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6월 16일 월요일

대방등대집경-k0056-058


『대방등대집경』


K0056
T0397

대방등대집경 제58권/전체6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6-16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056_T0397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대방등대집경』 ♣0056-058♧




대방등대집경 제58권/전체6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55303_nikon_AR35_s12▾순천 조계산 송광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0949_nikon_bw2▾순천 조계산 송광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1125_nikon_exc▾순천 조계산 송광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14442_can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25247_canon_ar47▾화순 영구산 운주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5600_canon_ar32▾순천 조계산 송광사

오대산 월정사
○2020_0905_110750_nikon_ct9▾오대산 월정사

천축산 불영사
○2020_0906_112514_nikon_CT28▾천축산 불영사

합천 해인사
○2020_0908_144844_nikon_bw24▾합천 해인사

무주 백련사
○2020_0909_142431_canon_ct18▾무주 백련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25629_canon_ab41▾속리산 법주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43137_nikon_BW28▾속리산 법주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60530_canon_ori_rs▾삼각산 화계사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43337_canon_ct18_s12▾예산 덕숭산 수덕사

양양_오봉산_낙산사
○2021_0929_110400_canon_ct8_%23060▾양양_오봉산_낙산사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52104_nikon_AR35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해남_봉화산_대흥사
○2021_1006_104749_nikon_ar45_s12_pc▾해남_봉화산_대흥사

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2021_1003_150810_canon_BW21_s12▾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밀양_만어산_만어사
○2021_1003_131028_nikon_BW3_s12▾밀양_만어산_만어사

● [pt op tr] fr
_M#]


원주 구룡사
○2020_0904_135013_canon_CT27▾원주 구룡사



❋❋본문 ◎[개별논의]

★%★

『대방등대집경』 ♣0056-058♧
대방등대집경 해제 (있는 경우)

대방등대집경 058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ezp1277
◈Lab value 202110031310


○ 2018_1022_125558_nik_ori.jpg



wikiart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Claude-Monet-trees-in-winter-view-of-bennecourt
[#M_▶더보기|◀접기|
Artist: Claude-Monet
from https://en.wikipedia.org/wiki/Claude_Monet
Title : trees-in-winter-view-of-bennecourt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606_193446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سوق_مدحت_باشا
[#M_▶더보기|◀접기|
Author Saleh.photography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New Jersey State House Museum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Yannick Noah - Destination Ailleurs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0056-058.html#1277
sfed--대방등대집경_K0056_T0397.txt ☞대방등대집경 제58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ezp1277
불기2569-06-16
θθ





■ 퀴즈

참은 범어 참마(懺摩)의 준말, 회는 그 번역. 범어와 한문을 아울러 쓴 말. 스스로 범한 죄를 뉘우쳐 용서를 비는 일. 불교 도덕을 실천하는 데 중요한 일종의 행사. 참회는 그 방법과 성질에 따라, 그 종류에 포살(布薩)ㆍ자자(自恣)ㆍ3종 참법ㆍ3품 참회 등이 있다.

답 후보
● 참회(懺悔)
천안지통(天眼智通)

천제(闡提)
천태종(天台宗)
청신녀(淸信女)
체성(體性)
촉(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ireille Mathieu - Pas Vu, Pas Pris
Yves Montand - Pres De Toi Mon Amour
Vanessa Paradis - Les Espaces et le Sentiments new photos
Daphne - Moi Plus Vouloir Dormir Seule
Charles Aznavour - J'aurais Voulu Etre Une Vamp
Sacha Distel - Oh Quelle Nuit
Jenifer - Au Soleil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11▲ 己女大万亡 ■ 기녀대만망 11 ( 몸 기 )( 여자 녀 / 너 여 )( 클 대 / 클 태 )( 일 만 만 )( 망할 망 / 없을 무 )
037▲ 去巨古瓜丱 ■ 거거고과관 37 ( 갈 거 ) ( 클 거/ 어찌 거 ) ( 옛 고 ) ( 오이 과 ) ( 쌍상투 관 / 쇳돌 광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Joko Beck
[san-chn] leṇa 舍, 靜室
[san-eng] uddeśataḥ $ 범어 as examples
[pali-chn] samāhita 三摩呬多
[pal-eng] passasati $ 팔리어 pa + sas + abreathes out.
[Eng-Ch-Eng] 忍辱 Endurance 忍辱 See Patience.\nPatience 忍辱 endurance, the third Paramita. There are groups of two, three, four, five, six, ten and fourteen, indicating various forms of patience, equanimity, repression, forbearance, both in mundane and spiritual things. Patience refers to bearing insult and distress without resentment.
[Muller-jpn-Eng] 二種聖 ニシュショウ (term) two kinds of sages
[Glossary_of_Buddhism-Eng] STAGES OF BODHISATTVA PRACTICE☞
See: Fifty-two Levels of Bodhisattva Practice.

[fra-eng] faut $ 불어 fails, must
[chn_eng_soothil] 懸談 A foreword, or introduction, to be a discourse on a scripture, outlining the main ideas; also 玄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於其城中, 次第乞已, 還至本處, 飯食訖, 收衣鉢, 洗足已, 敷座而坐.
그 성 안에서 차례로 다 빌고는 계시던 곳으로 돌아와 진지를 잡수시고 나
서 가사와 바리때를 거두시고 발을 씻고는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
[玄奘] 時薄伽梵, 於其城中, 行乞食已, 出還本處. 飯食訖, 收衣缽, 洗足已,
於食後時, 敷如常座, 結跏趺坐, 端身正願, 住對面念.
[義淨] 次第乞已, 還至本處. 飯食訖, 收衣缽, 洗足已, 於先設座, 跏趺端坐,
正念而住.
01-04
अथ खलु भगवान् श्रावस्तीं महानगरीं पिण्डाय चरित्वा कृतभक्तकृत्यः पश्चाद्भक्तपिण्डपातप्रतिक्रान्तः पात्रचीवरं प्रतिशाम्य पादौ प्रक्षाल्य न्यषीदत्प्रज्ञप्त एवासने पर्यङ्कमाभुज्य ऋजुं कायं प्रणिधाय प्रतिमुखीं स्मृतिमुपस्थाप |
atha khalu bhagavān śrāvastīṁ mahānagarīṁ piṇdāya caritvā
kṛtabhaktakṛtyaḥ paścādbhaktapiṇḍapātapratikrāntaḥ pātracīvaraṁ
pratiśāmya pādau prakṣalya nyaṣīdatprajñapta evāsane paryaṅkamābhujya
ṛjum kāyaṁ praṇidhāya pratimukhīṁ smṛtimupasthāpya |
그 때 참으로 복덕갖춘분께서 큰 도시인 싀라와스띠로 탁발을 위해 다니시고, 밥 드시는
일을 마치셨다. 그 후 밥 비는 일로부터 돌아오셔서 바루와 가사를 되돌려놓으시고 두
발을 씻으시고, 마련된 바로 그 자리에 가부좌를 틀고 몸을 꼿꼿하게 곧추 세우시고
(+인식대상을) 對面하는 마음챙김으로 다가서서 앉으셨다.
▼▷[atha] ① atha(ƺ.) → [그 때]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bhagavān] ① bhagavān(ƾ.nom.) → [복덕갖춘분께서]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 * + ­vat(possessive
affix) < bhaga(ƾ. the sun; the moon; good fortune, luck, happy lot)
▼[śrāvastīṁ] ① śrāvastīṁ(Ʒ.acc.) → [싀라와스띠로]
② śrāvastī(Ʒ. N. of a city north of the Ganges)
▼[mahānagarīṁ] ① mahā+nagarīṁ(nj.→Ʒ.acc.) → [큰 도시인]
② mahat(nj. great, big, large; ample, copious; long, extended) > mahā([in comp.])
② nagara(ƿ. a town, city) > nagarī(Ʒ.)
▼[piṇdāya] ① piṇḍāya(ƾ.dat.) → [공양물을 위해] → 공양물을 빌기 위해 → 탁발을 위해
② piṇḍa(ƾƿ. a round mass, ball; a lump; a round lump of food; A ball or lump of rice
offered to the Manes at obsequial ceremonies or Srāddhas)
▼[caritvā] ① caritvā(ger.) → [다니고]
② car(1.ǁ. to walk, move, go about; to perform, do, act; to act, behave towards)
▼[kṛtabhaktakṛtyaḥ] ① kṛta+bhakta+kṛtyaḥ(njp.→ƾ.nom.) → [밥으로 할 일을 마쳤다. →
밥 드시는 일을 마쳤다.] ← 시행된 밥(←배분된 것)으로 응당 해야 할 일을 (+지녔다).
② kṛta(p.p. done, performed, made, effected, accomplished; wounded, hurt; acquired)
② bhakta(ƾ. a worshipper; devotee: ƿ. food or a meal; nj. loved, liked; worshipped) <
bhaj(1.dž. to share, distribute, divide; to obtain for oneself, share in; to accept, receive)
 bhaj(1.dž. 분배하다) > bhakta(nj. 분배된) > 분배된 몫 → 분배된 몫의 음식 →

② kṛtya(nj. what should or ought to be done, right, proper: ƿ. duty, function; work, deed)
▼[paścādbhaktapiṇḍapātapratikrāntaḥ] ① paścāt(ƺ.) +
bhakta+piṇḍapāta+pratikrāntaḥ(njp.→ƾ.nom.) → [그 후에、 밥 비는 일(←밥이
공양물로 떨어짐)에서 돌아왔다.] → 그 후에 밥 비는 일로부터 돌아와서 |or|
탁발로부터 돌아와서
② paścāt(ƺ. from behind, from the back; behind, backwards; after, then, afterwards)
② bhakta(ƾ. a worshipper; devotee: ƿ. food or a meal; nj. loved, liked; worshipped)
② piṇḍapāta(ƾ. giving alms) < piṇḍa(ƾ. a round lump of food) + pāta(ƾ. flying, flight;
descending, descent; falling down, downfall) < pat(1.ǁ. to fall, fall down, come down; to
fly, move through the air; to set, sink)
② prati(ƺ. back, in return, again; upon, down upon: likeness, resemblance) → towards
② krānta(p.p. gone, passed over, traversed: ƾ. a foot, step: ƿ. going, passing)
② pratikṛ(8.dž. to requite, pay back, repay, return; to remedy, cure; to give back, restore)
▼[pātracīvaraṁ] ① pātra+cīvaram(ƿ.acc.) → [바루와 가사를]
② pātra(ƿ. a drinking­vessel, cup, jar; a vessel or pot in general; recipient; a reservoir)
② cīvara(ƿ. a garment; the dress of any mendicant [of a Buddhist mendicant])
▼[pratiśāmya] ① pratiśāmya(ger.) → [되돌려놓고]
② pratiśam(4.ǁ. to reestablish, restore, put to rights) < prati(ƺ. back) + śam(4.ǁ. to be
calm, quiet or tranquil; to cease, stop, come to an end; to be quelled)
▼[pādau] ① pādau(ƾ.acc.du.) → [두 발을]
② pāda(ƾ. the foot; a quarter, fourth part) < pad(10.Ʋ. to go or move: 4.Ʋ. to go to)
▼[prakṣalya] ① prakṣalya(ger.) → [씻고]
② prakṣal(10.dž. to wash, purify; to wipe away; to expiate) < pra(ƺ. higher, forward) +
kṣal(10.dž. to wash, wash off; to wipe away)
▼[nyaṣīdatprajñapta] ① nyaṣīdat(impf.Ⅲ.sg.) + prajñapte(nj.→ƿ.loc.) → [앉았다、
마련된]
② niṣad(1.ǁ. to sit down, lie, recline; to sink down, fail; to dwell; to suffer pain)
 nyaṣīdat < ni+a(augment)+ṣīd(←ṣad)+a(vikaraṇa)+~t(affix)
② prajñapta(p.p. ordered, prescribed; arranged [as a seat]) < prajñā(9.dž. to know)
▼[evāsane] ① eva(ƺ.) + āsane(ƿ.loc.) → [바로、 (그) 자리에]
② eva(ƺ. indeed, truly, really; just so, exactly so truly)
② āsana(ƿ. sitting, sitting down; … ; halting, stopping, encamping; abiding, dwelling) <
ās(2.Ʋ. to sit, sit down, rest, lie; to be present, to exist; to sit quietly, abide, remain)
▼[paryaṅkamābhujya] ① paryaṅkam(ƾ.acc.) + ābhujya(ger.) → [가부좌를、
틀고(←안으로 굽히고)]
② paryaṅka(ƾ. a bed; a particular kind of posture practised by ascetics in meditation) <
pari(ƺ. about; towards) + aṅka(ƾ. the lap) < aṅk(1.Ʋ. to move in a curve)
② ābhuj(6.ǁ. to bend in, bend down) < bhuj(6.ǁ. to bend; to curve: 7.dž. to eat, devour)
 ā : with verbs of motion, taking, carrying &c. it shows the reverse of the
action; as gam(to go) → āgam(to come), dā(to give) → ādā(to take), nī(to
carry) → ānī(to bring).
▼[ṛjum] ① ṛjum([nj.→]ƿ.acc.→adv.) → [꼿꼿하게]
② ṛju(nj. straight; upright, honest; simple­minded, plain)
▼[kāyaṁ] ① kāyaṁ(ƾ.acc.) → [몸을]
② kāya(ƾƿ. the body; the trunk of a tree; the body of a lute; a multitude)
▼[praṇidhāya] ① praṇidhāya(ger.) → [곧추 세우고]
② praṇidhā(2.dž. to place, put down; to set, put in; to apply, fix upon; to stretch out)
▼[pratimukhīṁ] ① pratimukhīṁ(nj.→Ʒ.acc.) → [(+인식대상을) 對面하는]
 prati(對)+mukha(面) → 곧바로 마주하고 있는 → (+인식대상을) 對面하고 있는…
② pratimukhī(Ʒ.) < pratimukha(nj.È 전방에 있는, 반대의, 대립하는, 면전에 있는) <
prati(ƺ. back, in return, again; upon, down upon) + mukha(ƿ. the mouth, face; the fore
part, front)
▼[smṛtimupasthāpya] ① smṛtim(Ʒ.acc.) + upasthāpya(ger.) → [마음챙김으로、
다가서서.]
② smṛti(Ʒ. remembrance, recollection; thinking of, calling to mind; a code of laws)
② upasthā(1.dž. to stand near, fall to one's share; to come near, approach; go to or reach)

▼[羅什] (缺譯)
[玄奘] 時, 諸苾芻來詣佛所. 到已, 頂禮世尊雙足, 右遶三匝, 退坐一面.
[義淨] 時, 諸苾芻來詣佛所, 頂禮雙足, 右繞三匝, 退坐一面.
01-05 अथ खलु संबहुला भिक्षवो येन भगवांस्तेनोपसंक्रामन्।
उपसंक्रम्य भगवतः पादौ शिरोभिरभिवन्द्य भगवन्तं त्रिष्प्रदक्षिणीकृत्य एकान्ते न्यषीदन्॥१॥

atha khalu sambahulā bhikṣavo yena bhagavāṁstenopasamkraman |
upasamkramya bhagavataḥ pādau śirobhirabhivandya bhagavantaṁ
triṣpradakṣiṇīkṛtyaikānte nyaṣīdan ||1||
그 때 참으로 아주 많은 비구들이 복덕갖춘분이 (계신) 그곳으로 나아갔다. (비구들은)
나아가 복덕갖춘분의 두 발에 머리로 예를 올리고 복덕갖춘분을 세 번 오른쪽으로 돌고
한쪽 편으로 다가와 앉았다.
▼▷[atha] ① atha(ƺ.) → [그 때]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sambahulā] ① sambahulāḥ(nj.→ƾ.nom.pl.) → [아주 많은]
② sambahula(nj. very much or many; very numerous, plentiful, abundant) < sam(ƺ. with,
together with) + bahula(nj. thick, dense; broad, wide; abundant, copious, plentiful)
▼[bhikṣavo] ① bhikṣavo(ƾ.nom.pl.) → [비구들이]
② bhikṣu(ƾ. a beggar, mendicant in general; a religious mendicant; a Buddhist mendicant)
▼[yena] ① yena(ƺ.) → [(어떤) 곳으로]
② yena(ƺ. in which direction; in which manner; wherefore, in order that)
▼[bhagavāṁstenopasamkrāman] ① bhagavān(ƾ.nom.) +|s|+ tena(ƺ.) +
upasamkraman(impf.Ⅲ.pl.) → [복덕갖춘분이 (+계신)、 그 곳으로、 나아갔다.]
 upasaṅkrāmat(pres.p.) → upasaṅkrāman(ƾ.nom.sg.)
 Ⓟ❮대반열반경❯: [ehi tvaṁ, brāhmaṇa! yena bhagavā tenupasaṅkama]
ehi(imp.Ⅱ.sg.) tvaṁ(pn.Ⅱ.nom.) brāhmaṇa(ƾ.voc.) yena(ƺ.) bhagavā(ƾ.nom.)
tena(ƺ.) upasaṅkama(imp.Ⅱ.sg.) → [가시오! 그대가, 브라만이여! (어떤)
그곳으로、 세존께서 (계신)、 바로 그곳으로、 다가가시오!]
 yena A tena upasaṁ√kram : (어떤) 그곳으로、 A가 (있는)、 바로 그곳으로、
나아가다. → A에게 나아가다. ('A'는 주로 '世尊')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② tena(ƺ. in that direction, in that manner, thus)
② upasaṅkram(1.dž.4.ǁ. to step or go to the other side or other world) < upa(ƺ. toward)
+ sam(ƺ. with) + kram(1.dž.|4.ǁ. to walk, step; to go, approach; to pass or go over)
▼▷[upasamkramya] ① upasamkramya(ger.) → [나아가서]
▼[bhagavataḥ] ① bhagavataḥ(ƾ.gen.) → [복덕갖춘분의]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pādau] ① pādau(ƾ.acc.du.) → [두 발에]
② pāda(ƾ. the foot; a quarter, fourth part) < pad(10.Ʋ. to go or move: 4.Ʋ. to go to)
▼[śirobhirabhivandya] ① śirobhiḥ(ƿ.ins.pl.) + abhivandya(ger.) → [머리들로、 예배를
드리고]
② śiras(ƿ. the head; skull; a peak, summit, top)
② abhivad(1.dž. to speak to, address; tell, declare, mention; to name, call; to salute, greet)
< vad(1.dž. to speak, say, tell; to announce, communicate; to speak of, describe)
▼[bhagavantaṁ] ① bhagavantaṁ(ƾ.acc.) → [복덕갖춘분을]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triṣpradakṣiṇīkṛtyaikānte] ① triṣ+pradakṣiṇīkṛtya(ger.) + ekānte(ƺ.) → [세 번
오른쪽으로 돌고、 한쪽 편에(→한쪽 편으로)]
 '세 번 오른쪽으로 돌다' : 원래는 오른손에 무기가 없음을 보여주어 敵意가 없음을
나타내는 행위로서, 정벌의 의사가 없는 都城에 도착했을 때 그 주위를 오른쪽으로
세 차례 돎으로써 그러한 의사를 표시하는 등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고대
인도에서는 淨・不淨의 개념에 따라 淨에 해당하는 오른쪽을 내보이며 주위를 세
차례 돎으로써 귀한 사람에게 존경을 나타내는 행위로 승화하였다.
 '한쪽에 앉다' : '많은 무리의 비구'라 하였고 '한쪽'이라 하였으니, 많은 무리의 비구
대중이 모두 한쪽에 앉을 수는 없으므로 한쪽으로부터 차례대로 앉았다는 뜻일
것이다. 자리의 위계는 가운데나 편안한 자리가 상석이 아니라 타인을 위해
자연스런 배려가 우러나오는 형태에서 찾아지므로, 이것은 수행인의 전형적
모습으로서 한쪽으로부터 자리를 차지하고 세존의 법문을 기다리는 수행인의 전형적
모습으로 간주될 수 있다.
② tris(ƺ. thrice, three times)
② pradakṣiṇīkṛ(8.dž.) < * + ­|ī|+kṛ('cvi') < pradakṣiṇa(nj. being placed or standing on
the right, moving to the right; respectful, reverential; auspicious, of good omen)
 cvi verb : □+ī+bhū(to become □) → guṇa+ī+bhū > guṇībhū(to become a
guṇa) - cvi verb 형성 사용동사는 √kṛ, √bhū, √as 등의 세 가지가 있다.
② ekānta(ƾ. a lonely or retired place, solitude; exclusive aim or boundary)
② ekānte(ƺ. solely, exclusively; exceeding, quite; alone, apart, privately)
▼[nyaṣīdan] ① nyaṣīdan(impf.Ⅲ.pl.) → [다가와 앉았다.]
 upa(가까이)ni(다가와)√sad(앉다) →❮upaniṣad❯ : 제자가 배움을 위해 스승의
곁으로 가까이 다가와 앉다.
② niṣad(1.ǁ. to sit down, lie, recline; to sink down, fail; to dwell; to suffer pain) < ni(ƺ.
down, back, into, in) + sad(1.ǁ. to sit, settle; to sink down; to live, remain, reside,
dwell)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67일째]
피제장엄불가설 $ 038▲毘覩羅毘覩羅為 一 ● 奚婆(上)羅, ○□□□□,彼,彼,彼,所

□□□□□□□, 彼諸神力不可說,
彼諸自在不可說, 彼諸神變不可說。
□□□□□□□, 피제신력불가설,
피제자재불가설, 피제신변불가설。

彼諸莊嚴不可說,
여러 가지 장엄도 말할 수 없고
저 여러 신통한 힘 말할 수 없고
여러 가지 자재함도 말할 수 없고
여러 가지 신통 변화 말할 수 없어



[168째]
소유신통불가설 $ 039▲奚婆羅奚婆羅為 一 ● 伺察, ○□□□□,所,所,所,清

□□□□□□□, 所有境界不可說,
所有加持不可說, 所住世間不可說。
□□□□□□□, 소유경계불가설,
소유가지불가설, 소주세간불가설。

所有神通不可說,
갖고 있는 신통을 말할 수 없고
갖고 있는 경계도 말할 수 없고
갖고 있는 가지함도 말할 수 없고
세간에 머무름도 말할 수 없어




●K0167_T0992.txt★ ∴≪A대방등대운경청우품제육십사≫_≪K0167≫_≪T0992≫
●K0056_T0397.txt★ ∴≪A대방등대집경≫_≪K0056≫_≪T0397≫
●K0065_T0415.txt★ ∴≪A대방등대집경보살염불삼매분≫_≪K0065≫_≪T0415≫


■ 암산퀴즈


946* 789
81600 / 160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37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4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59 번째는?




37 모든 종자․뿌리․꽃술․싹․줄기․가지․잎․꽃․열매․약․곡식․정기․자양분 등을 증장시켰으며,
이갈타, 黳羯他<三十七>
ekartha,
(~!~) 어떠한 파괴로부터도 보호해주는 이시여!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40 가바려예바 ◐迦波嚟曳泮<三百四十>◑kāpāliye phaṭ
341 아디모기다가시마사나바싣니예바 ◐阿地目抧多迦尸麽舍那皤悉你曳泮<三百四十一>◑adhimuktageㆍśmaśānaㆍvāsiniye phaṭ
342 예기자나사다사다바 ◐曳髻者那薩怛薩怛皤<若有衆生三百四十二>◑iye kācit sattvas (mama ittāṃ mamāsya)//
343 도스타짇다 ◐突瑟咤質多<惡心鬼三百四十三>◑Dushṭaㆍcittaḥ
344 노특라짇다 344) ◐344k澇持囉質多<三百四十四>◑raudraㆍcittaḥ
345 오자하라 ◐烏闍訶囉<食精氣鬼三百四十五>◑oj'āhāra
346 가바하라 ◐揭婆訶囉<食胎藏鬼三百四十六>◑garbh'āhāra
347 노디라하라 ◐嘮地囉訶囉<食血鬼三百四十七>◑rudhir'āhāra
348 망사하라 ◐芒娑訶囉<食肉鬼三百四十八>◑māms'āhāra
349 마사하라 ◐摩社訶囉<食產><鬼三百四十九>◑majj'āhāra

●과보(果報)를 구하여
빨리 원만하게 이뤄지기를 바라는 사람은
빠르게 원만함을 얻는다.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59
원한을 제거하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能除怨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746394
510
법수_암기방안


34 복숭아뼈 [멀리 얼어스 malleolus]
38 정강이[Shin]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37 종지뼈 ( the kneecap, / the patella무릎 종지뼈)


59 순[입술] 치아[아] 설 口脣 【구순】 齒牙 【치아】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617_235820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소머리 자세 [Gomukhasan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8-12-22-일
망월사 - 의정부시 호원동, 도봉산(740m)
[사진] https://search.daum.net
https://search.naver.com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https://naver.me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설명 1] https://ko.wikipedia.org
https://encykorea.aks.ac.kr
[설명 2]
https://cafe.daum.net
https://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
[동영상 1] 13:11
https://youtu.be
도봉산 정상 아래 피어난 한송이 연꽃, 의정부 망월사, The Mangwol-sa Buddhist Temple in Dobong Mountain
[동영상 2] 3:07
https://youtu.be
최고의 전망명소 사찰 / 중화제국의 황제가 되기위해 이곳에 와야만 했던 위안스카이 /도봉산 망월사
[음악]
jacqueline lemay Je Ne Pense Qu'à Toi
https://youtu.be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003 나모살바몯다 ◐娜牟薩婆勃陁<敬禮一切諸佛三>◑Namaḥ sarva buddhāya


○2018_1025_162004_nikon_CT27


○2018_1025_162843_nikon_Ar12


○2018_1025_170837_canon_ar30


○2018_1025_180610_nikon_BW17


○2020_0224_104418_nikon_Ar28_s12


○2020_0224_104623_nikon_ar10


○2020_0224_110553_nikon_ct18_s12


○2020_0224_111329_nikon_ct9_s12


○2020_1126_153017_nikon_Ar37_s12


○2020_1126_153532_canon_BW22


○2020_1126_160004_nikon_CT27


○2020_1126_160105_canon_ab41_s12


○2020_1126_160346_nikon_ori


○2020_1126_160636_nikon_ar33


○2021_0717_171941_canon_ab41_s12


○2021_0717_171439_canon_Ab31_s12


○2023_0325_143537_canon_AB7


○2023_0325_130523_canon_ct9_s12

● [pt op tr] fr
_M#]



○2023_0325_121446_canon_AR35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방등대집경_K0056_T0397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대방등대집경』 ♣0056-058♧
[관련키워드]
대방등대집경 제58권/전체6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대방등대집경-K0056-058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6/k0056-058.html
sfed--대방등대집경_K0056_T0397.txt ☞대방등대집경 제58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9_06.txt ☞◆vezp1277
불기2569-06-16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902798629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87
htmback--불기2569-06-16_대방등대집경_K0056_T0397-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