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4월 20일 일요일

불설인선경-k1247-001


『불설인선경』


K1247
T0009

불설인선경 /전체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4-20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247_T0009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불설인선경』 ♣1247-001♧




불설인선경 /전체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05606_nik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54404_canon_exc_s12▾순천 조계산 송광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51806_canon_fix▾원주 구룡사

오대산 상원사
○2020_0905_142108_nikon_ori_rs▾오대산 상원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60812_canon_ori_rs▾삼각산 화계사

부여 고란사
○2018_1024_164831_nikon_ori▾부여 고란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41801_canon_exc▾삼각산 도선사

서울_삼각산_도선사
○2021_0926_173201_nikon_exc_s12▾서울_삼각산_도선사

진안_마이산_탑사
○2016_0412_160606_nikon_exc_s12▾진안_마이산_탑사

정읍_내장산_내장사
○2017_1107_083131_canon_exc_s12▾정읍_내장산_내장사

하동_고성산_약천사
○2021_1004_175105_nikon_exc_s12▾하동_고성산_약천사

남양주_운길산_수종사
○2012_0522_152252_exc▾남양주_운길산_수종사

용인_연화산_와우정사
○2021_0215_114753_canon_exc_s12▾용인_연화산_와우정사

남천사
○2010_0124_123511_exc▾남천사

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2021_1007_102330_nikon_exc_s12▾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21_0214_120705_canon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16_0505_115832_canon_exc▾춘천_오봉산_청평사

서울_삼각산_도선사
○2021_0926_153357_nikon_exc_s12▾서울_삼각산_도선사

운악산_봉선사
○2023_0312_121923_nikon_exc_s12▾운악산_봉선사

● [pt op tr] fr
_M#]


석모도_낙가산_보문사
○2021_0216_121000_nikon_exc_s12▾석모도_낙가산_보문사



❋❋본문 ◎[개별논의]

★%★

『불설인선경』 ♣1247-001♧
불설인선경 해제 (있는 경우)

불설인선경 001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jdj1479
◈Lab value 202303121219


○ 2020_0910_131615_can_BW17.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heophile Steinlen-la-ville-lointaine
[#M_▶더보기|◀접기|
Artist: Theophile Steinlen
from https://en.wikipedia.org/wiki/Théophile_Steinlen
Title : la-ville-lointaine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9_140952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pomenik_kralju_Nikoli_u_Podgorici
[#M_▶더보기|◀접기|
Podgorica
Author MrSco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Chùa Ngũ Xã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Julien Clerc - Sous Sa Grande Ombrell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1247-001.html#1479
sfed--불설인선경_K1247_T0009.txt ☞불설인선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jdj1479
불기2569-04-20
θθ





■ 퀴즈


 【범】anapatrāpya 심소(心所)의 이름. 구사종(俱舍宗)에서는 대불선법(大不善法)의 하나. 유식종(唯識宗)에서는 20수번뇌(隨煩惱) 가운데 중수혹(中隨惑)의 하나. 남을 고려하지 않고 마음대로 악한 짓을 하면서도 조금도 부끄러운 마음이 없는 것.

답 후보
● 무괴(無愧)
무루도(無漏道)
무명루(無明漏)
무법애(無法愛)
무상(無相)

무상방편지(無相方便地)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arie-Paule Belle - Un Peu Chameau, Un Peu Sultane
Arthur H - La Femme Etoile
Gianni Mancuso - Tombe Pour Elle
Raphael - Somnambule [Official Music Video]
Natalie Dessay & Michel Legrand - Chanson De Delphine A Lancien (From The Movie Les Demoiselles De Rochefort)
William Baldé - Rayon De Soleil
Philippe Lavil - Jamaicain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32▲ 爫㕚中之止 ■ 조조중지지 32 ( 손톱조 조 ) (손톱 조 ) cf 갈래 차叉 (가운데 중 )( 갈 지 )( 그칠 지 )
045▲ 世示礻矢市 ■ 세시시시시 45 ( 인간 세/ 대 세 )( 보일 시 / 땅귀신 기, 둘 치 )( 보일시변 시 )( 화살 시 )( 저자 시/ 상품을 팔고 사는 시장, 장사 시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uddhism in Ukraine
[san-chn] likhana-lekhana 書寫
[san-eng] sahasā $ 범어 (adv) hastily, perforce
[pali-chn] jihvā-samphasso 舌觸
[pal-eng] nibbaayi $ 팔리어 aor. of nibbaatigot cold; became passionless; was extinguished. (aor. of nibbaayati) ceased to exist; became cool. (see nibbaati.)
[Eng-Ch-Eng] 七識 (1) The seven consciousnesses besides the a^laya consciousness 阿賴耶識. 【參照: 轉識】 (2) 第七識 The seventh (manas) consciousness, the locus of egoistic tendencies.
[Muller-jpn-Eng] 十善 ジュウゼン ten good acts
[Glossary_of_Buddhism-Eng] BODHISATTVA PRECEPTS☞
See also: Brahma Net Sutra; Four Great Vows; Precepts; Three
Bodies of Pure Precepts.
The Bodhisattva Precepts, 58 in number (10 major, 48 minor), are
listed and explained in the Brahma Net Sutra (q.v.). However, these
precepts all derive from three key precepts called the Three Bodies
of Pure Precepts (q.v.). The concept that receiving the precepts is not
necessarily dependent upon their being administered by the clergy is
a high-level teaching of Mahayana Buddhism, which emphasizes the
all-encompassing Mind. Any practitioner who wishes to receive the
precepts, and sincerely and earnestly accepts them, has in fact received
them. This is in line with the teachings of the Brahma Net Sutra,
though in the case of the Bodhisattva precepts (the loftiest and most
difficult set of precepts), the witnessing of an auspicious sign (light,
flowers, the Buddhas coming to rub one’s crown, etc.) is additionally
necessary.
Editor: na
“The twenty-third minor Bodhisattva precept [taught that] whenever
a person with wholesome intention sincerely wishes to receive the
Bodhisattva precepts, he should first vow before the Buddhas and
Boddhisattva images to accept and uphold the precepts and then cultivate repentance and reform for seven days. If during that period he
experiences a vision of auspicious signs, he has received the precepts …
It is essential that he experience an auspicious sign, for only then has
he received the precepts before the Buddha and Bodhisattva images.
If he has not obtained such auspicious signs, though he may have
vowed before the Buddha images to accept and uphold the precepts,
he has not actually received them.” (The Buddha Speaks the Brahma
Net Sutra, Part II, Commentary by Elder Master Hui Sheng, p.6.).
Note: Auspicious signs attest to the utter sincerity and earnestness of
the practitioner. Self-administration of the precepts is recommended
only when there are no competent monks or nuns available within
a reasonable distance. Otherwise, the practitioner may be guilty of
arrogance.

[fra-eng] hagard $ 불어 distracted
[chn_eng_soothil] 月輪 The moon's disc, the moon.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又念過去於五百世, 作忍辱仙人, 於爾所世,
無我相、無人相、無衆生相、無壽者相.」
수보리야, 또 저 옛날 5백세 동안 인욕선인(忍辱仙人)이었던 일을 생각하면
그때도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없었느니라.”
[玄奘] 何以故? 善現, 我憶過去五百生中, 曾為自號忍辱仙人. 我於爾時, 都無我想,
無有情想、無命者想、無士夫想、無補特伽羅想、無意生想、無摩納婆想、無作者
想、無受者想. 我於爾時都無有想, 亦非無想.
[義淨] 妙生, 又念過去, 於五百世作忍辱仙人. 我於爾時, 無如是等想.
14-13 तत्कस्य हेतोः ? अभिजानाम्यहं सुभूते अतीतेऽध्वनि पञ्च जातिशतानि यदहं क्षान्तिवादी ऋषिरभूवम्।
तत्रापि मे नात्मसंज्ञा बभूव, न सत्त्वसंज्ञा, न जीवसंज्ञा, न पुद्गलसंज्ञा बभूव।
tatkasya hetoḥ | abhijānāmyahaṁ subhūte'tīte'dhvani pañcajātiśatāni
yadahaṁ kṣāntivādī ṛṣirabhūvam | tatrāpi me nātmasaṁjñā babhūva | na
sattvasaṁjñā na jīvasaṁjñā na pudgalasamjñā babhūva |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수보리여! 나는 지난 시기 5백 生 동안 그렇게 내가 인욕을
이야기하는 현인이 되었었다는 것을 뛰어나게 알고 있다. 그 당시에도 나의 경우에
자아에 대한 산냐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중생에 대한 산냐가、 영혼에 대한 산냐가、
개체아에 대한 산냐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인가?]
▼▷[abhijānāmyahaṁ] ① abhijānāmi(pres.Ⅰ.sg.) + ahaṁ(pn.Ⅰ.nom.) → [뛰어나게 안다、
나는]
② abhijñā(9.dž. to recognize, discern; to know, understand; to look upon, consider as)
▼[subhūte'tīte'dhvani] ① subhūte(ƾ.voc.) + atīte(nj.→ƾ.loc.) + adhvani(ƾ.loc.) →
▼[수보리여! 지난、 시기에]
② atīta(p.p. gone beyond, crossed; exceeding, going beyond; gone by, passed away; dead)
② adhvan(ƾ. a way, road; a recension of the Vedas; time, time personified; sky; place)
▼[pañcajātiśatāni] ① pañca+jāti+śatāni(ƿ.acc.pl.) → [5백 生들을]
② pañcan(num.pl. five) < pac(1.dž. to spread out, to spread out the hand with its five
fingers)
② jāti(Ʒ. birth, production; the form of existence fixed by birth; race, family, lineage)
② śata(ƿ. a hundred)
▼[yadahaṁ] ① yat(ƺ.) + ahaṁ(pn.Ⅰ.nom.) → [그렇게、 나는]
② yad(ƺ. since, in this manner)
▼[kṣāntivādī] ① kṣānti+vādī(nj.→ƾ.nom.) → [인욕을 이야기하는]
② kṣānti(Ʒ. patience, forbearance, forgiveness; the state of saintly abstraction)
② vādin(nj. speaking, talking, discoursing; asserting; disputing: ƾ. a speaker; a disputant)
▼[ṛṣirabhūvam] ① ṛṣiḥ(ƾ.nom.) + abhūvam(impf.Ⅰ.sg.) → [현인이、 되었었다.]
② ṛṣi(ƾ. an inspired poet or sage; a sanctified sage, saint, an ascetic; the veda; life)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tatrāpi] ① tatra(ƺ.) + api(ƺ.) → [그 당시에도]
② tatra(ƺ. there, in that place, in that case)
▼[me] ① me(pn.Ⅰ.gen.) → [나의 → 나의 경우에]
▼[nātmasaṁjñā] ① na(ƺ.) + ātma+saṁjñā(Ʒ.nom.) → [자아에 대한 산냐가]
▼[babhūva] ① babhūva(re­perf.Ⅰ.sg.) → [일어나지 않았다. → 일어나지 않았으며,]
▼▷[na] ① na(ƺ.)
▼[sattvasaṁjñā] ① sattva+saṁjñā(Ʒ.nom.) → [중생에 대한 산냐가]
▼[na] ① na(ƺ.)
▼[jīvasaṁjñā] ① jīva+saṁjñā(Ʒ.nom.) → [영혼에 대한 산냐가]
▼[na] ① na(ƺ.)
▼[pudgalasamjñā] ① pudgala+samjñā(Ʒ.nom.) → [개체아에 대한 산냐가]
▼[babhūva] ① babhūva(re­perf.Ⅰ.sg.) → [일어나지 않았다. →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10일째]
일미진중능실유 $ 110■ ■一 乃一一神成 種種得往於
110▲ 至至為 一 ● 阿僧祇,○□□□□,不,一,賢,乃

□□□□□□□, 不可言說蓮華界,
一一蓮華世界中, 賢首如來不可說。
□□□□□□□, 불가언설련화계,
일일련화세계중, 현수여래불가설。

一微塵中能悉有,
한 티끌 속에마다 말할 수 없는
연화장 세계들이 모두 다 있고
하나하나 연화장 세계 가운데
계시는 현수(賢首)여래 말할 수 없고



[111째]
내지법계실주편 $ 111▲阿僧祇阿僧祇為 一 ● 阿僧祇轉, ○□□□□,其,世,其,一

□□□□□□□, 其中所有諸微塵,
世界若成若住壞, 其數無量不可說。
□□□□□□□, 기중소유제미진,
세계약성약주괴, 기수무량불가설。

乃至法界悉周遍,
그렇게 온 법계에 가득하거든
그 가운데 들어 있는 티끌 속마다
이뤄지고 머물고 헐리는 세계
그 수효 한량없어 말할 수 없고





●K0655_T0014.txt★ ∴≪A불설인본욕생경≫_≪K0655≫_≪T0014≫
●K1247_T0009.txt★ ∴≪A불설인선경≫_≪K1247≫_≪T0009≫
●K0858_T0749.txt★ ∴≪A불설인연승호경≫_≪K0858≫_≪T0749≫


■ 암산퀴즈


414* 208
427455 / 885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5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21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2 번째는?




45 좋은 말씀은 흐리고 악한 뜻을 능히 맑히고
구례, 矩隸<四十五>
akule ku
(~!~) 망상을 부수고 욕망에 가득한 이들의 힘을 빼 포박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10 바다하리남아슈차하리니 ◐皤多訶哩喃阿輸遮訶哩泥<食不><淨鬼二百一十>◑vāt'āhāriṇāṃ aśucyㆍāhārinyaś.
211 짇다하리니 ◐質多訶哩泥<食心鬼二百十一>◑cittāhāriṇyas//
212 뎨삼살비삼 ◐帝衫薩毘衫<如是等衆二百十二>◑teshāṃㆍsarveshāṃ
213 살바가라하남 ◐薩嚩揭囉訶喃<一切執祖鬼二百十三>◑sarvaㆍgrahānāṃ
214 비댜 ­ ◐毘地也<明呪藏二百十四>◑vidyāṃ
215 진타야미 ◐嗔陁夜彌<斬伐罪者二百十五>◑chindayāmi
216 기라야미 ◐枳囉夜彌<二百十六>◑Kilayāmi//
217 바리바라자가라 ◐波哩跋囉斫迦囉<外道二百><十七>◑Parivㆍrājaka
218 가리 담미댜 ­ ◐訖哩<離枳反上>擔微地也<明呪藏二百十八>◑kritāṃ vidyāṃ
219 진타야미 ◐嗔陁夜彌<二百十九>◑chindayāmi

●아난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주문에는
항상 팔만사천나유타항하사구지(八萬四千那由他恒河沙俱胝)의 금강장왕보살(金剛藏王菩薩) 종족이 있어서,
그 들 낱낱이 권속으로 거느린 금강신중들이 밤낮으로 따라다니면서 모시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02
정등각께 귀의합니다.
南無正等覺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86112
483
법수_암기방안


21 큰 마름 [엄지쪽 큰마름(뼈) ~ 트러피지엄trapezium]
110 WRIST 손목
111 upper arm 위팔
45 발등 instep / top (side) of the foot

6 쇄골 【쇄골】
2 염통 【심장】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420_173144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열반경(涅槃經)』에서 말하였다.


“수달 장자가 금을 모을 대로 모아 땅에 깔았으나 하루 동안에 5백 보 밖에 못 깔고 금이 모자랐다.
기타가 수달에게 말했다.
‘못 깐 곳은 그만두시오.
금은 더 필요 없소.
나는 이대로 주겠소.
그리고 나는 부처님을 위해 문루(門樓)를 세우고 부처님께서 항상 이리로 드나드시게 하겠소.’
그리고 기타 태자는 문방(門坊)을 만들었다.
수달 장자가 이레 동안에 큰방을 만드니 3백 사람이 거처할 수 있었다.
고요한 선방(禪房)은 63개였고,
겨울 방 여름 방이 각각 달랐으며,
주방과 욕실과 발 씻는 곳과 크고 작은 변소 등 모두 완비되었다.”
【문】 무엇 때문에 여래께서는 주로 이 동산에 계셨는가?
【답】 『진제사전(眞諦師傳)』에서 말하였다.
“과거 제4 구류손부처님 때 사람의 수명은 8만 4천 세였다.
비사(毘沙)라는 장자는 1유순 너비의 이 땅에 순수한 금판(金板)을 깔고 이 땅을 부처님의 주처(住處)로 보시했다.
제5 구나함모니부처님 때는 사람의 수명이 3만 세였다.
대가주(大家住)라는 장자는 30리 너비의 이 동산 땅에 순수한 은옷을 깔고 또 젖소와 송아지를 그 안에 가득 채워 그것을 여래의 주처로 보시했다.
제6 가섭파부처님 때는 사람의 수명이 2만 세였다.
대번상(大幡相)이라는 장자는 20리 너비의 이 동산의 땅에 순수한 7보(寶)를 깔고 이것을 여래의 주처로 보시했다.
제7의 지금 석가모니부처님 때는 사람의 수명이 1백 세이다.
수달 장자는 이 동산 땅 10리의 너비에 순금의 떡을 깔아 가득 채웠는데,
그 금의 두께는 5촌이다.
수달은 이것을 사서 여래께 보시하여 주처를 세웠다.
이 후 미륵부처님께서 세상에 나오실 때는 사람의 수명이 8만 세요,
그 때 수달은 양거국(蠰佉國)의 대신이 될 것이며,
이름은 수달다(須達多)라 할 것이다.
이 동산의 땅은 다시 1유순으로 넓어지는데,
수달다는 순수한 7보를 이 땅에 깔아 가득 채우고,
이것을 여래께 보시하여 주처를 세울 것이다.
과거와 미래에 있어서 이 땅은 비록 넓고 좁음이 있더라도 그 장소는 결국 한 곳이요,
보시하는 사람에게 비록 먼저와 나중이 있지만 그 몸에 있어서는 결국 한 사람이다.
그리하여 그는 항상 장자로서 재물이 풍성하여 끊이지 않고 여러 부처님께 공양하는 것이다.
석가 때에는 처음으로 수다원이 되고,
임종 때에는 아나함이 되며,
미륵부처님께서 나오실 때에는 비로소 아라한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잡아함경』에서 말하였다.
“급고독(給孤獨) 장자가 병을 앓으므로 부처님께서 친히 문병하러 가시어 ‘그대는 아나함이 되고 내지 목숨을 마치고는 도솔타천에 나서 항상 내려와 부처님께 예배하고,
부처님의 설법을 들은 뒤에는 다시 천상에 올라갈 것이다’고 기별(記別)을 주셨다.[이것은 그 자취에 의거하여 그를 약간 이야기하였으나 그는 실은 대보살인 것이다.]”



출전:
한글대장경 K1406_T2122
법원주림(法苑珠林) 당 도세찬
法苑珠林 【唐 道世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발바닥 두드리기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6-화
♡Beomeosa Korea
♡부산 범어사
[구글맵 사진 https://maps.app.goo.gl
[구글맵 https://maps.app.goo.gl
[위키 https://en.wikipedia.org
[동영상 Beomeosa Temple, Busan, South Korea 4K
https://youtu.be
002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歸命一切如來應正等覺二>◑arhate samyaksaṃbuddhāsya//


○20170709170954_1_ct38


○2019_0405_163836_canon_exc


○2019_1105_121437_canon_ct8


○2019_1004_140706_nikon_Ar28


○2019_1004_160347_nikon_Ar28


○2019_1004_155643_nikon_bw24


○2019_1004_154823_canon_exc


○2019_1201_164426_nikon_ar2_s12


○2019_1201_165052_nikon_AR35_s12


○2020_0904_132430_canon_BW28


○2020_0906_130137_canon_CT28


○2020_0907_173207_canon_Ab27


○2020_0908_161944_canon_Ab27


○2020_0909_155433_canon_ar47


○2020_0910_113609_canon_ar45


○2020_0908_151925_canon_BW28


○2018_1022_165859_canon_bw4_s12


○2018_1023_153230_nikon_ct25


○2019_1104_095843_canon_Ar28

● [pt op tr] fr
_M#]


○2020_0910_143610_canon_BW28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설인선경_K1247_T0009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불설인선경』 ♣1247-001♧
[관련키워드]
불설인선경 /전체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설인선경-K1247-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1247-001.html
sfed--불설인선경_K1247_T0009.txt ☞불설인선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jdj1479
불기2569-04-20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40524942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32
htmback--불기2569-04-20_불설인선경_K1247_T0009-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