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2년 12월 31일 토요일

선종_meditation-school



【선종
[한문]禪宗
[영어]the zen school ; the meditation school】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03514_nik_fix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05521_nik_fix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62102_nik_exc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5_115512_can_exc_s12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33355_can_exc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65513_can_exc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201_164143_nik_fix 원주 구룡사


○ 2020_0211_134833_can_exc_s12 불암산 천보사


○ 2020_0904_134601_nik_ori_rs 원주 구룡사


○ 2020_0909_143322_can_ori_rs 무주 백련사


○ 2020_0910_132000_nik_ori_rs 속리산 법주사


○ 2020_0930_143139_nik_ori_rs 화성 용주사


○ 2020_1002_124606_nik_exc_s12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18_1024_163400_nik_ori 부여 고란사


○ 2018_1024_180057_nik_ori 부여 고란사


○ 2020_1114_151733_can_ori 삼각산 도선사


○ 2019_1104_100545_can_exc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33717_can_exc_s12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19_1104_161548_nik_exc 구례 쌍계사부근


● [pt op tr] fr
_M#]






○ 2019_1104_161756_can_exc_s12 구례 쌍계부근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선종

선종[한문]禪宗[영어]the zen school ; the meditation school
좌선을 수행법으로 채택하여,
내적 관찰 또는 자기 성찰로 마음의 본성을 깨닫고자 하는 종파.

서기 517년 또는 527년 인도의 보리달마(菩提達磨)에 의해 중국에 전해졌다.
인도로부터의 전승 계보를 따지면 보리달마는 28대째 조사라고 하나
역사적 사실로는 분명하지 않다.

중국 선종의 전승 계보에서는 달마를 초조(初祖)로 삼고
혜가(慧可) 이하 세 선사를 거쳐 제5조 홍인(弘忍) 밑에서 남북 양종으로 분파되었다.

남종 혜능(慧能,
638~713)의 계보에서
청원(靑原)과 남악(南嶽)의 두 계통이 출현했다.

다시 청원의 후계로 조동종(曹洞宗)을 비롯한 운문종(雲門宗)과 법안종(法眼宗),
남악의 후계로 임제종(臨濟宗)과 위앙종(潙仰宗)의 여러 종파가 출현하여
선종은 크게 융성했다.

개괄하면 당(唐) 시대에서 송(宋) 시대에 걸쳐 임제,조동,위앙,운문,법안의 5가(家)로 갈리고,
다시 임제로부터 황룡(黃龍),양기(楊岐)의 2파가 갈리는데,
이것들을 모두 합하여 오가칠종(五家七宗)이라고 한다.
북종은 8세기 말엽에 쇠멸했으나
여기서는 우두종(牛頭宗)이 분파되었다.

또 남북 양종과는 별도로 
홍인 문하의 혜안(慧安, 582~709)을 시조로 하는 정중종(淨衆宗)이 있었고,
이 계통을 이은 무상(無相)의 제자 무주(無住)는 보당종(保唐宗)을 열었다.

이 밖에 남종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북종을 공격했던
신회(神會, 668~760)는 하택종(荷澤宗)을 열었다.
8세기에 번창했던 하택종이 쇠망한 이후엔
회양(懷讓, 677~744) 문하에서 홍주종(洪州宗)이 형성되었다.

[동]불심종(佛心宗) , 선문(禪門) , 선불교(禪佛敎).
[opp]반}교종(敎宗).[abr]
약}선(禪).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선종

[한문]禪宗
불심종(佛心宗)이라고도 함.
달마대사가 중국에 전한 종지(宗旨).
교외별전(敎外別傳)을 종(宗)의 강격(綱格)으로 하고,
좌선으로써 내관자성(內觀自省)하여 자기의 심성(心性)을 철견(徹見)하고,
자증삼매(自證三昧)의 묘한 경지를 체달함을 종요(宗要)로 하는 종.
선종이란 말은 부처님의 설교(說敎)를 소의(所依)로 삼는 종파를 교종(敎宗)이라 함에 대하여 좌선을 닦는 종지라는 뜻.
당나라 말기로부터 선종ㆍ교종의 세력이 대립하게 되며,
교(敎)밖에 선(禪)이 있다는 치우친 소견을 내고 교외별전의 참 뜻을 잃게 되어,
도리어 선종이란 명칭을 배척하지 아니할 수 없게 됨.
이 종은 석존에게서 정법의 유촉을 받은 가섭으로부터 보리달마까지의 28조가 있고,
제28조인 보리달마가 520년(양의 보통 1) 중국에 와서 혜가에서 법을 전함으로부터 동토의 제5조 흥인에 이르러 그 문하에서 혜능을 제6조로 하는 남종(南宗)과,
신수를 제6조로 하는 북종(北宗)으로 갈리었다.
북종은 오래지 않아 후손이 끊어지고,
혜능의 1류(流)만이 번성하여 5가(家) 7종(宗)을 내었다.
원나라ㆍ명나라 때 이르러서는 다른 종파가 다 쇠퇴기에 들어갔으나,
이 종만은 오히려 번성하였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784년(신라 선덕여왕 5) 
당나라 서당지장(西堂智藏)에게서 법을 받아 온 도의(道義)를 초조(初祖)로 하는 가지산문(迦智山門)을 비롯하여,
역시 지장의 법을 받은 홍척(洪陟)을 초조로 하는 실상산문(實相山門),
염관제안(鹽官齊安)에게서 법을 받아 온 범일(梵日)을 초조로 하는 사굴산문(闍堀山門),
지장에게서 법을 받은 혜철(惠哲)을 초조로 하는 동리산문(桐裏山門),
마곡보철(麻谷寶徹)의 법을 받은 무염(無染)을 초조로 하는 성주산문(聖住山門),
남전보원(南泉普願)의 법을 이은 도윤(道允)을 초조로 하는 사자산문(師子山門),
선종혜은(禪宗慧隱)의 법을 이은 도헌(道憲)을 초조로 하는 희양산문(曦陽山門),
장경회휘(章敬懷暉)의 법을 이은 현욱(玄昱)을 초조로 하는 봉림산문(鳳林山門)과,
신라 말기에 운거도응(雲居道膺)의 법을 이은 이엄(利嚴)을 초조로 하는 수미산문(須彌山門)의 9산문(山門)이 성립되어 한창 번성했으나,
고려 때에는 차츰 쇠퇴하였다.

고려 명종 때 불일보조(佛日普照) 국사가 나서 조계산에 수선사(修禪寺)를 세우고,
정혜결사(定慧結社)를 설립하여 일으켰으나,
그뒤부터 승행(僧行)이 타락되면서 차차 쇠퇴하기 시작.
고려 말기에 이르러 태고보우(太古普愚)는 중국 호주 하무산(霞霧山)의 석옥청공(石屋淸珙)의 법을 받아 왔고,
나옹혜근(懶翁惠勤)은 강서의 평산처림(平山處林)의 법을 받아 오므로부터 두 파가 갈리다.
나옹의 법계(法系)는 얼마 안되어 없어지고,
태고의 법계만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어 현재 조계종에까지 맥이 이어지고 있음.
사이트 방문 일자 불기2566_1231_1337
>>>

선종
104개 언어


선종 네이버백과 사전참조


● from 한국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선종
한국 위키백과 사전참조 [불기 2566-12-31일자 내용 보관 편집 정리]



문서
토론



읽기
■편집
역사 보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 선종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불교에서 선종(禪宗) 또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다.

선의 조류는 중국 대륙에서 한 종파로 성립되어 한국일본 등지로 전파되었는데,
이 계통의 여러 분파를 선종(禪宗)이라고 통칭하고
이 계통의 불교를 선불교(禪佛敎)라고 한다.
선종(선불교)은 도교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선(禪)이라는 낱말은 산스크리트어디야나(ध्यान)를 중국 대륙에서 음역한 선나(禪那)의 준말이다.

디야나는 대체로 정려(靜慮: 고요히 하는 생각) · 내관(內觀: 내부상으로 찰관) · 내성(內省: 내부상 성찰) · 침잠(沈潛: 내면으로 깊숙히 몰입)의 뜻이 있다.

이런 뜻을 좇아 한역하여 선을 정(定) · 정려(靜慮) · 기악(棄惡)이나 사유수(思惟修)라고도 한다.[1]

또한 음을 좇아 한역한 선(禪)과 뜻을 좇아 한역한 낱말인 정(定)을 합하여
선정(禪定)이라고도 한다.[1]

선은 근본불교의 수행 체계인 팔정도정정(正定)에 해당한다.[2]

대승불교에서 선은 보살행의 실천 덕목인 육바라밀선정 바라밀(禪定波羅蜜)에 해당하며,
선정 바라밀은 반야 바라밀(般若波羅蜜)이 발현되게 하는 직접적인 수단 또는 원인이다.[3][4][5]
이 문서는 중국 대륙에서 5세기부터 발전한 대승불교의 한 흐름으로서
불교의 한 종파로 성립된 선종(禪宗)을 주로 다룬다.



선종의 교의와 특징[■편집]
선종의 최대 목적이자 핵심인 교의는 견성성불(見性成佛)이다.
즉 선종은 모든 인간이 내면에 본래 불타("본성 · 本性 · 불성 · 佛性")가 있다고 믿고 수행을 이용해
자기 내면에 있는 본래 불타를 발견하여("견성 · 見性")
열반에 도달(성불)하는 것을 최대의 목적으로 한다.


수행 면에서는 좌선이나 참선을 중요한 수행 방법,
즉 선종의 특징은 정진(精進: 힘써 전진)을 수단으로 삼는다.


선종의 교의 성격을 띠며 실천하는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문구는
"이심전심 · 견성성불 · 불립문자 · 교외별전"이다.[6]
이런 문구는 선종이 교종과 판이한 독자성이 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6]



이심전심(以心轉心): 불타의 마음을 마음으로 전한다.[6]
견성성불(見性成佛): 본성을 발견하거나 구명(究明)하여 득도한다[6](돈오점수돈오돈수). 본성을 보는 것이 곧 득도, 즉 구경각이다(돈오돈수).
불립문자(不立文字): 경전의 문자에 구애(拘礙)하지 않는다.[6] 보통, 불립문자는 경전 암송이나 정독보다 불타의 뜻을 좇는 수행 중시로 이해한다.

교외별전(敎外別傳): 3승 12부경(三乘十二部經) 이외에 별도로 불타의 마음을 전한다.[6]
보통, 교외별전은 조사에서 조사로 이어지는 법통의 전수, 즉 사자상승(師資相承: 스승[師]에게서 제자[資]에게 법이 이어져 전승) 강조로 이해한다.
선종은 정려(靜慮) · 좌선(坐禪)으로 내관(內觀) · 내성(內省)하여 불성(佛性)을 찾고 설교 · 문자를 떠나
즉시 불타의 마음(佛心)을 중생에게 전하는 종파, 즉
불심종(佛心宗)이다.[6][7]






선종의 역사[■편집]

마하가섭



연꽃염화미소의 고사에서 사용되었다고 하는 꽃이다



선종의 초조인 보리달마


선종의 기원[■편집]
선종의 전통을 보면, 선종의 기원은 고타마 붓다영산회(靈山會)에서 말없이 꽃을 꺾어 보였을 때
제자들 중 오직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이심전심으로 이해하고 미소지었다는 염화미소(拈華微笑)나 염화시중(拈華示衆)의 고사에서 찾는다.[7][8]

영가현각(永嘉玄覺: 647~713, 제6조 혜능의 제자[9])의 《증도가(證道歌)》에서 보듯이,
선종의 전통에서는 마하가섭을 선법(禪法)을 받아 이어준 제1조로서 숭배한다.[10]


후한 시대(25~220)에 인도좌선(坐禪) 방법을 설법한 선경(禪經)이 번역되었으나
선종으로서 발전하지는 못하였다.[11]



선종의 기초[■편집]
그 뒤 470년[11] 이거나 520년[7]보리달마(?~528[12])가 남인도에서 중국 대륙 남방으로 가서 전파한 선(禪)이
선불교에 직결되는 시초이다.[7]

달마달마선(達摩禪), 즉 달마 계통의 선법(禪法)의 전통의 제1대 조사로 불린다.
흔히 선종이라고 하면, 달마선을 뜻하므로
달마는 선종의 제1조이다.

증도가(證道歌)》에 나타났듯이, 선종[달마선] 전통을 보면,
보리달마는 마하가섭에서 전승한 선종의 제28조이고
중국 대륙 선종의 제1조이다.[10]



보리달마의 선법(禪法)은 제2조 혜가(487~593[13])를 거쳐
제3조 승찬(僧璨: ?~606[14])으로 전하여졌는데
혜가와 승찬은 북주파불(北周破佛: 574~577의 북주 무제에 의한 불교 탄압)을 피해
서주(舒州)의 완공산(完公山)에 숨어 지냈다.[11][15]

이후 선법(禪法)은 제3조 승찬으로부터
제4조 도신(道信: 580~651[16])으로 전해졌는데
기주(蘄州) 황매산(黃梅山)에서 많은 문하생을 거느리고
선법을 설법한 제4조 도신과 제5조 홍인(弘忍: 601~674[17])의 동산법문(東山法門)에서
다수의 탁월한 선자(禪者)들이 배출되어 선종으로서 기초가 확립되었다.[11]




남종선·북종선·우두선[■편집]
제5조 홍인을 대표할 정도로 전형이 될 만한 특징이 있는 제자로서
신수(神秀: ?~706[18])와 혜능(惠能: 638~713[19])이 있었는데
이 사람들은 선종을 크게 발전시켰다.[7]

신수북종(北宗)이라고 불리는 북종선(北宗禪)을 개종했고
홍인의 뒤를 이어 선종의 제6조가 된 혜능(惠能)은 남종(南宗)이라고도 불리는 남종선(南宗禪)을 개종했다.[15]


일변 보리달마(?~528)에서 제5조 홍인(601~674)을 거쳐 신수(?~706)의 북종선과 제6조 혜능(638~713)의 남종선으로 이어지는 달마선 계통과 별도로,

우두(牛頭) 법융(法融: 594~658)은 삼론(三論) 계통의 우두선(牛頭禪)을 개종했는데[15][20]
하루는 선종 제4조 도신(道信: 580~651)이 법융에게 갔는데
법융에게서 교시(敎示)받고서 심요(心要)를 깨달았다고 한다.[21]


남종선 · 북종선 · 우두선 계통의 많은 선자(禪者)가 활약하여
선종 전체는 사상과 실천 모두 크게 발전하였다.[15]


이후 남종선과 북종선의 선종은 한반도 · 일본으로 전파되었는데
남종선이 주로 전파되어 주류를 이루었다.


남종선의 융성[■편집]

후난성(빨강)과 장시성(파랑)


중국 대륙에서, 우두선에서는 법융의 뒤를 이어
지암(智巖) · 혜방(慧方) · 법지(法持) · 지위(智威) · 혜충(慧忠) · 현소(玄素) · 도흠(道欽) · 도림(道林) 등 고승이 많이 배출됐다.[20]

이들은 대체로 우두산에서 법융의 종풍(宗風)을 크게 떨쳤다.[20]
러나 우두선의 선법(禪法)은 계속 이어지지 못하고
(618~907) 초기에 끊어졌다.[20]


남종선북종선은 그 분열은 당 초기에 일어났는데
제6조 신수(神秀: ?~706)의 북종선은 점오(漸悟)를 표방하고 제6조 혜능(慧能: 638~713)의 남종선은 돈오(頓悟)를 표방하였다.[22]

신수는 당의 수도였던 장안과 당 시대 동방의 수도라는 의미로 동도(東都)라고 불린 낙양 양경(兩京)을 중심으로 중국 대륙 북부에 북종선을 보급하고
혜능장강 이남 지역인 강남(江南)에 남종선을 선양(宣揚)했다.[11]

초기에는 북종선이 성했으나
후에는 남종선이 유력해져 남종선 계통이 중국 대륙선(中國禪)의 주류를 차지하였다.[15]


북종선은 빨리 쇠퇴했지만,[11]
남종선의 혜능(慧能: 638~713)의 문하에는 회양(懷讓: 677~744[23]) · 행사(行思: ?~740[24]) · 신회(神會: 685~760[25]) 등이 배출되어
후난성장시성을 중심으로 교세를 확장하였다.[22]





오가칠종(五家七宗)의 성립[■편집]
남종선회양(懷讓: 677~744)의 계통에 백장회해(百丈懷海: 749~814[26])가 선원에어서 집단생활 규범이 된 후대에
백장청규(百丈淸規)》라고 불린, 청규(淸規)를 만들었다.[11][22]

리고 이 계통에서 임제의현(臨濟義玄: ?~867[27])을 시조로 하는 임제종(臨濟宗)과
위산영우(潙山靈祐: 771~853[28])와 앙산혜적(仰山慧寂: 815~891[29])의 두 선승을 시조로 하는 위앙종(潙仰宗)이 성립했다.[11]


남종선의 행사(行思: ?~740)의 계통에서는
동산양개(洞山良价: 807~869[30])와 조산본적(曹山本寂: 839~901[31])의 두 선승을 시조로 하는 조동종(曹洞宗),
운문문언(雲門文偃: ?~949[32])을 시조로 하는 운문종(雲門宗),
그리고 법안문익(法眼文益: 885~958[33])을 시조로 하는 법안종(法眼宗)이 성립되었다.[11]


이로써 5대에 걸쳐서 위앙종(潙仰宗) · 임제종(臨濟宗) · 조동종(曹洞宗) · 운문종(雲門宗) · 법안종(法眼宗)의
5가(五家) 또는 선가 5종(禪家五宗)이 성립되었다.[22]


후에 임제종에서 갈라진 황룡혜남(黃龍慧南: 1002~1069[34])의 황룡파(黃龍派)와
양기방회(楊岐方會)의 양기파(楊岐派: 996~1046[35])의 두 파를 더하여
오가칠종(五家七宗)이라고 부르게 되었다.[11]


오가칠종으로 분화 · 발전한 남종선은
정토교(淨土敎)와 함께
송나라(960~1279) 시대 이후 불교의 주류를 이루었다.[22]

특히 임제종이 중심이 되었으며
이윽고 선정쌍수(禪淨雙修: 선종정토교를 함께 수행하다,
즉, 참선염불 수행을 함께하다)의 길로 들어섰다.[11]



간화선(看話禪)과 묵조선(黙照禪) 성립[■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간화선묵조선입니다.


남송(南宋: 1127~1279) 초기에 모두 남종선에 속하는 임제종(臨濟宗)과 조동종(曹洞宗)에서
각각 간화선(看話禪)과 묵조선(默照禪)이 성립되었다.

간화선은 화두(話頭)를 이용하여 득도하려는 선풍(禪風)으로서 임제종의 대혜종고(大慧宗杲: 1089~1163)가 주창하였다.[36]

묵조선은 망상과 잡념을 없애고 고요히 좌정하여 득도하려는 선풍(禪風)으로서
조동종의 굉지정각(宏智正覺: 1091~1157[37])이 주창하였다.[38]




선종의 한국 전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구산선문입니다.

선종의 한국 전래는, 당나라서당 지장(西堂 知藏)에게서 법을 받아
784년(선덕왕 5년)에 신라로 귀국한 도의를 시조로 하는 가지산문(迦智山門)에서 시작되었다.[7]

이후 남북국시대 말기와 고려 초기에 9산문이 성립되어 한창 번성했으나 점차 쇠퇴하였다.

고려 시대(918~1392)의 명종보조국사 지눌(1158~1210)이 조계산수선사(修禪寺)를 세우고 정혜결사(定慧結社)를 설립했으나
그 뒤부터 승행(僧行)이 타락하면서 차차 쇠퇴하기 시작하였다.[7]
고려 말기에 이르러 태고 보우(1301~1382)는 중국 호주 하무산(霞霧山)의 석옥 청공(石屋淸珙)의 법을 받아 왔고
나옹 혜근(1320~1376)은 강서(江西)의 평산 처림(平山處林)의 법을 받아 와서 두 파로 갈리었다.[7]
그러나 나옹의 법계(法系)는 얼마 안 되어 없어지고 태고의 법계만 지금까지 전래한다.[7]





같이 보기[■편집]
참선
북종
남종 선가 오종
오가 칠종
간화선
묵조선

공안 · 고칙 · 화두
한국의 선
중국 대륙의 찬
일본의 젠
각주[■편집]
이동:가 "선(禪)[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네이버 백과사전》. 2011년 3월 16일에 확인.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8정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6바라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1c28 - T31n1613_p0852a02. 삼마지(三摩地)
"云何三摩地。謂於所觀事。心一境性。所觀事者。謂五蘊等。及無常苦空無我等。心一境者。是專注義。與智所依為業。由心定故。如實了知。"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6 / 24. 삼마지(三摩地)
"무엇을 삼마지(三摩地)라고 하는가?
관(觀)하는 일에서 마음이 한 대상에 머무는 것[心一境性]을 말한다. 관하는 일이란 5온 등과 무상함 · 괴로움 · 공 · 무아 등에 마음을 집중하여 관하는 것이다. 마음이 한 대상에 머문다는 것은 여기에 오로지 주의를 기울인다는 것이다. 지혜가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마음이 정(定)에 있기 때문에 여실하게 요별하여 안다."
이동:가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선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이동:가 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고려의 성립 > 호족의 문화 > 선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단의 발달 > 마하가섭,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운허 & 동국역경원, "玄覺(현각)" Archived 2015년 6월 4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이동:가 현각(玄覺) 찬. https://web.archive.org/web/20160613025218/http://www.cbeta.org/result/normal/T48/2014_001.htm |archive-url=은 제목을 필요로 함 (도움말). 《永嘉證道歌(영가증도가)》. 대정신수대장경, T48, No. 2014, CBETA. T48n2014_p0396b18(00) - T48n2014_p0396b19(03). 2016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8일에 확인함. 第一迦葉首傳燈。二十八代西天記。法東流入此土。菩提達磨為初祖。
대제자 가섭이 최초로 등불을 전하였고 이십팔 대까지는 서천[인도]의 기록이다. 법[禪法]이 동방으로 흘러 이 땅에 들어오니 보리달마가 첫 조사가 되었다. |인용문=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32) (도움말)
이동:가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 대륙불교의 종파 > 선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운허 & 동국역경원, "菩提達磨(보리달마)" Archived 2015년 6월 4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선종의 발달 > 혜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운허 & 동국역경원, "僧璨(승찬)" Archived 2015년 6월 4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이동:가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중국 대륙불교의 사상 > 선의 사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운허 & 동국역경원, "道信(도신)" Archived 2015년 6월 4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선종의 발달 > 홍인,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선종의 발달 > 신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선종의 발달 > 혜능,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이동:가 운허 & 동국역경원, "牛頭禪(우두선)" Archived 2015년 6월 4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운허 & 동국역경원, "法融(법융)" Archived 2015년 6월 4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이동:가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선종의 발달 > 선종의 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운허 & 동국역경원, "懷讓(회양)" Archived 2015년 6월 4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운허 & 동국역경원, "行思(행사)" Archived 2015년 9월 13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운허 & 동국역경원, "神會(신회)" Archived 2015년 9월 13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선종의 발달 > 백장,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임제록,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운허 & 동국역경원, "靈祐(영우)" Archived 2015년 6월 4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운허 & 동국역경원, "慧寂(혜적)" Archived 2015년 6월 4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운허 & 동국역경원, "良价(양개)" Archived 2015년 6월 4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운허 & 동국역경원, "本寂(본적)" Archived 2015년 9월 13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운허 & 동국역경원, "文偃(문언)" Archived 2015년 6월 4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운허 & 동국역경원, "文益(문익)" Archived 2015년 6월 4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운허 & 동국역경원, "慧南(혜남)" Archived 2015년 6월 4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운허 & 동국역경원, "方會(방회)" Archived 2015년 9월 18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6일에 확인.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중국 대륙불교의 사상 > 공안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중국어) "宏智派"[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28일에 확인.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중국 대륙불교의 사상 > 묵조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참고 문헌[■편집]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K.619, T.1613). 《대승광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9(17-641), T.1613(31-850).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T.1613).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3,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분류: 선불교
불교의 종파
도 계통의 종교
동아시아의 문화






>>>




>>>




Chan_Buddhism 영어단어사전참조


Chan_Buddhism 관련단어 사전참조


● from 영어 위키 백과https://en.wikipedia.org/wiki/Chan_Buddhism
(구글번역) 영어 위키 백과 사전참조 [불기 2566-12-31일자 내용 보관 편집 정리]


사이트 방문 일자 불기2566_1231_0725
>>>

찬불교
무료 백과 사전, 위키피디아에서




내비게이션으로 이동검색으로 이동 이 문서는 중국의 선불교에 관한 것입니다. 학교 개요는 Zen 을 참조하십시오 .
"찬스쿨"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하버드 대학교 공중 보건 학교에 대해서는 Harvard TH Chan 공중 보건 학교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중국 불상 문자 Fo


찬불교
중국 이름
중국어 간체
중국어 번체
베트남 이름
베트남어 티엔
한놈
한국 이름
한글
한자
일본 이름
한자
히라가나 ぜん
Chan ( 중국어 번체 :; 중국어 간체 :; 병음 : Chán ; 중국어 약자 :禪那; 병음 : chánnà ), 산스크리트어 dhyāna [ 1] (의미 " 명상 " 또는 "명상 상태" [2] ), Mahāyāna 불교 의 중국 학교입니다 .

서기 6세기부터 중국에서 발달했으며
특히 당나라송나라 때 인기를 끌었습니다. . [삼]
Chan은 선불교 ( 학교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어 이름인 동일한 문자 의 일본어 발음)의 기원 전통입니다. 선불교는 티엔( Thền ) 으로
중국에서 남쪽으로 베트남 으로 , 선( Seon ) 으로 북쪽으로 한국 으로 ,
그리고 13세기에는 일본 선(Zen)으로 동쪽 으로 졌습니다 .




내용물

1역사 1.1주기화
1.2중국에 불교 소개(c. 200–500) 1.2.1불교의 중국화와 도교의 영향
1.2.2훈련의 구분

1.3Legendary 또는 Proto-Chan(c. 500–600) 1.3.1Mahākāśyapa와 꽃 설법
1.3.2처음 여섯 족장(c. 500 – 8세기 초)
1.3.3란카바타라 수트라
1.3.4Bodhidharma
1.3.5후이커

1.4당나라 초기 찬(c. 600–900) 1.4.1동산 가르침
1.4.2남부 학교 – Huineng 및 Shenhui

1.5티베트 찬
1.6고전 또는 중세 선 – 당 왕조(c. 750–1000) 1.6.1안루산 반란
1.6.2흥주학교
1.6.3Shitou Xiqian
1.6.4대박해
1.6.5오대십국시대(907-960/979)

1.7문학 찬 – 송 왕조(c. 960–1300) 1.7.1찬의 다섯 집
1.7.2Linji 학교의 상승
1.7.3다후이 종가오
1.7.4코안 시스템
1.7.5조용한 조명

1.8후기 고전 찬(c. 1300–현재) 1.8.1원나라(1279–1368)
1.8.2명나라(1368–1644)
1.8.3청나라(1644–1912)

1.9현대화 1.9.119세기(청나라 말기)
1.9.2중화민국(1912–1949) – 최초의 불교 부흥
1.9.3중화인민공화국(1949–현재) – 두 번째 불교 부흥
1.9.4대만


2선불교의 아시아 전파 2.1베트남의 티엔
2.2한국의 선
2.3일본의 선
2.4인도네시아의 Chan

삼서양 세계의 찬 3.1서선 혈통

4교리적 배경 4.1극성 4.1.1절대 상대
4.1.2불성과 슌냐타
4.1.3갑작스럽고 점진적인 깨달음
4.1.4밀교 및 외래 전송

4.2찬 경전

5교육 및 실습 5.1보살 이상
5.2찬 명상 5.2.1좌선

5.3코안 연습

6선 수도원 6.1일상을 강조하다
6.2중국 불교의 중국화

7또한보십시오
8노트
9참조
10출처 10.1인쇄물
10.2웹 소스

11추가 자료
12외부 링크

연혁 [ ■편집 ]
참조: 불교의 실크로드 전승

초기 Chan 역사에 대한 완전하고 정확한 설명에 필요한 역사적 기록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4]



주기화 [ ■편집 ]

중국 선의 역사는 여러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선(禪)은 많은 변화와 우발적 요인이 있는 오랜 역사의 결과입니다.
각 시대마다 다른 유형의 선이 있었는데,
그 중 일부는 영향력을 유지했지만 다른 일부는 사라졌습니다. [5] [6]


퍼거슨은 5세기부터 13세기까지 세 시기를 구분한다.


5세기 말 달마(菩菩)부터 765년경 당나라 중기 안록산의 난 (安德山亂)까지 의 전설적 시대 .


이 기간 동안 기록된 정보는 거의 남아 있지 않습니다. [7]

지금은 Bodhidharma
Huineng 을 포함한 육조의 시대이며,
북부와 남부 Chan의 전설적인 "분열" 시대입니다. [5]


765년경 안록산 의 난이 끝난 후부터 950년경 송나라 가 시작될 때까지 의 고전기 . [7]
지금 은 Mazu DaoyiLinji Yixuan 과 같은 선의 위대한 스승과 이들 위대한 스승의 말과 가르침의 기록인
yü-lü 장르 의 창조 시대입니다.


송나라 시대(960-1279)에 걸친 950년경부터 1250년경까지 의 문학적 시대 [7] .

이 시기에 유명한 거장들의 말과 행동을 모아 시와 논평을 덧붙인 공안집 이 편찬되었다.
이 장르는 선의 발전에 대한 문인 의 영향을 반영합니다.
이 시기는 이전 시기를 찬의 "황금기"로 이상화하여
저명한 거장들의 자발성을 묘사한 문학을 생산했습니다.


McRae는 선의 역사를 단계 또는 기간으로 구분하는 것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있지만 [8]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선의 역사에서 네 단계를 구분합니다. [9]


원선 (c. 500–600)( 남방 왕조 (420~589) 및 수 왕조 ( 589–618 CE)).

이 단계에서 Chan은 중국 북부의 여러 지역에서 발전했습니다.
그것은 dhyana 의 수행을 기반으로 하며 Bodhidharma 및 Huike의 인물과 연결됩니다.
그것의 주요 텍스트는 Bodhidharma에 기인 하는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입니다. [10]
Early Chan (c. 600–900) ( 당나라 (618–907 CE)).

이 단계에서 Chan은 첫 번째 명확한 윤곽을 잡았습니다.
주요 인물은 제5 조 담만 홍인(601~674),
법계 계승자 옥취안 신수 (606?~706), 제6조 혜능 ( 638~713),
전형적인 단경의 주인공 , 신회 ( 670~762)이다. ),
그의 선전은 Huineng을 여섯 번째 총 대주교의 지위로 끌어 올렸습니다.
주요 파벌은 Northern School, Southern School 및 Oxhead School 입니다. [11]


중선 (c. 750–1000) ( 안록산의 난( 755–763 )부터 오대십국시대 (907–960/979)까지)

이 단계에서 잘 알려진 성상파괴적 선종의 찬(Chan)이 발전했습니다.
주요 인물로는 Mazu Daoyi (709–788), Shitou Xiqian (710–790), Linji Yixuan (867년 사망), Xuefeng Yicun (822–908)이 있습니다.
주요 파벌은 Hongzhou 학교 와 Hubei 파벌입니다. [주 1]
중요한 텍스트는 선종 의 정경 계보와 많은 "만남 이야기"를 포함 하는 총대주교 선집 (952)입니다. [14]


송 왕조 찬(c. 950–1300). 

단계에서 선은 당나라 선의 "황금기"의 그림과개별 학습 및 명상을 위한 공안 사용을 포함하여 결정적인 형태를 취했습니다.

주요 인물은을 소개한 Dahui Zonggao ( 1089–1163) 와 Shikantaza를 강조한 Hongzhi Zhengjue ( 1091–1157)입니다.

주요 파벌은 Linji 학교 Caodong 학교 입니다.
Blue Cliff Record 와 같은 고전적인 koan 컬렉션은 이 기간에 수집되었으며
,Chan의 발전에 대한 "literati"의 영향을 반영합니다 . [16][17]
이 단계에서 찬은 일본으로 이송되어
지눌
을 통해 한국 선에 큰 영향을.
퍼거슨도 맥레이도 송 왕조 이후 중국 찬에 대한 주기화를 제공하지 않지만
맥레이는 언급한다.

[5.] "적어도 고전 이후 단계 또는 아마도 여러 단계". [18] [주 2]

중국의 불교 소개(c. 200–500) [ ■편집 ]

참조: 한 왕조 , 실크로드 불교 전승 , 육조

불교의 중국화와 도교의 영향 [ ■편집 ]

불교가 중국에 들어왔을 때 중국 문화와 이해에 적응되었습니다. 선
의 진화에 있어 다른 학파의 영향에 대한 이론은 매우 다양 하며 서
면 기록이나 역사보다는 추론적 상관관계 에 크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
일부 학자들은 선이 대승불교와 도교 사이의 상호 작용에서 발전했다고 주장했습니다 . [ 20 ] [ 21] [22] [23]

선은 요가
수행, 특히 대상에 대한 고려인 kammaṭṭhānakasiṇa 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믿습니다 .



마음의 완전한 고정. [24]
불교 명상 은 선이 부상하기 수세기 전에 중국에서 다양한 Dhyāna 경전 (Chán-jing, 禪経, "명상 논문"),
이는 주로 CE 1-4세기경 카슈미르 의 Sarvāstivāda 학교의 Yogacara 명상 가르침에 기반한 영향력 있는 초기 명상 텍스트 였습니다.

Dhyana sutras 의 다섯 가지 주요 명상 유형 은 anapanasati (호흡에 대한 마음 챙김)입니다 .
paṭikūlamanasikāra 명상, 몸의 불순물에 대한 마음챙김; 자애 마이트리심사 숙고;
pratītyasamutpāda 의 열두 연결에 대한 명상 ;
리고 부처님의 32가지 특성
에 대한 관조 . [26]


다른 중요한 명상 텍스트 번역가로는 쿠마라지바( Kumārajīva , 334–413 CE)가 있는데,
그는 다른 많은 텍스트 중에서 좌선 집중에 관한 경 을 번역했습니다.


그리고 부처바드라 . 대부분 인도 Sarvāstivāda Yogacara 명상 매뉴얼의 중국어 번역본은 Chinese Chan의 명상 기술의 기초였습니다. [웹 1]
불교는 중국에 들어왔을 때 유교 [27]도교 [28] [29] 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Goddard는 Chan을 "도교 조건 하에서 불교의 자연스러운 진화"라고 부르는 DT Suzuki 를 인용합니다. [주 3] .

불교는 처음에 " 도교의 야만인 ​​변종"으로 확인되었고,
도교 용어는 불교 문헌의 가장 오래된 번역에서 불교 교리를 표현하는 데 사용 되었습니다 . [31]


소승에 대한 한족 의 수용 과 초기 주석으로 미루어 볼 때
불교는 종교적 도교(도교)라는 매개체를 통해 인식되고 소화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부처는 어떤 형태의 도교 불사를 달성한 외국의 불사신으로 여겨졌다.
불교도의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은 도가의 호흡수련의 연장선으로 여겨졌다. [32]


중국 최초의 불교 신병은 도교 신자였습니다. [29]

그들은 새로 도입된 불교 명상 기법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발전시켰고 [33]
도교 명상
과 혼합했습니다 .

SengzhaoTao Sheng 과 같은 초기 중국 불교의 대표자 LaoziZhuangzi 의 도교 종석 작품에 깊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 [35]

이러한 배경에서, 특히 자연성 에 대한 도교 의 개념은 초기 선의 제자들에게 물려받았습니다. [36]

그들은 형언할 수 없는 도와 어느 정도 동일시했습니다 .
따라서 불성(佛性) [37] 은 추상적인 '경전의 지혜'에 얽매이기보다는
도(道)처럼 '일상적인' 인간의 삶에서 발견되는 불성을 강조했다. [37]


중국 불교 는 신도 교 개념도 흡수 했습니다. [31] 체용(體用)과 리사(理事) 등 의 개념 은 화엄 불교 에서 처음 등장하여 [31]
선 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한편, 도교는 처음에 야타 를 도교의 비존재 와 유사하다고 오해했습니다 . [39]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흥 중국 불교는 도교 및 유교와 경쟁해야 했습니다. [27]


그러나 불교는 외국의 영향이었고 모든 "야만인"은 의심스러웠기 때문에
일부 중국 비평가들은 다르마의 확산에 안주하지 않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중국이 정치적으로 가장 불안정하고 선동에 더 취약할 때 중국에 침투했습니다.

철학과 관습이 사회에 스며들면서 많은 전통주의자들이 외세의 영향을 막기 위해 뭉쳤는데,
그것은 편협함(도교와 유교 모두가 단호히 거부하는 태도) 때문이 아니라
중국의 세계관이 뒤집히고 있다고 느꼈기 때문입니다. [27]


이 신흥 중국 불교에 대한 한 가지 혼란은 두 가지 진리 교리 였습니다.

중국인의 사고는 이것을 두 가지 존재론적 진리 를 언급하는 것으로 받아들였습니다 .

현실은 상대적 수준과 절대적 수준의 두 가지 수준에 존재합니다.

도교 는 처음에 순야타 를 도교의 비존재와 유사하다고 오해했습니다. [41]

인도 Madhyamaka 철학에서 두 가지 진리는 두 가지 인식론적 진리 입니다.
즉, 현실을 보는 두 가지 다른 방식입니다.
Mahayana Mahaparinirvana Sutra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국인들은 불성(佛性)의 가르침이 그 경전에서 말하듯이
불교의 최후의 가르침이며 순야타와 두 가지 진리 위에 본질적인 진리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42]



훈련의 구분 [ ■편집 ]
불교가 중국에 들어왔을 때 수행의 세 부분이 있었습니다.
덕의 훈련과 계율(Skt. śīla ),
명상을 통한 마음 훈련
기록된 가르침(Skt. Dharma )의 훈련.
불교가 중국 문화에 들어온 것도 바로 이런 맥락에서였다. 각 교육 실습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춘 세 가지 유형의 교사가 개발되었습니다.
승려와 비구니를 위한 모든 규율을 전문으로 하는 Vinaya 마스터,
명상 수련을 전문으로 하는 디아나 마스터들, 그리고

불교 경전 숙달을 전문으로 하는 달마 마스터.
비나야와 승려 훈련 또는 하나의 경전이나 소수의 경전 그룹에 초점을 맞춘 가르침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는 수도원과 수행 센터가 만들어졌습니다.

Dhyāna ( Chan ) 마스터는 독방 암자에서 수행하거나 Vinaya 훈련 수도원 또는 Dharma 교육 센터와 관련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나중에 Zen 학교의 이름은 삼중 훈련의 이러한 관점에서 유래되었습니다.
McRae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 한 가지 중요한 특징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Chan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이러한 다른 유형의 불교 활동과 거의 분리되지 않았습니다. [...] [T] Chan 승려가 수도원장이 된 수도원은 포괄적인 기관이었습니다. 찬 스타일의 명상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불교 활동을 지원한 수도원. 독자는 이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17세기 일본에서 (주로 정부 명령에 의해) 출현한 소토와 린자이의 독립 교파와는 대조적으로 제도적으로 분리된 선 "학파" 같은 것은 결코 없었습니다. 중국 불교 역사에서 (강조 McRae). [43]
Legendary 또는 Proto-Chan (c. 500–600) [ ■편집 ]
참조: 남부 및 북부 왕조수 왕조
Mahākāśyapa와 꽃 설법 [ ■편집 ]
선 전통은 인도에서 선의 기원을 14세기에 나온 가장 초기의 출처인 꽃 설법 에 돌립니다. [44] 고타마 부처 가 어느 날 법문 을 위해 제자들을 모았다고 합니다. 그들이 함께 모였을 때 붓다는 완전히 침묵했고 일부는 아마도 붓다가 피곤하거나 아프다고 추측했습니다. 부처는 조용히 꽃을 들고 빙빙 돌렸고 그의 눈은 반짝였다. 그의 제자 중 몇몇은 이것이 의미하는 바를 해석하려고 노력했지만 그들 중 누구도 정확하지 않았습니다. 부처님의 제자 중 한 명인 Mahākāśyapa 는 꽃을 바라보며 미소를 지었습니다. 부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심으로써 Mahākāśyapa의 통찰력을 인정하셨습니다. [24]
나는 진실한 법안(眞法眼), 묘한 열반의 마음, 무색의 참된 형상, 미묘한 법문(精密法門)을 가졌으니, 말과 문자에 머물지 않고 경전 밖의 특별한 전승입니다. 나는 이것을 Mahākāśyapa에게 맡깁니다.
처음 여섯 족장(c. 500 – 8세기 초)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 은 리니지 (불교)입니다 .
전통적으로 중국에서 Chan의 기원은 Bodhidharma , 이란어를 사용하는 중앙아시아 승려 [45] 또는 인도 승려로 여겨집니다. [46] 그의 삶과 육조의 이야기는 성장하는 선학파에 신빙성을 부여하기 위해 당나라 시대 에 구성되었습니다. [5] 그에 대한 역사적 정보는 거의 없지만, 선의 전통이 8세기 초에 더욱 강해지고 두각을 나타내면서 그의 하기학이 발전했습니다. 이때까지 중국 선의 여섯 조상 창시자의 혈통이 개발되었습니다. [47]
선의 실제 기원은 숲과 산에서 피난처를 찾은 불교 수행자들에게 있을 수 있습니다. [48] ​​Huike , "다른 사람을 교육한 dhuta(극도의 금욕주의자)" [48] 그리고 [49] Tathāgatagarbha sūtras 중 하나인 Srimala Sutra 를 사용한 [50] Bodhidharma에 대한 이야기의 인물. Huike는 Bodhidharma가 그를 계승하도록 임명 한 두 번째 Chan 총 대주교로 간주됩니다. Huike의 학생 중 한 명인 Xinxin Ming 으로 간주되는 Sengcan 은 세 번째 족장으로 간주됩니다.
8세기 말까지 Huineng의 학생 Shenhui 의 영향으로 Chan 혈통의 전통적인 족장 목록이 작성되었습니다. [47]
달마 (達摩) 다. 440 – 다. 528
다즈 후이케 (慧可) 487–593
승찬 (僧燦) ?–606
대의도신 (道信) 580–651
담만 홍런 (弘忍) 601–674
혜능 (惠能) 638–713
후기 저술에서 이 혈통은 28명의 인도 족장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습니다. 혜녕 의 으뜸 제자인 영가현각(永嘉玄覺, 665~ 713) 의 깨달음 의 노래 (證道歌正道gē )에는 달마가 마하가섭의 28 대손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Śākyamuni Buddha 의 제자이자 Chan 불교의 첫 번째 조사. [51]
Mahākāśyapa는 첫 번째로 전달 라인을 이끌었습니다.
28명의 교부들이 서부에서 그를 따랐다.
램프는 바다를 건너 이 나라로 옮겨졌습니다.
그리고 Bodhidharma는 여기에서 첫 번째 아버지가 되었습니다.
우리 모두가 알고 있듯이 그의 맨틀은 여섯 아버지를 통과했고
그들에 의해 많은 마음이 빛을 보게 되었습니다. [52]

Lankavatara Sutra [ ■편집 ]
중국에서 시작할 때 Chan은 주로 Mahāyāna sūtras , 특히 Laṅkāvatāra Sūtra 를 언급했습니다 . 그 결과 선 전통의 초기 거장들은 "Laṅkāvatāra 거장"이라고 불렸습니다 . Laṅkāvatāra Sūtra 는 Ekayāna "One Vehicle" 의 교리를 가르치기 때문에 초기 Chan 학교는 때때로 "One Vehicle School"이라고 불립니다. [54] 다른 초기 텍스트에서 나중에 Chan으로 알려지게 된 학교는 때때로 단순히 "Laṅkāvatāra 학교"(Ch. 楞伽宗, Léngqié Zōng )라고도 합니다. [55] 이 초기 기간의 역사를 기록한 계정은 다음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Laṅkāvatāra Masters의 기록 ( 중국어 :楞伽師資記).
달마 [ ■편집 ]
상위 문서: 달마

Dazu Huike와 Bodhidharma. Sesshū Tōyō 의 그림 , 15세기.


Bodhidharma는 "말에 서지 않는" "경전 밖의 특별한 전승"을 가르치기 위해
남북 왕조 시대 에 중국에 온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56]

불교 미술
전반 에 걸쳐 달마는 성미가 좋지 않고 수염이 많으며 눈이 넓은 야만인으로 묘사됩니다.

그는 중국어 선 텍스트에서 "파란 눈의 야만인 "(碧眼胡:Bìyǎn hú)으로 언급됩니다.
그에 대한 역사적 정보 는 거의 없지만 선의 전통이 8세기 초에 더욱 강해지고 유명해지면서
그의 하기학이 발전했습니다.
이때까지 중국 선의 여섯 조상 창시자의 혈통이 개발되었습니다. [5]
Bodhidharma에 대한 현대 전기 정보는 거의 없으며 후속 기록은 전설로 쌓였습니다. [47]
Bodhidharma의 전기에는 세 가지 주요 출처가 있습니다. [57]
Yang Xuànzhī (楊衒之, 547) 의 Luoyang 불교 수도원 기록 ,
Tan Lin의 두루마리 두루마리 논문 서문(두루마리) 6세기 CE),
Dayi Daoxin 의 저명한 승려 추가 전기 (7세기 CE).

이러한 출처는 Bodhidharma가 "페르시아 출신"(CE 547), "남인도 출신의 브라만 승려"(CE 645),
"남인도의 브라만 왕의 셋째 아들"(CE 715년경)이라는 설명이 다양합니다. .
일부 전통에서는 Bodhidharma가 Kanchipuram의 Pallava 왕의 셋째 아들이라고 구체적 으로 설명 합니다 . [웹 3] [58]

Tan Lin(曇林; 506–574)이 저술한 두루마리(二口四行)론(兩門四行論)에는 달마(菩菩提)의 가르침이 담겨 있다 .
텍스트는 Dunhuang 사본 에서 알려져 있습니다 .
깨달음 의 두 입구 는 원리의 입구와 수행의 입구입니다.

원리의 입문은 가르침을 바탕으로 진리를 깨닫는 것입니다.
중생과 중생을 막론하고 모든 중생이 하나의 동일한 진성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 진성은 오직 거짓된 자들에 의해 [보통 사람들의 경우]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될 뿐이라는 사실을 깊이 믿어야 합니다.

감각 인상 ". [59]
연습 시작에는 다음 네 가지 증가가 포함됩니다.
원한 보응의 실천: 모든 고통을 원망하거나 원망하지 않고 과거의 죄의 과보로 받아들이는 것
상황 수용의 실천: 행운에도 흔들리지 않고 그것을 덧없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
무욕의 수행: 모든 괴로움의 근원인 갈애가 없는 것
Dharma에 따른 수행: 잘못된 생각을 근절하고 "수행"하지 않고 여섯 가지 완벽을 수행합니다. [60]

이 텍스트는 Huike와 그의 학생들이 사용하고 연구했습니다.
진성(眞性)은 불성 (佛性) 을 가리킨다 . [59]


후이케 [ ■편집 ]
Bodhidharma는 중국 웨이 북부 에 정착했습니다 .
그가 죽기 직전에 Bodhidharma는 그의 제자 Dazu Huike를 그를 계승하도록 임명하여
Huike를 중국 태생의 첫 번째 조상 시조이자
중국에서 Chan의 두 번째 조상 시조로 만들었습니다.

Bodhidharma는 법의 전달의 표시로 Huike에게 세 가지 항목을 전달했다고합니다.
즉, 가운, 그릇 및 Laṅkāvatāra Sūtra 의 사본입니다 .
그런 다음 전승은 두 번째 조상 시조 Dazu Huike,
세 번째 Sengcan,
네 번째 조상 시조 Dayi Daoxin,
다섯 번째 조상 시조 Daman Hongren 에게 전달 되었습니다.


당나라 초기 찬(c. 600–900) [ ■편집 ]
동산의 가르침 [ ■편집 ]
4대 조사인 도신 (道信, 580–651 )과 함께 [61] 선 은 별개의 유파로 형성되기 시작했습니다.
Huike와 Sengcan, 그리고 네 번째 족장 Daoxin 사이의 연결은 "명확하지 않고 여전히 미약합니다". [48] ​​

Daoxin과 그의 후계자인 5대 족장 Hongren (弘忍601–674 )과 함께 중국 텍스트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스타일의 가르침이 등장했습니다 . [61]

존 R. 맥레이(John R. McRae)에 따르면 "선 종교 관습의 특징이 된 갑작스럽고 직접적인 접근에 대한 최초의 명시적 진술"은
동산 학파 와 관련이 있습니다.

守一不移(守一不移) [ 62 ] 하나 는 마음 의불성과 동일시되는 법이다.
이 수행 에서는 경험의 대상에서 인식하는 대상 자체로 주의를 돌립니다. [64]

McRae에 따르면 이러한 유형의 명상은 "대승불교의 거의 모든 학파"의 방법과 유사하지만
"준비 요건, 도덕적 전제 조건 또는 예비 연습이 주어지지 않고"
"단계나 단계가 없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
하나의 차별화되지 않은 수행으로 모두 집중하고,
이해하고, 깨달을 수 있습니다." [62] [주 4]

Sharf는 "Mind"의 개념이 급진적 잠재주의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게 되었고,
어떤 구체화도 피하기 위해 "No Mind"로 대체되었다고 지적합니다. [66] [주 5]

영주권에 많은 학생들이 모였고 극단적 인 금욕주의는 시대에 뒤떨어졌습니다. [48] ​​

도신과 홍인의 시대는 황매에 홍인의 거처가 있었기 때문에
동산교라 불리게 되었다 . [68] [5]

이 용어는 Hongren의 가장 중요한 후계자인 Yuquan Shenxiu (神秀 606?–706)가 사용했습니다. [69]
이때까지 그 그룹은 지배세력이 인정할 만큼 충분히 중요한 성숙한 회중으로 성장했습니다. [61

]
East Mountain 커뮤니티는 전문 명상 훈련 센터였습니다.

Hongren은 "법화경 수행자, Madhyamaka 철학 학생 또는 불교 Vinaya 의 수도원 규정 전문가"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교적 관심사"의 학생들을 가르친 평범한 명상 교사였습니다 . [70]

학교 는 더 많은 청중이 명상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느슨한 연습"으로 대표되었습니다 .
Shenxiu 는 가르침을 포장 하기 위해 다양한 경전에서 추출한 짧은 공식 을 사용했으며,
이는 Platform Sutra에서도 사용되는 스타일입니다. [71]

한 장소에 공동체를 형성한 것은 달마와 혜과 그리고 그 추종자들의 유랑 생활에서 변화된 것이었다.
그것은 고독한 실천보다는 공동체 중심의 행동을 중시하는 중국 사회에 더 잘 맞았다. [72]


701년 Shenxiu 는 Zhou 황후 Wu Zetian 에 의해 황실에 초대되었고,
황실의 존경심 때문에 그에게 돈을 지불했습니다.
이 기간에 첫 번째 혈통 문서가 생성되었습니다.
선의 전승에 대한 계보 발표는 대도시 선의 활동 초기에 처음으로 종이에 기록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최초의 기록 사례는 689년에 사망한 Hongren의 제자인 Faru의 비문에 있으며,
8세기 후반에 Hongren의 추종자들은 Bodhidharma에서 Shenxiu. [73]
동산에서 두 수도로의 전환은 선의 성격을 변화시켰다:

Hongren의 후계자들이 문맹 사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도시 규모를 가진 두 수도의 환경으로 이사했을 때만
이 가르침을 전파하기 위해 잘 쓰여진 텍스트가 필요했습니다. [74]
"동산교"의 회원들은 각성경이 경전이 아니라 경전,
주석이라는 것을 깨닫고
경전적 근거를 옮겨 대각경전 의 경전 으로 랑카바타라 경전의 계보 를 조작 했습니다 . [49]




남부 학교 – Huineng 및 Shenhui [ ■편집 ]

혜능 찢는 경전


함께 보기: 서브티즘
전승에 따르면 여섯 번째이자 마지막 조상 창시자인 혜능 (惠能; 638–713)은
선 역사상 거인 중 한 명이었고
살아남은 모든 학파는 그를 그들의 조상으로 여깁니다.

Huineng 의 생애에 대한 극적인 이야기는 족장이라는 칭호에 대한 그의 주장에 대해 논란이 있었음을 말해줍니다.

혜능은 다섯 번째 조조 시조인 홍인(洪人)의 선택을 받은 후,
질투하는 홍인의 선배 제자들의 분노를 피하기 위해 밤에
남쪽의 난화사(南華寺)로 도망쳐야 했습니다 .


러나 현대 학문은 이 이야기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역사적 연구에 따르면 이 이야기는 731년 Huineng의 후계자 Shenhui가 황실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캠페인의 일환으로 8세기 중반에 만들어졌습니다.

그는 Huineng이 인정받는 후계자 Shenxiu 대신 Hongren의 후계자라고 주장했습니다. [47]
족장 칭호 전승을 위한 경쟁이 있었다고 말하는 단경( Platform Sutra ) 에 서술된 것처럼
혜능의 삶에 대한 극적인 이야기가 만들어졌습니다 .

혜능은 5대 조조인 홍인(洪人)의 선택을 받은 후 질투하는 홍인의 선배 제자들의 분노를 피하기 위해
밤에 남쪽의 난 화사 (南華寺)로 도망쳐야 했다 . [5] [68]

Shenhui는 그의 캠페인에 성공했고 Huineng은 결국 여섯 번째 조사로 간주되었습니다. [68] [5]

745년 Shenhui는 수도인 Dongdu(현대 Luoyang
) 에 있는 Heze Temple에 거주하도록 초대받았습니다 .
Shenhui 혈통의 후계자 중 가장 저명한 사람은 Guifeng Zongmi였습니다 . [76]

Zongmi에 따르면, Shenhui의 접근 방식은 796년에 공식적으로 승인되었습니다.
Shen-lung 사원". [77]


교리적으로 Shenhui의 "Southern School"은 깨달음이 갑작 스럽다는 가르침과 관련이 있는 반면
"Northern" 또는 East Mountain school은 깨달음이 점진적이라는 가르침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것은 두 학파가 같은 전통에서 파생되었고 소위 남종파가 더 영향력 있는 북종파의 많은 가르침을 통합했기 때문에 논쟁적인 과장이었습니다. [47]

결국 두 학교는 모두 소멸했지만 Shenhui의 영향은 너무 커서
이후의 모든 Chan 학교는 Huineng에서 기원을 추적했으며
"갑자기 깨달음"은 Chan의 표준 교리가되었습니다. [47]


Shenhui의 영향은 플랫폼 Sutra 에서 추적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 Sutra 는 Huineng 이야기에 대한 대중적인 설명을 제공하지만
Shenhui가 만든 적대감을 조화시킵니다.

중요한 것은 Shenhui 자신이 Platform Sutra 에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그는 Chan 역사에서 효과적으로 쓰여졌습니다.
플랫폼 경전 은 또한 8세기 중국 불교에서 금강경 (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 의 인기가 높아지는 것을 반영합니다 . [79] [80]

그 후 선종의 필수 텍스트는 종종 Laṅkāvatāra Sūtra 와 Diamond Sūtra 로 간주되었습니다 . [81]

불성을 지지하는 란까바따라 수뜨라( Lṅkāvatāra Sūtra ) 는 단계적 으로 얻을 수 있는 마음의 청정을 강조했습니다.

Diamond-sutra는 "완전히 실현되거나 전혀 실현되지 않아야 한다"는 순야타를 강조합니다.
David Kalupahana 는 후기 Caodong 학교 (일본 Sōtō , 점진적) 및 Linji 학교 (일본 Rinzai 학교 , 갑자기) 학교를 각각 YogacaraMadhyamaka 철학과 연관시킵니다.

동일한 비교가 McRae 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Madhyamaka 학교는 śūnyatā 의 주제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금강경 도 속해 있는 반야 바라밀다 경 . Laṅkāvatāra Sūtra 에서 금강경 으로 의 전환은
또한 초월적 실재를 암시하는 불성 가르침과 그러한 초월적 실재를 부정하는 śūnyatā 사이의 긴장을 의미합니다.




티베트 찬 [ ■편집 ]
Moheyan 과 같은 중국 선 불교 교사 는 티베트 제국 의 전성기인 8세기에 처음으로 티베트에 갔다 .
Samye 논쟁 에서 알 수 있듯이 그들과 인도 불교도 사이에 분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
Chan과 Tantric 불교도가 나란히 살았던 Dunhuang 의 동굴에서 많은 티베트 Chan 텍스트가 회수되었으며
이로 인해 어떤 경우에는 종교적 혼합주의 가 발생했습니다. 불교는 티베트에서 수세기 동안 살아남았지만
대부분 은 티베트 불교 의 10세기 발전으로 대체되었습니다 .

Sam Van Schaik에 따르면:
'암흑기' 이후 티베트 불교에서 눈에 보이는 선의 영향은 모두 제거되었고,
마하요가와 선은 서로 조심스럽게 구별되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위대한 중앙 티베트 학자인 Gnubs chen Sangs rgyas ye shes가 쓴 10세기의 관상의 눈을 위한 램프에서 이미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 영향력 있는 작업은 깨달음을 위한 별개의 수단으로서 선, 대승, 대완을 체계화하는 데 중요한 단계를 나타냈습니다.
이에 비해 우리 [둔황] 필사본 그룹은 다른 곳에서 꽤 뚜렷하게 유지되었던 명상 시스템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여 놀라운 자유를 보여줍니다.
이 사본에 명시된 실행 체계는 후기 티베트 전통에 살아남지 못했습니다.

물론,[85]
고전 또는 중세 찬 - 당나라(c. 750–1000) [ ■편집 ]
Daoxin, Hongren, Shenxiu, Huineng 및 Shenhui는 모두 당 초기에 살았습니다.
당나라 후기 는 전통적으로 선의 "황금 시대"로 간주됩니다.
이 확산은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87]
당나라의 영토를 보라
. 온통 선종의 영역이다.


루산 반란 [ ■편집 ]
An Lushan Rebellion (755-763) 은 당나라의 통제력을 상실하고 Chan 장면을 다시 변경했습니다.
대도시 선은 그 지위를 잃기 시작했고
"다른 학파는 군벌이 통제하는 외곽 지역에서 생겨났습니다.
이들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선의 선구자입니다.
그들의 기원은 모호합니다.
Shen-hui의 설교의 힘은 다음과 같은 사실에 의해 보여집니다.
그들은 모두 Hui-neng을 추적합니다." [88]




흥주학교 [ ■편집 ]
상위 문서: 홍저우 학교

린자이


이 학교 중 가장 중요한 학교는 Mazu 의 Hongzhou 학교 (洪州宗)이며 Shitou , Baizhang Huaihai , HuangboLinji (Rinzai) 도 소속되어 있습니다 .
Linji는 또한 Five Houses 중 하나의 창립자로 간주됩니다.
이 학교는 "고함, 구타, 비합리적인 반박을 사용하여 학생들을 깜짝 놀라게 하는 등의 충격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89] [51]
이들 중 일부는 오늘날 흔히 볼 수 있는 반면 다른 일부는 대부분 일화에서 발견됩니다.

오늘날 많은 선 전통에서
선 교사들이 권위의 상징이며 대화 중에 테이블을 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공식 의식 중에 막대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충격 기술은 학생들을 돕기 위해 비합리적이고 이상한 행동을 보이는 선 마스터의
전통적이고 여전히 인기 있는 이미지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47] [90]

이 이미지의 일부는 katsu 로 알려진 큰 배꼽 소리와 같은 나중에 잘못된 해석과 번역 오류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

"Katsu"는 "고함을 지르다"를 의미하며,
전통적으로 "고함을 질렀다"를 의미하는 "katsu"로 번역되었습니다. [웹 4]


잘 알려진 이야기는 Mazu가 dhyana를 수행하지만
그의 스승 Nanyue Huairang 에게 좌선을 타일을 닦는 것과 비교하여 꾸짖는 것을 묘사합니다. [91]

Faure에 따르면 비판은 dhyana 자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의 지위로 낮아진 어떤 수행을 통해 "부처가 된다"는 생각"입니다. [91]

좌선에 대한 비판은 "경건한 일만 하고 경전을 암송하며
좌선 에 남아 있는" 승려들의 역할과 지위의 변화를 반영한다 . [92]

그럼에도 불구하고 좌선은 귀봉 종미 의 영향으로 인해 선 전통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었습니다.,


dhyana와 통찰력의 균형을 맞추려고 노력한 사람. [92]
Hung-chou 학파는 급진적인 하위주의 로 인해 비판을 받아왔다 .

선종과 화엄종의 영향력 있는 교사이자 학자인 구이펑 종미 (圭峰 宗密)(780–841)는
홍주 종파의 가르침이 영적 수양과 도덕의 필요성을 부인하는 급진적인 비이원론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했습니다.

규율.

종미는 불성(佛性)의 본질과 일상적 현실에서의 작용이
같은 현실의 다른 측면일 뿐임을 인정하면서도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93]



Shitou Xiqian [ ■편집 ]
전통적으로 Shitóu Xīqiān (Ch. 石頭希遷, c. 700 – c.790)은 이 시기의 또 다른 위대한 인물로 간주됩니다.

선 혈통에서 그는 조동(Sōtō) 학교의 전신 으로 간주 됩니다 . [94]
그는 또한 Dongshan Liangjie 의 귀중한 거울 삼매 의 노래 (Jp. Tōzan Ryōkan)와
오계의 가르침의 기초 를 형성한 시인 산도카이 의 저자로 간주됩니다 . [95] [96]





대박해 [ ■편집 ]
845~846년 우종 황제 는 중국의 불교 학교를 박해했습니다.
756년 안록산의 난 이후 혼란에 빠져 있던 중앙 정부가 절박한 힘으로 사찰을 약탈하여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구제책을 얻으려는 절박한 시도였다.
그들의 막대한 부와 광활한 땅. [97]
이 박해는 대도시 선(禪)에게는 참담했지만
, 마조(馬祖) 등의 선파는 살아남았고 후기 당 선(禪)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97]



오대십국시대(907-960/979) [ ■편집 ]
참조: 오대 십국 시대
당나라 가 멸망한 후 중국은 오대 십국 시대 동안 효과적인 중앙 통제가 없었습니다.
중국은 여러 자치구로 나뉘었습니다.
불교에 대한 지원은 일부 지역으로 제한되었습니다.
화옌천태 _학교는 황실의 지원에 의존했기 때문에
변화하는 상황에 시달렸습니다.

당나라 사회의 붕괴는 또한 귀족 계급의 부와 영향력을 박탈했으며,
이는 불교에 더 큰 단점을 의미했습니다.
Shenxiu의 북종과 Henshui의 남종은 변화하는 환경에서 살아남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은 중국 불교 내에서 지배적인 흐름으로 부상했지만,
시대의 지역적 지향성으로 인해 다양한 학파가 그들의 가르침에서 다양한 강조점을 발전시켰습니다.

Fa-yen Wen-i(885–958)의 이름을 딴 Fayan 학교는 Nan-T'ang( Jiangxi , Chiang -hsi) 및 Wuyue (Che-chiang) 왕국의 지배적인 학교가 되었습니다. [98]
Literary Chan – Song Dynasty (c. 960–1300) [ ■편집 ]



참조: 송나라
오대십국시대에 이어 송나라가 이어져 강력한 중앙정부를 세웠다.
송나라 시대에 선(禪)은 정부가 국가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했으며
선은 중국 불교 에서 가장 큰 종파로 성장했습니다 .
새롭게 획득한 지위의 유산에 기여한 당나라 선의 이상적인 그림이 만들어졌습니다.
송 왕조(960-1279)에 중국 선불교는 절정의 패러다임에 도달했습니다.

"절정 패러다임"이란 Chan이 서면 텍스트로 설명되고
지지자들이 실천하며 확장하여 전체 중국 인구에 의해 종교적 실체로 이해되는 개념적 구성을 의미합니다 ...

Chan의 이전 사건은 다음을 통해 해석되었습니다.
송 왕조 구성의 렌즈와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의 후속 개발은 송 시대에 확립된 표준에 대해 알려진 것과 비교하여 평가되었습니다.

따라서 위대한 당나라 거장들의 낭만적인 이미지인 Mazu와 그의 제자,
Caoshan, Dongshan과 그들의 제자,
그리고 물론 Linji는 송나라 작가들에 의해 생성되었고 송나라 텍스트 내에서 기능했습니다. 비슷하게,[99]



찬의 다섯 집 [ ■편집 ]
참조: 찬의 다섯 집
노래 중에 선의 오가(五家) 또는 다섯 학파가 인정되었다.
이들은 원래 "학교"나 "종파"로 간주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선 족보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그들은 "학교"로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Chan의 다섯 집은 다음과 같습니다. [4]
Guiyang 학교 (潙仰宗)는 Mazu Daoyi 의 달마 후예인 Guishan Lingyou (771–854)와
Yangshan Huiji(813–890) 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 [100]

Linji 학교 (臨濟宗), Linji Yixuan (866년 사망 )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 [101]

조동종 (曹洞宗)은 둥산량제 (807~869)와 조산 본기(840~901)의 이름을 딴 것이다 .
운문 학교 (雲門宗), 혈통이 Shitou Xiqian 으로 추적되는 Xuefeng Yicun ( 822–908) 의 제자인 운문 문암(949년 사망 )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102]
Fayan 학교 (法眼宗)는 Xuefeng Yicun 의 "대학생"인 Fayan Wenyi (885–958) 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


Linji-school의 부상 [ ■편집 ]
상위 문서: 린지 학교
Linji-school은 문인과 법원의 지원으로 인해 Chan 내에서 지배적 인 학교가되었습니다. [101]
송 왕조 이전에 린지 학파는 다소 모호했으며 초기 역사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습니다.

Linji 에 대한 첫 번째 언급은 Linji가 사망한 지 86년 후인 952년에 편찬된 Zutang ji 에 있습니다.
그러나 Zutang ji 는 Xuefeng Yicun 혈통을 Mazu와 Hongzhou 학교의 유산에 대한 상속인으로 묘사합니다. [101]

Welter에 따르면 Linji 학교의 실제 설립자는 Linji의 4대째 달마 상속자인 Shoushan(또는 Baoying) Shengnian(首山省念)(926–993)이었습니다.

공식 Li Zunxu(李遵勗)(988–1038)가 편집 한 Tiansheng Guangdeng lu (天聖廣燈錄), "Tiansheng Era Expanded Lamp Record"는 Shoushan Shengnian의 지위를 확인하지만
Linji를 Chan의 주요 족장으로 묘사합니다.
Fayan 혈통의 탁월함을 대체하는 Mazu의 상속인. [101]
한 "가르침 밖의 특별한 전승"이라는 슬로건을 수립하여 "다른 모든 불교 가르침과 분리되고 우월한 선"이라는 린지파의 주장을 뒷받침했습니다. [103]



Dahui Zonggao [ ■편집 ]
송대(960~1279)에 걸쳐 구이양, 파옌, 윈먼 학파는 점차 임제에 흡수되었다.
Song Chan은 Dahui Zonggao 의 Linji 학교에 의해 지배되었으며 ,
차례로 황실과 강하게 제휴했습니다.
... 성찬의 타희학파는 송나라, 고관, 사대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
타희가 우선했다.
중국의 관료제도가 전국의 선사에 들어섰고 고도로 조직화된 사찰계급과 관리체계가 발달했다. [104]
오산제도(吳山制)는 송(宋) 정부가 모든 성(省)에 설치한 국영 사찰 제도였다. [105]



코안 시스템 [ ■편집 ]
고전 거장의 교수법과 말은 소위 "만남 대화"에 기록되었습니다. [47]
이러한 만남의 대화의 일부는
Yuanwu의 Blue Cliff Record (1125),
Wumen의 The Gateless Gate (1228) ,
Linji 혈통 모두 및 Wansong XingxiuEquanimity Book (1223) 과 같은 텍스트로 수집되었습니다.

차오동 혈통.
이 텍스트는 시와 산문 주석과 함께 고전적인 공안 사례가 되었으며,
이는 체계화 된 공안 (koan) 실행으로 결정화되었습니다.
Miura와 Sasaki에 따르면, "[I]t는 Yuan-wu 의 후계자인 Dahui Zonggao (大慧宗杲; 1089–1163)의 생애 동안 Koan Chan이 결정적인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106]

공안 수련은 원우와 대회가 속해 있는 린지파에서 널리 퍼졌지만 , 조동파에서도 좀 더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녹음된 만남의 대화와 이 장르에서 파생된 공안 컬렉션은 독방 연습에서 스승과 제자 간의 상호 작용으로의 전환을 나타냅니다.
깨달음의 본질은 스승과 제자의 교류에서 확인되었다

. dhyana가 가져올 통찰력이 무엇이든 그 검증은 항상 대인 관계였습니다.
사실상 계몽은 통찰이 아니라 세상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행동하는 방식으로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107]
과거의 스승과 제자의 만남의 의미에 대한 이러한 상호 탐구는 학생들에게 역할 모델을 제공했습니다.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 자신의 직계 조상의 계몽된 활동을 살펴보았습니다. [...]
참가자의 역할을 맡아 대화에 참여하는 대신 [108] [주 6]
Koan 관행은 문학적 관행, 스타일링 스니펫이었습니다.
만남의 대화를 잘 편집된 이야기로. 그것은 "교육받은 문인"과의 상호 작용에서 발생했습니다. [109]
사건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는 등의 문학적 접근에는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었다.
Dahui Zonggao는 Blue Cliff Record 의 목판을 불태웠다고도 합니다.
그의 제자들이 Chan을 연구하는 데 방해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 110 ]



무성 조명 [ ■편집 ]
Caodong은 Song 시대에 살아남은 다른 학교였습니다.
그 주인공은 Dahui Zonggao의 동시대 사람인 Hung-chih Cheng-chueh였습니다.
"조용한 조명" 또는 "그냥 앉아 있는 것"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Dahui는 이러한 접근 방식이 단순한 수동성이며
자신의 본성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데 중점을 두지 않는다고 공격했습니다.
Cheng-chueh는 차례로 koan 연구의 강조를 비판했습니다. [111]



고전 이후 찬(c. 1300–현재) [ ■편집 ]
원나라(1279–1368) [ ■편집 ]
원 왕조 는 몽골 제국 이 금 왕조(1115-1234)남송 왕조 를 정복 한 후
보르지긴 일족 의 지도자인 쿠빌라이 칸 이 세운 제국 입니다.

Chan은 Zhongfeng Mingben (1263–1323) 의 가르침에서와 같이 정토 불교 와 혼합되기 시작했습니다 .
이 기간 동안 반드시 원래 혈통과 연결되지 않은 다른 선 혈통이
중국과 한국에서 활동 한 108대 선 총대주교 Dhyānabhadra 와 함께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112]



명나라(1368–1644) [ ■편집 ]
선불교는 명나라 때 부흥기 를 누렸습니다. 사후에 오바쿠 선파 의 첫 번째 총대주교로 여겨지게 된
미운 위안우(密雲圓悟) ; Yunqi Zhuhong (雲棲祩宏) 및 Ouyi Zhixu (蕅益智旭).

Chan은 많은 수도원에서 Pure Land , Huayan , Tiantai중국 밀교 와 같은 다른 불교 전통과 함께 가르쳤습니다 .
이전 왕조의 불교와 계속해서 불교 스승들은 다양한 사상 학파 사이의 종파적 묘사를 옹호하는 것과는 반대로
다양한 전통에서 통합된 가르침을 가르쳤습니다. [113] [114] [115]

명나라는 몰락하면서
여러 선(禪) 스승들이 일본으로 도피하여 오박 (大塚)파를 세웠다 . [116]



청나라(1644–1912) [ ■편집 ]
청나라 초기 에 Miyun Yuanwu (1566–1642)의 "구타 및 고함 관행의 부활"과
Wudeng yantong ( "The 엄격한 오선 학교의 엄격한 전승" )의 출판으로 Chan은 "재창조"되었습니다. ")

Miyun Yuanwu의 달마 상속인 Feiyin Tongrong (1593–1662)의 작품.
이 책은 적절한 법전이 없는 자칭 선 승려를 "혈통 미상"( sifa weixiang ) 범주에 배치하여
몇몇 저명한 차오동 승려를 제외했습니다. [117]



현대화 [ ■편집 ]
19세기(청나라 말기) [ ■편집 ]
1900년경에 다른 아시아 국가의 불교도들은 중국 불교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Anagarika Dharmapala 는 1893년에 상하이를 방문하여 [웹 5]
"중국을 여행하고, 중국 불교도들이 인도에 선교사를 보내
인도에 불교를 회복시키고,
전 세계에 선전을 시작하도록" 의도했지만 결국 제한적이었습니다.
그의 상하이 체류. [web 5] 일본 불교 선교사들은 20세기 초 중국에서 활동했습니다. [웹 5]






중화민국(1912–1949) – 최초의 불교 부흥 [ ■편집 ]
참조: 중화민국(1912–49)

대만 의 전통 찬 불교 그랜드 마스터 Wei Chueh 가 명상에 앉아 있습니다.


중국의 근대화는 중화제국의 종말과 중화민국의 수립으로 이어졌고,
공산혁명 과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까지 본토에서 지속되었다.
청나라 때 수세기 동안 더 쇠퇴한 후,
찬은 20세기 초 중국 불교의 유명한 인물인 쉬윈(虛雲)에 의해 다시 부활했습니다.

오늘날 많은 선 교사들은 Sheng Yen (聖嚴)과 Hsuan Hua (宣化)를 포함하여
20세기와 21세기를 통해 선이 꾸준히 성장한 서양에서 선을 전파한 Hsu Yun의 혈통을 추적합니다.


불교 개혁가 Taixu 는 Bailin Monastery 의 이전 대수도원장인 Jing Hui가 지지 하는 Chan의 영향을 받은
인본주의 불교 를 전파했습니다 . [118]


1949년까지 중국 불교를 전파하기 위해
를 들어 광화사( Guanghua Monastery ) 승려들이 동남아시아 국가에 수도원을 세웠습니다 .


현재 광화사는 말레이반도와 인도네시아에 7개의 지부를 두고 있다. [웹 6]



중화인민공화국(1949–현재) – 두 번째 불교 부흥 [ ■편집 ]
참조: 중국
Chan은 중화인민공화국 초창기 근대 근세에 중국에서 억압을 받았지만
이후 본토에서 다시 자기 주장을 펼치고 있으며
대만홍콩 은 물론 해외 화교 들 사이에서도 상당한 추종자를 갖고 있습니다.
1970년대 중국의 경제 개혁 이후 중국 불교의 새로운 부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119] [42] [web 7] [web 8]


Bailin Monastery
Guanghua Monastery 와 같은 고대 불교 사원 이 개조되었습니다.
Bailin Monastery는 1949년 훨씬 이전에 파괴되었습니다. [118]

1988년에 Jing Hui는 Hebei 불교 협회를 인수하고 수도원 재건을 시작하도록 설득되었습니다.
Jing Hui 는 Hsu Yun 의 제자 [ 118 ] 이자 다르마 후계자 [web 9] 이지만
Taixu
인본주의 불교도 채택했습니다 . [118] [주 7] [주 8]


Guanghua Monastery 는 1979년 당시 70세의 Yuanzhou(圆拙老法师) 스님의 감독 아래
6년간의 복원 프로그램이 시작되면서 복원되었습니다.
1983년에 이 사원은 중국 불교 지역 사원(汉族地区全国重点寺院) 중 하나가 되었으며,
36세의이란 스승(毅然法師)이 주지가 되었습니다.

같은 해 원저우 스님은 이 부지에 새로운 푸젠 불교 아카데미(福建佛学院) 설립에 자금을 지원했습니다.



대만 [ ■편집 ]
참조: 대만 과 대만의 불교
몇몇 중국인 불교 교사들은 공산주의 혁명 동안 중국을 떠나 홍콩과 대만에 정착했습니다.
Sheng Yen (1930–2009)은 대만 에 기반을 둔 불교 단체인 Dharma Drum Mountain 의 창립자입니다 .
대만에 있는 동안 Sheng Yen은 현대와 서구의 영향을 받은 세계에서
불교를 가르치려는 진보적인 불교 교사 중 한 명으로 잘 알려져 있었습니다.
이와 같이 Sheng Yen은 30개 이상의 Chan 텍스트를 영어로 출판했습니다. [120] [121] [122]


Wei Chueh (1928–2016)는 중국 쓰촨성 에서 태어나 대만에서 성임되었습니다.
1982년에 그는 타이베이 현에 임권사를 건립 하고
많은 강의와 7일간의 선 수행을 통해 수행 에 대한 가르침으로 유명해졌습니다 .
그의 주문은 Chung Tai Shan 이라고 합니다.

1960년대에 Ch'an 관행 에 대한 가르침을 바탕으로 두 가지 추가 전통이 나타났습니다 .
불교 수녀인 Cheng Yen (1937년 출생)은 1966년 5월 14일 대만 화롄 에서 불교 에 기원을 둔 자선 단체로
자치 재단 을 설립했습니다.

그녀는 그녀의 스승이자 스승이자 인본주의 불교 의 지지자인 고 Yin Shun (印順導師, Yìn Shùn dǎoshī) 스승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불교와 모든 중생을 위해 일하라"고 권고했습니다.
이 단체는 가난한 가정을 돌보기 위해 매일 소액의 돈을 기부한 30명의 주부 들이 모인 단체로
"부자를 가르치고 가난한 자를 살린다"는 모토로 시작되었습니다 . [123]


Hsing Yun (1927년 출생) 은 1967년 대만 에 기반을 둔 국제 중국 불교 신종교 운동 인
Fo Guang Shan을 설립했습니다.
이 교단은
인본주의 불교 를 장려 합니다

. Fo Guang Shan은 또한 스스로를 국제 불교 진보 협회라고 부릅니다.
가오슝 다 슈구에 위치한 불광산 본부 는 대만에서 가장 큰 불교 사원입니다
. Fo Guang Shan 내에서 Hsing Yun의 입장은 Chan을 포함하여
"중국 불교의 모든 8개 종파의 혼합물"(八宗兼弘)이라는 것입니다.

Fo Guang Shan은 대만의 주요 불교 단체 중 가장 포괄적이며
사회 사업과 종교 활동에 중점을 둡니다.[124]

대만에서 이 네 명의 스승은 대만 불교의 " 사천왕 "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
각각의 조직인 Dharma Drum Mountain , Chung Tai Shan , Tzu Chi , Fo Guang Shan 은 "
4 Great Mountains " 이라고 불립니다. . [125] [126]




선불교의 아시아 전파 [ ■편집 ]
참조: 아시아에서 선불교의 확산
베트남에서의 Thiền [ ■편집 ]
참조: 베트남 티엔베트남의 불교
베트남의 전통적인 기록에 따르면, 580년 Vinītaruci ( 베트남어 : Tì-ni-đa-lưu-chi )라는 이름의 인도 승려 가
중국 선의 세 번째 족장인 Sengcan 과 함께 공부를 마친 후 베트남으로 여행했습니다 .
이것은 티엔 불교 의 첫 등장이 될 것입니다 .
다른 초기 Thiền 학교에는 Mazu Daoyi의 가르침과 관련된 Wu Yantong ( 중국어 :無言通; 베트남어 : Vô Ngôn Thông )과
Nianfo 노래 기술을 통합 한 Thảo Đường (Caodong)이 포함됩니다.
둘 다 중국 승려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한국의 선 [ ■편집 ]
참조: 한국선한국불교
선은 신라 말기(7~9세기)에 한국 승려들이 주로 화엄종 ( 화엄종 ; 한자 : 華嚴宗)과
동아시아 요가 가라 ( 한국어 : 유식종 ; 한자 : 唯識宗) 배경을 가지면서 점차 한국에 전해졌다 .
새롭게 발전하는 전통을 배우기 위해 중국으로 여행을 떠납니다.
선은 개혁 운동을 일으키고 공안 을 도입한 고려 승려 지눌 (知訥, 1158-1210) 로부터
가장 중요한 동력과 강화를 받았다.
한국에 연습. 지눌 은 새로운 순수 수행의 중심지로 송광사 (松廣寺)를 세웠다.


일본의 선 [ ■편집 ]
참조: 일본 선
Zen 은 Eisai 가 중국으로 여행하고 일본에서 Rinzai로 알려진 Linji 혈통을 확립하기 위해 돌아온
12세기까지 일본에서 별도의 학교로 소개되지 않았습니다 .

1215년, Eisai의 젊은 동시대인 Dōgen 은 직접 중국으로 여행을 떠났고 그곳에서 Caodong 마스터 Rujing 의 제자가 되었습니다 .
돌아온 후 Dōgen 은 Caodong의 일본 지점 인 Sōtō 학교를 설립했습니다.

현재 일본에 존재하는 선종은 Sōtō, Rinzai 및 Ōbaku 입니다.
그 중 소토가 가장 크고 오바쿠가 가장 작다.
Rinzai 자체는 Myōshin-ji , Nanzen- ji , Tenryū-ji , Daitoku-jiTōfuku -ji 를 포함하여
사원 소속에 따라 여러 하위 학교로 나뉩니다 .


Chan은 인도네시아에서 [ ■편집 ]
참조: 인도네시아의 불교Ashin Jinarakkhita
20세기에 1차 불교 부흥기에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 선교사들이 파송되었습니다.
인도네시아 불교 부흥에 중심적 역할을 한 Ashin Jinarakkhita는
1953년 7월 29일에 Chan śrāmaṇera [ web 14] 비구 Ben Qing 으로부터
Ti Zheng(Te Cheng)이라는 이름을 받았습니다 .


서양 세계의 찬 [ ■편집 ]
참조: 서양의 불교일본 선 § 서양 세계의 선
Chan은 특히 일본어 형식으로 인기를 얻었습니다.
서양이 선을 불교의 독특한 형태로 처음 알게 된 시기를 추적하기는 어렵지만 ,
1893년 세계종교회의 기간에 일본의 선 승려인 소옌 샤쿠( Soyen Shaku )가 시카고 를 방문한 것은
종종 서구 세계에서 위상을 높였습니다.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에는 동양인 이민자의 후예 외에 선에 대한 진지한 관심을 추구하는 서양인의 수가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



서선의 혈통 [ ■편집 ]
참조: 서양 선 계보

480에이커가 넘는 땅을 덮고 캘리포니아 탈매지에 위치한 만불 의 도시는 Hsuan Hua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북미에서 서양인을 가르친 최초의 중국인 스승은
1960년대 초 샌프란시스코 에서 찬과 중국 불교 의 다른 전통을 가르친 Hsuan Hua 였습니다.

그는 계속해서 캘리포니아주 유키아 근처의 237에이커(959,000m2) 부지 에 위치한 수도원 겸 휴양지인
만불의 도시 를 발견하고
법계 불교 협회 를 설립했습니다 .

서양인을 따르는 또 다른 중국 선 교사 는
Caodong 및 Linji 학교에서 훈련받은 마스터 Sheng Yen 이었습니다.

그는 1978년 미국 불교협회의 후원으로 처음 미국을 방문했다.,
이후 뉴욕 퀸즈에 CMC Chan 명상 센터를 설립하고 뉴욕 파인 부시Dharma Drum Retreat Center 를 설립했습니다 . [웹 15]



교리적 배경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 은 선(禪)의 교리적 배경입니다 .
Zen-narrative는 그것이 "말에 서지 않은" "경전 밖의 특별한 전달"이라고 말하지만 [127]
Zen은 풍부한 교리적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극성 _ _ _
고전 중국 선은 일련의 극성으로 특징지어집니다: [128]
절대-상대적, [129] 불성-순야타, [130] 갑작스럽고 점진적인 깨달음, [131] 밀교 및 외래 전달. [132]


절대 상대 [ ■편집 ]
Prajnaparamita sutras와 Madhyamaka 는 Heart sutra 가 말했듯이
"색은 공 , 공은 색"이라는 형태와 공의 비 이중성을 강조 합니다 .
이것은 궁극 의 실재가 초월적 영역이 아니라 상대적 실재의 일상적 세계와 같다는 의미로 이해되었다.

이러한 생각은 세속적인 세계와 사회를 강조하는 중국 문화에 잘 맞았다.
그러나 이것은 상대적인 세계에서
절대적인 것이 어떻게 존재하는지 완전히 설명하지 못합니다.
이 질문은 Tozan 의 Five Ranks , [133] The Ten Bulls ("the Oxherding Pictures") 및 Hakuin
4가지
인식 방법과 같은 도식에서 답변 됩니다. [134]


Madhyamaka 두 가지 진리 교리 와 Yogacara 세 가지 본성
rikaya
교리는 또한 절대와 상대적 사이의 상호 작용을 묘사합니다.


불성과 śūnyatā [ ■편집 ]
불교가 중국에 소개되었을 때 불교는 토속적인 용어로 이해되었습니다.
다양한 종파가 인도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고군분투했습니다.

Tathāgatagarbha sūtras불성 (佛性)에 대한 생각 은 현상계 의 기저에 깔린 초월적 실재로 이해되는
도 () 와 유사하다고 인식되기 때문에 승인되었습니다 .

Śūnyatā 는 처음에 도교의 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었습니다 . [32] [135]

불성 교리는 모든 중생 이 깨어남이 솟아나 는 요소인 불성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Tathāgatagarbha 경전 은 모든 살아있는 존재가 깨달음을 실현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136]

따라서 불교는 승려나 전생에서 카르마에서 거의 완전히 해방된 사람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구원을 제공합니다. [ 인용 필요 ]

여덟 가지 의식 에 대한 Yogacara 이론은 감각 입력과 마음이 어떻게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를 창조하고
불성(佛性)과 동일시되는 알라야 갸나(alaya-jnana)를 모호하게 하는지 설명합니다.[137]

이 잠재력이 실현되고 번뇌가 제거되면 불성 은 세상의 모든 것에 스며드는
절대적인 실재인 법신 으로 현현합니다.
이런 식으로 그것은 현상적 현실이 솟아나는 원초적 현실이기도 하다 .
이 이해가 이상화될 때 그것은 현상의 세계 아래에 있는 초월적 실재가 됩니다. [138]


Sunyata는 모든 "사물"의 "공허함" 또는 "사물" 없음을 지적합니다.
우리는 이름으로 지정된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대상의 세계를 인식하지만
자세히 분석하면 "사물"이 용해되어 고유한 존재가 "비어 있는" 상태로 남습니다.

반야바라밀다경( prajñaparamita sutras )의 텍스트인 반야심경( The Heart sutra )은
오온(五蘊)이 "비었다(empty)"고 말하는 다음과 같은 말에서 이것을 분명하게 표현합니다 .

Yogacara는 우리가 "사물"을 인식하는 방식을 분석하여 이 "공허함"을 설명합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모든 것은 지각, 느낌, 의지, 분별의 결과인 오온의 작용 결과입니다. [주 9]
오온이 함께 의식을 구성합니다.
우리가 의식하고 있는 "사물"은 본체가 아니라 "단순한 개념" 입니다 . [137]


중국 불교가 슌냐타가 "우(무)"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는 데 수세기가 걸렸으며 [32] [140]
불교는 영원한 영혼을 가정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교리 및 텍스트 배경의 영향은 Zen에서 여전히 식별할 수 있습니다 .

선 교사들은 여전히 ​​불성을 언급하지만,
선 전통은 또한 불성이 독립적이고 실체적인
자아의 부재인 슌냐타(śūnyatā)임을 강조 합니다 . [32]


갑작스럽고 점진적인 깨달음 [ ■편집 ]

명상에 앉아 관세음보살


선불교에서는 깨달음으로 가는 길에 대한 두 가지 주요 관점, 즉 갑작스럽고 점진적인 깨달음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초기 선은 "몸과 마음의 초월"을 인식한 다음 "지식과 인식의 불결함" 또는 진성( jiànxìng ) 에 대한
갑작스러운 통찰 과 의도의 점진적인 정화가 뒤따랐습니다. [141]

8세기에 선회는 Yuquan Shenxiu 가 이끄는 소위 동산 가르침 또는 "북종" 과 그가 "남종"이라고 부르는
자신의 가르침 사이의 이분법을 만든 Shenhui 에 의해 효과적으로 재구성되었습니다 . . [142]

Shenhui는 Huineng 을 여섯 번째 Chan-toarch로 두각 을 나타내고
동시 북부 학교의 점진적인 깨달음 과는 반대로 갑작스런 깨달음 을 강조 했습니다. [142]

갑작스런 깨달음 에 따라Shenhui에 의해 전파된 진성(眞性)에 대한 통찰은 갑작스럽다.
그 후에는 이 참된 본성에 대해 더 이상 오해가 있을 수 없습니다.

Platform Sutra 에서는 돌발과 점진적 사이의 이분법이 조화를 이룹니다.
Shenhui 의 5대 후계자인 Guifeng Zongmi 도 갑작스러움과 점진적 사이의 경계를 부드럽게 했습니다.
그의 분석에서 돌각은 자신의 본성을 보는 것을 가리키지만, 부처 를 얻기 위한 점진적인 수행이 뒤따른다 . [144]


이러한 점차적인 수양은 깨달음의 오계를 묘사한 Dongshan Liangjie (일본 의 Tōzan )에 의해서도 인정됩니다. [웹 16]



밀교 및 외래 전송 [ ■편집 ]
Borup에 따르면
'마음에서 마음으로의 전달'에 대한 강조는
"전통과 깨달은 마음이 얼굴을 맞대고 전달되는" 난해한 전달의 한 형태입니다.

은유적으로 이것은 한 촛불에서 다른 촛불로의 불꽃 전달, [132]
또는 한 정맥에서 다른 정맥으로의 전달로 설명될 있습니다 . [145]

외적 전달에서 "자신의 개인적 발견을 통해 가르침에 직접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전달 및 식별은 빛나는 랜턴 또는 거울의 발견으로 상징됩니다." [132]


찬 경전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 은 선과 경입니다 .
찬은 대승불교의 가르침과 교리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선 전통이 강조하는 것은 부처의 깨달음이 지적인 추론을 통해서가 아니라
법 수행과 명상을 통한 자아 실현을 통해서 왔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도 깨달음을 얻고 부처가 될 수 있는 것은 주로 법 수행과 명상을 통해서라고 여겨집니다.
초기의 역사 문서와 초기 선 스승의 문헌을 검토하면
그들이 모두 수많은 대승불교 경전에 정통했음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육조의 강경에서 혜능 은
금강경,
법화경 ( Saddharma Puṇḍarīka Sūtra ) ,
Vimalakīrti Nirdeśa Sūtra ,
Śūraṅgama Sūtra
Laṅkāvatāra Sūtra
인용 하고 설명합니다 .


선종은 그 지위를 확립하기 위해 독자적인 교리적 전통을 발전시켜야만 했다. [ 인용 필요 ]

그 후, 선 전통은 그 실천과 가르침의 일부가 된 풍부한 문헌을 생산했습니다.
적어도 CE 9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특히 Chan 텍스트 중 가장 초기에 가장 널리 연구된 것은
Huineng이 쓴 것으로 간주 되는 여섯 번째 조조의 플랫폼 수트라입니다 .

가장 중요한 Chan 텍스트는 다양한 kōans 컬렉션으로 발전한 "만남 대화"장르에 속합니다 .



교육 및 실습 _

참조 젠 연습 이상적인 보살 [ ■편집 ]
Mahāyāna 불교의 학교로서 Chan은 Bodhisattva 이상과 같은 전통에서 기본 운전 개념을 많이 그립니다.
Karuṇāprajna 의 대응물입니다 .
Avalokiteśvara 는 Karuna , 연민 에 대한 노력을 구현합니다 . [146] [주 10]

Chan 연습의 중심은 dhyana 또는 명상입니다.
Lin-ji (Rinzai) 학교에서는 공안 연구로 보완됩니다.



찬 명상 [ ■편집 ]
명상 수행에서 선 전통은 교리와 가르침의 바로 그 개념 이 각 존재의 불성이라는 초월적 지혜를 가리는
다양한 다른 개념과 모습(Skt. saṃjñā ; Ch. 相, xiāng )을 만든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Chan은 수행자들이 그들에게 가르치는 바로 그 경전이나 텍스트를 불신하도록 격려합니다.
재발견 의 과정은 "성찰", "후진", "돌이키기" 또는 "눈을 안으로 돌리기"와 같은 다양한 용어로 통한다.



좌선 _ _ _
상위 문서: 자젠
좌선은 zuòchán (坐禅), 일본어 로 좌선(坐禅)이라고 하며 둘 다
단순히 "앉는 디아나 "를 의미합니다.

이 좌선 중에 수행자는 일반적으로 연꽃 자세 , 반 연꽃 자세, 버마 자세 또는 세 이자 자세와 같은 자세를 취합니다.

마음을 조절하기 위해 의식은 호흡을 세거나 관찰하는 방향으로 향하거나 배꼽 아래 에너지 센터에 배치됩니다( anapanasati 참조 ). [웹 17]

종종 패딩 매트 위에 놓인 정사각형 또는 원형 쿠션을 사용하여 앉습니다.
다른 경우에는 의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송나라 초기에는 선법을 이용한 수련이 인기를 얻었고
다른 사람들은 "고요한 조명"을 수련했습니다.
것은 Linji와 Caodong
전통 사이의 실행에서 약간의 차이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코안 연습 [ ■편집 ]
상위 문서: 코안
koan(문자 그대로 "공개 사례")은 일반적으로 Chan 또는 기타 불교 역사와 관련된 이야기 또는 대화입니다. 가
장 전형적인 형태는 초기 중국 선 마스터와 관련된 일화입니다.

유명한 선 선생과 관련된 이러한 일화는 그들의 지혜를 실제로 보여주는 것이며
선 수행에서 학생의 진행 상황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Koan은 종종 역설적 이거나 언어적으로 무의미한 대화나 질문 으로 보입니다 .
그러나 선불교인들에게 공안은 "진리가 스스로를 드러내는 장소와 시간과 사건"입니다 [149].

언어의 대립과 분화에 방해받지 않는다.
공안에 대답하려면 학생이 개념적 사고와 세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방식을 놓아야 합니다.
그래야 예술의 창의성처럼 적절한 통찰과 반응이 마음에서 자연스럽고 자발적으로 떠오를 수 있습니다.




찬 수도원 [ ■편집 ]
Chan은 독특한 수도원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일상을 강조 하다[ ■편집 ]
중국에서 선학파가 성장함에 따라 승려 규율도 뚜렷해졌으며 삶의 모든 측면을 통한 수행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사원은 노동과 겸손을 강조하기 시작했고,
Chan의 훈련을 일상 생활의 일상적인 작업을 포함하도록 확장했습니다.
중국 선의 대가 백장(720-814 CE ) 은 "일 없는 날은 음식 없는 날이다"라는 그의 삶의 지침이 된 유명한 말을 남겼습니다. [웹 18]



중국 불교의 중국화 [ ■편집 ]
학자 DT 스즈키 (DT Suzuki )는 항상 찬 수련의 목표는 영적 각성이었지만,
중국에서 수세기에 걸쳐 발전한 전통을 구별하는 부분은
인도 불교도의 삶의 방식과 근본적으로 다른 삶의 방식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인도 불교에서는 탁발승 의 전통이 우세했지만,
스즈키는 중국의 사회적 상황으로 인해
주지와 승려가 모두 세속적인 일을 수행하는 사원과 수행원 시스템이 발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여기에는 음식 원예 또는 농사, 목공, 건축, 집안일, 행정(또는 지역 사회 지도), 중국 전통 의학 실습이 포함됩니다..
결과적으로 선에서 추구하는 깨달음은 일상 생활의 요구와 잠재적인 좌절을 잘 견뎌야 했습니다. [150] [151]




[ ■편집 ] 도 참조하십시오 .
푸른 절벽 레코드
화두
불교
불교 개요
불교의 타임라인
불교도 목록
중국불교
일본 선
이두안
참고 [ ■편집 ]
^ McRae는 이 "후베이 파벌"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Shenxiu의 "Northern School"의 연속 일 수 있습니다.
Nadeau 2012 p.89 참조. [12] 허베이는 찬의 린지 분파가 발생한 곳이기도 하다. [13]

명나라(1368~1644)와 청나라 (1644~1912)에 찬은 더 크고 혼합적인 불교 문화의 일부였다 .
마지막 국면은 서구 제국주의가 중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에서 점점 더 큰 영향력을 갖게 된 19세기 이후부터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국주의 영향의 부작용은 아시아 종교가 현대화되어 서양 사상과 수사적 전략에 적응하게 된 것입니다. [19]


고다르는 이 인용문에 대한 출처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것은 Ju-tao an-hsin yao-fang-pien fa-men (JTFM, Instructions on essential expedients for the mind and access the path)이라는 중국어 텍스트에 처음 등장하며 ,
그 자체는 Leng Ch'ieh 의 일부입니다. Shih Tzu Chi (Lankavatara 마스터의 기록).
Lankavatara 마스터의 기록은 " East Mountain School " 로 알려진 초기 Chan 전통과 관련이 있으며약 713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 Mazu의 "마음이 부처"와 "무심부처" 비교: "따메이산의 선사 법창이 처음 조사를 보러 갔을 때,
그는 "부처가 무엇입니까?" ?"
조사가 대답하였다. "마음이 바로 부처입니다." [이 말을 듣고] 법창은 큰 깨달음을 얻었고
나중에 그는 타메이 산에 가서 살았습니다. 조사는 그가 산에 거주한다는 것을 듣고
승려 한 사람을 보내어 법창에게 묻기를 “스님이 마조를 보고 무엇을 얻어서 이 산에 오셨습니까?
” 마음이 부처라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이곳에 살게 되었습니다."
스님은 "마조의 가르침이 최근에 바뀌었다"고 말했다
.
스님이 말씀하시기를, "요즘 그는 또한 '마음도 부처도 아니다'라고 말씀하십니다.
" '마음이 부처'
이기 때문입니다. "매실이 익었다." 총대주교가 말했다." [67]
이 역할 수행은 스웨덴의 종교 심리학자 Hjalmar Sundén 에 의해 설명 되었지만 McRae는 이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Jinghui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웹 10] 을 참조하십시오.
^ 적어도 두 명의 서양인이 Jing Hui의 다르마 계승자라고 주장하거나 주장합니다: Lily-Marie Johnson (Ming Qi) [web 9] [web 11] Daniel Odier . [웹 12] [웹 13]
^ 번역이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있습니다. Vijñāna 는 "의식"으로 번역될 수 있지만 "분별력"으로도 번역될 수 있습니다. [137]
^ Lathouwers 2000 :221 언급: Blofeld, John (1988), 연민의 보살 - 관음의 신비한 전통 . 보스턴: 샨발라

참조 [ ■편집 ]
^ Dumoulin 2005a , p. xvii.
^ Kasulis 2003 , p. 24.
^ Hershock, Peter (2019), "Chan Buddhist" , in Zalta, Edward N. (e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19 ed.),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 검색 됨 2020-01-17
^^이동:a b 클리어리 2005
^^이동:a b c d e f g McRae 2003.
^ 퍼거슨 2000년 .
^^이동:a b c Ferguson 2000, p. 삼.
^ McRae 2003년 , p. 11-15.
^ McRae 2003년 , p. 11-21.
^ McRae 2003년 , p. 13, 15–17.
^ McRae 2003년 , p. 13, 17–18.
^ Nadeau 2012 , p. 89.
^ Yanagida 2009년 , p. 63.
^ McRae 2003년 , p. 13, 18–19.
^ McRae 2003년 , p. 13, 19–21.
^ 지멜로 1994년 .
^ 웰터 2000년 .
^ McRae 2003년 , p. 13.
^ 맥마한 2008 .
^ Maspero 1981 , p. 46.
^ 그리그 1999년 .
구궈(2020). 찬의 본질 . 샴발라 간행물. 4~5쪽. ISBN 9781611808711.
데이빗 힌튼 (2020). "Ch1-타오". 중국 뿌리: 도교, Ch'an 및 원래 선 . 샴발라 간행물. 21~26쪽. ISBN 9781611807134.
^^이동:a b Dumoulin 2005a:8–9, 68, 166–167, 169–172
^ Deleanu, 플로린 (1992); Dhyāna Sūtras의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 . 일본 동양학자 국제회의(TICOJ) 37, 42-57.
^ Ven. Yuanci, A Study of the Meditation Method in the DESM and Other Early Chinese Texts Archived 2013-05-08 at the Wayback Machine , The Buddhist Academy of China.
^^이동:a b c 브라운 홀트 1995.
^ 고다드 2007년 , p. 10.
^^이동:a b c Fowler 2005, p. 79.
^ 고다드 2007년 , p. 11.
^^이동:a b c 오 2000.
^^이동:a b c d e Lai 2003a.
^ Dumoulin 2005a , p. 65.
^ Dumoulin 2005a , p. 64.
^ Dumoulin 2005a , pp. 70&74.
^ Dumoulin 2005a , p. 167.
^^이동: ab Dumoulin 2005a , p . 168.
^ Dumoulin 2005a , p. 45–49.
^ Lai 2003a , p. 8.
^ Lai 2003b , p. 11.
^ Lai 2003b , p. 8.
^^이동:a b 라이 2003b.
McRae 2003 :122
뒤물랭 2005a
^ Broughton 1999년 , p. 54-55.
^ Broughton 1999년 , p. 8.
^^이동:a b c d e f g h i McRae 2003
^^이동:a b c d 라이 1985.
^^이동:a b Lai 2003b, p. 17.
^ 맥레이 2004년 .
^^이동:a b 장 1967.
^ 스즈키 1935년 .
^ 얌폴스키 2003b :6
^ Yampolski 1967년 , p. 29, 주석 87.
^ Dumoulin 2005a , p. 52.
^ Dumoulin 2005a , p. 85-94.
Dumoulin 2005a :85–90
^ Zvelebil 1987 , p. 125–126.
^^이동:a b 맥레이 2003:29
맥레이 2003 :32
^^이동:a b c Lai 2003a, p. 17.
^^이동:a b c d McRae 1986, p. 143.
^ 샤프 2014년 , p. 939, 951.
^ 샤프 2014년 , p. 939.
로버트 E. 버스웰 주니어(2017). 중국과 한국에서의 선 사상의 형성: 불교 외경인 금강삼매경.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p. 141.
^ 샤프 2014년 , p. 945-950.
^ Cheng Chien Bhikshu 1992년 .
^^이동:a b c d Dumoulin 2005a.
McRae 2003 :33–36
^^이동:a b 맥레이 2003:34
^^이동:a b c d Lai 2003b, p. 18.
Kasulis 2003 :25–26
맥레이 2003 :48
맥레이 2003 :49
^ 禅宗研究一百年 Archived 2013-09-16 at the Wayback Machine
얌폴스키 2003a :9
^ Gregory 1991년 , p. 279.
^ McRae 2003년 , p. 63.
^ McRae 2003년 , p. 62.
^^이동: ab Kasulis 2003 , p. 26–28.
^ Huaijin 1997년 , p. 92.
^^이동: ab Kalupahana 1992 , p. 228–236.
^ McRae 2003년 , p. 123.
^ Van Schaik, Tibetan Zen, 1페이지.
^^이동:a b Sam van Schaik, Chan과 Tantra가 만나는 곳: Dunhuang의 불교적 혼합주의
^ Zigmond, The Lost Tradition of Tibetan Zen Dan Zigmond 리뷰 Sam van Schaik의 The Lost Tradition of Tibetan Zen, https://tricycle.org/magazine/lost-tradition-tibetan-zen/
^ Huaijin 1997년 , p. 95.
얌폴스키 2003a :11
^ Kasulis 2003 , pp. 28–29.
하이네 2008
^^이동:a b Faure 1997, p. 73.
^^이동:a b Faure 1997, p. 74.
^ 그레고리 2002년 .
^ Dumoulin 2005a , pp. 165–166.
^ 웨그너 2001 .
^ 레이튼 2000년 .
^^이동:a b 얌폴스키 2003a:15
^ Welter 2000년 , p. 86–87.
McRae 2003 :119–120
^ 얌폴스키 2003a .
^^이동:a b c d e 웰터 2006.
^ 존스 2010 .
^ 젊은 2009년 .
얌폴스키 2003b :266
얌폴스키 2003b :267
잇슈 & 사사키 1993 :13
Kasulis 2003 :30
^ McRae 2003년 , p. 130.
^^이동:a b McRae 2003:131
얌폴스키 2003a :20
Dumoulin 2005a :256–257
^ 버스웰, 로버트; 로페즈, 도널드 (2014). 프린스턴 불교 사전 .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피. 1056. ISBN 9780691157863.
샤프 2002
마영펀(2011). 명말 천태불교의 부흥:유희전등(1554-1628) 사상을 중심으로 (논문). 컬럼비아 대학교. 도이 : 10.7916/d81g0t8p .
^ 샤프 2002년 .
^ Dumoulin 2005b , p. 299.
^ Meng-Tat Chia 2011 .
^^이동:a b c d e Feuchtwang 2010, p. 189.
^ Laliberte 2011 .
^ "찬 뉴스레터 106호, 1995년 2월" .
^ https://chancenter.org/cmc/wp-content/uploads/2010/09/MindDharma1.pdf [ 베어 URL PDF ]
케네스 크래프트(1988). 젠: 전통과 전환 . ISBN 080213162X.
^ "Dharma Master Cheng Yen의 전기" . tw.tzuchi.org . 2016 년 9월 15일 에 확인 함 .
^ 데이빗 샤크; Hsiao, Hsin-Huang Michael (2005-06-01). "대만 사회 참여 불교 단체" . 중국 관점 (프랑스어). 2005 (59). 도이 : 10.4000/chinaperspectives.2803 . ISSN 1996-4617 .
^ "대만 오세요, 좋은 추억 가지고 돌아가세요" . Info.taiwan.net.tw. 2012-02-27 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2012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슈아이, JJ; 첸, HC; 장찬(2010-12-01).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대만 불교 웹의 가시화".
2010 국제 컴퓨터 심포지엄(ICS2010) : 187–191. 도이 : 10.1109/COMPSYM.2010.5685523 . ISBN 978-1-4244-7639-8. S2CID 18858823 .
^ Dumoulin 2005a , p. 85–94.
^ McRae 2003 , pp. 138–142.
^^이동:a b Liang-Chieh 1986:9
^ Kasulis 2003 , pp. 26–29.
^ McRae 2003 , pp. 123–138.
^^이동:a b c d Borup 2008, p. 9.
카술리스 2003 :29
^ 낮은 2006년 .
^ Swanson 1993년 , p. 373.
^^이동: ab Wayman& Wayman 1990 .
^^이동:a b c 칼루파하나 1992.
^ Kalupahana 1994년 .
^ Kalupahana 1994년 , p. 160–169.
^ 스완슨 1993년 .
^ McRae 2003년 , p. 88–92.
^^이동: ab McRae 2003 , p . 54–56.
^ McRae 2003년 , p. 60-67.
^ 그레고리 1991년 .
^ 포레 2000 , p. 58.
^ Lathouwers 2000년 .
^ Dumoulin, Heisig & Knitter (2005) , pp. 68, 70–73, 167–168
^ 블리스 1966년 .
^ 시마노 1991 , p. 152.
^ 스즈키 1955 , p. 155–156.
^ 스즈키 1970년 .

소스 [ ■편집 ]
인쇄 소스 [ ■편집 ]
Blyth, RH(1966), Zen and Zen Classics, Volume 4 , 도쿄: Hokuseido Press
Borup, Jørn (2008), 일본 린자이 선불교: 묘신지, 살아있는 종교 , 브릴
Broughton, Jeffrey L. (1999), The Bodhidharma Anthology: The Earliest Records of Zen ,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1972-4
Brown Holt, Linda(1995), "인도에서 중국으로: 불교 철학의 변형" , Qi: The Journal of Traditional Eastern Health & Fitness
Buswell, Robert E. (1991), "간화 명상의 "지름길" 접근: 중국 선불교의 실천적 하위주의의 진화",
Peter N. Gregory(ed.), Sudden 그리고 점진적. Approaches to Enlightenment in Chinese Thought ,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Buswell, Robert E (1993), Ch'an Hermeneutics: A Korean View. In: Donald S. Lopez, Jr. (ed.)(1993), 불교해석학, 델리: Motilal Banarsidass
장충원(1967). "선불교: 논리적인 것과 비논리적인 것" . 철학 동서양 . 17 (1/4): 37–49. 도이 : 10.2307/1397043 . JSTOR 1397043 . 2011년 5월 24일 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2011년 12월 13일에 확인함 .
Cheng Chien Bhikshu (1992), "서론", Sun-Face Buddha. 마자의 가르침과 선의 흥주학파 , Asian Humanities Press
Cleary, Thomas(2005), 불교와 선의 고전: 제1권 ,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Shambhala 출판물, ISBN 978-1-57062-831-3
Dumoulin, Heinrich (2005a), 선불교: 역사. 1권: 인도와 중국 ,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89-1
Dumoulin, Heinrich (2005b), 선불교: 역사. 2권: 일본 ,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90-7
Dumoulin, 하인리히; Heisig, 제임스 W.; 짜는 사람, 폴(2005). 선불교: 역사(인도와 중국) . 세계 지혜. ISBN 0-941532-89-5.
Faure, Bernard (1997), The Will to Orthodoxy: A Critical Genealogy of Northern Chan Buddhist ,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포르, 버나드(2000), 권력의 비전. Imaging Medieval Japanese Buddhist , 프린스턴, 뉴저지: Princeton University Press
Ferguson, Andy(2000), Zen's Chinese Heritage , Boston, MA: Wisdom Publications, ISBN 978-0-86171-163-5
Feuchtwang, Stephen (2010), The Anthropology of Religion, Charisma and Ghosts: Chinese Lessons for Adequate Theory , Walter de Gruyter
Fowler, Merv(2005), 선불교: 신념과 실천 , Sussex Academic Press
Gimello, Robert M. (1994), "마가와 문화: 성찬 북부의 학습, 편지, 해방", Buswell; Gimello (eds.), Paths to Liberation ,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p. 475–505
Goddard, Dwight (2007), 회능(위랑) 시대 이전의 선불교의 역사. 에서: 불교 성경 , 잊혀진 책, ISBN 9781605061047
Gregory, Peter N. (1991), "Sudden Enlightenment followed by 점진적 수양: Tsung-mi's Analysis of mind", in Peter N. Gregory (ed.), Sudden and Gradual. Approaches to Enlightenment in Chinese Thought ,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Gregory, Peter N. (2002), Tsung-mi and the Sinification of Buddhist , University of Hawai'i Press, Kuroda Institute, (원래 출판된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Princeton, NJ), ISBN 978-0-8248-2623-9
Grigg, Ray (1999), The Ta of Zen , Edison, NJ: Alva Press
하이네, 스티븐 (2008), 젠 스킨, 젠 매로우
잇슈, 미우라; Sasaki, Ruth F. (1993), The Zen Koan , New York: Harcourt Brace & Company, ISBN 978-0-15-699981-6
Huaijin, Nan (1997), 기본 불교: 불교와 선 탐구 , 사무엘 와이저
Jones, Charles B. (2010), "승려, 통치자 및 문인에 대한 검토: 선불교의 정치적 우위" (PDF) , Journal of Buddhist Ethics
Kalupahana, David J. (1992), The Principles of Buddhist Psychology , Delhi: ri Satguru Publications
Kalupahana, David J. (1994), 불교 철학의 역사 ,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Kasulis, Thomas P. (2003), Ch'an 영성. 에서: 불교 영성. 나중에 중국, 한국, 일본 및 현대 세계; Takeuchi Yoshinori ■편집 , 델리: Motilal Banarsidass
Lai, Whalen (1985), "Ma-Tsu Tao-I And The Unfolding Of Southern Zen" , 일본 종교 연구 저널 , 12 (2/3): 173–192, doi : 10.18874/jjrs.12.2-3.1985.173 -192
Lai, Whalen(2003a), "Buddhism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PDF) , in Cua, Antonio S. (ed.), Encyclopedia of Chinese Philosophy , New York: Routledge, 11월 원본 (PDF) 에서 보관됨 2014년 12월 12일
라이 홍이 해리(2003b), 중국의 종교 부흥. 에서: 코펜하겐 아시아 연구 저널 18
Laliberte, Andre (2011), 국가 감시 하의 불교 부흥, in: Journal of Current Chinese Affairs, 40, 2,107-134
Lathouwers, Ton(2000), 이 외에도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Zentoespraken , 로테르담: Asoka
Leighton, Taigen Daniel (2000), Cultivating the Empty Field: The Silent Illumination of Zen Master Hongzhi , Tuttle Publishing, ISBN 978-0-8048-3240-3
Liang-Chieh (1986), The Record of Tung-shan , Kuroda Institute (번역자: William F. Powell)
Low, Albert (2006), Hakuin on Kensho. 알아가는 네 가지 방법 , 보스턴 및 런던: 샴발라
Maspero, Henri (1981), Taoism and Chinese Religion ,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 ISBN 978-0-87023-308-1
McMahan, David L.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8327-6
McRae, John(1986), The Northern School and the Formation of Early Chʻan Buddhist , University of Hawaii Press.
McRae, John(2003), Seeing Through Zen , The University Press Group Ltd
McRae, John(2004), Seeing through Zen. 중국 선불교의 만남, 변형, 계보, UC Press, ISBN 978-0-520-23798-8
Meng-Tat Chia, Jack (2011), "A Review of Enlightenment in Dispute: The Reinvention of Chan Buddhist in 17th-Century China" (PDF) , Journal of Buddhist Ethics , 18
Nadeau, Randall L. (2012), The Wiley-Blackwell Companion to Chinese Religions , John Wiley & Sons
오강남(2000), "도교가 화엄불교에 미친 영향: 중국 불교의 과학화 사례" , 청화불교저널 , 13
Sharf, Robert H. (2002), "중세 중국의 정토 불교와 찬/정토 혼합주의" , T'oung Pao , 88 (4/5): 282–331, doi : 10.1163/156853202100368398 , ISSN 0082-5433 , JSTOR 4528903
Sharf, Robert(2014년 10월), "Mindfullness and Mindlessness in Early Chan" (PDF) , Philosophy East & West , 64 (4): 933–964, doi : 10.1353/pew.2014.0074 , S2CID 144208166[ 영구적인 데드 링크 ]
Shimano, Eido T. (1991), 출발점 : Rinzai 전망이 있는 선불교, Livingston Manor, NY: The Zen Studies Society Press, ISBN 978-0-9629246-0-6
스즈키, DT (1935), 선불교 매뉴얼
스즈키, DT(1955), Zen 연구 , 뉴욕: 델타
스즈키, DT(1970), Zen and Japanese Culture , New York: Bollingen/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9849-4
스즈키, DT(2004), The Training of the Zen Buddhist Monk , Tokyo: Cosimo, inc., ISBN 978-1-59605-041-9
Swanson, Paul L.(1993), "초기 중국 불교의 공허함의 영성", Takeuchi Yoshinori(편집), 불교 영성. 인도, 동남아시아, 티베트, 초기 중국 , 뉴욕: 크로스로드
Torei (2010), The Undying Lamp of Zen. 도레이 선사의 유언 , 보스턴 및 런던: 샴발라(번역자: Thomas Cleary)
Verboven, Lucette (1992), Je kunt er niet uitvallen. 인터뷰는 Ton Lathouwers를 만났습니다. In: Zen, jaargang 13, 1992년 1월, nummer 48
Wayman, 알렉스; 웨이맨, 히데코(1990). Śrīmālā 여왕의 사자후: Tathāgatagarbha 이론에 불교 경전 .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7310.
Wegner, Michael(2001), "Branching streams flow in the darkness: Zen talk on the Sandokai" 소개, Shunryū Suzuki ,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520-23212-9
Welter, Albert (2006), The Formation of the Linji lu: An Examination of the Guangdeng lu/Sijia yulu 및 Linji Huizhao Chanshi yulu. 2013-03-16에 원본 (PDF) 에서 보관된 역사적 맥락 (PDF) 의 린지루 버전
Welter, Albert(2000), Mahakasyapa의 미소. 무성 전송과 궁안(Koan) 전통. In: Steven Heine 및 Dale S. Wright(eds)(2000): "The Koan. Texts and Contexts in Zen Buddhist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Yampolski, Philip B. (1967),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Philip B. Yampolski ,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의 메모로 번역됨 978-0-231-08361-4
Yampolski, 필립 (2003a), Chan. 역사적인 스케치. 에서: 불교 영성. 나중에 중국, 한국, 일본 및 현대 세계; Takeuchi Yoshinori ■편집 , 델리: Motilal Banarsidass
Yampolski, 필립 (2003b), Zen. 역사적인 스케치. 에서: 불교 영성. 나중에 중국, 한국, 일본 및 현대 세계; Takeuchi Yoshinori ■편집 , 델리: Motilal Banarsidass
Yanagida, Seizan (2009), 린지의 기록에 대한 역사적 소개. 에서: Linji의 기록, Ruth Fuller Sasakia ea 페이지 59–115 (PDF) ,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2-06-22에 원본 (PDF) 에서 보관됨, 2021-05-29 에 검색 됨
Yen, Chan Master Sheng (1996), Dharma Drum: The Life and Heart of Ch'an Practice , 보스턴 & 런던: Shambhala
영, 스튜어트(2009), 루 린지 및 중국 정교회. "Albert Welter. The Linji lu and the Creation of Chan Orthodoxy: The Development of Chan's Records of Words Literature의 검토.
Zeuschner, Robert B. (1976), A Selected Bibliography on Chan Buddhist in China,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V. 3, (1976) pp. 299-311
Zhu, Caifang(2003), 오늘날 중국의 불교: Bai Lin Chan 수도원의 예. In: Perspectives, Volume 4, No.2, 2003년 6월 (PDF) , 2010-09-29에 원본 (PDF) 에서 보관 , 2013-03-29 에 검색 됨
Zvelebil, KV (1987), "The Sound of the One Hand",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 107 (1): 125–126, doi : 10.2307/602960 , JSTOR 602960

웹 소스 [ ■편집 ]
^ Thich Hang Dat, A REAPRAISAL OF KUMARAJĪVA's Role in MEDIEVAL CHINESE CHINESE BUDDHISM: AN EXAMINATION OF KUMARAJĪVA's TRANSLATION TEXT on "The ESSENTIAL EXPLANATION OF THE METHOD OF DHYANA" Archived May 18, 2015, at the Wayback Machine
^ 수트힐, 윌리엄 에드워드; Hodous, Lewis(1995), 중국 불교 용어 사전 , 런던: RoutledgeCurzon
^ "Tstuomu Kambe: Bodhidharma (약 440? - 528?). 중국 문학의 이야기 모음" (PDF) . 2015-11-06에 원본 (PDF) 에서 보관되었습니다 . 2011년 12월 13일에 확인함 .
^ James D. Sellmann & Hans Julius Schneider (2003), Linji와 Wittgenstein의 해방 언어 참조 . 아시아 철학, Vol. 13, Nos. 2/3, 2003. 주석 26 및 41
^^이동:a b c Lewis Hodus(1923),중국의 불교와 불교도. 제9장 현대불교
^ Longquan, Guanghua Monastery 의 음성 보관소 2012-12-18 at the Wayback Machine
^ Mitch Moxley (2010), 부흥을 즐기는 불교
^ Erica B. Mitchell(201), 불교의 부흥? Wayback Machine 에서 2014-07-14
^^이동:a b 나의 스승의 법계: 바이린 주지(편백나무 숲), 징후이(Jing Hui) 대사
^ Chan Master Jinghui의 짧은 전기
^ 제이스퀘어, 소개
^ 전기(페이지 하단)
^ "zhaozhou-chan, Daniel Odier의 전기 " . 2016-03-03 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 된 문서 . 2013년 3월 27 일에 확인함 .
^ Ven. Ditthisampanno, 인도네시아의 불교, 과거와 현재 Archived 2013-03-09 at the Wayback Machine
^ Dharma Drum Mountain. 마스터 Sheng-yen은 누구입니까 ?
도잔의 오행
^ 셩, 엔. "명상의 기초" . 2010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불교 디지털 사전" . 2008년 3월 26일에 확인함 ., 항목 "Baizhang Huaihai"


추가 읽기 [ ■편집 ]
모던 클래식
DT 스즈키, 선불교 수필, 3권
토마스 클리어리, 젠 마인드, 붓다 마인드
JC Cleary, Swampland Flowers: The Letters and Lectures of Zen Master Ta Hui
고전 역사
Dumoulin, Heinrich (2005), 선불교: 역사. 1권: 인도와 중국 . 세계 지혜 책. ISBN 978-0-941532-89-1
Dumoulin, Heinrich (2005), 선불교: 역사. 2권: 일본 . 세계 지혜 책. ISBN 978-0-941532-90-7
중요한 선 연구
Jeffrey Broughton, Zongmi on Chan .
박성배, 불교신앙과 깨달음 .
외부 링크 [ ■편집 ]

무료 사전인 위키낱말사전을 찾아 보세요 .



무료 사전인 위키낱말사전에서 찾아 보세요 .



위키인용집에 선(禪) 속담 관련 인용문이 있습니다 .



위키미디어 공용에 선불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무료 사전인 위키낱말사전에서 을 찾아 보세요 .


감시
선불교 WWW 가상 도서관
젠 사이트
Chan 센터 개요
Curlie 의 센터
세계의 선 센터
젠 센터
특정 찬 센터
Western Ch'an Fellowship 공식 웹 사이트
Dharma Drum Retreat Center(뉴욕) 공식 웹사이트. Chan Master Sheng Yen이 설립했습니다.
텍스트
Sacred-text.com의 선 텍스트 모음
Buddhanet의 선 텍스트 모음
Shambhala Sun Zen 기사
Fo Guang Shan소책자
역사
선의 돌발 접근: 교활한 문화 패러다임의 불교와 유교
선불교의 역사
선의 역사
젠 요약 정보
크리티컬 챈 리서치
Steven Heine(2007), Yampolsky 이후 Zen에 대한 비판적 조사
로버트 H. 샤프 홈페이지
지추안(2019). Chán 탐험: 중국 불교의 종교적 신비적 전통에 대한 소개 . 송락 출판. 피. 472. ISBN 978-1-73331-430-5.








카테고리 : 찬불교
요가카라
중국의 불교



https://en.wikipedia.org/wiki/Chan_Buddhism



>>>

zen 영어단어사전참조


zen 관련단어 사전참조


● from 영어 위키 백과https://en.wikipedia.org/wiki/zen
(구글번역) 영어 위키 백과 사전참조 [불기 2566-12-31일자 내용 보관 편집 정리]


★★★
https://en.wikipedia.org/wiki/zen




무료 백과 사전, 위키피디아에서




내비게이션으로 이동검색으로 이동 다른 뜻에 대해서는 Zen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중국 이름
중국어 번체
중국어 간체
베트남 이름
베트남어 알파벳 티엔
추한
한국 이름
한글
한자
일본 이름
한자
가나 ぜん
선 ( 중국어 :禪; 병음 : Chán ; 일본어 :, 로마자 : zen ; 한국어 : 선 , 로마자 : Seon ; 베트남어 : Thiền )은
대승 불교 의 한 종파로 당나라 때 중국 에서 기원했으며 선파 로 알려져 있습니다.

( 찬종禪宗), 이후 다양한 하위 학교와 분교로 발전했습니다.
Chán은 중국에서 남쪽으로 베트남 으로 전파 되어 베트남의 Thiền 이 되고 ,
북동쪽으로 한국 으로 전파되어 선불교 가 되고 ,
동쪽으로 일본 으로 전파 되어 일본의 Zen 이 됩니다. [1]


선(禪)이라는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ध्yan dhyāna (" 명상 ") 의 중국어 음역인禪那( chánnà )의 약어인
중간 중국어禪( chán )의 일본어 발음 에서 파생됩니다 . [주 1]

선은 엄격한 자기 절제 , 명상 수행 및 마음의 본성에 대한 후속 통찰 (見性, Ch. jiànxìng, Jp. kensho , "진정한 본성을 인식하는 것") 및 사물의 본성을 강조합니다

.
(오만이나 이기심 없이) 일상 생활에서
특히 다른 사람의 이익을 위해 이러한 통찰력을 개인적으로 표현합니다 . [3] [4]

이와 같이 경전
과 교리에 대한 지식만을 강조하지 않고 [5] [6]
영적 수행 과 숙련된 스승
[7] 또는 스승과의 상호 작용을 통한 직접적인 이해를 선호합니다 .


선의 가르침은 Sarvastivada 명상 수련과 대승 사상,
특히 Yogachara , Tathāgatagarbha sūtras , Laṅkāvatāra SūtraHuayan 학교 의 수많은 출처에서 불성 , 전체성Bodhisattva 이상 을 강조합니다 . [8] [9]

Prajñāpāramitā
문학, [10] 뿐만 아니라 Madhyamaka 사상은
또한 Zen 수사학의 부정적 이고 때로는 우상 파괴 적인 성격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11]
게다가 선학파는 도교 철학 , 특히 신도교 사상 의 영향도 받았습니다 . [12]



내용물

1어원
2관행
삼교의
4경전
5조직 및 기관
6내러티브
7역사
8또한보십시오
9노트
10참조
11출처
12추가 자료
13외부 링크


어원 [ ■편집 ]
Zen 이라는 단어 는 중간 중국어 단어 禪( 중간 중국어 : [dʑian]; 병음 : Chán ) 의 일본어 발음( kana : ぜん) 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다시 산스크리트어 dhyāna (धyan) 에서 파생되었습니다. [2]
는 대략 "관상", "흡수" 또는 " 명상 상태 "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13]

"선파"에 대한 실제 중국어 용어는
禪宗( 병음 : Chánzōng )인 반면

"Chan"은 명상 자체( 중국어 :習禪; 병음 : xíchán ) 또는 명상 연구( 중국어 :禪學; 병음 : chánxué ) Chánzong 의 축약형으로 자주 사용 되지만 . [14]
"Zen"은 일반적으로 특정 불교 종파를 설명하는 고유 명사입니다.
최근에는 철학을 논의할 때 소문자 "zen"이 사용 되며
2018년 Merriam-Webster 사전에 공식적으로 추가되었습니다. [15]


연습 [ ■편집 ]
디야 나 _ _

참조: 불교의 디야나
디야 나 명상 , 특히 좌선(坐禪,중국어 : zuòchán , 일본어 : zazen /ざぜん)은 선불교의 중심 부분입니다. [16]


중국불교 [ ■편집 ]
불교 명상 의 관행은 안시가오(fl. c. 148–180 CE)와 쿠마 라지바(334–413 CE) 번역을 통해
처음 중국 에 들어 왔습니다 .

CE 1~4세기경 Kashmiri Sarvāstivāda 의 Yogacara ( 요가 실천) 가르침 . [17]

장 영향력 있는 초기 중국 명상 텍스트로는
Anban Shouyi Jing (安般守意經, Sutra on ānāpānasmṛti ),
Zuochan Sanmei Jing (坐禪三昧經, Sutra of sit dhyāna )이 있습니다.

samādhi ) 및 Damoduoluo Chan Jing (達摩多羅禪經, [18] Dharmatrata dhyāna sutra) . [19]


이 초기 중국 명상 작품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선 수행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쳤습니다.

예를 들어, 18세기 린자이(임제) 선사 도레이 엔지(Tōrei Enji )는 대모뤄선경( Damoduoluo Chan Jing )에 대한 주석을 썼고
이 주석서 작성 시 출처로 좌선삼메이경( Zuochan Sanmei Jing )을 사용했습니다 .

Tōrei 는 Damoduoluo Chan Jing 이 Bodhidharma 에 의해 저작 되었다고 믿었습니다 . [20]

디아나 는 엄밀한 의미에서 4가지 디아나 를 의미 하지만
, 중국 불교 에서 디아나 는 디아나 수행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명상 기법 과 그 준비 수행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Dhyāna sutras 의 다섯 가지 주요 명상 유형 은 ānāpānasmṛti (호흡에 대한 마음 챙김)입니다.

paṭikūlamanasikāra 명상(몸의 불순물에 대한 마음챙김); 마이트리 명상(자애);
pratītyasamutpāda 의 열두 연결에 대한 명상 ; 그리고 부처님에 대한 묵상. [22]


현대 선의 대가 Sheng Yen 에 따르면 이러한 관행은
"마음을 고요하게 하거나 진정시키는 다섯 가지 방법"이라고 불리며
마음을 집중하고 정화하며 dhyana 단계의 개발을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 [23]


찬은 또한 초기 불교 및 고전 대승 과 함께 마음챙김의 네 가지 기초 와 해방의 삼문( 공허함 또는 śūnyatā , 무상 또는 아니미타 , 소망 없음 또는 아프라니히타 )의 실천을 공유합니다 . [24]



마음의 본성을 가리키며 [ ■편집 ]
Charles Luk에 따르면 Chán의 초기 전통에서는
명상을 가르치는 고정된 방법이나 공식이 없었고
모든 지침은 불성 이라고도 알려진 마음 의 진정한 본질을 가리키는 단순한 휴리스틱 방법이었습니다 . [25]

Luk에 따르면 이 방법을 "마음 법"이라고 하며,
Śākyamuni Buddha가 말없이 꽃을 들고 있고 Mahākāśyapa가 이해한 것처럼
미소를 짓는 이야기( 꽃 설법 )에 예시되어 있습니다. [25]
이에 대한 전통적인 공식은 "Chán은 인간의 진정한 본성을 보고 부처가 될 수 있도록
인간의 마음을 직접 가리킨다."입니다. [26]



마음을 관찰하다 [ ■편집 ]
존 맥레이(John McRae)에 따르면
"초기 선 교리의 발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전통적인 명상 기법, 즉 점진적인 자기 완성과 몸의 불순물과 네 가지 기초에 대한 명상 수행을 거부하는 것입니다."

마음챙김의. [27] 존 R. 맥레이(John R. McRae)에 따르면
"선 종교 관습의 특징이 된 갑작스럽고 직접적인 접근에 대한 최초의 명시적 진술"은
동산 학파 와 관련이 있다. [28]

그것은 "흔들리지 않고 하나를 유지하는 것"(守一不移)이라는 이름의 방법인데, [ 28]
하나 는 마음 의 성품이며 ,
그것은 불성과 동일시된다.

Sharf에 따르면, 이 수련에서 우리는 경험의 대상에서 마음의 본성 , 즉 불성 과 동일시되는 지각 대상 자체로 주의를 돌립니다 . [30]

McRae에 따르면 이러한 유형의 명상은 "대승불교의 거의 모든 학파"의 방법과 비슷하지만
"준비 요건, 도덕적 전제 조건 또는 예비 연습이 주어지지 않고"
"단계나 단계가 없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

하나의 차별화되지 않은 수행으로 모두 집중하고, 이해하고, 깨달을 수 있습니다." [28] [주 2]

Sharf는 "마음"의 개념이 급진적 잠재주의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게 되었고,
어떤 구체화도 피하기 위해 "노 마인드"로 대체되었다고 지적합니다.[노트 3]



명상 매뉴얼 [ ■편집 ]
초기 찬 텍스트는 또한 대승 불교에 고유한 형태의 명상 을 가르 칩니다 .

아미타유 붓다의 관조경에서 가르친 것 입니다 . [34]
나중에 중국 불교도들은 그들 자신의 명상 매뉴얼과 경전을 개발했는데,
가장 영향력 있는 것 중 하나는 천태 총대주교 지이( Zhiyi )의 작품입니다 .

그의 작품은 Chán 학교 고유의 초기 명상 매뉴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

지혜( prajña )로 이끄는 위빠사나 수행이지만
이미 마음에 존재하는 고유한 지혜 를 발견하도록 이끄는 삼매 수행을 권장합니다 . [35]






일반적인 현대 명상 형식 [ ■편집 ]

Dai Bosatsu Zendo Kongo-Ji명상 홀 (Jp. zendō , Ch. chántáng )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 [ ■편집 ]

연꽃 자세 로 명상 하는 현화 스님 , 홍콩 , 1953년


좌선(坐禅, Ch. zuòchán, Jp. zazen , Ko. jwaseon ) 중에 수행자들은
일반적으로 가부좌, 반가부좌, 버마 또는 정좌와 같은 자세 하며
종종 dhyāna mudrā사용 합니다 .

종종 푹신한 매트 위에 놓인 정사각형 또는 원형 쿠션을 사용하여 앉습니다.
다른 경우에는 의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음을 조절하기 위해 Zen 학생들은 종종 호흡을 세도록 지시 받습니다.
날숨과 들숨을 모두 계산하거나 둘 중 하나만 계산합니다.

최대 10까지 셀 수 있으며 마음이 고요해질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36]

오모리 소겐
과 같은 선 교사들은 규칙적인 호흡 명상을 준비하는 방법으로
일련의 길고 깊은 날숨과 들숨을 가르칩니다.
일반적으로 배꼽 아래의 에너지 센터(단전) 에 주의를 기울 입니다. [38]

선 교사는 종종 호흡 이 하복부에서 나와야 한다고 말하면서
횡격막 호흡 을 권장합니다( 하라 로 알려짐).

또는 일본어로 tanden), 신체의 이 부분은 숨을 쉴 때 약간 앞으로 확장되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남 에 따라 호흡이 더 부드럽고 깊어지고 느려집니다.
숫자 세기가 번거로울 때는 집중해서 호흡의 자연스러운 리듬을 따라가는 수련이 권장된다. [41] [42]



사일런트 일루미네이션과 시칸타자 [ ■편집 ]
좌선의 일반적인 형태는 "조용한 조명"(Ch. mòzhào, Jp . mokushō )이라고 합니다.

이 관행은 전통적으로 중국 선의 Caodong 학교에 의해 장려되었으며
관행 에 대한 다양한 저작을 저술한 Hongzhi Zhengjue (1091-1157) 와 관련이 있습니다. [43]

이 방법은
śamathavipaśyanā 의 결합( Skt. yuganaddha )의 인도 불교 관습에서 파생됩니다 . [44]

Hongzhi의 "비이원적 대상 없는 명상"

수행에서 매개자는 단일 대상에 집중하는 대신
현상의 총체성을 간섭 없이 개념화 , 파악 , 목표 추구 또는 주체-객체 이중성 을 인식하려고 노력합니다 . [45]
이 관행은 일본 선의 주요 학교에서도 인기가 있지만
특히 Shikantaza (Ch. zhǐguǎn dǎzuò, "그냥 앉아") 로 더 널리 알려진 Sōtō 에서 인기가 있습니다 .

관행에 대한 상당한 텍스트, 철학적, 현상학적 정당성은 일본 소토 선 사상가 도겐 의 작업 전체 , 특
히 그의 쇼보겐조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

일본어 와 중국어 형식은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접근 방식입니다. [48]






Hua Tou와 Kōan 명상 [ ■편집 ]
상위 문서: 코안

Torei Enji 의 서예 " Mu "( Hanyu Pinyin : wú ). 유명한 Zhaozhou의 개 kōan 에 등장합니다.


당나라 때 공안 ( Jp. kōan ) 문학이 대중화되었습니다 .
말 그대로 "공개 사례"를 의미하는 그들은 Zen 마스터 와 제자 간의 가르침과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이야기 또는 대화였습니다.

이러한 일화는 스승의 통찰력을 보여줍니다.
코안은 불교의 가르침이 가리키는 비개념적 통찰( 반야 )을 설명하기 위한 것입니다.
송대 (宋代)에 대회(大) 와 같은 인물에 의해 새로운 명상법이 대중화되었는데 ,
이를 관화찬 ("구를 관찰하는" 명상)이라고 불렀 는데 ,,
"중요한 문구")의 gōng'àn . [49] 중국 의 선과 한국의 선 에서 이러한 "화두 준수 " ( 한국어 로 화두 ) 관행은 널리 시행되는 방법입니다. [50]

그것은 영향력 있는 선 마스터 치눌 (1158–1210)과 Sheng YenXuyun 과 같은 현대 중국 마스터가 가르쳤습니다 .

그러나 Dahui는 "조용한 조명"을 비판한 것으로 유명하지만 [51] [52]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조용히 앉아 있는 것을 완전히 비난하지는 않았습니다.
사실 그는 적어도 그의 수도원 제자들에게 그것을 권장한 것 같습니다." [51]


일본 Rinzai 학교에서 kōan 내성은 순차적 으로 공부하고 "통과"해야 하는
kōans 의 표준화된 커리큘럼과 함께 자체 형식화된 스타일을 개발했습니다 .

이 프로세스에는 표준화된 "확인 질문"( sassho ) 및 일반적인 "캡핑 문구"( jakugo ) 세트 또는 학생들이 답변으로 암기하는 시 인용이 포함됩니다. [53]

주어진 코안의 선 학생의 숙달은 개인 면담에서 교사에게 제시됩니다(일본어로는 도쿠산 , 다이산 또는 산젠 이라고 함).).

공안에 대한 고유한 대답은 없지만
수행자들은 대답을 통해 영적 이해를 보여주어야 합니다.
교사는 답변을 승인하거나 승인하지 않고 학생을 올바른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습니다.

선생과의 상호 작용은 선의 중심이지만
선 수행을 오해와 착취에 취약하게 만듭니다. [54]

코안 탐구는 좌선(좌선) , 킨힌 (보행선), 일상생활의 모든 활동을 통해 수행 될 수 있습니다.

연습의 목표는 종종 kensho 라고합니다(자신의 진정한 본성을 보는 것)
그리고 자연스럽고 힘들이지 않고 실제적인 존재 상태, "궁극적 해방", "어떠한 종류의 더러움도 없는 앎"에 도달하기 위한
추가 수행이 뒤따라야 합니다. [55]


코안 수행은 린자이 에서 특히 강조 되지만
가르침 노선에 따라 다른 유파나 선 분파에서도 발생합니다.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59-0' class=reference >[56]





Nianfo 찬 [ ■편집 ]
Nianfo (Jp. nembutsu, Skt. buddhānusmṛti "부처님의 회상")는 대부분의 경우
부처 아미타불 을 암송하는 것을 말합니다 .

중국 선에서 Nāmó Āmítuófó (아미타불에 대한 경의) 라는 구절에 기초한
nianfo 의 정토 수행은 널리 수행되는 선 명상의 한 형태입니다.

이 수련은 정토불교 에서 받아들여졌고 Yongming Yanshou , Zhongfen Mingben , Tianru Weize 와 같은
중국인에 의해 Chan 명상과 혼합 되었습니다 .
명나라 말기 에, 정토 수행 과 선 명상 의 조화 는 Yunqi ZhuhongHanshan Deqing 과 같은 인물 에 의해 계속 되었습니다 . [57]
이 관행과 " nembutsu kōan " 에 대한 적응 은 일본 Ōbaku Zen 학교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보살 의 덕과 서원

Victoria Zen Center Jukai 행사, 2009년 1월


선은 대승불교 의 한 형태이기 때문에
"초월한 미덕" 또는 "완벽함"( Skt . pāramitā , Ch. bōluómì , Jp. baramitsu ) 의 수행을 기반으로 하는 보살 의 도식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보살 서약 을 복용 . [58] [59] 여섯 가지 미덕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대함 , 도덕적 훈련 ( 5계율 포함 ), 인내심 , 에너지 또는 노력 , 명상지혜 .

이러한 가르침의 중요한 출처 는 보살의 길 의 근거( bhumis ) 또는 수준을 설명하는 화엄경( Avatamsaka sutra )입니다. [60]

바라미타는 Bodhidharma
Two 입구와 네 가지 관행 과 같은 초기 Chan 작품에서 언급되며
Zongmi 와 같은 후기 Chan 인물에 의해 점진적인 수련( jianxiu ) 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 됩니다 . [61] [62]

이 관행의 중요한 요소는 세 가지 보석 , 보살 서약계율 에 귀의하는 형식적이고 의식적
인 것 입니다. 5계 , "십계" , 16보살계 등 다양한 계율이 선에서 받아들여 집니다. [63] [64] [65] [66]

이것은 일반적으로 입문 의식 에서 이루어집니다 ( Ch . shòu jiè , Jp . Jukai , Ko . sugye, "계율 받기" ) .,
또한 평신도가 수행 하며 평신도 를 정식 불교도로 표시합니다. [67]
특히 uposatha 일 (Ch. zhairi, "단식의 날") 동안 중국 불교의 금식 관행 ( zhai ) 도 Chan 훈련의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선화 스승은 쿠바 미사일 위기 동안
공덕 세대를 위해 수행한 Hsuan Hua 스승 의 35일 단식에서 예시된 것처럼
연장된 절대 단식을 할 수 있습니다. [69]


신체 수양 _ _

중국 선의 소림사 두 거장 Shi DeRu와 Shi DeYang


일본 궁도 , 다른 형태의 일본 무도 , 중국 무술 ( 공푸 ) 과 같은 전통 무술 도 선 수행의 한 형태로 여겨져 왔습니다.
이 전통은 최초의 제도화된 형태의 공푸를 개발한 허난성 의 영향력 있는 소림사 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70]

명나라 말기
에 이르러 소림 공후 는 다양한 형태의 명나라 문학( 손오공 과 같은 전투 승려를 휘두르는 지팡이를 특징으로 함)에 대한 언급에서 알 수 있듯이
매우 인기 있고 널리 퍼졌습니다.)

및 후원에 대한 대가로 국가에 군 복무를 제공한 소림의 인상적인 수도원 군대에 대해 말하는 역사적 출처도 있습니다. [71]

12세기 경에 발전하기 시작한 이러한 소림 관습 은 전통적으로 선불교 내적 수양(오늘날 무찬 , "무술 찬"이라고 함)의 한 형태로 여겨졌습니다.
Shaolin 예술은 또한 도교 신체 운동 ( taoyin ) 호흡 및 에너지 재배 ( qìgōng ) 관행을 사용했습니다. [72]

그들은 "내면의 힘"( neili ), 건강 및 장수(lit. "영양 생활" yangsheng )를 향상시키는 치료 관행으로 간주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영적 해방을 의미합니다. [73]
이러한 도교 관습의 영향은 소림에서 공부한 학자이자 하급 관료인 Wang Zuyuan(약 1820년~1882년 이후)의 작업에서 볼 수 있습니다.

왕의 내공 투슈오 ( Nigong tushuo )는 소림 운동이 이진경( Yi jin jing )과 여덟 조각의 비단(brocade ) 과 같은 도교 방법에서 어떻게 도출되었는지 보여줍니다 . [74]

현대 찬 마스터 Sheng Yen에 따르면 중국 불교 는 소림 전통 에서 내부 수련 을 채택했습니다.
"활동 중에 몸을 조화시키고 집중력을 키우는" 방법으로. " 생기 에너지 를 조화시키는 기술 은 삼매영적 통찰력 을 배양하는 데 강력한 조수 이기 때문 입니다." [75]

한국의 선 은 또한 선무도 라고 하는 유사한 형태의 활동적인 신체 훈련을 개발했습니다 .

Engaku-ji 사원 의 활과 화살통 ,
사원에는 Kyūdō 수행을 위한 Dōjō 도 있으며
Zen 승려들이 이곳에서 이 예술을 수행합니다. [76]


일본 에서는 13세기 호조 일족 이 무술에 선법을 적용한 린자이 선을 수용한 이래
고전 무도( 부도 )와 선 수행이 접촉해 왔습니다 . [77]

이 관계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 는 사무라이 계급(특히 그의 The Unfettered Mind )에 대한
선과 부도 에 대한 글로 잘 알려진
린자이 사제 Takuan Sōhō 였습니다 .

Rinzai 학교는 또한 특정 도교 에너지 관행을 채택했습니다 .
Hakuin 에 의해 소개되었습니다.(1686–1769
) Hakuin이 자신의 "선병"(육체적 정신적 피로 상태)을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준 Hakuyu라는 은둔자로부터 다양한 기술을 배웠습니다.
나이칸(Naikan ) 으로 알려진 이러한 정력적인 관행 은 탄덴 (배꼽 약간 아래 지점 )에 마음과 생명 에너지( 기 ) 를 집중시키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 [80] [81]




예술 [ ■편집 ]

Hakuin Ekaku , Hotei in a Boat , 예일 대학 미술관


료안지 의 가 레산 스이 (마른 풍경) 선 정원




그림 , 서예 , , 정원 가꾸기 , 꽃꽂이 , 다도 등과 같은 특정 예술 도 선 수행의 일부로 사용되었습니다.
붓 그림서예 와 같은 중국 고전 예술 은 GuanxiuMuqi Fachang과 같은 Chan 승려 화가 가 학생들에게 독특한 방식으로 영적 이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선 그림은 때때로 일본어로 젠가라고 립니다 . [83]
하쿠인
시각적인 방법으로 선 (禪)을 전달하기 위해
독특한 수묵화 (수묵화)와 일본 서예 의 대규모 말뭉치를 만든 것으로 알려진 일본의 선(禪) 스승입니다 .

그의 작품과 그의 제자들의 작품은 일본 선 (禪)에 널리 영향을 미쳤다 .
선 예술의 또 다른 예 는 shakuhachi 대나무 피리 를 연주하여 독특한 형태의 "부르는 선"( 수이젠 )을 수행한 일본 선의 단명한 후케 종파 에서 볼 수 있습니다.


집중 그룹 연습 [ ■편집 ]
집중적인 그룹 명상은 진지한 선 수행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습니다.
일본어로 이 관행을 세신( sesshin )이라고 합니다 .

일상 생활에서 승려들은 매일 몇 시간 동안 명상을 해야 할 수도 있지만
집중적인 시간에는 거의 전적으로 선 수행에 전념합니다.
수많은 30~50분의 좌선( zazen ) 기간은 휴식, 의례적인 정식 식사(Jp. oryoki ), 짧은 시간의 작업(Jp. samu )과 함께 동일한 마음챙김 상태로 수행되어야 합니다.

일본, 대만 , 서양의 현대 불교 수행에서 재가 학생들은
종종 이러한 집중 수행 세션이나 피정에 참석합니다.
이것은 많은 Zen 센터 또는 사원에서 개최됩니다.




노래와 의식 [ ■편집 ]
참조: 불교 성가

기후 대불 과 쇼호지 제단



대만 화가 리메이슈의 독 불경


play ) no-repeat center center; POSITION: absolute; LEFT: 111px; MARGIN: auto; DISPLAY: block; TOP: 62px; border-radius: 50%; transform: translate(-50%, -50%); transition: transform 120ms ease-out 0s, background-color 120ms ease-out 0s; aspect-ratio: 1 / 1">
일본 요코하마지지 사원 에서 "반야심경"을 외우는 승려 들


대부분의 선 수도원, 사원 및 센터에서는
다양한 의식 , 서비스 및 예식 (예: 입회식 및 장례식 )을 수행하며
항상 시, 시 또는
경전 을 낭송 합니다.

경전 암송(Ch. niansong , Jp. nenju ) 자체 를 목적으로 하는 의식도 있습니다 . [86]
선 학교에는 이러한 글을 수집하는 공식 경전이 있을 수 있습니다(일본어로는 교혼 이라고 함 ). [85]

수행자들은 반야심경 과 법화경 25장 (종종 " 관음경 "이라고 함) 과 같은 주요 대승경 을 외울 수 있습니다 .
Dhāranīs 와 Zen 시는 또한 귀중한 거울 Samadhi의 노래 Samadhi , Sandokai , Nīlakaṇṭha DhāraṇīUṣṇīṣa Vijaya Dhāraṇī Sūtra 와 같은 텍스트를 포함하여
Zen 사원 전례 의 일부일 수 있습니다.


부쓰단 은 사원, 사원 또는 평신도의 집에 있는 제단 으로 , 부처, 보살 , 죽은 가족과 조상의 이미지에 제물을 바칩니다.
의식은 일반적으로 Avalokiteśvara ( Guanyin 참조 ), KṣitigarbhaManjushri 와 같은 주요 부처 또는 보살을 중심으로 합니다.


선(禪) 의식 수행의 중요한 요소는 부복 의식 (Jp. raihai ) 또는 절을 하는 것입니다. [87]
일본 선(禪)에서 인기 있는 의식 중 하나 는 유산 , 사산 또는 낙태 를 한 사람들을 위해 행해지는 Mizuko kuyō (물 아이) 의식 입니다.
이러한 의식은 미국 선불교에서도 거행됩니다. [88]


중국 선 에서 널리 시행되는 의식은 " 배고픈 귀신 을 풀어주는 의식 " 또는 "불타는 입을 풀어주는 의식"이라고 다양하게 불립니다 .

이 의식은 당나라 시대 로 거슬러 올라가며 ,
중국 밀교 관습이 중국 불교 전체에 확산된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 매우 인기가 있었습니다 .
유령 축제 의 중국 명절은 또한 죽은 자를 위한 유사한 의식으로 기념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령 의식은 현대 중국 선에서 논쟁의 원천이며
Sheng Yen 과 같은 마스터 는 "불교 가르침에 근거하지 않은" 관행을 비판합니다. [90]


Zen에서 수행되는 또 다른 중요한 유형의 의식 은
모든 형태의 중국 대승불교에서 널리 행해지 는
다양한 참회 또는 고백 의식(Jp. zange )입니다.

이것에 대한 대중적인 Chan 텍스트 중 하나는
Chan 마스터 Baozhi가 작곡 한 Liang Repentance Ritual로 알려져 있습니다.

Dogen 은 또한 회개에 관한 논문 인 Shushogi 를 썼습니다.

다른 의식에는 지역 신 (일본의 카미 ) 다루는 의식 과
석가탄신일 과 같은 불교 명절 의식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93]


장례식 은 또한 중요한 의식이며 선 승려와 평신도 사이의 공통 접점입니다.
Sōtō 학교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Sōtō 평신도의 80%가 장례식 및 죽음과 관련된 이유로만 사원을 방문합니다.
17%는 영적인 이유로 방문하고 3%는 개인적인 문제나 위기가 있을 때 선승을 방문합니다. [94]


밀교 관행 [ ■편집 ]
전통에 따라 만트라다라니 와 같은 밀교 방법
명상 수련, 악으로부터 보호, 큰 연민을 불러일으키고
특정 보살의 힘을 불러일으키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의식과 의례 중에 노래합니다. [95] [96]

예를 들어 관음
선종 에서는 좌선 중에 관음 진언 (" 관음 보살 ")을 사용합니다.

Heart Sutra Mantra 또한 다양한 의식 중에 Zen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진언입니다.
또 다른 예는 빛의 만트라 ( Mantra of Light )입니다.kōmyo shinon )은
일본 Soto Zen 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진언종 에서 파생되었습니다 . [99]


중국 선에서 선()에 밀교 만트라를 사용한 것은 당나라 때 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
Dunhuang 의 발견 에서 Chan 불교 가 중국 밀교 의 관행 을 채택 했다는 증거 가 있습니다 . [100]

Henrik Sørensen에 따르면 Shenxiu의 여러 계승자 ( 예: Jingxian 및 Yixing)도 Zhenyan (Mantra) 학교의 학생이었습니다. [101]

Uṣṇīṣa Vijaya Dhāranī SūtraNīlakaṇṭha Dhāraṇī 와 같은 영향력 있는 밀교 다라니 도 당나라 때 Baotang 학교의 문헌에서 인용되기 시작했습니다.[102]
많은 만트라는 당나라 시대 이후로 보존되어 왔으며 현대 찬 수도원에서 계속 시행되고 있습니다.

한 가지 일반적인 예는 Śūrangama Mantra 로, 이는 만불의 도시 를 세운 Hsuan Hua 스님과 같은 다양한 저명한 선 승려들에 의해 크게 전파되었습니다.
선파 가 수행하는 밀교 의식의 또 다른 예는 배고픈 유령 축제 기간 동안 승려와 평신도 모두가 행하는 배고픈 유령 먹이를 위한 맹산 의식입니다 .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07-0' class=reference >[104] [105] [106]


물과 땅
의 해방 의식과 같은 참회 의식[[[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07-0' class=reference >,
또한 Five Wisdom Buddhas
Ten Wisdom Kings 와 같은 밀교 신의 호출을 포함하여 다양한 밀교 측면을 포함합니다 . [107] [108]


8세기 소림사 에 살던 승려들이 그곳에서 만트라와 다라니와 같은 밀교 수행을 했으며 이것이 한국 선불교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기록이 있다. [109]
조선 시대
에 선종은 한국에서 지배적인 전통이었을 뿐만 아니라 교
리와 실천에 있어서 매우 포괄적이고 일치적이었습니다. 15세기 이후).

Sørensen에 따르면, 몇몇 Seon 마스터( Hyujeong 등 )의 글은 그들이 난해한 숙련자임을 드러냅니다. [110]

일본 선 에서는 선 안에 밀교적 관습을 사용하는 것을 때때로 "혼합선"( kenshū zen兼修禪) 이라고 부르며,
Keizan Jōkin (1264–1325)의 인물은 이것을 Soto 학교 에 도입한 것으로 보입니다 . [111] [112]

린자이 학교의 일본 창시자인 묘안 에이사이 (1141–1215)는 또한 잘 알려진 밀교 수행자였으며
이 주제에 대해 다양한 저작을 저술했습니다. [113]


윌리엄 보디포드(William Bodiford)에 따르면 일본 선에서 매우 흔한 다라니는
Śūrangama 주문 ( Ryōgon shu楞嚴呪; T. 944A)입니다.

선 수도원. [114] 일부 선종 사원에서는 에이겐지( 사이타마 현) 의 소토 사원에서 행해지는 호마 의식 과 같은 밀교 의식도 행합니다.
Bodiford가 쓴 것처럼 "아마도 이 현상의 가장 주목할만한 예는
배고픈 귀신 을 먹이는 것과 관련된 모든 Sōtō Zen 사원에서 수행되는 ambrosia gate( kanro mon甘露門) 의식입니다."

조상제사귀신축제 . Bodiford 는 또한 Dharma 전송 의 공식적인 Zen 의식에는 종종 밀교 입문이 포함된다고 지적합니다.





교리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 은 선(禪)의 교리적 배경입니다 .

A Dharma talk by Seon nun Daeheng Kun Sunim , 한마음선센터


선의 가르침은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선의 가르침은 " 다르마다투 의 방해받지 않는 상호침투의 실현"을 깨우는 달을 가리킨다 .
그러나 선 전통은 또한 그 가르침, 가리키는 손가락을 이 통찰 그 자체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경고합니다. [118] [119] [120] [121]



불교 대승의 영향 [ ■편집 ]
Zen-narrative는 그것이 "말 위에 서지 않은" "경전 밖의 특별한 전승"이라고 말하지만 [122]
Zen은 불교 전통
에 확고하게 기반을 둔 풍부한 교리적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 [123]

그것은 보살 의 길에 대한
대승 의 가르침 , 중국 의 Madhyamaka ( Sānlùn ), Yogacara ( Wéishí ), Prajñaparamita , Laṅkāvatāra Sūtra 및 기타 부처의 자연 텍스트 에 의해 철저히 영향을 받았습니다 . [124] [125] [126]


마디야마카
의 영향그리고 Prajñaparamita 는 비개념적 지혜( prajña )와 선 문학의 부정어( apophatic language)에 대한 강조에서 식별될 수 있습니다. [124] [127] [128] [주4]
Huayan 학교 의 철학은 중국 선 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

한 가지 예는 원리( 리 ) 및 현상( 시 )과 같은 중국 고유의 철학적 개념을 사용하는 현상의 상호 침투에 대한 화엄 교리입니다 . [129]

Fourfold Dharmadhatu 의 Huayan 이론은 또한 Caodong Chan 혈통 의 창시자인 Dongshan Liangjie (806–869) 의 Five Ranks 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130]






불성과 서브티즘 [ ■편집 ]
선불교의 교의적 발전의 중심에는 불성 (佛性)의 개념 , 즉 깨달은 부처의 마음이 각 중생에 이미 존재한다는 생각 [131]
( 중국 불교의 펜 추 , 일본 선의 혼가쿠 )이 있었습니다. [132]

이 불성은 처음에는 마음의 본성 과 동일시 되었지만,
이후의 선의 가르침은 실증주의 용어를 거부함으로써 구체화를 피했습니다. [ 주 3]
불성의 내재적 성격에 대한 관념은 이 불성에 대한 직접적인 통찰과 표현을 특징적으로 강조하면서 구체화되었다.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0' class=reference >[134] [135]


그것은 인도 명상 용어의 재해석과 중국화,
그리고 불교의 가르침과 수행이 이해되고
"갑자기", [136] cq "한눈에", "모두 함께 밝혀진", 또는 "함께, 완전히, 동시에",
점진주의와 대조적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차례대로 밝혀지는 것".
하위주의에 대한 강조는 "계몽은 전체적이고 순간적인 단일 변형에서 발생한다"는 생각으로 이어졌습니다 (Ch. shih- chueh ) . [139]


Shenhui가 동의하는 분파에 기인한 점진주의의 귀속은 수사적 장치였지만,
그것은 점진주의에 대한 어떤 비난도 피해야 하는 서브티즘의 선 전통에서 개념적 지배로 이어졌습니다.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1' class=reference >[134] [주 5]

이 "수사학적 순수성"은 개념적으로 실제 명상 수련과 조화시키기 어려웠고, [141]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2' class=reference >[134]

실제 명상 수련에 대한 설명을 위한 Zen 텍스트에서 거의 자리를 남기지 않았습니다.

관행. [142]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3' class=reference >[134] [133] [주 6]
오히려 그 텍스트들은 이러한 각성된 본성을 직접적으로 지적하고 표현하면서
역설적으로 만남의 대화와 선문의 본성에 자리를 내주었다.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4' class=reference >[134] [133]




Caodong/Sōtō/Tào Động [ ■편집 ]
상위 문서: 소토

조동 선종 의 일본 승려


Sōtō는 Dongshan Liangjie 가 당나라 시대에 설립 한 중국 Caodong 학교 의 일본 계보입니다 .
Sōtō 학교는 Gentō Sokuchū (약 1800) 이후 kōans를 덜 강조하고 대신 shikantaza 를 강조했습니다 . [144]

일본 소토의 창시자 도겐은 수행과 각성이 분리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Shikantaza를 수행함으로써 이미 성취와 부처가 표현되고 있습니다.

Dogen 에게 좌선 또는 시칸타자는 불교 수행의 정수입니다. 점진적 재배는 Dongshan Liangjie도 인정했습니다 . [147]
베트남에도 17세기 선의 거장인 Thông Giác Đạo Nam 이 세운 혈통이 있습니다 . 베트남어로 학교는 "Tào Động"로 알려져 있습니다. [148]




린지/린자이 [ ■편집 ]
상위 문서: 린자이 학교
임제학파 는 중국 린지학파 의 일본 계보로, 당나라 때 린지 이쉬안이 창시했습니다 .
Rinzai 학교는 자신 의 진정한 본성에 대한 통찰력 인 kensho 를 강조합니다. [149]
그 다음에는 불성(佛性)을 얻기 위한 소위 사토리 후 수행( post-satori practice )이 뒤따른다. [150] [151] [152]


다른 선(禪) 스승들도 점진적인 수행에 따른 갑작스러운 통찰을 표현했습니다.
12세기 한국 의 선사인 지눌은 종미 를 따랐고, 본성(眞性)에 대한 통찰은 갑작스럽지만
통찰이 무르익어 완전한 부처가 되기 위해서는 수행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것은 또한 겐쇼가 완전한 깨달음을 향한 길의 시작점에 있는 현대 산보 교단 의 관점이기도 합니다. [153]

이 일차적인 통찰을 얻고 그것을 심화시키기 위해서는
좌선과 공안 공부가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점진적인 심화 및 성숙에 이은 초기 통찰력의 궤적은
Linji가 그의 Three Mysterious GatesHakuin Ekaku의 Four Ways of Knowing 에서 표현했습니다 .
경로의 단계를 묘사한 또 다른 예는 경로 단계를 자세히 설명하는 Ten Bulls 입니다.






성경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 은 선과 경입니다 .

고고학자 Aurel Stein 의 1907년 제단과 경전 두루마리가 있는 막고굴 16의 모습



한국 해인사 에 있는 중국 불교 경전의 초기 판인 팔만대장경 의 명판


경전의 역할 [ ■편집 ]
선은 대승불교 의 가르침과 교리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Platform sutra 같은 고전적인 Zen 텍스트 에는 불교 정식 경전에 대한 수많은 참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Sharf 에 따르면 Zen 수도원은 "Zen 캐논의 고전에 익숙해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157]

초기 선승들의 초기 역사 문서와 문헌을 검토하면 그들이 수많은 대승 경전 , [5] [주 7] [주 8] [5] [주 9]

뿐만 아니라 대승 에 정통했음이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Madhyamaka 와 같은 불교 철학 . [124]
그럼에도 불구하고 Zen 은 종종 반지성인으로 묘사됩니다 . [155]

이 선(禪) 그림은 찬(Chán)이 중국 불교의 지배적인 형태가 된 송나라 (960-1297)에 등장했으며
중국 사회의 교양 있는 계층과 문인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고도로 양식화된 문학 텍스트인 공안 의 사용은 상류층 사이에서 이러한 인기를 반영합니다.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5' class=reference >[134]

이 시기에 Bodhidharma 에 기인한 "단어와 글자를 확립하지 말라"는 유명한 속담 , [160]


... 부처님의 기록된 말씀이나 학식 있는 승려들의 교리적 정교화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불교의 가르침과 진리의 지침 사이의 관계에 대해 혼란스러워하고
그것을 진리로 오인하는 사람들에 대한 경고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진실 그 자체. [161]
선(禪) 전통이 강조하는 것은 부처의 깨달음이 관념화를 통해서가 아니라 직접적인 통찰을 통해서 왔다는 것이다.
그러나 직접적인 통찰은 불교의 가르침과 경전에 대한 연구와 이해( 호리 [163] ) 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164] [주 10] 수행이 없는 지적 이해는
야코젠 , "야생 여우 선"이라고 하지만
"지적 이해 없이 경험만 있는 사람은 젠 템마 , '선 악마 ' 입니다." [166]


경전에서 Chán 접지 [ ■편집 ]
중국의 초기 불교 학교는 각각 특정 경전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당나라 초기 , 5대 홍런 (601-674) 시대에 선종은 별도의 불교 종파로 설립되었습니다.
것은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특정 경전에 가르침을 근거로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6' class=reference >삼기 위해 자체 교리적 전통을 발전시켜야 했습니다 .
이를 위해 다양한 경전이 홍렌 이전에도 사용되었습니다:

Śrīmālādevī Sūtra ( Huike ), [168] 각성신앙 ( Daoxin ), [ 168] Lankavatara Sutra (East Mountain School), [168][5]

Diamond Sutra [169] ( Shenhui ),[ 168] Platform Sutra . [5] [169]

찬 전통은 다양한 출처에서 영감을 얻었으므로 다른 경전보다 어떤 경전도 따르지 않았습니다. [170]
그 후, 선 전통은 그 실천과 가르침의 일부가 된 풍부한 문학 작품을 생산했습니다.
다른 영향력 있는 경전으로는Vimalakirti Sutra , [171] [172] [173] Avatamsaka Sutra , [174] Shurangama Sutra , [175]Mahaparinirvana Sutra . [176]
Mario Poceski 는 영향력 있는 Hongzhou 학파 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그들이 다음과 같은 대승 경전을 인용했다고 지적합니다:
법화경, 화엄 화경 , 열반경 , 열반경 , 카바타라楞伽경, 반야파라미타 스般若經, Mahāratnakūta大寶積經, Mahāsamnipāta大集經, Vimalakīrti維摩經. [177]




문학 [ ■편집 ]
참조: 선 문학
선 전통은 불교 가르침의 해석과 선 스승의 기록된 말씀을 바탕으로 풍부한 경전 전통을 발전시켰습니다.
중요한 텍스트는 Huineng 에 기인 한 Platform Sutra (8세기)입니다 .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7' class=reference >[134]
Chán 전송 기록, teng-lu, [178]
등불 전송 기록 ( Ching-te ch'uan-teng lu), Tao-yün이 편집하고 1004년에 출판함; [179]
스승의 기록된 말과 만남의 대화로 구성된 "yü-lü" 장르 [180] ; "Gateless Gate" 및 "Blue Cliff Record"와 같은 공안 컬렉션.[[[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7' class=reference >



조직 및 기관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 은 선 조직 및 기관 , 선 순위 및 계층 , 법전선 계보 차트입니다 .
종교는 개인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집단적 노력"이기도 합니다.

서구 세계에서는 개인의 경험 [ 182]
[183]의 우상 파괴적 그림[183] 이 강조되지만
선의 전통은 고도의 제도화와 위계에 의해 유지되고 전승됩니다.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94-0' class=reference >[184] [185]

일본에서 근대성은 형식 체계에 대한 비판과 산보 교단 [186]닝겐 선 교단 과 같은 재가 중심의 선종 학교의 시작으로 이어졌습니다 . [187]

카리스마적 권위
를 제한하면서 서양에서 선 전통의 연속성을 조직하는 방법그리고 한편으로는 그것이 가져올 수 있는 탈선, [188] [189] [54]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승인된 교사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합법성과 권위를 유지하는 것은 [181] 발전하는 선 공동체에 대한 도전입니다.

서쪽에서.
내러티브 [ ■편집 ]

상위 문서: 젠 내러티브
돌이켜 보면 당나라 의 Chán , 특히 "충격 기술"을 강조한 MazuLinji 의 Chán은 Chán의 황금기로 여겨졌습니다.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8' class=reference >[134]

황실의 지원으로 Chán이 중국 불교의 지배적 형태였던 송나라 때 지배적이 되었습니다.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9' class=reference >[134] 이 그림은 특히 DT 스즈키 의 영향으로 20세기 서양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190] 하쿠운 야스타니산보 교단 에 의해 더욱 대중화되었습니다 . [182]이 그림은 1970년대부터 선에 대한 현대 과학 연구에 의해 도전받고 보완되었습니다.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10' class=reference >[134] [191] [192] [193] [194] [195]
선의 역사에 대한 현대 과학 연구는 선, 역사 및 가르침에 관한 세 가지 주요 내러티브를 식별합니다 . . 외부 내러티브는 비이원론(Nondualism ) 으로, 선(Zen)이 종교의 보편적인 비이원론적 본질의 표식이라고 주장합니다. [198] [199]
연혁 [ ■편집 ]
중국어 Chán [ ■편집 ]
상위 문서: 중국 선
참조: 불교의 실크로드 전승

후이케가 달마 에게 팔을 바치다 , Sesshū Tōyō (1496).


선( 중국어 : Chán禪) 불교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듯이 많은 변화와 우발적 요인이 있는 오랜 역사의 결과입니다. 각 시대에는 다른 유형의 선이 있었고
그 중 일부는 영향력을 유지했지만 다른 일부는 사라졌습니다.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11' class=reference >[134]

중국의 Chán
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고전 단계와 후기 고전 시대를 구별하는 여러 학자에 의해 다양한 기간으로 나뉩니다.
퍼거슨은 5세기부터 13세기까지 세 시기를 구분한다.
전설 의 시대 는 5세기 말 달마(菩菩)부터 765년경 안록산 의 난 (安魯山賊)까지, 당나라 중기 이다.

이 기간 동안 기록된 정보는 거의 남아 있지 않습니다. [200] 지금은 BodhidharmaHuineng 을 포함한 육조의 시대이며,
북부와 남부 Chán의 전설적인 "분열"입니다.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12' class=reference >[134]



765년경 안록산 의 난이 끝난 후부터 950년경 송나라 가 시작될 때까지 의 고전기 . [200]

지금은 Mazu Daoyi
Linji Yixuan 과 같은 Chán의 위대한 거장들 과 이들 위대한 거장의 말과 가르침의 기록인 yü-lü 장르 의 창조 시대입니다.
송나라 시대(960-1279)에 걸친 문학적 시대 , 약 950 년 부터 1250년까지 [200] .
이때 유명한 거장들의 말과 행위를 모아 시와 논평을 덧붙인 곤간집 이 편찬되었다. 이 장르는 선의 발전에 대한 문인 의 영향을 반영합니다.
이 시기는 이전 시기를 Chán의 "황금기"로 이상화하여 저명한 거장들의 자발성을 묘사한 문학을 생산했습니다.

McRae는 Chán 역사의 단계 또는 기간 구분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있지만 [201]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Chán 역사에서 네 단계를 구분합니다. [202]
원선 (c. 500–600) ( 남방 왕조 (420~589)와 수 왕조 (589–618 CE)). 이 단계에서 Chán은 중국 북부의 여러 지역에서 발전했습니다.
그것은 dhyana 의 수행을 기반으로 하며 Bodhidharma 및 Huike의 인물과 연결됩니다.
그것의 주요 텍스트는 Bodhidharma에 기인 하는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입니다. [203]
초기 Chán (c. 600–900) ( 당나라 (618–907 CE)). 이 단계에서 Chán은 첫 번째 명확한 윤곽을 잡았습니다.

주요 인물은 제5 조 담만 홍인(601~674), 법계 계승자 옥취안 신수 (606?~706), 제6조 혜능 ( 638~713), 전형적인 단경의 주인공 , 신회 ( 670~762)이다. ),

그의 선전은 Huineng을 여섯 번째 총 대주교의 지위로 끌어 올렸습니다.

주요 파벌은 Northern School, Southern SchoolOxhead School입니다 . [204]
중선 (c. 750–1000) (안록산의 난( 755–763 )부터 오대십국시대 (907–960/979)까지) 이 단계에서 잘 알려진 우상파괴적 선사의 Chán이 발전했습니다.

주요 인물로는 Mazu Daoyi (709–788), Shitou Xiqian (710–790), Linji Yixuan (867년 사망), Xuefeng Yicun (822–908)이 있습니다.
주요 파벌은 Hongzhou 학교 와 Hubei 파 입니다 [주 11]

중요한 텍스트는 많은 양의 "만남 이야기"를 제공하는 총 대주교의 선집 (952)과 잘 알려진 선의 족보입니다.


학교. [207]
송나라 Chán(c. 950–1300). 이 단계에서 Chán은 당나라 Chán의 "황금 시대"의 그림과 개인 연구 및 명상을 위한 공안 사용을 포함하여 결정적인 형태를 취했습니다.
주요 인물은을 소개한 Dahui Zonggao ( 1089–1163) 와 Shikantaza를 강조한 Hongzhi Zhengjue ( 1091–1157)입니다.
주요 파벌은 Linji 학교 Caodong 학교 입니다.
Blue Cliff Record 와 같은 고전적인 koan 컬렉션은 Chán의 발전에 대한 "literati"의 영향을 반영하는 [208] 이 기간에 수집되었습니다[209] [160]

이 단계에서 Chán은 일본으로 이송되어 Jinul 을 통해 한국 선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Ferguson과 McRae는 송 왕조 이후 중국 Chán에 대한 주기화를 제공하지 않지만
McRae는 "적어도 고전 이후 단계 또는 아마도 여러 단계"를 언급합니다. [210]


David McMahan에 따르면:
명나라 (1368–1644)와 청나라 (1644–1912) 동안 Chán은 더 크고 혼합된 불교 문화의 일부였습니다.
마지막 국면은 서구 제국주의가 중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에서 점점 더 큰 영향력을 갖게 된 19세기 이후부터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국주의 영향의 부작용은 아시아 종교가 현대화되어 서양 사상과 수사적 전략에 적응하게 된 것입니다. [190]



기원 [ ■편집 ]
참조: 한나라육조
Chan의 "창시자"인 Bodhidharma 가 도착하기 전에 다양한 불교 명상 또는 dhyana (즉 Chan) 스승이 중국에서 가르쳤습니다.
이 인물들은 또한 Dhyāna sutras ( 중국어 : 禪經chan jing ) 라고 하는 다양한 명상 텍스트를 가져왔습니다 .
이러한 초기 명상 작업은 주로 카슈미르 의 Sarvāstivāda 학교의 가르침에서 비롯되었습니다 . [17]
이 텍스트에는 Anban shouyi jing (Sanskrit: Ānāpānasmṛti -sūtra )과 같은 Parthian An Shigao (147–168 CE) 의 번역,
Kumārajīva (서기 334-413년, Zuochan sanmei jing ( 좌정삼매경 ) 및
Buddhabhadra 의 경전( Damoduoluo chan jing, Dharmatrāta Dhyāna sūtra와 같음). [211] [212] [213]



찬 불교
(Zen) 수련의 토대 와 Tiantai 명상 마스터 Zhiyi 의 작품 . [214]
Kumārajīva(특히 그의 Prajñāpāramitā 번역 및 그의 Vimalakirti Sutra ), Buddhabhadra( Avatamsaka Sutra ) 및 Gunabhadra ( Lankāvatāra sūtra )의 번역 작업도 Chan의 기원에 중요한 조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불교 경전은 후기 찬 마스터의 핵심 소스 중 일부입니다. [215]

실제로 일부 초기 선문헌( Lankāvatāra의 대가 들과 같은)에서는
인도에서 선 혈통(여기서는 Lankāvatāra 전통 과 동의어로 간주됨)을 전수한 최초의 총대주교로 간주되는 Bodhidharma가 아니라 Gunabhadra입니다. . [216]

그의 기념비적인 Mohezhiguan 과 같은 네 번째 Tiantai 족장 Zhiyi 의 명상 작품은 Tso-chan-i 와 같은 후기 Chan 명상 매뉴얼의 중요한 출처이기도 합니다 . [35]
Chan 불교의 기원에 대한 추가 가능한 영향은 도교 입니다.

초기 중국 불교도 중 일부는 도교 사상과 용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일부 학자들은 도교가 선에 미치는 영향을 보게 되었습니다. [217] [218] [219] [220]

선(禪)의 역사에서 하인리히 두물랭( Heinrich Dumoulin )은 찬 불교가 인도 대승과 중국 도교의 융합에서 발전했다고 주장했습니다.

Kumārajīva , SengzhaoTao Sheng 의 두 중국 제자 는 LaoziZhuangzi 와 같은 도교 작품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 [220]
산룬수치는 차례로 일부 초기 Chan 마스터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222]





Proto-Chán [ ■편집 ]

Bodhidharma, Shaolin 사원 에서 돌 조각입니다 .


원선(c. 500-600)은 남북조 시대(420-589 )와 수 왕조 (589-618 CE)를 포함합니다.
이 단계에서 Chán은 중국 북부의 여러 지역에서 발전했습니다.
이 초기 인물 에 대한 실제 역사적 정보는 거의 없으며
그들의 삶에 대한 대부분의 전설적인 이야기는 대부분 Tang 출처 에서 나온 것입니다.

알려진 것은 그들이 대승 명상 마스터로 간주되었다는 것입니다. [223]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13' class=reference >[134][[[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13' class=reference >

이 시기의 중요한 텍스트는 둔황 에서 발견되고
Bodhidharma에 기인 한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입니다. [203]

후기 자료 에서는 초기 자료에서 이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지만
이 인물들이 Laṅkāvatāra Sūtra 를 사용하여 가르쳤다고 언급합니다. [224] [225]

존 맥레이(John McRae)에 따르면,
이 거장들에 대한 초기 찬(Chan) 자료는 Madhyamaka 사상의 상당한 영향을 보여주는 반면,
Laṅkāvatāra Sūtra 의 영향 은 실제로 훨씬 덜 뚜렷하며
Bodhidharma 및 Huike와 같은 초기 인물. [223]




초선 [ ■편집 ]

홍런


초기 Chán은 초기 당나라 (618–750) Chán을 가리킵니다. 5대 조주인 담만 홍인( 601–674 ) 과 그의 달마 후계자 옥취안 심수 (606?–706)는 "동산 학교" ( 동산 명성 )로 알려진
중국 역사상 최초의 선 기관을 설립하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 [226]

Hongren은 "내면의 진정한 마음 또는 불성에 대한 인식"이 유지되는 "마음을 유지(지키는)" 수신 수행을 가르쳤습니다.


명상 수련." [227]
Shenxiu는 Hongren의 가장 영향력 있고 카리스마 넘치는 학생이었으며 Wu 황후 가 황실에 초대하기도했습니다 .
Shenxiu는 또한 그의 "점진주의적" 가르침 때문에 Shenhui ( 670–762) 의 많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
Shenhui는 대신 그의 스승인 Huineng (638–713)의 "갑작스러운" 가르침과 나중에 Platform Sutra 라고 하는 매우 영향력 있는 Chán 고전이 된 것을 홍보했습니다 .
Shenhui 의 선전 캠페인은 결국 Huineng을 중국 Chán의 여섯 번째 총 대주교의 지위로 승격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241-0' class=reference >[230]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14' class=reference >[134]


갑작스러운 대 점진적 논쟁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241-0' class=reference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_138-14' class=reference >

이 시대에 발전한 것은 선불교의 후기 형태를 정의하게 되었습니다. [231]
중선 [ ■편집 ]

마주


중선(c. 750-1000) 시대는 안녹산 의 난(755-763 )부터 오대십국시대 (907-960/979)까지 이어집니다.
이 단계에서는 Chan의 새로운 학교가 개발되었습니다.
이 학교 중 가장 중요한 학교는 Mazu Daoyi (709–788)의 Hongzhou 학교 이며 Shitou , BaizhangHuangbo 도 속해 있습니다.
이 학파는 개인적인 통찰력 표현을 강조하고 긍정적인 진술을 거부하며 자발적이고 틀에 얽매이지 않는 "만남 중 질문과 답변"( 린지 웬다)


스승과 제자 사이. [125] [232]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상파적" 만남을 송 시대 의 후기 수정본으로 제시하는 많은 문헌을 보았고 ,
대신 Hongzhou 마스터가 그다지 급진적이지 않고 대신 계율을 지키고 축적하는 것과 같은 상당히 보수적 인 아이디어를 장려한다고 봅니다.
좋은 카르마 와 명상 연습. [232]

학교는 영향력 있는 Guifeng Zongmi
( 780–841 )와 같은 후기 인물들에 의해 비판되었던 "이 마음이 부처"라는 Mazu의 견해와 같은 혁신적인 가르침과 관점을 생산했습니다 . ),

무지와 깨달음을 구별하지 못한 것에 대해. [233]
당나라 말기 에 홍주파는 점차 다양한 지역 전통으로 대체되었고,
이는 Chán의 다섯 집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
Shitou Xiqian (710–790)은 Cáodòng (Jp. Sōtō ) 학교의 총대주교로 간주되는 반면,
Linji Yixuan (867년 사망)은 Línjì (Jp. Rinzai ) 학교의 설립자로 간주됩니다.
이 두 전통은 중국 안팎에서 상당히 영향력이 있었습니다.

후기 당나라의 또 다른 영향력 있는 Chán 마스터는 Xuefeng Yicun이었습니다..
당나라 후기에는 "만남의 대화" 관행이 완전히 성숙되었습니다.
스승과 제자 사이의 이러한 형식적인 대화는 불합리하고 비논리적이며 인습타파적인 언어뿐만 아니라 원 을 그리는 것과 같은
비언어적 형태의 의사소통과 소리치고 때리는 몸짓을 사용했을 수도 있습니다. [234]

허구의 만남 대화를 작성하고 이전 Chán 인물에 기인하는 것도 일반적이었습니다. [234]
이 시기의 중요한 텍스트는 Chán 학교의 계보를 확립할 뿐만 아니라
많은 "만남 이야기"를 제공 하는 총대주교 선집 (952)입니다. [207]
845 년 대반 불교 박해 는 대도시 선에 큰 피해를 입혔지만
마조의 선파는 살아남았고 후당 선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235]


송나라 진 [ ■편집 ]

Dahui 는 kōan 이야기의 kan huatou 또는 "비판 문구 검사" 방법을 도입했습니다 . 이 방법을 "kōan 성찰의 선"( Kanhua Chan )이라고합니다. [236]


송나라 Chán(c. 950–1300 ) 동안 Chán 불교는 개인 연구와 명상을 위한 공안 사용의 발전을 통해 결정적인 형태를 갖추었습니다 .
특히 선의 "황금 시대"라는 아이디어를 홍보하면서 선의 선의 역사를 이상화 한 것은 송 시대였습니다. [237]

송 시대에 Chán은 중국 불교 의 가장 큰 종파가 되었고
제국 정부와 강한 유대 관계를 맺어
고도로 조직화된 사원 계급 및 행정 체계를 발전시켰습니다. [238]

Song Chán의 지배적 형태는 사대부와 조정의 지원 으로 인해 Linji 학교 였습니다 . [239]
이 학교 는 각성된 마음의 시연으로 여겨지는 스승과 학생의 만남의 이야기를 묘사한 공안 ("공개 사례") 문학 연구를 발전시켰습니다.

이 이야기의 대부분은 특히 당나라 시대의 과거 선(禪) 거장들의 이상화된 만남을 묘사하고 있으며
중국 문인 계급의 영향을 보여줍니다. [240] [237] [209] [160]
이 작품들 중 가장 영향력 있는 것은 Blue Cliff Record , The Book of Equanimity입니다.

그리고 Gateless Gate . [208]
12세기 동안, 선비-관료 계층 의 지원을 위해 린지와 조동 학교 사이에 경쟁이 일어났습니다.
조동파의 Hongzhi Zhengjue (1091-1157)는 재가 수행자 가 수행할 수 있는 단독 수행의 수단으로 고요한 조명 또는 고요한 사색( mòzhào )을 강조했습니다.

한편 Linji 학교의 Dahui Zonggao (1089–1163)는 징 의 중요한 문구 또는 "펀치 라인"( hua-tou )에 대한 명상을 포함하는
k'an-hua chan ("단어 머리 관찰" chan)을 도입했습니다.

'안. [241] [242]
Song은 또한 Yongming Yanshou (904-975) 의 Chán과 정토 불교 의 혼합주의를 보았습니다 .
이는 나중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243]
용명은 또한 도교와 유교의 가치가 불교에 포용되고 통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종미의 작업을 반영 했습니다.
Chán은 또한 Quanzhen 학교 와 같은 특정 형태의 도교 뿐만 아니라 Neo-Confucianism 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 [244] [245]

송대에 진(禪)도 에이사이( Eisai )와 같은 인물에 의해
일본으로 이송되어
지눌(Jinul )을 통해 한국의 선 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고전 이후의 Chán [ ■편집 ]
명나라 Chán 학교는 매우 지배적이어서
모든 중국 승려들은 Linji 학교 또는 Caodong 학교 에 소속되었습니다 . [246]

일부 학자들은 포스트고전적 단계를 " 혼합주 의 시대"로 본다 . [247]
고전 이후 시대에는 Zhongfeng Mingben (1263–1323)과 위대한 개혁가 Hanshan Deqing (1546 ) 의 가르침에서 볼 수 있듯이
Chán과 정토 불교( nianfo Chan 으로 알려짐)의 이중 수행이 인기를 끌었습니다. -1623).

이것은 널리 퍼진 현상이 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 사이의 많은 구별이 사라졌고 많은 사원들이 Chán 명상과 nianfo 의 정토 수행을 모두 가르쳤 습니다. [248] [249] [57]


명 왕조 는 또한 Yunqi Zhuhong(1535–1615)과 Daguan Zhenke(1543–1603)와 같은 인물들이
Chan 불교를 불교 경전 연구 및 저술 관행과 부활시키고 조화시키려는 노력을 보았습니다. [247]

청나라 초기 에 Miyun Yuanwu (1566–1642)의 "구타와 고함 관행의 부활"과 Wudeng yantong ( "5 선파의 엄격한 전승" )의 출판으로 Chán은 "재창조"되었습니다. ")
Miyun Yuanwu의 달마 상속인 Feiyin Tongrong (1593–1662)의 작품. 이 책은 적절한 법전이 없는 자칭 선 승려를 "혈통 미상"( sifa weixiang ) 범주에 배치하여
몇몇 저명한 차오동 승려를 제외 했습니다 . [250]




현대 시대 [ ■편집 ]

Xuyun 은 19세기와 20세기에 가장 영향력 있는 Chán 불교도 중 한 사람이었습니다. [251]


청나라 (1644-1912) 동안 몇 세기 동안 더 쇠퇴한 후 Chán 활동은 19세기와 20세기에 모더니스트 활동의 돌풍에 의해 다시 부활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Jing'an(1851–1912), Yuanying (1878–1953) 과 같은 인물에 의해 촉진된 인본주의 불교 (또는 더 문자 그대로 "인간 생명을 위한 불교", Rensheng Fojiao ) 라고 불리는 세속적인 선 활동이 부상 했습니다. ,

Taixu (1890–1947), Xuyun (1840–1959) 및 Yinshun(1906-2005). 이 인물들은 빈곤과 사회적 불의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정치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사회 운동을 장려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선의 역사를 연구하기 위해 현대 비평 학문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현대 과학과 학문을 장려했습니다. [252]

오늘날 많은 Chán 교사들은 Sheng-yenHsuan Hua 를 포함 하여 20세기와 21세기를 통해 꾸준히 성장한 서양에서 Chán을 전파한 Xuyun으로 그들의 혈통을 추적합니다 .
선불교는 1960년대 문화대혁명 으로 중국에서 억압 당했으나 ,
1970년대 개혁개방 으로 중국 본토에서는 중국불교의 부흥 이 일어났고, 불교는 ​​대만홍 (洪)에서 상당한 추종자를 얻었다.

Kong
뿐만 아니라 화교 들 사이에서 .

중국 이외 지역으로 확산 [ ■편집 ]


베트남어 Thiền [ ■편집 ]
참조: 베트남 티엔베트남의 불교

Thích Nhất Hạnh 은 2010년 독일 상호존재 훈장 에서 승려들과 함께 namo avalokiteshvaraya 구호 세션을 이끌고 있습니다.


찬은 초기 중국 점령 기간 (기원전 111년~서기 939년)에 티엔으로 베트남에 소개되었습니다.
(1009–1225)와 Trần (1225~1400) 왕조 동안 Thiền은 엘리트와 왕실 사이에서 두각을 나타내었고
새로운 토착 전통인 Trúc Lâm ("대나무 숲") 학교 가 설립되었습니다.
유교와 도교의 영향. 17세기에 Linji 학교는 Chan과 Pure land 를 혼합한 Lâm Tế 로 베트남에 전해졌습니다 .
Lâm Tế 는 오늘날 미국에서 가장 큰 수도원으로 남아 있습니다. [253]
현대 베트남 Thiền은 불교 모더니즘 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
중요한 인물로는 Thiền 마스터 Thích Thanh Từ (1924–),
활동가이자 대중화 자인 Thích Nhất Hạnh (1926–2022), 철학자 Thích Thiên-Ân이 있습니다.
베트남의 Thiền은 절충적이고 포괄적이며 호흡 명상 , nianfo , 만트라 , Theravada 영향, 염불 , 경전 암송 및 참여 불교 활동 과 같은 많은 관행을 가져옵니다 .





한국어 선 [ ■편집 ]
상위 문서: 조선선
참조: 한국의 불교

조계사조계종 총본산이다 . 조선왕조 여명기인 1395년에 처음 창건된 사찰이다.


신라 말기 (7~9세기) 한국의 승려들이 중국으로 건너가 새롭게 발전한 마조 도의를 배우고 귀국하여 선종을 세움에 따라
선(禪)은 점차 한국 으로 전해졌다. 그들은 " 구산 (九山, gusan ) "으로 알려진 한국 최초의 선종을 설립 했습니다.

선종은 성숙한 선종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고려 승려 지눌 (1158~1210) 에게서 가장 중요한 자극과 공고화를 받았다 .
그는 오늘날 한국에서 가장 큰 선 전통으로 남아있는 조계종 을 창시했습니다 .
지눌 은 선학과 수행의 새로운 중심지로 송광사 를 창건하였다.
한 지눌은 선에 대한 광범위한 저술을 통해 종합적인 사상과 실천 체계를 발전시켰다.
대희종고 에서 지눌은 화두 법을 받아들 였으며, 오늘날 선에서 가르치는 주요 명상법으로 남아 있다.

엄격하게 유교 적인 조선시대 (1392~1910)에는 불교가 대부분 탄압되었고 ,
절과 성직자의 수도 급격히 줄어들었다.
일제 강점기 는 한국의 선에도 수많은 모더니즘 사상과 변화를 가져왔다.
일부 승려들은 결혼하여 가족을 갖는 일본의 관행을 채택하기 시작했고 용성 과 같은 다른 승려들은 일본 점령 에 저항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

오늘날 가장 큰 선종인 조계 는 금욕을 강요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 큰 선종인 태고종 은 결혼한 승려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동시대 선에 영향을 준 중요한 모더니스트 인물로는 성철경허 가 있다..
선은 또한 관음선종 과 같은 새로운 전통과 함께 서양으로 전해졌다 .





일본 선 [ ■편집 ]
상위 문서: 일본 선
참조: 일본의 불교

일본 요코하마시 츠루미구 조동종 의 소 지지 절


선(禪)은 12세기에 묘안 에이사이( Myōan Eisai )가 중국으로 여행을 갔다가 돌아와 린지 혈통을 세웠지만 결국 멸망 할 때까지
별도의 학교로 소개되지 않았습니다 . [255]
수십 년 후, 난포 쇼묘 (南浦紹明) (1235–1308)도 일본 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유일하게 살아남은 린자이 의 가계인 일본 오스칸 가계를 세우기 전에
중국에서 린지 가르침을 공부했습니다 . [255]

1215년, Eisai의 젊은 동시대인 Dōgen 은 직접 중국으로 여행을 떠났고 그곳에서 그는 Caodong 마스터 Tiantong Rujing 의 제자가 되었습니다 .
돌아온 후 DōgenCaodong의 일본 분교 인 Sōtō 학교.

일본 의 전통적인 선종 3종 은 소토 (曹洞) , 린자이 (臨済) , 오바쿠 (黃檗) 입니다.
그 중 소토가 가장 크고 오바쿠가 가장 작으며 린자이가 가운데에 있다.
이 유파는 본산에 따라 하위 학교로 더 나뉘는데, 소도를 위한 두 개의 본산( 소지지가 훨씬 더 큰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소지지 와 에이헤이지 ),
린자이를 위한 14개의 본산, 그리고 1개의 본산( 만푸쿠- 지) 오바쿠의 경우 총 17개의 본산. 가장 많은 린자이 총본산은 전통적인 오산 체계 와 상당히 중복되며
묘신지 , 난젠지 , 텐류지 , 다이토쿠지 , 도후쿠지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전통적인 조직 외에도
특히 서양 재가 추종자들을 끌어들이는 현대 선 조직, 즉 Sanbo Kyodan 과 FAS Society가 있습니다.



서양의 선 [ ■편집 ]
참조: 서양의 불교미국의 선
서양이 처음으로 선을 불교의 독특한 형태로 인식하게 된 정확한 순간을 추적하기는 어렵지만,
1893년 세계종교회의 기간에 일본의 선 승려인 소옌 샤쿠( Soyen Shaku )가 시카고 를 방문한 것은 종종 다음과 같이 지적됩니다. 서

양 세계에서 Zen의 프로필을 향상시킨 이벤트.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에는 동양인 이민자의 후손이 아닌 서양인들이 선에 대해 진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일본 선 은 서양에서 가장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Reginald Horace Blyth , Alan Watts , Philip Kapleau 의 선에 관한 다양한 책
리고 1950년에서 1975년 사이에 출판된 DT Suzuki [ 인용 필요 ] 는 Jack Kerouac , Allen GinsbergGary Snyder 와 같은 비트 시인의 관심과 마찬가지로
서양에서 Zen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데 기여했습니다 .

1958년 문학 잡지인 Chicago Review 는 앞서 언급한 비트 시인과 번역 작품을 소개하는 Zen에 대한 특집호 [258] 발행 하면서
미국 문학계에 Zen을 소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257] .


Erich Fromm 은 그의 1960년 책에서 DT Suzuki 를 인용합니다 .정신분석학과 선불교 . [259]
1974년 미국 작가인 Robert Pirsig 가 출판한 Zen and the Art of Motorcycle Maintenance 는 실질적인 의미에서 비이원론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Zen 사고의 적용을 가져왔습니다.
광범위한 철학적, 논리적 출처를 바탕으로 한 이 책은 지금까지 출판된 철학에 관한 가장 많이 팔린 작품이 되었습니다.



[ ■편집 ] 도 참조하십시오 .
불교도 목록
불교 개요
불교의 타임라인
중국어 찬
101 선 이야기
친소
슈산 샤카
카츠


참고 [ ■편집 ]
^ Dumoulin은 Zen 의 서문에서 씁니다역사. 파트 1:
인도와 중국 : "선(Chin. Ch'an, 산스크리트어 Dhyāna (Devanagari: ध्yan) 또는 팔리어 동족 인 Jhāna (Sanskrit; Pāli झม)를 음역하는 ch'an-na 의 약어, 용어 의미 " 명상")은
중국에서 시작된 대승불교 명상 학교의 이름입니다.
연꽃 자세로 명상하는 것이 특징입니다(Jpn., zazen ; Chin., tso-ch'an ) Ch., kung-an )뿐만 아니라 사토리 의 깨달음 경험 [2]
그것은 Ju-tao an-hsin yao-fang-pien fa-men (JTFM, Instructions on essential expedients for the mind and access the path)이라는 중국어 텍스트에 처음 등장하며 , 그
자체는 Leng Ch'ieh 의 일부입니다. Shih TZu Chi (Lankavatara 마스터의 기록). Lankavatara 마스터의 기록은 " East Mountain School " 로 알려진 초기 Chan 전통과 관련이 있으며약 713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이동:a b Mazu의 "마음이 부처"와 "무심부처"를 비교하십시오. 부처요?"

조사가 대답하였다. "마음이 곧 부처입니다." [이 말을 듣고] 법창은 큰 깨달음을 얻었고
나중에 그는 대미산에 가서 살았습니다. 조사가 그가 산에 거주한다는 것을 듣고 승려 한 사람을 보내어
법창에게 묻기를 "스님이 마조를 보고 무엇을 얻어서 이 산에 오셨습니까?
" 츠는 마음이 부처라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이곳에 살게 되었습니다."
스님은 "최근 마조의 가르침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스님이 말씀하시기를, "요즘 그는 또한 '마음도 부처도 아니다'라고 말씀하십니다.
" '마음이 부처'
이기 때문입니다. "매실이 익었다." 총대주교가 말했다." [33]
Kalupahana에 따르면 Yofacara의 영향은 ts'ao-tung 학교와 침묵 명상의 전통에서 더 강하고 Madhyamaka의 영향은
koan 전통과 통찰력에 대한 강조와 역설적 언어의 사용에서 분명합니다. [128]
그럼에도 불구하고,단경은 Zong-mi와 같은 후대의 선 작가들이 그랬던 것처럼 Shenhui의 수사학을 실제 선 수행과 조화시키려고 시도한다 . [140]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천을 거부하는 것처럼 보이는 선의 경전에는 실천에 대한 언급도 포함되어 있다. [133]
Chieng Cheng: "...[Ma-tsu의] 학파와 관련된 글에는
연습에 대한 지침을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언어 표현을 피하는 웅변적 순수성을 향한 현저한 경향이 있습니다.
일상 수련에 대한 충고는 이 전통의 스승들의 기록에 일반적으로 부족한 것이므로 그들이 주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매우 명확한 "점진적" [...] 흥주 학파의 가르침에 대한 현존하는 기록에서 명백한 방편 수단의 부족에 대한 가능한 이유를 찾는 데 있어서,
기록에 분명히 나타나 있듯이,대부분의 가르침은 기본적인 불교 수행에 익숙하고 (이상적으로) 교리적 가르침을 잘 구사하는 승려들에 의해 받아들여졌습니다. [...]
예배, 연구, 계율, 명상의 기본 수행이 모두 너무 녹음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익숙합니다."[143]

^ Sasaki의 Linji yulu 번역에는 송 왕조 Chán에서 역할을 한 영향력 있는 중국 불교 경전을 나열하는 62페이지의 광범위한 전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58]
^ Albert Low: "그 스승들이 경전에 정통한 것은 분명합니다. 예를 들어, 선 스승 Tokusan은 금강경 을 잘 알고 있었고,
자신의 선 스승을 만나기 전에 그것에 대해 광범위하게 강의했습니다.
선의 창시자는 달마종은 경전 밖에서 자아실현을 설파하면서도 능가경 을 주창하였는데 , 선사 호겐은 화엄경 을 잘, 호겐이 참여한 무문관 의 공안 이십육은 다른 공안들도 경전 을 직간접적으로 참조합니다.
또 다른 선사인 Hui Neng의 자서전은 이후에 단경이 되었습니다., 지성과 경전 연구를 거부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비난하는 경전 중 하나" [159]
^ Poceski: "특정 성구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Mazu와 그의 제자들의 기록에서 상대적으로 드물지만 그것이 정경을 거부하거나 그 권위를 부인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반대로 그들의 기록에서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경 출처의 전체 사용 범위가 즉시 명확하지 않고 분별력을 얻으려면 불교 문헌에 익숙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경전 인용과 암시로 가득 차 있습니다.
Vimalakīrti 경전, Huayan 경전, Mahāsamnipata-sūtra, Foshuo Foming 경전 佛說佛名經, Lankāvatāra 경전 및 파주징. [5]
Hakuin은 심지어 불도 가 공부에서 시작 한다고 말하기까지 한다 : "[A] 사람은 [...] 먼저 광범위한 지식을 얻고 모든 불교 경전과 주석을 공부하여 지혜의 보고를 축적해야 합니다. ,
불교와 비불교의 모든 고전 작품을 읽고 다른 전통의 현자들의 글을 정독하는 것은 그러한 이유로 "법의 가르침은 무한합니다.
나는 그것들을 모두 연구하기를 서원합니다. "
^ McRae는 이 "후베이 파벌"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Shenxiu의 "Northern School"의 연속 일 수 있습니다.
Nadeau 2012 p.89 참조. [205] 허베이는 진(禪)의 린지 분파가 발생한 곳이기도 하다. [206]

참조 [ ■편집 ]
^ Harvey 1995년 , p. 159–169.
^^이동: ab Dumoulin 2005a , p . xvii.
^ 요시자와 2009년 , p. 41.
^ 세키다 1989 .
^^이동:a b c d e f Poceski nd.
^ Borup 2008 , p. 8.
^ Yampolski 2003a , p. 삼.
^ Dumoulin 2005a , p. 48.
^ Lievens 1981 , p. 52–53.
^ Dumoulin 2005a , pp. 41–45.
^ Andre van der Braak (2011), 자아 없는 자아 극복 , p.117
^ 왕 2017 , p. 79.
^ Kasulis 2003 , p. 24.
^ 왕 2017 , p. 58.
벤 짐머 (2018년 9월 28일). "선과 스크래블 사전 유지 관리 기술" . 월스트리트 저널 - www.wsj.com 경유.
^ Schlütter 2008 , p. 169.
^^이동:a b Deleanu, 플로린(1992); Dhyāna Sūtras의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 일본 오리엔탈리스트 국제 회의(TICOJ) 37, 42–57의 거래.
^ 버스웰, 로버트 E. 주니어; Lopez, Donald S. Jr.(2013년 11월 24일). 프린스턴 불교 사전 .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691157863.
^ 왕 2017 , p. 59.
^ 모어, 미셸. 2006. 인도의 선을 상상하다: 토레이의 타모로선경과 도쿠가와 시대의 초기 명상 기법의 재발견에 대한 논평.
In Zen Classics: Steven Heine과 Dale S. Wright가 편집한 선불교 역사의 형성 텍스트. 옥스포드와 뉴욕: Oxford University Press, pp. 215–246.
^ Fischer-Schreiber, Ehrhard & Diener 2008 , p. 103.
^ Ven. Yuanci 박사, DESM 및 기타 초기 중국어 텍스트의 명상 방법 연구 , The Buddhist Academy of China.
^ Zhang & Stevenson 2002 , pp. 27–28.
^ Zhang & Stevenson 2002 , pp. 29–30.
^^이동:a b 루크, 찰스. 중국 명상의 비밀. 1964. p. 44
^ Nan, Huai-Chin. 기본 불교: 불교와 선 탐구. 1997. p. 92
^ McRae 1986년 , p. 115-116.
^^이동:a b c d McRae 1986, p. 143.
^ 샤프 2014년 , p. 939, 951.
^ 샤프 2014년 , p. 939.
로버트 E. 버스웰 주니어(2017). 중국과 한국에서의 선 사상의 형성: 불교 외경인 금강삼매경.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p. 141.
^ 샤프 2014년 , p. 945-950.
^ Cheng Chien Bhikshu 1992년 .
^ McRae 2004년 , p. 39.
^^이동:a b Gregory, Peter N. (1986). "장로정자와 선명상". 중국 불교의 명상 전통. 하와이 대학교 출판부.
^ Katsuki Sekida, Zen Training: Methods and Philosophy , Shambhala Publications, 2005, p. 60.
^ Omori Sogen, Zen Training 소개, Routledge, 2012, p. 49.
^ 셩, 엔. "명상의 기초" .
^ Katsuki Sekida, Zen Training: Methods and Philosophy , Shambhala Publications, 2005, p. 61.
^ Taizan Maezumi, Bernie Glassman(편집자) On Zen Practice: Body, Breath, and Mind, pp. 41–42.
^ Katsuki Sekida, Zen Training: Methods and Philosophy , Shambhala Publications, 2005, p. 64.
^ Kapleau, P. The Three Pillars of Zen, 2013, p. 12.
^ 타이겐 댄 레이튼. 빈 들판 경작: 홍지 선사의 침묵 조명, Tuttle, 2000, p. 17
^ Sheng Yen, John Hurrell Crook, Shengyan, Illuminating Silence: The Practice of Chinese Zen, Watkins Publishing, 2002, p. 93.
^ 타이겐 댄 레이튼. 빈 들판 경작: The Silent Illumination of Zen Master Hongzhi, Tuttle, 2000, pp. 1–2.
^ Sōtō Zen 텍스트 프로젝트. "자젠기 번역" . 스탠포드 대학교 . 2015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2015 년 11 월 15일 에 확인함 .
^ Sōtō Zen 텍스트 프로젝트. "후칸자젠기" . 스탠포드 대학교. 2008년 4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2008 년 3월 26일 에 확인함 .
^ 장 & 스티븐슨 2002년 , p. 152.
^ 블리스 1966년 .
버스웰, 로버트 E. (1991). 광휘를 되짚다: 지눌의 한국선법(동아시아불교고전) . 하와이 대학교 출판부. 68~69쪽. ISBN 0824814274 .
^^이동: ab Schlütter 2008 , p. 116.
^ McRae 2003년 , p. 125.
^ Bodiford 2006년 , p. 94.
^^이동:a b 락스 2006.
^ 낮은 2006년 , p. 37-39.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59' >^ 루리 2006년 , p. [ 필요한 페이지 ] .
^^이동: ab 왕 2017 , p. 35.
^ Aitken, Robert, The Practice of Perfection: The Paramitas from a Zen Buddhist Perspective ,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12.
^ Shohaku Okumura 2012 , p. 15.
^ Sheng Yen, Shengyan, Dharma Drum: The Life and Heart of Chan Practice, Shambhala Publications, 2006.
^ McRae 2004년 , p. 32.
^ Jeffrey Lyle Broughton, Zongmi on Chan, p. 171.
^ "열 가지 필수 계율" . 샌프란시스코 젠 센터 .
^ Kenji Matsuo, 일본 불교사, 글로벌 오리엔탈, 2007, p. 32.
^ Baroni, Helen J.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Zen Buddhist, p. 93.
^ Borup 2008 , p. 247.
하이청 링(2004). 중국의 불교. 중국 인터콘티넨탈 프레스, p. 184.
^ 장 & 스티븐슨 2002년 , p. 56.
^ Asian American Religious Cultures [2권], Jonathan HX Lee 편집, Fumitaka Matsuoka, Edmond Yee, Ronald Y. Nakasone, ABC-CLIO, 2015, p. 470.
^ Christensen, Matthew B. 중국의 괴짜: 알리바바의 땅, 신칸센 및 딤섬 발견 . 터틀 퍼블리싱. 피. 40. ISBN 1462918360 .
^ Shahar 2008 , pp. 55, 80.
^ Shahar 2008 , pp. 2, 80, 144.
^ Shahar 2008 , p. 147.
^ Shahar 2008 , pp. 138, 173.
^ 장 & 스티븐슨 2002년 , p. 34–35.
^ Hideharu Onuma, Dan DeProspero, Jackie DeProspero (1993) "Kyudo: The Essence and Practice of Japanese Archery," p. ix, 코단샤 인터내셔널.
^ Mann, Jeffrey, 불교도가 공격할 때: 선과 무술 사이의 흥미로운 관계, p. 61.
^ Takuan Soho, The Unfettered Mind: Zen Master가 Master Swordsman에게 쓴 글, p. xv.
^ Waddell, Norman(ed. & trans.), Hakuin's Precious Mirror Cave: A Zen Miscellany , 2009, p. 83.
^ 줄리안 다이잔 스키너(2017), "Practical Zen: Meditation and Beyond," pp. 203–204. 노래하는 용
^ Hakuin Ekaku (2010), "Wild Ivy: The Spiritual Autobiography of Zen Master Hakuin" , p. 150. 샴발라 간행물
^ Addiss & Loori , p. 1.
^ Addiss & Loori , p. 4.
^ Addiss & Loori , p. 15.
^^이동:a b 오쿠무라 쇼하쿠 2012, p. 1.
^ Heine & Wright 2008 , p. 127.
필립 카플로 (1989a). 선의 세 가지 기둥: 가르침, 실천 ​​및 깨달음 . NY: 앵커 북스, p. 21.
윌슨, 제프, 태아 애도: 불교 의식이 미국에 온다
^ Jiang Wu, Enlightenment in Dispute: The Reinvention of Chan Buddhist in 17th-Century China ,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1, pp. 145–147.
^ Sheng Yen, Shengyan, 정통 중국 불교: 일반적인 질문에 대한 현대 찬 마스터의 답변, North Atlantic Books, 2007, p. 76.
^ 양 황제의 참회 의식: 보디만다의 자비와 자비의 참회 달마의 완전한 번역 , 불교 텍스트 번역 협회, 2017.
^ Dumoulin, Heinrich, Zen Enlightenment: Origins and Meaning, Shambhala Publications, 2007, p. 136.
^ Heine & Wright 2008 , pp. 124–125.
^ 보디포드 1992년 .
^ Baroni, Helen J.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Zen Buddhist,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02, p. 215.
^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 p. 926.
^ "앉아서 수행하는 방법" . 관음선종 .
^ Borup 2008 , pp. 218, 241.
^ Unno, Mark, Shingon Refractions: Myoe and the Mantra of Light, Ch. 1.
^ Meinert 2015 , pp. 277–278.
^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 pp. 298–299.
^ Meinert 2015년 , p. 300.
^ 키워스, 조지 A. (2016). "Zen과 Shoulengyan jing의 "영웅 행진 주문" . 동양의 불교 . 47 (1): 81–120. ISSN 0012-8708 . JSTOR 26799795 .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107' >^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 p. [ 필요한 페이지 ] .
^ Orzech, Charles D. (1989년 11월). "Chen-Yen 불교를 보다: 전통 학문과 중국의 Vajrayāna" . 종교사 . 29 (2): 87–114. 도이 : 10.1086/463182 . ISSN 0018-2710 . S2CID 162235701 .
례훈여우(2003). 유령 먹이기: Yuqie Yankou Rite에 대한 연구 (논문). 버지니아 대학교. 도이 : 10.18130/v3s82z .
블룸, 필립 엠마누엘(2013). 신들의 강림: 송대(960-1279) 불교의 수륙유적과 영상문화의 변천 (논문). 하버드 대학교 . 2021 년 8월 28일 에 확인함 – ProQuest를 통해.
홍차이샤(2007). Water-Land Dharma Function Platform 의례 및 Great Compassion Repentance 의례 (논문). 서부 대학 . 2021 년 8월 28일 에 확인함 – ProQuest를 통해.
^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 p. 589.
^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 pp. 617, 635–639.
^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 pp. 924–925.
^ DT Suzuki 는 그의 선불교 매뉴얼 (1960, 21)과 The Training of the Zen Buddhist Monk (1965, 80)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 논의합니다
^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 pp. 827–829.
^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 p. 927.
^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 p. 931.
^ 스즈키 1997년 , p. 154.
^ Buswell 1993년 , p. 245.
^ Abe & Heine 1996년 , p. 19.
^ "달을 가리키며" . 칸드로 .넷 . 2013 년 2월 4일 에 확인함 .
^ "Lankavatara Sutra" . 다이세츠 스즈키 테이타로 옮김. Lirs.ru. 2008년 6월 16일. LXXXII 장, p.192, p.223 (224) . 2013 년 2월 4일 에 확인함 .
^ The Surangama Sutra (PDF) , Luk, Charles, Buddha Dharma Education Association, pp. 59–60 번역, 2013년 10월 23일 원본 (PDF) 에서 보관됨
^ Dumoulin 2005a , pp. 85–94.
^ Lai 1985년 , p. 17-18.
^^이동:a b c Cheng 1981.
^^이동:a b 라이 1985.
^ Newland 2001년 , p. 137.
^ "Madhyamaka 불교 철학 | 철학의 인터넷 백과사전" .
^^이동: ab Kalupahana 1994 , p. 228-236.
^ Gregory, Peter N. Tsung-Mi 및 불교의 중국화, 하와이 대학 출판부, 2002, p. 7.
^ 페인, 리차드 칼; Leighton, Taigen Dan , eds. (2006). 중세 일본불교의 담론과 이념 . 불교 비평 연구. 루틀리지. ISBN 978-0415359177.
^ Buswell 1991년 , p. 324.
^ Schlütter 2008 , p. 삼.
^^이동:a b c d 샤프 2014.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138' >^^이동: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McRae 2003, p. [ 필요한 페이지 ].
^ 버스웰 1991년 .
^ 맥레이 1991년 .
^ Stein 1991 , p. 43.
^ McRae 2004 , pp. 57, 63.
^ Lachs 2012년 , p. 4.
^ McRae 2004년 , p. 60.
^ Buswell 1991년 , p. 328-330.
^ Buswell 1991년 , p. 335-336.
^ Cheng Chien Bhikshu 1992년 , p. 24-25.
^ 하이네 & 라이트 2000 , p. 245.
^ Tomoaki 2003년 , p. 280.
^ Tomoaki 2003년 , p. 284.
^ "소토 선" . 조동선불교협회 . 2013 년 2 월 19일 에 확인함 .
^ "Thiền Sư THỦY NGUYỆT hiệu THÔNG GIÁC" . Thiền Viện Thường Chiếu (베트남어) . 2019 년 8월 17일 에 확인함 .
^ Dumoulin 2005b , p. 380.
^ 세키다 1996 .
^ Cleary 2010 , p. xii–xiii, Hakuin 인용.
^ 엔 1996년 , p. 54).
^ Kapleau 1989년 .
^ 낮은 2006년 .
^^이동:a b 낮음 2000.
^ Yampolski 1967년 , p. 112–114.
^ 샤프 1995c , p. 427.
^ 사사키 2009 .
^ 낮은 2000 , p. 4.
^^이동:a b c 웰터 2000.
^ Welter 2000년 , p. 94.
^ Yanagida 2009년 , p. 62.
^ Hori 2000 , p. 296.
^ Hori 2000 , p. 295-297.
^ 요시자와 2009년 , p. 42.
^ Hori 2000 , p. 297.
^ 퍼거슨 2000 , p. 17.
^^이동:a b c d Lai 2003, p. 17.
^^이동: ab McRae 2003 , p . 62.
^ Lai 2003년 , p. 18.
^ Dumoulin 2005a , pp. 49–51.
^ Snelling 1987년 , p. 157-158.
^ 낮은 2000 , p. 83-112.
^ Dumoulin 2005a , pp. 45–49.
^ 낮은 2000 , p. 135-154.
^ 라이 2003년 .
^ "thezensite: 정경과 당찬의 종교적 권위에 대한 태도" . www.thezensite.com . 2022 년 12월 23일 에 확인함 .
^ Welter 2000년 , p. 82-86.
^ Welter 2000년 , p. 83.
^ Chappell 1993년 , p. 192.
^^이동:a b 코네 2000.
^^이동:a b 샤프 1995b.
^ 맥레이 2002년 .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194' >^ Borup 2008 , p. [ 필요한 페이지 ] .
^ 호리 1994년 .
^ 샤프 1995c .
^ "Ningen Zen Kyodan의 정통 선사와 함께 참선 수련을 시작하세요" . 닝겐 젠 명상 센터. 2013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2013 년 2월 4일 에 확인함 .
^ 종 2002년 .
^ Lachs 1999년 .
^^이동:a b c 맥마한 2008.
^ 샤프 1993년 .
^ 샤프 1995a .
^ 맥레이 2005년 .
^ 하이네 2007 .
^ 요르겐센 1991년 .
^^이동:a b 하이네 2008, p. 6.
^ "Andre van de Braak, 세속 시대의 선 영성. 서양의 찰스 테일러와 선불교 " . 2013 년 2월 4일 에 확인함 .
^ 울프 2009년 , p. iii.
^ 카츠 2007 .
^^이동:a b c Ferguson 2000, p. 삼.
^ McRae 2003년 , p. 11-15.
^ McRae 2003년 , p. 11-21.
^^이동: ab McRae 2003 , p . 13, 15–17.
^ McRae 2003년 , p. 13, 17–18.
^ Nadeau 2012 , p. 89.
^ Yanagida 2009년 , p. 63.
^^이동: ab McRae 2003 , p . 13, 18–19.
^^이동: ab McRae 2003 , p . 13, 19–21.
^^이동:a b 기멜로 1994.
^ McRae 2003년 , p. 13.
^ Phra Kiattisak Ponampon Kittipanyo(2014), 사명, 명상 및 기적: 중국 전통의 시가 오, 석사 학위 논문, Dunedin, NZ: University of Otago.
^ 위안시. "DESM 및 기타 초기 중국어 텍스트의 명상 방법에 대한 연구" (PDF) . 중국 불교 아카데미. 2013년 5월 8일에 원본에서 보관됨 (PDF) .
찬유윙(2013). Dharmatrta-Dhyna Sutra (PDF) (PhD)의 영어 번역. 홍콩대학교. 2015년 5월 22일에 원본 문서(PDF) 에서 보존된 문서.
^ Thich Hang Dat. 중세 중국 불교에서 구마라지바의 역할에 대한 재평가: "선정법의 본질적인 설명"에 대한 구마라지바의 번역 텍스트 검토 (PDF) (논문). 2015년 5월 18일에 원본 (PDF) 에서 보존된 문서 . 2015 년 5 월 18일 에 확인함 .
^ Dumoulin 2005a , pp. 50–55, 66, 68–69.
반 샤이크, 샘 (2019). 선의 정신, p. 55. 예일 대학교 출판부.
^ Verstappen 2004 , p. 5.
^ 파울러 2005년 , p. 79.
^ 그리그 1994년 .
^^이동:a b Dumoulin 2005a, pp. 70 & 74.
^ Dumoulin 2005a , pp. xx, 65, 68, 148, 167–168, 190.
^ Dumoulin 2005a , pp. 71–77.
^^이동:a b McRae 1986, pp. 19–29.
^ Yampolski 1967년 , p. 29, 주석 87.
^ 왕 2017 , p. 4.
^ 왕 2017 , p. 5.
^ Cheng Chien Bhikshu 1992년 , p. 9.
^ 왕 2017 , p. 6.
^ 왕 2017 , p. 7-9.
[[[Wikipedia:Citing_sources|page needed]]]-241' >^ Dumoulin 2005a , p. [ 필요한 페이지 ] .
^ Ray, Gary L. The Northern Ch'an School 및 중국과 티베트 , Berkeley 불교 연구소의 점진적 계몽 대 갑작스러운 토론.
^^이동: ab 왕 2017 , p. 13.
^ 왕 2017 , p. 14.
^^이동: ab 왕 2017 , p. 20.
^ Yampolski 2003a , p. 15.
^ Yu, Chun-Fang, 1979, Ta-hui Tsung-kao and Kung-an Ch'an,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v. 6, p. 211-235
^^이동:a b McRae 2003, pp. 119–120.
^ Yampolski 2003b , p. 266.
^ 웰터 2006년 .
^ 왕 2017 , p. 23, 27.
^ 슐뤼터 2008 .
^ 왕 2017 , p. 29.
시헝칭(1987). 영명(永明)의 정토(淨土)와 선(禪)의 혼성론, 국제불교학회지 10(1), p. 117
^ 왕 2017 , p. 31.
^ 리틀존, 로니. "도교철학" . 철학의 인터넷 백과사전 . ISSN 2161-0002 .
^ Stanley Weinstein, "The Schools of Chinese Buddhist," in Kitagawa & Cummings (eds.), Buddhist and Asian History (New York: Macmillan 1987) pp. 257–265, 264.
^^이동: ab 왕 2017 , p. 34.
^ 샤프 2002년 .
^ 케온, 데미안. 불교 사전. 2003. 쪽. 104
^ Meng-Tat Chia 2011 .
^ 버스웰, 로버트 주니어 ; Lopez, Donald S. Jr. , eds. (2013). 프린스턴 불교 사전의 "Xuyun" . 프린스턴, 뉴저지: Princeton University Press. 피. 1017. ISBN 9780691157863 .
^ 왕 2017 , p. 38-39.
^ Powers, John, A Concise Encyclopedia of Buddhist , Oneworld Publications, 2013, p.238
^ 보럽, Jørn; Qvortrup Fibiger, Marianne; Eastspirit: Transnational Spirituality and Religious Circulation in East and West , BRILL, 2017, p. 168.
^^이동:a b "임제오바쿠 젠 – 젠이란 무엇인가? – 역사”. Zen.rinnou.net. 2013년 2월 4일 에 확인함 .
^ Aitken 1994년 .
^ Josephine Nock-Hee Park, Apparitions of Asia: Modernist Form and Asian American Poetics , p. 63
^ 왓츠, 앨런 W. (1958). "비트 젠, 스퀘어 젠, 젠". 시카고 검토 . Vol. 12, 아니. 2. 3~11쪽. JSTOR 25293448 .
프롬, 에리히 (1960). 정신분석학과 선불교 . 조지 앨런 & 언윈. ISBN 0-04-616029-9.

소스 [ ■편집 ]
인쇄물 Abe, Masao(1989), Zen and Western Thought , William R. LeFleur 번역, University of Hawaii Press
아베, 마사오; Heine, Steven(1996), Zen and Comparative Studies , University of Hawaii Press
아디스, 스티븐; Loori, John Daido, The Zen Art Book: The Art of Enlightenment
Aitken, Robert (1994), "A Buddhist Bible" 서문 , 보스턴, 매사추세츠: Beacon Press
Anderson, Reb(2000), 직립: 선명상과 보살 계율 , Rodmell Press
Arokiasamy, Arul M. (2005), Zen: Awakening to Your Original Face , 인도 첸나이: Thiruvanmiyur
Batchelor, Martine (2004), The Path Of Compassion: The Bodhisattva Precepts , Rowman Altamira
Bell, Sandra(2002), "서양 불교의 부상" (PDF) , Westward Dharma: Buddhist Beyond Asia ,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pp. 230–242
Benesch, Oleg(2016), Zen, Samurai, and the Martial Arts 재고, 아시아 태평양 저널: Japan Focus
Bodiford, William M. (1992), "Zen in the Art of Funerals: Ritual Salvation in Japanese Buddhist", History of Religions , 32 (2): 150, doi : 10.1086/463322 , S2CID 161648097
Bodiford, William M. (1993), 중세 일본의 Sōtō Zen , 하와이 대학교 출판부, ISBN 0-8248-1482-7
Bodiford, William M. "Koan 연습". 인 루리(2006) .
Borup, Jørn (2008), 일본 린자이 선불교: 묘신지, 살아있는 종교 , Brill Publishers
브라크, 안드레 반 데르. 세속 시대의 선 재구상: 서양의 찰스 테일러와 선불교 (브릴 로도피, 2020) 온라인 리뷰
Broughton, Jeffrey L. (1999), The Bodhidharma Anthology: The Earliest Records of Zen ,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21972-4
Brown Holt, Linda(1995), "인도에서 중국으로: 불교 철학의 변형" , Qi: The Journal of Traditional Eastern Health & Fitness
Buswell, Robert E. "간화 명상의 "지름길" 접근: 중국 찬 불교에서 실용적인 하위주의의 진화". In Gregory (1991) .
Buswell, Robert E. "Ch'an Hermeneutics: A Korean View". 로페즈(1993) 에서 .
Blyth, RH(1966), Zen and Zen Classics, Volume 4 , 도쿄: Hokuseido Press
Chappell, David W. "중국 불교의 해석학적 단계". 로페즈(1993) 에서 .
Cheng, Hsueh-Li (1981), "선불교의 뿌리" ,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 8 (4): 451–478, doi : 10.1111/j.1540-6253.1981.tb00267.x
Cheng Chien Bhikshu (1992), "서론", Sun-Face Buddha. 마자의 가르침과 선의 흥주학파 , Asian Humanities Press
Cleary, Thomas(2010), 번역가 소개. 꺼지지 않는 선의 램프. 젠 마스터 토레이의 유언 , 보스턴 및 런던: Shambhala Publications
Collins, Randall(2000), The Sociology of Philosophies: A Global Theory of Intellectual Change ,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Dumoulin, Heinrich (2000), 선불교의 역사 , 뉴델리: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주)
Dumoulin, Heinrich (2005a), 선불교: 역사. 1권: 인도와 중국 , 세계 지혜서 , ISBN 978-0-941532-89-1
Dumoulin, Heinrich (2005b), 선불교: 역사. 2권: 일본 ,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90-7
포르, 버나드(2000), 권력의 비전. Imaging Medieval Japanese Buddhist , 프린스턴, 뉴저지: Princeton University Press
Ferguson, Andy(2000), Zen's Chinese Heritage , Boston, MA: Wisdom Publications, ISBN 0-86171-163-7
피셔-슈라이버, 잉그리드; 에르하르트, 프란츠-칼; Diener, Michael S. (2008), 어휘집 Boeddhisme. Wijsbegeerte, 종교, 심리학, 신비, 문학 문화 , Asoka
Ford, James Myoun , 다르마 전송 및 선의 제도에 대한 메모
Foulk, T. Griffith(nd), 소토 선 학교의 역사
Fowler, Merv(2005), 선불교: 신념과 실천 , Sussex Academic Press , ISBN 9781902210421
Gimello, Robert M. (1994), Marga and Culture: 북부 성찬의 학습, 편지 및 해방. In: Buswell & Gimello(편집자)(1994), Paths to Liberation. 페이지 475–505 , 델리: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Goddard, Dwight (2007), "회능(위랑) 시대 이전의 선불교의 역사" , 불교 성경 , 잊혀진 책, ISBN 9781605061047
Gregory, Peter N., 편집. (1991). 갑작스럽고 점진적입니다. 중국 사상의 계몽에 대한 접근 . 델리: Motilal Banarsidass 출판사.
그레고리, 피터 N. (1991a). "점진적 수련에 따른 돌발 깨달음: 정미의 마음 분석". In Gregory (1991) .
Gregory, Peter N. ""완벽한 가르침"에 무슨 일이 생겼습니까? Hua-yen 불교 해석학의 또 다른 관점". 로페즈(1993) 에서 .
Grigg, Ray (1994), The Tao Of Zen , Charles E. Tuttle Company
Harvey, Peter (1995), 불교 입문. 가르침, 역사 및 관행 , Cambridge University Press
Haskel, Peter (1984), Bankei Zen. The Record of Bankei , New York의 번역: Grove Weidenfeld
하이네, 스티븐 ; 라이트, 데일 S. (2000). Koan: 선불교의 텍스트와 맥락 .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 ISBN 0-19-511748-4.
Heine, Steven (2007), "Yampolsky 이후 Zen에 대한 비판적 조사", Philosophy East & West , 57 (4): 577–592, doi : 10.1353/pew.2007.0047 , S2CID 170450246
하이네, 스티븐 ; Wright, Dale S., 편집. (2008). 선 의식: 실제 선불교 이론 연구 . 미국: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하이네, 스티븐 (2008), 젠 스킨, 젠 매로우
신이치 히사마츠; 토키와 기신; 크리스토퍼 아이브스(2002), 선종의 비판적 설교: 린지에 대한 히사마츠의 담화 , 하와이 대학교 출판부
Hori, Victor Sogen (1994),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Zen Rinzai Monastery" (PDF) , Journal of Japanese Studies , 20 (1): 5–35, doi : 10.2307/132782 , JSTOR 132782 , 원본 ( PDF) 2018년 7월 7일 , 2012년 7월 16일 에 확인함
호리, 빅터 소겐. "Rinzai Zen Curriculum의 Koan과 Kensho". Heine & Wright (2000) 에서 .
Hori, Victor Sogen(2005), 소개, 선불교: 역사 (PDF) , Dumoulin 저, Heinrich, Vol. 2: 일본, Heisig 번역, James W.; 짜는 사람, Paul, World Wisdom Books, p. xiii–xxi, ISBN 978-0-941532-90-7
Hu Shih (1953), "Ch'an (Zen) Buddhist in China. Its History and Method" , Philosophy East & West , 3 (1): 3–24, doi : 10.2307/1397361 , JSTOR 1397361
Huaijin, Nan (1997), 기본 불교: 불교와 선 탐구 , York Beach: Samuel Weiser
잇슈, 미우라; Sasaki, Ruth F. (1993), The Zen Koan , New York: Harcourt Brace & Company , ISBN 0-15-699981-1
Jaksch, Mary (2007), 어디로도 가지 않는 길. Koans와 Zen Saga의 해체 (PDF)
Jorgensen, John(1991), "Heinrich Dumoulin의 선불교: 역사", 일본 종교 연구 저널 , 18 (4), doi : 10.18874/jjrs.18.4.1991.377-400
Kalupahana, David J. (1992), The Principles of Buddhist Psychology , Delhi: ri Satguru Publications
Kalupahana, David J. (1994), 불교 철학의 역사 ,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Kapleau, Philip (1989), 선의 세 가지 기둥
Kasulis, Thomas P. (2003), Ch'an 영성. 에서: 불교 영성. 나중에 중국, 한국, 일본 및 현대 세계; Takeuchi Yoshinori ■편집 , 델리: Motilal Banarsidass
Katz, Jerry (2007), One: 비이원성에 대한 필수 저술 , Sentient Publications
Koné, Alioune (2000), Zen In Europe: A Survey of the Territory , 2012년 5월 7일 원본 에서 보관됨, 2012 년 7월 16일 검색 됨
Lachs, Stuart(1999), 승인 수단: 미국 선불교의 계층 구조 확립
Lachs, Stuart (2002), Richard Baker and the Myth of the Zen Roshi
Lachs, Stuart (2006), The Zen Master in America: Dressing the Donkey with Bells and Scarves
Lachs, Stuart(2011), When the Saints Go Marching In: Modern Day Zen Hagiography (PDF)
Lachs, Stuart (2012), Hua-t'ou : A Method of Zen Meditation (PDF)
Lai, Whalen (1985), "Ma-Tsu Tao-I And The Unfolding Of Southern Zen" , 일본 종교 연구 저널 , 12 (2/3): 173–192, doi : 10.18874/jjrs.12.2-3.1985.173 -192
Lai, Whalen(2003), 중국의 불교: 역사적 개관. Antonio S. Cua(ed.): Encyclopedia of Chinese Philosophy (PDF) , New York: Routledge, 2014년 11월 12일 원본 (PDF) 에서 보관됨
Lathouwers, Ton(2000), 이 외에도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Zentoespraken , 로테르담: Asoka
Liang-Chieh (1986), The Record of Tung-shan , 번역: William F. Powell, Kuroda Institute
Lievens, Bavo (1981), Ma-tsu. De gesprekken , Bussum: Het Wereldvenster
Loori, John Daido (2006), Koans와 함께 앉아: Zen Koan Introspection에 대한 필수 글 , Somerville, MA: Wisdom Publications, ISBN 0-86171-369-9
Lopez, Donald S., Jr., 편집. (1993). 불교 해석학 . 델리: Motilal Banarsidass.
Low, Albert (2000), Zen and the Sutras , Boston: Turtle Publishing
Low, Albert (2006), Hakuin on Kensho. 알아가는 네 가지 방법 , 보스턴 및 런던: 샴발라
마에즈미, 타이잔; Glassman, Bernie (2007), The Hazy Moon of Enlightenment , Wisdom Publications
Matthiessen, Peter (1987), Nine-headed dragon river: Zen journals, 1969–1985 , Shambhala
McCauley, Charles(2005), Zen and the Art of Wholeness , iUniverse
McMahan, David L.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8327-6
McRae, John(1986), The Northern School and the Formation of Early Chʻan Buddhist , University of Hawaii Press.
맥레이, 존. "초기 선불교의 신회와 돌깨달음의 가르침". In Gregory (1991) .
맥레이, 존 (2002), {{citation}}: 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 도움말 ) [ 전체 인용 필요 ]
McRae, John(2003), Seeing Through Zen , The University Press Group Ltd, ISBN 978-0-520-23798-8
McRae, John(2004), Seeing through Zen. 중국 선불교의 만남, 변형, 계보, UC Press, ISBN 978-0-520-23798-8
McRae, John(2005), Dumoulin의 A history of Zen 의 재판에 대한 John McRae의 비판적 소개 (PDF)
McRae, John (2008), Zongbao의 중국어에서 번역된 육조의 강경( PDF)(PDF) , 2012년 8월 22일에 원본 (PDF) 에서 보관됨
Meinert, Carman, 에디션. (2015), 중앙 아시아 네트워크를 통한 불교의 이전(7-13세기) , BRILL
Meng-Tat Chia, Jack (2011), "A Review of Enlightenment in Dispute: The Reinvention of Chan Buddhist in 17th-Century China" (PDF) , Journal of Buddhist Ethics , 18
Mumon, Yamada (2004), The Ten Oxherding Pictures , Victor Sōgen Hori 번역, University of Hawai'i Press
Nadeau, Randall L. (2012), The Wiley-Blackwell Companion to Chinese Religions , John Wiley & Sons
Newland, Guy (2001), Schijn en werkelijkheid. De twee waarheden in de vier boeddhistische leerstelsels , KunchabPublicaties
오강남(2000), "도교가 화엄불교에 끼친 영향: 중국 불교의 과학화 사례" , 청화불교저널 (13)
Orzech, 찰스 D.; 쇠렌센, 헨릭 요르트; 페인, 리차드 칼(2011). 동아시아의 밀교와 탄트라 . 라이덴: 브릴. ISBN 978-90-04-20401-0. OCLC 731667667 .
파진, 두산(1988), "On Faith in Mind - Translation and Analysis of the Hsin Hsin Ming", Journal of Oriental Studies , 26 (2): 270–288
Poceski, Mario (nd), Tang Chan의 정경과 종교적 권위에 대한 태도
Sato, Kemmyō Taira, DT Suzuki 및 전쟁 문제 (PDF)
사사키, 루스 풀러(2009), 린지의 기록. Ruth Fuller Sasaki의 번역 및 논평. 편집: Thomas Yūhō Kirchner (PDF) ,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Schlütter, Morten(2008), 선이 어떻게 선이 되었는가. The Dispute over Enlightenment and the Formation of Chan Buddhist in Song-Dynasty China ,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3508-8
Sekida, Katsuki (1989), Zen Training: Methods and Philosophy , 샴발라
Sekida, Katuski (1996), Two Zen Classics. 문이 없는 문, 무몬칸. 헤키간록, 푸른 절벽 기록 , 뉴욕 및 도쿄: 웨더힐
Shahar, Meir (2008), The Shaolin Monastery: History, Religion, and the Chinese Martial Arts , 하와이 대학교 출판부
Sharf, Robert H. (1993), "The Zen of Japanese Nationalism" , History of Religions , 33 (1): 1–43, doi : 10.1086/463354 , S2CID 161535877
샤프, 로버트 H.(1995a), Whose Zen? 선 민족주의 재검토 (PDF)
Sharf, Robert H. (1995b), "Buddhist Modernism and the Rhetoric of Meditative Experience" (PDF) , NUMEN , 42 (3): 228–283, doi : 10.1163/1568527952598549 , hdl : 2027.42/43810
Sharf, Robert H. (1995c), "Sanbokyodan. Zen and the Way of the New Religions" (PDF) , 일본 종교학 저널 , 22 (3–4), doi : 10.18874/jjrs.22.3-4.1995.417- 458
샤프, 로버트 (2002), {{citation}}: 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 도움말 ) [ 전체 인용 필요 ]
Sharf, Robert (2014), "초기 Chan의 마음가짐과 마음없음" (PDF) , Philosophy East & West , 64 (4): 933–964, doi : 10.1353/pew.2014.0074 , S2CID 144208166
Shimano, Eido T. (1991), 출발점 : Rinzai 전망이 있는 선불교 , Livingston Manor, NY: The Zen Studies Society Press, ISBN 0-9629246-0-1
오쿠무라 쇼하쿠(2012). 서약에 따라 살기: 여덟 가지 필수 선 찬트 및 텍스트에 대한 실용적인 소개 . 사이먼과 슈스터.
Snelling, John (1987), 불교 핸드북. A Complete Guide to Buddhist Teaching and Practice , 런던: 세기 페이퍼백
Stein, RA "갑자기 조명 또는 동시 이해: 중국어 및 티베트어 용어에 대한 설명". In Gregory (1991) .
Suzuki, Shunryu (1997), Branching streams flow in the darkness: Zen talk on the Sandokai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22267
Swanson, Paul L.(1993), "초기 중국 불교의 공허함의 영성", Takeuchi Yoshinori(편집), 불교 영성. 인도, 동남아시아, 티베트, 초기 중국 , 뉴욕: 크로스로드
오타니 테츠오(2003), 도겐젠지의 법전 (PDF)
Tomoaki, Tsuchida (2003), "The Monastic spiritity of Zen Master Dogen", in Takeuchi Yoshinori (ed.), 불교 영성. 인도, 동남아시아, 티베트, 초기 중국 , 델리: Motilal Banarsidass
Torei (2010), The Undying Lamp of Zen. 토레이 선사의 유언 , Thomas Cleary 번역, 보스턴 및 런던: Shambhala
Tweed, Thomas A. (2005), "미국 신비주의와 일본 불교. Albert J. Edmunds, DT Suzuki, and Translocative History" (PDF) , 일본 종교 연구 저널 , 32 (2): 249–281 , 2012년 5월 22일 원본 (PDF)
Verstappen, Stefan H. (2004), Blind Zen , ISBN 9781891688034
Victoria, Brian Daizen(2006), Zen at war (2nd ed.), Lanham ea: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Victoria, Brian Daizen(2010), "DT Suzuki's Relationship to War의 "부정적인 측면" (PDF) , The Eastern Buddhist , 41 (2): 97–138
Waddell, Norman(2010), "Wild Ivy: The Spiritual Autobiography of Zen Master Hakuin" 서문 , Shambhala Publications
"The Diamond Sutra", 불교 성경 , Wai-tao 번역, Boston, Massachusetts: Beacon Press, 1994
왕유루(2017). 찬 불교의 역사 사전 . 로먼앤리틀필드. ISBN 9781538105528.
Wayman, Alex and Hideko (1990), The Lion's roar of Queen Srimala ,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Welter, Albert(2002), The Textual History of the Linji lu(Record of Linji): The Earlyest Recorded Fragments
Welter, Albert (2006), The Formation of the Linji lu: An Examination of the Guangdeng lu/Sijia yulu 및 Linji Huizhao Chanshi yulu. 2013년 3월 16일에 원본 (PDF) 에서 보관된 역사적 맥락 (PDF) 의 린지루 버전
웰터, 앨버트. "Mahakasyapa의 미소. 침묵 전송 및 공안 (Koan) 전통". Heine & Wright (2000) 에서 .
Wolfe, Robert (2009), Living Nonduality: Enlightenment Teachings of Self-Realization , Karina Library
Wright, Dale S. (2010), "선 스승의 이미지를 인간화하기: Taizan Maezumi Roshi", in Steven Heine and Dale S. Wright (ed.), Zen Masters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Yampolski, Philip (1967), The Sixth Patriarch의 Platform Sutra. Philip B. Yampolsky , Columbia University Press , ISBN 의 메모로 번역됨 0-231-08361-0
Yampolski, Philip (2003a), "Chan. A Historical Sketch.", in Takeuchi Yoshinori(ed.), 불교 영성. 인도, 동남아시아, 티베트, 초기 중국 , 델리: Motilal Banarsidass
Yampolski, Philip (2003b), "Zen. A Historical Sketch", in Takeuchi Yoshinori(ed.), 불교 영성. 인도, 동남아시아, 티베트, 초기 중국 , 델리: Motilal Banarsidass
Yanagida, Seizan (2009), 린지의 기록에 대한 역사적 소개. 에서: Ruth Fuller Sasakia가 번역한 Linji의 기록 페이지 59–115 (PDF) , University of Hawaii Press
Yen, Chan Master Sheng (1996), Dharma Drum: The Life and Heart of Ch'an Practice , 보스턴 & 런던: Shambhala
Yoshizawa, Katsuhiro (2009), Zen Master Hakuin의 종교 예술 , Counterpoint Press
영, 스튜어트(2009), 루 린지 및 중국 정교회. "Albert Welter. The Linji lu and the Creation of Chan Orthodoxy: The Development of Chan's Records of Words Literature의 검토.
장성연; Stevenson, Dan(2002), 황소의 발굽: 현대 중국 스승이 가르친 선불교의 길 원리 ,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추가 읽기 [ ■편집 ]
현대 대중 작품 DT 스즈키 , 선종 수필 , 제1편(1927), 제2편(1933), 제3편(1934)
RH Blyth , Zen and Zen Classics, 5권(1960–1970; 1942년부터 1960년대까지의 작품 재인쇄)
앨런 와츠 , 선의 길 (1957)
Lu K'uan Yu ( Charles Luk ), Ch'an and Zen Teachings, 3 vols (1960, 1971, 1974), The Transmission of the Mind: Outside the Teaching (1974)
Paul Reps & Nyogen Senzaki , Zen Flesh, Zen Bones (1957)
Philip Kapleau , 선의 세 기둥 (1966)
스즈키 슌류 , Zen Mind, Beginner's Mind (1970)
카츠키 세키다, Zen Training: Methods & Philosophy (1975)
고전 역사학 Dumoulin, Heinrich (2005), 선불교: 역사. 1권: 인도와 중국 . 세계 지혜 책. ISBN 978-0-941532-89-1
Dumoulin, Heinrich (2005), 선불교: 역사. 2권: 일본 . 세계 지혜 책. ISBN 978-0-941532-90-7
비판적 역사학 개요
Heine, Steven (2007), "A Critical Survey of Works on Zen since Yampolsky" (PDF) , Philosophy East & West , 57 (4): 577–592, doi : 10.1353/pew.2007.0047 , S2CID 170450246
중국 당송의 선(禪) 형성
McRae, John (2004), The Sutra of Queen Śrīmālā of the Lion's Roar and the Vimalakīrti Sutra (PDF) , Berkeley, CA: Numata Center for Buddhist Translation and Research, ISBN 1886439311, 2014년 9월 12일에 원본 (PDF) 에서 보관됨
Welter, Albert (2000), "Mahakasyapa's smile. Silent Transmission and the Kung-an (Koan) Tradition", in Steven Heine; Dale S. Wright(eds.), The Koan: Texts and Contexts in Zen Buddhist , 옥스퍼드: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Schlütter, Morten(2008), 선이 어떻게 선이 되었는가. The Dispute over Enlightenment and the Formation of Chan Buddhist in Song-Dynasty China ,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3508-8
일본
Bodiford, William M. (1993), 중세 일본의 Sōtō Zen , 하와이 대학교 출판부, ISBN 0-8248-1482-7
현대
Victoria, Brian Daizen(2006), Zen at war (Second ed.), Lanham ea: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오리엔탈리즘과 동서교류
Borup, Jorn (nd), Zen and the Art of inverting Orientalism: 종교 연구 및 계보 네트워크
King, Richard (2002), 오리엔탈리즘과 종교: 탈식민주의 이론, 인도와 "신비한 동양" , Routledge
McMahan, David L.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 옥스포드 대학 출판사. ISBN 978-0-19-518327-6
현대적 실천 Borup, Jørn (2008), 일본 린자이 선불교: 묘신지, 살아있는 종교 , 브릴
Hori, Victor Sogen (1994),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Zen Rinzai Monastery" (PDF) , Journal of Japanese Studies (1): 5–35, doi : 10.2307/132782 , JSTOR 132782
Buswell, Robert E. (1993a), The Zen Monastic Experience: Buddhist Practice in Contemporary Korea ,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외부 링크 [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선불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무료 사전인 위키낱말사전을 찾아 보세요 .



무료 사전인 위키낱말사전에서 찾아 보세요 .



위키인용집에 선(禪) 속담 관련 인용문이 있습니다 .



무료 사전인 위키낱말사전에서 을 찾아 보세요 .


더젠사이트
선불교 WWW 가상 도서관
(아시아) 선 학교 차트
일본 선 용어집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일본 선불교 항목
선불교란 무엇입니까?











카테고리 :
비이원론
요가카라
가마쿠라 시대의 불교
무로마치 시대의 불교






(영어원문 )

● from 영어 위키 백과https://en.wikipedia.org/wiki/Chan_Buddhism

영어 위키 백과 사전참조 [불기 2566-12-31일자 내용 보관 편집 정리]








Chan Buddhism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directed from Chan buddhism)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is article is about Chan/Zen Buddhism in China.
For an overview of the school,
see Zen.
"Chan school" redirects here.
For the Harvard University public health school,
see 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Chinese Buddha Character Fo
Chan Buddhism
Chinese name
Simplified Chinese 禅
Traditional Chinese 禪
Transcriptions
Vietnamese name
Vietnamese Thiền
Hán-Nôm 禪
Korean name
Hangul 선
Hanja 禪
Transcriptions
Japanese name
Kanji 禅
Hiragana ぜん
Transcriptions
禪 Zen
Part of a series on
Zen Buddhism
Ensō
Main articles
Persons
Doctrines
Traditions
Awakening
Teachings
Practice
Schools
Related schools
vte
Part of a series on
Chinese Buddhism
Chinese: "Buddha"
History
Major figures
Traditions
Texts
Architecture
Sacred Sites
Culture
vte
Part of a series on
Mahāyāna Buddhism
Buddha-flower-color (fill color d2d200).svg
Unique doctrines
Buddhas and Bodhisattvas
Mahayana sutras
Major schools
Key historical figures
Regional traditions
vte
Part of a series on
Buddhism
Dharma Wheel.svg
History
DharmaConcepts
Buddhist texts
Practices
Nirvāṇa
Traditions
Buddhism by country
GlossaryIndexOutline
icon Religion portal
vte
Chan (traditional Chinese: 禪; simplified Chinese: 禅; pinyin: Chán; abbr.
of Chinese: 禪那; pinyin: chánnà),
from Sanskrit dhyāna[1] (meaning "meditation" or "meditative state"[2]),
is a Chinese school of Mahāyāna Buddhism.
It developed in China from the 6th century CE onwards,
becoming especially popular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3]
Chan is the originating tradition of Zen Buddhism (the Japanese pronunciation of the same character,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English name for the school).
Chan Buddhism spread from China south to Vietnam as Thiền and north to Korea as Seon,
and,
in the 13th century,
east to Japan as Japanese Zen.

Contents
1 History
1.1 Periodisation
1.2 Introduction of Buddhism in China (c.
200–500)
1.2.1 Sinification of Buddhism and Taoist influences
1.2.2 Divisions of training
1.3 Legendary or Proto-Chan (c.
500–600)
1.3.1 Mahākāśyapa and the Flower Sermon
1.3.2 First six patriarchs (c.
500 – early 8th century)
1.3.3 Lankavatara Sutra
1.3.4 Bodhidharma
1.3.5 Huike
1.4 Early Chan in Tang China (c.
600–900)
1.4.1 East Mountain Teachings
1.4.2 Southern School – Huineng and Shenhui
1.5 Tibetan Chan
1.6 Classical or Middle Chan – Tang dynasty (c.
750–1000)
1.6.1 An Lu-shan rebellion
1.6.2 Hung-chou School
1.6.3 Shitou Xiqian
1.6.4 The Great Persecution
1.6.5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Period (907–960/979)
1.7 Literary Chan – Song dynasty (c.
960–1300)
1.7.1 Five Houses of Chan
1.7.2 Rise of the Linji-school
1.7.3 Dahui Zonggao
1.7.4 Koan-system
1.7.5 Silent illumination
1.8 Post-classical Chan (c.
1300–present)
1.8.1 Yuan dynasty (1279–1368)
1.8.2 Ming dynasty (1368–1644)
1.8.3 Qing dynasty (1644–1912)
1.9 Modernisation
1.9.1 19th century (late Qing dynasty)
1.9.2 Republic of China (1912–1949) – First Buddhist Revival
1.9.3 People's Republic of China (1949–present) – Second Buddhist Revival
1.9.4 Taiwan
2 Spread of Chan Buddhism in Asia
2.1 Thiền in Vietnam
2.2 Seon in Korea
2.3 Zen in Japan
2.4 Chan in Indonesia
3 Chan in the Western world
3.1 Western Chan lineages
4 Doctrinal background
4.1 Polarities
4.1.1 Absolute-relative
4.1.2 Buddha-nature and śūnyatā
4.1.3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4.1.4 Esoteric and exoteric transmission
4.2 Chan scripture
5 Teaching and practice
5.1 Bodhisattva ideal
5.2 Chan meditation
5.2.1 Sitting meditation
5.3 Koan practice
6 Chan monasticism
6.1 Emphasizing daily life
6.2 Sinification of Buddhism in China
7 See also
8 Notes
9 References
10 Sources
10.1 Printed sources
10.2 Web-sources
11 Further reading
12 External links
History
See also: Silk Road transmission of Buddhism
The historical records required for a complete,
accurate account of early Chan history no longer exist.[4]
Periodisation
The history of Chan in China can be divided into several periods.
Zen,
as we know it today,
is the result of a long history,
with many changes and contingent factors.
Each period had different types of Zen,
some of which remained influential while others vanished.[5][6]
Ferguson distinguishes three periods from the 5th century into the 13th century:
The Legendary period,
from Bodhidharma in the late 5th century to the An Lushan Rebellion around 765 CE,
in the middle of the Tang dynasty.
Little written information is left from this period.[7] It is the time of the Six Patriarchs,
including Bodhidharma and Huineng,
and the legendary "split" between the Northern and the Southern School of Chan.[5]
The Classical period,
from the end of the An Lushan Rebellion around 765 CE to the beginning of the Song dynasty around 950 CE.[7] This is the time of the great masters of Chan,
such as Mazu Daoyi and Linji Yixuan,
and the creation of the yü-lü genre,
the recordings of the sayings and teachings of these great masters.
The Literary period,
from around 950 to 1250,[7] which spans the era of the Song dynasty (960–1279).
In this time the gong'an-collections were compiled,
collections of sayings and deeds by the famous masters,
appended with poetry and commentary.
This genre reflects the influence of literati on the development of Chan.
This period idealized the previous period as the "golden age" of Chan,
producing the literature in which the spontaneity of the celebrated masters was portrayed.
Although McRae has reservations about the division of Chan history in phases or periods,[8] he nevertheless distinguishes four phases in the history of Chan:[9]
Proto-Chan (c.
500–600)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420 to 589) and Sui dynasty (589–618 CE)).
In this phase,
Chan developed in multiple locations in northern China.
It was based on the practice of dhyana and is connected to the figures of Bodhidharma and Huike.
Its principal text is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attributed to Bodhidharma.[10]
Early Chan (c.
600–900) (Tang dynasty (618–907 CE)).
In this phase,
Chan took its first clear contours.
Prime figures are the fifth patriarch Daman Hongren (601–674),
his dharma-heir Yuquan Shenxiu (606?–706),
the sixth patriarch Huineng (638–713),
protagonist of the quintessential Platform Sutra,
and Shenhui (670–762),
whose propaganda elevated Huineng to the status of sixth patriarch.
Prime factions are the Northern School,
Southern School and Oxhead School.[11]
Middle Chan (c.
750–1000) (from An Lushan Rebellion (755–763) until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period (907–960/979)).
In this phase developed the well-known Chan of the iconoclastic zen-masters.
Prime figures are Mazu Daoyi (709–788),
Shitou Xiqian (710–790),
Linji Yixuan (died 867),
and Xuefeng Yicun (822–908).
Prime factions are the Hongzhou school and the Hubei faction.[note 1] An important text is the Anthology of the Patriarchal Hall (952),
which contains many "encounter-stories" and the canon genealogy of the Chan-school.[14]
Song dynasty Chan (c.
950–1300).
In this phase,
Chan took its definitive shape including the picture of the "golden age" of the Chan of the Tang-dynasty,
and the use of koans for individual study and meditation.
Prime figures are Dahui Zonggao (1089–1163) who introduced the Hua Tou practice and Hongzhi Zhengjue (1091–1157) who emphasized Shikantaza.
Prime factions are the Linji school and the Caodong school.
The classic koan-collections,
such as the Blue Cliff Record were assembled in this period,[15] which reflect the influence of the "literati" on the development of Chan.[16][17] In this phase Chan is transported to Japan,
and exerts a great influence on Korean Seon via Jinul.
Neither Ferguson nor McRae gives a periodisation for Chinese Chan following the Song-dynasty,
though McRae mentions
[5.] "at least a postclassical phase or perhaps multiple phases".[18][note 2]
Introduction of Buddhism in China (c.
200–500)
See also: Han dynasty,
Silk Road transmission of Buddhism,
and Six Dynasties
Sinification of Buddhism and Taoist influences
When Buddhism came to China,
it was adapted to the Chinese culture and understanding.
Theories about the influence of other schools in the evolution of Chan vary widely and are heavily reliant upon speculative correlation rather than on written records or histories.
Some scholars have argued that Chan developed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Mahāyāna Buddhism and Taoism,[20][21][22][23] while one believes that Chan has roots in yogic practices,
specifically kammaṭṭhāna,
the consideration of objects,
and kasiṇa,
total fixation of the mind.[24]
Buddhist meditation was practiced in China centuries before the rise of Chan,
by people such as An Shigao (c.
148–180 CE) and his school,
who translated various Dhyāna sutras (Chán-jing,
禪経,
"meditation treatises"),
which were influential early meditation texts mostly based on the Yogacara meditation teachings of the Sarvāstivāda school of Kashmir circa 1st-4th centuries CE.[25] The five main types of meditation in the Dhyana sutras are anapanasati (mindfulness of breathing); paṭikūlamanasikāra meditation,
mindfulness of the impurities of the body; loving-kindness maitrī meditation; the contemplation on the twelve links of pratītyasamutpāda; and the contemplation on the Buddha's thirty-two Characteristics.[26] Other important translators of meditation texts were Kumārajīva (334–413 CE),
who translated The Sutra on the Concentration of Sitting Meditation,
amongst many other texts; and Buddhabhadra.
These Chinese translations of mostly Indian Sarvāstivāda Yogacara meditation manuals were the basis for the meditation techniques of Chinese Chan.[web 1]
Buddhism was exposed to Confucian[27] and Taoist[28][29] influences when it came to China.
Goddard quotes D.T.
Suzuki,[note 3] calling Chan a "natural evolution of Buddhism under Taoist conditions".[30] Buddhism was first identified to be "a barbarian variant of Taoism",
and Taoist terminology was used to express Buddhist doctrines in the oldest translations of Buddhist texts,[29] a practice termed ko-i,
"matching the concepts".[31]
Judging from the reception by the Han of the Hinayana works and from the early commentaries,
it appears that Buddhism was being perceived and digested through the medium of religious Daoism (Taoism).
Buddha was seen as a foreign immortal who had achieved some form of Daoist nondeath.
The Buddhists' mindfulness of the breath was regarded as an extension of Daoist breathing exercises.[32]
The first Buddhist recruits in China were Taoists.[29] They developed high esteem for the newly introduced Buddhist meditational techniques,[33] and blended them with Taoist meditation.[34] Representatives of early Chinese Buddhism like Sengzhao and Tao Sheng were deeply influenced by the Taoist keystone works of Laozi and Zhuangzi.[35] Against this background,
especially the Taoist concept of naturalness was inherited by the early Chan disciples:[36] they equated – to some extent – the ineffable Tao and Buddha-nature,[37] and thus,
rather than feeling bound to the abstract "wisdom of the sūtras",
emphasized Buddha-nature to be found in "everyday" human life,
just as the Tao.[37]
Chinese Buddhism absorbed Neo-Daoist concepts as well.[31] Concepts such as T'i-yung (體用 Essence and Function) and Li-shih (理事 Noumenon and Phenomenon,
or Principle and Practice) first appeared in Hua-yen Buddhism,[31] which consequently influenced Chan deeply.[38] On the other hand,
Taoists at first misunderstood sunyata to be akin to the Taoist non-being.[39]
The emerging Chinese Buddhism nevertheless had to compete with Taoism and Confucianism:[27]
Because Buddhism was a foreign influence,
however,
and everything "barbarian" was suspect,
certain Chinese critics were jolted out of complacency by the spread of the dharma [...] In the first four centuries of the Christian Era,
this barbarian influence was infiltrating China just when it was least politically stable and more vulnerable to sedition.
As the philosophy and practice infiltrated society,
many traditionalists banded together to stop the foreign influence,
not so much out of intolerance (an attitude flatly rejected by both Taoism and Confucianism),
but because they felt that the Chinese worldview was being turned upside down.[27]
One point of confusion for this new emerging Chinese Buddhism was the two truths doctrine.
Chinese thinking took this to refer to two ontological truths: reality exists on two levels,
a relative level and an absolute level.[40] Taoists at first misunderstood sunyata to be akin to the Taoist non-being.[41] In Indian Madhyamaka philosophy the two truths are two epistemological truths: two different ways to look at reality.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Mahayana Mahaparinirvana Sutra the Chinese supposed that the teaching of Buddha-nature was,
as stated by that sutra,
the final Buddhist teaching,
and that there is an essential truth above sunyata and the two truths.[42]
Divisions of training
When Buddhism came to China,
there were three divisions of training:
The training in virtue and discipline in the precepts (Skt.
śīla),
The training in mind through meditation (Skt.
dhyāna) to attain a luminous and non-reactive state of mind,
and
The training in the recorded teachings (Skt.
Dharma).
It was in this context that Buddhism entered into Chinese culture.
Three types of teachers with expertise in each training practice developed:
Vinaya masters specialized in all the rules of discipline for monks and nuns,
Dhyāna masters specialized in the practice of meditation,
and
Dharma masters specialized in the mastery of the Buddhist texts.
Monasteries and practice centers were created that tended to focus on either the Vinaya and training of monks or the teachings focused on one scripture or a small group of texts.
Dhyāna (Chan) masters tended to practice in solitary hermitages,
or to be associated with Vinaya training monasteries or the dharma teaching centers.
The later naming of the Zen school has its origins in this view of the threefold division of training.
McRae goes so far as to say:
...
one important feature must not be overlooked: Chan was not nearly as separate from these other types of Buddhist activities as one might think [...] [T]he monasteries of which Chan monks became abbots were comprehensive institutions,
"public monasteries" that supported various types of Buddhist activities other than Chan-style meditation.
The reader should bear this point in mind: In contrast to the independent denominations of Soto and Rinzai that emerged (largely by government fiat) in seventeenth-century Japan,
there was never any such thing as an institutionally separate Chan "school" at any time in Chinese Buddhist history (emphasis McRae).[43]
Legendary or Proto-Chan (c.
500–600)
See also: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nd Sui dynasty
Mahākāśyapa and the Flower Sermon
The Chan tradition ascribes the origins of Chan in India to the Flower Sermon,
the earliest source for which comes from the 14th century.[44] It is said that Gautama Buddha gathered his disciples one day for a Dharma talk.
When they gathered together,
the Buddha was completely silent and some speculated that perhaps the Buddha was tired or ill.
The Buddha silently held up and twirled a flower and his eyes twinkled; several of his disciples tried to interpret what this meant,
though none of them were correct.
One of the Buddha's disciples,
Mahākāśyapa,
gazed at the flower and smiled.
The Buddha then acknowledged Mahākāśyapa's insight by saying the following:[24]
I possess the true Dharma eye,
the marvelous mind of Nirvāṇa,
the true form of the formless,
the subtle Dharma gate that does not rest on words or letters but is a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of the scriptures.
This I entrust to Mahākāśyapa.
First six patriarchs (c.
500 – early 8th century)
Main article: Lineage (Buddhism)
Traditionally the origin of Chan in China is credited to Bodhidharma,
an Iranian-language speaking Central Asian monk[45] or an Indian monk.[46] The story of his life,
and of the Six Patriarchs,
was constructed during the Tang dynasty to lend credibility to the growing Chan-school.[5] Only scarce historical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him,
but his hagiography developed when the Chan tradition grew stronger and gained prominence in the early 8th century.
By this time a lineage of the six ancestral founders of Chan in China was developed.[47]
The actual origins of Chan may lie in ascetic practitioners of Buddhism,
who found refuge in forests and mountains.[48] Huike,
"a dhuta (extreme ascetic) who schooled others"[48] and used the Srimala Sutra,[49] one of the Tathāgatagarbha sūtras ,[50] figures in the stories about Bodhidharma.
Huike is regarded as the second Chan patriarch,
appointed by Bodhidharma to succeed him.
One of Huike's students,
Sengcan,
to whom is ascribed the Xinxin Ming,
is regarded as the third patriarch.
By the late 8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Huineng's student Shenhui,
the traditional list of patriarchs of the Chan lineage had been established:[47]
Bodhidharma (達摩) c.
440 – c.
528
Dazu Huike (慧可) 487–593
Sengcan (僧燦) ?–606
Dayi Daoxin (道信) 580–651
Daman Hongren (弘忍) 601–674
Huineng (惠能) 638–713
In later writings,
this lineage was extended to include 28 Indian patriarchs.
In the Song of Enlightenment (證道歌 Zhèngdào gē) of Yongjia Xuanjue (永嘉玄覺,
665–713),
one of the chief disciples of Huìnéng,
it is written that Bodhidharma was the 28th patriarch in a line of descent from Mahākāśyapa,
a disciple of Śākyamuni Buddha,
and the first patriarch of Chan Buddhism.[51]
Mahākāśyapa was the first,
leading the line of transmission;
Twenty-eight Fathers followed him in the West;
The Lamp was then brought over the sea to this country;
And Bodhidharma became the First Father here:
His mantle,
as we all know,
passed over six Fathers,
And by them many minds came to see the Light.[52]
Lankavatara Sutra
In its beginnings in China,
Chan primarily referred to the Mahāyāna sūtras and especially to the Laṅkāvatāra Sūtra.[53] As a result,
early masters of the Chan tradition were referred to as "Laṅkāvatāra masters".
As the Laṅkāvatāra Sūtra teaches the doctrine of the Ekayāna "One Vehicle",
the early Chan school was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One Vehicle School".[54] In other early texts,
the school that would later become known as Chan is sometimes even referred to as simply the "Laṅkāvatāra school" (Ch.
楞伽宗,
Léngqié Zōng).[55] Accounts recording the history of this early period are to be found in the Records of the Laṅkāvatāra Masters (Chinese: 楞伽師資記).
Bodhidharma
Main article: Bodhidharma
Bodhidharma with Dazu Huike.
Painting by Sesshū Tōyō,
15th century.
Bodhidharma is recorded as having come into China during the time of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o teach a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scriptures" which "did not stand upon words".[56] Throughout Buddhist art,
Bodhidharma is depicted as a rather ill-tempered,
profusely bearded and wide-eyed barbarian.
He is referred to as "The Blue-Eyed Barbarian" (碧眼胡:Bìyǎn hú) in Chinese Chan texts.[web 2] Only scarce historical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him but his hagiography developed when the Chan tradition grew stronger and gained prominence in the early 8th century.
By this time a lineage of the six ancestral founders of Chan in China was developed.[5]
Little contemporary biographical information on Bodhidharma is extant,
and subsequent accounts became layered with legend.[47] There are three principal sources for Bodhidharma's biography:[57] The Record of the Buddhist Monasteries of Luoyang by Yáng Xuànzhī's (楊衒之,
547),
Tan Lin's preface to the Long Scroll of the Treatise o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6th century CE),
and Dayi Daoxin's Further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7th century CE).
These sources vary in their account of Bodhidharma being either "from Persia" (547 CE),
"a Brahman monk from South India" (645 CE),
"the third son of a Brahman king of South India" (c.
715 CE).[47] Some traditions specifically describe Bodhidharma to be the third son of a Pallava king from Kanchipuram.[web 3][58]
The Long Scroll of the Treatise o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written by Tan Lin (曇林; 506–574),
contains teachings that are attributed to Bodhidharma.
The text is known from the Dunhuang manuscripts.
The two entrances to enlightenment are the entrance of principle and the entrance of practice:
The entrance of principle is to become enlightened to the Truth on the basis of the teaching.
One must have a profound faith in the fact that one and the same True Nature is possessed by all sentient beings,
both ordinary and enlightened,
and that this True Nature is only covered up and made imperceptible [in the case of ordinary people] by false sense impressions".[59]
The entrance of practice includes the following four increments:
Practice of the retribution of enmity: to accept all suffering as the fruition of past transgressions,
without enmity or complaint
Practice of the acceptance of circumstances: to remain unmoved even by good fortune,
recognizing it as evanescent
Practice of the absence of craving: to be without craving,
which is the source of all suffering
Practice of accordance with the Dharma: to eradicate wrong thoughts and practice the six perfections,
without having any "practice".[60]
This text was used and studied by Huike and his students.
The True Nature refers to the Buddha-nature.[59]
Huike
Bodhidharma settled in Northern Wei China.
Shortly before his death,
Bodhidharma appointed his disciple Dazu Huike to succeed him,
making Huike the first Chinese-born ancestral founder and the second ancestral founder of Chan in China.
Bodhidharma is said to have passed three items to Huike as a sign of transmission of the Dharma: a robe,
a bowl,
and a copy of the Laṅkāvatāra Sūtra.
The transmission then passed to the second ancestral founder Dazu Huike,
the third Sengcan,
the fourth ancestral founder Dayi Daoxin,
and the fifth ancestral founder Daman Hongren.
Early Chan in Tang China (c.
600–900)
East Mountain Teachings
With the fourth patriarch,
Daoxin (道信 580–651),[61] Chan began to take shape as a distinct school.
The link between Huike and Sengcan,
and the fourth patriarch Daoxin "is far from clear and remains tenuous".[48] With Daoxin and his successor,
the fifth patriarch Hongren (弘忍 601–674),
there emerged a new style of teaching,
which was inspired by the Chinese text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61] According to John R.
McRae the "first explicit statement of the sudden and direct approach that was to become the hallmark of Ch'an religious practice" is associated with the East Mountain School.[62] It is a method named "Maintaining the one without wavering" (shou-i pu i,
守一不移),[62] the one being the nature of mind,
which is equated with Buddha-nature.[63] In this practice,
one turns the attention from the objects of experience,
to the perceiving subject itself.[64] According to McRae,
this type of meditation resembles the methods of "virtually all schools of Mahayana Buddhism," but differs in that "no preparatory requirements,
no moral prerequisites or preliminary exercises are given," and is "without steps or gradations.
One concentrates,
understands,
and is enlightened,
all in one undifferentiated practice."
[62][note 4] Sharf notes that the notion of "Mind" came to be criticised by radical subitists,
and was replaced by "No Mind," to avoid any reifications.[66][note 5]
A large group of students gathered at a permanent residence,
and extreme asceticism became outdated.[48] The period of Daoxin and Hongren came to be called the East Mountain Teaching,
due to the location of the residence of Hongren at Huangmei.[68][5] The term was used by Yuquan Shenxiu (神秀 606?–706),
the most important successor to Hongren.[69] By this time the group had grown into a matured congregation that became significant enough to be reckoned with by the ruling forces.[61] The East Mountain community was a specialized meditation training centre.
Hongren was a plain meditation teacher,
who taught students of "various religious interests",
including "practitioners of the Lotus Sutra,
students of Madhyamaka philosophy,
or specialists in the monastic regulations of Buddhist Vinaya".[70] The school was typified by a "loose practice,"[71] aiming to make meditation accessible to a larger audience.[71] Shenxiu used short formulas extracted from various sutras to package the teachings,[71] a style which is also used in the Platform Sutra.[71]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in one location was a change from the wandering lives of Bodhidharma and Huike and their followers.[70] It fitted better into the Chinese society,
which highly valued community-oriented behaviour,
instead of solitary practice.[72]
In 701 Shenxiu was invited to the Imperial Court by Zhou Empress Wu Zetian,
who paid him due to imperial reverence.
The first lineage documents were produced in this period:
[T]he genealogical presentation of the Chan transmission was first recorded on paper in the early years of metropolitan Chan activity.
The earliest recorded instance of this was in the epitaph for a certain Faru,
a student of Hongren's who died in 689,
and by the second decade of the 8th century,
the later followers of Hongren had produced two separate texts describing the transmission from Bodhidharma to Shenxiu.[73]
The transition from the East Mountain to the two capitals changed the character of Chan:
[I]t was only when Hongren's successors moved into the environment of the two capitals,
with its literate society and incomparably larger urban scale,
that well-written texts were required for disseminating the teaching.[74]
Members of the "East Mountain Teaching" shifted the alleged scriptural basis,
realizing that the Awakening of Faith is not a sutra but a sastra,
commentary,
and fabricated a lineage of Lankavatara Sutra masters,
as being the sutra that preluded the Awakening of Faith.[49]
Southern School – Huineng and Shenhui
Huineng tearing sutras
See also: Subitism
According to tradition,
the sixth and last ancestral founder,
Huineng (惠能; 638–713),
was one of the giants of Chan history,
and all surviving schools regard him as their ancestor.[75] The dramatic story of Huineng's life tells that there was a controversy over his claim to the title of patriarch.
After being chosen by Hongren,
the fifth ancestral founder,
Huineng had to flee by night to Nanhua Temple in the south to avoid the wrath of Hongren's jealous senior disciples.
Modern scholarship,
however,
has questioned this narrative.
Historic research reveals that this story was created around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as part of a campaign to win influence at the Imperial Court in 731 by a successor to Huineng called Shenhui.
He claimed Huineng to be the successor of Hongren instead of Shenxiu,
the recognized successor.[47] A dramatic story of Huineng's life was created,
as narrated in the Platform Sutra,
which tells that there was a contest for the transmission of the title of patriarch.
After being chosen by Hongren,
the fifth patriarch,
Huineng had to flee by night to Nanhua Temple in the south to avoid the wrath of Hongren's jealous senior disciples.[5][68] Shenhui succeeded in his campaign,
and Huineng eventually came to be regarded as the Sixth Patriarch.[68][5] In 745 Shenhui was invited to take up residence in the Heze Temple in the capital,
Dongdu (modern Luoyang) In 753,
he fell out of grace and had to leave Dongdu to go into exile.
The most prominent of the successors of Shenhui's lineage was Guifeng Zongmi.[76] According to Zongmi,
Shenhui's approach was officially sanctioned in 796,
when "an imperial commission determined that the Southern line of Ch'an represented the orthodox transmission and established Shen-hui as the seventh patriarch,
placing an inscription to that effect in the Shen-lung temple".[77]
Doctrinally,
Shenhui's "Southern School" is associated with the teaching that enlightenment is sudden while the "Northern" or East Mountain school is associated with the teaching that enlightenment is gradual.
This was a polemical exaggeration since both schools were derived from the same tradition,
and the so-called Southern School incorporated many teachings of the more influential Northern School.[47] Eventually both schools died out,
but the influence of Shenhui was so immense that all later Chan schools traced their origin to Huineng,
and "sudden enlightenment" became a standard doctrine of Chan.[47]
Shenhui's influence is traceable in the Platform Sutra,
which gives a popular account of the story of Huineng but also reconciles the antagonism created by Shenhui.
Salient is that Shenhui himself does not figure in the Platform Sutra; he was effectively written out of Chan history.[78] The Platform Sutra also reflects the growing popularity of the Diamond Sūtr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in 8th-century Chinese Buddhism.[79][80] Thereafter,
the essential texts of the Chan school were often considered to be both the Laṅkāvatāra Sūtra and the Diamond Sūtra.[81] The Laṅkāvatāra Sūtra,
which endorses the Buddha-nature,
emphasized purity of mind,
which can be attained in gradations.
The Diamond-sutra emphasizes sunyata,
which "must be realized totally or not at all".[80] David Kalupahana associates the later Caodong school (Japanese Sōtō,
gradual) and Linji school (Japanese Rinzai school,
sudden) schools with the Yogacara and Madhyamaka philosophies respectively.[82] The same comparison has been made by McRae.[83] The Madhyamaka school elaborated on the theme of śūnyatā,
which was set forth in the prajnaparamita sutras,
to which the Diamond Sutra also belongs.[82] The shift from the Laṅkāvatāra Sūtra to the Diamond Sutra also signifies a tension between Buddha-nature teachings,
which imply a transcendental reality,
versus śūnyatā,
which denies such a transcendental reality.
Tibetan Chan
Chinese Chan Buddhist teachers such as Moheyan first went to Tibet in the eighth century during the height of the Tibetan Empire.[84] There seems to have been disputes between them and Indian Buddhists,
as exemplified by the Samye debate.
Many Tibetan Chan texts have been recovered from the caves at Dunhuang,
where Chan and Tantric Buddhists lived side by side and this led to religious syncretism in some cases.[85] Chan Buddhism survived in Tibet for several centuries,[86] but had mostly been replaced by the 10th century developments in Tibetan Buddhism.
According to Sam Van Schaik:
After the 'dark period',
all visible influences of Chan were eliminated from Tibetan Buddhism,
and Mahayoga and Chan were careful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is trend can already be observed in the tenth-century Lamp for the Eyes in Contemplation by the great central Tibetan scholar Gnubs chen Sangs rgyas ye shes.
This influential work represented a crucial step in the codification of Chan,
Mahayoga and the Great Perfection as distinct vehicles to enlightenment.
In comparison,
our group of [Dunhuang] manuscripts exhibits remarkable freedom,
blurring the lines between meditation systems that were elsewhere kept quite distinct.
The system of practice set out in these manuscripts did not survive into the later Tibetan tradition.
Indeed,
this creative integration of meditation practices derived from both Indic and Chinese traditions could only have been possible during the earliest years of Tibetan Buddhism,
when doctrinal categories were still forming,
and in this sense,
it represents an important stage in the Tibetan assimilation of Buddhism.[85]
Classical or Middle Chan – Tang dynasty (c.
750–1000)
Daoxin,
Hongren,
Shenxiu,
Huineng and Shenhui all lived during the early Tang.
The later period of the Tang dynasty is traditionally regarded as the "golden age" of Chan.
This proliferation is described in a famous saying:[87]
Look at the territory of the house of Tang —
The whole of it is the realm of the Chan school.
An Lu-shan rebellion
The An Lushan Rebellion (755–763) led to a loss of control by the Tang dynasty,
and changed the Chan scene again.
Metropolitan Chan began to lose its status,
while "other schools were arising in outlying areas controlled by warlords.
These are the forerunners of the Chan we know today.
Their origins are obscure; the power of Shen-hui's preaching is shown by the fact that they all trace themselves to Hui-neng."
[88]
Hung-chou School
Main article: Hongzhou school
Rinzai
The most important of these schools is the Hongzhou school (洪州宗) of Mazu,
to which also belong Shitou,
Baizhang Huaihai,
Huangbo and Linji (Rinzai).
Linji is also regarded as the founder of one of the Five Houses.
This school developed "shock techniques such as shouting,
beating,
and using irrational retorts to startle their students into realization".[89][51] Some of these are common today,
while others are found mostly in anecdotes.
It is common in many Chan traditions today for Chan teachers to have a stick with them during formal ceremonies which is a symbol of authority and which can be also used to strike on the table during a talk.
These shock techniques became part of the traditional and still popular image of Chan masters displaying irrational and strange behaviour to aid their students.[47][90] Part of this image was due to later misinterpretations and translation errors,
such as the loud belly shout known as katsu.
"Katsu" means "to shout",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translated as "yelled 'katsu'" – which should mean "yelled a yell".[web 4]
A well-known story depicts Mazu practicing dhyana,
but being rebuked by his teacher Nanyue Huairang,
comparing seated meditation with polishing a tile.[91] According to Faure,
the criticism is not about dhyana as such,
but "the idea of "becoming a Buddha" by means of any practice,
lowered to the standing of a "means" to achieve an "end"".[91] The criticism of seated dhyana reflects a change in the role and position of monks in Tang society,
who "undertook only pious works,
reciting sacred texts and remaining seated in dhyana".[92] Nevertheless,
seated dhyana remained an important part of the Chan tradition,
also due to the influence of Guifeng Zongmi,
who tried to balance dhyana and insight.[92]
The Hung-chou school has been criticised for its radical subitism.
Guifeng Zongmi (圭峰 宗密) (780–841),
an influential teacher-scholar and patriarch of both the Chan and the Huayan school,
claimed that the Hongzhou school teaching led to a radical nondualism that denies the need for spiritual cultivation and moral discipline.
While Zongmi acknowledged that the essence of Buddha-nature and its functioning in the day-to-day reality are but different aspects of the same reality,
he insis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93]
Shitou Xiqian
Traditionally Shítóu Xīqiān (Ch.
石頭希遷,
c.
700 – c.790) is seen as the other great figure of this period.
In the Chan lineages he is regarded as the predecessor of the Caodong (Sōtō) school.[94] He is also regarded as the author of the Sandokai,
a poem which formed the basis for the Song of the Precious Mirror Samadhi of Dongshan Liangjie (Jp.
Tōzan Ryōkan) and the teaching of the Five Ranks.[95][96]
The Great Persecution
During 845–846 Emperor Wuzong persecuted the Buddhist schools in China:
It was a desperate attempt on the part of the hard-pressed central government,
which had been in disarray since the An Lu-shan rebellion of 756,
to gain some measure of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relief by preying on the Buddhist temples with their immense wealth and extensive lands.[97]
This persecution was devastating for metropolitan Chan,
but the Chan school of Ma-tsu and his likes had survived,
and took a leading role in the Chan of the later Tang.[97]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Period (907–960/979)
See also: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Period
After the fall of the Tang dynasty,
China was without effective central control during the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Period.
China was divided into several autonomous regions.
Support for Buddhism was limited to a few areas.
The Hua-yen and T'ient-tai schools suffered from the changing circumstances,
since they had depended on imperial support.
The collapse of T'ang society also deprived the aristocratic classes of wealth and influence,
which meant a further drawback for Buddhism.
Shenxiu's Northern School and Henshui's Southern School didn't survive the changing circumstances.
Nevertheless,
Chan emerged as the dominant stream within Chinese Buddhism,
but with various schools developing various emphasises in their teachings,
due to the regional orientation of the period.
The Fayan school,
named after Fa-yen Wen-i (885–958) became the dominant school in the southern kingdoms of Nan-T'ang (Jiangxi,
Chiang-hsi) and Wuyue (Che-chiang).[98]
Literary Chan – Song dynasty (c.
960–1300)
See also: Song dynasty
The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Period was followed by the Song dynasty,
which established a strong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Song dynasty,
Chan (禪) was used by the government to strengthen its control over the country,
and Chan grew to become the largest sect in Chinese Buddhism.
An ideal picture of the Chan of the Tang period was produced,
which served the legacy of this newly acquired status:
In the Song dynasty (960–1279),
Chinese Chan Buddhism reached something of a climax paradigm.
By "climax paradigm",
I mean a conceptual configuration by which Chan was described in written texts,
practiced by its adherents,
and by extension understood as a religious entity by the Chinese population as a whole ...
Previous events in Chan were interpreted through the lens of the Song dynasty configuration,
and subsequent developments in China,
Korea,
Japan,
and Vietnam were evaluated,
even as they occurred,
against what was known of the standards established during the Song.
Thus the romanticized image of the great Tang dynasty masters – Mazu and his students,
Caoshan,
Dongshan,
and their students,
and of course Linji – was generated by Song dynasty authors and functioned within Song dynasty texts.
Similarly,
even where subsequent figures throughout East Asia – Hakuin Ekaku (1685–1769),
the famous reviver of Japanese Rinzai,
is the best example – evoke the examples of Bodhidharma,
the Sixth Patriarch Huineng,
Mazu,
and the others,
they do so through the conceptual filter of Song-dynasty Chan.[99]
Five Houses of Chan
See also: Five Houses of Chan
During the Song the Five Houses (Ch.
五家) of Chan,
or five "schools",
were recognized.
These were not originally regarded as "schools" or "sects",
but based on the various Chan-genealogies.
Historically they have come to be understood as "schools".
The Five Houses of Chan are:[4]
Guiyang school (潙仰宗),
named after masters Guishan Lingyou (771–854) and Yangshan Huiji (813–890),
dharma-descendants of Mazu Daoyi;[100]
Linji school (臨濟宗),
named after master Linji Yixuan (died 866),
whose lineage came to be traced to Mazu,
establishing him as the archetypal iconoclastic Chan-master;[101]
Caodong school (曹洞宗),
named after masters Dongshan Liangjie (807–869) and Caoshan Benji (840–901);
Yunmen school (雲門宗),
named after master Yunmen Wenyan (died 949),
a student of Xuefeng Yicun (822–908),
whose lineage was traced to Shitou Xiqian:[102]
Fayan school (法眼宗),
named after master Fayan Wenyi (885–958),
a "grand-student" of Xuefeng Yicun.
Rise of the Linji-school
Main article: Linji school
The Linji-school became the dominant school within Chan,
due to support from the literati and the court.[101] Before the Song dynasty,
the Linji-school is rather obscure,
and very little is known about its early history.[68] The first mention of Linji is in the Zutang ji,
compiled in 952,
86 years after Linji's death.[101] But the Zutang ji pictures the Xuefeng Yicun lineage as heir to the legacy of Mazu and the Hongzhou-school.[101]
According to Welter,
the real founder of the Linji-school was Shoushan (or Baoying) Shengnian (首山省念) (926–993),
a fourth generation dharma-heir of Linji.
The Tiansheng Guangdeng lu (天聖廣燈錄),
"Tiansheng Era Expanded Lamp Record",
compiled by the official Li Zunxu (李遵勗) (988–1038) confirms the status of Shoushan Shengnian,
but also pictures Linji as a major Chan patriarch and heir to the Mazu,
displacing the prominence of the Fayan-lineage.[101] It also established the slogan of "a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he teaching",
supporting the Linji-school claim of "Chan as separate from and superior to all other Buddhist teachings".[103]
Dahui Zonggao
Over the course of Song dynasty (960–1279),
the Guiyang,
Fayan,
and Yunmen schools were gradually absorbed into the Linji.
Song Chan was dominated by the Linji school of Dahui Zonggao,
which in turn became strongly affiliated to the Imperial Court:
...
the Ta-hui school of Sung Chan had becom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ung court,
high officials,
and the literati [...]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Wu-shan (Gozan) system during the Southern Sung the school of Ta-hui took precedence.
The Chinese bureaucratic system entered into Chan temples throughout the country,
and a highly organized system of temple rank and administration developed.[104]
The Wu-shan system was a system of state-controlled temples,
which were established by the Song government in all provinces.[105]
Koan-system
The teaching styles and words of the classical masters were recorded in the so-called "encounter dialogues".[47] Snippets of these encounter dialogues were collected in texts as the Blue Cliff Record (1125) of Yuanwu,
The Gateless Gate (1228) of Wumen,
both of the Linji lineage,
and the Book of Equanimity (1223) by Wansong Xingxiu of the Caodong lineage.
These texts became classic gōng'àn cases,
together with verse and prose commentaries,
which crystallized into the systematized gōng'àn (koan) practice.
According to Miura and Sasaki,
"[I]t was during the lifetime of Yüan-wu's successor,
Dahui Zonggao (大慧宗杲; 1089–1163) that Koan Chan entered its determinative stage."
[106] Gōng'àn practice was prevalent in the Linji school,
to which Yuanwu and Dahui belonged,
but it was also employed on a more limited basis by the Caodong school.
The recorded encounter dialogues,
and the koan collections which derived from this genre,
mark a shift from solitary practice to the interaction between master and student:
The essence of enlightenment came to be identified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masters and students.
Whatever insight dhyana might bring,
its verification was always interpersonal.
In effect,
enlightenment came to be understood not so much as an insight,
but as a way of acting in the world with other people[107]
This mutual enquiry of the meaning of the encounters of masters and students of the past gave students a role model:
One looked at the enlightened activities of one's lineal forebears in order to understand one's own identity [...] taking the role of the participants and engaging in their dialogues instead[108][note 6] Koan practice was a literary practice,
styling snippets of encounter-dialogue into well-edited stories.
It arose in interaction with "educated literati".[109]
There were dangers involved in such a literary approach,
such as fixing specific meanings to the cases.[109] Dahui Zonggao is even said to have burned the woodblocks of the Blue Cliff Record,
for the hindrance it had become to study of Chan by his students[110]
Silent illumination
The Caodong was the other school to survive into the Song period.
Its main protagonist was Hung-chih Cheng-chueh,
a contemporary of Dahui Zonggao.
It put emphasis on "silent illumination",
or "just sitting".
This approach was attacked by Dahui as being mere passivity,
and lacking emphasis on gaining insight into one's true nature.
Cheng-chueh in his turn criticized the emphasis on koan study.[111]
Post-classical Chan (c.
1300–present)
Yuan dynasty (1279–1368)
The Yuan dynasty was the empire established by Kublai Khan,
the leader of the Borjigin clan,
after the Mongol Empire conquered the Jin dynasty (1115–1234) and the Southern Song dynasty.
Chan began to be mixed with Pure Land Buddhism as in the teachings of Zhongfeng Mingben (1263–1323).
During this period,
other Chan lineages,
not necessarily connected with the original lineage,
began to emerge with the 108th Chan Patriarch,
Dhyānabhadra active in both China and Korea.[112]
Ming dynasty (1368–1644)
Chan Buddhism enjoyed something of a revival in the Ming dynasty,
with teachers such as Hanshan Deqing (憨山德清),
who wrote and taught extensively on both Chan and Pure Land Buddhism; Miyun Yuanwu (密雲圓悟),
who came to be seen posthumously as the first patriarch of the Ōbaku school of Zen; and as Yunqi Zhuhong (雲棲祩宏) and Ouyi Zhixu (蕅益智旭).
Chan was taught alongside other Buddhist traditions such as Pure Land,
Huayan,
Tiantai and Chinese Esoteric Buddhism in many monasteries.
In continuity with Buddhism in the previous dynasties,
Buddhist masters taught integrated teachings from the various traditions as opposed to advocating for any sectarian delineation between the various schools of thought.[113][114][115]
With the downfall of the Ming,
several Chan masters fled to Japan,
founding the Ōbaku school.[116]
Qing dynasty (1644–1912)
At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Chan was "reinvented",
by the "revival of beating and shouting practices" by Miyun Yuanwu (1566–1642),
and the publication of the Wudeng yantong ("The strict transmission of the five Chan schools") by Feiyin Tongrong's (1593–1662),
a dharma heir of Miyun Yuanwu.
The book placed self-proclaimed Chan monks without proper Dharma transmission in the category of "lineage unknown" (sifa weixiang),
thereby excluding several prominent Caodong monks.[117]
Modernisation
19th century (late Qing dynasty)
Around 1900,
Buddhists from other Asian countries showed a growing interest in Chinese Buddhism.
Anagarika Dharmapala visited Shanghai in 1893,[web 5] intending "to make a tour of China,
to arouse the Chinese Buddhists to send missionaries to India to restore Buddhism there,
and then to start a propaganda throughout the whole world",
but eventually limiting his stay to Shanghai.[web 5] Japanese Buddhist missionaries were active in China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web 5]
Republic of China (1912–1949) – First Buddhist Revival
See also: Republic of China (1912–49)
Traditional Chan Buddhist Grand Master Wei Chueh in Taiwan,
sitting in meditation.
The modernisation of China led to the end of the Chinese Empire,
and the installation of the Republic of China,
which lasted on the mainland until the Communist Revolution and the install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After further centuries of decline during the Qing,
Chan was revived again in the early 20th century by Hsu Yun (虛雲),
a well-known figure of 20th-century Chinese Buddhism.
Many Chan teachers today trace their lineage to Hsu Yun,
including Sheng Yen (聖嚴) and Hsuan Hua (宣化),
who have propagated Chan in the West where it has grown steadily through the 20th and 21st century.
The Buddhist reformist Taixu propagated a Chan-influenced humanistic Buddhism,
which is endorsed by Jing Hui,
former abbot of Bailin Monastery.[118]
Until 1949,
monasteries were built in the Southeast Asian countries,
for example by monks of Guanghua Monastery,
to spread Chinese Buddhism.
Presently,
Guanghua Monastery has seven branches in the Malay Peninsula and Indonesia.[web 6]
People's Republic of China (1949–present) – Second Buddhist Revival
See also: China
Chan was repressed in China during the recent modern era in the early periods of the People's Republic,
but subsequently has been re-asserting itself on the mainland,
and has a significant following in Taiwan and Hong Kong as well as among Overseas Chinese.
Since the Chinese economic reform of the 1970s,
a new revival of Chinese Buddhism has been ongoing.[119][42][web 7][web 8] Ancient Buddhist temples,
such as Bailin Monastery and Guanghua Monastery have been refurbished.
Bailin Monastery was ruined long before 1949.[118] In 1988,
Jing Hui was persuaded to take over the Hebei Buddhist Association,
and start rebuilding the Monastery.[118] Jing Hui is a student[118] and dharma successor[web 9] of Hsu Yun,
but has also adopted the Humanistic Buddhism of Taixu.[118][note 7][note 8]
Guanghua Monastery was restored beginning in 1979,
when a six-year restoration program began under the supervision of then 70-year-old Venerable Master Yuanzhou (圆拙老法师).
In 1983 the temple became one of the Chinese Buddhism Regional Temples (汉族地区全国重点寺院) whilst 36-year-old Master Yiran (毅然法師) became abbot.
The same year,
Venerable Master Yuanzhou funded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Fujian Buddhism Academy (福建佛学院) on the site.
Taiwan
See also: Taiwan and Buddhism in Taiwan
Several Chinese Buddhist teachers left China during the Communist Revolution,
and settled in Hong Kong and Taiwan.
Sheng Yen (1930–2009) was the founder of the Dharma Drum Mountain,
a Buddhist organization based in Taiwan.
During his time in Taiwan,
Sheng Yen was well known as one of the progressive Buddhist teachers who sought to teach Buddhism in a modern and Western-influenced world.
As such,
Sheng yen published over 30 Chan texts in English.[120][121][122]
Wei Chueh (1928–2016) was born in Sichuan,
China,
and ordained in Taiwan.
In 1982,
he founded Lin Quan Temple in Taipei County and became known for his teaching on Ch'an practices by offering many lectures and seven-day Ch'an retreats.
His order is called Chung Tai Shan.
Two additional traditions emerged in the 1960s,
based their teaching on Ch'an practices.
Cheng Yen (born 1937),
a Buddhist nun,
founded the Tzu Chi Foundation as a charity organization with Buddhist origins on 14 May 1966 in Hualien,
Taiwan.
She was inspired by her master and mentor,
the late Venerable Master Yin Shun (印順導師,
Yìn Shùn dǎoshī) a proponent of Humanistic Buddhism,
who exhorted her to "work for Buddhism and for all sentient beings".
The organisation began with a motto of "instructing the rich and saving the poor" as a group of thirty housewives who donated a small amount of money each day to care for needy families.[123]
Hsing Yun (born 1927),
founded the Fo Guang Shan an international Chinese Buddhist new religious movement based in Taiwan in 1967.
The order promotes Humanistic Buddhism.
Fo Guang Shan also calls itself the International Buddhist Progress Society.
The headquarters of Fo Guang Shan,
located in Dashu District,
Kaohsiung,
is the largest Buddhist monastery in Taiwan.
Hsing Yun's stated position within Fo Guang Shan is that it is an "amalgam of all Eight Schools of Chinese Buddhism" (八宗兼弘),
including Chan.
Fo Guang Shan is the most comprehensive of the major Buddhist organizations of Taiwan,
focusing extensively on both social works and religious engagement.[124]
In Taiwan,
these four masters are popularly referred to as the "Four Heavenly Kings" of Taiwanese Buddhism,
with their respective organizations Dharma Drum Mountain,
Chung Tai Shan,
Tzu Chi,
and Fo Guang Shan being referred to as the "Four Great Mountains".[125][126]
Spread of Chan Buddhism in Asia
See also: Spread of Chan Buddhism in Asia
Thiền in Vietnam
See also: Vietnamese Thiền and Buddhism in Vietnam
According to traditional accounts of Vietnam,
in 580 an Indian monk named Vinītaruci (Vietnamese: Tì-ni-đa-lưu-chi) traveled to Vietnam after completing his studies with Sengcan,
the third patriarch of Chinese Chan.
This,
then,
would be the first appearance of Thiền Buddhism.
Other early Thiền schools included that of Wu Yantong (Chinese: 無言通; Vietnamese: Vô Ngôn Thông),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teachings of Mazu Daoyi,
and the Thảo Đường (Caodong),
which incorporated nianfo chanting techniques; both were founded by Chinese monks.
Seon in Korea
See also: Korean Seon and Korean Buddhism
Seon was gradually transmitted into Korea during the late Silla period (7th through 9th centuries) as Korean monks of predominantly Hwaeom (Korean: 화엄종; Hanja: 華嚴宗) and East Asian Yogācāra (Korean: 유식종; Hanja: 唯識宗) background began to travel to China to learn the newly developing tradition.
Seon received its most significant impetus and consolidation from the Goryeo monk Jinul (知訥) (1158–1210),
who established a reform movement and introduced kōan practice to Korea.
Jinul established the Songgwangsa (松廣寺) as a new center of pure practice.
Zen in Japan
See also: Japanese Zen
Zen was not introduced as a separate school in Japan until the 12th century when Eisai traveled to China and returned to establish a Linji lineage,
which is known in Japan as the Rinzai.
In 1215,
Dōgen,
a younger contemporary of Eisai's,
journeyed to China himself,
where he became a disciple of the Caodong master Rujing.
After his return,
Dōgen established the Sōtō school,
the Japanese branch of Caodong.
The schools of Zen that currently exist in Japan are the Sōtō,
Rinzai and Ōbaku.
Of these,
Sōtō is the largest and Ōbaku the smallest.
Rinzai is itself divided into several subschools based on temple affiliation,
including Myōshin-ji,
Nanzen-ji,
Tenryū-ji,
Daitoku-ji,
and Tōfuku-ji.
Chan in Indonesia
See also: Buddhism in Indonesia and Ashin Jinarakkhita
In the 20th century,
during the First Buddhist revival,
missionaries were sent to Indonesia and Malaysia.
Ashin Jinarakkhita,
who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revival of Indonesian Buddhism,
received ordination as a Chan śrāmaṇera on July 29,
1953[web 14] and received the name Ti Zheng (Te Cheng) from bhikṣu Ben Qing.
Chan in the Western world
See also: Buddhism in the West and Japanese Zen § Zen in the Western world
Chan has become especially popular in its Japanese form.
Although it is difficult to trace when the West first became aware of Chan as a distinct form of Buddhism,
the visit of Soyen Shaku,
a Japanese Zen monk,
to Chicago during the 1893 Parliament of the World's Religions is often pointed to as an event that enhanced its profile in the Western world.
It was during the late 1950s and the early 1960s that the number of Westerners pursuing a serious interest in Zen,
other than the descendants of Asian immigrants,
reached a significant level.
Western Chan lineages
See also: Western Zen lineages
Covering over 480 acres of land and located in Talmage,
California,
the City of Ten Thousand Buddhas was founded by Hsuan Hua.
The first Chinese master to teach Westerners in North America was Hsuan Hua,
who taught Chan and other traditions of Chinese Buddhism in San Francisco during the early 1960s.
He went on to found the City Of Ten Thousand Buddhas,
a monastery and retreat center located on a 237-acre (959,000 m2) property near Ukiah,
California,
and thus founding the Dharma Realm Buddhist Association.
Another Chinese Chan teacher with a Western following was Sheng Yen,
a master trained in both the Caodong and Linji schools.
He first visited the United States in 1978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Buddhist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subsequently founded the CMC Chan Meditation Center in Queens,
New York and the Dharma Drum Retreat Center in Pine Bush,
New York.[web 15]
Doctrinal background
Main article: Doctrinal background of Zen
Though Zen-narrative states that it is a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scriptures" which "did not stand upon words",[127] Zen does have a rich doctrinal background.
Polarities
Classical Chinese Chan is characterised by a set of polarities:[128] absolute-relative,[129] Buddha-nature – sunyata,[130]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131] esoteric and exoteric transmission.[132]
Absolute-relative
The Prajnaparamita sutras and Madhyamaka emphasize the non-duality of form and emptiness: "form is emptiness,
emptiness is form",
as the Heart sutra says.[129] This was understood to mean that ultimate reality is not a transcendental realm,
but equal to the daily world of relative reality.
This idea fitted into the Chinese culture,
which emphasized the mundane world and society.
But this does not fully explain how the absolute is present in the relative world.
This question is answered in such schemata as the Five Ranks of Tozan,[133] the Ten Bulls ("the Oxherding Pictures"),
and Hakuin's Four ways of knowing.[134]
The Madhyamaka two truths doctrine and the Yogacara three natures and Trikaya doctrines also give depictions of the interplay between the absolute and the relative.
Buddha-nature and śūnyatā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in China it was understood in native terms.
Various sects struggled to attain an understanding of the Indian texts.
The Tathāgatagarbha sūtras and the idea of the Buddha-nature were endorsed because of the perceived similarities with the Tao,
which was understood as a transcendental reality underlying the world of appearances.
Śūnyatā at first was understood as pointing to the Taoist wu.[32][135]
The doctrine of the Buddha-nature asserts that all sentient beings have Buddha-nature (Skt.
Buddhadhātu,
"Buddha Element",
"Buddha-Principle"),
the element from which awakening springs.
The Tathāgatagarbha sutras state that every living being has the potential to realize awakening.[136] Hence Buddhism offers salvation to everyone,
not only to monks or those who have freed themselves almost completely from karma in previous lives.[citation needed] The Yogacara theory of the Eight Consciousnesses explains how sensory input and the mind create the world we experience,
and obscure the alaya-jnana,
which is equated to the Buddha-nature.[137]
When this potential is realized,
and the defilements have been eliminated,
the Buddha-nature manifests as the Dharmakaya,
the absolute reality which pervades everything in the world.[136] In this way,
it is also the primordial reality from which phenomenal reality springs.
When this understanding is idealized,
it becomes a transcendental reality beneath the world of appearances.[138]
Sunyata points to the "emptiness" or no-"thing"-ness of all "things".
Though we perceive a world of concrete and discrete objects,
designated by names,
on close analysis the "thingness" dissolves,
leaving them "empty" of inherent existence.[139] The Heart sutra,
a text from the prajñaparamita sutras,
articulates this in the following saying in which the five skandhas are said to be "empty":
Yogacara explains this "emptiness" in an analysis of the way we perceive "things".
Everything we conceive of is the result of the working of the five skandhas—results of perception,
feeling,
volition,
and discrimination.[note 9] The five skandhas together compose consciousness.
The "things" we are conscious of are "mere concepts",
not noumenon.[137]
It took Chinese Buddhism several centuries to recognize that śūnyatā is not identical to "wu",[32][140] nor does Buddhism postulate a permanent soul.[32] The influence of those various doctrinal and textual backgrounds is still discernible in Zen.
Zen teachers still refer to Buddha-nature,
but the Zen tradition also emphasizes that Buddha-nature is śūnyatā,
the absence of an independent and substantial self.[32]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Avalokiteśvara sitting in meditation
In Zen Buddhism two main views on the way to enlightenment are discernible,
namely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Early Chan recognized the "transcendence of the body and mind",
followed by "non-defilement [of] knowledge and perception",
or sudden insight into the true nature (jiànxìng) followed by gradual purification of intentions.[141]
In the 8th century Chan history was effectively refashioned by Shenhui,
who created a dichotomy between the so-called East Mountain Teaching or "Northern School",
led by Yuquan Shenxiu,
and his own line of teaching,
which he called the "Southern school".[142] Shenhui placed Huineng into prominence as the sixth Chan-patriarch,
and emphasized sudden enlightenment,
as opposed to the concurrent Northern School's alleged gradual enlightenment.[142] According to the sudden enlightenment propagated by Shenhui,
insight into true nature is sudden; thereafter there can be no misunderstanding anymore about this true nature.
In the Platform Sutra,
the dichotomy between sudden and gradual is reconciled.[143] Guifeng Zongmi,
fifth-generation successor to Shenhui,
also softened the edge between sudden and gradual.
In his analysis,
sudden awakening points to seeing into one's true nature,
but is to be followed by a gradual cultivation to attain Buddhahood.[144]
This gradual cultivation is also recognized by Dongshan Liangjie (Japanese Tōzan),
who described the five ranks of enlightenment.[web 16]
Esoteric and exoteric transmission
According to Borup the emphasis on 'mind to mind transmission' is a form of esoteric transmission,
in which "the tradition and the enlightened mind is transmitted face to face".[132] Metaphorically this can be described as the transmission from a flame from one candle to another candle,[132] or the transmission from one vein to another.[145] In exoteric transmission requires "direct access to the teaching through a personal discovery of one's self.
This type of transmission and identification is symbolized by the discovery of a shining lantern,
or a mirror."
[132]
Chan scripture
Main article: Zen and Sutras
Chan is deeply rooted in the teachings and doctrines of Mahāyāna Buddhism.
What the Chan tradition emphasizes is that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came not through intellectual reasoning,
but rather through self-realization in Dharma practice and meditation.
Therefore,
it is held that it is primarily through Dharma practice and meditation that others may attain enlightenment and become Buddhas as well.
A review of the early historical documents and literature of early Chan masters clearly reveals that they were all well-versed in numerous Mahāyāna Buddhist sūtras.
For example,
in the Platform Sūtra of the Sixth Patriarch,
Huineng cites and explains the Diamond Sūtra,
the Lotus Sūtra (Saddharma Puṇḍarīka Sūtra),
the Vimalakīrti Nirdeśa Sūtra,
the Śūraṅgama Sūtra,
and the Laṅkāvatāra Sūtra.
The Chan school had to develop a doctrinal tradition of its own to establish its position.[citation needed] Subsequently,
the Chan tradition produced a rich corpus of written literature which has become a part of its practice and teaching.
Among the earliest and most widely studied of the specifically Chan texts,
dating to at least the 9th century CE,
is the Platform Sūtra of the Sixth Patriarch,
attributed to Huineng.
The most important Chan texts belong to the "encounter dialogue" genre,
which developed into various collections of kōans.
Teaching and practice
See also Zen practice
Bodhisattva ideal
As a school of Mahāyāna Buddhism,
Chan draws many of its basic driving concepts from that tradition,
such as the Bodhisattva ideal.
Karuṇā is the counterpart of prajna.
Avalokiteśvara embodies the striving for Karuna,
compassion.[146][note 10]
Central to Chan practice is dhyana or meditation.
In the Lin-ji (Rinzai) school this is supplemented with koan study.
Chan meditation
In meditation practice,
the Chan tradition holds that the very notions of doctrine and teachings create various other notions and appearances (Skt.
saṃjñā; Ch.
相,
xiāng) that obscure the transcendent wisdom of each being's Buddha-nature.
Thus,
Chan encourages its practitioners to distrust the very scripture or text being taught to them.[147] The process of rediscovery goes under various terms such as "introspection",
"a backward step",
"turning-about" or "turning the eye inward".
Sitting meditation
Main article: Zazen
Sitting meditation is called zuòchán (坐禅),
zazen in Japanese,
both simply meaning "sitting dhyāna".
During this sitting meditation,
practitioners usually assume a position such as the lotus position,
half-lotus,
Burmese,
or seiza postures.
To regulate the mind,
awareness is directed towards counting or watching the breath,
or put in the energy center below the navel (see also anapanasati).[web 17] Often,
a square or round cushion placed on a padded mat is used to sit on; in some other cases,
a chair may be used.
At the beginning of the Song dynasty,
practice with the koan method became popular,
whereas others practiced "silent illumination."
[148] This became the source of some differences in practice between the Linji and Caodong traditions.
Koan practice
Main article: Koan
A koan (literally "public case") is a story or dialogue,
generally related to Chan or other Buddhist histories; the most typical form is an anecdote involving early Chinese Chan masters.
These anecdotes involving famous Chan teachers are a practical demonstration of their wisdom,
and can be used to test a student's progress in Chan practice.
Koans often appear to be paradoxical or linguistically meaningless dialogues or questions.
But to Chan Buddhists,
the koan is "the place and the time and the event where truth reveals itself"[149] unobstructed by the oppositions and differentiation of language.
Answering a koan requires a student to let go of conceptual thinking and of the logical way we order the world,
so that,
like creativity in art,
the appropriate insight and response arises naturally and spontaneously in the mind.
Chan monasticism
Chan developed a distinct monastic system.
Emphasizing daily life
As the Chan school grew in China,
the monastic discipline also became distinct,
focusing on practice through all aspects of life.
Temples began emphasizing labor and humility,
expanding the training of Chan to include the mundane tasks of daily life.
The Chinese Chan master Baizhang (720–814 CE) left behind a famous saying which had been the guiding principle of his life,
"A day without work is a day without food".[web 18]
Sinification of Buddhism in China
It was scholar D.T.
Suzuki's contention that a spiritual awakening was always the goal of Chan's training,
but that part of what distinguished the tradition as it developed through the centuries in China was a way of life rad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Indian Buddhists.
In Indian Buddhism,
the tradition of the mendicant prevailed,
but Suzuki explained that in China social circumstance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temple and training-center system in which the abbot and the monks all performed mundane tasks.
These included food gardening or farming,
carpentry,
architecture,
housekeeping,
administration (or community direction),
and the practic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nsequently,
the enlightenment sought in Chan had to stand up well to the demands and potential frustrations of everyday life.[150][151]


------------------

See also
Blue Cliff Record
Hua Tou
Buddhism
Outline of Buddhism
Timeline of Buddhism
List of Buddhists
Chinese Buddhism
Japanese Zen
Yiduan
Notes
McRae gives no further information on this "Hubei faction". It may be the continuation of Shenxiu's "Northern School". See Nadeau 2012 p.89.[12] Hebei was also the place where the Linji branch of chan arose.[13]
During the Ming dynasty (1368–1644) and the Qing dynasty (1644–1912) Chan was part of a larger, syncretic Buddhist culture. A final phase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19th century onward, when western imperialism had a growing influence in South-East Asia, including China. A side effect of this imperial influence was the modernisation of Asian religions, adapting them to western ideas and rhetorical strategies.[19]
Godard does not provide a source for this quote
It first appears in a Chinese text named the Ju-tao an-hsin yao-fang-pien fa-men (JTFM, Instructions on essential expedients for calming the mind and accessing the path), itself a part of the Leng Ch'ieh Shih Tzu Chi (Records of the Masters of the Lankavatara).[62] The Records of the Masters of the Lankavatara is associated with the early Chan tradition known as the "East Mountain School" and has been dated to around 713.[65]
Compare Mazu's "Mind is Buddha" versus "No mind, no Buddha": "When Ch'an Master Fa-ch'ang of Ta-mei Mountain went to see the Patriarch for the first time, he asked, "What is Buddha?"
The Patriarch replied, "Mind is Buddha." [On hearing this] Fa-ch'ang had great awakening.
Later he went to live on Ta-mei mountain. When the Patriarch heard that he was residing on the mountain, he sent one of his monks to go there and ask Fa-ch'ang, "What did the Venerable obtain when he saw Ma-tsu, so that he has come to live on this mountain?"
Fach'ang said, "Ma-tsu told me that mind is Buddha; so I came to live here."
The monk said, "Ma-tsu's teaching has changed recently."
Fa-ch'ang asked, "What is the difference?"
The monk said, "Nowadays he also says, 'Neither mind nor Buddha."'
Fa-ch'ang said, "That old man still hasn't stopped confusing people. You can have 'neither mind nor Buddha,' I only care for 'mind is Buddha."'
The monk returned to the Patriarch and reported what has happened. "The plum is ripe." said the Patriarch."[67]
This role-taking is described by the Swedish psychologist of religion Hjalmar Sundén, though McRae does not seem to be aware of this
See [web 10] for more information on Jinghui.
At least two westerners are, or claim, to be dharma successors to Jing Hui: Lily-Marie Johnson (Ming Qi)[web 9][web 11] and Daniel Odier.[web 12][web 13]
Translations do differ, which makes a difference. Vijñāna can be translated as "consciousness", but also as "discernment".[137]
Lathouwers 2000:221 mentions: Blofeld, John (1988), Bodhisattva of compassion - the mystical tradition of kuan Yin. Boston: Shanbhala
References
Dumoulin 2005a, p. xvii.
Kasulis 2003, p. 24.
Hershock, Peter (2019), "Chan Buddhism", in Zalta, Edward N. (e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19 ed.),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2020-01-17
Cleary 2005
McRae 2003.
Ferguson 2000.
Ferguson 2000, p. 3.
McRae 2003, p. 11-15.
McRae 2003, p. 11-21.
McRae 2003, p. 13, 15–17.
McRae 2003, p. 13, 17–18.
Nadeau 2012, p. 89.
Yanagida 2009, p. 63.
McRae 2003, p. 13, 18–19.
McRae 2003, p. 13, 19–21.
Gimello 1994.
Welter 2000.
McRae 2003, p. 13.
McMahan 2008.
Maspero 1981, p. 46.
Grigg 1999.
Gu, Guo (2020). The Essence of Chan. Shambala Publications. pp. 4–5. ISBN 9781611808711.
Hinton, David (2020). "Ch1-Tao". China Root:Taoism, Ch'an, and Original Zen. Shambala Publications. pp. 21–26. ISBN 9781611807134.
Dumoulin 2005a:8–9, 68, 166–167, 169–172
Deleanu, Florin (1992); Mindfulness of Breathing in the Dhyāna Sūtras. Transaction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Orientalists in Japan (TICOJ) 37, 42-57.
Ven. Dr. Yuanci, A Study of the Meditation Methods in the DESM and Other Early Chinese Texts Archived 2013-05-08 at the Wayback Machine, The Buddhist Academy of China.
Brown Holt 1995.
Goddard 2007, p. 10.
Fowler 2005, p. 79.
Goddard 2007, p. 11.
Oh 2000.
Lai 2003a.
Dumoulin 2005a, p. 65.
Dumoulin 2005a, p. 64.
Dumoulin 2005a, pp. 70&74.
Dumoulin 2005a, p. 167.
Dumoulin 2005a, p. 168.
Dumoulin 2005a, p. 45–49.
Lai 2003a, p. 8.
Lai 2003b, p. 11.
Lai 2003b, p. 8.
Lai 2003b.
McRae 2003:122
Dumoulin 2005a
Broughton 1999, p. 54-55.
Broughton 1999, p. 8.
McRae 2003
Lai 1985.
Lai 2003b, p. 17.
McRae 2004.
Chang 1967.
Suzuki 1935.
Yampolski 2003b:6
Yampolski 1967, p. 29, note 87.
Dumoulin 2005a, p. 52.
Dumoulin 2005a, p. 85-94.
Dumoulin 2005a:85–90
Zvelebil 1987, p. 125–126.
McRae 2003:29
McRae 2003:32
Lai 2003a, p. 17.
McRae 1986, p. 143.
Sharf 2014, p. 939, 951.
Sharf 2014, p. 939.
Robert E. Buswell Jr. (2017). The Formation of Ch'an Ideology in China and Korea: The Vajrasamadhi-Sutra, a Buddhist Apocryph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41.
Sharf 2014, p. 945-950.
Cheng Chien Bhikshu 1992.
Dumoulin 2005a.
McRae 2003:33–36
McRae 2003:34
Lai 2003b, p. 18.
Kasulis 2003:25–26
McRae 2003:48
McRae 2003:49
禅宗研究一百年 Archived 2013-09-16 at the Wayback Machine
Yampolski 2003a:9
Gregory 1991, p. 279.
McRae 2003, p. 63.
McRae 2003, p. 62.
Kasulis 2003, p. 26–28.
Huaijin 1997, p. 92.
Kalupahana 1992, p. 228–236.
McRae 2003, p. 123.
Van Schaik, Tibetan Zen, page 1.
Sam van Schaik, Where Chan and Tantra Meet: Buddhist Syncretism in Dunhuang
Zigmond, The Lost Tradition of Tibetan Zen Dan Zigmond reviews Sam van Schaik’s The Lost Tradition of Tibetan Zen, https://tricycle.org/magazine/lost-tradition-tibetan-zen/
Huaijin 1997, p. 95.
Yampolski 2003a:11
Kasulis 2003, pp. 28–29.
Heine 2008
Faure 1997, p. 73.
Faure 1997, p. 74.
Gregory 2002.
Dumoulin 2005a, pp. 165–166.
Wegner 2001.
Leighton 2000.
Yampolski 2003a:15
Welter 2000, p. 86–87.
McRae 2003:119–120
Yampolski 2003a.
Welter 2006.
Jones 2010.
Young 2009.
Yampolski 2003b:266
Yampolski 2003b:267
Isshū & Sasaki 1993:13
Kasulis 2003:30
McRae 2003, p. 130.
McRae 2003:131
Yampolski 2003a:20
Dumoulin 2005a:256–257
Buswell, Robert; Lopez, Donald (2014).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056. ISBN 9780691157863.
Sharf 2002
Ma, Yung-fen (2011). The Revival of Tiantai Buddhism in the Late Ming: On the Thought of Youxi Chuandeng (1554-1628) (Thesis). Columbia University. doi:10.7916/d81g0t8p.
Sharf 2002.
Dumoulin 2005b, p. 299.
Meng-Tat Chia 2011.
Feuchtwang 2010, p. 189.
Laliberte 2011.
"Chan Newsletter No. 106, February 1995".
https://chancenter.org/cmc/wp-content/uploads/2010/09/MindDharma1.pdf[bare URL PDF]
Kraft, Kenneth (1988). Zen: Tradition and Transition. ISBN 080213162X.
"Biography of Dharma Master Cheng Yen". tw.tzuchi.org. Retrieved 15 September 2016.
Schak, David; Hsiao, Hsin-Huang Michael (2005-06-01). "Taiwan's Socially Engaged Buddhist Groups". China Perspectives (in French). 2005 (59). doi:10.4000/chinaperspectives.2803. ISSN 1996-4617.
"Come to Taiwan,Return with good memories". Info.taiwan.net.t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2-27. Retrieved 2012-02-15.
Shuai, J. J.; Chen, H. C.; Chang, C. H. (2010-12-01). "Visualization of the Taiwaness Buddhism web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2010 International Computer Symposium (ICS2010): 187–191. doi:10.1109/COMPSYM.2010.5685523. ISBN 978-1-4244-7639-8. S2CID 18858823.
Dumoulin 2005a, p. 85–94.
McRae 2003, pp. 138–142.
Liang-Chieh 1986:9
Kasulis 2003, pp. 26–29.
McRae 2003, pp. 123–138.
Borup 2008, p. 9.
Kasulis 2003:29
Low 2006.
Swanson 1993, p. 373.
Wayman & Wayman 1990.
Kalupahana 1992.
Kalupahana 1994.
Kalupahana 1994, p. 160–169.
Swanson 1993.
McRae 2003, p. 88–92.
McRae 2003, p. 54–56.
McRae 2003, p. 60-67.
Gregory 1991.
Faure 2000, p. 58.
Lathouwers 2000.
Dumoulin, Heisig & Knitter (2005), pp. 68, 70–73, 167–168
Blyth 1966.
Shimano 1991, p. 152.
Suzuki 1955, p. 155–156.
Suzuki 1970.
Sources
Printed sources
Blyth, R. H. (1966), Zen and Zen Classics, Volume 4, Tokyo: Hokuseido Press
Borup, Jørn (2008), Japanese Rinzai Zen Buddhism: Myōshinji, a Living Religion, Brill
Broughton, Jeffrey L. (1999), The Bodhidharma Anthology: The Earliest Records of Zen,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1972-4
Brown Holt, Linda (1995), "From India to China: Transformations in Buddhist Philosophy", Qi: The Journal of Traditional Eastern Health & Fitness
Buswell, Robert E. (1991), "The "Short-cut" Approach of K'an-hua Meditation: The Evolution of a Practical Subitism in Chinese Ch'an Buddhism", in Peter N. Gregory (ed.), Sudden and Gradual. Approaches to Enlightenment in Chinese Thought,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Buswell, Robert E (1993), Ch'an Hermeneutics: A Korean View. In: Donald S. Lopez, Jr. (ed.)(1993), Buddhist Hermeneutics, Delhi: Motilal Banarsidass
Chang, Chung-Yuan (1967). "Ch'an Buddhism: Logical and Illogical". Philosophy East and West. 17 (1/4): 37–49. doi:10.2307/1397043. JSTOR 139704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5-24. Retrieved 2011-12-13.
Cheng Chien Bhikshu (1992), "Introduction", Sun-Face Buddha. The Teachings of Ma-tsu and the Hung-chou School of Ch'an, Asian Humanities Press
Cleary, Thomas (2005), Classics of Buddhism and Zen: Volume One, Boston, MA: Shambhala publications, ISBN 978-1-57062-831-3
Dumoulin, Heinrich (2005a),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1: India and China,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89-1
Dumoulin, Heinrich (2005b),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2: Japan,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90-7
Dumoulin, Heinrich; Heisig, James W.; Knitter, Paul (2005). Zen Buddhism: A History (India and China). World Wisdom. ISBN 0-941532-89-5.
Faure, Bernard (1997), The Will to Orthodoxy: A Critical Genealogy of Northern Chan Buddhism, Stanford University Press
Faure, Bernard (2000), Visions of Power. Imaging Medieval Japanese Buddhism,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Ferguson, Andy (2000), Zen's Chinese Heritage, Boston, MA: Wisdom Publications, ISBN 978-0-86171-163-5
Feuchtwang, Stephen (2010), The Anthropology of Religion, Charisma and Ghosts: Chinese Lessons for Adequate Theory, Walter de Gruyter
Fowler, Merv (2005), Zen Buddhism: Beliefs and Practices, Sussex Academic Press
Gimello, Robert M. (1994), "Marga and Culture: Learning, Letters, and Liberation in Northern Sung Ch'an.", in Buswell; Gimello (eds.), Paths to Liberation,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p. 475–505
Goddard, Dwight (2007), History of Ch'an Buddhism previous to the times of Hui-neng (Wie-lang). In: A Buddhist Bible, Forgotten Books, ISBN 9781605061047
Gregory, Peter N. (1991), "Sudden Enlightenment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Tsung-mi's Analysis of mind", in Peter N. Gregory (ed.), Sudden and Gradual. Approaches to Enlightenment in Chinese Thought,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Gregory, Peter N. (2002), Tsung-mi and the Sinification of Buddh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Kuroda Institute, (originally publishe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Princeton, N.J.), ISBN 978-0-8248-2623-9
Grigg, Ray (1999), The Ta of Zen, Edison, NJ: Alva Press
Heine, Steven (2008), Zen Skin, Zen Marrow
Isshū, Miura; Sasaki, Ruth F. (1993), The Zen Koan, New York: Harcourt Brace & Company, ISBN 978-0-15-699981-6
Huaijin, Nan (1997), Basic Buddhism: exploring Buddhism and Zen, Samuel Weiser
Jones, Charles B. (2010), "Review of Monks, Rulers and Literati: The Political Ascendancy of Chan Buddhism" (PDF), Journal of Buddhist Ethics
Kalupahana, David J. (1992), The Principles of Buddhist Psychology, Delhi: ri Satguru Publications
Kalupahana, David J. (1994), A history of Buddhist philosophy,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Kasulis, Thomas P. (2003), Ch'an Spirituality. In: Buddhist Spirituality. Later China, Korea, Japan and the Modern World; edited by Takeuchi Yoshinori, Delhi: Motilal Banarsidass
Lai, Whalen (1985), "Ma-Tsu Tao-I And The Unfolding Of Southern Zen", 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12 (2/3): 173–192, doi:10.18874/jjrs.12.2-3.1985.173-192
Lai, Whalen (2003a), "Buddhism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PDF), in Cua, Antonio S. (ed.), Encyclopedia of Chinese Philosophy, New York: Routled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November 12, 2014
Lai, Hongyi Harry (2003b), The Religious Revival in China. In: Copenhagen Journal of Asian Studies 18
Laliberte, Andre (2011), Buddhist Revival under State Watch, in: Journal of Current Chinese Affairs, 40, 2,107-134
Lathouwers, Ton (2000), Meer dan een mens kan doen. Zentoespraken, Rotterdam: Asoka
Leighton, Taigen Daniel (2000), Cultivating the Empty Field: The Silent Illumination of Zen Master Hongzhi, Tuttle Publishing, ISBN 978-0-8048-3240-3
Liang-Chieh (1986), The Record of Tung-shan, Kuroda Institute (translator: William F. Powell)
Low, Albert (2006), Hakuin on Kensho. The Four Ways of Knowing, Boston & London: Shambhala
Maspero, Henri (1981), Taoism and Chinese Relig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ISBN 978-0-87023-308-1
McMahan, David L.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8327-6
McRae, John (1986), The Northern School and the Formation of Early Chʻan Buddh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McRae, John (2003), Seeing Through Zen, The University Press Group Ltd
McRae, John (2004), Seeing through Zen. Encounter, Transformation, and Genealogy in Chinese Chan Buddh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3798-8
Meng-Tat Chia, Jack (2011), "A Review of Enlightenment in Dispute: The Reinvention of Chan Buddhism in Seventeenth-Century China" (PDF), Journal of Buddhist Ethics, 18
Nadeau, Randall L. (2012), The Wiley-Blackwell Companion to Chinese Religions, John Wiley & Sons
Oh, Kang-nam (2000), "The Taoist Influence on Hua-yen Buddhism: A Case of the Scinicization of Buddhism in China", Chung-Hwa Buddhist Journal, 13
Sharf, Robert H. (2002), "On Pure Land Buddhism and Ch'an/Pure Land Syncretism in Medieval China", T'oung Pao, 88 (4/5): 282–331, doi:10.1163/156853202100368398, ISSN 0082-5433, JSTOR 4528903
Sharf, Robert (October 2014), "Mindfullness and Mindlessness in Early Chan" (PDF), Philosophy East & West, 64 (4): 933–964, doi:10.1353/pew.2014.0074, S2CID 144208166[permanent dead link]
Shimano, Eido T. (1991), Points of Departure: Zen Buddhism with a Rinzai View, Livingston Manor, NY: The Zen Studies Society Press, ISBN 978-0-9629246-0-6
Suzuki, D.T. (1935), Manual of Zen Buddhism
Suzuki, D.T. (1955), Studies in Zen, New York: Delta
Suzuki, D.T. (1970), Zen and Japanese Culture, New York: Bollingen/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9849-4
Suzuki, D.T. (2004), The Training of the Zen Buddhist Monk, Tokyo: Cosimo, inc., ISBN 978-1-59605-041-9
Swanson, Paul L. (1993), "The Spirituality of Emptiness in Early Chinese Buddhism", in Takeuchi Yoshinori (ed.), Buddhist Spirituality. Indian, Southeast Asian, Tibetan, Early Chinese, New York: Crossroad
Torei (2010), The Undying Lamp of Zen. The Testament of Zen Master Torei, Boston & London: Shambhala (translator: Thomas Cleary)
Verboven, Lucette (1992), Je kunt er niet uitvallen. Interview met Ton Lathouwers. In: Zen, jaargang 13, januari 1992, nummer 48
Wayman, Alex; Wayman, Hideko (1990). The Lion's Roar of Queen Śrīmālā: A Buddhist Scripture on the Tathāgatagarbha Theory.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7310.
Wegner, Michael (2001), Introduction to "Branching streams flow in the darkness: Zen talks on the Sandokai"by Shunryū Suzuki,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3212-9
Welter, Albert (2006), The Formation of the Linji lu: An Examination of the Guangdeng lu/Sijia yulu and Linji Huizhao Chanshi yulu. Versions of the Linji lu in Historical Context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3-03-16
Welter, Albert (2000), Mahakasyapa's smile. Silent Transmission and the Kung-an (Koan) Tradition. In: Steven Heine and Dale S. Wright (eds)(2000): "The Koan. Texts and Contexts in Zen Buddh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Yampolski, Philip B. (1967),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Translated with notes by Philip B. Yampolski,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08361-4
Yampolski, Philip (2003a), Chan. A Historical Sketch. In: Buddhist Spirituality. Later China, Korea, Japan and the Modern World; edited by Takeuchi Yoshinori, Delhi: Motilal Banarsidass
Yampolski, Philip (2003b), Zen. A Historical Sketch. In: Buddhist Spirituality. Later China, Korea, Japan and the Modern World; edited by Takeuchi Yoshinori, Delhi: Motilal Banarsidass
Yanagida, Seizan (2009),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Record of Linji. In: The record of Linji, translated by Ruth Fuller Sasakia e.a. Pages 59–115 (PDF), University of Hawaii 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2-06-22, retrieved 2021-05-29
Yen, Chan Master Sheng (1996), Dharma Drum: The Life and Heart of Ch'an Practice, Boston & London: Shambhala
Young, Stuart (2009), Linji Lu and Chinese Orthodoxy. Review of "Albert Welter. The Linji lu and the Creation of Chan Orthodoxy: The Development of Chan's Records of Sayings Literature.
Zeuschner, Robert B. (1976), A Selected Bibliography on Chan Buddhism in China,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V. 3, (1976) pp. 299-311
Zhu, Caifang (2003), Buddhism in China Today: The Example of the Bai Lin Chan Monastery. In: Perspectives, Volume 4, No.2, June 2003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0-09-29, retrieved 2013-03-29
Zvelebil, K.V. (1987), "The Sound of the One Hand",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07 (1): 125–126, doi:10.2307/602960, JSTOR 602960
Web-sources
Thich Hang Dat, A REAPPRAISAL OF KUMĀRAJĪVA’S ROLE IN MEDIEVAL CHINESE BUDDHISM: AN EXAMINATION OF KUMĀRAJĪVA’S TRANSLATION TEXT ON “THE ESSENTIAL EXPLANATION OF THE METHOD OF DHYANA” Archived May 18, 2015, at the Wayback Machine
Soothill, William Edward; Hodous, Lewis (1995),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London: RoutledgeCurzon
"Tstuomu Kambe: Bodhidharma (around 440? - 528?). A collection of stories from Chinese literature"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5-11-06. Retrieved 2011-12-13.
See James D. Sellmann & Hans Julius Schneider (2003), Liberating Language in Linji and Wittgenstein. Asian Philosophy, Vol. 13, Nos. 2/3, 2003. Notes 26 and 41
Lewis Hodus (1923), Buddhism and Buddhists in China. Chapter IX: Present-Day Buddhism
Voice of Longquan, Guanghua Monastery Archived 2012-12-18 at the Wayback Machine
Mitch Moxley (2010), Buddhism Enjoys A Revival
Erica B. Mitchell (201), A Revival of Buddhism? Archived 2014-07-14 at the Wayback Machine
The Dharma Lineage of my Master: Grand Master Jing Hui, Abbot of Bai-lin (Cypress Forest)
A short biography of Chan Master Jinghui
Jaysquare, Introduction
Biography (at bottom of the page)
"zhaozhou-chan, Biography of Daniel Odi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3-03. Retrieved 2013-03-27.
Ven. Ditthisampanno, Buddhism in Indonesia, Past and Present Archived 2013-03-09 at the Wayback Machine
Dharma Drum Mountain. Who Is Master Sheng-yen.
The Five Ranks of Tozan
Sheng, Yen. "Fundamentals of Medit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une 2010.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Retrieved 2008-03-26., entry "Baizhang Huaihai"
Further reading
Modern classics
D.T. Suzuki, Essays in Zen Buddhism, 3 vols
Thomas Cleary, Zen Mind, Buddha Mind
J. C. Cleary, Swampland Flowers: The Letters and Lectures of Zen Master Ta Hui
Classic history
Dumoulin, Heinrich (2005),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1: India and China.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89-1
Dumoulin, Heinrich (2005),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2: Japan.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90-7
Critical Zen-studies
Jeffrey Broughton, Zongmi on Chan.
Sung Bae Park, Buddhist Faith and Sudden Enlightenment.
External links
Look up 禪 in Wiktionary, the free dictionary.
Look up 禅 in Wiktionary, the free dictionary.
Wikiquote has quotations related to Zen proverbs.
Wikimedia Commons has media related to Chán Buddhism.
Look up zen in Wiktionary, the free dictionary.
Oversight
Zen Buddhism WWW Virtual Library
The Zen Site
Overview of Chan centers
Zen Centers at Curlie
Zen centers of the world
Zen centers
Specific Chan centers
Western Ch'an Fellowship Official Website
Dharma Drum Retreat Center (New York) Official Website. Established by Chan Master Sheng Yen.
Texts
Sacred-text.com's collection of Zen texts
Buddhanet's collection of Zen texts
Shambhala Sun Zen Articles
Booklets from Fo Guang Shan
History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Chan Sudden Approach: A Cunning Cultural Paradigm
History of Zen Buddhism
Zen history
Zen Quick Facts
Critical Chan Research
Steven Heine (2007), A Critical Survey of Works on Zen since Yampolsky
Homepage of Robert H. Sharf
Zhi, Chuan (2019). Exploring Chán: An Introduction to the Religious and Mystical Tradition of Chinese Buddhism. Songlark Publishing. p. 472. ISBN 978-1-73331-430-5.
vte
Zen
vte
Topics in Buddhism
vte
Religion
Categories: Chan BuddhismYogacaraBuddhism in China


https://en.wikipedia.org/wiki/Chan_Buddhism








● from 영어 위키 백과https://en.wikipedia.org/wiki/zen

( 영어원문 ) 위키 백과 사전참조 [불기 2566-12-31일자 내용 보관 편집 정리]




https://en.wikipedia.org/wiki/Zen




Ze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For other uses,
see Zen (disambiguation).
Zen
Chinese name
Traditional Chinese 禪
Simplified Chinese 禅
Transcriptions
Vietnamese name
Vietnamese alphabet Thiền
Chữ Hán 禪
Korean name
Hangul 선
Hanja 禪
Transcriptions
Japanese name
Kanji 禅
Kana ぜん
Transcriptions
禪 Zen
Part of a series on
Zen Buddhism
Ensō
Main articles
Persons
Doctrines
Traditions
Awakening
Teachings
Practice
Schools
Related schools
vte
Part of a series on
Mahāyāna Buddhism
Buddha-flower-color (fill color d2d200).svg
Unique doctrines
Buddhas and Bodhisattvas
Mahayana sutras
Major schools
Key historical figures
Regional traditions
vte
Part of a series on
Buddhism
Dharma Wheel.svg
History
DharmaConcepts
Buddhist texts
Practices
Nirvāṇa
Traditions
Buddhism by country
GlossaryIndexOutline
icon Religion portal
vte
Zen (Chinese: 禪; pinyin: Chán; Japanese: 禅,
romanized: zen; Korean: 선,
romanized: Seon; Vietnamese: Thiền) is a school of Mahayana Buddhism that originated in China during the Tang dynasty,
known as the Chan School (Chánzong 禪宗),
and later developed into various sub-schools and branches.
From China,
Chán spread south to Vietnam and became Vietnamese Thiền,
northeast to Korea to become Seon Buddhism,
and east to Japan,
becoming Japanese Zen.[1]

The term Zen is derived from the Japanese pronunciation of the Middle Chinese word 禪 (chán),
an abbreviation of 禪那 (chánnà),
which is a Chinese transliteration of the Sanskrit word ध्यान dhyāna ("meditation").[note 1] Zen emphasizes rigorous self-restraint,
meditation-practice and the subsequent insight into nature of mind (見性,
Ch.
jiànxìng,
Jp.
kensho,
"perceiving the true nature") and nature of things (without arrogance or egotism),
and the personal expression of this insight in daily life,
especially for the benefit of others.[3][4] As such,
it de-emphasizes knowledge alone of sutras and doctrine,[5][6] and favors direct understanding through spiritual practice and interaction with an accomplished teacher[7] or Master.

Zen teaching draws from numerous sources of Sarvastivada meditation practice and Mahāyāna thought,
especially Yogachara,
the Tathāgatagarbha sūtras,
the Laṅkāvatāra Sūtra,
and the Huayan school,
with their emphasis on Buddha-nature,
totality,
and the Bodhisattva-ideal.[8][9] The Prajñāpāramitā literature,[10] as well as Madhyamaka thought,
have also been influential in the shaping of the apophatic and sometimes iconoclastic nature of Zen rhetoric.[11]

Furthermore,
the Chan School was also influenced by Taoist philosophy,
especially Neo-Daoist thought.[12]


Contents
1 Etymology
2 Practice
3 Doctrine
4 Scripture
5 Organization and institutions
6 Narratives
7 History
8 See also
9 Notes
10 References
11 Sources
12 Further reading
13 External links
Etymology
The word Zen is derived from the Japanese pronunciation (kana: ぜん) of the Middle Chinese word 禪 (Middle Chinese: [dʑian]; pinyin: Chán),
which in turn is derived from the Sanskrit word dhyāna (ध्यान),[2] which can be approximately translated as "contemplation",
"absorption",
or "meditative state".[13]

The actual Chinese term for the "Zen school" is 禪宗 (pinyin: Chánzōng),
while "Chan" just refers to the practice of meditation itself (Chinese: 習禪; pinyin: xíchán) or the study of meditation (Chinese: 禪學; pinyin: chánxué) though it is often used as an abbreviated form of Chánzong.[14]

"Zen" is traditionally a proper noun as it usually describes a particular Buddhist sect.
In more recent times,
the lowercase "zen" is used when discussing the philosophy and was officially added to the Merriam-Webster dictionary in 2018.[15]

Practice
Dhyāna
See also: Dhyāna in Buddhism
The practice of dhyana or meditation,
especially sitting meditation (坐禪,
Chinese: zuòchán,
Japanese: zazen / ざぜん) is a central part of Zen Buddhism.[16]

Chinese Buddhism
The practice of Buddhist meditation first entered China through the translations of An Shigao (fl.
c.
148–180 CE),
and Kumārajīva (334–413 CE),
who both translated Dhyāna sutras,
which were influential early meditation texts mostly based on the Yogacara (yoga praxis) teachings of the Kashmiri Sarvāstivāda circa 1st–4th centuries CE.[17] Among the most influential early Chinese meditation texts include the Anban Shouyi Jing (安般守意經,
Sutra on ānāpānasmṛti),
the Zuochan Sanmei Jing (坐禪三昧經,
Sutra of sitting dhyāna samādhi) and the Damoduoluo Chan Jing (達摩多羅禪經,[18] Dharmatrata dhyāna sutra).[19] These early Chinese meditation works continued to exert influence on Zen practice well into the modern era.
For example,
the 18th century Rinzai Zen master Tōrei Enji wrote a commentary on the Damoduoluo Chan Jing and used the Zuochan Sanmei Jing as source in the writing of this commentary.
Tōrei believed that the Damoduoluo Chan Jing had been authored by Bodhidharma.[20]

While dhyāna in a strict sense refers to the four dhyānas,
in Chinese Buddhism,
dhyāna may refer to various kinds of meditation techniques and their preparatory practices,
which are necessary to practice dhyāna.[21] The five main types of meditation in the Dhyāna sutras are ānāpānasmṛti (mindfulness of breathing); paṭikūlamanasikāra meditation (mindfulness of the impurities of the body); maitrī meditation (loving-kindness); the contemplation on the twelve links of pratītyasamutpāda; and contemplation on the Buddha.[22] According to the modern Chan master Sheng Yen,
these practices are termed the "five methods for stilling or pacifying the mind" and serve to focus and purify the mind,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ages of dhyana.[23] Chan also shares the practice of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and the Three Gates of Liberation (emptyness or śūnyatā,
signlessness or animitta,
and wishlessness or apraṇihita) with early Buddhism and classic Mahayana.[24]

Pointing to the nature of the mind
According to Charles Luk,
in the earliest traditions of Chán,
there was no fixed method or formula for teaching meditation,
and all instructions were simply heuristic methods,
to point to the true nature of the mind,
also known as Buddha-nature.[25] According to Luk,
this method is referred to as the "Mind Dharma",
and exemplified in the story (in the Flower Sermon) of Śākyamuni Buddha holding up a flower silently,
and Mahākāśyapa smiling as he understood.[25] A traditional formula of this is,
"Chán points directly to the human mind,
to enable people to see their true nature and become buddhas."
[26]

Observing the mind
According to John McRa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development of early Ch'an doctrine is the rejection of traditional meditation techniques," that is,
gradual self-perfection and the practices of contemplation on the body impurities and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27] According to John R.
McRae the "first explicit statement of the sudden and direct approach that was to become the hallmark of Ch'an religious practice" is associated with the East Mountain School.[28] It is a method named "Maintaining the one without wavering" (shou-i pu i,
守一不移),[28] the one being the nature of mind,
which is equated with Buddha-nature.[29] According to Sharf,
in this practice,
one turns the attention from the objects of experience,
to the nature of mind,
the perceiving subject itself,
which is equated with Buddha-nature.[30] According to McRae,
this type of meditation resembles the methods of "virtually all schools of Mahāyāna Buddhism," but differs in that "no preparatory requirements,
no moral prerequisites or preliminary exercises are given," and is "without steps or gradations.
One concentrates,
understands,
and is enlightened,
all in one undifferentiated practice."
[28][note 2] Sharf notes that the notion of "Mind" came to be criticised by radical subitists,
and was replaced by "No Mind," to avoid any reifications.[32][note 3]

Meditation manuals
Early Chan texts also teach forms of meditation that are unique to Mahāyāna Buddhism,
for example,
the Treatise on the Essentials of Cultivating the Mind,
which depicts the teachings of the 7th-century East Mountain school teaches a visualization of a sun disk,
similar to that taught in the Sutra of the Contemplation of the Buddha Amitáyus.[34]

Later Chinese Buddhists developed their own meditation manuals and text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being the works of the Tiantai patriarch,
Zhiyi.
His works seemed to have exerted some influence on the earliest meditation manuals of the Chán school proper,
an early work being the widely imitated and influential Tso-chan-i (Principles of sitting meditation,
c.
11th century),
which doesn't outline a vipassana practice which leads to wisdom (prajña),
but only recommends practicing samadhi which will lead to the discovery of inherent wisdom already present in the mind.[35]

Common contemporary meditation forms

The meditation hall (Jp.
zendō,
Ch.
chántáng) of Dai Bosatsu Zendo Kongo-Ji
Mindfulness of breathing

Venerable Hsuan Hua meditating in the lotus position,
Hong Kong,
1953
During sitting meditation (坐禅,
Ch.
zuòchán,
Jp.
zazen,
Ko.
jwaseon),
practitioners usually assume a position such as the lotus position,
half-lotus,
Burmese,
or seiza,
often using the dhyāna mudrā.
Often,
a square or round cushion placed on a padded mat is used to sit on; in some other cases,
a chair may be used.

To regulate the mind,
Zen students are often directed towards counting breaths.
Either both exhalations and inhalations are counted,
or one of them only.
The count can be up to ten,
and then 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mind is calmed.[36] Zen teachers like Omori Sogen teach a series of long and deep exhalations and inhalations as a way to prepare for regular breath meditation.[37] Attention is usually placed on the energy center (dantian) below the navel.[38] Zen teachers often promote diaphragmatic breathing,
stating that the breath must come from the lower abdomen (known as hara or tanden in Japanese),
and that this part of the body should expand forward slightly as one breathes.[39] Over time the breathing should become smoother,
deeper and slower.[40] When the counting becomes an encumbrance,
the practice of simply following the natural rhythm of breathing with concentrated attention is recommended.[41][42]

Silent Illumination and shikantaza
A common form of sitting meditation is called "Silent illumination" (Ch.
mòzhào,
Jp.
mokushō).
This practice was traditionally promoted by the Caodong school of Chinese Chan and is associated with Hongzhi Zhengjue (1091—1157) who wrote various works on the practice.[43] This method derives from the Indian Buddhist practice of the union (Skt.
yuganaddha) of śamatha and vipaśyanā.[44]

In Hongzhi's practice of "nondual objectless meditation" the mediator strives to be aware of the totality of phenomena instead of focusing on a single object,
without any interference,
conceptualizing,
grasping,
goal seeking,
or subject-object duality.[45]

This practice is also popular in the major schools of Japanese Zen,
but especially Sōtō,
where it is more widely known as Shikantaza (Ch.
zhǐguǎn dǎzuò,
"Just sitting").
Considerable textual,
philosophical,
and phenomenological justification of the practice can be found throughout the work of the Japanese Sōtō Zen thinker Dōgen,
especially in his Shōbōgenzō,
for example in the "Principles of Zazen"[46] and the "Universally Recommended Instructions for Zazen".[47] While the Japanese and the Chinese forms are similar,
they are distinct approaches.[48]

Hua Tou and Kōan contemplation
Main article: Kōan

Calligraphy of "Mu" (Hanyu Pinyin: wú) by Torei Enji.
It figures in the famous Zhaozhou's dog kōan
During the Tang dynasty,
gōng'àn (Jp.
kōan) literature became popular.
Literally meaning "public case",
they were stories or dialogues,
describing teachings and interactions between Zen masters and their students.
These anecdotes give a demonstration of the master's insight.
Kōan are meant to illustrate the non-conceptual insight (prajña) that the Buddhist teachings point to.
During the Sòng dynasty,
a new meditation method was popularized by figures such as Dahui,
which was called kanhua chan ("observing the phrase" meditation),
which referred to contemplation on a single word or phrase (called the huatou,
"critical phrase") of a gōng'àn.[49] In Chinese Chan and Korean Seon,
this practice of "observing the huatou" (hwadu in Korean) is a widely practiced method.[50] It was taught by the influential Seon master Chinul (1158–1210),
and modern Chinese masters like Sheng Yen and Xuyun.
Yet,
while Dahui famously criticised "silent illumination,"[51][52] he nevertheless "did not completely condemn quiet-sitting; in fact,
he seems to have recommended it,
at least to his monastic disciples."
[51]

In the Japanese Rinzai school,
kōan introspection developed its own formalized style,
with a standardized curriculum of kōans,
which must be studied and "passed" in sequence.
This process includes standardized "checking questions" (sassho) and common sets of "capping phrases" (jakugo) or poetry citations that are memorized by students as answers.[53] The Zen student's mastery of a given kōan is presented to the teacher in a private interview (referred to in Japanese as dokusan,
daisan,
or sanzen).
While there is no unique answer to a kōan,
practitioners are expected to demonstrate their spiritual understanding through their responses.
The teacher may approve or disapprove of the answer and guide the student in the right direction.
The interaction with a teacher is central in Zen,
but makes Zen practice also vulnerable to misunderstanding and exploitation.[54] Kōan-inquiry may be practiced during zazen (sitting meditation),
kinhin (walking meditation),
and throughout all the activities of daily life.
The goal of the practice is often termed kensho (seeing one's true nature),
and is to be followed by further practice to attain a natural,
effortless,
down-to-earth state of being,
the "ultimate liberation",
"knowing without any kind of defilement".[55]

Kōan practice is particularly emphasized in Rinzai,
but it also occurs in other schools or branches of Zen depending on the teaching line.[56]

Nianfo chan
Nianfo (Jp.
nembutsu,
from Skt.
buddhānusmṛti "recollection of the Buddha") refers to the recitation of the Buddha's name,
in most cases the Buddha Amitabha.
In Chinese Chan,
the Pure Land practice of nianfo based on the phrase Nāmó Āmítuófó (Homage to Amitabha) is a widely practiced form of Zen meditation.
This practice was adopted from Pure land Buddhism and syncretized with Chan meditation by Chinese figures such as Yongming Yanshou,
Zhongfen Mingben,
and Tianru Weize.
During the late Ming,
the harmonization of Pure land practices with Chan meditation was continued by figures such as Yunqi Zhuhong and Hanshan Deqing.[57]

This practice,
as well as its adaptation into the "nembutsu kōan" was also used by the Japanese Ōbaku school of Zen.

Bodhisattva virtues and vows

Victoria Zen Centre Jukai ceremony,
January 2009
Since Zen is a form of Mahayana Buddhism,
it is grounded on the schema of the bodhisattva path,
which is based on the practice of the "transcendent virtues" or "perfections" (Skt.
pāramitā,
Ch.
bōluómì,
Jp.
baramitsu) as well as the taking of the bodhisattva vows.[58][59] The most widely used list of six virtues is: generosity,
moral training (incl.
five precepts),
patient endurance,
energy or effort,
meditation (dhyana),
wisdom.
An important source for these teachings is the Avatamsaka sutra,
which also outlines the grounds (bhumis) or levels of the bodhisattva path.[60] The pāramitās are mentioned in early Chan works such as Bodhidharma's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and are seen as an important part of gradual cultivation (jianxiu) by later Chan figures like Zongmi.[61][62]

An important element of this practice is the formal and ceremonial taking of refuge in the three jewels,
bodhisattva vows and precepts.
Various sets of precepts are taken in Zen including the five precepts,
"ten essential precepts",
and the sixteen bodhisattva precepts.[63][64][65][66] This is commonly done in an initiation ritual (Ch.
shòu jiè,
Jp.
Jukai,
Ko.
sugye,
"receiving the precepts"),
which is also undertaken by lay followers and marks a layperson as a formal Buddhist.[67]

The Chinese Buddhist practice of fasting (zhai),
especially during the uposatha days (Ch.
zhairi,
"days of fasting") can also be an element of Chan training.[68] Chan masters may go on extended absolute fasts,
as exemplified by master Hsuan Hua's 35 day fast,
which he undertook during the Cuban missile crisis for the generation of merit.[69]

Physical cultivation

Two grandmasters of the Shaolin Temple of Chinese Chan,
Shi DeRu and Shi DeYang
Traditional martial arts,
like Japanese archery,
other forms of Japanese budō and Chinese martial arts (gōngfu) have also been seen as forms of zen praxis.
This tradition goes back to the influential Shaolin Monastery in Henan,
which developed the first institutionalized form of gōngfu.[70] By the late Ming,
Shaolin gōngfu was very popular and widespread,
as evidenced by mentions in various forms of Ming literature (featuring staff wielding fighting monks like Sun Wukong) and historical sources,
which also speak of Shaolin's impressive monastic army that rendered military service to the state in return for patronage.[71] These Shaolin practices,
which began to develop around the 12th century,
were also traditionally seen as a form of Chan Buddhist inner cultivation (today called wuchan,
"martial chan").
The Shaolin arts also made use of Taoist physical exercises (taoyin) breathing and energy cultivation (qìgōng) practices.[72] They were seen as therapeutic practices,
which improved "internal strength" (neili),
health and longevity (lit.
"nourishing life" yangsheng),
as well as means to spiritual liberation.[73]

The influence of these Taoist practices can be seen in the work of Wang Zuyuan (ca.
1820–after 1882),
a scholar and minor bureaucrat who studied at Shaolin.
Wang's Illustrated Exposition of Internal Techniques (Neigong tushuo) shows how Shaolin exercises were drawn from Taoist methods like those of the Yi jin jing and Eight pieces of brocade,
possibly influenced by the Ming dynasty's spirit of religious syncretism.[74] According to the modern Chan master Sheng Yen,
Chinese Buddhism has adopted internal cultivation exercises from the Shaolin tradition as ways to "harmonize the body and develop concentration in the midst of activity."
This is because,
"techniques for harmonizing the vital energy are powerful assistants to the cultivation of samadhi and spiritual insight."
[75] Korean Seon also has developed a similar form of active physical training,
termed Sunmudo.


Bows and quivers at Engaku-ji temple,
the temple also has a Dōjō for the practice of Kyūdō and the Zen priests practice this art here.[76]
In Japan,
the classic combat arts (budō) and zen practice have been in contact since the embrace of Rinzai Zen by the Hōjō clan in the 13th century,
who applied zen discipline to their martial practice.[77] One influential figure in this relationship was the Rinzai priest Takuan Sōhō who was well known for his writings on zen and budō addressed to the samurai class (especially his The Unfettered Mind) .[78] The Rinzai school also adopted certain Taoist energy practices.
They were introduced by Hakuin (1686–1769) who learned various techniques from a hermit named Hakuyu who helped Hakuin cure his "Zen sickness" (a condition of physical and mental exhaustion).[79] These energetic practices,
known as Naikan,
are based on focusing the mind and one's vital energy (ki) on the tanden (a spot slightly below the navel).[80][81]

The arts

Hakuin Ekaku,
Hotei in a Boat,
Yale University Art Gallery

The kare-sansui (dry landscape) zen garden at Ryōan-ji
Certain arts such as painting,
calligraphy,
poetry,
gardening,
flower arrangement,
tea ceremony and others have also been used as part of zen training and practice.
Classical Chinese arts like brush painting and calligraphy were used by Chan monk painters such as Guanxiu and Muqi Fachang to communicate their spiritual understanding in unique ways to their students.[82] Zen paintings are sometimes termed zenga in Japanese.[83] Hakuin is one Japanese Zen master who was known to create a large corpus of unique sumi-e (ink and wash paintings) and Japanese calligraphy to communicate zen in a visual way.
His work and that of his disciples were widely influential in Japanese Zen.[84] Another example of Zen arts can be seen in the short lived Fuke sect of Japanese Zen,
which practiced a unique form of "blowing zen" (suizen) by playing the shakuhachi bamboo flute.

Intensive group practice
Intensive group meditation may be practiced by serious Zen practitioners.
In the Japanese language,
this practice is called sesshin.
While the daily routine may require monks to meditate for several hours each day,
during the intensive period they devote themselves almost exclusively to zen practice.
The numerous 30–50 minute long sitting meditation (zazen) periods are interwoven with rest breaks,
ritualized formal meals (Jp.
oryoki),
and short periods of work (Jp.
samu) that are to be performed with the same state of mindfulness.
In modern Buddhist practice in Japan,
Taiwan,
and the West,
lay students often attend these intensive practice sessions or retreats.
These are held at many Zen centers or temples.

Chanting and rituals
See also: Buddhist chant

Gifu Daibutsu and altar at Shōhō-ji

Chanting the Buddhist Scriptures,
by Taiwanese painter Li Mei-shu
Monks chanting the "Heart Sutra" in Sōji-ji Temple in Yokohama,
Japan
Most Zen monasteries,
temples and centers perform various rituals,
services and ceremonies (such as initiation ceremonies and funerals),
which are always accompanied by the chanting of verses,
poems or sutras.[85] There are also ceremonies that are specifically for the purpose of sutra recitation (Ch.
niansong,
Jp.
nenju) itself.[86]

Zen schools may have an official sutra book that collects these writings (in Japanese,
these are called kyohon).[85] Practitioners may chant major Mahayana sutras such as the Heart Sutra and chapter 25 of the Lotus Sutra (often called the "Avalokiteśvara Sutra").
Dhāraṇīs and Zen poems may also be part of a Zen temple liturgy,
including texts like the Song of the Precious Mirror Samadhi,
the Sandokai,
the Nīlakaṇṭha Dhāraṇī,
and the Uṣṇīṣa Vijaya Dhāraṇī Sūtra.

The butsudan is the altar in a monastery,
temple or a lay person's home,
where offerings are made to the images of the Buddha,
bodhisattvas and deceased family members and ancestors.
Rituals usually center on major Buddhas or bodhisattvas like Avalokiteśvara (see Guanyin),
Kṣitigarbha and Manjushri.

An important element in Zen ritual practice is the performance of ritual prostrations (Jp.
raihai) or bows.[87]

One popular form of ritual in Japanese Zen is Mizuko kuyō (Water child) ceremonies,
which are performed for those who have had a miscarriage,
stillbirth,
or abortion.
These ceremonies are also performed in American Zen Buddhism.[88]

A widely practiced ritual in Chinese Chan is variously called the "Rite for releasing the hungry ghosts" or the "Releasing flaming mouth".
The ritual might date back to the Tang dynasty,
and was very popular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when Chinese Esoteric Buddhist practices became diffused throughout Chinese Buddhism.[89] The Chinese holiday of the Ghost Festival might also be celebrated with similar rituals for the dead.
These ghost rituals are a source of contention in modern Chinese Chan,
and masters such as Sheng Yen criticize the practice for not having "any basis in Buddhist teachings".[90]

Another important type of ritual practiced in Zen are various repentance or confession rituals (Jp.
zange) that were widely practiced in all forms of Chinese Mahayana Buddhism.
One popular Chan text on this is known as the Emperor Liang Repentance Ritual,
composed by Chan master Baozhi.[91] Dogen also wrote a treatise on repentance,
the Shushogi.[92] Other rituals could include rites dealing with local deities (kami in Japan),
and ceremonies on Buddhist holidays such as Buddha's Birthday.[93]

Funerals are also an important ritual and are a common point of contact between Zen monastics and the laity.
Statistics published by the Sōtō school state that 80 percent of Sōtō laymen visit their temple only for reasons having to do with funerals and death.
Seventeen percent visit for spiritual reasons and 3 percent visit a Zen priest at a time of personal trouble or crisis.[94]

Esoteric practices
Depending on the tradition,
esoteric methods such as mantra and dhāraṇī are also used for different purposes including meditation practice,
protection from evil,
invoking great compassion,
invoking the power of certain bodhisattvas,
and are chanted during ceremonies and rituals.[95][96] In the Kwan Um school of Zen for example,
a mantra of Guanyin ("Kwanseum Bosal") is used during sitting meditation.[97] The Heart Sutra Mantra is also another mantra that is used in Zen during various rituals.[98] Another example is the Mantra of Light (kōmyō shingon),
which is common in Japanese Soto Zen and was derived from the Shingon sect.[99]

In Chinese Chan,
the usage of esoteric mantras in Zen goes back to the Tang dynasty.
There is evidence that Chan Buddhists adopted practices from Chinese Esoteric Buddhism in findings from Dunhuang.[100] According to Henrik Sørensen,
several successors of Shenxiu (such as Jingxian and Yixing) were also students of the Zhenyan (Mantra) school.[101] Influential esoteric dhāraṇī,
such as the Uṣṇīṣa Vijaya Dhāraṇī Sūtra and the Nīlakaṇṭha Dhāraṇī,
also begin to be cited in the literature of the Baotang school during the Tang dynasty.[102] Many mantras have been preserved since the Tang period and continue to be practiced in modern Chan monasteries.
One common example is the Śūraṅgama Mantra,which has been heavily propagated by various prominent Chan monks,
such as Venerable Hsuan Hua who founded the City of Ten Thousand Buddhas.[103] Another example of esoteric rituals practiced by the Chan school is the Mengshan Rite for Feeding Hungry Ghosts,
which is practiced by both monks and laypeople during the Hungry Ghost Festival.[104][105][106] Chan repentance rituals,
such as the Liberation Rite of Water and Land,
also involve various esoteric aspects,
including the invocation of esoteric deities such as the Five Wisdom Buddhas and the Ten Wisdom Kings.[107][108]

There is documentation that monks living at Shaolin temple during the eighth century performed esoteric practices there such as mantra and dharani,
and that these also influenced Korean Seon Buddhism.[109]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eon school was not only the dominant tradition in Korea,
but it was also highly inclusive and ecumenical in its doctrine and practices,
and this included Esoteric Buddhist lore and rituals (that appear in Seon literature from the 15th century onwards).
According to Sørensen,
the writings of several Seon masters (such as Hyujeong) reveal they were esoteric adepts.[110]

In Japanese Zen,
the use of esoteric practices within Zen is sometimes termed "mixed Zen" (kenshū zen 兼修禪),
and the figure of Keizan Jōkin (1264–1325) is seen as introducing this into the Soto school.[111][112] The Japanese founder of the Rinzai school,
Myōan Eisai (1141–1215) was also a well known practitioner of esoteric Buddhism and wrote various works on the subject.[113]

According to William Bodiford,
a very common dhāraṇī in Japanese Zen is the Śūraṅgama spell (Ryōgon shu 楞嚴呪; T.
944A),
which is repeatedly chanted during summer training retreats as well as at "every important monastic ceremony throughout the year" in Zen monasteries.[114] Some Zen temples also perform esoteric rituals,
such as the homa ritual,
which is performed at the Soto temple of Eigen-ji (in Saitama prefecture).
As Bodiford writes,
"perhaps the most notable examples of this phenomenon is the ambrosia gate (kanro mon 甘露門) ritual performed at every Sōtō Zen temple",
which is associated feeding hungry ghosts,
ancestor memorial rites and the ghost festival.[115] Bodiford also notes that formal Zen rituals of Dharma transmission often involve esoteric initiations.

Doctrine
Main article: Doctrinal background of Zen

A Dharma talk by Seon nun Daehaeng Kun Sunim,
Hanmaum Seon Center,
South Korea
Zen teachings can be likened to "the finger pointing at the moon".[116] Zen teachings point to the moon,
awakening,
"a realization of the unimpeded interpenetration of the dharmadhatu".[117] But the Zen-tradition also warns against taking its teachings,
the pointing finger,
to be this insight itself.[118][119][120][121]

Buddhist Mahayana influences
Though Zen-narrative states that it is a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scriptures",
which "did not stand upon words",[122] Zen does have a rich doctrinal background that is firmly grounded in the Buddhist tradition.[123] It was thoroughly influenced by Mahayana teachings on the bodhisattva path,
Chinese Madhyamaka (Sānlùn),
Yogacara (Wéishí),
Prajñaparamita,
the Laṅkāvatāra Sūtra,
and other Buddha nature texts.[124][125][126] The influence of Madhyamaka and Prajñaparamita can be discerned in the stress on non-conceptual wisdom (prajña) and the apophatic language of Zen literature.[124][127][128][note 4]

The philosophy of the Huayan school also had an influence on Chinese Chan.
One example is the Huayan doctrine of the interpenetration of phenomena,
which also makes use of native Chinese philosophical concepts such as principle (li) and phenomena (shi).[129] The Huayan theory of the Fourfold Dharmadhatu also influenced the Five Ranks of Dongshan Liangjie (806–869),
the founder of the Caodong Chan lineage.[130]

Buddha-nature and subitism
Central in the doctrinal development of Chan Buddhism was the notion of Buddha-nature,
the idea that the awakened mind of a Buddha is already present in each sentient being[131] (pen chueh in Chinese Buddhism,
hongaku in Japanese Zen).[132] This Buddha-nature was initially equated with the nature of mind,
while later Chan-teachings evaded any reification by rejecting any positivist terminology.[133][note 3] The idea of the immanent character of the Buddha-nature took shape in a characteristic emphasis on direct insight into,
and expression of this Buddha-nature.[134][135] It led to a reinterpretation and Sinification of Indian meditation terminology,
and an emphasis on subitism,
the idea that the Buddhist teachings and practices are comprehended and expressed "sudden,"[136] c.q.
"in one glance," "uncovered all together," or "together,
completely,
simultaneously," in contrast to gradualism,
"successively or being uncovered one after the other."
[137] The emphasis on subitism led to the idea that "enlightenment occurs in a single transformation that is both total and instantaneous"[138] (Ch.
shih-chueh).[139]

While the attribution of gradualism,
attributed by Shenhui to a concurring faction,
was a rhetoric device,
it led to a conceptual dominance in the Chan-tradition of subitism,
in which any charge of gradualism was to be avoided.[134][note 5] This "rhetorical purity" was hard to reconcile conceptually with the actual practice of meditation,[141][134] and left little place in Zen texts for the description of actual meditation practices,
apparently rejecting any form of practice.[142][134][133][note 6] Instead,
those texts directly pointed to and expressed this awakened nature,
giving way to the paradoxically nature of encounter dialogue and koans.[134][133]

Caodong/Sōtō/Tào Động
Main article: Sōtō

Japanese Buddhist monk from the Sōtō Zen sect
Sōtō is the Japanese line of the Chinese Caodong school,
which was founded during the Tang Dynasty by Dongshan Liangjie.
The Sōtō-school has de-emphasized kōans since Gentō Sokuchū (circa 1800),
and instead emphasized shikantaza.[144] Dogen,
the founder of Soto in Japan,
emphasized that practice and awakening cannot be separated.
By practicing shikantaza,
attainment and Buddhahood are already being expressed.[145] For Dogen,
zazen,
or shikantaza,
is the essence of Buddhist practice.[146] Gradual cultivation was also recognized by Dongshan Liangjie.[147]

A lineage also exists in Vietnam,
founded by 17th-century Chan master Thông Giác Đạo Nam.
In Vietnamese,
the school is known as "Tào Động."
[148]

Linji/Rinzai
Main article: Rinzai school
The Rinzai school is the Japanese lineage of the Chinese Linji school,
which was founded during the Tang dynasty by Linji Yixuan.
The Rinzai school emphasizes kensho,
insight into one's true nature.[149] This is followed by so-called post-satori practice,
further practice to attain Buddhahood.[150][151][152]

Other Zen-teachers have also expressed sudden insight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Jinul,
a 12th-century Korean Seon master,
followed Zongmi,
and also emphasized that insight into our true nature is sudden,
but is to be followed by practice to ripen the insight and attain full buddhahood.
This is also the standpoint of the contemporary Sanbo Kyodan,
according to whom kenshō is at the start of the path to full enlightenment.[153]

To attain this primary insight and to deepen it,
zazen and kōan-study is deemed essential.
This trajectory of initial insight followed by a gradual deepening and ripening is expressed by Linji in his Three Mysterious Gates and Hakuin Ekaku's Four Ways of Knowing.[154] Another example of depiction of stages on the path are the Ten Bulls,
which detail the steps on the path.

Scripture
Main article: Zen and Sutras

Archaeologist Aurel Stein's 1907 view of Mogao Cave 16,
with altar and sutra scrolls

Tablets of the Tripiṭaka Koreana,
an early edition of the Chinese Buddhist canon,
in Haeinsa Temple,
South Korea
The role of the scripture
Zen is deeply rooted in the teachings and doctrines of Mahāyāna Buddhism.[155] Classic Zen texts,
such as the Platform sutra,
contain numerous references to Buddhist canonical sutras.[156] According to Sharf,
Zen monastics "are expected to become familiar with the classics of the Zen canon".[157] A review of the early historical documents and literature of early Zen masters clearly reveals that they were well versed in numerous Mahāyāna sūtras,[5][note 7][note 8][5][note 9] as well as Mahayana Buddhist philosophy such as Madhyamaka.[124]

Nevertheless,
Zen is often pictured as anti-intellectual.[155] This picture of Zen emerged during the Song Dynasty (960–1297),
when Chán became the dominant form of Buddhism in China,
and gained great popularity among the educated and literary classes of Chinese society.
The use of koans,
which are highly stylized literary texts,
reflects this popularity among the higher classes.[134] The famous saying "do not establish words and letters",
attributed in this period to Bodhidharma,[160]

...was taken not as a denial of the recorded words of the Buddha or the doctrinal elaborations by learned monks,
but as a warning to those who had become confus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teaching as a guide to the truth and mistook it for the truth itself.[161]

What the Zen tradition emphasizes is that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came not through conceptualization but rather through direct insight.[162] But direct insight has to be supported by study and understanding (hori[163]) of the Buddhist teachings and texts.[164][note 10] Intellectual understanding without practice is called yako-zen,
"wild fox Zen",
but "one who has only experience without intellectual understanding is a zen temma,
'Zen devil'".[166]

Grounding Chán in scripture
The early Buddhist schools in China were each based on a specific sutra.
At the beginning of the Tang Dynasty,
by the time of the Fifth Patriarch Hongren (601–674),
the Zen school became established as a separate school of Buddhism.[167] It had to develop a doctrinal tradition of its own to ascertain its position[134] and to ground its teachings in a specific sutra.
Various sutras were used for this even before the time of Hongren: the Śrīmālādevī Sūtra (Huike),[168] Awakening of Faith (Daoxin),[168] the Lankavatara Sutra (East Mountain School),[168][5] the Diamond Sutra[169] (Shenhui),[168] and the Platform Sutra.[5][169] The Chan tradition drew inspiration from a variety of sources and thus did not follow any single scripture over the others.[170] Subsequently,
the Zen tradition produced a rich corpus of written literature,
which has become a part of its practice and teaching.
Other influential sutras are the Vimalakirti Sutra,[171][172][173] Avatamsaka Sutra,[174] the Shurangama Sutra,[175] and the Mahaparinirvana Sutra.[176]

In his analysis of the works of the influential Hongzhou school of Chan,
Mario Poceski notes that they cite the following Mahayana sutras: the Lotus Sutra 法華經,
the Huayan 華嚴經,
the Nirvana 涅盤經,
the Laṅkāvatāra 楞伽經,
the Prajñāpāramitās 般若經,
the Mahāratnakūta 大寶積經,
the Mahāsamnipāta 大集經,
and the Vimalakīrti 維摩經.[177]

Literature
See also: Zen literature
The Zen-tradition developed a rich textual traditio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Buddhist teachings and the recorded sayings of Zen-masters.
Important texts are the Platform Sutra (8th century),
attributed to Huineng ;[134] the Chán transmission records,
teng-lu,[178] such as The Records of the Transmission of the Lamp (Ching-te ch'uan-teng lu),
compiled by Tao-yün and published in 1004;[179] the "yü-lü" genre[180] consisting of the recorded sayings of the masters,
and the encounter dialogues; the koan-collections,
such as the "Gateless Gate" and the "Blue Cliff Record".

Organization and institutions
Main articles: Zen organisation and institutions,
Zen ranks and hierarchy,
Dharma transmission,
and Zen lineage charts
Religion is not only an individual matter,
but "also a collective endeavour".[181] Though individual experience[182] and the iconoclastic picture of Zen[183] are emphasised in the Western world,
the Zen-tradition is maintained and transferred by a high degree of institutionalisation and hierarchy.[184][185] In Japan,
modernity has led to criticism of the formal system and the commencement of lay-oriented Zen-schools such as the Sanbo Kyodan[186] and the Ningen Zen Kyodan.[187] How to organize the continuity of the Zen-tradition in the West,
constraining charismatic authority and the derailment it may bring on the one hand,[188][189][54] and maintaining the legitimacy and authority by limiting the number of authorized teachers on the other hand,[181] is a challenge for the developing Zen-communities in the West.

Narratives
Main article: Zen Narratives
The Chán of the Tang Dynasty,
especially that of Mazu and Linji with its emphasis on "shock techniques",
in retrospect was seen as a golden age of Chán.[134] It became dominant during the Song Dynasty,
when Chán was the dominant form of Buddhism in China,
due to support from the Imperial Court.[134] This picture has gained great popularity in the West in the 20th century,
especially due to the influence of D.T.
Suzuki,[190] and further popularized by Hakuun Yasutani and the Sanbo Kyodan.[182] This picture has been challenged,
and complemented,
since the 1970s by modern scientific research on Zen.[134][191][192][193][194][195]

Modern scientific research on the history of Zen discerns three main narratives concerning Zen,
its history and its teachings: Traditional Zen Narrative (TZN),[196][197] Buddhist Modernism (BM),[190] Historical and Cultural Criticism (HCC).[196] An external narrative is Nondualism,
which claims Zen to be a token of a universal nondualist essence of religions.[198][199]

History
Chinese Chán
Main article: Chinese Chán
See also: Silk Road transmission of Buddhism

Huike Offering His Arm to Bodhidharma,
Sesshū Tōyō (1496).
Zen (Chinese: Chán 禪) Buddhism,
as we know it today,
is the result of a long history,
with many changes and contingent factors.
Each period had different types of Zen,
some of which remained influential,
while others vanished.[134] The history of Chán in China is divided into various periods by different scholars,
who generally distinguish a classical phase and a post-classical period.

Ferguson distinguishes three periods from the 5th century into the 13th century:

The Legendary period,
from Bodhidharma in the late 5th century to the An Lushan Rebellion around 765 CE,
in the middle of the Tang Dynasty.
Little written information is left from this period.[200] It is the time of the Six Patriarchs,
including Bodhidharma and Huineng,
and the legendary "split" between the Northern and the Southern School of Chán.[134]
The Classical period,
from the end of the An Lushan Rebellion around 765 CE to the beginning of the Song Dynasty around 950 CE.[200] This is the time of the great masters of Chán,
such as Mazu Daoyi and Linji Yixuan,
and the creation of the yü-lü genre,
the recordings of the sayings and teachings of these great masters.
The Literary period,
from around 950 to 1250,[200] which spans the era of the Song Dynasty (960–1279).
In this time the gongan-collections were compiled,
collections of sayings and deeds by the famous masters,
appended with poetry and commentary.
This genre reflects the influence of literati on the development of Chán.
This period idealized the previous period as the "golden age" of Chán,
producing the literature in which the spontaneity of the celebrated masters was portrayed.
Although McRae has reservations about the division of Chán-history in phases or periods,[201] he nevertheless distinguishes four phases in the history of Chán:[202]

Proto-Chán (c.
500–600)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420 to 589) and Sui Dynasty (589–618 CE)).
In this phase,
Chán developed in multiple locations in northern China.
It was based on the practice of dhyana and is connected to the figures of Bodhidharma and Huike.
Its principal text is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attributed to Bodhidharma.[203]
Early Chán (c.
600–900) (Tang Dynasty (618–907 CE)).
In this phase Chán took its first clear contours.
Prime figures are the fifth patriarch Daman Hongren (601–674),
his dharma-heir Yuquan Shenxiu (606?–706),
the sixth patriarch Huineng (638–713),
protagonist of the quintessential Platform Sutra,
and Shenhui (670–762),
whose propaganda elevated Huineng to the status of sixth patriarch.
Prime factions are the Northern School,
Southern School and Oxhead school.[204]
Middle Chán (c.
750–1000) (from An Lushan Rebellion (755–763) till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period (907–960/979)).
In this phase developed the well-known Chán of the iconoclastic zen-masters.
Prime figures are Mazu Daoyi (709–788),
Shitou Xiqian (710–790),
Linji Yixuan (died 867),
and Xuefeng Yicun (822–908).
Prime factions are the Hongzhou school and the Hubei faction[note 11] An important text is the Anthology of the Patriarchal Hall (952),
which gives a great amount of "encounter-stories",
and the well-known genealogy of the Chán-school.[207]
Song Dynasty Chán (c.
950–1300).
In this phase Chán took its definitive shape including the picture of the "golden age" of the Chán of the Tang-Dynasty,
and the use of koans for individual study and meditation.
Prime figures are Dahui Zonggao (1089–1163) who introduced the Hua Tou practice and Hongzhi Zhengjue (1091–1157) who emphasized Shikantaza.
Prime factions are the Linji school and the Caodong school.
The classic koan-collections,
such as the Blue Cliff Record were assembled in this period,[208] which reflect the influence of the "literati" on the development of Chán.[209][160] In this phase Chán is transported to Japan,
and exerts a great influence on Korean Seon via Jinul.
Neither Ferguson nor McRae give a periodisation for Chinese Chán following the Song-dynasty,
though McRae mentions "at least a post-classical phase or perhaps multiple phases".[210] According to David McMahan:

During the Ming dynasty (1368–1644) and the Qing Dynasty (1644–1912) Chán was part of a larger,
syncretic Buddhist culture.
A final phase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19th century onward,
when western imperialism had a growing influence in South-East Asia,
including China.
A side effect of this imperial influence was the modernisation of Asian religions,
adapting them to western ideas and rhetorical strategies.[190]

Origins
See also: Han dynasty and Six Dynasties
Before the arrival of the "founder" of Chan,
Bodhidharma,
various Buddhist masters of meditation or dhyana (i.e.
Chan) had taught in China.
These figures also brought with them various meditation texts,
called the Dhyāna sutras (Chinese: 禪經 chan jing).
These early meditation works mainly drew from the teachings of the Sarvāstivāda school of Kashmir.[17] These texts include the translations of the Parthian An Shigao (147–168 CE) like the Anban shouyi jing (Sanskrit: Ānāpānasmṛti-sūtra),
the numerous translations of Kumārajīva (334–413 CE,
such as the Zuochan sanmei jing (Sutra of Sitting Dhyāna samādhi) and those of Buddhabhadra (like the Damoduoluo chan jing,
Dharmatrāta Dhyāna sūtra).[211][212][213] These early meditation texts laid the groundwork for the practices of Chan Buddhism (Zen) and the works of the Tiantai meditation master Zhiyi.[214]

The translation work of Kumārajīva (especially his Prajñāpāramitā translations and his Vimalakirti Sutra),
Buddhabhadra (Avatamsaka Sutra) and Gunabhadra (Lankāvatāra sūtra) were also key formative influences on the origins of Chan.
These Buddhist texts are some of the key sources for later Chan masters.[215] Indeed,
in some early Chan texts (like the Masters of the Lankāvatāra),
it is Gunabhadra,
not Bodhidharma,
which is seen as the first patriarch who transmits the Chan lineage (here seen as synonymous with the Lankāvatāra tradition) from India.[216] The meditation works of the fourth Tiantai patriarch Zhiyi,
such as his monumental Mohezhiguan,
were also important sources on later Chan meditation manuals,
like the Tso-chan-i.[35]

A further possible influence on the origin of Chan Buddhism is Taoism.
Some of the earliest Chinese Buddhists were influenced by Daoist thought and terminology and this has led some scholars to see a Taoist influence on Chan.[217][218][219][220] In his history of Zen,
Heinrich Dumoulin argued that Chan Buddhist developed out of the confluence of Indian Mahayana and Chinese Taoism.[221] Two Chinese disciples of Kumārajīva,
Sengzhao and Tao Sheng were influenced by Taoist works like the Laozi and Zhuangzi.[220] These Sanlun figures in turn had an influence on some early Chan masters.[222]

Proto-Chán

Bodhidharma,
stone carving in Shaolin Temple.
Proto-Chán (c.
500–600) encompasses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period (420 to 589) and Sui Dynasty (589–618 CE).
In this phase,
Chán developed in multiple locations in northern China.
It was based on the practice of dhyana and is connected to the figures of Bodhidharma,
Seng-fu and Huike,
though there is little actual historical information about these early figures and most legendary stories about their life come from later,
mostly Tang sources.
What is known is that they were considered Mahayana meditation masters.[223][134]

An important text from this period is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found in Dunhuang,
and attributed to Bodhidharma.[203] Later sources mention that these figures taught using the Laṅkāvatāra Sūtra though there is no direct evidence of this from the earliest sources.[224][225] According to John McRae,
the earliest Chan sources on these masters show considerable influence from Madhyamaka thought,
while the influence from the Laṅkāvatāra Sūtra is actually much less pronounced and it is questionable if it was there at all with regards to the earliest figures like Bodhidharma and Huike.[223]

Early Chán

Hongren
Early Chán refers to early Tang Dynasty (618–750) Chán.
The fifth patriarch Daman Hongren (601–674),
and his dharma-heir Yuquan Shenxiu (606?–706) were influential in founding the first Chan institution in Chinese history,
known as the "East Mountain school" (Dongshan famen).[226] Hongren taught the practice of shou-hsin,
"maintaining (guarding) the mind," in which "an awareness of True Mind or Buddha-nature within" is maintained,
"[exhorting] the practitioners to unremittingly apply themselves to the practice of meditation."
[227]

Shenxiu was the most influential and charismatic student of Hongren,
he was even invited to the Imperial Court by Empress Wu.[228] Shenxiu also became the target of much criticism by Shenhui (670–762),
for his "gradualist" teachings.
Shenhui instead promoted the "sudden" teachings of his teacher Huineng (638–713) as well as what later became a very influential Chán classic called the Platform Sutra.[229] Shenhui's propaganda campaign eventually succeeded in elevating Huineng to the status of sixth patriarch of Chinese Chán.[230][134] The sudden vs.
gradual debate that developed in this era came to define later forms of Chan Buddhism.[231]

Middle Chán

Mazu
The Middle Chán (c.
750–1000) period runs from the An Lushan Rebellion (755–763) to the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period (907–960/979).
This phase saw the development new schools of Chan.
The most important of these schools is the Hongzhou school of Mazu Daoyi (709–788),
to which also belong Shitou,
Baizhang,
and Huangbo.
This school is sometimes seen as the archetypal expression of Chán,
with its emphasis on the personal expression of insight,
and its rejection of positive statements,
as well as the importance it placed on spontaneous and unconventional "questions and answers during an encounter" (linji wenda) between master and disciple.[125][232]

However,
modern scholars have seen much of the literature that presents these "iconoclastic" encounters as being later revisions during the Song era,
and instead see the Hongzhou masters as not being very radical,
instead promoting pretty conservative ideas,
such as keeping precepts,
accumulating good karma and practicing meditation.[232] The school did produce innovative teachings and perspectives such as Mazu's views that "this mind is Buddha" and that "ordinary mind is the way",
which were also critiqued by later figures,
such as the influential Guifeng Zongmi (780–841),
for failing to differentiate between ignorance and enlightenment.[233]

By the end of the late Tang,
the Hongzhou school was gradually superseded by various regional traditions,
which became known as the Five Houses of Chán.
Shitou Xiqian (710–790) is regarded as the Patriarch of Cáodòng (Jp.
Sōtō) school,
while Linji Yixuan (died 867) is regarded as the founder of Línjì (Jp.
Rinzai) school.
Both of these traditions were quite influential both in and outside of China.
Another influential Chán master of the late Tang was Xuefeng Yicun.
During the later Tang,
the practice of the "encounter dialogue" reached its full maturity.
These formal dialogues between master and disciple may have used absurd,
illogical and iconoclastic language as well as non-verbal forms of communication such as the drawing of circles and physical gestures like shouting and hitting.[234]

It was also common to write fictional encounter dialogues and attribute them to previous Chán figures.[234] An important text from this period is the Anthology of the Patriarchal Hall (952),
which gives many "encounter-stories",
as well as establishing a genealogy of the Chán school.[207] The Great Anti-Buddhist Persecution in 845 was devastating for metropolitan Chan,
but the Chan school of Mazu survived,
and took a leading role in the Chan of the later Tang.[235]

Song Dynasty Chán

Dahui introduced the method of kan huatou,
or "inspecting the critical phrase",
of a kōan story.
This method was called the "Chan of kōan introspection" (Kanhua Chan).[236]
During Song Dynasty Chán (c.
950–1300),
Chán Buddhism took its definitive shap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use of koans for individual study and meditation.
It was also during the Song that Chan literati developed their own idealized history of Chan,
particularly promoting the idea of a Tang "golden age" of Chan.[237] During the Song,
Chán became the largest sect of Chinese Buddhism and had strong ties to the imperial government,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a highly organized system of temple rank and administration.[238]

The dominant form of Song Chán was the Linji school due to support from the scholar-official class and the imperial court.[239] This school developed the study of gong'an ("public case") literature,
which depicted stories of master-student encounters that were seen as demonstrations of the awakened mind.
Most of these stories depicted the idealized encounters of past Chan masters,
particularly from the Tang era,
and show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literati class.[240][237][209][160] The most influential of these works are the Blue Cliff Record,
the Book of Equanimity and The Gateless Gate.[208]

During the 12th century,
a rivalry emerged between the Linji and the Caodong schools for the support of the scholar-official class.
Hongzhi Zhengjue (1091–1157) of the Caodong school emphasized silent illumination or serene reflection (mòzhào) as a means for solitary practice,
which could be undertaken by lay-followers.
The Linji school's Dahui Zonggao (1089–1163) meanwhile,
introduced k'an-hua chan ("observing the word-head" chan),
which involved meditation on the crucial phrase or "punch line" (hua-tou) of a gong'an.[241][242]

The Song also saw the syncretism of Chán and Pure Land Buddhism by Yongming Yanshou (904–975),
which would later become extremely influential.[243] Yongming also echoed Zongmi's work in indicating that the values of Taoism and Confucianism could also be embraced and integrated into Buddhism.
Chán also influenced Neo-Confucianism as well as certain forms of Taoism,
such as the Quanzhen school.[244][245]

During the Song,
Chán was also transported to Japan by figures like Eisai and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Seon via Jinul.

Post-Classical Chán
During the Ming Dynasty,
the Chán school was so dominant that all Chinese monks were affiliated with either the Linji school or the Caodong school.[246]

Some scholars see the post-classical phase as being an "age of syncretism."
[247] The post-classical period saw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the dual practice of Chán and Pure Land Buddhism (known as nianfo Chan),
as seen in the teachings of Zhongfeng Mingben (1263–1323) and the great reformer Hanshan Deqing (1546–1623).
This became a widespread phenomenon and in time much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m was lost,
with many monasteries teaching both Chán meditation and the Pure Land practice of nianfo.[248][249][57]

The Ming dynasty also saw the efforts of figures such as Yunqi Zhuhong (1535–1615) and Daguan Zhenke (1543–1603) to revive and reconcile Chan Buddhism with the practice of Buddhist scriptural study and writing.[247]

In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Chán was "reinvented",
by the "revival of beating and shouting practices" by Miyun Yuanwu (1566–1642),
and the publication of the Wudeng yantong ("The strict transmission of the five Chan schools") by Feiyin Tongrong's (1593–1662),
a dharma heir of Miyun Yuanwu.
The book placed self-proclaimed Chan monks without proper Dharma transmission in the category of "lineage unknown" (sifa weixiang),
thereby excluding several prominent Caodong monks.[250]

Modern era

Xuyun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hán Buddhists of the 19th and 20th centuries.[251]
After further centuries of decline during the Qing Dynasty (1644–1912),
Chán activity was revived again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by a flurry of modernist activity.
This period saw the rise of worldly Chan activism,
what is sometimes called Humanistic Buddhism (or more literally "Buddhism for human life",
rensheng fojiao),
promoted by figures like Jing'an (1851–1912),
Yuanying (1878–1953),
Taixu (1890–1947),
Xuyun (1840–1959) and Yinshun (1906–2005).
These figures promoted social activism to address issues such as poverty and social injustice,
as well as participation in political movements.
They also promoted modern science and scholarship,
including the use of the methods of modern critical scholarship to study the history of Chan.[252]

Many Chán teachers today trace their lineage back to Xuyun,
including Sheng-yen and Hsuan Hua,
who have propagated Chán in the West where it has grown steadily through the 20th and 21st centuries.
Chán Buddhism was repressed in China during the 1960s in the Cultural Revolution,
but in the subsequent reform and opening up period in the 1970s,
a revival of Chinese Buddhism has been taking place on the mainland,
while Buddhism has a significant following in Taiwan and Hong Kong as well as among Overseas Chinese.

Spread outside of China
Vietnamese Thiền
See also: Vietnamese Thiền and Buddhism in Vietnam

Thích Nhất Hạnh leading a namo avalokiteshvaraya chanting session with monastics from his Order of Interbeing,
Germany 2010
Chan was introduced to Vietnam during the early Chinese occupation periods (111 BCE to 939 CE) as Thiền.
During the Lý (1009–1225) and Trần (1225 to 1400) dynasties,
Thiền rose to prominence among the elites and the royal court and a new native tradition was founded,
the Trúc Lâm ("Bamboo Grove") school,
which also contained Confucian and Taoist influences.
In the 17th century,
the Linji school was brought to Vietnam as the Lâm Tế,
which also mixed Chan and Pure land.
Lâm Tế remains the largest monastic order in the country today.[253]

Modern Vietnamese Thiền is influenced by Buddhist modernism.[254] Important figures include Thiền master Thích Thanh Từ (1924–),
the activist and popularizer Thích Nhất Hạnh (1926–2022) and the philosopher Thích Thiên-Ân.
Vietnamese Thiền is eclectic and inclusive,
bringing in many practices such as breath meditation,
nianfo,
mantra,
Theravada influences,
chanting,
sutra recitation and engaged Buddhism activism.

Korean Seon
Main article: Korean Seon
See also: Buddhism in Korea

Jogyesa is the headquarters of the Jogye Order.
The temple was first established in 1395,
at the dawn of the Joseon Dynasty.
Seon (선) was gradually transmitted into Korea during the late Silla period (7th through 9th centuries) as Korean monks began to travel to China to learn the newly developing Chan tradition of Mazu Daoyi and returned home to establish the Chan school.
They established the initial Seon schools of Korea,
which were known as the "nine mountain schools" (九山,
gusan).

Seon received its most significant impetus and consolidation from the Goryeo monk Jinul (1158–1210),
who is considered the most influential figure in the formation of the mature Seon school.
He founded the Jogye Order,
which remains the largest Seon tradition in Korea today.
Jinul founded the Songgwangsa temple as a new center of Seon study and practice.
Jinul also wrote extensive works on Seon,
developing a comprehensive system of thought and practice.
From Dahui Zonggao,
Jinul adopted the hwadu method,
which remains the main meditation form taught in Seon today.

Buddhism was mostly suppressed during the strictly Confucian Joseon Dynasty (1392–1910),
and the number of monasteries and clergy sharply declined.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lso brought numerous modernist ideas and changes to Korean Seon.
Some monks began to adopt the Japanese practice of marrying and having families,
while others such as Yongseong,
worked to resist the Japanese occupation.
Today,
the largest Seon school,
the Jogye,
enforces celibacy,
while the second largest,
the Taego Order,
allows for married priests.
Important modernist figures that influenced contemporary Seon include Seongcheol and Gyeongheo.
Seon has also been transmitted to West,
with new traditions such as the Kwan Um School of Zen.

Japanese Zen
Main article: Japanese Zen
See also: Buddhism in Japan

Sojiji Temple,
of the Soto Zen school,
Tsurumi-ku,
Yokohama,
Japan
Zen was not introduced as a separate school until the 12th century,
when Myōan Eisai traveled to China and returned to establish a Linji lineage,
which eventually perished.[255] Decades later,
Nanpo Shōmyō (南浦紹明) (1235–1308) also studied Linji teachings in China before founding the Japanese Otokan lineage,
the most influential and only surviving lineage of Rinzai in Japan.[255] In 1215,
Dōgen,
a younger contemporary of Eisai's,
journeyed to China himself,
where he became a disciple of the Caodong master Tiantong Rujing.
After his return,
Dōgen established the Sōtō school,
the Japanese branch of Caodong.

The three traditional schools of Zen in contemporary Japan are the Sōtō (曹洞),
Rinzai (臨済),
and Ōbaku (黃檗).
Of these,
Sōtō is the largest,
and Ōbaku the smallest,
with Rinzai in the middle.
These schools are further divided into subschools by head temple,
with two head temples for Sōtō (Sōji-ji and Eihei-ji,
with Sōji-ji having a much larger network),
fourteen head temples for Rinzai,
and one head temple (Manpuku-ji) for Ōbaku,
for a total of 17 head temples.
The Rinzai head temples,
which are most numerous,
have substantial overlap with the traditional Five Mountain System,
and include Myoshin-ji,
Nanzen-ji,
Tenryū-ji,
Daitoku-ji,
and Tofuku-ji,
among others.

Besides these traditional organizations,
there are modern Zen organizations that have especially attracted Western lay followers,
namely the Sanbo Kyodan and the FAS Society.

Zen in the West
See also: Buddhism in the West and Zen in the United State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trace the precise moment when the West first became aware of Zen as a distinct form of Buddhism,
the visit of Soyen Shaku,
a Japanese Zen monk,
to Chicago during the World Parliament of Religions in 1893 is often pointed to as an event that enhanced the profile of Zen in the Western world.
It was during the late 1950s and the early 1960s that the number of Westerners other than the descendants of Asian immigrants who were pursuing a serious interest in Zen began to reach a significant level.
Japanese Zen has gained the greatest popularity in the West.
The various books on Zen by Reginald Horace Blyth,
Alan Watts,
Philip Kapleau and D.
T. Suzuki[citation needed] published between 1950 and 1975,
contributed to this growing interest in Zen in the West,
as did the interest on the part of beat poets such as Jack Kerouac,
Allen Ginsberg and Gary Snyder.[256] In 1958,
the literary magazine Chicago Review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ntroducing Zen to the American literary community[257] when it published a special issue[258] on Zen featuring the aforementioned beat poets and works in translation.
Erich Fromm quotes D.
T. Suzuki in his 1960 book Psychoanalysis and Zen Buddhism.[259]

The publication in 1974 of Zen and the Art of Motorcycle Maintenance by American writer Robert Pirsig brought the application of Zen thinking into a way of understanding non dualism in a practical sense.
Drawing on a wide range of philosophical and logical sources,
the book became the biggest selling work on philosophy ever published.





-------



See also
List of Buddhists
Outline of Buddhism
Timeline of Buddhism
Chinese Chán
101 Zen Stories
Chinso
Shussan Shaka
Katsu
Notes
Dumoulin writes in his preface to Zen. A History. Part One: India and China: "Zen (Chin. Ch'an, an abbreviation of ch'an-na, which transliterates the Sanskrit Dhyāna (Devanagari: ध्यान) or its Pali cognate Jhāna (Sanskrit; Pāli झान), terms meaning "meditation") is the name of a Mahāyāna Buddhist school of meditation originating in China. It is characterized by the practice of meditation in the lotus position (Jpn., zazen; Chin., tso-ch'an and the use of the koan (Chin., kung-an) as well as by the enlightenment experience of satori[2]
It first appears in a Chinese text named the Ju-tao an-hsin yao-fang-pien fa-men (JTFM, Instructions on essential expedients for calming the mind and accessing the path), itself a part of the Leng Ch'ieh Shih TZu Chi (Records of the Masters of the Lankavatara).[28] The Records of the Masters of the Lankavatara is associated with the early Chan tradition known as the "East Mountain School" and has been dated to around 713.[31]
Compare Mazu's "Mind is Buddha" versus "No mind, no Buddha": "When Ch'an Master Fa-ch'ang of Ta-mei Mountain went to see the Patriarch for the first time, he asked, "What is Buddha?"
The Patriarch replied, "Mind is Buddha." [On hearing this] Fa-ch'ang had great awakening.
Later he went to live on Ta-mei mountain. When the Patriarch heard that he was residing on the mountain, he sent one of his monks to go there and ask Fa-ch'ang, "What did the Venerable obtain when he saw Ma-tsu, so that he has come to live on this mountain?"
Fach'ang said, "Ma-tsu told me that mind is Buddha; so I came to live here."
The monk said, "Ma-tsu's teaching has changed recently."
Fa-ch'ang asked, "What is the difference?"
The monk said, "Nowadays he also says, 'Neither mind nor Buddha."'
Fa-ch'ang said, "That old man still hasn't stopped confusing people. You can have 'neither mind nor Buddha,' I only care for 'mind is Buddha."'
The monk returned to the Patriarch and reported what has happened. "The plum is ripe." said the Patriarch."[33]
According to Kalupahana, the influence of Yofacara is stronger in the ts'ao-tung school and the tradition of silent meditation, while the influence of Madhyamaka is clear in the koan-tradition and its stress on insight and the use of paradoxical language.[128]
Nevertheless, the Platform Sutra attempts to reconcile Shenhui's rhetorics with the actual Zen practices, just like later Chan writers like Zong-mi did.[140]
Nevertheless, the classical texts of Chan which seem to reject practice, also contain references to practice.[133] Chieng Cheng: "...in the writings that are associated with [Ma-tsu's] school there is a marked tendency towards elocutionary purity, where all forms of verbal formulation are eschewed, including any instructions about practice. However,the fact that practical advice about day-to-day cultivation is something that is usually lacking in the records of the masters of this tradition does not necessary means that it was not given by them. In the records of Ma-tsu's Hung-chou school there are instances with very clear "gradual" ting [...] In looking for possible reasons for the apparent lack of expedient means in the extant records of the teachings of the Hung-chou school, it might be useful to remind ourselves of the audience to whom the teaching was directed. As the records make it clear, most of the teachings were received by monks who were familiar with the basic Buddhist practices and (ideally) had good command of the doctrinal teachings [...] It seems that the basic practices of worship, study, precepts, and meditation were all too familiar to be regarded as somethingthat was necessary to be recorded."[143]
Sasaki's translation of the Linji yulu contains an extensive biography of 62 pages, listing influential Chinese Buddhist texts that played a role in Song dynasty Chán.[158]
Albert Low: "It is evident that the masters were well versed in the sutras. Zen master Tokusan, for example, knew the Diamond Sutra well and, before meeting with his own Zen master, lectured upon it extensively; the founder of the Zen sect, Bodhidharma, the very one who preached selfrealization outside the scriptures, nevertheless advocated the Lankavatara Sutra; Zen master Hogen knew the Avatamsaka Sutra well, and koan twenty-six in the Mumonkan, in which Hogen is involved, comes out of the teaching of that sutra. Other koans, too, make reference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sutras. The autobiography of yet another Zen master, Hui Neng, subsequently became the Platform Sutra, one of those sutras so condemned by those who reject intellectual and sutra studies"[159]
Poceski: "Direct references to specific scriptures are relatively rare in the records of Mazu and his disciples, but that does not mean that they rejected the canon or repudiated its authority. On the contrary, one of the striking features of their records is that they are filled with scriptural quotations and allusions, even though the full extent of their usage of canonical sources is not immediately obvious and its discernment requires familiarity with Buddhist literature." See source for a full-length example from "one of Mazu's sermons", in which can be found references to the Vimalakīrti Scripture, the Huayan Scripture, the Mahāsamnipata-sūtra, the Foshuo Foming Scripture 佛說佛名經, the Lankāvatāra scripture and the Faju jing.[5]
Hakuin goes as far as to state that the buddhat path even starts with study: "[A] person [...] must first gain wide-ranging knowledge, accumulate a treasure-store of wisdom by studying all the Buddhist sutras and commentaries, reading through all the classic works Buddhist and nonBuddhist and perusing the writings of the wise men of other traditions. It is for that reason the vow states "the Dharma teachings are infinite, I vow to study them all.""[165]
McRae gives no further information on this "Hubei faction". It may be the continuation of Shenxiu's "Northern School". See Nadeau 2012 p.89.[205] Hebei was also the place where the Linji branch of chán arose.[206]
References
Harvey 1995, p. 159–169.
Dumoulin 2005a, p. xvii.
Yoshizawa 2009, p. 41.
Sekida 1989.
Poceski n.d.
Borup 2008, p. 8.
Yampolski 2003a, p. 3.
Dumoulin 2005a, p. 48.
Lievens 1981, p. 52–53.
Dumoulin 2005a, pp. 41–45.
Andre van der Braak (2011), Self Overcoming Without a Self, p.117
Wang 2017, p. 79.
Kasulis 2003, p. 24.
Wang 2017, p. 58.
Zimmer, Ben (28 September 2018). "Zen and the Art of Scrabble Dictionary Maintenance". Wall Street Journal – via www.wsj.com.
Schlütter 2008, p. 169.
Deleanu, Florin (1992); Mindfulness of Breathing in the Dhyāna Sūtras. Transaction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Orientalists in Japan (TICOJ) 37, 42–57.
Buswell, Robert E. Jr.; Lopez, Donald S. Jr. (24 November 2013).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57863.
Wang 2017, p. 59.
Mohr, Michel. 2006. Imagining Indian Zen: Tōrei's Commentary on the Ta-Mo-to-Lo Ch'an Ching and the Rediscovery of Early Meditation Techniques During the Tokugawa Era. In Zen Classics: Formative Texts in the History of Zen Buddhism, edited by Steven Heine, and Dale S. Wright.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215–246.
Fischer-Schreiber, Ehrhard & Diener 2008, p. 103.
Ven. Dr. Yuanci, A Study of the Meditation Methods in the DESM and Other Early Chinese Texts, The Buddhist Academy of China.
Zhang & Stevenson 2002, pp. 27–28.
Zhang & Stevenson 2002, pp. 29–30.
Luk, Charles. The Secrets of Chinese Meditation. 1964. p. 44
Nan, Huai-Chin. Basic Buddhism: Exploring Buddhism and Zen. 1997. p. 92
McRae 1986, p. 115-116.
McRae 1986, p. 143.
Sharf 2014, p. 939, 951.
Sharf 2014, p. 939.
Robert E. Buswell Jr. (2017). The Formation of Ch'an Ideology in China and Korea: The Vajrasamadhi-Sutra, a Buddhist Apocryph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41.
Sharf 2014, p. 945-950.
Cheng Chien Bhikshu 1992.
McRae 2004, p. 39.
Gregory, Peter N. (1986). "Ch 'ang-lu Tsung-tse and Zen Meditation". Traditions of Meditation in Chinese Buddh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Katsuki Sekida, Zen Training: Methods and Philosophy, Shambhala Publications, 2005, p. 60.
Omori Sogen, Introduction To Zen Training, Routledge, 2012, p. 49.
Sheng, Yen. "Fundamentals of Meditation".
Katsuki Sekida, Zen Training: Methods and Philosophy, Shambhala Publications, 2005, p. 61.
Taizan Maezumi, Bernie Glassman (editors) On Zen Practice: Body, Breath, and Mind, pp. 41–42.
Katsuki Sekida, Zen Training: Methods and Philosophy, Shambhala Publications, 2005, p. 64.
Kapleau, P. The Three Pillars of Zen, 2013, p. 12.
Taigen Dan Leighton. Cultivating the Empty Field: The Silent Illumination of Zen Master Hongzhi, Tuttle, 2000, p. 17
Sheng Yen, John Hurrell Crook, Shengyan, Illuminating Silence: The Practice of Chinese Zen, Watkins Publishing,, 2002, p. 93.
Taigen Dan Leighton. Cultivating the Empty Field: The Silent Illumination of Zen Master Hongzhi, Tuttle, 2000, pp. 1–2.
Sōtō Zen Text Project. "Zazengi translation". Stanford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November 2015. Retrieved 15 November 2015.
Sōtō Zen Text Project. "Fukan Zazengi". Stanford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pril 2008. Retrieved 26 March 2008.
Zhang & Stevenson 2002, p. 152.
Blyth 1966.
Buswell, Robert E. (1991). Tracing Back the Radiance: Chinul's Korean Way of Zen (Classics in East Asian Buddh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pp. 68–69. ISBN 0824814274.
Schlütter 2008, p. 116.
McRae 2003, p. 125.
Bodiford 2006, p. 94.
Lachs 2006.
Low 2006, p. 37-39.
Loori 2006, p. [page needed].
Wang 2017, p. 35.
Aitken, Robert, The Practice of Perfection: The Paramitas from a Zen Buddhist Perspectiv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12.
Shohaku Okumura 2012, p. 15.
Sheng Yen, Shengyan, Dharma Drum: The Life and Heart of Chan Practice, Shambhala Publications, 2006.
McRae 2004, p. 32.
Jeffrey Lyle Broughton, Zongmi on Chan, p. 171.
"The ten essential precepts". San Francisco Zen Center.
Kenji Matsuo, A History of Japanese Buddhism, Global Oriental, 2007, p. 32.
Baroni, Helen J.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Zen Buddhism, p. 93.
Borup 2008, p. 247.
Ling, Haicheng (2004). Buddhism in China. Chinese Intercontinental Press, p. 184.
Zhang & Stevenson 2002, p. 56.
Asian American Religious Cultures [2 volumes], edited by Jonathan H. X. Lee, Fumitaka Matsuoka, Edmond Yee, Ronald Y. Nakasone, ABC-CLIO, 2015, p. 470.
Christensen, Matthew B. A Geek in China: Discovering the Land of Alibaba, Bullet Trains and Dim Sum. Tuttle Publishing. p. 40. ISBN 1462918360.
Shahar 2008, pp. 55, 80.
Shahar 2008, pp. 2, 80, 144.
Shahar 2008, p. 147.
Shahar 2008, pp. 138, 173.
Zhang & Stevenson 2002, p. 34–35.
Hideharu Onuma, Dan DeProspero, Jackie DeProspero (1993) "Kyudo: The Essence and Practice of Japanese Archery," p. ix, Kodansha International.
Mann, Jeffrey, When Buddhists Attack: The Curious Relationship Between Zen and the Martial Arts, p. 61.
Takuan Soho, The Unfettered Mind: Writings from a Zen Master to a Master Swordsman, p. xv.
Waddell, Norman (ed. & trans.), Hakuin's Precious Mirror Cave: A Zen Miscellany, 2009, p. 83.
Julian Daizan Skinner (2017), "Practical Zen: Meditation and Beyond," pp. 203–204. Singing Dragon
Hakuin Ekaku (2010), "Wild Ivy: The Spiritual Autobiography of Zen Master Hakuin", p. 150. Shambhala Publications
Addiss & Loori, p. 1.
Addiss & Loori, p. 4.
Addiss & Loori, p. 15.
Shohaku Okumura 2012, p. 1.
Heine & Wright 2008, p. 127.
Kapleau, Phillip (1989a). The Three Pillars of Zen: Teaching, Practice and Enlightenment. NY: Anchor Books, p. 21.
Wilson, Jeff, Mourning the Unborn Dead: A Buddhist Ritual Comes to America
Jiang Wu, Enlightenment in Dispute: The Reinvention of Chan Buddhism in Seventeenth-Century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1, pp. 145–147.
Sheng Yen, Shengyan, Orthodox Chinese Buddhism: A Contemporary Chan Master's Answers to Common Questions, North Atlantic Books, 2007, p. 76.
Repentance Ritual of the Emperor of Liang: A complete translation of Repentance Dharma of Kindness and Compassion in the Bodhimanda, Buddhist Text Translation Society, 2017.
Dumoulin, Heinrich, Zen Enlightenment: Origins and Meaning, Shambhala Publications, 2007, p. 136.
Heine & Wright 2008, pp. 124–125.
Bodiford 1992.
Baroni, Helen J.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Zen Buddhism,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02, p. 215.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p. 926.
"How to Practice Sitting Meditation". Kwan Um School of Zen.
Borup 2008, pp. 218, 241.
Unno, Mark, Shingon Refractions: Myoe and the Mantra of Light, Ch. 1.
Meinert 2015, pp. 277–278.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pp. 298–299.
Meinert 2015, p. 300.
Keyworth, George A. (2016). "Zen and the "Hero's March Spell" of the Shoulengyan jing". The Eastern Buddhist. 47 (1): 81–120. ISSN 0012-8708. JSTOR 26799795.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p. [page needed].
Orzech, Charles D. (November 1989). "Seeing Chen-Yen Buddhism: Traditional Scholarship and the Vajrayāna in China". History of Religions. 29 (2): 87–114. doi:10.1086/463182. ISSN 0018-2710. S2CID 162235701.
Lye, Hun Yeow (2003). Feeding Ghosts: A Study of the Yuqie Yankou Rite (Thesis). University of Virginia. doi:10.18130/v3s82z.
Bloom, Phillip Emmanual (2013). Descent of the Deities: The Water-Land Retreat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Visual Culture of Song-Dynasty (960–1279) Buddhism (Thesis). Harvard University. Retrieved 28 August 2021 – via ProQuest.
Hong, Tsai-Hsia (2007). The Water-Land Dharma Function Platform ritual and the Great Compassion Repentance ritual (Thesis). University of the West. Retrieved 28 August 2021 – via ProQuest.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p. 589.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pp. 617, 635–639.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pp. 924–925.
D. T. Suzuki discusses what he calls "the Shingon elements of Chinese Zen" in his Manual of Zen Buddhism (1960, 21) and "the Chinese Shingon element" in The Training of the Zen Buddhist Monk (1965, 80).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pp. 827–829.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p. 927.
Orzech, Sørensen & Payne 2011, p. 931.
Suzuki 1997, p. 154.
Buswell 1993, p. 245.
Abe & Heine 1996, p. 19.
"Pointing at the moon". Khandro.net. Retrieved 4 February 2013.
"Lankavatara Sutra". Translated by Daisetz Teitaro Suzuki. Lirs.ru. 16 June 2008. chapter LXXXII, p.192, p.223 (224). Retrieved 4 February 2013.
The Surangama Sutra (PDF), translated by Luk, Charles, Buddha Dharma Education Association, pp. 59–6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3 October 2013
Dumoulin 2005a, pp. 85–94.
Lai 1985, p. 17-18.
Cheng 1981.
Lai 1985.
Newland 2001, p. 137.
"Madhyamaka Buddhist Philosophy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Kalupahana 1994, p. 228-236.
Gregory, Peter N. Tsung-Mi and the Sinification of Buddh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p. 7.
Payne, Richard Karl; Leighton, Taigen Dan, eds. (2006). Discourse and Ideology in Medieval Japanese Buddhism. Critical Studies in Buddhism. Routledge. ISBN 978-0415359177.
Buswell 1991, p. 324.
Schlütter 2008, p. 3.
Sharf 2014.
McRae 2003, p. [page needed].
Buswell 1991.
McRae 1991.
Stein 1991, p. 43.
McRae 2004, pp. 57, 63.
Lachs 2012, p. 4.
McRae 2004, p. 60.
Buswell 1991, p. 328-330.
Buswell 1991, p. 335-336.
Cheng Chien Bhikshu 1992, p. 24-25.
Heine & Wright 2000, p. 245.
Tomoaki 2003, p. 280.
Tomoaki 2003, p. 284.
"Soto Zen". The Soto Zen Buddhist Association. Retrieved 19 February 2013.
"Thiền Sư THỦY NGUYỆT hiệu THÔNG GIÁC". Thiền Viện Thường Chiếu (in Vietnamese). Retrieved 17 August 2019.
Dumoulin 2005b, p. 380.
Sekida 1996.
Cleary 2010, p. xii–xiii, quoting Hakuin.
Yen 1996, p. 54).
Kapleau 1989.
Low 2006.
Low 2000.
Yampolski 1967, p. 112–114.
Sharf 1995c, p. 427.
Sasaki 2009.
Low 2000, p. 4.
Welter 2000.
Welter 2000, p. 94.
Yanagida 2009, p. 62.
Hori 2000, p. 296.
Hori 2000, p. 295-297.
Yoshizawa 2009, p. 42.
Hori 2000, p. 297.
Ferguson 2000, p. 17.
Lai 2003, p. 17.
McRae 2003, p. 62.
Lai 2003, p. 18.
Dumoulin 2005a, pp. 49–51.
Snelling 1987, p. 157-158.
Low 2000, p. 83-112.
Dumoulin 2005a, pp. 45–49.
Low 2000, p. 135-154.
Lai 2003.
"thezensite: Attitudes Towards Canonicity and Religious Authority in Tang Chan". www.thezensite.com. Retrieved 23 December 2022.
Welter 2000, p. 82-86.
Welter 2000, p. 83.
Chappell 1993, p. 192.
Koné 2000.
Sharf 1995b.
McRae 2002.
Borup 2008, p. [page needed].
Hori 1994.
Sharf 1995c.
"Start your Zen meditation practice with an authentic Zen Master of Ningen Zen Kyodan". Ningen Zen Meditation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rch 2013. Retrieved 4 February 2013.
Bell 2002.
Lachs 1999.
McMahan 2008.
Sharf 1993.
Sharf 1995a.
McRae 2005.
Heine 2007.
Jorgensen 1991.
Heine 2008, p. 6.
"Andre van de Braak, ZEN SPIRITUALITY IN A SECULAR AGE. Charles Taylor and Zen Buddhism in the West". Retrieved 4 February 2013.
Wolfe 2009, p. iii.
Katz 2007.
Ferguson 2000, p. 3.
McRae 2003, p. 11-15.
McRae 2003, p. 11-21.
McRae 2003, p. 13, 15–17.
McRae 2003, p. 13, 17–18.
Nadeau 2012, p. 89.
Yanagida 2009, p. 63.
McRae 2003, p. 13, 18–19.
McRae 2003, p. 13, 19–21.
Gimello 1994.
McRae 2003, p. 13.
Phra Kiattisak Ponampon Kittipanyo (2014), Mission, Meditation and Miracles: An Shigao in Chinese Tradition, MA thesis, Dunedin, NZ: University of Otago.
Yuanci. "A Study of the Meditation Methods in the DESM and Other Early Chinese Texts" (PDF). The Buddhist Academy of China.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8 May 2013.
Chan, Yiu-wing (2013).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Dharmatrta-Dhyna Sutra (PDF) (PhD). University of Hongko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May 2015.
Thich Hang Dat. A REAPPRAISAL OF KUMĀRAJĪVA'S ROLE IN MEDIEVAL CHINESE BUDDHISM: AN EXAMINATION OF KUMĀRAJĪVA'S TRANSLATION TEXT ON "THE ESSENTIAL EXPLANATION OF THE METHOD OF DHYANA" (PDF) (Thes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8 May 2015. Retrieved 18 May 2015.
Dumoulin 2005a, pp. 50–55, 66, 68–69.
van Schaik, Sam (2019). The Spirit of Zen, p. 55. Yale University Press.
Verstappen 2004, p. 5.
Fowler 2005, p. 79.
Grigg 1994.
Dumoulin 2005a, pp. 70 & 74.
Dumoulin 2005a, pp. xx, 65, 68, 148, 167–168, 190.
Dumoulin 2005a, pp. 71–77.
McRae 1986, pp. 19–29.
Yampolski 1967, p. 29, note 87.
Wang 2017, p. 4.
Wang 2017, p. 5.
Cheng Chien Bhikshu 1992, p. 9.
Wang 2017, p. 6.
Wang 2017, p. 7-9.
Dumoulin 2005a, p. [page needed].
Ray, Gary L. The Northern Ch'an School And Sudden Versus Gradual Enlightenment Debates In China And Tibet, Institute Of Buddhist Studies Berkeley.
Wang 2017, p. 13.
Wang 2017, p. 14.
Wang 2017, p. 20.
Yampolski 2003a, p. 15.
Yu, Chun-Fang, 1979, Ta-hui Tsung-kao and Kung-an Ch'an,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v. 6, p. 211-235
McRae 2003, pp. 119–120.
Yampolski 2003b, p. 266.
Welter 2006.
Wang 2017, p. 23, 27.
Schlütter 2008.
Wang 2017, p. 29.
Heng-Ching Shih (1987). Yung-Ming's Syncretism of Pure Land and Chan, Th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10 (1), p. 117
Wang 2017, p. 31.
Littlejohn, Ronnie. "Daoist Philosophy". Th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ISSN 2161-0002.
Stanley Weinstein, "The Schools of Chinese Buddhism," in Kitagawa & Cummings (eds.), Buddhism and Asian History (New York: Macmillan 1987) pp. 257–265, 264.
Wang 2017, p. 34.
Sharf 2002.
Keown, Damien. A Dictionary of Buddhism. 2003. p. 104
Meng-Tat Chia 2011.
Buswell, Robert Jr; Lopez, Donald S. Jr., eds. (2013). "Xuyun", in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017. ISBN 9780691157863.
Wang 2017, p. 38-39.
Powers, John, A Concise Encyclopedia of Buddhism, Oneworld Publications, 2013, p.238
Borup, Jørn; Qvortrup Fibiger, Marianne; Eastspirit: Transnational Spirituality and Religious Circulation in East and West, BRILL, 2017, p. 168.
"Rinzai-Obaku Zen – What is Zen? – History". Zen.rinnou.net. Retrieved 4 February 2013.
Aitken 1994.
Josephine Nock-Hee Park, Apparitions of Asia: modernist form and Asian American poetics, p. 63
Watts, Alan W. (1958). "Beat Zen, Square Zen, and Zen". Chicago Review. Vol. 12, no. 2. pp. 3–11. JSTOR 25293448.
Fromm, Erich (1960). Psychoanalysis and Zen Buddhism. George Allen & Unwin. ISBN 0-04-616029-9.
Sources
Printed sources
Abe, Masao (1989), Zen and Western Thought, translated by William R. LeFleur, University of Hawaii Press
Abe, Masao; Heine, Steven (1996), Zen and Comparative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Press
Addiss, Stephen; Loori, John Daido, The Zen Art Book: The Art of Enlightenment
Aitken, Robert (1994), Foreword to "A Buddhist Bible", Boston, Massachusetts: Beacon Press
Anderson, Reb (2000), Being Upright: Zen Meditation and the Bodhisattva Precepts, Rodmell Press
Arokiasamy, Arul M. (2005), Zen: Awakening to Your Original Face, Chennai, India: Thiruvanmiyur
Batchelor, Martine (2004), The Path Of Compassion: The Bodhisattva Precepts, Rowman Altamira
Bell, Sandra (2002), "Scandals in emerging Western Buddhism" (PDF), Westward Dharma: Buddhism beyond Asia,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230–242
Benesch, Oleg (2016), Reconsidering Zen, Samurai, and the Martial Arts, The Asia Pacific Journal: Japan Focus
Bodiford, William M. (1992), "Zen in the Art of Funerals: Ritual Salvation in Japanese Buddhism", History of Religions, 32 (2): 150, doi:10.1086/463322, S2CID 161648097
Bodiford, William M. (1993), Sōtō Zen in Medieval Jap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0-8248-1482-7
Bodiford, William M. "Koan practice". In Loori (2006).
Borup, Jørn (2008), Japanese Rinzai Zen Buddhism: Myōshinji, a Living Religion, Brill Publishers
Braak, Andre van der. Reimagining Zen in a Secular age: Charles Taylor and Zen Buddhism in the West (Brill Rodopi, 2020) online review
Broughton, Jeffrey L. (1999), The Bodhidharma Anthology: The Earliest Records of Ze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21972-4
Brown Holt, Linda (1995), "From India to China: Transformations in Buddhist Philosophy", Qi: The Journal of Traditional Eastern Health & Fitness
Buswell, Robert E. "The "Short-cut" Approach of K'an-hua Meditation: The Evolution of a Practical Subitism in Chinese Ch'an Buddhism". In Gregory (1991).
Buswell, Robert E. "Ch'an Hermeneutics: A Korean View". In Lopez (1993).
Blyth, R. H. (1966), Zen and Zen Classics, Volume 4, Tokyo: Hokuseido Press
Chappell, David W. "Hermeneutical Phases in Chinese Buddhism". In Lopez (1993).
Cheng, Hsueh-Li (1981), "The Roots of zen Buddhism",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8 (4): 451–478, doi:10.1111/j.1540-6253.1981.tb00267.x
Cheng Chien Bhikshu (1992), "Introduction", Sun-Face Buddha. The Teachings of Ma-tsu and the Hung-chou School of Ch'an, Asian Humanities Press
Cleary, Thomas (2010), Translator's introduction. The Undying Lamp of Zen. The Testament of Zen Master Torei, Boston & London: Shambhala Publications
Collins, Randall (2000), The Sociology of Philosophies: A Global Theory of Intellectual Change, Harvard University Press
Dumoulin, Heinrich (2000), A History of Zen Buddhism,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Dumoulin, Heinrich (2005a),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1: India and China,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89-1
Dumoulin, Heinrich (2005b),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2: Japan,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90-7
Faure, Bernard (2000), Visions of Power. Imaging Medieval Japanese Buddhism,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Ferguson, Andy (2000), Zen's Chinese Heritage, Boston, MA: Wisdom Publications, ISBN 0-86171-163-7
Fischer-Schreiber, Ingrid; Ehrhard, Franz-Karl; Diener, Michael S. (2008), Lexicon Boeddhisme. Wijsbegeerte, religie, psychologie, mystiek, cultuur en literatuur, Asoka
Ford, James Myoun, A Note On Dharma Transmission And The Institutions Of Zen
Foulk, T. Griffith (n.d.), History of the Soto Zen School
Fowler, Merv (2005), Zen Buddhism: Beliefs and Practices, Sussex Academic Press, ISBN 9781902210421
Gimello, Robert M. (1994), Marga and Culture: Learning, Letters, and Liberation in Northern Sung Ch'an. In: Buswell & Gimello (editors)(1994), Paths to Liberation. Pages 475–505,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Goddard, Dwight (2007), "History of Ch'an Buddhism previous to the times of Hui-neng (Wie-lang)", A Buddhist Bible, Forgotten Books, ISBN 9781605061047
Gregory, Peter N., ed. (1991). Sudden and Gradual. Approaches to Enlightenment in Chinese Thought.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Gregory, Peter N. (1991a). "Sudden Enlightenment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Tsung-mi's Analysis of mind". In Gregory (1991).
Gregory, Peter N. "What Happened to the "Perfect Teaching"? Another lOok at Hua-yen Buddhist hermeneutics". In Lopez (1993).
Grigg, Ray (1994), The Tao Of Zen, Charles E. Tuttle Company
Harvey, Peter (1995),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Haskel, Peter (1984), Bankei Zen. Translations from The Record of Bankei, New York: Grove Weidenfeld
Heine, Steven; Wright, Dale S. (2000). The Koan: Texts and Contexts in Zen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1748-4.
Heine, Steven (2007), "A Critical Survey of Works on Zen since Yampolsky.", Philosophy East & West, 57 (4): 577–592, doi:10.1353/pew.2007.0047, S2CID 170450246
Heine, Steven; Wright, Dale S., eds. (2008). Zen Ritual: Studies of Zen Buddhist Theory in Practice. USA: Oxford University Press.
Heine, Steven (2008), Zen Skin, Zen Marrow
Hisamatsu, Shin'ichi; Gishin Tokiwa; Christopher Ives (2002), Critical Sermons of the Zen Tradition: Hisamatsu's Talks on Linji, University of Hawaii Press
Hori, Victor Sogen (1994),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Zen Rinzai Monastery" (PDF), Journal of Japanese Studies, 20 (1): 5–35, doi:10.2307/132782, JSTOR 13278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7 July 2018, retrieved 16 July 2012
Hori, Victor Sogen. "Koan and Kensho in the Rinzai Zen Curriculum". In Heine & Wright (2000).
Hori, Victor Sogen (2005), Introduction, Zen Buddhism: A History (PDF), by Dumoulin, Heinrich, Vol. 2: Japan, translated by Heisig, James W.; Knitter, Paul, World Wisdom Books, p. xiii–xxi, ISBN 978-0-941532-90-7
Hu Shih (1953), "Ch'an (Zen) Buddhism in China. Its History and Method", Philosophy East & West, 3 (1): 3–24, doi:10.2307/1397361, JSTOR 1397361
Huaijin, Nan (1997), Basic Buddhism: Exploring Buddhism and Zen, York Beach: Samuel Weiser
Isshū, Miura; Sasaki, Ruth F. (1993), The Zen Koan, New York: Harcourt Brace & Company, ISBN 0-15-699981-1
Jaksch, Mary (2007), The Road to Nowhere. Koans and the Deconstruction of the Zen Saga (PDF)
Jorgensen, John (1991), "Heinrich Dumoulin's Zen Buddhism: A History", 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18 (4), doi:10.18874/jjrs.18.4.1991.377-400
Kalupahana, David J. (1992), The Principles of Buddhist Psychology, Delhi: ri Satguru Publications
Kalupahana, David J. (1994), A history of Buddhist philosophy,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Kapleau, Philip (1989), The three pillars of Zen
Kasulis, Thomas P. (2003), Ch'an Spirituality. In: Buddhist Spirituality. Later China, Korea, Japan and the Modern World; edited by Takeuchi Yoshinori, Delhi: Motilal Banarsidass
Katz, Jerry (2007), One: Essential Writings on Nonduality, Sentient Publications
Koné, Alioune (2000), Zen In Europe: A Survey of the Terri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y 2012, retrieved 16 July 2012
Lachs, Stuart (1999), Means of Authorization: Establishing Hierarchy in Ch'an /Zen Buddhism in America
Lachs, Stuart (2002), Richard Baker and the Myth of the Zen Roshi
Lachs, Stuart (2006), The Zen Master in America: Dressing the Donkey with Bells and Scarves
Lachs, Stuart (2011), When the Saints Go Marching In: Modern Day Zen Hagiography (PDF)
Lachs, Stuart (2012), Hua-t'ou : A Method of Zen Meditation (PDF)
Lai, Whalen (1985), "Ma-Tsu Tao-I And The Unfolding Of Southern Zen", 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12 (2/3): 173–192, doi:10.18874/jjrs.12.2-3.1985.173-192
Lai, Whalen (2003), Buddhism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In Antonio S. Cua (ed.): Encyclopedia of Chinese Philosophy (PDF), New York: Routled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2 November 2014
Lathouwers, Ton (2000), Meer dan een mens kan doen. Zentoespraken, Rotterdam: Asoka
Liang-Chieh (1986), The Record of Tung-shan, translated by William F. Powell, Kuroda Institute
Lievens, Bavo (1981), Ma-tsu. De gesprekken, Bussum: Het Wereldvenster
Loori, John Daido (2006), Sitting with Koans: Essential Writings on Zen Koan Introspection, Somerville, MA: Wisdom Publications, ISBN 0-86171-369-9
Lopez, Donald S., Jr., ed. (1993). Buddhist Hermeneutics. Delhi: Motilal Banarsidass.
Low, Albert (2000), Zen and the Sutras, Boston: Turtle Publishing
Low, Albert (2006), Hakuin on Kensho. The Four Ways of Knowing, Boston & London: Shambhala
Maezumi, Taizan; Glassman, Bernie (2007), The Hazy Moon of Enlightenment, Wisdom Publications
Matthiessen, Peter (1987), Nine-headed dragon river: Zen journals, 1969–1985, Shambhala
McCauley, Charles (2005), Zen and the Art of Wholeness, iUniverse
McMahan, David L.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8327-6
McRae, John (1986), The Northern School and the Formation of Early Chʻan Buddh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McRae, John. "Shen-hui and the Teaching of Sudden Enlightenment in Early Ch'an Buddhism". In Gregory (1991).
McRae, John (2002), {{citation}}: Missing or empty |title= (help)[full citation needed]
McRae, John (2003), Seeing Through Zen, The University Press Group Ltd, ISBN 978-0-520-23798-8
McRae, John (2004), Seeing through Zen. Encounter, Transformation, and Genealogy in Chinese Chan Buddh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3798-8
McRae, John (2005), Critical introduction by John McRae to the reprint of Dumoulin's A history of Zen (PDF)
McRae, John (2008),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translated from the Chinese of Zongbao (Taishō Volume 48, Number 2008)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August 2012
Meinert, Carman, ed. (2015), Transfer of Buddhism Across Central Asian Networks (7th to 13th Centuries), BRILL
Meng-Tat Chia, Jack (2011), "A Review of Enlightenment in Dispute: The Reinvention of Chan Buddhism in Seventeenth-Century China" (PDF), Journal of Buddhist Ethics, 18
Mumon, Yamada (2004), The Ten Oxherding Pictures, translated by Victor Sōgen Hori, University of Hawai'i Press
Nadeau, Randall L. (2012), The Wiley-Blackwell Companion to Chinese Religions, John Wiley & Sons
Newland, Guy (2001), Schijn en werkelijkheid. De twee waarheden in de vier boeddhistische leerstelsels, KunchabPublicaties
Oh, Kang-nam (2000), "The Taoist Influence on Hua-yen Buddhism: A Case of the Scinicization of Buddhism in China", Chung-Hwa Buddhist Journal (13)
Orzech, Charles D.; Sørensen, Henrik Hjort; Payne, Richard Karl (2011). Esoteric Buddhism and the Tantras in East Asia. Leiden: BRILL. ISBN 978-90-04-20401-0. OCLC 731667667.
Pajin, Dusan (1988), "On Faith in Mind – Translation and Analysis of the Hsin Hsin Ming", Journal of Oriental Studies, 26 (2): 270–288
Poceski, Mario (n.d.), Attitudes Towards Canonicity and Religious Authority in Tang Chan
Sato, Kemmyō Taira, D.T. Suzuki and the Question of War (PDF)
Sasaki, Ruth Fuller (2009), The Record of Linji. Translation and commentary by Ruth Fuller Sasaki. Edited by Thomas Yūhō Kirchner (PDF),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Schlütter, Morten (2008), How Zen became Zen. The Dispute over Enlightenment and the Formation of Chan Buddhism in Song-Dynasty Chin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3508-8
Sekida, Katsuki (1989), Zen Training: Methods and Philosophy, Shambhala
Sekida, Katuski (1996), Two Zen Classics. Mumonkan, the gateless gate. Hekiganroku, the blue cliff record, New York & Tokyo: Weatherhill
Shahar, Meir (2008), The Shaolin Monastery: History, Religion, and the Chinese Martial Arts, University of Hawaii Press
Sharf, Robert H. (1993), "The Zen of Japanese Nationalism", History of Religions, 33 (1): 1–43, doi:10.1086/463354, S2CID 161535877
Sharf, Robert H. (1995a), Whose Zen? Zen Nationalism Revisited (PDF)
Sharf, Robert H. (1995b), "Buddhist Modernism and the Rhetoric of Meditative Experience" (PDF), NUMEN, 42 (3): 228–283, doi:10.1163/1568527952598549, hdl:2027.42/43810
Sharf, Robert H. (1995c), "Sanbokyodan. Zen and the Way of the New Religions" (PDF), 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22 (3–4), doi:10.18874/jjrs.22.3-4.1995.417-458
Sharf, Robert (2002), {{citation}}: Missing or empty |title= (help)[full citation needed]
Sharf, Robert (2014), "Mindfullness and Mindlessness in Early Chan" (PDF), Philosophy East & West, 64 (4): 933–964, doi:10.1353/pew.2014.0074, S2CID 144208166
Shimano, Eido T. (1991), Points of Departure: Zen Buddhism With a Rinzai View, Livingston Manor, NY: The Zen Studies Society Press, ISBN 0-9629246-0-1
Shohaku Okumura (2012). Living by Vow: A Practical Introduction to Eight Essential Zen Chants and Texts. Simon and Schuster.
Snelling, John (1987), The Buddhist handbook. A Complete Guide to Buddhist Teaching and Practice, London: Century Paperbacks
Stein, R.A. "Sudden Illumination or Simultaneous Comprehension: Remarks on Chinese and Tibetan Terminology". In Gregory (1991).
Suzuki, Shunryu (1997), Branching streams flow in the darkness: Zen talks on the Sandokai,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22267
Swanson, Paul L. (1993), "The Spirituality of Emptiness in Early chinese Buddhism", in Takeuchi Yoshinori (ed.), Buddhist Spirituality. Indian, Southeast Asian, Tibetan, Early Chinese, New York: Crossroad
Tetsuo, Otani (2003), To Transmit Dogen Zenji's Dharma (PDF)
Tomoaki, Tsuchida (2003), "The Monastic spirituality of Zen Master Dogen", in Takeuchi Yoshinori (ed.), Buddhist Spirituality. Indian, Southeast Asian, Tibetan, Early Chinese, Delhi: Motilal Banarsidass
Torei (2010), The Undying Lamp of Zen. The Testament of Zen Master Torei, translated by Thomas Cleary, Boston & London: Shambhala
Tweed, Thomas A. (2005), "American Occultism and Japanese Buddhism. Albert J. Edmunds, D. T. Suzuki, and Translocative History" (PDF), 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32 (2): 249–28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May 2012
Verstappen, Stefan H. (2004), Blind Zen, ISBN 9781891688034
Victoria, Brian Daizen (2006), Zen at war (2nd ed.), Lanham e.a.: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Victoria, Brian Daizen (2010), "The "Negative Side" of D. T. Suzuki's Relationship to War" (PDF), The Eastern Buddhist, 41 (2): 97–138
Waddell, Norman (2010), Foreword to "Wild Ivy: The Spiritual Autobiography of Zen Master Hakuin", Shambhala Publications
"The Diamond Sutra", A Buddhist Bible, translated by Wai-tao, Boston, Massachusetts: Beacon Press, 1994
Wang, Youru (2017). Historical Dictionary of Chan Buddhism. Rowman & Littlefield. ISBN 9781538105528.
Wayman, Alex and Hideko (1990), The Lion's roar of Queen Srimala,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Welter, Albert (2002), The Textual History of the Linji lu (Record of Linji): The Earliest Recorded Fragments
Welter, Albert (2006), The Formation of the Linji lu: An Examination of the Guangdeng lu/Sijia yulu and Linji Huizhao Chanshi yulu. Versions of the Linji lu in Historical Context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6 March 2013
Welter, Albert. "Mahakasyapa's smile. Silent Transmission and the Kung-an (Koan) Tradition". In Heine & Wright (2000).
Wolfe, Robert (2009), Living Nonduality: Enlightenment Teachings of Self-Realization, Karina Library
Wright, Dale S. (2010), "Humanizing the Image of a Zen master: Taizan Maezumi Roshi", in Steven Heine and Dale S. Wright (ed.), Zen Master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Yampolski, Philip (1967),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Translated with notes by Philip B. Yampolsky,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0-231-08361-0
Yampolski, Philip (2003a), "Chan. A Historical Sketch.", in Takeuchi Yoshinori (ed.), Buddhist Spirituality. Indian, Southeast Asian, Tibetan, Early Chinese, Delhi: Motilal Banarsidass
Yampolski, Philip (2003b), "Zen. A Historical Sketch", in Takeuchi Yoshinori (ed.), Buddhist Spirituality. Indian, Southeast Asian, Tibetan, Early Chinese, Delhi: Motilal Banarsidass
Yanagida, Seizan (2009),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Record of Linji. In: The record of Linji, translated by Ruth Fuller Sasakia e.a. Pages 59–115 (PDF), University of Hawaii Press
Yen, Chan Master Sheng (1996), Dharma Drum: The Life and Heart of Ch'an Practice, Boston & London: Shambhala
Yoshizawa, Katsuhiro (2009), The Religious Art of Zen Master Hakuin, Counterpoint Press
Young, Stuart (2009), Linji Lu and Chinese Orthodoxy. Review of "Albert Welter. The Linji lu and the Creation of Chan Orthodoxy: The Development of Chan's Records of Sayings Literature.
Zhang, Shengyen; Stevenson, Dan (2002), Hoofprint of the Ox: Principles of the Chan Buddhist Path as Taught by a Modern Chinese Master, Oxford University Press
Further reading
Modern popular works
D.T. Suzuki, Essays in Zen Buddhism, First Series (1927), Second Series (1933), Third Series (1934)
R. H. Blyth, Zen and Zen Classics, 5 volumes (1960–1970; reprints of works from 1942 into the 1960s)
Alan Watts, The Way of Zen (1957)
Lu K'uan Yu (Charles Luk), Ch'an and Zen Teachings, 3 vols (1960, 1971, 1974), The Transmission of the Mind: Outside the Teaching (1974)
Paul Reps & Nyogen Senzaki, Zen Flesh, Zen Bones (1957)
Philip Kapleau, The Three Pillars of Zen (1966)
Shunryu Suzuki, Zen Mind, Beginner's Mind (1970)
Katsuki Sekida, Zen Training: Methods & Philosophy (1975)
Classic historiography
Dumoulin, Heinrich (2005),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1: India and China. World Wisdom Books.ISBN 978-0-941532-89-1
Dumoulin, Heinrich (2005),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2: Japan. World Wisdom Books.ISBN 978-0-941532-90-7
Critical historiography
Overview

Heine, Steven (2007), "A Critical Survey of Works on Zen since Yampolsky" (PDF), Philosophy East & West, 57 (4): 577–592, doi:10.1353/pew.2007.0047, S2CID 170450246
Formation of Chán in Tang & Song China

McRae, John (2004), The Sutra of Queen Śrīmālā of the Lion's Roar and the Vimalakīrti Sutra (PDF), Berkeley, CA: Numata Center for Buddhist Translation and Research, ISBN 18864393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2 September 2014
Welter, Albert (2000), "Mahakasyapa's smile. Silent Transmission and the Kung-an (Koan) Tradition", in Steven Heine; Dale S. Wright (eds.), The Koan: Texts and Contexts in Zen Buddh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Schlütter, Morten (2008), How Zen became Zen. The Dispute over Enlightenment and the Formation of Chan Buddhism in Song-Dynasty Chin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3508-8
Japan

Bodiford, William M. (1993), Sōtō Zen in Medieval Jap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0-8248-1482-7
Modern times

Victoria, Brian Daizen (2006), Zen at war (Second ed.), Lanham e.a.: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Orientalism and East-West interchange

Borup, Jorn (n.d.), Zen and the Art of inverting Orientalism: religious studies and genealogical networks
King, Richard (2002), Orientalism and Religion: Post-Colonial Theory, India and "The Mystic East", Routledge
McMahan, David L.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ISBN 978-0-19-518327-6
Contemporary practice
Borup, Jørn (2008), Japanese Rinzai Zen Buddhism: Myōshinji, a Living Religion, Brill
Hori, Victor Sogen (1994),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Zen Rinzai Monastery" (PDF), Journal of Japanese Studies (1): 5–35, doi:10.2307/132782, JSTOR 132782
Buswell, Robert E. (1993a), The Zen Monastic Experience: Buddhist Practice in Contemporary Korea, Princeton University Press
External links

Wikimedia Commons has media related to Zen Buddhism.

Look up 禪 in Wiktionary, the free dictionary.

Look up 禅 in Wiktionary, the free dictionary.

Wikiquote has quotations related to Zen proverbs.

Look up zen in Wiktionary, the free dictionary.
thezensite
Zen Buddhism WWW Virtual Library
Chart of (Asian) Zen schools
Glossary of Japanese Zen term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entry on Japanese Zen Buddhism
What is Zen Buddhism?
vte
Zen
vte
Topics in Buddhism
vte
Religion
Authority control: National libraries Edit this at Wikidata
France (data)GermanyIsraelUnited StatesJapanCzech Republic
Categories: ZenNondualismYogacaraBuddhism in the Kamakura periodBuddhism in the Muromachi period



● From 대만불광사전
선종
【禪宗】 p6455-中≫
又稱佛心宗․達磨宗․無門宗.
指以菩提達磨爲初祖,
探究心性本源,
以期「見性成佛」之大乘宗派.
中國十三宗之一,
日本十三宗之一.
中國自古以專意坐禪者之系統爲禪宗,
兼含天台․三論二系,
而不限於達磨宗;唐中葉以降,
達磨宗興盛,
禪宗遂專指達磨宗而言.
 xxxxxx本宗傳承,
中國以釋尊在靈山會上拈花․迦葉微笑爲其濫觴.
蓋此說雖無史實根據,
然爲强調六祖以來之禪「以心傳心」․「敎外別傳」,
故特重此迦葉付法相承之說.
迦葉以後,
經阿難․商那和修․優婆毛匊多․提多迦․彌遮迦․婆須蜜․佛陀難提․伏馱蜜多․婆栗濕婆․富那夜奢․阿那菩提․迦毘摩羅․那伽閼剌樹那․迦那提婆․羅睺羅多․僧伽難提․伽耶舍多․鳩摩羅多․闍夜多․婆須槃頭․摩拏羅․鶴勒那․師子菩提․婆舍斯多․不如蜜多․般若多羅,
至菩提達磨,
凡二十八人,
是卽本宗西天二十八祖.
菩提達磨於梁武帝普通年間(520~527)自南天竺抵建業(今南京),
傳本宗入我國,
故亦爲我國禪宗初祖.
 達磨初來中國,
謁梁武帝,
然不契機,
遂至嵩山少林寺面壁九年,
人稱壁觀婆羅門,
神光(慧可)立雪斷臂,
志求佛法,
終得達磨所傳心印,
爲中國禪宗第二祖.
慧可傳僧璨,
僧璨傳道信,
本宗漸盛.
道信之下有弘忍․法融二傑.
法融之下有智儼․慧方․法持等,
此法系以住於金陵牛頭山之故,
世稱牛頭禪;以「欲得心淨,
無心用功」爲其要旨.
五祖弘忍住蘄州(湖北)黃梅山,
闡揚金剛般若經奧旨,
門下俊秀輩出,
有玉泉神秀․大鑑慧能․嵩山慧安․蒙山道明․資州智侁等.
 五祖之門人中,
以神秀爲第一上首,
稱「秀上座」.
五祖示寂後,
神秀於北方振錫,
故亦稱「北秀」,
門下俊秀輩出,
被尊爲北宗禪之祖.
北宗以長安․洛陽爲中心,
法運昌隆約一百年,
主張以篤踐實履之精神修行禪法.
神秀之下有嵩山普寂․京兆義福等,
傳四․五世卽告斷絶.
此外,
嵩山慧安開出「老安禪」,
資州智侁開出「南侁禪」.
大鑑慧能因一偈受五祖印可․傳衣鉢,
繼爲第六祖.
其後避難南方,
住韶陽(廣東)曹溪,
大振禪風,
是爲南宗禪之祖.
以南․北二宗宗風之異,
遂有「南頓北漸」之說.
慧能之嗣法弟子有四十餘人,
以南嶽懷讓․靑原行思․南陽慧忠․永嘉玄覺․荷澤神會爲著名.
其中,
荷澤神會開出「荷澤宗」,
極力提倡頓悟法門,
而以「一念不起」爲「坐」,
「了見本性」爲「禪」.
 南嶽懷讓從六祖蒙受心印,
住般若寺,
接化達三十年,
嗣法弟子有九人,
以馬祖道一居首座.
馬祖於江西龔公山擧揚禪法,
機鋒峻烈,
開喝棒豎拂之禪風,
世稱「洪州宗」.
主張起心動念․揚眉瞬目等日常身心活動皆爲佛性,
而有「見性是佛」․「性在作用」之說.
馬祖門下百餘人,
以百丈懷海․南泉普願․西堂智藏․大梅法常․章敬懷暉․大珠慧海爲著.
 自懷海於百丈山創建禪刹․訂立淸規之後,
禪宗始脫離禪僧寄住律寺之制.
百丈之下有黃檗希運․潙山靈祐等,
希運之下有臨濟義玄.
義玄設立三玄三要․四料簡等接化徒衆,
機鋒峻嚴,
門徒衆多,
蔚成臨濟宗,
此時已是晩唐.
及至宋代,
又自臨濟義玄,
經興化存獎․南院慧顒․風穴延沼․首山省念․汾陽善沼,
七傳至石霜楚圓,
門下黃龍慧南․楊岐方會復各衍出黃龍․楊岐二派,
而與曹洞․雲門等宗竝立.
潙山靈祐獨棲潭州(湖南),
參學者多達一千五百人,
門下以仰山慧寂爲最著名,
此系卽稱潙仰宗.
 靑原行思之下有石頭希遷,
撰「參同契」,
與馬祖竝稱當世二大龍象,
門下有藥山惟儼․丹霞天然․天皇道悟.
藥山一系出雲巖曇晟․洞山良价․雲居道膺․曹山本寂等,
遂成曹洞宗.
天皇道悟三傳至雪峰義存,
振錫於福州雪峰山,
法嗣五十餘人,
其中,
雲門文偃發揮獨妙之宗致,
形成雲門宗;另有玄沙師備,
下傳羅漢桂琛․法眼文益.
文益住金陵淸涼寺,
開法眼宗,
此系統有天台德韶․永明延壽․永安道原等高僧輩出.
其中,
德韶被稱智顗再來;延壽撰有宗鏡錄,
重視敎學;道原著景德傳燈錄,
明示達磨禪之系譜.
 除上擧各宗派外,
據圭峰宗密之禪源諸詮集都序所載,
唐代之禪宗敎派共有洪州․荷澤․北秀․南侁․牛頭․石頭․保唐․宣什(念佛門禪)․惠稠․求那․天台等諸派;宗密之圓覺經疏抄又擧出北宗禪․智侁禪․老安禪․南嶽禪․牛頭禪․南山念佛門禪․荷澤禪等七宗;宗密之拾遺門又另作分類,
計有牛頭宗․北宗․南宗․荷澤宗․洪州宗等五家.
宗密所謂之「五家」․「七宗」自不同於後代禪宗所稱之五家七宗,
此因宗密所處之時代,
及其自身屬於荷澤宗,
故所見禪宗敎派亦不同於後世之禪宗史料.
 要之,
達磨至慧能,
其間二百五十年,
本宗所擧揚之禪風獨樹一格,
祖師語錄常引經據典,
提示整體佛法,
不墮於宗派之對立,
可稱爲禪宗之成立時期.
南嶽․靑原以至唐末五代,
其間二百五十年,
南宗禪一枝獨秀,
於思想層面而言,
摒除語言文字之葛藤,
建立「卽心是佛」․「平常心是道」之精神;於實際生活上,
建立以僧堂爲中心之禪院規制;於禪法之弘傳․演布方面,
更以靈活生動之機法接引學人,
以棒喝拂拳之機用宣揚宗風.
久之,
乃漸成五家之分立.
此一時期,
可稱爲禪宗之發達時期.
兩宋三百二十年,
臨濟宗復衍出黃龍․楊岐二派,
而成爲我國禪宗之「五家七宗」.
其中,
黃龍派後來由榮西傳至日本;楊岐派自楊岐方會後,
陸續有五祖法演․圜悟克勤․大慧宗杲等大揚禪旨,
蔚爲禪之主流.
又曹洞宗系統之宏智正覺與臨濟宗系統之大慧宗杲各倡黙照禪․看話禪.
於此一時期,
諸敎融合導致三敎一致․敎禪調合․禪淨雙修之傾向,
本宗漸失其獨立性格,
是爲禪宗之守成時期.
元明乃至淸乾隆之世,
其間四百五十年,
爲禪宗之衰頹期.
其間雖有海雲印簡․萬松行秀․破菴祖先․無準師範等一代宗師相繼崛起,
然就一宗之大勢而言,
畢竟已呈儒釋調合․敎禪一致之定局.
近代禪宗大師首推虛雲和尙(1839~1958),
於其百二十高壽中,
一生弘法不懈,
廣建叢林,
竭力振興禪宗,
維繫六祖以來之法脈;傳世著述有虛雲和尙法彙․虛雲和尙禪七開示錄等.
 韓國禪宗素有「九山禪門」之稱,
其開宗立派者大多於唐代時來華習禪,
歸國後大演敎化,
久之門庭繁茂,
蔚成宗派.
此九派之成立如下:
(一)新羅善德王時(我國唐太宗時),
法朗來唐,
師事四祖道信,
遂傳其法於海東.
惠恭王之時,
神行來唐,
參謁志空,
得證心印,
返國後於丹城斷俗寺弘傳北宗禪;神行之下,
經遵範․惠隱,
至智侁之時,
受景文王之皈依,
開創曦陽山派.
(二)宣德王五年(784),
鷄林道義來唐,
受傳於馬祖門下之西堂智藏及百丈懷海,
習南頓之旨,
在唐三十七年,
歸國後傳法弘化,
門下頗盛,
立迦智山派.
(三)憲德王時,
來唐遊學之洪陟,
嗣法西堂,
歸國後棲止南岳,
於興德王三年(828)創建實相寺,
大振宗風,
門下多達千餘人,
是爲實相山派.
(四)與道義同時期來唐者另有眞鑒慧沼,
受馬祖門下之滄州神鑑印可,
歸國後創建雙溪寺;憲德王六年(814),
寂忍惠哲亦來唐習西堂之法,
返國後於武州桐裏山大安寺弘法度衆.
慧沼․惠哲所傳之法系卽稱桐裏山派.
(五)無染亦來唐遊學,
後得寶徹心印,
於文聖王七年歸國,
大弘禪法,
得憲安王․景文王之皈依,
創立聖住山派.
(六)興德王六年,
通曉梵日亦來唐,
從馬祖之門人鹽官齊安習禪,
得其印可,
返國後於天台山中開闍崛山派.
梵日之門人朗空亦來唐,
參學於靑原行思系統下之石霜慶諸座下,
歸國後住於南山實際寺闡揚禪旨;此乃靑原之法統最早傳至韓國者.
(七)雙峰道允來唐,
受傳於馬祖之門人南泉普願,
得其心法,
與梵日同年歸國弘化;其後道允之門人澄觀折中亦來唐,
參謁普願,
歸國後住師子山興寧禪院.
道允與折中之法統卽稱爲師子山派.
(八)景文王之時,
了悟順之來唐,
參學於仰山慧寂座下,
歸國後住於瑞雲寺弘布禪法;憲德王十六年(824),
圓鑑玄昱來唐,
就章敬懷暉受馬祖之禪,
歸國後備受閔哀․神武․文聖․憲安四王之禮遇,
其法嗣審希創立鳳林寺,
開鳳林山一派.
(九)於新羅朝末期,
慶猷․逈微相繼來唐,
得雲居道膺之心要,
歸國後大力弘布,
此卽曹洞禪初傳於海東者.
至高麗朝,
更有利嚴․麗嚴․慶甫․兢讓․璨幽等諸師繼之宣演玄旨.
其中,
利嚴曾來唐依止於道膺座下,
得其心傳,
歸國後太祖以師禮事之,
後於海洲構建須彌山廣照寺,
是爲須彌山派之始.
以上九山總稱曹溪宗.
由於太祖之崇佛,
及其後之定宗․光宗․文宗․宣宗․神宗等之相繼護持,
禪宗遂得隆盛一時;然至忠烈王以後,
國勢漸弱,
禪風亦隨之衰頹不振.
 日本禪宗之流傳,
始於孝德天皇白雉四年(653)道昭之入唐求法.
天平八年(736),
我國之道璿東渡日本,
弘傳北宗禪;嵯峨天皇在位時,
派遣專使招請義空赴日弘傳南宗禪,
開日本禪宗之風.
文治三年(1187),
明菴榮西來宋,
師事虛菴懷敞,
將黃龍一脈之法傳入日本,
開日本臨濟宗之端.
貞應二年(1223),
永平道元來宋,
得天童如淨之印可返日,
爲日本曹洞宗之祖.
其門下之徹通義价․寒巖義尹嘗兩度來宋,
歸國後大弘法道,
其後別開寒巖派(亦稱法皇派).
嘉禎元年(1235),
圓爾辨圓來宋,
至徑山參謁無準師範,
得傳心印,
歸國後於京都創建東福寺,
弘法布化.
寬元四年(1246),
我國之蘭溪道隆東渡日本,
爲建長寺初祖,
關東禪風因之大振.
文永四年(1267),
南浦紹明來宋,
得虛堂智愚之法而歸.
文永六年,
我國之大休正念赴日,
住建長․圓覺等寺,
頗受朝野之歸崇.
其後我國又有一山一寧․西磵子曇․東里弘會․遠谿祖雄․靈山道隱等諸師相繼東赴日本弘傳大法,
各揭禪風,
大振法道,
蔚成日本禪宗二十四流之盛況,
包括千光派(榮西)․道元派(道元)․聖一派(圓爾)․法燈派(覺心)․大覺派(道隆)․兀庵派(普寧)․大休派(正念)․法海派(靜照)․無學派(祖元)․一山派(一山一寧)․大應派(南浦紹明)․西磵派(西磵子曇)․鏡堂派(鏡堂覺圓)․佛慧派(靈山道隱)․東明派(東明慧日)․淸拙派(淸拙正澄)․明極派(明極楚俊)․愚中派(愚中周及)․竺僊派(竺僊梵仙)․別傳派(別傳明胤)․古先派(古先印元)․大拙派(大拙祖能)․中巖派(中巖圓月)․東陵派(東陵永璵).
其中,
除道元․東明․東陵三流屬曹洞禪,
其餘二十一流均屬臨濟禪.
又二十一流中,
榮西一派(千光派)傳承黃龍之法脈,
其他皆繼燃楊岐之法燈.
另於承應三年(1654),
我國之隱元隆琦亦東渡日本,
開黃檗一宗,
迄今猶與臨濟․曹洞成鼎足之勢.
 蓋「禪」起源於印度,
其原意卽指靜坐斂心․正思審慮,
以達定慧均等之狀態.
於釋尊之前,
印度卽有以生天爲坐禪目的之思想;至釋尊時,
始展開遠離苦樂兩邊,
以達中道涅槃爲目的之禪.
印度佛敎之禪觀思想乃漸次發達,
竝産生無數之禪經.
隨佛典之傳譯,
自漢末,
禪法已傳入中國,
惟最初均爲小乘系統之禪觀思想.
東晉鳩摩羅什以後,
介紹各種禪法,
尤以念佛法門爲要.
至劉宋求那跋陀羅譯出四卷楞伽經,
列擧愚夫所行禪․觀察義禪․攀緣如禪․如來禪等四種禪之說,
乃激發當時講究禪法者另闢途徑,
如後世所說之五類禪,
卽是依於楞伽經四種禪之說而來;又肇啓中國禪宗之菩提達磨,
雖卽禪經(二卷,
東晉佛陀跋陀羅譯)中之達磨多羅禪師,
然其所傳之如來自性淸淨禪卽是基於楞伽經所說者.
此外,
慧可․僧璨均被稱爲楞伽師,
道信․弘忍更受大乘起信論影響,
提倡一行三昧之說,
至六祖慧能方以金剛般若經爲正宗;蓋彼時楞伽經已偏重文句疏解,
不免名相支離之故.
至中唐以後,
盛行拳拳棒喝之機法,
禪之意義擴大,
不必靜坐斂心才是禪,
卽搬柴運水․吃飯穿衣等平常動作亦可稱之爲禪.
 要之,
本宗與其他諸宗之相異處,
在於不立正依之經典,
卽使引用經典亦爲一時之方便施設,
最主要者莫過於依佛心,
不立文字,
敎外別傳,
以期「直指人心,
見性成佛」.
然爲在不涉思惟計度之情形下,
外加學問修證之功,
以明取本心之故,
乃有淸規之創設.
尊宿․大衆於一定之規矩下,
定時起臥․打坐;尊宿爲大衆開示諸佛列祖之機緣以提撕之.
又閱讀經典雖非要務,
然仍以楞伽․維摩․金剛般若․首楞嚴等諸經爲衆經之核心.
古來尊宿亦多遺有語錄,
成爲後世禪徒習禪悟道之重要參考資料.
[禪門師資承襲圖․祖堂集卷十七․卷二十․景德傳燈錄․傳法正宗記․五燈會元․禪門寶藏錄卷上․卷中․八宗綱要卷下․朝鮮禪敎考․日本禪宗史要․禪學思想史․日本佛敎要覽](參閱「五家七宗」1128)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선종
【禪宗】以禪那爲宗的宗派.
因此宗偏重於修心,
以心傳心,
直傳佛祖的心印,
故又名佛心宗.
→437



● From 홍법원불교사전(구판)
선종





<동음이의어>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선종

[한문]善宗 
궁예(弓裔)의 법명. 
선종


선종
[한문]善種 
선교(善巧)한 권모(權謀). 
부처님이 중생의 근기에 맞추어 훌륭한 수단 방법으로써 교화하는 것. 



● From Hanja(Korean Hanzi) Dic
선종
宣宗 旋踵 腺腫 線種 善終 善種 選種 禪宗



● From Korean Dic
선종
선종(腺腫)[명사]선상피(腺上皮) 세포가 증식하여 생기는 양성 종양.
[주로, 위장이나 자궁의 점막에 많이 생김.]

선종(禪宗)[명사]불교의 한 종파.
참선을 통해 불도를 터득하려는 종파로서,
6세기 초에 달마 대사가 중국에 전함.
선가(禪家). 선도(禪道). 선문(禪門). (준말)선(禪). ↔교종(敎宗). 

선종
선ː종(善終)[명사][하다형 자동사]가톨릭에서,
임종할 때 성사(聖事)를 받아 대죄(大罪)가 없는 상태에서 죽는 일을 이르는 말.

선종
선ː종(選種)[명사][하다형 자동사]
(좋은 것으로) 씨앗을 고름.



● From Kor-Eng Dictionary
선종 [禪宗]
『불교』 Zen Buddhism; the Zen sect.ㆍ ~의 승려 a Zen priest[monk].
선종 [腺腫]
『醫』 an adenoma ~s, ~ta>.


⑦-6455■불광사전 
hbfl--07_Sa_0831.TIF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 '선종'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선종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선종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선종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선종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선종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선종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선종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선종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선종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 http://dic.tvbuddha.org/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






◎◎[개별논의] ❋추가참조

Lab value 
● 북종선과 남종선의 관계

신수대사(神秀大師) : 북종선 6조 신수(神秀 606-706)

신시보리수(身是菩提樹) 몸은 보리의 나무요
심여명경대(心如明鏡臺) 마음은 밝은 거울과 같다.
시시근불식(時時勤拂拭) 때때로 부지런히 털고 닦아서
막사유진애(莫使有塵埃) 티끌과 먼지 묻지 않게 하라


혜능대사(慧能大師) : 남종선 6조 혜능(慧能:638〜713)

보리본무수(菩提本無樹) 보리(깨달음)에는 본래 나무가 없다.
명경역비대(明鏡亦非臺) 밝은 거울 또한 받침대가 아니다.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 본래 한 물건도 없다.
하처야진애(何處惹塵埃) 어디에 티끌과 먼지가 있으리오.

본래무일물 대신 다음 구절을 들기도 한다.
불성상청정(佛性常淸淨) 부처의 성품은 항상 청정하다.

신수대사(神秀大師)는 생사현실에서 망집을 제거하는 수행을 강조한다.
한편 혜능대사(慧能大師)는 진여 실상의 측면에서 현실의 차별상을 모두 떠날 것을 강조한다.
이 두 입장 차이가 북종선과 남종선의 차이를 나타내기도 한다.

위 두 게송은 각기 생사현실의 측면과 진여 실상의 측면을 강조한다.
그런데 현실 수행에서는 결국 위 두 측면이 함께 필요하다.
그래서 생사현실에서는 위 두 내용을 함께 취해 수행에 임할 필요가 있다.
이 가운데 하나만을 치우쳐 취하는 것은 한 종파의 독트린은 될 수 있다.
<○ 하택 신회 - 돈오선, 신수 사승시방 법문시점>
그러나 경전 입장에서 볼 때는 균형잡힌 입장이 되지 못한다.

『금강반야바라밀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세상에 있는 온갖 중생을 .. 내가 모두 제도하여 무여열반(無餘涅槃)에 들도록 하리라’ 하라.
[...] 그러나 실제로는 한 중생도 제도를 받은 이가 없느니라.
[...] 보살은 법에 머무르는바 없이 보시(布施)를 해야 하나니,
[...] 상(相)에 머물지 않아야 하느니라.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K0013 T0235 요진 구마라집역)

즉,
<생사현실측면> 무량한 중생을 제도한다 + <진여실상측면> 그러나 한 중생도 얻을 수 없다.
<생사현실측면> 무량한 보시를 행한다. + <진여실상측면> 상에 머물지 않는다.
이렇게 두 측면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무량한 중생을 제도한다. 무량한 보시를 행한다.
이런 측면은 신수대사의 게송의 취지와 같다.

한편, 한 중생도 얻을 수 없다. 상(相)을 얻을 수 없다. 상을 취하지 않는다. 상에 머물지 않는다.
상에 머물러 행하지 않는다.
이런 측면은 혜능대사의 게송의 취지와 같다.

그리고 『금강반야바라밀경』에서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이렇게 가르쳐 준 대로만 머물지니라.”

이는 다음의 의미다.
현실은 <진여실상>에 바탕해 마음이 관계해 <생사현실>을 얻는다.
그런 가운데 생사현실에서 망집에 바탕해 업을 행해 생사고통을 겪는다.
이런 생사고통의 묶임에서 벗어나려 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이 가운데 <진여실상>과 <생사현실>내 수행 가운데 어느 한 측면을 빠뜨리거나 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이 가운데 어느한 부분만 편벽되게 취해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부처님이 제시한 내용에 엉뚱한 내용을 공연히 덧붙이지 않아야 한다.
우선 이 가운데 한 측면에만 치우치면, 유나 무의 극단에 치우치게 된다.
<유의 극단>은 현실 내용이 <실답게> 있다고 집착하면서 임하는 경우다.
<무의 극단>은 실재가 공하다고 하여 아무 것도 전혀 없다고 여기며 부정하는 경우다.
그런 경우 현실에서 마땅히 행해야 할 수행까지 모두 부정하고 외면하게 된다.
또는 반대로 현실 일체를 모두 동일시하여 방임하기 쉽다.
그런 가운데 막행 막식해도 무방하다고 잘못 여기기 쉽다.

그래서 이 어느 한 측면도 버리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이 가운데 어느 한 측면만 치우쳐 취해서도 안 된다.
그래서 부처님이 가르쳐 준대로 양 측면을 함께 취해서 행해야 함을 제시한다.



● 진여실상과 생사현실의 관계

실재와 생사현실의 관계에서 다음과 같다.

본 바탕 실재 진여는 모두 차별없이 공하다.
또한 실재 진여에는 본래 생멸 및 생사고통을 얻을 수 없다.
실재 진여는 본래부터 생사고통을 떠난 니르바나의 상태다.
따라서 실재 진여는 생사고통의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구하지도 않는다.
본래 처음부터 본 바탕 진여 상태는 생사고통을 떠나 있다.
그러나 그처럼 생사고통을 얻을 수 없음은 실재 진여의 측면이 그러한 것 뿐이다.
즉, 진여 상태가 그 측면에서만 그런 문제를 떠난 상태인 것뿐이다.
이 경우 생사현실은 생사현실대로 문제로 남는다.

생사현실도 물론 이런 본 바탕을 떠나 있는 것은 아니다.
생사현실의 본 바탕은 진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바탕에서 생사현실에 생멸과 생사고통이 나타난다.
즉 그런 진여상태가 생사현실의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해주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바탕 진여가 공하다고 하여 생사현실 일체가 다 무방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생사현실내 생사고통을 그대로 방치해도 무방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본 바탕과 생사현실의 측면의 사정이 다르다.
따라서 이 두 측면의 관계를 잘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이 두 측면의 내용을 처음부터 서로 혼동하면 안 된다.


● 진여 실상관의 기능

진여실상을 바탕으로 각 주체의 마음이 관계해 생사현실을 얻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망집을 일으켜 업을 행한다.
그런 경우 생사현실에서 생사에 묶여 생사고통을 겪게 된다.

그래서 생사현실 안에서 이 생사고통을 제거해야 한다.
그리고 생사고통의 묶임에서 벗어나야 한다.
생사현실에서 생사고통의 묶임에서 벗어나려 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생사현실 안에서 먼저 망집을 제거해야 한다.
그래서 생사현실에서 수행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망집에 바탕한 업을 중단해야 한다.
그리고 생사현실에서 계를 원만히 성취한다.
그리고 과거의 업장을 제거하는 수행을 닦아야 한다.

그리고 다시 근본원인이 되는 망집 자체를 제거해야 한다.
이 경우 망집을 제거하려면 실상에 대한 깨달음이 요구된다.
그런 경우 기본적으로 진여실상의 사정을 올바로 관해야 한다.

그래서 생사현실 안에서 <진여실상>이 일체 차별없이 공함을 이해한다.
그리고 진여 본 바탕에는 본래 생사, 생멸을 얻을 수 없음을 이해하게 된다.
반면 생사현실은 생생하게 얻는다.
그러나 이는 본 바탕에서 얻을 수 없는 내용이다.
그리고 이들은 참된 진짜 내용이 아니다.
그래서 현실은 마치 침대에 누어 꾸는 바다꿈과 관계와 같음을 이해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바탕이 공함을 이해하여 이를 통해 생사현실이 <꿈처럼 실답지 않음>을 이해한다.
이는 마치 꿈속에서 꿈이 현실이 아님을 이해하고 대하는 상황과 같다.
그런 가운데 망집을 제거한다.

그러면 생사현실에서 집착을 제거한다.
그러면 생사고통의 묶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생사현실의 근본을 모두 남김없이 제거한다.
그렇게 되면, 무여열반을 증득한다. (회신멸지)

그런데 그런 경우 생사현실에는 여전히 생사고통에 묶인 중생이 남아 있게 된다.
이런 경우 중생은 혼자 생사고통의 묶임에서 벗어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하다.
그래서 수행자는 자비심을 일으켜 중생을 제도하려는 서원을 일으킨다.
그리고 중생제도를 위해서는 생사현실에 들어가 중생과 눈높이를 같이 해 임해야 한다.
한편 이 경우 중생제도를 위해 생사현실에 임한다고 하자.

이 경우 수행자는 <실재 진여 측면>을 취해 생사현실을 관하고 임할 필요가 있다.
즉 생사현실의 본 바탕이 공하여 니르바나 상태다.
그래서 수행자가 생사현실 안에서 본 바탕의 사정을 깨달아 잘 관한다.
그러면 생사현실의 극심한 생사고통을 극복하며 중생을 제도해나갈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된다.
그래서 수행자는 생사현실에서 이처럼 임할 필요가 있다.

선종 수행이 갖는 기본적 가치는 이런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
또한 그래서 생사현실에서 실재 진여에 대한 깨달음이 갖는 의미가 기본적으로 중요하다.
그리고 선종 초기 달마 대사 이하의 수행방안에서 이런 기본적 정려 선정 수행에 충실한 면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수행으로 망집을 제거함은 그런 관을 행하는 수행자의 경우만 그러하다.
즉 이는 이런 수행을 행한 수행자가 생사현실 안에서 이뤄내는 차별적인 모습이다.
따라서 수행자가 이런 상태가 된다고 해서 생사현실 일체가 문제가 없다고 혼동을 일으키면 곤란하다.
그리고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방치하면 곤란하다.
이런 측면에서 선종의 일부에서 제시되는 주장은 문제의 여지가 있다.
이를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 진여의 공함과 관련한 판단오류 문제

수행자가 현실에서 생사고통의 묶임에서 벗어나려면 실상의 측면을 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경우 진여실상이 차별없이 공함을 이해해야 한다.
그런데 이 경우 공함의 의미에 대해 잘못된 판단을 행하기 쉽다.

1 우선 생사현실의 본 바탕인 진여 실재의 공함을 관한다고 하자.
이 경우 생사현실은 진여실재를 떠나 있는 것은 아님을 관하게 된다.
그래서 이런 사정을 색즉시공 등으로 표현한다.
이는 현실과 진여가 서로 맞닿아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로 인해 생사현실이 곧 진여실재와 완전히 동일하다고 잘못 분별하기 쉽다.
즉 색즉시공 공즉시색의 의미를 색=공 공=색 이런 식으로 잘못 이해하기 쉽다.
그래서 진여실상과 생사현실이 완전히 동일하다고 잘못 이해하기 쉽다.
한편 진여 실상은 생사고통을 얻을 수 없는 니르바나 상태다.
그런데 위와 같이 잘못 이해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생사현실 일체도 진여 실재처럼 아무 생사고통 문제가 없는 것으로 잘못 이해하게 된다.
즉, 생사현실이 그 상태 그대로 아무 문제 없다고 잘못 이해하게 된다.

그런데 사정이 그렇지 않다.
생사현실은 진여실재에 즉해 있다.
그러나 생사현실과 진여 실상은 서로 다른 측면의 내용이다.
생사현실은 본 바탕에서 각 주체의 마음이 관계하여 얻어낸 내용이다.
반면에, 본 바탕 실재는 <각 주체의 마음을 떠나서도> 그대로 있다고 할 내용을 가리킨다.
그래서 <생사현실 측면이 진여실상과 동일한 것>이라고 잘못 분별해서는 안 된다.

2. 한편 진여실상이 공하다고 제시한다.
이 경우 이 공함이 <일정한 하나의 성품>을 의미한다고 잘못 분별하기 쉽다.
예를 들어 생사현실 일체는 차별없이 공하다.
그래서 현실 a와 b는 그 실상이 모두 차별없이 공하다고 제시한다.
이 경우 현실 a가 공하다. 그리고 현실 b 역시 공하다라고 제시한다.
그런데 이 경우 a와 b, c 등 일체가 실재 측면에서 <공>하여 동일한 성품이라고 잘못 이해하기 쉽다.

실재의 공함은 분별과 차별을 떠난다.
그러나 이 공함은< 같고 다름> 자체를 떠난다.
그리고 공함은 어떤 동일한 하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공함도 또한 공하다.
그래서 공이 공과 서로 동일하다고 할 수 없다.
즉, 진여의 측면에서도 실재 진여는 서로 다르다고 할 수도 없다. 또한 같다고 할 수도 없다.
따라서 <진여실상이 어떤 동일한 하나의 성품>이라고 잘못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런 경우 진여실재의 공함에 대한 잘못된 분별이 된다.

3 한편 현실의 a, b, c 등이 차별없이 공하다.
그렇다고 현실에서도 a, b, c 등이 다시 서로 동일한 것으로 잘못 이해하기 쉽다.

현실의 a, b, c 등의 실상이 차별없이 공하다고 제시한다.
그런데 이를 통해 앞 2에서 보듯, 먼저 실재의 공함을 동일한 하나의 성품으로 잘못 이해한다.
그리고 다시 앞 1처럼, 색즉시공 공즉시색의 관계를 색=공 공=색으로 동일함을 나타내는 뜻으로 잘못 이해한다.
그러면 현실의 a와 b는 a=공 b=공의 관계를 바탕으로, 현실에서 a=b의 관계가 되는 것처럼 다시 잘못 이해한다.
그런 가운데 현실의 a, b, c 등이 현실에서도 서로 동일한 것으로 잘못 이해한다.

그런 결과, 현실에서 범부가 곧 깨달음을 얻은 부처 상태인 것처럼 잘못 이해한다.
또 현실에서 중생의 일체 마음이 곧 부처의 상태인 것처럼 잘못 이해하기 쉽다.
<○ 마조도일의 즉심시불(卽心是佛)>
한편 중생 범부는 망집에 바탕해 현실에 임한다.
그런데 이런 범부의 평상시 마음이 곧 수행인 것처럼 잘못 이해한다.
<○ 마조도일의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임제 의현의 평상무사(平常無事)>

또 한편, 이를 역으로 적용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에는 반대로 여래가 곧 망집에 싸인 범부나 축생과 마찬가지라고 이해하기 쉽다.
그런 경우 수행을 통해 향해나갈 목표상태를 잘못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수행방안에서도 잘못된 방안을 취하게 되기 쉽다.
<○ 위앙종 무위무사(無爲無事), 무수지수(無修之修) 무위임운 무념무수(無爲任運 無念無修)>
이런 주장이 갖는 문제점은 중국 화엄교학의 성기사상, 법계연기관, 사사무애관을 살필 때도 살폈다.
그러나 중국 선종의 수행관에서도 이런 점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런 부분에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현실에서 실상을 관하여 망상분별과 집착을 제거함은 중요하다.
그러나 집착을 제거함이 현실 일체나 마음을 하나로 동일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 현실에서 일체 중생의 마음이나 평상적인 상태를 수행이 완성된 상태로 보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현실에서 일체 중생의 마음이나 망집 상태까지 무방하다고 하는 것이 아니다.

● 진여실상관과 관련해 일으키는 혼동

한편 수행자가 현실에서 진여실상의 공함을 관하며 임한다고 하자.
이 경우 수행자가 진여 실상관을 취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선정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상태도 마찬가지다.
이를 모두 총칭해 <진여 실상관>이라고 칭하기로 하자.
또는 이를 <생사 즉 열반>관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생사현실안에서 망집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런 진여 실상관을 취해 현실에 임하는 것은 수행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다.
이는 앞에서 진여 실상관이 갖는 기능으로 살펴보았다. [● 진여 실상관의 기능 ]

생사현실 안에서 수행자가 그런 실재 진여의 측면을 취해 임한다고 하자.
그러면 우선 이는 일반적인 망집 상태에서 벗어난다.
그리고 이에 바탕해 생사현실의 차별상에 묶이지 않게 된다.
이런 경우 그런 주체는 생사현실의 선악 구분이나, 미추의 구분도 떠나게 된다.
그래서 이론상 그 주체가 생사현실내 내용을 더 이상 문제삼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상태가 되어야 생사현실의 생사고통을 극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 수행자가 진여를 관하며 임하는 상태가 된다고 하자.
그런데 이처럼 진여관을 통해 얻는 효과는 <생사현실 안에서> <수행자>가 <그런 특수상태에서> 거두게 되는 효과다.
그런데 이런 수행자의 상태가 갖는 의미에 대해 다양한 형태로 잘못 혼동하기 쉽다.

즉 수행자가 선정에 들어 실상 진여의 사정을 관한다고 하자.
본래 실상 진여는 차별을 얻을 수 없다.
그런데 수행자가 생사현실에서 그런 실상 진여의 측면을 취해 생사현실을 대한다.
그런 경우 수행자 자신은 망상 분별을 떠난다.
그리고 현실의 차별상을 떠날 수 있다.

=> 그런데 이 경우 <본 바탕 진여 상태>가 그로 인해 비로소 공해지는 것으로 잘못 혼동하기 쉽다.
=> 또는 <수행자 현실>이 그로 인해 곧 <진여 상태 그 자체>가 되는 것으로 혼동하기 쉽다.
=> 한편, 진여상태는 본래부터 생사고통을 떠나 있다. 즉, 니르바나 상태다.
그런데 진여 측면을 취해 임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이로 인해 <수행자의 나머지 생사현실 일체>가 곧바로 다 문제 없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 혼동하기 쉽다.
=> 한편 더 나아가 이로 인해 <다른 중생의 생사현실> 일체도 다 문제 없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 혼동하기 쉽다.

그래서 이런 혼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를 자세히 아래에 살펴보기로 한다.

1 우선 수행자의 본바탕 실상은 본래 진여 상태였다.
그런데 이 <진여 상태 자체>는 설령 수행을 하지 않아도 마찬가지다.
수행을 하거나 않거나, 이 부분은 본래부터 관계가 없다.
또 수행자나 중생은 어느 경우도 이 진여실상 본 바탕을 떠난 적도 없다.
그럼에도 수행자나 중생은 망집을 바탕으로 생사고통을 겪었던 것이다.

그런데 수행자가 이후 현실에서 진여실상관을 취한다.
그리고 망상 분별을 떠난다.
그런데 이런 수행이 진여상태를 비로소 공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다.
진여 실상은 수행자가 깨닫거나 깨닫지 않거나 본래부터 공하다.

한편, 진여실상 자체에서는 본래 생사고통 문제를 얻을 수 없다.
그래서 생사고통 문제 해결을 요구한 적도 없다.
그럼에도 생사현실에서는 망집에 바탕해 생사고통을 겪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두 측면을 서로 혼동하면 곤란하다.

2 한편 수행자가 수행 노력을 통해 진여 실재의 측면을 취해 대한다고 하자.
더욱이 수행자가 진여 자체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노력한다.
예를 들어 수행자가 현실에서 일체 분별을 떠난다.
그렇다해도 <수행자의 생사현실> 측면이 <진여 실상 그 자체>로 성격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즉, 그로 인해 수행자의 현실이 마음을 떠난 <진여 상태 자체>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비유하면 다음과 같다.
수행자가 바위를 바위라고 이해한다.
더욱이 수행자가 바위의 특성과 비슷하게 현실에 임한다.
그렇다고 그로 인해 수행자가 바위 자체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 경우 수행자가 바위와 비슷하게 모사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서로 혼동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수행자가 진여실상관을 취하는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다.

3 한편 이런 진여실상의 측면을 취해 임한다고 하자.
이 경우 <생사현실 안에서> <수행자>의 <그런 특수상태에서> 망집을 제거하는 효과를 거둔다.
본래 진여임에도, 생사현실에서 일반적으로 망집을 일으킨다.
그런데 수행자는 이런 수행을 통해 <망집 상태>을 떠나게 된다.

그리고 생사현실 내 생사고통 문제를 해결하고자 수행자의 그런 수행이 요구된다.
즉, 현실안에서 진여실상관을 취함이 요구된다.
그리고 수행은 생사현실 안에서 이런 특수한 차별적 상태를 얻어내는 것이 목표가 된다.
그리고 그런 수행은 생사현실에서 수행자의 의식적인 수행 노력으로 얻어진다.
그리고 이로 인해 망집을 바탕으로 한 문제현상에서 일단 벗어나게 된다.

그런데 이는 수행자가 그런 관을 의식적으로 취해야 그렇게 된다.
진여 실상관을 취한 이후에도 그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런 상태가 이후 수행을 행하지 않고 그대로 맡겨 놓아도 본 바탕이 진여이기에 저절로 성취되는 것이 아니다.
또 다른 중생의 경우에서도 되는대로 내맡기면 이런 상태가 저절로 성취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선종 일부에서 제시하는 다음 수행 입장은 이런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 위앙종 무위무사(無爲無事), 무수지수(無修之修) 무위임운 무념무수(無爲任運 無念無修)>

본래 진여 실재는 분별을 떠난다.
그리고 진여 실재 자체는 진여 실재를 앎도 없다.
그런데 수행자가 현실에서 진여 실상의 측면을 취해 임한다고 하자.
이 경우 수행자 역시 망상 분별을 떠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런 입장에서 수행자는 현실 일반에 대해 혼동을 일으키기 쉽다.

즉, 수행자가 진여 실상을 취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수행자 자신이 망상분별을 떠난 것이다.
그런데 수행자가 그런 상태로 임하기에 나머지 생사현실 일체가 다 그대로 무방한 것으로 잘못 여기게 된다.
그러나 이는 오직 그런 관을 취하는 수행자의 그런 특수상태만 그런 것이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여전히 문제로 남게 된다.

우선, 이 경우 이로 인해 수행자 상태가 <진여 상태 그 자체>로 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이미 앞 2에서 살폈다.
그런데 설령 <진여 상태 그 자체>가 된다고 해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 경우에도 오직 진여 상태 그 부분만 문제가 없는 것이다.
본래 진여 자체는 니르바나 상태다.
그리고 이런 진여 실재는 생사현실의 본 바탕이다.
그런데 그런 바탕에서도 생사현실에서 중생들이 망집에 바탕해 생사고통을 겪었다.

그런데 수행자가 진여관을 취하는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다.
이를 통해 수행자가 진여 그 자체가 된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즉, 그런 경우에도 생사현실의 나머지 문제는 그대로 남게 된다.
그러나 무엇보다, 수행자가 진여관을 취한다고 하여 수행자가 <진여 상태 자체>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 내용은 이미 앞 2에서 살폈다.

수행자가 진여관을 취하면 망집을 떠나게 된다.
그래서 망집에 의한 문제 현상에서 벗어난다.
이 경우 그런 관을 취하는 수행자가 그런 망상분별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수행자가 진여 상태 자체와 유사하게 현실에 임하여, 얻는 효과다.
그리고 이로 인해 <수행자의 다른 상태>나 <다른 중생>에서 이런 효과가 당연히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현실의 나머지 상태는 여전히 문제가 남게 된다.

수행자가 진여관을 취한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수행자의 생사현실 일체가 곧바로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또 그것만으로 수행자의 생사현실이 아주 없는 0 의 상태가 되는 것도 아니다.
또 그것만으로 수행자의 생사현실내 문제가 곧바로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또 그것만으로 수행자가 그간 쌓아 놓은 업장이 모두 제거되는 것도 아니다.
또 수행자가 겪는 생사고통도 그로 인해 당장 모두 없어지는 것도 아니다.

수행자가 진여실상의 측면을 취해 현실에 임한다.
그런 경우에도 수행자는 현실에서 그의 마음을 바탕으로 현실에 임하게 된다.
그로 인해, 그가 마음을 떠난 진여상태로 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생사현실에 임하는 한 수행자도 구생기신견, 변견 등에 바탕해 임하게 된다.
그래서 수행자는 여전히 현실 측면의 내용을 얻게 된다.
즉 그런 경우에도 여전히 마음이 기능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감각 및 느낌을 얻게 된다.
그런 가운데 생사현실에서 생활을 영위하게 된다.

이런 경우 진여실상관을 취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그는 그 현실상황을 망집을 바탕으로 대하지 않게 되는 것 뿐이다.

그렇지만, 수행자가 현실에서 극심한 고통을 겪는 상황에 처한다고 하자.
예를 들어 칼로 손발을 베거나 사지를 절단당한다고 하자.
이런 경우 진여 실상관을 취하는 것만으로 이를 곧바로 극복해내기 쉽지 않다.
그래서 그런 경우 수행에서 물러나게 되기 쉽다.

그래서 이런 경우 단순히 진여실상관을 취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이런 진여실상관에 바탕해 다시 극심한 고통을 평안히 극복해내는 수행노력이 요구된다.
그래서 현실에서 상을 취하지 않고 극심한 고통도 평안히 참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런 경우 이론적인 깨달음을 현실에서 실증하는 상태가 된다. [무생법인, 안인의 성취]
그리고 이후 생사현실에서 더 이상 물러나지 않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불퇴전위]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런 상태는 대단히 성취하기 힘든 상태다.
사지가 절단되는 상황에서도 평안히 임한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령 수행자가 수행노력을 통해 그렇게 되었다고 하자.

그렇다해도 그것만으로 생사현실내 문제가 모두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생사현실에서 수행자가 가질 수 있는 마음상태는 대단히 다양하다.
그런데 수행자가 진여 실상을 관한다고 하자.
그래서 그로 인해 수행자의 여타 다른 일체 마음상태까지 모두 문제없는 상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행자가 이후 다시 망집을 일으킨다고 하자.
그러면 다시 이에 바탕해 업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생사고통을 겪어 나가게 된다.
그리고 생사현실에서 생사 고통에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

3. 한편, 한 개인이 실상 진여의 측면을 관해 깨달음을 얻는다고 하자.
그런 경우 이를 통해 수행자는 망집을 제거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런 수행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이 경우 <수행자의 상태>가 그렇게 된 것 뿐이다.
그리고 이는 수행을 통해 수행자 개인이 성취하는 차별적인 면이다.

수행자가 <생사 즉 열반>관을 취해 생사현실이 문제가 없다고 관한다고 하자.
그러나 이는 <생사현실 안에서> <그 수행자>가 <그런 특수상태에서> 갖는 효과다.
그런 상황에서도 나머지 부분은 사정이 그렇지 못하다.

즉, 이런 경우에도 역시 일반 중생의 현실 부분은 여전히 문제상태로 남아 있다.
수행자가 깨달음을 얻는다고 하여도 다른 중생들은 여전히 망집에 바탕해 임한다.
그리고 생사고통에 묶여 있다.
그래서 수행자가 <생사 즉 열반>관을 취한다고 해서 다음과 같은 잘못된 자세를 취해 임하면 곤란하다.
그런데 이는 또 선종 후기에 각 종파에서 표방하는 주장들과도 관련된다.
그래서 이런 부분을 주의깊게 검토해 보아야 한다.

우선 수행자 자신이 진여 실상의 측면을 관하게 되어 문제상황을 벗어났다고 하자.
그렇다고 하여, 다른 중생들이 생사고통에 묶인 현실 상태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다른 중생의 문제상태를 그대로 용인하고 방치해 내버려두는 것은 곤란하다.
<○ 홍주종 마조도일의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위앙종의 평상심(平常心), 임제종 의현의 평상무사(平常無事) ]

한편 생사현실에서 생사고통을 열반이라고 받아들인다.
그렇다고 생사고통에 반복해 처해 고행을 반복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그런 가운데서도 계를 성취해 생사현실에서 생사고통을 예방해야 한다.
그리고 다시 중생제도를 위해서 계를 닦고 선법을 닦아 복덕자량을 구족해야 한다.

한편 생사현실 일체를 열반으로 관해 생사현실 그대로 무방하다고 여긴다고 하자.
그런 경우 수행자 자신부터 기존의 망상분별과 집착 상태로 물러나 머물러도 무방하다고 잘못 여기기 쉽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수행 자세다.

한편 진여의 측면을 취하여 분별을 떠난다고 하자.
그렇다고 생사현실에서 오로지 생사현실을 모두 부정하고 외면해서도 안된다.
생사현실에서 중생제도를 위해 무량행문을 닦고 방편지혜를 구족해나가야 한다.
<○ 위앙종의 무심시도(無心是道), 무위무사(無爲無事), 무위임운 무념무수(無爲任運 無念無修) ]

한편 수행자가 생사현실에서 생사즉 열반관에 바탕해 개인의 해탈에만 안주하기 쉽다.
그리고 생사현실에서 중생제도를 외면하기 쉽다. 그러나 이 역시 잘못된 수행자세가 된다.
<○ 위앙종 무위무사(無爲無事), 무수지수(無修之修)>

더욱이 생사 현실 일체가 열반이라고 하여, 현실에서 막행막식하며 아무렇게 행해도 무방한 것이 아니다. [악취공견]


4. 깨달음과 중생제도를 위한 수행

수행 과정에서 수행자가 현실에서 실상 진여의 측면을 취해 분별을 떠나는 것은 중요하다.
모든 중생이 차별없이 진여를 바탕으로 한다.
그렇지만, 중생들이 망집을 일으켜 임하면 생사고통에 묶이게 된다.
따라서 수행자는 스스로 깨달음을 통해 먼저 이런 망집을 제거해야 한다.
그리고, 또 다른 중생들도 제거하도록 이끌어나가야 한다.
그리고 수행자는 중생제도를 위해 생사현실에 임해 무량한 수행을 닦아나가야 한다.
이 경우 이런 깨달음 하나만으로 수행자의 중생제도를 위한 일련의 수행이 다 구족되는 것은 아니다.
<○ 견성성불(見性成佛)>

수행자가 비록 진여 측면을 취해 생사현실을 모두 평안히 참고 견딜 수 있는 상태가 된다고 하자.
그렇다해도 다른 중생들은 여전히 망집에 바탕해 생사고통을 겪는 상태다.
따라서 수행자는 <생사현실>에서 다른 중생을 생사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수행자 자신부터 생사현실을 피하지 않고 생사현실에 들어가 중생과 함께 임해야 한다.
그리고 수행자부터 <생사현실 안에서> 복덕자량을 구족하고 생사고통의 상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또 이를 위해 수행자 자신부터 <생사현실 안에서> 기본적으로 계를 성취해야 한다.
수행자나 중생이 모두 본 바탕 진여를 떠나지 않은 바탕에서도 이런 수행은 요구된다.

한편, 수행자는 생사현실에서 겪게 되는 고통을 피하지 않고, 평안히 참아야 한다.
생사고통에 당면해 수행에서 물러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생사현실 안에서 진여실상관을 취해 <생사즉 열반>임을 관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그런 가운데 수행자는 생사현실에서 고통을 평안히 참고 극복하는 수행이 필요하다. [안인 수행]
그런 가운데 생사현실에서 중생 제도를 위한 추가 수행과 노력이 필요하다.

중생의 번뇌는 무량하다.
그런 가운데 수행자가 수행을 통해 자신의 망집 번뇌를 제거한다.
그렇지만, 그로 인해 중생들의 일체 번뇌가 자동으로 제거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어떤 환자가 치료를 받아 병이 나았다고 하자.
그렇다고 그가 이후 다른 환자들의 병이 자연스럽게 치료되는 상태가 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환자가 병이 나았다고 하자.
그런데 그것만으로 다른 환자의 수많은 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도 아니다.
다른 환자들의 수많은 병을 치료하러면 그에 필요한 지식과 훈련을 다시 쌓아야 한다.
그래서 의사의 상태가 되어야 한다.

수행도 이뫄 마찬가지다.
수행자가 실상에 대한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자.
그렇다해도 이후 중생을 제도하려면, 이후 중생의 무량한 번뇌에 상응해 현실에서 무량행문을 닦아 나가야 한다.
그리고 현실에서 무량한 선법을 닦아 나가야 한다.
그런 가운데 중생을 제도할 방편지혜를 구족해야 한다.
그런 상태가 되어야 비로소 중생을 생사고통에서 제도해나갈 수 있게 된다.

실상 진여는 본래 언설분별을 행할 수 없다.
그래서 언어의 길이 끊어진 상태다. (언어도단言語道斷),
그리고 이런 실상 진여에 대한 깨달음 또한 사정이 같다. **
이 경우 부처님은 중생들이 깨달음을 얻게 하기 위해 다양한 방편을 사용한다.
위의나, 언설, 침묵 등도 그런 방편의 하나다.

그렇지만, 깨달음을 전하는 이런 언어 방편에 집착하고 의존한다고 하자.
그러면 오히려 이로 인해 잘못된 망집을 일으키기 쉽다.
그래서 부처님은 '일자(一字)도 설하지 않았다’라고 제시한다. ( 『입능가경』 4. 불심품佛心品)
이는 본래 설하고자 하는 깨달음 자체는 <본래 언설 분별을 떠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선종에서는 깨달음을 전하는 과정에서 언설에 의존하지 않고자 한다.
그리고 깨달음에 직접 이르도록 언설을 떠난 다양한 방식을 사용한다.
그리고 언설을 떠난 다양한 방식을 사용한다.
<○ 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직지인심(直指人心), 이심전심(以心傳心)>

어떤 경우는 언설 외 다양한 방식(할喝, 봉棒)으로도 깨달음을 얻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마힐거사의 침묵도 상황에 따라 깨달음을 얻게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방편은 언설에 집착해 망집을 일으키는 병폐를 시정하는 효과도 갖는다.

그러나 각 방편은 진여 실상 자체에 대한 깨달음을 얻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뿐이다.
그런데 구체적인 각 경우 어떤 방편이 효과가 있는가가 문제된다.
언설은 깨달음을 전하거나, 얻게 하는데 불완전한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언설을 떠난 다른 방편이 대신 완전한 방편이 되는 것도 아니다.
깨달아야 할 진여 실상 자체는 본래 불가득 공하다.
그런데 언설 외에 다른 방식을 사용한다고 그 사정이 달리 변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선종에서 사용하는 방편도 그 사정이 같다.

그래서 이런 각 방편은 그 효용성을 각 경우마다 구체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든 부처가 나온 곳이 어디입니까?”라는 질문에 “동산이 물위로 간다(東山水上行).”라고 답한다. (운문 문언)
이런 경우 어떤 경우는 이를 통해 언하변오(言下變悟)의 상태로 즉시 깨닫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그런 방식이 모든 중생에게 언제나 유효한 것은 또 아니다.
오히려 이런 방편만 의존한다면, 중생들이 깨달음을 얻는데 장애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방편으로 가리키는 내용이나 그 본 취지를 이해하기 힘들다.
대부분 그 방편으로 가리키는 바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를 대하는 입장에서는 새 소리를 대하는 경우와 큰 차이가 없다.
이런 경우 그런 방편을 <사용한 것>과 <사용하지 않는 것>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게 된다.


따라서 모든 방편은 중생이 깨달음을 얻는데 실질적 효과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수행자는 중생들이 깨달음을 얻게할 다양한 방편을 닦아야 한다.
그리고 이런 방편을 닦는 것 자체가 수행이다.

그리고 그런 상태에서 수행자는 중생제도를 위해 불국토를 장엄해야 한다.
그리고 법신을 증득해 성불함에 이르러야 한다.
성불은 생사현실 안에서 수행의 최고 목표 상태가 된다.
그런 가운데 중생들을 생사고통의 묶임에서 벗어나도록 이끌어야 한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중생을 처음부터 곧바로 이런 상태로 이끄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먼저 기본적으로 3악도의 생사고통을 겪지 않도록 이끌어야 한다.
그래서 먼저 계를 성취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또 한편, 현실에서 중생들의 소원을 성취시켜 수행으로 이끄는 방편도 필요하다.
그런 가운데 단계적으로 망집을 제거해갈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그리고 중생들이 끝내 생사 묶임에서 벗어나도록 이끌어야 한다.

이 경우 수행자부터 <깨달음을 얻고 생사묶임에서 벗어나는 수행>이 먼저 필요하다.
그런데 이를 <다른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수행>과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또 복덕과 지혜자량을 구족하고 법신을 증득한 <부처 상태>와도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 즉심시불(卽心是佛)>
그런 가운데 생사현실에서 수행의 방향을 올바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금강반야바라밀경』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도 이런 내용이다.


● 선종과 수행

선종이 제시하는 입장을 총괄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선종이 제시하는 선정 수행은 불교수행에서 중요하다.
또 이런 수행을 통해 실상에 대한 깨달음을 얻는 측면도 중요하다.

그러나 계ㆍ정 ㆍ혜 3 학 가운데 오로지 선정만 치우쳐 닦는 자세는 문제가 있다.
특히 중생제도를 위한 수행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그래서 수행자는 계ㆍ정 ㆍ혜 3 학을 골고루 균형잡게 닦아나갈 필요가 있다.

한편, 선종 각 종파에서 표방된 내용들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 홍주종 마조도일의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즉심시불(卽心是佛), 비심비불(非心非佛)
위앙종의 평상심(平常心) 무위무사(無爲無事), 무심시도(無心是道), 무수지수(無修之修)
임제종의 무위진인(無位眞人) 평상무사(平常無事)
운문문언의 “부처란 마른 똥 막대기이니라(乾屎厥).”
선종에서의 무위임운 무념무수 (無爲任運 無念無修)...>

이들 내용은 진여 실상의 측면에서는 타당할 수 있다.

진여 실상은 일체 분별을 떠난 상태다.
본바탕에서는 이러거나 저러거나 차별을 얻지 못하다.
또한 본바탕 측면에서는 생사고통이 본래 문제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바탕 측면에서는 그런 생사고통을 해결하라고 요구한 적도 없다.
그래서 진여 실상은 본래 생사고통을 떠난 니르바나다.
이는 생사현실 안에서 어떤 깨달음을 얻거나 못 얻거나 마찬가지다.

그러나 한편, 이 내용은 다음 사실도 함께 제시한다.
본 바탕 사정은 그렇다.
그리고 생사현실 일체는 이런 진여 실상을 떠나 있지 않다.
그럼에도 중생은 망집을 일으켜 생사현실에서 생사고통을 겪는다.
그래서 본바탕이 니르바나임에도 생사현실에서 생사고통을 겪게 된다.
이런 경우는 본래 니르바나인 진여실상을 바탕으로 생사현실에서 생사고통을 겪는 것이 된다.
그래서 이는 <열반 즉 생사>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생사 즉 열반>과는 반대다.
이런 경우의 생사현실은 문제다.
그래서 이것이 생사현실에서 해결할 문제가 된다.

생사현실에서 이런 생사고통 문제를 제거하려 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생사현실 안에서' 올바로 깨달아야 한다.
이를 통해 현실에서 망집 분별을 모두 제거해야 한다.
그리고 생사현실에 임할 경우는 <생사 즉 열반>임을 관하고 임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생사현실에서 수행을 통해 번뇌 망상을 완전히 제거한다.
그러면 생사현실은 망집에 바탕한 생사고통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래서 그 상태가 되면 생사현실에서부터 곧 니르바나 상태로 임하게 된다. <● 유위열반>

한편, 현실을 공한 실상 진여 상태와 대조해 대한다고 하자.
그러면 현실이 꿈처럼 실답지 않음을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집착을 제거하게 된다.
그런 경우에도 생사현실을 그대로 니르바나의 상태로 관하고 여여하게 임할 수 있다.

한편, 생사현실 일체는 이런 진여실상을 떠나 있는 것이 아니다.
서로 맞닿아 있다. <● 색즉시공>
그래서 본 바탕 실상 진여 측면을 취해 생사현실을 대하며 임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에도 생사현실을 그대로 니르바나의 상태로 관하고 여여하게 임할 수 있다.

그래서 수행자는 진여실상을 관하고 생사현실에 임할 수 있어야 한다.
수행자는 생사현실에서 이런 상태에 이르도록 먼저 노력할 필요가 있다.

그런 상태가 된다고 하자.
그런 경우 그 입장에서는 생사현실이 본래 니르바나임을 관한 가운데 여여하게 임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생사현실에서 망집에 바탕해 생사고통을 겪는 상태와는 차이가 크다.

그리고 생사현실에서 그런 차이는 생사현실에서 망집을 일으키는가 여부에 있다.
반대로 말하면 생사현실 안에서 깨달음에 바탕해 임하는가 아닌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다.
그리고 그로 인한 차이는 생사현실 안에서의 일이다.
본 바탕 진여실상에서는 이 어느 경우나 여전히 차별을 얻을 수 없다.
그런데 생사현실 안에서 이것이 중요하다.

생사현실에서 망집을 제거하고 생사묶임에서 벗어나려 한다고 하자.
그러면 수행자는 생사현실에서 깨달음을 얻어 이런 상태에 이르도록 먼저 노력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수행자가 생사현실에서 <생사 즉 열반>임을 관하며 임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그런 입장에서는 생사현실 일체가 차별없이 문제가 없는 니르바나 상태라고 관하며 임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입장에서는 부처나 수행자나 일체 중생은 모두 다 함께 진여 실상을 떠나지 않음도 역시 관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입장에서는 생사현실 일체가 다 무방함을 관하게 된다.
그래서 심지어 중생들이 생사고통을 겪는 현실 상태마저도 역시 무방하다고 관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런 입장에서는 선종에서 제시한 명제들은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입장에서 선종 각 입장에서 제시한 형태로 생사현실을 관할 수도 있다.
<○ 홍주종 마조도일의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즉심시불(卽心是佛), 비심비불(非心非佛),, 등등 >

그렇지만, 이는 <생사현실 안에서> <그 수행자>가 그런 관을 취한 <그런 특수상태에서> 그런 것이다.
즉 망집을 제거해 임하는 수행자의 특수한 상태의 입장에서 그런 것이다.
그러나 나머지 생사현실은 사정이 그렇지 않다.
그리고 수행자가 그런 입장에서 관한다고 하여 생사현실 일반이 모두 문제없는 상태로 되는 것은 아니다.

차별없이 진여를 바탕한 가운데에서도 중생들은 생사현실에서 망집을 일으킨다.
그리고 그런 바탕에서 생사고통을 겪는다.

그래서 생사현실에서 나타나는 이 두 경우를 서로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이 두 경우 모두 실상진여를 떠나지 않는다.
그런데 생사현실에서 이 두 경우는 서로 차별이 크다.

그래서 깨달음을 얻고 <현실을 관하는 수행자 상태 자체>와 망집에 바탕한 <중생이 처한 생사현실>은 서로 차이가 있다.
그래서 <깨달음에 바탕해 생사 즉 열반이라고 현실에서 관하며 임할 수 있는 수행자 상태>가 있다.
그리고 그런 상태는 수행을 통해 성취할 목표상태이기는 하다.
그러나, <수행자가 그처럼 생사 즉 열반이라고 관하며 대하는 중생이 처한 생사현실 일반 상태>는 이와 다르다.
그리고 이는 수행자가 현실에서 향해 나아갈 수행목표 상태는 아니다.
이는 <깨달음에 바탕해 관하고 대하는 현실상태>와 <망집에 바탕해 임하는 생사현실>을 서로 혼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현실에서 이들 각 경우의 차이는 수행자가 깨달음을 얻고 임하는가 아닌가에 따라 <생사현실 안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생사현실에서 서로 다른 이 두 경우를 서로 혼동하면 안 된다.
그리고 생사현실 안에서 수행 방향은 <그처럼 깨달음에 바탕해 현실에 임하는 특수한 수행자 상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물론 수행자가 깨달음에 바탕해 이런 현실 일체를 모두 진여 측면을 취해 차별없이 관할 수 있다.
그렇더라도 <생사현실에서 망집에 바탕해 임하는 중생의 일반 상태>를 곧 수행목표 상태로 제시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그런 중생의 망집에 바탕한 자세를 올바른 수행방안으로 제시하는 것도 곤란하다.

선종에서 무위, 무사를 제시한다.
이는 어떻게 보면, 이런 내용은 중국의 노자의 무위자연사상과도 비슷해 보인다.
그러나 인간의 입장에서는 무위 임운의 자세를 취하는 것도 의식적으로 행하는 노력에 해당한다.
한편, 인간의 입장에서는 인위적인 노력을 하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럽다.
마찬가지로 수행자 입장에서는 현실에서 수행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행하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럽다.

한편, 수행자가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다고 하자.
그래도 여전히 망집에 바탕해 임하는 중생이 남아 있다.
이는 수행자가 성불하는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단순히 이런 깨달음만으로 모든 수행이 다 마쳐졌다고 이해하면 곤란하다.
그런 가운데 생사현실을 그대로 용인하고 내맡긴 가운데 방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그래서 이런 깨달음을 바탕으로 다시 생사현실에서 중생제도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과 수행이 추가로 필요하다.
다만 수행자는 이런 수행도 어디까지나, 망집분별을 떠나 행해나가야 한다.
따라서 선종에서 제시한 무수지수(無修之修)... 무위(無爲) 무심(無心), 무념(無爲) 등을 이런 취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수행을 행하더라도, 망집에 바탕해 상을 취해 머묾이 없어야 한다. (무주)
즉, 생사현실에서 유의 극단에 치우쳐 망집에 바탕해 임하지 않는다 .
그렇다고 생사현실에서 무의 극단에 치우쳐 생사현실 일체를 부정하며 임하지도 않아야 한다.
생사현실에도 머물지 않고, 열반에도 머물지 않아야 한다. [무주생사(無住生死) 무주열반(無住涅槃)]
한편 생사현실의 차별 분별을 떠남은 <같고 다름을 모두 떠남>을 의미한다.
그런데 차별과 집착을 떠난다고 하여, 오히려 현실 일체를 지나치게 동일시하는 것도 곤란하다.
그래서 축생이나 범부 상태가 곧 수행목표 상태로서 부처의 상태와 같다고 잘못 여기는 것은 곤란하다.
또 그런 가운데 축생이나 범부의 상태를 수행방향으로 삼아 수행해나가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그처럼 잘못된 망상분별과 집착을 모두 제거한 바탕에서 중생제도를 위한 수행에 정진해 나가야 한다.

그런 가운데 선종에서 제시되는 몇몇 입장을 구체적으로 검토해보기로 한다.

>>>


● 마조 도일의 즉심시불(卽心是佛)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즉심시불(卽心是佛)은 망집을 일으킨 범부의 평상의 마음 상태도 깨달은 부처와 동일시한다.

망집 분별을 떠나서 깨달음의 입장에서 관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이런 차별과 분별을 모두 떠난다.
그리고 수행과정에서는 그런 측면을 취해 생사현실 일체를 차별없이 대하고 생사고통을 평안히 극복해야 한다.
그래서 수행과정에서 이런 차별과 분별을 떠나는 상태에 이르는 것이 요구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그런 취지의 내용을 제시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다만 이런 수행자의 상태 또한 생사현실내 특수한 차별적 상태다.
생사현실은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런 상태가 되지 못한다.
그래서 문제 상황이다.
그리고 이것을 그대로 방치하면 곤란하다.

범부는 망집에 바탕해 업을 행하고 생사고통을 겪는다.
초목은 깨달음이 없다.
만일 평상심을 이처럼 망집에 바탕한 범부의 일상적 마음 상태라고 하자.
그런 경우 여래의 상태와 큰 차별이 있다.
그래서 범부는 생사현실에서 생사고통을 겪게 된다.
그래서 이는 깨달음을 얻은 상태가 아니다.
그리고, 복덕과 지혜를 갖춘 상태가 되지 못한다.

물론 여래도 마음을 바탕으로 한다.
그러나 반대로 모든 마음 상태가 여래의 마음은 아니다.
여래도 실상이 공하다.
그러나 단지 공하다고 하여 공한 일체가 다 여래는 아니다.
그래서 온갖 마음을 그대로 무방하다고 할 수 없다.
생사고통을 겪는 온갖 현실을 그대로 무방하다고 할 수 없다.
또 이런 상태를 수행의 목표점으로 향해 나가는 것도 곤란하다.

따라서 평상심을 수행의 목표점으로 향해 나아가는 것은 곤란한 일이다 .
망집과 분별을 떠난 상태를 평상심의 의미라고 하자.
그런 경우 이는 중생들의 일반적인 상태와는 거리가 멀다.
범부는 망집을 일으켜 임하는 상태다.
그리고 이런 상태는 문제상태다.

그런 경우에도 수행자는 이런 중생을 평안히 참고 용인해야 한다.
그래서 그런 상태도 무방하다고 참고 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런 상태가 수행자의 목표상태일 수는 있다.
그러나 그런 중생의 망집상태가 수행 목표 상태가 될 수는 없다.
<중생의 망집 상태 자체>와, <중생의 망집상태도 참고 받아들이는 상태>는 구별해야 한다.




● 운문 문언(雲門文偃:Yunmen Wenyan 864〜949)의 “마른 똥 막대기(간시걸乾屎厥).”

부처는 현실에서 생사의 묶임에서 벗어난 가장 최고의 상태다.
똥막대기는 현실에서 흔하거나, 누구나 더러워 피하게 되는 내용을 나타낸다.
부처와 똥막대기 사이에는 현실의 차별이 있다.

그러나 부처를 실상의 측면에서 관한다고 하자.
그러면 그런 현실의 차별상을 떠나게 된다.

한편, 똥막대기 역시 그 실상의 측면을 관한다고 하자.
이 경우 역시 현실의 차별상을 떠나게 된다.
그래서 이 모든 경우 실상의 측면을 관할 경우 이런 차별상을 떠나야 한다는 공통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는 이들이 실재 측면에서 서로 완전히 같은 하나인 것은 아니다.
부처의 실상은 공하다.
똥막대기의 실상도 공하다.
그러나 이 두 공의 경우도 역시 서로 같음을 얻을 수 없다.
공함 역시 공하기 때문이다.
공함은 한편 실상의 측면에서도 완전히 동일한 하나임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공함은 물론 다르다고도 할 수 없다. 일체 분별과 차별을 떠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차별을 떠남>은 같고 다름의 분별을 모두 떠나는 것을 말한다.

실재의 측면에서는 그런 같고 다름의 분별 자체를 모두 떠나야 한다.

한편 이 둘은 현실에서도 역시 같다고 할 수 없다.
물론 일부의 측면이나 성품을 공유할 수는 있다.
예를 들어 둘다 <존재>라고 하는 경우와 같다.
그렇다고 이런 구문이 나타내는 의미에는 들어 맞지 않는다.
현실 측면에서 똥 막대기가 곧 부처는 아니다.
부처가 곧 똥 막대기 인것도 아니다.

따라서 선사의 이런 표현은 적극적으로 부처가 똥막대기라고 제시한 것은 아니다.
즉 선사의 이런 표현은 다음과 같은 사정을 역설적으로 언어표현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실재에서는 본래 그런 분별 자체를 얻을 수도 없다.
그리고 선사가 이런 실재의 측면에서 현실을 대한다.
그래서 현실에서의 망집분별에 바탕한 분별을 모두 떠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현실에서 분별을 행하여, 부처나 똥막대기의 차별을 문제삼는다.
그런데 실재나 현실 영역에서 그런 각 언설이 가리키는 바를 본래 얻을 수 없다.
그리고 일체 언설이 역시 그 의미를 잃는다.
그래서 그런 사정을 역설적으로 언어를 통해 나타내고자 한다.
그래서 부처와 똥막대기를 엉터리로 관계지어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망집에 바탕해 언어표현과 의미에 집착하는 자세를 벗어날 것을 제시하는 취지다.



<추가참고 ▣○ <생사 즉 열반관>과 중생제도를 위한 수행










★1★










◆vemc1751

◈Lab value 불기2566/12/31/토/13:24


○ 2019_1105_165920_can_ct18.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koloman-moser-landscape-in-semmering-1913-1.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koloman-moser
from https://en.wikipedia.org/wiki/Koloman_Moser
Title : landscape-in-semmering-1913-1.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an_jose_MRG_1
[#M_▶더보기|◀접기|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an_jose_MRG_1.jpg
A rose in the San Jose Municipal Rose Garden. T

John Pozniak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Colegio-ayacucho
[#M_▶더보기|◀접기|
Español: Colegio Nacional Simón de Ayacucho
Author Kevin andres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02/南京栖霞寺-china.html
https://blog.daum.net/thebest007/966
■htmback--B-_불기2566-02-13-Tis.htm

Francoise Hardy - Ou Est-Il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meditation-school.html#1751
sfx--dict/선종.txt
sfd8--불교용어dic_2566_12.txt ☞◆vemc1751
불기2566-12-31
θ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지옥 염마왕청에 있는 거울. 여기에 비추면 죽은 이가 생전에 지은 선악의 행업이 그대로 나타난다고 함.

답 후보
● 업경(業鏡)
여(如)
여래식(如來識)
여시(如是)
여실공경(如實空鏡)

여의주(如意珠)
역죄(逆罪)

■ 음악
Arthur H - L'amoureux
Patricia Carli - Ne Me Demande Pas
Daniel Balavoine - Lady Marlene
Jean Pierre François - Je te Survirai
Charles Aznavour - Devi Sapere
Daniel Guichard - Je T'aime, Tu Vois
Charles Aznavour - Ce Metier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乎 ■ ( 어조사 호 / ~느냐? ~랴! )
052▲ 兄乎禾各艮 ■ 형호화각간 52 ( 형 형 / 두려워할 황 ) ( 어조사 호 / ~느냐? ~랴! ) ( 벼 화 / 말 이빨의 수효 수 )( 각각 각 )( 괘 이름 간 / 그칠 간, 은 은 )
039▲ 末皿矛母目 ■ 말명모모목 39 ( 끝 말 )(그릇 명 )( 창 모 )(어머니 모 / 없을 무 )(눈 목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Thangka
[san-chn] khaṭuka 壞
[san-eng] āśrayā $ 범어 śeltor
[pali-chn] maccu-māra 死魔
[pal-eng] phandi $ 팔리어 aor. of phandatitrembled; throbbed; stirred.
[Eng-Ch-Eng] 佛慧 The buddha's wisdom; the wisdom of enlightenment. 〔法華經, T 262.9.26a21〕
[Muller-jpn-Eng] 光寳 コウホウ Guang and Bao
[Glossary_of_Buddhism-Eng] WORLD HONORED ONE☞
See: World-Honored One.

[fra-eng] aguichons $ 불어 entice


■ 암산퀴즈


610* 736
289624 / 328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39 번째는?
자비주 52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40 번째는?




39 훌륭한 힘을 증장시켰으며,
타우로, 託齲盧<三十九>
thakkura
(~!~) 현세의 왕이시여! 지옥과 불에 떨어진 이들을 보호하고 보호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52
또 이 주문 외우고 지니는 자가
입으로 하는 말이
좋은 말이든 나쁜 말이든
일체 천마(天魔)나
외도(外道)와 용과 신이 모든 귀신이 들으면
다 청정한 법음으로 듣게 되어
다 이 사람에게
공경하는 마음을 내어
부처님과 같이 존경하리라.
● 사바하 娑婆訶<五十二> s vā hā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40
바라 아바 례다마니
鉢囉<二合>入嚩<二合引>隸哆摩抳<四十>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64일째]
차불가설중일신 $ 106▲青蓮華青蓮華為 一 ● 鉢頭摩, ○□□□□,示,此,示,此

□□□□□□□, 示現於頭不可說;
此不可說中一頭, 示現於舌不可說;
□□□□□□□, 시현어두불가설;
차불가설중일두, 시현어설불가설;

말할 수 없는 몸의 한 몸에다가
나타내는 머리를 말할 수 없고
말할 수 없는 머리 한 머리에서
말할 수 없는 혀를 나타내나니



[365째]
차불가설중일설 $ 107▲鉢頭摩鉢頭摩為 一 ● 僧祇, ○□□□□,示,此,經,如

□□□□□□□, 示現於聲不可說;
此不可說中一聲, 經於劫住不可說。
□□□□□□□, 시현어성불가설;
차불가설중일성, 경어겁주불가설。

말할 수 없는 혀의 이 한 혀에서
나타내는 음성을 말할 수 없고
말할 수 없는 음성 한 음성으로
몇 겁을 지내는지 말할 수 없어





●K0900_T1427.txt★ ∴≪A마하승기비구니계본≫_≪K0900≫_≪T1427≫
●K0889_T1425.txt★ ∴≪A마하승기율≫_≪K0889≫_≪T1425≫
●K0903_T1426.txt★ ∴≪A마하승기율대비구계본≫_≪K0903≫_≪T1426≫

법수_암기방안


106 칼라본 the collarbone 【쇄골】
107 립스 ribs 䝱 갈비 【협】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52 눈 eye 眼 【안】


40 중앙 발가락 [신조어 ] center part (middle) toe

448960
883

○ 2019_1106_120804_nik_exc


○ 2019_1106_152218_nik_exc


○ 2019_1105_155544_nik_exc_s12


○ 2019_1105_190646_nik_fix


○ 2019_1106_110500_can_exc_s12


○ 2019_1106_114714_can_exc


○ 2019_1106_135540_can_fix


○ 2019_1106_173627_can_fix


○ 2020_0211_134833_can_fix


○ 2020_0908_162309_can_ori_rs


○ 2020_0908_163513_can_ori_rs


○ 2020_0908_165159_can_ori_rs


○ 2020_0910_112204_can_ori_rs


○ 2020_1002_131337_nik_fix


○ 2018_1022_173252_can_ori


○ 2018_1024_164412_nik_ori


○ 2020_1114_134854_can_ori


○ 2019_1104_130929_can_exc


○ 2019_1104_171626_can_exc_s12

● [pt op tr] fr
_M#]



○ 2019_1104_113015_nik_exc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선종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링크용타이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선종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meditation-school.html
sfx--dict/선종.txt
sfd8--불교용어dic_2566_12.txt ☞◆vemc1751
불기2566-12-31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970950147
http://buddhism.egloos.com/archives/2022/12/31
htmback--선종_불기2566-12-31-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