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등론석』
K0578
T1566
반야등론석 제10권/전체15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4-21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578_T1566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반야등론석』
♣0578-010♧
h5,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19_1105_132817_nikon_exc▾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6_130651_can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2020_0905_120500_canon_ct36▾오대산 월정사
○2020_0909_142831_canon_BW28▾무주 백련사
○2020_0910_123432_canon_AB7▾속리산 법주사
○2020_0930_143700_nikon_CT9▾화성 용주사
○2016_0505_125025_canon▾춘천 청평사
○2020_1017_155723_canon_bw0_s12▾삼각산 화계사
○2018_1022_183148_nikon_ab55▾공주 태화산 마곡사
○2018_1023_140420_canon_AB4_s12▾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62010_canon_CT28▾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9_1104_161756_canon_ct18▾구례 쌍계부근
○2019_1104_101331_nikon_bw24_s12▾구례 화엄사
○2021_1112_153750_nikon_Ar26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004_165350_nikon_ab41_s12▾하동_고성산_약천사
○2021_0217_134218_nikon_Ar28▾서산_상왕산_개심사
○2021_1006_145617_nikon_Ab27▾해남_달마산_미황사
○2021_0216_154540_canon_bw24▾강화도_전등사
● [pt op tr] fr
_M#]
○2021_1003_181941_nikon_bw24_pc▾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본문 ♥
◎[개별논의]
★%★
『반야등론석』
♣0578-010♧
반야등론석 해제 (있는 경우)
반야등론석 010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qgr8830
◈Lab value 202110031819 |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Louvre-peinture-francaise-p1020324 [#M_▶더보기|◀접기|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Louvre-peinture-francaise-p1020324.jpg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0578-010.html#8830 sfed--반야등론석_K0578_T1566.txt ☞반야등론석 제10권/전체15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qgr8830 불기2569-04-21 θθ |
■ 퀴즈
연유(緣由)의 뜻. 유연중생(有緣衆生)ㆍ소연연(所緣緣) 등의 뜻.
답 후보
● 연(緣)
연설(演說)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열반성(涅槃城)
염(念)
염념상속(念念相續)
염부수(閻浮樹)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Yves Montand - Lettre Anonyme A Monsieur Le Conservateur Du Musee De Louvre
Nicolas Peyrac - La Soustraction (Avec Enzo Enzo)
Jane Birkin - Les Cles Du Paradis
Marc Lavoine - Elle A Les Yeux Revolver
Charles Trenet - Le Temps Des Cerises
Nicolas Céléguène - Maxime
Charles Aznavour - For Me... Formidabl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33▲ 支辶尺天艹 ■ 지착척천초 33 (( 지탱할 지 )( 쉬엄쉬엄 갈 착 )( 자 척 )( 하늘 천 ) 초두머리 초 )
046▲ 申失央业永 ■ 신실앙업영 46 ( 거듭 신/ 아홉째 지지 신 )( 잃을 실 / 놓을 일 )( 가운데 앙 / 선명한 모양 영 )( 업 업 / 일, 직업 업 )(길 영/ 읊을 영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Zendo
[san-chn] sahâyika 伴, 伴侶
[san-eng] nānābhāvān.h $ 범어 multifarious situations
[pali-chn] cattāri purisa-yugāni aṭṭha purisa-puggalā 四雙八輩
[pal-eng] bruuhana $ 팔리어 nt.development; increment.
[Eng-Ch-Eng] 俱舍 (1) To include, keep, store, maintain (). Translated into Chinese as 藏. (2) A reference to the Abhidharmako/sa-bha^sya 俱舍論 or the Abhidharma school 俱舍宗 of Buddhism.
[Muller-jpn-Eng] 十無二 ジュウムニ (term) ten non-dualities
[Glossary_of_Buddhism-Eng] SON☞
See also: Sonjong.
“(Kor.), Korean counterpart of Japanese Zen and Chinese Chan
Buddhism.”
Reat: 344 #2092
[fra-eng] enfilée $ 불어 threaded
[chn_eng_soothil] 自然悟道 Enlightenment by the inner light, independent of external teaching; to become Buddha by one's own power, e. g. Śākyamuni who is called 自然釋迦.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是故, 須菩提! 菩薩應離一切相,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 應生無所住心.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은 온갖 모양다리를 여의고서 아뇩다라삼먁삼보
리의 마음을 내야 한다. 빛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며 소리와 냄새와
맛과 닿임과 법[法塵]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아야 하나니, 머무름 없
는 마음을 낼지니라.
[玄奘] 是故, 善現, 菩薩摩訶薩遠離一切想應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不住於色應生其心, 不住非色應生其心, 不住聲、香、味、觸、法應生其心,
不住非聲、香、味、觸、法應生其心, 都無所住應生其心.
[義淨] 是故, 應離諸想發趣無上菩提之心, 不應住色、聲、香、味、觸、法,
都無所住而生其心; 不應住法, 不應住非法應生其心.
14-14 तस्मात्तर्हि सुभूते बोधिसत्त्वेन महासत्त्वेन सर्वसंज्ञा विवर्जयित्वा अनुत्तरायां सम्यक्संबोधौ चित्तमुत्पादयितव्यम्।
न रूपप्रतिष्ठितं चित्तमुत्पादयितव्यम्, न शब्दगन्धरसस्प्रष्टव्यधर्मप्रतिष्ठितं चित्तमुत्पादयितव्यम्, न धर्मप्रतिष्ठितं चित्तमुत्पादयितव्यम्, नाधर्मप्रतिष्ठितं चित्तमुत्पादयितव्यम्, न क्वचित्प्रतिष्ठितं चित्तमुत्पादयितव्यम्।
tasmāttarhi subhūte bodhisattvena mahāsattvena sarvasaṁjñā vivarjayitvā
anuttarāyāṁ samyaksambodhau cittamutpādayitavyam | na rūpapratiṣṭhitaṁ
cittam utpādayitavyam | na śabdagandharasaspraṣṭavyadharmapratiṣṭhitaṁ
cittamutpādayitavyam | na dharmapratiṣṭhitaṁ cittamutpādayitavyam |
nādharmapratiṣṭhitaṁ cittamutpādayitavyam | na kvacitpratiṣṭhitam
cittamutpādayitavyam |
“그러므로 그럴 때는, 수보리여! 위대한 존재로서 깨달음갖춘이에 의해 모든 산냐는
회피되어야 하며, 위없는 바르고동등한깨달음에서 認識이 일어나져야 한다. 형색에
머무는 認識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며, 소리와 냄새와 맛과 감촉과 법에 머무는 認識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며, 법에 머무는 認識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며, 법이 아닌 것에
머무는 認識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며, 어떤 곳에도 머무는 認識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tasmāttarhi] ① tasmāt(ƺ.) + tarhi(ƺ.) → [그러므로、 그럴 때는]
② tasmāt(ƺ. from that, on that account, therefore)
② tarhi(ƺ. at that time, then; in that case)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bodhisattvena] ① bodhisattvena(ƾ.ins.) → [깨달음갖춘이에 의해]
▼[mahāsattvena] ① mahāsattvena(nj.→ƾ.ins.) → [위대함갖춘상태인]
▼[sarvasaṁjñā] ① sarva+saṁjñā(Ʒ.nom.) → [모든 산냐는]
② sarva(pn.nj. whole, entire, all, every)
② saṁjñā(Ʒ. consciousness; knowledge, understanding; intellect, mind)
▼[vivarjayitvā] ① vivarjayitvā(caus.ger.) → [회피되어야 하며]
② vivṛj(10.dž. to shun, avoid; to make destitute of, deprive of; to exclude)
▼[anuttarāyāṁ] ① anuttarāyāṁ(nj.→Ʒ.loc.) → [위없는]
② anuttara(nj. chief, principal; best, excellent; without a reply, unable to answer)
② anuttṝ(nj.) < an(not) + uttṝ(1.ǁ. to pass out of [water], disembark, come out of; to
cross, pass or get over; to vanquish, overcome, get out of; to raise, strengthen)
▼[samyaksambodhau] ① samyaksambodhau(Ʒ.loc.) → [바르고동등한깨달음에서]
② samyaksambodhi(Ʒ.) < samyak(ƺ. rightly) + sam(ƺ. with) + bodhi(ƾ. enlightenment)
▼[cittamutpādayitavyam] ① cittam(ƿ.nom.) + utpādayitavyam(njp.→ƿ.nom.) →
▼[認識이、 일어나져야 한다.]
② citta(ƿ. mind, thinking, thought; nj. noticed, aimed at)
② utpādayitavya < * + |i|+ tavya(pot.pass.p.) < utpāday(caus.) < utpad(4.Ʋ. to be born
or produced, arise, originate, spring up; to occur, happen)
▼▷[na] ① na(ƺ.)
▼[rūpapratiṣṭhitaṁ] ① rūpa+pratiṣṭhitaṁ(nj.→ƿ.nom. ) → [형색에 머무는]
② rūpa(ƿ. any outward appearance or phenomenon or colour; form, shape, figure)
② pratiṣṭhita(p.p. set up, erected; fixed, established; placed, situated; installed)
▼[cittam] ① cittam(ƿ.nom.) → [認識이]
▼[utpādayitavyam] ① utpādayitavyam(njp.→ƿ.nom.) → [일어나지지 않아야 한다.]
▼▷[na] ① na(ƺ.)
▼[śabdagandharasaspraṣṭavyadharmapratiṣṭhitaṁ] ①
śabda+gandha+rasa+spraṣṭavya+dharma+pratiṣṭhitaṁ(nj.→ƿ.nom.) → [소리、 냄새、
맛、 감촉、 법에 머무는]
② śabda(ƾ. sound; sound, note, noise in general; a word, sound, significant word)
② gandha(ƾ. smell, odour; the mere smell of anything)
② rasa(ƾ. sap, juice [of trees]; a liquid, fluid; water; liquor, drink)
② spraṣṭavya(ƿ. touch, feeling) < sparśa(ƾ. touch, contact [in all senses]; contact)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② pratiṣṭhita(p.p. set up, erected; fixed, established; placed, situated; installed)
▼[cittamutpādayitavyam] ① cittam(ƿ.nom.) + utpādayitavyam(njp.→ƿ.nom.) →
▼[認識이、 일어나지지 않아야 한다.]
▼▷[na] ① na(ƺ.)
▼[dharmapratiṣṭhitaṁ] ① dharma+pratiṣṭhitaṁ(nj.→ƿ.nom.) → [법에 머무는]
▼[cittamutpādayitavyam] ① cittam(ƿ.nom.) + utpādayitavyam(njp.→ƿ.nom.) → [認識이
일어나지지 않아야 한다.]
▼▷[nādharmapratiṣṭhitaṁ] ① na(ƺ.) + adharma+pratiṣṭhitaṁ(nj.→ƿ.nom.) → [법이 아닌
것에 머무는]
▼[cittamutpādayitavyam] ① cittam(ƿ.nom.) + utpādayitavyam(njp.→ƿ.nom.) → [認識이
일어나지지 않아야 한다.]
▼▷[na] ① na(ƺ.)
▼[kvacitpratiṣṭhitam] ① kvacit(ƺ.) + pratiṣṭhitam(nj.→ƿ.nom.) → [어떤 곳에도、
머무는]
② kvacit(ƺ. in some places, in some cases) < kva(ƺ. whither, where)
▼[cittamutpādayitavyam] ① cittam(ƿ.nom.) + utpādayitavyam(njp.→ƿ.nom.) →
▼[認識이、 일어나지지 않아야 한다.]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11일째]
내지법계실주편 $ 111▲阿僧祇阿僧祇為 一 ● 阿僧祇轉, ○□□□□,其,世,其,一
□□□□□□□, 其中所有諸微塵,
世界若成若住壞, 其數無量不可說。
□□□□□□□, 기중소유제미진,
세계약성약주괴, 기수무량불가설。
乃至法界悉周遍,
그렇게 온 법계에 가득하거든
그 가운데 들어 있는 티끌 속마다
이뤄지고 머물고 헐리는 세계
그 수효 한량없어 말할 수 없고
[112째]
일미진처무변제 $ 112▲阿僧祇轉阿僧祇轉為 一 ● 無量, ○□□□□,無,十,剎,一
□□□□□□□, 無量諸剎普來入,
十方差別不可說, 剎海分布不可說。
□□□□□□□, 무량제찰보래입,
십방차별불가설, 찰해분포불가설。
一微塵處無邊際,
한 티끌 있는 곳이 끝단 데 없어
한량없는 세계가 다 들어오니
시방의 차별함을 말할 수 없고
세계해의 분포(分布)도 말할 수 없어
●K0480_T0391.txt★ ∴≪A반니원후관랍경≫_≪K0480≫_≪T0391≫
●K0578_T1566.txt★ ∴≪A반야등론석≫_≪K0578≫_≪T1566≫
●K0020_T0251.txt★ ∴≪A반야바라밀다심경≫_≪K0020≫_≪T0251≫
■ 암산퀴즈
172* 393
433818 / 939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6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22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3 번째는?
46 좋은 말씀은 흐린 4대(大)를 능히 맑힙니다.
미례례, 弭隸隸<四十六>
mile miri
(이하~) 마음의 보호를 성취케 하시고, 온갖 눈병(惡相)으로부터 보호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20 기라야미 ◐枳囉夜彌<捕罰二百二十>◑Kilayāmi//
221 다기니 ◐茶枳尼<狐魅鬼二><百二十一>◑Ḍākinī
222 가리담미댜 ◐訖哩擔微地也<明呪二百二十二>◑kritāṃ vidyāṃ
223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二十三>◑chindayāmi kilayāmi//
224 마하바슈바디야 ◐摩訶鉢輸鉢底夜<二百><二十四>◑Mahāㆍpaśupati
225 로타라 ◐嚕陁囉<大自在天二百二十五>◑Rudra
226 가리탐미댜 ◐訖哩耽微地也<明呪二百二十六>◑kritāṃ vidyāṃ
227 진타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二十七>◑chindayāmi kilayāmi//
228 나라야나야텬신 ◐那囉耶拏耶<天神二百二十八>◑Nārāyaṇa
229 가리탐미댜 ◐訖哩耽微地也<明呪><二百二十九>◑kritāṃ vidyāṃ
●가령 어떤 중생이 마음이 산란하여
삼마지(三摩地)에 들지 못하고
마음으로 생각하여
입으로 외울지라도,
이 금강왕(金剛王)들은 언제나 저 선남자들을 따라다니는데,
더욱이 어찌 보리의 마음을 결정한 사람이겠느냐.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03
모든 법(法)을 분명히 아는 지혜로우신 이[一切智]께 귀의합니다.
南無一切智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67596
462
법수_암기방안
22 엄지 첫마디 [ 썸 넉클 THUMB knuckle]
111 upper arm 위팔
112 [elbow] 팔꿉
46 발 곡면 [신조어] 곡면( Arch)
3 밥통 【위】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422_033406 :
대장경 내 게송
설법을 인유하여
저에게서 음식을 받아먹지는 않는다.
출전:
한글대장경 K1402_Txxxx
고려국신조대장교정별록(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 고려 수기등찬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 【高麗 守其等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양무릎 굽혀 허리 비틀기 [Ardha Jathara Parivarttanasan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5-월
University_of_Indonesia__Depok_java_Indonesia
[위키 https://en.wikipedia.org
[사진 https://maps.app.goo.gl
[현지방송 https://radio.garden
[동영상 [11:25] Depok city in West Java province in Indonesia. Kota Depok
https://youtu.be
[그림 불 그림 F36 이브 클라인
https://en.wikipedia.org
002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歸命一切如來應正等覺二>◑arhate samyaksaṃbuddhāsya//

○2019_0113_111454_nikon_ar24

○2019_0113_111850_nikon_CT28

○2019_0113_123446_canon_ct1

○2019_0113_140548_nikon_AR25

○2019_0113_141527_nikon_BW22

○2019_0113_142751_nikon_Ar37_s12

○2019_0113_153933_canon_AR25

○2019_0801_091400_nikon_ct18_s12

○2019_0801_114817_nikon_AB7_s12

○2019_0801_125817_nikon_Ar12

○2020_1125_141249_canon_Ar37_s12

○2020_1125_142532_nikon_CT27

○2020_1125_150510_nikon_Ab35

○2020_1125_153952_nikon_Ab15

○2022_1108_111029_canon_ct19_s12

○2022_1108_160450_canon_ar42_s12

○2022_1108_144943_canon_ct19_s12

○2022_1108_145016_canon_CT33

○2022_1108_111005_canon_Ar28
● [pt op tr] fr
_M#]

○2022_1108_121010_canon_bw24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반야등론석_K0578_T156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반야등론석 제10권/전체15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반야등론석-K0578-010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0578-010.html
sfed--반야등론석_K0578_T1566.txt ☞반야등론석 제10권/전체15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qgr8830
불기2569-04-21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42145495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33
htmback--불기2569-04-21_반야등론석_K0578_T1566-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