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4년 9월 20일 금요일

불기2568-09-20_불설신모희수경-k1477-002


『불설신모희수경』
K1477
T0757

불설신모희수경 중권/전체3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설신모희수경』 ♣1477-002♧




불설신모희수경 중권/전체3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03801_nik_exc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24149_nik_exc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15753_can_exc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25841_can_exc_s12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40214_can_exc_s12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201_151333_can_exc 원주 구룡사


○ 2019_1201_160603_can_fix 원주 구룡사


○ 2020_0905_134349_nik_ori_rs 오대산 상원사


○ 2020_0906_115057_can_ori_rs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7_130433_nik_ori_rs 양산 통도사


○ 2020_0908_170740_nik_ori_rs 합천 해인사 백련암


○ 2020_0910_113811_can_ori_rs 속리산 법주사


_ori_rs
○ 2016_0505_122730_can 춘천 청평사


○ 2020_1017_150400_nik_ori_rs 삼각산 화계사


○ 2018_1022_173304_can_ori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18_1023_150301_can_ori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20_1114_122015_can_exc 삼각산 도선사


○ 2019_1104_172903_nik_exc_s12 구례 연곡사

● [pt op tr] fr
_M#]



○ 2020_0910_124100_can_ori_rs 속리산 법주사



❋❋본문 ◎[개별논의]

★%★
『불설신모희수경』 ♣1477-002♧






◎◎[개별논의] ❋본문









★1★





◆vajo6716

◈Lab value 불기2568/09/20


○ 2020_0606_181225_can.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louis-comfort-tiffany-pitcher-corn-design-1905
[#M_▶더보기|◀접기|
Artist: louis-comfort-tiffany
from https://en.wikipedia.org/wiki/Louis_Comfort_Tiffany
Title : pitcher-corn-design-1905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9_113822_nik.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uvalu_Meteorology_Service
[#M_▶더보기|◀접기|
English: Tuvalu Meteorological Service in Funafuti looking east.
Author Davidarfonjones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France ,Marseille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buddhism007.tistory.com/5675

Barbara Beghin - Un Mardi De Septembr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09/2568-09-20-k1477-002.html#6716
sfed--불설신모희수경_K1477_T0757.txt ☞불설신모희수경 중권/전체3권
sfd8--불교단상_2568_09.txt ☞◆vajo6716
불기2568-09-20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중국 유주(幽州) 황룡(黃龍) 사람. 속성은 이. 법용(法勇)이라 한다. 어려서 출가. 420년 승맹(僧猛)ㆍ담랑(曇朗) 등 25인과 함께 인도에 가서 성지를 순례하고 광주(廣州)에 돌아왔다. 『관세음수기경(觀世音授記經)』 등을 번역.

답 후보
● 담무갈(曇無竭)

대교(大敎)
대목건련(大目犍連)
대백우거(大白牛車)
대법(對法)
대비구(大比丘)
대사문(大沙門)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Claude François - PETITE MECHE DE CHEVEUX
Line Renaud - Mister Banjo
Pierre Perret - Celui D'alice
Louise ForestierRobert Charlebois - Joe Finger Ledoux
Renaud - Amoureux De Paname
Piaf Edith - Notre Dame De Paris
La Mordue - Mes Nene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30▲ 元冘尹日曰 ■ 원유윤일왈 30 ( 으뜸 원 ) ( 망설일 유 / 나아갈 임) (성씨 윤/ 다스릴 윤 )( 날 일 )( 가로 왈 )
004▲ 刀刂力了冖 ■ 도도력료멱 4 ( 칼 도 / 조두[구리 징] 조 )( 선칼도방 도 )( 힘 력 / 역 )( 마칠 료 / 밝을 료, 요 )( 덟을 멱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anskrit
[san-chn] amatsaritva 不嫉, 無慳
[san-eng] rātriḥ $ 범어 night
[pali-chn] pariyāpanna 所受
[pal-eng] paapakaarii $ 팔리어 adj.sinful; wicked.
[Eng-Ch-Eng] Sutra of the Great Peahen, Queen of Mantras 孔雀明王經
[Muller-jpn-Eng] 直指人心 ジキシニンシン directly pointing to people's minds
[Glossary_of_Buddhism-Eng] PURE LAND SCHOOL VS. OTHER SCHOOLS☞
See also: Other Power; Pure Land Buddhism (Summary);
Zen / Pure Land.
“Everyone can appreciate why the Pure Land method, particularly Oral Invocation, is an easy method. However, the word ‘easy’
has many meanings, with which not everyone will be familiar. This
is because when practicing other methods, for example, Scriptural
Studies (q.v.) we encounter an immense number of sutras and commentaries, infinitely profound in meaning. In the first instance, the
practitioner should fully understand the basic teaching and, from
there, penetrate the different shades of meaning. After that, he should
reconcile all meanings, extracting their kernel and essence, to discover
and choose the method of cultivation that he will follow all his life. All
this cannot be done unless he is willing to spend several dozen years of
hard work. Should he decide to seek liberation through the Discipline
School (which teaches the strict application of the precepts), the practitioner must join the Order and become thoroughly conversant with all
aspects of the different bodies of precepts. He should also possess the
wisdom to distinguish meaning from words and apply the precepts in
a flexible manner,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he times and the
occasion. Thus, to study the sutras is not necessarily difficult, but to
study the precepts to the point of knowing how to adapt them skillfully, neither breaking them nor being rigidly bound by them, is truly
difficult. Once having understood the precepts, the practitioner must
exercise patience and fortitude and endure discomfort and suffering
in order to achieve success. If he decides to enter the Way through
Zen, he should have previously sown the seeds of wisdom and have
suitably high innate capacities. Otherwise, he has no hope of attaining
this lofty Dharma and participating in the “transmission of the lamp”
(q.v.). Therefore, a famous Buddhist scholar once said: Practicing
Zen to achieve Buddhahood is the domain of scholars endowed with
wisdom. This observation is certainly not incorrect or exaggerated.
With the Pure Land school, particularly Buddha Recitation, once the
practitioner has developed the mind of Faith and Vows, he can recite
the Buddha’s name and engage in cultivation regardless of whether his
capacities are high, moderate or limited. Moreover, while other methods
depend on self-power alone, the Pure Land Method first relies to the utmost
on self-power and then adds the element of “other power.” Other power is
precisely the infinitely great and powerful Vow of Amitabha Buddha “to
welcome and escort.”
As long as a practitioner sincerely repents and recites the Buddha’s
name with one-pointedness of mind, even though he is not yet free
of delusions and is still afflicted with heavy evil karma, he, too, will
be welcomed to the Pure Land. The ancients used to say, by way of
comparison: Practicing other methods is as difficult and laborious as an
ant climbing a high mountain; reciting the Buddha’s name seeking rebirth in the Pure Land is as swift and easy as a boat sailing downstream
in the direction of the blowing wind. This observation is very appropriate indeed. Moreover, once reborn there, living in an auspicious and
peaceful environment, always in the company of Buddha Amitabha
and the Bodhisattvas, the practitioner will swiftly achieve success in
whatever Dharma method he chooses. He is like a log rolling down
a high mountain, which just keeps going and never stops, even for a
moment. In summary, Buddha Recitation is easy for three reasons:
easy practice, easy achievement of rebirth in the Pure Land, easy attainment of Buddhahood. Therefore, the results achieved through Buddha
Recitation from time immemorial can be compared to the clear and
limpid sound of precious stones striking against genuine gold, or the
sight of “smiling lotus blossoms with their fresh and fragrant grades
of rebirth.” Within these levels and grades, the path from sentient
being to Buddhahood contains many ranks, yet is also without rank.
This is because, once reborn in the Pure Land, the practitioner has
transcended Birth and Death – and to recite the Buddha’s name is
to become Buddha. This is like the silkworm, the chrysalis and the
butterfly, which are inseparable; there is very little difference between
saying that a butterfly is originally a worm or that the worm is the
butterfly.”
Thich: 233-236
“If we were to use Buddha Recitation to discover the Mind-Ground and
awaken to our Original Nature, the Pure Land method would be no different from other methods. However, when we rely on Buddha Recitation
to seek rebirth in the Pure Land, this method has unique characteristics.
Tam: sect. 27
The strength and pervasiveness of Pure Land are such that its main
practice, buddha-remembrance (recitation), is found in other schools,
including the Tantric and Zen schools. In Pure Land, recitation is
practiced for the immediate purpose of achieving rebirth in the Land
of Amitabha Buddha. In the Tantric school, the immediate aim is to
destroy evil karma and afflictions and generate blessings and wisdom
in the current lifetime. In Zen, the koan of buddha-recitation is meant
to sever delusive thought and realize the Self-Nature True Mind. The
ultimate goal of all three schools is, of course, the same: to achieve
enlightenment and Buddhahood. A question that immediately arises
is how two methods seemingly so opposite as Pure Land and Zen
can lead to the same goal of Buddhahood. As an analogy, supposing
a patient is admitted to the hospital with a high fever. The physician
will, of course, prescribe a medication to lower the fever. However, if
later in the day, her temperature has dropped to a dangerously low
level, he will attempt to raise it with another prescription. The immediate goal is different in each case, but the ultimate goal in both is the
same: to normalize the temperature of the patient.
The Buddha, as the master physician, likewise employs 84,000 methods (i.e., an infinite number) to treat the 84,000 afflictions of sentient
beings.

[fra-eng] l'impureté $ 불어 the impurity
[chn_eng_soothil] 布嚕那跋陀羅 Pūrṇabhadra, one of the eight yakṣa generals.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何以故? 離一切諸相, 卽名諸佛.」
그 까닭을 말하오면 온갖 상을 여읜 이를 부처라 하기 때문입니다.”
[玄奘] 何以故? 諸佛世尊, 離一切想.」 作是語已, 爾時, 世尊告具壽善現言:
[義淨] 所以者何? 諸佛世尊, 離諸想故.」
14-07 तत्कस्य हेतोः ? सर्वसंज्ञापगता हि बुद्ध भगवन्तः॥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하오면, 깨달은님들과 복덕갖춘분들은 참으로 모든 산냐를
여의었기 때문입니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인가 하오면?]
▼▷[sarvasaṁjñāpagatā] ① sarva+saṁjñā+apagatāḥ(njp.→ƾ.nom.pl.) → [모든 산냐를
여의었습니다(→여의었기 때문입니다)]
② sarva(pn.nj. whole, entire, all, every)
② saṁjñā(Ʒ. consciousness; knowledge, understanding; intellect, mind)
② apagata(p.p. gone away, departed, passed away, gone off, being remote; dead, deceased)
▼[hi] ① hi(ƺ.) → [참으로]
▼[buddhā] ① buddhāḥ(ƾ.nom.pl.) → [깨달은님들은]
▼[bhagavantaḥ] ① bhagavantaḥ(nj.→ƾ.nom.pl.) → [복덕갖추신.]
è 이 법문을 체득한 이가 곧 복덕을 갖춘 채 깨달음을 얻은 이다.[14­04~14­07]
ʱ 順觀
① 末世에 이 법문을 배우고 가르칠 이는 최고로 경이로운 이들이며,[14-04] 그러한 그들에겐
어떠한 산냐도 또한 산냐 아닌 것도 일어나지 않는다.[14-05]
② [왜 일어나지 않는가?] '아뜨만에 대한 산냐'라고 한 것은 더 이상 '산냐'가 아니기
때문이다.[14-06]
③ [왜 산냐가 아닌가?] 복덕을 갖춘 채 깨달음을 얻은 이는 모든 '산냐'를 여의었기
때문이다.[14-07]
ʲ 逆觀
① 복덕을 갖춘 채 깨달음을 얻은 이는 모든 '산냐'를 여의었다.
② [그래서…] '아뜨만에 대한 산냐'라고 하더라도 그것은 더 이상 '산냐'가 아니다.
③ [그래서…] 그들이 산냐나 산냐 아님을 일으키지 않는 까닭은 末世에 이 법문을 배워서 가르칠
수 있는 '최고로 경이로운 이'이기 때문이다.
ʳ 結論 : 末世에 이 법문을 배워서 가르칠 수 있는 '최고로 경이로운 자'는 어떠한 산냐나 산
냐 아님도 일으키지 않기에 비록 어떤 산냐라고 말하더라도 그것은 이미 그들에겐 산냐가
아니므로 그들은 이미 모든 산냐를 여읜 붓다이자 세존인 셈이다.
ʴ 問題
① 명제 : 이 법문을 온전히 익혀서 남을 가르칠 수 있다면 어떠한 산냐도 여읜 자가 되는
셈이므로 그가 곧 붓다요 세존이다.
② 문제 : 어떤 법문이기에 그것을 완벽히 체득하면 어떠한 산냐도 여읠 수 있다는 것인가?
③ 해답 : ‘대지티끌/티끌、세계영역/영역、참되다는산냐’라는 법문… 相對의 상태에 머물지 않고
相對를 온전히 떠난 絶對의 상태에 들어설 수 있을 때 모든 산냐를 여의었다 할 수 있다.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64일째]
불가언설불가설 $ 006▲● 도락차=(백만) 불충불설 ○□□□□,充,不,說,不

□□□□□□□, 充滿一切不可說,
不可言說諸劫中, 說不可說不可盡。
□□□□□□□, 충만일체불가설,
불가언설제겁중, 설불가설불가진。

不可言說不可說,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는 것이
말로 할 수 없는 온갖 곳에 가득 찼으니
말할 수 없는 온갖 겁 가운데서
말할 수 없이 말해 다할 수 없고



[265째]
불가언설제불찰 $ 007▲一百洛叉為 一 ● 俱胝, ○□□□□,皆,一,如,此

□□□□□□□, 皆悉碎末為微塵,
一塵中剎不可說, 如一一切皆如是。
□□□□□□□, 개실쇄말위미진,
일진중찰불가설, 여일일체개여시。

不可言說諸佛剎,
말할 수 없는 온갖 부처 세계를
모두 다 부수어서 티끌 만들어
한 티끌에 있는 세계 말할 수 없어
하나처럼 온갖 티끌 다 그러하니





●K1241_T1405.txt★ ∴≪A불설식제적난다라니경≫_≪K1241≫_≪T1405≫
●K1477_T0757.txt★ ∴≪A불설신모희수경≫_≪K1477≫_≪T0757≫
●K1248_T0018.txt★ ∴≪A불설신불공덕경≫_≪K1248≫_≪T0018≫


■ 암산퀴즈


381* 978
109044 / 466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43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48 번째는?




04 수명을 증장하게 하며,
아가샤참포, 阿迦舍讖蒱<四>
akasa ksam bhu,
허공(虛空)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430 바저라 ◐跋折囉<四百三十>◑vajra
431 아리반타 ◐阿唎畔陁<四百三十一>◑ariㆍbandha
432 비타니 ◐毘陁你<四百三十二>◑vidhani
433 바저라바니바 ◐跋折囉波尼泮<四百三十三>◑vajraㆍpāṇi phaṭ//
434 호훔 ◐呼吽<四百三十><四>◑hūṃ
435 도로훔 ◐咄嚕吽<三合四百三十五>◑trūṃ
436 사바하 ◐莎皤訶<四百三十六>◑svāhā//
437 옴훔 ◐唵吽<四百三十><七>◑Auṃ
438 비로뎨 ◐毘嚕提<四百三十八>◑virūdhaka
439 사바하 ◐莎皤訶<四百三十九>◑svāhā//

● 그러고도
이 선남자가 부모에게 받은 몸으로 마음을 통달하지 못한다면,
10방 여래의 말씀은 곧바로 허망한 말[妄語]이 되리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48
가장 훌륭한 뜻이 청정하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最上意淸淨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372618
234
법수_암기방안


7 갈비 【협】
43 꼬마(새끼)발가락 the little toe
4 작은창자 【소장】


48 왕(엄지)발가락 a big[great] toe
6 쇄골 【쇄골】
64 척골(尺骨)[자뼈]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8_0920_232730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4) 구나라(鳩那羅) 태자가 육안(肉眼)을 잃고 혜안(慧眼)을 얻다



아육왕(阿育王)의 부인 이름은 발마바지(鉢摩婆底)
[양(梁)나라 말로는 부용화(芙蓉花)이다]
였다.
한 명의 아들을 낳았는데 형색이 단정하였고,
그 중에서도 눈[眼]이 으뜸갔으므로 사람마다 보고서 좋아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내인(內人)이 왕에게 아뢰었다.
“부인께서 아이를 낳으셨습니다.”
왕은 크게 기뻐하면서 아이 이름을 달마바타나(達磨婆陀那)
[달마(達磨)는 양(梁)나라 말로 법(法)이고,
바타나(婆陀那)는 양나라 말로 증장(增長)이다]
라고 지었다.
바로 이 아이를 안고 아육왕에게 보이자,
그 때에 왕은 보자마자 기뻐하면서 게송을 말하였다.


나의 아이는 눈이 단정하고 엄숙하니
공덕으로써 만들어졌도다.
광명이 아주 눈부시게 빛나니
마치 우바라꽃[優波羅花]과 같구나.

이 공덕의 눈으로써
하나의 얼굴을 장엄하니
그 면목(面目)이야말로 단정하여서
마치 가을의 만월(滿月)과 같구나.


구나라(鳩那羅)가 장대하여지자 그의 비(妃)를 맞게 되었는데,
비의 이름은 우차나마라(于遮那摩羅)
[우차나(于遮那)는 양나라 말로 금(金)이고,
마라(摩羅)는 양나라 말로 만화(鬘花)이다]
였다.
그 때에 아육왕은 구나라를 데리고 계사(鷄寺)로 갔는데,
그 절에는 상좌(上坐)인 6통(通) 나한(羅漢) 야사(耶舍)라는 이가 계셨다.
이 때 야사는 구나라를 보매 얼마 있지 않아서 눈을 잃게 되겠으므로 곧 왕에게 말하였다.
“무엇 때문에 구나라에게 제 업을 짓게 하지 않습니까?”
이 때 아육왕은 구나라에게 말하였다.
“대덕께서 네가 할 일을 말씀하셨으니,
너는 따라야 할 것이다.”
이 때 구나라는 야사의 발에 예배하고 말하였다.
“대덕이시여,
제가 할 일을 가르쳐 주소서.”
야사는 대답하였다.
“너는 그 눈이 항상 변함 없는 것이 아닌 줄 알아야 할지니라.”
그리고는 게송으로 말하였다.


너 구나라야,
언제나 눈을 생각하기를
무상하고 병들고 괴로움이며
많은 괴로움이 모인 것이라 여겨라.
범부는 뒤바뀌어서
그로 말미암아 허물을 일으킨다.


그 때에 구나라는 궁중의 고요한 곳에서 혼자 앉아 생각하기를 ‘눈 등의 모든 감관은 괴롭고 무상한 것이다’고 하였다.
이 때 아육왕의 첫 번째 부인 미사락기다(微沙落起多)라는 이가 구나라의 처소로 와서 그가 혼자 앉아 있는 것을 보고 그의 눈을 자세히 보다가 음심이 일어나서는 손으로 그를 끌어안고 게송으로 말하였다.


큰 힘을 지닌 사랑의 불이
지금 와서 내 마음을 태우는 것이
마치 불이 땔나무를 태우듯 하는데
그대는 나의 뜻을 이루어 주어야 한다.


구나라는 귀를 막으며 게송으로 말하였다.


지금은 저의 어머님이 되셨으며
이것은 법이 아닌 사랑이므로
마땅히 버리고 여의어야 하리니
나쁜 길의 문으로 들어가시게 됩니다.


모후는 성을 내면서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사랑하는 마음으로 너의 처소에 왔는데
너는 사랑하는 마음이 없구나.
너는 이미 나쁜 마음을 먹었으니
오래잖아 순식간에 스러지리라.


구나라는 말하였다.


차라리 제가 죽을지언정
깨끗하지 않은 마음 내지 않겠습니다.
만약 나쁜 마음 낸다고 하면
인간과 천상의 착한 법을 잃게 됩니다.
착한 법을 보전하지 않으면
무엇을 의지하여 살아가겠습니까?


미사락기다는 항상 구나라의 허물을 엿보면서 그를 살해 하고자 하였다.
북쪽에 한 나라가 있었는데,
이름은 덕차시라(德叉尸羅)였다.
왕을 거역하므로 아육왕은 구나라에게 명하였다.
“네가 그 나라로 가거라.”
구나라는 왕에게 대답하였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왕은 생각하기를 ‘힘써 장엄을 갑절 더하고 도로를 엄하게 다스리어 늙음과 병자와 죽음 등을 모두 보이지 않도록 해야겠다’ 하고 그렇게 하였다.
이 때에 왕은 구나라와 같이 한 수레에 타고 그를 전송하였는데 길이 가까워지자 헤어지려 하면서 손으로 아들의 목을 안고 구나라의 눈을 보며 울면서 말하였다.


만약 어떠한 사람이
구나라의 눈을 본다 하면
마음이 기뻐지기 때문에
있던 병도 모두가 낫게 되겠구나.


관상쟁이가,
왕이 아이의 눈만을 자세히 보면서 딴 일은 하지 않음을 보고 이내 게송으로 말하였다.


왕자의 눈이 맑고 깨끗하여
왕은 들여다보고 환희에 차며
국토의 모든 백성으로서
보는 이마다 하늘처럼 즐거워하지만
만약 눈을 잃게 될 적에는
모든 사람들이 괴로워하리라.


구나라는 차례로 가서 덕차시라국에 닿았다.
그 나라 사람들은 듣고 반 유순까지 나와 모든 길을 엄히 다스리고 곳곳에 물을 놓고 오는 이들을 기다렸다.
이 때 모든 백성들은 게송으로 말하였다.


덕차시라의 사람들은
물을 가득 담은 보배 단지와
모든 공양 거리를 가지고서
구나라왕을 영접합니다.


이 때 왕이 이르자마자 백성들은 합장하고서 말하였다.
“저희들은 왕을 영접하여 싸움을 하지도 않았고 그들과 함께하지도 않았습니다.
대왕을 서로가 싫어함은 다만 왕께서 보낸 대신이며,
우리 나라에 와서 정치하는 이가 법도가 없어서일 뿐이니 부디 그를 폐하여 주소서.”
이 때 백성들은 모든 공양 거리로써 구나라왕을 공양하고 나라 안으로 맞아들였다.
그 때에 아육왕은 몸에 중한 병을 얻었다.
똥이 입으로부터 나왔고 모든 부정한 즙(汁)이 털구멍으로부터 나왔다.
어떤 훌륭한 의사도 낫게 하지 못하므로 왕은 여러 신하들에게 말하였다.
“구나라를 불러오시오.
나는 정수리에 물을 부어서 왕위를 물려주어야겠소.
나는 이제 몸과 목숨에 연연하지 아니하오.”
그 때 미사락기다가 왕에게 아뢰었다.
“제가 왕의 병환을 낫게 할 수 있습니다.”
왕은 그의 말을 받아들여 모든 의사들을 끊었다.
미사락기다는 모든 의사들에게 말하였다.
“밖에서 남자거나 여자거나 간에 병이 왕과 같은 이가 있으면 그를 데리고 들어오십시오.”
이 때 아비라국(阿毘羅國)의 어느 한 사람의 병이 왕과 꼭 같았다.
그 때 병든 사람의 아내가 의사를 찾아왔으므로 의사는 대답하였다.
“데리고 오십시오.
내가 그를 보고 그에게 약을 처방하겠습니다.”
아내는 의사에게 보냈으며,
의사는 왕의 부인에게 보냈다.
이 때 왕의 부인이 이 병자를 데려다 사람 없는 곳에다 놓아두고서 그의 배를 째서 생장(生臟)과 숙장(熟臟)의 두 장(臟)을 꺼내게 하였더니,
한 마리의 큰 벌레가 있었다.
벌레가 위로 가면 똥이 위로 나왔고,
벌레가 아래로 가면 아래로 나왔으며,
만약 좌우로 가게 되면 털구멍으로 나왔다.
이 때 왕의 부인은 마리차(摩梨遮)를 벌레 곁에다 놓았으나 벌레는 죽지 않았으며,
다시 필발(蓽鉢)을 벌레 곁에다 놓았으나 벌레는 역시 죽지 않았으며,
다시 마른 생강을 벌레 곁에다 놓았으나 벌레는 역시 죽지 않았으며,
큰 마늘을 벌레 곁에다 놓았더니,
벌레는 이내 죽었다.
이 때 왕의 부인은 이 일을 구체적으로 왕에게 아뢰었다.
“왕께서는 이제 마늘을 잡수셔야 병이 곧 나을 수 있습니다.”
왕은 대답하였다.
“나는 바로 찰리(刹利)라,
마늘을 먹을 수는 없습니다.”
부인은 다시 말하였다.
“생명을 위하시어 약이라는 생각을 하시고 잡수십시오.”
왕이 드디어 먹었더니,
벌레는 죽고 병은 나아서 대소변이 본래와 같아졌다.
왕은 깨끗이 목욕을 하고는 부인에게 말하였다.
“당신은 이제 바라는 것이 무엇입니까?
뜻대로 해 드리리다.”
부인은 왕에게 아뢰었다.
“원컨대 왕께서는 7일 동안만 저에게 왕이 되도록 허락하여 주소서.”
왕은 부인에게 말하였다.
“만약 당신이 왕이 되면 반드시 나를 죽이리다.”
부인은 또 말하였다.
“7일이 지나면 저는 왕을 반환할 것입니다.”
이 때 왕이 허락하였으므로 부인은 임시로 왕이 되자 덕차시라 사람에게 글을 주어 구나라의 눈을 가져오게 하려 하였으며,
글을 다 쓰고 나서는 치인(齒印)으로 도장을 찍어야 했다.
왕이 잠을 자므로 부인이 글에 도장을 찍으려고 왕 곁으로 다가갔더니,
왕이 놀라 깨었다.
부인은 왕께 아뢰었다.
“무엇 때문에 놀라십니까?”
“내가 꿈을 꾸었더니 수리가 구나라의 눈을 파려 하였습니다.”
부인은 대답하였다.
“구나라 왕자는 지금 아주 편안하기만 합니다.”
두 번째 다시 꿈을 꾸었으므로 놀라 일어나면서 말하였다.
“내가 지금 다시 꿈을 꾸었소.”
부인은 물었다.
“꿈에 또 어떠하셨습니까?”
왕은 대답하였다.
“나는 구나라의 수염과 머리카락이며 손발톱이 모두 다 길고도 날카로우면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부인은 대답하였다.
“그는 지금 편안하게 있으니 근심하지 마소서.”
왕이 다시 잠이 들자,
부인은 대왕의 이[齒]로 몰래 도장을 찍어서는 사신을 시켜 덕차시라 사람에게 보냈다.
왕의 꿈에 또 이가 저절로 모두 빠져버리므로 다음 날 맑은 새벽에 목욕을 마치고 관상쟁이를 불러서 꿈을 말하자,
관상쟁이는 대답하였다.
“어떤 사람이 이런 꿈을 꾸게 되면,
아들의 눈을 잃게 되어서 아들을 잃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이 때에 왕은 듣고 곧 일어나 서서 합장하고 서방의 신(神)을 향하여 주원(呪願)하였다.


지금 한마음으로 부처님과
청정한 법과 스님들께 귀의하오니
세간의 모든 신선들과
세상에서 가장 훌륭하신
온갖 모든 성인들께서는
모두 구나라를 보호하여 주옵소서.


사자(使者)가 글을 가지고 덕차시라국에 이르렀다.
이 때 거기 백성들은 이 글이 왔음을 보고서도 구나라를 생각하여 일부러 이 글을 숨겨 놓고 그에게는 주지 않았으나,
거기 사람들은 다시 생각하기를 ‘아육대왕은 몹시 두려워할 만한 사람으로 공경하고 믿을 수 없구나.
그의 아들조차 오히려 눈을 빼려 하는데,
하물며 우리들에게 악행을 하지 않겠는가?’ 하고 글을 구나라에게 주었다.
구나라는 글을 받은 뒤에 여러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만약 나의 눈을 도려내겠다면 뜻대로 하라.”
그러자 그곳에 있던 사람들은 이내 전타라(旃陀羅)를 불러서 말하였다.
“그대가 구나라의 눈을 도려 파내라.”
전타라는 합장하고 대답하였다.
“저는 이제 할 수가 없습니다.”


어떤 사람이 만월(滿月)에서
그 광명을 제거시킬 수 있다면
이 사람이야말로 그대 얼굴의
명월 같은 눈을 없앨 수 있으리다.


이 때 구나라는 이내 보배 관을 벗으면서 전타라에게 말하였다.
“네가 나의 눈을 도려 파내면 나는 너에게 주겠느니라.”
거기에 모습이 얄밉고 열여덟 가지로 못생긴 한 사람이 있다가 구나라에게 말하였다.
“제가 눈을 도려 파낼 수 있습니다.”
그 때 구나라는 이내 대덕 야사(耶舍)께서 말씀하신 바를 기억하면서 게송으로 말하였다.


선지식(善知識)을 생각하나니
이는 진실한 말씀이네.
이 이치를 생각건대
눈이란 무상한 줄 알겠네.

나의 선지식은
능히 이롭게 하시는 이
그는 이미 말씀하셨네.
눈이란 괴로움의 인연이네.

나는 언제나
온갖 것이 무상함을 생각하나니,
이는 스승님의 가르침이라
스스로 깊이 기억하네.

나는 괴로움을 두려워하지 않고
법은 머무르지 않는다고 보니
마땅히 왕의 명을 따라
그대는 나의 눈을 가져라.


못생긴 사람에게 말하였다.
“너는 나의 한 눈을 파내어서 나의 손 안에다 놓아라.
나는 그것을 보고 싶구나.”
그러자 이 때에 이 못생긴 사람이 그의 눈을 파내려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성을 내고 꾸짖으면서 게송으로 말하였다.


눈이 청정하고 때[垢]가 없어서
마치 달이 공중에 있는 것 같다.
네가 이제 이 눈을 파낸다 하면
못에서 연꽃을 뽑아냄과 같으리라.


이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슬퍼하며 울부짖는데,
이 못생긴 사람은 이내 그 눈을 도려 파내어서 구나라 손 안에다 놓으므로,
이 때 구나라는 손으로 받아서는 눈을 향하여 게송으로 말하였다.


너는 본래 언제나
모든 빛깔을 잘 보는데
지금에는
무엇 때문에 보지 못하느냐?

예전에는 보는 이마다
사랑하는 마음을 내게 하더니
이제야 살펴보니 진실하지 않고
다만 헛되고 거짓일 뿐이어서
마치 물 위의 거품이
텅 비고 진실이 없는 것 같구나.

너에게는 힘이 없고
자재함이 없으므로
어떤 사람이 이런 것을 보면
괴로움을 받지 아니하리라.


모든 법은 모두가 다 무상함을 생각하다가 수다원(須陀洹)의 과위를 얻고서 또 못생긴 사람에게 말하였다.
“남아 있는 한 눈도 네 뜻대로 도려 파내라.”
이 때 그 못생긴 사람은 다시 도려 파내어 구나라 손 안에다 놓았다.
이미 육안(肉眼)을 잃게 되면서 혜안(慧眼)을 얻었으므로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나는 이제야말로
이 육안을 버렸다.
혜안이란 얻기 어려운 것인데
나는 지금 이미 얻게 되었도다.

왕께서는 이제 나를 버렸으니
나는 왕의 아들이 아니며
나는 지금 법을 얻었으므로
법왕(法王)의 아들이 되었느니라.

지금으로부터는 자재로워서
괴로움의 궁전을 떠나게 되었고
다시 자재하게
법왕의 궁전에 오르게 되었네.


구나라는 그의 눈을 파내게 한 것이 바로 미사락기다임을 알고서 게송으로 말하였다.


부디 왕의 부인께서는
오래 살고 부유하고 즐거우시며
수명을 언제까지나 보존하시어
돌아가심이 없게 하여지이다.
그의 방편으로 말미암아서
저는 할 일을 이룩하였습니다.


구나라의 아내는 남편이 눈을 잃게 되었음을 듣고 기절하였는데,
물을 뿌리자 깨어나서 울며 게송으로 말하였다.


눈의 광채는 사랑스러워서
옛적에 보면 기쁨이 나더니
이제 보니 그것이 몸을 떠났으므로
마음에 큰 번뇌가 생겼습니다.


구나라는 그의 아내에게 말하였다.
“당신은 울지 마십시오.
내 스스로 업을 일으켜서 스스로 이 과보를 받았습니다.”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온갖 세간에서는
업(業)으로써 몸을 받는 것이어서
뭇 괴로움으로 몸이 되어 있는 줄
당신은 마땅히 아셔야 합니다.

온갖 것이 화합하였으나
이별하지 않음이 없는 것이니
이러한 일임을 알아야 하고
마땅히 슬피 울지 않아야 합니다.


구나라는 그의 아내와 함께 덕차시라국으로부터 아육왕에게로 돌아오게 되었다.
두 사람은 나면서부터 아직까지 땅을 밟은 일도 없었고,
그 몸은 연약해서 일을 해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구나라는 거문고를 잘 탔고 또 노래도 잘 불렀으므로 그의 본래 길을 가면서 걸식을 하여 생명을 이었다.
점차로 떠돌아 오다가 본국에 닿게 되어서 궁중 문으로 들어가려 하자,
그 때에 문지기는 그를 들어오지 못하게 하였다.
들어갈 수가 없게 되자 도로 나와서 마구간에 가 머무르다가,
5경(更) 무렵에 거문고를 타면서 노래를 불렀다.


나는 눈을 이미 잃었으나
4제(諦)로 벌써 보았도다.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만약 사람이 지혜가 있으면
12입(入)을 볼 수가 있으며
이 지혜의 등불로써
나고 죽는 괴로움을 해탈하게 된다.
만약 훌륭한 낙(樂) 구하려 하면
마땅히 이것을 생각해야 할지니라.


왕은 노랫소리를 듣고 크게 기뻐하면서 게송으로 말하였다.


지금 설하는 이 게송과
그리고 거문고 타는 것 들으니
바로 내 아들인
구나라의 소리와 같구나.
만약 그가 온 것이라면
어째서 나를 보러 오지 아니할까?


왕은 한 사람에게 명하였다.
“듣건대 구나라의 소리와 같다.
맑고 묘하고 슬프고도 좋아서 나의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것이.
마치 코끼리가 새끼를 잃고 돌아와 두려워서 불안해 하는 것 같구나.
너는 가서 보고 틀림없거든 데리고 오너라.”
심부름꾼이 보니 두 눈이 없고 피부는 찢겨 드러나 알아볼 수가 없었으므로 돌아와서 대왕에게 아뢰었다.
“그는 외로운 장님이었는데,
그의 아내와 함께 마구간에 있었습니다.”
이 때 왕은 듣고 몹시 괴로워하면서 게송으로 말하였다.


옛날 꿈에서 본 바와 같이
구나라는 눈을 잃게 되었구나.
이제 그가 장님이었다면
구나라임을 의심할 것 없도다.
너는 다시 그곳에 가서
그 사람을 데리고 오너라.
아들이란 생각이 들기 때문에
그 마음 안온하지 않구나.


심부름꾼은 분부를 받고 다시 그 으로 가서 구나라에게 말하였다.
“당신은 바로 누구의 아들이시며 이름과 성은 무엇입니까?”
구나라는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아버님의 이름은 아수가(阿輸柯)이고
증장(增長)이며 성씨는 공작(孔雀)이십니다.
모든 대지(大地)를
모두 그가 다스리고 계십니다.

나는 바로 그 분의 왕자로서
이름은 구나라인데
요사이는 법왕(法王)이신 부처님께 갔으므로
지금은 법왕의 아들입니다.


심부름하는 사람은 구나라와 그의 아내를 데리고 궁중으로 왔다.
이 때 왕이 구나라를 보았더니 바람과 햇빛에 그을렸고,
풀과 해진 비단이 섞인 의상(衣裳)을 입었으며 모습이 바뀌어 알아볼 수가 없었다.
이 때에 왕은 의심을 하면서 그에게 물었다.
“네가 바로 구나라가 맞느냐?”
구나라가 대답하였다.
“그렇습니다.”
그러자 왕은 기절하며 땅에 쓰러졌으므로 곁의 사람들이 왕을 보면서 게송으로 말하였다.


왕께서는 구나라가
얼굴은 있으나 눈이 없음 보시고
괴로워하면서 스스로 마음을 태워
평상에서 땅으로 쓰러졌네.


곁의 사람들이 왕에게 물을 뿌리자 비로소 깨어나서 자리로 돌아와 구나라를 안아다 그 무릎 위에 놓고 다시 그의 목을 껴안고 슬피 울며 눈물을 흘리면서 손으로 얼굴을 쓰다듬으며 그의 옛날의 용모를 생각하면서 게송으로 말하였다.


너의 단정하고 엄숙하던 눈은
지금 그 어디에 있느냐?
눈을 잃게 된 인연을
너는 이제 말해야 되느니라.

너 이제 눈이 없으니
마치 공중에 달이 없는 것 같다.
형용이 바뀌었으니
그 누구의 소행인고?

너의 옛날의 용모야말로
마치 신선과 같았는데
누가 자비의 마음이 없이
너의 눈을 깨뜨렸느냐?

네가 세간에서
그 누구와 원수가 되었느냐?
나의 고뇌(苦惱)의 뿌리가
그것으로 말미암아 일어나게 되었구나.

네 몸의 그 아름다운 빛깔을
그 누가 깨뜨렸느냐?
오뇌(懊惱)하는 마음의 불이
지금 나의 몸을 태우는도다.

마치 벼락이
수목을 꺾고
오뇌의 우레가
나의 심장을 깨뜨리는 것 같다.
이러한 인연을
너는 이제 빨리 말하여라.


이 때 구나라는 게송으로 대답하였다.


왕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과보는 벗어날 수 없다 함을 못 들으셨습니까?
벽지불(辟支佛)에 이르기까지
역시 면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온갖 모든 범부들은
모두가 업(業)으로 지어지는 바라
선과 악의 업연(業緣)이야말로
때가 되면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온갖 모든 중생들은
제가 지어서 제 과보를 받는 것이니
저는 이 인연 알기 때문에
눈을 없앤 사람을 말하지 않습니다.

이 괴로움은 제 자신이 지었고
따로 지은 사람이 없는 것이라
이러한 눈의 인연이야말로
남으로 말미암아 지은 것이 아닙니다.

온갖 중생들의 괴로움도
모두가 또한 그러하여서
다 업으로 말미암아 나는 것이라
왕께서도 이 일을 아셔야 하십니다.


왕은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너는 다만 그 사람을 말만 하여라.
나는 성내는 맘 내지 않을 터이니
네가 만약 말하지 않는다면
나의 마음 어지러워 편안하지 않도다.


이 때 왕은 이는 미사락기다의 소행임을 알고,
미사락기다를 불러서 게송으로 말하였다.


그대 이제 큰 악행을 지었는데
어떻게 지옥에 빠지지 않았는고?
이제 그대는 법을 어겼으니
나에게 큰 허물 지었느니라.

그대 이제 이미 나쁜 짓 했으므로
이제부터 그대를 버릴 터이나
오히려 선을 행한 사람처럼 하였으니
법답지 않은 짓을 버려 버려라.


왕은 성나는 불이 심장을 태우는지라 미사락기다를 보면서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나 이제
그 눈을 빼고 싶으며
쇠 톱으로
그 몸을 썰고 싶구나.

도끼로 몸을 빠갤까?
칼로 혀를 자를까?
칼로 목을 벨까?
불로 몸을 태울까?
독약을 마시게 하여
그의 목숨을 없앨까?


왕은 이런 말을 하면서 미사락기다의 일을 다스리려 하였으므로,
구나라는 듣고 깊이 인자한 마음을 내며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미사락기다가
모든 나쁜 업을 지었지마는
대왕이시여,
이제
그를 죽이지는 마셔야 하십니다.

일체의 모든 큰 힘에서
인욕(忍辱)보다 더 나은 것 없음을
세존께서는 말씀하신 바이며
그것이야말로 맨 첫째입니다.


그 때 왕은 아들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고 미사락기다를 초막에다 넣고 불로 태워 버리고 또다시 덕차시라 사람을 살해하게 하였다.
이 때 비구들은 의구심이 생겨서 대덕 우파급다(優波笈多)에게 물었다.
“구나라는 먼저 어떠한 업을 지었기에 지금 이런 과보를 받았습니까?”
우파급다가 대답하였다.
“옛날 바라내국(波羅奈國)에 한 사냥꾼이 있었는데,
설산(雪山) 안에 이르러서 사슴 떼를 많이 죽였다.
또 설산에 갔다가 우레와 번개,
벼락을 만났는데,
5백 마리의 사슴들이 두려움 때문에 석굴(石窟) 안으로 들어갔다.
사냥꾼은 그것을 잡아 모두를 다 얻게 되었으나 만약 모두 죽여 버리면 살이 썩고 문드러질 것이므로 어떻게 할 수가 없자,
즉시 사슴들의 두 눈을 후벼파서 그들을 죽지도 않고 도망갈 수도 없게 하고서 뒤에 차차 그들을 죽였다.
먼저의 사냥꾼이 바로 지금의 구나라인데,
수없는 세월 동안 늘 지옥에 있었으며,
지옥으로부터 벗어나 인간 세상에 나서는 5백 세상 동안 늘 눈을 도려냄을 당했다.
지금의 이것은 최후의 남은 과보니라.”
비구는 또 물었다.
“어떠한 인연으로 큰 성바지에 나게 되었으며,
눈이 단정하고 엄숙하였습니까?”
우파급다가 대답하였다.
“과거 오래전 먼 옛날에 사람의 수명이 4만 살 때였다.
부처님의 명호는 가라구촌대불(迦羅鳩村大佛)이셨는데,
세상에 출현하셨다가 남음 없는 열반[無餘涅槃]에 드셨다.
이 때에 수파(輸頗)
[양(梁)나라 말로 엄(嚴)이라 한다]
라고 하는 한 왕이 있었는데,
부처님을 위하여 사보탑(四寶塔)을 일으켰다.
그 때에 왕이 죽고 아우는 부처님을 믿지 않았으므로 탑 아래의 물건을 모두 파 가지고 토목만을 남겨 놓았는데,
백성들이 탑이 허물어진 것을 보고 괴로워하면서 소리를 지르자,
장자의 아들이 물었다.
‘저 많은 사람들은 무슨 일로 괴로워합니까?’
여러 사람들이 대답하였다.
‘세존의 탑에는 본래 네 가지의 보배가 있었습니다.
지금 갑자기 모두 다 부서져 버렸습니다.’
이 때에 장자의 아들은 이내 네 가지 보배로써 본래와 같이 장엄하고 다시 높고 넓게 하여 처음보다 훌륭하게 하였으며,
또 금상(金像)을 만들어서 탑 안에다 모셨다.
일을 다 마친 뒤에는 다시 서원을 세웠다.
‘가라구촌대불께서는 본래 세간을 위한 스승이었사옵니다.
저의 훗날의 스승도 금일과 같게 하여지이다.’
비구들아,
옛날의 장자의 아들이 바로 지금의 구나라인 줄 알아야 한다.
그가 가라구촌대여래의 탑을 수리하였기 때문에 큰 성바지에 나게 되었고,
그가 여래의 상(像)을 조각하였기 때문에 지금 얻게 된 몸이 단정하고 엄숙하여 으뜸갔으며,
그가 좋은 스승 만날 것을 발원하였기 때문에 지금 석가를 만났고,
그리고 4제(諦)를 보았다.”
[『아육왕경(阿育王經)』 제4권에 나온다]
.



출전:
한글대장경 K1050_T2121
경율이상(經律異相) 양 보창등집
經律異相 【梁 寶唱等集】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어깨로 서기


○ 2019_1106_103125_nik_fix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52543_nik_exc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21401_can_fix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21437_can_fix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53717_can_exc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73627_can_exc_s12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5_120249_can_exc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23441_can_exc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201_151621_can_exc_s12 원주 구룡사


○ 2019_1201_152234_can_exc 원주 구룡사


○ 2020_0904_130749_can_ori_rs 원주 구룡사


○ 2020_0905_135254_can_ori_rs 오대산 상원사


○ 2020_0907_134514_nik_ori_rs 양산 통도사


○ 2020_1017_160729_can_ori_rs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61733_nik_exc 삼각산 화계사


○ 2018_1022_170256_can_exc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18_1022_173326_can_ori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18_1023_171343_nik_exc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20_1114_122043_can_ori 삼각산 도선사

● [pt op tr] fr
_M#]



○ 2018_1022_170655_can_exc 공주 태화산 마곡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설신모희수경_K1477_T0757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불설신모희수경』 ♣1477-002♧
[관련키워드]
불설신모희수경 중권/전체3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8-09-20_불설신모희수경-K1477-002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09/2568-09-20-k1477-002.html
sfed--불설신모희수경_K1477_T0757.txt ☞불설신모희수경 중권/전체3권
sfd8--불교단상_2568_09.txt ☞◆vajo6716
불기2568-09-20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590555522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121
htmback--불기2568-09-20_불설신모희수경_K1477_T0757-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