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3월 28일 금요일

유가사지론-k0570-041


『유가사지론』


K0570
T1579

유가사지론 제41권/전체10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3-28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570_T1579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유가사지론』 ♣0570-041♧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55047_nikon_exc▾화순 계당산 쌍봉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11859_can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52240_canon_fix▾원주 구룡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52343_canon_exc_s12▾원주 구룡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53735_canon_exc▾원주 구룡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61154_canon_fix▾원주 구룡사

구례 화엄사 연기암
○2019_1104_131013_canon_fix▾구례 화엄사 연기암

양양_오봉산_낙산사
○2021_0929_110852_canon_exc▾양양_오봉산_낙산사

부산_금정산_범어사
○2015_0727_103248_nikon_exc_s12▾부산_금정산_범어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16_0505_131556_nikon_exc▾춘천_오봉산_청평사

강화도_보문사_전등사
○2013_0309_172628-OLYMPUS_exc▾강화도_보문사_전등사

용인_연화산_와우정사
○2021_0215_113537_canon_exc▾용인_연화산_와우정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21_0214_115116_nikon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21_0214_123015_canon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인제_설악산_백담사
○2021_0928_162546_nikon_exc_s12▾인제_설악산_백담사

영천_팔공산_거조사
○2021_1002_141816_canon_exc▾영천_팔공산_거조사

포천_왕방산_왕산사
○2021_0320_143021_nikon_exc_s12▾포천_왕방산_왕산사

양평_용문산_용문사
○2023_0222_165650_canon_exc▾양평_용문산_용문사

포천_왕방산_왕산사
○2021_0320_143417_canon_exc▾포천_왕방산_왕산사

● [pt op tr] fr
_M#]


부산_금정산_범어사
○2015_0727_103432_nikon_exc_s12▾부산_금정산_범어사



❋❋본문 ◎[개별논의]

★%★

『유가사지론』 ♣0570-041♧
유가사지론 해제 (있는 경우)

유가사지론 041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eti5558
◈Lab value 202103201434


○ 2022_0411_174852_can_exc_s12_장안벚꽃길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street-berlin.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Ernst-Ludwig-Kirchner
from https://en.wikipedia.org/wiki/Ernst_Ludwig_Kirchner
Title : street-berlin.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6_1008_131153_nik.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urney_Drive,_George_Town_(2011)
[#M_▶더보기|◀접기|

Drhtgoon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Technological Educational Institute of Eastern Macedonia and Thrace, Didymoteicho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Gerard Lenorman - Shy'm - Les Jours Heureux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3/k0570-041.html#5558
sfed--유가사지론_K0570_T1579.txt ☞유가사지론 제41권/전체100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eti5558
불기2569-03-28
θθ





■ 퀴즈


7진여의 하나. 번뇌ㆍ사행 등. 이것들도 진여의 체(體)를 여읜 것이 아니므로 진여라 함.

답 후보
● 사행진여(邪行眞如)
살바야(薩婆若)
삼고(三苦)

삼념주(三念住)
삼륜(三輪)
삼매승(三昧僧)
삼먁삼보리(三藐三菩提)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Veronique Sanson - Une Maison Apr8s La Mienne
Indochine - The Lovers
Unknown - 1MORE French
Yves Montand - La Chanson De Bilbao
Serge Gainsbourg - Du Jazz Dans Le Ravin
Henri Salvador - Le Roi Du Foxtrot
Gilbert Becaud - Et Maintenant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09▲ 亠干巾彐彑 ■ 두간건계계 9 ( 돼지해머리 두 )( 방패 간 / 줄기 간, 마를 건, 들개 안, 일꾼 한 )( 수건 건 )( 돼지 머리 계 / [彐,⺕] 튼가로왈 )( 돼지 머리 계 )
022▲ 毛木朩毋无 ■ 모목빈무무 22 ( 터럭 모 )(나무 목 )( 삼줄기 껍질 빈 )( 말 무 / 관직 이름 모 )( 없을 무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Oda Sesso
[san-chn] āpattim āpannāṃ vyutthāpayitum 出罪
[san-eng] kiraṇa $ 범어 ray
[pali-chn] sekhiya-dhamma 衆學法
[pal-eng] ucchu $ 팔리어 m.sugar-cane.
[Eng-Ch-Eng] 八聖諦 【參照: 八諦】
[Muller-jpn-Eng] 和須蜜多 ワシュミッタ Vasumitra
[Glossary_of_Buddhism-Eng] JEWELHEAP SUTRA☞
See: Ratnakuta Sutra.
【book-page-370 371】

[fra-eng] négligées $ 불어 neglected
[chn_eng_soothil] 宿王華 Nakṣatra-rāja-saṅkusumitābhijña, king of the star-flowers, a bodhisattva in the Lotus Sutr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若是經典所在之處, 卽爲有佛, 若尊重弟子.」
이 경이 있는 곳은 부처님이나 혹은 거룩한 제자님들이 계신 곳과 같이 존
중을 받느니라.”
[玄奘] 此地方所大師所住, 或隨一一尊重處所, 若諸有智、同梵行者.」
[義淨] 又此方所即為有佛, 及尊重弟子.」
12-03 तस्मिंश्च सुभूते पृथिवीप्रदेशे शास्ता विहरत्यन्यतरान्यतरो वा विज्ञगुरुस्थानीयः॥१२॥
tasmiṁśca subhūte pṛthivīpradeśe śāstā viharatyanyatarānyataro vā
vijñagurusthānīyaḥ ||12||
그리고, 수보리여! 그 지역에는 학자가 자리하게 되며, 또한 (머무는 학자 가운데)
누구랄 것도 없이 (모두) 지혜로운 스승으로 머물게 된다.”
▼▷[tasmiṁśca] ① tasmin(pn.ƾ.loc.) + |ś| + ca(ƺ.) → [그리고、 그]
② tasmin(pn.ƾƿ.loc.sg.) < tad(pn. that, he, it, she)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pṛthivīpradeśe] ① pṛthivī+pradeśe(ƾ.loc.) → [지역에는]
② pṛthivī(Ʒ. the earth; ground, soil)
② pradeśa(ƾ. pointing out, indicating; region, place; decision, determination)
▼[śāstā] ① śāstā(ƾ.nom.) → [학자가]
② śāstṛ(ƾ. a teacher, an instructor; a ruler, king, sovereign; a father; a Buddha or Jina) <
śāstra(ƿ. an order, rule; any religious or scientific treatise; education)
▼[viharatyanyatarānyataro] ① viharati(pres.Ⅲ.sg.) + anyatara+anyataraḥ([nj.→]ƾ.nom.)
→ [자리한다(.→자리하게 되며), 둘 중에 이쪽 아니면 저쪽은(→누구랄 것도 없이)]
② vihṛ(1.ǁ. to take away, seize away; to remove, destroy; to let fall, shed) < vi(ƺ.
separation, disjunction) + hṛ(1.dž. to take, carry, convey, lead; to carry off or away)
② anyatarānyatara(nj.È 隨一一, 諸異, 別異: the one~ the other) < anyatara(nj. one of the
two, either of the two; the one or the other) < anya(pn.nj. another, different; other
than, different from) + tara(nj. carrying, across or beyond, saving; passing over or
beyond: ƾ. crossing)
▼[vā] ① vā(ƺ.) → [또는 → 또한]
② vā(ƺ. or; and, as well as, also; like, as; optionally[in gram. rules Pāṇini]; possibility)
▼[vijñagurusthānīyaḥ] ① vijña+guru+sthānīyaḥ(njp.→ƾ.nom.) → [지혜로운 스승으로
머물러질 수 있다.] → 지혜로운 스승으로 머물게 된다.
② vijña(nj. knowing, intelligent, wise; clever, skilful: ƾ. a wise or learned man)
② guru(nj. heavy, weighty: ƾ. a father; any venerable or respectable person; a teacher)
② sthānīya(nj.) < * + ­anīya(pass.pot.p.) < sthā(1.dž. to stand, stand firmly; to stay)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87일째]
일일모공불가설 $ 087▲醯魯耶醯魯耶為 一 ● 薜魯婆, ○□□□□,放,光,普,勇

□□□□□□□, 放光明網不可說,
光網現色不可說, 普照佛剎不可說,
□□□□□□□, 방광명망불가설,
광망현색불가설, 보조불찰불가설,

一一毛孔不可說,
하나하나 털구멍을 말할 수 없고
광명 그물 놓는 일을 말할 수 없고
광명에서 내는 빛을 말할 수 없고
부처 세계 비추는 일 말할 수 없고



[88째]
용맹무외불가설 $ 088▲薜魯婆薜魯婆為 一 ● 羯羅波, ○□□□□,方,調,令,清

□□□□□□□, 方便善巧不可說,
調伏眾生不可說, 令出生死不可說,
□□□□□□□, 방편선교불가설,
조복중생불가설, 령출생사불가설,

勇猛無畏不可說,
용맹하여 무섭잖음 말할 수 없고
방편이 공교함도 말할 수 없고
중생을 조복함도 말할 수 없고
생사에서 나게 함도 말할 수 없고





●K1370_T0880.txt★ ∴≪A유가금강정경석자모품≫_≪K1370≫_≪T0880≫
●K0570_T1579.txt★ ∴≪A유가사지론≫_≪K0570≫_≪T1579≫
●K0575_T1580.txt★ ∴≪A유가사지론석≫_≪K0575≫_≪T1580≫


■ 암산퀴즈


497* 225
81796 / 676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2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42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87 번째는?




22 대자대비를 증장시키며,
담미, 萏謎<二十二>
dame
(~!~)악한이의 마음을 조복하여 평온케 하고,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420 마하바저로 ◐摩訶跋折嚕<大金剛藏四百二十>◑mahāㆍvajra
421 스니삼마하바라등기람 ◐瑟尼衫摩訶鉢囉登祁藍<四百二十一>◑ushnishāṃㆍmahāㆍpratyaṅgirāṃ//
422 야바수타사수사나 ◐夜婆埵陁舍喩社那<乃至十二由旬成界><地四百二十二>◑Yāvadㆍdvādaśaㆍyojana
423 편다려나비 디야반타가로미 ◐便怛囇拏毘<入聲>地夜畔馱迦嚧彌<云我大明呪十二由旬結界禁縛莫入四百二十三>◑abhyantarenaㆍvidyāㆍbandhaṃㆍkaromi//
424 뎨수반타가 로미 ◐帝殊畔陁迦<居那反>嚧彌<佛頂光聚縛結不得入界四百二十四>◑Tejoㆍbandhaṃㆍkaromi
425 바라미댜 반타가로미 ◐波囉微地也<途迦反>畔陁迦嚧彌<能縛一切惡神鬼四百二十五>◑paraㆍvidyāㆍbandhaṃㆍkaromi//
426 다디타 ◐怛地他<卽說呪曰四百二十六>◑Tadyathā//
427 옴 ◐唵<四百二十七>◑Oṃ
428 아나례비사뎨 ◐阿那㘑毘舍提<四百二十八>◑analeㆍviśada
429 비라 ◐鞞囉<四百><二十九>◑vira

●너와 대중 가운데
유학(有學)들과 미래 세상의 모든 수행자들이
내가 설한 도량설치 법[壇場]에 의지하여,
법대로 계를 지니고
청정한 전계사(傳戒師)를 만나서
이 주문의 비밀심인(祕密心印)을 지닌다면,
의심하고 후회하는 일이 생기지 않으리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87
성스러운 지혜로 세간을 비추시는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聖智照世間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11825
121
법수_암기방안


42 발 옆면 foot side
87 슬개골 [ =무릎 뼈)
88 하퇴(下腿)
22 엄지 첫마디 [ 썸 넉클 THUMB knuckle]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328_130806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 예주澧州 협산선회夾山善會 선사[선자船子에 보인다.]



도오가 마악 와 선사가 당堂에 오르는 것을 보았다.
한 승려가 물었다.
‘무엇이 법신法身입니까?’
선사가 말했다.
‘법신은 모습이 없다.’
‘무엇이 법안法眼입니까?’
‘법안은 티가 없다.’
도오가 껄껄 웃자,
선사는 의심이 생겨서 법좌에서 내려와 도오에게 물었다.
도오가 말했다.
‘화상은 출중하게 태어났지만 스승이 없는 것 같소.
화정華亭에 가서 선자船子를 참례하시오.’
선사가 곧바로 가서 만나니,
스승과 제자가 서로 계합하였다.[선자의 장章에 나온다.]
승려가 물었다.
‘예로부터 조사의 뜻과 교리의 뜻을 세웠는데,
여기서는 어째서 없다고 말하는 것입니까?’
선사가 말했다.
‘3년 동안 밥을 먹지 않았지만,
눈앞에 허기진 사람이 없구나.’
‘이미 허기진 사람이 없다면 저는 왜 깨닫지 못합니까?’
‘다만 그대가 깨달음에 미혹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는 게송을 지었다.


분명하고 분명해서 깨달을 법이 없나니
깨닫는 법이 도리어 사람을 미혹시킨다.
두 다리를 쭉 펴고 잠을 자라.
거짓도 없고 참도 없도다.


승려가 물었다.
‘무엇이 협산의 경계입니까?’
‘원숭이가 새끼를 안고 푸른 봉우리 속으로 돌아가고,
새는 꽃을 물고 푸른 바위 앞으로 날아 내린다.’
[법안法眼이 말했다.
‘노승은 20년 경계를 만든 이야기를 아는가?’
부산浮山이 말했다.
‘곧바로 경계를 만들지 않은 이야기를 알게 한다 하더라도 또한 알지 못하는 것이 있을 것입니다.’
‘왜 무소가 달을 보니 뿔에 무늬가 생기고 코끼리가 번개 소리에 놀라니 꽃잎이 상아에 끼어드는구나라고 하는가?’][이상은 기자함其字函 5권,
주注는 『통요』 제7권에 나온다.]



출전:
한글대장경 K1504_Txxxx
대장일람집(大藏一覽集) 송 진실찬
大藏一覽集 【宋 陳實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독수리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9-02-01-토
임실군 해월암
[사진]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www.google.nl
[설명 1] https://blog.naver.com
[설명 2] https://cafe.daum.net
https://ko.wikipedia.org
[동영상 1] 1:34
https://youtu.be
[Temple] "해월암(전북 임실군), 고려 공민왕 원년의 사찰"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Eugene Delacroix Self Portrait
https://www.wikiart.org
006 사시라 바 가싱가남 ◐薩失囉<引>皤<去>迦僧伽喃<敬禮辟支><佛及四果人六>◑sa-śrāvaka-saṃghanāṃ//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091830_can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여주 봉미산 신륵사
○2020_0904_085536_nikon_ori_rs▾여주 봉미산 신륵사

천축산 불영사
○2020_0906_115535_canon_ori_rs▾천축산 불영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35734_canon_ori_rs▾양산 통도사

무주 백련사
○2020_0909_153104_nikon_ori_rs▾무주 백련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73023_nikon_ori_rs▾삼각산 화계사

공주 태화산 마곡사
○2018_1022_173912_nikon_ori▾공주 태화산 마곡사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22138_canon_ori▾예산 덕숭산 수덕사

구례 쌍계부근
○2019_1104_154951_canon_exc_s12▾구례 쌍계부근

서산_상왕산_개심사
○2021_0217_133216_nikon_exc_s12▾서산_상왕산_개심사

석모도_낙가산_보문사
○2021_0216_120129_canon_exc▾석모도_낙가산_보문사

양양_오봉산_낙산사
○2021_0929_114850_canon_exc_s12▾양양_오봉산_낙산사

여수_금오산_향일암
○2021_1005_120830_canon_exc_s12▾여수_금오산_향일암

서울_수도산_봉은사
○2019_0428_182535_canon_exc▾서울_수도산_봉은사

영천_팔공산_은해사
○2021_1002_123002_canon_exc_s12▾영천_팔공산_은해사

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2022_0827_135629_canon_exc▾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양양_휴휴암
○2021_0929_134845_canon_exc_s12▾양양_휴휴암

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2021_1007_102037_nikon_exc_s12▾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서울_수도산_봉은사
○2022_1026_161547_canon_exc▾서울_수도산_봉은사

● [pt op tr] fr
_M#]


수도산_봉은사
○2023_0325_185606_nikon_exc_s12▾수도산_봉은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유가사지론_K0570_T1579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유가사지론』 ♣0570-041♧
[관련키워드]
유가사지론 제41권/전체10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유가사지론-K0570-04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3/k0570-041.html
sfed--유가사지론_K0570_T1579.txt ☞유가사지론 제41권/전체100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eti5558
불기2569-03-28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12872621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08
htmback--불기2569-03-28_유가사지론_K0570_T1579-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