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일승보성론』
K0600
T1611
구경일승보성론 제3권/전체4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3-26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600_T1611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구경일승보성론』
♣0600-003♧
구경일승보성론 제3권/전체4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19_1105_153800_nikon_fix▾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6_111905_can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60256_canon_fix▾화순 계당산 쌍봉사
○2020_0211_141817_canon_exc▾불암산 천보사
○2020_0909_145954_nikon_ori_rs▾무주 백련사
○2020_1002_115730_nikon_fix▾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1_1003_174431_canon_exc_s12▾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0_0430_124850_canon_exc_s12▾서울_북악산_성불사
○2021_0214_121006_canon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2023_0119_155254_canon_exc_s12▾소요산_자재암
○2021_1007_145452_nikon_exc▾부안_능가산_내소사
○2021_1004_111314_nikon_exc▾의령_봉황산_일붕사
○2015_0415_161945_canon_exc▾서울_정릉_봉국사
○2022_1029_175409_canon_exc▾서울_삼각산_도선사
○2016_0411_191004_nikon_exc▾하동_지리산_쌍계사
○2015_0505_164058_nikon_exc▾전주_완산_정혜사
○2021_0320_143419_nikon_exc_s12▾포천_왕방산_왕산사
○2021_1001_104409_canon_exc_s12▾안동_천등산_봉정사
● [pt op tr] fr
_M#]
○2021_0214_121837_canon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본문 ♥
◎[개별논의]
★%★
『구경일승보성론』
♣0600-003♧
구경일승보성론 해제 (있는 경우)
구경일승보성론 003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sbn1378
◈Lab value 202110011044 |
Daniel Guichard - Ni Soleil Ni Ciel Bleu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3/k0600-003.html#1378 sfed--구경일승보성론_K0600_T1611.txt ☞구경일승보성론 제3권/전체4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sbn1378 불기2569-03-26 θθ |
■ 퀴즈
【범】Āśraddhya 심소(心所)의 이름.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의 하나. 20수번뇌(隨煩惱)의 하나. 마음으로 하여금 맑고 고요하지 못하게 하는 정신 작용.
답 후보
● 불신(不信)
불타선다(佛陀扇多)
불화합성(不和合性)
비담종(毘曇宗)
비리야(毘梨耶)
비바사사(毘婆沙師)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Claude Dubois - Chanter
Edith Piaf - Celui Qui Ne Savait Pas Pleurer
Au Bonheur Des Dames - OH ! LES FILLES
Michel Jonasz - La Famille
Barbara - Dis Quand Reviendras-Tu
Arthur H - Les Parures Secretes
Boris Vian - J'suis Snob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07▲ 亻入左卩㔾 ■ 인입좌절절 7 ( 사람인변 인 )( 들 입 )( 왼 좌 )( 병부 절 )( 병부 절 )
020▲ 斤今旡气內 ■ 근금기기내 20 ( 근 근/ 도끼 근 )( 이제 금 )( 목멜 기 / . 목메다( 기쁨이나 설움 따위의 감정이 북받쳐 솟아올라 그 기운이 목에 엉기어 막히다) )( 기운 기 / 빌 걸 ) )( 안 내, / 들일 납, 장부 예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ubcommentaries, Theravada
[san-chn] bījānugamyatva 種子之所隨逐
[san-eng] iva $ 범어 just like or as if
[pali-chn] dhamma-anusārin 隨法行
[pal-eng] kampati $ 팔리어 kamp + atrembles; wavers.
[Eng-Ch-Eng] 世俗諦 The relative truth; the worldly truth. Reality as it is perceived by unenlightened sentient beings (Skt. loka-sam!vr!ti-satya, sam!vr!ti-satya; Tib. kun rdsob bden pa); also written 世諦, 俗諦. This is as distinguished from the absolute truth 勝義諦, 真諦. 【參照: 二諦】
[Muller-jpn-Eng] 觀心 カンジン カンシン observe the mind
[Glossary_of_Buddhism-Eng] MACROBIOTIC DIET☞
See also: Food / Food Rules.
“A diet based essentially on the belief that health is best maintained through eating natural, unprocessed foods in a certain balance
of yang (alkaline-producing) to yin (acid-producing). It has no connection with Zen Buddhism.”
Kapl: 298
The Macrobiotic Diet is related to Taoist ideas about achieving long
life.
Editor: na #0783
[fra-eng] placage $ 불어 plating, veneer
[chn_eng_soothil] 總別 General and particular.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復次須菩提, 隨說是經, 乃至四句偈等, 當知此處,
一切世間天人阿修羅皆應供養, 如佛塔廟,
“또 수보리야, 어디서나 이 경을 4구게 만 설명하더라도 온 세계의 하늘무
리나 세상사람들이나 아수라(阿修羅)들이 그곳을 모두가 부처님의 탑과 같
이 공경할 것이어늘,
[玄奘] 復次, 善現, 若地方所, 於此法門乃至為他宣說開示四句伽他, 此地方所,
尚為世間諸天、及人、阿素洛等之所供養, 如佛靈廟.
[義淨] 妙生! 若國土中, 有此法門, 為他解說, 乃至四句伽他, 當知此地, 即是制底,
一切天、人、阿蘇羅等皆應右繞而為敬禮.
12-01 अपि तु खलु पुनः सुभुते यस्मिन् पृथिवीप्रदेशे इतो धर्मपर्यायादन्तशश्चतुष्पादिकामपि गाथामुद्गृह्य भाष्येत वा संप्रकाश्येत वा, स पृथिवीप्रदेशश्चैत्यभूतो भवेत् सदेवमानुषासुरस्य लोकस्य,
api tu khalu punaḥ subhūte yasmin pṛthivīpradeśa ito
dharmaparyāyādantaśaścatuṣpādikāmapi gāthāmudgṛhya bhāṣyeta vā
samprakāśyeta vā | sa pṛthivīpradeśaścaityabhūto bhavet
sadevamānuṣāsurasya lokasya |
“그런데 참으로 또한, 수보리여! 어떤 지역에서라도 이 법문에서 단지 네 구절로 된
게송만 가지고라도 말해주거나 설명해줄 수 있다면 그곳은 신과 인간과 아수라가
함께하는 세상을 위한 塔廟가 존재하는 지방이 될 것이다.
▼▷[api] ① api(ƺ.) → [또]
▼[tu] ① tu(ƺ.) → [그런데]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punaḥ] ① punaḥ(ƺ.) → [다시]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yasmin] ① yasmin(pn.ƾ.loc.) → [(어떠한) 그(곳에서)]
② yasmin(pn.ƾ.loc.sg.) < yad(pn. who, which, what)
▼[pṛthivīpradeśa] ① pṛthivī+pradeśe(ƾ.loc.) → [지역에서]
② pṛthivī(Ʒ. the earth; ground, soil)
② pradeśa(ƾ. pointing out, indicating; region, place; decision, determination)
▼[ito] ① itaḥ(ƺ.) → [이(로부터)]
② itas(ƺ. hence, from here or hence; from this person; in this direction towards me)
▼[dharmaparyāyādantaśaścatuṣpādikāmapi] ① dharma+paryāyāt(ƾ.abl.) + antaśaḥ(adv.)
+ catur+pādikām(nj.→Ʒ.acc.) + api(ƺ.) → [법문으로부터、 내지는、 네 구절로 된、
단지]
▼[gāthāmudgṛhya] ① gāthām(Ʒ.acc.) + udgṛhya(ger.) → [게송을、 가지고 → ~
가지고라도 api ]
▼[bhāṣyeta] ① bhāṣyeta(pot.Ⅲ.sg.) → [말해줄 수 있다. → 말해줄 수 있다면,]
② bhāṣ(1.Ʋ. to say, speak, utter; to speak to, address; to tell, announce)
▼[vā] ① vā(ƺ.) → [또는]
▼[samprakāśyeta] ① samprakāśyeta(pass.pot.Ⅲ.sg.) → [보이게 해 줄 수 있다. → 보여줄
수 있다면, → 설명해줄 수 있다면,
② samprakāś(1.Ʋ.) < sam(ƺ. with, together with) + prakāś(1.Ʋ. to shine, gleam; to
become visible or manifest: [caus.] to show, display; manifest)
▼[vā] ① vā(ƺ.) → [또는]
말해줄 수 있거나 설명해줄 수 있다면…
▼▷[sa] ① saḥ(ƾ.nom.) → [그것은 → 그곳은]
▼[pṛthivīpradeśaścaityabhūto] ① pṛthivī+pradeśaḥ(ƾ.nom.) +
caitya+bhūtaḥ(nj.→ƾ.nom.) → [지방이、 탑묘가 존재하는]
탑묘가 존재하는 지방 → 聖地
② pṛthivī(Ʒ. the earth; ground, soil)
② pradeśa(ƾ. pointing out, indicating; region, place; decision, determination)
② caitya(nj. relating to a pile: ƾ. the individual soul: ƿ. the anthill; a pile of stones
forming a landmark; a monument, tombstone; a sacrificial shed; a place of religious
worship, sanctuary; a temple; a religious figtree growing by the side of streets)
② bhūta(p.p. become, being, existing; produced, formed; right, proper)
▼[bhavet] ① bhavet(pot.Ⅲ.sg.) → [될 것이다]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sadevamānuṣāsurasya] ① sa+deva+mānuṣa+asurasya(nj.→ƾ.gen.) → [神과 인간과
아수라가 함께하는]
② sa(ƺ. with, along with; similar, like)
② deva(nj. divine; shining; fit to be worshipped: ƾ. a god, deity; the god of rain)
② mānuṣa(nj. human: ƾ. a man, human being: [ṣī]Ʒ. a woman)
② asura(ƾ. an evil spirit, a demon; the chief of the evil spirit)
▼[lokasya] ① lokasya(ƾ.gen.→dat.) → [세상의. → 세상을 위한.]
② loka(ƾ. free or open space, room, place; the sky or heaven; the human race, mankind)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85일째]
변화자재불가설 $ 085▲摩伽婆摩伽婆為 一 ● 阿怛羅, ○□□□□,現,修,度,示
□□□□□□□, 現種種身不可說,
修行精進不可說, 度脫眾生不可說,
□□□□□□□, 현종종신불가설,
수행정진불가설, 도탈중생불가설,
變化自在不可說,
변화가 자재함을 말할 수 없고
온갖 몸 나타냄도 말할 수 없고
수행하고 정진함도 말할 수 없고
중생을 제도함도 말할 수 없고
[86째]
시현신변불가설 $ 086▲阿怛羅阿怛羅為 一 ● 醯魯耶, ○□□□□,放,種,令,一
□□□□□□□, 放大光明不可說,
種種色相不可說, 令眾生淨不可說,
□□□□□□□, 방대광명불가설,
종종색상불가설, 령중생정불가설,
示現神變不可說,
신통 변화 나타냄을 말할 수 없고
큰 광명 놓는 일을 말할 수 없고
가지가지 빛깔을 말할 수 없고
중생을 깨끗게 함 말할 수 없고
●K1081_T2103.txt★ ∴≪A광홍명집≫_≪K1081≫_≪T2103≫
●K0600_T1611.txt★ ∴≪A구경일승보성론≫_≪K0600≫_≪T1611≫
●K1005_T0206.txt★ ∴≪A구잡비유경≫_≪K1005≫_≪T0206≫
■ 암산퀴즈
773* 946
238560 / 710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0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40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85 번째는?
20 법의 밝음[법명法明][주-63]을 증장시키며,
비아 도수 타, 毘阿<去聲>荼素<上聲>咤<二十知戒反>
Vyada su jya
(이하~)악한이의 마음을 조복하여 평온케 하고,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400 아사다슈람 ◐喝薩多輸藍<手痛四百>◑hastaㆍśūlaṃ
401 바다슈람 ◐波陁輸藍<腳痛四百一>◑pādaㆍśūlaṃ
402 안가바라등슈람 ◐頞伽鉢囉登輸藍<四支節痛四百二>◑aṅgaㆍpratyaṅgaㆍśūlaṃ//
403 보다볘다다 ◐部多吠怛茶<起尸鬼四百三>◑bhūtaㆍvetāla
404 다기 니 ◐茶枳<呼哽反上>尼<魅鬼四百四>◑dākinī.
405 스바라타도로건추 ◐什皤囉陁突盧建紐<四百五>◑jvarāㆍdadrūㆍkaṇḍu
406 기디 바로다 ◐吉知<蜘蛛>婆路多<丁瘡四百六>◑kiṭībhaㆍlūtā
407 볘사라바로하 릉 가 ◐吠薩囉波嚕訶<侵淫瘡>淩<里孕反>伽<赤瘡四百七>◑visarpaㆍlohaㆍliṅga
408 슈사다 라사나가라비사슈가 ◐輸沙多<引>囉娑那迦囉毘沙喩迦<上坎四百八>◑śoshaㆍtrāsanaㆍgaraㆍvishaㆍyoga
409 아기니 오타가 마라볘라건다라 ◐阿祁尼<火>烏陁迦<水>摩囉吠囉建多囉<四百九>◑agniㆍudakaㆍmāraㆍvīraㆍkaṇḍaka
●아난아,
이 사바세계에는
재앙의 괴변을 일으키는 8만 4천의 나쁜 별들이 있으니,
그 가운데 스물여덟 개의 나쁜 별들이 우두머리며,
또 그 가운데 여덟 개의 나쁜 별이 최고 으뜸이니라.
이 별들이 가지가지 형상을 지어
세상에 나타날 때는,
중생들에게 가지가지 재앙과 이변을 일으키고 있으나,
이 주문이 있는 땅에서는 모두 다 소멸되며,
12유순(由旬)의 도량 경계가 정해진 땅[結界地]에는
온갖 나쁜 재앙이 영원히 들어갈 수 없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85
모든 유정들을 이롭게 하시는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利益諸有情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731258
336
법수_암기방안
40 중앙 발가락 [신조어 ] center part (middle) toe
85 고관절(股關節) 각서(coxa 영어발음)= a hip joint
86 대퇴골 [ =넙다리뼈 ]
20 가운데(손가락) (MIDDLE)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327_000247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다시 사리자야,
이 남방에 또 최상향(最上香)이라는 불토가 있고,
그 불토에 부처님께서 계시니,
그의 명호는 묘향왕(妙香王) 여래ㆍ응공ㆍ등정각ㆍ명행원만ㆍ선서ㆍ세간해ㆍ무상장부ㆍ조어사ㆍ천인사ㆍ불박가범이시니라.
그 부처님께서 지금 현재 세간을 가엾이 여기어 모든 대중을 위해 미묘한 법을 연설하시어 처음도 훌륭하고 중간도 훌륭하고 나중도 훌륭하며,
교묘하고 순일한 글월의 뜻과 원만하고 청백한 범행을 열어 보이시니,
누구나 그 부처님의 명호를 들은 자는 몸과 마음이 트여서 모든 더러움을 여의고 악업이 소멸되어 번뇌가 적을 것이며,
그 부처님의 명호를 수지한 자는 틀림없이 앞서와 같은 공덕을 얻는 한편,
다시 오는 세상에서 태어나는 곳마다 32대장부의 모습을 갖춤으로써 모든 유정(有情)들이 함께 우러러볼 것이며,
그 부처님의 형상을 세워 두고서 공경히 공양하고 존중하여 찬탄하는 자도 틀림없이 앞서와 같은 공덕을 얻고,
다시 오는 세상에서 태어나는 곳마다 항상 출가하여 청정한 계율을 갖추는 동시에 여러 불토에 다니면서 법을 들어 수지하고,
모든 공덕을 원만히 수행하는 그 인연으로 빨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리라.
출전:
한글대장경 K0484_T0436
수지칠불명호소생공덕경(受持七佛名號所生功德經) 당 현장역
受持七佛名號所生功德經 【唐 玄奘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메뚜기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4-일
♡NK North Hwanghae - Kwijinsa - Songwol-ri, Sohung-gun - 귀진사 ,Korea
♡숭덕산 귀진사
황해북도 서흥군 숭덕산 귀진사 (崇德山 歸眞寺)
[자료사진 https://encykorea.aks.ac.kr
[자료사진 http://www.mediabuddha.net
[자료사진 http://www.mkstudy.com
002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歸命一切如來應正等覺二>◑arhate samyaksaṃbuddhāsya//

○2019_1004_150112_canon_Ar26

○2019_1004_133615_canon_BW17

○2019_1004_152454_nikon_CT33

○2019_1004_165258_canon_bw24

○2019_1004_135610_nikon_exc

○2019_1004_150619_canon_exc

○2019_1004_164330_canon_AB7

○2019_1004_175027_nikon_bw2

○2019_1004_132755_nikon_ct9

○2019_1004_155309_nikon_ct7

○2019_1004_162428_nikon_ct3

○2018_1025_163617_nikon_Ar28_s12

○2020_0224_104040_nikon_Ar28_s12

○2020_1126_153411_nikon_ori

○2020_1126_153428_nikon_Ab31

○2020_1126_153601_nikon_BW22

○2020_1126_155557_nikon_Ab31

○2020_1126_155836_canon_ct9_s12

○2020_1126_160326_nikon_ct19
● [pt op tr] fr
_M#]

○2020_0224_104925_nikon_ori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구경일승보성론_K0600_T1611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구경일승보성론 제3권/전체4권
■ 본 페이지 ID 정보
구경일승보성론-K0600-003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3/k0600-003.html
sfed--구경일승보성론_K0600_T1611.txt ☞구경일승보성론 제3권/전체4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sbn1378
불기2569-03-26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11089178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07
htmback--불기2569-03-26_구경일승보성론_K0600_T1611-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