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4년 9월 24일 화요일

불기2568-09-24_대방광불화엄경-k0079-056


『대방광불화엄경』
K0079
T0278

대방광불화엄경 제56권/전체6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대방광불화엄경』 ♣0079-056♧




대방광불화엄경 제56권/전체6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02311_nik_fix


○ 2019_1106_105047_nik_bw24_s12


○ 2019_1106_120313_nik_ar31_s12


○ 2019_1105_134524_can_BW25


○ 2019_1105_163934_can_BW17


○ 2020_0430_131826_can_ct18


○ 2020_0904_084320_nik_ori_rs


○ 2020_0905_162938_can_BW28


○ 2020_0906_110451_can_ar11


○ 2020_0906_130137_can_ori_rs


○ 2020_0908_155654_can_ar47


○ 2020_0909_142915_can_ct18


○ 2020_0910_114838_nik_CT33


○ 2020_0911_112254_nik_ori_rs


○ 2020_0930_143026_nik_AB52


○ 2020_1017_160440_can_ct9


○ 2018_1024_175215_nik_Ab35


○ 2018_1023_164658_can_BW22


○ 2020_1114_145234_nik_Ab31

● [pt op tr] fr
_M#]



○ 2020_0908_151214_can_BW27



❋❋본문 ◎[개별논의]

★%★
『대방광불화엄경』 ♣0079-056♧






◎◎[개별논의] ❋본문









★1★





◆viyh1531

◈Lab value 불기2568/09/24


○ 2018_0419_140248_can_exc.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alvador-Dali-portrait-of-my-father-1921.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Salvador-Dali
Salvador Domingo Felipe Jacinto Dalí i
rom https://en.wikipedia.org/wiki/Salvador_Dalí

Title : portrait-of-my-father-1921.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9_134729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he-shipwreck
[#M_▶더보기|◀접기|
The Shipwreck
J.M.W. Turner
Permission & Licensing : Wikipart
● [pt op tr] fr
_M#]


♥Liberia ,Gbarnga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CLAUDE FRANCOIS - Alexandrie Alexandra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09/2568-09-24-k0079-056.html#1531
sfed--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txt ☞대방광불화엄경 제56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8_09.txt ☞◆viyh1531
불기2568-09-24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후세. 전생(前生)ㆍ숙세(宿世)라고도 함. 현세(現世)에 태어나기 이전 세상.

답 후보
● 전세(前世)
점교(漸敎)
점오(漸悟)

정등각무외(正等覺無畏)
정사(正使)
정어(正語)
정유리세계(淨琉璃世界)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Jean Ferrat - La Fete Aux Copains
Mireille Mathieu - Tous Les Enfants Chantent Avec Moi
FabienneThibault - Starmania - Un garçon pas comme les autres
michel fugain - Une belle histoire2
Fernandel - Francine
Daniel Balavoine - C'est Fini
Joyce Jonathan - ma musiqu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34▲ 艸卄丑夬巴 ■ 초입축쾌파 34 ( 풀 초 )( 스물 입) ( 소 축 / 추할 추, 수갑 추 )( 터놓을 쾌/ 쾌괘 쾌, 깍지 결 ) ( 꼬리 파/ 바랄 파)
008▲ 丁七八勹厂 ■ 정칠팔포한 8 ( 고무래 정/장정 정 --CF* 고무래( 곡식을 그러모으고 펴거나, 밭의 흙을 고르거나 아궁이의 재를 긁어모으는 데에 쓰는 丁 자 모양의 기구) )( 일곱 칠 )( 여덟 팔 )( 쌀 포 )( 기슭 한 / 기슭 엄, 공장 창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Monkey mind
[san-chn] kiṃ tu 何況, 雖然
[san-eng] striyaścaritraṃ $ 범어 the caracater of a woman
[pali-chn] arūpa-dhātu 無色界
[pal-eng] gaayita $ 팔리어 pp. of gaayatisung; recited.
[Eng-Ch-Eng] 舍 Renunciation 舍 One of the Four Unlimited Mind. As one of the chief Buddhist virtues, renunciation leads to a state of "undifferent without pleasure or pain". It is also an equality in mind with no distinction of self and others.
[Muller-jpn-Eng] 地論宗 チロンシュウ (school) Stages Sect
[Glossary_of_Buddhism-Eng] FOUR CHOICES☞
See: Four Options.

[fra-eng] vif $ 불어 alert, brisk, keen
[chn_eng_soothil] 偏門 A side door, one through which offenders are expelled.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何以故? 須菩提, 如我昔爲歌利王, 割截身體, 我於爾時,
無我相、無人相、無衆生相、無壽者相.
무슨 까닭이겠는가. 수보리야, 내가 옛날에 가리왕에게 몸을 갈기갈기 찢길
적에 아상도 없고 인상도 없고 중생상도 없고 수자상도 없었느니라.
[玄奘] 何以故? 善現, 我昔過去世曾為羯利王斷支節肉.
我於爾時都無我想、或有情想、或命者想、或士夫想、或補特伽羅想、或意生想、
或摩納婆想、或作者想、或受者想. 我於爾時都無有想, 亦非無想.
[義淨] 何以故? 如我昔為羯陵伽王割截支體時, 無我想、眾生想、壽者想、更求趣想.
我無是想, 亦非無想.
14-11 तत्कस्य हेतोः ? यदा मे सुभूते कलिराजा अङ्गप्रत्यङ्गमांसान्यच्छैत्सीत्, नासीन्मे तस्मिन् समये आत्मसंज्ञा वा सत्त्वसंज्ञा वा जीवसंज्ञा वा पुद्गलसंज्ञा वा, नापि मे काचित्संज्ञा वा असंज्ञा वा बभूव।
tatkasya hetoḥ | yadā me subhūte kaliṅgarājā
aṅgapratyaṅgamāṁsānyacchaitsīt | nāsīnme tasmin samaye ātmasaṁjñā vā
sattvasaṁjñā vā jīvasaṁjñā vā pudgalasaṁjñā vā nāpi me kācitsaṁjñā vā
asaṁjñā vā babhūva |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수보리여! 깔링가왕이 나의 몸통과 사지의 살점들을 도려내었을
때, 그 때에 나에게 있어서 자아에 대한 산냐나 중생에 대한 산냐나 영혼에 대한 산냐나
개체아에 대한 산냐가 없었으며, 또한 나에게 있어서 어떤 산냐나 산냐가 아닌 것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인가?]
▼▷[yadā] ① yadā(ƺ.) → [(~때)]
② yadā(ƺ. when, at what time, whenever; if)
▼[me] ① me(pn.Ⅰ.gen.) → [나의]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kaliṅgarājā] ① kaliṅga+rājā(ƾ.nom.) → [깔링가왕이]
② kaliṅga(nj. clever; cunning: ƾ. N. of a country and its inhabitants)
② rājan(ƾ. a king, chief; anything best of its kind) < rāj(1.dž. to reign, rule over, govern)
▼[aṅgapratyaṅgamāṁsānyacchaitsīt] ① aṅga+pratyaṅga+māṁsāni(ƿ.acc.pl.) +
acchaitsīt(s­aor.Ⅲ.sg.) → [몸통과 사지의 살점들을、 도려내었을 때]
② aṅga(ƿ. the body; a limb or member of the body)
② pratyaṅga(ƿ. a secondary or minor limb of the body, as the nose; a division, chapter)
② māṁsa(ƿ. flesh, meat; the flesh of fish; the fleshy part of a fruit: ƾ. a worm)
② chid(7.dž. to cut, lop off, hew, mow, tear; to disturb, interrupt; to remove, drive off)
 √chid(7.dž.) > a[augment] + chaid[vṛddhi] + s[add] + ­īt[affix] >
acchaitsīt(s­aor.Ⅲ.sg.)
▼▷[nāsīnme] ① na(ƺ.) + āsīt(impf.Ⅲ.sg.) + me(pn.Ⅰ.gen.) → [없었다、 나의(→나에게
있어서)]
② as(2.ǁ. to be, live, exist; to belong to)
 梵本追加 : nāsīnme
▼[tasmin] ① tasmin(pn.ƾ.loc.) → [그]
② tasmin(pn.ƾƿ.loc.sg.) < tad(pn. that, he, it, she)
▼[samaye] ① samaye(ƾ.loc.) → [때에]
② samaya(ƾ. time in general; occasion, opportunity; fit time, right moment; an agreement)
▼[ātmasaṁjñā] ① ātma+saṁjñā(Ʒ.nom.) → [자아에 대한 산냐나]
▼[vā] ① vā(ƺ.)
▼[sattvasaṁjñā] ① sattva+saṁjñā(Ʒ.nom.) → [중생에 대한 산냐나]
▼[vā] ① vā(ƺ.)
▼[jivasaṁjñā] ① jiva+saṁjñā(Ʒ.nom.) → [영혼에 대한 산냐나]
▼[vā] ① vā(ƺ.)
▼[pudgalasaṁjñā] ① pudgala+saṁjñā(Ʒ.nom.) → [개체아에 대한 산냐나,]
▼[vā] ① vā(ƺ.)
▼[nāpi] ① na(ƺ.) + api(ƺ.) → [또한]
▼[me] ① me(pn.Ⅰ.gen.) → [나의 → 나에게 있어서]
▼[kācitsaṁjñā] ① kācit(pn.Ʒ.nom.) + saṁjñā(Ʒ.nom.) → [어떤、 산냐나]
② kim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② saṁjñā(Ʒ. consciousness; knowledge, understanding; intellect, mind)
▼[vā] ① vā(ƺ.)
▼[asaṁjñā] ① asaṁjñā(Ʒ.nom.) → [산냐가 아닌 것이]
▼[vā] ① vā(ƺ.)
▼[babhūva] ① babhūva(re­perf.Ⅰ.sg.) → [이뤄지지 않았다. →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 중복완료(reduplicated perfect) : 완료형에 어근을 중복시켜 완료의 어미를 붙이는
경우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68일째]
이차제진수제겁 $ 010■ ■以 於一彼不於 一不於彼此
010▲ 那由他那由他為 一 ●頻婆羅 ○□□□□,一,爾,無,於

□□□□□□□, 一塵十萬不可說,
爾劫稱讚一普賢, 無能盡其功德量。
□□□□□□□, 일진십만불가설,
이겁칭찬일보현, 무능진기공덕량。

以此諸塵數諸劫,
이러한 티끌로써 겁을 세는데
한 티끌에 십만 개의 말 못할 겁씩
그렇게 많은 겁에 칭찬한대도
한 보현의 공덕도 다할 수 없어



[269째]
어일미세모단처 $ 011▲頻婆羅頻婆羅為 一 ● 矜羯羅, ○□□□□,有,一,如,一

□□□□□□□, 有不可說諸普賢,
一切毛端悉亦爾, 如是乃至遍法界。
□□□□□□□, 유불가설제보현,
일체모단실역이, 여시내지편법계。

於一微細毛端處,
가장 작은 한 털 끝이 있을 자리에
말로 못할 보현보살 있는 것같이
온갖 터럭 끝마다 모두 그러해
이와 같이 법계에 가득하니라.





●K0150_T0462.txt★ ∴≪A대방광보협경≫_≪K0150≫_≪T0462≫
●K0079_T0278.txt★ ∴≪A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
●K0080_T0279.txt★ ∴≪A대방광불화엄경≫_≪K0080≫_≪T0279≫


■ 암산퀴즈


22* 609
24738 / 651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8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52 번째는?




08 명성(名聲)을 증장시키며,
바주라참포, 伐折洛讖蒱<八>
vajra ksam bhu,
금강(金剛)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30 나모스그리다야 ◐娜牟塞訖唎多耶<三十>◑Namas-kritāya//
031 나모바가바뎨다타가다 ◐娜牟婆伽筏帝<舊>怛他揭多俱囉耶<如來><族三十一>◑Namo bhagavate tathāgatakulāya//
032 나모바다마 구라야 ◐娜牟鉢頭摩<二合>俱囉耶<歸命蓮華族菩薩等><三十二>◑Namaḥ padma-kulāya//
033 나모바저라구라 야 ◐娜牟筏折囉俱囉<半音用同下>耶<歸命><金剛族三十三>◑Namo vajra-kulāya//
034 나모마니구라야 ◐娜牟摩尼俱囉耶<歸命寶族三十四>◑Namo maṇi-kulāya//
035 나모가 자구라야 ◐娜牟伽<上>闍俱囉耶<歸命衆族三十五>◑Namo gaja-kulāya//
036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筏帝<三十六>◑Namo bhagavate
037 디리 다슈라혜나 ◐地唎<二合>茶輸囉哂那<三十七>◑driḍha-śyra-sena
038 바라 하라나라 자야 ◐鉢囉<二合>訶囉拏囉<引>闍耶<大猛將各持器仗入三十八>◑praharaṇa-rājāya
039 다타가다야 ◐怛他揭多耶<如來三十><九>◑tathāgatāya//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을 타고 보배연꽃에 앉으셔서
티끌처럼 많은 국토에 응하시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52
번뇌[塵]를 여의신 무상사(無上士)께 귀의합니다.
南無離塵無上士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3398
38
법수_암기방안


11 위팔 upper arm
3 밥통 【위】
8 큰 창자,【대장】

21 큰 마름 [엄지쪽 큰마름(뼈) ~ 트러피지엄trapezium]
52 눈 eye 眼 【안】
10 손목 WRIST
68 요골 ~ 노뼈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8_0924_233555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 당(唐)나라 위군(魏郡)의 마가운(馬嘉運)



당(唐)나라 위군(魏郡)의 마가운(馬嘉運)은 정관(貞觀) 6년(632) 정월에 집에 있다가 날이 저물어 대문을 나갔다.
갑자기 어떤 두 사람이 각각 말 한 마리씩을 붙들고 문 밖 나무 밑에 서 있는 것을 보고 가운은 물었다.
“당신네는 누구십니까?”
그들은 대답했다.
“동해공(東海公)이 우리를 보내어 마생(馬生)을 맞이하러 왔습니다.”
가운은 평소에 학식이 있어 그 이름이 온 고을에 다 퍼졌으므로 항상 대사(臺史)와 사방의 귀인들이 그를 청했다.
그런 줄 알기 때문에 괴이히 여기지 않고,
그 사자들에게 말하였다.
“나는 말이 없습니다.”
저들은 말하였다.
“말을 준비해 왔습니다.
이것으로 마생을 모시겠습니다.”
가운은 나무 밑에서 말에 올랐으나 가운의 몸은 나무 밑에 거꾸로 누워 있었다.
조금 있다가 어떤 관리가 가운을 데리고 대문 안으로 들어가는데,
남녀 수십 인이 문 밖에서 무엇을 하소연하는 듯했다.
어떤 부인이 있었다.
그녀는 이전부터 가운과 아는 사이로서,
그 고을의 장공근(張公瑾)의 첩이었다.
그녀의 성은 원(元)씨로서 손에 한 장의 문서를 들고 가운에게 말하였다.
“마생은 아직도 나를 아시겠습니까?
옛날 장총관(張總管)과 노실 때에 늘 자주 뵈었습니다.
총관은 무례하게도 이유 없이 나를 죽였으므로 나는 천조(天曹)에 호소한 지 3년이온데 왕천주(王天主)가 되어 공근을 구호하여 지금 항상 보고 있습니다.
지금에야 원한을 풀었으나 관리가 지금 오래지 않아 쫓아올 것입니다.
나는 혼자 억울하게 당했습니다만 마생은 왜 여기 오셨습니까?”
가운은 전에 원씨가 피살된 줄을 알았으나 지금 보고 비로소 죽은 것을 확실히 알았다.
사자가 데리고 대문 안으로 들어가려 하자 문지기가 말하였다.
“동해공이 지금 주무시므로 뵈올 수 없습니다.
저 곽형사(霍刑司)에게로 가시오.”
가운이 형사를 만났는데,
그는 곧 익주(益州)의 행대랑(行臺郞) 중의 곽장(霍璋)이었다.
그는 가운을 보자 맞이해 자리에 앉히고는 말하였다.
“이 부(府)의 기실관(記室官)이 지금 공석이어서 동해공이 그대의 재학(才學)을 듣고 그 자리에 앉히려는 것입니다.”
가운은 사양하면서 말하였다.
“처자를 거느리고 가난하게 살 뿐이요,
벼슬은 원하지 않습니다.
양해해 주시면 다행이겠습니다.”
그러나 곽장은 말하였다.
“학문이 없어 할 수 없다면 우리는 아는 사이라 내가 천거하여 되도록 하겠소.”
조금 있다가 어떤 사람이 와서 말하였다.
“동해공이 지금 일어나셨습니다.”
그리고는 가운을 데리고 들어갔다.
한 사람이 청사에 앉았는데 살이 찌고 키가 작으며 얼굴빛은 검었다.
그는 가운을 앞으로 불러 말하였다.
“그대의 재학을 듣고 기실(記室)을 맡기고 싶은데 할 수 있겠소?”
가운은 사양하면서 말하였다.
“큰 영광입니다.
그러나 시골 늙은이로서 경학(經學)을 후생(後生)들에게 가르치는 것으로 업을 삼을 뿐이요,
기실 벼슬에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동해공은 말하였다.
“곽장을 아시오?”
가운은 대답했다.
“예,
압니다.”
그는 곧 곽장을 오라 하여 가운의 재술(才術)을 물었다.
곽장은 말하였다.
“평생에 그 경학은 알지만 문장 짓는 것은 보지 못했습니다.”
동해공은 물었다.
“문장을 잘하는 사람이 누가 있는가?”
가운은 대답했다.
“진자량(陳子良)이라는 사람이 문장을 잘합니다.”
동해공은 말하였다.
“이 마생은 놓아 돌려보내라.”
그리고 곧 자량을 데려오라 했다.
가운은 하직하고 나와 곽장과 헤어질 때 곽장은 말하였다.
“자네는 돌아가거든 우리 집 개한테 말해 주시오.
‘나는 임종 때 너에게 말했다.
너는 내가 타던 말을 팔아 그것으로 부도(浮屠)를 세우라고.
그런데 왜 너는 말을 팔아 네 마음대로 써 버렸느냐?
빨리 내 말대로 부도를 세우라.’
내가 말한 우리 집 개란 내 맏아들을 두고 한 말이오.”
가운은 물었다.
“내가 아까 장공근의 첩을 만났는데,
그녀가 말한 천주(天主)란 누구를 말하는 것이오?”
곽장은 말하였다.
“공근의 고향에서 사람의 왕이 5계를 받들면 죽어서 천주가 된다 하오.
그것이 항상 공근을 구호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살아올 수 있었으나 이제는 면하지 못할 것 같소.”
이렇게 말하고 이별하면서 사람을 시켜 가운을 전송했다.
어떤 험한 오솔길에 이르러 그는 가운에게 말하였다.
“이 길을 따라 돌아가십시오.”
이상은 다 가운이 직접 이야기한 것이다.
그 해 7월에 면주(綿州)의 진자량(陳子良)이 갑자기 죽었다가 하룻밤을 지내고 깨어나 말하였다.
“나는 동해공을 보았는데 그는 나를 기실(記室)로 쓰고자 했으나 나는 문자를 모르기 때문에 못한다고 사양했다.”
오(吳)나라에 진자량(陳子良)이라는 사람이 있어 그가 죽고,
또 공근도 갑자기 죽었다.
이 두 사람이 죽은 뒤에 가운은 어떤 사람과 함께 길을 가다가 갑자기 관부(官府) 사람을 보았다.
가운은 황급히 달아나다가 한참 만에야 진정했다.
동행하던 사람이 그 까닭을 묻자,
가운은 말하였다.
“동해공의 사자를 만났는데 그는 말하기를 ‘사람을 붙들러 익주(益州)로 가려 한다’ 하고는,
다시 ‘진자량이 그대를 걸어 고소했으므로 그대 때문에 곽사형이 큰 꾸지람을 들었다.
그대는 거의 면하지 못할 뻔했으나 그대는 목숨을 살린 복이 있기 때문에 면하게 되었다’고 했다.”
처음에 가운이 촉(蜀)나라에 있을 때,
어떤 사람이 못의 고기를 모두 훑어 잡으려는 것을 보고,
그 때 가운이 남에게 글을 가르치고 받은 비단 수십 필로 그 고기를 사서 살려 주었는데,
“목숨을 살렸다”는 것은 이것을 말한 것이다.
정관(貞觀) 때에 왕은 구성궁(九城宮)에 있으면서 이 말을 듣고 중서시랑(中書侍郞) 잠문본(岑文本)을 시켜 이 일을 조사하여 문분이 이 일을 적어 왕에게 아뢰었다 한다.
그 뒤에 가운은 국자박사(國子博士)가 되어 이 벼슬로 죽었다.[이 한 가지 증험은 『명보기』에 있다.]



출전:
한글대장경 K1406_T2122
법원주림(法苑珠林) 당 도세찬
法苑珠林 【唐 道世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아래를 향한 개 자세


○ 2016_1008_131131_can_exc


○ 2016_1008_132006_can_ct27

○ 2016_1008_140925_nik_ar45


○ 2016_1008_141742_nik_ar45


○ 2016_1008_150223_can_ct27


○ 2018_0418_151434_can_ct24


○ 2018_0419_125105_can_exc


○ 2018_0419_134733_can_ct27


○ 2018_0419_135136_can_exc


○ 2018_0419_140338_can_ct27


○ 2020_0525_165402_can_ct27


○ 2020_0525_173805_can_ct27


○ 2020_0606_124433_can_ar19


○ 2020_0606_141247_can_bw28


○ 2020_0606_181624_can_bw17


○ 2020_0606_184241_can_ab42


○ 2022_0411_154001_can_ct9_s12
● [pt op tr] fr
_M#]



○ 2022_0411_160043_nik_ab41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대방광불화엄경』 ♣0079-056♧
[관련키워드]
대방광불화엄경 제56권/전체6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8-09-24_대방광불화엄경-K0079-056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09/2568-09-24-k0079-056.html
sfed--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txt ☞대방광불화엄경 제56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8_09.txt ☞◆viyh1531
불기2568-09-24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595243037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125
htmback--불기2568-09-24_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