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론』
K1484
T1538
시설론 제1권/전체7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6-19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484_T1538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시설론』
♣1484-001♧
시설론 제1권/전체7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19_1106_111520_nik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52543_nikon_fix▾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5_114631_nikon_exc_s12▾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6_112852_can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15646_can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51017_canon_exc▾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201_153704_nikon_exc▾원주 구룡사
○2018_1023_153601_canon_ori▾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9_1104_134305_nikon_exc_s12▾구례 화엄사 연기암
○2013_0309_085126-OLYMPUS_exc_s12▾강화도_보문사_전등사
○2021_1003_131228_nikon_exc_s12▾밀양_만어산_만어사
○2021_1007_170741_nikon_exc_s12_pc▾부안_능가산_개암사
○2021_0320_162819_nikon_exc▾포천_백운산_흥룡사
○2021_1007_144649_nikon_exc_s12▾부안_능가산_내소사
○2015_0423_160443_nikon_exc_s12
○2021_0929_162325_nikon_exc_s12▾강릉_괘방산_등명낙가사
○2014_1129_133822_canon_exc_s12▾서울_북악산_성불사
○2021_0217_143224_canon_exc▾서산_상왕산_개심사
○2022_1025_153111_canon_exc▾서울_조계사
● [pt op tr] fr
_M#]
○2015_0727_105713_canon_exc▾부산_금정산_범어사
❋❋본문 ♥
◎[개별논의]
★%★
『시설론』
♣1484-001♧
시설론 해제 (있는 경우)
시설론 001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ncj4419
◈Lab value 201507271057 |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1484-001.html#4419 sfed--시설론_K1484_T1538.txt ☞시설론 제1권/전체7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ncj4419 불기2569-06-19 θθ |
■ 퀴즈
비구가 지켜야 하는 250계.
답 후보
● 비구계(比丘戒)
비목차(毘目叉)
비바시(毘婆尸)
비생비멸(非生非滅)
비안립진여(非安立眞如)
비택멸무위(非擇滅無爲)
빈자일등(貧者一燈)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JULIE PIETRI - Eve le toi
Enrico Masias - Compagnon Disparu
Patrick Bruel - Tout Le Jour, Toute La Nuit (Avec Kahimi Kari)
MANU CHAO - Je Ne T'Aime Plus
Daniel Levi & Karine Costa ( Ce reve bleu _⁄ Live 1992 )
Jacques Dutronc - Opium (Avec Bambou)
Anais - Si J'avais Su Que Notre Amour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14▲ 卂也广兀幺 ■ 신야엄올요 14ㅡ 빨리 날라가니 집들이 우뚝하지만 작게 보인다. ( 빨리 날 신 )( 잇기 야/ 어조사 야, 대야 이/이것 이 )( 집 엄 / 넓을 광, 암자 암 )( 우뚝할 올 )( 작을 요 )
040▲ 卯卬戊民半 ■ 묘앙무민반 40 ( 토끼 묘 /넷째 지지 묘 )( 나, 자신( 自身) 앙 / 위풍당당( 威風堂堂)한 모양 앙) ( 다섯째)천간( 天干) 무 / 무성하다( 茂盛--) 무 )( 백성 민 / 잠잘 면 )( 반 반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Luipa
[san-chn] adhîṣ (√iṣ). 請問
[san-eng] dhūrta $ 범어 adj. clever
[pali-chn] arahat 應供
[pal-eng]
[Eng-Ch-Eng] eye 目\n眼
[Muller-jpn-Eng] 樂根 ラクコン faculty of pleasure
[Glossary_of_Buddhism-Eng] AMIS DU BOUDDHISME, LES☞
See: France (Buddhism in).
#0478
[fra-eng] trotte $ 불어 jogs
[chn_eng_soothil] 三那三佛 idem 三藐三佛陀.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希有世尊, 如來善護念諸菩薩, 善付囑諸菩薩.
“희유(希有)하십니다. 세존(世尊)이시여, 여래(如來)께서는 보살(菩薩)들을
잘 염려하여 보호해 주시고[善護念] 보살들에게 잘 당부하여 위촉해 주십
니다[善付囑].
[玄奘] 希有, 世尊, 乃至如來、應、正等覺, 能以最勝攝受, 攝受諸菩薩摩訶薩;
乃至如來、應、正等覺, 能以最勝付囑, 付囑諸菩薩摩訶薩.
[義淨] 希有, 世尊! 希有, 善逝! 如來、應、正等覺, 能以最勝利益, 益諸菩薩;
能以最勝付囑, 囑諸菩薩.
02-03 आश्चर्यं भगवन्, परमाश्चर्यं सुगत, यावदेव तथागतेनार्हता सम्यक्संबुद्धेन बोधिसत्त्वा महासत्त्वा अनुपरिगृहीताः परमेणानुग्रहेण।
आश्चर्यं भगवन् यावदेव तथागतेनार्हता सम्यक्संबुद्धेन बोधिसत्त्वा महासत्त्वाः परीन्दिताः परमया परीन्दनया।
āścaryaṁ bhagavan paramāścaryaṁ sugata | yāvadeva tathāgatenārhatā
samyaksambuddhena bodhisattvā mahāsattvā anuparigṛhītāḥ
parameṇānugraheṇa | āścaryaṁ bhagavan yāvadeva tathāgatenārhatā
samyaksambuddhena bodhisattvā mahāsattvāḥ parīnditāḥ paramayā
parīndanayā |
“경이롭습니다. 복덕갖춘분이시여! 가장 경이롭습니다. 잘가닿은분이시여! 오직 그만큼
그렇게오신분과 응당공양올려야될분과 바르고동등하게깨달으신분에 의해 위대한
존재로서 깨달음갖춘이들은 최상의 은총으로 둘러져 감싸여있습니다. 경이롭습니다,
복덕갖춘분이시여! 오직 그만큼 그렇게오신분과 응당공양올려야될분과
바르고동등하게깨달으신분에 의해 위대한 존재로서 깨달음갖춘이들은 최상의
힘실어줌으로 힘이 실렸습니다.
▼▷[āścaryaṁ] ① āścaryaṁ(njp.→ƿ.nom.) → [경이롭습니다]
② āścarya(nj. marvellous, wonderful, extraordinary: ƿ. a wonder, miracle, marvel) <
ācar(1.ǁ. to act, practise, do, perform, undertake; to act or behave towards) +
「ṇ」ya「t」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paramāścaryaṁ] ① parama+āścaryaṁ(njp.→ƿ.nom.) → [가장 경이롭습니다]
② parama(nj. most distant, last; highest, best; extreme; worst)
▼[sugata] ① sugata(ƾ.voc.) → [잘가닿은분이시여!]
② sugata(nj. wellgone or passed; wellbestowed: ƾ. an epithet of buddha)
▼▷[yāvadeva] ① yāvad(ƺ.) + eva(ƺ.) → [그만큼、 오직]
② yāvat(ƺ. as far as, up to, till: nj. as much/many as; as great, as large; all, whole)
② eva(ƺ. indeed, truly, really; just so, exactly so truly)
▼[tathāgatenārhatā] ① tathāgatena(ƾ.ins.) + arhatā(ƾ.ins.) →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응당공양올려야될분에 의해]
tathāgatena(ƾ.ins.) arhatā(nj.→ƾ.ins.) samyaksambuddhena(nj.→ƾ.ins.) →
▼[응당 공양 올려야 될 만큼 바르고 동등하게 깨달으신 여래에 의해…] - [△]
② tathāgata(nj.ƾ.) < tathā(ƺ. in that manner, so, thus) + āgata(p.p. come, arrived;
occurred, happened; obtained, got) < āgam(1.ǁ. to come)
② arhat(nj. worthy, deserving, deserving respect; praised, celebrated; worthy of deserving:
ƾ. a Buddha, the highest rank in Buddhist hierarchy; a superior divinity with the Jainas)
▼[samyaksambuddhena] ① samyaksambuddhena(ƾ.ins.) → [바르고동등하게깨달으신분에
의해]
② samyaksambuddha(p.p.È 正等覺, 正等正覺) < samyak(ƺ. with, together with; well,
properly, rightly) + sam(ƺ. together with) + buddha(p.p. known, understood; awakened)
② samyak(ƺ. together with; rightly) < samyañc(nj. going with, accompanying; right,
proper; correct, true; pleasant, agreeable)
▼[bodhisattvā] ① bodhisattvāḥ(ƾ.nom.pl.) → [깨달음갖춘이들은]
② bodhisattva(ƾ. a Buddhist saint) < bodhi(ƾ. perfect wisdom or enlightenment) +
sattva(ƿ. being, existence; nature character) < sat(nj. existing) + tva('state of')
▼[mahāsattvā] ① mahāsattvāḥ(nj.→ƾ.nom.pl.) → [위대함갖춘상태인]
② mahāsattva(nj. noble; very strong or powerful: ƾ. a large animal) < mahat(nj. great) <
mahat(nj. great, big, large; long, extended) < sat(nj. being, existing) + tva('state of')
▼[anuparigṛhītāḥ] ① anu+pari+gṛhītāḥ(njp.→ƾ.nom.pl.) → [둘러져 감싸여있습니다]
② anu(ƺ. with, along with; afterward, behind)
② parigṛhīta(p.p. grasped, seized; embraced, surrounded; accepted) < parigrah(9.ǁ. to clasp
round, embrace; to encircle, surround; to lay hold of, seize) < pari(ƺ. round, about;
towards) + grah(9.dž. to seize, take or catch hold of)
▼[parameṇānugraheṇa] ① parameṇa(nj.→ƾ.ins.) + anugraheṇa(ƾ.ins.) → [최상의、
은총으로.]
② parama(nj. most distant, last; highest, best; extreme; worst)
② anugraha(ƾƿ. a favour, kindness; assistance, help) < anugrah(9.ǁ. to favour, oblige,
treat with kindness; cherish; to receive, welcome)
▼▷[āścaryaṁ] ① āścaryaṁ(njp.→ƿ.nom.) → [경이롭습니다]
② āścarya(nj. marvellous, wonderful, extraordinary: ƿ. a wonder, miracle, marvel)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yāvadeva] ① yāvad(ƺ.) + eva(ƺ.) → [그만큼、 오직]
② yāvat(ƺ. as far as, up to, till: nj. as much/many as; as great, as large; all, whole)
② eva(ƺ. indeed, truly, really; just so, exactly so truly)
▼[tathāgatenārhatā] ① tathāgatena(ƾ.ins.) + arhatā(ƾ.ins.) →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응당공양올려야될분에 의해]
▼[samyaksambuddhena] ① samyaksambuddhena(ƾ.ins.) → [바르고동등하게깨달으신분에
의해]
▼[bodhisattvā] ① bodhisattvāḥ(ƾ.nom.pl.) → [깨달음갖춘이들은]
▼[mahāsattvāḥ] ① mahāsattvāḥ(nj.→ƾ.nom.pl.) → [위대함갖춘상태인]
▼[parīnditāḥ] ① parīnditāḥ(njp.→ƾ.nom.pl.) → [힘이 실렸습니다 → 부촉되었습니다]
② parīndita(nj. 힘실린, 咐囑된) < * + ita(past.pass.p.) < parīnd(1.ǁ. 힘을 실어주다) <
pari(ƺ. round, about; towards) + ind(1.ǁ. to be powerful [occuring in the etymology of
'indra'])
▼[paramayā] ① paramayā(nj.→Ʒ.ins.) → [최상의]
② parama(nj. most distant, last; highest, best; extreme; worst)
▼[parīndanayā] ① parīndanayā(Ʒ.ins.) → [힘실어줌으로. → 부촉으로.]
② parīndanā(Ʒ. 힘실어줌, 咐囑) < parīndana(ƿ. gratification, present)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70일째]
어피일일법문중 $ 041▲周廣周廣為 一 ● 高出, ○□□□□,又,於,所,於
□□□□□□□, 又說諸法不可說;
於彼一一諸法中, 所有決定不可說;
□□□□□□□, 우설제법불가설;
어피일일제법중, 소유결정불가설;
於彼一一法門中,
저러한 하나하나 법문 가운데
또 말씀한 모든 법 말할 수 없고
저러한 하나하나 모든 법 중에
갖고 있는 결정한 뜻 말할 수 없어
[173째]
념념어제소행처 $ 044▲泥羅婆泥羅婆為 一 ● 訶理婆, ○□□□□,調,所,所,於
□□□□□□□, 調伏眾生不可說。
所有神變不可說, 所有示現不可說,
□□□□□□□, 조복중생불가설。
소유신변불가설, 소유시현불가설,
念念於諸所行處,
찰나찰나 다니는 여러 곳에서
중생을 조복함도 말할 수 없고
갖고 있는 신통 변화 말할 수 없고
보이어 나타냄도 말할 수 없어
045□
●K0008_T0231.txt★ ∴≪A승천왕반야바라밀경≫_≪K0008≫_≪T0231≫
●K1484_T1538.txt★ ∴≪A시설론≫_≪K1484≫_≪T1538≫
●K1114_T1347.txt★ ∴≪A식제중요다라니경≫_≪K1114≫_≪T1347≫
■ 암산퀴즈
465* 661
273028 / 343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0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7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62 번째는?
40 일체의 수용(受用)하는 자구를 증장시켰습니다.
다례, 闥㘑<四十>
dare
(~!~) 현세의 왕이시여! 지옥과 불에 떨어진 이들을 보호하고 보호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70 자미가가라하 ◐闍弭迦揭囉訶<如烏鬼三百七十>◑jamikāㆍgrahā
371 사구니가라하 ◐舍俱尼揭囉訶<如馬三百七十一>◑śakuniㆍgrahā
372 만다라난뎨가아라하 ◐漫怛囉難提迦揭囉訶<如猫兒三百七十二>◑mantraㆍnandikāㆍgrahā
373 아람바아라하 ◐阿藍皤揭囉訶<如蛇><三百七十三>◑laṃvikāㆍgrahā
374 라노건도바니아라하 ◐訶奴建度波尼揭囉訶<如雞三百七十四>◑hanuㆍkaṇṭhaㆍpāṇiㆍgrahā//
375 지 바라 예가혜가 덕볘디가 ◐什<入音>皤囉<壯熱瘧鬼>翳迦醯迦<一日一發>德吠底迦<二日一發三百七十五>◑jvarāㆍekāhikāㆍdvaitīyakā
376 뎨리뎨약가 저도리타가 ◐帝哩帝藥迦<三日一發>折咄㗚他迦<四日一發三百七十六>◑tritīyakāㆍcaturthakāㆍjvarā
377 니디야지바라 ◐眤底夜什皤囉<常壯熱鬼三百七十七>◑nityaㆍjvarā
378 비사마지바라 ◐毘沙摩什皤囉<壯熱三百七十八>◑vishamaㆍjvarā
379 바디가 배디 가 ◐皤底迦<風病鬼>背底迦<黃病鬼三百七十九>◑vātikāㆍpaittikā
● 가령 모든 국토의 큰 고을과
작은 고을과 촌락에서
흉년이 들고 전염병이 돌고,
혹은 군사의 난리와 도적난리가 일어나고 투쟁이 벌어지거나,
그 외에 일체 재난이 발생한 곳일지라도,
이 신비한 주문을 베껴서
성의 네 문에 붙이든지,
공양하는 곳[支提]에 모시든지,
혹은 깃대[脫闍]에 달아 올려서,
그 국토 중생들에게
이 주문을 받들어 맞이하게 하고
예배 공경하여 일심으로 공양케 하고,
그 백성들이 각기 몸에 차기도 하고
혹은 각기 살고 있는 집에 모시게 한다면,
일체 재앙[災厄]이 모두 다 소멸하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62
훌륭하고 청정한 업(業)을 지으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作善淸淨業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307365
796
법수_암기방안
37 종지뼈 ( the kneecap, / the patella무릎 종지뼈)
41 발뒤꿈치 (발굽) the heel
44 네째발가락 the fourth toe
40 중앙 발가락 [신조어 ] center part (middle) toe
62 이두박근(二頭膊筋) ~알통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622_223737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상체 기울이기 [Janu Sirsasan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9-03-23-일
♡대성사,경기 가평군 청평면, 우무내길 148-3O
[사진]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naver.me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kko.kakao.com
https://kko.kakao.com
[설명 1]
https://www.grandculture.net
https://yy3518.tistory.com
https://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
[설명 2]
https://blog.naver.com
https://klad11.tistory.com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008 나모소로다반나남 ◐娜牟蘇嚕哆半那喃<八>◑Namaḥ srota-apannānāṃ//

○2019_1106_121206_nikon_Ab35

○2019_1105_173218_nikon_exc_s12

○2019_1106_113443_canon_ct21_s12

○2019_1106_121401_canon_ar29

○2019_1004_134903_nikon_Ab27

○2019_1004_150024_canon_bw11

○2019_1004_171653_nikon_ar22

○2019_1004_152602_nikon_ct9

○2020_0211_134459_canon_Ab35

○2018_0419_141754_canon_ar25

○2020_0904_132750_canon_BW27

○2020_0908_154353_nikon_ct8

○2020_0909_131032_nikon_CT27

○2020_0910_115239_nikon_bw24

○2020_0907_153440_nikon_CT33

○2018_1024_180625_nikon_AB7_s12

○2020_1126_160441_nikon_CT27

○2019_1104_133945_nikon_Ab31_s12

○2019_1104_161548_nikon_BW25
● [pt op tr] fr
_M#]

○2019_1201_163824_nikon_bw0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시설론_K1484_T1538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시설론 제1권/전체7권
■ 본 페이지 ID 정보
시설론-K1484-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1484-001.html
sfed--시설론_K1484_T1538.txt ☞시설론 제1권/전체7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ncj4419
불기2569-06-19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908026352
https://religion007.tistory.com/00305
htmback--불기2569-06-19_시설론_K1484_T1538-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