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분별보시경』
K1411
T0084
불설분별보시경 /전체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4-03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411_T0084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불설분별보시경』
♣1411-001♧
,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19_1106_101954_nikon_exc▾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20116_nik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5_164344_nikon_exc_s12▾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6_165729_canon_fix▾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5_123330_canon_exc▾순천 조계산 선암사
○2020_0909_141942_canon_ori_rs▾무주 백련사
○2020_0910_120004_nikon_ori_rs▾속리산 법주사
○2020_0908_174141_canon_ori_rs▾합천 길상암
○2016_0505_121612_canon▾춘천 청평사
○2020_1017_160150_nikon_exc_s12▾삼각산 화계사
○2018_1022_134854_nikon_ori▾공주 계룡산 갑사
○2018_1022_181754_nikon_ori▾공주 태화산 마곡사
○2021_0216_120345_nikon_exc▾석모도_낙가산_보문사
○2021_0930_185342_canon_exc▾영월_사자산_법흥사
○2021_1004_114347_canon_exc_s12▾의령_봉황산_일붕사
○2022_0827_145831_canon_exc_s12▾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2021_1003_105358_nikon_exc▾밀양_재악산_표충사
○2021_0217_174359_nikon_exc▾서산_간월암_간월사
○2021_0215_153210_nikon_exc▾안성_칠현산_칠장사
● [pt op tr] fr
_M#]
○2022_0827_143603_nikon_exc▾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본문 ♥
◎[개별논의]
★%★
『불설분별보시경』
♣1411-001♧
불설분별보시경 해제 (있는 경우)
불설분별보시경 001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tmc1676
◈Lab value 202102151532 |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2020_0224_130026_nikon_ct18_s12 ♡보광심인당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1411-001.html#1676 sfed--불설분별보시경_K1411_T0084.txt ☞불설분별보시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tmc1676 불기2569-04-03 θθ |
■ 퀴즈
『왕생론(往生論)』ㆍ『정토론(淨土論)』이라고도 함.
세친(世親) 보살의 『무량수경우바제사원생게(無量壽經優波提舍願生偈)』의 약어.
답 후보
● 원생게(願生偈)
원통대사(圓通大士)
월등삼매(月燈三昧)
위앙종(潙仰宗)
위타론사(韋陀論師)
유가(瑜伽)
유가상승(瑜伽上乘)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ireille Mathieu - Tlerromanze
Eddy Mitchell - Melody Gardot - Derrière L'Arc-En-Ciel Over The Rainbow
Salvatore Adamo - Vous Permettez Monsieur
Zizi Jeanmaire - Dix De Conduite
JOE DASSIN - Aux Champs Elyss
Michel Sardou - La Pluie De Jules Cesar
Les Ogres De Barback - Expression De Sentiment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15▲ 乡于已弋廴 ■ 향우이익인 15 ( 시골 향 )( 어조사 우 / 어조사 어 )( 이미 이 )( 주살 익 )( 길게 걸을 인 )
028▲ 予五午王夭 ■ 여오오왕요 28 ( 나 여/ 줄 여, 미리 예 ) ( 다섯 오 )( 낮 오 / 일곱째 지지( 地支) 오 )(임금 왕 / 구슬 옥 옥 )( 일찍 죽을 요/ 어릴 요, 어린아이 오, 땅 이름 옥, 예쁠 외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Thiên Ân
[san-chn] pratipakṣa-bhāvanā 修對治
[san-eng] prayujyate $ 범어 is used
[pali-chn] Kumbhaṇḍa 鳩槃荼
[pal-eng] vijju $ 팔리어 f.a lightning.
[Eng-Ch-Eng] 初轉法輪 The "first turning of the wheel of the dharma." S/a^kyamuni's first sermon.
[Muller-jpn-Eng] 時教 ジキョウ classification of doctrine based upon time period
[Glossary_of_Buddhism-Eng] CAUSE IS RESULT, RESULT IS CAUSE☞
Syn: Simultaneity of Cause and Effect.
See also: Cause and Effect.
High level teaching of such Mahayana sutras as the Avatamsaka
Sutra… “The cause has the result as its cause, while the result has the
cause as its result. It is like planting seeds: the seeds produce fruit, the
fruit produces seeds.”
“Causes include the sea of results, the result penetrates through to the
causal source.”
This concept from the Avatamsaka and other Mahayana sutras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analogy of apple seeds (causes) leading to
the apples of the future (results); the apples, in turn, contain within
themselves the seeds of future trees and apples. In the same vein,
sentient beings (causes) have the Buddha Nature within themselves,
leading to Buddhahood (results); these Buddhas (results), in time,
return to the world to rescue sentient beings (causes). Thus, cause and
result are inseparable – cause is result, result is cause. As the sutras put
it: “Causes encompass the sea of Results, and the Results extend back
through the Causal sources.”
[fra-eng] mécontentai $ 불어 displeased
[chn_eng_soothil] 室利提婆 Śrīdeva, name of 道希 Tao-hsi, a noted monk.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言: 「甚多, 世尊.」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엄청나게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玄奘] 善現答言: 「此地微塵甚多, 世尊, 甚多, 善逝!」
[義淨] 妙生言: 「甚多, 世尊!」
13-06 सुभूतिराह-बहु भगवन्, बहु सुगत पृथिवीरजो भवेत्।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많습니다. 복덕갖춘분이시여! 많습니다. 잘가닿은분이시여!
대지의 티끌은 그럴 것입니다.
▼▷[subhūtirāha] ① subhūtiḥ(ƾ.nom.) + āha(ƺ.) → [수보리는、 말했다.]
▼▷[bahu] ① bahu(ƺ.) → [많습니다]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bahu] ① bahu(ƺ.) → [많습니다]
▼[sugata] ① sugata(ƾ.voc.) → [잘가닿은분이시여!]
▼[pṛthivīrajo] ① pṛthivī+rajaḥ(ƿ.nom.) → [대지의 티끌은]
▼[bhavet] ① bhavet(pot.Ⅲ.sg.) → [될 것입니다. → 그럴 것입니다.]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93일째]
제불자중불가설 $ 093▲摩攞羅摩攞羅為 一 ● 娑婆(上)羅, ○□□□□,清,稱,讚,世
□□□□□□□, 清淨勝行不可說,
稱歎諸佛不可說, 讚揚無盡不可說,
□□□□□□□, 청정승행불가설,
칭탄제불불가설, 찬양무진불가설,
諸佛子眾不可說,
불자의 여러 대중 말할 수 없고
청정하고 훌륭한 행 말할 수 없고
부처님 찬탄함도 말할 수 없고
끝없이 칭찬함을 말할 수 없고
[94째]
세간도사불가설 $ 094▲娑婆羅娑婆羅為 一 ● 迷攞普, ○□□□□,演,彼,清,彼
□□□□□□□, 演說讚歎不可說,
彼諸菩薩不可說, 清淨功德不可說,
□□□□□□□, 연설찬탄불가설,
피제보살불가설, 청정공덕불가설,
世間導師不可說,
세상의 길잡이됨 말할 수 없고
연설하고 찬탄함을 말할 수 없고
저 모든 보살들을 말할 수 없고
청정한 그 공덕을 말할 수 없고
095□
●K0824_T0738.txt★ ∴≪A불설분별경≫_≪K0824≫_≪T0738≫
●K1411_T0084.txt★ ∴≪A불설분별보시경≫_≪K1411≫_≪T0084≫
●K0810_T0729.txt★ ∴≪A불설분별선악소기경≫_≪K0810≫_≪T0729≫
■ 암산퀴즈
177* 832
299490 / 745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8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4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93 번째는?
28 바른 법의 정기가 선행(善行)하도록 증장시키며,
가라바바라벌라뎨, 揭剌婆跋羅伐剌帝<二十八>
hrd-grah samvara vrate,
(이하~) 나약하고 친밀한 이의 마음을 제압하시는 이시여!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40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筏帝<四十>◑Namo bhagavate
041 아미타 바 야 ◐阿彌陁<引>婆<引>耶<無量壽佛四十一>◑amitābhāya
042 다타가다야 ◐怛他揭多耶<四十二>◑tathāgatāya
043 아라하뎨삼먁삼보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應等正覺四十三>◑arhate samyaksaṃbuddhāya//
044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筏帝<四十四>◑Namo bhagavate
045 아추뱌 ◐阿芻鞞也<阿閦如來四十><五>◑akshobhya
046 다타가다야 ◐怛他揭多耶<四十六>◑tathāgatāya
047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四十七>◑arhate samyaksaṃbuddhāya//
048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筏帝<四十八>◑Namo bhagavate
049 비사자구로 볘소리리야 ◐毘沙闍俱嚕<二合>吠琉璃唎耶<藥師如來四十九>◑bhaishajya-guru-vaidūrya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을 머금어
티끌처럼 많은 국토에서
큰 법륜(法輪)을 굴리신다.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93
중생을 제도하신 제일의 이족존(二足尊)께 귀의합니다.
南無救度第一二足尊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47264
402
법수_암기방안
4 작은창자 【소장】
93 엄지(~)발가락
94 검지(~두째) 발가락 [신조어 ]
28 새끼 ( LITTELE finger)
6 쇄골 【쇄골】
93 엄지(~)발가락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404_110730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나비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 2568-12-30-월
Treborth Botanic Garden - Bangor University, the United Kingdom
University, Treborth Botanic Garden, Bangor LL57 2RQ 영국
[사진] https://www.google.co.kr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maps.app.goo.gl
https://maps.app.goo.gl
[세계내-위치] https://www.google.nl
[설명 1] https://en.wikipedia.org
[설명 2] https://www.birdingplaces.eu
[동영상 1] 2:14
https://youtu.be
Treborth Botanic Gardens - an overview
[동영상 2]
[음악] https://radio.garden
[예술작품감상]
Prowl에서 - 찰스 M. 러셀
https://www.wikiart.org
004 바디사다볘뱌 ◐勃地薩哆吠弊<歸命菩薩><毘㖿反四>◑bodhisattvebhyaḥ//

○2019_1004_133352_nikon_Ar26

○2019_1004_163846_canon_Ar26

○2019_1004_140432_nikon_CT27

○2019_1004_150102_canon_BW21

○2019_1004_150437_canon_ab41

○2019_1004_150949_canon_ar45

○2019_1004_154901_nikon_AR35

○2019_1004_134903_nikon_fix

○2019_1004_154134_canon_ct21

○2019_1004_164959_canon_ab28

○2019_1004_165343_canon_ct35

○2019_1004_172149_nikon_ct7

○2020_0224_104339_nikon_ar10

○2020_0224_104830_nikon_ct8_s12

○2020_1126_153202_nikon_ct19

○2020_1126_153318_nikon_CT28

○2020_1126_160047_canon_exc
● [pt op tr] fr
_M#]

○2020_1126_161150_nikon_AB7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설분별보시경_K1411_T0084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불설분별보시경 /전체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설분별보시경-K1411-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1411-001.html
sfed--불설분별보시경_K1411_T0084.txt ☞불설분별보시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tmc1676
불기2569-04-03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21790591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15
htmback--불기2569-04-03_불설분별보시경_K1411_T0084-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