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1월 15일 수요일

불기2569-01-15_대반야바라밀다경-k0001-154


『대반야바라밀다경』
K0001
T0220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54권/전체60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대반야바라밀다경』 ♣0001-154♧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54권/전체60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5_170231_nik_ar45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6_114124_can_ar47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60256_can_ar31_s12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20_0211_134356_can_AR35_s12 불암산 천보사


○ 2020_0907_130705_nik_CT33 양산 통도사


○ 2020_0908_161705_nik_ar47 합천 해인사


○ 2020_0908_163506_can_Ab31 합천 해인사


○ 2020_0910_134501_can_Ab27 속리산 법주사


○ 2020_0930_134609_can_AR12 화성 용주사


○ 2018_1024_140328_can_ar21 공주 칠갑산 장곡사


○ 2018_1023_152828_nik_exc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3_172203_nik_AB7_s12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21_1004_175450_nik_BW3_s12하동_고성산_약천사


○ 2021_1112_171056_nik_ar39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2021_1006_175252_nik_AB7영광_모악산_불갑사


○ 2021_1003_174016_can_ct29_s12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 2021_1006_112511_nik_ab41_s12해남_봉화산_대흥사


○ 2022_1028_145531_nik_Ab35서울_구룡산_능인선원


○ 2021_1112_151456_can_Ar26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pt op tr] fr
_M#]



○ 2021_0929_074757_can_AB7_pc양양_오봉산_낙산사



❋❋본문 ◎[개별논의]

★%★
『대반야바라밀다경』 ♣0001-154♧






◎◎[개별논의] ❋본문









★1★





◆vthh4177

◈Lab value 불기2569/01/15


○ 2021_1003_105548_nik_ab41_s12밀양_재악산_표충사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koloman-moser-study-for-venus-in-the-grotto.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koloman-moser
from https://en.wikipedia.org/wiki/Koloman_Moser
Title : study-for-venus-in-the-grotto.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Astrophytum_flower_230
[#M_▶더보기|◀접기|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strophytum_flower_230.jpg
Slovenčina: Astrophytum flower
Author Skolnik Collection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Filibe_cami
[#M_▶더보기|◀접기|

English: Plovdiv Cuma Mosque
Author Zaparojdik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poitiers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poitiers france
https://buddhism007.tistory.com/entry/poitiers
■htmback--B-_불기2567-07-23-Tis.htm

GERARD LENORMAN - Mich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1/2569-01-15-k0001-154.html#4177
sfed--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txt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54권/전체600권
sfd8--불교단상_2569_01.txt ☞◆vthh4177
불기2569-01-15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1) 분수삼매(分修三昧). 정(定)ㆍ혜(慧) 중의 어느 하나만을 수행함. 

(2) 공수삼매(共修三昧). 정ㆍ혜를 함께 닦는 것. 

(3) 성정삼매(聖正三昧). 성문 4과(果) 중의 예류과(預流果) 이후에 닦는 삼매니 정ㆍ혜가 일시에 갖추어 해탈하는 것.

답 후보
● 삼삼매(三三昧)

삼성(三聖)
삼세인과(三世因果)
삼시(三施)
삼십삼과(三十三過)
삼십칠존(三十七尊)
삼인(三因)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ichel Polnareff - Comme Juliette & Romeo
Weepers Circus - Reste Un Peu
Jeanne Moreau - Pas Bien
Marie-Paule Belle & Joshua D'arche - Voyage En Italie
Kinito - La maison de disque
Julien Clerc - Je Sais Que C'est Elle
Charles Aznavour - Ave Maria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15▲ 乡于已弋廴 ■ 향우이익인 15 ( 시골 향 )( 어조사 우 / 어조사 어 )( 이미 이 )( 주살 익 )( 길게 걸을 인 )
016▲ 子丈才叉彳 ■ 자장재차척 16 ( 아들 자 )( 어른 장 )( 재주 재 )( 갈래 차 / 작살 차, 비녀 채 )( 조금 걸을 척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Pagoda
[san-chn] puṇya-kriyā-vastu 福業事
[san-eng] narādhipaṃ $ 범어 the king
[pali-chn] vīriya-samādhi 精進定
[pal-eng] tilapi.t.tha $ 팔리어 nt.sesamum-grinding.
[Eng-Ch-Eng] 句 (1) A phrase, a verse, a written line. (2) Bend, curve, turn.
[Muller-jpn-Eng] 無門關 ムモンカン (title) Gateless Barrier
[Glossary_of_Buddhism-Eng] STANZA THAT DESTROYS HELL☞
Syn: Mind-Only; Everything is Made from Mind.
(Vn / Kệ Phá Địa-Ngục). Name of a verse found in the Avatamsaka
Sutra, Ch. 20. Expresses one of the key teachings of the sutra:
“If people want to really know / All Buddhas of all time, / They should
contemplate the nature of the cosmos: / All is but mental construction
(i.e., Everything is made from Mind alone.).”
(T. Cleary, tr., The Flower Ornament Sutra, Vol. I, p.452)

[fra-eng] resserre $ 불어 constricts
[chn_eng_soothil] 禪坐 To sit cross-legged in meditation.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唯然世尊, 願樂欲聞.」
“네, 세존이시여, 더 자세히 듣고자 소원하옵니다.”
[玄奘] 具壽善現白佛言: 「如是, 世尊! 願樂欲聞.」
[義淨] 妙生言: 「唯然, 世尊! 願樂欲聞.」
02-08 एवं भगवन् इत्यायुष्यान् सुभूतिर्भगवतः प्रत्यश्रौषीत्॥२॥
evaṁ bhagavannityāyuṣmān subhūtirbhagavataḥ pratyaśrauṣīt ||2||
“그러겠습니다, 복덕갖춘분이시여!”
이렇게 (대답한) 장로인 수보리는 복덕갖춘분의 (말씀에) 귀 기울였다.
▼▷[evaṁ] ① evaṁ(ƺ.) → [그러겠습니다]
② evaṁ(ƺ. thus, in this way, in a such manner)
▼[bhagavannityāyuṣmān] ① bhagavan(ƾ.voc.) +|n|+ iti(ƺ.) + āyuṣmān(nj.→ƾ.nom.)
→ [복덕갖춘분이시여! 라고、 장로인]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② iti(ƺ. in this manner, since, so, thus)
② āyuṣmat(nj. alive, living; long­lived; lasting)
▼[subhūtirbhagavataḥ] ① subhūtiḥ(ƾ.nom.) + bhagavataḥ(ƾ.gen.) → [수보리는、
복덕갖춘분의 (+말씀에)]
 세존의 (+말씀에) 귀 기울였다. |or| [prati√śru + w/gen.] 세존에게 귀 기울였다.
② subhūti(ƾ. N. of …; well­being, well­fare)
▼[pratyaśrauṣīt] ① pratyaśrauṣīt(s­aor.Ⅲ.sg.) → [귀 기울였다.]
 prati(향해)+śru(듣다) → 귀 기울이다.
② pratiśru(5.ǁ. to promise [w/dat. of person to whom the promise is made]; to hear,
listen; to listen, give ear to [w/gen.]; to assure, agree, promise anything [w/acc.]) <
prati(ƺ. towards; back, in return) + śru(5.ǁ. to hear, listen to, give ear to) → to reply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5일째]
어피일일모단처 $ 015▲摩婆羅摩婆羅為 一 ● 阿婆(上)羅, ○□□□□,演,一,皆,一

□□□□□□□, 演不可說諸佛名,
一一名有諸如來, 皆不可說不可說。
□□□□□□□, 연불가설제불명,
일일명유제여래, 개불가설불가설。

於彼一一毛端處,
저러한 하나하나 터럭 끝마다
말할 수 없는 부처 이름 말하며
하나하나 이름 아래 있는 부처님
모두 말할 수가 없이 말할 수 없고



[16째]
일일제불어신상 $ 016▲阿婆羅阿婆羅為 一 ● 多婆(上)羅, ○□□□□,現,於,現,不

□□□□□□□, 現不可說諸毛孔,
於彼一一毛孔中, 現眾色相不可說。
□□□□□□□, 현불가설제모공,
어피일일모공중, 현중색상불가설。

一一諸佛於身上,
저러한 부처님의 낱낱 몸 위에
말할 수 없이 많은 털구멍 있고
저러한 하나하나 털구멍 속에
나타내는 여러 몸매 말할 수 없네.





●K0009_T0225.txt★ ∴≪A대명도경≫_≪K0009≫_≪T0225≫
●K0001_T0220.txt★ ∴≪A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
●K0105_T0374.txt★ ∴≪A대반열반경≫_≪K0105≫_≪T0374≫


■ 암산퀴즈


689* 18
22110 / 66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15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4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15 번째는?




15 오묘한 선정을 증장시키며,
나야나참포, 奈野娜讖蒱<十五>
nayana ksam bhu,
주재(主宰)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40 바라미댜 ­ 삼박 ­ 사나라 ◐婆囉微地也三婆乞叉那囉<百四十>◑paraㆍvidyāㆍsaṃbhakshanakara
141 호훔 도로훔 ◐呼吽<二合>咄嚕吽<三合百四十一>◑Hūṃ trūṃ
142 살바보스타남 ◐薩婆部瑟咤喃<百四十二>◑sarvaㆍbushṭanāṃ
143 사담바나가라 ◐塞曇婆那羯囉<喫卻><他呪百四十三>◑stambhanaㆍkara//
144 호훔 도로훔 ◐呼吽<二合>咄嚕吽<三合百四十四>◑Hūṃ trūṃ
145 살바약사 ◐薩嚩藥叉<勇猛百四十五>◑sarvaㆍyaksha
146 갈라 샤사아라하남 ◐喝囉<引>剎娑揭囉訶喃<百四><十六>◑harākshasa grahānāṃ
147 비타방사나가라 ◐毘陁防娑那羯囉<打破百四十七>◑vihvaṃsanaㆍkara//
148 호훔 도로훔 ◐呼吽<二合>咄嚕吽<三合百四十八>◑Hūṃ trūṃ
149 자도라시디남 ◐者都囉尸底喃<百四十九>◑caturㆍaśīṭīnāṃ

●또 이 주문의 이름을 여래정(如來頂)이라고도 한다.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15
두려움 없는 정반왕(淨飯로)의 아드님께 귀의합니다.
南無無畏淨飯王子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2402
335
법수_암기방안


16 겨드랑이 [암핏 armpit]
14 맥박~점(맥박뛰는곳) pulse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115_224356 :

한국불교전서 내 시구 및 게송


홍류동紅流洞

雨歇春山草色濃
비 갠 뒤 봄날의 산엔 풀빛이 짙어지고
花開兩岸映溪紅
양 언덕엔 꽃이 피어 시내를 붉게 비추네
徘徊唫賞忘歸路
배회하며 읊노라고 돌아갈 길 잊었나니
疑是身空物亦空
어쩌면 몸이 공하면 외물도 공해지는가 봐


출전:
한국불교전서 08책 H0149
조선 ∴선수(善修) 부휴당대사집(浮休堂大師集) 7권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감춘 연꽃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8-목
♥Caraș-Severin_County
Județul Caraș-Severin
[사진]
[구글맵 사진]
[거리뷰1] https://maps.app.goo.gl
https://maps.app.goo.gl
https://maps.app.goo.gl
[세계내-위치] https://www.google.nl
[설명 1] https://en.wikipedia.org
[설명 2]
[동영상 1] 3:21
ARANSEBEŞ. Romania.
https://youtu.be
[동영상 2] 1:10
Romania: Oravita Caras-Severin County, busy station after Regiotrans service arrives from Berzovia
https://youtu.be
[현지음악]
[위키 그림 감상]
존 러스킨 (John Ruskin, 1819년 2월 8일 ~ 1900년 1월 20일)은 영국의 박식가로 , 빅토리아 시대 의 작가, 강사, 미술사학자, 미술 평론가 , 제도가, 자선가였습니다. 그는 미술, 건축, 정치 경제학 , 교육, 박물관학 , 지질학, 식물학 , 조류학 , 문학, 역사, 신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글을 썼습니다.
https://en.wikipedia.org
https://www.wikiart.org


○ 2019_1106_162139_nik_Ar28


○ 2019_1105_114155_nik_CT27


○ 2019_1105_161125_nik_ar38


○ 2019_1106_102308_can_fix


○ 2019_1105_114945_can_bw0_s12


○ 2019_1004_135206_nik_Ab27


○ 2019_1004_142530_can_Ab27


○ 2019_1004_141354_can_CT27


○ 2019_1004_135649_can_BW25


○ 2019_1201_152217_can_Ar28


○ 2020_0126_141605_can_exc_s12


○ 2020_0905_105804_can_bw5


○ 2020_0906_113859_can_BW25


○ 2020_0910_105654_nik_Ab27


○ 2020_0910_111703_can_BW25


○ 2020_1002_121615_nik_exc_s12


○ 2020_1114_132847_can_AB4_s12


○ 2020_0224_110511_nik_BW25_s12


○ 2019_1104_103428_nik_ct9_s12


○ 2019_1104_175211_nik_ct15_s12

● [pt op tr] fr
_M#]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대반야바라밀다경』 ♣0001-154♧
[관련키워드]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54권/전체60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9-01-15_대반야바라밀다경-K0001-154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1/2569-01-15-k0001-154.html
sfed--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txt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54권/전체600권
sfd8--불교단상_2569_01.txt ☞◆vthh4177
불기2569-01-15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727119926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238
htmback--불기2569-01-15_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