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3월 25일 화요일

대방광불화엄경-k0080-027


『대방광불화엄경』


K0080
T0279

대방광불화엄경 제27권/전체8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3-25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080_T0279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대방광불화엄경』 ♣0080-027♧




대방광불화엄경 제27권/전체8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03017_nikon_exc▾화순 영구산 운주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1145_canon_exc_s12▾순천 조계산 송광사

양산 영축사
○2020_0907_124251_nikon_ori_rs▾양산 영축사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2019_0106_163128_nikon_exc▾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구례 화엄사
○2019_1104_101428_canon_fix▾구례 화엄사

구례 화엄사 연기암
○2019_1104_143758_nikon_exc_s12▾구례 화엄사 연기암

구례 연곡사
○2019_1104_172903_nikon_exc▾구례 연곡사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51230_canon_exc▾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서울_도봉산_망월사
○2019_0106_160644_canon_exc▾서울_도봉산_망월사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112_143108_nikon_exc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서산_간월암_간월사
○2021_0217_171610_nikon_exc_s12▾서산_간월암_간월사

진안_마이산_탑사
○2016_0412_160059_nikon_exc_s12▾진안_마이산_탑사

완주_송광사
○2014_0407_123748_nikon_exc▾완주_송광사

삼척_두타산_천은사
○2021_0930_110034_canon_exc_s12▾삼척_두타산_천은사

안성_서운산_석남사
○2021_0215_173454_nikon_exc▾안성_서운산_석남사

정읍_내장산_내장사
○2017_1107_100705_nikon_exc▾정읍_내장산_내장사

안동_천등산_봉정사
○2021_1001_110938_canon_exc_s12▾안동_천등산_봉정사

강화도_전등사
○2021_0216_143208_nikon_exc▾강화도_전등사

여수_금오산_향일암
○2021_1005_115446_nikon_exc▾여수_금오산_향일암

● [pt op tr] fr
_M#]


부안_능가산_개암사
○2021_1007_162034_nikon_exc▾부안_능가산_개암사



❋❋본문 ◎[개별논의]

★%★

『대방광불화엄경』 ♣0080-027♧
대방광불화엄경 해제 (있는 경우)

대방광불화엄경 027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lvg1431
◈Lab value 202110071620


○ 2018_1023_161757_nik_Ab15.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Katsushika-Hokusai-manga-6
[#M_▶더보기|◀접기|
Artist: Katsushika-Hokusai
from https://en.wikipedia.org/wiki/Hokusai
Title : manga-6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6_1008_150219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iraspoljet
[#M_▶더보기|◀접기|

Aviation in Moldova
Mikoyan-Gurevich MiG-19
Tiraspol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American Bodhi Center, Waller County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Juliette Greco - La Petite Auto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3/k0080-027.html#1431
sfed--대방광불화엄경_K0080_T0279.txt ☞대방광불화엄경 제27권/전체80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lvg1431
불기2569-03-25
θθ





■ 퀴즈


 ↔실대승(實大乘). 

권교대승(權敎大乘)ㆍ대승권교ㆍ권대(權大)라고도 한다. 부처님이 근성이 향상하지 못하여 여래의 진실한 교법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중생을 위하여, 그를 진실교에 끌어들이려는 방편 수단으로 권(權)으로 말한 아직 진실한 뜻을 나타내지 않은 대승 교법을 말한다. 법상(法相)ㆍ삼론(三論) 등의 교의(敎義)를 말하는 것이다.

답 후보
● 권대승(權大乘)
규환지옥(呌喚地獄)
근(根)

근본혹(根本惑)
근책남(勤策男)
금강권(金剛拳)
금강륜삼매(金剛輪三昧)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Aldebert - L'appetit Du Bonheur
Julien Dore - Bleu Canard
Lynda Lemay - Le Petit Chalet De Bois
Albin De La Simone - Vanessa Paradis - Adrienne
Marie-Paule Belle - Attendez Que Ma Joie Revienne
Patrick Bruel - Meme Si On N'est Fou
Serge Gainsbourg - La Nostalgie Camarade Feat. Simon Splinta In Man A Beg Fe Lif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06▲ 十乂又二人 ■ 십예우이인 6 ( 열 십 )( 벨 예 / 징계할 애 )( 또 우 / 용서할 유 )( 두 이 )( 사람 인 )
019▲ 犬开幵公戈 ■ 견개견공과 19 ( 개 견 )( 열 개 / 평평할 견 )( 평평할 견 )( 공평할 공 )( 창 과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Lama
[san-chn] snigdha-bhāva 柔軟
[san-eng] prathitaḥ $ 범어 celebrated
[pali-chn] dukkaṭa 惡作, 突吉羅
[pal-eng] nidasseti $ 팔리어 ni + dis + epoints out; explains; defines.
[Eng-Ch-Eng] 同事 (1) To cooperate, to work together, to help each other. (2) To participate in the affairs of sentient beings in order to help them.
[Muller-jpn-Eng] 夜叉女 ヤサニョ (foreign) a female yakṣa
[Glossary_of_Buddhism-Eng] FLOWER STORE WORLD☞
See also: Cosmos; Avatamsaka School.
The entire cosmos, consisting of worlds upon worlds ad infinitum,
as described in the Avatamsaka Sutra. It is the realm of Vairocana
Buddha, the transcendental aspect of Buddha Sakyamuni and of all
Buddhas. The Saha World, the Western Pure Land and, for that matter, all lands and realms are within the Flower Store World.
Editor / Tam: 151 #0893

[fra-eng] embrouillage $ 불어 muddle
[chn_eng_soothil] 月王 Moon-king, 設賞迦 Śaśāṇka, a ruler of Karṇasuvarṇa, who tried to destroy the bodhidruma, Buddha's tree; dethroned by Śīlādity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佛告須菩提: 「若善男子善女人, 於此經中, 乃至受持四句偈等, 爲他人說,
而此福德, 勝前福德.」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녀인이 이 경에
서 4구게(四句偈) 만이라도 받아지니고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주면 그 복덕
은 앞에서 칠보로 보시한 복덕보다 더 수승(殊勝)하니라.”
[玄奘] 佛復告善現: 「若以七寶盛滿爾所沙等世界, 奉施如來、應、正等覺;
若善男子或善女人, 於此法門乃至四句伽他, 受持、讀誦、究竟通利,
及廣為他宣說開示、如理作意. 由此因緣所生福聚, 甚多於前無量無數.
[義淨] 妙生, 若復有人, 於此經中受持一頌, 并為他說, 而此福聚勝前福聚無量無邊.
11-05 भगवानाह- यश्च खलु पुनः सुभूते स्त्री वा पुरुषो वा तावतो लोकधातून् सप्तरत्नपरिपूर्णं कृत्वा तथागतेभ्योऽर्हद्भयः सम्यक्संबुद्धेभ्यो दानं दद्यात्, यश्च कुलपुत्रो वा कुलदुहिता वा इतो धर्मपर्यायादन्तशश्चतुष्पादिकामपि गाथामुद्गृह्य परेभ्यो देशयेत् संप्रकाशयेत्, अयमेव ततोनिदानं बहुतरं पुण्यस्कन्धं प्रसुनुयादप्रमेयमसंख्येयम्॥११॥
bhagavānāha | yaśca khalu punaḥ subhūte strī vā puruṣo vā tāvato
lokadhātūn saptaratnaparipūrṇaṁ kṛtvā tathāgatebhyo'rhadbhyaḥ
samyaksambuddhebhyo dānaṁ dadyāt | yaśca kulaputro vā kuladuhitā veto
dharmaparyāyādantaśaścatuṣpādikāmapi gāthāmudgṛhya parebhyo vistareṇa
deśayetsamprakāśayet | ayameva tatonidānaṁ bahutaraṁ puṇyaskandhaṁ
prasunuyādaprameyamasaṁkhyeyam ||11||
복덕갖춘분께서 말씀하셨다. “그리고 참으로 다시, 수보리여! 어떤 여자거나 남자가
그만큼의 세계영역들을 일곱 가지 보석으로 가득 차게 만들고 응당공양올려야될분들이자
바르고동등하게깨달으신분들인 그렇게오신분들을 위해 보시를 드릴 수 있더라도, 다시
어떤 귀족자제거나 귀족여식이 이 법문에서 단지 네 구절로 된 게송만 가지고라도 다른
이들을 위해 상세하게 가르쳐줄 수 있고 설명해줄 수 있다면, 이것이 오직 그 원인이
되어 측량할 수 없고 헤아릴 수 없는 더욱 많은 공덕무더기를 생성해낼 수 있다.”
▼▷[bhagavānāha] ① bhagavān(ƾ.nom.) + āha(ƺ.) → [복덕갖춘분께서、 말씀하셨다.]
▼▷[yaśca] ① yaḥ(pn.ƾ.nom.) + ca(ƺ.) → [그리고、 (어떠한) 그인]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punaḥ] ① punaḥ(ƺ.) → [다시]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strī] ① strī(Ʒ.nom.) → [여자가]
▼[vā] ① vā(ƺ.) → [또는]
▼[puruṣo] ① puruṣaḥ(ƾ.nom.) → [남자가]
▼[vā] ① vā(ƺ.) → [또는]
▼[tāvato] ① tāvataḥ(nj.→ƾ.acc.pl.) → [그만큼인]
② tāvat(nj. so much, so many; so great, so large: ƺ. first; just, now; indeed; truly)
▼[lokadhātūn] ① lokadhātūn(ƾ.acc.pl.) → [세계영역들을]
▼[saptaratnaparipūrṇaṁ] ① sapta+ratna+paripūrṇaṁ([nj.→]ƿ.acc.→adv.) → [일곱
보석으로 가득 차게]
▼[kṛtvā] ① kṛtvā(ger.) → [만들고]
▼[tathāgatebhyo'rhadbhyaḥ] ① tathāgatebhyaḥ(ƾ.dat.pl.) + arhadbhyaḥ(nj.→ƾ.dat.pl.) →
▼[그렇게오신분들을 위해、 응당공양올려야될]
▼[samyaksambuddhebhyo] ① samyaksambuddhebhyaḥ(nj.→ƾ.dat.pl.) →
▼[바르고동등하게깨달으신]
▼[dānaṁ] ① dānaṁ(ƿ.acc.) → [보시를]
② dāna(ƿ. giving, granting, teaching; delivering, handing over; a gift, donation)
▼[dadyāt] ① dadyāt(pot.Ⅲ.sg.) → [드릴 수 있다. → 드릴 수 있더라도,]
② dā(1.ǁ. to give, bestow, grant: 2.ǁ. to cut: 4.ǁ. to bind: 3.dž. to give, bestow, grant)
▼▷[yaśca] ① yaḥ(pn.ƾ.nom.) + ca(ƺ.) → [그리고(→다시)、 (어떠한) 누구인]
▼[kulaputro] ① kulaputraḥ(ƾ.nom.) → [貴族子弟가]
② kulaputra(ƾ. a noble­born youth man) < kula(ƿ. a race, family) + putra(ƾ. a son)
▼[vā] ① vā(ƺ.) → [또는]
▼[kuladuhitā] ① kuladuhitā(Ʒ.nom.) → [貴族女息이]
② kuladuhitṛ(Ʒ.) = kulaputrī(Ʒ. a noble­born youth woman)
▼[veto] ① vā(ƺ.) + itaḥ(ƺ.) → [또는、 이(로부터)]
② itas(ƺ. hence, from here or hence; from this person; in this direction towards me)
▼[dharmaparyāyādantaśaścatuṣpādikāmapi] ① dharma+paryāyāt(ƾ.abl.) + antaśaḥ(adv.)
+ catur+pādikām(nj.→Ʒ.acc.) + api(ƺ.) → [법문으로부터、 내지는、 네 구절로 된、
단지]
▼[gāthāmudgṛhya] ① gāthām(Ʒ.acc.) + udgṛhya(ger.) → [게송을、 가지고] → 게송을
가지고라도…
② gāthā(Ʒ. verse; a religious verse; a stanza; a song) < gātha(nj. a song, singing) <
gai(1.ǁ. to sing, sing a song; to speak or recite in a singing tone; to relate, declare) |
gā(1.2.Ʋ.3.ǁ. to go; to come to any state or condition; to praise, sing)
② udgrah(9.dž. to take up, lift up; to take or draw out, take away; to deposit)
▼[parebhyo] ① parebhyaḥ(ƾ.dat.pl.) → [다른 이들을 위해]
② para(nj. different: ƾ. another person, foreigner; an enemy: ƿ. the highest point)
▼[vistareṇa] ① vistareṇa(ƾ.ins.→adv.) → [상세함으로 → 상세하게]
② vistara(ƾ. extension, expansion; minute details, detailed description; diffuseness) <
vi(ƺ. separation, disjunction) + stṛ(5.dž. to spread, strew, cover; to expand, diffuse; to
scatter, spread about) |or| viśaṣa(nj. peculiar, special) + √stṛ
▼[deśayetsamprakāśayet] ① deśayet(caus.pot.Ⅲ.sg.) + samprakāśayet(caus.pot.Ⅲ.sg.) →
▼[가르쳐주고자 하고、 보여주고자(→설명해주고자) 한다.] → ~ 한다면…
② deśay(caus. to show, point out; to teach, communicate, inform; to direct, order) <
diś(6.dž. to point out, show, exhibit; to assign, allot; to give, grant)
② saṁ(ƺ. with) + prakāśay(caus. to show, display) < prakāś(1.Ʋ. to shine, gleam; to
become visible or manifest)
▼▷[ayameva] ① ayam(pn.ƾ.nom.) + eva(ƺ.) → [이것이、 오직]
 ‘이것’이란 前述 2가지 사항 가운데 문장의 위치로 보아 가까운 것을 지칭한다.
▼[tatonidānaṁ] ① tataḥ(ƺ.) + nidānaṁ(ƿ.acc.→adv.) → [그것으로부터、 까닭하여 →
그것이 원인이 되어]
② tatas(ƺ. from that, thence; then, thereupon; therefore)
② nidāna(ƿ. a band, rope, halter; a primary cause, the first or essential cause; a cause)
▼[bahutaraṁ] ① bahu+taraṁ(nj.→ƾ.acc.) → [더욱 많은]
▼[puṇyaskandhaṁ] ① puṇya+skandhaṁ(ƾ.acc.) → [공덕무더기를]
▼[prasunuyādaprameyamasaṁkhyeyam] ① prasunuyāt(pot.Ⅲ.sg.) +
aprameyam(nj.→ƾ.acc.) + asaṁkhyeyaṁ(nj.→ƾ.acc.) → [생성해낼 수 있다、 측량할
수 없는、 헤아릴 수 없는.]
② prasu(1.ǁ.2.4.Ʋ. to beget, generate, produce; to bring forth, be delivered of)
② aprameya(nj.[pot.p.] immeasurable, boundless; inscrutable, unfathomable)
② asaṁkhyeya(nj.[pot.p.] innumerable: ƿ. an exceedingly large number)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84일째]
지기근성불가설 $ 084▲迦麼羅迦麼羅為 一 ● 摩伽婆, ○□□□□,知,雜,觀,變

□□□□□□□, 知其解欲不可說,
雜染清淨不可說, 觀察調伏不可說,
□□□□□□□, 지기해욕불가설,
잡염청정불가설, 관찰조복불가설,

知其根性不可說,
근성을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지해 욕망 아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더럽고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관찰하고 조복함을 말할 수 없고

085□

[85째]
변화자재불가설 $ 085▲摩伽婆摩伽婆為 一 ● 阿怛羅, ○□□□□,現,修,度,示

□□□□□□□, 現種種身不可說,
修行精進不可說, 度脫眾生不可說,
□□□□□□□, 현종종신불가설,
수행정진불가설, 도탈중생불가설,

變化自在不可說,
변화가 자재함을 말할 수 없고
온갖 몸 나타냄도 말할 수 없고
수행하고 정진함도 말할 수 없고
중생을 제도함도 말할 수 없고





●K0079_T0278.txt★ ∴≪A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
●K0080_T0279.txt★ ∴≪A대방광불화엄경≫_≪K0080≫_≪T0279≫
●K1262_T0293.txt★ ∴≪A대방광불화엄경≫_≪K1262≫_≪T0293≫


■ 암산퀴즈


816* 640
367037 / 671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19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9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84 번째는?




19 대승의 바른 길에 나아가는 것을 증장시키며,
사살다라바 참포, 舍薩多臘婆<縛迦反>讖蒱<十九>
shasta lava ksam bhu.
회합(會合)의 지장보살님이시어!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90 단다슈람 ◐檀多輸藍<齒痛三百九十>◑dantaㆍśūlaṃ
391 길리타야슈람 ◐頡哩馱耶輸藍<心痛三百><九十一>◑hridayaㆍśūlaṃ
392 마마슈람 ◐末摩輸藍<盧鉗反三百九十二>◑marmaㆍśūlaṃ
393 바라시바슈람 ◐跋囉㗌婆輸藍<肋痛三百九十三>◑pārśvaㆍśūlaṃ
394 배리스타슈람 ◐背哩瑟咤輸藍<背痛三百九十四>◑prishṭhaㆍśūlaṃ
395 오타라슈람 ◐烏馱囉輸藍<盧紺反腹痛三百九十五>◑udaraㆍśūlaṃ
396 단지슈람 ◐羶知輸藍<腰痛三百九十><六>◑kaṭiㆍśūlaṃ
397 바싣뎨슈람 ◐跛悉帝輸藍<裸骨痛三百九十七>◑vastiㆍśūlaṃ
398 오 로슈람 ◐鄔<上>嚧輸藍<腿䏶><痛三百九十八>◑ūruㆍśūlaṃ
399 상가슈람 ◐常伽輸藍<腕痛三百九十九>◑jaṅghāㆍśūlaṃ

●뿐만 아니라
일체 나쁜 별들이 곳을 따라
나타내는 괴변(怪變)을 진압하여,
재앙의 장애가 일어나지 않으니,
사람들은 횡액이나 요절[橫夭]을 당하는 일이 없고,
칼과 고랑으로 그 몸을 묶는 일도 없고,
밤과 낮이 편안하여 잠잘 때도 나쁜 꿈이 없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84
성문(聲聞)을 조복시키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調伏聲聞者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522240
547
법수_암기방안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84 가자미근
85 고관절(股關節) 각서(coxa 영어발음)= a hip joint
19 자뼈 (알너 - ULNA)

5 목 ●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326_005708 :

한국불교전서 내 이야기

제목 :
78.
앙산 혜적(仰山慧寂)



어느 날 앙산(仰山) 선사가 향엄(香嚴)64) 스님을 만나 이렇게 물었다.
“요즈음 사형께서 깨달으신 경지는 어떻소?”
향엄이 대답하였다.
“내가 깨달은 경지는 ‘인식의 대상이 될 법은 단 하나도 없다’는 것이오.”
“그대의 견해는 아직 경계에 머물러 있구려.”
향엄이 말하였다.
“나는 그렇다고 치고,
그럼 사형께서는 어떻소?”
앙산이 말하였다.
“그대는 어찌 인식의 대상이 될 법이 단 하나도 없다는 것을 모르오?”

【한문원문】
仰山一日見香嚴 乃問近日師兄見處如何 嚴云據我見處 無一物可當情 師云你解猶在境 嚴云某甲只如是 師兄又作麽生 師云你豈無能知無一法可當情者



출전:
한국불교전서 06책 H0100
고려 ∴경한(景閑)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2권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물고기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7-수
♥Vargas spain
Vargas 39679, Cantabria, 스페인
[사진] https://maps.app.goo.gl
[지도내 사진]
[거리뷰1]
[세계내-위치]
[설명 1] https://en.wikipedia.org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en.wikipedia.org
002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歸命一切如來應正等覺二>◑arhate samyaksaṃbuddhāsya//


○2018_0722_123550_canon_ab12


○2019_1106_141435_nikon_bw24


○2019_1106_153516_nikon_ct19


○2019_1106_124649_canon_AB7


○2019_1106_161237_canon_Ar26_s12


○2019_1004_150702_canon_Ab27


○2019_1004_174145_canon_Ar28


○2019_1004_142105_canon_exc


○2019_1004_145359_nikon_bw4


○2020_0907_161232_canon_ar45


○2020_0908_155548_nikon_ct9


○2020_0909_142152_nikon_BW25


○2020_0907_155032_nikon_CT27


○2020_1017_173416_canon_BW22


○2018_1023_140437_canon_Ar12


○2018_1023_152009_canon_ar24


○2020_1126_153825_nikon_ct18_s12


○2020_1126_160949_nikon_ct9_s12


○2019_1104_173150_nikon_ct8

● [pt op tr] fr
_M#]



○2020_0910_132548_canon_BW27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방광불화엄경_K0080_T0279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대방광불화엄경』 ♣0080-027♧
[관련키워드]
대방광불화엄경 제27권/전체8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대방광불화엄경-K0080-027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3/k0080-027.html
sfed--대방광불화엄경_K0080_T0279.txt ☞대방광불화엄경 제27권/전체80권
sfd8--불교단상_2569_03.txt ☞◆vlvg1431
불기2569-03-25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09890599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06
htmback--불기2569-03-25_대방광불화엄경_K0080_T0279-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