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3월 4일 화요일

불기2569-03-04_불길상덕찬-k1443-003


『불길상덕찬』


K1443
T1681

불길상덕찬 하권/전체3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443_T1681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불길상덕찬』 ♣1443-003♧




불길상덕찬 하권/전체3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64347_can_BW21_s12


○ 2019_1105_104751_can_bw24_s12


○ 2019_1105_115308_can_AR35_s12


○ 2020_0211_131806_nik_ar19


○ 2020_0905_140715_can_ct9


○ 2020_0907_143331_nik_ar47


○ 2020_0907_133911_can_CT27


○ 2020_0907_153031_can_bw24

_ori_rs
○ 2016_0505_125405_can


○ 2020_1017_154856_can_Ar28


○ 2018_1022_134508_can_AB4_s12


○ 2020_1114_140055_can_bw4_s12


○ 2021_1006_174603_nik_CT38_s12_pc영광_모악산_불갑사


○ 2013_0309_103135-OLYMPUS_BW17강화도_보문사_전등사


○ 2021_1112_142204_can_CT28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2021_0211_155651_can_Ab31_s12서울_북한산_진관사


○ 2021_0214_122106_can_CT28춘천_오봉산_청평사


○ 2021_0214_124400_can_BW21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 2021_1003_150006_can_bw24_pc 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 [pt op tr] fr
_M#]



○ 2020_0907_174921_can_BW28


❋❋본문 ◎[개별논의]

★%★

『불길상덕찬』 ♣1443-003♧
불길상덕찬 해제[

불길상덕찬 003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jnz1456
◈Lab value 불기2569/03/04


○ 2019_1106_162125_nik_ct7.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ivan-aivazovsky-the-tempest-1886-1
[#M_▶더보기|◀접기|
Artist: ivan-aivazovsky
from https://en.wikipedia.org/wiki/Ivan_Aivazovsky
Title : the-tempest-1886-1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King_Farouk_I_Tomb_in_Refaii_mosque_-_Cairo_-_Egypt
[#M_▶더보기|◀접기|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King_Farouk_I_Tomb_in_Refaii_mosque_-_Cairo_-_Egypt.JPG
English: King Farouk I Tomb in Refaii mosque - Cairo - Egypt
Author Ahmedsahhar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Šiaulių_miesto_savivaldybė
[#M_▶더보기|◀접기|
Lietuvių: Šiaulių miesto savivaldybė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Kolochau 독일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Benjamin Biolay - Padam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3/2569-03-04-k1443-003.html#1456
sfed--불길상덕찬_K1443_T1681.txt ☞불길상덕찬 하권/전체3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jnz1456
불기2569-03-04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법상종(法相宗)에서 일체 만법은 아뢰야식의 변한 바로서 비유비공(非有非空)의 중도라고 하는 뜻.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ㆍ의타기성(依他起性)ㆍ원성실성(圓成實性)의 3성으로 말하면 

변계는 공(空), 

의타와 원성은 유(有). 

변계를 고집하는 법은 모두 허망한 영상(影像)이고, 실유(實有)한 법이 아니므로 이것을 정유이무(情有理無)라 하고, 

실성의 종자로부터 변하여 생긴 의타기의 제법은 상주(常住)하는 실재(實在)는 아니나 무(無)라고도 할 수 없으므로 여환가유(如幻假有)라 함. 

그러나 원성실성의 진여(眞如)는 진공묘유(眞空妙有)의 법, 그 체는 공적(空寂)하지만 진실 원만한 실재. 

일체 만법은 모두 이 3성을 가진 것이므로 공(空)ㆍ유(有)의 양면이 있는 것으로 유라고도, 공이라고도 단정할 수 없으므로 

이것을 비유 비공의 중도라 함. 

이렇게 3성을 상대하여 의논하는 것을 삼성대망(三性對望)의 중도라 함. 

또 3성에 대하여 각각 의논하더라도 마찬가지로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은 정유 이무, 

의타기성은 여화 가유, 

원성실성은 진공 묘유이므로, 

모두 제각기 비유비공이어서 중도임. 이것을 일법중도(一法中道)라 함.

답 후보
● 유식중도(唯識中道)

유여사(有餘師)
유위(有爲)
유유력부대연(有有力不待緣)
유전(流傳)
유지습기(有支習氣)
유행반(有行般)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Graziella De Michele - T'en Va Pas
Michel Sardou - Shimene Badi (Elle Chante,je Viens Du Sud,de Sardou)
Corynne Charby - Boule De Flipper
Mnicoletta - O, Mamy Blue [6]
French Anthology Songs With Devil's Rhythm - Ford Mustang
Jacques Brel - La Tendresse
Gerard Lenorman - Entre L'amour Et L'infini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63▲ 角見更系求 ■ 각견경계구 63 (뿔 각 / 사람 이름 록( 녹), 꿩 우는 소리 곡 )( 볼 견 / 뵈올 현, 관의 천 )( 고칠 경 / 다시 갱 )( 맬 계 ) (구할 구 )
064▲ 豆卵良呂免 ■ 두란량려면 64 ( 콩 두 ) (알 란 / 난 )( 어질 량 / 양)( 성씨 려 / 법칙 려, 여)(면할 면 / 해산할 문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uddhist flag
[san-chn] vijñapti-mātratva 唯識性
[san-eng] puccam.h $ 범어 (n) tail
[pali-chn] paṭibhāga-nimitta 分相
[pal-eng]
[Eng-Ch-Eng] Sutra on Obstetrics Spoken by the Sage Kasyapa 迦葉仙人說醫女人經
[Muller-jpn-Eng] 善人 ゼンジン a good person
[Glossary_of_Buddhism-Eng] AMIDISM☞
See: Pure Land Buddhism (Summary).

[fra-eng] rétribution $ 불어 payment
[chn_eng_soothil] 頓機 The capacity, or opportunity, for immediate enlightenment.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須陀洹名爲入流, 而無所入,
不入色聲香味觸法, 是名須陀洹.」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오
면, 수다원은 입류(入流)라 하지만 실로는 들어간 일이 없으니, 색(色)、성
(聲)、향(香)、미(味)、촉(觸)、법(法)에 들지 않으므로 이름을 수다원이라 하
기 때문입니다.”
[玄奘] 善現答言: 不也, 世尊! 諸預流者不作是念 ࡔ我能證得預流之果ࡕ! 何以故?
世尊, 諸預流者無少所預, 故名預流; 不預色、聲、香、味、觸、法, 故名預流.
[義淨] 妙生言: 不爾, 世尊! 何以故? 諸預流者無法可預, 故名預流;
不預色、聲、香、味、觸、法, 故名預流.
09-02 सुभूतिराह-नो हीदं भगवन्।
न स्रोतआपन्नस्यैवं भवति-मया स्रोतआपत्तिफलं प्राप्तमिति।
तत्कस्य हेतोः ? न हि स भगवन् कंचिद्धर्ममापन्नः, तेनोच्यते स्रोतआपन्न इति।
न रूपमापन्नो न शब्दान् न गन्धान् न रसान् न स्प्रष्टव्यान् धर्मानापन्नः।
तेनोच्यते स्रोतआपन्न इति।
subhūtirāha | no hīdaṁ bhagavan | na srotāpannasyaivaṁ bhavati mayā
srotāpattiphalaṁ prāptamiti | tatkasya hetoḥ | na hi sa bhagavan
kaṁciddharmamāpannaḥ | tenocyate srotāpanna iti | na rūpamāpanno na
śabdān na gandhān na rasān na spraṣṭavyān na dharmānāpannaḥ | tenocyate
srotāpanna iti |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그것은 참으로 아닙니다. 복덕갖춘분이시여! 흐름에 든자의
경우에 ‘나에 의해 (성자의) 흐름에 든 결과가 얻어졌다’라는 그러한 (생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하오면, 복덕갖춘분이시여! 참으로 그는 어떤 법에도
빠져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말해집니다. ‘흐름에 든 자이다’라고. (그는) 형색에
빠져들지 않았으며, 소리들에도 아니요, 냄새들에도 아니요, 맛들에도 아니요,
감촉들에도 아니요, 법들에 (또한) 빠져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말해집니다. ‘흐름에 든
자이다’라고.
▼▷[subhūtirāha] ① subhūtiḥ(ƾ.nom.) + āha(ƺ.) → [수보리는、 말했다.]
▼▷[no] ① no(ƺ.) → [아닙니다]
▼[hīdaṁ] ① hi(ƺ.) + idaṁ(pn.ƿ.nom.) → [참으로、 그것은.]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na] ① na(ƺ.) → [(否定)]
▼[srotāpannasyaivaṁ] ① srota+āpannasya([nj.→]ƾ.gen.) + evaṁ(ƺ.) → [흐름에 든
자의、 그러한(→그러함이)]
 그러한 + 일어난다. > 그러함이 일어난다. |or| 그러한 (산냐가) 일어난다.
▼[bhavati] ① bhavati(pres.Ⅲ.sg.) → [일어나다] → (+산냐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mayā] ① mayā(pn.Ⅰ.ins.) → [나에 의해]
▼[srotāpattiphalaṁ] ① srota+āpatti+phalaṁ(ƿ.nom.) → [흐름에 든 결과가]
▼[prāptamiti] ① prāptam(njp.→ƿ.nom.) + iti(ƺ.) → [얻어졌다、 라는.]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의? → 이유인가 하오면,]
▼▷[na] ① na(ƺ.)
▼[hi] ① hi(ƺ.) → [참으로]
▼[sa] ① saḥ(ƾ.nom.) → [그는]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kaṁciddharmamāpannaḥ] ① kaṁcit(pn.ƾ.acc.) + dharmam(ƾ.acc.) +
āpannaḥ(njp.→ƾ.nom.) → [어떤、 법에、 빠져들지 않았습니다.] → 어떤 법에도
빠져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② kiṁ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② āpanna(p.p. gained, obtained, acquired; gone or reduced to, fallen into; afflicted)
▼▷[tenocyate] ① tena(ƺ.) + ucyate(pass.pres.Ⅲ.sg.) → [그래서、 말해집니다]
② tena(ƺ. in that direction, in that manner, thus)
② vac(2.ǁ. to speak, say, tell)
▼[srotāpanna] ① srota+āpannaḥ([nj.→]ƾ.nom.) → [흐름에 든 자이다]
② srota(ƿ. a stream)
② āpanna(p.p. gained, obtained, acquired; gone or reduced to, fallen into; afflicted)
▼[iti] ① iti(ƺ.) → [라고.]
▼▷[na] ① na(ƺ.) → [(否定)]
▼[rūpamāpanno] ① rūpam(ƿ.acc.) + āpannaḥ(njp.→ƾ.nom.) → [형색에、 빠져들지
않았으며]
② rūpa(ƿ. any outward appearance or phenomenon or colour; form, shape, figure)
② āpanna(p.p. gained, obtained, acquired; gone or reduced to, fallen into; afflicted)
▼[na] ① na(ƺ.) → [아니요]
▼[śabdān] ① śabdān(ƾ.acc.pl.) → [소리들에(+도)]
② śabda(ƾ. sound [the object of the sense of hearing and property of ākāśa]; sound, note,
noise in general; a word, sound, significant word)
▼[na] ① na(ƺ.) → [아니요]
▼[gandhān] ① gandhān(ƾ.acc.pl.) → [냄새들에(+도)]
② gandha(ƾ. smell, odour; smell considered as one of the 24 properties or guṇas of the
Vaiśeṣkas; the mere smell of anything)
▼[na] ① na(ƺ.) → [아니요]
▼[rasān] ① rasān(ƾ.acc.pl.) → [맛들에(+도)]
② rasa(ƾ. sap, juice [of trees]; a liquid, fluid; water; liquor, drink)
▼[na] ① na(ƺ.) → [아니요]
▼[spraṣṭavyān] ① spraṣṭavyān(ƾ.acc.pl.) → [감촉들에(+도)]
② spraṣṭavya(nj. to be touched or handled; tangible, palpable, sensible: ƿ. touch, feeling)
< sparśa(ƾ. touch, contact [in all senses]; contact)
▼[na] ① na(ƺ.) → [(否定)]
▼[dharmānāpannaḥ] ① dharmān(ƾ.acc.pl.) + āpannaḥ(njp.→ƾ.nom.) → [법들에、
(+또한) 빠져들지 않았습니다.]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② āpanna(p.p. gained, obtained, acquired; gone or reduced to, fallen into; afflicted)
▼▷[tenocyate] ① tena(ƺ.) + ucyate(pass.pres.Ⅲ.sg.) → [그래서、 말해집니다]
▼[srotāpanna] ① srota+āpannaḥ([nj.→]ƾ.nom.) → [흐름에 든 자이다]
▼[iti] ① iti(ƺ.) → [라고.]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63일째]
보살여시대자비 $ 063▲那麼怛羅那麼怛羅為 一 ● 奚麼怛羅, ○□□□□,利,普,入,見

□□□□□□□, 利益一切諸世間,
普現其身不可說, 入諸佛剎不可說,
□□□□□□□, 이익일체제세간,
보현기신불가설, 입제불찰불가설,

菩薩如是大慈悲,
보살이 이와 같은 큰 자비로써
저 모든 세간들을 이익케 하며
그 몸 두루 나타냄을 말할 수 없고
모든 세계 들어감을 말할 수 없고



[64째]
견제보살불가설 $ 064▲奚麼怛羅奚麼怛羅為 一 ● 鞞麼怛羅, ○□□□□,發,請,敷,現

□□□□□□□, 發生智慧不可說,
請問正法不可說, 敷揚佛教不可說,
□□□□□□□, 발생지혜불가설,
청문정법불가설, 부양불교불가설,

見諸菩薩不可說,
여러 보살 보는 일을 말할 수 없고
지혜를 내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바른 법 묻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불교를 널리 폄도 말할 수 없어

065□



●K0288_T1093.txt★ ∴≪A불공견삭주경≫_≪K0288≫_≪T1093≫
●K1443_T1681.txt★ ∴≪A불길상덕찬≫_≪K1443≫_≪T1681≫
●K0878_T0392.txt★ ∴≪A불멸도후관렴장송경≫_≪K0878≫_≪T0392≫


■ 암산퀴즈


369* 811
531432 / 732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63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8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63 번째는?




63 3계의 중생들을 다 이롭고
히 리, 㕧<上聲>梨<六十三>
hire,
(~!~) 적들을 파괴하고 없애 행복케 하소서. 망상을 소멸 근절케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80 아가라마리 투바야 ◐阿迦囉沒㗚<利吉反>駐婆夜<掩死難百八十>◑akālaㆍmrityuㆍbhaya
181 아다라니보미검바 ◐阿陁囉尼部彌劍波<摠持地動百八十一>◑adhāranīㆍbhūmikaṃㆍbhaya
182 가바다바야 ◐伽波哆婆夜<險難百八十二>◑kāpātaㆍbhaya
183 오라라가바다바야 ◐烏囉囉迦波多婆夜<道路難百><八十三>◑ulkāㆍpātaㆍbhaya
184 라자단다바야 ◐囉闍彈茶婆夜<王刑罰難百八十四>◑rājaㆍdaṇḍaㆍbhaya
185 나 가바야 ◐那<上>伽婆夜<龍怖難百八十五>◑nāgaㆍbhaya
186 미디슈바야 ◐微地揄婆夜<閃電難百八十六>◑vidyudㆍbhaya
187 소바걸니바야 ◐蘇跋㗚尼婆夜<金翅鳥難百八十七>◑suparṇiㆍbhaya//
188 약사가라하 ◐藥叉揭囉訶<百八十八>◑yakshaㆍgrahā
189 라샤사가라하 ◐羅剎娑揭囉訶<百八十九>◑rākshaㆍgrahā

●만일 내가 열반한 뒤에 말세중생이 자신이 외우면서
남에게 외우게 한다면, 마땅히 알라.

이와 같이 외어서
지니는 중생은
불이 태울 수 없고
물이 빠트릴 수 없고
코고 작은 독이 해칠 수 없으며,
이와 같이 용과 하늘과 귀신과 정령의 토지 신[精祇]과
악마의 도깨비[魔魅]들이 가지고 있는 나쁜 주문까지도
다 범접할 수 없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63
과거 여섯 부처님의 법을 장엄(莊嚴)하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六佛法莊嚴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299259
726
법수_암기방안


18 아래팔뚝 (forearm)
63 전박 (前膊) ~ 아래팔뚝
64 척골(尺骨)[자뼈]
63 전박 (前膊) ~ 아래팔뚝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304_235322 :

한국불교전서 내 시구 및 게송


감회感懷

書劒功名計已違
문무의 공명도 이미 어긋났으니
此生於世欲何依
세상 어느 곳에서 삶을 의지할까
風塵失脚知音少
풍진에 길 잃고 지음조차 적으니
海上千峯獨掩扉
바닷가 천 봉우리 홀로 문을 닫네


출전:
한국불교전서 09책 H0190
조선 ∴자수(子秀) 무경집(無竟集) 5권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완전 휴식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7-수
♥Vargas spain
Vargas 39679, Cantabria, 스페인
[사진] https://maps.app.goo.gl
[구글맵 사진]
[거리뷰1]
[세계내-위치]
[설명 1] https://en.wikipedia.org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현지음악]
[위키 그림 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en.wikipedia.org


○ 2016_1008_133849_can


○ 2018_0419_125541_can


○ 2018_0419_125648_nik


○ 2018_0419_135128_can


○ 2018_0419_135311_can


○ 2018_0419_140451_can


○ 2018_0419_140758_can


○ 2018_0419_140855_can


○ 2020_0525_165308_nik


○ 2020_0525_174246_can


○ 2020_0525_183030_nik


○ 2020_0525_190440_can


○ 2020_0525_190845_can


○ 2020_0525_192724_can


○ 2020_0606_175150_can


○ 2020_0606_192513_can


○ 2020_0606_192936_can


○ 2022_0909_150633_can_exc꽃과 장식


○ 2022_0909_135111_can_exc꽃과 장식

● [pt op tr] fr
_M#]



○ 2023_0522_124642_can_exc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길상덕찬_K1443_T1681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불길상덕찬』 ♣1443-003♧
[관련키워드]
불길상덕찬 하권/전체3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9-03-04_불길상덕찬-K1443-003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3/2569-03-04-k1443-003.html
sfed--불길상덕찬_K1443_T1681.txt ☞불길상덕찬 하권/전체3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jnz1456
불기2569-03-04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783842819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286
htmback--불기2569-03-04_불길상덕찬_K1443_T1681-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