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6월 30일 월요일

십송율-k0890-032


『십송율』


K0890
T1435

십송율 제32권/전체6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6-30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890_T1435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십송율』 ♣0890-032♧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03753_nikon_exc▾화순 영구산 운주사

천축산 불영사
○2020_0906_125117_nikon_ori_rs▾천축산 불영사

화성 용주사
○2020_0930_142827_nikon_ori_rs▾화성 용주사

구례 화엄사
○2019_1104_100321_nikon_fix▾구례 화엄사

구례 연곡사
○2019_1104_172304_nikon_fix▾구례 연곡사

포천_왕방산_왕산사
○2021_0320_135740_canon_exc_s12▾포천_왕방산_왕산사

해남_봉화산_대흥사
○2021_1005_191705_canon_exc▾해남_봉화산_대흥사

강화도_전등사
○2021_0216_170521_nikon_exc_s12▾강화도_전등사

강화도_보문사_전등사
○2013_0309_103246-CANON_exc▾강화도_보문사_전등사

남양주_운길산_수종사
○2012_0522_161317_exc▾남양주_운길산_수종사

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2021_1003_145802_canon_exc▾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하동_지리산_쌍계사
○2016_0411_172945_canon_exc_s12▾하동_지리산_쌍계사

양양_오봉산_낙산사
○2021_0929_100820_nikon_exc_s12▾양양_오봉산_낙산사

초안산_선학원_인과선원
○2014_1112_145445_nikon_exc▾초안산_선학원_인과선원

영천_팔공산_거조사
○2021_1002_141204_canon_exc▾영천_팔공산_거조사

부안_능가산_내소사
○2021_1007_131626_canon_exc_s12▾부안_능가산_내소사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65926_nikon_exc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pt op tr] fr
_M#]


용인_연화산_와우정사
○2021_0215_111733_nikon_exc▾용인_연화산_와우정사



❋❋본문 ◎[개별논의]

★%★

『십송율』 ♣0890-032♧
십송율 해제 (있는 경우)

십송율 032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evu6472
◈Lab value 202102151117


○ 2020_0606_174305_can.jpg



wikiart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alvador-Dali-celestial-coronation
[#M_▶더보기|◀접기|
Artist: Salvador-Dali
Salvador Domingo Felipe Jacinto Dalí i
Domènech, Marquis of Dalí de Púbol (11 May 1904 – 23 January 1989),
known professionally as Salvador Dal
스페인 (카탈로니아) 초현실주의 화가로서
가장 잘 알려진 그의 작품 <기억의 지속성 The Persistence of Memory >은 1931 년 8 월에 완성되었습니다.
그의 괴팍한 태도와 주목을 끄는 행동은 때로 그의 작품보다 관심을 끌었으며,
자신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의 경악과 비평가들의 짜증을 불러 일으켰다.
[...이하 줄임...]
from https://en.wikipedia.org/wiki/Salvador_Dalí
Title : celestial-coronation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Rose_Glamis_Castle_バラ_グラミスキャッスル_(6306227372)
[#M_▶더보기|◀접기|
Rose Glamis Castle バラ グラミスキャッスル English Rose イングリッシュローズ United Author T.Kiya from Japan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불암산 천보사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2020_0211_125201_nikon_exc▾불암산 천보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30703_can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Michele Torr - Jezebel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0890-032.html#6472
sfed--십송율_K0890_T1435.txt ☞십송율 제32권/전체61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evu6472
불기2569-06-30
θθ





■ 퀴즈


 일생만 지내면 부처님의 지위에 후보한다는 뜻. 

등각(等覺)의 지위. 

미륵보살 같은 이가 석존보다 먼저 입멸하여 

도솔천궁에 나서 그 천상의 수명으로 

4천세(인간의 56억7천만 년)를 지낸 뒤에 

석가모니불 다음에 사바세계로 내려와 

화림원(華林園) 용화수(龍華樹) 아래에서 성도하고, 

3회(會)의 설법으로 인천(人天)을 교화한다 함.

답 후보
● 일생보처(一生補處)
일즉일체(一卽一切)
일체유위(一切有爲)
임제종(臨濟宗)
입법계품(入法界品)

자과(子果)
자만다라(字曼茶羅)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Telephone - Le jour s'est leve
Bernard Lavillier - La Java Des Bombes Atomiques
Les Choses De La Vie - Le Bonheur
Lady And Bird - Blue Skies
Boris Vian - Barcelone
Barbara - Sag Wann Du Bist Du Bei Mir `Dis Quand Reviendras-Tu`
Pauline - Allo Le Mond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25▲ 少殳水氵氺 ■ 소수수수수 25 ( 적을 소/ 젊을 소 )( 몽둥이 수 )( 물 수 ) (삼수변 수) ( 물 수 )
051▲ 皮疋必玄穴 ■ 피필필현혈 51 (가죽 피 )(짝 필/ 발 소, 바를 아 )( 반드시 필 )(검을 현 / 오묘하다( 奧妙--) 심오하다( 深奧--), ) (구멍 혈 / 굴 휼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Eido Tai Shimano
[san-chn] āśraya-pariśuddhi 所依淸淨, 身淸淨
[san-eng] japannityaṃ $ 범어 japan+nityaṃ, canting+ever
[pali-chn] pañca-sikkhā-padāni 五學處
[pal-eng] uppanna $ 팔리어 pp. of uppajjatireborn; arisen.
[Eng-Ch-Eng] 啟白 A report to the Buddha or a bodhisattva.
[Muller-jpn-Eng] 五甁智水 ゴビョウノチスイ five vases and the water of wisdom\n\nゴビョウチスイ\nfive vases and the water of wisdom
[Glossary_of_Buddhism-Eng] NIRVANA WITH RESIDUE☞
See: Nirvana with Remainder.

[fra-eng] embarasser $ 불어 embarrass
[chn_eng_soothil] 化生八相 The eight forms of a Buddha from birth to nirvana, v. 八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所謂不住色布施, 不住聲香味觸法布施.
이른 바 색(色)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며 성(聲)、향(香)、미(味)、촉(觸)、법
(法)에도 머무르지 않고 보시해야 하느니라.
[玄奘] 不住於色應行布施, 不住聲、香、味、觸、法應行布施.
[義淨] 不住色、聲、香、味、觸、法, 應行布施.
04-02 न क्वचित्प्रतिष्ठितेन दानं दातव्यम्।
न रूपप्रतिष्ठितेन दानं दातव्यम्।
न शब्दगन्धरसस्प्रष्टव्यधर्मेषु प्रतिष्ठितेन दानं दातव्यम्।
na kvacitpratiṣṭhitena dānaṁ dātavyam | na rūpapratiṣṭhitena dānaṁ
dātavyam | na śabdagandharasaspraṣṭavyadharmeṣu pratiṣṭhitena dānaṁ
dātavyam |
어떤 상황에서라도 머묾으로 베풂이 시행되어서는 안 된다. 형색에 머무는 것으로
베풂이 시행되어서는 안 된다. 소리와 냄새와 맛과 감촉과 법에 머무는 것으로 베풂이
시행되어서는 안 된다.
▼▷[na] ① na(ƺ.)
▼[kvacitpratiṣṭhitena] ① kvacit(pn.ƾ.loc.) + pratiṣṭhitena([nj.→]ƾ.ins.) → [어떤
상황에(→어떤 상황에서라도)、 머묾으로]
② kvacit(ƺ. in some places, in some cases) < kva(ƺ. whither, where)
② pratiṣṭhita(p.p. set up, erected; fixed, established; placed, situated; installed)
▼[dānaṁ] ① dānaṁ(ƿ.nom.) → [베풂이]
▼[dātavyam] ① dātavyam(njp.→ƿ.nom.) → [주어져서는 안 된다.]
▼▷[na] ① na(ƺ.)
▼[rūpapratiṣṭhitena] ① rūpa+pratiṣṭhitena([nj.→]ƾ.ins.) → [형색에 머무는 것으로]
② rūpa(ƿ. any outward appearance or phenomenon or colour; form, shape, figure) <
rūp(10.dž. to form, fashion; to act, gesticulate; to mark, behold) + ­a(kṛt suffix)
② pratiṣṭhita(p.p. set up, erected; fixed, established; placed, situated; installed)
▼[dānaṁ] ① dānaṁ(ƿ.nom.) → [베풂이]
▼[dātavyam] ① dātavyam(njp.→ƿ.nom.) → [주어져서는 안 된다.]
▼▷[na] ① na(ƺ.)
▼[śabdagandharasaspraṣṭavyadharmeṣu] ①
śabda+gandha+rasa+spraṣṭavya+dharmeṣu(ƾ.loc.pl.) → [소리와 냄새와 맛과 감촉과
법(←마음의대상)에]
② śabda(ƾ. sound [the object of the sense of hearing and property of ākāśa]; sound, note,
noise in general; a word, sound, significant word)
② gandha(ƾ. smell, odour; smell considered as one of the 24 properties or guṇas of the
Vaiśeṣkas; the mere smell of anything)
② rasa(ƾ. sap, juice [of trees]; a liquid, fluid; water; liquor, drink)
② spraṣṭavya(ƿ. touch, feeling) < sparśa(ƾ. touch, contact [in all senses]; contact)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pratiṣṭhitena] ① pratiṣṭhitena([nj.→]ƾ.ins.) → [머무는 것으로]
② pratiṣṭhita(p.p. set up, erected; fixed, established; placed, situated; installed)
▼[dānaṁ] ① dānaṁ(ƿ.nom.) → [베풂이]
▼[dātavyam] ① dātavyam(njp.→ƿ.nom.) → [주어져서는 안 된다.]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81일째]
입시겁수불가설 $ 052▲摩魯陀摩魯陀為 一 ● 懺慕陀, ○□□□□,受,於,一,如

□□□□□□□, 受時劫數不可說,
於此行列安住時, 一切諸劫無能說。
□□□□□□□, 수시겁수불가설,
어차행렬안주시, 일체제겁무능설。

入時劫數不可說,
들어갈 때 겁의 수효 말할 수 없고
받을 때의 겁의 수효 말할 수 없어
여기서 줄을 지어 머무를 적에
모든 겁을 누구도 말할 수 없네.



[182째]
여시섭수안주이 $ 053▲懺慕陀懺慕陀為 一 ● 瑿攞陀, ○□□□□,所,入,入,意

□□□□□□□, 所有境界不可說,
入時方便不可說, 入已所作不可說,
□□□□□□□, 소유경계불가설,
입시방편불가설, 입이소작불가설,

如是攝受安住已,
이렇게 받아 넣고 머무른 뒤에
갖고 있는 경계를 말할 수 없고
들어갈 때 방편도 말할 수 없고
들어가서 짓는 일도 말할 수 없어





●K0902_T1436.txt★ ∴≪A십송비구바라제목차계본≫_≪K0902≫_≪T1436≫
●K0890_T1435.txt★ ∴≪A십송율≫_≪K0890≫_≪T1435≫
●K0579_T1568.txt★ ∴≪A십이문론≫_≪K0579≫_≪T1568≫


■ 암산퀴즈


585* 225
323328 / 384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51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4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73 번째는?




51 좋은 말씀은 일체의 부처님과 여래 세존께서 가호(加護)하시며
구타점마례, 矩咤苫沬隸<五十一>
kutta samane,
(~!~) 마음의 보호를 성취케 하시고, 온갖 눈병(惡相)으로부터 보호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40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筏帝<四十>◑Namo bhagavate
041 아미타 바 야 ◐阿彌陁<引>婆<引>耶<無量壽佛四十一>◑amitābhāya
042 다타가다야 ◐怛他揭多耶<四十二>◑tathāgatāya
043 아라하뎨삼먁삼보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應等正覺四十三>◑arhate samyaksaṃbuddhāya//
044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筏帝<四十四>◑Namo bhagavate
045 아추뱌­ ◐阿芻鞞也<阿閦如來四十><五>◑akshobhya
046 다타가다야 ◐怛他揭多耶<四十六>◑tathāgatāya
047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四十七>◑arhate samyaksaṃbuddhāya//
048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筏帝<四十八>◑Namo bhagavate
049 비사자구로 볘소리리야 ◐毘沙闍俱嚕<二合>吠琉璃唎耶<藥師如來四十九>◑bhaishajya-guru-vaidūrya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을 머금어
티끌처럼 많은 국토에서
큰 법륜(法輪)을 굴리신다.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73
진실로 모든 감관[根]을 항복받으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眞實降諸根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31625
842
법수_암기방안


4 작은창자 【소장】
52 눈 eye 眼 【안】
53 (귀)코 nose 鼻 【비】
51 눈썹 아이부러워eyebrow 眉 【미】


73 소지 (~새끼)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630_222049 :

대장경 내 게송



여래는 법회를 여셔서
널리 의지할 곳 없는[無依] 이들을 가엾이 여기나니
이와 같으신 천인사(天人師)이시고
유(有)의 바다를 건넌 이께 머리 조아립니다.


출전:
한글대장경 K0945_T1537
아비달마법온족론(阿毘達磨法蘊足論) 존자대목건련조.
당 현장역
阿毘達磨法蘊足論 【尊者大目乾連造.
唐 玄奘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반달 자세 [Ardha Chandrasan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8-11-22-금
Sts_Peter_and_Paul_Cathedral_Gliwice_Poland_
구글맵 https://maps.app.goo.gl
001 나모사다타소가다야 ◐南牟薩怛他蘇伽哆耶<歸命一切諸佛一>◑Namas tathā-sugatāya

원주 구룡사
○2020_0904_140412_canon_ori_rs▾원주 구룡사

오대산 월정사
○2020_0905_103655_canon_ori_rs▾오대산 월정사

합천 해인사
○2020_0908_160511_nikon_ori_rs▾합천 해인사

무주 백련사
○2020_0909_122705_canon_ori_rs▾무주 백련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4816_canon_exc_s12▾삼각산 화계사

구례 화엄사 구층암
○2019_1104_112856_canon_exc▾구례 화엄사 구층암

강화도_전등사
○2021_0216_171244_canon_exc_s12▾강화도_전등사

홍천_공작산_수타사
○2021_0214_165229_nikon_exc▾홍천_공작산_수타사

인제_설악산_백담사
○2021_0928_165524_canon_exc▾인제_설악산_백담사

여수_금오산_향일암
○2021_1005_121459_nikon_exc▾여수_금오산_향일암

서산_상왕산_개심사
○2021_0217_140952_nikon_exc▾서산_상왕산_개심사

서울_정릉_천중사
○2015_0415_163238_canon_exc▾서울_정릉_천중사

서울_북악산_성불사
○2014_1129_103517_nikon_exc_s12▾서울_북악산_성불사

삼척_두타산_천은사
○2021_0930_104707_nikon_exc▾삼척_두타산_천은사

영천_팔공산_은해사
○2021_1002_115941_canon_exc▾영천_팔공산_은해사

영광_모악산_불갑사
○2021_1006_174916_nikon_exc_s12▾영광_모악산_불갑사

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2022_0827_141216_nikon_exc▾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 [pt op tr] fr
_M#]


구례 화엄사
○2019_1104_101925_canon_fix▾구례 화엄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십송율_K0890_T1435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십송율』 ♣0890-032♧
[관련키워드]
십송율 제32권/전체6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십송율-K0890-032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0890-032.html
sfed--십송율_K0890_T1435.txt ☞십송율 제32권/전체61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evu6472
불기2569-06-30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917149073
https://truth007.tistory.com/4334
htmback--불기2569-06-30_십송율_K0890_T1435-tis.htm
● [pt op tr] fr
_M#]



2025년 6월 29일 일요일

종경록-k1499-055


『종경록』


K1499
T2016

종경록 제55권/전체10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6-29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499_T2016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종경록』 ♣1499-055♧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54410_canon_ab21_s12▾화순 계당산 쌍봉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51443_nikon_ar2_s12▾원주 구룡사

불암산 천보사
○2020_0211_131510_nikon_ct14▾불암산 천보사

오대산 월정사
○2020_0905_112241_nikon_ct18▾오대산 월정사

천축산 불영사
○2020_0906_122336_canon_bw24▾천축산 불영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35020_canon_ct38▾양산 통도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15736_nikon_ct22▾속리산 법주사

화성 용주사
○2020_0930_134830_nikon_AR28▾화성 용주사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65317_canon_Ar12▾예산 덕숭산 수덕사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2019_0106_154219_canon_ct22▾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구례 쌍계부근
○2019_1104_161534_canon_bw0_s12▾구례 쌍계부근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44257_nikon_CT33▾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44028_canon_BW25▾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안성_제비월산_호국사
○2021_0215_161921_nikon_CT27▾안성_제비월산_호국사

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장경사
○2021_1113_141445_canon_Ar28▾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장경사

의령_봉황산_일붕사
○2021_1004_101038_nikon_bw24▾의령_봉황산_일붕사

영광_모악산_불갑사
○2021_1006_174254_nikon_AB7▾영광_모악산_불갑사

계룡산_신원사
○2021_1008_144531_canon_Ar26_s12▾계룡산_신원사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3_0402_172627_canon_ct19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pt op tr] fr
_M#]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31746_canon_ct18▾순천 조계산 선암사



❋❋본문 ◎[개별논의]

★%★

『종경록』 ♣1499-055♧
종경록 해제 (있는 경우)

종경록 055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lkm7580
◈Lab value 202304021726


○ 2019_1105_124721_can_bw24.jpg


wikiart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Katsushika-Hokusai-big-beak-and-mirabilis
[#M_▶더보기|◀접기|
Artist: Katsushika-Hokusai
Katsushika Hokusai (葛飾 北斎, October 31, 1760 – May 10, 1849)는
에도시대 우키요에 화가이자 판화가인 일본의 예술가로 그는 Sesshū Tōyō 및 다른 작풍의 중국화 의 영향을 받았다 .
에도 (지금의 도쿄) 에서 태어나, 국제적으로 상징적인 인쇄 The Great Wave from Kanagawa가 포함된
목판 인쇄 시리즈 후가쿠 36 경 ( 富嶽三十六景가쿠 Sanjūroku 케이 , 1831)으로 잘 알려져있다.
[...이하 줄임...]
from https://en.wikipedia.org/wiki/Hokusai
Title : big-beak-and-mirabilis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3_0522_155953_nik_exc서울장미축제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14-08-05-barcelona-RalfR-003
[#M_▶더보기|◀접기|
English: Barcelona, Port Vell Aerial Tramway
Author © Ralf Roletschek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Laguna Madre and Río Bravo Delta ,Mexico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상세정보=> http://buddhism007.tistory.com/14677

Jeanne Cherhal - La Peau Sur Les Os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1499-055.html#7580
sfed--종경록_K1499_T2016.txt ☞종경록 제55권/전체100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lkm7580
불기2569-06-29
θθ





■ 퀴즈

광통(光統) 3교의 하나. 

한 법문에서 상(常)과 무상(無常), 공(空)과 불공(不空) 등을 구족하게 설한 교를 말한다.

답 후보
● 돈교(頓敎)
동불바제(東弗婆堤)
동체대비(同體大悲)
득(得)
등각(等覺)

등무간연의(等無間緣依)
라열기(羅閱祇)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Les Négresses Vertes - L'homme Des Marais
Jacques Dutronc - Et Moi, Et Moi, Et Moi
Serge Gainsbourg - Dub Locataires
Leopold Nord Et Vous - C'est L Amour
John Beltran - Revirado
Jacques Dutronc - Le Dilemme
Alex Beaupain - Je Veux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24▲ 攵丰夫父不 ■ 복봉부부부 24 ( 칠 복 / 등 글월문 )( 예쁠 봉 / 풍채 풍 )( 지아비 부 )( 아버지 부/ 아비 부, 자 보 )( 아닐 부 / 아닐 불 )
050▲ 凸出平包勹 ■ 철출평포포 50 ( 볼록할 철 )( 날 출/ 단락 척 )( 평평할 평 / 다스릴 편 )( 쌀 포/ 꾸러미 포 )( 쌀 포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Kathina
[san-chn] janapada-kalyāṇyā striyā 婇女
[san-eng] vi+bhā $ 범어 to adorn
[pali-chn] cattāro brahma-vihārā 四梵住
[pal-eng] uppanna $ 팔리어 pp. of uppajjatireborn; arisen.
[Eng-Ch-Eng] worldly wisdom 等智
[Muller-jpn-Eng] 大域龍 ダイイキリュウ (person) Mahā-Dignāga
[Glossary_of_Buddhism-Eng] EXHAUSTIVE MEANING☞
See: Definitive Meaning.

[fra-eng] stipula $ 불어 stipulated
[chn_eng_soothil] 商諾迦縛婆 (商諾縛婆) ; 商那和修; 舍那和修 (or 舍那波私) Sanakavisa; Sanavasa; a younger brother of Ānanda. Also an arhat, whom Eitel gives as the third patriarch, a native of Mathurā, and says: 'A Tibetan tradition identifies him with Yaśas, the leader of the II Synod. ' Because of his name he is associated with a hemp or linen garment, or a covering with which he was born.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何以故? 須菩提, 若菩薩有我相人相衆生相壽者相, 則非菩薩.」
무슨 까닭이겠는가? 수보리야, 만일 어떤 보살에게 아상(我相)、인상(人相)、
중생상(衆生相)、수자상(壽者相)이 있으면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玄奘] 所以者何? 善現, 若諸菩薩摩訶薩, 不應說言有情想轉,
如是命者想、士夫想、補特伽羅想、意生想、摩納婆想、作者想、受者想轉,
當知亦爾. 何以故? 善現, 無有少法, 名為發趣菩薩乘者.
[義淨] 所以者何? 由有我想、眾生想、壽者想, 更求趣想故.
03-05 तत्कस्य हेतोः ? न स सुभूते बोधिसत्त्वो वक्तव्यो यस्य सत्त्वसंज्ञा प्रवर्तेत, जीवसंज्ञा वा पुद्गलसंज्ञा व प्रवर्तेत॥३॥
tatkasya hetoḥ | na sa subhūte bodhisattvo vaktavyo yasya ātmasaṁjñā
pravarteta | sattvasaṁjñā vā jīvasaṁjñā vā pudgalasaṁjñā vā pravarteta
||3||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그에게 ‘자아’에 대한 산냐가 생기거나 ‘중생’에 대한 산냐가
(생기거나) ‘영혼’에 대한 산냐가 (생기거나) ‘개체아’에 대한 산냐가 생긴다면 그는
깨달음갖춘이라고 말해져선 안 되기 때문이다.”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만일, 수보리여! 깨달음갖춘이의 경우 중생에 대한 산냐가
생긴다면 그는 ‘깨달음갖춘이’라고 말해져서는 안 된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의? → 이유인가?]
▼▷[na] ① na(ƺ.)
▼[sa] ① saḥ(ƾ.nom.) → [그는]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② subhūti(ƾ. N. of …; well­being, well­fare)
▼[bodhisattvo] ① bodhisattvaḥ(ƾ.nom.) → [깨달음갖춘이 (라고)]
▼[vaktavyo] ① vaktavyaḥ(njp.→ƾ.nom.) → [말해져서는 안 된다 → 말해져선 안 되기
때문이다]
▼[yasya] ① yasya(pn.ƾ.gen.) → [(어떤) 그의 → (어떤) 그에게 있어서]
② yasya(pn.ƾƿ.gen.sg.) < yad(pn. who, which)
▼[ātmasaṁjñā] ① ātma+saṁjñā(Ʒ.nom.) → [자아에 대한 산냐가]
 我相 : 아뜨만에 대한 정확하지 못한 생각
② ātman(ƾ. the soul; self; supreme deity and soul of the universe)
② saṁjñā(Ʒ. consciousness; knowledge, understanding; intellect, mind)
▼[pravarteta] ① pravarteta(pot.Ⅲ.sg.) → [일어날 수 있다. → 일어난다면,]
② pravṛt(1.Ʋ. to go forward, proceed; to arise, be produced; to happen, take place) <
pra(ƺ. higher, forward) + vṛt(1.Ʋ. to be, exist, abide, remain, subsist, stay)
▼▷[sattvasaṁjñā] ① sattva+saṁjñā(Ʒ.nom.) → [중생에 대한 산냐가]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nature character)
▼[jīvasaṁjñā] ① jīva+saṁjñā(Ʒ.nom.) → [영혼에 대한 산냐가]
② jīva(nj. living, existing, alive: ƾ. the principle of life, the individual or personal soul) <
jīv(1.ǁ. to live, be alive; to live by; to live or prey upon)
▼[vā] ① vā(ƺ.) → [또는]
▼[pudgalasaṁjñā] ① pudgala+saṁjñā(Ʒ.nom.) → [개체아에 대한 산냐가]
 ‘ātman’은 自我로 譯解되며, 衆生이라는 개체가 형성되면 그 안에 존재할 수 있는
아뜨만은 個體我로 譯解된다. 불교에서 아뜨만은 無我로 배척되는 반면에 어차피
無常한 衆生이 임시로 존재한다는 개념 아래 衆生에 깃들어있다 여기는 個體我는
衆生이 존재하는 한 有我가 될 수 있다는 개념이 성립될 수 있는데, 이때 有我로
잘못 인지될 수 있는 個體我가 곧 ‘pudgala’이다. 개체아는 한 생에 있어서
존재한다는 것은 성립될 수 있으나, 그것이 실체가 되어 생을 넘나들며 윤회할 수
있다는 것은 성립될 수 없다.
② pudgala(nj. beautiful, lovely, handsome: ƾ. atom; the body matter; the soul; the ego or
individual; man)
▼[vā] ① vā(ƺ.) → [또는]
▼[pravarteta] ① pravarteta(pot.Ⅲ.sg.) → [일어난다면.]
② pravṛt(1.Ʋ. to go forward, proceed; to arise, be produced; to happen, take place)

▼[羅什] 「復次須菩提, 菩薩於法, 應無所住, 行於布施.
“또 수보리야, 보살은 온갖 법에 대하여 머물러 있는 생각 없이 보시를 해
야 하나니,
[玄奘] 復次, 善現, 若菩薩摩訶薩, 不住於事應行布施, 都無所住應行布施;
[義淨] 復次, 妙生, 菩薩不住於事應行布施, 不住隨處應行布施;
04-01 अपि तु खलु पुनः सुभुते न बोधिसत्त्वेन वस्तुप्रतिष्ठितेन दानं दातव्यम्,
api tu khalu punaḥ subhūte na bodhisattvena vastupratiṣṭhitena dānaṁ
dātavyam |
“그런데 참으로 또한, 수보리여! 경계에 머물러 있는 깨달음갖춘이에 의해 베풂이
시행되어서는 안 된다.
▼▷[api] ① api(ƺ.) → [또]
② api(ƺ. and, also, besides; often used to express emphasis. even, also, very)
▼[tu] ① tu(ƺ.) → [그런데]
② tu(ƺ. on the contrary, on the other hand; used as an emphatic particle)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② khalu(ƺ. indeed, certainly, truly)
▼[punaḥ] ① punaḥ(ƺ.) → [다시]
② punar(ƺ. again, further, moreover, once more; back; on the other hand)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② subhūti(ƾ. N. of …; well­being, well­fare)
▼[na] ① na(ƺ.) → [(否定)]
▼[bodhisattvena] ① bodhisattvena(ƾ.ins.) → [깨달음갖춘이에 의해]
② bodhisattva(ƾ. a Buddhist saint) < bodhi(ƾ. perfect wisdom or enlightenment) +
sattva(ƿ. being, existence; nature character) < sat(nj. existing) + ­tva('state of')
▼[vastupratiṣṭhitena] ① vastu+pratiṣṭhitena(nj.→ƾ.ins.) → [경계에 머무르는]
 vastu(경계) : 六根의 대상인 六境의 총칭, 변화무상한 '흐름'의 一段을 고정된
'실체'로 인식하여 집착하는 것.
② vastu(ƿ. a real existing, the real; a thing in general, an object; wealth; essence) <
vas(1.ǁ. to dwell, live: 2.Ʋ. to put on, wear: 10.ǁ. to love, to accept: 6.ǁ. to shine)
② pratiṣṭhita(p.p. set up, erected; fixed, established; placed, situated; installed) < prati(ƺ.
towards, near to) + sthita(p.p. stood, remained, stayed; standing; standing up, risen;
staying) < sthā(1.dž. to stand, stand firmly; to stay, remain)
▼[dānaṁ] ① dānaṁ(ƿ.nom.) → [베풂이]
② dāna(ƿ. giving, granting, teaching; delivering, handing over; a gift, donation) < dā(1.ǁ.
to give, bestow, grant)
▼[dātavyam] ① dātavyam(njp.→ƿ.nom.) → [주어져서는 안 된다.]
② dātavya(nj.) < * + ­tavya(pot.pass.p.) < dā(1.ǁ. to give, bestow, grant)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80일째]
어일미세모공중 $ 051▲訶魯那訶魯那為 一 ● 摩魯陀, ○□□□□,不,毛,諸,入

□□□□□□□, 不可說剎次第入,
毛孔能受彼諸剎, 諸剎不能遍毛孔。
□□□□□□□, 불가설찰차제입,
모공능수피제찰, 제찰불능편모공。

於一微細毛孔中,
한 개의 가느다란 털구멍 속에
말할 수 없는 세계 차례로 드니
털구멍은 여러 세계 능히 받지만
세계는 털구멍에 두루 못하며



[181째]
입시겁수불가설 $ 052▲摩魯陀摩魯陀為 一 ● 懺慕陀, ○□□□□,受,於,一,如

□□□□□□□, 受時劫數不可說,
於此行列安住時, 一切諸劫無能說。
□□□□□□□, 수시겁수불가설,
어차행렬안주시, 일체제겁무능설。

入時劫數不可說,
들어갈 때 겁의 수효 말할 수 없고
받을 때의 겁의 수효 말할 수 없어
여기서 줄을 지어 머무를 적에
모든 겁을 누구도 말할 수 없네.





●K0335_T1343.txt★ ∴≪A존승보살소문일체제법입무량문다라니경≫_≪K0335≫_≪T1343≫
●K1499_T2016.txt★ ∴≪A종경록≫_≪K1499≫_≪T2016≫
●K0318_T1337.txt★ ∴≪A종종잡주경≫_≪K0318≫_≪T1337≫


■ 암산퀴즈


69* 720
278768 / 532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50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72 번째는?




50 좋은 말씀은 모든 농사(農事)를 능히 이루어 줍니다.
바라지 리, 波囉祁<上聲>[口*梨]<五十>
pra-ghr
(~!~) 마음의 보호를 성취케 하시고, 온갖 눈병(惡相)으로부터 보호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30 나모스그리다야 ◐娜牟塞訖唎多耶<三十>◑Namas-kritāya//
031 나모바가바뎨다타가다 ◐娜牟婆伽筏帝<舊>怛他揭多俱囉耶<如來><族三十一>◑Namo bhagavate tathāgatakulāya//
032 나모바다마 구라야 ◐娜牟鉢頭摩<二合>俱囉耶<歸命蓮華族菩薩等><三十二>◑Namaḥ padma-kulāya//
033 나모바저라구라 야 ◐娜牟筏折囉俱囉<半音用同下>耶<歸命><金剛族三十三>◑Namo vajra-kulāya//
034 나모마니구라야 ◐娜牟摩尼俱囉耶<歸命寶族三十四>◑Namo maṇi-kulāya//
035 나모가 자구라야 ◐娜牟伽<上>闍俱囉耶<歸命衆族三十五>◑Namo gaja-kulāya//
036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筏帝<三十六>◑Namo bhagavate
037 디리 다슈라혜나 ◐地唎<二合>茶輸囉哂那<三十七>◑driḍha-śyra-sena
038 바라 하라나라 자야 ◐鉢囉<二合>訶囉拏囉<引>闍耶<大猛將各持器仗入三十八>◑praharaṇa-rājāya
039 다타가다야 ◐怛他揭多耶<如來三十><九>◑tathāgatāya//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을 타고 보배연꽃에 앉으셔서
티끌처럼 많은 국토에 응하시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72
모든 유정들을 이롭게 하시는 왕께 귀의합니다.
南無一切有情利益主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49680
524
법수_암기방안


3 밥통 【위】
51 눈썹 아이부러워eyebrow 眉 【미】
52 눈 eye 眼 【안】
50 턱 chin, 【악골】顎


72 소지첫마디 = 손 허리뼈 / (=-매타카펄 metacarpal )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630_220820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준비 운동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8-12-09-월
Yavatmal_(district) India
[사진]
[지도내 사진]
[거리뷰1] Mungsaji Mandir मुंगसाजी मंदिर 힌두교 사원
https://maps.app.goo.gl
Ram Mandir राम मंदिर 힌두교 사원
Ram Mandir
https://maps.app.goo.gl
https://maps.app.goo.gl
https://maps.app.goo.gl
https://maps.app.goo.gl
[세계내-위치] https://www.google.nl
[설명 1] https://en.wikipedia.org
[설명 2]
[동영상 1] 4:00
https://youtu.be
Yavatmal City | Third largest district of Maharashtra | यवतमाळ जिला की शैर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노란색 튤립- 로저 드 라 프레스네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003 나모살바몯다 ◐娜牟薩婆勃陁<敬禮一切諸佛三>◑Namaḥ sarva buddhāya


○2017_0925_230133_Candi_Borobudur_exc


○2018_0722_133050_canon_ct18


○2020_0317_174934_canon_ar27


○2016_1008_133332_nikon_ab15


○2018_1022_125654_canon_bw4_s12


○2019_0106_144951_canon_ori


○2020_1114_142343_canon_ct19


○2018_1023_123146_canon_bw2


○2018_1023_130513_canon_ct8_s12


○2020_1126_152909_nikon_Ab31


○2020_1126_153803_nikon_BW17


○2020_1126_155828_canon_ct8_s12


○2019_0801_080712_canon_ar15


○2019_0801_080944_canon_ct19


○KakaoTalk_20190731_201054202_10_BW25_s12


○2019_1104_091820_canon_AB7


○2019_1104_102745_nikon_Ab27


○2019_1104_114344_nikon_BW25


○2019_1104_122417_nikon_CT38_s12

● [pt op tr] fr
_M#]



○2019_0113_130015_nikon_bw4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종경록_K1499_T201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종경록』 ♣1499-055♧
[관련키워드]
종경록 제55권/전체10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종경록-K1499-05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1499-055.html
sfed--종경록_K1499_T2016.txt ☞종경록 제55권/전체100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lkm7580
불기2569-06-29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917134308
https://truth007.tistory.com/4333
htmback--불기2569-06-29_종경록_K1499_T2016-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