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8월 11일 월요일

수호국계주다라니경-k1384-002


『수호국계주다라니경』


K1384
T0997

수호국계주다라니경 제2권/전체1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8-11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384_T0997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수호국계주다라니경』 ♣1384-002♧




수호국계주다라니경 제2권/전체1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31452_canon_fix▾순천 조계산 선암사

_ori_rs
○2016_0505_152621_nikon▾춘천 청평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3249_canon_exc▾삼각산 화계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73141_nikon_exc▾삼각산 화계사

구례 화엄사
○2019_1104_104753_canon_fix▾구례 화엄사

구례 화엄사
○2019_1104_105303_canon_fix▾구례 화엄사

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장경사
○2021_1113_153314_nikon_exc_s12▾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장경사

용인_연화산_와우정사
○2021_0215_111351_nikon_exc▾용인_연화산_와우정사

안성_서운산_석남사
○2021_0215_174431_nikon_exc▾안성_서운산_석남사

양양_오봉산_낙산사
○2021_0929_100139_nikon_exc_s12▾양양_오봉산_낙산사


밀양_재악산_표충사
○2021_1003_101557_nikon_exc▾밀양_재악산_표충사

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2022_0827_135415_nikon_exc_s12▾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21_0214_120743_canon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완주_송광사
○2014_0407_124422_nikon_exc_s12▾완주_송광사

부안_능가산_개암사
○2021_1007_164804_nikon_exc▾부안_능가산_개암사

논산_천호산_개태사
○2022_0131_162158_canon_exc_s12▾논산_천호산_개태사

계룡산_신원사
○2021_1008_154717_nikon_exc_s12▾계룡산_신원사

계룡산_신원사
○2021_1008_153342_canon_exc_s12▾계룡산_신원사

● [pt op tr] fr
_M#]


강화도_전등사
○2021_0216_163536_canon_exc_s12▾강화도_전등사



❋❋본문 ◎[개별논의]

★%★

『수호국계주다라니경』 ♣1384-002♧
수호국계주다라니경 해제 (있는 경우)

수호국계주다라니경 002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upb5601
◈Lab value 202110081533



무주 백련사
○2020_0909_133439_canon_ori_rs▾무주 백련사


wikiart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heophile Steinlen-les-cyclistes-1889.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Theophile Steinlen

Théophile Alexandre Steinlen (November 10, 1859 – December 13, 1923)는
스위스 태생의 프랑스어 아르누보 화가이자 판화 제작자.
몽마르트르 (Montmartre)와 그 주변 지역은 스타 인 렌 (Steinlen)의 삶 전체에서 가장 좋아하는 주제였으며,
종종 그 지역에서의 더 가혹한 삶의 일부 장면을 그렸습니다.
회화와 그림 외에도 그는 조각품을 찍었습니다.
제한된 기준 으로 볼 때, 많은 그림들에서 볼 수 있듯이 그가 가장 애정을 쏟은 고양이 인물들이었다.
[...이하 줄임...]
from https://en.wikipedia.org/wiki/Théophile_Steinlen
Title : les-cyclistes-1889.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2_1109_135436_can_exc인천대공원_인천수목원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1280px-Port_Macquarie_4
[#M_▶더보기|◀접기|
English: Town Beach, Port Macquarie
Author Nathanhb98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玄奘三蔵院伽藍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Jean-Louis Murat - Le Charm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8/k1384-002.html#5601
sfed--수호국계주다라니경_K1384_T0997.txt ☞수호국계주다라니경 제2권/전체10권
sfd8--불교단상_2569_08.txt ☞◆vupb5601
불기2569-08-11
θθ





■ 퀴즈

수행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깨닫는 것. 

선종에서는 특히 남종선(南宗禪)에서 강조함.

답 후보
● 돈오(頓悟)

동안거(冬安居)
두타행(頭陀行)
등(燈)
등류습기(等流習氣)
등활지옥(等活地獄)
라찰천(羅刹天)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French Anthology Chanson And Breathe Of Jazz - Le Cinema
Mireille Mathieu - Der Akkordeonspieler
Barbara - Les Hautes Mers
Line Renaud - Une Poussiere Dans Le Coeur
Edith Piaf - Les Amants De Venise
Gerard Lenorman - La Fete De Juillet-Juille
Patsy Gallant & Star - Tu Peus Me Dire Adieu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67▲ 酉邑⻏赤足 ■ 유읍방적족 67 ( 닭 유/ 열째 지지 유 )( 고을 읍/ 아첨할 압 ) ( 우부방 읍 )( 붉을 적 )( 발 족 / 지나칠 주 )
028▲ 予五午王夭 ■ 여오오왕요 28 ( 나 여/ 줄 여, 미리 예 ) ( 다섯 오 )( 낮 오 / 일곱째 지지( 地支) 오 )(임금 왕 / 구슬 옥 옥 )( 일찍 죽을 요/ 어릴 요, 어린아이 오, 땅 이름 옥, 예쁠 외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Paññā
[san-chn] pradīpôlkā 燈燭
[san-eng] aśnataḥ $ 범어 of one who eats
[pali-chn] sakad-āgāmin 斯陀含
[pal-eng] lubbhati $ 팔리어 lubh + yais greedy; covets.
[Eng-Ch-Eng] Dharani of Immeasurable Merit 無量功德陀羅尼經
[Muller-jpn-Eng] 神通光 ジンズウギョウ supernatural light
[Glossary_of_Buddhism-Eng] BODHISATTVA STAGES☞
See: Fifty-two Levels of Bodhisattva Practice.

[fra-eng] beuglai $ 불어 bellowed
[chn_eng_soothil] 西曼陀羅 The "western" maṇḍala is that of the Vajradhātu, as the "eastern" is of the Garbhadhātu.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須陀洹名爲入流, 而無所入,
不入色聲香味觸法, 是名須陀洹.」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오
면, 수다원은 입류(入流)라 하지만 실로는 들어간 일이 없으니, 색(色)、성
(聲)、향(香)、미(味)、촉(觸)、법(法)에 들지 않으므로 이름을 수다원이라 하
기 때문입니다.”
[玄奘] 善現答言: 不也, 世尊! 諸預流者不作是念 ࡔ我能證得預流之果ࡕ! 何以故?
世尊, 諸預流者無少所預, 故名預流; 不預色、聲、香、味、觸、法, 故名預流.
[義淨] 妙生言: 不爾, 世尊! 何以故? 諸預流者無法可預, 故名預流;
不預色、聲、香、味、觸、法, 故名預流.
09-02 सुभूतिराह-नो हीदं भगवन्।
न स्रोतआपन्नस्यैवं भवति-मया स्रोतआपत्तिफलं प्राप्तमिति।
तत्कस्य हेतोः ? न हि स भगवन् कंचिद्धर्ममापन्नः, तेनोच्यते स्रोतआपन्न इति।
न रूपमापन्नो न शब्दान् न गन्धान् न रसान् न स्प्रष्टव्यान् धर्मानापन्नः।
तेनोच्यते स्रोतआपन्न इति।
subhūtirāha | no hīdaṁ bhagavan | na srotāpannasyaivaṁ bhavati mayā
srotāpattiphalaṁ prāptamiti | tatkasya hetoḥ | na hi sa bhagavan
kaṁciddharmamāpannaḥ | tenocyate srotāpanna iti | na rūpamāpanno na
śabdān na gandhān na rasān na spraṣṭavyān na dharmānāpannaḥ | tenocyate
srotāpanna iti |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그것은 참으로 아닙니다. 복덕갖춘분이시여! 흐름에 든자의
경우에 ‘나에 의해 (성자의) 흐름에 든 결과가 얻어졌다’라는 그러한 (생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하오면, 복덕갖춘분이시여! 참으로 그는 어떤 법에도
빠져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말해집니다. ‘흐름에 든 자이다’라고. (그는) 형색에
빠져들지 않았으며, 소리들에도 아니요, 냄새들에도 아니요, 맛들에도 아니요,
감촉들에도 아니요, 법들에 (또한) 빠져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말해집니다. ‘흐름에 든
자이다’라고.
▼▷[subhūtirāha] ① subhūtiḥ(ƾ.nom.) + āha(ƺ.) → [수보리는、 말했다.]
▼▷[no] ① no(ƺ.) → [아닙니다]
▼[hīdaṁ] ① hi(ƺ.) + idaṁ(pn.ƿ.nom.) → [참으로、 그것은.]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na] ① na(ƺ.) → [(否定)]
▼[srotāpannasyaivaṁ] ① srota+āpannasya([nj.→]ƾ.gen.) + evaṁ(ƺ.) → [흐름에 든
자의、 그러한(→그러함이)]
 그러한 + 일어난다. > 그러함이 일어난다. |or| 그러한 (산냐가) 일어난다.
▼[bhavati] ① bhavati(pres.Ⅲ.sg.) → [일어나다] → (+산냐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mayā] ① mayā(pn.Ⅰ.ins.) → [나에 의해]
▼[srotāpattiphalaṁ] ① srota+āpatti+phalaṁ(ƿ.nom.) → [흐름에 든 결과가]
▼[prāptamiti] ① prāptam(njp.→ƿ.nom.) + iti(ƺ.) → [얻어졌다、 라는.]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의? → 이유인가 하오면,]
▼▷[na] ① na(ƺ.)
▼[hi] ① hi(ƺ.) → [참으로]
▼[sa] ① saḥ(ƾ.nom.) → [그는]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kaṁciddharmamāpannaḥ] ① kaṁcit(pn.ƾ.acc.) + dharmam(ƾ.acc.) +
āpannaḥ(njp.→ƾ.nom.) → [어떤、 법에、 빠져들지 않았습니다.] → 어떤 법에도
빠져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② kiṁ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② āpanna(p.p. gained, obtained, acquired; gone or reduced to, fallen into; afflicted)
▼▷[tenocyate] ① tena(ƺ.) + ucyate(pass.pres.Ⅲ.sg.) → [그래서、 말해집니다]
② tena(ƺ. in that direction, in that manner, thus)
② vac(2.ǁ. to speak, say, tell)
▼[srotāpanna] ① srota+āpannaḥ([nj.→]ƾ.nom.) → [흐름에 든 자이다]
② srota(ƿ. a stream)
② āpanna(p.p. gained, obtained, acquired; gone or reduced to, fallen into; afflicted)
▼[iti] ① iti(ƺ.) → [라고.]
▼▷[na] ① na(ƺ.) → [(否定)]
▼[rūpamāpanno] ① rūpam(ƿ.acc.) + āpannaḥ(njp.→ƾ.nom.) → [형색에、 빠져들지
않았으며]
② rūpa(ƿ. any outward appearance or phenomenon or colour; form, shape, figure)
② āpanna(p.p. gained, obtained, acquired; gone or reduced to, fallen into; afflicted)
▼[na] ① na(ƺ.) → [아니요]
▼[śabdān] ① śabdān(ƾ.acc.pl.) → [소리들에(+도)]
② śabda(ƾ. sound [the object of the sense of hearing and property of ākāśa]; sound, note,
noise in general; a word, sound, significant word)
▼[na] ① na(ƺ.) → [아니요]
▼[gandhān] ① gandhān(ƾ.acc.pl.) → [냄새들에(+도)]
② gandha(ƾ. smell, odour; smell considered as one of the 24 properties or guṇas of the
Vaiśeṣkas; the mere smell of anything)
▼[na] ① na(ƺ.) → [아니요]
▼[rasān] ① rasān(ƾ.acc.pl.) → [맛들에(+도)]
② rasa(ƾ. sap, juice [of trees]; a liquid, fluid; water; liquor, drink)
▼[na] ① na(ƺ.) → [아니요]
▼[spraṣṭavyān] ① spraṣṭavyān(ƾ.acc.pl.) → [감촉들에(+도)]
② spraṣṭavya(nj. to be touched or handled; tangible, palpable, sensible: ƿ. touch, feeling)
< sparśa(ƾ. touch, contact [in all senses]; contact)
▼[na] ① na(ƺ.) → [(否定)]
▼[dharmānāpannaḥ] ① dharmān(ƾ.acc.pl.) + āpannaḥ(njp.→ƾ.nom.) → [법들에、
(+또한) 빠져들지 않았습니다.]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② āpanna(p.p. gained, obtained, acquired; gone or reduced to, fallen into; afflicted)
▼▷[tenocyate] ① tena(ƺ.) + ucyate(pass.pres.Ⅲ.sg.) → [그래서、 말해집니다]
▼[srotāpanna] ① srota+āpannaḥ([nj.→]ƾ.nom.) → [흐름에 든 자이다]
▼[iti] ① iti(ƺ.) → [라고.]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23일째]
세간도사불가설 $ 094▲娑婆羅娑婆羅為 一 ● 迷攞普, ○□□□□,演,彼,清,彼

□□□□□□□, 演說讚歎不可說,
彼諸菩薩不可說, 清淨功德不可說,
□□□□□□□, 연설찬탄불가설,
피제보살불가설, 청정공덕불가설,

世間導師不可說,
세상의 길잡이됨 말할 수 없고
연설하고 찬탄함을 말할 수 없고
저 모든 보살들을 말할 수 없고
청정한 그 공덕을 말할 수 없고

095□

[225째]
흔요제불불가설 $ 096▲者麼羅者麼羅為 一 ● 馱麼羅, ○□□□□,智,善,於,三

□□□□□□□, 智慧平等不可說,
善入諸法不可說, 於法無礙不可說,
□□□□□□□, 지혜평등불가설,
선입제법불가설, 어법무애불가설,

欣樂諸佛不可說,
부처님을 반기는 일 말할 수 없고
지혜가 평등함을 말할 수 없고
여러 법에 잘 들어감 말할 수 없고
여러 법에 걸림없음 말할 수 없고





●K0765_T0184.txt★ ∴≪A수행본기경≫_≪K0765≫_≪T0184≫
●K1384_T0997.txt★ ∴≪A수호국계주다라니경≫_≪K1384≫_≪T0997≫
●K0204_T0565.txt★ ∴≪A순권방편경≫_≪K0204≫_≪T0565≫


■ 암산퀴즈


941* 456
400465 / 793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8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2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7 번째는?




28 바른 법의 정기가 선행(善行)하도록 증장시키며,
가라바바라벌라뎨, 揭剌婆跋羅伐剌帝<二十八>
hrd-grah samvara vrate,
(이하~) 나약하고 친밀한 이의 마음을 제압하시는 이시여!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20 오마바디 사혜야야 ◐烏摩鉢底<天后>娑醯夜耶<及眷屬等二十>◑umāpati-sahitāya//
021 나모바가바 뎨 ◐娜牟婆伽筏<蒱末反>帝<世尊二十一>◑Namo bhagavate
022 나라연나야 ◐那囉延拏耶<地祇衆二十二>◑nārāyaṇāya
023 반자마하몯다라 ◐半遮摩訶沒陁囉<大印二十三>◑pacamahāsammudrā//
024 나모스가리 다야 ◐娜牟塞訖哩<二合>多耶<頂禮世尊二十四>◑Namas-kritāya//
025 나모바가 바뎨마하가라야 ◐娜牟婆伽<上呼>筏帝摩訶迦囉耶<大黑天神二十五>◑Namo bhagavate mahā-kālāya
026 디리보라나가 라 ◐底哩<二合>補囉那伽<上>囉<城二十六>◑tri-pura-nagara
027 비타라바나가라야 ◐毘陁囉皤拏迦囉耶<破壞二十七>◑vidrāpaṇa-karāya
028 아뎨목다가시마사나바싣니 ◐阿底目多迦尸摩舍那縛悉埿<尸陁林中二十八>◑adhimuktaka-śmaśāna-vāsine
029 마다리 가나 ◐摩怛唎<二合>伽拏<鬼神衆二十九>◑mātri-gaṇāṃ//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祕密心印)을 잡고 모든 마군을 항복시켜서 온갖 외도를 제압하시느리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07
공덕해(功德海)께 귀의합니다.
南無功德海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429096
505
법수_암기방안


2 염통 【심장】
94 검지(~두째) 발가락 [신조어 ]
96 족근 足跟 ~ 발꿈치 【족근】
28 새끼 ( LITTELE finger)
7 갈비 【협】
23 엄지 (THUMB)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813_201428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한 과거 아승기겁을 생각해보면,
석제환인(釋提桓因)이 도리궁(忉利宮)에 처하여 과거 고기 먹던 남은 습관으로 몸을 변하여 매가 되어 비둘기를 쫓았었다.


이 때 내가 왕이 되어 이름이 시비(尸毘)였는데,
그 비둘기를 어여삐 생각하고 몸을 저울질하여 살을 베어 비둘기를 대신하여 목숨을 바쳤었다.
시비왕이 바로 나였으며 뒤에 왕이 되었으니 이름이 문월이었으며,
그 때 제석(帝釋)이 화하여 매가 되었던 이가 뒤에 왕이 되었으니 사자 소타였다.
제석도 나를 시험했기 때문에 오히려 악도에 태어났는데,
하물며 다른 중생이 부끄러움이 없이 마음대로 죽이고 피와 고기를 먹되 그치거나 만족할 때가 없음이겠는가?
일체 중생이 처음이 없을 때부터[無始以來] 일찍이 부모와 친속(親屬)이 되지 아니한 이가 없으며 새와 짐승으로 쉽게 태어나는데 어떻게 차마 먹을 수 있겠는가?
고기를 먹는 이는 여러 겁을 지내는 동안에 새와 짐승으로 태어나서 남한테 피와 고기를 먹게 하고,
전전하며 목숨을 바치게 된다.
만일 사람들 사이에 태어날지라도 마음대로 죽이고 고기를 좋아하면,
죽어서 아비(阿鼻) 지옥에 떨어져 잠시도 쉼이 없게 되니,
만일 사람이 일생에 고기 먹는 것을 끊을 수 있으면 부처님을 이룰 적까지도 두 번 다시 먹지 않게 되는 것이다.”




출전:
한글대장경 K0488_T0164
불설사자소타사왕단육경(佛說師子素馱娑王斷肉經) 당 지엄역
佛說師子素馱娑王斷肉經 【唐 智嚴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정뇌 호흡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9-03-28-금
♡대성사,부산 기장군 일광읍 달음길 30-18
[사진]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naver.me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kko.kakao.com
https://kko.kakao.com
[설명 1] https://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
https://cafe.daum.net
[설명 2]
[동영상 1] [0:50]
[대성사] 대웅전에 아미타불 #사찰순례 #사찰여행 #불교공부 #소원성취발원 #업장소멸 #부산사찰(기장)
https://www.youtube.com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008 나모소로다반나남 ◐娜牟蘇嚕哆半那喃<八>◑Namaḥ srota-apannānāṃ//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52152_nikon_exc▾화순 계당산 쌍봉사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53422_nikon_exc▾화순 계당산 쌍봉사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10753_nikon_exc▾순천 조계산 선암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13940_canon_exc▾화순 영구산 운주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30747_canon_exc▾화순 영구산 운주사

여주 봉미산 신륵사
○2020_0904_092836_nikon_ori_rs▾여주 봉미산 신륵사

합천 해인사
○2020_0908_150752_canon_ori_rs▾합천 해인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61349_canon_ori_rs▾삼각산 화계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22043_canon_ori▾삼각산 도선사

구례 화엄사
○2019_1104_104519_nikon_exc▾구례 화엄사

구례 쌍계사부근
○2019_1104_161615_nikon_exc▾구례 쌍계사부근

봉화_청량산_청량사
○2021_1001_194205_canon_exc▾봉화_청량산_청량사

양양_오봉산_낙산사
○2021_0929_110756_canon_exc_s12▾양양_오봉산_낙산사

밀양_재악산_표충사
○2021_1002_221322_canon_exc_s12▾밀양_재악산_표충사

여수_금오산_향일암
○2021_1005_115653_nikon_exc_s12▾여수_금오산_향일암

남양주_운길산_수종사
○2012_0522_104758_exc_s12▾남양주_운길산_수종사

하동_지리산_쌍계사
○2016_0411_182520_nikon_exc_s12▾하동_지리산_쌍계사

부산_금정산_범어사
○2015_0727_105836_nikon_exc_s12▾부산_금정산_범어사

● [pt op tr] fr
_M#]


석모도_낙가산_보문사
○2021_0216_115816_nikon_exc_s12▾석모도_낙가산_보문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수호국계주다라니경_K1384_T0997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수호국계주다라니경』 ♣1384-002♧
[관련키워드]
수호국계주다라니경 제2권/전체1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수호국계주다라니경-K1384-002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8/k1384-002.html
sfed--수호국계주다라니경_K1384_T0997.txt ☞수호국계주다라니경 제2권/전체10권
sfd8--불교단상_2569_08.txt ☞◆vupb5601
불기2569-08-11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969553130
https://buddhism007.tistory.com
https://essay007.tistory.com/910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