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2년 11월 29일 화요일

색법_material-elements



【색법
[한문]色法
[범어]rūpa-dharma
[영어]material elements ; materials】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5_114607_nik_fix


○ 2019_1105_161125_nik_exc


○ 2019_1105_161219_nik_fix


○ 2019_1106_103731_can_exc


○ 2019_1106_151017_can_fix


○ 2019_1106_165729_can_exc


○ 2019_1105_122809_can_exc_s12


○ 2019_1105_155509_can_fix


○ 2019_1105_163344_can_exc


○ 2019_1201_153841_nik_exc_s12


○ 2020_0211_134450_can_fix


○ 2020_0904_085134_nik_ori_rs


○ 2020_0905_120730_can_ori_rs


○ 2020_0908_164125_can_ori_rs


○ 2020_0909_154357_can_ori_rs


○ 2020_0909_155514_can_ori_rs


○ 2020_0930_143954_can_ori_rs


○ 2020_1114_154230_can_ori


○ 2019_1104_120952_can_fix


● [pt op tr] fr
_M#]




★2★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색법
색법[한문]色法[범어]rūpa-dharma[영어]material elements ; materials
5위(位)의 하나.
형질(形質)을 가진 것을 총칭하는 말.
5온(蘊) 중에서 색온(色蘊)에 해당하는 것을 말함.[opp]반}심법(心法).[abr]약}색(色).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색법

[한문]色法
【범】rūpa ↔심법(心法).
물질을 말함.
우주의 만유를 분류한 5위(位),
또는 5온(蘊)의 하나.

● 색법 [色法] 시공 불교사전
오위(五位)의 하나. 
감각 기관과 그 대상, 
그리고 형상도 없고 감각되지도 않는 작용·힘·잠재력.
☞오위

색 물질적 존재의 총칭


● 한국위키백과 - 내용 보관 정리 (불기2566-11-29 기준)
● 영문위키백과 - 내용 보관 정리 (불기2566-11-29 기준)
●From Korea-tipitaka-dic

[Kor]색[Chn]色[Pali]rūpa[San]rūpa[Tib]gzugs[Eng]form
[mean][1]색깔과 형체를 지닌 모든 물질적 존재. 
형질을 갖고 서로 장애가 되는 것. 
눈에 보이는 것. 
시각의 대상. 
5경(境)의 하나. 
5온의 하나.
[syn]동}색진(色塵).[opp]반}명(名) * 심(心).

[mean][2]물질. 
물질 일반. 
인식의 대상이 되는 물질적 존재의 총칭. 
정신적 존재의 총칭인 명(名)의 반대말. 
어근의 분석에 의하면 파괴되는 것, 
변화하는 것. 
형체를 지니고 생성되어 변화하는 물질 현상. 
전통적으로는 질애(質礙)와 변괴(變壞)의 의미로 해석된다. 
질애란 일정한 공간을 점유하여 다른 존재와 서로 용납되지 않는다는 것, 
변괴란 끊임없이 변화하여 마침내 소멸한다는 것을 뜻한다. 
현상 세계 전반을 취급하는 경우에는 여러 종류의 색이 내색(內色)과 외색(外色), 
세색(細色)과 추색(麤色), 
정과색(定果色)과 업과색(業果色) 등으로 대칭적으로 구별된다. 

내색은 다섯 감관인 #5근(根), 
외색은 감관의 대상인 #5경(境), 
세색(細色)은 미세한 물질, 
추색은 거친 물질. 

정과색은 선정 즉 명상의 결과로 생긴 물질적 현상, 
업과색은 행위의 결과로 생긴 물질적 현상. 


색의 주요한 의미를 총괄하여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⑴색깔. 
⑵색깔과 형체. 
색깔과 형체를 지닌 모든 물질적 존재로서 시각의 대상이 되는 것. 
색깔은 현색(顯色), 
형체는 형색(形色)으로 불린다. 
⑶사물의 형체, 
모습. 
⑷물질 일반. 
세계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생성,변화하는 물질적 현상. 
이 경우의 색은 5온 중의 색온과 같고, 
나머지 4온은 명(名)이다. 

⑸마음(心)의 반대인 육체. 
⑹청정한 물질로 이루어진 세계인 색계. 
⑺집착 또는 색욕.

● From Dongguk_univ_Buddhism_v24

◀色▶
【범】rūpa 【팔】rūpa (1) 심법(心法)에 대하여 물질을 색법이라 함. 
변괴(變壞)ㆍ질애(質礙)의 두 뜻이 있는 물질의 총칭. 
5위(位)의 하나. 
5온(蘊)의 하나. 
구사론(俱舍論)에서는 5근(根)ㆍ5경(境)ㆍ무표색(無表色)의 11로 나누고, 
유식종에서는 5근(根)ㆍ5경(境)ㆍ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의 11로 나눔. 

(2) 최근의 해석으로는 형상과 색채를 합한 것으로서 감각적 직관적인 일반을 가리킴이라 함. 
곧 정신적 요소에 대립한 물질이 아니고, 
존재한 한 방면인 물질적 성질을 말함.((운허_동국역경원사전))


● 색【色】 범어 rūpa의 번역. 

① 五蘊의 하나로 色蘊이라 하고 五位의 하나로 色法이라고도 한다. 
넓은 의미에서의 色으로 물질적 존재의 총칭 .
變壞하고(변화하고 부서지고) 
變礙하는 것(質礙라고도 한다. 
일정의 空間을 占有하여 다른 물체를 용납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眼ㆍ耳・비 설 신의 5근과 
色ㆍ聲ㆍ香ㆍ味ㆍ觸의 5 경과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에 이르는 11 색으로 나눈다. 

法處所攝色은 또 隨法處色・法處色이라고도 한다.

오직 意識만의 對象인 法處에 포함되는 色法을 말한다. 

①有部에서는 이 11 色 중 
觸境의 일부가 地ㆍ水ㆍ火ㆍ風의 四大種이고 
나머지는 다 四大所造色이라고 한다(☞四大種<所造色>). 

또 五根ㆍ五境은 極微로부터 성립되는 色法인데 
法處所攝色은 無表業을 가리킨다. 
곧 無表業은 極微로부터 성립되는 色法은 아니나 
四大所造의 色法이므로
 無表色(無敎色 또는 無作色이라고도 함)이라 한다. 



②唯識宗에서 말하는 法處所攝色은 다음 5 가지다. 
곧 

(1)極略色(五根 -五境의 實色(물질)을 分析하여 물질의 最小單位인 極微에 이르는 것),
(2)極迥色(空界ㆍ明ㆍ暗 등 能礙(장애)의 성질을 갖지 않은 물질의 極微),
(3)受所引色(無表色), 
⑷遍計所起色(意識에 나타나는 五根ㆍ五境 등의 影像),
(5)定所生色(定果色ㆍ自在所生色이라고 한다. 殊勝한 定에 의해서 定 중에 나타나는 色ㆍ聲 등의 五境). 

③色은 또 

內色(五根)과 
外色(五境), 

細色(無表色 또는 色界의 色)과 
추색(麤色)(極微로부터 이루어진 色 또는 欲界의 色), 

定果色(定으로 말미 암아 생기는 色)과 
業果色(業에 따라서 이루어진 色)등의 두 가지로 나누어지며, 

可見有對色(狹義의 色 곧 色境)과 
不可見無對色(無表色)과 
不可見有對色(聲ㆍ香ㆍ味ㆍ觸ㆍ五根)의 3가지 色으로 나눈다. 

可見은 有見, 
不可見은 無見이라고도 한다.
그래서 나타내 보일 수 있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 곧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

有對ㆍ無對는 對礙(이 경우에는 障礙)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을 말한다. 


無表色에 대한 
表色(表業ㆍ作色 또는 有敎色)을 有部에서는 
形色(身表業의 體)과 聲(語表業의 體)이라 하지만 
다른 종파 學派에서는 異論을 세우기도 한다. 

②狹義의 色은 12 處의 하나로 色處라고 하며 
十八界의 하나인 色界라고도 하고, 
또 五境 - 六境의 하나라고도 한다. 

곧 眼根의 對境으로 볼 수 있는데 
여기에 顯色과 形色과의 두 가지가 있으니, 

顯色이란, “빛깔” 을 말하는 것으로 
有部에서는 靑ㆍ黃ㆍ赤ㆍ白ㆍ雲ㆍ煙ㆍ塵ㆍ霧ㆍ影・光ㆍ明ㆍ闇의 12 종을, 
形色이란 “형상” 으로 長 -短ㆍ方ㆍ圓ㆍ高ㆍ下ㆍ正ㆍ不正의 8 종을 일컫는다. 

顯色에 다시 空(蒼空色)을 첨가하는 설도 있다. 
또 靑ㆍ黃ㆍ赤ㆍ白에 黑을 더하여 五色(五正色・五大色)이라고도 한다.



● 색법【色法】[心法] 일체법을 크게 나누어
色法ㆍ
心法・
心所法・
心不相應行法・
無爲法의 五位로 하는 가운데 하나이다. 


色法은 넓은 의미의 色으로 물질적 존재를 말한다. 
약간의 예외는 있지만 일정한 空間을 점유하여 自他가 서로 장애하는 性質(變礙ㆍ質礙)과 변화하여 부서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心法은 心ㆍ意ㆍ識이라고도 하며 
생각하고 아는 작용이 있는 것. 또 인식의 능력을 말한다. 

心所法을 포함하여 心法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곧 色法・心法은 物心二元을 나타낸다・(☞色, ☞心, ☞心王<心所>)



● From 대만불광사전
색법
【色法】 p2544-上≫
梵語 rūpa-dharma.
廣義言之,
乃總稱物質之存在.
泛指有質礙之物,
卽佔有一定之空間,
具有自他互相障礙,
及會變壞之性質者.

一切法可分爲
色法․
心法․
心所法․
心不相應行法․
無爲法

等五位,
其中色法在五蘊分類中稱爲
色蘊,

心法稱爲
識蘊.

在小乘俱舍五位七十五法
大乘法相宗五位百法
中均將色法分爲
三類
十一種 :

(一)五根(眼․耳․鼻․舌․身),
(二)五境(色․聲․香․味․觸),
(三)無表色.

在五位七十五法中,
色法在心法之前,
因其能引起貪欲愛樂等染法,
被視爲最重要之對治對象 ; 


五位百法中,
色法則在
心法․心所法之後,
因其不能獨立生起,
僅爲前二者之變現.
(參閱「心」 1395․「色」 2541)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edited
색법

【色法】指一切有形的物質. 
→1858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色法

【術語】 對於心法之稱, 
見心條。
【參見:心】 


●From yusig

色法

為‘心法’的對稱, 
一切諸法, 
分為蘊、
處、
界三科, 
而以五蘊為基础。
五蘊再加以歸納, 
只是色、
心二法。
所謂色法, 
廣義言之, 
是物質存在的總稱, 
泛指有質礙性之物, 
即占有一定空間, 
具有自他互相障礙, 
及會變坏之性質者。
如果以‘五位百法’為一切萬法分類, 
則可分為色法、
心法、
心所法、
心不相應行法、
無為法等五位。
其中色法, 
在五蘊分類中稱為色蘊, 
心法稱為識蘊。

唯識宗的五位百法中, 
將色法分為三類十一種:
一、

眼、
耳、
鼻、
舌、

五根。

二、
色、
聲、
香、
味、

五境。

三、
無表色。

在五位百法中, 
色法在心法、心所法之后, 
乃因其不能獨立生起, 
而僅為前二者的變現之故。

●From Hanja(Korean Hanzi) Dic
색법色法


●From BUDDHDIC
色法
シキホウ
(term) material existence

●From Korean Dic
색법
색법(色法)[―뻡][명사]☞색(色)2. 
↔심법(心法).


>>>




●From fk-ks-v10

【色】 p2541-中≫
梵語 rūpa, 
巴利語同. 

rūpa 係自 

rūp(造形)之動詞語根變化而來, 
故含有「有形狀」 之意. 

又謂 
rūpa 是由 rū(壞)之動詞語根轉變而來, 
有變壞․變化之意. 


廣義之色, 
爲物質存在之總稱. 
狹義之色, 
專指眼根所取之境. 
玆就廣狹二義分述之 :  <一>色爲物質存在之總稱. 
卽五蘊中之色蘊, 
五位中之色法(與心法相對). 
乃質礙(佔有一定空間), 
且會變壞者. 
經論中對於色有諸種分法, 

據俱舍論卷一載, 
色包含五根(眼耳鼻舌身)․五境(色聲香味觸)․無表色等十一種. 
唯識宗分色爲五根․五境․法處所攝色等十一種. 
其中, 
法處所攝色是意識之對境, 
包括極略色․極逈色․受所引色․遍計所起色․自在所生色等. 
 於此諸色法中, 
又可依其一一法之性而歸納成下列數種分類 : (一)內色(五根)與外色(五境). 

(二)細色(無表色, 
或指色界之色)與粗色(由極微所成之色, 
或指欲界之色). 

(三)定果色(由定所生之色)與業果色(由業所造之色). 

(四)可見有對色(指狹義之色, 
卽色境)․不可見有對色(指聲․香․味․觸․五根)與不可見無對色(指無表色)等三種. 
[雜阿含經卷一․卷十三․北本大般涅槃經卷三十九․俱舍論卷二․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參閱「五根」 1137․「五境」 1171․「色蘊」 2549․「法處所攝色」 3389)


<二>眼根所取之境. 
對於聲․香等而言, 
色乃專指眼根所識別之對象, 
如靑․黃等質礙之境. 
五境之一, 
六境之一, 
十二處之一, 
十八界之一. 
又作色境․色處․色界. 
據瑜伽師地論卷一載, 
色大別有三種 : (一)形色, 
長․短․方․圓․高․下․正․不正等八種. 

(二)顯色, 
靑․黃․赤․白․雲․煙․塵․霧․影․光․明․闇等十二種. 

(三)表色, 
凡吾人行․住․坐․臥․取․捨․屈․伸等, 
種種動作形態, 
顯然可表示於外, 
而令人目見者. 
蓋此皆於五根․五境等色蘊中, 
特指眼根所取之境, 
故稱爲色. 

[識身足論卷十一․大毘婆沙論卷十三․卷七十五․順正理論卷一․阿毘達磨藏顯宗論卷二․俱舍論光記卷一․成唯識論述記卷二本․有宗七十五法記卷一](參閱「表色」3513․「形色」 3788․「顯色」 6922)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edited

【色】指一切有形象和佔有空間的物質. 
色可分爲內色․外色․顯色․表色․形色五種. 
內色是指眼耳鼻舌身之五根, 
因屬於內身, 
故名內色;外色是指色聲香味觸之五境, 
因屬於外境, 
故名外色;顯色是指我們常見的各種顔色, 
如靑黃赤白等等;表色是指有情衆生色身的各種動作, 
如取捨伸屈等等之表相;形色是指物體的形狀, 
如長短方圓等等. 
→1853



● From 法相辭典

★瑜伽三卷十五頁雲:
數可示現, 
在其方所, 
質量可增;故名為色。

★二解 顯揚一卷十二頁雲:
色、
謂眼所行境, 
眼識所緣, 
四大所造, 
若顯色, 
若形色, 
若表色, 
為體。
色蘊所攝;有見有對。
此復三種。
謂妙, 
不妙, 
及俱相違。
彼復雲何?謂青、
黃、
赤、
白, 
如是等顯色。
長、
短、
方、
圓、
粗、
細、
高、
下、
正、
及不正、
煙、
雲、
塵、
霧、
光、
影、
明、
若空一顯色, 
若彼影像之色。
是名為色。


★三解 

雜集論一卷七頁雲:
色者:
四大種所造, 
眼根所行義。
謂青黃赤白, 
長短方圓粗細高下若正不正, 
光影明雲煙塵霧, 
迥色, 
表色, 
空一顯色。
此復三種。
謂妙, 
不妙, 
俱相違色。
此青等二十五色建立由六種因。
謂相故, 
安立故, 
損益故, 
作所依故, 
莊嚴故, 
作相故。
如其次第, 
四、
十、
八、
一、
一、
一。
迥色者:
謂離餘礙觸, 
方所可得。
空一顯色者:
謂上所見青等顯色。

★四解 五蘊論一頁雲:
雲何為色?謂眼境界;顯色, 
形色, 
及表色等。

★五解 廣五蘊論二頁雲:
雲何色?謂眼之境;顯色, 
形色, 
及表色等。
顯色有四種。
謂青黃赤白。
形色, 
謂長短等。

★六解 俱舍論一卷十頁雲:
何故此蘊, 
無表為後, 
說為色耶?由變壞故。
如世尊說:
芻當知, 
由變壞故, 
名色取蘊。
誰能變壞?謂手觸故, 
即便變壞。
乃至廣說。
變壞, 
即是可惱壞義。
故義品中, 
作如是說。
趣求諸欲人, 
常起于希望。
諸欲若不遂;惱壞如箭中。
復雲何欲所惱壞?欲所擾惱, 
變壞生故。
有說:
變礙故名為色。
若爾;極微應不名色?無變礙故。
此難不然。
無一極微, 
各處而住, 
眾微聚集, 
變礙義成。
過去未來, 
應不名色?此亦曾當有變礙故。
及彼類故。
如所燒薪。
諸無表色, 
應不名色?有釋:
表色有變礙故;無表隨彼, 
亦受色名。
譬如樹動, 
影亦隨動。
此釋不然。
無變礙故。
又表滅時, 
無表應滅。
如樹滅時, 
影必隨滅。
有釋:
所依大種變礙, 
故無表業, 
亦得色名。
若爾;所依有變礙故;眼識等五, 
應亦名色。
此難不齊。
無表依止大種轉時, 
如影依樹, 
光依珠寶。
眼等五識依眼等時, 
則不如是。
唯能為作助生緣故。
此影依樹, 
光依寶言, 
且非符順毗婆沙義。
彼宗影等顯色極微, 
各自依止四大種故。
設許影、
光、
依止樹寶;而無表色, 
不同彼依。
彼許所依大種雖滅;而無表色, 
不隨滅故。
是故所言, 
未為釋難。
復有別釋:
彼所難言, 
眼識等五, 
所依不定。
或有變礙。
謂眼等根。
或無變礙。
謂無間意。
無表所依, 
則不如是。
故前所難, 
定為不齊。
變礙名色, 
理得成就。

★七解 五事毗婆沙論上三頁雲:
問:
依何義故說之為色?答:
漸次積集, 
漸次散壞種植生長;會遇怨親, 
能壞能成;皆是色義。
佛說變壞故名為色。
變壞即是可惱壞義。
有說變礙故名為色。
問:
過去, 
未來, 
極微, 
無表, 
皆無變礙;應不名色?答:
彼亦是色。
得色相故。
過去諸色, 
雖無變礙;而曾變礙。
故立色名。
未來諸色, 
雖無變礙;而當變礙。
故立色名。
如過去眼, 
雖不能見;而曾當見。
故立眼名。
得彼相故。
此亦應爾。
一一極微, 
雖無變礙;而可積集;變礙義成。
諸無表色。
雖無變礙;隨所依故;得變礙名。
所依者何?謂四大種。
由彼變礙, 
無表名色。
如樹動時, 
影亦隨動。
或隨多分。
如名段食。
或表內心, 
故名為色。
或表先業, 
故立色名。

★八解 此色處色。
品類足論一卷二頁雲:
色雲何?謂諸所有色, 
若好顯色, 
若惡顯色, 
若二中間似顯處色。
如是諸色, 
二識所識。
謂眼識, 
及意識。
此中一類, 
眼識先識。
眼識受已;意識隨識。

★九解 此色蘊色, 
品類足論一卷一頁雲:
色雲何?謂諸所有色, 
一切四大種, 
及四大種所造色, 
四大種者:
謂地界水界火界風界。
所造色者:
謂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 
色聲香味所觸一分, 
及無表色。

★十解 入阿毗達磨論上一頁雲:
色有二種, 
謂大種及所造色, 
大種有四, 
謂地水火風界。
能持自共相, 
或諸所造色;故名為界。
此四大種, 
如其次第, 
以堅濕暖動為自性。
以持攝熟長為業。
大而是種, 
故名大種。
由此虛空, 
非大種攝。
能生自果, 
是種義故。
遍所造色, 
故名為大。
如是大種惟有四者;更無用故。
無堪能故。
如床座足。
所造色有十一種。
一、
眼, 
二、
耳, 
三、
鼻, 
四、
舌, 
五、
身, 
六、
色, 
七、
聲, 
八、
香, 
九、
味, 
十、
觸一分, 
十一、
無表色。

于大種有, 
故名所造。
即是依止大種起義。
此中眼者:
謂眼識所依, 
以見色為用, 
淨色為體。
耳鼻舌身, 
準此應說。
色有二種。
謂顯及形。
如世尊說:
惡顯惡形。
此中顯色, 
有十二種。
謂青黃赤白, 
雲煙塵霧, 
影光明。
形色有八種。
謂長短方圓高下正不正。
此中霧者:
謂地水氣。
日燄名光。
月星火藥寶珠電等諸燄名明。
障光明生, 
于中餘色可見;名影。
翻此名。
方、
謂界方。
圓謂團圓。
形平等名正。
形不平等名不正, 
餘色易了, 
故今不釋。
此二十種, 
皆是眼識及所引意識所了別境。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術語】 變壞之義, 
變礙之義, 
質礙之義。
變壞者輔變破壞也, 
變礙者變壞質礙也, 
質礙者有形質而互為障礙也。
是從五根境等之極微而成。
又色者示現之義, 
諸色法中獨取五境中之色塵而名為色者, 
以彼有質礙與示現兩義, 
色之義勝故也。
俱舍論一曰:
「由變壞故, 
(中略)變礙故, 
名為色。
」同八曰:
「或示現義。
」大乘義章二曰:
「質礙名色。


●From 三藏法數

謂眼根所見青黃赤白等色也。



● From Pentaglot Dictionary of Buddhist Terms
rūpam

【p192.2】

san rūpam रूपम्
mnc dursun
mon dürsü
zho 色
From yusig

色為物質存在的總稱, 
與心對稱。
在五蘊中稱為‘色蘊’, 
在‘五位百法’中稱為‘色法’。
色的意義, 
如《五事毘婆沙論》上說:
‘問:
依何義故說之為色?答:
漸次積集, 
漸次散坏, 
種種生長, 
會遇怨或親, 
便能坏能成, 
皆是色義。
故說:
變坏故名為色, 
變坏即是可惱義。
’《大乘阿毘達磨雜集論》則曰:
‘色蘊何相, 
答:
變現相是色相, 
此有二種:
一、
觸對變坏。
二、
方所示現……’小乘教教義, 
以為‘色’是構成物質的元素, 
是由‘眾微’(極微)積聚而來的。
已經破坏了或消逝了的物質, 
叫做‘過去色’;尚未現起的物質, 
叫做‘未來色’;已經現起, 
在因緣相續的條件下存在的物質, 
叫‘現在色’。
我們生理性的身體稱為‘內色’;身體外物理性的物質稱為‘外色’;肉眼能見到的物質稱為‘粗色’, 
肉眼看不到的物質稱為‘細色’, 
悅目的物質稱為‘好色’, 
不悅目的物質稱為‘醜色’;視力所不及的物質稱為‘遠色’, 
視力所及的物質稱為‘近色’, 
這一切綜合起來, 
就稱作‘色蘊’。
一切物質現象, 
都是在因緣和合下而生起存在的。
這些物質我人視之可見, 
觸之可覺, 
知其存在;但當因緣變异或散離時, 
此物質也就變异或破坏了, 
這就叫做‘觸對變坏’。
另一類是沒有形體, 
却有迹象可尋的, 
如行住坐卧、
長短力圓, 
及許多抽象的觀念, 
這叫做‘力所示現’。
換句話說, 
就是我們把各種概念加上一個名稱, 
何者是方、
何者是圓、
何者屈、
何者是伸, 
這些概念, 
都是我人構畫出來的, 
以此來規畫合於我們構畫概念的其他事物。
物質現象是因緣所生法, 
因緣和合、
相續, 
此物質就生起、
存在。
在其存在期間, 
如遇到‘相輔相成’的因緣, 
它就變好、
變成;如遇到排斥破坏的因緣, 
它就變坏。
所以‘會遇怨或親, 
便能坏能成。
’既然一切物質都受因緣支配, 
所以都‘漸次積聚、
漸次破坏’。
色即五蘊中之色蘊, 
五位法中的之色法, 
是有質礙(占有一定空間), 
且會變坏的東西。
經論中對於色有諸種分法, 
據《俱舍論》卷一載, 
色包含眼、
耳、
鼻、
舌、
身五根, 
色、
聲、
香、
味、
觸五境, 
及無表色等, 
共十一種。
唯識宗則分色為五根、
五境、
法處所攝色等十一種。
其中, 
法處所攝色是意識之對境, 
包括極略色、
極迥色、
受所引色、
遍計所起色、
自在所生色等。




● From Soothill-Hodou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DDBC version)

rūpa (रूप), 
outward appearance, 
form, 
colour, 
matter, 
thing; the desirable, 
especially feminine attraction. 
It is defined as that which has resistance; or which changes and disappears, 
i. e. 
the phenomenal; also as 顯, 
形 and 表色 colour and quality, 
form or the measurable, 
and mode or action. 
There are divisions of two, 

i. e. 
inner and outer, 
as the organs and objects of sense; also colour and form; of three, 

i. e. 
the visible object, 

e. g. 
colour, 
the invisible object, 

e. g. 
sound, 
the invisible and immaterial; of eleven, 

i. e. 
the five organs and five objects of sense and the immaterial object; of fourteen, 
the five organs and five objects of sense and the four elements, 
earth, 
water, 
fire, 
air. 
rūpa (रूप) is one of the six bāhya-āyatana (बाह्य-आयतन), 
the 六塵; also one of the five skandha (स्कन्ध)s, 
五蘊, 

i. e. 
the 色身. 
Keith refers to rūpa (रूप) as 'material form or matter which is underived (no-utpādā (नो-उत्पादा)) and which is derived (utpādā (उत्पादा))', 
the underived or independent being the tangible; the derived or dependent being the senses, 
e.g. 
of hearing; most of their objects, 
e.g. 
sound; the qualities or faculties of feminity, 
masculinity, 
vitality; intimation by act and speech, 
space; qualities of matter, 
e.g. 
buoyancy and physical nutriment.
From Mahāvyutpatti (bye brag rtog byed)
rūpam



<어학사전 참고 내용> 

● [Mvyt: 1859]

梵文 (轉寫) / Sanskrit (IAST):
rūpam
梵文 (天成體) / Sanskrit (Devanāgarī):
रूपम्
中文 / Chinese:
藏文 (Wylie) / Tibetan (Wylie):
gzugs
藏文 / Tibetan:
གཟུགས་



● From Hanja(Korean Hanzi) Dic
【색】빛; 낯; 색; 갈래; 낯(안색)이 변하다; 색칠하다.
人(사람인) + (병부절의 변형)
色부 0획 (총6획)
[1] [n] colour; tint; tinge; hue; shade [2] facial expression; look; appearance [3] sensuality; desire for beauty; lust; lewdness; carnal pleasure [4] worldly things [5] a kind; sort [6] Kangxi radical 139
ショク·ツキ·いろ

脚色(각색) ① 옛날 중국에서 사관(仕官)할 때에 내던 이력서. 
② 극본(劇本). 
③ 소설이나 사건 따위를 극, 
영화의 각본이 되게 고쳐 쓰는 것. 
④ 사물의 짜임새
各色(각색) ① 여러 곱 빛깔. 
② 어려 곱. 
③ 각 관아의 빛
看色(간색) 물건의 좋고 나쁨을 알기 위하여 견본(見本) 삼아 일부분을 봄

▣동음한자▣
嗇 塞 穡 索 色
  
▣한자의미▣
穡(거둘) 索(찾을 색(동아줄)) 色(빛)



● From Naverjpdic

색[色]
<1>[명사]色しょくいろ。

색이 짙다[옅다]. 
色いろが濃こい[薄うすい;浅あさい]。


강한[부드러운;수수한]색强つよい[柔やわらかい;地味じみな]色いろ

색이 같다[다르다]. 
色いろが同おなじだ[違ちがう;異ことなる]。
색을 칠하다[맞추다]. 
色をぬる[合あわせる]。

<2>[명사]女色にょしょく;色事いろごと;色いろ;情事じょうじ。

색을 좋아하다. 
色いろを好このむ。

색에 빠지다. 
色におぼれる。

색을 쓰다. 
情事じょうじをなす;性交せいこうする。



색[色]
<접미사>色しょく(一部いちぶの名詞めいしの下したに付いて, 
そのような特色とくしょくまたは傾向けいこうがあることをあらわす)。

지방색地方色ちほうしょく。



색동저고리[色]
[명사]五色ごしょくの継つぎ布ぬのの袖そでが付ついた子供用こどもようのチョゴリ。


いろ[色]
1.[명사]색. 
빛. 
빛깔. 
색채.
明あかるいいろ 밝은 색

いろを塗ぬる 색을 칠하다

いろがあせる 빛깔이 바래다. 
퇴색하다.

2.[명사]피부색. 
특히, 
얼굴빛.
いろの白しろい人ひと 피부가[살빛이] 흰 사람

2週間にしゅうかんを海岸かいがんで過すごしていろが黒くろくなった 해안에서 2주일을 보내어 살갗이 검어졌다.

3.[명사]표정. 
기색. 
기미. 
빛.
失望しつぼうのいろが浮うかぶ 실망의 빛이 떠오르다

驚おどろきのいろが見みえる 놀라는 기색이 보이다

喜怒哀楽きどあいらくをいろに出ださない 희로애락을 표정에 나타내지 않다

疲労ひろうのいろ 피로의 기색

目めのいろを変かえて部屋へやを飛とび出だして行いった 몹시 놀란 표정으로 방을 뛰쳐 나갔다

秋あきのいろが濃こくなった 가을빛이 짙어졌다

敗戦はいせんのいろが濃こい 패전의 기색이 짙다.

4.[명사]종류.
いろ取とり取どりの食たべ物もの 각양각색의 음식물

いろ分わけする 분류하다.

5.[명사]소리의 울림. 
음색.
琴ことの音ねいろ 거문고의 음색

声こわいろがとげとげしい 목청이 표독스럽다.

6.[명사](아름다운) 몸매. 
성적 매력.
7.[명사]색정. 
정사(情事). 
연애.
いろを好このむ 호색하다

いろ気違きちがい 색광(色狂)

いろ事ごと 정사.

8.[명사]《속어》 애인. 
정부.

しき[色]
[명사]『불교』 색. 
형태를 지닌 모든 것. 
(변하여) 물질.
しき即是空そくぜくう 색즉시공.


しょく[色]
[접미어]색.
1.[접미어]색깔.
天然てんねんしょく 천연색.

2.[접미어]특성. 
특색.
地方ちほうしょく 지방색.


しょく[色]
1.색. 
빛깔.
原色げんしょく 원색

変色へんしょく 변색

色彩しきさい 색채

色盲しきもう 색맹.

2.겉에 나타난 모양.
喜色きしょく 희색

特色とくしょく 특색

古色こしょく 고색

容色ようしょく 용색

異色いしょく 이색

気色きしょく 기색

顔色がんしょく 안색

敗色はいしょく 패색

才色さいしょく 재색.

3.성적인 것. 
색.
好色こうしょく 호색

色情しきじょう 색정.



● From 康熙字典文字版

【未集下】【色字部】 色

〔古文〕𢒸【廣韻】所力切【集韻】【韻會】殺測切, 
𠀤音嗇。
【說文】顏氣也。
人之憂喜, 
皆著於顏, 
故謂色爲顏氣。
【禮·玉藻】色容莊。
【汲冢周書】喜色油然以出, 
怒色厲然以侮, 
欲色嫗然以愉, 
懼色薄然以下, 
憂悲之色瞿然以靜。
【後漢·嚴光傳】帝思其賢, 
乃令以物色訪之。
【註】以形貌求之也。
 又采色。
【書·臯陶謨】以五采彰施于五色。
【註】五色, 
靑黃赤白黑也。
【左傳·桓二年】五色比象, 
昭其物也。
 又色慾。
【書·五子之歌】內作色荒。
【傳】色, 
女色。
【禮·坊記】諸侯不下漁色, 
故君子遠色, 
以爲民紀。
 又物景亦曰色。
【莊子·盜跖篇】車馬有行色。
【潘岳·關中詩】重圍克解, 
危城載色。
豈曰無過, 
功亦不測。
【註】載色, 
猶言有生氣起色也。
 又【公羊傳·哀六年】色然而駭。
【註】驚貌。
 又【詩·魯頌】載色載笑。
【傳】色, 
溫潤也。
 又【戰國策】怒於室者色於市。
【註】色, 
作色也。
 又祕色。
【高齋漫錄】世言祕色, 
磁器。
錢氏有國時, 
越州燒進爲供奉之物, 
臣庶不得用, 
故云祕色。
 又【博雅】色, 
縫也。



● From BUDDHDIC

シキ
(term) form
From Eng-Ch-Eng dic of Buddhist terms

Matter 色 Or Form or Thing. 
The Sanskrit word is Rupa. 
It is defined as that which has resistence, 
or which changes and disappear, 
i.e., 
the phenomenal. 
There are inner and outer forms representing the organs and objects of sense respectively. 
Rupa is one of the Six Bahya-ayatanna or Six Gunas and also one of the Five Skandhas.
Rupa 色 【參照: Matter】or【參照: Five Skandhas】
From Korean Dic




>>>

● 색 (불교) 위키백과 
또한, 일체법의 다른 분류 체계 중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五位七十五法)과 유식유가행파의 5위 100법(五位百法) 중 1개의 위(位)를 차지하는 색법 (色法)에 해당한다. 
색은 단순히 물질계의 물질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3계 중 욕계뿐만 아니라 색계와 무색계의 물질에 대해서도 색이라는 말을 사용하거나, 5위 75법의 무표색과 5위 100법의...

● 색 [色] 철학사전
산스크리트어의 rūpa를 번역한 것. 
rūp(형성하다.), 또는 rū(파괴하다.)라고 하는 동사에서 파생되었다. 
넓은 의미에서는 물질적 존재를 총칭하는데, 
변화를 하면서 일정한 공간을 점유하고,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것을 특질로 한다. 
5온(五蘊) 중의 색온(色蘊)은 물질적인 형체 일반을 의미한다. 
유부(有部 : 소승 불교의 일파)에서는 5위(五位) 중...



● 오위칠십오법 위키백과
이러한 입장에서 설일체유부는 일체법을 색법(色法) 11가지, 심법(心法) 1가지, 심소법(心所法) 46가지,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14가지, 무위법(無爲法) 3가지의 5위 75법 으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에서 3가지 무위법(無爲法)을 제외한 나머지 4위(位), 즉 색법(色法)  · 심법(心法)  · 심소법(心所法)  ·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의 총 72가지 법...
육근대경을 인식하게 하는 근원적 요소

● 육근 [六根] 원불교대사전
육식(六識)이 경계(六境)를 인식하는 경우 그 소의(所依)가 되는 여섯 개의 뿌리. 
곧 심신을 작용하는 여섯 가지 감각기관으로서, 눈(眼根)ㆍ귀(耳根)ㆍ코(鼻根)ㆍ입(舌根)ㆍ몸(身根)ㆍ뜻(意根)의 총칭이다. 
12처(十二處) 중의 6처(六處)에 해당하며 육입(六入)이라고도 한다. 
안계(眼界)등의 전5근(前五根)은 감각기관(五官) 또는 그 기능을 의...

☞육근동작, 육근작용



● 안이비설신의 [眼耳鼻舌身意] 원불교대사전
육식(六識)이 경계(六境)를 인식하는 경우 그 소의(所依)가 되는 여섯 개의 뿌리. 곧 심신을 작용하는 여섯 가지 감각기관으로서, 
눈(眼根)ㆍ귀(耳根)ㆍ코(鼻根)ㆍ입(舌根)ㆍ몸(身根)ㆍ뜻(意根)의 총칭이다. 
12처(十二處)중의 6처(六處)에 해당하며 육입(六入)이라고도 한다.
 안계(眼界)등의 전5근(前五根)은 감각기관(五官) 또는 그 기능을 의...


● 대(大)·의(義)·과(科) [大·義·科] 원효 『금강삼매경론』 (해제)
셋 중에서 사대를 먼저 든 것은 수행에 있어서 먼저 거친 경계를 가려야 하기 때문인데 
색법(色法)이 가장 거칠다. 
색법은 안으로는 신체를, 밖으로는 산과 강 등을 가리키는데, 
이 사대 또한 방소(方所)가 있건 없건 얻을 수 없음을 관찰한다. 
다음으로는 오온(五蘊)과 십이처(十二處)와 십팔계(十八界)를 분별하는 것으로서 이 모든 것을 실로...


● 대승성업론 [大乘成業論] 두산백과 두피디아
당의 현장(玄奬:600∼664)이 651년에 한역하였다. 
산스크리트 원본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541년에 위나라의 비목지선(毘目智仙)이 번역한 《업성취론(業成就論)》이 있고 티베트본도 존재한다. 업(業)에 관한 논서로 소승의 여러 학파에서 주장하는 학설을 비판하면서 아뢰야식(阿賴耶識)에 기대어 업을 설명하였다. 저자 세친은 유부(有部)...
☞세친, 현장

● 유색법과 무색법 위키백과 
유색법과 무색법 즉 '유색법(有色法)  · 무색법(無色法)의 쌍'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현대적인 용어로는 물질과 비물질 (material and immaterial) 
또는 유형과 무형 (form and formless)을 뜻한다. 
명색(名色), 무참(無慚)  · 무괴(無愧) 등과 같이 특정한 2가지 법을 가리키는 여러 가지 2법(二法)들 가운데 하나이다...


● 오위 [五位] 시공 불교사전
① 모든 현상을 다섯 가지로 분류한 것. (1) 색법(色法). 감각 기관과 그 대상, 그리고 형상도 없고 감각되지도 않는 작용·힘·잠재력. (2) 심법(心法). 대상의 전체를 주체적으로 인식하는 마음 작용. (3) 심소유법(心所有法). 심법(心法)에 부수적으로 일어나 대상의 부분을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마음 작용. (4)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감각...
관련정보가행위, 자량위, 수습위, 구경위, 통달위, 색법, 심법, 심불상응행법

● 심 [心] 교육학용어사전
(1) 마음과 같은 뜻으로, 의식·감정·생각 등 정신적인 작용의 총체. 
(2) 불교에서는 만유를 크게 색법(色法;물질계)과 심법(心法;정신계)의 2법(法)으로 나누는데, 이때의 심법을 말함. 이 경우의 「심」은 정신 및 그 속성과 작용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그러나 이 심은 다시 마음의 주체로서의 「심왕법」(心王法)과 그 심왕법의 종속적인 작...
☞정보마음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edi
색 (불교)
14개 언어



<동음이의어>
【索】 p4279-下≫
梵語 pāśa. 
音譯作播捨․皤賖. 
又稱寶索․金剛索. 
此索以五色線搓成, 
一端置鐶, 
另一端付半獨股杵. 
本爲戰具或獵具, 
但於密敎中, 
以其爲捕縛難化者與降伏四魔之具, 
乃表示四攝方便之意. 
與金剛界之金剛索菩薩內證相應. 
又爲不空羂索․千手觀音所持之物. 
[大日經具緣品․不空羂索經卷九․慧琳音義卷六十一]



③-2544■불광사전
hbfl--07_Sa_0800.TIF

■ '색법'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색법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색법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색법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색법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색법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색법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rūpa-dharma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색법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색법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색법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 http://dic.tvbuddha.org/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






◎◎[개별논의] ❋추가참조


Lab value 불기2566/11/29/화/17:01

색과 물질과의 구별과 법처소섭색의 이해


불교 경전상 색의 표현을 이해함에 있어서 
특히 일반적인 입장에서 이해하는 물질과 색을 잘 구분할 필요가 있다. 
또 그런 가운데 법처소섭색 내지 무표색의 개념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기존에 살핀 내용과 중복된다. 
그래서 링크만 걸고 생략한다. 

■■■ ▣- 색은 정신내용이다. - 정신밖 외부 물질이 아니다.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k0650-t0099-001-01.html#383
sfed--잡아함경_K0650_T0099.txt ☞▣- 색은 정신내용이다. - 정신밖 외부 물질이 아니다.
sfd8--불교단상_2554_11.txt ☞▣- 색은 정신내용이다. - 정신밖 외부 물질이 아니다.
----


■■■ ▣- 법처소섭색[감각할 가능성으로서 유무판단]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k0650-t0099-001-01.html#223
sfed--잡아함경_K0650_T0099.txt ☞▣- 법처소섭색[감각할 가능성으로서 유무판단]
sfd8--불교단상_2554_11.txt ☞▣- 법처소섭색[감각할 가능성으로서 유무판단]
----
 ★1★










◆vtzi5709

◈Lab value 불기2566/11/29/화/02:57


○ 2020_0930_144207_nik_AR6.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Jack-Bush-marlene-deller-1941
[#M_▶더보기|◀접기|
Artist: Jack-Bush
from https://en.wikipedia.org/wiki/Jack_Bush
Title : marlene-deller-1941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525_174703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alway_cathedral
[#M_▶더보기|◀접기|
English: Cathedral of Our Lady Assumed into Heaven and St Nicholas
Author Unknownwikidata:Q4233718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Sankasia , Sankissa 및 Sankasya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 Wikipedia


○상세정보=> http://buddhism007.tistory.com/3858

Edith Piaf - Je T'ai Dans La Peua (Du Film 'boum Sur Paris')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1/material-elements.html#5709
sfx--dict/색법.txt
sfd8--불교용어dic_2566_11.txt ☞◆vtzi5709
불기2566-11-29
θ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인도의 외도인 수론파(數論派)가 세우는 내고(內苦)ㆍ외고(外苦)ㆍ천고(天苦).

답 후보
● 삼고(三苦)
삼륜(三輪)

삼매승(三昧僧)
삼먁삼보리(三藐三菩提)
삼무위(三無爲)
삼백사십팔계(三百四十八戒)
삼사(三思)

■ 음악
Gerard Lenorman - Y'a Plus D'printemps
Dalida - Rendez-Vous Au Lavandou
Julien Clerc - La Fille Au Bas Nylon
Robert Charlebois - Mon Pays Ce N'est Pas Un Pays
Mireille Mathieu - Merci Monsieur Tres Peu Pour Moi
Claude Dubois - Conscience Consciente
Quartet Buccal - Ramblin'man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內 ■ ( 안 내, / 들일 납, 장부 예 )
020▲ 斤今旡气內 ■ 근금기기내 20 ( 근 근/ 도끼 근 )( 이제 금 )( 목멜 기 / . 목메다( 기쁨이나 설움 따위의 감정이 북받쳐 솟아올라 그 기운이 목에 엉기어 막히다) )( 기운 기 / 빌 걸 ) )( 안 내, / 들일 납, 장부 예 )
007▲ 亻入左卩㔾 ■ 인입좌절절 7 ( 사람인변 인 )( 들 입 )( 왼 좌 )( 병부 절 )( 병부 절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esshin
[san-chn] ṣaḍ-āyatanāni 沙羅伊檀
[san-eng] hetumadbhiḥ $ 범어 with cause and effect
[pali-chn] devânussati 念天
[pal-eng] vissari $ 팔리어 aor. of vissariforgot.
[Eng-Ch-Eng] Ritual Procedure for Making Offerings to the Seven Healing-Master Buddhas, the Wish-Fulfilling Kings 藥師七佛供養儀軌如意王經
[Muller-jpn-Eng] 文來 ブンライ portfolio
[Glossary_of_Buddhism-Eng] PARABLE: CHILD LICKING HONEY☞
Buddha Sakyamuni compared sentient beings chasing after the
fleeting pleasures of this world to a child licking honey off a sharp
knife. There is no way they can avoid hurting themselves.
Editor / Tam: 306 #2331
【book-page-554 555】

[fra-eng] l'annulation $ 불어 the annulment


■ 암산퀴즈


712* 109
163176 / 312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7 번째는?
자비주 20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8 번째는?




07 힘이 몸에 넘치도록 증장시키며,
바라참포, 筏羅讖蒱<七>
vira ksam bhu.
영웅(英羅)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0
만약 모든 여인이 여자의 몸을 싫어해서
남자 몸을 얻으려고
대비심 다라니(大悲心陀羅尼)를 외우고 지녀도
만약 남자 몸을 이루지 못한다면
나는 맹서코 정각을 이루지 않겠습니다.
다만 조금이라도
의심을 내는 자는 반드시 이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 노가제 盧迦帝<二十> lo ka te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8
소미모가다 바라 아나
蘇尾目訖哆<二合>鉢囉<二合>惹拏<八二合>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32일째]
지혜통달불가설 $ 074▲計羅計羅為 一 ● 細羅, ○□□□□,三,了,明,修

□□□□□□□, 三昧自在不可說,
了達諸法不可說, 明見諸佛不可說,
□□□□□□□, 삼매자재불가설,
료달제법불가설, 명견제불불가설,

지혜로 통달함을 말할 수 없고
삼매에 자재함을 말할 수 없고
모든 법 잘 아는 것 말할 수 없고
부처님 밝게 봄도 말할 수 없고

075□

[333째]
수무량행불가설 $ 075▲細羅細羅為 一 ● 睥羅, ○□□□□,發,甚,清,菩

□□□□□□□, 發廣大願不可說,
甚深境界不可說, 清淨法門不可說,
□□□□□□□, 발광대원불가설,
심심경계불가설, 청정법문불가설,

한량없는 행 닦음을 말할 수 없고
광대 서원 내는 일도 말할 수 없고
깊고 깊은 경계를 말할 수 없고
청정한 법문들도 말할 수 없고





●K0956_T1562.txt★ ∴≪A아비달마순정리론≫_≪K0956≫_≪T1562≫
●K0947_T1539.txt★ ∴≪A아비달마식신족론≫_≪K0947≫_≪T1539≫
●K0957_T1563.txt★ ∴≪A아비달마장현종론≫_≪K0957≫_≪T1563≫

법수_암기방안


74 무명지 (~약지 )
75 알머리뼈
7 갈비 【협】
20 가운데(손가락) (MIDDLE)


8 큰 창자,【대장】

77608
523

○ 2019_1105_161455_nik_exc_s12


○ 2019_1105_165326_nik_fix


○ 2019_1106_101748_can_exc


○ 2019_1106_105343_can_exc


○ 2019_1106_114124_can_fix


○ 2019_1106_115637_can_exc_s12


○ 2019_1106_131341_can_fix


○ 2019_1106_152856_can_exc_s12


○ 2020_0904_140134_can_ori_rs


○ 2020_0905_120802_can_ori_rs


○ 2020_0908_155518_can_ori_rs


○ 2020_0909_160932_can_ori_rs


○ 2020_0910_183031_can_ori_rs


○ 2020_1017_145809_can_exc_s12


○ 2018_1023_143315_can_ori


○ 2019_0106_153310_nik_exc


○ 2020_1114_142638_nik_exc


○ 2020_1114_142654_nik_exc


○ 2019_1104_094549_can_exc


○ 2019_1104_134330_can_exc_s12

● [pt op tr] fr
_M#]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색법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링크용타이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색법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1/material-elements.html
sfx--dict/색법.txt
sfd8--불교용어dic_2566_11.txt ☞◆vtzi5709
불기2566-11-29

https://buddhism007.tistory.com/13228
htmback--색법_불기2566-11-29-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