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8월 31일 일요일

근본살바다부율섭-k0934-007


『근본살바다부율섭』


K0934
T1458

근본살바다부율섭 제7권/전체14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8-31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934_T1458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근본살바다부율섭』 ♣0934-007♧




근본살바다부율섭 제7권/전체14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73046_nikon_exc▾순천 조계산 송광사

오대산 상원사
○2020_0905_142901_canon_ori_rs▾오대산 상원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51847_canon_ori_rs▾속리산 법주사

화성 용주사
○2020_0930_142553_nikon_ori_rs▾화성 용주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60217_nikon_exc▾삼각산 화계사

구례 화엄사
○2019_1104_095850_canon_exc_s12▾구례 화엄사

강화도_전등사
○2021_0216_143107_canon_exc▾강화도_전등사

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1_1003_172904_nikon_exc_s12▾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2021_1007_100737_nikon_exc_s12▾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안성_칠현산_칠장사
○2021_0215_153205_nikon_exc_s12▾안성_칠현산_칠장사

석모도_낙가산_보문사
○2021_0216_111529_canon_exc_s12▾석모도_낙가산_보문사

여수_금오산_향일암
○2021_1005_120520_nikon_exc▾여수_금오산_향일암

서울_도봉산_광륜사
○2019_0317_163348_nikon_exc_s12▾서울_도봉산_광륜사

포천_백운산_흥룡사
○2021_0320_160427_nikon_exc▾포천_백운산_흥룡사

하동_고성산_약천사
○2021_1004_181652_nikon_exc_s12▾하동_고성산_약천사

여수_금오산_향일암
○2021_1005_120258_nikon_exc_s12▾여수_금오산_향일암

하동_고성산_약천사
○2021_1004_170848_nikon_exc_s12▾하동_고성산_약천사

서울_구룡산_구룡사
○2022_1031_152417_nikon_exc▾서울_구룡산_구룡사

서울_북악산_성불사
○2014_1129_135808_canon_exc_s12▾서울_북악산_성불사

● [pt op tr] fr
_M#]


경주_함월산_골굴사
○2021_1002_183111_nikon_exc_s12▾경주_함월산_골굴사



❋❋본문 ◎[개별논의]

★%★

『근본살바다부율섭』 ♣0934-007♧
근본살바다부율섭 해제 (있는 경우)

근본살바다부율섭 007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blj5117
◈Lab value 202110021831


○ 2019_0405_143938_can_ct9.jpg



wikiart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the-roman-antiquities-t-3-plate-xx-plan-elevation-and-cross-section-of-a-tomb-on-the-ancient.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Giovanni-Battista-Piranesi


Giovanni Battista (also Giambattista) Piranesi ( 4 October 1720 – 9 November 1778)
이탈리아 예술가로 피라네시 (Piranesi)는 베니스 공화국의 일부인 트레비조 (Treviso ) 근처의
모글리아노 베네토 (Mogliano Veneto )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형제 Andrea는 그를 라틴어 와 고대 문명에 소개했으며
나중에 삼촌 마테오 루체시 (Matteo Lucchesi)의 견습생이 되어,
역사적인 건축물을 설계하고 복원하는 Magistrato delle Acque 의 수석 건축가였습니다 .[...이하 줄임...]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Title : the-roman-antiquities-t-3-plate-xx-plan-elevation-and-cross-section-of-a-tomb-on-the-ancient.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606_133431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t._Thecla_Monastery,_Ma'loula,_Syria
[#M_▶더보기|◀접기|
Many pilgrims come to Ma`loula, both Muslim and Christian, and they go there to gain blessings and make offerings.
Author James Gordon from Los Angeles, California, USA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Court GANESH Arcade Chiang Ma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Jean Luc Lahay - Femme Que J'aim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9/k0934-007.html#5117
sfed--근본살바다부율섭_K0934_T1458.txt ☞근본살바다부율섭 제7권/전체14권
sfd8--불교단상_2569_08.txt ☞◆vblj5117
불기2569-08-31
θθ





■ 퀴즈



 대승의 보살들이 받아 지니는 계율. 통틀어는 3취정계 가운데의 섭률의계(攝律儀戒)에 해당. 유가품승은 『유가사지론』 의 보살지품인 『선계경』 에 의한 것으로서, 섭률의계는 소승 비구가 받아 지니는 250계. 고려 때의 임금들은 정기적으로 보살계를 받았다고 함.

답 후보
● 보살계(菩薩戒)

보장(報障)
보현경계(普賢境界)
보현연명법(普賢延命法)
복장다라니(復藏多羅尼)
본문개현(本門開顯)
본식(本識)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Barbara - Ich Liebe Dich Kann Ich Nicht Sagen `Je Ne Sais Pas Dire...`
Renan Luce - Les Gens Sont Fous
Keen'v - Petite Emilie
AYA NAKAMURA - Soldat
Les Cowboys Fringants - Awikatchikaen
Richard Cocciante - Le Coup De Soleil
Mylène Farmer - Mylène S'en Fout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09▲ 亠干巾彐彑 ■ 두간건계계 9 ( 돼지해머리 두 )( 방패 간 / 줄기 간, 마를 건, 들개 안, 일꾼 한 )( 수건 건 )( 돼지 머리 계 / [彐,⺕] 튼가로왈 )( 돼지 머리 계 )
048▲ 由㠯以田占 ■ 유이이전점 48 ( 말미암을 유, / 여자의 웃는 모양 요 ) ( 써 이 / 를 가지고, ~를 근거( 根據)로 이 )CF= 吕 ( 성씨 려 ,)( 써이 / 㠯 )( 밭 전) (점령할 점/점칠 점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aṅkhāra
[san-chn] dvi-bhikṣu 二種比丘
[san-eng] anādiṃ $ 범어 without beginning
[pali-chn] citta-dhamma 心法
[pal-eng] aacariyadhana $ 팔리어 nt.teacher's fee.
[Eng-Ch-Eng] 惡業 Akushala 惡業 Sanskrit word. It means bad Karma.
[Muller-jpn-Eng] 大王 ダイオウ great king
[Glossary_of_Buddhism-Eng] SAMANTABHADRA☞
See also: Ten Great Vows.
Jpn / Fugen; Vn / Phổ-Hiền. Also called Universal Worthy. A major
Bodhisattva, who personifies the transcendental practices and vows
of the Buddhas (as compared to the Bodhisattva Manjusri, who
represents transcendental wisdom). Usually depicted seated on an
elephant with six tusks (six paramitas). Best known for his Ten Great
Vows (q.v.).
Editor: na
Each of the Ten Vows of the Bodhisattva Samantabhadra should be
put into practice without interruption, in thought after thought, with
body, speech and mind. Thus, the three karmas of body, speech and
mind of the practitioner are pure, empty and still. In his lifetime, he
has sown the seeds of rebirth in a pure realm. At the time of death,
he will naturally be reborn in such a realm, of which the most representative is the Pure Land of Amitabha Buddha. This is a good
illustration of the Pure Land / Zen teaching, “if the mind is pure, the
land is pure.”
“In the Avatamsaka Sutra, Samantabhadra makes Ten Great Vows
concerning his Buddhist practice. In the twenty-eighth chapter of
the Lotus Sutra, he vows to protect the Lotus Sutra, and its devotees.
(Samantabhadra is believed to have the power of prolonging life, and
esoteric rituals for this purpose are directed toward him.) Worship
of Samantabhadra has been popular from ancient times; a number
of murals in Central Asia and images in China and Japan remain in
existence.”
Note: The Bodhisattva Samantabhadra is considered the transcendental Pure Land Patriarch (Master Hui Yuan was the temporal
founder of the school in East Asia).

[fra-eng] l'éjecteur $ 불어 the ejector
[chn_eng_soothil] 八種粥 The eight kinds of congee, or gruel, served by the citizens to the Buddha and his disciples when in retreat in the bamboo grove of Kāśī; they were of butter, or fats, or hempseed, milk, peas, beans, sesamum, or plain gruel.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言: 「甚多, 世尊.」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매우 많겠나이다. 세존이시여.”
[玄奘] 善現答言: 「甚多, 世尊! 甚多, 善逝! 是善男子或善女人,
由此因緣所生福聚其量甚多!」
[義淨] 妙生言: 「甚多, 世尊!」
11-04 सुभूतिराह-बहु भगवन्, बहु सुगत स्त्री वा पुरुषो वा ततोनिदानं पुण्यस्कन्धं प्रसुनुयादप्रमेयमसंख्येयम्।
subhūtirāha | bahu bhagavan bahu sugata strī vā puruṣo vā tatonidānaṁ
puṇyaskandhaṁ prasunuyādaprameyamasaṁkhyeyam |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많습니다. 복덕갖춘분이시여! 많습니다. 잘가닿은분이시여!
여자나 남자가 그것이 원인이 되어 측량할 수 없고 헤아릴 수 없는 공덕무더기를
생성해낼 것입니다.”
▼▷[subhūtirāha] ① subhūtiḥ(ƾ.nom.) + āha(ƺ.) → [수보리는、 말했다.]
▼▷[bahu] ① bahu(ƺ.) → [많습니다]
② bahu(nj. much, many, frequent, numerous: ƺ. much, abundantly, very much; somewhat)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bahu] ① bahu(ƺ.) → [많습니다]
▼[sugata] ① sugata(ƾ.voc.) → [잘가닿은분이시여!]
② sugata(nj. well­gone or passed; well­bestowed: ƾ. an epithet of buddha)
▼[strī] ① strī(Ʒ.nom.) → [여자는]
▼[vā] ① vā(ƺ.) → [또는]
▼[puruṣo] ① puruṣaḥ(ƾ.nom.) → [남자는]
▼[vā] ① vā(ƺ.) → [또는]
▼[tatonidānaṁ] ① tataḥ(ƺ.) + nidānaṁ(ƿ.acc.→adv.) → [그것으로부터、 까닭하여] →
그것이 원인이 되어
▼[puṇyaskandhaṁ] ① puṇya+skandham(ƾ.acc.) → [공덕무더기를]
▼[prasunuyādaprameyamasaṁkhyeyam] ① prasunuyāt(pot.Ⅲ.sg.) +
aprameyam(nj.→ƾ.acc.) + asaṁkhyeyaṁ(nj.→ƾ.acc.) → [생성해낼 수 있습니다、
측량할 수 없는、 헤아릴 수 없는.]
② aprameya(nj.[pot.p.] immeasurable, boundless; inscrutable, unfathomable)
② asaṁkhyeya(nj.[pot.p.] innumerable: ƿ. an exceedingly large number)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43일째]
신통대력불가설 $ 114▲無量轉無量轉為 一 ● 無邊, ○□□□□,無,入,毛,成

□□□□□□□, 無障礙智不可說,
入於毛孔不可說, 毛孔因緣不可說,
□□□□□□□, 무장애지불가설,
입어모공불가설, 모공인연불가설,

神通大力不可說,
신통하신 큰 힘을 말할 수 없고
걸림없는 지혜도 말할 수 없고
털구멍에 드시는 일 말할 수 없고
털구멍의 인연도 말할 수 없고

115□

[246째]
종종삼매불가설 $ 117▲無等無等為 一 ● 無等轉, ○□□□□,悉,於,所,得

□□□□□□□, 悉能經劫於中住,
於不可說諸佛所, 所行清淨不可說。
□□□□□□□, 실능경겁어중주,
어불가설제불소, 소행청정불가설。

種種三昧不可說,
가지가지 삼매 말할 수 없어
여러 겁 지내도록 머물러 있고
말할 수 없는 부처 계신 곳에서
청정하게 닦은 행을 말할 수 없고





●K1037_T1673.txt★ ∴≪A권발제왕요게≫_≪K1037≫_≪T1673≫
●K0934_T1458.txt★ ∴≪A근본살바다부율섭≫_≪K0934≫_≪T1458≫
●K0898_T1454.txt★ ∴≪A근본설일체유부계경≫_≪K0898≫_≪T1454≫


■ 암산퀴즈


838* 444
250698 / 762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8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22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27 번째는?




48 좋은 말씀은 흐리고 악한 기운을 능히 맑히며
가리, 遏[口*梨]<四十八>
ala
(~!~) 마음의 보호를 성취케 하시고, 온갖 눈병(惡相)으로부터 보호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20 기라야미 ◐枳囉夜彌<捕罰二百二十>◑Kilayāmi//
221 다기니 ◐茶枳尼<狐魅鬼二><百二十一>◑Ḍākinī
222 가리담미댜 ­ ◐訖哩擔微地也<明呪二百二十二>◑kritāṃ vidyāṃ
223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二十三>◑chindayāmi kilayāmi//
224 마하바슈바디야 ◐摩訶鉢輸鉢底夜<二百><二十四>◑Mahāㆍpaśupati
225 로타라 ◐嚕陁囉<大自在天二百二十五>◑Rudra
226 가리탐미댜 ­ ◐訖哩耽微地也<明呪二百二十六>◑kritāṃ vidyāṃ
227 진타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二十七>◑chindayāmi kilayāmi//
228 나라야나야텬신 ◐那囉耶拏耶<天神二百二十八>◑Nārāyaṇa
229 가리탐미댜 ­ ◐訖哩耽微地也<明呪><二百二十九>◑kritāṃ vidyāṃ

●가령 어떤 중생이 마음이 산란하여
삼마지(三摩地)에 들지 못하고
마음으로 생각하여
입으로 외울지라도,
이 금강왕(金剛王)들은 언제나 저 선남자들을 따라다니는데,
더욱이 어찌 보리의 마음을 결정한 사람이겠느냐.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27
모든 감관[根]을 항복받아 그 작용을 그치게 하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止息降諸根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372072
329
법수_암기방안


22 엄지 첫마디 [ 썸 넉클 THUMB knuckle]
114 pulse 맥박~점(맥박뛰는곳)
117 [바이셉쓰biceps ] 알통
48 왕(엄지)발가락 a big[great] toe


27 새끼마디 [little finger-넉클knuckle]
43 꼬마(새끼)발가락 the little toe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903_210848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23) 수나라 경사 대흥선사 석보헌전(釋寶憲傳)



보헌은 정주(鄭州) 사람이며,
보진(寶鎭)이라는 율사의 제자이다.
어릴 때부터 율사에게 의지하여 계율의 조목들을 받들며 도량을 살피고 재능을 관찰하면서 그의 대법(大法)을 원만히 이어받았다.
그리하여 구족계를 받던 날에는 다만 글과 말만 받들었고 행동규범에 있어서는 미리 다 원만하게 갖추고 있었다.
그리고 또한 그에게는 스승과 제자의 도리도 있었고 널리 불법을 펴는 덕업도 있었다.
개황(開皇) 초엽에는 보진 율사와 함께 서울에 와서 대흥선사에 추석하였는데,
몸가짐이 조화롭고 깨끗하였으며 속된 말을 하지 않았다.
인수(仁壽) 연간에 칙명을 받들어 홍주(洪州)에 사리탑을 세우게 되었는데,
홍주는 바로 ‘예장(豫章)’이라고 불리던 곳이었다.
일행이 그 고을을 향하여 가던 도중에 강에 가로막히게 되었는데,
그 강물의 유량(流量)이 적어서 진흙물로 변하여 배로 건널 수가 없었다.
이때 모든 사람들의 힘도 거의 소진되어서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갈 수 도리가 없었으나,
정해진 기일이 임박하였으므로 도속들이 모두 당황해하고 두려워하였다.
보헌은 마침내 마음속으로 사리에 의지하여 강을 건너게 해주기를 청하였더니,
갑자기 하늘에서 백조(白鳥)가 내려와 뱃머리를 천천히 날면서 왔다 갔다 하는 것이 마치 인도하는 듯하였다.
곧 사람을 보내서 그 새의 뒤를 따라가니,
드디어 유량이 많은 수맥(水脈)을 만나게 되었고 밤새도록 배를 띄워 안전하고 지장 없이 건너 편 언덕에 도달할 수 있었다.
그후 보헌은 서울에 돌아와 곧 생을 마쳤다.



출전:
한글대장경 K1075_T2060
속고승전(績高僧傳) 당 도선찬
續高僧傳 【唐 道宣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발끝 치기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8-11-27-수
♡서천사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방축리 103-1
[사진]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https://map.naver.com
[세계내-위치]
https://www.google.nl
[설명 1] https://riho.tistory.com
[설명 2] https://blog.naver.com
[동영상 1]
https://youtu.be
역사로 보는 호국사찰, 서천사의 이야기🧐/미디어크리에이터
[동영상 2] https://youtu.be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002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歸命一切如來應正等覺二>◑arhate samyaksaṃbuddhāsya//


○2019_1004_140704_canon_Ar28


○2019_1004_175533_nikon_ab41


○2019_1004_132828_nikon_ar33


○2019_1004_145931_canon_AB7


○2019_1004_152311_nikon_ar47


○2019_1004_174830_nikon_ct18


○2019_1004_155237_nikon_ar38


○2019_1004_141212_canon_ct31


○2018_1025_162825_canon_ct19


○2020_0224_105047_nikon_CT33_s12


○2020_0224_110511_nikon_AB7_s12


○2020_0224_113412_nikon_AB4_s12


○2020_0224_114350_nikon_Ar37_s12


○2020_0224_123022_nikon_bw4_s12


○2020_1126_153934_canon_Ar37_s12


○2020_1126_155531_nikon_BW17


○2020_1126_155836_canon_AB4_s12


○2020_1126_160045_nikon_ar32


○2020_1126_160757_nikon_ar24

● [pt op tr] fr
_M#]



○2019_1004_163924_canon_ct9_1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근본살바다부율섭_K0934_T1458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근본살바다부율섭』 ♣0934-007♧
[관련키워드]
근본살바다부율섭 제7권/전체14권

■ 본 페이지 ID 정보
근본살바다부율섭-K0934-007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9/k0934-007.html
sfed--근본살바다부율섭_K0934_T1458.txt ☞근본살바다부율섭 제7권/전체14권
sfd8--불교단상_2569_08.txt ☞◆vblj5117
불기2569-08-31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994224832
https://buddhism007.tistory.com
https://truth007.tistory.com/4342
htmback--불기2569-08-31_근본살바다부율섭_K0934_T1458-tis.htm
● [pt op tr] fr
_M#]



2025년 8월 30일 토요일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k0394-003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


K0394
T0443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 제3권/전체8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8-30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394_T0443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 ♣0394-003♧




대방편불보은경 제7권/전체7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0515_nikon_ct31▾순천 조계산 송광사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55747_canon_CT27▾화순 계당산 쌍봉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2352_canon_ab35_s12▾순천 조계산 송광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5053_canon_ar47▾순천 조계산 송광사

오대산 월정사
○2020_0905_120523_canon_CT28▾오대산 월정사

오대산 상원사
○2020_0905_140829_canon_BW17▾오대산 상원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45351_canon_AB7▾양산 통도사

무주 백련사
○2020_0909_161318_canon_BW28▾무주 백련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24941_canon_ct9▾속리산 법주사

화성 용주사
○2020_0930_135301_canon_CT34▾화성 용주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0520_canon_bw0_s12▾삼각산 화계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60323_canon_ar12▾삼각산 화계사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61425_nikon_ct19▾예산 덕숭산 수덕사

구례 지리산 연곡사
○2019_1104_171545_canon_bw24_s12▾구례 지리산 연곡사

영월_사자산_법흥사
○2021_0930_180842_canon_CT28_%23065▾영월_사자산_법흥사

강릉_괘방산_등명낙가사
○2021_0929_164447_canon_AR35_s12▾강릉_괘방산_등명낙가사

홍천_공작산_수타사
○2021_0214_164729_nikon_ar3▾홍천_공작산_수타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21_0214_135152_canon_Ar26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소요산_자재암
○2023_0119_154850_canon_BW3_s12▾소요산_자재암

● [pt op tr] fr
_M#]


원주 구룡사
○2019_1201_161536_nikon_Ab31_s12▾원주 구룡사



❋❋본문 ◎[개별논의]

★%★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 ♣0394-003♧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 해제 (있는 경우)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 003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pld3148
◈Lab value 202301191548


○ 2019_1106_111852_can_Ab31_s12.jpg



wikiart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brandenburg-gate-in-berlin
[#M_▶더보기|◀접기|
Artist: Ernst-Ludwig-Kirchner

Ernst Ludwig Kirchner (6 May 1880 – 15 June 1938) 독일 표현주의 화가 이자 판화 인 이었으며
Die Brücke 또는 20 세기 예술 의 표현주의 의 기초가되는 핵심 그룹 인 The Bridge 의 창시자 중 한 명입니다 .
그는 제 1 차 세계 대전 에서 군 복무에 자원 했지만 곧 붕괴를 당하고 퇴역했습니다.
1933 년, 그의 작품은 나치에 의해 " 퇴보 " 라는 브랜드가 붙여졌고 ,
1937 년에는 600 점이 넘는 그의 작품이 팔리거나 파괴되었습니다.
[...이하 줄임...]
from https://en.wikipedia.org/wiki/Ernst_Ludwig_Kirchner
Title : brandenburg-gate-in-berlin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525_190141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Vaiaku_Lagi_Hotel
[#M_▶더보기|◀접기|
English: Vaiaku Lagi Hotel
Author lirneasia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Wat Si Khom Kham วัดศรีโคมคำ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buddhism007.tistory.com/4242

Julien Clerc - Si Tu Reviens [Liv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8/k0394-003.html#3148
sfed--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_K0394_T0443.txt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 제3권/전체8권
sfd8--불교단상_2569_08.txt ☞◆vpld3148
불기2569-08-30
θθ





■ 퀴즈

 【범】amoghasiddhi 금강계(金剛界) 5불의 하나. 아목카실지(阿目佉悉地)라 음역. 금강계 만다라 북방월륜(北方月輪)의 주존(主尊). 이 부처님은 성소작지(成所作智)로 이룬 것으로 자리(自利)ㆍ이타(利他)의 행을 성취하므로 불공성취라 이름함.

답 후보
● 불공성취(不空成就)
불명(佛名)
불변수연(不變隨緣)
불상응심(不相應心)

불신(不信)
불요의교(佛了義敎)
불타선다(佛陀扇多)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ICHEL SARDOU ⁄ Si j'avais un frère
Edith Piaf - Coup De Grisou
Mort Shuman - Voil0 Comment Tu M'as Laisse
Graziella De Michelle - Michaël rentre dans l'histoire
Mireille Mathieu - Suber Die Glocken Nie Kingen
Amelie Les Crayons - Tout De Nous
JANE BIRKIN - Ex Fan Des Sixtie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08▲ 丁七八勹厂 ■ 정칠팔포한 8 ( 고무래 정/장정 정 --CF* 고무래( 곡식을 그러모으고 펴거나, 밭의 흙을 고르거나 아궁이의 재를 긁어모으는 데에 쓰는 丁 자 모양의 기구) )( 일곱 칠 )( 여덟 팔 )( 쌀 포 )( 기슭 한 / 기슭 엄, 공장 창 )
047▲ 玉瓦凹用右 ■ 옥와요용우 47 ( 구슬 옥 ) ( 기와 와 ) ( 오목할 요, / 오목할 압 ) ( 쓸 용 ) ( 오른쪽 우/ 도울 우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angati
[san-chn] samukarī 普散
[san-eng] munīnāṃ $ 범어 of the sages
[pali-chn] muditâppamāṇa 喜無量心
[pal-eng]
[Eng-Ch-Eng] eight consciousnesses 八識
[Muller-jpn-Eng] 規機 キキ to fathom a sentient being's capacity
[Glossary_of_Buddhism-Eng] ONE PRACTICE SAMADHI☞
See: Buddha Recitation Samadhi.

[fra-eng] occident $ 불어 occident
[chn_eng_soothil] 多摩梨帝 Tamralipti, or Tamralipttī; the modern Tumluk in the estuary of the Hugli; also 呾摩栗底 (or 躭摩栗底) .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我今實言告汝, 若有善男子善女人, 以七寶,
滿爾所恒河沙數三千大千世界, 以用布施, 得福多不?」
“수보리야, 내가 지금 참말로 말하노니, 어떤 선남자나 선녀인이 그렇게 많
은 항하의 모래 같이 많은 삼천대천세계에 칠보를 가득히 채워서 보시에
쓴다면 그 복덕이 많지 않겠느냐?”
[玄奘] 佛言: 「善現, 吾今告汝、開覺於汝, 假使若善男子或善女人,
以妙七寶盛滿爾所殑伽河沙等世界, 奉施如來、應、正等覺. 善現, 於汝意云何,
是善男子或善女人, 由此因緣所生福聚寧為多不?」
[義淨] 「妙生, 我今實言告汝, 若復有人以寶滿此河沙數量世界, 奉施如來,
得福多不?」
11-03 भगवानाह- आरोचयामि ते सुभूते, प्रतिवेदयामि ते।
यावत्यस्तासु गङ्गानदीषु वालुका भवेयुस्तावतो लोकधातून् कश्चिदेव स्त्री वा पुरुषो वा सप्तरत्नपरिपुर्णं कृत्वा तथागतेभ्योऽर्हद्भयः
सम्यक्संबुद्धेभ्यो दानं दद्यात्, तत् किं मन्यसे सुभूते-अपि नु सा स्त्री वा पुरुषो वा ततोनिदानं बहु पुण्यस्कन्धं प्रसुनुयात् ?


bhagavānāha | ārocayāmi te subhūte prativedayāmi te | yāvatyastāsu
gaṅgānadīṣu vālukā bhaveyustāvato lokadhātūn kaścideva strī vā puruṣo vā
saptaratnaparipūrṇaṁ kṛtvā tathāgatebhyo'rhadbhyaḥ samyaksambuddhebhyo
dānaṁ dadyāt | tatkiṁ manyase subhūte | api nu sā strī vā puruṣo vā
tatonidānaṁ bahu puṇyaskandham prasunuyāt |
복덕갖춘분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그대를 위해 (내가) 밝혀줄 것이며, 그대를 위해
(내가) 알게 해줄 것이다. 그 강가강들 안에 있는 모래알들만큼 (그것들이 강가강들이)
될 수 있으며, 바로 그만큼의 세계영역들을 오직 어떤 여자나 남자가 일곱 가지
보석으로 가득 차게 만들고 응당공양올려야될분들이자 바르고동등하게깨달으신분들인
그렇게오신분들을 위해 보시를 드린다면,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 수보리여! 또한
반드시 그 여자나 남자가 그것이 원인이 되어 많은 공덕무더기를 생성할 수 있겠느냐?”
▼▷[bhagavānāha] ① bhagavān(ƾ.nom.) + āha(ƺ.) → [복덕갖춘분께서、 말씀하셨다.]
▼▷[ārocayāmi] ① ārocayāmi(caus.pres.Ⅰ.sg.) → [(내가) 밝혀줄 것이다]
② āruc(1.Ʋ. to shine near or towards) < ā(adv. near to, towards) + ruc(1.Ʋ. to shine; to
like, be pleased with: [caus.] to cause to like, make pleasant; to illuminate, irradiate)
▼[te] ① te(pn.Ⅱ.dat.) → [그대를 위해.]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prativedayāmi] ① prativedayāmi(caus.pres.Ⅰ.sg.) → [(내가) 알게 해줄 것이다]
② prativid(2.ǁ. to acknowledge, receive: 6.ǁ. to get, obtain: [caus.] to communicate,
inform; to deliver, give, grant; restore) < prati(ƺ. towards, near to, down upon) +
vid(2.ǁ. to know, understand; 4.Ʋ. to be, exist; 6.dž. get, obtain)
▼[te] ① te(pn.Ⅱ.dat.) → [그대를 위해.]
▼▷[yāvatyastāsu] ① yāvatyaḥ(nj.→Ʒ.nom.pl.) + tāsu(pn.Ʒ.loc.pl.) → [(~만큼)、 그]
▼[gaṅgānadīṣu] ① gaṅgā+nadīṣu(Ʒ.loc.pl.) → [강가강들 안에서 → 강가강들 안에 있는]
▼[vālukā] ① vālukāḥ(Ʒ.nom.pl.) → [모래알들이] → 모래알들만큼
 yāvatyaḥ vālukāḥ bhaveyuḥ : 만큼、 모래알들이、 될 수 있다. > 모래알들만큼 될
수 있다. > 모래알들만큼 (그것들이 강가강들이) 될 수 있다.
▼[bhaveyustāvato] ① bhaveyuḥ(pot.Ⅲ.pl.) + tāvataḥ(nj.→ƾ.acc.pl.) → [될 수 있다(→될
수 있으며)、 바로 그 만큼인]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② tāvat(nj. so much, so many; so great, so large: ƺ. first; just, now; indeed; truly)
▼[lokadhātūn] ① lokadhātūn(ƾ.acc.pl.) → [세계영역들을]
② lokadhātu(ƾ. a particular division of the world)
▼[kaścideva] ① kaścit(pn.ƾ.nom.) + eva(ƺ.) → [어떤、 오직]
② kim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② eva(ƺ. indeed, truly, really; just so, exactly so truly)
▼[strī] ① strī(Ʒ.nom.) → [여자가]
② strī(Ʒ. a woman; a female of any animal; a wife)
▼[vā] ① vā(ƺ.) → [또는]
▼[puruṣo] ① puruṣaḥ(ƾ.nom.) → [남자가]
② puruṣa(ƾ. a male being, man; mankind; the soul; the supreme being: [­ā]Ʒ. a woman)
▼[vā] ① vā(ƺ.) → [또는]
▼[saptaratnaparipūrṇaṁ] ① sapta+ratna+paripūrṇaṁ([nj.→]ƿ.acc.→adv.) → [일곱
보석으로 가득 차게]
 일곱 보석으로 가득 차게 세계영역들을 만들고… > ~가득 차게 만들고
② sapta(num.nj. seven)
② ratna(ƿ. a gem, jewel; anything best or excellent of its kind)
② paripūrṇa(nj. quite full, completely filled or covered with; self­satisfied, content)
▼[kṛtvā] ① kṛtvā(ger.) → [만들고]
② kṛ(8.dž. to do, make, perform → to create, to produce)
▼[tathāgatebhyo'rhadbhyaḥ] ① tathāgatebhyaḥ(ƾ.dat.pl.) + arhadbhyaḥ(nj.→ƾ.dat.pl.) →
▼[그렇게오신분들을 위해、 응당공양올려야될]
▼[samyaksambuddhebhyo] ① samyaksambuddhebhyaḥ(nj.→ƾ.dat.pl.) →
▼[바르고동등하게깨달으신]
▼[dānaṁ] ① dānaṁ(ƿ.acc.) → [보시를]
② dāna(ƿ. giving, granting, teaching; delivering, handing over; a gift, donation)
▼[dadyāt] ① dadyāt(pot.Ⅲ.sg.) → [드릴 수 있다. → 드릴 수 있다면,]
② dā(1.ǁ. to give, bestow, grant: 2.ǁ. to cut: 4.ǁ. to bind: 3.dž. to give, bestow, grant)
▼▷[tatkiṁ] ① tat(pn.ƿ.acc.) + kiṁ(ƺ.) → [그것을、 어떻게]
▼[manyase] ① manyase(pres.Ⅱ.sg.) → [(그대는) 생각하는가?]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api] ① api(ƺ.) → [또한]
▼[nu] ① nu(ƺ.) → [반드시]
② nu(ƺ. now, still, just, at once; certainly, surely)
▼[sā] ① sā(Ʒ.nom.) → [그]
▼[strī] ① strī(Ʒ.nom.) → [여자는]
▼[vā] ① vā(ƺ.) → [또는]
▼[puruṣo] ① puruṣaḥ(ƾ.nom.) → [남자는]
▼[vā] ① vā(ƺ.) → [또는]
▼[tatonidānaṁ] ① tataḥ(ƺ.) + nidānaṁ(ƿ.acc.→adv.) → [그것으로부터、 까닭하여] →
그것이 원인이 되어
▼[bahu] ① bahu(ƺ.) → [많게]
② bahu(nj. much, many, frequent, numerous: ƺ. much, abundantly, very much; somewhat)
▼[puṇyaskandham] ① puṇya+skandham(ƾ.acc.) → [공덕무더기를]
▼[prasunuyāt] ① prasunuyāt(pot.Ⅲ.sg.) → [생성할 수 있다. → 생성할 수 있겠는가?]
② prasu(1.ǁ.2.4.Ʋ. to beget, generate, produce; to bring forth, be delivered of)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42일째]
일일찰중유여래 $ 113▲無量無量為 一 ● 無量轉, ○□□□□,壽,諸,甚,神

□□□□□□□, 壽命劫數不可說,
諸佛所行不可說, 甚深妙法不可說,
□□□□□□□, 수명겁수불가설,
제불소행불가설, 심심묘법불가설,

一一剎中有如來,
하나하나 세계마다 계시는 여래
수명이 몇 겁인지 말할 수 없고
부처님의 행하심도 말할 수 없고
깊고 깊은 묘한 법 말할 수 없어



[243째]
신통대력불가설 $ 114▲無量轉無量轉為 一 ● 無邊, ○□□□□,無,入,毛,成

□□□□□□□, 無障礙智不可說,
入於毛孔不可說, 毛孔因緣不可說,
□□□□□□□, 무장애지불가설,
입어모공불가설, 모공인연불가설,

神通大力不可說,
신통하신 큰 힘을 말할 수 없고
걸림없는 지혜도 말할 수 없고
털구멍에 드시는 일 말할 수 없고
털구멍의 인연도 말할 수 없고

115□



●K1345_T1174.txt★ ∴≪A오자다라니경≫_≪K1345≫_≪T1174≫
●K0394_T0443.txt★ ∴≪A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_≪K0394≫_≪T0443≫
●K0771_T0143.txt★ ∴≪A옥야경≫_≪K0771≫_≪T0143≫


■ 암산퀴즈


744* 973
110808 / 152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7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21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26 번째는?




47 좋은 말씀은 흐리고 악한 맛을 능히 맑히며
앙구지다비, 盎矩之多毘<四十七>
ango-citta avi,
(~!~) 마음의 보호를 성취케 하시고, 온갖 눈병(惡相)으로부터 보호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10 바다하리남아슈차하리니 ◐皤多訶哩喃阿輸遮訶哩泥<食不><淨鬼二百一十>◑vāt'āhāriṇāṃ aśucyㆍāhārinyaś.
211 짇다하리니 ◐質多訶哩泥<食心鬼二百十一>◑cittāhāriṇyas//
212 뎨삼살비삼 ◐帝衫薩毘衫<如是等衆二百十二>◑teshāṃㆍsarveshāṃ
213 살바가라하남 ◐薩嚩揭囉訶喃<一切執祖鬼二百十三>◑sarvaㆍgrahānāṃ
214 비댜 ­ ◐毘地也<明呪藏二百十四>◑vidyāṃ
215 진타야미 ◐嗔陁夜彌<斬伐罪者二百十五>◑chindayāmi
216 기라야미 ◐枳囉夜彌<二百十六>◑Kilayāmi//
217 바리바라자가라 ◐波哩跋囉斫迦囉<外道二百><十七>◑Parivㆍrājaka
218 가리 담미댜 ­ ◐訖哩<離枳反上>擔微地也<明呪藏二百十八>◑kritāṃ vidyāṃ
219 진타야미 ◐嗔陁夜彌<二百十九>◑chindayāmi

●아난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주문에는
항상 팔만사천나유타항하사구지(八萬四千那由他恒河沙俱胝)의 금강장왕보살(金剛藏王菩薩) 종족이 있어서,
그 들 낱낱이 권속으로 거느린 금강신중들이 밤낮으로 따라다니면서 모시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26
업장(業障)의 어둠을 제거하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除障暗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723912
729
법수_암기방안


21 큰 마름 [엄지쪽 큰마름(뼈) ~ 트러피지엄trapezium]
113 [radius] 노뼈
114 pulse 맥박~점(맥박뛰는곳)
47 발 돌출부 [신조어] 엄지발가락 위 돌출부분 ( Ball )


26 손금 the line of the palm
42 발 옆면 foot side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830_225354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양주(涼州) 남쪽에 있는 홍애굴(洪崖窟)에는 저거몽손(沮渠蒙遜)이 지은 비(碑)와 절이 있는데 현재도 남아 있다.


평소에 성승(聖僧)이 있으면서 언제나 스스로 도(道)를 행하였는데 사람이 오면 곧 중지해 버리고 사람이 가면 이윽고 행하였다.
그 때문에 그 옆에는 발자국이 아직 마르지 않았다.
이러한 사람들이나 일들은 모두 다 말할 수조차 없다.



출전:
한글대장경 K1048_T2088
석가방지(釋迦方志) 당 도선찬
釋迦方志 【唐 道宣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바람 빼기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8-11-27-수
Sihanoukville ព្រះសីហនុ Preah Sihanouk Province Cambodia
[사진] https://www.google.co.kr
[지도내 사진] Wat IntNhean Called Wat Krom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Wat IntNhean Called Wat Krom
https://maps.app.goo.gl
[세계내-위치] https://www.google.nl
[설명 1]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위키피디아: en.wikipedia.org/wiki/John_Henry_Twachtman
002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歸命一切如來應正等覺二>◑arhate samyaksaṃbuddhāsya//


○2018_0722_175814_nikon_CT33


○2019_1004_132405_nikon_Ar26


○2019_1004_135916_canon_BW17


○2019_1004_131747_nikon_Ab35


○2019_1004_135305_nikon_Ar28


○2019_1004_144021_nikon_BW21


○2019_1004_145931_canon_Ar28


○2019_1004_164952_canon_CT27


○2019_1004_165940_nikon_CT27


○2019_1004_142327_canon_CT33


○2019_1004_145911_canon_CT33


○2019_1004_155152_nikon_CT38


○2019_1004_160751_nikon_BW25


○2019_1004_160250_canon_ar19


○2019_1004_132918_nikon_AR35


○2019_1004_144729_canon_AR35


○2019_1004_150045_canon_ct9


○2019_1004_170013_canon_AR35


○2019_1004_143730_nikon_ct19

● [pt op tr] fr
_M#]



○2019_1004_152048_canon_ar47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_K0394_T0443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 ♣0394-003♧
[관련키워드]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 제3권/전체8권

■ 본 페이지 ID 정보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K0394-003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8/k0394-003.html
sfed--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_K0394_T0443.txt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 제3권/전체8권
sfd8--불교단상_2569_08.txt ☞◆vpld3148
불기2569-08-30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989266773
https://buddhism007.tistory.com
https://truth007.tistory.com/4341
htmback--불기2569-08-30_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_K0394_T0443-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