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간정중경목록』
K1058
T2153
대주간정중경목록 제12권/전체15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4-18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058_T2153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대주간정중경목록』
♣1058-012♧
대주간정중경목록 제12권/전체15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20_0904_132934_canon_ct18▾원주 구룡사
○2020_0909_155550_canon_ab41▾무주 백련사
○2020_0910_114802_nikon_ar45▾속리산 법주사
○2020_1002_125346_canon_ct4_s12▾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17_152539_canon_CT28▾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2617_nikon_ct19_s12▾삼각산 화계사
○2018_1022_125401_nikon_exc▾공주 계룡면사무소 영규대사비
○2020_1114_132103_canon_ct9_s12▾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61630_canon_ab41_s12▾삼각산 도선사
○2019_1104_115806_canon_CT28▾구례 화엄사
○2019_1104_102154_nikon_ar42▾구례 화엄사
○2019_1104_175348_nikon_bw24▾지리산 피아골
○2021_1002_115945_nikon_CT27_pc_%23068▾영천_팔공산_은해사
○2021_1004_162748_canon_ct18_pc▾하동_고성산_약천사
○2021_1001_153502_canon_bw24_pc▾봉화_청량산_청량사
○2021_1004_134323_nikon_Ab31_s12_pc▾산청_지리산_대원사
○2021_1003_181504_canon_CT27_pc▾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1_1007_100732_nikon_CT38_s12▾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2023_0119_154638_canon_CT38_s12▾소요산_자재암
● [pt op tr] fr
_M#]
○2018_1022_134633_nikon_ct18_s12▾공주 계룡산 갑사
❋❋본문 ♥
◎[개별논의]
★%★
『대주간정중경목록』
♣1058-012♧
대주간정중경목록 해제 (있는 경우)
대주간정중경목록 012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tsf1055
◈Lab value 202301191546 |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1058-012.html#1055 sfed--대주간정중경목록_K1058_T2153.txt ☞대주간정중경목록 제12권/전체15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tsf1055 불기2569-04-18 θθ |
■ 퀴즈
↔이숙습기(異熟習氣). 또는 명언습기(名言習氣)ㆍ명언종자(名言種字). 등류는 같은 종류란 뜻. 습기는 종자의 다른 이름. 제8식에 감추어진 종자가 그로부터 일어나는 결과인 언동과 사상이 되어서 몸ㆍ입ㆍ뜻에 나타나는 현행법과 비슷할 때, 그 종자를 등류습기라 한다. 악한 인에서 악한 과를 내고, 선한 인에서 선한 결과를 내고, 무기인(無記因)에서 무기과를 내는 것과 같이, 자기와 비슷한 과를 내는 종자를 등류습기라 함.
답 후보
● 등류습기(等流習氣)
라찰천(羅刹天)
로가타도(路迦馱覩)
마갈타(摩竭陀)
마니교(摩尼敎)
마이산(馬耳山)
마하남(摩訶男)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Corneille - Le Bon Dieu Est Une Femme
Les Charlots - Hey Max
Pierre Perret - La Petite Kurde
Michel Berger - Chanson Pour Man Ray
Veronique Sanson - Dans La Mme Ville
Cali - Qui Se Soucie De Moi
Serge Gainsbourg - L'anthracit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30▲ 元冘尹日曰 ■ 원유윤일왈 30 ( 으뜸 원 ) ( 망설일 유 / 나아갈 임) (성씨 윤/ 다스릴 윤 )( 날 일 )( 가로 왈 )
043▲ 冫乍四罒罒 ■ 빙사사망망 43 얼음 빙 )(잠깐 사 / 일어날 작 )(넉 사 )( 넉사 / 그물망)网,㓁罓𦉪,𦉫] ( 그물망머리)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Persecution of Buddhists
[san-chn] saptaratnamaya... bhājana 七寶鉢
[san-eng] śarīrāṇi $ 범어 bodies
[pali-chn] ñāṇa 智
[pal-eng] puujayamaana $ 팔리어 pr.p. of puujetihonouring; respecting; offering something with devotion.
[Eng-Ch-Eng] causes beyond direct empowerment 增上緣
[Muller-jpn-Eng] 金剛心位 コンゴウシンイ stage of the adamantine absorption
[Glossary_of_Buddhism-Eng] SUPREME, PERFECT ENLIGHTENMENT☞
Syn: Supreme Bodhi; Anuttara-Samyak-Sambodhi.
See also: Buddha.
“Same as supreme Buddhahood. The Sanskrit means ‘unexcelled
perfect enlightenment’; i.e., the perfect wisdom which comprehends
truth that is attained only by a Buddha, in contrast to the different
grades of enlightenment attained by Bodhisattvas and saints.”
[fra-eng] taverne $ 불어 tavern
[chn_eng_soothil] 洞山 Cave hill or monastery in Yün-chou, modern Jui-chou, Kiangsi, noted for its T'ang teacher悟本 Wu-pen.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何以故? 須菩提, 如我昔爲歌利王, 割截身體, 我於爾時,
無我相、無人相、無衆生相、無壽者相.
무슨 까닭이겠는가. 수보리야, 내가 옛날에 가리왕에게 몸을 갈기갈기 찢길
적에 아상도 없고 인상도 없고 중생상도 없고 수자상도 없었느니라.
[玄奘] 何以故? 善現, 我昔過去世曾為羯利王斷支節肉.
我於爾時都無我想、或有情想、或命者想、或士夫想、或補特伽羅想、或意生想、
或摩納婆想、或作者想、或受者想. 我於爾時都無有想, 亦非無想.
[義淨] 何以故? 如我昔為羯陵伽王割截支體時, 無我想、眾生想、壽者想、更求趣想.
我無是想, 亦非無想.
14-11 तत्कस्य हेतोः ? यदा मे सुभूते कलिराजा अङ्गप्रत्यङ्गमांसान्यच्छैत्सीत्, नासीन्मे तस्मिन् समये आत्मसंज्ञा वा सत्त्वसंज्ञा वा जीवसंज्ञा वा पुद्गलसंज्ञा वा, नापि मे काचित्संज्ञा वा असंज्ञा वा बभूव।
tatkasya hetoḥ | yadā me subhūte kaliṅgarājā
aṅgapratyaṅgamāṁsānyacchaitsīt | nāsīnme tasmin samaye ātmasaṁjñā vā
sattvasaṁjñā vā jīvasaṁjñā vā pudgalasaṁjñā vā nāpi me kācitsaṁjñā vā
asaṁjñā vā babhūva |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수보리여! 깔링가왕이 나의 몸통과 사지의 살점들을 도려내었을
때, 그 때에 나에게 있어서 자아에 대한 산냐나 중생에 대한 산냐나 영혼에 대한 산냐나
개체아에 대한 산냐가 없었으며, 또한 나에게 있어서 어떤 산냐나 산냐가 아닌 것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인가?]
▼▷[yadā] ① yadā(ƺ.) → [(~때)]
② yadā(ƺ. when, at what time, whenever; if)
▼[me] ① me(pn.Ⅰ.gen.) → [나의]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kaliṅgarājā] ① kaliṅga+rājā(ƾ.nom.) → [깔링가왕이]
② kaliṅga(nj. clever; cunning: ƾ. N. of a country and its inhabitants)
② rājan(ƾ. a king, chief; anything best of its kind) < rāj(1.dž. to reign, rule over, govern)
▼[aṅgapratyaṅgamāṁsānyacchaitsīt] ① aṅga+pratyaṅga+māṁsāni(ƿ.acc.pl.) +
acchaitsīt(saor.Ⅲ.sg.) → [몸통과 사지의 살점들을、 도려내었을 때]
② aṅga(ƿ. the body; a limb or member of the body)
② pratyaṅga(ƿ. a secondary or minor limb of the body, as the nose; a division, chapter)
② māṁsa(ƿ. flesh, meat; the flesh of fish; the fleshy part of a fruit: ƾ. a worm)
② chid(7.dž. to cut, lop off, hew, mow, tear; to disturb, interrupt; to remove, drive off)
√chid(7.dž.) > a[augment] + chaid[vṛddhi] + s[add] + īt[affix] >
acchaitsīt(saor.Ⅲ.sg.)
▼▷[nāsīnme] ① na(ƺ.) + āsīt(impf.Ⅲ.sg.) + me(pn.Ⅰ.gen.) → [없었다、 나의(→나에게
있어서)]
② as(2.ǁ. to be, live, exist; to belong to)
梵本追加 : nāsīnme
▼[tasmin] ① tasmin(pn.ƾ.loc.) → [그]
② tasmin(pn.ƾƿ.loc.sg.) < tad(pn. that, he, it, she)
▼[samaye] ① samaye(ƾ.loc.) → [때에]
② samaya(ƾ. time in general; occasion, opportunity; fit time, right moment; an agreement)
▼[ātmasaṁjñā] ① ātma+saṁjñā(Ʒ.nom.) → [자아에 대한 산냐나]
▼[vā] ① vā(ƺ.)
▼[sattvasaṁjñā] ① sattva+saṁjñā(Ʒ.nom.) → [중생에 대한 산냐나]
▼[vā] ① vā(ƺ.)
▼[jivasaṁjñā] ① jiva+saṁjñā(Ʒ.nom.) → [영혼에 대한 산냐나]
▼[vā] ① vā(ƺ.)
▼[pudgalasaṁjñā] ① pudgala+saṁjñā(Ʒ.nom.) → [개체아에 대한 산냐나,]
▼[vā] ① vā(ƺ.)
▼[nāpi] ① na(ƺ.) + api(ƺ.) → [또한]
▼[me] ① me(pn.Ⅰ.gen.) → [나의 → 나에게 있어서]
▼[kācitsaṁjñā] ① kācit(pn.Ʒ.nom.) + saṁjñā(Ʒ.nom.) → [어떤、 산냐나]
② kim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② saṁjñā(Ʒ. consciousness; knowledge, understanding; intellect, mind)
▼[vā] ① vā(ƺ.)
▼[asaṁjñā] ① asaṁjñā(Ʒ.nom.) → [산냐가 아닌 것이]
▼[vā] ① vā(ƺ.)
▼[babhūva] ① babhūva(reperf.Ⅰ.sg.) → [이뤄지지 않았다. →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복완료(reduplicated perfect) : 완료형에 어근을 중복시켜 완료의 어미를 붙이는
경우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08일째]
여일여시일체불 $ 108▲僧祇僧祇為 一 ● 趣,○□□□□,如,如,如,如
□□□□□□□, 如一如是一切身,
如一如是一切頭, 如一如是一切舌,
□□□□□□□, 여일여시일체신,
여일여시일체두, 여일여시일체설,
如一如是一切佛,
한 부처님 그렇듯이 모든 부처님
한 몸이 그렇듯이 모든 몸이며
한 머리가 그렇듯이 모든 머리와
한 혀가 그렇듯이 모든 혀며
[110째]
일미진중능실유 $ 110■ ■一 乃一一神成 種種得往於
110▲ 至至為 一 ● 阿僧祇,○□□□□,不,一,賢,乃
□□□□□□□, 不可言說蓮華界,
一一蓮華世界中, 賢首如來不可說。
□□□□□□□, 불가언설련화계,
일일련화세계중, 현수여래불가설。
一微塵中能悉有,
한 티끌 속에마다 말할 수 없는
연화장 세계들이 모두 다 있고
하나하나 연화장 세계 가운데
계시는 현수(賢首)여래 말할 수 없고
●K1396_T1669.txt★ ∴≪A대종지현문본론≫_≪K1396≫_≪T1669≫
●K1058_T2153.txt★ ∴≪A대주간정중경목록≫_≪K1058≫_≪T2153≫
●K0549_T1509.txt★ ∴≪A대지도론≫_≪K0549≫_≪T1509≫
■ 암산퀴즈
14* 160
21231 / 63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3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9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108 번째는?
43 좋은 말씀[주-66]은 모든 존재[有]의 티끌을 능히 씻고
마뎨, 磨綻<四十三徒界反>
badhe,
(~!~) 현세의 왕이시여! 지옥과 불에 떨어진 이들을 보호하고 보호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90 비리다가라 하 ◐畢唎哆揭囉<二合>訶<餓鬼難百九十>◑pretaㆍgrahā
191 비사 차아라하 ◐毘舍<上>遮揭囉訶<廁神百九><十一>◑piśācaㆍgrahā
192 보다아라 하 ◐部多揭囉<二合>訶<神鬼衆百九十二>◑bhūtaㆍgrahā
193 구반다아라하 ◐鳩槃茶揭囉訶<守宮婦女鬼一百九十三>◑kumbhāndaㆍgrahā
194 보다나가라하 ◐布單那揭囉<二合>訶<魄鬼百九十四>◑pūtanāㆍgrahā
195 가타보다나가라 하 ◐羯咤布單那揭囉<二合>訶<奇魄鬼一><百九十五>◑kaṭapūtanāㆍgrahā
196 스건타가라하 ◐塞揵陁揭囉訶<鳩摩羅童天子百九十六>◑skandaㆍgrahā
197 아바사마하가라 하 ◐阿婆娑摩囉揭囉<二合>訶<羊頭鬼百九十七>◑apasmāraㆍgrahā
198 오단마타가라 하 ◐烏檀摩陁揭囉<二合>訶<熱鬼百九十八>◑unmādaㆍgrahā
199 차야가라 하 ◐車耶揭囉<二合>訶<影鬼百九十九>◑chāyāㆍgrahā
● 또 이 주문은 마음에 삼매를 얻게 하므로,
일체의 저주[呪詛]와 양밥의 독벌레[厭蠱]와
독약(毒藥)과 금독(金毒)과 은독(銀毒)이며,
풀, 나무, 벌레, 뱀 등 만물의 독기(毒氣)들이 이 사람의 입에 들어가면
감로(甘露)의 맛으로 변하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108
삼혜(三慧)를 갖추신 진실한 눈을 가지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三慧眞實眼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2240
337
법수_암기방안
19 자뼈 (알너 - ULNA)
108 라지 인테스틴 large intestine 【대장】
110 WRIST 손목
43 꼬마(새끼)발가락 the little toe
6 쇄골 【쇄골】
108 라지 인테스틴 large intestine 【대장】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420_000639 :
대장경 내 게송
분별에는 여덟 가지가 있어서
능히 3사(三事)를 내나니
분별의 자체가 3계(三界)의
마음과 마음 법이라고 알아야 하리.
출전:
한글대장경 K0571_T1602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무착보살조.
당 현장역
顯揚聖教論 【無著菩薩造.
唐 玄奘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두 다리 펴 허리 비틀기 [Jathara Parivarttanasan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2-금
Saqsaywaman Cusco Peru
[구글맵 https://maps.app.goo.gl
[동영상- 일목요연하게 관람함에는 동영상이 도움 될 수 있다.
https://youtu.be
[동영상2- Sacsayhuaman The magnificent Inca fortress, Cusco Peru.
https://youtu.be
[위키 - 한글번역으로 보면 편하다.
https://en.wikipedia.org
[음악 Cusco - Inca Dance
https://youtu.be
Si j'avais au moins...Mylène Farmer
https://youtu.be
001 나모사다타소가다야 ◐南牟薩怛他蘇伽哆耶<歸命一切諸佛一>◑Namas tathā-sugatāya

○2019_1106_130932_canon_bw22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5_152957_canon_BW17▾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201_154316_canon_ar38▾원주 구룡사

○2020_0907_173349_nikon_BW17▾양산 통도사

○2020_0907_153721_canon_bw18▾양산 통도사

○2020_0910_181825_nikon_bw24▾제천 월악산 신륵사

○2020_0930_141107_nikon_AB4▾화성 용주사

○2018_1022_141245_canon_BW25_s12▾공주 계룡산 갑사

○2018_1023_142021_canon_BW17▾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42650_canon_BW25_s12▾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53347_canon_ct19▾예산 덕숭산 수덕사

○2020_1114_132642_nikon_BW25_s12▾삼각산 도선사

○2021_1112_154925_nikon_Ab35▾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0926_173451_nikon_ct9_s12▾서울_삼각산_도선사

○2021_1112_143635_canon_ar38▾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0_0430_131528_canon_BW21_s12▾서울_북악산_성불사

○2021_1002_180401_nikon_bw24_s12_pc▾경주_함월산_골굴사

○2022_1026_171421_nikon_BW3_s12▾서울_수도산_봉은사

○2021_1005_184754_canon_ct15_pc▾해남_봉화산_대흥사
● [pt op tr] fr
_M#]

○2020_0910_135003_nikon_BW27▾속리산 법주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주간정중경목록_K1058_T2153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대주간정중경목록 제12권/전체15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대주간정중경목록-K1058-012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1058-012.html
sfed--대주간정중경목록_K1058_T2153.txt ☞대주간정중경목록 제12권/전체15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tsf1055
불기2569-04-18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40061051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30
htmback--불기2569-04-18_대주간정중경목록_K1058_T2153-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