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4월 13일 일요일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k0892-011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K0892
T1443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1권/전체2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4-13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892_T1443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0892-011♧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1권/전체2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25049_nikon_exc▾화순 영구산 운주사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14556_nikon_exc_s12▾순천 조계산 선암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63858_nikon_fix▾원주 구룡사

_ori_rs
○2016_0505_124249_nikon▾춘천 청평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60540_canon_ori_rs▾삼각산 화계사

구례 화엄사 구층암
○2019_1104_113731_canon_exc▾구례 화엄사 구층암

구례화엄사 구층암
○2019_1104_114145_nikon_fix▾구례화엄사 구층암

서울_혜광사
○2016_0222_174245_nikon_exc_s12_%23023▾서울_혜광사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74620_nikon_exc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양양_오봉산_낙산사
○2021_0929_074606_canon_exc▾양양_오봉산_낙산사

인제_설악산_백담사
○2021_0928_163901_canon_exc▾인제_설악산_백담사

영천_만불사
○2021_1002_161612_canon_exc▾영천_만불사

서산_상왕산_문수사
○2021_0217_115816_nikon_exc▾서산_상왕산_문수사

해남_봉화산_대흥사
○2021_1006_102913_nikon_exc_s12▾해남_봉화산_대흥사

계룡산_신원사
○2021_1008_143754_canon_exc_s12▾계룡산_신원사

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2021_1007_103832_nikon_exc▾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16_0505_121903_nikon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3_0402_131125_nikon_exc▾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부안_능가산_내소사
○2021_1007_141323_nikon_exc_s12▾부안_능가산_내소사

● [pt op tr] fr
_M#]


부안_능가산_내소사
○2016_0123_162613_canon_exc_s12▾부안_능가산_내소사



❋❋본문 ◎[개별논의]

★%★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0892-011♧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해제 (있는 경우)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011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han1380
◈Lab value 202110071413


○ 2018_1023_153009_nik_ori.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woman-before-the-mirror-1912.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Ernst-Ludwig-Kirchner
from https://en.wikipedia.org/wiki/Ernst_Ludwig_Kirchner
Title : woman-before-the-mirror-1912.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2_0411_152147_can_exc_s12장안벚꽃길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Basilica_of_Notre-Dame_de_Fourvière_-_panoramio_(1)
[#M_▶더보기|◀접기|
Basilica of Notre-Dame de Fourvière
Author Zoran Kurelić Rabko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nuuk-greenland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2/nuuk-greenland.html
https://buddhism007.tistory.com/18095
■htmback--B-♥nuuk-greenland_불기2565-02-11-Tis.htm

Barbara - Joyeux No;l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0892-011.html#1380
sfed--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_K0892_T1443.txt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1권/전체20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han1380
불기2569-04-13
θθ





■ 퀴즈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_011
 【범】śikṣāpada sikkhāpada 배울만한 곳이란 뜻. 계율을 말함. 계는 비구ㆍ비구니 등이 배워 수행할 근본이므로 학처라고 함.

답 후보
● 학처(學處)
해오(解悟)

해탈장(解脫障)
행선(行善)
행주좌와(行住坐臥)
허공계(虛空界)
현겁(賢劫)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Renaud - Laisse Beton
Jacques Dutronc - Le Dilemme
Edith Piaf - Adieu Mon Coeur
Regine - Je Survivrai
Zaza Fouriner - Baiser D'un Soir
Michel Sardou - Le Cinema D'audiard
Les Cowboys Fringants - Le Reel De La Patate Pile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25▲ 少殳水氵氺 ■ 소수수수수 25 ( 적을 소/ 젊을 소 )( 몽둥이 수 )( 물 수 ) (삼수변 수) ( 물 수 )
038▲ 句丘冬令立 ■ 구구동령립 38 ( 글귀 구/ 올가미 구, 글귀 귀 ) ( 언덕 구 )( 겨울 동 / 북소리 동) ( 하여금 령 / 영) (설 립 / 입, 자리 위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Adhiṭṭhāna
[san-chn] adhiṣṭhāna-bhāva 爲依處
[san-eng] nityavairiṇa $ 범어 by the eternal enemy
[pali-chn] jotika 樹提伽
[pal-eng] nidaana.m $ 팔리어 adv.(in cpds.), by means of; in consequence of.
[Eng-Ch-Eng] 塵垢 Objective filth; defilement (upakle/sa).
[Muller-jpn-Eng] 三慧經 サンネキョウ (title) Sutra on the Three Wisdoms
[Glossary_of_Buddhism-Eng] BUDDHIST, THE☞
“Buddhist monthly periodical published in Colombo. Founded
1888. Organ of the Young Men’s Buddhist Association of Colombo,
Sri Lanka.”
Hump: 51 #0466

[fra-eng] dépéri $ 불어 declined
[chn_eng_soothil] 十種觀法 idem 十乘觀法.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所以者何? 我相卽是非相, 人相衆生相壽者相, 卽是非相.
어째서 그런가 하면 아상은 상(相)이 아니며, 인상、중생상、수자상도 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玄奘] 所以者何? 世尊, 諸我想即是非想,
諸有情想、命者想、士夫想、補特伽羅想、意生想、摩納婆想、作者想、受者想,
即是非想.
[義淨] 所以者何? 世尊, 我想、眾生想、壽者想、更求趣想, 即是非想.
14-06 तत्कस्य हेतोः ? या सा भगवन् आत्मसंज्ञा, सैवासंज्ञा।
या सत्त्वसंज्ञा जीवसंज्ञा पुद्गलसंज्ञा, सैवासंज्ञा।
tatkasya hetoḥ | yā sā bhagavan ātmasaṁjñā saivāsaṁjñā | yā sattvasaṁjñā
jīvasaṁjñā pudgalasaṁjñā saivāsaṁjñā |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하오면, 복덕갖춘분이시여! 자아에 대한 산냐는 그것이 곧 산냐가
아니며, 중생에 대한 산냐、 영혼에 대한 산냐、 개체아에 대한 산냐는 그것이 곧 산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어떤 것이건 자아에 대한 산냐라는 바로 그것은 곧 산냐가 아니며, 중생에 대한
산냐라거나 영혼에 대한 산냐라거나 개체아에 대한 산냐라는 바로 그것은 곧 산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인가 하오면?]
▼▷[yā] ① yā(pn.Ʒ.nom.) → [(어떠한) 그것은]
▼[sā] ① sā(Ʒ.nom.) → [그것은]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ātmasaṁjñā] ① ātma+saṁjñā(njp.→Ʒ.nom.) → [자아에 대한 산냐이다(→산냐라는…)]
▼[saivāsaṁjñā] ① sā(Ʒ.nom.) + eva(ƺ.) + asaṁjñā(njp.→Ʒ.nom.) → [그것은、
바로(→곧)、 산냐가 아닙니다(→산냐가 아니며),]
 [형용절] 그것은 자아에 대한 산냐이다. + 그것은 곧 산냐가 아니다. → [형용구]
어떤 것이건 자아에 대한 산냐라는 바로 그것은 곧 산냐가 아니다.
▼▷[yā] ① yā(pn.Ʒ.nom.) → [(어떠한) 그것은]
▼[sattvasaṁjñā] ① sattva+saṁjñā(Ʒ.nom.) → [중생에 대한 산냐는]
▼[jīvasaṁjñā] ① jīva+saṁjñā(Ʒ.nom.) → [영혼에 대한 산냐는]
▼[pudgalasaṁjñā] ① pudgala+saṁjñā(Ʒ.nom.) → [개체아에 대한 산냐는]
▼[saivāsaṁjñā] ① sā(Ʒ.nom.) + eva(ƺ.) + asaṁjñā(Ʒ.nom.) → [그것은、 바로(→곧)、
산냐가 아닙니다.] → 산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03일째]
불가언설일체겁 $ 103▲出生出生為 一 ● 無我, ○□□□□,讚,不,不,不

□□□□□□□, 讚不可說諸功德,
不可說劫猶可盡, 不可說德不可盡。
□□□□□□□, 찬불가설제공덕,
불가설겁유가진, 불가설덕불가진。

不可言說一切劫,
말로 할 수 없는 여러 겁 동안
말할 수 없는 공덕 찬탄할 적에
말할 수 없는 겁은 다할지언정
말할 수 없는 덕은 다할 수 없고



[104째]
불가언설제여래 $ 104▲無我無我為 一 ● 阿畔多, ○□□□□,不,歎,不,十

□□□□□□□, 不可言說諸舌根,
歎佛不可言說德, 不可說劫無能盡。
□□□□□□□, 불가언설제설근,
탄불불가언설덕, 불가설겁무능진。

不可言說諸如來,
말로 할 수 없는 많은 여래의
말로 할 수 없는 여래 혀로써
말로 못할 부처 공덕 찬탄한대도
말할 수 없는 겁에 다할 수 없어

105□



●K0897_T1455.txt★ ∴≪A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계경≫_≪K0897≫_≪T1455≫
●K0892_T1443.txt★ ∴≪A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_≪K0892≫_≪T1443≫
●K1278_T1033.txt★ ∴≪A금강공포집회방광궤의관자재보살삼세최승심명왕경≫_≪K1278≫_≪T1033≫


■ 암산퀴즈


19* 707
487320 / 620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38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4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103 번째는?




38 기쁨․즐거움․재물․보배 등을 증장시키고,
타계, 託契<三十八>
takki
(이하~) 현세의 왕이시여! 지옥과 불에 떨어진 이들을 보호하고 보호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40 바라미댜 ­ 삼박 ­ 사나라 ◐婆囉微地也三婆乞叉那囉<百四十>◑paraㆍvidyāㆍsaṃbhakshanakara
141 호훔 도로훔 ◐呼吽<二合>咄嚕吽<三合百四十一>◑Hūṃ trūṃ
142 살바보스타남 ◐薩婆部瑟咤喃<百四十二>◑sarvaㆍbushṭanāṃ
143 사담바나가라 ◐塞曇婆那羯囉<喫卻><他呪百四十三>◑stambhanaㆍkara//
144 호훔 도로훔 ◐呼吽<二合>咄嚕吽<三合百四十四>◑Hūṃ trūṃ
145 살바약사 ◐薩嚩藥叉<勇猛百四十五>◑sarvaㆍyaksha
146 갈라 샤사아라하남 ◐喝囉<引>剎娑揭囉訶喃<百四><十六>◑harākshasa grahānāṃ
147 비타방사나가라 ◐毘陁防娑那羯囉<打破百四十七>◑vihvaṃsanaㆍkara//
148 호훔 도로훔 ◐呼吽<二合>咄嚕吽<三合百四十八>◑Hūṃ trūṃ
149 자도라시디남 ◐者都囉尸底喃<百四十九>◑caturㆍaśīṭīnāṃ

●또 이 주문의 이름을 여래정(如來頂)이라고도 한다.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103
비할 수 없는 삼유(三有)의 스숭께 귀의합니다.
南無無等三有師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3433
786
법수_암기방안


14 맥박~점(맥박뛰는곳) pulse
103 스토막 stomach 胃 【위】
104 스몰 인테스틴 small intestine 小腸 【소장】
38 정강이[Shin]

6 쇄골 【쇄골】
103 스토막 stomach 胃 【위】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414_035055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역사(力士)들은 그 일을 듣고 나서 함께 모여 의논하였다.


‘우리들은 모두 같이 부처님께 나아가야 한다.
만일 가지 않는 이가 있으면 5백의 큰 옛 금전(金錢)으로 벌금을 내게 하여 마을의 재정을 충당하도록 하자.’
그때에 노차(盧遮)라는 역사가 있었는데 성격이 호탕하고 거리낌 없으며 재산도 많았으나 마음으로 부처님을 믿지 않았다.
그는 ‘돈은 아깝지 않다만 친우(親友)들과의 약속[制約]만은 어길 수 없다’고 생각하고 드디어 마을 사람들과 같이 부처님께 나아가 부처님 발에 머리 조아려 예배하고 물러나 한쪽에 있었다.
그때 아난이 노차에게 말하였다.
‘그대가 와서 부처님을 뵙게 되었으니 매우 장한 일입니다.
위없는 복전(福田)136) 께서 머지않아 사라숲 사이로 가셔서 큰 적멸[大寂滅]에 드실 것입니다.’

노차는 곧이곧대로 아난에게 말하였다.
‘내가 부처님을 뵈러온 것은 스스로 원한 것이 아닙니다.
다만 친우들과의 약속을 어길 수 없었을 뿐입니다.’
아난은 노차의 팔을 끌고 부처님 앞에 나아가 말하였다.
‘노차 역사는 삼보를 믿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그를 위하여 법요(法要)를 말씀해주소서.’
부처님은 ‘이 탐애를 짓는 사람[愛行人]은 5욕(欲)에 탐착해 있으므로 설령 그에게 법을 설한다 해도 갑자기 이해하지 못하리라’고 생각하시고 부처님은 그를 가엾이 여기셔서 신통을 나타내어 하나의 구덩이를 변화로 만드셨다.
그 속에는 시체와 똥이 가득 차 있고 더러운 냄새가 피어오르며 사나운 불길이 활활 타오르고 있었는데 그 구덩이에서 ‘노차 역사야,
만일 부처님을 믿지도 않고 법을 들어 받아들이지 않으면 너는 목숨을 마친 뒤에 반드시 이 속에 날 것이다’라고 하였다.
노차는 이 광경을 보고 온 몸을 벌벌 떨면서 곧 돌아와 부처님께 몸을 던졌다.
부처님께서 그를 위하여 법을 설하시자 그는 마음에 믿음을 낸 뒤에 곧 삼귀(三歸)를 받았다.
그때에 세간에서는 모두 입을 모아 ‘노차 역사는 부처님의 인자하신 도움 때문에 삼보를 믿게 되었다’고 말하였다.”
여기에서 인자하신 도움이란 신통을 나타내신 것을 말한다.




출전:
한글대장경 K0952_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毗達磨大毘婆沙論) 오백대아라한등조.
당 현장역
阿毘達磨大毘婆沙論 【五百大阿羅漢等造.
唐 玄奘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허리 흔들기


●세계사이트방문일자: 2569-04-03-목
♡대성정사,경남 창녕군 남지읍 고곡길 163
[사진]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kko.kakao.com
https://kko.kakao.com
[설명 1]
https://blog.naver.com
http://www.korea-in.kr
https://blog.naver.com
http://www.newsmaker.or.kr
http://cbc108.co.kr
http://cbc108.co.kr
http://www.newsmaker.or.kr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009 나모스가리 타 가 미남 ◐娜牟塞羯唎<二合>陁<引>伽<輕去>彌喃<敬禮斯陁含阿那含衆九>◑Namḥ sakridāgāmināṃ//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5119_nikon_bw24_s12▾순천 조계산 송광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14927_can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15637_canon_ar38▾화순 영구산 운주사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13350_canon_CT33▾순천 조계산 선암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53621_canon_ab28▾원주 구룡사

원주 구룡사
○2020_0904_135013_canon_Ab27▾원주 구룡사

오대산 상원사
○2020_0905_141934_canon_ab41▾오대산 상원사

합천 해인사
○2020_0908_152341_nikon_ab41▾합천 해인사

무주 백련사
○2020_0909_175743_nikon_CT27▾무주 백련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0228_canon_exc_s12▾삼각산 화계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61335_canon_ct18_s12▾삼각산 도선사

구례 화엄사
○2019_1104_122645_canon_ct9_s12▾구례 화엄사

구례 화엄사 연기암
○2019_1104_134005_canon_ar12▾구례 화엄사 연기암

의령_봉황산_일붕사
○2021_1004_103231_nikon_ct8▾의령_봉황산_일붕사

서울_개운산_장경연
○2013_0408_131339-nikon_ab49▾서울_개운산_장경연

계룡산_신원사
○2021_1008_210815_canon_ct19_s12_pc▾계룡산_신원사

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2021_1003_151600_nikon_ar47▾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서산_상왕산_문수사
○2021_0217_114553_nikon_ct18▾서산_상왕산_문수사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3_0402_131202_canon_bw24▾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pt op tr] fr
_M#]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1258_canon_Ab35▾순천 조계산 송광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_K0892_T1443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0892-011♧
[관련키워드]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1권/전체2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K0892-01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0892-011.html
sfed--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_K0892_T1443.txt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1권/전체20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han1380
불기2569-04-13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32158513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25
htmback--불기2569-04-13_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_K0892_T1443-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