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4년 11월 24일 일요일

불기2568-11-24_석화엄교분기원통초-k1510-004


『석화엄교분기원통초』
K1510
Txxxx

석화엄교분기원통초 제4권/전체1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석화엄교분기원통초』 ♣1510-004♧




V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12126_nik_exc_s12


○ 2019_1105_161455_nik_fix


○ 2020_0930_145351_can_ori_rs


○ 2020_1002_121749_nik_exc_s12


○ 2020_1017_155758_can_exc


○ 2020_1114_131905_can_exc


○ 2019_1104_130955_can_fix


○ 2019_1104_110939_nik_exc_s12


○ 2021_1002_141520_can_exc영천_팔공산_거조사


○ 2021_1003_152410_nik_exc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 2021_0217_212532_can_exc_s12서산_간월암_간월사


○ 2021_1001_150235_nik_exc_s12봉화_청량산_청량사


○ 2012_0522_153435_exc_s12남양주_운길산_수종사


○ 2021_1004_174734_nik_exc_s12하동_고성산_약천사


○ 2021_0216_170711_can_exc_s12강화도_전등사


○ 2015_1025_131916_nik_exc서울_조계사


○ 2021_1002_103251_nik_exc영천_팔공산_은해사


○ 2021_1002_173237_can_exc_s12경주_함월산_골굴사


○ 2021_0214_172140_can_exc_s12홍천_공작산_수타사

● [pt op tr] fr
_M#]



○ 2021_0216_155547_nik_exc강화도_전등사



❋❋본문 ◎[개별논의]

★%★
『석화엄교분기원통초』 ♣1510-004♧






◎◎[개별논의] ❋본문









★1★





◆vvge1385

◈Lab value 불기2568/11/24


○ 2021_1112_143015_can_bw24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the-roman-antiquities-t-2-plate-xxxvi-hips-and-split-of-the-urn-itself-figures-carved-from-1756.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Giovanni-Battista-Piranesi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Title : the-roman-antiquities-t-2-plate-xxxvi-hips-and-split-of-the-urn-itself-figures-carved-from-1756.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2_1116_161039_nik_exc과천공원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alway_cannons
[#M_▶더보기|◀접기|
Cannons at Eyre Square, Galway. Photo: Joe Desbonnet, May 2000.
User:Jdesbonnet on 23 January 2003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Red Rock Canyon State Recreation Area, the_United_States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Fernandel - Aujourd'hui Peut-tr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11/2568-11-24-k1510-004.html#1385
sfed--석화엄교분기원통초_K1510_Txxxx.txt ☞석화엄교분기원통초 제4권/전체10권
sfd8--불교단상_2568_11.txt ☞◆vvge1385
불기2568-11-24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번역가. 안식국의 태자. 

안후(安候) 또는 안청(安淸). 

부왕이 죽은 후 왕위를 숙부에게 사양하고, 

불교를 배워 특히 『아비담(阿毘曇)』에 정통. 선경(禪經)도 배웠음. 

147년(후한 건화1)에 중국 낙양에 와서 170년(건령3)까지 경권 95부 115권을 번역.

답 후보

● 안세고(安世高)
애욕(愛欲)
야차대장(夜叉大將)
어무표법(語無表法)
업감연기(業感緣起)

업이숙지력(業異熟智力)
여(如)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ichel Sardou - Dans Ma Memoire; Elle Etait Bleue
Andre Claveau - J'ai Pleure Sur Tes Pas [1943]
Les Blaireaux - Les Charentaises
Serge Gainsbourg - Les Sambassadeurs
Les Cowboys Fringants - Le Hurlot
Serge Gainsbourg - Chez Les Ye-Ye
Mireille Mathieu - 24 Stunden Lang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17▲ 川巛千寸夂 ■ 천천천촌치 17 ( 내 천 )( 내 천 )(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마디 촌 )( 뒤쳐져 올 치 / 마칠 종 )
004▲ 刀刂力了冖 ■ 도도력료멱 4 ( 칼 도 / 조두[구리 징] 조 )( 선칼도방 도 )( 힘 력 / 역 )( 마칠 료 / 밝을 료, 요 )( 덟을 멱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
[san-chn] prakarṣakatva 長
[san-eng] purāṇī $ 범어 very old
[pali-chn] pabbajati 出家
[pal-eng]
[Eng-Ch-Eng] 二十唯識論 The Vim/satika^-/sa^stra. Written by Vasubandhu 世親, translated by Hsuan-tsang 玄奘 and Parama^rtha 真諦. Twenty verses defending Yoga^ca^ra doctrine against its critics. Also written Weishiershilun 唯識二十論.
[Muller-jpn-Eng] 決定信 ケツジョウシン unshakable faith, firm faith
[Glossary_of_Buddhism-Eng] DHARMA BODY☞
Syn: Dharma-kaya; Dharmakaya.
See also: Three Bodies of the Buddha.
“In Mahayana Buddhism, the ‘truth-body’ or Dharma Body of
the Buddhas is conceived as a universal metaphysical principle.”
Reat: 324
“ ‘Dharma-Body,’ third of the three bodies of the Buddha in Mahayana,
and used as a synonym for ultimate reality. Although present in
earlier Mahayana thought, later texts like the Lankavatara Sutra developed the notion of the three bodies of the Buddha more fully, with
the concept coming to maturity in the Yogacara school. There, the
historical body of Buddha was referred to as an ‘apparitional body’
(Nirmana-kaya) visible to ordinary, common worldlings as an inspiration to begin the (Mahayana) Buddhist path. Once on the path, as
a Bodhisattva, one relates to a Buddha in another form: ‘enjoyment
body’ (Sambhoga-kaya), a quasi-physical preacher of Mahayana sutras.
Finally, at the completion of the path, one attains the ‘Dharma
Body’ (Dharma-kaya), the true nature of Buddhahood, described in
a variety of technical terms, all used virtually synonymously: Tathata
(Suchness), Tathagata-garbha (Womb of the Tathagata), Buddhata
(State of Buddhahood), and so forth. In other words, each of the
three bodies of the Buddha speaks to an individual at a different level
of spiritual development, with Dharma-kaya representing the true,
ultimate reality.”
Preb: 111 #0249


[fra-eng] perdîmes $ 불어 lost
[chn_eng_soothil] 胎獄 胎宮 The womb prison, the womb regarded as a prison; see胎生.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時長老須菩提, 在大衆中, 卽從座起, 偏袒右肩, 右膝着地, 合掌恭敬,
而白佛言:
이 때 점잖은 수보리(須菩提)가 대중 가운데 있다가 일어나서 오른 어깨를
벗어 메고 오른 무릎을 땅에 꿇고 합장(合掌)하고 공경히 부처님께 사뢰었
다.
[玄奘] 爾時眾中, 具壽善現, 從座而起, 偏袒一肩, 右膝著地, 合掌恭敬,
而白佛言:
[義淨] 爾時, 具壽妙生在大眾中, 承佛神力, 即從座起, 偏袒右肩, 右膝著地,
合掌恭敬, 白佛言:
02-02 अथ खल्वायुष्मान् सुभूतिरुत्थायासनादेकांसमुत्तरासङ्गं कृत्वा दक्षिणं जानुमण्डलं पृथिव्यां प्रतिष्ठाप्य येन भगवांस्तेनाञ्जलिं प्रणम्य भगवन्तमेतदवोचत्- |
atha khalvāyuṣmān subhūtirutthāyāsanādekāṁsamuttarāsaṅgaṁ kṛtvā
dakṣiṇaṁ jānumaṇḍalaṁ pṛthivyāṁ pratiṣṭhāpya yena bhagavāṁstenāñjaliṁ
praṇamya bhagavantametadavocat |
바로 그 때 장로인 수보리가 자리로부터 일어서 겉옷을 한쪽 어깨에만 걸친 채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서 복덕갖춘분이 계신 그곳을 향해 합장을 올리며 복덕갖춘분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atha] ① atha(ƺ.) → [그 때]
② atha(ƺ. here, now; then, afterwards; now if, in case)
▼[khalvāyuṣmān] ① khalu(ƺ.) + āyuṣmān(nj.→ƾ.nom.) → [참으로(→바로)、 장로인]
② khalu(ƺ. indeed, certainly, truly)
② āyuṣmat(nj. alive, living; long­lived; lasting)
▼[subhūtirutthāyāsanādekāṁsamuttarāsaṅgaṁ] ① subhūtiḥ(ƾ.nom.) + utthāya(ger.) +
āsanāt(ƿ.abl.) + eka+āṁsam(nj.→ƾ.acc.) + uttarāsaṅgaṁ(ƿ.acc.) → [수보리는、
일어서서、 자리로부터、 한쪽 어깨인、 윗옷을(→겉옷을)]
 한쪽 어깨인 겉옷을 만들고 > 한쪽 어깨만 걸친 겉옷을 만들고 >
겉옷(=울다라승)을 한쪽 어깨에만 걸친 채…
② subhūti(ƾ. N. of …; well­being, well­fare)
② utthā(1.ǁ. to get up, stand, rise; to get up from, leave; to rise, come up)
② āsana(ƿ. sitting down; a seat, place; a particular posture or mode of sitting; dwelling)
② eka(nj. one)
② aṁsa(ƾ. a part, portion; the shoulder, shoulder­blade)
② uttarāsaṅga(ƿ. an upper garment) < uttara(nj. upper) + āsaṅga(ƾ. attachment,
devotion; intentness; contact, adherence; connection, union; fixing, fastening to)
▼[kṛtvā] ① kṛtvā(ger.) → [만들고]
② kṛ(8.dž. to do, make, perform, accomplish)
▼[dakṣiṇaṁ] ① dakṣiṇaṁ(nj.→ƿ.acc.) → [오른쪽]
② dakṣiṇa(nj. able, skilful; right; situated on the right side; south, southern; sincere)
▼[jānumaṇḍalaṁ] ① jānumaṇḍalaṁ(ƿ.acc.) → [무릎을]
② jānumaṇḍala(ƿ. the knee­pan, knee­cap)
② jānu(ƿ. kneeling on the ground)
② maṇḍala(nj. round, circular: ƾ. circular array or troops: ƿ. a circular orb, wheel, ring)
▼[pṛthivyāṁ] ① pṛthivyāṁ(Ʒ.loc.) → [땅에]
② pṛthivī(Ʒ. the earth; ground, soil)
▼[pratiṣṭhāpya] ① pratiṣṭhāpya(ger.) → [굳게 세우고] → 땅에 대고서
 무릎을 땅에 굳게 세우다. → 무릎을 땅에 대다.
② pratiṣṭhā(1.ǁ. to stand firm, be established; to be supported; to rest or depend upon)
▼[yena] ① yena(ƺ.) → [(어떤) 곳으로]
② yena(ƺ. in which direction; in which manner; wherefore, in order that)
▼[bhagavāṁstenāñjaliṁ] ① bhagavān(ƾ.nom.) +|s|+ tena(ƺ.) + añjaliṁ(ƾ.acc.) →
▼[복덕갖춘분이 (+계신)、 그곳으로(→그곳을 향해)、 합장을]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② tena(ƺ. in that direction, in that manner, thus)
② añjali(ƾ. the hollow of the hands; a cavity, full of anything)
▼[praṇamya] ① praṇamya(ger.) → [올리고]
② praṇam(1.ǁ. to bend or bow down, salute, be humble)
▼[bhagavantametadavocat] ① bhagavantam(ƾ.acc.) + etad(ƺ.) + avocat(a­aor.Ⅲ.sg.) →
▼[복덕갖춘분께、 이렇게、 말하였다.]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② etad(ƺ. in this manner, thus, so, here, at this time)
② vac(2.ǁ. to speak, say, tell)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29일째]
성취제인불가설 $ 071▲偈羅偈羅為 一 ● 窣步羅, ○□□□□,無,具,住,起

□□□□□□□, 無生法忍不可說,
具足寂靜不可說, 住寂靜地不可說,
□□□□□□□, 무생법인불가설,
구족적정불가설, 주적정지불가설,

成就諸忍不可說,
참는 일 성취함을 말할 수 없고
죽살이 없는 지혜 말할 수 없고
고요함을 갖춘 일 말할 수 없고
고요한 데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330째]
기대정진불가설 $ 072▲窣步羅窣步羅為 一 ● 泥羅, ○□□□□,其,不,不,一

□□□□□□□, 其心過去不可說,
不退轉心不可說, 不傾動心不可說,
□□□□□□□, 기심과거불가설,
불퇴전심불가설, 불경동심불가설,

起大精進不可說,
큰 정진 일으킴을 말할 수 없고
그 마음 지나간 일 말할 수 없고
물러나지 않는 마음 말할 수 없고
흔들리지 않는 마음 말할 수 없고





●K1397_T1668.txt★ ∴≪A석마하연론≫_≪K1397≫_≪T1668≫
●K1510_Txxxx.txt★ ∴≪A석화엄교분기원통초≫_≪K1510≫_≪Txxxx≫
●K1508_Txxxx.txt★ ∴≪A석화엄지귀장원통초≫_≪K1508≫_≪Txxxx≫


■ 암산퀴즈


556* 373
665973 / 961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20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5 번째는?




04 수명을 증장하게 하며,
아가샤참포, 阿迦舍讖蒱<四>
akasa ksam bhu,
허공(虛空)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00 리바디가라하 ◐梨婆底揭囉訶<陰謀鬼二百>◑revatīㆍgrahā//
201 자디하리니 ◐闍底訶哩泥<食初產鬼二百一>◑jat'āhāriṇyo
202 가라바하리니 ◐羯囉婆訶哩埿<食懷孕鬼><二百二>◑garbh'āhāriṇyo
203 로디라하리니 ◐嚧地囉訶哩泥<食血鬼二百三>◑rudhir'āhāriṇyo
204 망사하리니 ◐芒娑訶哩泥<食肉鬼二百四>◑máṃs'āhāriṇyo
205 계타하리니 ◐計陁訶哩泥<食脂鬼二百五>◑med'āhāriṇyo
206 마자하리 니 ◐摩闍訶哩<輕呼去聲>泥<食髓鬼二百六>◑majj'āhāriṇya
207 자다하리니 ◐闍多訶哩泥<食氣鬼二百七>◑ojohāriṇyo
208 시볘다하리니 ◐視吠哆訶哩泥<食壽命鬼二百八>◑jivit'āhāriṇyo
209 바다하리니 ◐婆多訶哩泥<食風鬼二百九>◑vāt'āhāriṇyo

● 일체의 나쁜 별과 온갖 귀신들과
마음속에 독을 품은 사람일지라도,
이와 같이 주문을 지닌 사람에게는
악을 일으킬 수 없다.
빈나(頻那)와 야가(夜迦)의 온갖 귀신 왕과 그 권속들은
모두 이 주문에 깊은 은혜를 입고 항상 더욱 수호하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05
모든 법에 자재하여 두려움이 없는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一切法自在無畏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207388
693
법수_암기방안


72 소지첫마디 = 손 허리뼈 / (=-매타카펄 metacarpal )
20 가운데(손가락) (MIDDLE)
4 작은창자 【소장】


5 목 ●
71 라선[腡선] = 손금선 /또는 갈고리뼈 (=헤이메이트 HAMATE~갈고리뼈]
129 (RING finger ) 약지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8_1124_012027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어느 날 태자 제수는 나가 놀면서 사냥을 하다가 점점 앞으로 나아가 아란야(阿練若)에 이르러 담무덕(曇無德)이라고 하는 한 비구가 앉아 있는 것을 보았는데,
코끼리 한 마리가 나무 가지를 꺾어 멀리서 비구를 부치고 있었다.


태자가 보고 마음에 기쁨을 내며 소원하였다.
‘나는 언제 저 비구와 같을 수 있을까?’
담무덕 비구는 제수의 소원을 알고는 곧 신통력으로 허공에 날아올라 공중에 앉아서 제수가 볼 수 있게 하였다.
허공에서 아육왕승가람의 큰 못 가운데고 날아가서 물위에 앉아 승가리(僧伽梨)와 울다라승(鬱多羅僧)을 벗어서 허공에 두고는 못에 들어가 목욕하였다.
이때 태자 제수는 대덕에게 이와 같은 신통력이 있음을 보고는 마음에 크게 기뻐하며 말하였다.
“오늘 나는 출가하리라.”
즉시 궁중으로 돌아와서 왕에게 아뢰었다.
“저는 출가를 하려 하오니,
왕께서는 꼭 가엾이 여기시어 저의 출가를 허락하시옵소서.”
왕은 제수가 출가하려 함을 듣고는 마음에 크게 놀라고 괴이하게 여기면서 대답하였다.
“궁중에는 기녀와 온갖 맛있는 안주와 반찬과 오락과 쾌락이 있는데 무엇 때문에 출가한다 하느냐?”
왕은 가지가지의 방편으로 그 마음이 그치게 하였으나 뜻이 견고하여 영영 머무르려고 아니 하면서 왕에게 대답하였다.
“궁중 채녀의 기쁨과 즐거움은 잠깐 있는 것이어서 만나면 반드시 이별하는 것이옵니다.”
대왕이 감탄하며 말하였다.
“장하도다.”
곧 신하들을 보내어 도로를 평탄하게 다스리고 쓸고 뿌려서 청정히 하며,
당기와 번기를 세우고 갖가지로 장엄하게 하였다.
장엄이 끝나자 신하가 왕께 아뢰었다.
“시키신 일을 마치었나이다.”
왕은 태자의 공복(公服)과 천관(天冠)과 영락을 가져다 태자를 장엄하고,
천승(千乘) 만기(萬騎)로 둘러싸서 배웅하며 절 안에 이르렀다.
대중 스님들은 태자 제수가 출가하는 것을 보고 마음에 크게 기뻐하며 승가리와 울다라승과 안타회(安陀會)와 발우를 마련하여 태자의 출가하기를 기다렸다.

이때 태자가 선방에 이르러 담무덕 비구에게 가서 출가하기를 구하자,
나라 안의 세력 있고 귀한 장자들의 아들 1천 동자도 태자를 따라서 출가하였다.
나라 안의 인민들은 태자가 출가하는 것을 보고 각자가 생각하였다.
‘태자는 이와 같이 높고 귀한데도 오히려 왕위를 버리고 출가하여 도를 닦는데,
우리들은 가난하면서 무엇을 사랑하고 그리워할 것이 있겠는가?’
생각을 마치자 무수한 사람들이 다 따라서 출가하였다.



출전:
한글대장경 K0937_T1462
선견율비바사(善見律毗婆沙) 소제 승가발타라역
善見律毘婆沙 【蕭齊 僧伽跋陀羅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양다리 벌려 선 전굴 자세 [Dandayamana Bibhaktapada Paschimottanasana]


○ 20170519162702_exc


○ 2018_0721_222823_nik


○ 2020_0126_141331_can_CT38_s12


○ 2020_0131_161340_can_Ar26_s12


○ 2016_1008_131328_can_ct27


○ 2018_0419_134155_can_ct27


○ 2018_1022_180430_nik_BW25_s12


○ 2018_1024_164427_nik_BW17


○ 2020_1114_135722_can_bw4_s12


○ 2020_1114_155016_can_ori


○ 2020_1114_161646_can_Ab35


○ 2020_1114_161910_can_exc


○ 2018_1024_161244_can_Ar28_s12


○ 2020_1126_153247_nik_ct8_s12


○ 2019_0113_123334_can_BW17


○ 2019_1104_101046_can_bw24


○ 2019_1104_161838_can_ct26_s12


○ 2019_1104_171240_can_CT28


○ 2019_1104_175500_nik_ct29

● [pt op tr] fr
_M#]



○ 2019_1104_171716_nik_CT33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석화엄교분기원통초_K1510_Txxxx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석화엄교분기원통초』 ♣1510-004♧
[관련키워드]
석화엄교분기원통초 제4권/전체1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8-11-24_석화엄교분기원통초-K1510-004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11/2568-11-24-k1510-004.html
sfed--석화엄교분기원통초_K1510_Txxxx.txt ☞석화엄교분기원통초 제4권/전체10권
sfd8--불교단상_2568_11.txt ☞◆vvge1385
불기2568-11-24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670867764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186
htmback--불기2568-11-24_석화엄교분기원통초_K1510_Txxxx-tis.htm
● [pt op tr] fr
_M#]



2024년 11월 23일 토요일

불기2568-11-23_대보적경-k0022-086


『대보적경』
K0022
T0310

대보적경 제86권/전체12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대보적경』 ♣0022-086♧




대보적경 제86권/전체12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03331_nik_exc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02342_can_exc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20_0905_104207_can_ori_rs 오대산 월정사


○ 2020_0907_130710_nik_ori_rs 양산 통도사


○ 2020_0907_134341_can_ori_rs 양산 통도사


○ 2018_1024_175750_can_ori 부여 고란사


○ 2020_1114_141517_can_exc 삼각산 도선사


○ 2019_1104_101253_can_fix 구례 화엄사


○ 2021_1112_165528_nik_exc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2021_1003_174644_can_exc_s12_pc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 2021_0929_074250_can_exc_s12양양_오봉산_낙산사


○ 2010_0124_121635_exc_s12남천사


○ 2019_0317_172813_can_exc서울_도봉산_광륜사


○ 2021_1002_160020_can_exc_pc영천_만불사


○ 2014_1129_121552_can_exc서울_북악산_성불사


○ 2021_0214_131619_can_exc춘천_오봉산_청평사


○ 2016_0412_145711_nik_exc진안_마이산_탑사


○ 2021_1003_173659_can_exc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 2021_1001_135435_nik_exc봉화_청량산_청량사

● [pt op tr] fr
_M#]



○ 2016_0222_161949_nik_exc서울_혜광사



❋❋본문 ◎[개별논의]

★%★
『대보적경』 ♣0022-086♧






◎◎[개별논의] ❋본문









★1★





◆vazp8840

◈Lab value 불기2568/11/23


○ 2016_1008_131704_can_exc.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head-of-a-sick-man-self-portrait.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Ernst-Ludwig-Kirchner
from https://en.wikipedia.org/wiki/Ernst_Ludwig_Kirchner
Title : head-of-a-sick-man-self-portrait.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6_1008_131653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Vallee-brouillard
[#M_▶더보기|◀접기|
English: Fog in the valley of Savoureuse (Territoire de Belfort; eastern France) at sunset, seen from the summit of the Ballon d'Alsace
Date 31 December 2010
Thomas Bresson link=Creator: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Chile ,Puente Alto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Balavoine - Lipstick Polychrom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11/2568-11-23-k0022-086.html#8840
sfed--대보적경_K0022_T0310.txt ☞대보적경 제86권/전체120권
sfd8--불교단상_2568_11.txt ☞◆vazp8840
불기2568-11-23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범】bhūta 부다(部多)라 음역. 두 가지 뜻이 있음. 

(1) 장차 생길 위치에 있던 것이 현재에 생기는 1찰나. 

(2) 본유(本有)를 말함. 

죽는 1찰나로부터 나려고 구하는 것[中有]이 이미 났다는 뜻.

답 후보
● 이생(已生)
이승(二乘)
이십오유(二十五有)
이여래장(二如來藏)
이자삼점(伊字三點)

이종복전(二種福田)
이지명합(理智冥合)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Julien Clerc - Le Pere Dit A Son Fils
French Anthology Bounds Of Dandysm - Dans La Ville Endormie
Charlotte Gainsbourg - Lemon Incest
Claude François - J'Attendrai
Renaud - Mistral Gagnant
Message Personel - Message Personel
Le Livre De La Jungle - Etre Un Homme Comme Vou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16▲ 子丈才叉彳 ■ 자장재차척 16 ( 아들 자 )( 어른 장 )( 재주 재 )( 갈래 차 / 작살 차, 비녀 채 )( 조금 걸을 척 )
003▲ 丂 丩九几乃 ■ 교구구궤내 3 ( 공교할 교 / 숨 내쉴 고 )( 얽힐 구 / 얽힐 교 )( 아홉 구 / 모을 규 )( 안석 궤 / 책상 궤 )( 이에 내 / 노 젓는 소리 애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Karma Thinley Rinpoche
[san-chn] saṃ-bhū* 與
[san-eng] vaiśvānaraḥ $ 범어 ṃy plenary portion as the digesting fire
[pali-chn] ākiñcaññāyatana 三十八行處, 無所有處
[pal-eng]
[Eng-Ch-Eng] 六相 Six characteristics observable in existent things according to the Huayan 華嚴 school. These are: totality 總, distinction 別, sameness 同, difference 異, formation 成 and disintegration 壞. In Huayan philosophy these are considered to be completely interpenetrated with each other.
[Muller-jpn-Eng] 支讖 シシン (person) Lokakṣema
[Glossary_of_Buddhism-Eng] HEARER VEHICLE☞
See: Theravada Buddhism.

[fra-eng] biser $ 불어 kiss
[chn_eng_soothil] 首訶旣那 (or 首阿旣那) Śubhakṛtsna, the ninth brahmaloka, i.e. the third region of the third dhyāna of form.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第2 善現起請分
▼[羅什] (缺譯)
[玄奘] 具壽善現亦於如是眾會中坐.
[義淨] (缺譯)
02-01 तेन खलु पुनः समयेनायुष्मान् सुभुतिस्तस्यामेव पर्षदि संनिपतितोऽभूत्संनिषण्णः।
tena khalu punaḥ samayenāyuṣmān subhūtistasyāmeva parṣadi
samnipatito'bhūtsaṁniṣaṇṇaḥ|
게다가 바로 그 때, 장로인 수보리가 바로 그 회합에 참석하여 함께 앉아있게 되었다.
▼▷[tena] ① tena(pn.ƾ.ins.) → [그]
② tena(ƺ. in that direction, in that manner, thus)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② khalu(ƺ. indeed, certainly, truly)
▼[punaḥ] ① punaḥ(ƺ.) → [다시 → 게다가]
② punar(ƺ. again, further, moreover, once more; back; on the other hand)
▼[samayenāyuṣmān] ① samayena(ƾ.ins.→adv.) + āyuṣmān(nj.→ƾ.nom.) → [시간으로、
長老인(←長壽하는)]
 tena(그) khalu(바로) samayena(시간으로) → 바로 그 때…
② samaya(ƾ. time in general; occasion, opportunity; fit time, right moment; an agreement)
② āyuṣmat(nj. alive, living; long­lived; lasting) < * + ­mat(possessive affix) < āyus(ƿ.
life, duration of life; vital power; food)
▼[subhūtistasyāmeva] ① subhūtiḥ(ƾ.nom.) + tasyām(pn.Ʒ.loc.) + eva(ƺ.) →
▼[수보리가、 그、 바로]
② subhūti(ƾ. N. of …; well­being, well­fare) < su(ƺ. good, excellent, right) + bhūti(Ʒ.
being, existence; birth, production; success, good­fortune; well­being, welfare)
② tasyām(pn.Ʒ.loc.sg.) < tad(pn. that, he, it, she)
② eva(ƺ. indeed, truly, really; just so, exactly so truly)
▼[parṣadi] ① parṣadi(Ʒ.loc.) → [회합에]
② parṣad(Ʒ. an assembly, a meeting, conclave; particularly, a religious synod or assembly)
▼[samnipatito'bhūtsaṁniṣaṇṇaḥ] ① samnipatitaḥ(njp.→ƾ.nom.) + abhūt(aor.Ⅲ.sg.) +
saṁniṣaṇṇaḥ(njp.→ƾ.nom.) → [참석하였다、 되었다、 함께 앉아있었다.] → 참석하여
함께 앉아있게 되었다.
 samnipatitaḥ(nj.→ƾ.nom.) : 참석한 수보리가 함께 앉아있게 되었다. - [△]
② samnipatita(nj.) < * + ­ita(past.pass.p.) < samnipat(1.ǁ to alight, descend; assemble,
meet together; arrive, appear) < saṁ(ƺ. with, together with) + ni(ƺ. down, back, into)
+ pat(1.ǁ. to fall, fall down, come down)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② saṁniṣaṇṇa(nj.) < saṁ(ƺ. with) + niṣaṇṇa(p.p. seated, rested, reclined; supported)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28일째]
지계청정불가설 $ 070■ ■持 成起一智修 菩修彼彼無
070▲ 諦羅諦羅為 一 ● 偈羅, ○□□□□,心,讚,愛,成

□□□□□□□, 心意清淨不可說,
讚歎諸佛不可說, 愛樂正法不可說,
□□□□□□□, 심의청정불가설,
찬탄제불불가설, 애요정법불가설,

持戒清淨不可說,
계행이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마음이 깨끗함을 말할 수 없고
부처님 찬탄함을 말할 수 없고
바른 법 좋아함을 말할 수 없고



[329째]
성취제인불가설 $ 071▲偈羅偈羅為 一 ● 窣步羅, ○□□□□,無,具,住,起

□□□□□□□, 無生法忍不可說,
具足寂靜不可說, 住寂靜地不可說,
□□□□□□□, 무생법인불가설,
구족적정불가설, 주적정지불가설,

成就諸忍不可說,
참는 일 성취함을 말할 수 없고
죽살이 없는 지혜 말할 수 없고
고요함을 갖춘 일 말할 수 없고
고요한 데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K1298_T1005.txt★ ∴≪A대보광박누각선주비밀다라니경≫_≪K1298≫_≪T1005≫
●K0022_T0310.txt★ ∴≪A대보적경≫_≪K0022≫_≪T0310≫
●K0552_T1523.txt★ ∴≪A대보적경론≫_≪K0552≫_≪T1523≫


■ 암산퀴즈


959* 480
339320 / 680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3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9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4 번째는?




03 불법을 지키려는 뜻을 잊지 않도록 증장시키며,
참참포, 讖讖蒱<三>
ksud ksam bhu,
대지를 흔드는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90 비리다가라 하 ◐畢唎哆揭囉<二合>訶<餓鬼難百九十>◑pretaㆍgrahā
191 비사 차아라하 ◐毘舍<上>遮揭囉訶<廁神百九><十一>◑piśācaㆍgrahā
192 보다아라 하 ◐部多揭囉<二合>訶<神鬼衆百九十二>◑bhūtaㆍgrahā
193 구반다아라하 ◐鳩槃茶揭囉訶<守宮婦女鬼一百九十三>◑kumbhāndaㆍgrahā
194 보다나가라하 ◐布單那揭囉<二合>訶<魄鬼百九十四>◑pūtanāㆍgrahā
195 가타보다나가라 하 ◐羯咤布單那揭囉<二合>訶<奇魄鬼一><百九十五>◑kaṭapūtanāㆍgrahā
196 스건타가라하 ◐塞揵陁揭囉訶<鳩摩羅童天子百九十六>◑skandaㆍgrahā
197 아바사마하가라 하 ◐阿婆娑摩囉揭囉<二合>訶<羊頭鬼百九十七>◑apasmāraㆍgrahā
198 오단마타가라 하 ◐烏檀摩陁揭囉<二合>訶<熱鬼百九十八>◑unmādaㆍgrahā
199 차야가라 하 ◐車耶揭囉<二合>訶<影鬼百九十九>◑chāyāㆍgrahā

● 또 이 주문은 마음에 삼매를 얻게 하므로,
일체의 저주[呪詛]와 양밥의 독벌레[厭蠱]와
독약(毒藥)과 금독(金毒)과 은독(銀毒)이며,
풀, 나무, 벌레, 뱀 등 만물의 독기(毒氣)들이 이 사람의 입에 들어가면
감로(甘露)의 맛으로 변하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04
위대한 석자(釋子)께 귀의합니다.
南無大釋子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460320
499
법수_암기방안


71 라선[腡선] = 손금선 /또는 갈고리뼈 (=헤이메이트 HAMATE~갈고리뼈]
19 자뼈 (알너 - ULNA)
3 밥통 【위】


4 작은창자 【소장】
70 장지
128 ( LITTELE finger) 새끼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8_1123_030738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합장하여 앞으로 숙이기 [Dandayamana Bibhaktapada Janushirasana]


○ 20170407104002_%25EA%25BD%2583%25EC%259E%258E_ct19


○ 2018_0316_160355_nik_ar17


○ 2020_0507_145204_can_ct27


○ 2020_0606_134211_can_bw17


○ 2018_1022_130700_can_CT33_s12


○ 2019_0106_142559_can_ori


○ 2019_0106_144951_can_CT28


○ 2020_1114_124920_can_BW25_s12


○ 2020_1114_140120_can_BW25_s12


○ 2020_1114_142142_can_BW25_s12


○ 2020_1114_142801_nik_Ar12


○ 2018_1023_170654_can_ct18_s12


○ 2018_1023_170706_can_Ab15


○ 2018_1024_174952_can_Ab15


○ 2020_0224_130026_nik_ct18_s12


○ 2019_0113_111703_nik_ab41_s12


○ 2019_0113_133118_nik_bw4_s12


○ 2019_1104_104327_nik_BW21_s12

● [pt op tr] fr
_M#]



○ 2019_0106_152512_nik_CT33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보적경_K0022_T0310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대보적경』 ♣0022-086♧
[관련키워드]
대보적경 제86권/전체12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8-11-23_대보적경-K0022-086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11/2568-11-23-k0022-086.html
sfed--대보적경_K0022_T0310.txt ☞대보적경 제86권/전체120권
sfd8--불교단상_2568_11.txt ☞◆vazp8840
불기2568-11-23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670127722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185
htmback--불기2568-11-23_대보적경_K0022_T0310-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