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팔대인각경』
K0515
T0779
불설팔대인각경 /전체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6-27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515_T0779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불설팔대인각경』
♣0515-001♧
불설팔대인각경 /전체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19_1106_112836_nikon_ct13▾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5_110255_nikon_ar7_s12▾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21314_nikon_Ar28▾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6_155321_canon_ar38▾화순 계당산 쌍봉사
○2020_0211_134600_canon_ct19_s12▾불암산 천보사
○2020_0907_152902_canon_ori_rs▾양산 통도사
○2020_0908_152025_nikon_ct9▾합천 해인사
○2020_0909_143044_nikon_ar47▾무주 백련사
○2020_0909_143148_canon_BW25▾무주 백련사
○2020_0909_160510_canon_ori_rs▾무주 백련사
○2020_1002_115020_nikon_BW17▾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17_153449_canon_exc▾삼각산 화계사
○2018_1022_125353_nikon_bw0_s12▾공주 계룡면사무소 영규대사비
○2018_1022_170209_canon_ori▾공주 태화산 마곡사
○2019_1104_105303_canon_ct8▾구례 화엄사
○2019_1104_112333_canon_ab41_s12▾구례 화엄사 구층암
○2021_1113_151525_canon_ct11_s12▾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장경사
○2021_1002_124543_canon_CT28▾영천_팔공산_은해사
○2022_1028_161218_nikon_ct19_s12▾서울_구룡산_능인선원
● [pt op tr] fr
_M#]
○2020_0930_142553_nikon_AR28▾화성 용주사
❋❋본문 ♥
◎[개별논의]
★%★
『불설팔대인각경』
♣0515-001♧
불설팔대인각경 해제 (있는 경우)
불설팔대인각경 001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ziw9488
◈Lab value 202210281612 |
Michel Sardou - Les Annees Trente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0515-001.html#9488 sfed--불설팔대인각경_K0515_T0779.txt ☞불설팔대인각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ziw9488 불기2569-06-27 θθ |
■ 퀴즈
【범】jhāpita 또는 사비(闍毘)ㆍ사유(闍維)ㆍ사비다(闍鼻多). 분소(焚燒)ㆍ연소(燃燒)라 번역. 시체를 화장하는 일.
답 후보
● 다비(茶毘)
단바라밀(檀波羅蜜)
단좌(端坐)
달마다라(達磨多羅)
담마밀다(曇麻蜜多)
당정현상(當情現相)
대각(大覺)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Edith Piaf - Soeur Anne
AYA NAKAMURA - Soldat
Mort Shuman - Dors Ma Femme Dors
Claude Dubois - C'est Dense
Jean Ferrat - Et Pour L'exemple
Placido Domingo, Mireille Mathieu, Emmanuel - Theme Du Crillon
Michel Jonasz - Changez Tout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22▲ 毛木朩毋无 ■ 모목빈무무 22 ( 터럭 모 )(나무 목 )( 삼줄기 껍질 빈 )( 말 무 / 관직 이름 모 )( 없을 무 )
048▲ 由㠯以田占 ■ 유이이전점 48 ( 말미암을 유, / 여자의 웃는 모양 요 ) ( 써 이 / 를 가지고, ~를 근거( 根據)로 이 )CF= 吕 ( 성씨 려 ,)( 써이 / 㠯 )( 밭 전) (점령할 점/점칠 점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Pawo
[san-chn] sarvamaśubham 不淨
[san-eng] sukṛtiṃ $ 범어 good deed
[pali-chn] catasso yoniyo 四生
[pal-eng] sampadussi $ 팔리어 aor. of sampadussaticorrupted.
[Eng-Ch-Eng] 羅[目*候]羅 Rahula 羅[目*候]羅 He was one of the Ten Great Disciples of Shakyamuni. He was the first in esoteric practices and in desire for instruction in the Law. He was also the son of Shakyamuni.
[Muller-jpn-Eng] 乞士女 コッシニョ nun
[Glossary_of_Buddhism-Eng] ZEN AND PURE LAND☞
See: Zen / Pure Land.
[fra-eng] symbolisée $ 불어 symbolized
[chn_eng_soothil] 源底 The very beginning, source, or basis.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如是滅度無量無數無邊衆生, 實無衆生得滅度者.
이렇게 한량없고 끝없는 중생을 제도하되 실제로는 한 중생도 제도를 받은
이가 없다.
[玄奘] 雖度如是無量有情, 令滅度已, 而無有情得滅度者.
[義淨] 雖令如是無量眾生證圓寂已, 而無有一眾生入圓寂者.
03-03 एवमपरिमाणानपि सत्त्वान् परिनिर्वाप्य न कश्चित्सत्त्वः परिनिर्वापितो भवति।
evamaparimāṇānapi sattvān parinirvāpya na kaścitsattvaḥ parinirvāpito
bhavati |
(그러나) 비록 이렇게 셀 수 없는 중생들을 완전한 열반에 들게 하더라도 완전한 열반에
든 어떠한 중생도 없다.
▼▷[evamaparimāṇānapi] ① evam(ƺ.) + aparimāṇān(nj.→ƾ.acc.pl.) + api(ƺ.) →
▼[이렇게、 셀 수 없는、 비록]
② evam(ƺ. thus, so, in this manner or way)
② aparimāṇa(nj. immeasurable, immense, unbounded)
② api(ƺ. and, also, besides; often used to express emphasis. even, also, very)
▼[sattvān] ① sattvān(ƾ.acc.pl.) → [중생들을]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character; consciousness, mind, sense)
▼[parinirvāpya] ① parinirvāpya(ger.) → [완전히 불이 꺼지게 하고(도) → 완전한 열반에
들게 하고(도) → 완전한 열반에 들게 하지만]
② parinirvā(2.ǁ.) < pari(ƺ. excessively) + nirvā(2.ǁ. to blow; to be cooled; to blow
out)
▼[na] ① na(ƺ.) → [(否定)]
▼[kaścitsattvaḥ] ① kaścit(pn.ƾ.nom.) + sattvaḥ(ƾ.nom.) → [어떤、 중생도]
② kim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character; consciousness, mind, sense)
▼[parinirvāpito] ① parinirvāpitaḥ(nj.→ƾ.nom.) → [완전히 불이 꺼진 → 완전한 열반에
든]
② parinirvāpita(nj.) < * + |p| + ita(past.pass.p.) < parinirvā(2.ǁ.)
▼[bhavati] ① bhavati(pres.Ⅲ.sg.) → [없다.]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78일째]
어중소유제국토 $ 049▲奚魯伽奚魯伽為 一 ● 達攞步陀, ○□□□□,形,如,一,達
□□□□□□□, 形相如本無雜亂,
如一國土不亂餘, 一切國土皆如是。
□□□□□□□, 형상여본무잡란,
여일국토불란여, 일체국토개여시。
於中所有諸國土,
그 속에 모여 있는 모든 국토도
형상이 여전하여 섞이지 않고
한 국토가 섞이지 않은 것처럼
그 많은 국토들이 다 그러하네.
[180째]
어일미세모공중 $ 051▲訶魯那訶魯那為 一 ● 摩魯陀, ○□□□□,不,毛,諸,入
□□□□□□□, 不可說剎次第入,
毛孔能受彼諸剎, 諸剎不能遍毛孔。
□□□□□□□, 불가설찰차제입,
모공능수피제찰, 제찰불능편모공。
於一微細毛孔中,
한 개의 가느다란 털구멍 속에
말할 수 없는 세계 차례로 드니
털구멍은 여러 세계 능히 받지만
세계는 털구멍에 두루 못하며
●K1228_T1685.txt★ ∴≪A불설팔대영탑명호경≫_≪K1228≫_≪T1685≫
●K0515_T0779.txt★ ∴≪A불설팔대인각경≫_≪K0515≫_≪T0779≫
●K0865_T0756.txt★ ∴≪A불설팔무가유가경≫_≪K0865≫_≪T0756≫
■ 암산퀴즈
407* 41
13298 / 109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8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70 번째는?
48 좋은 말씀은 흐리고 악한 기운을 능히 맑히며
가리, 遏[口*梨]<四十八>
ala
(~!~) 마음의 보호를 성취케 하시고, 온갖 눈병(惡相)으로부터 보호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10 나모로계사먁가다남 ◐娜牟盧鷄三藐伽哆喃<敬禮過去未來十>◑Namo loke samyaggatānāṃ//
011 나모사먁바라 디반나 남 ◐娜牟三藐鉢囉<二合>底半那<去>喃<十一>◑Namaḥ samyakpratipannāsāṃ//
012 나모뎨바리시남 ◐娜牟提婆唎史喃<敬禮三十三天及一切諸仙天等十二>◑Namo devarishināṃ//
013 나모미싣다야비 댜 다라남 ◐娜牟微悉陁耶微<入聲呼>地也<二合>陁囉喃<敬禮呪仙十三>◑Namah siddha vidyā-dharānāṃ//
014 나모싣타미댜 다라리시남 ◐娜牟悉陁微地也<二合>陁囉㗚史喃<敬禮持呪成就仙人十四>◑Namaḥ siddha vidhyā-dhararishināṃ
015 사바 나아라하사하아라다남 ◐舍波<去>拏揭囉訶娑訶摩囉陁<二合>喃<攝惡作善十五>◑śāpā-anugrahā-samārthānāṃ//
016 나모바라 하마 니 ◐娜牟皤囉<二合>訶摩<二合>埿<歸命梵天十六>◑Namo brahmaṇe//
017 나모인 다라 야 ◐娜牟因<去>陁囉<二合>耶<歸命帝釋十七>◑Namo indrāya//
018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嚩帝<歸命世尊><十八>◑Namo bhagavate
019 로다로 야 ◐嚕陁囉<二合引>耶<大自在天十九>◑rudrāya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呪心]으로 더없이 높고 바르고 두루 아는 깨달음[無上正遍知覺]을 성취하시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70
비할데 없이 크나큰 지혜를 갖추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無等大智慧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6687
122
법수_암기방안
1 빗장뼈[=쇄골]
49 두째발가락 second toe
51 눈썹 아이부러워eyebrow 眉 【미】
48 왕(엄지)발가락 a big[great] toe
70 장지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629_024127 :
대장경 내 게송
허망분별248) 은 실재[有]이다.
이것에 있어서 두 가지249) 는 모두 비실재[無]이다.
이것(허망분별) 중에서는 오직 공이 있고
그것(공성)에 있어서도 역시 이것(허망분별)이 있다.
그러므로 일체법은
공도 아니고250) 불공(不空)도 아니라고251) 말한다.
가유(假有)252) 와 비실재[無]253) 및 실재[有]254) 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곧 중도에 계합한다고 말한다.255)
출전:
한글대장경 K0614_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호법등보살조.
당 현장역
成唯識論 【護法等菩薩造.
唐 玄奘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파반묵타 [Pawanmukt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9-03-28-금
♡대성사,대구 중구 북성로 19-1
[사진]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kko.kakao.com
[설명 1] https://korean.visitkorea.or.kr
https://www.grandculture.net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2019_1106_084058_nik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11917_can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5_110244_canon_exc_s12▾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25148_canon_exc_s12▾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30624_canon_exc_s12▾순천 조계산 선암사

○2020_0211_135146_canon_exc_s12▾불암산 천보사

○2020_0905_103639_canon_ori_rs▾오대산 월정사

○2020_0906_114504_nikon_ori_rs▾천축산 불영사

○2016_0505_125759_nikon▾춘천 청평사

○2020_1114_130951_nikon_ori▾삼각산 도선사

○2019_1104_120546_canon_exc▾구례 화엄사

○2019_1104_122732_canon_fix▾구례 화엄사

○2019_0317_155117_nikon_exc▾서울_도봉산_광륜사

○2021_1003_104232_nikon_exc_s12▾밀양_재악산_표충사

○2015_0423_154048_canon_exc

○2014_0407_123950_nikon_exc_s12▾완주_송광사

○2023_0211_183123_nikon_exc_s12

○2014_0407_123421_nikon_exc▾완주_송광사

○2021_1113_164202_nikon_exc▾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망월사
● [pt op tr] fr
_M#]

○2021_0214_124029_nikon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설팔대인각경_K0515_T0779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불설팔대인각경 /전체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설팔대인각경-K0515-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0515-001.html
sfed--불설팔대인각경_K0515_T0779.txt ☞불설팔대인각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ziw9488
불기2569-06-27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915177483
https://religion007.tistory.com/312
htmback--불기2569-06-27_불설팔대인각경_K0515_T0779-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