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아함경』
K0648
T0026
중아함경 제32권/전체6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5-03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648_T0026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중아함경』
♣0648-032♧
중아함경 제32권/전체6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19_1106_110116_nikon_CT28▾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14927_canon_ct24▾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53525_canon_ct12▾화순 계당산 쌍봉사
○2020_0211_131806_nikon_exc_s12▾불암산 천보사
○2020_0905_155136_canon_ar23▾오대산 적멸보궁
○2020_0906_111302_canon_bw5▾천축산 불영사
○2020_0907_145652_canon_bw5▾양산 통도사
○2020_0909_142236_canon_bw24▾무주 백련사
○2020_0909_154647_canon_ar47▾무주 백련사
○2020_0930_142710_canon_AR28▾화성 용주사
○2020_0930_150019_canon_AB7▾화성 용주사
○2020_1002_123253_canon_ar13_s12▾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02_123556_nikon_exc_s12▾파주 고령산 보광사
○2018_1022_142436_nikon_ct18_s12▾공주 계룡산 갑사
○2018_1022_174338_canon_ct8_s12▾공주 태화산 마곡사
○2018_1024_174154_canon_BW22▾부여 고란사
○2019_0317_152450_canon_Ar26_s12▾서울_도봉산_광륜사
○2021_0320_140850_canon_ct9_s12▾포천_왕방산_왕산사
○2021_1008_151129_nikon_ar45_s12_pc▾계룡산_신원사
● [pt op tr] fr
_M#]
○2020_0907_151504_nikon_BW28▾양산 통도사
❋❋본문 ♥
◎[개별논의]
★%★
『중아함경』
♣0648-032♧
중아함경 해제 (있는 경우)
중아함경 032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bsz1930
◈Lab value 202110081511 |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648-032.html#1930 sfed--중아함경_K0648_T0026.txt ☞중아함경 제32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bsz1930 불기2569-05-03 θθ |
■ 퀴즈
【범】kleśa-kaṣāya 5탁(濁)의 하나. 말세가 되어 3독(毒)의 번뇌가 극성스럽게 일어나, 중생의 몸과 마음을 흐리터분하고, 어지럽게 하는 일이 심한 때.
답 후보
● 번뇌탁(煩惱濁)
법계신(法界身)
법광명(法光明)
법명(法名)
법문(法門)
법상부(法上部)
법성생신(法性生身)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Charles Aznavour - Trousse Chemise
CELINE DION - Pour Que Tu M'aimes Encore
Jacques Dutronc - La Vie, L'amour C'est Dingue
Pierre Perret - Leila
Philippe Lafontaine - La Quémande
Veronique Sanson - Por Les Michel
Renaud - La Chanson Du Loubard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45▲ 世示礻矢市 ■ 세시시시시 45 ( 인간 세/ 대 세 )( 보일 시 / 땅귀신 기, 둘 치 )( 보일시변 시 )( 화살 시 )( 저자 시/ 상품을 팔고 사는 시장, 장사 시 )
058▲ 曳羽有肉聿 ■ 예우유육율 58 ( 끌 예 / 끌리다, 이끌리다 )(깃 우 / 늦출 호 )( 있을 유 )( 고기 육 / 둘레 유 )( 붓 율 / 어조사( 語助辭) 마침내, 드디어 율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Esala Perahera
[san-chn] sammūdha 迷
[san-eng] pā $ 범어 to bless
[pali-chn] ghāna-samphasso 鼻觸
[pal-eng] gopetu $ 팔리어 m.protector.
[Eng-Ch-Eng] 不動業 Activity (karma) which is related neither to good or ill fortune. 〔瑜伽論T 1579.30.316a〕
[Muller-jpn-Eng] 菩薩 ボサツ (term) bodhisattva
[Glossary_of_Buddhism-Eng] ANATMAN☞
See also: Atman; Cause and effect.
Mahayana Buddhism
“Non-self. Non-ego. Absence of a permanent, unchanging self or
soul.
I. Non-existence of the permanent self. The body consists of the five
elements and there is no self.
II. Non-substantiality of elements (dharmas). Elements exist only by
means of the union of conditions. There is no eternal and unchangeable substance in them.”
[fra-eng] microphone $ 불어 microphone
[chn_eng_soothil] 三乘眞實一乘方便 The 三乘家 consider the Triyāna as real, and the "one vehicle" of the Lotus School as merely tactical, or an expedient form of expression.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如來爲發大乘者說, 爲發最上乘者說.
여래는 대승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이 경을 말했으며 가장 높은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이 경을 말했느니라.
[玄奘] 善現, 如來宣說如是法門,
為欲饒益趣最上乘諸有情故、為欲饒益趣最勝乘諸有情故!
[義淨] 如來為發大乘者說、為發最上乘者說!
15-04 अयं च सुभूते धर्मपर्यायस्तथागतेन भाषितोऽग्रयानसंप्रस्थितानां सत्त्वानामर्थाय, श्रेष्ठयानसंप्रस्थितानां सत्त्वानामर्थाय। **
ayaṁ ca subhūte dharmaparyāyastathāgatena
bhāṣito'grayānasaṁprasthitānāṁ sattvānāmarthāya
śreṣṭhayānasaṁprasthitānām sattvānām arthāya |
그리고, 수보리여! 이 법문은 최고의 여정으로 길을 떠나는 중생들의 이익을 위하고
최상의 여정으로 길을 떠나는 이들인 중생들의 이익을 위해 말씀되어졌다.
▼▷[ayaṁ] ① ayaṁ(pn.ƾ.nom.) → [그리고、 이]
▼[ca] ① ca(ƺ.)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dharmaparyāyastathāgatena] ① dharma+paryāyaḥ(ƾ.nom.) + tathāgatena(ƾ.ins.) →
▼[법문은、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bhāṣito'grayānasaṁprasthitānāṁ] ① bhāṣitaḥ(njp.→ƾ.nom.) +
agrayāna+saṁprasthitānāṁ(nj.→ƿ.gen.pl.) → [말씀되어졌다、 최고의
旅程으로(→수레로) 길을 떠나는]
② bhāṣita(p.p. spoken, said, uttered)
② agrayāna(nj. taking the lead, foremost: ƿ. an army that stops in front of defy the
enemy) < agra(nj. foremost, chief: ƿ. the foremost or topmost point) + yāna(ƿ. going,
moving, walking; a conveyance, vehicle, chariot) < yā(2.ǁ. to go, move, walk)
② samprasthita(nj. set out on a journey, departed; advancing towards Buddhahood)
▼[sattvānāmarthāya] ① sattvānām(ƿ.gen.pl.) + arthāya(ƾ.dat.) → [중생들의、 이익을
위하고]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nature character)
▼[śreṣṭhayānasaṁprasthitānām] ① śreṣṭha+yāna+saṁprasthitānām(nj.→ƾ.gen.pl.) →
▼[최상의 旅程으로(→수레로) 길을 떠나는 이들인]
② śreṣṭha(nj. best, most excellent, preeminent; most beloved; oldest: ƾ. a Brāhmaṇa)
▼[sattvānām] ① sattvānām(ƾ.gen.pl.) → [중생들의]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nature character)
▼[arthāya] ① arthāya(ƾ.dat.) → [이익을 위해.]
② artha(ƾ. aim, purpose; cause, motive; matter, work; property, money)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23일째]
모단불찰불가설 $ 123▲不可思不可思為 一 ● 不可思轉, ○□□□□,塵,如,見,通
□□□□□□□, 塵中佛剎不可說,
如是佛剎皆往詣, 見諸如來不可說。
□□□□□□□, 진중불찰불가설,
여시불찰개왕예, 견제여래불가설。
毛端佛剎不可說,
털 끝에 부처 세계 말할 수 없고
티끌 속의 세계도 말할 수 없어
이러한 부처 세계 모두 나아가
여러 여래 뵈옵는 일 말할 수 없고
[124째]
통달일실불가설 $ 124▲不可思轉不可思轉為 一 ● 不可量, ○□□□□,善,諸,悉,國
□□□□□□□, 善入佛種不可說,
諸佛國土不可說, 悉能往詣成菩提。
□□□□□□□, 선입불종불가설,
제불국토불가설, 실능왕예성보리。
通達一實不可說,
실상을 통달함도 말할 수 없고
부처 종성 들어감도 말할 수 없고
부처님의 국토들 말할 수 없어
모두 다 나아가서 보리 이루네.
125□
●K0950_T1541.txt★ ∴≪A중사분아비담심론≫_≪K0950≫_≪T1541≫
●K0648_T0026.txt★ ∴≪A중아함경≫_≪K0648≫_≪T0026≫
●K0414_T0385.txt★ ∴≪A중음경≫_≪K0414≫_≪T0385≫
■ 암산퀴즈
300* 739
723160 / 895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58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4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15 번째는?
58 이 다라니는 4주(洲)를 교화하시는 세존의 제자인 모든 필추․필추니․우바새․우바이를 두루 제도하여
구로솔도미례, 矩盧窣都弭隸<五十八>
kuru stu Mile
(~!~) 속히 속히 속히 영원히 행복한 세제에 이르게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40 가바려예바 ◐迦波嚟曳泮<三百四十>◑kāpāliye phaṭ
341 아디모기다가시마사나바싣니예바 ◐阿地目抧多迦尸麽舍那皤悉你曳泮<三百四十一>◑adhimuktageㆍśmaśānaㆍvāsiniye phaṭ
342 예기자나사다사다바 ◐曳髻者那薩怛薩怛皤<若有衆生三百四十二>◑iye kācit sattvas (mama ittāṃ mamāsya)//
343 도스타짇다 ◐突瑟咤質多<惡心鬼三百四十三>◑Dushṭaㆍcittaḥ
344 노특라짇다 344) ◐344k澇持囉質多<三百四十四>◑raudraㆍcittaḥ
345 오자하라 ◐烏闍訶囉<食精氣鬼三百四十五>◑oj'āhāra
346 가바하라 ◐揭婆訶囉<食胎藏鬼三百四十六>◑garbh'āhāra
347 노디라하라 ◐嘮地囉訶囉<食血鬼三百四十七>◑rudhir'āhāra
348 망사하라 ◐芒娑訶囉<食肉鬼三百四十八>◑māms'āhāra
349 마사하라 ◐摩社訶囉<食產><鬼三百四十九>◑majj'āhāra
●과보(果報)를 구하여
빨리 원만하게 이뤄지기를 바라는 사람은
빠르게 원만함을 얻는다.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15
두려움 없는 정반왕(淨飯로)의 아드님께 귀의합니다.
南無無畏淨飯王子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221700
808
법수_암기방안
34 복숭아뼈 [멀리 얼어스 malleolus]
123 엄지 (THUMB)
124 (INDEX finger~검지 식지)집게
58 (이)비 鼻孔 【비공】 콧구멍
15 어깨 (shoulder)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504_021640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① 백두어(白頭魚)가 어부들에게 붙잡히자 그의 전생 인연을 들려주어 어부들이 도를 깨치다
부처님께서는 여러 비구들과 함께 비사리(毘舍利)를 향하시면서 여월하(黎越下)에 이르셨다.
강가에는 5백 명의 소치는 사람들과 5백 명의 고기 잡는 사람들이 있었다.
부처님께서는 강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데서 쉬시고 계셨다.
그 때에 고기 잡는 사람들의 그물에 한 마리의 고기가 걸렸으므로 5백 명의 사람들이 끌어당겼으나 나오지 않자,
다시 소치는 무리들까지 불러서 천 사람이 힘을 합쳐서야 한 마리의 큰 물고기를 잡게 되었다.
몸에는 백 개의 머리가 있었는데,
당나귀ㆍ말ㆍ낙타ㆍ범ㆍ이리ㆍ돼지ㆍ개ㆍ원숭이ㆍ여우ㆍ너구리 등 이런 여러 종류였었다.
여러 사람들은 심히 괴이하게 여기면서 다투어 모여 구경을 하는데,
세존께서는 이윽고 물고기에게 물으셨다.
“너는 가비리(迦毘梨)가 아니냐?”
이렇게 세 번을 물으시자,
모두 “그렇다”고 대답하므로 다시 물으셨다.
“네가 교화한 무리들은 지금 어디에 있느냐?”
대답하였다.
“아비지옥(阿鼻地獄)에 떨어져 있습니다.”
그러자 아난이 말하였다.
“지금 무슨 까닭으로 백두어를 가비리라 부르십니까?”
부처님께서 대답하셨다.
“가섭불(迦葉佛) 때에 어느 바라문이 하나의 사내아이를 낳았는데 이름이 가비리(迦毘梨)
[양나라 말로는 황두(黃頭)라 한다]
였다.
그는 총명하고 널리 통달하여 그들 무리 안에서는 들음이 많기로 첫째였으나 다만 모든 사문들보다는 못하자,
그 아버지는 임종하면서 은근히 분부하였다.
‘너는 부디 가섭(迦葉) 사문과는 도리를 강론하지 말아라.
왜냐 하면 사문은 지혜가 깊어서 너는 반드시 질 것이기 때문이다.’
아버지가 죽은 뒤에 그의 어머니가 물었다.
‘너는 본래 높고 총명하니 다시는 너를 이길 이가 없겠구나.’
대답하였다.
‘사문이 저보다 훨씬 훌륭합니다.’
그 어머니는 다시 물었다.
‘무엇이 훌륭하단 말이냐?’
대답하였다.
‘의심 있는 것을 가서 물으면 부처님께서는 능히 해설하셨으나,
그가 만약 저에게 물으면 저는 해답할 수 없었습니다.’
어머니는 다시 물었다.
‘무엇 때문에 그 법을 배워 익히지 않느냐?’
대답하였다.
‘그 법을 공경히 배우려면 사문이 되어야 하는데,
저는 속인이라 어떻게 배울 수 있겠습니까?’
어머니는 다시 말하였다.
‘거짓으로 사문이 되었다가 배워 익혀서 다 통달한 뒤에 집으로 돌아와 있으면 되리라.’
그리하여 그 어머니의 분부를 받들어서 비구가 되었다.
짧은 시간 동안에 3장(藏)을 읽어 외우고 뜻과 이치를 모두 통달하게 되자,
그의 어머니는 그에게 물었다.
‘이제는 이길 수 있느냐?’
대답하였다.
‘학문 안에서는 이기지마는 좌선(坐禪)은 그보다 못합니다.
어떻게 그것을 아느냐 하면,
내가 그 사람에게 물으면 모두 능히 분별하는데 그 사람이 나에게 물으면 나는 알 수 없습니다.
이런 일 때문에 아직 그와는 같지 못합니다.’
어머니는 다시 말하였다.
‘지금으로부터 만약 함께 담론하다가 지게 될 적에는 문득 꾸짖으며 욕설을 퍼부어라.’
가비리는 말하였다.
‘집을 떠난 사문에게는 허물이란 없는데 어떻게 그를 꾸짖습니까?’
대답하였다.
‘다만 꾸짖기만 하여라.
네가 이기게 될 것이다.’
이 때 가비리가 차마 어머니를 어기지 못하여 뒷날 다시 이치를 논하게 되면서 꺾이게 되자,
이내 욕설을 퍼부었다.
‘너희들은 어리석고 아는 바가 없는 것이 축생들보다 더하구나.’
그리고는 온갖 짐승들의 머리로써 모두 그들에게 견주었다.
이렇게 하기를 한 번만이 아니었다.
이 과보로 지금 물고기 몸을 받았으면서 백 개의 머리가 있느니라.”
아난이 부처님께 물었다.
“언제 이 물고기 몸을 벗어나게 됩니까?”
부처님께서는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이 현겁(賢劫) 중의 천 부처님네가 다 지나가도 오히려 벗지 못하리라.”
그 때 아난과 뭇 사람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다 함께 소리를 같이하여 말하였다.
“몸과 입과 뜻의 행은 삼가지 않을 수 없구나.”
고기를 잡던 사람들과 소를 치던 사람들이 일시에 다 같이 합장하고 부처님을 향하여 집을 떠나서 깨끗이 범행을 닦으려고 하자,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어서 오너라.”
그러시자 수염과 머리카락이 저절로 떨어지고 가사가 몸에 입혀졌으며,
그들을 위하여 묘법(妙法)을 말씀하셨으므로 아라한이 되었다.
[『현우경(賢愚經)』 제10권에 나온다]
.
출전:
한글대장경 K1050_T2121
경율이상(經律異相) 양 보창등집
經律異相 【梁 寶唱等集】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정뇌 호흡 [Kapalbhati in Vajrasan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2569-03-30-일
♡대성사,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8가길 126
[사진]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naver.me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kko.kakao.com
[설명 1] https://archive.sb.go.kr
https://m.blog.naver.com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88phs.tistory.com
008 나모소로다반나남 ◐娜牟蘇嚕哆半那喃<八>◑Namaḥ srota-apannānāṃ//

○2018_1025_164833_nikon_ct9

○2018_1025_170654_canon_Ab15

○2018_1025_170835_canon_Ab31

○2018_1025_174141_canon_ct19

○2018_1025_174917_canon_Ar28_s12

○2020_0224_102024_nikon_BW17

○2020_1126_155123_nikon_ar24

○2020_1126_155835_nikon_BW22

○2020_1126_155844_nikon_ab41_s12

○2020_1126_160244_nikon_bw0_s12

○2020_1126_160447_nikon_ct18_s12

○2020_1126_160612_nikon_Ab35

○2021_0717_172438_canon_BW25

○2021_0717_175947_nikon_ct18

○2021_0717_172212_canon_ar6_s12

○2021_0717_185225_canon_BW25

○2021_0717_160343_nikon_ab41_s12

○2021_0717_185703_nikon_BW17

○2023_0325_173246_nikon_Ar26_s12
● [pt op tr] fr
_M#]

○2021_0717_171325_canon_ar47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중아함경_K0648_T002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중아함경 제32권/전체6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중아함경-K0648-032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648-032.html
sfed--중아함경_K0648_T0026.txt ☞중아함경 제32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bsz1930
불기2569-05-03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54783981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45
htmback--불기2569-05-03_중아함경_K0648_T0026-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