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6월 20일 금요일

광홍명집-k1081-027


『광홍명집』


K1081
T2103

광홍명집 제27권/전체3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6-20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081_T2103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광홍명집』 ♣1081-027♧




광홍명집 제27권/전체3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091737_nikon_ct19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70151_nikon_exc▾순천 조계산 송광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70231_nikon_BW21_s12▾순천 조계산 송광사

원주 구룡사
○2020_0904_132907_canon_BW27▾원주 구룡사

원주 구룡사
○2020_0904_133222_canon_CT33▾원주 구룡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31643_nikon_ct9▾양산 통도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51421_canon_bw24▾양산 통도사

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02_120534_nikon_AB23▾파주 고령산 보광사

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02_121739_nikon_ct9_s12▾파주 고령산 보광사

공주 계룡산 갑사
○2018_1022_132318_canon_ar24▾공주 계룡산 갑사

공주 태화산 마곡사
○2018_1022_172257_nikon_AB4_s12▾공주 태화산 마곡사

부여 고란사
○2018_1024_174142_nikon_ct12▾부여 고란사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64433_canon_BW25_s12▾예산 덕숭산 수덕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21025_nikon_CT28▾삼각산 도선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43954_nikon_AR25▾삼각산 도선사

구례 화엄사 구층암
○2019_1104_112333_canon_Ab31_s12▾구례 화엄사 구층암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50609_canon_Ab31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51706_nikon_ct24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42717_canon_ar45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pt op tr] fr
_M#]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23817_canon_Ab31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본문 ◎[개별논의]

★%★

『광홍명집』 ♣1081-027♧
광홍명집 해제 (있는 경우)

광홍명집 027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hde4838
◈Lab value 202111121427


○ 2020_0606_141247_can_bw28.jpg



wikiart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alvador-Dali-a-soft-watch-put-in-the-appropriate-place-to-cause-a-young-ephebe-to-die-and-be-resuscitated-by.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Salvador-Dali
from https://en.wikipedia.org/wiki/Salvador_Dalí
Title : a-soft-watch-put-in-the-appropriate-place-to-cause-a-young-ephebe-to-die-and-be-resuscitated-by.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Ashishflower2
[#M_▶더보기|◀접기|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shishflower2.jpg
Author Ashish8460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Horyu-ji09s3200
[#M_▶더보기|◀접기|
34° 36′ 53.05″ N, 135° 44′ 03″ E Kartographer map based on OpenStreetMap. View this and other nearby images on: OpenStreetMap - Google Earth info
English: Five-storied Pagoda of Hōryū-ji is a Japan's National Treasure. Hōryū-ji is a Author 663highland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중국 화산 蒼龍岺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http://buddhism007.tistory.com/5456


Pascal Parisot - Je T'aim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1081-027.html#4838
sfed--광홍명집_K1081_T2103.txt ☞광홍명집 제27권/전체30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hde4838
불기2569-06-20
θθ





■ 퀴즈

이루 일컬을 수 없다는 말. 

또는 칭찬할 수 없다는 말.

답 후보
● 불가칭(不可稱)

불공업(不共業)
불란가섭(佛蘭迦葉)
불명(佛名)
불변역성(不變易性)
불상응행(不相應荇)
불신(佛身)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ichel Sardou - Monsieur Menard
Renaud - dès le que le vent soufflera chantée par Raphael Hiraboure
Lucky Blondo - Au Coeur Du Silence
Mireille Mathieu - Die Grosste Schau Der Welt
Yves Montand - Le Chant Des Partisans
Gilbert Montagne - Gabrielle
Claude Dubois - La Poursuit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15▲ 乡于已弋廴 ■ 향우이익인 15 ( 시골 향 )( 어조사 우 / 어조사 어 )( 이미 이 )( 주살 익 )( 길게 걸을 인 )
041▲ 犮发白丙本 ■ 발발백병본 41 ( 달릴 발 ) (터럭 발 / 필 발 )( 흰 백/ 아뢸 백 )( 남녘 병/ 셋째 천간 병 )( 근본 본, / 달릴 분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uddhist Studies
[san-chn] divya-sukha 天樂, 天福
[san-eng] sītāpatiṃ $ 범어 siotA's husband
[pali-chn] piṇḍapāta 乞食, 托鉢
[pal-eng]
[Eng-Ch-Eng] great vehicle 大乘
[Muller-jpn-Eng] 丈夫志幹 ジョウブシカン (term) firm-willed person
[Glossary_of_Buddhism-Eng] SNOW MOUNTAINS☞
“A name for the Himalayas often used in Buddhist scriptures.
Himalaya is a compound of two Sanskrit words hima (snow) and
alaya (repository or abode).”
Sokk: 408 #0283

[fra-eng] marié $ 불어 married
[chn_eng_soothil] 白黑布薩 light and dark uposatha, the observances of the waxing and waning moon, cf. 白月.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世尊, 善男子善女人,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應云何住, 云何降伏其心?」
세존이시여, 선남자(善男子)나 선녀인(善女人)들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
耨多羅三藐三菩提)의 마음을 내고는 어떻게 머물러야 되며 어떻게 그 마음
을 항복시키시오리까?”
[玄奘] 世尊! 諸有發趣菩薩乘者, 應云何住? 云何修行? 云何攝伏其心?
[義淨] 世尊! 若有發趣菩薩乘者, 云何應住? 云何修行? 云何攝伏其心?

02-04 तत्कथं भगवन् बोधिसत्त्वयानसंप्रस्थितेन कुलपुत्रेण वा कुलदुहित्रा वा स्थातव्यं कथं प्रतिपत्तव्यं कथं चित्तं प्रग्रहीतव्यम् ? |
tatkathaṁ bhagavan bodhisattvayānasamprasthitena kulaputreṇa vā
kuladuhitrā vā sthātavyaṁ kathaṁ pratipattavyaṁ kathaṁ cittaṁ
pragrahītavyam |
그런데 어떻게, 복덕갖춘분이시여! 깨달음갖춘이가 (이끄는) 수레로 (수행의) 길을
떠나는 귀족자제에 의해서나 귀족여식에 의해서 認識이 어떻게 머물러져야하며 어떻게
접근되어져야하며 어떻게 움켜쥐어져야합니까?”
▼▷[tatkathaṁ] ① tad(ƺ.) + kathaṁ(ƺ.) → [그런데、 어떻게]
② tad(ƺ. there; then, in that case, at that time; for that reason, therefore)
② kathaṁ(ƺ. how, in that way, in what manner, whence; oh! what indeed)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bodhisattvayānasamprasthitena] ① bodhisattva+yāna+samprasthitena(nj.→ƾ.ins.) →
▼[깨달음갖춘이의 수레로 길을 떠나는]
 깨달음갖춘상태인이의 수레로 길을 떠나는… → 보살이 (+이끄는) 수레를 타고
(+수행의) 길을 떠나는… → 大乘佛子로서 수행에 임하는…
② bodhisattva(ƾ. a Buddhist saint) < bodhi(ƾ. perfect wisdom or enlightenment) +
sattva(ƿ. being, existence; nature character) < sat(nj. existing) + ­tva('state of')
② yāna(ƿ. going, moving, walking; a voyage, journey; marching against; a conveyance,
vehicle, chariot) < yā(2.ǁ. to go, move, walk; to march against; to behave, act)
② samprasthita(nj. set out on a journey, departed; advancing towards Buddhahood) < * +
­ita(past.pass.p.) < samprasthā(1.Ʋ. to set out, depart; to proceed, advance) < sam(ƺ.
together with) + pra(ƺ. higher, forward) + sthā(1.dž. to stand, stand firmly; to stay)
▼[kulaputreṇa] ① kulaputreṇa(ƾ.ins.) → [貴族子弟에 의해]
② kulaputra(ƾ. a noble­born youth man) < kula(ƿ. a race, family; the residence of a
family, a seat, house; a high or noble family) + putra(ƾ. a son, child)
▼[vā] ① vā(ƺ.) → [또는]
② vā(ƺ. or, either, or else)
▼[kuladuhitrā] ① kuladuhitrā(Ʒ.ins.) → [貴族女息에 의해]
② kuladuhitṛ(Ʒ.) = kulaputrī(Ʒ. a noble­born youth woman)
② duhitṛ(Ʒ. a daughter) < duh(nj. one who milking or squeezing out) +|i|+ ­tṛ(agent) <
duh(2.dž. to milk or squeeze out, extract [w/2­acc.]; to draw anything out of another)
▼[vā] ① vā(ƺ.) → [또는]
▼[sthātavyaṁ] ① sthātavyaṁ(njp.→ƿ.nom.) → [머물러져야 합니까?]
② sthātavya(nj.) < * + ­tavya(pot.pass.p.) < sthā(1.dž. to stand, stand firmly; to stay)
▼[kathaṁ] ① kathaṁ(ƺ.) → [어떻게]
② kathaṁ(ƺ. how, in that way, in what manner, whence; oh! what indeed)
▼[pratipattavyaṁ] ① pratipattavyaṁ(njp.→ƿ.nom.) → [접근되어져야 합니까?]
② pratipattavya(nj.) < * + ­tavya(pot.pass.p.) < pratipad(4.Ʋ. to step or go towards,
approach; to enter upon, step upon; to arrive at, reach) < prati(ƺ. towards, near to) +
pad(10.Ʋ. to go or move: 4.Ʋ. to go to)
▼[kathaṁ] ① kathaṁ(ƺ.) → [어떻게]
▼[cittaṁ] ① cittaṁ(ƿ.nom.) → [認識이]
② citta(p.p. observed; considered; intended, wished: ƿ. mind, thinking, thought) <
cit(1.ǁ.10.Ʋ. to perceive, see, notice, observe; to know, understand; consciousness)
▼[pragrahītavyam] ① pragrahītavyam(njp.→ƿ.nom.) → [움켜쥐어져야 합니까?]
② pragrahītavya(nj.) < * + ­tavya(pot.pass.p.) < pragrah(9.dž. to take, hold, seize, grasp;
to receive, accept; to curb, restrain) < pra(ƺ. higher, forward) + grah(9.dž. to seize)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71일째]
어피일일결정중 $ 042▲高出高出為 一 ● 最妙, ○□□□□,調,不,不,不

□□□□□□□, 調伏眾生不可說。
不可言說同類法, 不可言說同類心,
□□□□□□□, 조복중생불가설。
불가언설동류법, 불가언설동류심,

於彼一一決定中,
하나하나 결정한 저 뜻 가운데
중생을 조복함도 말할 수 없고
같은 종류 법들을 말할 수 없고
같은 종류 마음을 말할 수 없어



[173째]
념념어제소행처 $ 044▲泥羅婆泥羅婆為 一 ● 訶理婆, ○□□□□,調,所,所,於

□□□□□□□, 調伏眾生不可說。
所有神變不可說, 所有示現不可說,
□□□□□□□, 조복중생불가설。
소유신변불가설, 소유시현불가설,

念念於諸所行處,
찰나찰나 다니는 여러 곳에서
중생을 조복함도 말할 수 없고
갖고 있는 신통 변화 말할 수 없고
보이어 나타냄도 말할 수 없어

045□



●K0004_T0222.txt★ ∴≪A광찬경≫_≪K0004≫_≪T0222≫
●K1081_T2103.txt★ ∴≪A광홍명집≫_≪K1081≫_≪T2103≫
●K0600_T1611.txt★ ∴≪A구경일승보성론≫_≪K0600≫_≪T1611≫


■ 암산퀴즈


665* 88
13550 / 25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1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8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63 번째는?




41 그리고 이 다라니는 일체의 지혜를 힘차고 예리하게 하여 번뇌의 적을 쳐부숩니다.”
다례, 闥㘑<四十一>
dare
(~!~) 현세의 왕이시여! 지옥과 불에 떨어진 이들을 보호하고 보호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80 실례스미가 ◐室禮瑟彌迦<痰飮三百八十>◑śleśmikā
381 사니바디가 ◐娑你波底迦<痢病三百八十一>◑sannipātikā
382 사바지바라 ◐薩皤什皤囉<一切壯熱三百八十二>◑sarvaㆍjvarā
383 실로아라디 ◐室嚕喝囉底<頭痛三百八十三>◑śiro'rtti
384 아라다바뎨 ◐阿羅陁皤帝<半頭痛三百八十四>◑ardhâvabhedakā//
385 아가사로검 ◐阿乞史嚧劍<飢不食鬼三百八十五>◑akshiㆍrogaḥ
386 모카로감 ◐目佉嚧鉗<口痛三百八十六>◑mukhaㆍrogaḥ
387 가리도로감 ◐羯唎突嚧鉗<愁鬼三百八十七>◑hridㆍrogaḥ//
388 가라하슈람 ◐羯囉訶輸藍<咽喉痛三百八十八>◑galaㆍśūlaṃ
389 가나슈람 ◐羯拏輸藍<耳痛三百八十九>◑karṇaㆍśūlaṃ

●아난아,
가는 곳곳마다 그 국토 중생들이 이 주문을 따라 행하면,
하늘과 용들이 기뻐하니,
바람과 비가 때에 맞춰 순조로워지고
다섯 가지 곡식이 풍성하게 넘치고,
만 백성은 즐겁고 편안하게 지내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63
과거 여섯 부처님의 법을 장엄(莊嚴)하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六佛法莊嚴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58520
542
법수_암기방안


38 정강이[Shin]
42 발 옆면 foot side
44 네째발가락 the fourth toe
41 발뒤꿈치 (발굽) the heel


63 전박 (前膊) ~ 아래팔뚝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622_225740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삼각 자세 [Utthita Trikonasan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9-03-15-토
대명암,경남 진주시 금산면, 금산순환로22번길 14,
[사진]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kko.kakao.com
[설명 1]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06 사시라 바 가싱가남 ◐薩失囉<引>皤<去>迦僧伽喃<敬禮辟支><佛及四果人六>◑sa-śrāvaka-saṃghanāṃ//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4510_nikon_exc▾순천 조계산 송광사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53517_canon_exc▾화순 계당산 쌍봉사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15246_canon_exc▾순천 조계산 선암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52651_canon_exc▾순천 조계산 송광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35020_canon_ori_rs▾양산 통도사

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02_122248_canon_exc_s12▾파주 고령산 보광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64556_canon_ori_rs▾삼각산 화계사

안동_천등산_봉정사
○2021_1001_105840_nikon_exc▾안동_천등산_봉정사

삼척_두타산_천은사
○2021_0930_104418_canon_exc_s12▾삼척_두타산_천은사

영천_팔공산_은해사
○2021_1002_120519_nikon_exc_s12▾영천_팔공산_은해사

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2021_1003_150843_canon_exc▾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서울_삼각산_도선사
○2022_1029_171253_nikon_exc▾서울_삼각산_도선사

봉화_청량산_청량사
○2021_1001_143343_nikon_exc_s12▾봉화_청량산_청량사

소요산_자재암
○2023_0119_152848_canon_exc▾소요산_자재암

포천_백운산_흥룡사
○2021_0320_162039_canon_exc_s12▾포천_백운산_흥룡사

서산_상왕산_개심사
○2021_0217_143329_nikon_exc_s12▾서산_상왕산_개심사

밀양_재악산_표충사
○2021_1003_105255_nikon_exc▾밀양_재악산_표충사

부안_능가산_내소사
○2021_1007_140042_nikon_exc▾부안_능가산_내소사

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1_1003_181048_nikon_exc_s12▾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 [pt op tr] fr
_M#]


하동_지리산_쌍계사
○2016_0411_171220_canon_exc▾하동_지리산_쌍계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광홍명집_K1081_T2103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광홍명집』 ♣1081-027♧
[관련키워드]
광홍명집 제27권/전체3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광홍명집-K1081-027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1081-027.html
sfed--광홍명집_K1081_T2103.txt ☞광홍명집 제27권/전체30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hde4838
불기2569-06-20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908043739
https://religion007.tistory.com/306
htmback--불기2569-06-20_광홍명집_K1081_T2103-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