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4월 6일 일요일

보살영락경-k0385-002


『보살영락경』


K0385
T0656

보살영락경 제2권/전체14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4-06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385_T0656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보살영락경』 ♣0385-002♧




보살영락경 제2권/전체14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21433_can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31341_canon_bw24▾화순 영구산 운주사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14453_canon_CT33▾순천 조계산 선암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51639_canon_exc▾원주 구룡사

불암산 천보사
○2020_0211_134407_canon_AR35_s12▾불암산 천보사

천축산 불영사
○2020_0906_121815_canon_BW25▾천축산 불영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40840_nikon_BW25▾속리산 법주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52234_nikon_CT27▾속리산 법주사

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02_122324_nikon_fix▾파주 고령산 보광사

공주 칠갑산 장곡사
○2018_1024_145128_nikon_ct8_s12▾공주 칠갑산 장곡사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32210_canon_CT28▾예산 덕숭산 수덕사

구례화엄사 구층암
○2019_1104_114940_nikon_Ar28▾구례화엄사 구층암

밀양_만어산_만어사
○2021_1003_125534_nikon_Ar26_s12_pc▾밀양_만어산_만어사

영천_만불사
○2021_1002_153032_canon_CT33▾영천_만불사

해남_봉화산_대흥사
○2021_1005_184450_nikon_AB7▾해남_봉화산_대흥사

계룡산_신원사
○2021_1008_151002_nikon_bw24▾계룡산_신원사

장흥_천관산_천관사
○2021_1005_163326_canon_AR35_s12▾장흥_천관산_천관사

밀양_재악산_표충사
○2021_1002_213531_canon_CT27▾밀양_재악산_표충사

강화도_전등사
○2021_0216_170724_canon_ct10▾강화도_전등사

● [pt op tr] fr
_M#]


합천 해인사
○2020_0908_163817_nikon_CT33▾합천 해인사



❋❋본문 ◎[개별논의]

★%★

『보살영락경』 ♣0385-002♧
보살영락경 해제 (있는 경우)

보살영락경 002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qud6123
◈Lab value 202102161707


○ 2023_0122_144859_nik_ab13_s12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louis-comfort-tiffany-pond-lily-table-lamp-model-no-344-1910
[#M_▶더보기|◀접기|
Artist: louis-comfort-tiffany
from https://en.wikipedia.org/wiki/Louis_Comfort_Tiffany
Title : pond-lily-table-lamp-model-no-344-1910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606_124255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he_Equestrian_Session_(2828508601)
[#M_▶더보기|◀접기|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The_Equestrian_Session_(2829348828).jpg
The Equestrian Session
Author THOR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King Ashoka Temple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buddhism007.tistory.com/3928

Mistinguett - Ca C'est Paris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0385-002.html#6123
sfed--보살영락경_K0385_T0656.txt ☞보살영락경 제2권/전체14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qud6123
불기2569-04-06
θθ





■ 퀴즈


 ⇒<유사어>노사<참조어>노사(老師)

답 후보
● 노스님(老――)

누진통(漏盡通)
능립법불성과(能立法不成過)
능엄삼매(楞嚴三昧)
능작인(能作因)
니승(尼僧)
다문부(多聞部)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AU P'TIT BONHEUR - J'veux Du Soleil 21761 S
Pascal Obispo - Zinedine (instru)
Mireille Mathieu - Wenn Die Glocken Hell Erklingen
Jeanne Moreau - Pas Bien
Louis Chedid - A Part Vous A Part Vous
Baselli, Joss Et Son OrchestreRenaud - Tel Qu'il Est
Barbara - Labsinth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18▲ 乇土下丸介 ■ 탁토하환개 18 ( 부탁할 탁/ 풀잎 탁 )( 흙 토 / 뿌리 두, 쓰레기 차 )( 아래 하 )( 둥글 환 )( 낄 개 / 낱 개, 갑자기 알 )
031▲ 壬爿井弔爪 ■ 임장정조조 31 (북방 임 / 아홉째 천간( 天干) 임 )(나뭇조각 장 / 나뭇조각 상, 양수사 판 )( 우물 정 )( 조상할 조, / 이를 적 )(손톱 조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ukhothai Historical Park
[san-chn] aśeṣôparama 無餘滅
[san-eng] pariveṣṭṛ $ 범어 attendent
[pali-chn] sādhukaṃ paggaṇhāti 善取
[pal-eng]
[Eng-Ch-Eng] eight kinds of evil (errors) 八邪
[Muller-jpn-Eng] 火帳 コチョウ kitchen account
[Glossary_of_Buddhism-Eng] TREE☞
See also: Tree Spirits.
“The word ‘tree’ is defined by a homonym in Chinese that means
upright or perpendicular. Trees represent wisdom. If you are tall, you
are said to have wisdom: ‘It is like a great regal tree growing in the
rocks and sand of a barren wilderness. When the roots get water,
the branches, leaves, flowers, and fruits will all flourish. The regal
bodhi tree growing in the wilderness of Birth and Death is the same.
All living beings are its roots; all Buddhas and Bodhisattvas are its
flowers and fruits. By benefitting all beings with the water of Great
Compassion, one can realize the flowers and fruits of the Buddhas’
and Bodhisattvas’ wisdom.’ ” (Avatamsaka Sutra: Chap. 40)

[fra-eng] appel $ 불어 call, roll call, telephone call
[chn_eng_soothil] 明得 (明定) A samādhi in the Bodhisattva's 四加行 in which there are the bright beginnings of release from illusion.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不也, 世尊! 不可以三十二相, 得見如來. 何以故? 如來說三十二相,
卽是非相, 是名三十二相.」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32상으로는 여래를 보지 못합니다. 무슨 까닭인
가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32상은 곧 상(相)이 아니므로 32상이라 이
름하기 때문입니다.”
[玄奘] 善現答言: 「不也, 世尊, 不應以三十二大士夫相觀於如來應正等覺! 何以故?
世尊三十二大士夫相, 如來說為非相, 是故如來說名三十二大士夫相.」
[義淨] 妙生言: 「不爾, 世尊, 不應以三十二相觀於如來! 何以故? 三十二相,
佛說非相, 是故說為大丈夫相.」
13-09 सुभूतिराह-नो हीदं भगवन्।
द्वात्रिंशन्महापुरुषलक्षणैस्तथागतोऽर्हन् सम्यक्संबुद्धो द्रष्टव्यः।
तत्कस्य हेतोः ? यानि हि तानि भगवन् द्वात्रिंशन्महापुरुषलक्षणानि तथागतेन भाषितानि, अलक्षणानि तानि भगवंस्तथागतेन भाषितानि।
तेनोच्यन्ते द्वात्रिंशन्महापुरुषलक्षणानीति॥

subhūtirāha | no hīdaṁ bhagavan | na
dvātriṁśanmahāpuruṣalakṣaṇaistathāgato'rhan saṁyaksambuddho draṣṭavyaḥ
| tatkasya hetoḥ | yāni hi tāni bhagavan dvātriṁśanmahāpuruṣalakṣaṇāni
tathāgatena bhāṣitāni | alakṣanāni tāni bhagavaṁstathāgatena bhāṣitāni |
tenocyante dvātriṁśanmahāpuruṣalakṣaṇānīti |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그것은 참으로 아닙니다. 복덕갖춘분이시여! 32가지 위대한
인물의 표상들로 응당공양올려야될분이자 바르고동동하게깨달으신분인 그렇게오신분께서
보여질 수 없습니다.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하오면, 복덕갖춘분이시여!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말씀되어진 ‘32가지 위대한 인물의 표상들’이란 그것들은, 복덕갖춘분이시여!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표상들이 아니라고 말해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32가지 위대한
인물의 표상들’이라고 말해집니다.
▼▷[subhūtirāha] ① subhūtiḥ(ƾ.nom.) + āha(ƺ.) → [수보리는、 말했다.]
▼▷[no] ① no(ƺ.) → [아닙니다]
▼[hīdaṁ] ① hi(ƺ.) + idaṁ(pn.ƿ.nom.) → [참으로、 그것은.]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na] ① na(ƺ.)
▼[dvātriṁśanmahāpuruṣalakṣaṇaistathāgato'rhan] ①
dvātriṁśat+mahāpuruṣa+lakṣaṇaiḥ(ƿ.ins.pl.) + tathāgataḥ(ƾ.nom.) +
arhan(nj.→ƾ.nom.) → [32가지 위대한 인물의 표상들로、 그렇게오신분이、
응당공양올려야될]
▼[saṁyaksambuddho] ① samyaksambuddhaḥ(nj.→ƾ.nom.) → [바르고동등하게깨달으신]
▼[draṣṭavyaḥ] ① draṣṭavyaḥ(njp.→ƾ.nom.) → [보여질 수 없습니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인가 하오면?]
② hetu(ƾ. cause, reason, motive; source, origin; a means or instrument)
▼▷[yāni] ① yāni(pn.ƿ.nom.pl.) → [(어떠한) 것들은]
▼[hi] ① hi(ƺ.) → [참으로]
▼[tāni] ① tāni(pn.ƿ.nom.pl.) → [그것들은]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dvātriṁśanmahāpuruṣalakṣaṇāni] ① dvātriṁśat+mahāpuruṣa+lakṣaṇāni(ƿ.nom.pl.) →
▼[32가지 위대한 인물의 표상들은]
▼[tathāgatena] ① tathāgatena(ƾ.ins.) →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bhāṣitāni] ① bhāṣitāni(nj.→ƿ.nom.pl.) → [말씀되어진]
② bhāṣita(p.p. spoken, said, uttered)
▼▷[alakṣanāni] ① alakṣanāni(ƿ.nom.pl.) → [非표상들이다 → 표상들이 아니다(라고)]
▼[tāni] ① tāni(pn.ƿ.nom.pl.) → [그것들은]
▼[bhagavaṁstathāgatena] ① bhagavan(ƾ.voc.) +|s|+ tathāgatena(ƾ.ins.) →
▼[복덕갖춘분이시여!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bhāṣitāni] ① bhāṣitāni(njp.→ƿ.nom.pl.) → [말해졌습니다.] → 말해졌기 때문입니다.
▼▷[tenocyante] ① tena(ƺ.) + ucyate(pass.pres.Ⅲ.sg.) → [그래서、 말해집니다]
▼[dvātriṁśanmahāpuruṣalakṣaṇānīti] ① dvātriṁśat+mahāpuruṣa+lakṣaṇāni(ƿ.nom.pl.) +
iti(ƺ.) → [‘32가지 위대한 인물들의 표상’이라고.]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96일째]
흔요제불불가설 $ 096▲者麼羅者麼羅為 一 ● 馱麼羅, ○□□□□,智,善,於,三

□□□□□□□, 智慧平等不可說,
善入諸法不可說, 於法無礙不可說,
□□□□□□□, 지혜평등불가설,
선입제법불가설, 어법무애불가설,

欣樂諸佛不可說,
부처님을 반기는 일 말할 수 없고
지혜가 평등함을 말할 수 없고
여러 법에 잘 들어감 말할 수 없고
여러 법에 걸림없음 말할 수 없고



[97째]
삼세여공불가설 $ 097▲馱麼羅馱麼羅為 一 ● 鉢攞麼陀, ○□□□□,三,了,住,殊

□□□□□□□, 三世智慧不可說,
了達三世不可說, 住於智慧不可說,
□□□□□□□, 삼세지혜불가설,
료달삼세불가설, 주어지혜불가설,

三世如空不可說,
삼세가 허공 같음 말할 수 없고
삼세의 지혜들을 말할 수 없고
삼세를 통달함을 말할 수 없고
지혜에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K0060_T0414.txt★ ∴≪A보살염불삼매경≫_≪K0060≫_≪T0414≫
●K0385_T0656.txt★ ∴≪A보살영락경≫_≪K0385≫_≪T0656≫
●K0530_T1485.txt★ ∴≪A보살영락본업경≫_≪K0530≫_≪T1485≫


■ 암산퀴즈


849* 953
22500 / 450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31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7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96 번째는?




31 5안(眼)[주-64]을 증장시키며,
바라자라반다니, 鉢剌遮囉飯怛泥<三十一去聲>
pra-cara vartane,
(~!~) 성스러운 찬란한 빛을 펼치시고,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70 바라등 의 라 ◐鉢羅登<登甑反>擬<擬異><反>囉<七十>◑pratyaṅgirā//
071 사바보다가라 하가라니 ◐薩嚩部多揭囉<二合>訶迦囉尼<一切神衆作罰七十一>◑Sarva bhūtaㆍnigrahaㆍkarani
072 바라미 댜 ­ 체 다 니 ◐波囉微<入>地也<二合>掣<車曳反>陁<輕呼>你<能斷他呪七十二>◑paraㆍvidyāㆍchedani
073 아가 라 밀 ­ 투 ◐阿哥<引>囉<輕呼>微哩<入二合>駐<撗死七十三>◑akālaㆍmrityu
074 바리다라야 나가리 ◐波唎怛囉耶<引>那揭唎<救取七十四>◑paritrāyaṇaㆍkarī
075 살바반타나목 ­ 사나가리 ◐薩嚩畔陁那乞叉那迦唎<一切縛禁解脫七十五>◑sarvaㆍbandhañaㆍmokshanaㆍkarī//
076 살바도스타 ◐薩嚩突瑟咤<二合除一切惡七十六上>◑sarava dushṭe
077 도사바나니바라니 ◐突莎般那你縛囉尼<惡夢七十七>◑duḥsvapnaㆍnivāraṇi
078 자도라 싣디남 ◐者都囉<引>室底喃<八萬四千衆神><七十八>◑caturㆍaśītīnāṃ
079 가라하사하사라 남 ◐揭囉訶娑訶娑囉<引>喃<七十九>◑grahaㆍsahasrānāṃ

●이른 바 지옥의 괴로움,
아귀의 괴로움,
축생의 괴로움,
눈 먼 괴로움,
귀 먹은
괴로움,
벙어리의 괴로움,
원망하고
미워하는 사람끼리 서로 만나는 괴로움,
사랑하는 사람끼리 서로 헤어지는 괴로움,
아무리 원해도 얻지 못하는 괴로움,
다섯 쌓임이 치성한 괴로움,
크고 작은 횡액의 괴로움들을 동시에 해탈한다.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96
훌륭한 계(戒)의 차별상(差別相)을 훌륭히 지키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善持善戒相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809097
50
법수_암기방안


7 갈비 【협】
96 족근 足跟 ~ 발꿈치 【족근】
97 족~비탈 ~측면 [ 신조어 ]
31 넓적다리 thigh


96 족근 足跟 ~ 발꿈치 【족근】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406_231057 :

대장경 내 게송



라후라 존자의 덕을
어찌 입으로 다 말하랴.
스승의 간곡하신 설법에 따라
이내 깨달음에 들었네.
羅睺道德 在口寧論
因師說耳 尋得入門

해와 달을 높이 들어
하늘과 땅을 두루두루 비추었다.
취할 것도 버릴 것도 없는 것을
자손들에게 전해 주었네.
高提日月 大照乾坤
不取不捨 傳乎子孫


출전:
한글대장경 K1503_Txxxx
조당집(祖堂集) 남당 정 균찬
祖堂集 【南唐 靜 筠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금강좌


●세계사이트방문일자: 2569-03-30-일
♡대성사,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8가길 126
[사진]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naver.me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kko.kakao.com
[설명 1] https://archive.sb.go.kr
https://m.blog.naver.com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88phs.tistory.com
008 나모소로다반나남 ◐娜牟蘇嚕哆半那喃<八>◑Namaḥ srota-apannānāṃ//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10116_nikon_BW25▾화순 영구산 운주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55252_nikon_ct8▾순천 조계산 송광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64102_nikon_ab41_s12▾원주 구룡사

양산 영축사
○2020_0907_124005_nikon_BW28▾양산 영축사

공주 태화산 마곡사
○2018_1022_173947_nikon_bw4_s12▾공주 태화산 마곡사

부여 고란사
○2018_1024_175645_nikon_Ab31▾부여 고란사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30321_canon_ori▾예산 덕숭산 수덕사

구례 화엄사 연기암
○2019_1104_134809_canon_CT33▾구례 화엄사 연기암

구례 화엄사
○2019_1104_102018_nikon_bw0_s12▾구례 화엄사

여수_금오산_향일암
○2021_1005_112736_canon_ar45_s12▾여수_금오산_향일암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45137_canon_ar38▾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1_1003_170830_canon_Ab35_pc▾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봉화_청량산_청량사
○2021_1001_153536_canon_Ab31_s12_pc▾봉화_청량산_청량사

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1_1003_175846_canon_CT27▾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2021_1003_143109_nikon_bw15_pc▾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봉화_청량산_청량사
○2021_1001_161717_canon_Ab27▾봉화_청량산_청량사

서울_수도산_봉은사
○2022_1026_160841_canon_bw0_s12▾서울_수도산_봉은사

계룡산_신원사
○2021_1008_154428_nikon_ar7_s12_pc▾계룡산_신원사

부안_능가산_내소사
○2016_0123_160245_canon_CT27▾부안_능가산_내소사

● [pt op tr] fr
_M#]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55759_canon_exc_s12▾화순 계당산 쌍봉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보살영락경_K0385_T065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보살영락경』 ♣0385-002♧
[관련키워드]
보살영락경 제2권/전체14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보살영락경-K0385-002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0385-002.html
sfed--보살영락경_K0385_T0656.txt ☞보살영락경 제2권/전체14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qud6123
불기2569-04-06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24286660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18
htmback--불기2569-04-06_보살영락경_K0385_T0656-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