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3월 27일 목요일

경율이상-k1050-009


『경율이상』


K1050
T2121

경율이상 제9권/전체5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3-27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050_T2121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경율이상』 ♣1050-009♧




경율이상 제9권/전체5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03459_nikon_bw24▾화순 영구산 운주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52255_canon_AR35_s12▾원주 구룡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54915_nikon_bw24_s12▾원주 구룡사

양산 통도사
○2020_0907_152701_nikon_ar47▾양산 통도사

제천 월악산 신륵사
○2020_0910_182642_nikon_BW28▾제천 월악산 신륵사

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02_125234_canon_exc_s12▾파주 고령산 보광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60306_canon_Ar37▾삼각산 화계사

부여 고란사
○2018_1024_160417_canon_AR25▾부여 고란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35847_canon_Ar12▾삼각산 도선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61738_canon_Ar12▾삼각산 도선사

구례 화엄사
○2019_1104_115506_canon_fix▾구례 화엄사

구례 화엄사
○2019_1104_115850_canon_fix▾구례 화엄사

서울_혜광사
○2016_0222_170513_nikon_Ar28▾서울_혜광사

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1_1003_174317_canon_bw0_s12_pc▾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삼척_두타산_천은사
○2021_0930_111226_canon_ct9_s12▾삼척_두타산_천은사

서산_상왕산_문수사
○2021_0217_115809_nikon_ar43▾서산_상왕산_문수사

강화도_전등사
○2021_0216_171453_nikon_CT28▾강화도_전등사

소요산_자재암
○2023_0119_153306_nikon_ct18▾소요산_자재암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3_0402_164227_nikon_CT38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pt op tr] fr
_M#]


봉화_청량산_청량사
○2021_1001_152919_canon_ct10▾봉화_청량산_청량사



❋❋본문 ◎[개별논의]

★%★

『경율이상』 ♣1050-009♧
경율이상 해제 (있는 경우)

경율이상 009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mzc9740
◈Lab value 202110011529


○ 2019_1004_175214_nik_BW17.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the-roman-antiquities-t-1-plate-xxxi-arch-of-septimius-severus-1756
[#M_▶더보기|◀접기|
Artist: Giovanni-Battista-Piranesi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Title : the-roman-antiquities-t-1-plate-xxxi-arch-of-septimius-severus-1756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606_134623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ELNIK3
[#M_▶더보기|◀접기|
English: NE side of the Peace Square in Mělník, the centre of the town. In the backgrund the historical town hall.
Author Hans Weingartz=Leonce49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정향사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Thomas Fersen - Felix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3/k1050-009.html#9740
sfed--경율이상_K1050_T2121.txt ☞경율이상 제9권/전체50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mzc9740
불기2569-03-27
θθ





■ 퀴즈


만유는 무상(無常)하여 실재하지 않는 것과 같이, 

사람도 죽으면 몸과 마음이 모두 없어져버린다고 주장하는 단견(斷見, ucchedadṛṣṭi)과, 

모든 것이 영원히 변치 않는 것과 같이, 

이 몸도 죽었다가는 다시 태어나서 끝없이 지금의 상태를 계속한다고 주장하는 상견(常見, śāśvatadṛṣṭi)과를 말함.

답 후보
● 단상이견(斷常二見)
달마종(達磨宗)
담무갈(曇無竭)

당체즉시(當體卽是)
대각(大覺)
대명주(大明呪)
대방편(大方便)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Jacques Dutronc - La France Defiguree
Francis Cabrel - Le Pas Des Ballerines
Louis Delort - Outre-Manche
Caroline Loeb - T'etais Pas L0
Benjamin Biolay - Le Bonheur. Mon Cul (Benjamin Biolay)
Françoise Hardy - Tous Les Garçons Et Les Filles
Maxime Le Forestier - Petit Robot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08▲ 丁七八勹厂 ■ 정칠팔포한 8 ( 고무래 정/장정 정 --CF* 고무래( 곡식을 그러모으고 펴거나, 밭의 흙을 고르거나 아궁이의 재를 긁어모으는 데에 쓰는 丁 자 모양의 기구) )( 일곱 칠 )( 여덟 팔 )( 쌀 포 )( 기슭 한 / 기슭 엄, 공장 창 )
021▲ 丹斗屯六丏 ■ 단두둔륙면 21 (붉을 단 / 란, 난 )(말 두 / 구기 주, 싸울 투 ) (진 칠 둔 / 어려울 준 )( 여섯 륙 / 죽이다 륙, 육 )( 가릴 면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Prajnaptisastra
[san-chn] bhāvāgrika 有頂
[san-eng] utpīṭhikā $ 범어 (f) table
[pali-chn] sati-balāni 念力
[pal-eng]
[Eng-Ch-Eng] 何必 (1) What need; why? (2) It may be so..., it might be possible. An expression of vagueness, indefiniteness.
[Muller-jpn-Eng] 頑 ガン dogged determination
[Glossary_of_Buddhism-Eng] MAPPO☞
See: Dharma-Ending Age.

[fra-eng] paradoxal $ 불어 paradox, paradoxical
[chn_eng_soothil] 戒牒 戒驗; 度牒 Certificate of ordination of a monk.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何況有人, 盡能受持讀誦. 須菩提, 當知是人, 成就最上第一希有之法,
하물며 어떤 사람이 끝까지 다 지녀 읽거나 외울 때이겠는가. 수보리야, 이
사람은 가장 높고 제일이고 희유(希有)한 법을 성취하게 되리니,
[玄奘] 何況有能於此法門, 具足究竟書寫、受持、讀誦、究竟通利, 及廣為他宣說開示,
如理作意! 如是有情成就最勝希有功德!
[義淨] 何況盡能受持、讀誦! 當知是人, 則為最上第一希有!
12-02 कः पुनर्वादो ये इमं धर्मपर्यायं सकलसमाप्तं धारयिष्यन्ति वाचयिष्यन्ति पर्यवाप्स्यन्ति, परेभ्यश्च विस्तरेण संप्रकाशयिष्यन्ति।
परमेण ते सुभूते आश्चर्येण समन्वागता भविष्यन्ति।
kaḥ punarvādo | ye imaṁ dharmaparyāyaṁ sakalasamāptaṁ dhārayiṣyanti
vācayiṣyanti paryavāpsyanti | parebhyaśca vistareṇa samprakāśayiṣyanti |
parameṇa te subhūte āścaryeṇa samanvāgatā bhaviṣyanti |
하물며, 누구든지 완전히 갖춰진 이 법문을 외우고 독송하고 깊이 이해하여 남들을 위해
상세하게 설명해주고자 한다면 더 말해 무엇하겠느냐? 수보리여! 그들은 최상의
경이로움으로 완벽하게 될 것이다.
▼▷[kaḥ] ① kaḥ(pn.ƾ.nom.) → [누가]
▼[punarvādo] ① punar(ƺ.) + vādaḥ(ƾ.nom.) → [다시、 말하겠는가?] → 다시 말해
뭣하겠는가!
② punar(ƺ. again, once more, anew; back; on the other hand)
② vāda(ƾ. talking, speaking; speech, words, talk; a statement, an assertion)
▼▷[ye] ① ye(pn.ƾ.nom.pl.) → [(어떠한) 사람들이]
 ye(어떤 누구라도) ~한다면, te(바로 그들은) ~하게 될 것이다.
② ye(pn.ƾ.nom.pl.|ƿƷ.nom.acc.sg.) < yad(pn. who, which)
▼[imaṁ] ① imaṁ(pn.ƾ.acc.) → [이]
② imaṁ(pn.ƾ.acc.sg.) < idam(pn. this)
▼[dharmaparyāyaṁ] ① dharma+paryāyaṁ(ƾ.acc.) → [법문을]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② paryāya(ƾ. going or winding round, revolution; lapse, course; regular repetition)
▼[sakalasamāptaṁ] ① sakala+samāptaṁ(nj.→ƾ.acc.) → [완전히 갖춰진]
② sakala(nj. together with the parts; all, whole, entire)
② samāpta(p.p. finished, concluded, completed; clever; ample, full) < sam(ƺ. with, together
with) + āp(5.ǁ. to obtain, attain, get; to reach, go to) + ­ta('the state of')
▼[dhārayiṣyanti] ① dhārayiṣyanti(caus.fut.Ⅲ.pl.) → [간직하게 할 것이다(→외우고)]
② dhāray(caus.) < dhṛ(1.ǁ.10.dž. to hold, bear; maintain, support; to intend in mind)
▼[vācayiṣyanti] ① vācayiṣyanti(caus.fut.Ⅲ.pl.) → [말하게 할 것이다(→독송하고)]
② vac(2.ǁ. to speak, say, tell) > vācay(caus. to cause to speak; to go over, read; to say)
▼[paryavāpsyanti] ① paryavāpsyanti(fut.Ⅲ.pl.) → [깊이 취하게 할 것이다(→깊이
이해하며),]
② paryavāp(5.ǁ. to study) < pari(ƺ. about; towards) + avāp(5.dž. to get, obtain; to
reach) < ava(ƺ. away, off, away from. down) + āp(5.ǁ. to obtain, attain, get)
▼▷[parebhyaśca] ① parebhyaḥ(ƾ.dat.pl.) + ca(ƺ.) → [그리고、 남들을 위해]
② para(nj. different: ƾ. another person; an enemy: ƿ. the highest point or pitch)
▼[vistareṇa] ① vistareṇa(ƾ.ins.→adv.) → [상세함으로 → 상세하게]
② vistara(ƾ. extension, expansion; minute details, detailed description; diffuseness)
▼[samprakāśayiṣyanti] ① samprakāśayiṣyanti(caus.fut.Ⅲ.pl.) → [보여지게 할 것이다. →
설명되어지게 할 것이다(→설명한다면).]
② saṁ(ƺ. with) + prakāśay(caus. to show, display) < prakāś(1.Ʋ. to shine, gleam; to
become visible or manifest)
▼▷[parameṇa] ① parameṇa(nj.→ƿ.ins.) → [최상의]
② parama(nj. most distant, last; highest, best; extreme; worst)
▼[te] ① te(pn.ƾ.nom.pl.) → [그들은]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āścaryeṇa] ① āścaryeṇa(ƿ.ins.) → [경이로움으로]
② āścarya(nj. marvellous, wonderful, extraordinary: ƿ. a wonder, miracle, marvel)
▼[samanvāgatā] ① samanvāgatāḥ(njp.→ƾ.nom.pl.) → [갖추어진다] → 갖추어지게 →
完璧하게
② samanvāgata(nj. attended by, furnished or provided with, Buddha) < sam(ƺ. with) +
anu(nj. minute, small) + ā(adv. near to, towards) + gata(p.p. gone; arrived at)
▼[bhaviṣyanti] ① bhaviṣyanti(fut.Ⅲ.pl.) → [될 것이다.]
 그들은 갖추어진다(제1동사) 될 것이다(제2동사) > 그들은 갖추어지게(부사) ……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86일째]
시현신변불가설 $ 086▲阿怛羅阿怛羅為 一 ● 醯魯耶, ○□□□□,放,種,令,一

□□□□□□□, 放大光明不可說,
種種色相不可說, 令眾生淨不可說,
□□□□□□□, 방대광명불가설,
종종색상불가설, 령중생정불가설,

示現神變不可說,
신통 변화 나타냄을 말할 수 없고
큰 광명 놓는 일을 말할 수 없고
가지가지 빛깔을 말할 수 없고
중생을 깨끗게 함 말할 수 없고



[87째]
일일모공불가설 $ 087▲醯魯耶醯魯耶為 一 ● 薜魯婆, ○□□□□,放,光,普,勇

□□□□□□□, 放光明網不可說,
光網現色不可說, 普照佛剎不可說,
□□□□□□□, 방광명망불가설,
광망현색불가설, 보조불찰불가설,

一一毛孔不可說,
하나하나 털구멍을 말할 수 없고
광명 그물 놓는 일을 말할 수 없고
광명에서 내는 빛을 말할 수 없고
부처 세계 비추는 일 말할 수 없고





●K0598_T1584.txt★ ∴≪A결정장론≫_≪K0598≫_≪T1584≫
●K1050_T2121.txt★ ∴≪A경율이상≫_≪K1050≫_≪T2121≫
●K1059_T2151.txt★ ∴≪A고금역경도기≫_≪K1059≫_≪T2151≫


■ 암산퀴즈


20* 626
488166 / 826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1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41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86 번째는?




21 유정을 성숙시키는 일을 증장시키며,
마혜레, 莫醯隸<二十一>
ma hire
(~!~)악한이의 마음을 조복하여 평온케 하고,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410 아가라미리 ◐阿迦囉蜜㗚<二合>駐<撗死四百十>◑akālaㆍmrityu
411 다리보가디리라타비실지가 ◐怛囇部迦地哩囉咤毘失脂迦<蝎四百十一>◑tryㆍambukaㆍtrailāṭakaㆍbriścika
412 사라바 ◐薩囉波<蛇四百十二>◑sarpa
413 나구라 ◐那俱囉<虎狼四百十三>◑nakula
414 싱 가 ◐僧<思孕反>伽<師子四百十四>◑siṃha
415 뱌 ­ 가라 ◐吠也揭囉<大虫四百十五>◑vyāghra
416 닥 ­ 사 ◐怛乞叉<猪熊四百十六>◑riksha
417 다락 ­ 사마라 시바뎨삼 ◐怛囉乞叉末囉<馬熊>視皤帝衫<此等四百十七>◑tarakshuㆍcamaraㆍjīvaㆍteshāṃ
418 살비삼살비삼 ◐薩毘衫薩毘衫<一切此說者四><百十八>◑sarveshāṃ, sarveshāṃ
419 싣달다바다라 ◐悉怛多鉢怛囉<花蓋四百十九>◑sit'ātapatra

●그러므로
여래가 이 주문을 선양하여
보이는 까닭은,
미래세상에서 처음 배우는 모든 수행자들을 보호하여,
수행자들이 삼마지(三摩地)에 들어가서
몸과 마음이 태연하여
크게 안온한 경지를 얻고,
더 이상 일체 온갖 마군과
귀신과 시작 없는 오랜 겁 동안 맺어
온 원한의 횡액과 지난 세상의 재앙과
옛 업의 묵은 빚이 부딪쳐 서로 괴롭히고 해치는 일이 없게 하려는 것이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86
마땅히 세간의 공양을 받으실 만한 출세간(出世間)의 무루지(無漏智)를 얻으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世間供養出世智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2520
591
법수_암기방안


41 발뒤꿈치 (발굽) the heel
86 대퇴골 [ =넙다리뼈 ]
87 슬개골 [ =무릎 뼈)
21 큰 마름 [엄지쪽 큰마름(뼈) ~ 트러피지엄trapezium]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12410356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머리로 서기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8-목
♥Keelung 基隆市, Taiwan
十方大覺禪寺, Keelung 基隆市, Taiwan
[사진] https://maps.app.goo.gl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https://maps.app.goo.gl
[세계내-위치] https://www.google.nl
[설명 1] https://en.wikipedia.org
[설명 2]
[동영상 1] 1:04
https://youtu.be
[基隆市] 十方大覺寺 (景點)
[동영상 2] 32:11
https://youtu.be
空拍基隆港 基隆市Drone TAIWAN Keelung port 基隆嶼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en.wikipedia.org
https://www.wikiart.org
002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歸命一切如來應正等覺二>◑arhate samyaksaṃbuddhāsya//


○2019_0405_144422_canon_Ab7


○2019_1105_155128_nikon_ab43_s12


○2019_1106_112312_canon_CT27


○2019_1004_154056_canon_Ab35


○2019_1004_133535_canon_bw24


○2019_1004_153840_canon_ar45


○2019_1004_133352_nikon_AR35


○2019_1004_175111_nikon_ct2


○2020_0201_170922_canon_BW17


○2020_0215_191531_nikon_ct34


○2020_0907_155330_canon_CT33


○2020_0907_152718_nikon_ab53


○2018_1022_125342_nikon_Ar12


○2018_1022_142101_nikon_ar24


○2018_1023_150323_nikon_ct8_s12


○2020_1126_153236_nikon_BW17


○2020_1126_160207_nikon_ct18_s12



○2019_1104_114039_nikon_CT28

● [pt op tr] fr
_M#]


○2019_1104_102459_canon_BW25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경율이상_K1050_T2121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경율이상』 ♣1050-009♧
[관련키워드]
경율이상 제9권/전체5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경율이상-K1050-009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3/k1050-009.html
sfed--경율이상_K1050_T2121.txt ☞경율이상 제9권/전체50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mzc9740
불기2569-03-27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12410356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08
htmback--불기2569-03-27_경율이상_K1050_T2121-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