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
K0704
T0092
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 /전체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6-05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704_T0092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
♣0704-001♧
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 /전체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19_1106_162212_nikon_exc▾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5_111913_nikon_fix▾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6_130724_can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2020_0906_114531_canon_ori_rs▾천축산 불영사
○2018_1024_173420_nikon_exc▾부여 고란사
○2018_1023_153009_nikon_ori▾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9_1104_113912_nikon_exc_s12▾구례화엄사 구층암
○2014_1129_101304_nikon_exc_s12_%23014▾서울_북악산_성불사
○2021_1007_131406_nikon_exc▾부안_능가산_내소사
○2021_0217_173222_canon_exc▾서산_간월암_간월사
○2021_1006_095817_nikon_exc_s12▾해남_봉화산_대흥사
○2015_0415_160532_canon_exc▾서울_정릉_봉국사
○2021_0216_110346_canon_exc▾석모도_낙가산_보문사
○2021_1004_165205_canon_exc_s12▾하동_고성산_약천사
○2021_1006_114844_canon_exc▾해남_봉화산_대흥사
○2021_1003_143217_canon_exc▾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2021_1007_102330_nikon_exc▾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2021_0214_131740_canon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2014_1118_151415_canon_exc_s12▾서울_동국대_정각원
● [pt op tr] fr
_M#]
○2020_0905_170345_canon_ori_rs▾오대산 적멸보궁
❋❋본문 ♥
◎[개별논의]
★%★
『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
♣0704-001♧
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 해제 (있는 경우)
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 001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pxf3154
◈Lab value 201411181514 |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0704-001.html#3154 sfed--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_K0704_T0092.txt ☞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pxf3154 불기2569-06-05 θθ |
■ 퀴즈
육바라밀의 하나. 비리야바람밀(毘梨耶波羅蜜). 몸과 마음을 깨우쳐 용맹하게 수행하는 것.
답 후보
● 정진바라밀(精進波羅蜜)
제두뢰타(提頭賴吒)
제삼결집(第三結集)
제석망(帝釋網)
제일능변(第一能變)
제팔식(第八識)
제호미(醍醐味)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Dani - Comme Toi Et Moi
Calogero - Passi - Face à La Mer
Pierre Bachelet - Nos Jours Heureux
Serge Reggiani - Le Venusien
Piaf Edith - Qu'as Tu Fait John
Renaud - Baltique
Claire Diterzi - Les Clins D'oeil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78▲ 風虐香革頁 ■ 풍학향혁혈 78 ( 바람 풍 )( 모질 학 )( 향기 향 )(가죽 혁 / 중해질 극 )(머리 혈 / 책 면 엽 )
026▲ 氶手扌心忄 ■ 승수수심심 26 ( 이을 승 / 건질 증 )( 손 수 ) ( 재방변 수) (마음 심 )( 심방변 심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Reincarnation
[san-chn] dharmasamatā 法平等
[san-eng] abhijāyate $ 범어 becomes manifest
[pali-chn] sārī 舍利
[pal-eng] akiranta $ 팔리어 pr.p. ofpouring.
[Eng-Ch-Eng] 三藐三佛陀 A perfectly and fully enlightened buddha (Skt. samyak-sam!buddha; Pali samma^-sambuddha). One of the ten epithets 十號 of the Buddha. Also transcribed as 三藐三沒馱, 三耶三佛, 三耶三佛陀, and translated as 正遍知, 正等覺, 正等覺者.
[Muller-jpn-Eng] 興福寺 コウフクジ Kōfuku Temple
[Glossary_of_Buddhism-Eng] GENEROSITY☞
See: Anathapindika; Golden-Colored King.
[fra-eng] flûte $ 불어 flute
[chn_eng_soothil] 釋宮 The Śākya palace, from which prince Siddhārtha went forth to become Buddh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若菩薩作是言, 我當莊嚴佛土, 是不名菩薩.
수보리야, 만일 보살이 ‘내가 불국토를 장엄하리라’ 하면 보살이라 이름하지
못하리니,
[玄奘] 善現, 若諸菩薩作如是言: ࡔ我當成辦佛土功德莊嚴ࡕ, 亦如是說.
[義淨] 妙生, 若有菩薩言: ࡔ我當成就佛土嚴勝佛土嚴勝ࡕ者,
17-21 यः सुभूते बोधिसत्त्व एवं वदेत्- अहं क्षेत्रव्यूहान्निष्पादयिष्यामीति,
स वितथं वदेत्। **
yaḥ subhūte bodhisattva evaṁ vadet | ahaṁ kṣetravyūhānniṣpādayiṣyāmīti
| so'pi tathaiva vaktavyaḥ |
“수보리여! 깨달음갖춘이가 ‘나는 국토의 장엄을 이룩하게 하리라’고 이렇게 말한다면 그
또한 그와 같다고 말해져야 한다.
▼▷[yaḥ] ① yaḥ(pn.ƾ.nom.) → [(어떠한) 그가]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bodhisattva] ① bodhisattvaḥ(ƾ.nom.) → [깨달음갖춘이가]
▼[evaṁ] ① evam(ƺ.) → [이렇게]
▼[vadet] ① vadet(pot.Ⅲ.sg.) → [말한다면]
② vad(1.ǁ. to say, speak, utter; to announce, tell; to speak of, describe)
▼▷[ahaṁ] ① ahaṁ(pn.Ⅰ.nom.) → [나는]
▼[kṣetravyūhānniṣpādayiṣyāmīti] ① kṣetra+vyūhān(ƾ.acc.pl.) +
niṣpādayiṣyāmi(caus.fut.Ⅰ.sg.) + iti(ƺ.) → [국토의 장엄들을、 이룩하게 하리라고,]
② kṣetra(ƿ. a field, ground, soil; landed property, land; place, abode) < kṣi(1.ǁ. to decay
or waste; to rule, govern: 1.5.9.ǁ. to destroy: 6.ǁ. to abide, stay, dwell)
② vyūha(ƾ. a military array; an army, a host; a multitude, collection)
② niṣpād(4.Ʋ. to issue out of, spring from; to be produced, arise; to be got prepare)
▼▷[so'pi] ① saḥ(ƾ.nom.) + api(ƺ.) → [그 또한]
▼[tathaiva] ① tathā(ƺ.) + eva(ƺ.) → [그와 같다고(→보살이 아니라고)、 오직]
▼[vaktavyaḥ] ① vaktavyaḥ(njp.→ƾ.nom.) → [말해져야 된다.]
② vaktavya(nj.) < * + tavya(pot.pass.p.) < vac(2.ǁ. to say, speak)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56일째]
진수미보무유여 $ 027▲毘贍婆毘贍婆為 一 ● 毘盛(上)伽, ○□□□□,示,以,一,眾
□□□□□□□, 示現剎土皆如是,
以一剎土末為塵, 一塵色相不可說。
□□□□□□□, 시현찰토개여시,
이일찰토말위진, 일진색상불가설。
盡須彌寶無有餘,
수미산이 끝나도록 그 많은 보배
나타내는 세계들로 그와 같거든
한 세계를 부수어 만든 티끌들
한 티끌의 모양을 말할 수 없고
[157째]
중찰위진진유상 $ 028▲毘盛伽毘盛伽為 一 ● 毘素陀, ○□□□□,不,如,皆,光
□□□□□□□, 不可言說不可說,
如是種種諸塵相, 皆出光明不可說。
□□□□□□□, 불가언설불가설,
여시종종제진상, 개출광명불가설。
眾剎為塵塵有相,
여러 세계 부순 티끌 그 많은 모양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고
이러한 가지가지 모든 티끌이
제각기 내는 광명 말할 수 없어
●K0756_T0138.txt★ ∴≪A불설십일상사념여래경≫_≪K0756≫_≪T0138≫
●K0704_T0092.txt★ ∴≪A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_≪K0704≫_≪T0092≫
●K1388_T0287.txt★ ∴≪A불설십지경≫_≪K1388≫_≪T0287≫
■ 암산퀴즈
476* 898
258944 / 952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6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23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48 번째는?
26 모든 대지의 정기(精氣)와 자양분을 증장시키며,
첨 례, 廁<初凡反>隸<二十六>
ksine
(~!~) 윤회에 얽매이지 않고 법륜을 펼쳐,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30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三十>◑chindayāmi kilayāmi//
231 다드바가 ◐怛怛嚩伽<上>嚕茶<金翅鳥王二百三十一>◑Tat vā garuḍa
232 가리참미댜 ◐訖哩耽微地也<二百三十二>◑kritāṃ vidyāṃ
233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三十三>◑chindayāmi kilayāmi//
234 마하가라 ◐摩訶迦囉<大黑天神二百三十四>◑Mahāㆍkāla
235 마다라가나가리 탐미댜 ◐摩怛囉伽拏訖哩<離枳><反上>耽微地也<二百三十五>◑mātriㆍgaṇaㆍkritāṃ vidyāṃ
236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三十六>◑chindayāmi kilayāmi//
237 가바리가 ◐迦波哩迦<髑髏外道二百三十七>◑Kāpālika
238 가리탐미댜 ◐訖哩耽微地也<二百三十八>◑kritāṃ vidyāṃ
239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三十九>◑chindayāmi kilayāmi//
●금강보살장왕(金剛菩薩藏王)들이 정교한 마음으로 가만히 빠르게
저 결정한 사람의 신비한 식[神識]을 일깨우면,
이 사람은 즉시 마음에 팔만사천항하사겁(八萬四千恒河沙劫)의 일을 기억하여
두루 분명히 알고 아무 의혹이 없게 되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48
가장 훌륭한 뜻이 청정하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最上意淸淨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427448
272
법수_암기방안
23 엄지 (THUMB)
27 새끼마디 [little finger-넉클knuckle]
28 새끼 ( LITTELE finger)
26 손금 the line of the palm
7 갈비 【협】
48 왕(엄지)발가락 a big[great] toe
153 nose 鼻 【비】 (귀)코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606_235442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옛날 구심(拘深)이라는 비구는 늘 다투기를 좋아하여 기뻐하는 일이 없었고,
또 산이나 들의 한적한 곳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래서 부처님께서 자주 가서 꾸짖고 타일렀는데도 말씀을 듣지 않았고,
부처님께서 그를 위해 설법하였는데도 즐겁게 받들려고 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부처님께서는 그를 버려 두고 떠나셨는데,
한참 가시다가 어떤 코끼리 한 마리가 혼자 빈 산에 있으면서 시름없이 한가한 것을 보셨다.
그때 코끼리는 이렇게 생각했다.
‘내가 여러 코끼리 속에 있을 때에는 그들의 시달림을 받을 뿐 아니라,
풀을 먹을 때에도 나쁜 풀만 얻어먹었고 물을 마실 때도 탁한 물만 마셨다.
그런데 지금 여기에서는 그들의 시달림을 받지 않으니 얼마나 유쾌한가?’
그러자 부처님께서 곧 다음 게송을 읊으셨다.
하나의 용이 무리 중에서도 뛰어났으니
용 중에서도 여섯 개 어금니를 가졌다.
그 마음마음마다 스스로 평등하여
혼자서 넓은 들판을 즐기는구나.
부처님께서는 이 게송을 마치시고 거기서 떠나셨다.
출전:
한글대장경 K0982_T0212
출요경(出曜經) 요진 축불념역
出曜經 【姚秦 竺佛念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쟁기 자세 [Halasan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8-11-26-화
♡泰岳寺たいがくじ 愛知県春日井市 Japan
[사진] https://www.google.co.kr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https://maps.app.goo.gl
[구글맵2]
[설명 1] https://ja.wikipedia.org
[설명 2]
[동영상 1] 1:02
https://youtu.be
坐禅・写経が体験できるお寺 / 泰岳寺
[동영상 2]
[예술작품감상]
002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歸命一切如來應正等覺二>◑arhate samyaksaṃbuddhāsya//

○2016_1008_131157_nikon

○2016_1008_132032_nikon

○2016_1008_141328_canon

○2018_0418_121944_nikon

○2018_0419_140744_canon

○2020_0525_162802_nikon

○2020_0525_171924_canon

○2020_0525_173411_canon

○2020_0525_182103_canon

○2020_0606_125304_canon

○2020_0606_132149_canon

○2020_0606_141547_canon

○2020_0606_171919_canon

○2020_0606_193412_canon

○2022_0411_161134_nikon_exc_s12

○2022_0909_135521_canon_exc

○2022_1116_163649_nikon_exc

○2022_1116_163159_nikon_exc
● [pt op tr] fr
_M#]

○2022_1116_154340_canon_exc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_K0704_T0092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 /전체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K0704-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0704-001.html
sfed--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_K0704_T0092.txt ☞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pxf3154
불기2569-06-05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90941570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76
htmback--불기2569-06-05_불설십지거사팔성인경_K0704_T0092-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