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보적경』
K0022
T0310
대보적경 제79권/전체12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3-31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022_T0310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대보적경』
♣0022-079♧
대보적경 제79권/전체12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19_1105_155701_nikon_ct2▾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6_155051_canon_CT38_s12▾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5_125211_canon_ct8▾순천 조계산 선암사
○2020_0904_091707_nikon_bw5▾여주 봉미산 신륵사
○2020_0904_125743_nikon_BW27▾원주 구룡사
○2020_0905_122805_canon_ct34▾오대산 월정사
○2020_0907_173415_canon_CT27▾양산 통도사
○2020_0908_142658_canon_Ab27▾합천 해인사
○2020_0910_185635_nikon_Ab31▾제천 월악산 신륵사
○2020_0930_142803_canon_CT9▾화성 용주사
○2020_1114_141504_canon_ct8_s12▾삼각산 도선사
○2019_1104_175043_canon_ar47▾구례 지리산 연곡사
○2019_1104_101254_nikon_AR35_s12▾구례 화엄사
○2021_1005_114513_nikon_BW25▾여수_금오산_향일암
○2021_1112_144421_canon_AB7▾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0215_124549_canon_CT33▾용인_문수산_법륜사
○2021_0928_160232_canon_bw24▾인제_설악산_백담사
○2021_0930_083832_nikon_CT33▾삼척_두타산_천은사
○2023_0402_142439_nikon_CT33▾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pt op tr] fr
_M#]
○2021_1007_164255_nikon_Ab27▾부안_능가산_개암사
❋❋본문 ♥
◎[개별논의]
★%★
『대보적경』
♣0022-079♧
대보적경 해제 (있는 경우)
대보적경 079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nxr1579
◈Lab value 202110071642 |
● [pt op tr] fr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beomnyunsa.html ■https://buddhism007.tistory.com/17353 ■htmback--B-♡법륜사_불기2564-06-22-Tis.htm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0022-079.html#1579 sfed--대보적경_K0022_T0310.txt ☞대보적경 제79권/전체120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nxr1579 불기2569-03-31 θθ |
■ 퀴즈
대보적경_079
소승에서는 주관의 인식 대상, 곧 객관의 사물이 주관인 마음 위에 비친 영상(影像)을 말함.
답 후보
● 행상(行相)
허공(虛空)
현겁(現劫)
현밀(顯密)
현세(現世)
현재오과(現在五果)
현행훈종자(現行熏種子)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Louis Chedid - Quelle belle histoire
Michel Sardou - Le Surveillant General
Juliette - Les Garcons De Mon Quartier
Michel Sardou - Parlons De Toi, De Moi
Mireille Mathieu - Pardonne Moi Ce Caprice D'enfant
M - Vanessa Paradis - La Seine
Edith Piaf - Les Amants De Teruel (From `Les Amants De Teruel`)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12▲ 宀凡士巳三 ■ 면범사사삼 12ㅡ 집에서 평범한 선비가 머물면 뱀과 같은 지혜가 3개나 생겨난다. ( 집 면 [사방이 지붕으로 덮어 씌워져 있는 집] 갓머리( 부수( 部首)의 하나) )( 무릇 범 )( 선비 사 )( 뱀 사 )( 석 삼 )
025▲ 少殳水氵氺 ■ 소수수수수 25 ( 적을 소/ 젊을 소 )( 몽둥이 수 )( 물 수 ) (삼수변 수) ( 물 수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Ganden Tripa
[san-chn] pacyante 煎煮
[san-eng] nāśāya $ 범어 for destruction
[pali-chn] guyha 祕密
[pal-eng] sankula $ 팔리어 adj.full of; crowded.
[Eng-Ch-Eng] 和伽羅那 A transcription of the Sanskrit vya^karan!a, which means the prediction of future buddhahood, given by the Buddha toward one of his disciples; most commonly translated as 授記 and 受記. One of the twelve traditional genre divisions of the Buddhist canon 十二部經.
[Muller-jpn-Eng] 質多羅 シッタラ Citrā
[Glossary_of_Buddhism-Eng] PRAJAPATI☞
See: Maha-prajapati.
[fra-eng] fugitif $ 불어 ephemeral, fleeting, sketchily
[chn_eng_soothil] 四隅四行薩埵 The four female attendants on Vairocana in the Vajradhātu 金, 寳, 法, and 業, q. v.; also 四波.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所說法不?」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법을 말한 것이 있느냐?”
[玄奘] 佛告善現: 「於汝意云何, 頗有少法如來可說不?」
[義淨] 「 妙生, 於汝意云何, 頗有少法是如來所說不?」
13-03 तत्किं मन्यसे सुभूते-अपि नु अस्ति स कश्चिद्धर्मो यस्तथागतेन भाषितः ?
tatkiṁ manyase subhūte | api nu asti sa kaściddharmo yastathāgatena
bhāṣitaḥ |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 수보리여!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말해진 어떤 법이 또한
있느냐?”
▼▷[tatkiṁ] ① tat(pn.ƿ.acc.) + kiṁ(ƺ.) → [그것을、 어떻게]
▼[manyase] ① manyase(pres.Ⅱ.sg.) → [(그대는) 생각하는가?]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api] ① api(ƺ.) → [또한]
▼[nu] ① nu(ƺ.) → [반드시]
▼[asti] ① asti(pres.Ⅲ.sg.) → [있는가?]
▼[sa] ① saḥ(ƾ.nom.) → [그]
▼[kaściddharmo] ① kaścit(pn.ƾ.nom.) + dharmaḥ(ƾ.nom.) → [어떤、 법이]
② kim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yastathāgatena] ① yaḥ(pn.ƾ.nom.) + tathāgatena(ƾ.ins.) → [(어떠한) 그、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bhāṣitaḥ] ① bhāṣitaḥ(nj.→ƾ.nom.) → [말해진.]
② bhāṣita(p.p. spoken, said, uttered)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90일째]
성취지보불가설 $ 090■ ■成 智具諸世彼 欣三殊諸嚴
090▲ 訶婆婆訶婆婆為 一 ● 毘婆(上)羅, ○□□□□,深,菩,善,智
□□□□□□□, 深入法界不可說,
菩薩總持不可說, 善能修學不可說,
□□□□□□□, 심입법계불가설,
보살총지불가설, 선능수학불가설,
成就智寶不可說,
지혜 보배 성취함을 말할 수 없고
법계에 들어감을 말할 수 없고
보살의 총지법 말할 수 없고
공부를 잘하는 일 말할 수 없고
[91째]
지자음성불가설 $ 091▲毘婆羅毘婆羅為 一 ● 那婆(上)羅, ○□□□□,音,正,開,具
□□□□□□□, 音聲清淨不可說,
正念真實不可說, 開悟眾生不可說,
□□□□□□□, 음성청정불가설,
정념진실불가설, 개오중생불가설,
智者音聲不可說,
지혜로운 이의 음성 말할 수 없고
음성의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진실한 바른 생각 말할 수 없고
중생을 깨우침도 말할 수 없고
●K1298_T1005.txt★ ∴≪A대보광박누각선주비밀다라니경≫_≪K1298≫_≪T1005≫
●K0022_T0310.txt★ ∴≪A대보적경≫_≪K0022≫_≪T0310≫
●K0552_T1523.txt★ ∴≪A대보적경론≫_≪K0552≫_≪T1523≫
■ 암산퀴즈
633* 966
10750 / 125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5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90 번째는?
25 법의 비가 3계를 남김없이 적시는 것을 증장시키며,
자가라마혜레, 斫羯洛沬呬隸<二十五>
cakra ma hire
(~!~) 윤회에 얽매이지 않고 법륜을 펼쳐,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10 나모로계사먁가다남 ◐娜牟盧鷄三藐伽哆喃<敬禮過去未來十>◑Namo loke samyaggatānāṃ//
011 나모사먁바라 디반나 남 ◐娜牟三藐鉢囉<二合>底半那<去>喃<十一>◑Namaḥ samyakpratipannāsāṃ//
012 나모뎨바리시남 ◐娜牟提婆唎史喃<敬禮三十三天及一切諸仙天等十二>◑Namo devarishināṃ//
013 나모미싣다야비 댜 다라남 ◐娜牟微悉陁耶微<入聲呼>地也<二合>陁囉喃<敬禮呪仙十三>◑Namah siddha vidyā-dharānāṃ//
014 나모싣타미댜 다라리시남 ◐娜牟悉陁微地也<二合>陁囉㗚史喃<敬禮持呪成就仙人十四>◑Namaḥ siddha vidhyā-dhararishināṃ
015 사바 나아라하사하아라다남 ◐舍波<去>拏揭囉訶娑訶摩囉陁<二合>喃<攝惡作善十五>◑śāpā-anugrahā-samārthānāṃ//
016 나모바라 하마 니 ◐娜牟皤囉<二合>訶摩<二合>埿<歸命梵天十六>◑Namo brahmaṇe//
017 나모인 다라 야 ◐娜牟因<去>陁囉<二合>耶<歸命帝釋十七>◑Namo indrāya//
018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嚩帝<歸命世尊><十八>◑Namo bhagavate
019 로다로 야 ◐嚕陁囉<二合引>耶<大自在天十九>◑rudrāya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呪心]으로 더없이 높고 바르고 두루 아는 깨달음[無上正遍知覺]을 성취하시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90
위대하신 법주(法主)께 귀의합니다.
南無大法主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611478
86
법수_암기방안
1 빗장뼈[=쇄골]
90 중-발가락 [ 신조어 ]
91 족- 호? 만? [ 신조어 ] -- 발바닥뒷쪽 곡면으로 들어간 부분
25 손바닥( 팜 palm)
5 목 ●
90 중-발가락 [ 신조어 ]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401_000720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선사가 어떤 비구니에게 물었다.
“그대의 부모께서는 살아 계시는가?”
“계십니다.”
“연세가 몇이신가?”
“80세이십니다.”
“어떤 이의 아버지는 나이가 80세가 아닌 이도 있다는데,
그대는 알고 있는가?”
“그렇게 연세 들어 오신 이가 바로 그가 아니겠습니까?”
“이는 아직 어린 아기니라.”
이에 동산洞山이 말했다.
“설사 아니라고 해도 역시 아기니라.”
출전:
한글대장경 K1503_Txxxx
조당집(祖堂集) 남당 정 균찬
祖堂集 【南唐 靜 筠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다리 기혈 풀어주기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8-12-28-토
Yewon Arts University – Imsil County, North Jeolla, Korea
예원예술대학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신평면 창인로 117
[사진]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https://map.naver.com
[세계내-위치] https://www.google.co.kr
[설명 1] https://en.wikipedia.org
[설명 2]
[동영상 1] 6:50
https://youtu.be
CULTURAL DANCE IN SOUTH KOREA | WELCOME PARTY | YEWON ARTS UNIVERSITY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야상곡 - 르네 마그리트
https://www.wikiart.org
004 바디사다볘뱌 ◐勃地薩哆吠弊<歸命菩薩><毘㖿反四>◑bodhisattvebhyaḥ//

○2020_0430_123450_canon_exc▾종로구 창의문로 성불사

○2020_0904_135153_canon_ori_rs▾원주 구룡사

○2020_0907_150902_canon_ori_rs▾양산 통도사

○2020_0909_142431_canon_ori_rs▾무주 백련사

○2020_1002_144911_canon_fix▾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17_153320_canon_exc▾삼각산 화계사

○2018_1022_131808_canon_ori▾공주 계룡산 갑사

○2019_1104_132748_nikon_exc▾구례 화엄사 연기암

○2021_0216_164233_nikon_exc▾강화도_전등사

○2021_1006_092328_canon_exc▾해남_봉화산_대흥사

○2021_0217_143048_canon_exc▾서산_상왕산_개심사

○2019_0317_161039_canon_exc_s12▾서울_도봉산_광륜사

○2017_1107_112638_nikon_exc_s12▾정읍_내장산_내장사

○2021_0926_172016_nikon_exc_s12▾서울_삼각산_도선사

○2016_0123_171838_nikon_exc_s12▾부안_능가산_내소사

○2021_1002_141816_canon_exc▾영천_팔공산_거조사

○2021_1004_140021_nikon_exc_s12▾산청_지리산_대원사

○2021_0215_103243_canon_exc_s12▾용인_연화산_와우정사

○2021_1004_143704_canon_exc_s12▾산청_지리산_대원사
● [pt op tr] fr
_M#]

○2023_0405_174156_canon_exc_s12▾천장산_연화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보적경_K0022_T0310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대보적경 제79권/전체12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대보적경-K0022-079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0022-079.html
sfed--대보적경_K0022_T0310.txt ☞대보적경 제79권/전체120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nxr1579
불기2569-03-31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16794567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12
htmback--불기2569-03-31_대보적경_K0022_T0310-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