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담팔건도론』
K0943
T1543
아비담팔건도론 제5권/전체3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아비담팔건도론』
♣0943-005♧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11358_nik_exc
○ 2019_1106_125049_nik_fix
○ 2019_1105_111428_can_exc
○ 2019_1105_165035_can_exc
○ 2019_1201_153621_can_exc_s12
○ 2020_0211_134502_can_exc_s12
○ 2020_0905_141602_nik_ori_rs
○ 2020_0908_171256_nik_ori_rs
○ 2020_0910_121832_nik_ori_rs
○ 2020_0910_142942_nik_ori_rs
○ 2020_0910_183428_can_ori_rs
○ 2020_1002_125025_nik_fix
○ 2020_1017_150830_can_exc
○ 2020_1017_162603_nik_exc_s12
○ 2020_1017_165235_nik_ori_rs
○ 2018_1022_134755_can_exc
○ 2019_0106_153953_nik_ori
● [pt op tr] fr
_M#]
○ 2019_1104_112317_can_fix
❋❋본문 ♥ ◎[개별논의]
★%★
『아비담팔건도론』
♣0943-005♧
◎◎[개별논의] ♥ ❋본문
★1★
◆vokn2538
◈Lab value 불기2568/02/07 |
♥Zhashkiv ,Ukraine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02/2568-02-07-k0943-005.html#2538 sfed--아비담팔건도론_K0943_T1543.txt ☞아비담팔건도론 제5권/전체30권 sfd8--불교단상_2568_02.txt ☞◆vokn2538 불기2568-02-07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범】samāpatti 정(定)의 일명. 삼마발제(三摩鉢提ㆍ三摩拔提)라고도 함. 등지(等至)라 번역. 정을 등지라 함은 등(等)은 정력(定力)에 의하여 혼침(惛沈)ㆍ도거(掉擧)의 번뇌를 여의고, 마음이 평등 평정(平靜)함을 말함. 정력이 이런 상태에 이르게 하므로 지(至)라 함.
답 후보
● 삼마발저(三摩鉢底)
삼명(三明)
삼밀(三密)
삼법전전인과동시(三法展轉因果同時)
삼삼매(三三昧)
삼생(三生)
삼성(三聖)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Anna Prucnal - Le Diner D'adieu
Barbara - La Femme D'hector
Herbert Léonard - Julie Pietri - Amoureux Fou
Mireille Mathieu - La Fete A La Galette
Yves Montand - Le Chef D'orchestre Est Amoureux
Dave - A Toi
Julien Clerc - Au Bout Du Mond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冬 ■ ( 겨울 동 / 북소리 동)
038▲ 句丘冬令立 ■ 구구동령립 38 ( 글귀 구/ 올가미 구, 글귀 귀 ) ( 언덕 구 )( 겨울 동 / 북소리 동) ( 하여금 령 / 영) (설 립 / 입, 자리 위 )
039▲ 末皿矛母目 ■ 말명모모목 39 ( 끝 말 )(그릇 명 )( 창 모 )(어머니 모 / 없을 무 )(눈 목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Zazen
[san-chn] phala-vipāka 果及異熟, 果報, 果異熟
[san-eng] śukra $ 범어 ṭhe planet Venus. ṭhe word means Semen or Sexual Secretions
[pali-chn] vohāra 俗事, 隨言說
[pal-eng] tantissara $ 팔리어 m.string of music; sound of lute.
[Eng-Ch-Eng] 佛大先 Buddhasena (5th c. CE); an Indian Sarva^stiva^din 有部 master from Kashmir 罽賓國. Also written 佛馱先 and 佛陀斯那.
[Muller-jpn-Eng] 千手合薬經 センシュゴウヤクキョウ (title) Sutra on the Use of Medicinal Herbs for Healing by the Thousand-eyed Avalokiteśvara
[Glossary_of_Buddhism-Eng] NONREGRESSION☞
See: Non-Retrogression.
[fra-eng] mise en plis $ 불어 water wave
[chn_eng_soothil] 禪林 Grove of meditation, i.e. a monastery. Monasteries as numerous as trees in a forest. Also 禪苑.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8일째]
피제장엄불가설 $ 038▲毘覩羅毘覩羅為 一 ● 奚婆(上)羅, ○□□□□,彼,彼,彼,所
□□□□□□□, 彼諸神力不可說,
彼諸自在不可說, 彼諸神變不可說。
□□□□□□□, 피제신력불가설,
피제자재불가설, 피제신변불가설。
彼諸莊嚴不可說,
여러 가지 장엄도 말할 수 없고
저 여러 신통한 힘 말할 수 없고
여러 가지 자재함도 말할 수 없고
여러 가지 신통 변화 말할 수 없어
[39째]
소유신통불가설 $ 039▲奚婆羅奚婆羅為 一 ● 伺察, ○□□□□,所,所,所,清
□□□□□□□, 所有境界不可說,
所有加持不可說, 所住世間不可說。
□□□□□□□, 소유경계불가설,
소유가지불가설, 소주세간불가설。
所有神通不可說,
갖고 있는 신통을 말할 수 없고
갖고 있는 경계도 말할 수 없고
갖고 있는 가지함도 말할 수 없고
세간에 머무름도 말할 수 없어
●K1026_T1557.txt★ ∴≪A아비담오법행경≫_≪K1026≫_≪T1557≫
●K0943_T1543.txt★ ∴≪A아비담팔건도론≫_≪K0943≫_≪T1543≫
●K0791_T0508.txt★ ∴≪A아사세왕문오역경≫_≪K0791≫_≪T0508≫
■ 암산퀴즈
388* 934
93562 / 574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38 번째는?
자비주 38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38 번째는?
38 기쁨․즐거움․재물․보배 등을 증장시키고,
타계, 託契<三十八>
takki
(이하~) 현세의 왕이시여! 지옥과 불에 떨어진 이들을 보호하고 보호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8
여인이
아기를 낳는 어려움에 처하여
삿된 귀신이 장애를 놓아
고통스럽고 참기 어려울 때
지성으로 대비주를 소리내 외우면
귀신은 물러나
흩어지고 편안히 낳게 되리라.
● 아라삼불라사리 阿囉嘇佛囉舍利<三十八> a rṣaṃ pra ca li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38
미보라톄 아
尾布羅諦<引>惹<三十八>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362392
163
법수_암기방안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38 정강이[Shin]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8_0207_233554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12) 석혜안(釋慧安)
혜안은 어디 사람인지 확실하지 않다.
거친 음식을 먹으면서,
간절한 정성을 기울여 배움이 경전의 논리에 통달하였다.
아울러 설법을 잘하였다.
또한 오로지 계율을 지켜 칭송을 받았다.
40여 만 글자의 경전을 암송하였다.
여산(廬山)의 능운사(陵雲寺)에 머물렀다.
배우는 무리들이 구름같이 모여들고,
천 리 밖에서도 바람처럼 따랐다.
항상 지팡이 하나를 손에 쥐고 말하였다.
“이것은 서역의 승려가 보시한 지팡이다.”
지팡이의 빛과 색깔은 현란하였다.
또한 자못 향기도 감돌았다.
지팡이 위쪽에 범어로 된 글[梵書]이 새겨 있었다.
그러나 아무도 글 뜻을 아는 이가 없었다.
그 후 관중에 들어가 구마라집을 찾아뵈었다.
쥐던 지팡이도 스스로 그를 따라왔다.
구마라집이 그 지팡이를 보고 놀랐다.
“이 지팡이가 여기에 있었나?”
이어 그 범어 글자를 번역하였다.
“본래 천축국의 사라림(娑羅林)에서 태어났다.
남방이 어지러워지면 초야에 의지하여 일어나리라.
후에 구마라집을 만나면 도의 가르침이 융성해질 것이다.”
혜안은 그 후 지팡이를 외국 승려 바사나(波沙那)에게 선물하였다.
바사나는 이것을 가지고 서역으로 돌아갔다.
혜안은 전송의 원가(元嘉) 연간(424~452)에 산의 절에서 세상을 마쳤다.
출전:
한글대장경 K1074_T2059
고승전(高僧傳) 양 혜교찬
高僧傳 【梁 慧皎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옆으로 누운 휴식 자세

○ 2016_1008_133711_nik_ct27

○ 2016_1008_150229_can_exc

○ 2016_1008_150248_can_ar45

○ 2016_1008_150327_can_ab2

○ 2016_1008_150338_can_exc

○ 2018_0419_123415_can_exc

○ 2018_0419_125648_nik_ct27

○ 2018_0419_125740_can_ct27

○ 2018_0419_132407_can_ct27

○ 2018_0419_135128_can_ct27

○ 2018_0419_140802_can_ct27

○ 2018_0419_141030_can_ab16

○ 2020_0525_165452_nik_ar43

○ 2020_0525_171836_can_exc

○ 2020_0525_190232_can_ab6

○ 2020_0525_190440_can_exc

○ 2020_0606_172753_can_bw17

○ 2022_0411_154251_nik_BW25
● [pt op tr] fr
_M#]

○ 2022_0411_152101_can_BW21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아비담팔건도론_K0943_T1543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아비담팔건도론 제5권/전체3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8-02-07_아비담팔건도론-K0943-00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02/2568-02-07-k0943-005.html
sfed--아비담팔건도론_K0943_T1543.txt ☞아비담팔건도론 제5권/전체30권
sfd8--불교단상_2568_02.txt ☞◆vokn2538
불기2568-02-07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347581357
https://buddhism007.tistory.com/18499
htmback--불기2568-02-07_아비담팔건도론_K0943_T1543-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