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3월 24일 월요일

불설대마리지보살경-k1156-006


『불설대마리지보살경』


K1156
T1257

불설대마리지보살경 제6권/전체7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3-24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156_T1257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불설대마리지보살경』 ♣1156-006♧




불설대마리지보살경 제6권/전체7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20804_nik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52847_canon_fix▾원주 구룡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1232_nikon_ori_rs▾삼각산 화계사

공주 태화산 마곡사
○2018_1022_182020_nikon_exc▾공주 태화산 마곡사

구례 화엄사
○2019_1104_122023_nikon_exc▾구례 화엄사

경주_함월산_골굴사
○2021_1002_184600_nikon_exc_s12▾경주_함월산_골굴사

서산_상왕산_문수사
○2021_0217_114058_canon_exc▾서산_상왕산_문수사

양양_휴휴암
○2021_0929_135831_canon_exc▾양양_휴휴암

부안_능가산_내소사
○2021_1007_142139_nikon_exc▾부안_능가산_내소사

삼척_두타산_천은사
○2021_0930_105235_canon_exc_s12▾삼척_두타산_천은사

밀양_만어산_만어사
○2021_1003_124909_nikon_exc▾밀양_만어산_만어사

산청_지리산_대원사
○2021_1004_141127_canon_exc▾산청_지리산_대원사

용인_연화산_와우정사
○2021_0215_105951_nikon_exc_s12▾용인_연화산_와우정사

서울_길상사
○2022_1027_175822_nikon_exc▾서울_길상사

부안_능가산_내소사
○2021_1007_134820_canon_exc_s12▾부안_능가산_내소사

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장경사
○2021_1113_151525_canon_exc▾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장경사

삼척_두타산_천은사
○2021_0930_092553_nikon_exc▾삼척_두타산_천은사

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장경사
○2021_1113_144226_canon_exc_s12▾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장경사

장흥_천관산_천관사
○2021_1005_161244_canon_exc▾장흥_천관산_천관사
● [pt op tr] fr
_M#]


부산_금정산_범어사
○2015_0727_110253_canon_exc_s12▾부산_금정산_범어사



❋❋본문 ◎[개별논의]

★%★

『불설대마리지보살경』 ♣1156-006♧
불설대마리지보살경 해제 (있는 경우)

불설대마리지보살경 006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glw9412
◈Lab value 201507271102


○ 2019_1004_144917_nik_CT38.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Peter-Paul-Rubens-the-meeting-of-abraham-and-melchisedek-1621
[#M_▶더보기|◀접기|
Artist: Peter-Paul-Rubens
from https://en.wikipedia.org/wiki/Peter_Paul_Rubens
Title : the-meeting-of-abraham-and-melchisedek-1621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2_0909_150023_can_exc_s12꽃, 장식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DM_TI_Claudius_Tiberinus
[#M_▶더보기|◀접기|

English: Sepulchral inscription of Tiberius Claudius Tiberinus. CIL VI 10097 = CIL VI 33960 = AE 2000, 99.
Author Kleuske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tomioka-富岡市-japan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7/tomioka-japan.html
https://buddhism007.tistory.com/entry/tomioka-japan
■htmback--B-♡tomioka-富岡市-japan_불기2567-07-24-Tis.htm

Mireille Mathieu - Comme Avant (Duo Avec Paul Anka)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3/k1156-006.html#9412
sfed--불설대마리지보살경_K1156_T1257.txt ☞불설대마리지보살경 제6권/전체7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glw9412
불기2569-03-24
θθ





■ 퀴즈

 ⇒<유사어>별해탈계<참조어>별해탈계(別解脫戒)

답 후보
● 별해탈률의(別解脫律儀)

보문신(普門訊)
보살장(菩薩藏)
보은시(報恩施)
보특가라(補特伽羅)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복생천(福生天)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Louane - Sans arrêt
Indochine - Station 13 (Vitalic Remix)
Wende - Avec Le Temps
Emmanuel - Che AraAa
Michel Berger - Squatter
Weepers Circus - Le Rideau Rouge
Veronique Sanson - Delices D'hollywood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05▲ 匚卜匕冫厶 ■ 방복비빙사 5 ( 상자 방 )( 점 복/ 무 복, 짐바리 짐 )( 비수 비 )( 얼음 빙 )( 사사 사 / 아무 모 )
018▲ 乇土下丸介 ■ 탁토하환개 18 ( 부탁할 탁/ 풀잎 탁 )( 흙 토 / 뿌리 두, 쓰레기 차 )( 아래 하 )( 둥글 환 )( 낄 개 / 낱 개, 갑자기 알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Xuanzang
[san-chn] anukaṃpanā 大哀
[san-eng] brahmasamāja $ 범어 Brahmasamaj, a movement in 19-20th century near Calcutta
[pali-chn] vyākaraṇa 記別
[pal-eng] nidasseti $ 팔리어 ni + dis + epoints out; explains; defines.
[Eng-Ch-Eng] gate of liberation 解脫門
[Muller-jpn-Eng] 依止性所隨 エジショウショズイ what is followed or accompanied by the nature of the basis
[Glossary_of_Buddhism-Eng] PARENTS☞
See: Filiality; Sangha.

[fra-eng] embrouillai $ 불어 blundered
[chn_eng_soothil] 意猿 The mind as intractable as a monkey.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言: 「甚多, 世尊.」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매우 많겠나이다. 세존이시여.”
[玄奘] 善現答言: 「甚多, 世尊! 甚多, 善逝! 是善男子或善女人,
由此因緣所生福聚其量甚多!」
[義淨] 妙生言: 「甚多, 世尊!」
11-04 सुभूतिराह-बहु भगवन्, बहु सुगत स्त्री वा पुरुषो वा ततोनिदानं पुण्यस्कन्धं प्रसुनुयादप्रमेयमसंख्येयम्।
subhūtirāha | bahu bhagavan bahu sugata strī vā puruṣo vā tatonidānaṁ
puṇyaskandhaṁ prasunuyādaprameyamasaṁkhyeyam |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많습니다. 복덕갖춘분이시여! 많습니다. 잘가닿은분이시여!
여자나 남자가 그것이 원인이 되어 측량할 수 없고 헤아릴 수 없는 공덕무더기를
생성해낼 것입니다.”
▼▷[subhūtirāha] ① subhūtiḥ(ƾ.nom.) + āha(ƺ.) → [수보리는、 말했다.]
▼▷[bahu] ① bahu(ƺ.) → [많습니다]
② bahu(nj. much, many, frequent, numerous: ƺ. much, abundantly, very much; somewhat)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bahu] ① bahu(ƺ.) → [많습니다]
▼[sugata] ① sugata(ƾ.voc.) → [잘가닿은분이시여!]
② sugata(nj. well­gone or passed; well­bestowed: ƾ. an epithet of buddha)
▼[strī] ① strī(Ʒ.nom.) → [여자는]
▼[vā] ① vā(ƺ.) → [또는]
▼[puruṣo] ① puruṣaḥ(ƾ.nom.) → [남자는]
▼[vā] ① vā(ƺ.) → [또는]
▼[tatonidānaṁ] ① tataḥ(ƺ.) + nidānaṁ(ƿ.acc.→adv.) → [그것으로부터、 까닭하여] →
그것이 원인이 되어
▼[puṇyaskandhaṁ] ① puṇya+skandham(ƾ.acc.) → [공덕무더기를]
▼[prasunuyādaprameyamasaṁkhyeyam] ① prasunuyāt(pot.Ⅲ.sg.) +
aprameyam(nj.→ƾ.acc.) + asaṁkhyeyaṁ(nj.→ƾ.acc.) → [생성해낼 수 있습니다、
측량할 수 없는、 헤아릴 수 없는.]
② aprameya(nj.[pot.p.] immeasurable, boundless; inscrutable, unfathomable)
② asaṁkhyeya(nj.[pot.p.] innumerable: ƿ. an exceedingly large number)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83일째]
료지중생불가설 $ 083▲阿野娑阿野娑為 一 ● 迦麼羅, ○□□□□,知,知,知,知

□□□□□□□, 知其種性不可說,
知其業報不可說, 知其心行不可說,
□□□□□□□, 지기종성불가설,
지기업보불가설, 지기심행불가설,

了知眾生不可說,
중생을 잘 알음도 말할 수 없고
그 종성을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그 업보(業報)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마음과 행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84째]
지기근성불가설 $ 084▲迦麼羅迦麼羅為 一 ● 摩伽婆, ○□□□□,知,雜,觀,變

□□□□□□□, 知其解欲不可說,
雜染清淨不可說, 觀察調伏不可說,
□□□□□□□, 지기해욕불가설,
잡염청정불가설, 관찰조복불가설,

知其根性不可說,
근성을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지해 욕망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더럽고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관찰하고 조복함을 말할 수 없고

085□



●K1288_T1252.txt★ ∴≪A불설대길상천녀십이명호경≫_≪K1288≫_≪T1252≫
●K1156_T1257.txt★ ∴≪A불설대마리지보살경≫_≪K1156≫_≪T1257≫
●K0106_T0376.txt★ ∴≪A불설대반니원경≫_≪K0106≫_≪T0376≫


■ 암산퀴즈


818* 385
48180 / 803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18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8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83 번째는?




18 깨달음에로 이끄는 거룩한 진리의 광명을 증장시키며,
비습라 리야참포, 毘濕婆<縛迦反>梨夜讖蒱<十八>
vis-variya ksam bhu,
물처럼 흐르는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80 실례스미가 ◐室禮瑟彌迦<痰飮三百八十>◑śleśmikā
381 사니바디가 ◐娑你波底迦<痢病三百八十一>◑sannipātikā
382 사바지바라 ◐薩皤什皤囉<一切壯熱三百八十二>◑sarvaㆍjvarā
383 실로아라디 ◐室嚕喝囉底<頭痛三百八十三>◑śiro'rtti
384 아라다바뎨 ◐阿羅陁皤帝<半頭痛三百八十四>◑ardhâvabhedakā//
385 아가사로검 ◐阿乞史嚧劍<飢不食鬼三百八十五>◑akshiㆍrogaḥ
386 모카로감 ◐目佉嚧鉗<口痛三百八十六>◑mukhaㆍrogaḥ
387 가리도로감 ◐羯唎突嚧鉗<愁鬼三百八十七>◑hridㆍrogaḥ//
388 가라하슈람 ◐羯囉訶輸藍<咽喉痛三百八十八>◑galaㆍśūlaṃ
389 가나슈람 ◐羯拏輸藍<耳痛三百八十九>◑karṇaㆍśūlaṃ

●아난아,
가는 곳곳마다 그 국토 중생들이 이 주문을 따라 행하면,
하늘과 용들이 기뻐하니,
바람과 비가 때에 맞춰 순조로워지고
다섯 가지 곡식이 풍성하게 넘치고,
만 백성은 즐겁고 편안하게 지내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83
비밀스럽고 가장 뛰어난 대장부께 귀의합니다.
南無祕密最勝大丈夫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314930
60
법수_암기방안


38 정강이[Shin]
83 장딴지근
84 가자미근
18 아래팔뚝 (forearm)

5 목 ●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324_234631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박쥐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0-수
♡제타바나-기원정사 Jetavana-vihāra
구글맵 https://maps.app.goo.gl
001 나모사다타소가다야 ◐南牟薩怛他蘇伽哆耶<歸命一切諸佛一>◑Namas tathā-sugatāya


○2019_1106_121531_nikon_Ab31_s12


○2020_0904_093017_nikon_ct5


○2020_0907_144755_nikon_Ab27


○2020_0907_142042_canon_ar25


○2020_1017_152426_canon_CT27


○2018_1022_140006_canon_BW17


○2020_1114_121545_canon_ori


○2020_1114_131212_canon_CT27


○2019_1104_112627_canon_exc


○2019_0113_110900_nikon_AB4_s12


○2019_0113_133141_nikon_ori


○2019_0113_141004_nikon_bw4_s12


○2019_0113_165826_canon_AR25


○2019_0731_174557_canon_Ar12


○2019_0731_192133_canon_BW22


○2019_0801_080739_canon_Ar28_s12


○2020_1125_135244_canon_Ab31


○2020_1125_153116_canon_ct19

● [pt op tr] fr
_M#]



○2020_0211_134839_canon_ct26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설대마리지보살경_K1156_T1257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불설대마리지보살경』 ♣1156-006♧
[관련키워드]
불설대마리지보살경 제6권/전체7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설대마리지보살경-K1156-006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3/k1156-006.html
sfed--불설대마리지보살경_K1156_T1257.txt ☞불설대마리지보살경 제6권/전체7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glw9412
불기2569-03-24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08550743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05
htmback--불기2569-03-24_불설대마리지보살경_K1156_T1257-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