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경목록』
K1054
T2146
중경목록 제5권/전체7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중경목록』
♣1054-005♧
중경목록 제5권/전체7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20259_nik_exc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41435_nik_fix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5_164812_nik_fix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201_152819_can_exc_s12 원주 구룡사
○ 2020_0909_143940_can_ori_rs 무주 백련사
○ 2018_1022_134843_nik_ori 공주 계룡산 갑사
○ 2018_1022_173942_nik_exc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18_1024_140356_can_ori 공주 칠갑산 장곡사
○ 2019_1104_135128_can_fix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21_1002_180427_can_exc_경주_함월산_골굴사
○ 2021_1006_110728_can_exc_s12해남_봉화산_대흥사
○ 2021_1006_110728_can_exc_s12해남_봉화산_대흥사
○ 2016_0412_153123_nik_exc진안_마이산_탑사
○ 2016_0412_145412_nik_exc진안_마이산_탑사
○ 2022_0827_143929_nik_exc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 2021_1003_175836_can_exc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 2021_1113_171224_nik_exc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망월사
○ 2021_1007_103706_nik_exc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 2017_1107_100540_nik_exc정읍_내장산_내장사
○ 2023_0402_142057_nik_exc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pt op tr] fr
_M#]
○ 2021_1005_160918_can_exc_s12장흥_천관산_천관사
❋❋본문 ♥ ◎[개별논의]
★%★
『중경목록』
♣1054-005♧
◎◎[개별논의] ♥ ❋본문
★1★
◆vwlt6210
◈Lab value 불기2569/01/13 |
Serge Gainsbourg - Shush Shush Charlotte Feat. Anthony John In Don't Cry
♥단상♥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1/2569-01-13-k1054-005.html#6210 sfed--중경목록_K1054_T2146.txt ☞중경목록 제5권/전체7권 sfd8--불교단상_2569_01.txt ☞◆vwlt6210 불기2569-01-13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주원융통(周圓融通)하다는 뜻. 불ㆍ보살이 깨달은 경계.
답 후보
● 원통(圓通)
위신력(威神力)
위타(韋陀)
유(有)
유가삼밀(瑜伽三密)
유각유관삼매(有覺有觀三昧)
유루단(有漏斷)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arie Lafort - Les Jeunes Filles
Fran7oise Hardy - Tout Me Ram0ne Toi
Edit Piaf - Madeleine Qu'avait Du Coeur
Robert Charlebois - Moi Tarzan,Toi Jane
Pierre Perret - Le Plombier
Jeanne Cherhal - Rondes Larmes
Serge Reggiani - Prelude Sarah Sarah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13▲ 彡上夕小尸 ■ 삼상석소시 13ㅡ 털 위의 세계에도 밤이 작게 있고 주검도 있다. ( 터럭 삼 / 성씨 섬 )( 윗 상 )( 저녁 석 / 사람 이름 역, 한 움큼 샤 )( 작을 소 )( 주검 시 )
014▲ 卂也广兀幺 ■ 신야엄올요 14ㅡ 빨리 날라가니 집들이 우뚝하지만 작게 보인다. ( 빨리 날 신 )( 잇기 야/ 어조사 야, 대야 이/이것 이 )( 집 엄 / 넓을 광, 암자 암 )( 우뚝할 올 )( 작을 요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Lotus Sutra
[san-chn] cūḍikâvabaddha 頂珠
[san-eng] paricarya $ 범어 service
[pali-chn] deva-putta-māra 天魔
[pal-eng] ayoniso $ 팔리어 adv.improperly; injudiciously.
[Eng-Ch-Eng] 大集法門經 Daji famen jing; 2 fasc., trans. Danapala 施護. T 12.1.226c-232b.
[Muller-jpn-Eng] 阿奢羅 アシャラ (name) Acala
[Glossary_of_Buddhism-Eng] ALL IN ALL☞
See: “One is All, All is One.”
[fra-eng] disparition $ 불어 departure
[chn_eng_soothil] 鉤召法 vaśīkaraṇa, the method in esoteric practice of summoning and influencing the beneficent powers.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如來善護念諸菩薩, 善付囑諸菩薩,
여래는 보살들을 잘 염려하여 보호하시고 보살들을 잘 당부하여 위촉해 주
시나니
[玄奘] 乃至如來、應、正等覺, 能以最勝攝受, 攝受諸菩薩摩訶薩;
乃至如來、應、正等覺, 能以最勝付囑, 付囑諸菩薩摩訶薩.
[義淨] 如來以勝利益, 益諸菩薩; 以勝付囑, 囑諸菩薩.
02-06 अनुपरिगृहीतास्तथागतेन बोधिसत्त्वा महासत्त्वाः परमेणानुग्रहेण।
परीन्दितास्तथागतेन बोधिसत्त्वा महासत्त्वाः परमया परीन्दनया।
anuparigṛhītāstathāgatena bodhisattvā mahāsattvāḥ parameṇānugraheṇa |
parīnditāstathāgatena bodhisattvā mahāsattvāḥ paramayā parīndanayā |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위대한 존재로서 깨달음갖춘이들은 최상의 은총으로 둘러져
감싸여있다.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위대한 존재로서 깨달음갖춘이들은 최상의
힘실어줌으로 힘이 실렸다.
▼▷[anuparigṛhītāstathāgatena] ① anuparigṛhītāḥ(njp.→ƾ.nom.pl.) + tathāgatena(ƾ.ins.) →
▼[둘러져 감싸여있다、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② anu(ƺ. with, along with; afterward, behind)
② pari(ƺ. round, about; towards)
② gṛhīta(p.p. taken, seized, held; obtained) < grah(9.dž. to seize, take or catch hold of)
② tathāgata(nj.ƾ.) < tathā(ƺ. in that manner, so, thus) + āgata(p.p. come, arrived;
occurred, happened; obtained, got) < āgam(1.ǁ. to come)
▼[bodhisattvā] ① bodhisattvāḥ(ƾ.nom.pl.) → [깨달음갖춘이들은]
② bodhisattva(ƾ. a Buddhist saint) < bodhi(ƾ. perfect wisdom or enlightenment) +
sattva(ƿ. being, existence; nature character) < sat(nj. existing) + tva('state of')
▼[mahāsattvāḥ] ① mahāsattvāḥ(nj.→ƾ.nom.pl.) → [위대함갖춘상태인]
② mahāsattva(nj. noble; very strong or powerful: ƾ. a large animal) < mahat(nj. great) <
mahat(nj. great, big, large; long, extended) < sat(nj. being, existing) + tva('state of')
▼[parameṇānugraheṇa] ① parameṇa(nj.→ƾ.ins.) + anugraheṇa(ƾ.ins.) → [최상의、
은총으로.]
② parama(nj. most distant, last; highest, best; extreme; worst)
② anugraha(ƾƿ. a favour, kindness; assistance, help) < anugrah(9.ǁ. to favour, oblige,
treat with kindness; cherish; to receive, welcome)
▼▷[parīnditāstathāgatena] ① parīnditāḥ(njp.→ƾ.nom.pl.) + tathāgatena(ƾ.ins.) → [힘이
실렸다、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② parīndita(nj. 힘실린, 咐囑된) < * + ita(past.pass.p.) < parīnd(1.ǁ. 힘을 실어주다) <
pari(ƺ. round, about) + ind(1.ǁ. to be powerful [occuring in the etymology of 'indra'])
▼[bodhisattvā] ① bodhisattvāḥ(ƾ.nom.pl.) → [깨달음갖춘이들은]
▼[mahāsattvāḥ] ① mahāsattvāḥ(nj.→ƾ.nom.pl.) → [위대함갖춘상태인]
▼[paramayā] ① paramayā(nj.→Ʒ.ins.) → [최상의]
② parama(nj. most distant, last; highest, best; extreme; worst)
▼[parīndanayā] ① parīndanayā(Ʒ.ins.) → [힘실어줌으로.]
② parīndanā(Ʒ. 힘실어줌, 咐囑) < parīndana(ƿ. gratification, present)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3일째]
피모단처제국토 $ 013▲阿伽羅阿伽羅為 一 ● 最勝, ○□□□□,無,有,有,不
□□□□□□□, 無量種類差別住,
有不可說異類剎, 有不可說同類剎。
□□□□□□□, 무량종류차별주,
유불가설이류찰, 유불가설동류찰。
彼毛端處諸國土,
저 터럭 끝에 있는 모든 세계들
한량없는 종류가 각각 다르니
말할 수 없이 많은 다른 종류와
말할 수 없이 많은 같은 종류며
[14째]
불가언설모단처 $ 014▲最勝最勝為 一 ● 摩婆(上聲呼)羅, ○□□□□,皆,種,種,於
□□□□□□□, 皆有淨剎不可說,
種種莊嚴不可說, 種種奇妙不可說。
□□□□□□□, 개유정찰불가설,
종종장엄불가설, 종종기묘불가설。
不可言說毛端處,
말할 수 없이 많은 터럭 끝마다
깨끗한 세계들을 말할 수 없고
가지가지 장엄도 말할 수 없고
가지가지 기묘함도 말할 수 없어
015□
●K0312_T1034.txt★ ∴≪A주오수≫_≪K0312≫_≪T1034≫
●K1054_T2146.txt★ ∴≪A중경목록≫_≪K1054≫_≪T2146≫
●K1056_T2148.txt★ ∴≪A중경목록≫_≪K1056≫_≪T2148≫
■ 암산퀴즈
207* 247
467636 / 598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13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2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13 번째는?
13 부처님의 설법을 많이 듣는 일을 증장시키며,
비바 로가스바참포, 毘婆<縛迦反>路迦插婆讖蒱<十三>
vyavaloka ksapa ksam bhu,
일일관찰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20 비로차야나구리야 ◐毘嚕遮耶那俱唎耶<百二十>◑vairocanaㆍkriya
121 도담 야라오스니사 ◐韜淡<吐炎>夜囉烏瑟尼<二合>沙<佛頂百二十一>◑arthoshṇishāṃ
122 비저람바마라차 ◐毘折藍婆摩邏遮<羅剎神女百二十二>◑vijrimbhaㆍmālāㆍ(ca).
123 바저라 가야가 ◐跋折囉<二合>迦那迦<金剛使者百二十三>◑vajraㆍkanaka
124 바라바기 차나 ◐鉢囉<二合>婆咾<去>遮那<蓮華神衆百二十四>◑prabhāㆍlocana
125 바저라 돈니차 ◐跋折囉<二合>敦尼遮<金剛擎山二十五>◑vajraㆍtundịㆍ(ca).
126 세미다차가마 락사 ◐稅尾多遮迦摩<引>囉<引>乞叉<二合百二十六>◑śvetaㆍcaㆍkamalāksha
127 사시바라 바예뎨리뎨 ◐舍施鉢囉<二合>婆翳帝夷帝<如是等百二十七>◑śaśiㆍprabhāㆍityeti//
128 모 다라 니아라 ◐母<引>陁囉<二合>尼揭拏<衆印可百><二十八>◑mudrāniㆍgana
129 사볘락 삼 ◐娑吠囉乞懺<二合一切護我百二十九>◑sarveㆍrakshāṃ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을 전하여
열반하신 뒤에 불법 일을 부탁하시어
끝까지 머물러 유지되게 하시고,
계율을 엄하고 깨끗이 하여
다 청정케 하시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13
모든 번뇌[垢染]를 여의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離一切垢染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51129
782
법수_암기방안
14 맥박~점(맥박뛰는곳) pulse
12 팔꿉 [elbow]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114_174300 :
장경각 자료 내 이야기
제목 :
홍각 등계를 추증하는 비명에 쓰는 서문[追加弘覺登階碑銘幷序]
임제(臨濟) 뒤 24세(世)에 적손(嫡孫)으로 부휴(浮休)가 있었는데,
부휴는 그의 호이고,
법명(法名)은 선수(善修)이다.
속성(俗性)은 김씨(金氏)로서,
옛 대방(帶方)191) 지역의 오수(獒樹) 사람이다.
그의 아버지 적산(積山)은 선대에 신라(新羅)의 대성(大姓)이었는데,
신라가 망하자 집안이 몰락하여 서민(庶民)이 되었다.
처음에 그의 어머니 이씨(李氏)가 아기를 갖지 못하였기에 답답한 마음에 이렇게 맹세를 하였다.
“만일 내가 아들을 낳으면 반드시 출가(出家)시키겠습니다.”
그리고 길가에 있는 오래된 돌멩이에 대고 쉬지 않고 기도하면서 열흘이 차도록 게으름을 피우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저녁에 어머니가 눈을 감고 있는데 어떤 신승(神僧)이 나타나 둥근 구슬 하나를 건네주었다.
어머니는 그것을 삼킨 뒤에 아기를 가졌고,
계묘년 2월 무자에 선사(禪師)를 낳았다.
대사는 어릴 때에도 그 어머니가 고기를 먹이면 싫다고 먹지 않으려 하였다.
어머니가 억지로 달래서 먹이더라도 겨우 말린 생선의 쪼가리나 먹을까 맛난 고기나 기름진 것은 맛도 보지 않았다.
그렇게 17세가 되었을 때에 그는 부모에게 이렇게 아뢰었다.
“뜬구름 같은 이 인생이 못내 고달픕니다.
저는 출가하겠습니다.”
그리고 바로 두류산(頭流山)으로 들어가 신명 장로(信明長老)에게서 머리를 깎고,
다시 부용(芙蓉) 대사를 뵙고는
대사의 경계[笆籬邊]192)를 모두 터득하였다.
부휴 스님의 생김새를 보면,
배는 희고 눈썹은 길며,
키는 크고 볼은 두툼하였는데,
다만 왼손을 잘 쓰지 못했었다.
법을 얻은 뒤에는 상국 노수신(相國盧守愼)의 집에서 그의 장서(藏書)를 빌려 공부하였으니,
7년 동안에 읽지 않은 책이 없었다.
그리고 글씨도 또한 굳세고 아름다워 종왕(鍾王)193)의 법을 본받았으니,
송운 유정(松雲惟政) 스님과 대적할 만큼 뛰어나 당시의 사람들이 이난(二難)이라고 불렀다.
일찍이 그 회하(會下)의 어느 납자(衲子)가
대사의 글씨 몇 자를 받아들고 가는 길에 왕도(王都)를 지나다가 글씨를 잘 쓰는 중국 사람[漢人] 한 사람을 만난 일이 있었다.
그 중국 사람에게
대사의 글씨를 내보였더니,
그는 한참 동안 물끄러미 바라보고는 이렇게 말하였다.
“글씨의 기운이 씩씩한 것이 옛사람들도 이렇게 쓰기는 어려웠겠다.
그러나 그 점과 획을 보아하니,
이것은 반드시 손을 다친 도인이 쓴 것이다.”
선조(宣朝) 임진년에 왜구(倭寇)가 우리나라를 침범하여 산야(山野)를 크게 짓밟았다.
그때 대사는 덕유산(德裕山)에 살면서 바위굴에서 피난하여 있었는데,
해가 저물자 도적이 다 지나간 줄 알고 시냇가의 길을 따라 암자로 돌아왔다.
그러자 왜적 수십 명이 숲 속에서 나오는 것이었다.
대사는 합장하고 서 있었다.
왜적은 곧 칼을 휘두를 기세를 취했으나 대사는 태연하게 움직이지 않았다.
왜적들은 기이하게 여겨 모두 늘어서서 절하고 흩어졌다.
난리가 평정된 뒤에 대사는 가야산으로 갔다.
마침 천장(天將)194) 이대인 종성(李大人宗城)이 중국 황제(皇帝)의 명령을 받고 관백(關白)195)을 봉(封)하려고 오던 길에 해인사에 들렀던 일이 있었다.
이대인은
대사를 한 번 만나보고는 문득 돌아갈 생각을 않고 절에 머물면서 며칠 동안 대사와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그 태도가 아주 정성스러웠다.
헤어질 때가 되자 이대인은 시 한 편을 지어 주면서 천리의 면목(面目)을 기약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대사는 다시 구천동(九千洞)으로 옮겨 숨어 살았다.
어느 날은 눈을 감고 『원각경(圓覺經)』을 외우는데,
독송이 미처 다 끝나기 전에 무언가 부스럭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대사가 눈을 떠 보자 큰 구렁이 한 마리가 섬돌 아래 누워 있는 것이었다.
대사는 독송을 그치고 일어나 한 발로 그 구렁이의 꼬리를 밟았다.
구렁이는 머리를 치켜들고 꿈틀거리다가 달아났다.
대사가 쫓아갔으나 이내 보이지 않았다.
그날 밤 꿈에 어떤 노인이 대사에게 절을 하고 이렇게 말하였다.
“스님의 설법을 힘입어 나는 이미 고통을 여의었습니다.”
대사의 신이(神異)함이 대개 이와 같았다.
광해군(光海君) 때에 대사는 두류산에 살고 있었는데,
때마침 어떤 미친 중의 모함을 입어 옥에 갇히고 말았다.
사건을 다스리던 관리는 대사의 기우 (氣宇)가 당당하고 말이 유창한 것을 보고 광해군에게 아뢰었다.
광해군은
대사가 억울하게 무고를 당한 것을 알아차리고,
이튿날 아침에 안으로 불러들였다.
광해군이 대사에게 도의 요점을 물어보고는 매우 기뻐하며 자란방포(紫襴方袍) 하나와 벽릉장삼(碧綾長衫) 하나,
그리고 녹기중유(綠綺重襦) 한 벌과 금강수주(金剛數珠) 한 개,
또 그 밖의 갖가지 보배 등 후한 예물을 하사하였으니,
하사한 물건들을 다 기록할 수 없을 만큼 많았다.
그리고 또 봉인사(奉印寺)에 재(齋)를 베풀고 스승을 증사(證師)로 보낼 때에는 궁중의 천리마(千里馬) 한 필(匹)을 내어 대사를 태우고 마부를 앞에 붙여 인도하게 하였다.
도성 안의 사람들이 다들 그를 바라보고 달려나와 절을 하기 위해서 뒤쳐지지 않으려고 하였다.
재를 마치고 돌아올 때에는 승려와 속인들이 앞을 다투어 번갈아 가마를 메고 돌아왔다.
대사는 평생의 그 높은 덕이 사방에 멀리 퍼져 재물을 바치는 사람의 수레가 뒤를 따랐으나 모두 흩어 버리고 한 물건도 가지지 않았다.
그 도량(度量)은 침착하고 굳세며 깊고 또 넓어 잴 수가 없었다.
인연 있는 많은 무리들이 모두 흠모해 모였으므로 대중이 7백 명이나 되었다.
만력(萬曆) 갑인,
대사의 나이 72세 되던 때에 조계산 송광사에서 방장산[方丈] 칠불암(七佛菴)으로 가서 수족(手足)들을 모두 모았다.
그리고 이듬해 가을 7월에 사소한 병을 앓게 되자,
그 수제자 벽암(碧嵓)을 불러 법을 부탁하였다.
“내 뜻은 그대에게 있네.
그대는 부디 힘쓰게.”
그리고 11월 초하루,
막 해가 질 때쯤에 목욕을 마치고는 시자(侍者)를 불러 종이와 붓을 가져오라 하여 게송 한 구절을 썼다.
73년 동안 허깨비 같은 바다[幻海]에서 놀았더니
이제는 껍질을 벗고 근원으로 돌아가려네.
텅 비어서 원래 아무 물건도 없으니
어디에 또 깨달음[菩提]과 생사의 뿌리가 있을까.
게송을 마치고 담담히 세상을 떠나니,
세상 나이는 73세였고,
승랍은 57세였다.
그의 문인(門人)들이 다비하고 영골(靈骨)을 거두어 네 곳에 부도(浮屠)를 세웠으니,
해인사와 송광사와 칠불암과 백장사(百丈寺)이다.
그 후 5년 뒤에 광해군이 홍각등계(弘覺登階)라는 호를 추증하였다.
출전: [승가학회CD,
동국대불교학과 자료집DVD]
장경각 1경전-
대각등계집(大覺登階集) 전 4권 조선 처능(處能) 한국불교전서 08책 ≪H0165≫
(abc본)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고양이 등 펴기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7-수
♥Free Faculties of Philosophy and Psychology France
[사진] https://www.google.co.kr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공유
[거리뷰1] https://maps.app.goo.gl
[세계내-위치] https://www.google.nl
[설명 1] https://en.wikipedia.org
[설명 2]
[동영상 1] https://youtu.be
French flock to philosopher's free 'university of the people'
[동영상 2]
[현지음악]
[위키 그림 감상]
위키피디아: en.wikipedia.org/wiki/M._C._Escher
○ 2016_1008_141009_can
○ 2016_1008_141125_can
○ 2016_1008_141609_can
○ 2016_1008_150248_can
○ 2016_1008_150539_can
○ 2018_0418_150939_can
○ 2018_0419_125824_can
○ 2018_0419_140219_can
○ 2018_0419_140710_can
○ 2020_0525_165404_nik
○ 2020_0525_170137_nik
○ 2020_0525_174532_can
○ 2020_0525_174703_can
○ 2020_0525_183728_can
○ 2020_0606_184110_can
○ 2020_0606_185949_can
○ 2022_0411_161443_can_exc_s12장안벚꽃길
○ 2022_0411_152650_can_exc_s12장안벚꽃길
○ 2023_0331_185920_can_exc_s12꽃, 장식
● [pt op tr] fr
_M#]
○ 2023_0522_130247_can_exc서울장미축제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중경목록_K1054_T214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중경목록 제5권/전체7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9-01-13_중경목록-K1054-00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1/2569-01-13-k1054-005.html
sfed--중경목록_K1054_T2146.txt ☞중경목록 제5권/전체7권
sfd8--불교단상_2569_01.txt ☞◆vwlt6210
불기2569-01-13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725759277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24
htmback--불기2569-01-13_중경목록_K1054_T2146-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