other vrittis,
or thoughts,
save the awareness of the pleasure of receiving that bliss".[89]

Asamprajñata samādhi
According to Maehle,
asamprajñata samādhi (also called nirvikalpa samādhi and nirbija samādhi)[web 3] leads to knowledge of purusha or consciousness,
the subtlest element.[82] Heinrich Zimmer distinguishes nirvikalpa samādhi from other states as follows:

Nirvikalpa samādhi,
on the other hand,
absorption without self-consciousness,
is a mergence of the mental activity (cittavṛtti) in the Self,
to such a degree,
or in such a way,
that the distinction (vikalpa) of knower,
act of knowing,
and object known becomes dissolved — as waves vanish in water,
and as foam vanishes into the sea.[90]

Swami Sivananda describes nirbija samādhi (lit.
"samādhi" without seeds) as follows:

"Without seeds or Samskaras [...] All the seeds or impressions are burnt by the fire of knowledge [...] all the Samskaras and Vasanas which bring on rebirths are totally freed up.
All Vrittis or mental modifications that arise from the mind-lake come under restraint.
The five afflictions,
viz.,
Avidya (ignorance),
Asmita (egoism),
Raga-dvesha (love and hatred) and Abhinivesha (clinging to life) are destroyed and the bonds of Karma are annihilated [...] It gives Moksha (deliverance from the wheel of births and deaths).
With the advent of the knowledge of the Self,
ignorance vanishes.
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root-cause,
viz.,
ignorance,
egoism,
etc.,
also disappear".[web 3]

Sahaja samadhi
Ramana Maharshi distinguished between kevala nirvikalpa samadhi and sahaja nirvikalpa samādhi:[91][web 5][web 6]

Sahaja samadhi is a state in which a silent level within the subject is maintained along with (simultaneously with) the full use of the human faculties.[91]

Kevala nirvikalpa samādhi is temporary,
[web 5][web 6] whereas sahaja nirvikalpa samādhi is a continuous state throughout daily activity.[91] This state seems inherently more complex than sāmadhi,
since it involves several aspects of life,
namely external activity,
internal quietud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m.[91] It also seems to be a more advanced state,
since it comes after the mastering of samādhi.[91][note 23][note 24]

Sahaja is one of the four keywords of the Nath sampradaya along with Svecchachara,
Sama,
and Samarasa.
Sahaja meditation and worship was prevalent in Tantric traditions common to Hinduism and Buddhism in Bengal as early as the 8th–9th centuries.

Nirvikalpaka yoga
Nirvikalpaka yoga is a term in the philosophical system of Shaivism,
in which,
through samādhi,
there is a complete identification of the "I" and Shiva,
in which the very concepts of name and form disappear and Shiva alone is experienced as the real Self.
In that system,
this experience occurs when there is complete cessation of all thought-constructs.[92]

Buddhist influences
Further information: Dhyāna in Buddhism
Patanjali's description of samādhi resembles the Buddhist jhānas.[93][note 25] According to Jianxin Li,
samprajñata samādhi may be compared to the rūpa jhānas of Buddhism.[94] This interpretation may conflict with Gombrich and Wynne,
according to whom the first and second jhāna represent concentration,
whereas the third and fourth jhāna combine concentration with mindfulness.[77] According to Eddie Crangle,
the first jhāna resembles Patanjali's samprajñata samādhi,
which both share the application of vitarka and vicara.[78]

According to David Gordon White,
the language of the Yoga Sūtras is often closer to "Buddhist Hybrid Sanskrit,
the Sanskrit of the early Mahāyana Buddhist scriptures,
than to the classical Sanskrit of other Hindu scriptures".[95] According to Karel Werner:

Patanjali's system is unthinkable without Buddhism.
As far as its terminology goes there is much in the Yoga Sutras that reminds us of Buddhist formulations from the Pāli Canon and even more so from the Sarvastivada Abhidharma and from Sautrāntika".[96]

Robert Thurman writes that Patañjali was influenced by the success of the Buddhist monastic system to formulate his own matrix for the version of thought he considered orthodox.[97] However,
the Yoga Sutra,
especially the fourth segment of Kaivalya Pada,
contains several polemical verses critical of Buddhism,
particularly the Vijñānavāda school of Vasubandhu.[98]

While Patañjali was influenced by Buddhism,
and incorporated Buddhist thought and terminology,[99][100][101] the term "nirvikalpa samādhi" is unusual in a Buddhist context,
though some authors have equated nirvikalpa samādhi with the formless jhānas and/or nirodha samāpatti.[102][103][104][94]

A similar term,
nirvikalpa-jñāna,
is found in the Buddhist Yogacara tradition,
and is translated by Edward Conze as "undifferentiated cognition".[105] Conze notes that,
in Yogacara,
only the actual experience of nirvikalpa-jñāna can prove the reports given of it in scriptures.
He describes the term as used in the Yogacara context as follows:

The "undiscriminate cognition" knows first the unreality of all objects,
then realizes that without them also the knowledge itself falls to the ground,
and finally directly intuits the supreme reality.
Great efforts are made to maintain the paradoxical nature of this gnosis.
Though without concepts,
judgements and discrimination,
it is nevertheless not just mere thoughtlessness.
It is neither a cognition nor a non-cognition; its basis is neither thought nor non-thought....
There is here no duality of subject and object.
The cognition is not different from that which is cognized,
but completely identical with it.[106][note 26]

A different sense in Buddhist usage occurs in the Sanskrit expression nirvikalpayati (Pali: nibbikappa) that means "makes free from uncertainty (or false discrimination)" i.e.
"distinguishes,
considers carefully".[107]

Bhāva samādhi
Bhāva samādhi is a state of ecstatic consciousness that can sometimes be a seemingly spontaneous experience,
but is recognized generally to be the culmination of long periods of devotional practices.[108] It is believed by some groups to be evoked through the presence of "higher beings".[109] Bhāva samādhi has been experienced by notable figures in Indian spiritual history,
including Sri Ramakrishna Paramahamsa and some of his disciples,
Chaitanya Mahaprabhu and his chief disciple Nityananda,
Mirabai and numerous saints in the bhakti tradition.[110]

Mahāsamādhi
In Hindu or Yogic traditions,
mahāsamādhi,
the "great" and final samādhi,
is the act of consciously and intentionally leaving one's body at the moment of death.[111] According to this belief,
a realized and liberated (Jivanmukta) yogi or yogini who has attained the state of nirvikalpa samādhi can consciously exit from their body and attain enlightenment at the moment of death while in a deep,
conscious meditative state.[112]

Some individuals have,
according to their followers,
declared the day and time of their mahāsamādhi beforehand.
These include Lahiri Mahasaya whose death on September 26,
1895,
was of this nature,
according to Paramahansa Yogananda.[112][113] Paramahansa Yogananda's own death on March 7,
1952,
was described by his followers as entering mahāsamādhi.[114] Daya Mata,
one of Yogananda's direct disciples,
said that Yogananda on the previous evening had asked her "Do you realize that it is just a matter of hours and I will be gone from this earth?"[115]

Sikhism

The Samadhi of Ranjit Singh is located next to the iconic Badshahi Masjid in Lahore,
Pakistan.
In Sikhism the word is used to refer to an action that one uses to remember and fix one's mind and soul on Waheguru.[citation needed] The Sri Guru Granth Sahib informs:

"Remember in meditation the Almighty Lord,
every moment and every instant; meditate on God in the celestial peace of Samādhi."
(p.
508)
"I am attached to God in celestial Samādhi."
(p.
865)
"The most worthy Samādhi is to keep the consciousness stable and focused on Him."
(p.
932)
The term Samadhi refers to a state of mind rather than a physical position of the body.
The Scriptures explain:

"I am absorbed in celestial Samādhi,
lovingly attached to the Lord forever.
I live by singing the Glorious Praises of the Lord" (p.
1232)
"Night and day,
they ravish and enjoy the Lord within their hearts; they are intuitively absorbed in Samadhi.
||2||" (p.
1259)
The Sikh Gurus inform their followers:

"Some remain absorbed in Samādhi,
their minds fixed lovingly on the One Lord; they reflect only on the Word of the Shabad."
(p.
503)[116]
Sufism
The idea of Fanaa in Sufi Islam has been compared to Samadhi.[117]

See also
flag India portal
Buddhism

Bhāvanā
Samatha
Sati (Buddhism)
Satori
Vipassanā
General

Ego death
Nondualism
Religious ecstasy
Samadhi (shrine)
Hinduism

Dhyana in Hinduism
Rāja yoga
Bhakti Yoga
Turiya
Islam

Baqaa
Fanaa
Jainism

Yogadṛṣṭisamuccaya
Jain meditation
Western traditions

Stoicism
Notes
Keren Arbel refers to Majjhima Nikaya 26,
Ariyapariyesana Sutta,
The Noble Search
See also:
* Majjhima Nikaya 111,
Anuppada Sutta
* AN 05.028,
Samadhanga Sutta: The Factors of Concentration.
See Johansson (1981),
Pali Buddhist texts Explained to Beginners for a word-by-word translation.
Arbel explains that "viveka" is usually translated as "detachment," "separation," or "seclusion," but the primary meaning is "discrimination."
According to Arbel,
the usage of vivicca/vivicceva and viveka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dhyana "plays with both meanings of the verb; namely,
its meaning as discernment and the consequent 'seclusion' and letting go," in line with the "discernment of the nature of experience" developed by the four satipatthanas.[35] Compare Dogen: "Being apart from all disturbances and dwelling alone in a quiet place is called "enjoying serenity and tranquility."
"[36]
Arbel further argues that viveka resembles dhamma vicaya,
which is mentioned in the bojjhanga,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the dhyanas,
but the only bojjhanga-term not mentioned in the stock dhyana-description.[37] Compare Sutta Nipatha 5.14 Udayamāṇavapucchā (The Questions of Udaya): "Pure equanimity and mindfulness,
preceded by investigation of principles—this,
I declare,
is liberation by enlightenment,
the smashing of ignorance.” (Translation: Sujato)
Stta Nipatha 5:13 Udaya’s Questions (transl.
Thanissaro): "With delight the world’s fettered.
With directed thought it’s examined."

Chen 2017: "Samadhi with general examination and specific in-depth investigation means getting rid of the not virtuous dharmas,
such as greedy desire and hatred,
to stay in joy and pleasure caused by nonarising,
and to enter the first meditation and fully dwell in it."

Arbel 2016,
p.
73: "Thus,
my suggestion is that we should interpret the existence of vitakka and vicara in the first jhana as wholesome 'residues' of a previous development of wholesome thoughts.
They denote the 'echo' of these wholesome thoughts,
which reverberates in one who enters the first jhana as wholesome attitudes toward what is experienced."

In the Pali canon,
Vitakka-vicāra form one expression,
which refers to directing one's thought or attention on an object (vitarka) and investigate it (vicāra).[40][43][44][45][46] According to Dan Lusthaus,
vitarka-vicāra is analytic scrutiny,
a form of prajna.
It "involves focusing on [something] and then breaking it down into its functional components" to understand it,
"distinguishing the multitude of conditioning factors implicated in a phenomenal event."
[47] The Theravada commentarial tradition,
as represented by Buddhaghosa's Visuddhimagga,
interprets vitarka and vicāra as the initial and sustained application of attention to a meditational object,
which culminates in the stilling of the mind when moving on to the second dhyana.[48][49] According to Fox and Bucknell it may also refer to "the normal process of discursive thought," which is quieted through absorption in the second jhāna.[49][48]
The standard translation for samadhi is "concentration"; yet,
this translation/interpretation is based on commentarial interpretations,
as explained by a number of contemporary authors.[32] Tilmann Vetter notes that samadhi has a broad range of meanings,
and "concentration" is just one of them.
Vetter argues that the second,
third and fourth dhyana are samma-samadhi,
"right samadhi," building on a "spontaneous awareness" (sati) and equanimity which is perfected in the fourth dhyana.[12]
The common translation,
based on the commentarial interpretation of dhyana as expanding states of absorption,
translates sampasadana as "internal assurance."
Yet,
as Bucknell explains,
it also means "tranquilizing," which is more apt in this context.[48] See also Passaddhi.
Upekkhā is one of the Brahmaviharas.
With the fourth jhāna comes the attainment of higher knowledge (abhijñā),
that is,
the extinction of all mental intoxicants (āsava),
but also psychic powers.[57] For instance in AN 5.28,
the Buddha states (Thanissaro,
1997.):
"When a monk has developed and pursued the five-factored noble right concentration in this way,
then whichever of the six higher knowledges he turns his mind to know and realize,
he can witness them for himself whenever there is an opening...."

"If he wants,
he wields manifold supranormal powers.
Having been one he becomes many; having been many he becomes one.
He appears.
He vanishes.
He goes unimpeded through walls,
ramparts,
and mountains as if through space.
He dives in and out of the earth as if it were water.
He walks on water without sinking as if it were dry land.
Sitting crosslegged he flies through the air like a winged bird.
With his hand he touches and strokes even the sun and moon,
so mighty and powerful.
He exercises influence with his body even as far as the Brahma worlds.
He can witness this for himself whenever there is an opening ..."

Original publication: Gombrich,
Richard (2007),
Religious Experience in Early Buddhism,
OCHS Library
Wynne: "Thus the expression sato sampajāno in the third jhāna must denote a state of awareness different from the meditative absorption of the second jhāna (cetaso ekodibhāva).
It suggests that the subject is doing something different from remaining in a meditative state,
i.e.
that he has come out of his absorption and is now once again aware of objects.
The same is true of the word upek(k)hā: it does not denote an abstract 'equanimity',
[but] it means to be aware of something and indifferent to it [...] The third and fourth jhāna-s,
as it seems to me,
describe the process of directing states of meditative absorption towards the mindful awareness of objects.[62]
theravadin.wordpress.com: "In this order,
therefore,
what we should understand as vipassanā is not at all a synonym for sati but rather something which grows out of the combination of all these factors especially of course the last two,
samma sati and samma samādhi applied to the ruthless observation of what comes into being (yathābhūta).
One could say,
vipassanā is a name for the practice of sati+samādhi as applied to anicca/dukkha/anatta (i.e.
generating wisdom) directed at the six-sense-process,
including any mental activity."
According to Gombrich,
"the later tradition has falsified the jhana by classifying them as the quintessence of the concentrated,
calming kind of meditation,
ignoring the other - and indeed higher - element.[23]
Gomez & Silk: "This samādhi is at the same time the cognitive experience of emptiness,
the attainment of the attributes of buddhahood,
and the performance of a variety of practices or daily activities of a bodhisattva—including service and adoration at the feet of all buddhas.
The word samādhi is also used to mean the sūtra itself.
Consequently,
we can speak of an equation,
sūtra = samādhi = śūnyatā,
underlying the text.
In this sense,
the title Samadhiraja expresses accurately the content of the sūtra".[67]
Thich Nhat Hanh,
Sherab Chodzin Kohn,
Melvin McLeod (2012),
You Are Here: Discovering the Magic of the Present Moment,
p.104: "Aimlessness is a form of concentration,
one of three practices of deep looking recommended by the Buddha.
The other two are concentration on the absence of distinguishing signs (alakshana) and concentration on emptiness (sunyata)."

Lusthaus 2014,
p.
266: "Sangharakshita translates apraṇihita as 'Aimlessness,' while Conze uses 'Wishless',
and writes in Buddhist Thought in India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67) p.
67: "The word a-pra-ni—hita means literally that one 'places nothing in front' and it designates someone who makes no plans for the future,
has no hopes for it,
who is aimless,
not bent on anything,
without predilection or desire for the objects of perception rejected by the concentration on the Signless [animitta]."

The seeds or samskaras are not destroyed.[web 4]
According to Jianxin Li Samprajnata Samadhi may be compared to the rupa jhānas of Buddhism.[76] This interpretation may conflict with Gombrich and Wynne,
according to whom the first and second jhāna represent concentration,
whereas the third and fourth jhāna combine concentration with mindfulness.[77] According to Eddie Crangle,
the first jhāna resembles Patnajali's samprajñata samādhi,
which both share the application of vitarka and vicara.[78]
Yoga Sutra 1.17: "Objective samādhi (samprajnata) is associated with deliberation,
reflection,
bliss,
and I-am-ness (asmita).[81]
Yoga Sutra 1.42: "Deliberative (savitarka) samāpatti is that samādhi in which words,
objects,
and knowledge are commingled through conceptualization".[79]
Yoga Sutra 1.43: "When memory is purified,
the mind appears to be emptied of its own nature and only the object shines forth.
This is superdeliberative (nirvitarka) samāpatti".[83]
Following Yoga Sutra 1.17,
meditation on the sense of "I-am-ness" is also grouped,
in other descriptions,
as "sāsmitā samāpatti"
Yoga Sutra 1.44: "In this way,
reflective (savichara) and super-reflective (nirvichara) samāpatti,
which are based on subtle objects,
are also explained".[82]
According to Jianxin Li,
Asamprajnata Samādhi may be compared to the arupa jhānas of Buddhism,
and to Nirodha-samāpatti.[76] Crangle also notes that sabija-asamprajnata samādhi resembles the four formless jhānas.[78] According to Crangle,
the fourth arupa jhāna is the stage of transition to Patanjali's "consciousness without seed".[84]
Compare the Ten Bulls from Zen
See also Mouni Sadhu (2005),
Meditation: An Outline for Practical Study,
p.92-93
See also Eddie Crangle (1984),
Hindu and Buddhist techniques of Attaining Samadhi
Routledge 2013 edition: note 854




References
"The eight limbs, The core of Yoga". Expressions of Spirit.
"8 Limbs of Yoga: Samādhi". Families.
Sarbacker 2012, p. 13.
Arbel 2016, p. 94.
Vetter 1998, p. XXV-XXVI, note 9.
Taimni 1961, p. "42. Savitarka Samadhi is that in which knowledge".
Diener, Erhard & Fischer-Schreiber 1991.
Maezumi & Cook (2007), p. 43.
Shankman 2008, p. 3.
Shankman 2008, p. 4.
Lusthaus 2002, p. 114.
Vetter 1988, p. XXVI, note 9.
Yogananda, Paramahansa (2014). Autobiography of a Yogi (13th ed.). Self-Realization Fellowship. p. 123. ISBN 978-0-87612-079-8.
Lusthaus 2014, p. 113.
Henepola Gunaratana, The Jhanas in Theravada Buddhist Meditation
Sturges 2014a.
Siddheswarananda 1998, p. 144.
Sturgess, Stephen (2014). Yoga Meditation. Oxford, UK: Watkins Publishing Limited. p. 27. ISBN 978-1-78028-644-0.
Sadhguru (2012), Of Mystics & Mistakes, Jaico Publishing House
Patel, Kamlesh D. (2018). The heartfulness way : heart-based meditations for spiritual transformation. Chennai. p. 33. ISBN 978-9386850560.
Shankman 2008, p. 14, 15.
Bronkhorst 1993, p. 63.
Wynne 2007, p. 140, note 58.
Bronkhorst 1993.
Wynne 2007.
Crangle 1994, p. 267-274.
Kalupahana 1994, p. 24.
Bodhi, Bhikku (2005). In the Buddha's Words. Somerville: Wisdom Publications. pp. 296–8 (SN 28:1-9). ISBN 978-0-86171-491-9.
"Suttantapiñake Aïguttaranikàyo § 5.1.3.8". MettaNet-Lanka (in Pal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1-05. Retrieved 2007-06-06.
Bhikku, Thanissaro (1997). "Samadhanga Sutta: The Factors of Concentration (AN 5.28)". Access to Insight. Retrieved 2007-06-06.
Fuller-Sasaki (2008).
Arbel 2016.
Polak 2011.
Johansson 1981, p. 83.
Arbel 2016, p. 50-51.
Maezumi & Cook (2007), p. 63.
Arbel 2016, p. 106.
Wayman 1997, p. 48.
Sangpo & Dhammajoti 2012, p. 2413.
Lusthaus 2002, p. 89.
Chen 2017, p. "samadhi: A calm, stable and concentrative state of mind".
Arbel 2016, p. 73.
Rhys-Davids & Stede 1921–25.
Guenther & Kawamura 1975, p. Kindle Locations 1030-1033.
Kunsang 2004, p. 30.
Berzin 2006.
Lusthaus 2002, p. 116.
Bucknell 1993, p. 375-376.
Stuart-Fox 1989, p. 82.
Lusthaus 2002, p. 113.
Arbel 2016, p. 86.
Arbel 2016, p. 115.
Lusthaus 2002, p. 90.
Arbel 2016, p. 124.
Arbel 2016, p. 125.
Johansson 1981, p. 98.
Sarbacker 2021, p. entry: "abhijñā".
Vism.84–85; PP.85
Buddhaghosa & Nanamoli 1999, p. 437.
Buddhaghosa & Nanamoli (1999), pp. 90–91 (II, 27–28, "Development in Brief"), 110ff. (starting with III, 104, "enumeration"). It can also be found sprinkled earlier in this text, as on p. 18 (I, 39, v. 2) and p. 39 (I, 107).
Wynne 2007, p. 106.
Wynne 2007, p. 106-107.
Quli 2008.
Arbel 2017.
Williams 2009, p. 30.
Skilton 2002, p. 56.
Gomez & Silk 1989, p. 15-16.
Polak 2011, p. 201.
Nagarjuna (2001).
Nhat Hanh, Thich; Neumann, Rachel (2008). Buddha Mind, Buddha Body. ReadHowYouWant.com. p. 140. ISBN 978-1427092922. AIMLESSNESS The third concentration is aimlessness, apraṇihita. Without worry, without anxiety we are free to enjoy each moment of our lives. Not trying, not making great efforts, just being. What a joy! This seems to contradict our normal ...
Nhat Hanh, Thich. "Dharma Talk: The Fourth Establishment of Mindfulness and the Three Doors of Liberation". The Mindfulness Be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ly 2021. Retrieved 3 July 2021.
McRae 2003.
Hui-Neng & Cleary 1998.
Taimni 1961.
Jones & Ryan 2006, p. 377.
Jianxin Li n.d.
Wynne 2007, p. 106; 140, note 58.
Crangle 1984, p. 191.
Maehle 2007, p. 177.
Whicher 1998, p. 254.
Maehle 2007, p. 156.
Maehle 2007, p. 179.
Maehle 2007, p. 178.
Crangle 1984, p. 194.
Yogananda, Paramahansa: God Talks with Arjuna, The Bhagavad Gita, A new translation and commentary, Self-Realization Fellowship 2001, ISBN 0-87612-031-1 (paperback) ISBN 0-87612-030-3 (hardcover), I,10.
Overview. Planetary Collective, Vimeo.
Whicher 1998, p. 253.
Whicher 1998, p. 253-254.
Sarasvati Buhrman, Ph.D. (January 2000). Experiences of Meditation II. ISBN 1-57951-038-8. {{cite book}}: |work= ignored (help)
Zimmer 1951, pp. 436–437.
Forman 1999, p. 6.
Singh 1979, p. xxxiii.
Pradhan 2015, p. 151-152.
Jianxin Li 2018.
White 2014, p. 10.
Werner 1994, p. 27.
Thurman 1984, p. 34.
Farquhar 1920, p. 132.
Werner 1994, p. 26.
White 2014, p. 10, 19.
Robert Thurman, The Central Philosophy of Tib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page 34.
Partial transcript from the workshop entitled “Self-Discovery through Buddhist Meditation”, presented by John Myrdhin Reynolds at Phoenix, Arizona, on October 20, 2001, http://www.vajranatha.com/articles/what-is-meditation.html?showall=1
Donald Jay Rothberg, Sean M. Kelly (1998), Ken Wilber in Dialogue: Conversations with Leading Transpersonal Thinkers
Candradhara Śarmā (1996), The Advaita Tradition in Indian Philosophy: A Study of Advaita in Buddhism, Vedānta and Kāshmīra Shaivism, Motilal Banarsidass, p.139: "In the Buddhist works, both in Pale and in Sanskrit, the words used for nirvikalpa-samadhi are samnja-vedayita-nirodha and nirodha-samāpatti".
Conze 1962, p. 253.
Conze 1962, p. 253, footnote ‡.
Edgerton 1953, p. 304, volume 2.
Swami Sivananda See here, Lt. Gen. Hanut Singh, Shri Shri Shri Shivabalayogi Maharaj: Life & Spiritual Ministration, pp. 109 Shri Shiva Rudra Balayogi "The Path Supreme" 2010 page 160 and See teachings of Shri Shiva Rudra Balayogi here Archived 2010-03-29 at the Wayback Machine.
Thomas L. Palotas, "Divine Play, the Silent Teaching of Shivabalayogi", pp 87–9,
Lt. Gen. Hanut Singh, Shri Shri Shri Shivabalayogi Maharaj: Life & Spiritual Ministration, pp. 110. and Jestice, Phyllis G, Holy People of the World: A Cross-cultural Encyclopedia. ABC-CLIO. (2004) ISBN 978-1-57607-355-1 pp 723.
"Glossary Of Siddha Yoga Terminology". Siddhayoga.org. 2010-07-25. Retrieved 2020-11-22.
Blackman, Sushila (1997). Graceful Exits: How Great Beings Die: Death Stories Of Tibetan, Hindu & Zen Masters. New York: Weatherhill. ISBN 0-8348-0391-7.
Yogananda, Paramahansa (1997). Autobiography of a Yogi – Chapter 36. Los Angeles: Self-Realization Fellowship. ISBN 0-87612-086-9.
"Mahasamadhi —".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 Retrieved 2020-02-11.
Goldberg, Philip (2018). The Life of Yogananda. California: Hay House, Inc. p. 277. ISBN 978-1-4019-5218-1.
Singh Khalsa, Sant (2015). Siri Guru Granth Sahib Ji. Espanola: SikhNet.
Clinton Bennett, Charles M. Ramsey South Asian Sufis: Devotion, Deviation, and Destiny A&C Black ISBN 978-1-441-15127-8 page 23
Sources
Printed sources
Nagarjuna (2001). "Chapter X - The Qualities of the Bodhisattvas".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Translated by Migme, Ani.
Arbel, Keren (2017), Early Buddhist Meditation: The Four Jhanas as the Actualization of Insight, Taylor and Francis, doi:10.4324/9781315676043, ISBN 9781317383994
Arya, Usharbudh (1986), Yoga-Sūtras of Patañjali (Volume 1 ed.), Honesdale, Pennsylvania: The Himalayan International Institute, ISBN 0-89389-092-8
Berzin, Alexander (2006), Primary Minds and the 51 Mental Factors
Bronkhorst, Johannes (1993), The Two Traditions Of Meditation In Ancient India, Motilal Banarsidass Publ.
Bucknell, Rod (1984), "The Buddhist to Liberation: An Analysis of the Listing of Stages", Th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7 (2)
Bucknell, Robert S. (1993), "Reinterpreting the Jhana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16 (2): 375–409
Chapple, Christopher (1984), Introduction to "The Concise Yoga Vasisth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Crangle, Eddie (1984), "A Comparison of Hindu and Buddhist Techniques of Attaining Samādhi" (PDF), in Hutch, R.A.; Fenner, P.G. (eds.), Under The Shade of the Coolibah Tree: Australian Studies in Consciousnes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1-09-01, retrieved 2014-11-27
Crangle, Edward Fitzpatrick (1994),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Early Indian Contemplative Practices, Harrassowitz Verlag
Cousins, L. S. (1996), "The origins of insight meditation" (PDF), in Skorupski, T. (ed.), The Buddhist Forum IV, seminar papers 1994–1996 (pp. 35–58), London, UK: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Fuller-Sasaki, Ruth (2008), The Record of Lin-Ji, University of Hawaii Press
Gombrich, Richard F. (1997), How Buddhism Began, Munshiram Manoharlal
Gomez, Luis O.; Silk, Jonathan A. (1989). Studies in the literature of the great vehicle : three Mahāyāna Buddhist texts. Ann Arbor: Collegiate Institute for the Study of Buddhist Literature and Center for South and South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Michigan. ISBN 0891480544.
Guenther, Herbert V.; Kawamura, Leslie S. (1975), Mind in Buddhist Psychology: A Translation of Ye-shes rgyal-mtshan's "The Necklace of Clear Understanding" (Kindle ed.), Dharma Publishing
Hui-Neng; Cleary, Thomas (1998). The Sutra of Hui-neng, grand master of Zen : with Hui-neng's commentary on the Diamond Sutra. Boston. ISBN 9781570623486.
Jianxin Li (n.d.), A Comparative Study between Yoga and Indian Buddhism, asianscholarship.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Johansson, Rune Edvin Anders (1981), Pali Buddhist Texts: Explained to the Beginner, Psychology Press
Kalupahana, David J. (1994), A history of Buddhist philosophy,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Kunsang, Erik Pema (2004), Gateway to Knowledge, Vol. 1, North Atlantic Books
Lusthaus, Dan (2014), Buddhist Phenomenology: A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f Yogacara Buddhism and the Ch'eng Wei-shih Lun, Routledge
Maezumi, Taizan; Cook, Francis Dojun (2007), "The Eight Awarenesses of the Enlightened Person": Dogen Zenji's Hachidainingaku", in Maezumi, Taizan; Glassman, Bernie (eds.), The Hazy Moon of Enlightenment, Wisdom Publications
McRae, John R. (2003). Seeing through Zen: Encounter, Transformation, and Genealogy in Chinese Chan Buddhism (1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3797-1. JSTOR 10.1525/j.ctt1pnz84.
Polak, Grzegorz (2011), Reexamining Jhana: Towards a Critical Reconstruction of Early Buddhist Soteriology, UMCS
Rhys-Davids, T.W.; Stede, William, eds. (1921–25), The Pali Text Society's Pali–English dictionary, Pali Text Society)
Sangpo, Gelong Lodro; Dhammajoti, Bhikkhu K.L. (2012), Motilal Banarsidass {{citation}}: Missing or empty |title= (help)
Sarbacker, Stuart Ray (2012), Samadhi: The Numinous and Cessative in Indo-Tibetan Yoga, SUNY Press, ISBN 9780791482810
Schmithausen, Lambert (1981), On some Aspects of Descriptions or Theories of 'Liberating Insight' and 'Enlightenment' in Early Buddhism". In: Studien zum Jainismus und Buddhismus (Gedenkschrift für Ludwig Alsdorf), hrsg. von Klaus Bruhn und Albrecht Wezler, Wiesbaden 1981, 199–250
Shankman, Richard (2008), The Experience of Samadhi, Shambhala Publications
Siddheswarananda, Swami (1998), Hindu Thought and Carmelite Mysticism, Motilal Banarsidass Publ.
Skilton, Andrew (2002). "State or Statement?: "Samādhi" in Some Early Mahāyāna Sutras". The Eastern Buddhist. 34 (2): 51–93. ISSN 0012-8708. JSTOR 44362317.
Stuart-Fox, Martin (1989), "Jhana and Buddhist Scholasticism",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12 (2)
Sturgess, Stephen (2014). Yoga Meditation. Oxford, UK: Watkins Publishing Limited. ISBN 978-1-78028-644-0.
Sturgess, Stephen (2014a), The Book of Chakras & Subtle Bodies: Gateways to Supreme Consciousness, Watkins Media Limited
Taimni, I.K. (1961), The Science of Yoga, Quest Books
Vetter, Tilmann (1988), The Ideas and Meditative Practices of Early Buddhism, BRILL
Wayman, Alex (1997), "Introduction", Calming the Mind and Discerning the Real: Buddhist Meditation and the Middle View, from the Lam Rim Chen Mo Tson-kha-p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Williams, Paul (2000), Buddhist Thought.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Routledge
Williams, Paul (2009). Mahāyāna Buddhism : the doctrinal foundations (2nd ed.). London: Routledge. ISBN 9780415356534.
Wynne, Alexander (2007), The Origin of Buddhist Meditation, Routledge
Web-sources
accesstoinsight, Right Concentration, samma samadhi
Swami Jnaneshvara Bharati, Integrating 50+ Varieties of Yoga Meditation
Sri Swami Sivananda, Raja Yoga Samadhi
Swami Sivananda, Samprajnata Samadhi
David Godman, 'I' and 'I-I' – A Reader's Query
What is Liberation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Sri Ramana Maharshi?
External links

Look up samadhi in Wiktionary, the free dictionary.
Theravada Buddhism
Sīla and Samādhi, Surendranath Dasgupta, 1940
Samma Samadhi, by Ajahn Chah
Samadhi is Pure Enjoyment, by Ajahn Sucitto
Samādhi in Buddhism, by P. A. Payutto
Samadhi for Liberation, by Ajahn Anan Akincano
Wisdom Develops Samadhi, by Ajahn Maha Boowa
Lessons in Samadhi, by Ajahn Lee Dhammadharo
Tibetan Buddhism
Developing Samadhi, by Lama Gelek Rinpoche
Hinduism
The question of the importance of Samadhi in modern and classical Advaita Vedanta, Michael Comans (1993)
Raja Yoga Samadhi, Sri Swami Sivananda (2005)
vte
Yoga
vte
Hinduism topics
vte
Topics in Buddhism
vte
Sikhism
vte
Indian philosophy
vte
Meditation
Authority control: National Edit this at Wikidata
GermanyJapanCzech Republic

● From 대만불광사전
삼매
【三昧】 p580-下≫
<一>梵語 samādhi 之音譯,
巴利語同.
又作
三摩地․三摩提․三摩帝.
意譯爲等持․定․正定․定意․調直定․正心行處等.
卽將心定於一處(或一境)的一種安定狀態.
又一般俗語形容妙處․極致․蘊奧․訣竅等之時,
皆以「三昧」稱之,
蓋卽套用佛敎用語而轉意者,
然已與原義逈然有別.
 於佛典中,
samādhi 譯爲等持時,
「等」乃指離開心之浮(掉擧)沈(惛沈),
而得平等安詳,
「持」則指將心專止於一境之意,
此卽爲將心止於一境而不散亂之狀態,
稱爲心一境性.
俱舍宗視之爲十大地法之一,
唯識宗則認爲是五別境之一,
且兩宗均以之爲心所之一,
但經部與成實宗則認爲心所竝無別體.
 一般修行大都止心一處,
不令散亂,
而保持安靜,
此一狀態稱爲三昧.
達三昧之狀態時,
卽起正智慧而開悟眞理,
故以此三昧修行而達到佛之聖境者,
則稱三昧發得或發定.
舊譯常將三摩地(梵 samāhdhi,
三昧․等持)․三摩鉢底(梵 samāpatti,
等至․正受․正定․現前)及三摩呬多(梵 samāhita,
等引․勝定)混同,
而一槪譯爲三昧.
實際上,
三昧應指三摩地而言.
 有部認爲凡是一切心共同之精神作用(卽大地法),
共通於定․散及善․惡․無記之三性,
而僅限於一切有心位(不通於無心定)不亂心,
且對一境地有集中之作用者,
卽稱三摩地.
對此,
三摩鉢底與三摩呬多則通於有心․無心,
而僅局限於定(包含有心定․無心定而不通於散定).
 俱舍論卷二十八謂,
就所依止之定(等至)有四靜慮(四禪)․四無色定․八等至․三等持之別.
四靜慮及四無色定乃以善等持(三摩地․三昧)爲體;又四靜慮及四無色定之根本等至(三摩鉢底)有八種,
故稱八等至;三等持(三三昧)卽:
有尋有伺․無尋唯伺․無尋無伺等三種.
此外亦指空․無相․無願,
或空空․無相無相․無願無願之三重等持(三重三昧)而言.
 二種三昧之中,
第一種係以尋(尋求推度之粗雜的精神作用)與伺(伺察思惟之深細的精神作用)之有無,
而分爲:
(一)初靜慮(初禪)與未至定.
此屬有尋有伺三摩地.
又作
有覺有觀三昧.
(二)中間靜慮(中間定),
屬無尋唯伺三摩地.
又作
無覺有觀三昧.
(三)第二靜慮(第二禪)之近分以上屬無尋無伺三摩地.
又作
無覺無觀三昧.
第二種則指觀「人․法」皆空之三昧,
稱爲空三昧.
捨離差別相之三昧,
稱爲無相三昧;捨離願求之思之三昧,
則稱爲無願三昧.
其次在三重三昧中,
又有空空三昧․無相無相三昧․無願無願三昧等.
 據十住毘婆沙論卷十一載,
三昧乃四禪(四靜慮)․八解脫以外之一切定.
又謂唯三解脫門(無漏之空․無相․無願三昧)和有尋有伺等之三三昧稱爲三昧.
同論又揭示定之範圍較狹,
三昧之範圍則較廣,
依此,
諸佛菩薩所得之定可視爲三昧.
大乘義章卷十三擧出雜阿毘曇心論卷六․成實論卷十二․十地經論卷五等之說,
而述明禪․定․三昧․正受․三摩足伐(梵 samāpatti,
巴同,
等至)․解脫․奢摩他(梵 śamatha,
巴 samatha,
止)等之差異.
依其說法,
則狹義之三昧指空等之三三昧,
廣義則指四無量心及其他諸定.
 阿含經認爲四禪八定之外,
另有空․無相․無願等之三三昧(三解脫門)與有尋有伺等之三三昧,
而大乘則有數百上千種種三昧之說.
大乘經典之名稱,
以「三昧」爲名者,
卽有般舟三昧經․首楞嚴三昧經․慧印三昧經․自誓三昧經․佛印三昧經․法華三昧經․念佛三昧經․月燈三昧經․金剛三昧經等多種,
這些經典對標題所示之「三昧」均有詳細說明.
其中,
般舟三昧,
亦稱諸佛現前三昧與佛立三昧.
此外,
法華經卷一曾擧出無量義處三昧之名,
舊譯華嚴經卷六與卷四十四,
有華嚴三昧․海印三昧․師子奮迅三昧之說.
大品般若經卷三․卷五,
亦有首楞嚴(健行)․寶印․師子遊戱等百八三昧之說.
 天台宗在摩訶止觀卷二上擧出常坐․常行․半行半坐․非行非坐等四種三昧之說;修此四種三昧之道場,
稱爲四三昧院.
此外,
成實論卷十二,
有一分修三昧(唯修定或慧之一方)․共分修三昧(兼修定․慧之有漏定)․聖正三昧(兼修定․慧之無漏定)等三三昧.
 南本涅槃經卷十三列出菩薩破除「二十五有」之二十五種三昧之名,
法華經卷七之十六三昧,
卽爲法華三昧之異名.
又身發火焰之三昧,
稱爲火界三昧․火定․火光三昧,
有火葬屍骸之意.
最勝之三昧,
則稱王三昧或三昧王三昧.
日僧法然在其選擇本願念佛集中將念佛稱爲王三昧,
又瑩山紹瑾撰之坐禪用心記亦將坐禪稱爲王三昧.
 修三昧之堂,
稱三昧堂.
依修三昧之種類而分,
卽有法華三昧堂․常行三昧堂․理趣三昧堂等.
[雜阿含經卷十八․長阿含經卷九․卷十․北本大般涅槃經卷二十五․大品般若經卷一․卷二十三․大智度論卷二十八․瑜伽師地論卷十一․集異門足論卷六․佛地經論卷一․成唯識論卷八․大乘義章卷十三․圓覺經略疏註卷上․翻譯名義集卷四上](參閱「百八三昧」2480․「定」3171)
 <二>在日本,
火葬場․墓地,
亦稱爲三昧.
爲祈求死者之冥福,
大多在墓旁建立法華三昧堂,
竝延請僧侶修法華三昧.
其法華三昧堂,
可簡稱爲三昧堂或三昧.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삼매
【三昧】又名三摩提,
或三摩地,
華譯爲正定,
卽離諸邪亂,
攝心不散的意思.
→765




● From Hanja(Korean Hanzi) Dic
삼매
三昧

● From Korean Dic
삼매
삼매(三昧←sam□dhi 범)[명사]
1.불교에서,잡념을 버리고 한 가지 일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일.
2.다른 말 아래 쓰이어,그 일에 열중하여 여념이 없음을 이르는 말.
삼매경.
【예】독서삼매.



● From Kor-Eng Dictionary
삼매
삼매 [三昧]
absorption; ecstasy; concentration; devotion.
ㆍ ~경에 들어가다 enter into the perfect state of spiritual concentration.
ㆍ 독서 ~에 빠지다 be absorbed in reading / be immersed in one's book.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삼매(三昧)


①-580■불광사전
hbfl--07_Sa_0729.TIF
■ '삼매'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삼매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삼매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삼매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삼매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삼매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삼매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samādhi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삼매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삼매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삼매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 http://dic.tvbuddha.org/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






◎◎[개별논의] ❋추가참조









★1★










◆vpud4359

◈Lab value 불기2567/09/10/일/01:05


○ 2018_0419_130612_can.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Peter-Paul-Rubens-the-resurrection-of-christ-1612-1
[#M_▶더보기|◀접기|
Artist: Peter-Paul-Rubens
from https://en.wikipedia.org/wiki/Peter_Paul_Rubens
Title : the-resurrection-of-christ-1612-1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525_190141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Pico_Gilbo._Agosto_2005_(editada)
[#M_▶더보기|◀접기|
English: Yordas Peak, near Riaño, in the province of León, Spain.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7/university-of-texas-at-austin-us.html
https://buddhism007.tistory.com/18195
■htmback--B-_불기2567-07-29-Tis.htm

Wende - Vertrekkend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9/perfect-absorption.html#4359
sfx--dict/삼매.txt
sfd8--불교용어dic_2567_09.txt ☞◆vpud4359
불기2567-09-10
θ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8대룡의 하나. 아뇩달지(池)에 살면서 4대하를 흘러 내어 염부주를 젖게 한다고 함. 보살의 화신이라 하여 존숭을 받는 용왕.

답 후보
● 아뇩달용왕(阿耨達龍王)
아만(我慢)
아비담(阿毘曇)
아소견(我所見)
아야교진여(阿若憍陳如)

아자관(阿字觀)
아훔(阿吽)

■ 음악
Robert Charlebois - The Frog Song
Dani - Lady Lune
MADER - Disparue
Serge Lama - Le 15 Juillet A 5 Heures
Anais - Le 1er Amour
Arthur H - Marilyn Kaddish
Nicole Croisille - Quand On Vient D'etre Heureux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介 ■ ( 낄 개 / 낱 개, 갑자기 알 )
018▲ 乇土下丸介 ■ 탁토하환개 18 ( 부탁할 탁/ 풀잎 탁 )( 흙 토 / 뿌리 두, 쓰레기 차 )( 아래 하 )( 둥글 환 )( 낄 개 / 낱 개, 갑자기 알 )
057▲ 戌囟臣羊亦 ■ 술신신양역 57 ( 개 술 / 열한째 지지 술) --CF-- 戍 수자리 수 ( 정수리 신 ) --CF-- 囱 창 창, 바쁠 총(신하 신 )( 양 양 / 상서( 祥瑞)롭다 배회( 徘徊)하다 양 )(또 역 / 클 혁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utra of The Great Vows of Ksitigarbha Bodhisattva
[san-chn] asti-nâsti-vinirmukta 離有無
[san-eng] abhijita $ 범어 A nakṣatra between uttarāṣḍhā and śravaṇa mainly centred on the star Vega. For some reason it is not usually included in the 27 nakṣatras although it would make 28 if it was. adhipatī - Lord
[pali-chn] iddhi-vidha-ñāṇa 神境通
[pal-eng] suci $ 팔리어 adj.pure; clean. (nt.), goodness; a pure thing.suuci (f.), a needle; a hairpin; a small door-bolt.
[Eng-Ch-Eng] 八聖諦 【參照: 八諦】
[Muller-jpn-Eng] 二根 ニコン (term) two faculties
[Glossary_of_Buddhism-Eng] APHRODISIACS☞
See: Herbs (Pungent –).

[fra-eng] jaluosie $ 불어 jealousness, jealousy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52일째]
모단불찰불가설 $ 123▲不可思不可思為 一 ● 不可思轉, ○□□□□,塵,如,見,通

□□□□□□□, 塵中佛剎不可說,
如是佛剎皆往詣, 見諸如來不可說。
□□□□□□□, 진중불찰불가설,
여시불찰개왕예, 견제여래불가설。

毛端佛剎不可說,
털 끝에 부처 세계 말할 수 없고
티끌 속의 세계도 말할 수 없어
이러한 부처 세계 모두 나아가
여러 여래 뵈옵는 일 말할 수 없고



[253째]
통달일실불가설 $ 124▲不可思轉不可思轉為 一 ● 不可量, ○□□□□,善,諸,悉,國

□□□□□□□, 善入佛種不可說,
諸佛國土不可說, 悉能往詣成菩提。
□□□□□□□, 선입불종불가설,
제불국토불가설, 실능왕예성보리。

通達一實不可說,
실상을 통달함도 말할 수 없고
부처 종성 들어감도 말할 수 없고
부처님의 국토들 말할 수 없어
모두 다 나아가서 보리 이루네.

125□



●K0904_T1430.txt★ ∴≪A사분승계본≫_≪K0904≫_≪T1430≫
●K0896_T1428.txt★ ∴≪A사분율≫_≪K0896≫_≪T1428≫
●K0909_T1429.txt★ ∴≪A사분율비구계본≫_≪K0909≫_≪T1429≫


■ 암산퀴즈


342* 918
560616 / 987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57 번째는?
자비주 18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36 번째는?




57 대덕 세존이시여,
호로, 滸盧<五十七>
huru,
(~!~) 속히 속히 속히 영원히 행복한 세제에 이르게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8
관세음보살이 다시 부처님께 말씀하시되
"세존이시여,
만약 모든 중생이
대비신주(大悲神呪)를 외우고 수행하는 자가
목숨이 마칠 때면
10방의 모든 부처님이 오셔서
손을 주시며
어느 부처님 계신 국토든 원하는 대로 태어나게 되나이다.
다시 부처님께 말씀하시되
"세존이시여 만약 모든 중생이
대비신주를 외우고 지니는 자가
삼악도에
떨어지게 되면
나는 맹세코 성불하지 않겠습니다.
또 대비신주를 외우고 지니는 자가
만약 모든 부처님의 국토에
태어나지 못한다면
나는 맹세코 정각을 이루지 않겠습니다.
● 다냐타(다질타) 怛姪他<十八> ta dya thāoṃ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36
아바 례다먀- 마바라 바
入嚩<二合>隸哆尾野<二合引>摩鉢囉<二合>婆<三十六>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313956
568
법수_암기방안


124 (INDEX finger~검지 식지)집게
57 眼球 【안구】 동공 eye ball
18 아래팔뚝 (forearm)

36 가랑이 ( crotch / 사타구니, groin )
123 엄지 (THUMB)
52 눈 eye 眼 【안】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7_0910_010611 :

대장경 내 게송



만약 지난 세상에서 업을 짓고
나중 세상에서 마땅히 결과를 받는다면,
이것이 만약 생하는 바가 없다면
이 중에는 잘못이 있다.
若先世造業,
後世當受果,
此若無所生,
是中有過失。



출전:
한글대장경 K1482_T1567
대승중관석론(大乘中觀釋論) 안혜보살조.
송 유정등역
大乘中觀釋論 【安慧菩薩造.
宋 惟淨等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현 자세


○ 2019_1106_111242_nik_CT38_s12


○ 2019_1106_113407_can_ar38_s12


○ 2019_1106_125920_can_exc


○ 2020_0211_141902_can_ct14


○ 2020_0904_091628_nik_AB7


○ 2020_0905_111557_can_BW25


○ 2020_0905_162838_can_ori_rs


○ 2020_0907_150720_can_ct11


○ 2020_0909_132902_can_Ab31


○ 2020_0909_170353_can_CT33


○ 2020_0910_120438_can_ar37


○ 2020_0910_152030_can_BW17


○ 2020_1017_153026_can_ct6


○ 2018_1022_130709_can_BW17


○ 2018_1022_180700_nik_AR25


○ 2018_1023_123029_can_CT27


○ 2018_1023_150842_can_ct9_s12


○ 2020_1114_141701_can_Ab35



○ 2019_1104_121848_nik_Ab35

● [pt op tr] fr
_M#]



○ 2019_1104_114238_can_Ab31_s12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삼매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링크용타이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삼매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9/perfect-absorption.html
sfx--dict/삼매.txt
sfd8--불교용어dic_2567_09.txt ☞◆vpud4359
불기2567-09-10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207111582
https://buddhism007.tistory.com/entry/삼매
htmback--삼매_불기2567-09-10-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