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반야경』
K0002
T0221
방광반야경 제2권/전체2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4-07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002_T0221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방광반야경』
♣0002-002♧
3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19_1106_161223_canon_ct34▾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201_161605_nikon_CT38_s12▾원주 구룡사
○2020_0904_093513_nikon_ct36▾여주 봉미산 신륵사
○2020_0906_121940_nikon_BW28▾천축산 불영사
○2020_0907_134421_canon_ab41▾양산 통도사
○2020_0908_155834_nikon_CT27▾합천 해인사
○2020_0910_132642_canon_BW17▾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83844_canon_bw24▾제천 월악산 신륵사
○2020_1002_132326_canon_Ab31_s12▾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17_152539_canon_ct9_s12▾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65059_nikon_BW22▾삼각산 화계사
○2020_1114_154230_canon_ct18_s12▾삼각산 도선사
○2021_0214_121045_canon_ct18▾춘천_오봉산_청평사
○2014_0407_124144_nikon_bw24▾완주_송광사
○2016_0123_162710_canon_ct8▾부안_능가산_내소사
○2022_1026_151909_nikon_BW21_s12▾서울_수도산_봉은사
○2022_1026_173044_nikon_Ar26_s12▾서울_수도산_봉은사
○2021_0929_095807_canon_ar11_s12▾양양_오봉산_낙산사
○2021_1112_152221_canon_BW3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pt op tr] fr
_M#]
○2019_1104_135128_canon_Ab35▾구례 화엄사 연기암
❋❋본문 ♥
◎[개별논의]
★%★
『방광반야경』
♣0002-002♧
방광반야경 해제 (있는 경우)
방광반야경 002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wde4454
◈Lab value 202111121522 |
Daniel Balavoine - L' Amour Garde Secret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0002-002.html#4454 sfed--방광반야경_K0002_T0221.txt ☞방광반야경 제2권/전체20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wde4454 불기2569-04-07 θθ |
■ 퀴즈
일체종지(一切種智)의 준말. 만법을 다 아는 부처님의 지혜.
답 후보
● 종지(種智)
주상(住相)
준제(準提)
중도묘관(中道妙觀)
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
중생연자비(衆生緣慈悲)
중품상생(中品上生)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Véronique Sanson - Bernard's song (il n'est de nulle part)
Edith Piaf - Carmen's Story
Zaza Fouriner - Baiser D'un Soir
Veronique Sanson - Besoin De Personne
Tino Rossi - J'ai Deux Mots Dans Mon Coeur
Benjamin Biolay - Dans La Merco Benz
Mireille Mathieu - Fiesta De Los Zapato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19▲ 犬开幵公戈 ■ 견개견공과 19 ( 개 견 )( 열 개 / 평평할 견 )( 평평할 견 )( 공평할 공 )( 창 과 )
032▲ 爫㕚中之止 ■ 조조중지지 32 ( 손톱조 조 ) (손톱 조 ) cf 갈래 차叉 (가운데 중 )( 갈 지 )( 그칠 지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amaññaphala Sutta
[san-chn] anātma-śūnyatas 無我空
[san-eng] mahātman.h $ 범어 great man
[pali-chn] visaṃyoga 離縛
[pal-eng] gaayanta $ 팔리어 pr.p. of gaayatisinging; reciting.
[Eng-Ch-Eng] dharma-realm 法界
[Muller-jpn-Eng] 心咒 シンジュ (foreign) the mind-dhāraṇī
[Glossary_of_Buddhism-Eng] CH’ANGAN☞
See also: Lo-yang.
“Major early Chinese Buddhist center in northern China, eventually becoming capital during the Sui and T’ang Dynasties. It was
the major center of Kumarajiva’s translation enterprises, and a Pure
Land stronghold in the seventh century.”
“Ch’ang-an (modern city of Hsian in Shensi). Like the ancient capital
city of Lo-yang, Ch’ang-an witnessed the rise and fall of many empires.
It was the capital city of the Earlier Han, Later Ch’in and Northern
Chou Dynasties. Ch’ang-an, the capital of the largest Empire of the
world under the T’ang, was the greatest centre of Buddhism in China.
The city was teeming with people from all over Asia. The glory of
Lo-yang, the ancient stronghold of Buddhism in North China, was
overshadowed by Ch’ang-an when it entered into a period of unprece-
dented development. The population of the capital city during the
Dynastic rule of the T’ang rose to over 1.9 million. The city was
studded with Buddhist temples, monasteries, pagodas constructed
by the devout rulers of the T’ang Dynasty. The great Chinese monk
Hsuan-Tsang started on his journey to India from Ch’ang-an in 629
A.D. The great Tzu-en monastery was built there in 648 A.D. Here
Hsuan-Tsang translated Buddhist scriptures into Chinese after his
return from India. The Ta-yen Pagoda was constructed in 652 A.D.,
designed by the venerable monk Hsuan-Tsang himself to store the Buddhist scriptures in Ch’ang-an. From the last part of the fourth century,
illustrious monks like Kumarajiva and Yasa all lived at Ch’ang-an and
contributed a great deal to the propagation of Buddha’s teachings. In
the seventh century there were three Indian astronomical schools in
the capital city.”
[fra-eng] séquoias $ 불어 sequoias
[chn_eng_soothil] 烏耆 Agni, or Akni, an ancient kingdom north of Lop Nor, identified with Karashahr. Also 阿耆尼; M067729夷.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若有善男子善女人, 以恒河沙等身命布施, 若復有人, 於此經中,
乃至受持四句偈等, 爲他人說, 其福甚多.」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나 선녀인은 항하의 모래 같이 많은 목숨을 보시하
고, 또 다른 어떤 사람은 이 경에서 한 4구게 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다른
사람에게 말해 준다면 그 복이 (저 복보다) 더 많으리라.”
[玄奘] 佛復告善現言: 「假使若有善男子或善女人, 於日日分, 捨施殑伽河沙等自體,
如是經殑伽河沙等劫數捨施自體; 復有善男子或善女人,
於此法門乃至四句伽他受持、讀誦、究竟通利, 及廣為他宣說開示、如理作意.
由是因緣所生福聚, 甚多於前, 無量無數.」
[義淨] 「妙生, 若有男子女人, 以弶伽河沙等身命布施; 若復有人,
於此經中受持一頌, 并為他說. 其福勝彼, 無量無數.」
13-10 भगवानाह-यश्च खलु पुनः सुभूते स्त्री वा पुरुषो वा दिने दिने गङ्गानदीवालुकासमानात्मभावान् परित्यजेत्, एवं परित्यजन् गङ्गानदीवालुकासमान् कल्पांस्तानात्मभावान् परित्यजेत्, यश्च इतो धर्मपर्यायदन्तशश्चतुष्पादिकामपि गाथामुद्गृह्यपरेभ्यो देशयेत् संप्रकाशयेत्, अयमेव ततोनिदानं बहुतरं पुण्यस्कन्धं प्रसुनुयादप्रमेयमसंख्येयम्॥१३॥
bhagavānāha | yaśca khalu punaḥ subhūte | strī vā puruṣo vā dine dine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parityajet | evaṁ parityajan
gaṅgānadīvālukāsamān kalpāṁstānātmabhāvān parityajet | yaśceto
dharmaparyāyād antaśaścatuṣpādikāmapi gāthāmudgṛhya parebhyo vistareṇa
deśayet samprakāśayet | ayameva tatonidānaṁ bahutaraṁ puṇyaskandhaṁ
prasunuyādaprameyamasaṁkhyeyam ||13||
복덕갖춘분께서 말씀하셨다. “그리고 참으로 다시, 수보리여! 여자나 남자가 매일
강가강의 모래알 숫자와 동일한 자기 몸들을 바칠 수 있고, 그렇게 바치면서 강가강의
모래알 숫자와 동일한 劫만큼 자기 몸들을 바칠 수 있다 하더라도, 이 법문에서 단지 네
구절만큼의 게송만 가지고라도 다른 이들을 위해 상세하고 가르쳐줄 수 있고 설명해줄
수 있다면, 그것이 오직 그 원인이 되어 측량할 수 없고 헤아릴 수 없는 더욱 많은
공덕무더기를 생성해낼 수 있을 것이다.”
▼▷[bhagavānāha] ① bhagavān(ƾ.nom.) + āha(ƺ.) → [복덕갖춘분께서、 말씀하셨다.]
▼▷[yaśca] ① yaḥ(pn.ƾ.nom.) + ca(ƺ.) → [그리고、 (어떠한) 그것은]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punaḥ] ① punaḥ(ƺ.) → [다시]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strī] ① strī(Ʒ.nom.) → [여자거나]
▼[vā] ① vā(ƺ.)
▼[puruṣo] ① puruṣaḥ(ƾ.nom.) → [남자거나]
▼[vā] ① vā(ƺ.)
▼[dine] ① dine(ƾ.loc.) → [날에]
② dina(ƾƿ. a day)
▼[dine] ① dine(ƾ.loc.) → [날에] → 매일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① gaṅgā+nadī+vālukā+samān(nj.→ƾ.acc.pl.) +
ātmabhāvān(ƾ.acc.pl.) → [강가강의 모래알과 동일한(→ 모래알 숫자와 동일한) 자기
몸들을]
② gaṅgā(Ʒ. the river Ganges; the Ganges personified as a goddess)
② nadī(Ʒ. a river, any flowing stream)
② vālukā(Ʒ. sand, gravel; powder; camphor in general)
② sama(nj. same, identical; equal, as in: ƾ. : ƿ. a level plain, flat country)
② ātmabhāva(ƾ. existence of the soul; the self proper; the body) < ātman(ƾ. the soul;
self) + bhāva(ƾ. being, existing; state, condition)
▼[parityajet] ① parityajet(pot.Ⅲ.sg.) → [버릴 수 있다.] → 바칠 수 있고,
Ʋ : 공간적으로 현생에서 항하사 숫자만큼인 자신의 몸을 바치다.
② parityaj(1.ǁ. to leave, quit, abandon; to resign, give up, discard)
▼▷[evaṁ] ① evaṁ(ƺ.) → [그렇게]
② evam(ƺ. thus, so, in this manner or way)
▼[parityajan] ① parityajan([nj.→]ƾ.nom.) → [바치는 그가]
② parityajat(pres.p.) < parityaj(1.ǁ. to leave, abandon; give up, discard)
▼[gaṅgānadīvālukāsamān] ① gaṅgā+nadī+vālukā+samān(nj.→ƾ.acc.pl.) → [강가강의
모래알과 동일한(→ 모래알 숫자와 동일한)]
▼[kalpāṁstānātmabhāvān] ① kalpān(ƾnp.acc.pl.) +|s|+ tān(pn.ƾ.acc.pl.) +
ātmabhāvān(ƾ.acc.pl.) → [겁 만큼인、 그(것들을)、 자기 몸들을]
'gaṅgānadīvālukāsamān'은 'kalpān'의 형용사이며, 'kalpān'은 동격명사로서
'ātmabhāvān'을 형용해준다. : 강가강의 모래알과 동일한 겁만큼의 자기 몸들을…
② kalpa(ƾ. a day of Brahmā or 1,000Yuga, being a period of 432 million years of
mortals)
▼[parityajet] ① parityajet(pot.Ⅲ.sg.) → [버릴 수 있다.] → 바칠 수 있더라도,
Ƴ : 공간적으로 Ʋ처럼 하고, 더하여 시간적으로 항하사 숫자만큼의 劫 동안
자신의 몸을 바치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행함.
▼▷[yaśceto] ① yaḥ(pn.ƾ.nom.) + ca(ƺ.) + itaḥ(ƺ.) → [그리고、 (어떠한) 이가、
이(로부터)]
▼[dharmaparyāyād] ① dharma+paryāyāt(ƾ.abl.) → [법문으로부터]
▼[antaśaścatuṣpādikāmapi] ① antaśaḥ(adv.) + catur+pādikām(nj.→Ʒ.acc.) + api(ƺ.) →
▼[그만큼、 네 구절로 된、 단지]
▼[gāthāmudgṛhya] ① gāthām(Ʒ.acc.) + udgṛhya(ger.) → [게송을 가지고 → 게송을
가지고라도 api ]
▼[parebhyo] ① parebhyaḥ(ƾ.dat.pl.) → [다른 이들을 위해]
▼[vistareṇa] ① vistareṇa(ƾ.ins.→adv.) → [상세함으로 → 상세하게]
▼[deśayet] ① deśayet(pot.Ⅲ.sg.) → [가르쳐줄 수 있다.] → 가르쳐줄 수 있으며
▼[samprakāśayet] ① samprakāśayet(caus.pot.Ⅲ.sg.) → [보여지게 할 수 있다.] →
설명해줄 수 있다면,
② saṁ(ƺ. with) + prakāśay(caus. to show, display) < prakāś(1.Ʋ. to shine, gleam; to
become visible or manifest)
▼▷[ayameva] ① ayam(pn.ƾ.nom.) + eva(ƺ.) → [이것은、 오직]
▼[tatonidānaṁ] ① tataḥ(ƺ.) + nidānaṁ(ƿ.acc.→adv.) → [그것으로부터、 까닭하여 →
그것이 원인이 되어]
▼[bahutaraṁ] ① bahu+taraṁ(nj.→ƾ.acc.) → [더욱 많은]
▼[puṇyaskandhaṁ] ① puṇya+skandhaṁ(ƾ.acc.) → [공덕무더기를]
▼[prasunuyādaprameyamasaṁkhyeyam] ① prasunuyāt(pot.Ⅲ.sg.) +
aprameyam(nj.→ƾ.acc.) + asaṁkhyeyaṁ(nj.→ƾ.acc.) → [생성해낼 수 있다(→생성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측량할 수 없고、 헤아릴 수 없는.]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97일째]
삼세여공불가설 $ 097▲馱麼羅馱麼羅為 一 ● 鉢攞麼陀, ○□□□□,三,了,住,殊
□□□□□□□, 三世智慧不可說,
了達三世不可說, 住於智慧不可說,
□□□□□□□, 삼세지혜불가설,
료달삼세불가설, 주어지혜불가설,
三世如空不可說,
삼세가 허공 같음 말할 수 없고
삼세의 지혜들을 말할 수 없고
삼세를 통달함을 말할 수 없고
지혜에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98째]
수승묘행불가설 $ 098▲鉢攞麼陀鉢攞麼陀為 一 ● 毘伽摩, ○□□□□,無,清,成,諸
□□□□□□□, 無量大願不可說,
清淨大願不可說, 成就菩提不可說,
□□□□□□□, 무량대원불가설,
청정대원불가설, 성취보리불가설,
殊勝妙行不可說,
훌륭하고 묘한 행을 말할 수 없고
한량없는 큰 서원 말할 수 없고
청정한 큰 서원을 말할 수 없고
보리를 성취함도 말할 수 없고
●K0111_T0187.txt★ ∴≪A방광대장엄경≫_≪K0111≫_≪T0187≫
●K0002_T0221.txt★ ∴≪A방광반야경≫_≪K0002≫_≪T0221≫
●K0239_T0831.txt★ ∴≪A방불경≫_≪K0239≫_≪T0831≫
■ 암산퀴즈
297* 348
177628 / 367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32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8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97 번째는?
32 관정(灌頂)을 증장시키며,
가라다니, 曷剌怛泥<三十二去聲>
ratna-
(이하~) 어떠한 파괴로부터도 보호해주는 이시여!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80 미타방사나가리 ◐微陁防娑<引>那羯哩<打破八十>◑vidhvaṃsanaㆍkarī//
081 아스타빙샤디남 ◐阿瑟咤冰設底喃<去聲呼八十一呼皆同>◑ashṭāㆍviṃśatināṃ
082 낙샤다라남 ◐諾剎怛囉喃<八十二>◑nakshatrānāṃ
083 바라 사 타나가리 아스타 남 ◐鉢囉<二合>娑<引>陁那羯哩<正行>阿瑟咤<二合>喃<八十三>◑prasāshanaㆍkarīㆍashṭānāṃ
084 마하가라하남 ◐摩訶揭囉訶喃<辰八十四>◑mahāㆍgrahānāṃ
085 미타방 사나가리 ◐微陁防<二合>薩那羯哩<打破八十五>◑vidhaṃsanaㆍkarī.
086 살바사도로 니바라니 ◐薩嚩舍都嚕<二合>你嚩囉尼<除一><切惡八十六>◑sarvaㆍśatruㆍnivāraṇi
087 거 라남 ◐巨<去>囉喃<八十七>◑ghora
088 도실핍 바나난차나사니 ◐突室乏<二合>鉢那難遮那舍尼<除卻嚴惡八十八>◑duḥsvapnaㆍnāśanaㆍśanī.
089 비사샤사다라 ◐毘沙設薩怛囉<器仗八十九>◑vishaㆍśastra
●도적의 난리,
군사의 난리,
왕 법의 난리,
감옥의 난리와,
바람의 재난,
불의 재난,
물의 재난과,
흉년들어
굶주리고 가뭄에 목마른 괴로움과 가난에 시달리는 괴로움들이 생각대로 소멸하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97
금및 광명을 내시는 선서(善逝)께 귀의합니다.
南無金色光善逝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03356
484
법수_암기방안
8 큰 창자,【대장】
97 족~비탈 ~측면 [ 신조어 ]
98 계지(季指) (막내 【계】~새끼) 발가락 [ 신조어 ]
32 무릎 knee
97 족~비탈 ~측면 [ 신조어 ]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408_005905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균형 잡기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2-19-목
상고암
[사진] https://maps.app.goo.gl
[지도내 사진] https://search.naver.com
https://search.daum.net
[거리뷰1] https://naver.me
https://maps.app.goo.gl
https://map.naver.com
[세계내-위치]
[설명 1] https://ko.wikipedia.org
[설명 2] https://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
[동영상 1] 23:35
https://youtu.be
[뭉클한 계절 시리즈 '겨울'❄️] 겨울 상고암 스님의 하루 | KBS 인터뷰 다큐 사람세상 겨울, 상고암 150204 방송
[동영상 2] 8:42
https://youtu.be
속리산 상환암,상고암#하늘이 감춘 암자#암자여행#상환암#상고암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cf 지리산 법계사 https://naver.me
https://maps.app.goo.gl
https://maps.app.goo.gl
003 나모살바몯다 ◐娜牟薩婆勃陁<敬禮一切諸佛三>◑Namaḥ sarva buddhāya

○2020_0930_150019_canon_ori_rs

○2018_1022_133208_nikon_AB7_s12

○2018_1022_170256_canon_AB4_s12

○2018_1022_172653_canon_ct19

○2018_1022_174411_nikon_ar24

○2020_1114_135847_canon_CT28

○2018_1023_150342_canon_Ar12

○2018_1024_140015_canon_Ar12

○2018_1024_174952_canon_Ar37_s12

○2020_0224_110340_nikon_AB4_s12

○2020_1126_155138_nikon_CT28

○2020_1126_155204_nikon_Ab35

○2020_1126_160422_nikon_BW25_s12

○2019_0113_111850_nikon_ct18_s12

○2019_1104_111413_canon_CT28

○2019_1104_115534_canon_ct24_s12

○2019_1104_121311_canon_Ab35

○2019_1105_165930_canon_bw24_s12
● [pt op tr] fr
_M#]

○2019_1104_121433_canon_BW21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방광반야경_K0002_T0221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방광반야경 제2권/전체2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방광반야경-K0002-002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0002-002.html
sfed--방광반야경_K0002_T0221.txt ☞방광반야경 제2권/전체20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wde4454
불기2569-04-07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25594263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19
htmback--불기2569-04-07_방광반야경_K0002_T0221-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