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4월 30일 수요일

마하승기율-k0889-003


『마하승기율』


K0889
T1425

마하승기율 제3권/전체4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4-30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889_T1425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마하승기율』 ♣0889-003♧




마하승기율 제3권/전체4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70448_canon_exc▾화순 계당산 쌍봉사

불암산 천보사
○2020_0211_134524_canon_exc_s12▾불암산 천보사

원주 구룡사
○2020_0904_132101_canon_ori_rs▾원주 구룡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15636_nikon_ori_rs▾속리산 법주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2857_canon_exc_s12▾삼각산 화계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16_0505_125010_canon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전주_완산_정혜사
○2015_0505_172506_canon_exc▾전주_완산_정혜사

장흥_천관산_천관사
○2021_1005_163017_nikon_exc▾장흥_천관산_천관사

봉화_청량산_청량사
○2021_1001_160342_canon_exc▾봉화_청량산_청량사

해남_봉화산_대흥사
○2021_1006_113014_nikon_exc▾해남_봉화산_대흥사

경주_함월산_골굴사
○2021_1002_175556_nikon_exc▾경주_함월산_골굴사

계룡산_신원사
○2021_1008_150806_nikon_exc▾계룡산_신원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21_0214_121642_canon_exc▾춘천_오봉산_청평사

홍천_공작산_수타사
○2021_0214_180200_nikon_exc▾홍천_공작산_수타사

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1_1003_171811_canon_exc▾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진안_마이산_탑사
○2016_0412_154632_canon_exc▾진안_마이산_탑사

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2022_0827_144138_canon_exc▾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해남_달마산_미황사
○2021_1006_141947_nikon_exc▾해남_달마산_미황사

포천_백운산_흥룡사
○2021_0320_153856_nikon_exc_s12▾포천_백운산_흥룡사

● [pt op tr] fr
_M#]


정릉_삼각산_흥천사
○2023_0316_144603_canon_exc_s12▾정릉_삼각산_흥천사



❋❋본문 ◎[개별논의]

★%★

『마하승기율』 ♣0889-003♧
마하승기율 해제 (있는 경우)

마하승기율 003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klf9383
◈Lab value 202103201538


○ 2020_0907_141217_can_ar45.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Claude-Monet-waterloo-bridge
[#M_▶더보기|◀접기|
Artist: Claude-Monet
from https://en.wikipedia.org/wiki/Claude_Monet
Title : waterloo-bridge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606_181052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1280px-Tsurugaoka_hachimangu,_ponte
[#M_▶더보기|◀접기|
解説 Tsurugaoka hachimangu, ponte 日付 2012年5月28日, 04:23:18 原典 投稿者自身による作品 作者 sailko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New Jersey State House Museum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Camelia Jordana - Calamity Jan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889-003.html#9383
sfed--마하승기율_K0889_T1425.txt ☞마하승기율 제3권/전체40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klf9383
불기2569-04-30
θθ





■ 퀴즈

단견(斷見)과 상견(常見).

답 후보
● 이견(二見)

이교(二敎)
이근(利根)
이무아(二無我)
이변(二邊)
이상(異相)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Pierre Bachelet - Le Jour Se Leve Ici, La Bas
Les Freres Jacques - Barbara
Weepers Circus - Un Revenant
Jean-Louis Murat - French Kissing
Edith Piaf - Rregarde-Moi Toujours Comme Ca (Monnot-Contet)
JOE DASSIN - L'Amique
Patrick Bruel - Tout Change Si Vit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42▲ 北弗比匕氷 ■ 북불비비빙 42 ( 북녘 북 / 달아날 배 )( 아닐 불/ 근심할 불 )( 견줄 비 )( 비수 비 )( 얼음 빙 / 엉길 응 )
055▲ 卍米百缶糸 ■ 만미백부사 55 ( 만자 만 )( 쌀 미 )(일백 백/ 힘쓸 맥 )(장군 부 / 두레박 관 )CF 장군( =배가 불룩하고 목 좁은 아가리가 있는 질그릇)(실 사 / 가는 실 멱,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utra
[san-chn] kṣetra-viśodhaka 淨土
[san-eng] jāne $ 범어 I know
[pali-chn] dubbhāsita 惡說
[pal-eng] suruupa $ 팔리어 adj.handsome.
[Eng-Ch-Eng] uncreated 無為
[Muller-jpn-Eng] 十四難 ジュウシナン (term) fourteen difficult questions
[Glossary_of_Buddhism-Eng] TEN EPITHETS OF A BUDDHA☞
“Common descriptions of the Buddhas to be found in many
sutras: perfect (Tathagata), holy one or saint (Arhat), fully enlightened
(Samyak Sambuddha), gifted in knowledge and conduct, well-gone
one, knower of the worlds, unsurpassable teacher of men, teacher of
gods and men, awakened one (Buddha), sublime one.”
Sham: 221 #0358

[fra-eng] atterrit $ 불어 lands
[chn_eng_soothil] 金剛門 The diamond door of the garbhadhātumaṇḍal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第15 持經功德分
▼[羅什] 「須菩提, 若有善男子善女人, 初日分, 以恒河沙等身布施, 中日分,
復以恒河沙等身布施, 後日分, 亦以恒河沙等身布施, 如是無量百千萬億劫,
以身布施;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나 선녀인이 아침나절에 항하사 수효 같은 몸으로
보시하고, 점심나절에도 항하사 수효 같은 몸으로 보시하고, 저녁나절에도
항하사 수효 같은 몸으로 보시하여 이렇게 한량없는 백천만 겁(劫) 동안
보시하더라도…
[玄奘] 復次, 善現, 假使善男子或善女人, 日初時分以殑伽河沙等自體布施,
日中時分復以殑伽河沙等自體布施, 日後時分亦以殑伽河沙等自體布施,
由此異門, 經於俱胝那庾多百千劫以自體布施;
[義淨] 妙生, 若有善男子、善女人, 初日分以弶伽河沙等身布施,
中日分復以弶伽河沙等身布施, 後日分亦以弶伽河沙等身布施,
如是無量百千萬億劫以身布施
15-01 यश्च खलु पुनः सुभूते स्त्री वा पुरुषो वा पुर्वाह्णकालसमये गङ्गानदीवालुकासमानात्मभावान् परित्यजेत्,
एवं मध्याह्नकालसमये गङ्गानदीवालुकासमानात्मभावान् परित्यजेत्,
सायाह्नकालसमये गङ्गानदीवालुकासमानात्मभावान् परित्यजेत्,
अनेन पर्यायेण बहूनि कल्पकोटिनियुतशतसहस्राण्यात्मभावान् परित्यजेत्,

yaśca khalu punaḥ subhūte strī vā puruṣo vā pūrvāhṇakālasamaye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parityajet | evaṁ madhyāhnakālasamaye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parityajet | sāyāhnakālasamaye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parityajet | anena paryāyeṇa bahūni
kalpakoṭiniyutaśatasahasrāṇyātmabhāvān parityajet |
“그리고 참으로 다시, 수보리여! 여자나 남자가 오전 시간에 강가강의 모래알 숫자와
같은 신체들을 바치고, 그와 같이 낮 시간에 강가강의 모래알 숫자와 같은 신체들을
바치고, 저녁 시간에 강가강의 모래알 숫자와 같은 신체들을 바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백천 백만 구지겁 같은 많은 자기 몸들을 바친다 하더라도,
▼▷[yaśca] ① yaḥ(pn.ƾ.nom.) + ca(ƺ.) → [그리고、 (어떠한) 그것은]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punaḥ] ① punaḥ(ƺ.) → [다시]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strī] ① strī(Ʒ.nom.) → [여자거나]
② strī(Ʒ. a woman; a female of any animal; a wife)
▼[vā] ① vā(ƺ.)
▼[puruṣo] ① puruṣaḥ(ƾ.nom.) → [남자거나]
② puruṣa(ƾ. a male being, man; mankind; the soul; the supreme being: [­ā]Ʒ. a woman)
▼[vā] ① vā(ƺ.)
▼[pūrvāhṇakālasamaye] ① pūrvāhṇa+kāla+samaye(ƾ.loc.) → [오전 시간 때에(食時)]
② pūrvāhṇa(ƾ. the earlier part of the day, forenoon) < pūrva(nj. previous to, earlier than)
+ ahṇa([­comp.]) < ahan(ƿ. a day [including day and night]; day time; the sky)
② kāla(nj. black; injuring: ƾ. the black; time in general; Yama, time of death)
② samaya(ƾ. time in general; occasion, opportunity; fit time, right moment; an agreement)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① gaṅgā+nadī+vālukā+samān(nj.→ƾ.acc.pl.) +
ātmabhāvān(ƾ.acc.pl.) → [강가강의 모래알과 동일한(→ 모래알 숫자와 동일한)、
신체들을]
② gaṅgā(Ʒ. the river Ganges; the Ganges personified as a goddess)
② nadī(Ʒ. a river, any flowing stream)
② vālukā(Ʒ. sand, gravel; powder; camphor in general)
② sama(nj. same, identical; equal, as in: ƾ. : ƿ. a level plain, flat country)
② ātmabhāva(ƾ. existence of the soul; the self proper; the body) < ātman(ƾ. the soul;
self) + bhāva(ƾ. being, existing; state, condition)
▼[parityajet] ① parityajet(pot.Ⅲ.sg.) → [버린다면, → 바친다면,]
② parityaj(1.ǁ. to leave, quit, abandon; to resign, give up, discard)
▼▷[evaṁ] ① evaṁ(ƺ.) → [그와 같이]
▼[madhyāhnakālasamaye] ① madhyāhna+kāla+samaye(ƾ.loc.) → [낮 시간 때에]
② madhyāhṇa(ƾ. midday, noon) < madhya(nj. middle, central: ƾƿ. the middle; the waist)
+ ahna([­comp.]) < ahan(ƿ. a day [including day and night]; day time; the sky)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① gaṅgā+nadī+vālukā+samān(nj.→ƾ.acc.pl.) +
ātmabhāvān(ƾ.acc.pl.) → [강가강의 모래알과 동일한(→ 모래알 숫자와 동일한)、
신체들을]
▼[parityajet] ① parityajet(pot.Ⅲ.sg.) → [버린다면, → 바친다면,]
▼▷[sāyāhnakālasamaye] ① sāyāhna+kāla+samaye(ƾ.loc.) → [저녁 시간 때에]
② sāyāhna(ƾ. evening, evening time) < sāya(ƾ. end, termination; close of day, evening)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① gaṅgā+nadī+vālukā+samān(nj.→ƾ.acc.pl.) +
ātmabhāvān(ƾ.acc.pl.) → [강가강의 모래알과 동일한(→ 모래알 숫자와 동일한)、
신체들을]
▼[parityajet] ① parityajet(pot.Ⅲ.sg.) → [버린다면, → 바친다면,]
▼▷[anena] ① anena(pn.ƾ.ins.) → [이]
▼[paryāyeṇa] ① paryāyeṇa(ƾ.ins.) → [방법으로]
② paryāya(ƾ. going or winding round, revolution; lapse, course, expiration; regular
recurrence or repetition; property, quality)
▼[bahūni] ① bahūni(nj.→ƿ.acc.pl.) → [많은]
② bahu(nj. much, many, frequent, numerous)
▼[kalpakoṭiniyutaśatasahasrāṇyātmabhāvān] ①
kalpa+koṭi+niyuta+śatasahasrāṇi(nj.→ƿ.acc.pl.) + ātmabhāvān(ƾ.acc.pl.) → [백천
백만 구지겁들을、 자기 몸들을]
② kalpa(ƾ. a day of Brahmā or 1,000­Yuga, being a period of 432 million years of
mortals)
② koṭi(ƾ. the curved end of a bow; the end or extremity, edge or point in general; the
highest point, excess; ten millions, a crore) → 俱胝
② niyuta(ƿ. a million; a hundred thousand; ten thousand crores or 100 Ayutas)
② śatasahasra(ƿ.) < śata(ƿ. a hundred) + sahasra(ƿ. a thousand; a large number)
② ātmabhāva(ƾ. existence of the soul; the self proper; the body) < ātman(ƾ. the soul;
self) + bhāva(ƾ. being, existing; state, condition)
▼[parityajet] ① parityajet(pot.Ⅲ.sg.) → [버린다면, → 바친다면, → 바친다 하더라도,]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20일째]
어법비행비불행 $ 120■ ■於 方於毛通國-
120▲ 不可數轉不可數轉為 一 ● 不可稱, ○□□□□,入,不,恒,方

□□□□□□□, 入諸境界不可說,
不可稱說諸大劫, 恒遊十方不可說。
□□□□□□□, 입제경계불가설,
불가칭설제대겁, 항유십방불가설。

於法非行非不行,
저 법을 행하지도, 않지도 않고
경계에 들어감을 말할 수 없고
말로 할 수 없는 여러 큰 겁에
시방에 다니는 일 말할 수 없고



[121째]
방편지혜불가설 $ 121▲不可稱不可稱為 一 ● 不可稱轉, ○□□□□,真,神,念,於

□□□□□□□, 真實智慧不可說,
神通智慧不可說, 念念示現不可說。
□□□□□□□, 진실지혜불가설,
신통지혜불가설, 념념시현불가설。

方便智慧不可說,
방편으로 있는 지혜 말할 수 없고
진실하게 있는 지혜 말할 수 없고
신통으로 있는 지혜 말할 수 없고
생각생각 나타냄을 말할 수 없고





●K0900_T1427.txt★ ∴≪A마하승기비구니계본≫_≪K0900≫_≪T1427≫
●K0889_T1425.txt★ ∴≪A마하승기율≫_≪K0889≫_≪T1425≫
●K0903_T1426.txt★ ∴≪A마하승기율대비구계본≫_≪K0903≫_≪T1426≫


■ 암산퀴즈


302* 146
36308 / 116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55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1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12 번째는?




55 이 다라니는 일체의 선한 법을 증장시키나니,
호로, 滸盧<五十五>
huru
(이하~) 속히 속히 속히 영원히 행복한 세제에 이르게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10 살바도란기뎨볘바 ◐薩皤突蘭枳帝弊泮<一切難過三百十>◑sarva durlaṅghinebhyaḥ phaṭ
311 살바도스타비리가시뎨볘바 ◐薩皤突瑟咤畢哩乞史帝弊泮<一切難三百十一>◑sarva dushṭaㆍprekshitebhyaḥ phaṭ
312 살바지바리볘바 ◐薩皤什皤梨弊泮<一切瘧壯熱三百十二>◑sarva jvarebhyaḥ phaṭ
313 살바아바살마려볘바 ◐薩皤阿波薩麽嚟弊泮<一切外道出三百十三>◑sarva apasmarebhyaḥ phaṭ
314 살바사라바나볘바 ◐薩婆奢羅皤拏弊泮<三百十四>◑sarva śrāvanebhyaḥ phaṭ
315 살바디리티계볘바 ◐薩嚩底㗚恥雞弊泮<三百十五>◑sarva tirthikebhyaḥ phaṭ
316 살보다바뎨볘바 ◐薩菩怛波提弊泮<一切鬼惡三百十六>◑sarvonmadebhyaḥ phaṭ
317 살바미댜 ­ 라서차려볘바 ◐薩皤微地也囉誓遮黎弊泮<一切持呪博士等三百十><七>◑sarva vidyā rājacarebhyaḥ phaṭ
318 자야가라마도가라 ◐闍耶羯囉摩度羯囉<三百十八>◑jaya-kara madhu-kara
319 살바라타사타계볘바 ◐薩婆囉他娑陁雞弊泮<一切物呪博士三百十九>◑sarva artha sādhakebhyaḥ phaṭ

●아난아,
가령 어떤 중생이 헤아릴 수 없는 오랜 겁의 일체 가볍고 무거운 죄와
업장을 지난 세상에 참회하지 못했을지라도,
만일 이 주문을 읽고 외우고 쓰고 베껴서
몸에 지니고 다니거나,
혹은 살고 있는 전원주택이나 정원관사에 모신다면,
이와 같이 쌓인 업장은
끓는 물에 눈 녹듯 사라져서
오래지 않아 모두 무생법인(無生法忍)을 얻으리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12
모든 세간해(世間解)께 귀의합니다.
南無一切世間解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44092
313
법수_암기방안


31 넓적다리 thigh
120 (MIDDLE) 가운데(손가락)
121 [트러피지엄trapezium] 큰 마름 엄지쪽 큰마름(뼈) ~
55 이마 forehead, 額上 【액상】 이마의 위


12 팔꿉 [elbow]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430_042828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그 때 부처님께서 장로 사리불(舍利佛)에게 말씀하셨다.


“이곳으로부터 서쪽으로 10만억 불국토를 지나면 극락(極樂)이라고 하는 세계가 있는데,
그 국토에는 명호가 아미타(阿彌陀)인 부처님께서 지금도 설법하고 계시느니라.
사리불아,
그 국토를 어찌하여 극락(極樂)이라고 이름하는지 아느냐?
그 국토의 중생은 어떠한 괴로움도 없으며,
다만 모든 즐거움만 받기 때문이니라.
또 사리불아,
극락국토에는 일곱 겹으로 된 난간[欄楯]과 일곱 겹으로 된 그물[羅網]과 일곱 겹의 줄지어선 가로수가 있는데,
모두 네 가지 보배로 둘러싸여 있느니라.
그러므로 그 국토를 극락이라고 하느니라.
사리불아,
극락국토에는 7보로 된 연못이 있으니,
8공덕수(功德水)가 그 안에 가득 차 있느니라.


연못 바닥에는 금모래가 깔려 있고,
사방의 계단은 금ㆍ은ㆍ유리(琉璃)ㆍ파리(頗梨)로 이루어져 있느니라.
또 그 위에는 누각이 있는데,
역시 금ㆍ은ㆍ유리ㆍ파리ㆍ차거(車𤦲)ㆍ붉은 구슬[赤珠]ㆍ마노(馬瑙)로 장엄하게 꾸며져 있느니라.
연못 속에는 연꽃이 피어 있는데,
그 크기가 수레바퀴만하며,
푸른색에서는 푸른 빛이 나고 황색에서는 황색 빛이 나고 붉은색에는 붉은 빛이 나고 흰색에서는 흰 빛이 나며,
맑고도 미묘한 향기가 나느니라.
사리불아,
극락국토는 이와 같은 공덕(功德)과 장엄(莊嚴)을 이루고 있느니라.
또 사리불아,
저 불국토에는 항상 하늘의 음악 소리가 나고 땅은 황금으로 되어 있으며,
밤과 낮 여섯 번 하늘에서 만다라화(曼陀羅華) 꽃비가 내리느니라.
그 국토의 중생은 항상 새벽에는 각각 꽃바구니에 갖가지 묘한 꽃을 넣어 다른 세계에 계신 10만억 부처님께 공양하고서 밥 먹을 때가 되면 곧 본국으로 돌아와 밥을 먹고 산책하느니라.
사리불아,
극락국토는 이와 같은 공덕과 장엄을 이루고 있느니라.



출전:
한글대장경 K0192_T0366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陁經) 요진 구마라집역
佛說阿彌陀經 【姚秦 鳩摩羅什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누워서 발끝 치기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6-화
♡Beomeosa Korea
♡부산 범어사
[구글맵 사진 https://maps.app.goo.gl
[구글맵 https://maps.app.goo.gl
[위키 https://en.wikipedia.org
[동영상 Beomeosa Temple, Busan, South Korea 4K
https://youtu.be
002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歸命一切如來應正等覺二>◑arhate samyaksaṃbuddhāsya//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05035_nik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30324_can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25549_canon_exc_s12▾순천 조계산 선암사

불암산 천보사
○2020_0211_141902_canon_fix▾불암산 천보사

원주 구룡사
○2020_0904_142743_canon_ori_rs▾원주 구룡사

오대산 상원사
○2020_0905_143200_canon_ori_rs▾오대산 상원사

오대산 적멸보궁
○2020_0905_151524_canon_ori_rs▾오대산 적멸보궁

양산 통도사
○2020_0907_172301_canon_ori_rs▾양산 통도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15420_nikon_ori_rs▾속리산 법주사

화성 용주사
○2020_0930_143643_canon_ori_rs▾화성 용주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42801_nikon_exc▾삼각산 도선사

영천_팔공산_은해사
○2021_1002_125240_canon_exc▾영천_팔공산_은해사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73345_canon_exc▾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삼척_두타산_천은사
○2021_0930_103954_nikon_exc_pc▾삼척_두타산_천은사

여수_금오산_향일암
○2021_1004_193821_canon_exc_s12▾여수_금오산_향일암

포천_백운산_흥룡사
○2021_0320_160439_nikon_exc▾포천_백운산_흥룡사

진안_마이산_탑사
○2016_0412_152957_canon_exc_s12▾진안_마이산_탑사

해남_달마산_미황사
○2021_1006_135140_nikon_exc▾해남_달마산_미황사

진안_마이산_탑사
○2016_0412_152819_canon_exc▾진안_마이산_탑사

● [pt op tr] fr
_M#]


정읍_내장산_내장사
○2017_1107_101548_nikon_exc▾정읍_내장산_내장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마하승기율_K0889_T1425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마하승기율』 ♣0889-003♧
[관련키워드]
마하승기율 제3권/전체4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마하승기율-K0889-003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889-003.html
sfed--마하승기율_K0889_T1425.txt ☞마하승기율 제3권/전체40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klf9383
불기2569-04-30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51834063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42
htmback--불기2569-04-30_마하승기율_K0889_T1425-tis.htm
● [pt op tr] fr
_M#]



2025년 4월 29일 화요일

사분율-k0896-037


『사분율』


K0896
T1428

사분율 제37권/전체6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4-29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896_T1428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사분율』 ♣0896-037♧




사분율 제37권/전체6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05035_nik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12352_nikon_exc▾화순 영구산 운주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01748_can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오대산 적멸보궁
○2020_0905_162427_nikon_ori_rs▾오대산 적멸보궁

무주 백련사
○2020_0909_154543_canon_ori_rs▾무주 백련사

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02_121530_nikon_fix▾파주 고령산 보광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44001_nikon_exc▾삼각산 화계사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42650_canon_ori▾예산 덕숭산 수덕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31309_canon_exc▾삼각산 도선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62928_canon_exc▾삼각산 도선사

구례화엄사 구층암
○2019_1104_112911_nikon_CT27▾구례화엄사 구층암

영천_팔공산_은해사
○2021_1002_112209_canon_exc_s12▾영천_팔공산_은해사

남양주_운길산_수종사
○2012_0522_122958_exc_s12▾남양주_운길산_수종사

계룡산_신원사
○2021_1008_150504_nikon_exc▾계룡산_신원사

해남_달마산_미황사
○2021_1006_140759_nikon_exc▾해남_달마산_미황사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50333_nikon_exc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하동_고성산_약천사
○2021_1004_174734_nikon_exc_s12▾하동_고성산_약천사

부산_금정산_범어사
○2015_0727_110638_canon_exc▾부산_금정산_범어사

안동_천등산_봉정사
○2021_1001_101401_canon_exc▾안동_천등산_봉정사

● [pt op tr] fr
_M#]


양평_용문산_용문사
○2023_0222_162844_nikon_exc▾양평_용문산_용문사



❋❋본문 ◎[개별논의]

★%★

『사분율』 ♣0896-037♧
사분율 해제 (있는 경우)

사분율 037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lzy2102
◈Lab value 202110011014


○ 2024_0530_102952_can_Ab27뚝섬공원_국제정원박람회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John Singer Sargent-caf-on-the-riva-degli-schiavoni
[#M_▶더보기|◀접기|
Artist: John Singer Sargent
from https://en.wikipedia.org/wiki/John_Singer_Sargent
Title : caf-on-the-riva-degli-schiavoni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8_150939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essellated_Pavement_Sunrise_Landscape
[#M_▶더보기|◀접기|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Tessellated_Pavement_Sunrise_Landscape.jpg
Description
English: Sunrise, “Tessellated Pavement”, Eaglehawk Neck, Tasman Peninsula, Tasmania, 
Author JJ Harrison (jjharrison89@facebook.com)
● [pt op tr] fr
_M#]


♥Antigua and Barbuda ,All Saints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buddhism007.tistory.com/5678

Fran7oise Hardy - Tous Les Garcons Et Les Filles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896-037.html#2102
sfed--사분율_K0896_T1428.txt ☞사분율 제37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lzy2102
불기2569-04-29
θθ





■ 퀴즈

2교(敎)의 하나. 

소승교를 반자교(半字敎)라 하고, 

대승교는 의리가 원만하여 글자가 완성된 것과 같으므로 만자교라 한다. 

천태종에서는 통(通)ㆍ별(別)ㆍ원(圓)의 3교를 말한다.

답 후보
● 만자교(滿字敎)

멸도(滅道)
멸정묘리(滅靜妙離)
명색(名色)
명호(名號)
몽중독두의식(夢中獨頭意識)
묘음천(妙音天)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Pierre Perret - Lily
Veronique Sanson - Longue Distance
Jean Ferrat - Quatre Cents Enfants Noirs
L'affaire Louis Trio - Chic Planèt
Julien Clerc - Cris, Tambours Et Masques De Guerre
Edith Piaf - L'homme De Berlin
MOULOUDJI - Valse Jaune - 000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41▲ 犮发白丙本 ■ 발발백병본 41 ( 달릴 발 ) (터럭 발 / 필 발 )( 흰 백/ 아뢸 백 )( 남녘 병/ 셋째 천간 병 )( 근본 본, / 달릴 분 )
054▲ 年老耂耒吏 ■ 년로로뢰리 54 ( 해 년( 연), / 아첨할 녕( 영) )( 늙을 로 / 노 )( 늙을로엄 로 / 노)(가래 뢰 /뇌 )( 벼슬아치 리 / 이, 관리 리. 이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Jai Bhim
[san-chn] traivācikena karmaṇā 三羯磨, 白三羯磨
[san-eng] vidmaḥ $ 범어 do we know
[pali-chn] diṭṭha-dhamma-vedanīya-kamma 順現法受業
[pal-eng] pamodita $ 팔리어 pp. of pamodatirejoiced; enjoyed; was glad.
[Eng-Ch-Eng] 二無記 The two kinds of morally neutral obstructions to enlightenment: impedimentary moral neutrality 有覆無記, and non-impedimentary moral neutrality 無覆無記. 〔俱舍論、 T 1558.29.74a17〕
[Muller-jpn-Eng] 土波 トバ Tibet
[Glossary_of_Buddhism-Eng] YASODHARA☞
Syn: Gopa.
“The wife of the Buddha before he became an ascetic, and mother
of Rahula. She became a nun in the fifth year after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Dait: 366 #0144

[fra-eng] condensés $ 불어 condensed
[chn_eng_soothil] 眞妙 The mysterious reality; reality in its profundity.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當來之世, 若有善男子善女人, 能於此經, 受持讀誦,
卽爲如來以佛智慧, 悉知是人, 悉見是人, 皆得成就無量無邊功德.」
“수보리야, 오는 세상에 선남자나 선녀인들이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
우면 여래가 부처의 지혜로써 이 사람을 다 아시고 다 보시나니 모두가 한
량없고 끝없는 공덕을 이루느니라.”
[玄奘] 復次, 善現, 若善男子或善女人於此法門受持、讀誦、究竟通利,
及廣為他宣說開示、如理作意, 則為如來以其佛智悉知是人,
則為如來以其佛眼悉見是人, 則為如來悉覺是人. 如是有情,
一切當生無量福聚.
[義淨] 妙生, 若有善男子、善女人能於此經受持、讀誦、為他演說, 如是之人,
佛以智眼悉知、悉見, 當生當攝無量福聚.
14-22 अपि तु खलु पुनः सुभूते ये कुलपुत्रा वा कुलदुहितरो वा इमं धर्मपर्यायमुद्ग्रहीष्यन्ति धारयिष्यन्ति वाचयिष्यन्ति पर्यवाप्स्यन्ति, परेभ्यश्च विस्तरेण संप्रकाशयिष्यन्ति, ज्ञातास्ते सुभूते तथागतेन बुद्धज्ञानेन, दृष्टास्ते सुभूते तथागतेन बुद्धचक्षुषा, बुद्धास्ते तथागतेन।
सर्वे ते सुभूते सत्त्वा अप्रमेयमसंख्येयं पुण्यस्कन्धं प्रसविष्यन्ति प्रतिग्रहीष्यन्ति॥१४॥
api tu khalu punaḥ subhūte ye kulaputrā vā kuladuhitaro vemaṁ
dharmaparyāyamudgrahīṣyanti dhārayiṣyanti vācayiṣyanti paryavāpsyanti
parebhyaśca vistareṇa samprakāśayiṣyanti | jñātāste subhūte tathāgatena
buddhajñānena | dṛṣtāste subhūte tathāgatena buddhacakṣuṣā | buddhāste
tathāgatena | sarve te subhūte sattvā aprameyamasaṁkhyeyaṁ
puṇyaskandhaṁ prasaviṣyanti pratigrahīṣyanti ||14||
“그런데 참으로 또한, 수보리여! 귀족자제들이나 귀족여식들이 이 법문을 배우고 외우고
독송하고 깊이 이해하여 남들을 위해 상세하게 보여주고자 한다면, 수보리여! 그들은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깨달은 지혜로써 알려지며, 수보리여! 그들은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깨달은 눈으로써 보여지며, 그들은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깨닫게 된다. 수보리여! 그들
모든 중생들은 측량할 수 없고 헤아릴 수 없는 공덕무더기를 생성해낼 것이며 가지게 될
것이다.”
▼▷[api] ① api(ƺ.) → [또]
▼[tu] ① tu(ƺ.) → [그런데]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punaḥ] ① punaḥ(ƺ.) → [다시]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ye] ① ye(pn.ƾ.nom.pl.) → [(어떠한) 그들이]
▼[kulaputrā] ① kulaputrāḥ(ƾ.nom.pl.) → [貴族子弟들이거나]
② kulaputra(ƾ. a noble­born youth man) < kula(ƿ. a race, family; the residence of a
family, a seat, house; a high or noble family) + putra(ƾ. a son, child)
▼[vā] ① vā(ƺ.)
▼[kuladuhitaro] ① kuladuhitaraḥ(Ʒ.nom.pl.) → [貴族女息이거나]
② kuladuhitṛ(Ʒ.) = kulaputrī(Ʒ. a noble­born youth woman)
▼[vemaṁ] ① vā(ƺ.) + imaṁ(pn.ƾ.acc.) → [이]
▼[dharmaparyāyamudgrahīṣyanti] ① dharma+paryāyam(ƾ.acc.) +
udgrahīṣyanti(fut.Ⅲ.pl.) → [법문을、 받아들이고(→배우고)]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② paryāya(ƾ. going or winding round, revolution; lapse, course, expiration; regular
recurrence or repetition; property, quality)
② udgrah(9.ǁ. to take up, lift up; to take or draw out; to deposit; to preserve)
▼[dhārayiṣyanti] ① dhārayiṣyanti(caus.fut.Ⅲ.pl.) → [간직하고(→외우고)]
▼[vācayiṣyanti] ① vācayiṣyanti(caus.fut.Ⅲ.pl.) → [이야기하고(→ 독송하고)]
▼[paryavāpsyanti] ① paryavāpsyanti(fut.Ⅲ.pl.) → [깊이 취하고(→깊이 이해하고),]
▼[parebhyaśca] ① parebhyaḥ(ƾ.dat.pl.) + ca(ƺ.) → [그리고、 남들을 위해]
▼[vistareṇa] ① vistareṇa(ƾ.ins.→adv.) → [상세함으로 → 상세하게]
▼[samprakāśayiṣyanti] ① samprakāśayiṣyanti(caus.fut.Ⅲ.pl.) → [보여주고자 한다. →
설명해주고자 한다면,]
▼▷[jñātāste] ① jñātāḥ(njp.→ƾ.nom.pl.) + te(pn.ƾ.nom.pl.) → [알려진다、 그들은]
② jñāta(nj. knowing, intelligent, wise: ƾ. a wise man; an acquaintance; a bail) < * +
­ta('the state of') < jñā(9.dž. to know, to learn; to know, be aware of; to find out)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tathāgatena] ① tathāgatena(ƾ.ins.) →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buddhajñānena] ① buddha+jñānena(ƿ.ins.) → [깨달은 지혜로써.]
② jñāna(ƿ. cognizance, knowing; knowledge, learning; consciousness, cognizance)
 여래께서 깨달은 지혜로 그들을 알아보신다.
▼▷[dṛṣtāste] ① dṛṣtāḥ(njp.→ƾ.nom.pl.) + te(pn.ƾ.nom.pl.) → [보여진다、 그들은]
② dṛṣta(p.p. seen, looked, perceived; visible, observable; regarded, considered)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tathāgatena] ① tathāgatena(ƾ.ins.) →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buddhacakṣuṣā] ① buddha+cakṣuṣā(ƿ.ins.) → [깨달은 눈으로써.]
② cakṣus(nj. seeing: ƿ. the eye; sight, look, vision; light, clearness)
▼▷[buddhāste] ① buddhāḥ(njp.→ƾ.nom.pl.) + te(pn.ƾ.nom.pl.) → [깨달아진다、 그들은]
② buddha(p.p. known, understood, perceived; awakened, awake; observed; enlightened, wise)
▼[tathāgatena] ① tathāgatena(ƾ.ins.) →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sarve] ① srve(nj.→ƾ.nom.pl.) → [모든]
▼[te] ① te(pn.ƾ.nom.pl.) → [그들]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sattvā] ① sattvāḥ(ƾ.nom.pl.) → [중생들은]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nature character)
▼[aprameyamasaṁkhyeyaṁ] ① aprameyam(nj.→ƾ.acc.) + asaṁkhyeyaṁ(nj.→ƾ.acc.) →
▼[측량할 수 없는、 헤아릴 수 없는]
② aprameya(nj.[pot.p.] immeasurable, boundless; inscrutable, unfathomable) < a(not) +
pra(ƺ. higher, forward) + mā(2.ǁ. to measure)
② asaṁkhyeya(nj.[pot.p.] innumerable: ƿ. an exceedingly large number) < a(not) +
saṁ(ƺ. with) + khyā(2.ǁ. to tell, declare: [caus.] to be named or called)
▼[puṇyaskandhaṁ] ① puṇya+skandhaṁ(ƾ.acc.) → [공덕무더기를]
② puṇya(ƿ. virtue, religious or moral merit; a virtuous or meritorious act; purity)
② skandha(ƾ. the five objects of sense; the five forms of mundane consciousness)
▼[prasaviṣyanti] ① prasaviṣyanti(fut.Ⅲ.pl.) → [생성해낼 것이며]
② prasu(1.ǁ.|2.4.Ʋ. to beget, generate, produce; to bring forth, be delivered of) < pra(ƺ.
higher, forward) + su(5.dž. to press out or extract juice; to distil; to pour out)
▼[pratigrahīṣyanti] ① pratigrahīṣyanti(fut.Ⅲ.pl.) → [가지게 될 것이다.]
② pratigrah(9.dž. to hold, seize, take, support; to take, accept; to receive inimically) <
prati(ƺ. towards, near to, down upon) + grah(9.dž. to seize, take)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19일째]
왕예중찰불가설 $ 119▲不可數不可數為 一 ● 不可數轉, ○□□□□,了,精,智,於

□□□□□□□, 了達諸佛不可說,
精進勇猛不可說, 智慧通達不可說。
□□□□□□□, 료달제불불가설,
정진용맹불가설, 지혜통달불가설。

往詣眾剎不可說,
모든 세계 가는 일을 말할 수 없고
부처님을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용맹하게 정진함도 말할 수 없고
지혜를 통달함도 말할 수 없고


[121째]
방편지혜불가설 $ 121▲不可稱不可稱為 一 ● 不可稱轉, ○□□□□,真,神,念,於

□□□□□□□, 真實智慧不可說,
神通智慧不可說, 念念示現不可說。
□□□□□□□, 진실지혜불가설,
신통지혜불가설, 념념시현불가설。

方便智慧不可說,
방편으로 있는 지혜 말할 수 없고
진실하게 있는 지혜 말할 수 없고
신통으로 있는 지혜 말할 수 없고
생각생각 나타냄을 말할 수 없고





●K0904_T1430.txt★ ∴≪A사분승계본≫_≪K0904≫_≪T1430≫
●K0896_T1428.txt★ ∴≪A사분율≫_≪K0896≫_≪T1428≫
●K0909_T1429.txt★ ∴≪A사분율비구계본≫_≪K0909≫_≪T1429≫


■ 암산퀴즈


894* 442
903360 / 960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54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0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11 번째는?




54 제가 과거에 항하의 모래알 수만큼 많은 부처님으로부터 직접 받아 지닌 것입니다.
돈구례, 敦具隸<五十四>
tud kule,
(~!~) 성스러운 가문에 출생 토록 전진 전진케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00 살바건달바볘바 ◐薩皤乾闥婆弊泮<一切音樂神三百>◑sarvaㆍgandharvebhyaḥ phaṭ
301 살바아소라볘바 ◐薩皤阿素囉弊泮<三百一>◑sarva asurebhyaḥ phaṭ
302 살바아로다볘바 302) ◐302k薩皤揭嚕茶弊泮<三百二>◑sarva garuḍebhyaḥ phaṭ
303 살바긴나라볘바 ◐薩皤緊那羅弊泮<三百三>◑sarva kinnarebhyaḥ phaṭ
304 살바마호라가볘바 ◐薩皤摩護囉伽弊泮<三百四>◑sarva mahoragebhyaḥ phaṭ
305 살바라샤사볘바 ◐薩皤囉剎莎弊泮<三百五>◑sarva rākshebhyaḥ phaṭ
306 살바마로려볘바 ◐薩皤摩努曬弊泮<三百六>◑sarva manushebhyaḥ phaṭ
307 살바아마노려볘바 ◐薩皤阿摩努曬弊泮<三百七>◑sarva amanushebhyaḥ phaṭ
308 살바보다나볘바 ◐薩皤布單那弊泮<三百八>◑sarva pūtanebhyaḥ phaṭ
309 살바가타보다나볘바 ◐薩皤迦咤布丹那弊泮<三百><九>◑sarva kaṭa-pūtanebhyaḥ phaṭ

●가령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질 5역중죄(逆重罪)를 지었거나
모든 비구 비구니의 4바라이죄[四棄]와
8바라이죄[八棄]를 범했을지라도,
이 주문을 외우고 나면
이러한 무거운 업도
사나운 바람이 모래더미를 불어
흩어버리듯 모두 다 사라져서
털끝만큼도 남기지 않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11
세존께 귀의합니다.
南無世尊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395148
941
법수_암기방안


30 발목 [ankle]
119 (알너 - ULNA) 자뼈
121 [트러피지엄trapezium] 큰 마름 엄지쪽 큰마름(뼈) ~
54 입 mouth 口脣 【구순】


11 위팔 upper arm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501_034414 :

한국불교전서 내 이야기

제목 : 명의 엄강嚴江은 상성相城의 피혁장이였다.


중년에 직업을 버리고 절에다 재齋를 지내는 음식을 날랐는데,
길을 가면서 오로지 『금강경』을 수지하고 아울러 아미타불을 염송하는 소리를 멈추지 않았다.
나이 예순 남짓에 갑자기 곡기를 끊고 한 달 동안 물만 마시더니 이렇게 말하였다.
“나는 몇 날 몇 시에 갈 것이다.”
약속한 날이 되자 목욕하고 옷을 갈아입더니 가부좌하고 천화하였다.
화장하자 사리가 여러 홉 나왔고,
그 혀는 쇠나 돌처럼 단단해 두드리면 소리가 났으니,
정덕正德 13년(1518)에 있었던 일이다.
지극히 부드럽기로 혓바닥만 한 것이 없지만 마음이 견고하면 혀도 견고해지는 것이니,
이것은 금강불괴金剛不壞의 실증實證이다.



출전:
한국불교전서 08책 H0175
조선 ∴성총(性聰) 사경지험기(四經持驗紀) 5권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누워서 전신 스트레칭


●세계사이트방문일자: 2569-04-05-토
♡청룡사,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톳골길 32-32
[사진]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https://naver.me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kko.kakao.com
[설명 1] https://gapyeong.grandculture.net
[설명 2] https://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
[동영상 1] [0:35]
https://youtu.be
2022.5/8.부처님오신날 가평군 청평면 "청룡사"
[동영상 2] [0:49]
https://youtu.be
[BBS뉴스] 가평 청평암 제2회 아라한 문화 축제”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009 나모스가리 타 가 미남 ◐娜牟塞羯唎<二合>陁<引>伽<輕去>彌喃<敬禮斯陁含阿那含衆九>◑Namḥ sakridāgāmināṃ//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14631_nikon_fix▾순천 조계산 선암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14810_can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12941_canon_exc▾순천 조계산 선암사

오대산 월정사
○2020_0905_111734_nikon_ori_rs▾오대산 월정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43359_canon_ori_rs▾속리산 법주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34044_nikon_exc▾삼각산 도선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35923_canon_exc▾삼각산 도선사

부안_능가산_내소사
○2021_1007_135401_nikon_exc▾부안_능가산_내소사

밀양_재악산_표충사
○2021_1003_110337_nikon_exc_s12▾밀양_재악산_표충사

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1_1003_175356_canon_exc_s12_pc▾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51500_canon_exc▾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해남_봉화산_대흥사
○2021_1006_112255_nikon_exc▾해남_봉화산_대흥사

해남_봉화산_대흥사
○2021_1006_093416_nikon_exc▾해남_봉화산_대흥사

봉화_청량산_청량사
○2021_1001_145140_nikon_exc▾봉화_청량산_청량사

하동_고성산_약천사
○2021_1004_175917_nikon_exc▾하동_고성산_약천사

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2022_0827_135703_canon_exc_s12▾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삼척_두타산_천은사
○2021_0930_111646_canon_exc_s12▾삼척_두타산_천은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16_0505_121903_nikon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서울_길상사
○2022_1027_165213_nikon_exc▾서울_길상사

● [pt op tr] fr
_M#]


서울_삼각산_도선사
○2021_0926_181637_canon_exc▾서울_삼각산_도선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사분율_K0896_T1428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사분율』 ♣0896-037♧
[관련키워드]
사분율 제37권/전체6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사분율-K0896-037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896-037.html
sfed--사분율_K0896_T1428.txt ☞사분율 제37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lzy2102
불기2569-04-29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51831960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41
htmback--불기2569-04-29_사분율_K0896_T1428-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